KR101107664B1 -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 Google Patents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664B1
KR101107664B1 KR1020090062715A KR20090062715A KR101107664B1 KR 101107664 B1 KR101107664 B1 KR 101107664B1 KR 1020090062715 A KR1020090062715 A KR 1020090062715A KR 20090062715 A KR20090062715 A KR 20090062715A KR 101107664 B1 KR101107664 B1 KR 101107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rotating body
pedestal
packaging machin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6922A (ko
Inventor
남영희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US12/568,623 priority Critical patent/US8430269B2/en
Priority to EP20090171647 priority patent/EP2168877A3/en
Publication of KR20100036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06Separating single articles from loose masses of articles
    • B65B35/08Separating single articles from loose masses of articles using pocketed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 자동 포장기에 설치되어 저장된 다수의 정제를 하나씩 배출하는 정제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1회 작동시 정제를 하나씩 배출하는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배출되는 정제를 손상시키지 아니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는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부로 유입된 정제를 외주면에 함몰 형성된 이송통로로 배출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정제분배기에 있어서, 이송통로는 정제가 하부로 이송되며 하단은 받침대에 의하여 막힌 분리홈과, 분리홈으로 이송된 정제가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체의 외주면에 따라 이송된 후 하부로 배출되는 공급홈으로 이루어지고, 정제가 배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회전체의 하부 둘레에 구비되어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분리홈에 위치한 정제를 공급홈으로 이송시키는 바닥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제, 분배기, 회전체, 카세트, 카트리지

Description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Tarblet divider of the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본 발명은 약제 자동 포장기에 설치되어 저장된 다수의 정제를 하나씩 배출하는 정제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1회 작동시 정제를 하나씩 배출하는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배출되는 정제를 손상시키지 아니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제 자동 포장기는 약제의 종류별로 정제분배기와 정제배출장치로부터 정제를 받아 일 회분씩 연속적으로 포장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 14에는 약제 자동 포장기를 도시하였다.
약제 자동 포장기(300)에는 정제를 담은 여러 개의 정제분배기(310)가 선반(320)에 장착되어 있다. 사용자가 처방전에 따라 약제의 종류, 수량을 입력기를 통하여 입력하면, 정제분배기(310)는 1회 복용분량에 해당하는 약제를 배출한다. 배출된 약제는 호퍼(330)에 떨어져 모아지며, 모아진 약제는 포장지로 포장된다. 입력기로 입력된 복용 횟수에 따라 정제분배기에서 이와 같은 약제의 배출 작동과 모아진 약제의 포장 작동이 반복되어 약제의 포장이 연속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약제 자동 포장기는 1회 복용될 약제의 종류와 수량이 입력된 바에 따라 정확히 포장 배출되게 하는 작동의 신뢰성이 중요한 제품으로, 특히 약제를 정량 배출할 수 있는 정제분배기가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한편, 도 15는 종래의 정제분배기의 예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자동 포장기용 정제분배기는 정제가 수용되는 카세트(100)와, 상기 카세트(100)가 장착되는 카세트받침대(200)와, 카세트(100)의 내부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디비전 블록(300)과, 이 디비전 블록(300)을 회전시키도록 카세트받침대(200)에 구비되는 모터(400)와, 카세트(100)의 후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브러시(500)로 구성된다.
그리고 디비전 블록(300)은 그 외주면 둘레로 낙하로(301)를 형성하도록 이격된 다수의 분할돌출턱(302)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정제분배기는 카세트(100) 내부에 수용된 정제가 모터(400)의 의해 회전되는 디비전 블록(300)의 낙하로(301)에 유입되어 하나씩 배출되고, 디비전 블록(300)의 분할돌출턱(302)의 상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브러시(500)에 의하여 다수의 정제가 엉키지 아니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분할돌출턱의 상부에 정제가 놓이게 되면 브러시로 밀어도 정제의 정체가 풀리지 않게 되고, 분할돌출턱의 사이로 낙하로의 상부에 다수의 정제가 끼 이거나 걸리게 되면 브러시로 정제를 밀어도 그 끼임이나 걸림이 해소되지 않아 정제의 분리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정제분배기는 외부 공기와 접촉됨으로 인한 오염의 문제가 있다. 외부 공기에는 각종 세균이 포함되어 정제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특히 외부 공기에 함유된 습기는 정제를 변질시키는 요인이 된다.
