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884B1 -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884B1
KR102324884B1 KR1020190178780A KR20190178780A KR102324884B1 KR 102324884 B1 KR102324884 B1 KR 102324884B1 KR 1020190178780 A KR1020190178780 A KR 1020190178780A KR 20190178780 A KR20190178780 A KR 20190178780A KR 102324884 B1 KR102324884 B1 KR 102324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type
roller
unit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9801A (ko
Inventor
이구현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엘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엘티지 filed Critical (주)에스엘티지
Priority to KR1020190178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88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9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08Capsules; Tabl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01Optical details; Scanning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이송롤러들이 연속배열되고, 각각의 이송롤러가 또는 연속배열에 의해 루프형으로 형성된 롤러집합체가 회전하며 일측에서 투입되는 캡슐형 제품들을 타측으로 이송하고, 이송 중인 캡슐형 제품들이 촬영되는 촬영구간을 포함하는 이송롤러유닛; 촬영구간의 상부에 또는 촬영구간 중 루프형 롤러연속배열면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되며 캡슐형 제품들의 외관을 촬영하는 카메라 유닛; 촬영구간의 하부에서 또는 촬영구간 중 루프형 롤러연속배열면 기준으로 내측에서 캡슐형 제품들을 향해 조명하는 조명유닛; 카메라 유닛의 촬영영상으로부터 캡슐형 제품들 중 외관 불량품을 판독하고 판독결과에 의한 분리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이송롤러유닛의 타측 부위에 설치되고 이송롤러유닛을 통해 이송된 캡슐형 제품들을 제어에 따라 불량품과 양품으로 분리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고, 이송롤러 각각은 이송롤러 사이의 홈영역에 위치된 캡슐형 제품들과 적어도 단면상 중첩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며 제1 영역보다 넓은 제2 영역에서 조명유닛의 조명광을 투과시키고, 조명광의 변색에 따라 촬영영상에서 제2 영역이 변색되어 캡슐형 제품들의 외관경계와의 구분이 용이한 배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가 제안된다.

Description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APPEARANCE OF CAPSULE TYPE PRODUCTS}
본 발명은 제품 외관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제나 캡슐 등의 약품은 검사장치에 의한 외관 검사과정을 거친 후에 제품으로 최종 출하된다. 외관 검사 과정에서, 표면 불량, 모서리 불량, 각인 불량 등과 같은 흠결을 검사한다. 약품 외의 소형물품도 약품과 마찬가지로 외관 검사가 요구될 수 있다.
통상, 소형물품 외관 검사 장치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정제(tablet) 또는 캡슐 등의 약품과 같은 소형물품을 촬영하여 표면의 영상을 얻고, 이것을 분석하여 흠결 여부를 판정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통상적인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는 회전드럼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소형물품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홈 내지 수용홈을 형성시킨 2대의 상하구조 회전드럼을 구비하여 외관검사 대상물품을 둘레에 흡착시켜 회전시키고 외관의 일측면을 촬영 후 다른 회전드럼으로 소형물품을 전달하여 반대면을 촬영함으로써 외관 검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흡착형 회전드럼 방식의 외관검사장치 외에 이송롤러를 이용한 비흡착형 외관검사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이송롤러를 이용한 외관검사장치의 경우 이송롤러의 색상이 정해져 있는 반면, 캡슐형 제품들의 색상은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져 있어, 일부 제품들의 경우 제품색상과 촬영영상에서 제품의 배경이되는 이송롤러의 색상이 비슷해지는 등의 이유로 경계구분이 어려워질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66959호 (2001년 7월 11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8632호 (2012년 3월 5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5643호 (2019년 10월 14일 공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138429호 (2004년 5월 13일 공개)
전술한 바와 같이, 외관 검사가 요구되는 캡슐형 제품들에서 외관검사를 위해 카메라로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 캡슐형 제품들의 색상에 따라 외관경계와의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조명광이 캡슐형 제품들을 이송하는 이송롤러를 투과하도록 하되 조명광의 색을 캡슐형 제품의 색과 다르게 하도록 하여 캡슐형 제품들의 외관경계와의 구분이 용이한 배경을 형성시킴으로써 다양한 컬러의 캡슐형 제품의 외관검사 시 제품외관 구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이송롤러들이 연속배열되고, 각각의 이송롤러가 또는 연속배열에 의해 루프형으로 형성된 롤러집합체가 회전하며 일측에서 투입되는 캡슐형 제품들을 타측으로 이송하고, 이송 중인 캡슐형 제품들이 촬영되는 촬영구간을 포함하는 이송롤러유닛; 촬영구간의 상부에 또는 촬영구간 중 루프형 롤러연속배열면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되며 캡슐형 제품들의 외관을 촬영하는 카메라 유닛; 촬영구간의 하부에서 또는 촬영구간 중 루프형 롤러연속배열면 기준으로 내측에서 캡슐형 제품들을 향해 조명하는 조명유닛; 카메라 유닛의 촬영영상으로부터 캡슐형 제품들 중 외관 불량품을 판독하고 판독결과에 의한 분리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이송롤러유닛의 타측 부위에 설치되고 이송롤러유닛을 통해 이송된 캡슐형 제품들을 제어에 따라 불량품과 양품으로 분리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고, 이송롤러 각각은 단면상 바깥쪽으로부터 내측으로의 제2 영역에서 조명유닛의 조명광을 투과시키되, 제2영역은 이송롤러 사이의 홈영역에 위치된 캡슐형 제품들과 적어도 단면상 중첩되는 바깥쪽으로부터 내측으로의 제1 영역을 포함하며 제1 영역보다 넓은 영역이고, 조명광의 변색에 따라 촬영영상에서 제2 영역이 변색되어 캡슐형 제품들의 외관경계와의 구분이 용이한 배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가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캡슐형 제품은 자연광의 일부색을 제외시켜 투과시키고, 이송롤러 각각은 적어도 제2 영역이 투명한 투명 이송롤러들이고, 조명유닛의 조명광은 이송 중인 캡슐형 제품의 색상과 다른 계열색의 빛일 수 있다.
