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338B1 -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338B1
KR102300338B1 KR1020180038576A KR20180038576A KR102300338B1 KR 102300338 B1 KR102300338 B1 KR 102300338B1 KR 1020180038576 A KR1020180038576 A KR 1020180038576A KR 20180038576 A KR20180038576 A KR 20180038576A KR 102300338 B1 KR102300338 B1 KR 102300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ction
rollers
adsorption
adsorpt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5643A (ko
Inventor
이구현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엘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엘티지 filed Critical (주)에스엘티지
Priority to KR1020180038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338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643A/ko
Priority to KR1020210117434A priority patent/KR20210127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08Capsules; Tabl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Abstract

본 발명은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둘레를 따라 다수 롤러들이 간극을 유지하며 연속 배열되되, 회전하며 일측에서 투입되는 물품들을 간극부위 영역에 위치시켜 비흡착 방식으로 타측으로 이송하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며 이송되는 물품들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내측, 외측 또는 내외측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물품들을 조명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촬상유닛; 및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타측 부위에 설치되고 이송된 물품들을 촬상유닛에 의한 촬영 영상의 판독 결과에 따라 불량품들과 양품들로 분리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고,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에서 물품들을 이송하는 이송구간 중 적어도 촬상유닛의 촬영이 수행되는 촬영구간의 롤러들의 회전에 따라 물품들의 촬상면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가 제안된다.

Description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NON-ABSORPTION TYPE PRODUCT APPEARANCE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물품들을 흡착시키지 않고 외관 검사를 수행하는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제나 캡슐 등의 약품은 검사장치에 의한 외관 검사과정을 거친 후에 제품으로 최종 출하된다. 외관 검사 과정에서, 표면 불량, 모서리 불량, 각인 불량 등과 같은 흠결을 검사한다. 약품 외의 소형물품도 약품과 마찬가지로 외관 검사가 요구될 수 있다.
통상, 소형물품 외관 검사 장치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정제(tablet) 또는 캡슐 등의 약품과 같은 소형물품을 촬영하여 표면의 영상을 얻고, 이것을 분석하여 흠결 여부를 판정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통상적인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는 회전드럼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소형물품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홈 내지 수용홈을 형성시킨 2대의 상하구조 회전드럼을 구비하여 외관검사 대상물품을 둘레에 흡착시켜 회전시키고 외관의 일측면을 촬영 후 다른 회전드럼으로 소형물품을 전달하여 반대면을 촬영함으로써 외관 검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외관 검사장치는 물품의 일측면과 그와 마주하는 타측면을 모두 촬영하기 위해 2대의 회전드럼과 진공장비 등을 구비해야 하므로, 장비가 복잡해지고 제조비용도 많이 소요되어 고가의 장비가 될 수 밖에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66959호 (2001년 7월 11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8632호 (2012년 3월 5일 공개)
외관 검사가 요구되는 물품들에서 일측면 노출에서 타측면 노출로 변경시키기 위해 흡착 방식이 아닌 비흡착으로 물품을 회전시키는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물품들을 흡착시키지 않고 물품들의 촬상면을 변경시켜 외관을 검사할 수 있는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롤러 사이의 간극부위 영역에 위치되어 이송되는 물품들의 외관을 검사하는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에 있어서, 둘레를 따라 다수 롤러들이 간극을 유지하며 연속 배열되되, 회전하며 일측에서 투입되는 물품들을 간극부위 영역에 위치시켜 비흡착 방식으로 타측으로 이송하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며 이송되는 물품들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내측, 외측 또는 내외측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물품들을 조명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촬상유닛; 및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타측 부위에 설치되고 이송된 물품들을 촬상유닛에 의한 촬영 영상의 판독 결과에 따라 불량품들과 양품들로 분리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가 제안된다.
이때, 물품들은 캡슐타입 약품들이고, 2개 롤러 사이의 각 간극부위 영역마다 캡슐타입 약품들이 길이방향으로 롤러축과 나란하게 다수 배치되어 이송된다.
예컨대,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고 적어도 촬상유닛의 촬영이 수행되는 촬영구간의 롤러들이 회전되도록 하는 롤러회전 기여유닛을 더 포함하고, 롤러회전 기여유닛에 의한 촬영구간의 롤러들의 회전에 따라 캡슐타입 약품들의 촬상면이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은 투입되는 물품들을 받아들이고 물품들의 이송이 개시되는 물품투입구간을 구비하고,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는 물품투입구간의 말단부에 설치되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회전에 따라 물품투입구간에 수용된 물품들을 각 간극부위 영역에 정렬시키는 정렬브러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렬브러쉬 유닛은 간극부위 영역 각각에서 다수의 캡슐타입 약품들을 롤러축과 나란하게 기본간격으로 일렬로 정렬시키거나 기본간격을 두고 정렬예정인 캡슐타입 약품들의 일부가 빠진 확대간격을 포함하여 일렬로 정렬시킴으로써 기본간격 내지 확대간격을 포함하는 규칙성있는 간격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이때, 배출 유닛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타측부위 내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에어홀을 구비하고, 촬영 영상의 판독 결과 불량 판독에 따라, 블로윙 구간을 지나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간극부위 영역에서 불량품의 위치에 대응하는 에어홀 각각을 통해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블로워; 및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타측부위 외측에 설치되며 에어블로워의 배출 에어에 의해 간극부위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불량품들을 배출시키는 불량품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렬브러쉬 유닛에 의해 각 간극부위 영역에서 롤러축과 나란하게 일렬로 다수 정렬되는 캡슐타입 약품들의 정렬위치는 블로윙 구간에서의 다수의 에어홀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정렬브러쉬 유닛의 브러쉬는 캡슐타입 약품들 각각이 간극부위 영역에서 블로윙 구간에서의 다수의 에어홀의 위치에 대응되게 정렬 가능하도록 둘레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홈과 돌기가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이때, 하나의 예에서, 롤러회전 기여유닛은 적어도 촬영구간의 롤러들의 외주면과 외측으로 맞닿는 회전 벨트를 구비하여 적어도 촬영구간의 롤러들이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회전 벨트는 동력 구동에 따라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촬영구간의 롤러들을 역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에서, 다수의 롤러들의 일측에 기어 내지 풀리 구조가 구비되고, 롤러회전 기여유닛은 적어도 촬영구간의 롤러들의 기어 내지 풀리 구조와 외측으로 체결되거나 맞닿는 체인, 타이밍벨트 또는 풀리용 벨트를 구비하고, 체인, 타이밍 벨트 또는 풀리용 벨트는 동력 구동에 따라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촬영구간의 롤러들을 역회전시킬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롤러회전 기여유닛은 적어도 촬영구간의 롤러들의 외주면과 맞닿는 무회전 접촉면을 구비할 수 있다. 외주면과 맞닿는 무회전 접촉면을 구비하고 촬영구간의 롤러들의 외주면과의 마찰력에 따라 촬영구간의 롤러들의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촬영 영상의 판독 결과 양품으로 판독되어 블로윙 구간을 통과한 양품들은 블로윙 구간의 후단 영역에서 분리 배출된다. 이때, 촬영구간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회전 구간 중 최고점 구간에 형성되고, 블로윙 구간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회전 구간 중 최고점 구간을 지나 수평상 최외각 지점 전에 원호형으로 커브진 하향커브 구간에 형성되고, 에어블로워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 하향커브 구간의 1 ~ 2시 사이의 방향 구간으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또 하나의 예에서, 카메라부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외측 상부에 배치된 제1 카메라 및 제1 카메라의 촬영구간 후단에서 물품들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카메라 중 하나는 적외선 카메라일 수 있다.
