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924A - 복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924A
KR20140031924A KR1020137031884A KR20137031884A KR20140031924A KR 20140031924 A KR20140031924 A KR 20140031924A KR 1020137031884 A KR1020137031884 A KR 1020137031884A KR 20137031884 A KR20137031884 A KR 20137031884A KR 20140031924 A KR20140031924 A KR 20140031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olarizing plate
pressure
adhesive 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9787B1 (ko
Inventor
현근식
겐지 마츠노
Original Assignee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2590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3192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31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제 1 감압 접착제층, 편광판, 제 2 감압 접착제층,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복합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 필름과 제 2 감압 접착제층에 접하고 있는 투명 보호 필름을 갖고, 제 1 감압 접착제층의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10~100KPa이며, 제 2 감압 접착제층의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1~60KPa인 복합 편광판. 상기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에서의 제 2 감압 접착제층과는 반대측 면에 대전 방지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복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COMPOSITE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복합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박형화를 목적으로 한 복합 편광판으로서, 제 1 감압 접착제층과 편광자(편광 필름)와 제 2 감압 접착제층과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복합 편광판이 제안되고 있다. 이 복합 편광판은 편광자와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이 제 2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직접 적층되어 있고, 제 2 감압 접착제층으로서 23~80℃의 온도 범위에서 0.15~1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감압 접착제층이 채용되고 있다(JP2010-39458-A).
일반적으로 편광 필름은 고온, 고습 하에서 수축하기 쉬운 곳, 상기 복합 편광판에서는 편광자와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을 접착하는 제 2 감압 접착제층으로서 저장 탄성률이 높은 감압 접착제층을 채용함으로써, 고온, 고습 하에서도 편광 필름 및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의 수축의 억제가 도모되고 있다. 그렇지만, 편광 필름과 투명 보호 필름이 적층되어 해당 투명 보호 필름과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을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접합한 복합 편광판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저장 탄성률이 높은 감압 접착제층을 사용하면, 고온, 고습 하에서 발생하는 편광 필름의 수축에 추종해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도 수축해 버린다는 문제가 생겼다.
액정 셀을 한 쌍의 유리 기판으로 협지한 액정 패널에서는 액정 셀에 걸리는 전계에 의해서 그 배향이 제어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유리 기판에 대전 방지 기능이 부여되고 있지만, 요즘 액정 패널에 첩합하는 복합 편광판 측에 대전 방지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여기서, 복합 편광판에 대전 방지 기능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에 대전 방지층을 마련해 해당 대전 방지층과 액정 패널의 회로 기판을 도전성의 페이스트 또는 도전성 테이프에 의해 접속하는 구성이 채용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고온, 고습 하에서 수축해 버리는 복합 편광판에서는 대전 방지층과 회로 기판을 접속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또는 도전성 테이프가 절단되어 버리는 일이 있었다.
아울러 액정 패널을 구성하는 유리 기판에 있어서도 박형화가 요망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복합 편광판의 경우, 제 1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유리 기판과 첩합되게 되지만, 고온, 고습 하에서 복합 편광판이 수축해 버리면, 박형화된 유리 기판에 휨이 생겨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 고습 하에서 수축이 억제된 복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으며, 특히,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에 대전 방지층을 마련해 상기 대전 방지층을 도전성 페이스트 또는 도전성 테이프를 통하여 액정 패널의 회로 기판과 접속했을 경우에, 고온, 고습 하에서도 도전성 페이스트 또는 도전성 테이프가 절단되지 않는 복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 아울러 박형화된 유리 기판에 첩합했을 경우에 고온, 고습 하에서도 유리 기판의 휨을 억제할 수 있는 복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1] 제 1 감압 접착제층, 편광판, 제 2 감압 접착제층,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복합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 필름과 제 2 감압 접착제층에 접하고 있는 투명 보호 필름을 갖고, 제 1 감압 접착제층의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10~100KPa이며, 제 2 감압 접착제층의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1~60KPa인 복합 편광판.
[2] 상기 편광판은 제 1 감압 접착제층에 접하고 있는 투명 보호 필름을 가지는 전항 [1]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
[3]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의 인장 탄성률이 2000~4500MPa인 전항 [1] 또는 [2]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
[4]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의 두께가 10~100㎛인 전항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
[5]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에서의 제 2 감압 접착제층과는 반대 측의 면에 대전 방지층이 적층되어 있는 전항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
[6] 전항 [5]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과, 회로 기판을 가지는 액정 패널과 상기 복합 편광판의 대전 방지층과 상기 액정 패널의 회로 기판을 접속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또는 도전성 테이프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 고습 하에서 수축이 억제된 복합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에 대전 방지층을 마련해 상기 대전 방지층을 도전성 페이스트 또는 도전성 테이프를 통하여 액정 패널의 회로 기판과 접속했을 경우에, 고온, 고습 하에서도 도전성 페이스트 또는 도전성 테이프가 절단되지 않는 복합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고, 아울러 박형화된 유리 기판에 첩합했을 경우에, 고온, 고습 하에서도 유리 기판의 휨을 억제할 수 있는 복합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에서의 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에서의 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에서의 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에서의 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에서의 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의 층 구성의 예를 도 1~도 5에 모식적으로 나타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10)은 제 1 감압 접착제층(1), 편광 필름(3), 투명 보호 필름(2a), 제 2 감압 접착제층(4),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5)이 이 순서로 적층되고, 제 2 감압 접착제층(4)과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5)이 접하고 있는 복합 편광판이다. 또,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감압 접착제층(1)과 편광 필름(3)의 사이에, 투명 보호 필름(2b)을 구비해도 되고,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5)에서의 제 2 감압 접착제층(4)과는 반대 측의 면에 대전 방지층(6)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감압 접착제층(1)과 편광 필름(3)의 사이에, 위상차판(7)(투명 보호 필름을 겸함)을 구비해도 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감압 접착제층(1)과 편광 필름(3)의 사이에, 위상차판(7) 및 제 3 감압 접착제층(8)을 구비해도 된다. 또한, 제 1 감압 접착제층(1)의 편광 필름(3)과는 반대 측에 통상, 다른 부재에 첩합할 때까지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를 첩합해 두고, 복합 편광판을 보호해 둔다.
