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746B1 - 검사 장치, 포장기 및 포장체의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검사 장치, 포장기 및 포장체의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746B1
KR102547746B1 KR1020217029893A KR20217029893A KR102547746B1 KR 102547746 B1 KR102547746 B1 KR 102547746B1 KR 1020217029893 A KR1020217029893 A KR 1020217029893A KR 20217029893 A KR20217029893 A KR 20217029893A KR 102547746 B1 KR102547746 B1 KR 102547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ckage
inspection
electromagnetic wav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6735A (ko
Inventor
타카마사 오타니
츠요시 오야마
노리히코 사카이다
Original Assignee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26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61J1/035Blister-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8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using far infrared light; using Terahertz radi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material being a moving sheet or fil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defects or foreign mat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03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by transmission
    • G01N2223/04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by transmission and measuring absor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 G01N2223/3307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source and detector fixed; object mo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40Imaging
    • G01N2223/401Imaging image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40Imaging
    • G01N2223/417Imaging recording with co-ordinate mark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39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material in a contain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43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object on convey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45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quality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oxi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검사 정밀도의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는 검사 장치, 포장기 및 포장체의 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X선 검사 장치(45)는, 반송되는 PTP 필름(25)에 대하여 X선을 조사하는 X선 조사 장치(51)와, 그 X선이 조사된 PTP 필름(25)을 촬상하는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에 의해 취득된 X선 투과 화상의 좌표계를, X선 조사 장치(51), PTP 필름(25) 및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PTP 필름(25)의 좌표계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X선 투과 화상을 기초로, PTP 필름(25)에 관한 검사를 실행한다.

Description

검사 장치, 포장기 및 포장체의 검사 방법
본 발명은, 정제를 수용한 포장체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치, 포장기 및 포장체의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약품이나 식료품 등의 분야에 있어서, 정제를 포장하는 시트상 포장체(포장 시트)로서, PTP(press through package) 시트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PTP 시트는, 정제를 수용하는 포켓부가 형성된 용기 필름과, 그 용기 필름에 대하여 포켓부의 개구측을 밀봉하도록 장착된 커버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고, 포켓부를 외측으로부터 가압하고, 거기에 수용된 정제에 의해 덮개가 되는 커버 필름을 뚫음으로써, 그 정제를 꺼낼 수 있다.
이러한 PTP 시트는, 띠상의 용기 필름에 대하여 포켓부를 형성해 가는 포켓부 형성 공정, 그 포켓부에 정제를 충전해 가는 충전 공정, 그 포켓부의 개구측을 밀봉하도록 용기 필름의 포켓부 둘레에 형성되는 플랜지부에 대하여 띠상의 커버 필름을 장착해 가는 장착 공정, 그 양 필름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띠상 포장체인 PTP 필름으로부터 최종 제품이 되는 PTP 시트를 분리하는 분리 공정 등을 거쳐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PTP 시트를 제조할 때에는, 정제 이상(예를 들어 포켓부 내에 있어서의 정제의 유무, 균열, 결락 등)에 관한 검사나, 플랜지부 이상(예를 들어 플랜지부에 있어서의 이물질의 유무 등)에 관한 검사, 포켓부 이상(예를 들어 포켓부에 있어서의 이물질의 유무 등)에 관한 검사 등이 행하여진다.
근년에는, 차광성이나 방습성의 향상 등을 도모한다는 관점에서, 용기 필름 및 커버 필름의 양 필름이 알루미늄 등을 기재로 한 불투명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각종 검사는 X선 검사 장치 등을 사용하여 행하여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X선 검사 장치는, 반송되는 포장체(PTP 시트 또는 PTP 필름)에 대하여 X선을 조사하는 X선 발생기(X선원)와, 그 포장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기를 구비하고, 그 X선 검출기로부터 취득되는 X선 투과 화상에 기초하여 각종 검사를 행한다.
그런데, 포장체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포장체 폭 방향의 복수 개소에 포켓부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체에 대하여 X선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X선 발생기로부터 포장체의 폭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확산되는 X선에 의해, 각 포켓부에 수용된 정제가 실제의 크기보다 확대되어, X선 검출기 상에 투영되게 된다.
또한, 포장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각 포켓부(정제)의 위치에 따라 X선의 입사각도 다르기 때문에, 각 포켓부(정제)의 위치의 차이에 의해, X선 투과 화상 상에 있어서의 정제의 면적값 등에도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검사 정밀도의 저하 억제를 도모하기 위하여, 포켓부의 열마다(포장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포켓부(2)의 위치마다) 다른 양부 판정 임계값을 설정하여, 정제의 양부 판정을 행하는 검사 장치 등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53832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과 같이, 포켓부의 열마다 다른 양부 판정 임계값을 설정하여, 정제의 양부 판정을 행하는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소정의 포켓부의 열에서는 불량품이라고 판정되는 정제가, 다른 포켓부의 열에서는 양품이라고 판정되어 버리는 등, 검사 범위 전역에 있어서의 검사의 균일성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근년에는,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띠상으로 반송되는 PTP 필름의 폭 방향 복수 개소에 시트 블랭킹 범위를 설정하여, 동시에 복수의 PTP 시트를 제조 가능하게 구성된 포장기도 수많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내는 본원에 따른 PTP 필름(25)에 있어서는, 필름 폭 방향으로 2개의 시트 블랭킹 범위(Ka)가 설정되는 동시에, 포켓부(2)의 열이 필름 폭 방향으로 10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포켓부(2)의 열수(필름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포켓부(2)의 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상기 문제가 현저해지는 동시에, 양부 판정 임계값의 설정에 필요로 하는 수고도 증가한다.
또한, 포장체의 폭 방향으로 연속해 있는 플랜지부에 관련된 검사에 관해서는, 포켓부의 열과 같이, 복수 범위로 구분하여 그 범위마다 양부 판정 임계값을 설정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 예를 들어 2개의 범위에 걸친 이물질 등에 대하여, 어느 양부 판정 임계값을 선택하는지에 따라 판정 결과가 바뀌어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과제는, PTP 포장뿐만 아니라, SP(strip package) 포장 등, 정제를 포장하는 다른 포장 분야에 있어서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X선에 한정하지 않고, 테라헤르츠 전자파 등, 포장체를 투과하는 다른 전자파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 등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검사 정밀도의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는 검사 장치, 포장기 및 포장체의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에 적합한 각 수단에 대해 항을 나누어 설명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대응하는 수단에 특유의 작용 효과를 부기한다.
수단 1.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 필름(예를 들어 용기 필름)과,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 필름(예를 들어 커버 필름)이 장착되는 동시에, 그 양 필름간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예를 들어 포켓부) 내에 정제가 수용된 포장체(예를 들어 포장 시트 또는 포장 필름)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치로서,
소정 방향을 따라 반송되고 또한 상기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복수 개소에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된 상기 포장체에 대하여, 상기 제1 필름측으로부터 소정의 전자파(X선 등)를 조사 가능한 전자파 조사 수단과,
상기 포장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필름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포장체를 투과한 전자파를 검출 가능한 복수의 검출 소자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늘어서는 전자파 검출 수단(예를 들어 라인 센서)을 갖고, 상기 포장체가 소정량 반송될 때마다 취득되는 전자파 투과 화상을 순차 출력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은,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전자파 투과 화상의 좌표계를,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 상기 포장체 및 상기 촬상 수단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포장체의 좌표계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 수단과,
상기 좌표 변환 수단에 의해 상기 포장체의 좌표계로 변환된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을 기초로, 상기 포장체에 관한 검사를 실행 가능한 검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한편, 이하의 수단에 있어서도 동일하지만, 상기 「포장체」에는, 제품이 되는 시트상 포장체(예를 들어 「PTP 시트」나 「SP 시트」 등의 포장 시트)나, 그 시트상 포장체가 분리되기 전의 띠상 포장체(예를 들어 「PTP 필름」이나 「SP 필름」 등의 포장 필름)가 포함된다.
상기 「포장체에 관한 검사」에는, 예를 들어 수용 공간 내에 있어서의 정제의 유무, 균열, 결락 등의 「정제에 관한 검사」나, 수용 공간 둘레에 형성되는 플랜지부(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장착한 부분)에 있어서의 이물질의 유무 등의 「플랜지부에 관한 검사」, 수용 공간 내에 있어서의 이물질의 유무 등의 「수용 공간에 관한 검사」 등이 포함된다.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반송되는 포장체에 대하여 전자파 조사 수단으로부터 전자파를 조사하고, 그 포장체를 투과한 전자파를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하여 얻어진 전자파 투과 화상을 기초로 포장체에 관한 검사가 행하여진다.
특히 본 수단에서는, 포장체에 관한 검사를 행하기 전에, 촬상 수단에 의해 취득한 전자파 투과 화상의 좌표계를 포장체의 좌표계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포장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의 차이에 의해 정제가 다른 크기로 확대 투영된 전자파 투과 화상을 보정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각종 검사 항목(정제 이상, 플랜지부 이상, 수용 공간 이상 등)에 대하여, 포장체 전역(검사 범위 전역)에 공통된 판정 기준을 기초로 양부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동일한 검사 항목에 관련된 판정 기준을 포장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각 위치마다 구분하여 복수 설정하지 않고, 포장체 전역에 있어서 균일한 검사를 행할 수 있다. 결과로서, 검사 정밀도의 저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수단 2. 상기 포장체를 상기 촬상 수단측에 볼록해지도록 상기 폭 방향으로 원호상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에 기재된 검사 장치.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파는 전자파 조사 수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조사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포장체가 폭 방향을 따라 수평인 상태에서 반송되고 있는 경우, 그 포장체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벗어난 위치의 정제에 대해서는, 전자파가 경사지게 조사되게 된다. 또한, 포장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정제의 위치의 차이에 의해, 각 정제에 대한 전자파의 입사각도 다르다.
