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086B1 - 외관검사장치 및 블리스터 포장기 - Google Patents

외관검사장치 및 블리스터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086B1
KR102296086B1 KR1020207001005A KR20207001005A KR102296086B1 KR 102296086 B1 KR102296086 B1 KR 102296086B1 KR 1020207001005 A KR1020207001005 A KR 1020207001005A KR 20207001005 A KR20207001005 A KR 20207001005A KR 102296086 B1 KR102296086 B1 KR 102296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imaging
objects
appearance inspection
inspec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3975A (ko
Inventor
타다시 이노구치
Original Assignee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43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5Investigating moving fluids or granular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08Capsules;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50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 B65B11/52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one sheet being rendered plastic, e.g. by heating, and forced by fluid pressure, e.g. vacuum, into engagement with the other sheet and contents, e.g. skin-, blister-, or bubble- pack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01Optical details; Scanning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G01N21/9018Dirt detection in containers
    • G01N21/9027Dirt detection in containers in containers after fil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2Video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검사효율 및 검사정밀도의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는 외관검사장치 및 블리스터 포장기를 제공한다. 외관검사장치(22)는, 용기필름 상방으로부터 정제의 외관검사를 행하는 검사기구(51)를 구비하고, 복수의 정제의 측면에 따른 외관검사를 실행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검사기구(51)는, 조명장치(60)와, 제1 카메라(61)~제6 카메라(66)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61) 등은, 촬상소자와, 양측 텔레센트릭 광학계로 이루어지는 렌즈유닛을 가지고, 소정의 검사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용기필름 상의 복수의 정제에 대하여, 촬상소자의 수광면 및 렌즈유닛의 주면이 샤임플러그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외관검사장치 및 블리스터 포장기
본 발명은, 대상물의 외관검사를 행하는 외관검사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블리스터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리스터 포장체로서 PTP 시트가 알려져 있다. PTP 시트는, 정제 등의 대상물이 수용되는 포켓부가 형성된 용기필름과, 이 용기필름에 대하여 포켓부의 개구측을 밀봉하도록 취착되는 커버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PTP 시트는, 띠형상의 용기필름을 반송시키면서, 포켓부를 성형하는 공정, 이 포켓부에 대상물을 충전하는 공정, 이 포켓부의 개구측을 밀봉하도록 용기필름에 대하여 커버필름을 취착하는 공정, 이 양 필름이 취착되어 이루어지는 띠형상의 블리스터 필름으로부터 최종 제품이 되는 PTP 시트를 분리하는 공정 등을 거쳐 제조된다.
PTP 시트의 제조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이물이나 오염의 부착, 결함이나 금의 유무 등, 대상물의 외관이상이 검사된다. 최근에는, 대상물의 측면에 대해서도 외관검사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대상물의 측면을 검사하는 외관검사장치로는, 검사효율의 향상을 위해, 복수 병렬로 반송되는 대상물을, 진행방향에 대하여 기울기방향으로 배치한 복수대의 카메라로 촬상함으로써, 복수의 대상물의 측면 전체둘레를 검사 가능하게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S61-28845호 공보
그러나,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병렬로 반송되는 대상물(100a, 100b, 100c)을 통상의 카메라(200)으로 기울기 상방으로부터 촬상한 경우에는, 복수의 대상물(100a, 100b, 100c)의 크기가 모두 같았다고 해도, 취득된 화상데이터 상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200)와의 거리에 비례하여, 그 크기가 상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200)에 가장 가까운 대상물(100a)과, 카메라(200)로부터 가장 먼 대상물(100c)은, 그 크기가 현저하게 상이하다. 즉, 대상물(100a, 100b, 100c)에 부착한 이물 등의 크기에도 차이가 생기게 된다.
그 결과, 복수의 대상물(100a, 100b, 100c) 간에 있어서, 또는, 1개의 대상물(100a)등에 따른 복수의 측면화상데이터 간에 있어서 분해능이 상이하게 되고, 검사의 균일성을 유지하지 못하여, 검사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병렬로 반송되는 대상물(100a, 100b, 100c)을 통상의 카메라(200)로 기울기 상방으로부터 촬상한 경우에는, 모든 대상물(100a, 100b, 100c)을 합초범위(피사계심도) 내에 넣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도 있다.
그 결과, 일부에 핀트가 맞지 않는 화상데이터(예를 들어 복수의 대상물(100a, 100b, 100c) 중, 대상물(100a, 100b)에 핀트가 맞고, 대상물(100c)에는 핀트가 맞지 않는 화상데이터)가 취득되게 되어, 검사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가령 카메라(200)의 조리개값을 크게(피사계심도를 깊게) 한 경우에는, 모든 대상물(100a, 100b, 100c)을 합초범위 내에 넣는 것이 가능해지는 한편, 검사에 필요한 충분한 광량을 얻는 것이 어려워져, 검사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특히 검사효율의 향상을 도모함에 있어서, 반송 중인 대상물(100a, 100b, 100c)을 촬상하는 경우에는, 노출시간을 매우 짧게 할 수 밖에 없어, 상기 문제가 보다 현저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과제는, 반드시 PTP 포장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블리스터 포장의 분야에 있어서도 내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검사효율 및 검사정밀도의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는 외관검사장치 및 블리스터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데 적합한 각 수단에 대하여 항을 나누어 설명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대응하는 수단에 특유의 작용효과를 부기한다.
수단 1. 소정방향으로 반송되는 반송체(예를 들어 용기필름)의 표리 양면 중 일방인 제1 면측(예를 들어 표면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대상물(예를 들어 정제)이 통과하는 소정의 검사에어리어에 대하여 소정의 광을 조사가능한 조사수단과,
상기 반송체의 표리 양면에 대하여 경사진 소정방향을 따라, 상기 검사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상물의 측면의 일부를 촬상가능한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데이터를 기초로, 적어도 상기 복수의 대상물의 측면에 따른 외관검사를 실행가능한 화상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반송체의 표리 양면 중 상기 제1 면측에 있어서, 이 제1 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본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검사에어리어의 주위에 상기 촬상수단을 복수 배치함과 함께,
상기 촬상수단은,
적어도 촬상소자와, 이 촬상소자에 대하여 상기 검사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상물의 상을 결상시키는 물체측 텔레센트릭 광학계 또는 양측 텔레센트릭 광학계에 의해 구성된 촬상광학계(예를 들어 렌즈유닛)를 가지고,
상기 검사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상물에 대하여, 상기 촬상소자의 수광면 및 상기 촬상광학계의 주면이 샤임플러그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검사장치.
한편, 본 수단에 있어서의 「대상물의 측면」이란, 반송체에 배열된 대상물을, 이 반송체의 표리 양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제1 면측 또는 이 제1 면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제2 면측(예를 들어 이면측)으로부터 봤을 때, 시인 불능 또는 시인 곤란해지는 부위를 의미한다(이하의 수단에 있어서도 동일함).
따라서, 엄밀하게 반송체의 표리 양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평면뿐만 아니라, 만곡면 등도 포함된다. 또한, 대상물 자신에 있어서 측면이 획정되어 있지 않은 것, 즉 표면이나 측면 등의 구별이 없는 대상물(예를 들어 캡슐정이나, 타원체형상이나 진구형상의 소프트캡슐 등)에 대해서도 검사대상에 포함된다.
