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845A - 전동 자전거의 전장품 배치 구조 - Google Patents

전동 자전거의 전장품 배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845A
KR20140040845A KR1020147002542A KR20147002542A KR20140040845A KR 20140040845 A KR20140040845 A KR 20140040845A KR 1020147002542 A KR1020147002542 A KR 1020147002542A KR 20147002542 A KR20147002542 A KR 20147002542A KR 20140040845 A KR20140040845 A KR 20140040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ubframes
electric bicycle
drive control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0738B1 (ko
Inventor
시 웨이 리
루이 마
후 잉 후앙
윤 지앙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0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4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for attaching accessories, e.g. article carriers,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배터리의 무게 중심을 가능한 한 빨리 낮출 수 있고, 배터리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동 자전거의 전장품 배치 구조를 제공한다. 배터리(38)가 시트 파이프(18)와 후륜(WR)의 사이에 수납되어 있는 전동 자전거(10)의 전장품 배치 구조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제2 서브프레임(26) 사이에 설치되고, 제2 서브프레임(26)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하며, 그 안에 구동 제어 장치(170)를 수납하는 수납부(172)와, 수납부(172)를 상측으로부터 덮고, 또한 수납부(172)의 상측에, 배터리 홀더(40)를 고정하기 위한 덮개부(174)를 갖는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4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동 자전거의 전장품 배치 구조{ELECTRICAL COMPONENT LAYOUT STRUCTURE FOR ELECTRIC AUTOMOBILE}
본 발명은, 전동 자전거에 탑재되는 전장품의 전장품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성 10-230881호 공보에는, 기립 파이프와 후륜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배터리와, 기립 파이프의 전방에 설치되고 배터리를 착탈 가능하게 로킹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갖춘 키 유닛을 구비하는 전동 자전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배터리는, 전지 유닛과, 전지 유닛의 하측에 설치된 단자 유닛과, 전지 유닛 및 단자 유닛을 내부에 수납하는 배터리 케이스를 구비한다. 따라서 배터리는 단자 유닛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므로, 배터리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배터리가 자전거의 안장(saddle)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상하 방향의 높이가 제한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용량이 작아진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으로 배터리의 무게 중심을 가능한 한 낮게 하여, 배터리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동 자전거의 전장품 배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전동 자전거를 구동하는 주행용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시트 파이프와 후륜의 사이에 수납하는 차체 프레임으로서, 각각의 전단이 상기 시트 파이프의 상측에 접속되고, 각각의 후단이 상기 후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륜 지지부에 접속되는 좌우 한 쌍의 제1 서브프레임과, 각각의 전단이 상기 시트 파이프의 하측에 접속되고, 각각의 후단이 상기 후륜 지지부에 접속되는 좌우 한 쌍의 제2 서브프레임을 갖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배터리를 차체 프레임에 고정하는 배터리 홀더와, 전동 자전거의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주행용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전동 자전거의 전장품 배치 구조가 제공된다. 전장품 배치 구조는,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 서브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 서브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하며, 내부에 상기 구동 제어 장치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단을 덮고, 또한, 상기 수납부의 상측에, 상기 배터리 홀더를 고정하기 위한 덮개부를 갖는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를 더 구비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의 전동 자전거의 전장품 배치 구조에 있어서,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는,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의 전후 위치에,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 서브프레임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덮개부를 전후단에서 고정하는 전후 한 쌍의 제3 서브프레임을 더 구비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의 전동 자전거의 전장품 배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이 케이스에 수납된 것으로, 배터리는 상기 시트 파이프를 따라서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상기 배터리의 케이스의 전측에 상기 배터리 모듈을 결합하는 전력선이 배치되어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의 전동 자전거의 전장품 배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후면에는, 배터리 홀더의 가이드 레일에 감합되는 가이드를 갖고, 상기 가이드의 하단은 외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펼쳐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의 전동 자전거의 전장품 배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배터리의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는 전력선의 접속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동 제어 장치를 제2 서브프레임의 아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내려가고, 이로써 전동 자전거의 주행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배터리의 위치도 낮아지기 때문에, 배터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배터리의 용량도 증가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동 제어 장치를 수납하는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는, 좌우 한 쌍의 제2 서브프레임의 전후 위치에, 좌우 한 쌍의 제2 서브프레임 사이에서 연장되어, 덮개부를 그 전후단에서 고정하는 제3 서브프레임을 더 구비한다. 이에 따라, 덮개부를 차체 프레임에 강고히 고정할 수 있다. 덮개부가 제2 서브프레임과 제3 서브프레임의 양자에 의해 지지되므로, 덮개부 자체가 충분한 강성을 가져, 무거운 배터리를 적절하게 지지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는, 케이스 내에 수납된 배터리 모듈을 구비하고, 배터리는 시트 파이프를 따라서 후방으로 기울어지고, 배터리 케이스의 전측에 배터리 모듈을 결합하는 전력선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전력선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케이스의 후측에 전력선을 배치하면, 케이스는, 중력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전력선을 보호하기 위한 여유(room)를 제공하는 스페이스 또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력선이 케이스의 전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력선을 후측에 배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케이스가 제공하는 여유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배터리가 소정 용량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의 후면에는, 배터리 홀더의 가이드 레일에 감합되는 가이드를 갖는다. 또한, 가이드의 하단은 외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펼쳐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배터리를 배터리 홀더의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고, 배터리를 배터리 홀더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배터리의 장착 시에, 테이퍼 형상의 가이드에 의하여, 배터리를 조밀한 스페이스 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서 필요했던 큰 스페이스는 필요하지 않다. 이에 따라, 무거운 배터리의 설치 및 제거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와 전력선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별도의 단자대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또한, 덮개부가 강성을 갖기 때문에, 접속 단자가 직접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덮개체가, 배터리의 착탈 시에, 접속 단자를 지지하는 단자대로서 기능한다. 결과적으로, 별도의 단자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첨부의 도면을 참고로 하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전동 자전거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핸들의 우측의 그립을 도시하는 상세도이다.
도 3은, 핸들의 좌측의 그립을 도시하는 상세도이다.
