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809B1 - 약품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약품 외관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약품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약품 외관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809B1
KR101726809B1 KR1020150053185A KR20150053185A KR101726809B1 KR 101726809 B1 KR101726809 B1 KR 101726809B1 KR 1020150053185 A KR1020150053185 A KR 1020150053185A KR 20150053185 A KR20150053185 A KR 20150053185A KR 101726809 B1 KR101726809 B1 KR 101726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dicine
transfer
supply unit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442A (ko
Inventor
이경호
김병인
Original Assignee
(주)엔클로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클로니 filed Critical (주)엔클로니
Priority to KR1020150053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809B1/ko
Publication of KR20160123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 B65G65/463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withi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4Load carriers other than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7Articles manipulated as 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분진 제거가 용이한 약품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공급 유닛은, 약품이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약품을 횡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품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약품 외관 검사 장치{DRUGS SUPPLY UNIT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APPEARANCE OF DRUG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분진 제거가 용이한 약품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약품 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제나 캡슐과 같은 약품은 검사장치에 의한 외관 검사과정을 거친 후에 제품으로 최종 출하된다.
외관 검사 과정에서, 표면 불량, 모서리 불량, 각인 불량 등과 같은 흠결을 검사한다.
통상, 약품 외관 검사 장치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정제약 또는 캡슐을 촬영하여 표면의 영상을 얻고, 이것을 분석하여 흠결 여부를 판정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약품 외관 검사장치는 약품 공급 유닛, 정제약 또는 캡슐의 촬영을 위한 다수의 카메라 및 조명 유닛, 카메라가 약품을 촬영하도록 약품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 및 카메라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처리하고 흠결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 유닛 등을 포함한다.
한편, 약품은 그 특성으로 인해 검사 과정에서 분진이 많이 발생한다. 그런데 종래의 약품 외관 검사 장치는 이러한 분진이 내부에 쉽게 쌓이는 구조일 뿐 아니라, 분진을 제거하기도 어려운 구조로 제조되고 있다.
따라서 분진의 제거가 용이하고,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외관 검사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약품 외관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진의 제거가 용이한 약품 공급 유닛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공급 유닛은, 약품이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약품을 횡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약품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에 결합되는 관 형상의 투명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 장치는 상기한 약품 공급 유닛, 상기 약품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약품을 정렬시키는 정렬 유닛, 상기 정렬 유닛에 의해 정렬된 약품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약품을 촬영하는 촬상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렬 유닛은, 상기 약품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약품의 양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진동부의 진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 장치는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 공급 유닛이 매우 간단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분리 및 조립이 매우 용이하며, 이에 내부 소제를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약품이 이동하는 경로의 바닥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약품의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분진이 구석에 쌓이지 않으므로 청소가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약품 공급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약품 공급 유닛의 분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송부의 분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송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이송관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약품 공급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약품 공급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장치(100)는 약품 공급 유닛(50), 정렬 유닛(10), 이송 유닛(20, 30), 촬상 유닛(40), 및 제어 유닛(8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약품(1)은 정제약 또는/및 캡슐 등일 수 있다. 또한 약품 외관 검사 장치(100)는 분진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석션 유닛(도 2의 90)과, 검사가 완료된 약품을 분리 배출하는 배출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품 공급 유닛(50)은 호퍼(52), 이송부(60), 진동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52)는 약품이 투입되는 입구와, 이송부(60)로 약품을 토출하는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52)는 약품을 종 방향으로 이송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호퍼(52)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 부재(55)가 배치될 수 있다.
나선 부재(55)는 나선(helical) 형상으로 날개(56)가 형성되며, 호퍼(52)의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따라서 호퍼(52)에 투입되는 약품은 나선 부재(55)의 날개(56) 상에 안착되어 날개(56)의 형상을 따라 호퍼(52) 내부에서 회전하며 하부로 이동한다.