이때, 조명부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내측에서 제1 카메라의 촬영구간을 비추는 제1 내측조명, 제1 카메라의 촬영구간의 상측에서 제1 카메라의 촬영구간을 비추는 외측조명 및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내측에서 제2 카메라의 촬영구간을 비추는 제2 내측조명을 구비하고, 제2 카메라는 적외선 카메라이고, 제2 내측조명은 적외선 조명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은 둘레를 따라 다수의 롤러들이 배치된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또는, 다른 하나의 예에서,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은 다수의 롤러들의 양단측에 결합된 한 쌍의 구동체인을 구비하고, 구동유닛은 한 쌍의 구동체인을 회전 구동시킨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물품들을 흡착시키지 않고 물품들의 촬상면을 변경시켜 외관을 검사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롤러들의 회전에 따라 물품들의 촬상면을 변경시켜 외관을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의 일부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의 일부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모양, 크기, 두께 등은 기술적 특징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에 따라 일부 구성들이 생략되어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예컨대, 구동유닛은 도 4 및 5에서 생략되어 도시되지 않고 도 2, 3a 및 3b에 도시되고 있다. 또한, 하나의 도면을 가지고 설명함에 있어 도면 상의 하나의 지점에 개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 다른 지점에도 형성될 수 있음을 설명하는 경우 도면 상에서 다른 지점에서 동일 구성의 직접적 개시가 없더라도 하나의 지점에서 개시되는 구성의 도면부호를 참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 3a 및 3b에 도시되는 롤러회전 기여유닛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물품투입구간의 하부에 배치된 것만 도시되고 있으나 촬영구간의 하측 내지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의 일부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의 일부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 구동유닛(30), 촬상유닛(50) 및 배출유닛(70)을 포함한다. 이때,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는 롤러(11) 사이의 간극부위 영역(11a) 위치되어 이송되는 물품들의 외관을 검사한다. 또한, 도 2, 3a 및/또는 3b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는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는 정렬브러쉬 유닛(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는 전술한 구성들의 조합 내지 결합을 통해 물품들의 외관을 검사하고 불량품과 양품을 분리한다.
이때, 본 발명에 하나의 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의 검사 대상 물품은 소형 물품이다.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에서 검사되는 물품은 제조 공정이나 필요에 따라 외관 검사에 필요한 물품으로, 종래와 같이 회전드럼의 흡착에 의해 흡착 이송되며 촬영되어 검사되거나 본 발명의 예에서와 같이 비흡착 방식으로 이송되며 촬영되어 검사될 수 있다.
예컨대, 검사대상 물품은 캡슐 타입과 같은 약품일 수 있다. 캡슐 타입 약품은 하드캡슐과 소프트캡슐이 있다. 이러한 약품은 외관이 훼손되는 경우 용량에 차이가 있을 수 있고 각인이나 다른 인쇄로 표시된 부분이 훼손되는 경우 약품 식별이 어려워 잘못 처방되거나 복용될 위험 등이 있으므로, 외관에 대한 검사가 중요하다. 즉, 검사대상 제품이 캡슐 타입과 같은 약품인 경우 외관 훼손, 인쇄 훼손, 각인 훼손 등의 불량을 외관 검사를 통해 분리해내는 것이 중요하고, 이러한 외관 검사 및 불량품의 분리를 위해 본 발명의 하나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가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에서 외관 검사되는 물품들은 캡슐 타입 약품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물품들은 캡슐타입 약품들일 수 있다.