종래에 뚜껑 등에 습기를 포집 제거하는 실리카겔 등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해결하여 왔으나, 이러한 수단만으로 세균 등에 대한 정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였다.
한편, 정제분배기와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1742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0192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84631호, 일본 특허공개 제1999-077001호, 일본 특허공개 제2000-203502호, 일본 특허공개 제1997-240603호, 일본 특허공개 제2001-048101호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배출 명령에 근거하여 정제분배기의 1회 작동시 정확히 정제를 하나씩 배출하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배출되는 과정 중 정제의 파손 및 손상을 가능한 방지되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정제가 배출되는 과정 중에 정제가 작동부재 사이에 끼어 작동불능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회전체의 외주면을 통하여 이송되는 정제를 미리 세워진 상태로 정렬시켜 연속적인 정제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
한편, 외부 공기와 정제의 접촉에 의한 정제의 오염을 가능한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이러한 외부 공기와의 접촉 방지 여부를 감시할 수 있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부로 유입된 정제를 외주면에 함몰 형성된 이송통로로 배출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정제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통로는 정제가 하부로 이송되며 하단은 받침대에 의하여 막힌 분리홈과, 상기 분리홈으로 이송된 정제가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따라 이송된 후 하부로 배출되는 공급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제가 배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의 하부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분리홈에 위치한 정제를 상기 공급홈으로 이송시키는 바닥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바닥링에는 상기 받침대보다 낮게 형성되는 통과면과, 상기 분리홈에 위치한 정제를 상기 분리홈의 상부로 밀어 올리면서 상기 공급홈으로 이송시키는 경사면과, 상기 받침대보다 높게 형성되는 거치면이 연속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를 제시한다.
한편, 상기 바닥링에는 상기 분리홈에 위치한 정제를 상기 분리홈으로 상부로 밀어 올리면서 상기 공급홈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받침대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받침대보다 높은 위치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받침대보다 높게 형성되는 경사면에서 연장되어 거치면이 연속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를 제시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리홈의 정제가 임의로 공급홈으로 이송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받침대에 지지된 정제가 공급홈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턱이 형성되거나, 상기 받침대는 상기 받침대에 지지된 정제가 공급홈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를 제시한다.
나아가 정제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전체의 상면은 가장자리를 향하여 내림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 상부는 상면에서 가장자리로 이동된 정제가 측면으로 세워지도록 턱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를 제시한다.
한편, 상기 이송통로를 거쳐 배출되는 정제가 통과하는 배출공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를 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에 따르면, 회전체의 회전시 해당 공급홈에 위치한 정제만 배출되어 정제의 정량 배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받침대와 바닥링에 의하여 분리홈에 위치한 정제가 공급홈으로 하나씩 이동되므로, 한 번에 하나씩 정제가 배출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받침대에 돌기턱이 형성되거나, 받침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의도되지 아니한 추가 정제의 배출이 보다 확실히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회전체의 상면이 내림 경사지게 형성되고, 회전체의 외주면 상부 가장자리가 턱지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송통로로 이송되는 정제를 미리 세움으로써 이송통로를 통한 정제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회전체의 하부에 형성된 단턱에 바닥링이 위치되는 경우에는 회전체와 내부공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어, 두께가 얇은 정제가 회전체와 내부공간의 내벽면에 끼어 회전체의 회전에 간섭되는 문제가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바닥링의 외경이 회전체의 외주면 하부를 감싸도록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바닥링의 높이를 증대시킬 수 있어 분리홈에서 공급홈으로의 정제의 이송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개폐부를 통하여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정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으며, 자석과 자력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이러한 개폐부의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지를 감시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인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의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정제는 직경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갖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며 설명되지만, 부드러운 모서리를 갖는 다각형 입상물일 수 있다. 또한 정제는 내부에 가루약제가 담긴 긴 원통형상인 캡슐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100)는 약제 자 동 포장기의 선반 위에 설치되는 스테이션(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하되며, 구동모터(210)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부로 유입된 정제를 외주면에 함몰 형성된 이송통로(11)로 배출하는 회전체(1)를 포함한다.
이때, 회전체(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정제의 이송통로(11)는 정제가 하부로 이송되며 하단은 받침대에 의하여 막힌 분리홈(111)과, 분리홈(111)으로 이송된 정제가 회전체(1)의 회전에 따라 회전체의 외주면에 따라 이송된 후 하부로 배출되는 공급홈(11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정제가 배출되는 개방부(21)가 형성되며, 회전체(1)의 하부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분리홈(111)에 위치한 정제를 상기 공급홈(112)으로 이송시키는 바닥링(2)이 포함된다.