이때, 조명유닛은 수동 교환되는 컬러필터 내지 제어에 따라 컬러필터가 교체되는 컬러필터 세트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캡슐형 제품은 연질캡슐 약품일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조명광은 이송 중인 캡슐형 제품의 색상과 보색 계열의 빛일 수 있다.
삭제
또 하나의 예에서, 제어유닛은 초기 조명 상태에서 획득한 카메라 유닛의 촬영영상으로부터 캡슐형 제품의 색상을 판독하고 판독결과에 따라 캡슐형 제품의 색상과 다른 계열색의 빛이 조명되도록 조명유닛을 제어하여 컬러필터 세트의 컬러필터를 교체시키는 과정을 적어도 1회 수행하거나 또는 피드백을 통해 2회 이상 설정범위 내로 반복 수행하여 제2 영역이 캡슐형 제품들의 외관경계와의 구분이 용이한 배경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이송롤러유닛의 제품 이송구간 중 적어도 촬영구간에서 이송롤러들의 자체회전에 따라 촬영구간을 지나는 캡슐형 제품들이 회전하며 촬상면이 변경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이송롤러유닛의 이송롤러들은 제품 이송구간의 전구간에서 구동에 따라 제자리에서 자체회전하여 캡슐형 제품들을 홈영역에서 다음 홈영역으로 이동시키며 이송시키고, 촬영구간의 이송과정에서 이송롤러들의 제자리 자체회전에 따라 캡슐형 제품들이 회전하며 촬상면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롤러집합체가 구동에 따라 회전하고, 롤러집합체의 회전에 의한 이송롤러들의 촬영구간 이동 중 이송롤러들의 별도 자체회전에 따라 홈영역의 제자리에서 캡슐형 제품들이 회전하며 촬상면이 변경되고, 이송롤러유닛은 롤러집합체 외에 롤러집합체의 루프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고 촬영구간의 이송롤러들의 별도 자체회전에 기여하는 롤러회전 기여체를 더 포함하고, 롤러회전 기여체는 촬영구간의 이송롤러들의 외주면과 외측으로 맞닿는 회전 내지 무회전 접촉면을 구비하거나 촬영구간의 이송롤러들의 일측에 구비되는 기어 내지 풀리구조에 체결되는 동력전달기구를 구비하고, 이송롤러들의 별도 자체회전은 롤러집합체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회전 접촉면의 회전, 루프 외측에 설치되는 무회전 접촉면과의 마찰 내지 동력전달기구의 회전에 의해 롤러집합체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수행되거나, 또는 롤러집합체의 회전방향과 반대인 회전 접촉면의 회전, 루프 내측에 설치되는 무회전 접촉면과의 마찰 내지 동력전달기구의 회전에 의해 롤러집합체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배출 유닛은: 이송롤러유닛의 타측부위의 롤러연속배열면 기준 하부측 내지 내측에 다수의 에어홀을 구비하고, 제어유닛의 불량품 판독에 의한 제어에 따라, 블로윙 구간을 지나는 불량품의 위치에 대응하는 에어홀 각각을 통해 홈영역 하부의 롤러 간극으로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블로워; 및 이송롤러유닛의 타측부위의 롤러연속배열면 기준 상부측 내지 외측에 설치되며 에어블로워의 배출 에어에 의해 블로윙되는 불량품들을 배출시키는 불량품 배출구를 포함하고, 제어유닛의 판독결과 양품으로 판독된 양품들은 블로윙 구간의 후단 영역에서 분리 배출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명광이 캡슐형 제품들을 이송하는 이송롤러를 투과하도록 하되 조명광의 색을 캡슐형 제품의 색과 다르게 하도록 하여 캡슐형 제품들의 외관경계와의 구분이 용이한 배경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컬러의 캡슐형 제품의 외관검사 시 제품외관 구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의 주요부분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에 따른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의 개략적인 일부 단면 내지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모양, 크기, 두께 등은 기술적 특징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에 따라 일부 구성들이 생략되어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하나의 도면을 가지고 설명함에 있어 도면 상에 직접 도시되지 않더라도 다른 도면에서 도시되고 있는 구성을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고 다른 도면에 도시된 구성의 도면번호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의 주요부분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에 따른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의 개략적인 일부 단면 내지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는 후술되는 구성들의 조합 내지 결합을 통해 캡슐형 제품들(1)의 외관을 검사하고 불량품과 양품을 분리한다.