이하에서,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 구동유닛(30), 촬상유닛(50) 및 배출유닛(70) 순으로 살펴본 후 롤러회전 기여유닛(40) 및 정렬브러쉬 유닛(20) 등을 살펴볼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들의 다양한 예들을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
먼저,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을 살펴본다.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은 둘레를 따라 다수 롤러들(11)이 간극을 유지하며 연속 배열되어 있다. 또한,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은 회전하며 일측에서 투입되는 물품들, 예컨대 캡슐타입 약품들을 간극부위 영역(11a)에 위치시켜 비흡착 방식으로 타측으로 이송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간극부위 영역(11a)이라 함은 롤러(11)와 롤러(11) 사이의 단면상 'V'유사 형상을 이루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때, 롤러(11)와 롤러(11) 사이의 간극의 크기는 외관 검사 대상인 물품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예컨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간극부위 영역(11a)으로 투입되는 물품들은 후술되는 물품 투입부(15)를 통해 전달되거나 별도의 물품 공급유닛(도시되지 않음)으로 공급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2개 롤러(11) 사이의 각 간극부위 영역(11a)마다 캡슐타입 약품들이 길이방향으로 롤러축과 나란하게 다수 배치되어 이송된다.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에 따른 구간을 살펴보면, 물품들을 이송하는 이송구간이 구비된다.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이송구간은 물품투입구간(10a), 촬영구간(10b) 및 블로윙 구간(10c)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은 물품투입구간(10a)을 구비할 수 있고, 이때, 물품투입구간(10a)은 투입되는 물품들을 받아들이는 구간이고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이송구간의 시작구간이다. 즉, 물품투입구간(10a)에서 물품들의 이송이 개시된다. 예컨대, 물품투입구간(10a)는 물품 공급유닛(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되는 물품을 직접 받아들이거나 또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투입구간(10a)의 일단부에 설치된 물품 투입부(15)를 통하여 물품 공급유닛(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되는 물품을 받아들일 수 있다. 예컨대, 물품투입구간(10a)의 이송진행방향의 양측에는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물품투입구간(10a)로 전달되거나 투입되는 물품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물품투입구간(10a)은 상향 경사지거나 볼록하게 상향 커브질 수 있다. 즉, 물품투입구간(10a)은 도 2,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경사지거나, 또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볼록하게 상향 커브질 수 있다
예컨대, 물품투입구간(10a)의 말단부에 정렬브러쉬 유닛(2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물품투입구간(10a)의 일단부에 물품 투입부(15)가 설치되며, 물품 투입부(15)로부터 공급되는 물품들은 물품투입구간(10a)으로 투입되고 해당 물품들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에 따라 물품투입구간(10a)의 말단부에 설치된 정렬브러쉬 유닛(20)에 의해 각 간극부위 영역(11a)에 정렬될 수 있다. 정렬브러쉬 유닛(20)은 간극부위 영역(11a) 각각에서 다수의 캡슐타입 약품들을 롤러축과 나란하게 일렬로 규칙성있는 간격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삭제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에서 이송구간 중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이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과 별도로 자체 회전한다. 촬영구간(10b)은 이송구간 중 적어도 후술되는 촬상유닛(50)의 촬영이 수행되는 구간을 말한다.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의 회전에 따라 촬상유닛(50)에 의해 촬영되는 물품들의 촬상면이 변경된다. 예컨대,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이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방향(도 5의 도면부호 Ra참조)과 반대로 자체 회전함에 따라 롤러(11) 사이의 간극부위 영역(11a)에 위치된 물품들이 회전하며 촬상면이 바뀌게 된다. 이때, 적어도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의 회전은 롤러회전 기여유닛(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고 적어도 촬상유닛(50)의 촬영이 수행되는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롤러회전 기여유닛(40)에 의한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의 회전에 따라 캡슐타입 약품들의 촬상면이 변경될 수 있다. 롤러회전 기여유닛(4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된다. 예컨대, 외관 검사 대상인 물품들은 길이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롤러(11) 사이의 간극부위 영역(11a)에 롤러축과 나란하게 쉽게 위치될 수 있고, 이때, 물품들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 단면은 원형이거나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 내지 이와 유사한 도형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품들이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의 회전에 따라 쉽게 회전하며 촬상면이 바뀔 수 있다. 예컨대, 소프트 캡슐이나 하드캡슐과 같은 캡슐형 약품의 경우 길이방향 길이가 길고,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 단면은 원형이거나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 구조이므로,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의 회전에 따라 쉽게 회전하면 촬상영역이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촬영구간(10b)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 구간 중 최고점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로윙 구간(10c)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 구간 중 최고점 구간을 지나 수평상 최외각 지점 전에 원호형으로 커브진 하향커브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롤러들(11)을 살펴본다. 예컨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을 이루는 다수의 롤러들(11)은 축방향 길이가 긴 롤러들(11)이다.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은 축방향 길이가 긴 롤러들(11)을 연속 배열시켜 하나의 간극부위 영역(11a)에 다수의 물품을 위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외관 검사 대상인 물품들은 롤러(11) 사이의 간극부위 영역(11a)에 위치되기 쉬운 일방향의 길이가 긴 형태일 수 있고, 이때 긴 방향이 롤러축과 나란하게 간극부위 영역(11a)에 물품들이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후술되는 정렬브러쉬 유닛(20)을 이용하여 하나의 간극부위 영역(11a)에서 물품들 간의 간격들이 규칙성이 있도록 정렬시킬 수 있다. 정렬브러쉬 유닛(20)에 의한 규칙성있는 정렬에 대해서는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예컨대, 정렬브러쉬 유닛(20)에 의해 규칙성있게 정렬되는 물품들은 후술되는 배출유닛(70)의 에어블로워(71)에 구비되는 다수의 에어홀(71a)의 위치와 매칭될 수 있다. 이때, 정렬브러쉬 유닛(20)에 의해 각 간극부위 영역(11a)에서 롤러축과 나란하게 일렬로 다수 정렬되는 캡슐타입 약품들의 정렬위치는 블로윙 구간(10c)에서의 다수의 에어홀(71a)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은 롤러들(11)을 프레임(12) 상에 장착시켜 형성하거나 롤러들(11)의 양단측을 예컨대 한 쌍의 체인(13)으로 연결하여 롤러들(11)의 양단을 체인 연결축에 체결시켜 형성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 및 5는 프레임(12) 상에 롤러들(11)을 장착시킨 형태를 도시하고, 도 2, 3a 및 3b는 롤러들(11)의 양단에 한 쌍의 체인(13)을 체결시킨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롤러들(11)이 프레임(12) 상에 장착되는 경우 롤러(11)의 롤몸체 일부 내지 롤러(11)의 축 일단부가 프레임(12) 일측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2)으로부터 돌출된 롤러(11)의 롤몸체 일부 내지 롤러(11)의 축 일단부에 롤러(11)를 회전시키기 위한 후술되는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구조를 더 살펴본다. 