여기서, 만일 각 정제에 대하여 평행광을 경사지게 조사하여 소정의 촬상 수단으로 평행 투영한 경우라도, 예를 들어 단면 직사각형상의 정제와 같이, 정제의 형상에 따라서는, 촬상 수단에 투영되는 정제의 상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도 14 참조). 또한, 평행광의 입사각의 차이에 의해, 투영 상의 크기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수단 2에 의하면, 소정의 가이드 수단을 사용하는 등을 하여, 포장체를 촬상 수단측에 볼록해지도록 원호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포장체의 폭 방향 복수 개소에 위치하는 정제에 대한 전자파의 입사각의 차를 극력 작게 하거나 또는 없앨 수 있다. 결과로서, 상기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수단 3. 상기 포장체는, 상기 촬상 수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필름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포켓부가 상기 촬상 수단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프레스 스루 패키지(PTP)로서,
상기 포장체를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측에 볼록해지도록 상기 폭 방향으로 원호상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에 기재된 검사 장치.
전자파 조사 수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조사되는 X선 등의 전자파의 강도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쇠한다. 또한, 전자파의 입사각의 차이에 의해 검사 능력에 차이도 발생한다. 이 때문에, 전자파의 조사각은, 끝없이 넓힐 수 없어, 소정의 검사 범위에 대하여 대략 균일 조사가 가능한 각도로 제한된다. 그 결과, 종래에는, 포장체부터 전자파 조사 수단까지의 거리를 짧게 하는 것이 어려워, 검사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이에 대하여, 상기 수단 3에 의하면, 포켓부의 돌출측이 원호상으로 만곡된 포장체의 내측(오목측)에 위치한 상태가 되어, 보다 좁은 폭 범위 내에 포장체 전체가 들어간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전자파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되는 전자파의 조사각(폭 방향으로의 확산)을 종래와 비교하여 크게 하지 않고, 전자파의 조사 범위 내에 포장체 전체를 유지하면서도, 전자파 조사 수단과 촬상 수단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결과로서, 검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동시에, 전자파 조사 수단과 촬상 수단의 거리가 가까워짐으로써, 검사에 필요한 전자파 투과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쉬워져, 검사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전자파 조사 수단으로서, 보다 출력이 작은 소형의 것을 채용할 수 있어, 검사 장치의 가일층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수단 4. 상기 포장체는, 띠상의 상기 제1 필름과 띠상의 상기 제2 필름이 장착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그 폭 방향 2개소에 설정된 시트 분리 범위로부터 각각 시트상 포장체(예를 들어 PTP 시트)가 분리되기 전의 띠상 포장체(예를 들어 PTP 필름)로서,
상기 띠상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2개의 시트상 포장체는,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의 중심축(조사각의 이등분선)과 교차하는 상기 띠상 포장체의 폭 방향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기 폭 방향으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각각 태그부가 상기 띠상 포장체의 폭 방향 중앙부측 또는 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검사 장치.
여기서, 「태그부」란, 시트상 포장체(포장 시트)의 소정 방향 일단부에 형성되어, 정제 명칭이나 로트 넘버 등의 각종 정보가 각인이나 인쇄 등에 의해 붙여지는 부위를 가리킨다. 정제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시트 본체부와는 달리, 「태그부」에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띠상 포장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정제의 위치의 차이에 의해, 각 정제를 투과하는 전자파의 투과량은 다르다. 그 때문에, 띠상 포장체의 폭 방향에 대하여 폭 방향 중앙부를 중심으로 수용 공간(정제)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띠상 포장체의 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2개의 시트상 포장체에 대하여 균일한 검사를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수단 4에 의하면, 띠상 포장체의 폭 방향 중앙부를 중심으로 2개의 시트상 포장체의 시트 분리 범위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그 시트상 포장체에 포함되는 수용 공간의 배치 레이아웃도 띠상 포장체의 폭 방향으로 대칭이 된다.
결과로서, 띠상 포장체의 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2개의 시트상 포장체에 대하여, 보다 균일한 검사를 행할 수 있어, 검사 정밀도의 저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수단 5.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의 각 화소의 값(전자파 강도)을,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 및 상기 촬상 수단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강도 보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검사 장치.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체의 폭 방향 중앙부보다 폭 방향 외측 근처를 투과하는 전자파일수록, 전자파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투과량이 적다. 그 때문에, 전자파 투과 화상은, 포장체의 폭 방향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폭 방향 외측 근처에 대응하는 위치 쪽이 전자파 강도가 작은(어두운) 화상이 된다. 결과로서, 검사 범위 전역에 있어서 균일한 검사를 행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수단 5에 의하면, 검사 범위 전역에 있어서 보다 균일한 전자파 강도를 갖는 전자파 투과 화상으로 보정할 수 있고, 이것을 기초로 검사를 행할 수 있다. 결과로서, 검사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수단 6. 상기 좌표 변환 수단은,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전자파 투과 화상의 좌표계를, 적어도 상기 정제를 기준으로 한 좌표계, 및 상기 수용 공간의 둘레에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한 좌표계로 변환하고,
상기 검사 수단은,
상기 포장체에 관한 검사로서, 적어도 상기 정제를 기준으로 한 좌표계로 변환된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을 기초로 상기 정제에 관한 검사를 실행하고, 또한, 상기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한 좌표계로 변환된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을 기초로 상기 플랜지부에 관한 검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검사 장치.
여기서 「정제를 기준으로 한 좌표계」에는, 예를 들어 「정제의 두께 방향 중앙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좌표계」 등이 포함된다. 또한,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한 좌표계」에는, 예를 들어 「제1 필름 또는 제2 필름의 노출면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좌표계」나, 「제1 필름과 제2 필름의 장착면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좌표계」 등이 포함된다.
상기 수단 6에 의하면, 정제 및 플랜지부에 관하여, 각각 적절한 좌표계로 변환된 전자파 투과 화상을 기초로 검사를 행할 수 있다. 결과로서, 가일층의 검사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수단 7. 상기 전자파가 X선 또는 테라헤르츠 전자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검사 장치.
수단 8.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이 알루미늄을 기재(주재료)로 하여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검사 장치.
여기서, 「알루미늄을 기재(주재료)로 하여 형성된」이란, 알루미늄 단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물론, 수지 필름층이 개재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 등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수단 9. 수단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검사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상기 수단 9와 같이, 수단 1 등에 기재된 검사 장치를 포장기에 구비함으로써, 포장 시트(시트상 포장체)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불량품을 효율적으로 제외할 수 있는 등의 메리트가 발생한다. 여기서, 포장기가, 상기 검사 장치에 의해 불량이라고 판정된 시트상 포장체를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인 포장기의 구성으로서, 이하와 같은 구성을 들 수 있다.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띠상의 제1 필름과,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띠상의 제2 필름이 장착되는 동시에, 그 양 필름간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 내에 정제가 수용된 띠상 포장체를 제조하는 동시에, 그 띠상 포장체의 폭 방향 복수 개소를 시트상으로 분리하여 시트상 포장체를 제조하는 포장기로서,
띠상으로 반송되는 상기 제1 필름과, 띠상으로 반송되는 상기 제2 필름을 장착하는 장착 수단과,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상기 정제를 충전하는 충전 수단과,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이 장착되고 또한 상기 정제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 상기 띠상 포장체로부터 상기 시트상 포장체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시트 단위로 블랭킹하는 블랭킹 수단을 포함한다)과,
수단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검사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여기서, 상기 검사 장치(검사 공정)를 「분리 수단(분리 공정)보다 상류측(전공정)」에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띠상의 포장체(예를 들어 PTP 필름)로부터 시트상 포장체(예를 들어 PTP 시트)가 분리되는 전공정에 있어서는, 검사시에 있어서, 검사 대상으로 하는 시트상 포장체에 대응하는 검사 범위의 위치나 방향이 전자파 조사 수단 및 촬상 수단에 대하여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검사를 행함에 있어서, 사전에 시트상 포장체의 위치나 방향을 조정할 필요도 없어, 보다 용이 또한 보다 고속으로 검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가일층의 검사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 장치(검사 공정)를 「분리 수단(분리 공정)보다 하류측(후공정)」에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불량품이 섞여 있지 않은지를 최종 단계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포장기에는, 상기 검사 장치 이외에도 여러 가지 공정에 있어서의 처리나 검사를 행하기 위한 장치가 수많이 결합되어 있어, 빈 스페이스가 작아, 상기 검사 장치가 대형화되어 버리면, 이것을 설치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대형화된 상기 검사 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포장기 자체를 대형화할 필요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수단 3 등에 기재된 검사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수단 10.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 필름(예를 들어 용기 필름)과,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 필름(예를 들어 커버 필름)이 장착되는 동시에, 그 양 필름간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예를 들어 포켓부) 내에 정제가 수용된 포장체(예를 들어 포장 시트 또는 포장 필름)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방법으로서,
소정 방향을 따라 반송되고 또한 상기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복수 개소에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된 상기 포장체에 대하여, 상기 제1 필름측에 배치된 소정의 전자파 조사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전자파(X선 등)를 조사하는 조사 공정과,
상기 포장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필름측에 배치된 소정의 촬상 수단에 의해, 상기 포장체를 투과한 전자파를 검출하여 취득되는 전자파 투과 화상을 상기 포장체가 소정량 반송될 때마다 순차 출력하는 촬상 공정과,
상기 촬상 공정에 있어서 취득된 전자파 투과 화상의 좌표계를,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 상기 포장체 및 상기 촬상 수단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포장체의 좌표계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 공정과,
상기 좌표 변환 공정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의 좌표계로 변환된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을 기초로, 상기 포장체에 관한 검사를 실행하는 검사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방법.
상기 수단 10에 의하면, 상기 수단 1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PTP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PTP 시트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PTP 필름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PTP 포장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X선 검사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X선 검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X선 조사 장치, X선 라인 센서 카메라, 및 PTP 필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검사 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좌표 변환 처리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SP 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PTP 필름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PTP 필름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X선 조사 장치, X선 라인 센서 카메라, 및 PTP 필름의 위치 관계, 그리고, 그 좌표 변환 처리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4의 (a)는, 렌즈정의 실제의 크기와 투영 상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b)는, 태블릿정의 실제의 크기와 투영 상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자세가 기울어진 태블릿정의 실제의 크기, 투영 상의 크기, 및 보정 후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X선 조사 장치, X선 라인 센서 카메라, 및 PTP 필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에,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포장 시트(시트상 포장체)로서의 PTP 시트(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TP 시트(1)는, 복수의 포켓부(2)를 구비한 용기 필름(3)과, 포켓부(2)를 막도록 하여 용기 필름(3)에 장착된 커버 필름(4)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기 필름(3)」이 「제1 필름」을 구성하고, 「커버 필름(4)」이 「제2 필름」을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은, 알루미늄을 기재(주재료)로 한 불투명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용기 필름(3)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알루미늄 필름에 대하여 합성 수지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 필름(4)은, 알루미늄 필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PTP 시트(1)는,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4코너가 원호상으로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PTP 시트(1)에는, 시트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된 2개의 포켓부(2)로 이루어지는 포켓부열이, 시트 길이 방향으로 5열 형성되어 있다. 즉, 합계 10개의 포켓부(2)가 형성되어 있다.