또한, 「대상물의 측면」에 더하여, 예를 들어 반송체에 배열된 대상물을, 이 반송체의 표리 양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제1 면측(예를 들어 표면측) 또는 제2 면측(예를 들어 이면측)으로부터 봤을 때에 시인 가능하기는 하나, 적정한 외관검사를 행하는 것이 곤란한 부위를 검사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더블렛정(평정)의 표면 또는 이면의 주연부에 마련된 면취부나, 렌즈정의 만곡한 표면 또는 이면의 주연부 근방부분을 검사대상부위로 해도 된다.
상기 수단 1에 따르면, 검사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상물의 측면에 따른 외관검사를 한 번에 실행할 수 있고, 검사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수단에서는, 반송체의 제1 면측으로부터 대상물을 가리는 것이 없는 상태로 검사를 실행할 수 있음과 함께, 반송체가 불투명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검사를 실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검사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수단에서는, 검사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상물에 대하여, 촬상소자의 수광면 및 촬상광학계의 주면이 샤임플러그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검사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상물 모두에 핀트가 맞는 화상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검사의 균일성을 높여, 검사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수단에서는, 촬상광학계가 물체측 텔레센트릭 광학계, 또는, 양측 텔레센트릭 광학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촬상소자와 복수의 대상물과의 거리에 관계없이, 촬상소자에 결상하는 복수의 대상물의 크기(화상데이터 상에 있어서의 복수의 대상물의 크기)가 대략 동일해진다. 즉, 복수의 대상물간에 있어서, 또는, 1개의 대상물에 따른 복수의 측면화상데이터간에 있어서, 분해능을 일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검사의 균일성을 높여, 검사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한편, 본 수단에 따른 구성에 따르면, 대상물의 종별이나 촬상수단의 설정각도 등, 구성에 따라서는, 대상물의 측면에 더하여, 대상물의 표면도 촬상가능해지기 때문에, 측면과 함께 표면의 검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대상물의 표면을 별도 검사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검사 전체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여, 검사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수단 2. 소정방향으로 반송되는 반송체(예를 들어 용기필름)의 표리 양면 중 일방인 제1 면측(예를 들어 표면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대상물(예를 들어 정제)이 통과하는 소정의 검사에어리어에 대하여 소정의 광을 조사가능한 조사수단과,
상기 반송체의 표리 양면에 대하여 경사진 소정방향을 따라, 상기 검사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상물의 측면의 일부를 촬상가능한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데이터를 기초로, 적어도 상기 복수의 대상물의 측면에 따른 외관검사를 실행가능한 화상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반송체의 표리 양면 중 상기 제1 면측에 있어서, 이 제1 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본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검사에어리어의 주위에 상기 촬상수단을 복수 배치함과 함께,
상기 촬상수단은,
적어도 촬상소자와, 이 촬상소자에 대하여 상기 검사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상물의 상을 결상시키는 물체측 텔레센트릭 광학계 또는 양측 텔레센트릭 광학계에 의해 구성된 촬상광학계(예를 들어 렌즈유닛)를 가지고,
상기 검사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상물 모두가 합초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촬상소자 및 상기 촬상광학계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검사장치.
상기 수단 2에 따르면, 상기 수단 1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나타난다.
수단 3. 상기 복수의 대상물은, 각각 상기 반송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측에 개구하도록 마련된 수용오목부(예를 들어 포켓부)에 수용된 상태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또는 2에 기재된 외관검사장치.
상기 수단 3에 따르면, 대상물이 수용오목부에 수용되지 않는 상태로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 비해, 대상물의 위치어긋남 등이 발생하기 어렵고, 검사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단 1, 2에 따른 구성 하에, 적어도 촬상광학계의 물체측이 텔레센트릭 구조를 갖고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포켓부 내에 있어서의 대상물의 위치변화정도에 관해서는, 이 위치변화에 기인한 배율 등으로의 영향도 억제할 수 있다.
수단 4. 상기 수용오목부의 바닥부는, 그 중앙부가 가장 깊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3에 기재된 외관검사장치.
대상물이 반송체의 수용오목부에 수용된 상태로 수용오목부의 개구측(제1 면측)으로부터 촬상하고 검사를 행하고자 한 경우에는, 수용오목부 내에 있어서의 대상물의 위치나 자세에 따라, 대상물의 측면 전체둘레를 균일하게 촬상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가령 반송체가 투명소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다고 해도, 수용오목부의 개구측으로부터 촬상하고 검사를 행하고자 한 경우에는, 수용오목부의 측벽부나 투명반송체의 일반부(수용오목부의 비형성부위) 등, 투명반송체의 일부를 개재하여 대상물의 측면이 촬상되는 경우와, 투명반송체를 개재하는 일 없이 직접, 대상물의 측면이 촬상되는 경우가 있다. 결과적으로, 검사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없어, 검사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 점, 상기 수단 4에 따르면, 수용오목부에 수용되는 대상물이 바닥부 주연부보다도 바닥부 중앙부근처에 재치되기 쉬워진다. 즉, 대상물이 수용오목부의 측벽부와 접촉하기 어려워지고, 대상물의 측면과, 수용오목부의 측벽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대상물의 측면 전체둘레를 치우침 없이, 보다 확실히 촬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검사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반송체의 표리 양면에 직교하는 방향, 및, 촬상광학계의 광축을 포함한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이 광축과 평행하고 또한 수용오목부의 개구부주연과 접하는 접선보다, 수용오목부의 바닥부 중앙부가 수용오목부 개구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수용오목부의 바닥부 중앙부에 대상물이 재치된 경우에 있어서, 대상물의 측면이 상기 접선보다 수용오목부 개구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단 5. 적어도 상기 반송체의 상기 제1 면측에 있어서, 상기 검사에어리어의 주위에 상기 촬상수단을 3개 이상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관검사장치.
가령 검사에어리어의 주위에 촬상수단을 2개밖에 배치하지 않은 경우, 대상물의 측면 전체둘레를 등간격으로 균등하게 촬상하기 위해서는, 촬상수단을 180° 간격으로 배치해야 한다. 이 때문에, 대상물의 측면 전체둘레 중, 촬상수단(촬상광학계)의 광축과 평행하는 부위에 관해서는 적절히 촬상하지 못하여, 적절한 화상데이터를 취득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수단 5와 같이, 검사에어리어의 주위에 촬상수단을 3개 이상 배치하면, 촬상수단을 120°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대상물의 측면 전체둘레에 따른 적절한 화상데이터를 보다 확실히 취득하기 쉬워진다. 결과적으로, 검사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반대로 촬상수단의 수가 너무 많으면, 화상데이터의 중복부분이 많아져, 화상처리에 따른 부담이 증대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상의 대상물의 측면 전체둘레의 화상데이터를 취득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범용성을 갖게 함에 있어서, 촬상수단의 수는, 예를 들어 45°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8개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단 6. 상기 반송체가 불투명 재료에 의해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관검사장치.
상기 수단 6에 따르면, 상기 수단 1 등에 따른 구성이 보다 주효하게 된다.
한편, 「반송체」가 「용기필름」인 경우에는, 「용기필름이 알루미늄을 주재료로서 형성된 것인 것」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알루미늄을 주재료로서 형성되었다」는 것은, 알루미늄 단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물론, 수지필름층이 개재된 알루미늄라미네이트필름도 포함한 취지이다.