도 4는, 차체 프레임에 부착된 배터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시트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영역 C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확대도에 있어서 보호 커버 및 스탠드를 제거한 상태의 영역 C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선 VIII-V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 및 배터리 홀더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하는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 및 배터리 홀더의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배터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배터리 홀더에 배터리를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배터리 홀더의 리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수납부 커버의 정면 및 좌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의 수납부 커버가 설치된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의 상면 및 좌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배터리 로크 장치의 로크 핀을 키 조작에 의해 제1 상태로 되게 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배터리 로크 장치의 로크 핀을 키 조작에 의해 제2 상태로 되게 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배터리 로크 장치의 로크 핀을 키 조작에 의해 제3 상태로 되게 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자전거의 전장품 배치 구조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전동 자전거(10)의 좌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은, 도 1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 및 상하의 방향을 설명하고, 차체에 착석한 운전자로부터 본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의 방향을 설명한다.
전동 자전거(10)의 차체 프레임(12)은, 차체 전방에 위치하는 헤드 파이프(14)와, 이 헤드 파이프(14)로부터 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메인프레임(16)과, 메인프레임(16)의 후단에 접속되고, 상측으로 상승하는 시트 파이프(18)와, 메인프레임(16)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시트 파이프(18)와 연결되는 보강 파이프(20)와, 각각의 전단이 시트 파이프(18)의 상측에 접속되고, 각각의 후단이 후륜(구동륜; WR)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륜 지지부(22)에 접속되는 좌우 한 쌍의 제1 서브프레임(24)과, 각각의 전단이 시트 파이프(18)의 하측에 접속되고, 각각의 후단이 후륜 지지부(22)에 접속되는 좌우 한 쌍의 제2 서브프레임(26)을 구비한다. 후륜 지지부(22)에는, 전동 자전거(10)를 자립시키는 스탠드(28)와, 후륜(WR)의 차축의 좌우 단부를 보호하는 한 쌍의 보호 커버(30)가 부착되어 있다. 헤드 파이프(14)에는, 전동 자전거(10)의 전방의 영역을 조사하는 액세서리 라이트(32)가 설치된다. 통행인에게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액세서리 버저(33)가, 액세서리 라이트(32)에 내장되어 있다.
주행용 모터(34)는, 인휠형의 모터(in-wheel motor)이며, 후륜(WR)의 허브(36)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주행용 모터(34)의 전원으로 작용하는 36 V, 12 Ah의 배터리(38)가, 좌우 한 쌍의 제1 서브프레임(24)과 좌우 한 쌍의 제2 서브프레임(26)에 인접하여, 시트 파이프(18)와 후륜(WR)의 사이에 수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트 파이프(18)와 후륜(WR)의 사이에, 좌우 한 쌍의 제1 서브프레임(24) 사이에, 그리고 좌우 한 쌍의 제2 서브프레임(26) 사이에 배터리 홀더(40)가 설치되고, 이 배터리 홀더(40)에 의해서 배터리(38)가 차체 프레임(12)에 고정된다. 좌우 한 쌍의 제1 서브프레임(24)과 제2 서브프레임(26)은, 배터리(38)를 보호하도록 작용한다.
좌우 한 쌍의 제1 서브프레임(24)에는, 배터리 홀더(40)를 고정하고, 배터리(38)의 차체 프레임(12)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배터리(38)를 로킹하는 배터리 로크 장치(42)가 설치된다. 배터리 로크 장치(42)는, 키(260; 도 16 내지 도 18 참조)의 조작에 의한 전동 모터(34)의 전원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콤비네이션 스위치로서도 기능한다. 좌우 한 쌍의 제2 서브프레임(26)은,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서 전력을 공급하여 주행용 모터(34)를 제어하는 전장품인 구동 제어 장치(170)(도 9 참조)를 수납하는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44)를 지지한다. 배터리 홀더(40)는,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44)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구동 제어 장치(170)는, 주행용 모터(34)를 구동하는 PDU와, PDU를 제어하는 CPU 및 메모리 등을 갖는 컴퓨터와, 기록 매체(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상기 PDU는, 배터리(38)의 전력을 3상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3상의 교류 전력을 주행용 모터(34)에 공급하여, 주행용 모터(34)를 구동시킨다. 상기 컴퓨터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소정의 제어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구동 제어 장치(170)는, 수납부 커버(45)에 의해 보호된다.
시트 파이프(18)에는, 시트 어셈블리(46)의 시트 포스트(48)가 시트(50)의 상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52)의 상부에는 핸들(54)이 설치되고, 헤드 파이프(14)에 의해서 스티어링 샤프트(52)의 중간부가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전륜(조타륜; WF)은 차체의 전방에 장착되고, 스티어링 샤프트(52)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좌우 한 쌍의 프론트 포크(56)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다.
차체 프레임(12)의 중간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랭크 샤프트(58)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크랭크 샤프트(58)의 양단에는, 각각의 페달(60)을 갖는 크랭크(62)가 접속되어 있다. 크랭크 샤프트(58)의 우단측에는, 프론트 스프로켓(64)이 접속되어 있다. 운전자가 페달(60)을 조작함에 따라, 크랭크 샤프트(58)에 동력이 전달되어, 프론트 스프로켓(64)을 회전시킨다. 프론트 스프로켓(64)의 회전은, 체인(66)을 통해, 그리고 후륜(WR)에 장착된 리어 스프로켓(68)을 통해 후륜(WR)에 전달되어, 후륜(WR)을 회전시킨다. 프론트 스프로켓(64) 및 체인(66)은, 커버(70)에 의해서 보호된다.
좌우 한 쌍의 프론트 포크(56)에는, 전륜(WF)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전륜용 캔틸레버 브레이크(72)가 설치된다. 좌우 한 쌍의 제2 서브프레임(26)에는, 후륜(WR)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후륜용 캔틸레버 브레이크(74)가 설치된다. 전륜용 캔틸레버 브레이크(72) 및 후륜용 캔틸레버 브레이크(74)는, 전동 자전거(10)를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로서 기능한다.