도 4 및/또는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은 둘레를 따라 다수의 롤러들(11)이 배치된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롤러들(11)이 원통형상의 프레임(12) 상에 원통 둘레를 따라 장착되어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이때,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은 원통형 프레임(12)의 내측 또는 외측에 체결되는 후술되는 구동유닛(도 2, 3a 내지 3b에 도시된 도면부호 30 참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구동유닛(30)과의 체결부위는 예컨대 톱니구조가 형성되어 치합되거나 단면상 홈이 형성되어 예컨대 타이밍벨트 등과 매칭되거나 또는 풀리가 형성되어 풀리 벨트와 체결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프레임(12)의 일측면에 구동축이 형성되어 구동축과 구동유닛(30)이 기어나 벨트 등으로 체결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 3a 및/또는 3b를 참조하여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구조에 관한 다른 하나의 예를 살펴본다. 이때,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은 다수의 롤러들(11)의 양단측에 결합된 한 쌍의 구동체인(13)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체인(13)의 각 체인 연결축에 롤러 축이 삽입되어 체결된 구조이거나 구동체인(13)의 외측 둘레를 따라 롤러 축이 결합 내지 장착된 구조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유닛(30)은 한 쌍의 구동체인(13)을 회전 구동시킨다. 이때, 구동유닛(30)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구조의 예를 더 살펴본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2, 3a 및/또는 3b에 도시된 구동체인(13)이 아닌 구동벨트가 롤러들(11)의 양단측에 결합된 구조로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구동벨트(도시되지 않음)는 내측에 치합홈이 형성된 타이밍벨트(도시되지 않음)이거나 풀리에 체결되는 풀리벨트(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고, 구동벨트(도시되지 않음)의 외측에는 둘레를 따라 롤러 축이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유닛(30)
다음으로, 도 2, 3a 및/또는 3b를 참조하여, 구동유닛(30)을 살펴본다. 구동유닛(30)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을 회전시킨다. 도 4 및 5에서는 구동유닛(30)이 생략되어 도시되지 않았으나,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내측에 구동유닛(30)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유닛(30)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기어(31) 및 구동기어를 구동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2, 3a 및/또는 3b를 참조하면, 구동유닛(30)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롤러들(11)의 양단측에 체결된 한 쌍의 구동체인(13)과 체결되는 기어(31)를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구동유닛(30)은 구동체인(13)과 체결되는 기어(31)를 구동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 3a 및/또는 3b를 참조하면, 구동유닛(30)에 구비되는 기어(31)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어(31a)와 구동기어(31a)의 회전에 따른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에 따라 회전 구동하는 아이들 기어(31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 3a 및/또는 3b에 도시된 다수의 기어(31) 중 하나는 구동기어(31a)이고 나머지는 아이들 기어(31b)일 수 있다. 도 3a는 에어블로워(71)를 나타내기 위해 구동기어(31a)를 생략한 측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롤러들(11)의 양단측에 체인(13)이 아닌 타이밍 벨트(도시되지 않음)나 풀리 벨트(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고, 구동유닛(30)은 롤러들(11)의 양단측의 타이밍 벨트나 풀리 벨트에 체결되는 기어 또는 풀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에도, 다수의 기어(31) 또는 풀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고, 그 중 일부는 구동기어(31a) 또는 구동풀리(도시되지 않음)이고 나머지는 아이들 기어(31b) 또는 아이들 풀리(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다. 구동기어 내지 구동풀리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컨대, 도 4 및 5에 도시된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내측에 구동유닛(30)이 구비되고, 구동유닛(30)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내측에 형성되는 톱니구조 내지 치합홈에 치합되는 구동기어(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구동유닛(30)은 도 4 및 5의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프레임(12)의 일측에서 돌출된 축과 체결되는 기어 내지 벨트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예에서, 구동유닛(30)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에 대한 회전 구동과 동시에 또는 별개로 후술되는 롤러회전 기여유닛(40)과 체결되거나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촬상유닛(50)
다음으로, 도 1, 2, 4 및/또는 5를 참조하여, 촬상유닛(50)을 살펴본다. 촬상유닛(50)은 카메라부(51) 및 조명부(53)를 포함한다. 카메라부(51)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외측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카메라부(51)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을 통해 이송되는 물품들을 촬영한다. 조명부(53)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내측, 외측 또는 내외측에 설치된다. 조명부(53)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을 통해 이송되는 물품들을 조명한다. 이때,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조명은 예컨대 투명 내지 반투명한 소프트 캡슐 약품등의 물품들을 하측에 비추거나 예컨대 빛 투과가 어려운 하드 캡슐 약품 등의 물품들에 대한 적외선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측에 비추는 것이고,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조명은 물품들의 촬상면을 비춘다.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물품 이송구간 중 적어도 촬영구간(10b)(즉, 적어도 촬상유닛(50)의 촬영이 수행되는 구간)에서의 롤러들(11)의 회전에 따라 물품들의 촬상면이 변경된다. 물품들의 촬상면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외측 상부에 배치된 카메라부(51)에 의해 촬영되는 표면 내지 표면영역을 의미한다. 카메라부(51)는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의 회전에 따른 물품들의 회전에 따라 물품들의 전체 외관을 놓치지 않고 촬영할 수 있도록 충분한 성능을 구비해야 한다.
카메라부(51)를 먼저 살펴본다. 카메라부(51)는 외관 검사 대상 물품에 따라 하나의 카메라(51a)로 이루어지거나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품들이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의 회전에 따라 충분히 1회전 이상 회전되고 1회전 동안 물품의 양단의 영역도 검사 가능한 정도로 촬영되는 경우 하나의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고, 1회전 동안 물품의 양단 영역에 대한 촬영이 충분치 못해 별도로 물품의 양단 영역에 대한 촬상면이 요구되거나 물품들이 위치되는 간극부위 영역(11a)의 길이가 길어 하나의 카메라로 다수의 물품들에 대하여 충분히 원하는 외관 영상을 획득하기 어려운 경우 카메라가 추가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하나 예에 따른 하나의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를 가지고 예컨대 투명 내지 반투명한 소프트 캡슐 약품과 빛 투과가 어려운 하드 캡슐 약품과 같이 서로 다른 촬영방식이 요구될 수 있는 경우 다수의 카메라를 두어 서로 다른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 및 3b에서는 촬상유닛(50) 중 카메라부(51)가 생략되고 조명부(53)만 도시되고 있다.
예컨대, 도 4 및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카메라부(51)는 제1 카메라(51a) 및 제2 카메라(51b)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2, 3a 및 3b에 따른 실시예에서도 도시된 바와 달리 카메라부(51)는 제1 및 제2 카메라(51a, 51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카메라(51a)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어 물품들을 촬영하고, 제2 카메라(51b)는 제1 카메라의 촬영구간(10b) 후단에서 물품들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카메라(51a, 51b) 중 하나는 적외선 카메라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카메라(51a, 51b) 중 하나는 칼라 카메라이고, 다른 하나는 적외선 카메라로 배치시켜, 칼라 카메라로 예컨대 투명 내지 반투명한 소프트 캡슐 약품을 촬영하고 적외선 카메라로 빛 투과가 어려운 하드 캡슐 약품을 촬영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 및 5에서 전단의 제1 카메라(51a)는 칼라 카메라이고 후단의 제2 카메라(51b)는 적외선 카메라일 수 있다.