이때, 스테이션(200)에는 정제분배기(100)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바닥구조체(130)가 끼움 결합되는 브래킷(220)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약제 자동 포장기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구동모터(210)가 구비되어 있다. 스테이션(200)의 상부에는 구동모터(2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피니언(211)이 돌출되어 있으며, 이 피니언(211)은 스테이션(200) 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정제분배기(100)의 회전체(1)의 하단과 결합되어 회전체(1)를 회전되게 한다. 또한, 스테이션(200)의 전방에는 정제분배기(100)에서 배출되는 정제를 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3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정제분배기(100)에는 상부에 정제가 수용되는 저장공간(110)을 형성하고, 이 저장공간(110)의 아래에는 바닥링(2)과 회전체(1)가 설치되는 원통형 내부공간(120)이 형성되며, 이 내부공간(120)의 하단에는 스테이션(200)에 결합되기 위한 바닥구조체(1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저장공간(110)의 상부에는 저장공간을 폐쇄하는 덮개(1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에는 사용자가 쥘 수 있는 손잡이(1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저장공간(110)의 바닥은 원통형 내부공간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저장공간(110) 내에 수용되는 정제가 원통형 내부공간(120)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게 한다.
한편, 내부공간(120)의 상부는 상기 저장공간(110)으로 개방되어 있고, 그 하부는 바닥면(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 바닥면(121)에는 정제분배기(100)의 정면을 향하여 정제가 배출되는 배출공(121a)이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션(200)의 피니언(211)과 결합되는 회전체(1)의 회전축이 통과하는 축공(121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는 내부공간(120)에 장착되는 것으로, 그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이송통로(11)가 형성되어 있다.
이송통로(11)는 회전체(1)의 외주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분리홈(111)과, 이 분리홈(111)의 하부에서 회전체의 외주면에 따라 수평되게 연속 으로 함몰 형성되는 공급홈(112)으로 이루어진다.
분리홈(111)은 측면으로 세워진 정제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정제의 직경보다 큰 가로 폭으로 형성되며, 공급홈(112)은 분리홈에 수용된 정제가 이동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으로 형성된다. 또한 공급홈(112)은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공급홈에 수용되는 정제는 내부공간(120)의 바닥면(121)에 형성된 배출공(121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분리홈(111)의 하부에는, 분리홈(111)의 상부에서 떨어지는 정제가 분리홈을 통과하지 아니하도록, 외주면의 외측으로 받침대(113)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받침대는 회전체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정제의 직경에 따라 길이 또는 추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형상을 달리할 수 있도록 회전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조물을 통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분리홈의 상부에서 떨어진 정제는 받침대에 걸리게 되며, 추후 설명되는 바닥링에 의하여 공급홈으로 이송된 이후에, 공급홈의 하부로 배출된다.
한편, 바닥링(2)은 원통형 내부공간의 바닥면(121)과 내측면(122)에 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를 따라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대략 원형 띠 형상을 갖는다.
바닥링(2)은 회전체(1)의 하부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데, 바닥링(2)은 회전체(1)와는 직접 접촉하지 아니함으로써 회전체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 루어지게 된다.
또한, 바닥링(2)에는 배출공(121a)을 통과하여 정제가 아래로 배출되도록, 배출공(121a)에 해당하는 구간이 절개되어 개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방부(21)를 형성하는 바닥링(2)의 양 끝단 중 회전체의 회전방향 쪽의 일단에는 낮은 높이의 통과면(22)이 형성되고, 이 통과면(22)에서 연달아 오름 경사도를 갖는 경사면(23)이 형성되고, 또한 경사면(23)에서 연달아 받침대(113)보다 높은 거치면(24)이 형성된다. 이 거치면(24)은 바닥링(2)의 타단에까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즉, 통과면(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높이가 회전체(1)에 구비되는 받침대(113)보다 낮은 것이며, 거치면(24)의 높이는 받침대(113)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다.
회전체와 바닥링의 결합관계를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내부공간과, 이 내부공간에 설치된 바닥링과 회전체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으로, 내부공간의 내측면(122)과 이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회전체(1)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정제(T)가 끼이지 아니하도록 가능한 좁게 형성된다.