핸들(54)에는 좌우 한 쌍의 그립(76)과,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레버(브레이크 지시 수단; 78)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의 브레이크 레버(78)를 조작하면, 전륜용 캔틸레버 브레이크(72)가 작동하고, 좌측의 브레이크 레버(78)를 조작하면, 후륜용 캔틸레버 브레이크(74)가 작동한다.
도 2는, 핸들(54)에 설치된 우측의 그립(이하, "우측 그립")(76)을 도시하는 상세도이다. 도 2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레버(78)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우측 그립(76)에는, 주행용 모터(34)로부터 구동력을 요구하는 회전 가능한 액셀레이터 그립(80)과, 액셀레이터 그립(80)의 회전 각도(개방도)를 검출하는 액셀레이터 개방도 센서(회전 각도 검출 수단; 82)과, 우측의 브레이크 레버(78)의 조작 여부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센서(브레이크 조작 검출 수단; 83)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 제어 장치(170)는, 액셀레이터 개방도 센서(82)가 검출한 액셀레이터 그립(80)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주행용 모터(34)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셀레이터 그립(80)의 회전 각도가 커짐에 따라, 구동 제어 장치(170)는, 전동 자전거(10)의 주행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주행용 모터(34)에 전력을 공급하여, 주행용 모터(34)를 제어한다.
우측 그립(76)의 좌측에는, 배터리(38)의 잔여 용량을 표시하는 표시부(84)가 설치된다. 표시부(84)는, 배터리(38)의 잔여 용량을 표시하는 복수의 발광 영역(86a, 86b, 86c, 86d, 86e)을 갖는다. 발광 영역(86a, 86b, 86c, 86d, 86e)은, 도시하지 않는 LED 등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여 발광한다. 구동 제어 장치(170)는, 발광 소자의 발광을 제어하여, 표시부(84)가 배터리(38)의 잔여 용량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38)의 잔여 용량이 87.5% 초과 100% 이하인 경우에는, 발광 영역(86a, 86b, 86c, 86d)을 발광시킨다. 배터리(38)의 잔여 용량이 62.5% 초과 87.5% 이하인 경우에는, 발광 영역(86a, 86b, 86c)을 발광시킨다. 배터리(38)의 잔여 용량이 37.5% 초과 62.5% 이하인 경우에는, 발광 영역(86a, 86b)을 발광시킨다. 배터리(38)의 잔여 용량이 12.5% 초과 37.5% 이하인 경우에는, 발광 영역(86a)을 발광시킨다. 배터리(38)의 잔여 용량이 12.5% 이하인 경우에는, 발광 영역(86e)을 발광시킨다.
도 3은, 핸들(54)에 설치된 좌측의 그립(이하, "좌측 그립")(76)을 도시하는 상세도이다. 도 3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레버(78)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좌측그립(76)에는, 구동 제어 장치(170)에 액세서리 라이트(32)의 점등을 지시하는 점등 스위치(88)와, 구동 제어 장치(170)에 액세서리 버저(33)에 의한 경고음의 발생을 지시하는 경고음 스위치(90)와, 좌측의 브레이크 레버(78)의 조작 여부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센서(브레이크 조작 검출 수단; 92)가 설치된다. 점등 스위치(88)가 조작되면, 구동 제어 장치(170)는 액세서리 라이트(32)를 점등시킨다. 경고음 스위치(90)가 조작되면, 구동 제어 장치(170)는 액세서리 버저(33)를 제어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브레이크 레버(78)에 접속된 와이어(100)는, 헤드 파이프(14)를 따라 배선되고 전륜용 캔틸레버 브레이크(72)에 접속되어 있다. 좌측의 브레이크 레버(78)에 접속된 와이어(102)와, 액셀레이터 개방도 센서(82), 표시부(84), 브레이크 센서(83, 92), 점등 스위치(88) 및 경고음 스위치(90)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와이어를 갖는 케이블(104)은, 헤드 파이프(14)를 따라서, 메인프레임(16)의 전단측의 하면에 설치된 그로밋(106)을 통하여 메인프레임(16) 내로 연장된다. 액세서리 라이트(32) 및 액세서리 버저(33)에 각각 접속된 와이어를 갖는 케이블(108)도 그로밋(106)을 통하여 메인프레임(16) 내로 연장된다. 메인프레임(16)을 통하여 연장된 와이어(102) 및 케이블(104, 108)은, 메인프레임(16)의 후단측의 하면에 설치된 그로밋(110)을 통과하여 수납부 커버(45) 내로 유도된다. 수납부 커버(45) 내로 연장된 케이블(104, 108)은,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44) 내로 유도되고, 여기서 케이블(104, 108)은 구동 제어 장치(170)에 각각 접속된다. 수납부 커버(45) 내로 연장된 와이어(102)는, 구동 제어 장치(170)의 하측의 좌측면을 따르도록 추가로 배선되고, 후륜용 캔틸레버 브레이크(74)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102) 및 케이블(104, 108)은 메인프레임(16)을 통하여 연장되기 때문에, 와이어(102) 및 케이블(104, 108)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로크 장치(42)에 접속된 전선(111)은 하측으로 연장하여,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44) 내로 유도되고, 구동 제어 장치(170)에 접속되어 있다.
도 4는, 차체 프레임(12)에 장착된 배터리(38)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38)는, 3개의 배터리 모듈(112)이 케이스(114)에 수납된 것이다. 각각의 배터리 모듈(112)은 12 V, 12 Ah의 배터리 모듈이며,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배터리 모듈(112)을 연결하는 전력선(116)이, 차체 프레임(12)에 장착된 배터리(38)의 배터리 모듈(112)보다 전방측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12)에 장착된 배터리(38)는, 시트 파이프(18)를 따라 후방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배터리 모듈(112)에 가해지는 중력은, 경사 후방으로 하측을 향한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112)에 작용하는 중력이 전력선(116)에 가해지지 않고, 이로써 배터리(38)에 가해지는 중력에 의한 전력선(116)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38)의 케이스(114)의 후측에 전력선(116)을 배치하면, 케이스(114)는, 중력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전력선(116)을 보호하기 위한 여유를 제공하는 스페이스 또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력선(116)이 케이스(114)의 전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114)의 후측에 전력선(116)을 배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여유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배터리(38)가 용이하게 소정 용량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전력선(116)은, 배터리(38)의 하부에 배치된 커넥터(118)에 접속되어 있다.