이러한 나선 부재(55)는 직접 회전하지 않고 호퍼(52)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약품의 이동은 진동부(70)의 진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진동부(70)의 진동에 의해 호퍼(52)와 나선 부재(55)가 함께 진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나선 부재(55)에 안착된 약품들은 점진적으로 호퍼(52)의 하부(즉 출구)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나선 부재(55)는 호퍼(52)로부터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호퍼(52)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구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호퍼(52) 형상에 대응하여 나선 부재(55)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따라서 호퍼(52) 내부에서 나선 부재(55)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부가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호퍼(52)에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분(즉 단면적이 동일한 부분)에만 나선 부재(55)를 배치하고, 나선 부재(55)를 지지하기 위한 돌기를 호퍼(52)의 내벽에 형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처럼 나선 부재(55)를 구비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약품 공급 유닛(50)은 호퍼(52) 내부에서 약품이 낙하하는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낙하 충격에 의해 약품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나선 부재(55)는 호퍼(52)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므로, 피치가 다른 다수의 나선 부재(55)를 미리 구비하고, 약품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적합한 나선 부재(55)를 선택적으로 호퍼(52)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송부(60)는 호퍼(52)로부터 토출되는 약품을 일시 저장하고, 횡 방향으로약품을 이송한 후 정렬 유닛(10)에 공급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송부의 분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송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이송관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60)는 이송관(62), 투명 부재(68), 고정 부재(69)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관(62)은 긴 관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 측에 호퍼(52)로부터 공급되는 약품이 저장되는 저장부(63)가 형성되며, 타단 측에는 정렬 유닛(10)으로 약품을 공급하는 토출부(65)가 형성된다. 또한 저장부(63)와 토출부(65) 사이에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연결부(64)가 형성된다.
저장부(63)는 약품을 수용할 수 있는 저장 공간(63a)을 구비한다. 저장 공간(63a)의 상부는 부분적으로 개방되며, 개방된 부분은 호퍼(52)로부터 투입되는 약품이 유입되는 입구로 이용된다.
저장부(63)와 토출부(65)는 연결부(64)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저장부(63)로 유입된 약품은 연결부(64)를 거쳐 토출부(65)로 이송된 후, 외부(예컨대 정렬 유닛)로 토출된다.
또한 이송관(62)의 일단에는 삽입 홈(66)이 형성되고, 저장 공간(63a)은 삽입 홈(66)과 부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삽입 홈(66)에는 석션 유닛(도 2의 90)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약품 검사 과정에서 저장 공간(63a) 내에 발생되는 분진은 석션 유닛(90)에 의해 삽입 홈(66)으로 이동된 후 흡입되어 제거될 수 있다.
토출부(65)는 이송관(62)의 타단에 배치되며, 하부를 향해 개방된 토출구(65a)를 포함한다. 또한 토출되는 상황을 관찰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토출구(65a)의 상부나 측부에도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64)는 저장부(63)와 토출부(65) 사이에 배치되며, 저장부(63)에 저장된 약품들이 토출부(65)로 이송되는 경로로 이용된다.
연결부(64)는 원통의 관형 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64)의 바닥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며 단면은 반원의 호(弧) 형상이나 U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64)의 바닥면이 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약품은 연결부(64)와 한 점에서만 접촉하게 된다. 만일 연결부(64)가 편평한 바닥면과,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한 측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면, 약품은 바닥면과 측면에 모두 접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약품과 연결부(64)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는 약품의 이동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64)는 약품과 한 점에서만 접촉하게 되므로 약품과 연결부(64)와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약품이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며 토출구(65a)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64)는 바닥면 즉 곡면에는 다수의 배출 구멍(64b)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 구멍(64b)은 약품이 연결부(64)를 이동함에 따라 발생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배출 구멍(64b)은 약품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연결부(64) 전체에 걸쳐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배출 구멍(64b)은 상기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배출 구멍(64b)을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슬릿(slit) 형태로 형성하여 연결부(6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는 등 연결부(64) 내의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64)는 상부에 개구(64a)가 형성되며, 개구(64a)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개구(64a)는 약품의 이송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해 도출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64)의 개구(64a)에 위해 상부가 전체적으로 개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투명 부재(68)는 연결부(64)의 외부에는 배치된다. 투명 부재(68)는 작업자가 연결부(64)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연결부(64) 내의 약품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관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부(64)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투명 부재(68)는 내부 공간에 연결부(64)를 수용하는 형태로 이송관(62)에 결합된다.
투명 부재(68)는 유리나 아크릴 등 투명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관(62)을 내부에 수용해야 하므로, 토출부(65)나 연결부(64)의 최대 직경보다 큰 직경의 관으로 형성된다.
투명 부재(68)는 토출부(65) 측에서 토출부(65)와 연결부(64)를 순서대로 수용하며 이송관(62)에 결합될 수 있다.