각 포켓부(2) 내의 수용 공간(2a)에는, 정제(5)가 1개씩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정제(5)는, 표면이 중심부로부터 주연부에 걸쳐 만곡되고, 중심부와 주연부에서 두께가 다른 평면시 원형상의 나정(이른바 렌즈정)이다. 물론, 정제(5)의 종류는 렌즈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원반 형상의 평정(태블릿정)이나, 평면시 비원형의 삼각정이나 사각정 등이어도 된다.
또한, PTP 시트(1)에는, 소정 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포켓부(2)를 포함하는 시트 소편(6) 단위로 분리 가능하게 하기 위한 분리선으로서의 절취선(7)이 시트 폭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PTP 시트(1)의 주연부에는, 절취선(7)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잘록부(8)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PTP 시트(1)를 시트 소편(6) 단위로 분리하였을 때에, 그 시트 소편(6)의 4코너가 원호상으로 둥그스름한 형상이 된다.
덧붙여, PTP 시트(1)에는, 시트 길이 방향 일단부에 있어서, 정제 명칭이나 로트 넘버 등의 각종 정보(본 실시형태에서는 「ABC」의 문자)가 각인된 태그부(9)가 부설되어 있다. 태그부(9)는, 포켓부(2)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5개의 시트 소편(6)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본체부(1a)와의 사이에서 1개의 절취선(7)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PTP 시트(1)(도 1 참조)는, 띠상의 용기 필름(3)과 띠상의 커버 필름(4)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띠상의 PTP 필름(25)(도 3 참조)으로부터 최종 제품인 PTP 시트(1)를 직사각형 시트상으로 블랭킹하는 공정 등을 거쳐 제조된다. 이하, 「PTP 필름(25)의 폭 방향(도 3 상하 방향)」을 「필름 폭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PTP 필름(25)의 반송 방향(도 3 좌우 방향)」을 「필름 반송 방향」이라고 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PTP 필름(25)은, 필름 폭 방향으로 PTP 시트(1)의 블랭킹 범위(Ka)(이하, 간단히 「시트 블랭킹 범위(Ka)」라고 한다.)가 2개 늘어서는 동시에, 이들 이웃하여 늘어서는 2개의 시트 블랭킹 범위(Ka)간을 필름 반송 방향을 따라 띠상으로 연장되는 중앙 스크랩(25a)이 연결하고, 필름 폭 방향 양단을 필름 반송 방향을 따라 띠상으로 연장되는 측부 스크랩(25b)이 연결하고, 필름 반송 방향에 인접하는 2개의 시트 블랭킹 범위(Ka)의 경계선 상에 상기 잘록부(8)를 형성하기 위한 성망형 스크랩(25c)이 복수 늘어선 레이아웃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있어서는, 도면의 간소화, 그리고, 성망형 스크랩(25c)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성망형 스크랩(25c)을 블랭킹한 구멍부에 대하여 인출선을 붙여, 성망형 스크랩(25c)으로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PTP 필름(25)에 있어서, 필름 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2개의 시트 블랭킹 범위(Ka)로부터 블랭킹되는 PTP 시트(1)는, 각각 태그부(9)가 필름 폭 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중앙 스크랩(25a)에 인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시트 블랭킹 범위(Ka)」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분리 범위」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상기 PTP 시트(1)를 제조하는 PTP 포장기(10)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TP 포장기(10)의 최상류측에서는, 띠상의 용기 필름(3)의 원단이 롤상으로 권회되어 있다. 롤상으로 권회된 용기 필름(3)의 인출단측은, 가이드 롤(13)에 안내되어 있다. 용기 필름(3)은, 가이드 롤(13)의 하류측에 있어서 간헐 이송 롤(14)에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14)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어, 용기 필름(3)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가이드 롤(13)과 간헐 이송 롤(14)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 포켓부 형성 수단으로서의 포켓부 형성 장치(16)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이 포켓부 형성 장치(16)에 의해, 냉간 가공에 의해 용기 필름(3)의 소정의 위치에 복수의 포켓부(2)가 한번에 형성된다(포켓부 형성 공정). 포켓부(2)의 형성은, 간헐 이송 롤(14)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반송 동작간의 인터벌 중에 행하여진다.
단,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TP 포장기(10)는, 용기 필름(3)을, 알루미늄제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PP(폴리프로필렌)나 PVC(폴리염화비닐) 등의 비교적 경질로 소정의 강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재료에 의해서도 제조 가능하게 구성된 포장기(겸용기)이다. 그 때문에, 포켓부 형성 장치(16)의 상류측에 있어서, 용기 필름(3)을 가열하여 유연한 상태로 하기 위한 가열 장치(15)를 구비하고 있다. 물론, 알루미늄제의 용기 필름(3)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가열 장치(15)는 사용되지 않는다.
간헐 이송 롤(14)로부터 내보내진 용기 필름(3)은, 텐션 롤(18), 가이드 롤(19) 및 필름 받이 롤(20)의 순서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필름 받이 롤(20)은, 일정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필름(3)을 연속적으로 또한 일정 속도로 반송한다. 텐션 롤(18)은, 용기 필름(3)을 탄성력에 의해 긴장되는 쪽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어, 상기 간헐 이송 롤(14)과 필름 받이 롤(20)의 반송 동작의 상이에 의한 용기 필름(3)의 휨을 방지하여 용기 필름(3)을 상시 긴장 상태로 유지한다.
가이드 롤(19)과 필름 받이 롤(20)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 충전 수단으로서의 정제 충전 장치(21)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정제 충전 장치(21)는, 포켓부(2)에 정제(5)를 자동적으로 충전하는 기능을 갖는다. 정제 충전 장치(21)는, 필름 받이 롤(20)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반송 동작과 동기하여, 소정 간격마다 셔터를 여는 것에 의해 정제(5)를 낙하시키는 것으로, 이 셔터 개방 동작에 따라 각 포켓부(2)에 정제(5)가 충전된다(충전 공정).
한편, 띠상으로 형성된 커버 필름(4)의 원단은, 최상류측에 있어서 롤상으로 권회되어 있다. 롤상으로 권회된 커버 필름(4)의 인출단은, 가이드 롤(22)을 통하여 가열 롤(23) 쪽으로 안내되어 있다. 가열 롤(23)은, 상기 필름 받이 롤(20)에 압접 가능하게 되어 있고, 양 롤(20, 23) 사이에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보내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양 롤(20, 23) 사이를 가열 압접 상태에서 통과함으로써, 용기 필름(3)의 포켓부(2) 둘레의 플랜지부(3a)(도 1, 2 참조)에 대하여 커버 필름(4)이 첩착되어, 포켓부(2)가 커버 필름(4)으로 막힌다(장착 공정).
이에 의해, 정제(5)가 각 포켓부(2)에 충전된 띠상 포장체로서의 PTP 필름(25)이 제조된다. 가열 롤(23)의 표면에는, 시일용의 그물코상의 미세한 볼록조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이 강하게 압접함으로써, 강고한 시일이 실현되게 되어 있다. 필름 받이 롤(20) 및 가열 롤(23)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착 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필름 받이 롤(20)에는, 도시하지 않은 인코더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필름 받이 롤(20)이 소정량 회전할 때마다, 즉 PTP 필름(25)이 소정량 반송될 때마다, 후술하는 X선 검사 장치(45)에 대하여 소정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필름 받이 롤(20)로부터 내보내진 PTP 필름(25)은, 텐션 롤(27) 및 간헐 이송 롤(28)의 순서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28)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PTP 필름(25)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 롤(27)은, PTP 필름(25)을 탄성력에 의해 긴장되는 쪽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어, 상기 필름 받이 롤(20)과 간헐 이송 롤(28)의 반송 동작의 상이에 의한 PTP 필름(25)의 휨을 방지하여 PTP 필름(25)을 상시 긴장 상태로 유지한다.
필름 받이 롤(20)과 텐션 롤(27) 사이에는, PTP 필름(25)의 반송 경로를 따라 X선 검사 장치(45)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X선 검사 장치(45)는, 포켓부(2)에 수용된 정제(5)의 이상(예를 들어 정제(5)의 유무, 균열, 결락 등)의 검출이나, 포켓부(2) 이외의 플랜지부(3a)의 이상(예를 들어 플랜지부(3a)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의 검출을 주목적으로 한 X선 검사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검사 항목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검사 항목을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포켓부(2)의 이상(예를 들어 포켓부(2)에 있어서의 이물질의 유무 등)에 관한 검사를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간헐 이송 롤(28)로부터 내보내진 PTP 필름(25)은, 텐션 롤(29) 및 간헐 이송 롤(30)의 순서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30)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PTP 필름(25)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 롤(29)은, PTP 필름(25)을 탄성력에 의해 긴장되는 쪽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어, 상기 간헐 이송 롤(28, 30)간에서의 PTP 필름(25)의 휨을 방지한다.
간헐 이송 롤(28)과 텐션 롤(29) 사이에는, PTP 필름(25)의 반송 경로를 따라, 스크랩 블랭킹 장치(32), 절취선 형성 장치(33) 및 각인 장치(34)가 순서대로 배치 설치되어 있다.
스크랩 블랭킹 장치(32)는, PTP 필름(25)의 소정 위치로부터 상기 성망형 스크랩(25c)을 블랭킹하는 기능을 갖는다. 절취선 형성 장치(33)는, PTP 필름(25)의 소정 위치에 상기 절취선(7)을 형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각인 장치(34)는, PTP 필름(25)의 소정 위치(상기 태그부(9)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각인 「ABC」를 붙이는 기능을 갖는다.