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에서 검사되는 캡슐형 제품(1)은 제조 공정이나 필요에 따라 외관 검사에 필요한 물품으로, 회전드럼의 흡착에 의해 흡착 이송되며 촬영되어 검사되거나 다수의 제품들이 동시에 이송롤러(11)를 통해 이송되며 촬영되어 검사될 수 있다. 예컨대, 검사대상 캡슐형 제품(1)은 캡슐형 약품(1)일 수 있고, 캡슐 타입 약품 외의 소형물품도 본 발명에 하나의 예에 따른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의 검사 대상 물품으로서 외관 검사가 요구될 수 있다. 캡슐 타입은 하드캡슐(경질캡슐)과 소프트캡슐(연질캡슐)이 있다. 이러한 약품은 외관이 훼손되는 경우 용량에 차이가 있을 수 있고 각인이나 다른 인쇄로 표시된 부분이 훼손되는 경우 약품 식별이 어려워 잘못 처방되거나 복용될 위험 등이 있으므로, 외관에 대한 검사가 중요하다. 즉, 검사대상 제품이 캡슐형 약품(1)인 경우 외관 훼손, 인쇄 훼손, 각인 훼손 등의 불량을 외관 검사를 통해 분리해내는 것이 중요하고, 이러한 외관 검사 및 불량품의 분리를 위해 본 발명의 하나에 따른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가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나의 예에 따른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는 이송롤러유닛(10), 카메라유닛(30), 조명유닛(50),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 및 배출유닛(70)을 포함한다. 이때, 이송롤러유닛(10)은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이송롤러들(11)이 연속배열되고, 각각의 이송롤러(11)가 또는 연속배열에 의해 루프형으로 형성된 롤러집합체(12)가 회전하며 일측에서 투입되는 캡슐형 제품들(1)을 타측으로 이송하고, 이송 중인 캡슐형 제품들(1)이 촬영되는 촬영구간(10b)을 포함한다. 카메라유닛(30)은 촬영구간(10b)의 상부에 또는 촬영구간(10b) 중 루프형 롤러연속배열면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되며 캡슐형 제품들(1)의 외관을 촬영한다. 조명유닛(50)은 촬영구간(10b)의 하부에서 또는 촬영구간(10b) 중 루프형 롤러연속배열면 기준으로 내측에서 캡슐형 제품들(1)을 향해 조명한다.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은 카메라 유닛(30)의 촬영영상으로부터 캡슐형 제품들(1) 중 외관 불량품을 판독하고 판독결과에 의한 분리 배출을 제어한다. 그리고 배출유닛(70)은 이송롤러유닛(10)의 타측 부위에 설치되고 이송롤러유닛(10)을 통해 이송된 캡슐형 제품들(1)을 제어에 따라 불량품과 양품으로 분리 배출시킨다. 이때, 이송롤러(11) 각각은 제2 영역(11b)에서 조명유닛(50)의 조명광을 투과시킨다. 제2 영역(11b)은 이송롤러 사이의 홈영역(11d)에 위치된 캡슐형 제품들(1)과 적어도 단면상 중첩되는 제1 영역(11a)을 포함하며 제1 영역(11a)보다 넓다. 이에 따라, 조명광의 변색에 따라 촬영영상에서 제2 영역(11b)이 변색되어 캡슐형 제품들(1)의 외관경계와의 구분이 용이한 배경을 형성한다.
예컨대, 캡슐형 제품(1)은 자연광의 일부색을 제외시켜 투과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캡슐형 제품(1)은 연질캡슐 약품(1)일 수 있다.
각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송롤러유닛(10)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이송롤러유닛(10)은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이송롤러들(11)이 연속배열되며 형성된다. 이송롤러유닛(10)의 이송롤러(11) 각각이 또는 이송롤러들(11)의 연속배열에 의해 루프형으로 형성된 롤러집합체(12)가 회전하며 일측에서 투입되는 캡슐형 제품들(1)을 타측으로 이송한다. 예컨대 이송롤러들(11)은 축방향 길이가 긴 롤러들이고, 이송롤러유닛(10)은 이송롤러들(11)을 연속 배열시켜 이송롤러(11)와 이송롤러 사이의 하나의 홈영역(11d)에 다수의 캡슐형 제품들(1)을 위치시키며 이송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이송롤러유닛(10)에 의해 이송되는 캡슐형 제품(1)은 자연광의 일부색을 제외시켜 투과시킬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캡슐형 제품(1)은 연질캡슐 약품(1)일 수 있다.