투명 부재(68)가 이송관(6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부(64)의 양단 부근에는 실링 부재(67)가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67)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오링(O-ring)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부재(67)는 투명 부재(68)의 내경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관(62)에는 실링 부재(67)가 고정 결합되도록 실링 홈(67a)이 형성될 수 있다. 실링 홈은 토출부(65)나 저장부(63) 측에 형성될 수 있다.
투명 부재(68)가 연결부(64)의 외부에 배치됨에 따라, 연결부(64)의 배출 구멍(64b)을 통해 배출되는 분진들은 연결부(64)의 하부에 배치된 투명 부재(68) 내에 안착된다. 따라서 투명 부재(68)는 분진이 공급 유닛(50)의 외부(예컨대 정렬 유닛 등)로 배출되거나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토출구(65a)의 외부에는 고정 부재(69)가 결합된다. 고정 부재(69)는 투명 부재(68)의 움직임을 고정시켜 투명 부재(68)가 이송관(6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투명 부재(68)는 일단이 저장부(63)의 외부 측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고정 부재(69)에 지지되며 이송관(62)에 고정 결합된다.
고정 부재(69)는 나사 등의 체결 부재를 통해 토출부(65)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부재(69)는 토출부(65)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개방되어 토출부(65)가 삽입되고, 타단은 막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타단은 별도의 마개를 이용하여 막힌 구조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 부재(69)의 하면에는 토출 구멍(69a)이 형성된다. 토출 구멍(69a)은 토출부(65)의 토출구(65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토출구(65a)를 통해 토출되는 약품은 고정 부재(69)의 토출 구멍(69a)을 관통한 후, 정렬 유닛(10)으로 공급된다.
진동부(70)는 이송관(62)에 연결되어 이송관(62)으로 진동을 전달한다.
진동부(70)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동부(72), 그리고 구동부(72)와 이송관(62)을 상호 연결하며 이송관(62)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전달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부(74)는 파이프 또는 샤프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이 이송관(62)의 저장부(63) 하부에 체결되고 타단은 진동부(70)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부(70)는 진동을 전달함과 동시에, 이송부(6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의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62)은 토출부(65)가 저장부(63)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전달부(74)에 체결된다. 이를 위해, 전달부(74)의 일단과 이송관(62)의 저장부(63) 하부면 사이에는 경사 부재(76)가 삽입될 수 있다.
경사 부재(76)는 이송관(62)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경사 부재(76)는 양단의 두께가 다른 블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송관(62)을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만 있다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송관(62)이 기울어지도록 배치됨에 따라, 진동부(70)에 의해 이송관(62)에 진동이 전달되면 저장부(63)에 저장된 약품들은 중력과 진동에 의해 토출부(65) 측으로 이동하여 토출구(65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정렬 유닛(10)은 공급 유닛(50)으로부터 공급된 약품을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시킨 후 이송 유닛(20)으로 공급한다.
정렬 유닛(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배치되는 원통형의 하우징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회전 디스크(12)와 회전 디스크(12)의 외측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링 형태의 이송판(14)을 포함한다.
약품 공급 유닛(50)으로부터 공급된 약품은 회전 디스크(12) 상에 낙하한 후, 회전 디스크(12)의 원심력에 의해 회전 디스크(12)의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약품은 회전 디스크(12)의 외측에서 회전하는 이송판(14) 상에 탑재된다.
이때, 원심력과 이송판(14)의 외측에 배치된 가이드 블록(15) 등에 의해 약품들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이송판(14)을 따라 이동한 후 후술되는 이송 유닛(20)에 탑재된다.
한편, 정렬 유닛(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센서는 약품 공급 유닛(50)으로부터 공급되는 약품의 양을 센싱하여 획득한 데이터를 제어 유닛(80)으로 전송한다.
센서는 레이저 센서나 접촉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센서는 정렬 유닛(10)에 직접 설치되거나, 정렬 유닛(1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정렬 유닛(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송 유닛(20, 30)은 제1 회전드럼(20) 및 제2 회전드럼(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드럼(20)은 정렬 유닛(10)으로부터 공급되는 약품의 일면을 둘레에 흡착시켜 이송한다.
제2 회전드럼(30)은 제1 회전드럼(20)에서 이송되는 약품을 전달받되 약품의 타면을 둘레에 흡착시켜 이송한다. 즉, 제2 회전드럼(30)은 제1 회전드럼(20)과 반대면에서 약품을 흡착하여 이송시킨다.