용기필름이 알루미늄을 주재료로서 형성된 것인 경우에는, 용기필름 성형시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포켓부의 면적(개구면적)이 비교적 크게 설정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 수단 1 등에 따른 구성이 보다 주효하게 된다.
수단 7. 수단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관검사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기.
상기 수단 7과 같이, 상기 외관검사장치를 블리스터 포장기(예를 들어 PTP 포장기)에 구비함으로써, 블리스터 포장체(예를 들어 PTP 시트)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불량품을 효율적으로 제외할 수 있는 등의 메리트가 생긴다. 또한, 블리스터 포장기는, 상기 외관검사장치에 의해 불량으로 판정된 블리스터 포장체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인 블리스터 포장기의 구성으로서, 이하와 같은 구성을 들 수 있다.
「용기필름(반송체)에 형성된 포켓부(수용오목부)에 대상물이 수용되고, 이 포켓부를 막도록 커버필름이 취착되어 이루어지는 블리스터 포장체(PTP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블리스터 포장기(PTP 포장기)로서,
띠형상으로 반송되는 상기 용기필름에 대하여 상기 포켓부를 형성하는 포켓부형성수단과,
상기 포켓부에 상기 대상물을 충전하는 충전수단과,
상기 포켓부에 상기 대상물이 충전된 상기 용기필름에 대하여,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하여 띠형상의 상기 커버필름을 취착하는 취착수단과,
상기 용기필름에 상기 커버필름이 취착된 띠형상체(띠형상의 PTP 필름)로부터 상기 PTP 시트를 분리하는 분리수단(시트단위로 타발하는 타발수단을 포함한다)과,
수단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관검사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기(PTP 포장기).」
한편,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외관검사장치를 「충전수단에 의해 포켓부에 대상물이 충전된 후공정 또한 취착수단에 의해 커버필름이 취착되기 전공정」에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용기필름의 표면측(포켓 개구측) 으로부터 대상물을 가리는 것이 없는 상태로 검사를 실행할 수 있어, 검사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a)는 PTP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PTP 필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PTP 시트의 포켓부의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3은 PTP 포장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외관검사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외관검사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모식도이다.
도 6은 외관검사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모식도이다.
도 7은 카메라의 개략구성 및 샤임플러그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검사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정제, 포켓부 및 카메라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화상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의 카메라의 개략구성 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화상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블리스터 포장체로서의 PTP 시트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TP 시트(1)는, 복수의 포켓부(2)를 구비한 용기필름(3)과, 포켓부(2)를 막도록 용기필름(3)에 취착된 커버필름(4)을 가지고 있다. 포켓부(2)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용오목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기필름(3)은, 불투명 재료(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에 수지피막 등이 라미네이트되고 복층구조를 가지는 것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커버필름(4)은, 불투명 재료(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실란트가 도포된 알루미늄박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PTP 시트(1)는,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PTP 시트(1)에는, 그 장변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5개의 포켓부(2)로 이루어지는 포켓열이, 그 단변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2열 형성되어 있다. 즉, PTP 시트(1)는, 합계 10개의 포켓부(2)를 가지고 있다.
각 포켓부(2)는,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포켓부(2)의 바닥벽부(천벽부)(2a)는, 외측(도 2 상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팽출하고, 완만하게 만곡한 단면 대략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포켓부(2)의 바닥벽부(2a)는, 그 중앙부가 가장 깊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포켓부(2)에는, 대상물로서의 정제(5)가 1개씩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정제(5)는, 중심부와 주연부에서 두께가 상이한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상의 소정(素錠)(이른바 렌즈정)이다. 따라서, 정제(5)의 외면은, 중심부로부터 주연부에 걸쳐 만곡한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상의 표면(5A) 및 이면(5B)과, 표리 양면(5A, 5B)의 주연부를 따라 형성된 측면(5C)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필름(3) 및 정제(5)에 관하여, 정제(5)의 충전시 및 검사시(도 3 참조)에 있어서 상방을 향하는 면을 「표면」이라고 하고, 하방을 향하는 면을 「이면」이라고 한다. 즉, 용기필름(3)의 표면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면에 상당하고, 이면이 제2 면에 상당한다.
커버필름(4)의 취착 후에 있어서는, 정제(5)는, 그 표면(5A)이 커버필름(4)측을 향하고, 이면(5B)이 포켓부(2)의 바닥벽부(천벽부)(2a)측을 향하고, 측면(5C)이 포켓부(2)의 측벽부(2b)측을 향하도록 수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정제(5)의 크기에 대하여, 포켓부(2)의 크기가 비교적 크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정제(5)의 직경(R1)에 대하여(예를 들어 R1=5 mm 정도), 포켓부(2)의 개구부의 직경(R2)이 3배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예를 들어 R2=15mm 정도).
PTP 시트(1)〔도 1(a) 참조〕는, 띠형상의 용기필름(3) 및 띠형상의 커버필름(4)으로 형성된 띠형상의 PTP 필름(6)〔도 1(b) 참조〕이 시트상으로 타발됨으로써 제조된다.
다음에, PTP 시트(1)를 제조하는 블리스터 포장기로서의 PTP 포장기(10)의 개략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PTP 포장기(10)의 최상류측에서는, 띠형상의 용기필름(3)의 원반이 롤형상으로 권회되어 있다. 용기필름(3)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반송체를 구성한다.
롤형상으로 권회된 용기필름(3)의 인출단측은, 가이드롤(13)에 안내되어 있다. 용기필름(3)은, 가이드롤(13)의 하류측에 있어서 간헐이송롤(14)에 걸쳐져 있다. 간헐이송롤(14)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고, 용기필름(3)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가이드롤(13)과 간헐이송롤(14)의 사이에는, 용기필름(3)의 반송로를 따라, 포켓부형성장치(16)가 배설되어 있다. 이 포켓부형성장치(16)에 의해 용기필름(3)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포켓부(2)가 성형된다(포켓부형성공정). 포켓부형성장치(16)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켓부형성수단이 구성된다. 포켓부(2)의 형성은, 간헐이송롤(14)에 의한 용기필름(3)의 반송동작간의 인터벌 중에 행해진다.
단,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TP 포장기(10)는, 용기필름(3)을, 알루미늄제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PP(폴리프로필렌)나 PVC(폴리염화비닐) 등의 비교적 경질이고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재료에 의해서도 제조가능하게 구성된 포장기(겸용기)이다. 이 때문에, 포켓부형성장치(16)의 상류측에 있어서 가열장치(15)를 구비하고 있다. 물론, 알루미늄제의 용기필름(3)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가열장치(15)는 사용되지 않는다.
간헐이송롤(14)로부터 송출된 용기필름(3)은, 텐션롤(18), 가이드롤(19) 및 필름받이롤(20)의 순으로 걸쳐져 있다. 필름받이롤(20)은, 일정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필름(3)을 연속적으로 또한 일정속도로 반송한다.
텐션롤(18)은, 용기필름(3)을 탄성력에 의해 긴장하는 측으로 인장한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간헐이송롤(14)과 필름받이롤(20)의 반송동작의 상이에 따른 용기필름(3)의 휨을 방지하여 용기필름(3)을 상시 긴장상태로 유지한다.
