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5536A - 약품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약품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5536A
KR20220155536A KR1020210062985A KR20210062985A KR20220155536A KR 20220155536 A KR20220155536 A KR 20220155536A KR 1020210062985 A KR1020210062985 A KR 1020210062985A KR 20210062985 A KR20210062985 A KR 20210062985A KR 20220155536 A KR20220155536 A KR 20220155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medicine
unit
drug
trans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8271B1 (ko
Inventor
오지영
김인호
전양원
임재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Priority to KR1020210062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271B1/ko
Publication of KR20220155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2Measures preceding sorting, e.g.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orien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Landscapes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품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딩부, 제1트랜스퍼부 및 제2트랜스퍼부를 포함하고, 제1흡착위치 및 제2흡착위치가 마련된다. 피딩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약품이 원심력에 의해 내측면에 밀착되며, 내측면을 따라 약품이 일렬로 정렬되는 정렬라인을 구비한다. 제1트랜스퍼부는 피딩부로부터 공급되는 약품을 전달받아, 약품의 일면을 검사하는 제1검사부 측으로 약품을 이송한다. 제2트랜스퍼부는 제1트랜스퍼부로부터 공급되는 약품을 전달받아, 약품의 타면을 검사하는 제2검사부 측으로 약품을 이송한다. 제1흡착위치는 피딩부의 가장자리부와 제1트랜스퍼부의 가장자리부가 상하 방향으로 일부 겹쳐서 배치되고, 피딩부와 제1트랜스퍼부가 겹쳐서 배치된 부분에는 제1트랜스퍼부로 약품이 흡착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제2흡착위치는 제1트랜스퍼부의 가장자리부와 제2트랜스퍼부의 가장자리부가 상하 방향으로 일부 겹쳐서 배치되고, 제1트랜스퍼부와 제2트랜스퍼부가 겹쳐서 배치된 부분에는 제2트랜스퍼부로 약품이 흡착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Description

약품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DRUGS}
본 발명은 약품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약품의 불량 등을 검사하고 분류하기 위하여 적정량의 약품이 단계적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약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 분야에서 치료 등의 목적으로 복용하는 정제나 캡슐과 같은 약품은 자동화 공정을 통해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품을 검사하기 위한 과정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약품은 자동화 공정에서 생산되는 과정 중에, 불량품 검사과정을 통해 이물질의 부착 또는 오염, 약품 간의 접촉이나 충격에 의한 크랙 또는 부분 손상, 변형이나 인쇄 불량 등과 같은 외관상의 흠결이 발생한 약품을 제거하고 있다.
약품의 외관을 검사하는 과정은, 작업자에 의해 수행하는 육안검사에서 자동검사장치를 사용하는 자동검사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자동검사장치를 위한 약품 검사장치는 여러 가지 유형의 것이 제안되었다.