도 5는, 시트 어셈블리(46)를 도시하는 상세도이다. 시트 어셈블리(46)는, 시트 포스트(48)와, 시트(50)와, 시트(50)를 시트 포스트(48)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시트 지지부(120)를 갖는다. 시트 지지부(120)는, 샤프트(122)를 중심으로 절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트 지지부(120)는, 시트 포스트(48)에 체결되는 제1 체결 부재(124)와, 시트(50)에 체결되는 제2 체결 부재(126)를 갖는다. 제1 체결 부재(124)와 제2 체결 부재(126)는, 샤프트(12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체결 부재(126)에는, 제1 체결 부재(124)와 제2 체결 부재(126)를 서로 중첩시킨 때에[즉, 시트 지지부(120)를 절첩한 때에], 제2 체결 부재(126)를 제1 체결 부재(124)에 부착하기 위한 커플링 부재(128)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커플링 부재(128)는, 시트 레버(132)와 후크부(134)를 갖는다. 제1 체결 부재(124)에 결합된 결합 바(136)에 대하여 후크부(134)를 걸어두면, 후크부(134)와 결합 바(136)가 서로 걸어 맞춰지고, 이로써 제2 체결 부재(126)를 제1 체결 부재(124)에 중첩 관계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시트 지지부(120)를 절첩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시트(50)에 안착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시트(50)가 도 1에 도시하는 상태로 있을 때, 운전자가 시트 레버(132)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후크부(134)도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후크부(134)는 결합 바(136)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샤프트(122)를 중심으로 시트(50)를 전방으로 기울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시트(50)가 도 1에 도시하는 상태로 있을 때에, 배터리(38)를 화살표 B 방향으로 당겨 배터리(38)를 차체 프레임(12)으로부터 제거하려고도, 시트(50)와 간섭하기 때문에 배터리(38)를 제거할 수 없다. 그러나 시트 레버(132)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조작하여 샤프트(122)를 중심으로 시트(50)를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하면, 배터리(38)와 시트(50)의 간섭이 해제되어, 배터리(38)를 제거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영역 C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확대도에 있어서 보호 커버(30) 및 스탠드(28)를 제거한 상태의 영역 C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선 VIII-V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는, 보호 커버(3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후륜 지지부(22)는, 후륜(WR)의 차축인 주행용 모터(34)의 모터 샤프트(140)를 차체 프레임(12)에 고정하는 것이다. 모터 샤프트(140)의 단부는, 평행한 한 쌍의 체결면(142, 142)을 갖는다. 후륜 지지부(22)는, 후방으로 개구되고 상기 체결면(142)과 결합하는 결합 슬롯(144)이 내부에 형성되어, 모터 샤프트(140)의 회전을 규제한다(도 7 참조). 결합 슬롯(144)의 폭은 체결면(142, 142)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결합 슬롯(144)에 의해, 후륜 지지부(22)가, 모터 샤프트(140)의 회전 반력을 지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모터 샤프트(140)의 단부를 체결하는 너트(B1)의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샤프트(140)는 플랜지(146)를 갖는다. 스토퍼 홀더(148)의 개구부(150)에 모터 샤프트(140)의 단부를 삽입하면, 스토퍼 홀더(148)가 플랜지(146)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후륜 지지부(22)의 결합 슬롯(144)에 모터 샤프트(140)를 삽입하면, 후륜 지지부(22)가 스토퍼 홀더(148)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후륜 지지부(22)에는 결합 홀(152)이 마련되어 있다. 결합 홀(152)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탠드(28)의 결합 핑거(154)를 결합 홀(152)과 결합 상태로 배치한 후에(도 6 참조), 스탠드(28)의 개구부(156)에 모터 샤프트(140)가 삽입된다. 플랜지(146)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스토퍼 홀더(148), 후륜 지지부(22) 및 스탠드(28)를 연속해서 모터 샤프트(140)에 배치한 후에, 모터 샤프트(140)에 너트(B1)를 체결함으로써, 주행용 모터(34)를 차체 프레임(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스탠드(28)의 결합 핑거(154)가 후륜 지지부(22)의 결합 홀(152)에 결합 유지된 상태에서 너트(B1)를 체결함으로써, 스탠드(28)가 소정의 자세로 고정된다. 따라서 너트(B1)가 느슨해지더라도, 스탠드(28)의 자세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 홀더(148)는, 개구부(150)를 갖고 너트(B1)에 체결되는 체결 부위(158)와, 체결 부위(158)로부터 후륜 지지부(22)의 결합 슬롯(144)을 향해 굴곡되는 굴곡부(160)와, 수나사 형성 후단부를 갖는 연장부(162)를 구비한다. 연장부(162)는 굴곡부(160)로부터 후륜 지지부(22)의 결합 슬롯(144)을 통하여 차체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연장부(162)의 후단부는, 후륜 지지부(22)의 결합 슬롯(144)의 후측을 덮고 채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스토퍼(164)에 삽입되고, 너트(B2)가 체결된다. 이에 따라, 너트(B1)가 느슨해진 경우에도, 모터 샤프트(140)의 이동이 스토퍼 홀더(148) 및 스토퍼(164)에 의해서 규제된다.