이때, 회전체(1)에 형성되는 이송통로(11) 즉 분리홈(111)과 공급홈(112)의 깊이(외주면의 법선 방향, 이하 '함몰 길이'라고 함)는 이송통로(11)를 통과하는 정제(T)의 두께만큼 형성된다. 또한, 받침대(113)는 이송통로의 함몰 길이보다 짧 은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받침대(113)의 돌출된 길이는 이송통로(11)의 함몰 길이의 반 정도의 길이이다.
한편, 바닥링(2)에 형성되는 경사면(23)과 거치면(24)의 두께는 이송통로(11)의 함몰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이러한 두께를 갖는 바닥링(2)은 회전체(1)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는 단턱(12)의 아래에 위치된다. 이때 바닥링(2)의 내측면과 받침대의 외표면은 회전체의 회전에 간섭을 발생시키지 아니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하지 아니하는 것이 좋다.
결국,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홈(111)에 수용되는 정제(T)는 그 외측면이 바닥링(2)의 거치면(24)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는 회전체(1)의 회전에 따라 정제는 그 내측면이 받침대(113)에 지지된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받침대(113)에는 받침대(113)에 지지된 정제(T)가 임의로 공급홈(112)으로 이송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하는 저지수단(114)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홈의 상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받침대(113)에 지지되는 정제 위에는 다른 정제가 쌓이게 된다. 이때, 정제의 직경이 분리홈(111)의 가로 폭보다 작은 경우에 분리홈(111)에 세워져 쌓이는 정제는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받침대(113)에 지지되는 정제는 그 위에 쌓이는 다른 정제의 하중이 비스듬하게 작용하여 공급홈(112) 쪽으로 밀려지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공급홈(112)에 위치한 정제가 배출공(121a)으로 배출되어 공급홈(112)이 비게 되면, 받침대(113)에 위치된 정제는 전술한 힘에 의하여 공급홈(112)으로 이송되며 이어 배출공(121a)으로 바로 배출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미 공급홈에 위치한 정제만 배출되고 받침대에 지지되는 정제는 배출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저지수단(114)이 받침대(113)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지수단(114) 중 일예는 받침대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다.
받침대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경우에는 받침대를 공급홈 쪽으로 연장하여 공급홈에 형성되는 배출공간을 줄여, 분리홈의 정제가 이 배출공간까지 이송되는 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다. 즉, 길게 형성된 받침대를 따라 공간홈으로 정제가 완전히 이동되는 시간 동안 회전체가 회전하여 배출공에서 벗어남으로써 배출공간까지 정제가 이동되었을 때 공간홈의 하부가 막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다른 저지수단(114)으로 받침대(113)에 돌기턱(114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돌기턱(114a)은 공급홈(112)을 향한 받침대(113)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돌기턱(114a)이 받침대(113)에 세워진 정제를 받침에 따라 정제가 전술된 힘에 의하여 임의로 공급홈(112)으로 이송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배출공에 공급홈이 위치된 상태에서 받침대로 지지된 정제가 공급홈으로 이송되지 아니하므로, 회전체의 1회 작동시 공급홈에 위치하는 정제만 하나씩 정량 배출되는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른 저지수단(114)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13)에 지지된 정제가 공급홈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즉, 받침대(113)는 공급홈(112)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분리홈(111)에 수용된 정제가 경사진 받침대를 넘어 공급홈으로 이송되지 아니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회전체(1)의 상면(13)는 가장자리를 향하여 내림 경사지게 형성되고, 회전체(1)의 외주면 상부는 상면(13)에서 가장자리로 이동된 정제가 측면으로 세워지도록 턱지게 형성된다.
즉, 회전체(1)의 상면(13)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 위의 정제가 중력 또는 회전체의 단속적인 회전에 의한 진동에 의하여 회전체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회전체(1)의 외주면 상부의 가장자리는 둘레를 따라 단턱(131)을 형성하여, 정제가 단턱(131)에 떨어지며 측면으로 세워지게 한다. 이때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지는 정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이송통로(11)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단턱(131)의 바닥면(131a)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에 채용된 개폐부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6과 도 7은 개폐부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정제분배기(100)에 수용되는 정제가 외부 공기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체(1)의 이송통로(11)를 거쳐 배출되는 정제가 통과하는 배출공(121a)을 개폐하는 개폐부(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개폐부(3)는 이송통로를 거처 배출되는 정제의 통로인 배출공(121a)을 정제가 배출되는 순간에 개방되도록 하고, 정제가 배출되지 아니하는 평상시에는 정제가 외부공기와 접하지 아니하도록 배출공(121a)을 기밀한다.