캡슐형 제품들(1)의 이송은 이송롤러(11) 각각의 회전에 의해 이송롤러 사이의 홈영역(11d)에서 다음 이송롤러 사이의 홈영역(11d)으로 옮겨지며 이송되거나 또는 이송롤러들(11)의 연속배열에 의한 루프형의 롤러집합체(12)의 회전에 따라 이송롤러 사이의 홈영역(11d)의 제자리에 위치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홈영역(11d)은 이송롤러와 이웃하는 이송롤러 사이의 단면상 'V'유사 형상을 이루는 영역으로, 단면상 'V'유사 형상의 하단에 이송롤러와 이웃 이송롤러 사이의 간극(11e)이 형성된다. 이송롤러 사이의 간극(11e)의 크기는 외관 검사 대상인 캡슐형 제품(1)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예컨대, 이송롤러(11) 각각의 자체회전에 의해 캡슐형 제품들(1)을 이송시키는 경우 이송롤러 사이의 간격(11e)이 크면 홈영역(11d)에서 다음 홈영역(11d)으로의 이동이 어려워질 수 있고, 반면에 루프형 롤러집합체(12)의 회전에 의해 홈영역(11d) 제자리에 위치되는 캡슐형 제품들(1)이 이송되는 경우 이송롤러 사이의 간격(11e)이 이송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이송롤러유닛(10)은 이송 중인 캡슐형 제품들(1)이 촬영되는 촬영구간(10b)을 포함한다. 촬영구간(10b)은 캡슐형 제품들(1)이 이송되는 구간인 제품 이송구간의 일부가 된다. 예컨대, 이송롤러유닛(10)의 제품 이송구간은 촬영구간(10b) 외에 제품투입구간(10a) 및 블로윙 구간(10c)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품투입구간(10a)은 투입되는 캡슐형 제품들(1)을 받아들이는 구간이고 제품 이송구간의 시작구간이다. 예컨대, 제품투입구간(10a)은 공급되는 캡슐형 제품(1)을 직접 받아들이거나 또는 도 4a, 4b 및/또는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투입부(15)를 통하여 공급되는 캡슐형 제품(1)을 받아들일 수 있다. 예컨대, 제품투입구간(10a)은 촬영구간(10b)과 마찬가지로 같은 평면상에 있거나 또는 상향 경사 내지 볼록하게 상향 커브질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 내 2의 경우 제품투입구간(10a)은 평평할 수 있고, 도 4a 내지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경사지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볼록하게 상향 커브질 수 있다. 예컨대, 제품투입구간(10a)의 말단부에 정렬브러쉬(16)가 설치될 수 있다. 제품투입구간(10a)으로 투입된 캡슐형 제품들(1)은 이송롤러(11) 각각 내지 롤러집합체(12)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며 정렬브러쉬(16)에 의해 이송롤러 사이의 홈영역(11d)에 정렬될 수 있다. 정렬브러쉬(16)를 이용하여 하나의 홈영역(11d)에서 캡슐형 제품들(1) 간의 간격들이 규칙성이 있도록 정렬시킬 수 있다. 규칙성있는 간격이란 간격이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본간격만으로 이루어진 경우뿐만 아니라 기본간격들 사이에 예정되는 일부 제품이 누락 배치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예컨대, 정렬브러쉬(16)는 후술되는 배출유닛(70)의 에어블로워(71)를 구성하는 에어홀에 대응되는 홈영역(11d) 위치에 캡슐형 제품들(1)이 위치되도록 정렬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렬브러쉬(16)는 홈영역(11d)에 위치되는 제품들이 다층을 이루는 경우 홈영역(11d) 내에서 단일층을 이루도록 초과 물품을 쓸어내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송롤러유닛(10)은 도 1 및/또는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하게 형성되거나 도 4a, 4b 및/또는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형 롤러집합체(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2, 4a 및 4b에서는 이송구간이 평탄한 반면 도 5의 경우 이송롤러유닛(10)의 롤러집합체(12)가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비평탄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도 4a 내지 4b를 참조하면, 이송롤러유닛(10)은 구동부(13)를 구비하고, 구동부(13)는 이송롤러(11) 각각 내지 롤러집합체(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 2 및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4a 내지 4b와 마찬가지로 구동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이송롤러유닛(10)은 이송롤러들(11)의 일측 또는 양측에 예컨대 체인(13a)이나 벨트를 포함하는 구동부(13)를 결합시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13)는 체인(13a)이나 벨트 외에 이송롤러들(11)을 회전 구동시키는 기어체(13b)와 기어체(13b)를 구동시키는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송롤러(11) 각각은 단면상 바깥쪽으로부터 내측으로의 제2 영역(11b)에서 조명유닛(50)의 조명광을 투과시킨다. 이때, 제2 영역(11b)은 이송롤러 사이의 홈영역(11d)에 위치된 캡슐형 제품들(1)과 적어도 단면상 중첩되는 제1 영역(11a)을 포함하며 제1 영역(11a)보다 넓다. 이에 따라 이송롤러(11) 각각은 조명광의 변색에 따라 촬영영상에서 제2 영역(11b)이 변색되어 캡슐형 제품들(1)의 외관경계와의 구분이 용이한 배경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이송롤러(11) 각각은 적어도 제2 영역(11b)이 투명한 투명 이송롤러들(11)이다. 예컨대, 제2 영역(11b)이 중심 회전축부(11c)를 제외한 영역인 경우 중심회전축부(11c)는 유색이고 제2 영역(11b)은 투명색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심 회전축부(11c)도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제2 영역(11b)의 일부로 형성되어 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캡슐형 제품(1)은 자연광의 일부색을 제외시켜 투과시킬 수 있고, 후술되는 이송 중인 캡슐형 제품(1)의 색상과 다른 계열색의 빛이 조명되며 제2 영역(11b)이 촬영영상에서 캡슐형 제품들(1)의 외관경계와의 구분이 용이한 배경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 따르면, 이송롤러유닛(10)의 제품 이송구간 중 적어도 촬영구간(10b)에서 이송롤러들(11)의 자체회전에 따라 촬영구간(10b)을 지나는 캡슐형 제품들(1)이 회전하며 촬상면이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연질캡슐과 같은 캡슐형 제품(1)의 경우 길이방향 길이가 길고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 