가이드롤(19)과 필름받이롤(20)의 사이에는, 용기필름(3)의 반송로를 따라, 정제충전장치(21)가 배설되어 있다. 정제충전장치(21)는, 포켓부(2)에 정제(5)를 자동적으로 충전하는 충전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정제충전장치(21)는, 필름받이롤(20)에 의한 용기필름(3)의 반송동작과 동기하여, 소정간격마다 셔터를 여는 것에 의해 정제(5)를 낙하시키는 것이며, 이 셔터개방동작에 수반하여 각 포켓부(2)에 정제(5)가 충전된다(충전공정).
정제충전장치(21)와 필름받이롤(20)의 사이에는, 용기필름(3)의 반송로를 따라 외관검사장치(정제검사장치)(22)가 배설되어 있다. 외관검사장치(22)는, 정제(5)에 따른 외관이상, 예를 들어 이물이나 오염의 부착, 결함이나 금의 유무 등을 검사 한다. 외관검사장치(22)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띠형상으로 형성된 커버필름(4)의 원반은, 용기필름(3)과는 별도로, 최상류측 에 있어서 롤형상으로 권회되어 있다.
롤형상으로 권회된 커버필름(4)의 인출단은, 가이드롤(24)에 안내되고, 가열롤(25)쪽으로 안내되고 있다. 가열롤(25)은, 상기 필름받이롤(20)에 압접 가능하게 되어 있고, 양 롤(20, 25)간에 용기필름(3) 및 커버필름(4)가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필름(3) 및 커버필름(4)이, 양 롤(20, 25)간을 가열압접상태로 통과함으로써, 용기필름(3)에 커버필름(4)이 첩착되고, 포켓부(2)가 커버필름(4)으로 막아진다(취착공정). 이에 의해, 정제(5)가 각 포켓부(2)에 충전된 띠형상체로서의 PTP 필름(6)이 제조된다. 가열롤(25)의 표면에는, 씰용의 망목형상의 미세한 철조(凸條)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이 강하게 압접함으로써, 강고한 씰이 실현되게 되어 있다. 필름받이롤(20) 및 가열롤(25)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취착수단이 구성된다.
필름받이롤(20)로부터 송출된 PTP 필름(6)은, 텐션롤(27) 및 간헐이송롤(28)의 순으로 걸쳐져 있다. 간헐이송롤(28)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PTP 필름(6)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롤(27)은, PTP 필름(6)을 탄성력에 의해 긴장하는 측으로 인장한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필름받이롤(20)과 간헐이송롤(28)의 반송동작의 상이에 따른 PTP 필름(6)의 휨을 방지하여 PTP 필름(6)을 상시 긴장상태로 유지한다.
간헐이송롤(28)로부터 송출된 PTP 필름(6)은, 텐션롤(31) 및 간헐이송롤(32)의 순으로 걸쳐져 있다. 간헐이송롤(32)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PTP 필름(6)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롤(31)은, PTP 필름(6)을 탄성력에 의해 긴장하는 측으로 인장한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간헐이송롤(28, 32)간에서의 PTP 필름(6)의 휨을 방지한다.
간헐이송롤(28)과 텐션롤(31)의 사이에는, PTP 필름(6)의 반송로를 따라, 슬릿형성장치(33) 및 각인장치(34)가 차례로 배설되어 있다. 슬릿형성장치(33)는, PTP 필름(6)의 소정 위치에 분리용 슬릿(도시생략)을 형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각인장치(34)는 PTP 필름(6)의 소정 위치에 각인(도시생략)을 부여하는 기능을 가진다.
간헐이송롤(32)로부터 송출된 PTP 필름(6)은, 그 하류측에 있어서 텐션롤(35) 및 연속이송롤(36)의 순으로 걸쳐져 있다. 간헐이송롤(32)과 텐션롤(35)의 사이에는, PTP 필름(6)의 반송로를 따라, 시트타발장치(37)가 배설되어 있다. 시트타발장치(37)는, PTP 필름(6)을 PTP 시트(1) 단위로 그 외연을 타발하는 시트타발수단(분리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시트타발장치(37)에 의해 타발된 PTP 시트(1)는, 취출컨베이어(39)에 의해 반송되고, 완성품용 호퍼(40)에 일단 저장된다(분리공정). 한편, 상기 외관검사장치(22)에 의해 불량품으로 판정된 경우, 그 불량품으로 판정된 PTP 시트(1)는, 도시하지 않은 배출수단으로서의 불량시트 배출기구에 의해 별도 배출된다.
상기 연속이송롤(36)의 하류측에는, 재단장치(41)가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타발장치(37)에 의한 타발 후에 띠형상으로 남은 잔재부(스크랩부)를 구성하는 불필요 필름부(42)는, 상기 텐션롤(35) 및 연속이송롤(36)에 안내된 후, 재단장치(41)에 유도된다. 한편, 상기 연속이송롤(36)은 종동롤이 압접되어 있고, 상기 불필요 필름부(42)를 협지하면서 반송동작을 행한다. 재단장치(41)에서는, 불필요 필름부(42)를 소정치수로 재단하고 스크랩 처리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스크랩은 스크랩용 호퍼(43)에 저장된 후, 별도 폐기처리된다.
한편, 상기 각 롤(14, 20, 28, 31, 32) 등은, 그 롤표면과 포켓부(2)가 대향하는 위치관계로 되어 있는데, 간헐이송롤(14) 등의 표면에는, 포켓부(2)가 수용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켓부(2)가 찌부러지는 일이 없다. 또한, 포켓부(2)가 간헐이송롤(14) 등의 각 오목부에 수용되면서 이송동작이 행해짐으로써, 간헐이송동작이나 연속이송동작이 확실히 행해진다.
PTP 포장기(10)의 개략은 이상과 같은데, 이하에 상기 외관검사장치(22)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외관검사장치(22)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외관검사장치(22)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모식도이다. 도 6은, 외관검사장치(22)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모식도이다. 한편, 도 5에 있어서는, 간소화를 위해, 정제(5)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외관검사장치(22)는, 수평 반송되는 용기필름(3)의 상방으로부터 정제(5)(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로 표면(5A)의 주연부 근방 및 측면(5C))의 외관검사를 행하기 위한 검사기구(51)와, 이 검사기구(51)의 구동제어 등 외관검사장치(22) 내에 있어서의 각종 제어나 화상처리, 연산처리 등을 실시하기 위한 제어장치(5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장치(53)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수단을 구성한다.