도 2, 4 및 5를 참조하면, 조명부(53)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내측에서 물품들의 하측을 비추는 내측조명(53a, 53b)과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외측 상부에서 물품들의 촬상면을 비추는 외측조명(53c)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카메라부(51)가 제1 및 제2 카메라(51a, 51b)를 구비하는 경우, 조명부(53)는 제1 내측조명(53a), 외측조명(53c) 및 제2 내측조명(53b)을 구비할 수 있고, 제1 내측조명(53a) 및 외측조명(53c)은 제1 카메라(51a)의 촬영을 위한 조명이고, 제2 내측조명(53b)은 제2 카메라(51b)의 촬영을 위한 조명일 수 있다. 제1 내측조명(53a)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내측에서 제1 카메라(51a)의 촬영구간(10b)을 비추고, 외측조명(53c)은 제1 카메라(51a)의 촬영구간(10b)의 상측에서 제1 카메라(51a)의 촬영구간(10b)을 비춘다. 제2 내측조명(53b)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내측에서 제2 카메라(51b)의 촬영구간(10b)을 비춘다. 이때, 제2 카메라(51b)는 적외선 카메라이고, 제2 내측조명(53b)은 적외선 조명일 수 있다. 게다가, 제1 내측조명(53a)과 외측조명(53c)은 LED 조명일 수 있다. 예컨대, 도 4 및 5에 도시된 제1 내측조명(53a), 외측조명(53c) 및 제2 내측조명(53b)을 구비한 조명부(53) 전부가 도 2, 3a 및 3b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2, 3a 및 3b에 따른 실시예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카메라부(51)가 제1 및 제2 카메라(51a, 51b)를 구비하는 경우 조명부(53)는 제1 카메라(51a)의 촬영을 위한 제1 내측조명(53a)과 제1 외측조명, 그리고 제2 카메라(51b)의 촬영을 위한 제2 내측조명(53b)과 제2 외측조명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외측조명은 각각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외측 상부에서 제1 카메라(51a)의 피사체 및 제2 카메라(51b)의 피사체 각각을 비춘다.
또한, 도 2, 4 및 5를 참조하면, 외측조명(53c)은 피사체인 물품들의 이송방향의 전후에 각각 구비되거나 이송방향의 전후좌우에 각각 구비되며 피사체를 조명할 수 있다.
한편, 촬상유닛(50)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영상처리 프로세서 내지 모듈에 의해 영상처리되고 판독 프로세서 내지 칩모듈에 의해 영상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 촬상유닛(50)에서 촬영된 영상의 영상처리와 영상분석은 프로세서 내지 칩모듈 또는/및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하는 영상분석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영상분석유닛(도시되지 않음)에서 분석된 영상 판독 결과에 따라 후술되는 배출유닛(70)이 제어되며 그 제어에 따라 이송되는 물품들이 불량품과 양품으로 분리되어 배출되게 된다. 영상처리 프로세서 내지 모듈과 영상판독 프로세서 내지 모듈들에 대해서는 이미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출유닛(70)
계속하여,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배출유닛(70)을 살펴본다. 배출유닛(70)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타측 부위에 설치된다. 배출유닛(70)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을 통해 이송된 물품들을 촬상유닛(50)에 의한 촬영 영상의 판독 결과에 따라 불량품들과 양품들로 분리 배출시킨다.
예컨대, 도 2, 3a 및/또는 3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배출 유닛(70)은 에어블로워(71) 및 불량품 배출구(73)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에어블로워(71)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타측부위 내측에 설치된다. 이때, 도 3b를 참조하면, 에어블로워(71)는 에어가 분출되는 다수의 에어홀(71a)을 구비한다. 도 3b에서는 일부 롤러들(11)을 생략하여 다수의 에어홀(71a)을 구비한 에어블로워(71)를 나타내고 있다. 에어블로워(71)는, 촬영 영상의 판독 결과 불량 판독에 따라, 블로윙 구간(10c)을 지나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간극부위 영역(11a)에서 불량품의 위치에 대응하는 에어홀(71a) 각각을 통해 에어를 배출한다. 이에 따라, 블로윙 구간(10c)의 간극부위 영역(11a)에 위치된 불량품은 에어에 의해 간극부위 영역(11a)으로부터 벗어나거나 날라가 불량품 배출구(7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블로윙 구간(10c)은 에어블로워(71)의 다수의 에어홀(71a)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간극부위 영역(11a)으로 분출되는 구간, 즉, 에어의 분출방향(도 5의 도면부호 Ba 참조)과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간극부위 영역(11a) 및 에어홀(71a) 사이의 방향이 일치되는 구간을 말한다.
예컨대, 블로윙 구간(10c)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 구간 중 촬영구간(10b)이 형성된 최고점 구간을 지나 수평상 최외각 지점 전에 원호형으로 커브진 하향커브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에어블로워(71)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 하향커브 구간의 1 ~ 2시 사이의 방향 구간으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예컨대, 하향커브 구간의 1 ~ 2시 사이의 방향 구간에 블로윙 구간(10c)이 형성된다.
한편, 불량품 배출구(73)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타측부위 외측에 설치된다. 불량품 배출구(73)는 에어블로워(71)의 배출 에어에 의해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간극부위 영역(11a)으로부터 벗어나는 불량품들을 배출시킨다. 예컨대, 불량품 배출구(73)의 하측에는 불량품 수집기(도시되지 않음)를 두어 불량품을 양품과 분리 수집할 수 있다. 도 4 및 5에서 불량품 배출구(73)는 생략되어 도시되지 않는다.
이때, 촬영 영상의 판독 결과 양품으로 판독되어 블로윙 구간(10c)을 통과한 양품들은 블로윙 구간(10c)의 후단 영역에서 분리 배출된다. 예컨대, 블로윙 구간(10c)을 통과한 양품들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에 따라 자중에 의해 수직방향(도 5의 도면부호 Rb 참조)으로 낙하하며 하단에 배치되는 양품 수집기(도시되지 않음)로 분리되어 수집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별도 양품 배출구(도시되지 않음)를 블로윙 구간(10c)의 후단 영역에 배치시키고 블로윙 구간(10c)을 통과한 양품들이 양품 배출구를 통해 양품 수집기로 분리 수집되도록 할 수도 있다.