모터 샤프트(140)의 좌단부로부터는, 주행용 모터(34)에 3상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166)이 연장된다. 좌측의 보호 커버(30)가 너트(B3)에 의해서 후륜 지지부(22)에 체결되어, 모터 샤프트(140)의 좌측 단부 및 전력선(166)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전동 자전거(10)의 좌측도 마찬가지로, 좌측의 후륜 지지부(22)에는 다른 스탠드(28), 스토퍼 홀더(148), 스토퍼(164) 및 다른 보호 커버(30)가 부착되어 있다. 보호 커버(30)는, 동승자의 발을 두는 스테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도 9는,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44) 및 배터리 홀더(40)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하는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44) 및 배터리 홀더(40)의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는, 수납부 커버(45)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44)는, 좌우 한 쌍의 제2 서브프레임(26, 26) 사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좌우 제2 서브프레임(26, 26)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하며, 내부에 주행용 모터(34)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 장치(170)를 수납하는 수납부(172)와, 수납부(172)의 상단을 덮고 또한 수납부(172)의 상측의 고정 위치에 배터리 홀더(40)를 유지하기 위한 덮개부(174)와, 좌우 한 쌍의 제2 서브프레임(26, 26)의 전후에, 좌우 한 쌍의 제2 서브프레임(26, 26) 사이에서 연장되는 전후 한 쌍의 제3 서브프레임(176; 도 9 참조)을 갖는다. 전후 한 쌍의 제3 서브프레임(176, 176)은 덮개부(174)를 전후단에서 고정한다. 전후 한 쌍의 제3 서브프레임(176, 176)에는, 전후 한 쌍의 제3 서브프레임(176, 176)과 덮개부(174)를 서로 체결시키는 볼트가 삽입되는 쌍을 이룬 구멍(178, 178, 178, 178)이 마련되어 있다. 덮개부(174)의 전후단에는, 각 쌍의 구멍(178, 178, 178, 178)에 정렬되는 위치에 구멍(180, 180, 180, 180)이 마련된다. 전후 한 쌍의 제3 서브프레임(176)과 덮개부(174)가 상기 볼트에 의해서 서로 체결되면, 덮개부(174)는 수납부(172)의 상단을 덮는다. 또한, 덮개부의 후측에 마련된 구멍(180, 180)에는, 컬러(181, 181)가 배치된다.
덮개부(174)의 좌측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절결부(182, 184)가 각각 마련되어 있고, 각 절결부(182, 184)에 그로밋(186, 188)이 배치되어 있다. 메인프레임(16)의 그로밋(110)의 외부로 연장된 와이어(102) 및 케이블(104, 108)은, 수납부 커버(45) 내로 유도되고, 케이블(104, 108)은, 그로밋(186)을 통해 수납부(172) 내에 들어가, 구동 제어 장치(170)에 접속된다(도 10 참조). 케이블(104, 108)을 수납부(172)의 상측을 통해서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44) 내로 유도하기 때문에, 케이블(104, 108)을 구동 제어 장치(170)에 간단히 접속할 수 있다.
수납부 커버(45) 내로 유도된 와이어(102)는, 구동 제어 장치(170)의 하측의 좌측면을 따라 배선된 후, 수납부 커버(45)를 나와서, 후륜용 캔틸레버 브레이크(74)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수납부 커버(45)에 의해 와이어(102)를 보호할 수 있다. 모터 샤프트(140)의 좌단부로부터 연장된 전력선(166)은, 좌측의 제2 서브프레임(26)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좌우 한 쌍의 제2 서브프레임(26) 사이의 크로스 파이프(190)의 상측을 통하여, 수납부 커버(45) 내로 더 연장된다. 수납부 커버(45) 내에서, 전력선(166)은 그로밋(188)을 통해 수납부(172) 내에 들어가, 구동 제어 장치(170)에 접속된다. 배터리 로크 장치(42)에 접속된 전선(111)은, 수납부 커버(45) 내로 유도된 후에, 그로밋(188)을 통해 수납부(172) 내로 들어가, 구동 제어 장치(170)에 접속된다.
덮개부(174)에는, 구동 제어 장치(170)에 접속된 전력선(192)의 접속 단자(194)를 통과시키는 그로밋(196)이 나사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전력선(192)의 접속 단자(194)를 상측을 향하여 그로밋(196)에 삽입하면, 접속 단자(194)가 덮개부(174)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한 상태로 된다. 덮개부(174)는, 제2 서브프레임(26)과 제3 서브프레임(176)으로 둘러싸여 적소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부(174) 자체는 충분한 강성을 가져, 덮개부(174) 상에 배치되는 배터리(38) 및 배터리 홀더(4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 단자(194)가 장착되어 있는 덮개부(174)가, 배터리의 착탈 시에 접속 단자(194)를 지지하는 단자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단자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배터리 홀더(40)는, 배터리(38)를 유지하는 상측 개방 박스부(198)와, 배터리(38)를 유지하고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200)을 구비한다. 배터리 홀더(40)의 박스부(198)는 도시하지 않는 볼트에 의해서 덮개부(174)의 상면에 부착된다. 박스부(198)의 저면에는, 4개의 구멍(202, 202, 202, 202)이 마련되고, 덮개부(174)에는, 상기 구멍(202, 202, 202, 202)에 정렬된 위치에 4개의 구멍(204, 204, 204, 204)이 마련된다. 구멍(202, 202, 202, 202)과 구멍(204, 204, 204, 204)이 서로 정렬된 상태로, 배터리 홀더(40)를 덮개부(174) 상에 배치하고, 구멍(202, 204)을 관통하는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배터리 홀더(40)를 덮개부(174)의 상면에 부착할 수 있다. 배터리 홀더(40)를 덮개부(174)의 상면에 체결했을 때에, 배터리 홀더(40)의 박스부(198)의 저면과 전력선(192)의 접속 단자(194)가 간섭하지 않도록, 박스부(198)의 저면에는 개구부(206)가 마련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38)의 케이스(114)는, 3개의 배터리 모듈(112)을 수납하는 배터리 본체부(210)와, 배터리 본체부(210)의 상단에 장착된 파지부(212)와, 배터리 본체부(210)의 후측면에 부착되고 홈(216, 216)을 갖는 가이드부(218)와, 배터리 본체부(210)의 하단에 장착된, 배터리 홀더(40)의 박스부(198)에 감합되는 감합부(220)를 구비한다. 파지부(212)는, 도시하지 않는 충전기의 커넥터와 접속되는 커넥터(222)를 갖는다. 가이드부(218)는, 배터리 홀더(40)의 가이드 레일(200)과 감합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218)를 가이드 레일(200)에 감합시키면, 배터리(38)가 배터리 홀더(40)의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서 슬라이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200)의 플랜지(224, 224)가 가이드부(218)의 홈(216, 216)에 각각 감합되어, 배터리(38)를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서 슬라이드시킨다. 배터리(38)를 하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배터리(38)의 감합부(220)가 배터리 홀더(40)의 박스부(198)와 감합되어, 배터리(38)를 유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218)에는, 배터리 로크 장치(42)의 로크 핀(262)(도 16 내지 도 18 참조)이 삽입되는 구멍(226)이 가로로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부(218)의 하단은, 외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펼쳐지는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부(228)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테이퍼부(228)는, 홈(216, 216) 사이의 거리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되어 있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 레일(200)의 상단은, 마찬가지로 외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펼쳐지는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부(230)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테이퍼부(230)의 플랜지(224, 224)에는 경사면이 마련되고, 이들 경사면은, 플랜지(224, 224)의 외측 양단 사이의 거리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테이퍼부(228, 230)에 의해, 가이드부(218)를 가이드 레일(200)에 용이하게 감합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배터리(38)를 배터리 홀더(40)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배터리(38)의 감합부(220)의 저면에는, 전력선의 접속 단자(194)가 삽입되는 커넥터(118)가 설치된다. 가이드부(218) 및 가이드 레일(200) 중 어느 한쪽에 테이퍼부(228, 230)를 마련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도, 테이퍼부(228, 230)에 의해, 가이드부(218)를 가이드 레일(200)에 쉽게 감합시킬 수 있다.