검사기구(51)는, 용기필름(3)의 반송로의 상방위치, 즉 용기필름(3)의 표면측(포켓부(2) 개구측)에 배치되어 있다. 검사기구(51)는, 조사수단으로서의 조명장치(60)와, 촬상수단으로서의 6대의 카메라(제1 카메라(61)~제6 카메라(66))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명장치(60)로서, 적외광을 조사가능한 대략 원환상의 링조명을 이용하고 있다. 조명장치(60)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검사에어리어(H) 내(도 5 참조)에 위치하는 용기필름(3) 상의 10개의 정제(5)에 대하여 기울기 상방으로부터 적외광을 조사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정제(5)의 표면(5A) 및 측면(5C) 전체둘레에 대하여 적외광이 조사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검사에어리어(H)는, 제품이 되는 1개의 PTP 시트(1)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고, 이 PTP 시트(1)와 대략 동일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적외광을 조사함으로써,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와는 달리 정제(5)에 날인부등이 있는 경우여도, 이 날인부를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날인부가 붙여진 영역에 이물 등이 있는 경우에도, 이러한 이물 등을 검출 가능해져, 검사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적외광에 따르면, 정제(5)의 색에 관계없이, 이물 등보다도 정제(5) 자체의 휘도가 높은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6대의 카메라(61~66)는, 용기필름(3)의 표리 양면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으로 본 평면에서 봤을 때 검사에어리어(H)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검사에어리어(H)(검사에어리어(H) 내의 소정점)를 중심으로, 이 검사에어리어(H)의 둘레방향(도 5 상에 있어서의 반시계회전방향)에 대하여, 필름반송방향 최상류측에 위치하는 제1 카메라(61)로부터 약 70°의 간격을 두고 제2 카메라(62)가 배치되고, 이 제2 카메라(62)로부터 약 40°의 간격을 두고 제3 카메라(63)가 배치되고, 이 제3 카메라(63)로부터 약 70°의 간격을 두고 제4 카메라(64)가 배치되고, 이 제4 카메라(64)로부터 약 70°의 간격을 두고 제5 카메라(65)가 배치되고, 이 제5 카메라(65)로부터 약 40°의 간격을 두고 제6 카메라(66)가 배치되고, 이 제6 카메라(66)로부터 약 70°의 간격을 두고 제1 카메라(61)가 배치 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평면에서 봤을 때 제1 카메라(61)와 제4 카메라(64)가 대략 상대향하고, 제2 카메라(62)와 제5 카메라(65)가 대략 상대향하고, 제3 카메라(63)와 제6 카메라(66)가 대략 상대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카메라(61)는, 검사에어리어(H)보다도 필름반송방향 상류측에 있어서의 용기필름(3)의 상방위치에 배치되고, 제4 카메라(64)는, 검사에어리어(H)보다도 필름반송방향 하류측에 있어서의 용기필름(3)의 상방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2 카메라(62), 제3 카메라(63), 제5 카메라(65), 제6 카메라(66)는, 각각 평면에서 봤을 때 용기필름(3)의 반송로 상으로부터 측방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6대의 카메라(61~66)의 촬상시야가 겹치는 위치에 상기 검사에어리어(H)가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검사기구(51)의 카메라(61~66)의 구성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카메라(61~66)는 동일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카메라(61) 등」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카메라(61) 등은, 그 본체부를 구성하는 케이스(90)와, 이 케이스(90) 내에 마련되고, 복수의 수광소자가 2차원 배열된 수광면을 가지는 촬상소자(91)와, 이 촬상소자(91)에 대하여 검사에어리어(H) 내에 위치하는 정제(5)의 상을 결상시키는 촬상광학계로서의 렌즈유닛(92)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소자(91)로서, 적외광에 대하여 충분한 감도를 가진 CCD 에어리어센서를 채용하고 있다.
렌즈유닛(92)은, 물체측 렌즈(93), 개구조리개(94), 상측(像側) 렌즈(95) 등을 일체로 구비한 양측 텔레센트릭렌즈(양측 텔레센트릭 광학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물체측 렌즈(93)는, 검사에어리어(H) 내에 위치하는 정제(5)로부터의 반사광을 집광하는 것이며, 물체측에서 광축(J1)과 주광선이 평행해지는 텔레센트릭 구조를 가진다.
상측 렌즈(95)는, 물체측 렌즈(93)로부터 개구조리개(94)를 투과한 광을 촬상소자(91)의 수광면에 결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측에서 광축(J1)과 주광선이 평행해지는 텔레센트릭 구조를 가진다.
개구조리개(94)는, 물체측 렌즈(93)의 후측 초점의 위치이자 상측 렌즈(95)의 전측 초점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61) 등은, 케이스(90)의 주축(J2)(촬상소자(91)의 수광면과 직교하는 축선)에 대한 렌즈유닛(92)의 광축(J1)의 각도를 조절 가능한 각도조절기구(틸트기구)를 가지고 있다. 한편, 각도조절기구는 공지 기술이기 때문에, 도면을 이용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 하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카메라(61) 등은, 검사에어리어(H) 내에 위치하는 용기필름(3) 상의 10개의 정제(5) 전부가 합초범위(피사계심도) 내에 들어가도록, 케이스(90)(촬상소자(91)) 및 렌즈유닛(92)의 기울기가 조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검사에어리어(H) 내에 위치하는 용기필름(3) 상의 10개의 정제(5)에 대하여, 촬상소자(91)의 수광면 및 렌즈유닛(92)의 주면이 샤임플러그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샤임플러그의 원리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샤임플러그의 원리란, 촬상소자(91)의 수광면을 포함한 평면(S1)과, 렌즈유닛(92)의 주면을 포함한 평면(S2)이 동일 직선(C)(도 7 상의 점(C)에 있어서의 지면에 수직인 직선) 상에서 교차하는 경우, 합초상태가 되는 물체면(카메라(61) 등이 초점을 잇는 물체면)(S3)도 동일 직선(C) 상에서 교차한다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샤임플러그의 원리에 기초한 조건은, 촬상소자(91)의 수광면을 포함한 평면(S1)과, 렌즈유닛(92)의 주면을 포함한 평면(S2)과, 검사에어리어(H) 내에 위치하는 10개의 정제(5)를 포함한 평면(피촬상면)(S3)이 동일 직선(C) 상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검사에어리어(H) 내의 넓은 범위에 핀트를 맞출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렌즈유닛(92)의 광축(J1)이 용기필름(3)에 대하여 약 30°기울어지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도 9 참조). 물론, 설정각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검사에어리어(H)와의 관계에서 적절한 각도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필름(3)의 표리 양면에 직교하는 방향(도 9 상하 방향), 및, 렌즈유닛(92)의 광축(J1)을 포함한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이 광축(J1)과 평행하고 또한 포켓부(2)의 개구부 주연과 접하는 접선(Js)(광축(J1)을 포함함)보다, 포켓부(2)의 바닥벽부(2a) 중앙부가 포켓부(2) 개구측(도 9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포켓부(2)의 바닥벽부(2a) 중앙부에 정제(5)가 재치된 경우에 있어서, 정제(5)의 측면(5C)이 상기 접선(Js)보다 포켓부(2) 개구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61) 등에 의해 취득된 화상데이터는, 이 카메라(61) 등의 내부에 있어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다음, 디지털신호의 형태로 제어장치(53)에 입력되고, 후술하는 화상데이터 기억장치(84)에 기억된다. 그리고, 제어장치(53)는, 이 화상데이터를 기초로, 후술하는 바와 같은 화상처리나 연산처리 등을 실시한다.
다음에, 제어장치(53)의 전기적 구성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장치(53)는, 외관검사장치(22) 전체의 제어를 맡는 CPU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81)(이하, 「CPU 등(81)」이라고 한다),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수단」으로서의 입력장치(82), CRT나 액정 등의 표시화면을 가지는 「표시수단」으로서의 표시장치(83), 각종 화상데이터 등을 기억하기 위한 화상데이터 기억장치(84), 각종 연산결과 등을 기억하기 위한 연산결과 기억장치(85), 각종 정보를 미리 기억해 두기 위한 설정데이터 기억장치(86) 등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이들 각 장치(82~86)는, CPU 등(81)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CPU 등(81)은, 제어장치(53)의 전체의 제어를 맡아, PTP 포장기(10)와 각종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PTP 포장기(10)의 불량시트 배출기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화상데이터 기억장치(84)는, 카메라(61) 등에 의해 취득된 휘도화상데이터나, 이것을 이치화 처리한 후의 이치화 화상데이터 등을 기억하기 위한 것이다.