롤러회전 기여유닛(40)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를 살펴본다. 이때, 하나의 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는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을 더 포함한다. 예컨대,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내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은 적어도 촬상유닛(50)의 촬영이 수행되는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은 적어도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이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방향(Ra)과 반대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내측에서 촬영구간(10b)의 하부에 설치되거나 촬영구간(10b)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고, 예컨대, 이때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과 체결 내지 맞닿도록 설치되어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이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방향(Ra)과 반대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촬영구간(10b)의 하부에 롤러회전 기여유닛(40)가 설치된 예는 직접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2, 3a 및 3b에서 물품투입구간(10a)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회전 기여유닛(40)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이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외측에 설치되는 경우 외측 상부에 설치되며 롤러들(11)의 외주면과 치합 내지 벨트 접촉되거나 또는 외측 측부에 설치되며 롤러들(11)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단부측에 형성되는 기어 내지 풀리와 치합 내지 벨트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직접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촬영구간(10b)의 하부 내지 외측에 설치되는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이 풀리벨트와 풀리를 구비하면 풀리벨트가 롤러들(11)의 외주면에 맞닿거나 롤러축 돌출단부에 형성되는 풀리에 맞닿는 예는 도 2, 3a 및 3b에 도시된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이 풀리벨트(41)와 풀리(42)를 구비하고 풀리벨트(41)가 롤러들(41)의 하부 외주면에 맞닿는 구조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촬영구간(10b)의 하부 내지 외측에 설치되는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이 롤러들(11)의 외주면에 맞닿는 무회전 접촉면을 구비하는 경우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의 외주면과의 마찰력에 따라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의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무회전 접촉면에 의한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의 역회전, 즉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방향(Ra)과 반대로 회전은 무회전 접촉면이 롤러들(11)의 외주면 중 상면에 위치되는 경우에 이루어지고, 무회전 접촉면에 의한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의 정회전, 즉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방향(Ra)과 동일방향 회전은 무회전 접촉면이 롤러들(11)의 외주면 중 하면에 위치되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은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뿐만 아니라 촬영구간(10b)외의 나머지 이송구간 중 물품투입구간(10a)의 롤러들(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2, 3a 및/또는 3b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이송구간 중 물품투입구간(10a)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이 물품투입구간(10a)의 롤러들(11)을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방향(Ra)과 반대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은 촬영구간(10b)의 상측 내지 하측이 아닌 촬영구간(10b)과 수평 상 이격되는 이송구간 내 지점의 하측 내지 상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은 직접적으로 물품투입구간(10a)의 롤러들(11)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회전되는 롤러들(11)이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에 따라 촬영구간(10b)을 통과하는 동안에도 계속 회전할 수도 있다. 즉, 예컨대 도 2, 3a 및/또는 3b에서 촬영구간(10b)의 하측 내지 상측이 아닌 물품투입구간(10a)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회전 기여유닛(40)에 의해서도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이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2, 3a 및/또는 3b에 도시된 롤러회전 기여유닛(40)과 별도로 촬영구간(10b)의 하측 내지 상측에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과 접하는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 3a 및/또는 3b에서 물품투입구간(10a)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은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벨트를 구비하여 롤러들(11)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하여 롤러들(11)을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은 적어도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의 외주면과 외측으로 맞닿는 회전 벨트 내지 외주면과 맞닿는 무회전 접촉면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은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과 맞닿는 무회전 접촉면을 구비하는 경우,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을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의 외주면과 외측으로 맞닿는 회전 벨트는 동력 구동에 따라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방향(Ra)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을 역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롤러들(11)의 외주면과 외측으로 맞닿는 무회전 접촉면은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의 외주면과의 마찰력에 따라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의 회전시킬 수 있다.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이 회전 벨트를 구비하는 경우, 회전벨트는 무동력 회전 수행과 함께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의 역회전을 위해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동력 구동되는 경우에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내측이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의 외주면과 외측으로 맞닿는 회전벨트는 직접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2, 3a 및 3b에 도시된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의 풀리벨트(41)가 물품투입구간(10a)의 롤러들(11)의 하부 외주면에 맞닿는 것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하나의 예에서, 다수의 롤러들(11)의 일측에 기어 내지 풀리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는 롤러회전 기여유닛(40)은 적어도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의 기어 내지 풀리 구조와 외측으로 체결되거나 맞닿는 체인, 타이밍벨트 또는 풀리용 벨트를 구비할 수 있다. 체인, 타이밍 벨트 또는 풀리용 벨트는 동력 구동에 따라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방향(Ra)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을 역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체인, 타이밍 벨트 또는 풀리용 벨트는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과의 반작용력 내지 마찰력에 따라 촬영구간(10b)의 롤러들(11)의 역회전과 함께 무동력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반작용력은 체인 또는 타이밍 벨트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고, 마찰력은 풀리용 벨트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정렬브러쉬 유닛(20)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를 살펴본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는 정렬브러쉬 유닛(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렬브러쉬 유닛(20)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일측 부위에 설치된다. 