단면은 원형이거나 원형에 가까운 형상이므로, 촬영구간(10b)의 이송롤러들(11)의 회전에 따라 쉽게 회전하면 촬상영역이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면, 이송롤러유닛(10)의 이송롤러들(11)은 제품 이송구간의 전구간에서 구동에 따라 제자리에서 자체회전하여 캡슐형 제품들(1)을 홈영역(11d)에서 다음 홈영역(11d)으로 이동시키며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촬영구간(10b)의 이송과정에서 이송롤러들(11)의 제자리 자체회전에 따라 캡슐형 제품들(1)이 회전하며 촬상면이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캡슐형 제품 중 연질캡슐(1)의 경우 예컨대 액상물이 충전된 젤라틴 재질로 표면이 이루어져 있어, 젤라틴 재질 표면과 이송롤러(11)의 표면 간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커서 이송롤러(11)의 회전에 따라 이송롤러(11)의 둘레를 타고 넘어가며 홈영역(11d)에서 다음 홈영역(11d)으로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이송롤러의 롤러면과 캡슐형 제품의 표면 사이에 마찰력을 고려함으로써 이송롤러(11) 각각의 자체회전에 따른 홈영역(11d)에서 다음 홈영역(11d)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홈영역(11d) 제자리 및/또는 홈영역(11d)에서 다음 홈영역(11d)으로 이동 시 촬상면이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a, 4b 및/또는 5를 참조하면, 롤러집합체(12)가 구동에 따라 회전하며 홈영역(11d)에서 제자리에 위치된 캡슐형 제품들(1)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롤러집합체(12)의 회전에 의한 이송롤러들(11)의 촬영구간(10b) 이동 중 이송롤러들(11)의 별도 자체회전에 따라 홈영역(11d)의 제자리에서 캡슐형 제품들(1)이 회전하며 촬상면이 변경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4a 내지 4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이송롤러유닛(10)은 롤러집합체(12) 외에 롤러회전 기여체(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회전 기여체(17)는 롤러집합체(12)의 루프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고 촬영구간(10b)의 이송롤러들(11)의 별도 자체회전에 기여한다. 도 4a 내지 4b에서는 촬영구간(10b)의 하부에 롤러회전 기여체(17) 직접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품투입구간(10a)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회전 기여체(17)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또는, 롤러회전 기여체(17)가 촬영구간(10b)의 하부나 외측에 설치되지 않더라도 도 4a 내지 4b에서와 같이 촬영구간(10b) 이전의 제품 이송구간의 하부나 외측에 설치되어 이송롤러를 회전시키고 이송롤러의 회전관성이 촬영구간(10b)에서도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롤러회전 기여체(17)는 촬영구간(10b)의 이송롤러들(11)의 외주면과 외측으로 맞닿는 회전 내지 무회전 접촉면을 구비하거나 촬영구간(10b)의 이송롤러들(11)의 일측에 구비되는 기어 내지 풀리구조에 체결되는 동력전달기구(17a)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동력전달기구(17a)는 체인, 타이밍벨트 또는 풀리용 벨트(17a)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체인, 타이밍벨트 또는 풀리용 벨트(17a) 등의 동력전달기구(17a)는 기어나 풀리(17b)에 체결되며 롤러회전 기여체(17)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롤러회전 기여체(17)는 도 4a 내지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롤러들(11)의 외주면 내지 외측 돌출부와 치합 내지 벨트 접촉되게 외측 하부, 외측 상부 또는 외측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이송롤러들(11)의 별도 자체회전은 롤러집합체(12)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회전 접촉면의 회전, 루프 외측에 설치되는 무회전 접촉면과의 마찰 내지 동력전달기구(17a)의 회전에 의해 롤러집합체(12)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이송롤러들(11)의 별도 자체회전은 롤러집합체(12)의 회전방향과 반대인 회전 접촉면의 회전, 루프 내측에 설치되는 무회전 접촉면과의 마찰 내지 동력전달기구(17a)의 회전에 의해 롤러집합체(12)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카메라유닛(30)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카메라유닛(30)은 캡슐형 제품들(1)의 외관을 촬영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유닛(30)은 촬영구간(10b)의 상부에 또는 촬영구간(10b) 중 루프형 롤러연속배열면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이때, 루프형 롤러연속배열면은 이송롤러들(11)이 연속배열되어 루프형, 즉 폐쇄형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 롤러 중심들을 연결하는 중심선이다. 예컨대, 루프형 롤러연속배열면 기준으로 외측은 롤러연속배열면의 상부가 된다. 이송롤러유닛(10)이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형 롤러집합체(12)가 아닌 평탄형 롤러집합체를 형성하는 경우 카메라유닛(30)은 평탄형 롤러집합체의 롤러연속배열면의 상부에 배치된다.
조명유닛(50)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조명유닛(50)은 촬영구간(10b)의 하부에서 또는 촬영구간(10b) 중 루프형 롤러연속배열면 기준으로 내측에서 캡슐형 제품들(1)을 향해 조명한다. 예컨대, 루프형 롤러연속배열면 기준의 내측은 롤러연속배열면의 하부가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명유닛(50)에 의한 조명광의 변색에 따라 촬영영상에서 이송롤러의 제2 영역(11b)이 변색되어 캡슐형 제품들(1)의 외관경계와의 구분이 용이한 배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이송롤러의 제2 영역(11b)은 조명유닛(50)의 조명광을 투과시키는 영역이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캡슐형 제품(1)은 자연광의 일부색을 제외시켜 투과시킬 수 있고, 조명유닛(50)의 조명광은 이송 중인 캡슐형 제품(1)의 색상과 다른 계열색의 빛일 수 있다. 이때, 조명광은 이송롤러의 투명한 제2 영역(11b)을 투과하며 캡슐형 제품(1))의 색상과 다른 계열색의 빛을 촬영영상의 배경색이 되도록 한다.