연산결과 기억장치(85)는, 각종 화상데이터에 관한 좌표 등의 데이터나, 정제(5)의 검사결과데이터, 이 검사결과데이터를 확률 통계적으로 처리한 통계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것이다. 이들 검사결과데이터나 통계데이터는, 적절히, 표시장치(83)에 표시시킬 수 있다.
설정데이터 기억장치(86)는, 예를 들어 이치화 처리에 따른 임계값이나, 양부판정에 따른 판정값, PTP 시트(1), 포켓부(2) 및 정제(5)의 형상 및 치수 등을 기억하는 것이다. 이들 설정은 입력장치(82)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외관검사장치(22)에 의한 정제(5)의 검사순서에 대하여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검사루틴은, 용기필름(3)이 소정량 반송될 때마다 제어장치(53)에 의해 반복 실행되는 처리이다.
단, 도 8에 나타내는 검사루틴은, 개개의 카메라(61) 등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데이터마다 실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의 PTP 시트(1)에 대응하는 범위에 대해, 검사기구(51)의 6대의 카메라(61~66)에 의한 촬상이 각각 동시에 행해지고, 합계 6의 화상데이터가 동시에 취득되기 때문에, 이들에 대응하는 검사루틴이 각각 병행하여 행해지게 된다. 이하, 도 8에 나타내는 검사루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에 있어서, 제어장치(53)는, 소정의 타이밍에 촬상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PTP 포장기(10)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엔코더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용기필름(3)이 소정량 반송되고, 소정의 PTP 시트(1)에 대응하는 범위가 검사에어리어(H)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면, 검사기구(51)를 제어하여, 검사에어리어(H) 내에 위치하는 10개의 정제(5)를 촬상한다.
이에 따라, 검사기구(51)의 6대의 카메라(61~66)에 의해, 각각 10개의 정제(5)의 표면(5A) 및 측면(5C)의 일부를 포함한 휘도화상데이터가 취득된다(도 10 참조). 이러한 휘도화상데이터는, 각각 화상데이터 기억장치(84)에 기억된다.
이들 휘도화상데이터가 취득되면, 제어장치(53)는, 스텝 S2에 있어서 이치화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데이터 기억장치(84)에 기억된 각 휘도화상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임계값에 기초해 이치화 처리를 행하고, 이치화 화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들 이치화 화상데이터는, 재차, 각각 화상데이터 기억장치(84)에 기억된다.
여기서는, 상기 임계값 이상의 명도를 가지는 부분이 「1(명)」, 상기 임계값 미만의 부분이 「0(암)」으로서, 각 휘도화상데이터를 이치화 화상데이터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각 이치화 화상데이터에 있어서는, 이물이나 결함 등이 존재하는 부위가 「0(암)」이 되고, 정제(5) 등이 존재하는 범위가 「1(명)」이 된다.
계속되는 스텝 S3에 있어서, 제어장치(53)는, 화상데이터 기억장치(84)에 기억된 각 이치화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각각 덩어리처리를 실행한다. 이 덩어리처리에서는, 각 이치화 화상데이터의 「0(암)」 및 「1(명)」에 대하여 각 연결성분을 특정함과 함께, 각각의 연결성분에 대하여 라벨붙임을 행한다.
그리고, 제어장치(53)는, 스텝 S4에 있어서, 각 이치화 화상데이터로부터 구한 「1(명)」의 연결성분 중에서, 정제(5)에 상당하는 연결성분을 정제영역으로서 특정한다. 정제(5)에 상당하는 연결성분은, 소정의 좌표를 포함한 연결성분, 소정의 형상인 연결성분, 혹은 소정의 면적인 곳의 연결성분 등을 판단함으로써 특정할 수 있다.
계속되는 스텝 S5에서는, 제어장치(53)는, 스텝 S4에 있어서 특정한 정제영역을 기초로, 정제영역 내의 이물의 면적(Sx)을 산출한다. 즉 각 이치화 화상데이터로부터 구한 「0(암)」의 연결성분 중, 스텝 S4에서 특정한 정제영역의 좌표에 포함되거나, 혹은 나란한 것을 추출하고, 그 면적 즉 이물의 면적(Sx)을 구한다.
스텝 S6에서는, 스텝 S5에 있어서 산출한 각 이물의 면적(Sx)이, 미리 정해진 판정기준값(Px)보다도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각 이치화 화상데이터에 있어서, 모든 이물의 면적(Sx)이 판정기준값(Px)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스텝 S7에 있어서 양품판정을 행함과 함께, 이 결과를 연산결과 기억장치(85)에 기억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이물의 면적(Sx)이 판정기준값(Px)보다도 큰 것이 하나라도 있는 경우에는, 스텝 S8에 있어서 불량판정을 행함과 함께, 이 결과를 연산결과 기억장치(85)에 기억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제어장치(53)는, 연산결과 기억장치(85)에 기억된 각 화상데이터에 따른 검사결과를 기초로, 소정의 PTP 시트(1)에 대응하는 모든 화상데이터(카메라(61~66)에 의해 취득된 모든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불량판정된 검사결과가 1개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PTP 시트(1)를 양품으로 판정한다.
한편, 모든 화상데이터에 따른 검사결과 중, 불량판정된 검사결과가 1개라도 있는 경우에는, 이 PTP 시트(1)를 불량으로 판정하고, 이 검사결과를 표시장치(83)나 PTP 포장기(10)(불량시트 배출기구를 포함함)에 대하여 출력한다.
이상 상세히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소정의 PTP 시트(1)에 포함되는 10개의 정제(5)의 측면(5C) 전체둘레에 따른 외관검사, 그리고, 정제(5)의 표면(5A)에 따른 외관검사를 한 번에 실행할 수 있고, 검사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사에어리어(H) 내에 위치하는 용기필름(3) 상의 10개의 정제(5)에 대하여, 촬상소자(91)의 수광면 및 렌즈유닛(92)의 주면이 샤임플러그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검사에어리어(H) 내에 위치하는 10개의 정제(5) 모두에 핀트가 맞는 화상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검사의 균일성을 높여 검사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광학계로서의 렌즈유닛(92)이 양측 텔레센트릭렌즈(양측 텔레센트릭 광학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촬상소자(91)와 10개의 정제(5)의 거리에 관계없이, 촬상소자(91)에 결상하는 10개의 정제(5)의 크기(화상데이터 상에 있어서의 10개의 정제(5)의 크기)가 대략 동일해진다. 즉, 10개의 정제(5) 간에 있어서, 또는, 1개의 정제(5)에 따른 복수의 화상데이터간에 있어서, 분해능을 일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검사의 균일성을 높이고, 검사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사에어리어(H) 내에 위치하는 10개의 정제(5)를 검사기구(51)의 6대의 카메라(제1 카메라(61)~제6 카메라(66))에 의해 촬상하고 검사를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정제(5)의 측면(5C) 전체둘레에 따른 적절한 화상데이터를 보다 확실히 취득하기 쉬워진다. 결과적으로, 검사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의 기재내용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실시해도 된다. 물론, 이하에 있어서 예시하지 않은 다른 응용예, 변경예도 당연히 가능하다.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대상물이 되는 정제(5)의 태양예로서, 중심부와 주연부에서 두께가 상이한 소정, 이른바 렌즈정을 예시하고 있지만, 정제의 종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주연부에 면취부를 갖는 원반형상의 평정, 평면에서 봤을 때 비원형의 삼각정이나 사각정, 캡슐정, 소프트캡슐 등이어도 된다.