약품 검사장치를 사용하여 약품을 자동으로 검사하는 경우에, 약품이 카메라가 있는 트랜스퍼부로 공급되어 이송되고, 이송 도중 약품의 표면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약품의 표면의 영상을 처리함으로써 흠결의 존부를 검사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채택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약품 검사장치는, 약품이 트랜스퍼부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약품이 불규칙하게 적층될 수 있어 약품이 이송되지 않을 경우 약품의 이송이 정체되어 약품의 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60933호(2016.09.29 공고, 발명의 명칭 : 정제 공급 장치 및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딩부와 트랜스퍼부의 가장자리부를 상하 방향으로 일부 겹쳐서 배치함으로써, 약품의 이송에 정체가 없도록 하는 약품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약품 검사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약품이 원심력에 의해 내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내측면을 따라 약품이 일렬로 정렬되는 정렬라인을 구비하는 피딩부; 상기 피딩부로부터 공급되는 약품을 전달받아, 약품의 일면을 검사하는 제1검사부 측으로 약품을 이송하는 제1트랜스퍼부; 및 상기 제1트랜스퍼부로부터 공급되는 약품을 전달받아, 약품의 타면을 검사하는 제2검사부 측으로 약품을 이송하는 제2트랜스퍼부; 포함하고, 상기 피딩부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1트랜스퍼부의 가장자리부가 상하 방향으로 일부 겹쳐서 배치되고, 상기 피딩부와 상기 제1트랜스퍼부가 겹쳐서 배치된 부분에는 상기 제1트랜스퍼부로 약품이 흡착되는 제1흡착위치가 마련되며, 상기 제1트랜스퍼부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트랜스퍼부의 가장자리부가 상하 방향으로 일부 겹쳐서 배치되고, 상기 제1트랜스퍼부와 상기 제2트랜스퍼부가 겹쳐서 배치된 부분에는 상기 제2트랜스퍼부로 약품이 흡착되는 제2흡착위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품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스퍼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피딩부로부터 약품이 흡착되는 진공홀을 구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상측에서 겹합되고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고정되게 설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품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1흡착위치와 원주 방향으로 제1검사부를 지나 상기 제2흡착위치 사이에 형성되는 진공챔버와, 상기 진공챔버가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형성되고, 진공압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진공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품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진공챔버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챔버 분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품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흡착위치는 상기 진공챔버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제2흡착위치는 상기 진공차단부 부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품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흡착위치에서 약품이 상기 피딩부로부터 상기 제1트랜스퍼부로 전달될 때 약품이 상기 제1트랜스퍼부와 접촉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피딩부는 상기 제1트랜스퍼부 측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품 검사장치에 있어서, 약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흡착위치에서 상기 피딩부와 상기 제1트랜스퍼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트랜스퍼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약품 검사장치에 따르면, 약품의 이송에 정체가 발생하지 않아 약품의 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품 검사장치에 따르면, 제1트랜스퍼부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는 영역을 나누어 약품이 단계적으로 공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품 검사장치에 따르면, 진공챔버에 균일한 진공압을 형성할 수 있어 약품이 이송 도중 낙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품 검사장치에 따르면, 약품이 제1트랜스퍼부와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품 검사장치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의 약품을 검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검사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약품 검사장치에서 제1흡착위치에서 약품이 피딩부로부터 제1트랜스퍼부로 공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약품 검사장치에서 약품이 공급되고 이송되는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약품 검사장치에서 제1트랜스퍼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약품 검사장치에서 커버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약품 검사장치에서 피딩부가 제1트랜스퍼부 측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약품 검사장치에서 제1트랜스퍼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약품 검사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검사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약품 검사장치에서 제1흡착위치에서 약품이 피딩부로부터 제1트랜스퍼부로 공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약품 검사장치에서 약품이 공급되고 이송되는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약품 검사장치에서 제1트랜스퍼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약품 검사장치에서 커버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약품 검사장치에서 피딩부가 제1트랜스퍼부 측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약품 검사장치에서 제1트랜스퍼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약품 검사장치는 정제나 캡슐과 같은 제형의 외관을 검사하는 장치이고, 본 실시예의 약품 검사장치는 정제의 외관을 검사하는 장치이나, 검사되는 약품이 반드시 정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약품 검사장치(100)는 피딩부(110), 제1트랜스퍼부(120) 및 제2트랜스퍼부(150)를 포함한다.
피딩부(110)는 외부로부터 약품(10)을 공급받아 제1트랜스퍼부(120)로 약품(10)을 공급하고, 제1회전판(111) 및 정렬라인(112)을 포함한다.
제1회전판(111)은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약품(10)이 원심력에 의해 피딩부(110)의 내측면으로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정렬라인(112)은 피딩부(110)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내측면으로 밀착된 약품(10)이 일렬로 정렬될 수 있게 한다. 정렬라인(112)에 일렬로 정렬된 약품(10)은 약품(10) 간의 미는 마찰력에 의해 정렬라인(112) 상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제1트랜스퍼부(120)는 제1트랜스퍼부(120)의 가장자리부와 피딩부(110)의 가장자리부가 상하 방향으로 일부 겹치게 배치되고, 제2회전판(130) 및 커버부(140)를 포함한다.