배터리 홀더(40)의 박스부(198)의 길이방향 측면에는, 배터리(38)를 적소에 강고히 유지하기 위해서 배터리(38)를 협지하는 복수의 상하 방향 리브(232)가 설치되어 있다(도 9 참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232)는, 배터리(38)를 향해 하향으로 두께가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경사면(232a)을 갖는다. 이에 의해, 배터리(38)의 감합부(220)가 박스부(198)에 쉽게 감합될 수 있고, 또한 배터리(38)를 적소에 강고히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의 수납부 커버(45)의 정면-좌측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수납부 커버(45)는, 좌측 커버(240)와 우측 커버(242)를 구비하고, 좌측 커버(240)와 우측 커버(242)가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44)의 좌우로부터 각각 부착됨으로써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44)를 보호한다. 좌측 커버(240)의 전방면에는, 절결부(244)가 마련되어 있다. 메인프레임(16)의 후단의 하면에 설치된 그로밋(110)의 외측으로 연장된 와이어(102) 및 케이블(104, 108)이 절결부(244)를 통하여 수납부 커버(45)의 내부로 유도된다.
도 15는, 도 1의 수납부 커버(45)가 설치된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44)의 상면-좌측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좌측 커버(240) 및 우측 커버(242)의 좌우측에는, 각각의 구멍(250)을 갖는 각 쌍의 체결 아암(252)이 마련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는 볼트를, 체결 아암(252)의 구멍(250), 덮개부(174)의 구멍(180) 및 제3 서브프레임(176)의 구멍(178)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수납부 커버(45)를 차체 프레임(12)에 체결할 수 있다. 좌측 커버(240) 및 우측 커버(242)의 후방의 체결 아암(252, 252)의 구멍(250, 250)과 덮개부(174)의 후단의 구멍(180, 180)의 사이에 컬러(181, 181)가 설치된다. 후방의 제3 서브프레임(176)이 전방의 제3 서브프레임(176)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 커버(240) 및 우측 커버(242)의 전후의 체결 아암(252)의 높이를 대략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 좌측 커버(240) 및 우측 커버(242)의 후방에서 체결 아암(252)의 구멍(250)의 아래에 컬러(181, 181)가 설치된다.
도 16 내지 도 18은, 키(260) 조작에 의한 배터리 로크 장치(42)의 로크 핀(262)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1 상태의 로크 핀(262)을 도시하고, 도 17은, 제2 상태의 로크 핀(262)을 도시하고, 도 18은, 제3 상태의 로크 핀(262)을 도시한다. 배터리 홀더(40)의 가이드 레일(200)은, 나사(264)에 의해서 배터리 로크 장치(42)에 부착되어 있다.
로크 핀(262)이 제1 상태로 있을 때에는, 키(260)를 배터리 로크 장치(42)의 키홀(keyhole)로부터 뽑을 수 있으며, 이로써 전동 자전거(10)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된다. 또한, 로크 핀(262)이 제1 상태로 있을 때에는, 로크 핀(262)이 배터리 로크 장치(42)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있다(도 16 참조). 따라서 로크 핀(262)이 제1 상태로 있을 때에는, 배터리(38)를 차체 프레임(12)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로크 핀(262)이 제1 상태로 있는 동안에, 키(260)를 1단계 우측으로 돌리면, 로크 핀(262)이 제2 상태로 이동하고, 이 상태에서, 로크 핀(262)은 배터리 로크 장치(42)로부터 1단계 돌출한 상태로 된다(도 17 참조). 이에 따라, 로크 핀(262)이 제2 상태로 있을 때에는, 로크 핀(262)이 배터리(38)의 구멍(226)(도 11, 도 12 참조)에 삽입되므로, 배터리(38)를 로킹할 수 있어, 배터리(38)를 차체 프레임(12)으로부터 제거할 수 없다. 로크 핀(262)이 제2 상태로 있을 때에도, 전동 자전거(10)의 전원은 오프로 남아 있어, 키(260)를 배터리 로크 장치(42)의 키홀로부터 빼낼 수 있다. 로크 핀(262)이 제2 상태로 있는 동안에 키(260)를 1단계 우측으로 더 돌리면, 로크 핀(262)이 제3 상태로 이동하고, 로크 핀(262)은 배터리 로크 장치(42)로부터 2단계 돌출한 상태로 된다(도 18 참조). 로크 핀(262)이 제3 상태로 있을 때에, 로크 핀(262)이 배터리(38)의 구멍(226)에 더욱 삽입되어, 배터리(38)를 로킹할 수 있어, 배터리(38)를 차체 프레임(12)으로부터 제거할 수 없다. 또한, 로크 핀(262)이 제3 상태로 있을 때에는, 전동 자전거(10)의 전원은 온으로 되어, 키(260)를 배터리 로크 장치(42)의 키홀로부터 빼낼 수 없다.