예컨대, 정렬브러쉬 유닛(20)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물품투입구간(10a)의 말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정렬브러쉬 유닛(20)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에 따라 물품투입구간(10a)에 수용된 물품들을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간극부위 영역(11a)에 정렬시킨다. 정렬브러쉬 유닛(20)에 의해 정렬되는 물품들은 길이방향의 길이가 롤러축과 나란하게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간극부위 영역(11a)에 정렬될 수 있다. 정렬브러쉬 유닛(20)은 간극부위 영역(11a) 각각에서 다수의 캡슐타입 약품들을 롤러축과 나란하게 일렬로 규칙성있는 간격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정렬브러쉬 유닛(20)에 의해 각 간극부위 영역(11a)에서 롤러축과 나란하게 일렬로 다수 정렬되는 캡슐타입 약품들의 정렬위치는 블로윙 구간(10c)에서의 다수의 에어홀(71a)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정렬브러쉬 유닛(20)은 하나의 간극부위 영역(11a)에서 물품들 간에 규칙성있는 간격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규칙성있는 간격이란 기본적으로는 간격이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일 수 있고, 이때의 간격을 기본간격이라고 한다. 규칙성있는 간격이란 기본간격뿐만 아니라 기본간격들 사이에 예정되는 물품이 누락되는 경우에 확대된 확대 간격을 포함한다. 즉, 하나의 간극부위 영역(11a)에서 물품들이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본간격으로 정렬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모두 기본간격을 두고 정렬 예정인 물품들의 일부가 빠지면 기본간격들 사이에 예정된 물품의 누락에 따른 확대된 확대 간격을 포함하여 정렬되는 경우를 규칙성있는 간격이라고 한다. 이때, 정렬브러쉬 유닛(20)에 의해 규칙성있는 간격으로 정렬되는 물품들 간의 기본간격은 배출유닛(70)의 에어블로워(71)에 구비되는 다수의 에어홀(71a)의 간격과 매칭될 수 있다. 즉, 정렬브러쉬 유닛(20)에 의해 하나의 간극부위 영역(11a)에 물품들이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본간격을 두고 정렬되는 경우 물품들의 위치는 블로윙 구간(10c) 통과 시 에어블로워(71)의 다수의 에어홀(71a)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정렬브러쉬 유닛(20)은 정렬브러쉬일 수 있다. 이때, 정렬브러쉬는 비흡착형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방향(Ra)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물품들을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간극부위 영역(11a)에 정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정렬브러쉬는 물품들이 각각의 간극부위 영역(11a)에서 실질적으로 예정된 기본간격 단위로 정렬 가능하도록 둘레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홈과 돌기가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정렬브러쉬의 돌기부분은 회전에 따라 롤러(11)와 롤러(11) 사이의 간극부위 영역(11a)의 안쪽까지 쓸어내고 물품들 간에 기본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정렬브러쉬의 홈부분은 롤러(11)와 롤러(11) 사이의 간극부위 영역(11a)에 안치된 하나의 물품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 물품을 쓸어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물품투입구간(10a) 내지 물품 투입부 구간의 간극부위 영역(11a)에서 다층으로 쌓인 물품들 중 초과 물품은 정렬브러쉬의 홈부분에 의해 쓸려나가거나 또는/및 롤러의 역회전과 경사 내지 커브 구조에 따라 후방으로 떨어져나가며 간극부위 영역(11a)에서 물품들이 다층이 아닌 단일층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물품투입구간(10a) 내지 물품 투입부 구간은 이송방향으로 상향 경사 내지 볼록한 커브를 형성하고 구간 내 롤러들(11)이 자체로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역회전하므로, 간극부위 영역(11a)에서 하나의 물품 위에 쌓이는 초과 물품은, 정렬브러쉬의 홈부분에 의한 쓸림이 없이도 또는 정렬브러쉬의 홈부분에 의한 쓸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후방으로 굴러떨어지며 단일층으로 배열될 수 있다.
기타 구성들
예컨대,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는 물품 투입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품 투입부(15)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의 일측 부근에, 예컨대 물품투입구간(10a)의 일단부에 또는 물품투입구간(10a)의 일단부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물품 투입부(15)는 물품들을 물품투입구간(10a)으로 전달하여 투입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10)을 커버하고 하우징의 상면에서 정렬브러쉬 유닛(20) 및 촬상유닛(50)의 일부가 노출되고 하우징의 측부에 불량품 배출구(7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0: 비흡착형 롤러 이송유닛 10a: 물품투입구간
10b: 촬영구간 10c: 블로윙 구간
11: 롤러 11a: 간극부위 영역
12: 프레임 13: 체인 내지 구동체인
15: 물품 투입부 20: 정렬브러쉬 유닛
30: 구동유닛 31, 31a, 31b: 기어
40: 롤러회전 기여유닛 41: 벨트
42: 풀리 50: 촬상유닛
51: 카메라부 51a, 51b: 제1 및 제2 카메라
53: 조명부 53a, 53b: 제1 및 제2 내측조명
53c: 외측조명 70: 배출유닛
71: 에어블로워 71a: 에어홀
73: 불량품 배출구

Claims (12)

  1. 롤러 사이의 간극부위 영역에 위치되어 이송되는 물품들의 외관을 검사하는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에 있어서,
    둘레를 따라 다수 롤러들이 간극을 유지하며 연속 배열되되, 회전하며 일측에서 투입되는 상기 물품들을 상기 간극부위 영역에 위치시켜 비흡착 방식으로 타측으로 이송하는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며 이송되는 상기 물품들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내측, 외측 또는 내외측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상기 물품들을 조명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촬상유닛; 및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타측 부위에 설치되고 이송된 상기 물품들을 상기 촬상유닛에 의한 촬영 영상의 판독 결과에 따라 불량품들과 양품들로 분리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물품들은 캡슐타입 약품들이고,
    2개 롤러 사이의 각 간극부위 영역마다 상기 캡슐타입 약품들이 길이방향으로 롤러축과 나란하게 다수 배치되어 이송되고,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촬상유닛의 촬영이 수행되는 촬영구간의 롤러들이 회전되도록 하는 롤러회전 기여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회전 기여유닛에 의한 상기 촬영구간의 상기 롤러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캡슐타입 약품들의 촬상면이 변경되고,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은 투입되는 상기 캡슐타입 약품들을 받아들이고 상기 캡슐타입 약품들의 이송이 개시되는 물품투입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는 상기 물품투입구간의 말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물품투입구간에 수용된 상기 캡슐타입 약품들을 상기 각 간극부위 영역에 정렬시키는 정렬브러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렬브러쉬 유닛은 상기 간극부위 영역 각각에서 다수의 캡슐타입 약품들을 상기 롤러축과 나란하게 기본간격으로 일렬로 정렬시키거나 상기 기본간격을 두고 정렬예정인 상기 캡슐타입 약품들의 일부가 빠진 확대간격을 포함하여 일렬로 정렬시킴으로써 상기 기본간격 내지 상기 확대간격을 포함하는 규칙성있는 간격으로 정렬시키고,
    상기 배출 유닛은: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타측부위 내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에어홀을 구비하고, 상기 촬영 영상의 판독 결과 불량 판독에 따라, 블로윙 구간을 지나는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상기 간극부위 영역에서 불량품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에어홀 각각을 통해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블로워; 및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타측부위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블로워의 배출 에어에 의해 상기 간극부위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상기 불량품들을 배출시키는 불량품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브러쉬 유닛에 의해 상기 각 간극부위 영역에서 상기 롤러축과 나란하게 일렬로 다수 정렬되는 상기 캡슐타입 약품들의 정렬위치는 상기 블로윙 구간에서의 상기 다수의 에어홀의 위치에 대응되고,