예컨대, 조명광은 이송 중인 캡슐형 제품의 색상과 보색 계열의 빛일 수 있다. 보색 계열이라 함은 보색 자체뿐만 아니라 색계열표 상에서 보색과 유사한 색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조명유닛(50)은 수동 교환되는 컬러필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수동 컬러필터는 사용자에 의해 교환될 수 있다. 예컨대, 셀로판지를 이용한 필터일 수 있다. 조명유닛(50)에 컬러필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컬러필터 수동 교체에 따라, 이송 중인 캡슐형 제품(1)의 색상과 다른 계열색의 빛을 조명할 수 있다. 예컨대, 컬러필터 수동 교체 시 캡슐형 제품(1)의 색상과 보색 계열의 필터가 수동 교체될 수 있다. 이때, 캡슐형 제품(1)의 색상은 육안으로 확인되거나 외관검사장치에서의 테스트 이송을 통해 카메라유닛(30)에서 획득된 결과를 판독하여 얻어진 색상일 수 있다. 예컨대, 컬러필터(도시되지 않음)의 수동 교체의 경우에, 초기 조명 상태에서 획득한 카메라 유닛(30)의 촬영영상으로부터 캡슐형 제품(1)의 색상을 판독하고 판독결과에 따라 캡슐형 제품(1)의 색상과 다른 계열색의 빛이 조명되도록 조명유닛(50)의 컬러필터(도시되지 않음)를 수동 교체시키는 과정을 적어도 1회 수행하거나 또는 2회 이상 설정범위 내로 반복 수행하여 제2 영역(11b)이 캡슐형 제품들(1)의 외관경계와의 구분이 용이한 배경을 형성하도록 컬러필터(도시되지 않음)를 수동 교체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조명유닛(50)은 자동 교환되는 컬러필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조명유닛(50)은 컬러필터 세트(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여 제어에 따라 컬러필터(도시되지 않음)가 교체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제어유닛(50)은 초기 조명 상태에서 획득한 카메라 유닛(30)의 촬영영상으로부터 캡슐형 제품(1)의 색상을 판독하고 판독결과에 따라 캡슐형 제품(1)의 색상과 다른 계열색의 빛이 조명되도록 조명유닛(50)을 제어하여 컬러필터(도시되지 않음)를 교체시키는 과정을 적어도 1회 수행하거나 또는 피드백을 통해 2회 이상 설정범위 내로 반복 수행하여 제2 영역(11b)이 캡슐형 제품들(1)의 외관경계와의 구분이 용이한 배경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 않았으나, 조명유닛(50)은 촬영구간(10b) 하부에서 또는 촬영구간(10b) 중 루프형 롤러연속배열면 기준으로 내측에서 캡슐형 제품들(1)을 향해 조명하는 것 외에 촬영구간(10b)의 상부에서 캡슐형 제품들(1)의 촬상면을 비추는 외측조명(도시되지 않음)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때, 외측조명(도시되지 않음), 예컨대 적외선 조명 등이 더 구비되는 경우 카메라유닛(30)은 추가 카메라, 예컨대 적외선 카메라 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유닛은 카메라 유닛(30)의 촬영영상으로부터 캡슐형 제품들(1) 중 외관 불량품을 판독하고 판독결과에 의한 분리 배출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따른 외관검사장치는 카메라유닛(30)에 의해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제품의 외관을 검사하여 불량품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이다. 특히 정제나 캡슐 등의 약품의 외관을 검사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약품의 외관을 검사하는 외관검사장치는 이미 많이 개발되고 공지되어 있다. 제어유닛에서는 영상처리 프로세서 내지 모듈에 의해 영상처리되고 판독 프로세서 내지 칩모듈에 의해 영상분석이 수행되거나 하나의 프로세서 내지 모듈에서 영상처리와 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 영상처리 프로세서 내지 모듈과 영상판독 프로세서 내지 모듈들에 대해서는 이미 많이 알려져 있다. 제어유닛에서의 외관 영상판독 기술에 대해서는 공지된 부분을 참고하기로 한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조명유닛(50)이 컬러필터 세트(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는 경우, 제어유닛(50)의 제어에 의해 컬러필터가 교체될 수 있다. 이때, 제어유닛(50)은 초기 조명 상태에서 획득한 카메라 유닛(30)의 촬영영상으로부터 캡슐형 제품(1)의 색상을 판독하고 판독결과에 따라 캡슐형 제품(1)의 색상과 다른 계열색의 빛이 조명되도록 조명유닛(50)을 제어하여 컬러필터(도시되지 않음)를 교체시키는 과정을 적어도 1회 수행하거나 또는 피드백을 통해 2회 이상 설정범위 내로 반복 수행하여 제2 영역(11b)이 캡슐형 제품들(1)의 외관경계와의 구분이 용이한 배경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배출유닛(70)
도 4a, 4b 및/또는 5를 참조하면, 배출유닛(70)은 이송롤러유닛(10)의 타측 부위에 설치된다. 배출유닛(70)은 이송롤러유닛(10)을 통해 이송된 캡슐형 제품들(1)을 제어에 따라 불량품과 양품으로 분리 배출시킨다. 도 1 및 2에 배출유닛이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4 또는 5에 도시된 배출유닛(70)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a, 4b 및/또는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배출 유닛(70)은 에어블로워(71) 및 불량품 배출구(7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블로워(71)는 이송롤러유닛(10)의 타측부위의 롤러연속배열면 기준 하부측 내지 내측에 다수의 에어홀(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에어블로워(71)는 제어유닛의 불량품 판독에 의한 제어에 따라, 블로윙 구간(10c)을 지나는 불량품의 위치에 대응하는 에어홀 각각을 통해 홈영역(11d) 하부의 롤러 간극(도 3의 도면부호 11e 참조)으로 에어를 배출한다. 블로윙 구간(10c)의 홈영역(11d)에 위치된 불량품은 에어에 의해 홈영역(11d)으로부터 벗어나 날라가 불량품 배출구(7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블로윙 구간(10c)은 에어블로워(71)의 다수의 에어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가 이송롤러 사이의 홈영역(11d)으로 분출되는 구간을 말한다.