다음으로, 운전자가 전동 자전거(10)에 승차할 때의 전동 자전거(10)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로크 핀(262)이 제1 상태로 있을 때에, 운전자는 시트 레버(132)를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조작하여, 시트(50)를 전방으로 기울인다. 그 후, 배터리(38)를 배터리 홀더(40)에 장착하고, 전방으로 기울인 시트(50)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 후, 배터리 로크 장치(42)의 키홀에 삽입된 키(260)를 1단계 우측으로 돌리면, 로크 핀(262)이 제2 상태로 되어 배터리(38)가 적소에 로킹된 상태로 된다. 그 후, 키(260)를 1단계 우측으로 더 돌리면, 로크 핀(262)이 제3 상태로 되어, 전동 자전거(10)의 전원이 온으로 된다. 이때, 전동 자전거(10)는 주행 가능 상태로 된다. 운전자가 시트(50)에 착석하여, 액셀레이터 그립(80)을 회동하여 주행용 모터(34)를 구동함으로써, 전동 자전거(10)가 주행한다. 이때, 운전자가 페달(60)을 조작하면, 주행용 모터(34)의 부하가 경감된다. 결과적으로, 배터리(38)의 수명이 길어져, 주행 거리, 주행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우측의 브레이크 레버(78) 및 좌측의 브레이크 레버(78) 중 어느 한쪽을 조작하면, 구동 제어 장치(170)는, 주행용 모터(34)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전력 공급이 정지되면, 주행용 모터(34)는, 관성에 의해서 회전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레버(78, 78)의 조작에 의해서 전륜용 캔틸레버 브레이크(72) 및/또는 후륜용 캔틸레버 브레이크(74)가 작동하고 있을 때에, 주행용 모터(34)는 전동 자전거(10)에 추진력을 가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전동 자전거(10)를 효율적으로 감속시킬 수 있다. 구동 제어 장치(170)는, 브레이크 센서(83, 92)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레버(78, 78)의 조작 여부를 판단한다.
운전자가 전동 자전거(10)의 운전을 종료하면, 운전자는, 스탠드(28)에 의하여 전동 자전거(10)를 자립시키고, 키(260)를 좌측으로 돌려, 전동 자전거(10)의 전원을 오프로 한다. 이때, 운전자는, 키(260)를 1단계 좌측으로 돌려 로크 핀(262)을 제2 상태로 하고 나서 키(260)를 뽑을 수도 있고, 키(260)를 2단계 좌측으로 돌려 로크 핀(262)을 제1 상태로 하고 나서 키(260)를 뽑을 수도 있다. 로크 핀(262)이 제1 상태로 있을 때에는, 배터리(38)는 언로크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전동 자전거(10)의 도난 방지를 위해, 배터리(38)를 전동 자전거(10)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의 기재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그러한 변경 또는 개량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명백하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괄호 안의 부호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첨부 도면의 부호에 기초하여 병기한 것이다. 본 발명이 그 부호를 붙인 요소로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전동 자전거를 구동하는 주행용 모터(34)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38)와,
    상기 배터리(38)를 시트 파이프(18)와 후륜(WR)의 사이에 수납하는 차체 프레임(12)으로서, 각각의 전단이 상기 시트 파이프(18)의 상측에 접속되고, 각각의 후단이 상기 후륜(WR)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륜 지지부(22)에 접속되는 좌우 한 쌍의 제1 서브프레임(24)과, 각각의 전단이 상기 시트 파이프(18)의 하측에 접속되고, 각각의 후단이 상기 후륜 지지부(22)에 접속되는 좌우 한 쌍의 제2 서브프레임(26)을 구비하는 차체 프레임(12)과,
    상기 배터리(38)를 상기 차체 프레임(12)에 고정하는 배터리 홀더(40)와,
    상기 전동 자전거의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주행용 모터(34)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제어 장치(170)
    를 구비하는 전동 자전거(10)의 전장품 배치 구조로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제2 서브프레임(26)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제2 서브프레임(26)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하며, 내부에 상기 구동 제어 장치(170)를 수납하는 수납부(172)와, 상기 수납부(172)의 상단을 덮고, 상기 수납부(172)의 상측에, 상기 배터리 홀더(40)를 고정하기 위한 덮개부(174)를 갖는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4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자전거(10)의 전장품 배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장치 수납부(44)는, 상기 좌우 한 쌍의 제2 서브프레임(26)의 전후 위치에, 상기 좌우 한 쌍의 제2 서브프레임(26)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덮개부(174)를 그 전후단에서 고정하는 전후 한 쌍의 제3 서브프레임(17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자전거(10)의 전장품 배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38)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112)이 케이스(114)에 수납된 것으로, 상기 배터리(38)는 상기 시트 파이프(18)를 따라서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상기 배터리(38)의 상기 케이스(114)의 전측에 상기 배터리 모듈(112)을 결합하는 전력선(116)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자전거(10)의 전장품 배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38)의 후면에는, 상기 배터리 홀더(40)의 가이드 레일(200)에 감합되는 가이드(218)를 갖고, 상기 가이드(218)의 하단은 외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펼쳐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자전거(10)의 전장품 배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74)에는, 상기 배터리(38)의 커넥터(118)에 접속될 수 있는, 전력선(192)의 접속 단자(19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자전거(10)의 전장품 배치 구조.