간헐 이송 롤(30)로부터 내보내진 PTP 필름(25)은, 그 하류측에 있어서 텐션 롤(35) 및 연속 이송 롤(36)의 순서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30)과 텐션 롤(35) 사이에는, PTP 필름(25)의 반송 경로를 따라, 시트 블랭킹 장치(37)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시트 블랭킹 장치(37)는, PTP 필름(25)을 PTP 시트(1) 단위로 그 외연을 블랭킹하는 시트 블랭킹 수단(분리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시트 블랭킹 장치(37)에 의해 블랭킹된 PTP 시트(1)는, 컨베이어(39)에 의해 반송되어, 완성품용 호퍼(40)에 일단 저류된다(분리 공정). 단, 상기 X선 검사 장치(45)에 의해 불량품이라고 판정된 경우, 그 불량품이라고 판정된 PTP 시트(1)는, 완성품용 호퍼(40)로 보내지지 않고, 도시하지 않은 배출 수단으로서의 불량 시트 배출 기구에 의해 별도 배출되어, 도시하지 않은 불량품 호퍼에 이송된다.
연속 이송 롤(36)의 하류측에는, 재단 장치(41)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블랭킹 장치(37)에 의한 블랭킹 후에 띠상으로 남은 단재(스크랩(25a, 25b))는, 상기 텐션 롤(35) 및 연속 이송 롤(36)에 안내된 후, 재단 장치(41)로 유도된다. 여기서, 연속 이송 롤(36)은 종동 롤이 압접되어 있어, 상기 스크랩(25a, 25b)을 협지하면서 반송 동작을 행한다.
재단 장치(41)는, 스크랩(25a, 25b)을 소정 치수로 재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재단된 스크랩(25a, 25b)은 스크랩용 호퍼(43)에 저류된 후, 별도 폐기 처리된다.
한편, 상기 각 롤(14, 19, 20, 28, 29, 30) 등은, 그 롤 표면과 포켓부(2)가 대향하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으나, 간헐 이송 롤(14) 등의 각 롤의 표면에는, 포켓부(2)가 수용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켓부(2)가 찌부러져 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포켓부(2)가 간헐 이송 롤(14) 등의 각 롤의 각 오목부에 수용되면서 이송 동작이 행하여짐으로써, 간헐 이송 동작이나 연속 이송 동작이 확실하게 행하여진다.
PTP 포장기(10)의 개략은 이상과 같지만, 이하에 상기 X선 검사 장치(45)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X선 검사 장치(45)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X선 검사 장치(45)의 개략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단, 도 6에 있어서는, 간소화를 위하여, PTP 필름(25)의 포켓부(2) 등 일부의 구성을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5,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선 검사 장치(45)는, PTP 필름(25)에 대하여 X선을 조사하는 X선 조사 장치(51)와, 그 X선이 조사된 PTP 필름(25)의 X선 투과 화상을 촬상하는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와, X선 조사 장치(51)나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의 구동 제어 등 X선 검사 장치(45) 내에 있어서의 각종 제어나 화상 처리, 연산 처리 등을 실시하기 위한 제어 처리 장치(5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X선」이 「전자파」에 상당한다. 따라서, 「X선 투과 화상(데이터)」이 「전자파 투과 화상(데이터)」을 구성하고, 「제어 처리 장치(54)」가 「화상 처리 수단」을 구성하고, 「X선 조사 장치(51)」가 「전자파 조사 수단」을 구성하고,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가 「촬상 수단」을 구성한다.
X선 조사 장치(51) 및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는, X선을 차폐 가능한 재질로 구성된 차폐 박스(45a) 내에 수용되어 있다(도 4 참조). 차폐 박스(45a)는, PTP 필름(25)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슬릿상의 입구부(45b) 및 출구부(45c)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것 외에는, 외부로의 X선의 누설을 극력 억제한 구조로 되어 있다.
X선 조사 장치(51)는, 연직 방향 하향으로 반송되는 PTP 필름(25)의 법선 방향 일방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필름(3)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PTP 필름(25)의 법선 방향」을 「필름 법선 방향」이라고 한다.
X선 조사 장치(51)는, X선을 발생시키는 X선원(51a)과, 그 X선원(51a)으로부터 발생시킨 X선을 뽑아내는 콜리메이터(51b)를 구비하고, 이들이 X선을 차폐 가능한 재질로 구성된 차폐 용기(51c) 내에 수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X선원(51a)으로부터 발하여진 X선은, 차폐 용기(51c)의 개구부(도시 생략)를 통하여 외부로 조사된다.
한편, X선 조사 장치(51)는,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X선원(51a) 등 각종 구성부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데, 예를 들어 X선원(51a)은, 고전압으로 가속한 전자를 양극의 타깃에 충돌시키고, 그 타깃을 정점으로 한 원뿔상으로 X선을 방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물론, 이와는 다른 방법으로 X선을 발생시키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 하, X선 조사 장치(51)는, 콜리메이터(51b)에 의해, X선원(51a)으로부터 원뿔상으로 방사되는 X선의 필름 반송 방향으로의 확산(콘각)을 극력 억제함으로써, 필름 폭 방향으로 소정의 확산(팬각)을 갖는 팬빔상의 X선을 PTP 필름(25)에 대하여 조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물론, 여기서 필름 반송 방향에 대해서도 소정의 확산을 갖는 콘빔상의 X선을 조사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X선 조사 장치(51)는, 자신의 중심축(D1)(팬각의 이등분선)이 PTP 필름(25)의 필름 법선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는, X선 조사 장치(51)와 필름 법선 방향에 대향하도록, PTP 필름(25)을 사이에 두고 X선 조사 장치(51)와는 반대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필름(4)측)에 배치되어 있다.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는, PTP 필름(25)을 투과한 X선을 검출 가능한 복수의 X선 검출 소자가 필름 폭 방향을 따라 1열로 늘어서는 전자파 검출 수단으로서의 X선 라인 센서(53a)를 갖고, PTP 필름(25)을 투과한 X선을 촬상(노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X선 검출 소자로는, 예를 들어 신틸레이터에 의한 광 변환층을 갖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에 의해 취득된 X선 투과 화상 데이터는, PTP 필름(25)이 소정량 반송될 때마다, 그 카메라(53) 내부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화상 신호)로 변환된 후에,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제어 처리 장치(54)(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에 대하여 출력된다. 그리고, 제어 처리 장치(54)는, 그 X선 투과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하는 등을 하여 후술하는 각종 검사를 실시한다.
여기서, X선 조사 장치(51),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 및 PTP 필름(25)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 도 3,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X선 검사 장치(45)에 의해 검사를 행하는 PTP 필름(25) 상의 「검사 영역」과, 검사를 행하지 않는 「비검사 영역(검사 불필요 영역)」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PTP 시트(1)(시트 블랭킹 범위(Ka))에 대응하는 영역 중, 태그부(9)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5개의 시트 소편(6)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본체부(1a)에 대응하는 영역이 1매의 PTP 시트(1)에 관련된 검사 영역(Kb)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PTP 필름(25)에 있어서 상기 검사 영역(Kb)(PTP 시트(1)의 시트 본체부(1a))에 대응하는 필름 폭 방향 소정 범위(WA), 즉 측부 스크랩(25b)과 이것에 인접하는 PTP 시트(1)에 대응하는 영역의 경계부인 외측 경계부(PA)부터, 태그부(9)에 대응하는 영역과 이것에 인접하는 시트 소편(6)에 대응하는 영역의 경계부인 중앙측 경계부(PB)까지의 필름 폭 방향 소정 범위(WA)가, 필름 폭 방향 검사 범위(이하, 간단히 「검사 범위」라고 한다.)가 된다.
바꾸어 말하면, PTP 필름(25)에 있어서, 중앙 스크랩(25a) 및 이것과 인접하는 2개의 태그부(9)에 대응하는 영역, 및 측부 스크랩(25b)에 대응하는 영역이 「비검사 영역(검사 불필요 영역)」이 된다.
즉, PTP 필름(25)에 있어서, 중앙 스크랩(25a) 및 이것과 인접하는 2개의 태그부(9)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필름 폭 방향의 중앙부 소정 범위(WB), 및 측부 스크랩(25b)에 대응하는 필름 폭 방향의 측부 소정 범위(WC)가 「비검사 범위(검사 불필요 범위)」가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PTP 필름(25)의 필름 폭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 소정 범위(WB) 및 이것에 인접하는 2개의 검사 영역(Kb)을 포함하는 범위, 즉 필름 폭 방향 일방측의 외측 경계부(PA)부터, 타방측의 외측 경계부(PA)까지의 필름 폭 방향 소정 범위(W0)가, 필름 폭 방향 X선 조사 범위(이하, 간단히 「X선 조사 범위」라고 한다.)로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 하, 필름 법선 방향에 대하여,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가 PTP 필름(25)과 소정 거리(H1)를 두고 배치되고, X선 조사 장치(51)(X선원(51a))가 PTP 필름(25)과 소정 거리(H2)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X선 조사 장치(51)(X선원(51a))로부터 조사되는 X선의 조사각(팬각)은 소정 각도(θ)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 폭 방향에 있어서의 X선 조사 장치(51)의 중심축(D1)의 위치가, PTP 필름(25)의 필름 폭 방향의 중심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어 처리 장치(54)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 처리 장치(54)는, X선 검사 장치(45)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마이크로컴퓨터(71),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 수단」으로서의 입력 장치(72), CRT나 액정 등의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 수단」으로서의 표시 장치(73), 각종 화상 데이터 등을 기억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 각종 연산 결과 등을 기억하기 위한 연산 결과 기억 장치(75), 각종 정보를 미리 기억해 두기 위한 설정 데이터 기억 장치(76) 등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이들 각 장치(72∼76)는, 마이크로컴퓨터(71)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71)는, 연산 수단으로서의 CPU(71a)나,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71b), 연산 데이터나 입출력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71c) 등을 구비하고, 제어 처리 장치(54)에 있어서의 각종 제어를 담당하는 동시에, PTP 포장기(10)와 각종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71)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수단을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 하, 마이크로컴퓨터(71)는, 예를 들어 X선 조사 장치(51)나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를 구동 제어하여, PTP 필름(25)에 관련된 X선 투과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촬상 처리나, 그 X선 투과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PTP 시트(1)를 검사하는 검사 처리, 그 검사 처리에 관련된 검사 결과를 PTP 포장기(10)의 불량 시트 배출 기구 등으로 출력하는 출력 처리 등을 실행한다.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는,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에 의해 취득되는 X선 투과 화상 데이터를 비롯하여, 검사시에 보정 처리된 보정 화상 데이터나, 이치화 처리된 이치화 화상 데이터, 마스킹 처리된 마스킹 화상 데이터 등의 각종 화상 데이터가 기억된다.