불량품 배출구(73)는 이송롤러유닛(10)의 타측부위의 롤러연속배열면 기준 상부측 내지 외측에 설치되며 에어블로워(71)의 배출 에어에 의해 블로윙되는 불량품들을 배출시킨다.
또한,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의 판독결과 양품으로 판독된 양품들은 블로윙 구간(10c)의 후단 영역에서 분리 배출될 수 있다. 예컨대, 블로윙 구간(10c)을 통과한 양품들은 이송롤러유닛(10)의 회전에 따라 자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며 하단에 배치되는 양품 수집기(도시되지 않음)로 분리되어 수집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 캡슐형 제품 내지 캡슐형 약품 10: 롤러이송유닛
10a: 제품투입구간 10b: 촬영구간
11: 이송롤러 11a: 제1 영역
11b: 제2 영역 11d: 홈영역
12: 루프형 롤러집합체 13: 구동부
13a: 체인 13b: 기어체
15: 제품 투입부 16: 정렬브러쉬
17: 롤러회전 기여체 17a: 동력전달기구 내지 벨트
30: 카메라유닛 50: 조명유닛
70: 배출유닛 71: 에어블로워
73: 불량품 배출구

Claims (10)

  1.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이송롤러들이 연속배열되고, 각각의 이송롤러가 또는 연속배열에 의해 루프형으로 형성된 롤러집합체가 회전하며 일측에서 투입되는 캡슐형 제품들을 타측으로 이송하고, 이송 중인 상기 캡슐형 제품들이 촬영되는 촬영구간을 포함하는 이송롤러유닛;
    상기 촬영구간의 상부에 또는 상기 촬영구간 중 루프형 롤러연속배열면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캡슐형 제품들의 외관을 촬영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촬영구간의 하부에서 또는 상기 촬영구간 중 상기 루프형 롤러연속배열면 기준으로 내측에서 상기 캡슐형 제품들을 향해 조명하는 조명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영상으로부터 상기 캡슐형 제품들 중 외관 불량품을 판독하고 판독결과에 의한 분리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이송롤러유닛의 타측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롤러유닛을 통해 이송된 상기 캡슐형 제품들을 상기 제어에 따라 상기 불량품과 양품으로 분리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롤러 각각은 단면상 바깥쪽으로부터 내측으로의 제2 영역에서 상기 조명유닛의 조명광을 투과시키되, 상기 제2 영역은 이송롤러 사이의 홈영역에 위치된 상기 캡슐형 제품들과 적어도 단면상 중첩되는 바깥쪽으로부터 내측으로의 제1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보다 넓은 영역이고, 상기 조명광의 변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서 상기 제2 영역이 변색되어 상기 캡슐형 제품들의 외관경계와의 구분이 용이한 배경을 형성하고,
    상기 캡슐형 제품은 자연광의 일부색을 제외시켜 투과시키고,
    상기 이송롤러 각각은 적어도 상기 제2 영역이 투명한 투명 이송롤러들이고,
    상기 조명유닛은 수동 교환되는 컬러필터 내지 제어에 따라 컬러필터가 교체되는 컬러필터 세트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유닛의 조명광은 이송 중인 상기 캡슐형 제품의 색상과 다른 계열색의 빛이고,
    상기 캡슐형 제품은 연질캡슐 약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조명광은 이송 중인 상기 캡슐형 제품의 색상과 보색 계열의 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초기 조명 상태에서 획득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영상으로부터 상기 캡슐형 제품의 색상을 판독하고 판독결과에 따라 상기 캡슐형 제품의 색상과 다른 계열색의 빛이 조명되도록 상기 조명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컬러필터 세트의 컬러필터를 교체시키는 과정을 적어도 1회 수행하거나 또는 피드백을 통해 2회 이상 설정범위 내로 반복 수행하여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캡슐형 제품들의 외관경계와의 구분이 용이한 배경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1회 수행 시 또는 상기 2회 이상 반복 수행 중 첫번째 수행 시 상기 초기 조명 상태는 백색조명 내지 무조명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
  6. 청구항 1, 3, 5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이송롤러유닛의 제품 이송구간 중 적어도 상기 촬영구간에서 상기 이송롤러들의 자체회전에 따라 상기 촬영구간을 지나는 상기 캡슐형 제품들이 회전하며 촬상면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
  7. 청구항 6에서,
    상기 이송롤러유닛의 상기 이송롤러들은 상기 제품 이송구간의 전구간에서 구동에 따라 제자리에서 자체회전하여 상기 캡슐형 제품들을 상기 홈영역에서 다음 홈영역으로 이동시키며 이송시키고,
    상기 촬영구간의 이송과정에서 상기 이송롤러들의 제자리 자체회전에 따라 상기 캡슐형 제품들이 회전하며 상기 촬상면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
  8. 청구항 6에서,
    상기 롤러집합체가 구동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롤러집합체의 회전에 의한 상기 이송롤러들의 촬영구간 이동 중 상기 이송롤러들의 별도 자체회전에 따라 상기 홈영역의 제자리에서 상기 캡슐형 제품들이 회전하며 상기 촬상면이 변경되고,
    상기 이송롤러유닛은 상기 롤러집합체 외에 상기 롤러집합체의 루프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촬영구간의 이송롤러들의 별도 자체회전에 기여하는 롤러회전 기여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회전 기여체는 상기 촬영구간의 이송롤러들의 외주면과 외측으로 맞닿는 회전 내지 무회전 접촉면을 구비하거나 상기 촬영구간의 이송롤러들의 일측에 구비되는 기어 내지 풀리구조에 체결되는 동력전달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롤러들의 별도 자체회전은 상기 롤러집합체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상기 회전 접촉면의 회전, 상기 루프 외측에 설치되는 상기 무회전 접촉면과의 마찰 내지 상기 동력전달기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롤러집합체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롤러집합체의 회전방향과 반대인 상기 회전 접촉면의 회전, 상기 루프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무회전 접촉면과의 마찰 내지 상기 동력전달기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롤러집합체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