제2회전판(130)은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피딩부(110)로부터 약품(10)이 흡착되는 진공홀(131)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트랜스퍼부(120)는 피딩부(110)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피딩부(110)와 일부 겹치게 배치될 수 있다. 피딩부(110)와 제1트랜스퍼부(120)가 겹쳐서 배치된 부분에는 진공압에 의해 진공홀(131)로 약품(10)이 흡착되는 제1흡착위치(P1)가 마련된다.
제2트랜스퍼부(150)는 제2트랜스퍼부(150)의 가장자리부와 제1트랜스퍼부(120)의 가장자리부가 상하 방향으로 일부 겹치게 배치되고, 제3회전축(A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회전판(151)을 포함한다.
도 2와 동일한 형태로, 제2트랜스퍼부(150)는 제1트랜스퍼부(120)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제1트랜스퍼부(120)와 일부 겹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트랜스퍼부(120)와 제2트랜스퍼부(150)가 겹쳐서 배치된 부분에는 진공압에 의해 제2트랜스퍼부(150)로 약품(10)이 흡착되는 제2흡착위치(P2)가 마련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외부로부터 약품(10)이 피딩부(110)로 공급되면, 약품(10)은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회전판(111)에서 원심력에 의해 피딩부(110)의 내측면으로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약품(10)은 내측면에 설치된 정렬라인(112)을 따라 일렬로 정렬되어 제1흡착위치(P1)로 이송될 수 있다.
제1흡착위치(P1)에서 약품(10)은 진공압에 의해 진공홀(131)로 흡착되어 제1트랜스퍼부(1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1흡착위치(P1)에서 진공홀(131)로 흡착되지 못한 약품(10)은 제1회전판(111)으로 다시 이송되어 상기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종래의 약품 검사장치에서는 피딩부와 트랜스퍼부가 일부 겹쳐서 배치되지 않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서, 약품이 피딩부에서 트랜스퍼부로 공급이 되지 않을 경우, 약품의 공급 과정에 정체가 생길 수 있다.
쉽게 말해, 종래의 약품 검사장치는 피딩부에서 약품이 이송되는 경로와 트랜스퍼부에서 약품이 이송되는 경로가 하나의 경로로 연결되어 있어, 약품이 불규칙하게 적층되어 약품의 이송 경로가 막혀버리면 약품의 이송이 멈춰버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딩부(110)에서 약품(10)이 이송되는 경로와 제1트랜스퍼부(120)에서 약품(10)이 이송되는 경로가 각각 구비되어 피딩부(110)에서 이송되고 있는 약품(10)이 진공압에 의해 제1트랜스퍼부(120)로 흡착될 수 있다.
그리고 피딩부(110)에서 제1트랜스퍼부(120)로 약품(10)이 흡착되지 않아도 약품(10)은 피딩부(110)로 회수되어 다시 제1흡착위치(P1)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피딩부(110)와 제1트랜스퍼부(120)의 가장자리부를 상하 방향으로 일부 겹쳐서 배치함으로써, 약품(10)이 공급되지 않아도 약품(10)의 이송에 정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트랜스퍼부(120)로 공급된 약품(10)은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회전판(130)을 따라 제1검사부(20) 측으로 이송되어 제1검사부(20)에서 일면이 검사될 수 있다.