연산 결과 기억 장치(75)는, 검사 결과 데이터나, 그 검사 결과 데이터를 확률 통계적으로 처리한 통계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것이다. 이들 검사 결과 데이터나 통계 데이터는, 적절히 표시 장치(73)에 표시시킬 수 있다.
설정 데이터 기억 장치(76)는, 검사에 사용되는 각종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각종 정보로서, 예를 들어 PTP 시트(1), 포켓부(2) 및 정제(5)의 형상 및 치수나, 상기 검사 영역(Kb)을 획정하기 위한 시트 프레임의 형상 및 치수, 포켓부(2)의 영역을 획정하기 위한 포켓 프레임의 형상 및 치수, 이치화 처리에 있어서의 휘도 임계값, 각종 양부 판정을 행하기 위한 판정 기준값 등이 설정 기억되어 있다.
다음으로 X선 검사 장치(45)에 의해 행하여지는 X선 검사(검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X선 투과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X선 검사 장치(45)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속 반송되는 PTP 필름(25)이, 차폐 박스(45a)의 입구부(45b)로부터 내부로 반입되고, 출구부(45c)로부터 외부로 반출되어 간다.
이 동안, 마이크로컴퓨터(71)는, X선 조사 장치(51) 및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를 구동 제어하여, 연속 반송되는 PTP 필름(25)에 대하여 X선을 조사하면서(조사 공정), PTP 필름(25)이 소정량 반송될 때마다, PTP 필름(25)을 투과한 X선을 촬상한 일차원적인 X선 투과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촬상 공정).
이와 같이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에 의해 취득된 X선 투과 화상 데이터는, 그 카메라(53) 내부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에,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제어 처리 장치(54)(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에 대하여 출력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컴퓨터(71)는, X선 조사 장치(51)로부터 PTP 필름(25)에 대하여 상시 X선을 조사한 상태에서, 상기 인코더로부터 타이밍 신호가 입력되면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에 의한 노광 처리를 개시한다.
그리고, 다음의 타이밍 신호가 입력되면, 그때까지 포토다이오드 등의 수광부에 축적된 전하를 정리하여 시프트 레지스터로 전송한다. 계속해서, 시프트 레지스터에 전송된 전하가, 다음의 타이밍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의 동안에, 전송 클록 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상 신호(X선 투과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즉, 상기 인코더로부터 소정의 타이밍 신호를 입력한 시점부터, 다음으로 타이밍 신호를 입력할 때까지의 시간이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에 있어서의 노광 시간이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X선 라인 센서(53a)의 폭, 즉 CCD 1개분의 폭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PTP 필름(25)이 반송될 때마다,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에 의해 X선 투과 화상 데이터가 취득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물론, 이와는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는,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로부터 입력한 X선 투과 화상 데이터를 시계열로 순차 기억해 간다.
그리고, PTP 필름(25)이 소정량 반송될 때마다 상기 일련의 처리가 반복하여 행하여져, X선이 조사되는 위치가 상대 이동해 감으로써,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에는, PTP 필름(25)에 있어서의 2개의 검사 범위(WA)에 관련된 X선 투과 화상 데이터가 필름 반송 방향 및 필름 폭 방향의 위치 정보와 함께 시계열에 순차 기억되어 간다. 이에 의해, PTP 시트(1)의 시트 본체부(1a)(검사 영역(Kb))에 관련된 이차원적인 X선 투과 화상 데이터가 순차 생성되어 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품이 되는 1매의 PTP 시트(1)의 시트 본체부(1a)(검사 영역(Kb))에 관련된 X선 투과 화상 데이터가 취득되면, 마이크로컴퓨터(71)는 검사 처리(검사 루틴)를 실행한다.
이하, 마이크로컴퓨터(71)에 의해 실행되는 검사 루틴에 대하여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도 8에 나타내는 검사 루틴은, 제품이 되는 1매의 PTP 시트(1)의 시트 본체부(1a)(검사 영역(Kb))에 대하여, 각각 행하여지는 처리이다. 즉, PTP 필름(25)이, 필름 반송 방향에 대하여 1매의 PTP 시트(1)에 상당하는 분만큼 반송될 때마다, 필름 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2개의 검사 범위(WA)로부터 얻어지는 2매의 PTP 시트(1)(시트 본체부(1a))에 관련된 X선 투과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각각 도 8에 나타내는 검사 루틴이 행하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2매의 PTP 시트(1)(시트 본체부(1a))에 관련된 X선 투과 화상 데이터가 취득되면, 마이크로컴퓨터(71)는, 먼저 단계 S10에 있어서 검사 화상 취득 처리를 실행한다.
상세하게는, PTP 필름(25)의 필름 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2개의 검사 범위(WA)로부터 얻어지는 2매의 PTP 시트(1)의 시트 본체부(1a)(검사 영역(Kb))에 관련된 X선 투과 화상 데이터 중, 본 루틴에 있어서 검사하는 일방의 X선 투과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로부터 검사 화상으로서 판독 출력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컴퓨터(71)는, 단계 S11에 있어서 보정 처리를 실행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계 S10에 있어서 검사 화상으로서 취득한 X선 투과 화상 데이터를, 정제 검사용으로 보정한 보정 화상 데이터, 및 플랜지부 검사용으로 보정한 보정 화상 데이터를 각각 생성하고, 이들을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에 기억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사 화상으로서 취득한 X선 투과 화상 데이터의 좌표계를, PTP 필름(25) 상의 좌표계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 처리를 실행하는(좌표 변환 공정) 동시에, X선 투과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의 휘도값(X선 강도)을 보정하는 강도 보정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좌표 변환 처리」를 실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71)의 기능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좌표 변환 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강도 보정 처리」를 실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71)의 기능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강도 보정 수단」이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제 검사용의 보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의 좌표 변환 처리 및 강도 보정 처리와, 플랜지부 검사용의 보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의 좌표 변환 처리 및 강도 보정 처리를 개별적으로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좌표 변환 처리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좌표 변환 처리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에 있어서는, 필름 폭 방향(도 9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X선 조사 장치(51)(X선원(51a))의 중심축(D1)의 위치, 및 PTP 필름(25)의 필름 폭 방향 중앙부가,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X선 라인 센서(53a)의 수광면)의 필름 폭 방향 중앙부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있어서는,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의 필름 폭 방향 중앙부를 필름 폭 방향에 있어서의 좌표계의 원점(O)으로 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선 검사 장치(45)에 있어서는, X선 조사 장치(51)로부터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를 향하여 방사상(팬빔상)으로 X선이 조사되기 때문에, X선 라인 센서(53a)의 각 X선 검출 소자에는, 다른 각도로 PTP 필름(25)을 투과한 X선이 입사하게 되고, PTP 필름(25) 상의 필름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정제(5)의 위치의 차이에 의해, X선 투과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정제(5)의 면적값 등이 다른 것이 된다.
예를 들어 도 9의 좌측에 위치하는 정제(5)에 대해서는, PTP 필름(25) 상에 있어서 직경[y2-y1]이었던 것이, X선 라인 센서(53a) 상에 있어서는 직경[Y2-Y1]로서 확대 투영되어, 도 9의 중앙에 위치하는 정제(5)와 비교하여, 그 확대율이 커져 있다.
이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X선 투과 화상 데이터의 좌표계(X선 라인 센서(53a) 상의 좌표계)를, 정제(5)에 대해서는 하기 식(α)을 기초로, 플랜지부(3a)에 대해서는 하기 식(β)을 기초로, 각각 PTP 필름(25) 상의 좌표계로 변환한다.
Yn/L0 = yn/L1
yn = {Yn×L1}/L0···(α)
Yn/L0 = yn/L2
yn = {Yn×L2}/L0···(β)
단, L0: X선원(51a)과 X선 라인 센서(53a)의 거리,
L1: X선원(51a)과 정제(5)(정제(5)의 중심부)의 거리,
L2: X선원(51a)과 플랜지부(3a)의 거리,
Yn: X선 라인 센서(53a) 상의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 위치,
yn: PTP 필름(25)(정제(5) 또는 플랜지부(3a)) 상의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 위치,
n: 1 이상의 자연수.
한편, 상기 거리(L0), 거리(L1), 거리(L2)는, X선 검사 장치(45)의 설계상의 기지의 값으로, 미리 설정 데이터 기억 장치(76)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Yn은, X선 라인 센서(53a)로부터 취득되는 X선 투과 화상 데이터로부터 판독 가능한 좌표값이다.
다음으로 강도 보정 처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X선 조사 장치(51)로부터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를 향하여 방사상(팬빔상)으로 조사되는 X선의 강도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쇠한다. 이 때문에, PTP 필름(25)의 필름 폭 방향 중앙부보다 필름 폭 방향 외측 근처를 투과하는 X선일수록,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에 의해 검출되는 X선의 투과량이 감소한다. 그 때문에, X선 투과 화상 데이터는, PTP 필름(25)의 필름 폭 방향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필름 폭 방향 외측 근처에 대응하는 위치 쪽이, 휘도값이 낮은 화상 데이터가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PTP 필름(25)의 필름 폭 방향 전역에 있어서, 보다 균일한 휘도가 되도록, X선 투과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의 휘도값을, X선 조사 장치(51) 및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의 위치 관계(거리)에 기초하여 보정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컴퓨터(71)는, 단계 S12에 있어서 이치화 처리를 실행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계 S11에 있어서 취득한 각종 보정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각각 이치화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제 검사용의 보정 화상 데이터를 정제 이상 검지 레벨로 이치화한 이치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것을 정제 검사용의 이치화 화상 데이터로서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에 기억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제1 임계값 δ1 이상을 「1(명부)」, 제1 임계값 δ1 미만을 「0(암부)」으로 하여, 정제 검사용의 보정 화상 데이터가 이치화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아울러, 플랜지부 검사용의 보정 화상 데이터를 플랜지 이상 검지 레벨로 이치화한 이치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것을 플랜지부 검사용의 이치화 화상 데이터로서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에 기억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제2 임계값 δ2 이상을 「1(명부)」, 제2 임계값 δ2 미만을 「0(암부)」으로 하여, 플랜지부 검사용의 보정 화상 데이터가 이치화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컴퓨터(71)는, 단계 S13에 있어서 괴(塊)처리를 실행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계 S12에 있어서 취득한 각종 이치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괴처리를 실행한다.