또한, 대상물은, 정제(약품)로 한정되지 않고, 서플리먼트, 식품, 전자부품, 전자기기, 의료기기 등이어도 된다.
(b) 용기필름(3) 및 커버필름(4)의 재질은, 상기 실시형태에 예시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재질의 것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필름(3)에 따른 불투명 재료로서,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에 수지피막 등이 라미네이트되고 복층구조를 가지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기필름(3)이, 예를 들어 PP(폴리프로필렌)나 PVC(폴리염화비닐) 등의 비교적 경질이고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불투명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로부터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물론, 용기필름(3)이, 광투과성을 가지는 투명소재(투명의 열가소성 수지재료 등)에 의해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한편, 반송체로서의 용기필름(3)이 투명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포켓부(2)너머 용기필름(3)의 이면측(제2 면측)으로부터 정제(5)를 촬상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러나, 용기필름(3)이 투명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용기필름(3)의 표면측(제1 면측)으로부터, 용기필름(3)을 개재하지 않고, 가리는 것이 없는 상태로 직접, 정제(5)를 촬상하고 검사하는 구성으로 하는 편이 검사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함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c) PTP 시트(1)의 구성(포켓부(2)의 형상이나 배열, 개수 등)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3열 12개의 포켓부를 가지는 타입을 비롯해, 다양한 배열, 개수로 이루어지는 PTP 시트를 채용해도 된다. 물론, PTP 시트로 한정되지 않고, 블리스터팩 등, 다른 블리스터 포장체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포켓부(2)의 바닥벽부(2a)가 외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대략 원호상으로 팽출해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포켓부(2)의 바닥벽부(2a)가 평탄해진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정제(5)의 직경(R1)에 대하여, 포켓부(2)의 개구부의 직경(R2)이 3배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정제(5)의 직경(R1)에 대하여, 포켓부(2)의 개구부의 직경(R2)이 2배 이상 3배 미만이 되도록 설정해도 된다.
(d) 외관검사장치(22)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검사기구(51)가 6대의 카메라(61~66)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카메라의 대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외관검사를 적절히 행하기 위해서는, 검사기구(51)가 카메라를 3대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8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메라의 배치에 관해서도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6대의 카메라(61~66)가 60° 간격의 등간격으로 배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e) 조사수단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명장치(60)로서, 적외광을 조사가능한 링조명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가시광을 조사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f) 촬상수단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촬상소자(91)로서 CCD 에어리어센서를 채용하고 있지만, 촬상소자(91)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CMOS 에어리어센서 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촬상광학계로서, 양측 텔레센트릭렌즈(양측 텔레센트릭 광학계)인 렌즈유닛(92)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체측 텔레센트릭 광학계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렌즈유닛(92)의 기울기를 조절가능한 기능을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대신하거나 또는 더하여, 촬상소자(91)의 기울기를 조절가능한 기능을 가진 구성으로 해도 된다.
(g) 정제(5)의 검사순서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61~66)가 각각 취득한 각 화상데이터마다, 정제(5)의 양부판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복수의 화상데이터로부터 1개의 정제(5)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각각 추출함과 함께, 이 추출한 각 데이터를 기초로, 정제(5)의 측면(5C)의 전체둘레만큼 나란한 연결화상데이터를 작성하고, 이 연결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정제(5)의 양부판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h)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포켓부(2)에 정제(5)가 충전된 후공정 또한 용기필름(3)에 대하여 커버필름(4)이 취착되기 전공정의 연속반송 중에 있어서, 외관검사장치(22)에 의한 정제(5)의 외관검사가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속반송 중이 아니고, 용기필름(3)을 간헐반송하면서, 그 정지 중에 정제(5)의 외관검사를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i)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외관검사장치(22)가 PTP 포장기(10) 내에 마련된 구성(인라인)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대신하여, PTP 포장기(10)와는 별도로, 오프라인으로 정제(5)의 외관검사를 행하는 장치로서 외관검사장치(22)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정제(5)를 반송가능한 반송체를 외관검사장치(22)에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용오목부가 없는 평판체 상에 복수의 정제(5)를 배열한 상태로 반송가능한 기구를 구비하고, 평판체의 상방으로부터 정제(5)의 측면검사를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 PTP 시트, 2: 포켓부, 3: 용기필름, 4: 커버필름, 5: 정제, 5A: 표면, 5B: 이면, 5C: 측면, 10: PTP 포장기, 22: 외관검사장치, 51: 검사기구, 53: 제어장치, 60: 조명장치, 61~66: 카메라, 91: 촬상소자, 92: 렌즈유닛, H: 검사에어리어.

Claims (11)

  1. 소정방향으로 반송되는 반송체의 표리 양면 중 일방인 제1 면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대상물이 통과하는 소정의 검사에어리어에 대하여 소정의 광을 조사가능한 조사수단과,
    상기 반송체의 표리 양면에 대하여 경사진 소정방향을 따라, 상기 검사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상물의 측면의 일부를 촬상가능한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대상물의 측면에 따른 외관검사를 실행가능한 화상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반송체의 표리 양면 중 상기 제1 면측에 있어서, 이 제1 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본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검사에어리어의 주위에 상기 촬상수단을 복수 배치함과 함께,
    상기 촬상수단은,
    촬상소자와, 이 촬상소자에 대하여 상기 검사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상물의 상을 결상시키는 양측 텔레센트릭 광학계에 의해 구성된 촬상광학계를 가지고,
    상기 검사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상물에 대하여, 상기 촬상소자의 수광면 및 상기 촬상광학계의 주면이 샤임플러그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검사장치.
  2. 소정방향으로 반송되는 반송체의 표리 양면 중 일방인 제1 면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대상물이 통과하는 소정의 검사에어리어에 대하여 소정의 광을 조사가능한 조사수단과,
    상기 반송체의 표리 양면에 대하여 경사진 소정방향을 따라, 상기 검사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상물의 측면의 일부를 촬상가능한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대상물의 측면에 따른 외관검사를 실행가능한 화상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반송체의 표리 양면 중 상기 제1 면측에 있어서, 이 제1 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본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검사에어리어의 주위에 상기 촬상수단을 복수 배치함과 함께,
    상기 촬상수단은,
    촬상소자와, 이 촬상소자에 대하여 상기 검사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상물의 상을 결상시키는 양측 텔레센트릭 광학계에 의해 구성된 촬상광학계를 가지고,
    상기 검사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상물 모두가 합초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촬상소자 및 상기 촬상광학계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검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상물은, 각각 상기 반송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측에 개구하도록 마련된 수용오목부에 수용된 상태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검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상물은, 각각 상기 반송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측에 개구하도록 마련된 수용오목부에 수용된 상태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검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오목부의 바닥부는, 그 중앙부가 가장 깊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검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오목부의 바닥부는, 그 중앙부가 가장 깊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검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체의 상기 제1 면측에 있어서, 상기 검사에어리어의 주위에 상기 촬상수단을 3개 이상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검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체의 상기 제1 면측에 있어서, 상기 검사에어리어의 주위에 상기 촬상수단을 3개 이상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검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체가 불투명 재료에 의해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검사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체가 불투명 재료에 의해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검사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외관검사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기.