제1검사부(20)에서 검사받은 약품(10)은 제2흡착위치(P2)로 이송되어 진공압에 의해 제2트랜스퍼부(15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2트랜스퍼부(150)가 제1트랜스퍼부(120)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제1트랜스퍼부(120)와 일부 겹치게 배치되어 제1트랜스퍼부(120)에서 제2트랜스퍼부(150)로 약품(10)이 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흡착위치(P1)에서와 동일한 원리로 제1트랜스퍼부(120)와 제2트랜스퍼부(150)의 가장자리부를 상하 방향으로 일부 겹쳐서 배치함으로써, 약품(10)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약품(10)이 불규칙하게 적층되어 약품(10)이 공급되지 않고 약품(10)의 이송이 정체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제2트랜스퍼부(150)로 공급된 약품(10)은 제3회전축(A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회전판(151)을 따라 제2검사부(30) 측으로 이송되어 제2검사부(30)에서 타면이 검사될 수 있다.
제2검사부(30)에서 검사받은 약품(10)은 배출부(미도시)로 이송되어 양품, 불량 및 미검사 등으로 분류되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부(140)는 제2회전판(130) 상측에서 결합되며 제2회전축(A2)에 대하여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커버부(140)는 회전하지 않고, 제1트랜스퍼부(120)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는 영역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트랜스퍼부(120)는 진공챔버(141), 진공차단부(142) 및 챔버 분할판(143)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챔버(141)는 제1트랜스퍼부(120)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제1흡착위치(P1)와 원주방향으로 제1검사부(20)를 지나 제2흡착위치(P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진공차단부(142)는 진공챔버(141)가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제1트랜스퍼부(120)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흡착위치(P1)는 진공압이 형성되는 진공챔버(141) 부분에 마련될 수 있고, 제2흡착위치(P2)는 진공압이 형성되지 않는 진공차단부(142)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피딩부(110)에서 제1트랜스퍼부(120)로 공급된 약품(10)이 제1흡착위치(P1)와 원주방향으로 제1검사부(20)를 지나 제2흡착위치(P2) 사이까지 진공홀(131)상에서 고정될 수 있는 진공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진공홀(131)상에 고정돼있던 약품(10)이 진공압이 형성되지 않는 제2흡착위치(P2)에서 진공홀(131)상에 고정되지 않고 제2트랜스퍼부(150)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진공챔버(141) 및 진공차단부(142)가 제1트랜스퍼부(120)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는 영역을 나누어, 약품(10)이 피딩부(110)에서 제1트랜스퍼부(120)로 및 제1트랜스퍼부(120)에서 제2트랜스퍼부(150)로 단계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챔버 분할판(143)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진공챔버(141)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만약 챔버 분할판(143)이 없어 진공챔버(141)가 하나의 챔버로 형성되어 있으면, 제1흡착위치(P1)에서 진공압에 의해 약품(10)이 진공홀(131)로 흡착될 때, 순간적으로 제1흡착위치(P1)에서의 진공챔버(141)의 진공압은 높아질 수 있다.
그때, 제1흡착위치(P1)를 지나 제2흡착위치(P2)까지에서의 진공챔버(141)의 진공압은 낮아질 수 있고, 그로 인해, 제1흡착위치(P1)를 지나 제2흡착위치(P2)까지에서의 진공홀(131)에서는 약품(10)이 진공압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낙하될 수 있다.
따라서, 챔버 분할판(143)으로 진공챔버(141)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분할함으로써, 제1흡착위치(P1)가 마련된 진공챔버(141)의 공간에서 순간적인 진공도의 차이가 발생하여도 다른 공간의 진공챔버(141)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균일한 진공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피딩부(110)는 제1트랜스퍼부(120) 측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약품(10)이 정렬라인(112)을 따라 제1흡착위치(P1)로 이송될 때, 약품(10)의 상부가 제1트랜스퍼부(120)의 하부와 접촉에 의해 약품(10)이 손상될 수 있다.