괴처리로는, 이치화 화상 데이터의 「0(암부)」 및 「1(명부)」에 대하여 각각 연결 성분을 특정하는 처리와, 각각의 연결 성분에 대하여 라벨 붙임을 행하는 라벨 붙임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각각 특정되는 각 연결 성분의 점유 면적은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의 화소에 따른 도트수로 나타내어진다.
다음으로 마이크로컴퓨터(71)는, 단계 S14에 있어서 검사 대상 특정 처리를 실행한다.
상세하게는, 정제 검사용의 이치화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단계 S13의 괴처리에 의해 특정한 「0(암부)」의 연결 성분 중에서, 정제(5)에 상당하는 연결 성분 즉 정제 영역을 특정한다. 정제(5)에 상당하는 연결 성분은, 소정의 좌표를 포함하는 연결 성분, 소정의 형상인 연결 성분, 혹은 소정의 면적인 곳의 연결 성분 등을 판단함으로써 특정할 수 있다.
아울러, 플랜지부 검사용의 이치화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단계 S13의 괴처리에 의해 특정한 「0(암부)」의 연결 성분을, 이물질에 상당하는 연결 성분 즉 이물질 영역으로서 특정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컴퓨터(71)는, 단계 S15에 있어서 마스킹 처리를 실행한다.
상세하게는, 정제 검사용의 이치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시트 프레임을 설정하여 상기 검사 영역(Kb)을 획정하는 동시에, 그 이치화 화상 데이터 상의 10개의 포켓부(2)의 위치에 맞추어 각각 상기 포켓 프레임을 설정하고, 이에 의해 특정된 포켓 영역 이외의 영역, 즉 플랜지부(3a)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하여 마스킹 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마스킹 처리가 행하여진 화상 데이터는, 정제 검사용의 마스킹 화상 데이터로서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에 기억된다.
아울러, 플랜지부 검사용의 이치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시트 프레임을 설정하여 상기 검사 영역(Kb)을 획정하는 동시에, 그 이치화 화상 데이터 상의 10개의 포켓부(2)의 위치에 맞추어 각각 상기 포켓 프레임을 설정하고, 이에 의해 특정된 포켓 영역 내에 대하여 마스킹 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마스킹 처리가 행하여진 화상 데이터는, 플랜지부 검사용의 마스킹 화상 데이터로서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에 기억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 및 상기 포켓 프레임의 설정 위치는, PTP 필름(25)과의 상대 위치 관계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프레임 및 포켓 프레임의 설정 위치가 검사 화상에 따라 그때마다, 위치 조정되는 일은 없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위치 어긋남의 발생 등을 고려하여, 검사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기초로 시트 프레임 및 포켓 프레임의 설정 위치를 적절히 조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컴퓨터(71)는, 단계 S16에 있어서, 전체 포켓부(2)의 정제 양품 플래그의 값에 「0」을 설정한다.
한편, 「정제 양품 플래그」는, 대응하는 포켓부(2)에 수용된 정제(5)의 양부 판정 결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연산 결과 기억 장치(75)에 설정된다. 그리고, 소정의 포켓부(2)에 수용된 정제(5)가 양품 판정된 경우에는, 이것에 대응하는 정제 양품 플래그의 값에 「1」이 설정된다.
계속되는 단계 S17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71)는, 연산 결과 기억 장치(75)에 설정된 포켓 번호 카운터의 값 C에 초기값인 「1」을 설정한다.
한편, 「포켓 번호」란, 1매의 PTP 시트(1)에 관련된 검사 영역(Kb) 내에 있어서의 10개의 포켓부(2) 각각 대응하여 설정된 일련번호로, 포켓 번호 카운터의 값 C(이하, 간단히 「포켓 번호 C」라고 한다)에 의해 포켓부(2)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71)는, 단계 S18에 있어서, 포켓 번호 C가 1 검사 영역(Kb)당(1매의 PTP 시트(1)당)의 포켓수 N(본 실시형태에서는 「10」)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9로 이행하여, 마이크로컴퓨터(71)는, 상기 정제 검사용의 마스킹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의 포켓 번호 C(예를 들어 C=1)에 대응하는 포켓부(2)에 있어서의, 상기 정제 영역(연결 성분)의 면적값이 기준 정제 면적값 Lo 이상인 괴를 추출한다(Lo 미만인 괴를 제거한다).
계속해서, 마이크로컴퓨터(71)는, 단계 S20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2)에 있어서의 괴 개수가 「1」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긍정 판정된 경우, 즉 괴 개수가 「1」인 경우에는, 단계 S21로 이행한다. 한편,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현재의 포켓 번호 C에 대응하는 포켓부(2)에 수용된 정제(5)가 불량품이라고 간주하고, 그대로 단계 S23으로 이행한다.
단계 S21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71)는, 정제(5)의 형상, 길이, 면적 등이 적정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22로 이행한다. 한편,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현재의 포켓 번호 C에 대응하는 포켓부(2)에 수용된 정제(5)가 불량품이라고 간주하고, 그대로 단계 S23으로 이행한다.
단계 S22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71)는, 현재의 포켓 번호 C에 대응하는 포켓부(2)에 수용된 정제(5)가 양품이라고 간주하여, 그 포켓 번호 C에 대응한 정제 양품 플래그의 값에 「1」을 설정하고, 단계 S23으로 이행한다.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71)는, 단계 S23에 있어서 현재의 포켓 번호 C에 「1」을 더한 후, 단계 S18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새롭게 설정한 포켓 번호 C가 아직 포켓수 N(본 실시형태에서는 「10」) 이하인 경우에는, 다시 단계 S19로 이행하고, 상기 일련의 정제 검사 처리를 반복 실행한다.
한편, 새롭게 설정한 포켓 번호 C가 포켓수 N을 초과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모든 포켓부(2)에 수용된 정제(5)에 관한 양부 판정 처리가 종료되었다고 간주하고, 단계 S24로 이행한다.
단계 S24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71)는, 플랜지부(3a)가 양품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세하게는, 플랜지부 검사용의 마스킹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예를 들어 플랜지부(3a)의 영역 내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지의 여부 등을 판정한다.
여기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25로 이행한다. 한편, 부정 판정된 경우 즉 플랜지부(3a)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그대로 단계 S27로 이행한다.
단계 S25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71)는, 검사 영역(Kb) 내의 전체 포켓부(2)의 정제 양품 플래그의 값이 「1」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에 의해, 그 검사 영역(Kb)에 대응하는 PTP 시트(1)가 양품인지, 불량품인지 판정한다.
여기서 긍정 판정된 경우, 즉 검사 영역(Kb) 내의 모든 포켓부(2)에 수용된 정제(5)가 「양품」이고, 「불량품」 판정된 정제(5)(포켓부(2))가 1개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26에 있어서, 그 검사 영역(Kb)에 대응하는 PTP 시트(1)를 「양품」이라고 판정하고, 본 검사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단계 S25에 있어서 부정 판정된 경우, 즉 검사 영역(Kb) 내에 「불량품」 판정된 정제(5)(포켓부(2))가 1개라도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 S27로 이행한다.
단계 S27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71)는, 그 검사 영역(Kb)에 대응하는 PTP 시트(1)를 「불량품」이라고 판정하고, 본 검사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단계 S26의 양품 판정 처리, 및 단계 S27의 불량품 판정 처리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71)는, 그 검사 영역(Kb)에 대응하는 PTP 시트(1)에 관한 검사 결과를 연산 결과 기억 장치(54)에 기억하는 동시에, PTP 포장기(10)(불량 시트 배출 기구를 포함한다)에 대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단계 S12∼단계 S27의 일련의 처리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검사 공정」이 구성되고, 이러한 처리를 실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71)의 기능에 의해 「검사 수단」이 구성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연속 반송되는 PTP 필름(25)에 대하여 X선 조사 장치(51)로부터 X선을 조사하면서, PTP 필름(25)이 소정량 반송될 때마다, PTP 필름(25)을 투과한 X선을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에 의해 촬상하고, 취득된 X선 투과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PTP 시트(1)에 관한 검사가 행하여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PTP 시트(1)에 관한 검사를 행하기 전에,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에 의해 취득한 X선 투과 화상 데이터의 좌표계를 PTP 필름(25)의 좌표계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PTP 필름(25)의 필름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의 차이에 의해 정제(5)가 다른 크기로 확대 투영된 X선 투과 화상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각종 검사 항목(정제 검사 및 플랜지부 검사)에 대하여, 각각 PTP 시트(1) 전역(검사 범위(WA) 전역)에 공통된 판정 기준을 기초로 양부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동일한 검사 항목에 관련된 판정 기준을 PTP 필름(25)의 필름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각 위치마다 구분하여 복수 설정하지 않고, PTP 시트(1) 전역(검사 범위(WA) 전역)에 있어서 균일한 검사를 행할 수 있다. 결과로서, 검사 정밀도의 저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실시해도 된다. 물론, 이하에 있어서 예시하지 않는 다른 응용예, 변경예도 당연히 가능하다.
(a) 시트상 포장체(포장 시트)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PTP 시트(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SP 시트를 검사 대상으로 해도 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SP 시트(90)는, 알루미늄을 기재로 한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띠상의 2매의 필름(91, 92)을 중첩해 가는 동시에, 양 필름(91, 92) 사이에 정제(5)를 충전하면서, 그 정제(5)의 주위에 주머니상의 수용 공간(93)을 남기도록, 그 수용 공간(93)의 주위(도 10 중의 망점 모양 부분)의 양 필름(91, 92)을 접합함으로써 띠상 포장체로 한 후에, 그 띠상 포장체를 직사각형 시트상으로 분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SP 시트(90)에는, 1개의 수용 공간(93)을 포함하는 시트 소편(94) 단위로 분리 가능하게 하기 위한 분리선으로서, 시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세로 절취선(95), 및 시트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로 절취선(96)이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SP 시트(90)에는, 시트 길이 방향 일단부에 있어서, 각종 정보(본 실시형태에서는 「ABC」의 문자)가 인쇄된 태그부(97)가 부설되어 있다.