  9. 청구항 6에서,
    상기 배출 유닛은: 상기 이송롤러유닛의 타측부위의 롤러연속배열면 기준 하부측 내지 내측에 다수의 에어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닛의 불량품 판독에 의한 제어에 따라, 블로윙 구간을 지나는 상기 불량품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에어홀 각각을 통해 상기 홈영역 하부의 롤러 간극으로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블로워; 및 상기 이송롤러유닛의 타측부위의 롤러연속배열면 기준 상부측 내지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블로워의 배출 에어에 의해 블로윙되는 상기 불량품들을 배출시키는 불량품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의 판독결과 양품으로 판독된 상기 양품들은 상기 블로윙 구간의 후단 영역에서 분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
  10. 삭제
KR1020190178780A 2019-12-31 2019-12-31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 KR102324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780A KR102324884B1 (ko) 2019-12-31 2019-12-31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780A KR102324884B1 (ko) 2019-12-31 2019-12-31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801A KR20210089801A (ko) 2021-07-19
KR102324884B1 true KR102324884B1 (ko) 2021-11-11

Family

ID=77125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780A KR102324884B1 (ko) 2019-12-31 2019-12-31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592B1 (ko) 2022-01-21 2022-08-24 주식회사 에스엘티지 의약품 캡슐 외관 검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598B1 (ko) * 2021-07-30 2022-02-18 전호준 캡슐 검사 장치
KR102362155B1 (ko) * 2021-07-30 2022-02-14 전호준 캡슐 검사 장치 구동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3217B1 (ja) * 2005-03-22 2006-07-05 森永製菓株式会社 画像解析検査用コンベヤ、製品検査用ベルト及び画像解析検査の検査精度向上方法
JP2012078265A (ja) 2010-10-05 2012-04-19 Panasonic Corp 錠剤検査装置および錠剤検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2101A (ja) * 1996-11-11 1998-05-29 Dainippon Printing Co Ltd 着色膜の検査方法
JP4035679B2 (ja) 1999-07-23 2008-01-23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錠剤の側面検査装置、及び表裏面検査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4310616B2 (ja) 2002-10-16 2009-08-12 泰三 山本 扁平錠剤の外観検査機
KR101218764B1 (ko) 2010-08-23 2013-01-07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 검사장치
KR20120050857A (ko) * 2010-11-11 2012-05-21 (주)워프비전 광학검사장치
KR102300338B1 (ko) 2018-04-03 2021-09-09 (주)에스엘티지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3217B1 (ja) * 2005-03-22 2006-07-05 森永製菓株式会社 画像解析検査用コンベヤ、製品検査用ベルト及び画像解析検査の検査精度向上方法
JP2012078265A (ja) 2010-10-05 2012-04-19 Panasonic Corp 錠剤検査装置および錠剤検査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592B1 (ko) 2022-01-21 2022-08-24 주식회사 에스엘티지 의약품 캡슐 외관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801A (ko) 202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4884B1 (ko)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
KR20210127646A (ko)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KR20200024799A (ko)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JP4409429B2 (ja) カプセル充填封緘装置
TWI458963B (zh) The inspection device and the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of the inspection object
CN106802304B (zh) 外观检查装置
KR101404868B1 (ko) 약품 외관 검사장치
JP5896840B2 (ja) 卵を詰めたパック商品の検査装置
KR19980071418A (ko) 고형 제제의 외관검사장치
JP6397836B2 (ja) 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ブリスタ包装機
JP3793217B1 (ja) 画像解析検査用コンベヤ、製品検査用ベルト及び画像解析検査の検査精度向上方法
JP2008008897A (ja) 錠剤の表裏面外観検査装置、側面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装置
JP4310616B2 (ja) 扁平錠剤の外観検査機
KR102318184B1 (ko) 검사 장치, 검사 방법,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KR102257955B1 (ko)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JP3872508B1 (ja) 小物品の外観検査方法および外観検査装置
KR20220136994A (ko) 캡슐의 외관검사장치
JP2019203704A (ja) 小型物品の処理システム
JP2018136153A (ja) 透明物品の検査装置及び透明物品の検査方法
JP2020203008A (ja) 割線情報取得装置および錠剤印刷装置
JP2977640B2 (ja) カプセル検査装置
KR102625908B1 (ko) 캡슐형 약품의 검사장치 및 방법
JP2012103020A (ja) ペットボトルのリーク検査および外観検査装置
WO2022176672A1 (ja) 透明可食体のマーキング検査装置およびマーキング装置
JP7470538B2 (ja) カプセル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