이때, 피딩부(110)를 제1트랜스퍼부(120) 측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하여 약품(10)이 제1트랜스퍼부(120)의 하측보다 더 아래에서 이송될 수 있게 하고, 그로 인하여 약품(10)이 제1흡착위치(P1)로 이송 과정 중에 제1트랜스퍼부(120)와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트랜스퍼부(12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약품(10)의 크기에 따라 제1흡착위치(P1)에서 피딩부(110)와 제1트랜스퍼부(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크기가 작은 약품(10)을 조사할 경우, 제1트랜스퍼부(120)를 아래로 이동시켜 제1흡착위치(P1)에서 피딩부(110)와 제1트랜스퍼부(120) 사이의 간격을 좁게 조절할 수 있다.
크기가 큰 약품(10)을 조사할 경우, 제1트랜스퍼부(120)를 위로 이동시켜 제1흡착위치(P1)에서 피딩부(110)와 제1트랜스퍼부(120) 사이의 간격을 넓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트랜스퍼부(150)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어, 제2흡착위치(P2)에서 제1트랜스퍼부(120)와 제2트랜스퍼부(15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약품(10)의 크기와 상관없이 제1흡착위치(P1) 및 제2흡착위치(P2)에서 약품(10)의 흡착 과정에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아 다양한 크기의 약품(10)을 검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약품 검사장치는, 피딩부와 트랜스퍼부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상하 방향으로 일부 겹쳐서 배치함으로써, 약품의 이송에 정체가 발생하지 않아 약품의 검사가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약품 검사장치는, 진공챔버 및 진공차단부를 포함함으로써, 제1트랜스퍼부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는 영역을 나누어 약품이 단계적으로 공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약품 검사장치는, 챔버 분할판을 포함함으로써, 진공챔버에 균일한 진공압을 형성할 수 있어 약품이 이송 도중 낙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약품 검사장치는, 피딩부가 제1트랜스퍼부 측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됨으로써, 약품이 제1트랜스퍼부와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약품 검사장치는, 제1트랜스퍼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약품을 검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약품 검사장치
110 : 피딩부
120 : 제1트랜스퍼부
130 : 제2회전판
140 : 커버부
150 : 제2트랜스퍼부

Claims (7)

  1. 외부로부터 공급된 약품이 원심력에 의해 내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내측면을 따라 약품이 일렬로 정렬되는 정렬라인을 구비하는 피딩부;
    상기 피딩부로부터 공급되는 약품을 전달받아, 약품의 일면을 검사하는 제1검사부 측으로 약품을 이송하는 제1트랜스퍼부; 및
    상기 제1트랜스퍼부로부터 공급되는 약품을 전달받아, 약품의 타면을 검사하는 제2검사부 측으로 약품을 이송하는 제2트랜스퍼부; 포함하고,
    상기 피딩부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1트랜스퍼부의 가장자리부가 상하 방향으로 일부 겹쳐서 배치되고, 상기 피딩부와 상기 제1트랜스퍼부가 겹쳐서 배치된 부분에는 상기 제1트랜스퍼부로 약품이 흡착되는 제1흡착위치가 마련되며,
    상기 제1트랜스퍼부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트랜스퍼부의 가장자리부가 상하 방향으로 일부 겹쳐서 배치되고, 상기 제1트랜스퍼부와 상기 제2트랜스퍼부가 겹쳐서 배치된 부분에는 상기 제2트랜스퍼부로 약품이 흡착되는 제2흡착위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스퍼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피딩부로부터 약품이 흡착되는 진공홀을 구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상측에서 겹합되고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고정되게 설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1흡착위치와 원주 방향으로 제1검사부를 지나 상기 제2흡착위치 사이에 형성되는 진공챔버와, 상기 진공챔버가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형성되고, 진공압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진공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검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진공챔버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챔버 분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검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착위치는 상기 진공챔버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제2흡착위치는 상기 진공차단부 부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검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착위치에서 약품이 상기 피딩부로부터 상기 제1트랜스퍼부로 공급될 때 약품이 상기 제1트랜스퍼부와 접촉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피딩부는 상기 제1트랜스퍼부 측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검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약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흡착위치에서 상기 피딩부와 상기 제1트랜스퍼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트랜스퍼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검사장치.