(b) PTP 시트(1) 단위의 포켓부(2)의 배열이나, 개수도 상기 실시형태의 양태(2열, 10개)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3열 12개의 포켓부(2)(수용 공간(2a))를 갖는 타입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배열, 개수로 이루어지는 PTP 시트를 채용할 수 있다(상기 SP 시트에 대해서도 동일). 물론, 1개의 시트 소편에 포함되는 포켓부(수용 공간)의 수도 상기 실시형태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PTP 시트(1)에는, 분리선으로서, PTP 시트(1)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절삭이 단속적으로 늘어선 절취선(7)이 형성되어 있으나, 분리선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의 재질 등에 따라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면 대략 V자상의 슬릿(하프컷선)과 같은 비관통의 분리선을 형성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절취선(7) 등의 분리선이 형성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PTP 시트(1)의 주연부에 있어서, 절취선(7)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잘록부(8)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잘록부(8)를 생략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d)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재질이나 층 구조 등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필름(3)이나 커버 필름(4)에 관련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를 기재로 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재질의 것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가시광 등을 투과하지 않는 합성 수지 재료 등을 채용해도 된다.
(e) 띠상 포장체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PTP 시트(1)를 PTP 필름(25)의 폭 방향으로 2매 동시에 제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것 대신에, PTP 필름(25)의 폭 방향으로 1매, 또는 3매 이상 제조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단, 포켓부(2)의 배치 레이아웃이, PTP 필름(25)의 필름 폭 방향 중앙부를 중심으로, 필름 폭 방향으로 대칭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PTP 필름(25)은, 필름 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2개의 시트 블랭킹 범위(Ka) 사이에 중앙 스크랩(25a)이 개재하는 레이아웃으로 되어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스크랩(25a)을 생략하고, 필름 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2개의 PTP 시트(1)의 태그부(9)에 대응하는 영역끼리가 직접 연결된 레이아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PTP 필름(25)에 있어서, 필름 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2개의 PTP 시트(1)는, 각각 태그부(9)가 필름 폭 방향 중앙부를 향하고, 중앙 스크랩(25a)에 인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2개의 PTP 시트(1)의 태그부(9)가 각각 필름 폭 방향 외측을 향하고, 측부 스크랩(25b)에 인접한 레이아웃으로 해도 된다.
(f) 전자파 조사 수단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자파로서 X선을 조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테라헤르츠 전자파 등, PTP 필름(25)을 투과하는 다른 전자파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g) 촬상 수단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촬상 수단으로서 신틸레이터를 사용한 CCD 카메라(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를 채용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X선을 다이렉트로 입사하여 촬상하는 카메라를 채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촬상 수단으로서 CCD를 1열로 나열한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를 채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PTP 필름(25)의 필름 반송 방향으로 CCD열(검출 소자열)을 복수열 구비한 X선 에어리어 센서 카메라, 예를 들어 X선 TDI(Time Delay Integration) 카메라를 채용해도 된다. 이에 의해, 검사 정밀도 및 검사 효율의 가일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h) X선 검사 장치(45)의 배치 위치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PTP 필름(25)이 상하 방향으로 반송되는 위치에 있어서 X선 검사 장치(45)가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PTP 필름(25)이 수평 방향으로 반송되는 위치나, 경사지게 반송되는 위치에 X선 검사 장치(45)를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PTP 필름(25)으로부터 PTP 시트(1)가 블랭킹되는 것보다 전공정에 있어서 X선 검사 장치(45)에 의한 X선 검사가 행하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PTP 필름(25)으로부터 PTP 시트(1)가 블랭킹된 후공정에 있어서, 컨베이어(39)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PTP 시트(1)에 대하여 검사를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때, 검사 장치(45)가 PTP 포장기(10) 내에 설치된 구성(인라인) 대신에, PTP 포장기(10)와는 별도로, 오프라인에서 PTP 시트(1)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검사 장치(45)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PTP 시트(1)를 반송 가능한 반송 수단을 검사 장치(45)에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단, 오프라인에서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검사 대상이 되는 PTP 시트(1)의 위치나 방향이 검사 장치(45)에 대하여 일정해지지 않기 때문에, 검사를 행함에 있어서, 사전에 PTP 시트(1)의 위치나 방향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검사 속도 및 검사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근년, PTP 시트(1)의 제조 분야 등에 있어서는, 생산 속도의 고속화에 따라, 각종 검사의 고속화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PTP 포장기(10) 상에서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1초당 100개 이상의 정제(5)를 처리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인라인에서 검사를 실행하는 편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함에 있어서는 바람직하다.
(i) 전자파 조사 수단 및 촬상 수단의 배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X선 조사 장치(51)가 PTP 필름(25)의 용기 필름(3)측에 배치되고,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가 PTP 필름(25)의 커버 필름(4)측에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양자의 위치 관계를 반대로 하여, X선 조사 장치(51)를 커버 필름(4)측에 배치하고,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를 용기 필름(3)측에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용기 필름(3)」이 「제2 필름」을 구성하고, 「커버 필름(4)」이 「제1 필름」을 구성하게 된다.
(j) X선 검사 장치(45)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PTP 필름(25)의 크기나 레이아웃 등에 맞추어, X선 조사 장치(51) 및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 중 적어도 일방을, 필름 폭 방향, 필름 반송 방향 및 필름 법선 방향 중 적어도 1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한 위치 조정 기구(위치 조정 수단)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X선 검사 장치(45)의 범용성을 높이는 동시에, 검사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k) 또한, X선 검사 장치(45)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는 등을 하여, PTP 필름(25)을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측에 볼록해지도록 원호상으로 만곡시켜, PTP 필름(25)(정제(5) 또는 플랜지부(3a))의 필름 폭 방향의 각 위치가 X선 조사 장치(51)로부터 동등해진 상태에서 반송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도 13 참조).
이에 의해, PTP 필름(25)(정제(5) 또는 플랜지부(3a))의 필름 폭 방향의 각 위치에 대한 X선의 입사각의 차를 극력 작게 하거나 또는 없앨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 하, X선 투과 화상 데이터의 좌표계(X선 라인 센서(53a) 상의 좌표계)를 PTP 필름(25) 상의 좌표계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 처리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PTP 필름(25)(정제(5) 또는 플랜지부(3a))의 좌표계는, 만곡된 PTP 필름(25)을 따른 원호상의 좌표계로, 이 원호상의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 위치를 「En」으로 하면, 정제(5)에 대해서는 하기 식(α´)을 기초로, 플랜지부(3a)에 대해서는 하기 식(β´)을 기초로, 각각 구할 수 있다.
Yn/L0 = tanφ(Yn)
φ(Yn) = arctan(Yn/L0)
En = 2π×Ra×φ(Yn)/2π···(α´)
En = 2π×Rb×φ(Yn)/2π···(β´)
단, L0: X선원(51a)과 X선 라인 센서(53a)의 거리,
Ra: X선원(51a)과 정제(5)(정제(5)의 중심부)의 거리,
Rb: X선원(51a)과 플랜지부(3a)의 거리,
Yn: X선 라인 센서(53a) 상의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 위치,
φ(Yn): 좌표 위치 Yn에 입사하는 X선의 입사각,
n: 1 이상의 자연수.
한편, 상기 거리(L0), 거리(Ra), 거리(Rb)는, X선 검사 장치(45)의 설계상의 기지의 값으로, 미리 설정 데이터 기억 장치(76)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Yn은, X선 라인 센서(53a)로부터 취득되는 X선 투과 화상 데이터로부터 판독 가능한 좌표값이다.
다음으로, PTP 필름(25)을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측에 볼록해지도록 원호상으로 만곡시키는 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X선은 X선 조사 장치(51)로부터 방사상으로 조사되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PTP 필름(25)이 필름 폭 방향을 따라 수평인 상태에서 반송되고 있는 경우, 그 PTP 필름(25)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벗어난 위치의 정제(5)에 대해서는, X선이 경사지게 조사되게 된다. 또한, PTP 필름(25)의 필름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정제(5)의 위치의 차이에 의해, 각 정제(5)에 대한 X선의 입사각도 다르다.
여기서, 만일 각 정제(5)에 대하여 평행광을 경사지게 조사하여 소정의 촬상 수단으로 평행 투영한 경우라도, 정제(5)의 형상에 따라서는, 촬상 수단에 투영되는 정제(5)의 상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평행광의 입사각의 차이에 의해, 투영 상의 크기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5)가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렌즈정인 경우, 평행광의 입사각에 의한 투영 상의 크기로의 영향은 거의 없음과 다름없다([정제(5)의 실제의 사이즈(R1)] ≒ [투영 상의 사이즈(R2)]).
한편,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5)가, 단면 직사각형상이 되는 원통형의 태블릿정인 경우, 평행광의 입사각에 의한 정제(5)의 투영 상으로의 영향은 비교적 커진다([정제(5)의 실제의 사이즈(R1)] < [투영 상의 사이즈(R3)]). 특히 정제(태블릿정)(5)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그 영향은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R1 << R3).