이러한 개폐부는 배출공(121a)이 형성된 내부공간 바닥판의 배면에 구비되어 슬라이딩되는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막 타입의 개폐부의 구성은 카메라의 조리개 등의 공지된 구성을 갖을 수 있다. 또한 추후 설명되는 회전 가능한 도어 타입일 수 있다.
이렇한 개폐부의 작동에 의한 배출공(121a)의 개방은 회전체(1)의 회전에 의하여 공급홈(112)이 배출공(121a)의 상부에 위치할 때에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개폐부의 작동은 구동모터(210)의 회전 작동과 함께 약제 자동 분배기에 구비되는 제어부(도시 생략)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3)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개폐부(3)는 정재분배기(100)의 하부를 이루는 바닥구조체(130)에 설치되는 개폐도어부(31)와, 이 개폐도어부(31)를 작동하여 배출공(121a)을 개방되게 하도록 스테이션(200)에 설치되는 개폐작동부(32)로 이루어진다.
개폐도어부(31)에는 정제분배기(10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311)이 좌우 방향으로 힌지 결합되며, 이 회전축(311)에는 배출공(121a)의 하단에 접하여 배출공(121a)을 기밀하는 도어판(312)과, 회전축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작동턱(313)과, 작동턱(313)을 복귀시키며 회전축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314)이 구비된다.
이때, 도어판(312)은 배출공(121a)을 가릴 수 있도록 배출공(121a)보다 큰 면적을 갖는다. 또한,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접하는 도어판(312)의 외주면 또는 상부면 전체에는 기밀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패드(312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판(312)은 회전축(3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배출공(121a)에 대어지거나 떨어져, 배출공을 폐쇄 또는 개방하게 된다.
한편, 작동턱(313)은 추후 설명되는 이송편의 걸림돌기에 걸려 회전축(311)을 회전되게 하는 것으로 회전축(311)에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작동턱(313)에는 스프링(314)의 일단이 걸리기 위한 돌기턱(313a)이 돌출되어 있다.
스프링(314)은 그 일단이 작동턱(313)의 돌기턱(313a)에 걸리고 타단은 정제분배기(100)에 걸리도록 장착된다. 이 스프링(314)은 작동턱(313)을 당김으로써 도어판(312)이 배출공(121a)을 폐쇄하도록 당김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평상시에는 스프링(314)의 당김력으로 도어판(312)이 배출공(121a)을 폐쇄한 상태가 되며, 개폐작동부(32)를 통하여 회전축(311)이 회전되어 도어판(312)이 배출공에서 떨어지면 스프링(314)은 인장되어 회전축이 복원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복원력을 갖게 된다.
한편, 개폐작동부(32)는 스테이션(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송편(321)과 솔레노이드(322)로 이루어진다.
스테이션(200)의 내부에는 이송편(321)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이송홈(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송편(321)은 이 이송홈(33) 위에 설치된다.
이송편(321)의 상부에는 돌출된 걸림돌기(32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돌기(321a)는 스테이션(200)의 상부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스테이션(200) 위에 정제분배기(100)가 장착되었을 때에 걸림돌기(321a)는 작동턱(313)의 전방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솔레노이드(322)는 스테이션(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이송편(321)의 후방면과 결합된다. 이 솔레노이드(322)의 작동에 의하여 이송편(321)은 이송홈(33)을 타고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아울러 걸림돌기(321a)에 의하여 작동턱(313)이 후방으로 이동되어 개폐도어부(31)의 회전축(311)을 회전시키게 구성된다. 또한 개폐도어부의 회전에 의하여 도어판(312)이 배출공(121a)을 개방하여 정제가 배출공(121a)을 통과하여 배출되며, 아울러 스프링(314)은 인장된다.
이후, 솔레노이드(322)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스프링(314)의 복원력에 의하여 개폐작동부(32)는 반대로 회전하여. 배출공(121a)은 도어판(312)에 의하여 폐쇄되며 작동턱(313)에 의하여 이송편(321)은 전방으로 복귀된다.