약품이 정제약인 경우 일면과 타면의 구분이 명확해진다. 다만, 캡슐인 경우에는 약품의 일면과 타면이 불명확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약품이 캡슐인 경우 제1 회전드럼(20)에 흡착되는 방향은 약품의 일면을 의미하고, 제2 회전드럼(30)에 의해 흡착되는 방향은 약품의 타면을 의미한다.
각 회전드럼(20, 30)의 회전 구간은 흡입압이 작용하는 흡착구간 및 흡입압이 차단되는 비흡착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비흡착구간에서는 실질적으로 흡입압이 차단된다. 흡착구간 및 비흡착구간은 각 회전드럼(20, 30)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하는 구간이 아니라 회전과 무관하게 고정된 구간이다.
흡착구간에서 약품이 흡착되어 회전드럼(20, 30)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고, 비흡착구간에서는 약품의 흡착 및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예컨대, 제1 회전드럼(20)의 흡착구간의 종료지점과 제2 회전드럼(30)의 흡착구간의 시작지점은 약품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속되거나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촬상 유닛(50)은 다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제1 및 제2 회전드럼(20, 30)의 흡착구간 외곽에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드럼(30)의 외곽에 설치된 카메라들은 제1 회전드럼(20) 측에 배치된 카메라들이 촬영한 면과 반대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약품(1)의 전체 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 장치는 배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유닛은 촬상 유닛(50)에서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약품 표면의 양부 판단 결과에 따라, 제2 회전드럼(30)에 의해 이송되는 약품들의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하여 배출시킨다.
이를 위해, 배출 유닛은 불량품 배출구와 양품 배출구, 그리고 불량품 배출구나 양품 배출구로 약품을 떨어뜨리는 에어 블로어(air blower)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블로어는 제어 유닛(80)의 제어에 따라 제2 회전드럼(30)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약품에 공기를 분사하여 해당하는 배출구로 약품을 떨어뜨린다.
제어 유닛(80)은 촬상 유닛(50)을 통해 획득한 영상을 기반으로, 각 약품 외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그 결과에 따라 에어 블로어를 제어하여 약품들을 구분하여 배출시킨다.
또한 제어 유닛(80)은 정렬 유닛(10)에 부가되는 센서(미도시)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약품 공급 유닛(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80)은 센서를 통해 약품 공급 유닛(50)으로부터 정렬 유닛(10)으로 공급되는 약품의 지속적으로 양을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과잉 공급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 유닛(80)은 약품 공급 유닛(50)의 진동부(70)를 제어하여 진동의 세기를 줄이거나 진동 구동을 중지시킨다.
이에 따라 약품 공급 유닛(50)으로부터 정렬 유닛(10)에 공급되는 약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약품 외관 검사 장치는 약품을 약품 공급하는 공급 유닛이 매우 간단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분리 및 조립이 매우 용이하며, 이에 내부 소제를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약품이 이동하는 경로의 바닥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약품의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분진이 구석에 쌓이지 않으므로 청소가 매우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약품 외관 검사 장치
10: 정렬 유닛
20, 30: 이송 유닛
40: 촬상 유닛
50: 약품 공급 유닛
60: 이송부
70: 진동부

Claims (16)

  1. 약품이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약품을 횡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약품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에 결합되는 관 형상의 투명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관은, 상기 이송관의 일단 측에 형성되며 상기 호퍼에서 공급되는 상기 약품이 일시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이송관의 타단 측에 형성되며 진동을 통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약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관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장 공간과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하부에 상기 약품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구멍이 형성되는 약품 공급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약품의 이송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약품 공급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는,
    내부에 상기 연결부를 수용하며 상기 이송관에 결합되는 약품 공급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투명 부재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약품 공급 유닛.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이송관의 하부면에 체결되어 상기 이송관에 진동을 전달하는 약품 공급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이송관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진동을 상기 이송관으로 전달하는 전달부;
    를 포함하는 약품 공급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전달부와 상기 이송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송관이 기울어지도록 배치하는 경사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약품 공급 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나선(helical) 형상의 날개를 가지며, 상기 호퍼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는 나선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약품 공급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부재는,
    상기 호퍼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약품 공급 유닛.