이에 대하여, 상기 단계 S11의 좌표 변환 처리에 더하여, 상술한 평행광의 입사각에 의한 정제(5)의 투영 상으로의 영향을 가미하여, X선 투과 화상 데이터를 필름 폭 방향 복수 개소에 위치하는 정제(5)마다 보정(R3→R1)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보정을 행하는 구성 하,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일 포켓부(2) 내에 있어서 정제(태블릿정)(5)의 자세가 기울어져 있었을 경우에는, 보정된 정제(5)의 사이즈(도 15의 이점 쇄선 참조)가 겉보기 상, 작아져 버려, 적절하게 검사를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PTP 필름(25)을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측에 볼록해지도록 원호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PTP 필름(25)의 필름 폭 방향 복수 개소에 위치하는 정제(5)에 대한 X선의 입사각의 차를 극력 작게 하거나 또는 없앨 수 있다. 결과로서, 상기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l)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선 검사 장치(45)에 있어서, X선 조사 장치(51)가 PTP 필름(25)의 커버 필름(4)측에 배치되고,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가 PTP 필름(25)의 용기 필름(3)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가이드 수단을 사용하는 등을 하여, PTP 필름(25)을 X선 조사 장치(51)측에 볼록해지도록 원호상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반송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포켓부(2)의 돌출측이, 원호상으로 만곡된 PTP 필름(25)의 내측(오목측)에 위치한 상태가 되어, 보다 좁은 폭 범위 내에 PTP 필름(25) 전체가 들어간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X선 조사 장치(51)로부터 조사되는 X선의 조사각(폭 방향으로의 확산)을 종래와 비교하여 크게 하지 않고, X선의 조사 범위 내에 PTP 필름(25) 전체를 유지하면서도, X선 조사 장치(51)와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의 거리(L4)를 상기 실시형태의 거리(L0)보다 짧게 할 수 있다. 결과로서, X선 검사 장치(45)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동시에, X선 조사 장치(51)와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3)의 거리가 가까워짐으로써, 검사에 필요한 X선 투과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쉬워져, 검사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X선 조사 장치(51)로서, 보다 출력이 작은 소형의 것을 채용할 수 있어, 검사 장치의 가일층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m) 또한, X선 검사 장치(45)에 있어서, 포켓부(2)의 돌출측이 하방을 향하도록 PTP 필름(25)이 반송되는 동시에, 포켓부(2)의 돌출측 단면(정상부)이 외측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만곡된 구성으로 하면, 정제(5)의 표면이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정과 같이 만곡되어 있는 경우에, 그 정제(5)의 자세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어, 가일층의 검사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1…PTP 시트, 1a…시트 본체부, 2…포켓부, 2a…수용 공간, 3…용기 필름, 4…커버 필름, 5…정제, 6…시트 소편, 7…절취선, 8…잘록부, 9…태그부, 10…PTP 포장기, 25…PTP 필름, 25a…중앙 스크랩, 25b…측부 스크랩, 45…X선 검사 장치, 51…X선 조사 장치, 51a…X선원, 53…X선 라인 센서 카메라, 54…제어 처리 장치, 71…마이크로컴퓨터, 74…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 L0…X선원과 X선 라인 센서의 거리, L1…X선원과 정제의 거리, L2…X선원과 플랜지부의 거리, Yn…X선 라인 센서 상의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 위치, yn…PTP 필름 상의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 위치.

Claims (10)

  1.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 필름과,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 필름이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양 필름간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 내에 정제가 수용된 포장체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치로서,
    소정 방향을 따라 반송되고 또한 상기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복수 개소에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된 상기 포장체에 대하여, 상기 제1 필름측으로부터 소정의 전자파를 조사 가능한 전자파 조사 수단과,
    상기 포장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필름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포장체를 투과한 전자파를 검출 가능한 복수의 검출 소자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늘어서는 전자파 검출 수단을 갖고, 상기 포장체가 소정량 반송될 때마다 취득되는 전자파 투과 화상을 순차 출력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은,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전자파 투과 화상의 좌표계를,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 상기 포장체 및 상기 촬상 수단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포장체의 좌표계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 수단과,
    상기 좌표 변환 수단에 의해 상기 포장체의 좌표계로 변환된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을 기초로, 상기 포장체에 관한 검사를 실행 가능한 검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를 상기 촬상 수단측에 볼록해지도록 상기 폭 방향으로 원호상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는, 상기 촬상 수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필름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포켓부가 상기 촬상 수단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프레스 스루 패키지로서,
    상기 포장체를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측에 볼록해지도록 상기 폭 방향으로 원호상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는, 띠상의 상기 제1 필름과 띠상의 상기 제2 필름이 장착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그 폭 방향 2개소에 설정된 시트 분리 범위로부터 각각 시트상 포장체가 분리되기 전의 띠상 포장체로서,
    상기 띠상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2개의 시트상 포장체는,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상기 띠상 포장체의 폭 방향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기 폭 방향으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각각 태그부가 상기 띠상 포장체의 폭 방향 중앙부측 또는 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의 각 화소의 값을,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 및 상기 촬상 수단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강도 보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변환 수단은,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전자파 투과 화상의 좌표계를, 적어도 상기 정제를 기준으로 한 좌표계, 및 상기 수용 공간의 둘레에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한 좌표계로 변환하고,
    상기 검사 수단은,
    상기 포장체에 관한 검사로서, 적어도 상기 정제를 기준으로 한 좌표계로 변환된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을 기초로 상기 정제에 관한 검사를 실행하고, 또한, 상기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한 좌표계로 변환된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을 기초로 상기 플랜지부에 관한 검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가 X선 또는 테라헤르츠 전자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이 알루미늄을 기재로 하여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검사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
  10.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 필름과,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 필름이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양 필름간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 내에 정제가 수용된 포장체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방법으로서,
    소정 방향을 따라 반송되고 또한 상기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복수 개소에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된 상기 포장체에 대하여, 상기 제1 필름측에 배치된 소정의 전자파 조사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전자파를 조사하는 조사 공정과,
    상기 포장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필름측에 배치된 소정의 촬상 수단에 의해, 상기 포장체를 투과한 전자파를 검출하여 취득되는 전자파 투과 화상을 상기 포장체가 소정량 반송될 때마다 순차 출력하는 촬상 공정과,
    상기 촬상 공정에서 취득된 전자파 투과 화상의 좌표계를,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 상기 포장체 및 상기 촬상 수단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포장체의 좌표계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 공정과,
    상기 좌표 변환 공정에서 상기 포장체의 좌표계로 변환된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을 기초로, 상기 포장체에 관한 검사를 실행하는 검사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방법.
KR1020217029893A 2019-05-16 2020-03-17 검사 장치, 포장기 및 포장체의 검사 방법 KR102547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92745 2019-05-16
JP2019092745A JP6763059B1 (ja) 2019-05-16 2019-05-16 検査装置、包装機及び包装体の検査方法
PCT/JP2020/011757 WO2020230446A1 (ja) 2019-05-16 2020-03-17 検査装置、包装機及び包装体の検査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735A KR20210126735A (ko) 2021-10-20
KR102547746B1 true KR102547746B1 (ko) 2023-06-23

Family

ID=7261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893A KR102547746B1 (ko) 2019-05-16 2020-03-17 검사 장치, 포장기 및 포장체의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33742B2 (ko)
JP (1) JP6763059B1 (ko)
KR (1) KR102547746B1 (ko)
DE (1) DE112020002419T5 (ko)
TW (1) TWI729759B (ko)
WO (1) WO20202304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5440S1 (en) * 2020-06-29 2022-10-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ack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3505A (ja) 2009-08-03 2011-02-17 Ishida Co Ltd X線検査装置
JP2013253832A (ja) * 2012-06-06 2013-12-19 Anritsu Sanki System Co Ltd X線検査装置
JP2014085190A (ja) * 2012-10-23 2014-05-12 Ckd Corp 錠剤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2016024096A (ja) * 2014-07-22 2016-02-08 株式会社イシダ 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320A (ja) * 1993-03-15 1995-02-14 Hitachi Ltd X線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並びにプレプレグの検査方法および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
US7738687B2 (en) * 2005-04-07 2010-06-15 L-3 Communications Security And Detection Systems, Inc. Method of registration in a contraband detection system
DE602008002143D1 (de) * 2008-02-15 2010-09-23 Panalytical Bv Erkennung von gefälschten Medikamenten in Blisterpackungen durch winkeldispersive Röntgenbeugung
DE102010038544A1 (de) * 2009-10-19 2011-04-21 Robert Bosch Gmbh Sensorvorrichtung für eine Verpackungsmaschine
JP2011149738A (ja) * 2010-01-19 2011-08-04 Saki Corp:Kk 補正用治具を用いた検査装置の補正方法、補正用治具を搭載した検査装置
JP5357203B2 (ja) * 2011-04-15 2013-12-04 Ckd株式会社 錠剤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US9710901B2 (en) * 2013-07-16 2017-07-18 Qualicap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rking edible object
JP6062584B1 (ja) * 2016-01-26 2017-01-18 Ckd株式会社 Ptp包装機
JP6450815B1 (ja) * 2017-08-24 2019-01-09 Ckd株式会社 外観検査装置及びブリスター包装機
JP6411599B1 (ja) * 2017-08-24 2018-10-24 Ckd株式会社 ブリスター包装機
JP6568245B2 (ja) * 2018-01-24 2019-08-28 Ckd株式会社 検査装置、ptp包装機、及び、検査装置の較正方法
JP6706301B2 (ja) * 2018-09-28 2020-06-03 Ckd株式会社 検査装置、ptp包装機及びptpシートの製造方法
JP6786565B2 (ja) * 2018-10-10 2020-11-18 Ckd株式会社 検査装置、ptp包装機及びptpシートの製造方法
JP6766216B1 (ja) * 2019-04-24 2020-10-07 Ckd株式会社 検査装置、包装シート製造装置及び包装シート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3505A (ja) 2009-08-03 2011-02-17 Ishida Co Ltd X線検査装置
JP2013253832A (ja) * 2012-06-06 2013-12-19 Anritsu Sanki System Co Ltd X線検査装置
JP2014085190A (ja) * 2012-10-23 2014-05-12 Ckd Corp 錠剤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2016024096A (ja) * 2014-07-22 2016-02-08 株式会社イシダ 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33742B2 (en) 2024-03-19
WO2020230446A1 (ja) 2020-11-19
CN113711020A (zh) 2021-11-26
KR20210126735A (ko) 2021-10-20
DE112020002419T5 (de) 2022-02-10
JP2020187045A (ja) 2020-11-19
US20220050066A1 (en) 2022-02-17
TW202111317A (zh) 2021-03-16
TWI729759B (zh) 2021-06-01
JP6763059B1 (ja) 202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1599B1 (ja) ブリスター包装機
CN111033241B (zh) 外观检查装置和泡罩包装机
TWI736140B (zh) 檢查裝置、包裝薄片製造裝置及包裝薄片製造方法
JP6613353B2 (ja) 外観検査装置及びブリスター包装機
KR102547746B1 (ko) 검사 장치, 포장기 및 포장체의 검사 방법
CN113711020B (zh) 检查装置、包装机及包装体的检查方法
KR102547758B1 (ko) 검사 장치 및 포장체 제조 장치
TWI756693B (zh) 檢查裝置、包裝體製造裝置及包裝體製造方法
KR102474227B1 (ko) 검사 장치, 포장 시트 제조 장치 및 포장 시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