한편, 이러한 개폐부(3)의 작동이 이루어진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이송편(321)에는 자석(321b)이 구비되고, 이송편(321)이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이송홈(33)에는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331)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걸림돌기(321a)의 바로 아래 부분에는 자석(321b)이 삽입되어 있으며, 이송홈(33)의 후방에는 배출공(121a)이 개방되었을 때의 자석(321b) 위치에 자석(321b)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331)가 결합되어 잇다.
이로써 이송편(321)이 솔레노이드(322)의 작동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송된 경우, 자력감지센서(331)는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여 이송편(321)이 후방으로 이송되었음을 인지하고, 이를 제어부로 송신하여 제어부에서 정상적인 개방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솔레노이드를 작동하는 명령에도 불구하고 자력감지센서에서 자력이 감지되지 아니하거나,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차단된 이후에도 자력감지센서에서 자력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개폐부의 오작동으로 간주되어 경고음, 영상표출 등의 공지수단으로 사용자에게 이를 경고함으로써 사용자가 정검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정확한 개폐부의 정상 작동여부를 감지하여, 외부 공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정제의 오염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8은 정제의 수직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정제분배기의 상부에서 저장공간에 투입되는 정제(T)는 회전체의 원뿔 형상의 상면 또는 저장공간의 경사진 내벽면을 타고 회전체의 단턱에 세워지며, 그 중 일부는 분리홈(111)에 떨어진다.
분리홈(111)에 떨어진 정제(T)는 받침대(113)에 의하여 지지되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링(2)의 거치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후 회전체(1)가 회전되면 받침대(113)에 지지되는 정제(T)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링(2)의 경사면(23)을 타고 분리홈(111)의 상부로 들려지면서, 경사면에 의하여 정제가 비스듬히 지지된다. 이로써 정제(T)를 공급홈(112) 쪽으로 미는 측방향 힘(흰색 화살표 방향)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경사면(23)에 의하여 상부로 들려진 정제(T)는 받침대(113) 보다 높게 들려진다.
이후 회전체(1)가 더 회전됨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T)는 공급홈(112)으로 이동되어 수용되며, 만일 정제가 공급홈으로 유입되지 아니하고 분리홈으로 수직되게 상승 이동하는 경우에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정제(T)는 거치면(24)과의 마찰에 의하여 공급홈(112)으로 이동된다.
또한, 정제(T)가 공급홈(112)으로 이동됨에 따라 형성되는 분리홈(111)의 빈 공간은 다음의 정제가 내려와 채우게 된다.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가 더 회전되어 공급홈(112)의 하부에 배출공(121a)이 위치되면, 공급홈(112)에 위치한 정제는 배출공(121a)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된다. 한편, 분리홈(111)에 위치하는 정제는 이송통로(11)가 바닥링(2)의 개방부(21) 위를 통과하면서 아래로 떨어져 받침대(113)에 지지된다.
이후,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전술된 이동과정을 반복하면서 정제가 하나씩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정제의 배출은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하나의 이송통로에서 정제가 하나씩 정량 배출되게 하여 정량배출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며, 정제의 배출 중에 정제가 받는 충격이 적어 정제의 파손 또는 손상이 적은 것이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에 채용된 회전체와 바닥링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에 구비되는 회전체(1)는 이송통로(11)의 깊이가 정제의 두께의 반으로 형성된다. 또한, 회전체 상면 가장자리의 단턱(131)에 세워지는 정제(T)는 안쪽 측면(회전체에 가까운 쪽의 측면)의 절반 정도가 단턱의 바닥면(131a)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송통로(11)를 형성하는 분리홈(111), 공급홈(112) 및 받침대(113)는 세워진 정제의 측면에 접촉되며 정제의 이동 범위를 제약하게 된다.
또한, 바닥링(2)의 외경은 회전체(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바닥링(2)의 거치면(24)과 일부 경사면(23)은 이송통로(11)의 하단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닥링(2)이 이송통로(11)에 수용된 정제의 바깥쪽 측면(내부공간의 내측면과 가까운 쪽의 측면)과 접촉되어, 전술된 제1실시예와 같이 정제를 분리홈에 서 공급홈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은 갖는 것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바닥링(2)에는 분리홈(111)에 위치한 정제를 분리홈(111)으로 상부로 밀어 올리면서 상기 공급홈(112)으로 이송시키도록 받침대(113)보다 낮은 위치에서 받침대(113)보다 높은 위치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23)이 형성된다. 또한, 경사면(23)의 상부에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받침대보다 높은 거치면(24)이 형성된다.