  14. 제1항에 기재된 약품 공급 유닛;
    상기 약품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약품을 정렬시키는 정렬 유닛;
    상기 정렬 유닛에 의해 정렬된 약품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약품을 촬영하는 촬상 유닛;
    을 포함하는 약품 외관 검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유닛은,
    상기 약품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약품의 양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는 약품 외관 검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진동부의 진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약품 외관 검사 장치.
KR1020150053185A 2015-04-15 2015-04-15 약품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약품 외관 검사 장치 KR101726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185A KR101726809B1 (ko) 2015-04-15 2015-04-15 약품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약품 외관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185A KR101726809B1 (ko) 2015-04-15 2015-04-15 약품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약품 외관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442A KR20160123442A (ko) 2016-10-26
KR101726809B1 true KR101726809B1 (ko) 2017-04-17

Family

ID=57251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185A KR101726809B1 (ko) 2015-04-15 2015-04-15 약품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약품 외관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8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678A (ko) * 2019-07-12 2021-01-20 주식회사 엔에프에이 포켓피더가 적용된 공캡슐 검사용 약품 정렬장치
KR20220155536A (ko) * 2021-05-14 2022-11-23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약품 검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846B1 (ko) * 2020-06-12 2022-11-21 (주)엔클로니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3392A (ja) * 1999-07-23 2001-02-09 Shionogi Qualicaps Kk 錠剤の側面検査装置、及び表裏面検査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3167329B2 (ja) * 1991-04-30 2001-05-21 イー・アイ・デユ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低光損失材料の粒子における汚染を光学的に検出するための装置
JP2004333365A (ja) * 2003-05-09 2004-11-25 Asahi Glass Co Ltd 粉粒体中の異物検査方法、粉粒体中の異物検査装置、粉粒体中の異物除去方法および粉粒体中の異物除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7329B2 (ja) * 1991-04-30 2001-05-21 イー・アイ・デユ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低光損失材料の粒子における汚染を光学的に検出するための装置
JP2001033392A (ja) * 1999-07-23 2001-02-09 Shionogi Qualicaps Kk 錠剤の側面検査装置、及び表裏面検査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2004333365A (ja) * 2003-05-09 2004-11-25 Asahi Glass Co Ltd 粉粒体中の異物検査方法、粉粒体中の異物検査装置、粉粒体中の異物除去方法および粉粒体中の異物除去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678A (ko) * 2019-07-12 2021-01-20 주식회사 엔에프에이 포켓피더가 적용된 공캡슐 검사용 약품 정렬장치
KR102326139B1 (ko) * 2019-07-12 2021-11-15 (주)엔에프에이 포켓피더가 적용된 공캡슐 검사용 약품 정렬장치
KR20220155536A (ko) * 2021-05-14 2022-11-23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약품 검사장치
KR102578271B1 (ko) * 2021-05-14 2023-09-15 주식회사 대웅이엔지 약품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442A (ko)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596B1 (ko) 정제 자동검사장치
TWI592228B (zh) 螺釘類供給裝置
KR101006014B1 (ko) 호퍼 청소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726809B1 (ko) 약품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약품 외관 검사 장치
JP6116719B2 (ja) 錠剤印刷装置
US7971703B2 (en) Conveying apparatus and conveyed object inspection apparatus
KR101404868B1 (ko) 약품 외관 검사장치
JP6496453B2 (ja) 錠剤検査装置
JP6438659B2 (ja) 計数充填装置および計数充填方法
JP6637700B2 (ja) 薬剤搬送装置
JP6641239B2 (ja) 計数充填装置および計数充填方法
JP4953913B2 (ja) 外観検査装置
JP2000097865A (ja) 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5462896B2 (ja) 外観検査装置および方法
JP2012006710A (ja) 粉体切出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粉体異物検査装置
JP7213735B2 (ja) 粉粒体検査処理装置
KR102257955B1 (ko) 소형물품 외관 검사장치
JP2000162136A (ja) 粒状体検査処理装置
KR20220136994A (ko) 캡슐의 외관검사장치
JP4853673B2 (ja) 不良カプセルの除去機構
JP2004053448A (ja) 異物検査装置
JP5656471B2 (ja)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供給方法
JPH0720586Y2 (ja) 粉体検査装置
JP4056810B2 (ja) 容器検査装置及びこの装置を利用した容器検査システム
JP2020103592A (ja) 薬剤分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