    상기 정렬브러쉬 유닛의 브러쉬는 상기 캡슐타입 약품들 각각이 상기 간극부위 영역에서 상기 블로윙 구간에서의 상기 다수의 에어홀의 위치에 대응되게 정렬 가능하도록 둘레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홈과 돌기가 번갈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롤러회전 기여유닛은 적어도 상기 촬영구간의 롤러들의 외주면과 외측으로 맞닿는 회전 벨트를 구비하여 적어도 상기 촬영구간의 롤러들이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 벨트는 동력 구동에 따라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촬영구간의 롤러들을 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서,
    상기 다수의 롤러들의 일측에 기어 내지 풀리 구조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회전 기여유닛은 적어도 상기 촬영구간의 롤러들의 상기 기어 내지 풀리 구조와 외측으로 체결되거나 맞닿는 체인, 타이밍벨트 또는 풀리용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체인, 타이밍 벨트 또는 풀리용 벨트는 동력 구동에 따라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촬영구간의 롤러들을 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5. 청구항 1에서,
    상기 롤러회전 기여유닛은 적어도 상기 촬영구간의 롤러들의 외주면과 맞닿는 무회전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촬영구간의 롤러들의 외주면과의 마찰력에 따라 상기 촬영구간의 롤러들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6. 청구항 1에서,
    상기 촬영 영상의 판독 결과 양품으로 판독되어 상기 블로윙 구간을 통과한 상기 양품들은 상기 블로윙 구간의 후단 영역에서 분리 배출되고,
    상기 촬영구간은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회전 구간 중 최고점 구간에 형성되고,
    상기 블로윙 구간은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회전 구간 중 상기 최고점 구간을 지나 수평상 최외각 지점 전에 원호형으로 커브진 하향커브 구간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블로워는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 상기 하향커브 구간의 1 ~ 2시 사이의 방향 구간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외측 상부에 배치된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1 카메라의 촬영구간 후단에서 상기 물품들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하나는 적외선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9. 청구항 8에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카메라의 촬영구간을 비추는 제1 내측조명, 상기 제1 카메라의 촬영구간의 상측에서 상기 제1 카메라의 촬영구간을 비추는 외측조명 및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의 내측에서 상기 제2 카메라의 촬영구간을 비추는 제2 내측조명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이고, 상기 제2 내측조명은 적외선 조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10. 청구항 1, 2, 4, 5, 6, 8, 9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은 둘레를 따라 상기 다수의 롤러들이 배치된 원통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11. 청구항 1, 2, 4, 5, 6, 8, 9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비흡착 롤러 이송유닛은 상기 다수의 롤러들의 양단측에 결합된 한 쌍의 구동체인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한 쌍의 구동체인을 회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12. 삭제
KR1020180038576A 2018-04-03 2018-04-03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KR102300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576A KR102300338B1 (ko) 2018-04-03 2018-04-03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KR1020210117434A KR20210127646A (ko) 2018-04-03 2021-09-03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576A KR102300338B1 (ko) 2018-04-03 2018-04-03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336A Division KR20200024799A (ko) 2020-01-17 2020-01-17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KR1020210117434A Division KR20210127646A (ko) 2018-04-03 2021-09-03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643A KR20190115643A (ko) 2019-10-14
KR102300338B1 true KR102300338B1 (ko) 2021-09-09

Family

ID=681715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576A KR102300338B1 (ko) 2018-04-03 2018-04-03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KR1020210117434A KR20210127646A (ko) 2018-04-03 2021-09-03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434A KR20210127646A (ko) 2018-04-03 2021-09-03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0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884B1 (ko) 2019-12-31 2021-11-11 (주)에스엘티지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
KR102625908B1 (ko) * 2021-02-26 2024-01-17 신용관 캡슐형 약품의 검사장치 및 방법
KR102310235B1 (ko) * 2021-03-26 2021-10-08 김진기 알약용 비전 검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268A (ja) 1998-08-26 2000-05-16 Yuyama Seisakusho:Kk 錠剤検査装置
JP2004138429A (ja) * 2002-10-16 2004-05-13 Taizo Yamamoto 扁平錠剤の外観検査機
JP2009161260A (ja) * 2007-12-28 2009-07-23 Nisshin Kasei Kk 錠剤の搬送装置、整列供給装置及び側面外観検査装置
KR101218764B1 (ko) 2010-08-23 2013-01-07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5679B2 (ja) 1999-07-23 2008-01-23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錠剤の側面検査装置、及び表裏面検査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錠剤の外観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268A (ja) 1998-08-26 2000-05-16 Yuyama Seisakusho:Kk 錠剤検査装置
JP2004138429A (ja) * 2002-10-16 2004-05-13 Taizo Yamamoto 扁平錠剤の外観検査機
JP2009161260A (ja) * 2007-12-28 2009-07-23 Nisshin Kasei Kk 錠剤の搬送装置、整列供給装置及び側面外観検査装置
KR101218764B1 (ko) 2010-08-23 2013-01-07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643A (ko) 2019-10-14
KR20210127646A (ko) 202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7646A (ko)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KR20200024799A (ko)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KR102324884B1 (ko) 캡슐형 제품 외관검사장치
JP3796289B2 (ja) 小物物品の外観検査装置
JP4035679B2 (ja) 錠剤の側面検査装置、及び表裏面検査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3758004B2 (ja) 錠剤の外観検査装置
KR101669596B1 (ko) 정제 자동검사장치
JP3105752B2 (ja) 偏平物品の側面検査装置、偏平物品の搬送装置及びそれらを用いた偏平物品の外観検査装置
KR101404868B1 (ko) 약품 외관 검사장치
KR19980071418A (ko) 고형 제제의 외관검사장치
JP2003503686A (ja) 果実のなどの産品を自動選別するための分析方法並びに分析装置
JP2001039536A (ja) ワーク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20120018632A (ko) 정제 자동 검사장치
JP2008008897A (ja) 錠剤の表裏面外観検査装置、側面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装置
JP4310616B2 (ja) 扁平錠剤の外観検査機
KR102365598B1 (ko) 캡슐 검사 장치
JP2018117949A (ja) 錠剤印刷装置
JP4953913B2 (ja) 外観検査装置
KR102257955B1 (ko)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JPH0292168A (ja) 物品の下面撮像装置
JP3872508B1 (ja) 小物品の外観検査方法および外観検査装置
JP2977640B2 (ja) カプセル検査装置
JPH10170446A (ja) 錠剤の姿勢変換機構及び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2020203008A (ja) 割線情報取得装置および錠剤印刷装置
KR102625908B1 (ko) 캡슐형 약품의 검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310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222

Effective date: 20210709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