KR1020147002542A 2011-07-28 2012-07-19 전동 자전거의 전장품 배치 구조 KR101590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213506.7A CN102897278B (zh) 2011-07-28 2011-07-28 电动自行车的电装件配置构造
CN201110213506.7 2011-07-28
PCT/JP2012/068355 WO2013015196A1 (ja) 2011-07-28 2012-07-19 電動自転車の電装品配置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845A true KR20140040845A (ko) 2014-04-03
KR101590738B1 KR101590738B1 (ko) 2016-02-01

Family

ID=47569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542A KR101590738B1 (ko) 2011-07-28 2012-07-19 전동 자전거의 전장품 배치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738080B1 (ko)
JP (1) JP5564619B2 (ko)
KR (1) KR101590738B1 (ko)
CN (1) CN102897278B (ko)
ES (1) ES2593625T3 (ko)
TW (1) TWI496719B (ko)
WO (1) WO20130151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9089B2 (ja) * 2013-06-20 2017-09-20 ブリヂストンサイクル株式会社 電動アシスト自転車
WO2016027562A1 (ja) * 2014-08-22 2016-02-25 サンスター技研株式会社 電動アシスト移動体に使用するためのバッテリ用ブラケット、バッテリユニット、電動アシストユニット、および、電動アシスト移動体
JP6367739B2 (ja) * 2015-02-27 2018-08-01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バッテリホルダ、自転車用バッテリ、および、自転車用バッテリの保持部材
DE102015210234B4 (de) * 2015-06-03 2023-06-15 Vitesco Technologies Germany Gmbh Gehäuse für einen Zellblock für ein elektrisch antreibbares Fahrzeug
TWI602738B (zh) 2015-12-18 2017-10-21 達方電子股份有限公司 電動自行車及其電池承載裝置
JP6720034B2 (ja) * 2016-09-15 2020-07-0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電動補助自転車
US11084364B2 (en) 2017-05-23 2021-08-10 Gogoro Inc. Vehicle
WO2019064563A1 (ja) * 2017-09-29 2019-04-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のバッテリ収納装置
DE102017125812A1 (de) * 2017-11-06 2019-05-09 e-bility GmbH Entnehmbares Akkumulatorpaket für ein elektrisch antreibbares Fahrzeug und elektrisch antreibbares Fahrzeug
CN107985494A (zh) * 2017-12-14 2018-05-04 天津爱玛车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自行车车架及电动自行车
CN108706063B (zh) * 2018-08-02 2023-05-30 浙江阿尔郎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动自行车的电池盒及电动自行车
EP3660942B1 (de) 2018-11-28 2021-04-07 BMZ Batterien-Montage-Zentrum GmbH Energiespeicher, der an einem transportvehikel wie einem lastenfahrrad, einer sackkarre oder dergleichen anbaubar ist, und akkumulator hierfür
CN109677557A (zh) * 2019-01-25 2019-04-26 南京奥特博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助力装置及助力自行车
CN109552544B (zh) * 2019-01-30 2023-09-08 台州安马达电动车有限公司 一种电动车的车架
CN113423635B (zh) * 2019-03-19 2022-10-2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池收纳装置以及电动车辆
TW202110699A (zh) 2019-07-16 2021-03-16 美商哈雷機車公司 電動腳踏車
USD929268S1 (en) 2019-08-20 2021-08-31 Serial 1 Cycle Company, Llc Bicycle
JP7119017B2 (ja) * 2020-03-13 2022-08-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電動車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222A (ja) * 1989-07-28 1991-03-18 Olympus Optical Co Ltd 給紙カセットの用紙載置板押上げ機構
JP2000033893A (ja) * 1998-05-11 2000-02-02 Miyata Ind Co Ltd 電動アシスト自転車用車載式充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6330A (en) * 1991-06-03 1993-03-23 New England Biolabs, Inc. Type ii restriction endonuclease, pme i, obtainable from pseudomonas mendocina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05278670A (ja) * 1992-03-31 1993-10-26 Sanyo Electric Co Ltd 電気自転車
JPH0995291A (ja) * 1995-10-02 1997-04-08 Yamaha Motor Co Ltd 車両用バッテリ収納装置
JP3622020B2 (ja) * 1996-07-31 2005-02-2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電動自転車のバッテリボックス脱着構造
JPH10230881A (ja) * 1997-02-21 1998-09-02 Sanyo Electric Co Ltd 電気自転車
JP3061222U (ja) * 1998-11-06 1999-09-17 振和 楊 電気自転車
JP2002145148A (ja) * 2000-11-09 2002-05-22 Yamaha Motor Co Ltd 電動補助自転車
JP2002326595A (ja) * 2001-05-07 2002-11-12 Yamaha Motor Co Ltd 電動自転車
CN101353076B (zh) * 2008-09-18 2012-07-18 李平 小型电动车中置电机驱动器
CH701675B1 (de) * 2009-08-20 2014-09-15 Fairly Bike Mfg Co Ltd Batteriehalter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222A (ja) * 1989-07-28 1991-03-18 Olympus Optical Co Ltd 給紙カセットの用紙載置板押上げ機構
JP2000033893A (ja) * 1998-05-11 2000-02-02 Miyata Ind Co Ltd 電動アシスト自転車用車載式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38080A1 (en) 2014-06-04
CN102897278B (zh) 2014-11-05
TW201311507A (zh) 2013-03-16
CN102897278A (zh) 2013-01-30
KR101590738B1 (ko) 2016-02-01
WO2013015196A1 (ja) 2013-01-31
EP2738080B1 (en) 2016-09-14
ES2593625T3 (es) 2016-12-12
JPWO2013015196A1 (ja) 2015-02-23
JP5564619B2 (ja) 2014-07-30
EP2738080A4 (en) 2015-03-25
TWI496719B (zh) 201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0845A (ko) 전동 자전거의 전장품 배치 구조
CA2798658C (en) Power supply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101340744B1 (ko) 전동 차량
CA2798348C (en) Terminal base of power supply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A2798288C (en) Power supply device for electric vehicle
US8727367B2 (en) Bicycle with integrated cable routing
US9669898B2 (en) Electric vehicle
JP2007015641A (ja) 電動自転車
JP2015069823A (ja) 電動車両のバッテリ取付構造
TWI462372B (zh) 電池單元
EP3636523B1 (en) Straddle-type vehicle
CN116323299A (zh) 具有充电入口组件的两轮车辆
JP6961720B2 (ja) 鞍乗型車両の収納ボックス給電構造
JP2014184946A (ja) 鞍乗り型車両のバッテリー配置構造
JP3143837B2 (ja) 電動スクータ
JP2003182668A (ja) 電動補助自転車
JP3182706B2 (ja) 電動スクータ
CN113511291B (zh) 控制装置的排水结构
EP4012827A1 (en) Battery
JP2023091825A (ja) 電動自転車
CN113276998A (zh) 电动车辆及移动体
JP2007076477A (ja) 小型電動車両の充電器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