이때 경사면(23)의 하부 끝단은 배출공(121a)에서 회전체(1)의 회전방향 쪽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되어, 정제가 공급홈에 완전히 수용되기 전에 배출공(121a)으로 굴러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면(23)에 의하지 아니하고 정제가 분리홈(111)에서 공급홈(112)으로 이송되지 아니하도록 받침대(113)는 전술된 바와 같이 공급홈(112)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전술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는 바닥링(2)의 외경이 회전체(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서, 바닥링(2)의 일부 경사면(23)과 거치면(24)이 제1실시예보다 높게 형성하여 분리홈에서 공급홈으로의 정제의 이송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회전체의 하부 외주면에는 바닥링이 위치되기 위한 단턱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회전체의 형상을 간단히 하여 제조가 용이한 장점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에 채용된 회전체와 바닥링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일부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에 채용된 개폐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개폐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개폐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의 사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념도로,
도 8는 정제의 하방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정제의 측방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정제의 측방 이동이 완료된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정제의 배출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에 채용된 회전체와 바닥링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은 약제 자동 포장기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정제분배기
110 : 저장공간 120 : 내부공간
121 : 바닥면 121a : 배출공 121b : 축공 122 : 내측면
130 : 바닥구조체 140 : 덮개 150 : 손잡이
1 : 회전체
11 : 이송통로 111 : 분리홈 112 : 공급홈
113 : 받침대 114 : 저지수단 114a : 돌기턱
12 : 단턱 13 : 상면 131 : 단턱 131a : 바닥면
2 : 바닥링
21 : 개방부 22 : 통과면 23 : 경사면 24 : 거치면
3 : 개폐부
31 : 개폐도어부
311 : 회전축 312 : 도어판 312a : 패드
313 : 작동턱 313a : 돌기턱 314 : 스프링
32 : 개폐작동부
321 : 이송편 321a : 걸림돌기 321b : 자석 322 : 솔레노이드
33 : 이송홈 331 : 자력감지센서
200 : 스테이션
210 : 구동모터 211 : 피니언 220 : 브래킷 230 : 배출구
T : 정제

Claims (12)

  1. 하부에 결합되는 스테이션(200)의 구동모터(210)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부로 유입된 정제(T)를 외주면에 함몰 형성된 이송통로(11)로 배출하는 회전체(1)를 포함하는 정제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통로(11)는 정제(T)가 하부로 이송되며 하단은 받침대(113)에 의하여 막힌 분리홈(111)과, 상기 분리홈(111)으로 이송된 정제가 상기 회전체(1)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체(1)의 외주면에 따라 이송된 후 하부로 배출되는 공급홈(1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제(T)가 배출되는 개방부(21)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1)의 하부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분리홈(111)에 위치한 정제를 상기 공급홈(112)으로 이송시키는 바닥링(2)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2. 제1항에서,
    상기 바닥링(2)에는
    상기 받침대(113)보다 낮게 형성되는 통과면(22)과, 상기 분리홈(111)에 위치한 정제(T)를 상기 분리홈(111)의 상부로 밀어 올리면서 상기 공급홈(112)으로 이송시키는 경사면(23)과, 상기 받침대(113)보다 높게 형성되는 거치면(24)이 연속 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3. 제1항에서,
    상기 바닥링(2)에는
    상기 분리홈(111)에 위치한 정제를 상기 분리홈(111)으로 상부로 밀어 올리면서 상기 공급홈(112)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받침대(113)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받침대(113)보다 높은 위치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23)과, 상기 받침대(113)보다 높게 형성되는 경사면(23)에서 연장되어 거치면(24)이 연속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받침대(113)에는
    상기 받침대(113)에 지지된 정제(T)가 임의로 공급홈(112)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저지수단(114)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5. 제4항에서,
    상지 저지수단(114)은
    상기 공급홈(112) 쪽의 상기 받침대(113)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돌기턱(114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6. 제4항에서,
    상기 저지수단(114)은
    상기 받침대(113)가 공급홈(112)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회전체(1)의 상면(13)은 가장자리를 향하여 내림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1)의 외주면 상부는 상면(13)에서 가장자리로 이동된 정제(T)가 측면으로 세워지도록 턱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8.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회전체(1)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바닥링(2)이 설치되는 공간을 형 성하는 단턱(12)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링(2)의 외경은 상기 회전체(1)의 외경과 같게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9.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바닥링(2)의 외경은 상기 회전체(1)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링(2)의 거치면(24)과 경사면(23)은 상기 이송통로(11)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10. 제1항에서,