KR1020207001005A 2017-08-24 2018-04-09 외관검사장치 및 블리스터 포장기 KR102296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61208A JP6450815B1 (ja) 2017-08-24 2017-08-24 外観検査装置及びブリスター包装機
JPJP-P-2017-161208 2017-08-24
PCT/JP2018/014908 WO2019038981A1 (ja) 2017-08-24 2018-04-09 外観検査装置及びブリスター包装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975A KR20200043975A (ko) 2020-04-28
KR102296086B1 true KR102296086B1 (ko) 2021-08-30

Family

ID=64960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005A KR102296086B1 (ko) 2017-08-24 2018-04-09 외관검사장치 및 블리스터 포장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56560B2 (ko)
EP (1) EP3674697A4 (ko)
JP (1) JP6450815B1 (ko)
KR (1) KR102296086B1 (ko)
CN (1) CN111033241B (ko)
WO (1) WO2019038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1599B1 (ja) * 2017-08-24 2018-10-24 Ckd株式会社 ブリスター包装機
CN109884070B (zh) * 2019-03-08 2020-06-09 武汉大学 一种基于机器视觉的铝铝泡罩包装药片缺陷检测方法
JP6763059B1 (ja) * 2019-05-16 2020-09-30 Ckd株式会社 検査装置、包装機及び包装体の検査方法
JP6857266B1 (ja) * 2020-02-13 2021-04-14 Ckd株式会社 検査装置及び包装シート製造装置並びに検査方法
KR102575445B1 (ko) * 2021-06-24 2023-09-06 (주)에이치아이티에스 다이 포장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2172A1 (en) 2007-06-25 2008-12-31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Measuring system
JP2016003903A (ja) 2014-06-16 2016-01-12 Ckd株式会社 検査システム及びptp包装機
JP2016148829A (ja) 2015-02-05 2016-08-18 株式会社目白ゲノッセン 観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845A (ja) * 1984-07-18 1986-02-08 Miyuuchiyuaru:Kk 錠剤外周側面の検査方法
US5363968A (en) * 1991-08-23 1994-11-15 Pfizer Inc. Automatic blister inspection system
US5568715A (en) * 1994-05-31 1996-10-29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Automated inspection system with transport and ejector conveyor
JPH0921755A (ja) * 1995-07-05 1997-01-21 Suinku:Kk 検査用搬送装置および検査装置
JP3995030B2 (ja) * 1996-09-17 2007-10-24 コグネックス・テクノロジー・アンド・インベストメント・コーポレーション 半導体パッケージの検査装置
JP3982014B2 (ja) * 1997-07-10 2007-09-26 株式会社ニコン 面検査装置及び方法
US6031225A (en) * 1998-02-05 2000-02-29 Robotic Vision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scanning of an object or pattern including scan correction
CA2288476C (en) * 1998-11-05 2010-10-12 Denwood F. Ross, Iii Missing lens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6621566B1 (en) * 2000-10-02 2003-09-16 Teradyne, Inc. Optical inspection system having integrated component learning
US20070296963A1 (en) * 2004-05-20 2007-12-27 Sepha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Sealing and Integrity of Blister Packages
JP2007093258A (ja) * 2005-09-27 2007-04-12 Tateyama Machine Kk 外観検査装置
US7616328B2 (en) * 2006-11-07 2009-11-10 Rudolph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high definition triangulation system
EP1992937A1 (de) * 2007-05-14 2008-11-19 Uhlmann VisioTec GmbH Verfahren zum Verifizieren des Füllvolumes von Blisterhöfen
GB2453535A (en) * 2007-10-08 2009-04-15 Sepha Ltd Inspecting the sealing of blister packages by detecting the shadow of an anomaly
GB201002294D0 (en) * 2010-02-11 2010-03-31 Sepha Ltd Leak detection apparatus for blister packs
EP2693167A3 (en) * 2012-08-02 2014-04-09 Cornelius Hahlweg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microscopic structures
JP6122310B2 (ja) * 2013-02-27 2017-04-26 ヴィスコ・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検査装置
ITBO20130162A1 (it) * 2013-04-12 2014-10-13 Marchesini Group Spa Metodo e sistema per sincronizzare una stazione di lavorazione di una macchina blisteratrice con l'avanzamento di un nastro blister
JP5817072B2 (ja) * 2013-07-04 2015-11-18 礼之 井上 包装容器の内容物の検査方法
JP6336735B2 (ja) * 2013-11-11 2018-06-06 第一実業ビスウィル株式会社 外観検査装置
WO2015136598A1 (ja) * 2014-03-10 2015-09-17 株式会社東芝 異物検査装置、異物検査方法、異物検査プログラム
JP2016105052A (ja) * 2014-12-01 2016-06-09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基板検査装置
US10410337B2 (en) * 2014-12-24 2019-09-10 Datalogic Ip Tech S.R.L.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ransparent pills in blister packer machines using high resolution 3D stereo reconstruction based on color linear cameras
ES2844598T3 (es) * 2015-02-19 2021-07-22 Marchesini Group Spa Un sistema de detección para detectar y determinar la integridad de artículos de farmacia y de parafarmacia
SG10201501672PA (en) * 2015-03-05 2016-10-28 Emage Vision Pte Ltd Inspection of sealing quality in blister packages
JP6322335B2 (ja) * 2015-04-14 2018-05-09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外観検査装置
JP6298033B2 (ja) * 2015-11-26 2018-03-20 Ckd株式会社 外観検査装置
US10429183B2 (en) * 2016-09-21 2019-10-01 Philip M. Johnson Non-contact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using hybrid cyclic binary code structured light
JP6062102B1 (ja) * 2016-11-16 2017-01-18 Ckd株式会社 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2172A1 (en) 2007-06-25 2008-12-31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Measuring system
JP2016003903A (ja) 2014-06-16 2016-01-12 Ckd株式会社 検査システム及びptp包装機
JP2016148829A (ja) 2015-02-05 2016-08-18 株式会社目白ゲノッセン 観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33241B (zh) 2023-10-27
JP2019039762A (ja) 2019-03-14
US11156560B2 (en) 2021-10-26
EP3674697A4 (en) 2021-05-19
EP3674697A1 (en) 2020-07-01
KR20200043975A (ko) 2020-04-28
CN111033241A (zh) 2020-04-17
JP6450815B1 (ja) 2019-01-09
US20200182800A1 (en) 2020-06-11
WO2019038981A1 (ja)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086B1 (ko) 외관검사장치 및 블리스터 포장기
KR102265301B1 (ko) 외관 검사 장치 및 블리스터 포장기
JP6613353B2 (ja) 外観検査装置及びブリスター包装機
CN106802304B (zh) 外观检查装置
JP4368808B2 (ja) 外観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5993358B2 (ja) 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5529074B2 (ja) 錠剤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4477516B2 (ja) 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WO2022215296A1 (ja) 検査装置、ブリスター包装機及びブリスターパックの製造方法
KR102547746B1 (ko) 검사 장치, 포장기 및 포장체의 검사 방법
JP2006219178A (ja) 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4251325B2 (ja) 外観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KR102547758B1 (ko) 검사 장치 및 포장체 제조 장치
KR20210058864A (ko) 외관 검사 장치 및 ptp 포장기
JP4115978B2 (ja) 外観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5679650B2 (ja) 錠剤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