KR1020210062985A 2021-05-14 2021-05-14 약품 검사장치 KR102578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985A KR102578271B1 (ko) 2021-05-14 2021-05-14 약품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985A KR102578271B1 (ko) 2021-05-14 2021-05-14 약품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536A true KR20220155536A (ko) 2022-11-23
KR102578271B1 KR102578271B1 (ko) 2023-09-15

Family

ID=8423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985A KR102578271B1 (ko) 2021-05-14 2021-05-14 약품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27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3368A (ko) * 2009-12-22 2011-06-29 엠지2-에스.알.엘. 캡슐을 약품으로 충진하는 단속식 회전 기계
KR20120018632A (ko) * 2010-08-23 2012-03-05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 검사장치
KR20140044700A (ko) * 2012-10-05 2014-04-15 이구현 약품 외관 검사장치
KR20160045452A (ko) * 2014-10-17 2016-04-27 신용관 약품 하이브리드 검사시스템
KR101660933B1 (ko) 2015-04-15 2016-09-29 (주)엔클로니 정제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60123442A (ko) * 2015-04-15 2016-10-26 (주)엔클로니 약품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약품 외관 검사 장치
KR20160124377A (ko) * 2015-04-17 2016-10-27 (주)엔클로니 정제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3368A (ko) * 2009-12-22 2011-06-29 엠지2-에스.알.엘. 캡슐을 약품으로 충진하는 단속식 회전 기계
KR20120018632A (ko) * 2010-08-23 2012-03-05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 검사장치
KR20140044700A (ko) * 2012-10-05 2014-04-15 이구현 약품 외관 검사장치
KR20160045452A (ko) * 2014-10-17 2016-04-27 신용관 약품 하이브리드 검사시스템
KR101660933B1 (ko) 2015-04-15 2016-09-29 (주)엔클로니 정제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60123442A (ko) * 2015-04-15 2016-10-26 (주)엔클로니 약품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약품 외관 검사 장치
KR101726809B1 (ko) * 2015-04-15 2017-04-17 (주)엔클로니 약품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약품 외관 검사 장치
KR20160124377A (ko) * 2015-04-17 2016-10-27 (주)엔클로니 정제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271B1 (ko)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596B1 (ko) 정제 자동검사장치
JP3687710B2 (ja) 固形製剤の外観検査装置
JP6496453B2 (ja) 錠剤検査装置
JPH02644B2 (ko)
KR101404868B1 (ko) 약품 외관 검사장치
CN111032538B (zh) 排列输送装置
WO2019038985A1 (ja) 外観検査装置及びブリスター包装機
WO2019038981A1 (ja) 外観検査装置及びブリスター包装機
JP2009161260A (ja) 錠剤の搬送装置、整列供給装置及び側面外観検査装置
WO2018135157A1 (ja) 錠剤印刷包装装置及び錠剤印刷包装方法
KR20220155536A (ko) 약품 검사장치
JP2007137635A (ja) 錠剤搬送装置
KR101726808B1 (ko) 정제 이송 장치
JP4176390B2 (ja) 搬送装置
KR101274511B1 (ko) 정제 검사방법 및 장치
KR20190127495A (ko) 소형물품 공급장치 및 소형물품 검사 장치
KR102257955B1 (ko)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JP2977640B2 (ja) カプセル検査装置
JP2011080762A (ja) 物品検査装置
JP2018513816A (ja) 錠剤供給装置
JP5463834B2 (ja) 物品検査装置
KR101764238B1 (ko) 정량포장이 가능한 약품 검사장치
CN109956307B (zh) 一种o型环供料系统
JP2010104732A (ja) 有形製剤物の搬送供給装置
KR20200017374A (ko) 소형물품 공급장치 및 소형물품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