    상기 이송통로(11)를 거쳐 배출되는 정제가 통과하는 배출공(121a)을 개폐하는 개폐부(3)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11. 제10항에서, 상기 개폐부(3)는
    상기 배출공(121a)의 하단에 접하는 도어판(312)과, 상기 도어판(312)의 일측에 연장형성되며 양단은 정제분배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311)과, 상기 회전축(311)에 연장형성되는 작동턱(313)과, 일단이 상기 작동턱(313)에 걸리 고 타단이 정제분배기에 걸리어 상기 도어판(312)이 상기 배출공(121a)에 탄성있게 접하도록 하는 스프링(314)이 포함되는 개폐도어부(31)와,
    상기 스테이션(200)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322)와, 상기 솔레노이드(322)에 의하여 후방으로 당겨지며, 상부로 돌출된 걸림돌기(321a)로 상기 작동턱(313)을 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도어판(312)을 회전축(311)에 대하여 회전시켜 상기 배출공(121a)을 개방하는 이송편(321)이 포함되는 개폐작동부(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12. 제11항에서,
    상기 개폐부(3)의 작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편(321)에는 자석(321b)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편(321)이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이송홈(33)에는 상기 자석(321b)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33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KR1020090062715A 2008-09-30 2009-07-09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KR101107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68,623 US8430269B2 (en) 2008-09-30 2009-09-28 Tablet cassette of automatic tablet packing apparatus
EP20090171647 EP2168877A3 (en) 2008-09-30 2009-09-29 Tablet cassette of automatic tablet pac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5876 2008-09-30
KR1020080095876 2008-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922A KR20100036922A (ko) 2010-04-08
KR101107664B1 true KR101107664B1 (ko) 2012-01-20

Family

ID=42214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715A KR101107664B1 (ko) 2008-09-30 2009-07-09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0423B2 (ja) 2019-05-18 2024-01-1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カセッ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7001A (ja) * 1995-09-05 1997-03-25 Sanyo Electric Co Ltd 固形製剤充填装置
KR20000076460A (ko) * 1999-01-14 2000-12-26 유야마 쇼지 정제 공급기
JP2001048101A (ja) 1999-07-30 2001-02-20 Takazono Sangyo Kk 薬剤定量供給装置
KR20090073276A (ko) * 2007-12-31 2009-07-03 (주)제이브이엠 자동 약 포장기의 정제 분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7001A (ja) * 1995-09-05 1997-03-25 Sanyo Electric Co Ltd 固形製剤充填装置
KR20000076460A (ko) * 1999-01-14 2000-12-26 유야마 쇼지 정제 공급기
JP2001048101A (ja) 1999-07-30 2001-02-20 Takazono Sangyo Kk 薬剤定量供給装置
KR20090073276A (ko) * 2007-12-31 2009-07-03 (주)제이브이엠 자동 약 포장기의 정제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922A (ko)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0208B2 (en) Rotary-type tablet feeder
US8386073B2 (en) Module for regulating quantity of various-shaped tablets in automatic tablet dispenser,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KR100910395B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RU2700922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одачи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в автоматическом устройстве дозирования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KR101165488B1 (ko) 약제 포장 장치
KR101261265B1 (ko) 약제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그리고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2007082622A (ja) 錠剤供給装置
KR20040010526A (ko) 한 번에 한 개씩 상품을 확실하게 판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
CN109552708B (zh) 药剂盒及包括其的药剂自动包装机
KR10133349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KR101513691B1 (ko) 약제포장장치의 멀티형 정제분배기
KR101107664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KR100955947B1 (ko)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및정제공급방법
KR101994626B1 (ko) 약제 포장장치
KR10135696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JP2000247301A (ja) 薬剤分割装置
KR100955946B1 (ko) 약제포장기의 이송장치
KR101896911B1 (ko) 약제 포장장치
KR101896910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982600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7081799B2 (ja) 錠剤供給装置及び薬剤払出し装置
KR101862544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20240038054A (ko) 정제 분배 장치 및 방법
KR20160065376A (ko) 약제 불출 장치
KR20190057260A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