이하, 도면도 참조하면서 각 층에 대해서 설명한다.
<편광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광판은 복합 편광판의 구성 부재의 하나이며, 편광 필름과 제 2 감압 접착제층 측에 적층된 투명 보호 필름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편광판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 필름(3)/투명 보호 필름(2a)의 2층 구성이어도 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보호 필름(2b)/편광 필름(3)/투명 보호 필름(2a)의 3층 구성이어도 된다. 범용성의 관점에서 상기 3층 구성의 편광판이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
편광 필름은 입사하는 자연광으로부터 직선 편광을 꺼내는 기능을 가지는 필름이며,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외, 아세트산 비닐 및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아세트산 비닐에 공중합되는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올레핀류, 비닐 에테르류, 불포화 설폰산류, 아크릴 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100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이다. 이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는 추가로 변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 포르말이나 폴리비닐 아세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 정도, 바람직하게는 1500~5000 정도이다.
이러한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한 것이 편광 필름의 원반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공지의 방법으로 제막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진 원반 필름의 막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150㎛ 정도이다. 연신의 용이함 등도 고려하면, 그 막 두께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은 이와 같은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1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해 그 2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2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이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2색성 색소로는 요오드나, 2색성의 유기 염료가 사용된다.
<투명 보호 필름>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투명 보호 필름이 적층된다. 양자는 수용액계, 유기용제 용액계, 무용제형 등 적당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투명 보호 필름으로는 종래부터 편광판의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알려져 있는 각종의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계의 수지 필름, 특히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편광 필름의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적층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공지의 투명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으로는 투명성을 해치지 않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노르보넨계 수지 등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진 각종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은 경도, 투명성, 생산성, 비용 등의 관점에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및 필요에 따라서 다른 디카르복시산 및/또는 다른 디올)을 직접 반응시키는 이른바 직접 중합법, 테레프탈산의 디메틸 에스테르와 에틸렌글리콜(및 필요에 따라서 다른 디카르복시산의 디메틸 에스테르 및/또는 다른 디올)을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키는 이른바 에스테르 교환 반응법 등의 임의의 제조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필요에 따라서 공지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공지의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활제, 블로킹 방지제,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내광제, 내충격성 개량제 등을 들 수 있다. 단, 편광판에 적층되는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으로서 투명성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첨가제의 첨가량은 최소한으로 한정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필름 상에 성형하고 연신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연신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제작할 수 있다. 연신은 MD 방향(흐름 방향) 또는 TD 방향(흐름 방향과 수직의 방향)으로 연신하는 1축 연신, MD 방향 및 TD 방향의 쌍방으로 연신하는 2축 연신, MD 방향으로도 TD 방향으로도 아닌 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사 연신 등 어떠한 방법으로 실시해도 된다. 이러한 연신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기계적 강도가 높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그 중에서도, 2축 연신의 보잉 현상이나 경사 연신에 의해 PET의 배향축이 MD 방향에 대해서 대략 45°가 되고 있는 필름은 이것을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으로 하여 편광판과 롤·투·롤로 첩합함으로써, 편광 선글라스로 액정 패널의 화면을 시인했을 경우에 편광 선글라스의 편광축과 편광판의 편광축이 직교함으로써 생기는 시인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복합 편광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2축 연신의 경우는 예를 들어, 시트상으로 압출 성형된 무배향 필름을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세로 연신(MD 방향으로 연신)하고, 다음에 가로 연신(TD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이나, 가로 세로 동시에 연신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은 셀룰로오스의 부분 에스테르화물 또는 완전 에스테르화물로 이루어진 필름이며,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의 아세트산 에스테르, 프로피온산 에스테르, 부티르산 에스테르, 이들의 혼합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필름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 디아세틸 셀룰로오스필름,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필름,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으로는 적당의 시판품, 예를 들어, 후지탁크 TD80(후지 필름(주) 제), 후지탁크 TD80UF(후지 필름(주) 제), 후지탁크 T40UZ(후지 필름(주) 제), 후지탁크 TD80UZ(후지 필름(주) 제), KC8UX2M(코니카미놀타오프트(주) 제), KC8UY(코니카미놀타오프트(주) 제), KC4UY(코니카미놀타오프트(주) 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으로서 위상차를 가지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편광 필름의 흡수축과 대략 45°의 각도로 만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으로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환상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리드/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액정 폴리에스테르, 아세틸 셀룰로오스,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굴절률 이방성을 발현시킨 광학 필름을 들 수 있다. 또, 위상차를 가지지 않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기재에 액정성 화합물을 도포해 배향시킴으로써 굴절률 이방성을 발현시킨 필름이나, 무기 층상 화합물의 도포에 의해 굴절률 이방성을 발현시킨 필름도 위상차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을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입사광의 파장에 대해서 1/4 파장의 위상차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의 면내 위상차 값은 일반적으로 90~200㎛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120~160㎛이다. 1/4 파장판은 편광 필름으로부터 출사되는 직선 편광을 타원 편광 또는 원 편광으로 바꾸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으로서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을 액정 셀의 앞면 측에 배치하면, 편광 선글라스로 액정 패널의 화면을 시인했을 경우에, 편광 선글라스의 편광축과 편광판의 편광축이 직교함으로써 생기는 시인 불량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편광 선글라스란, 편광판이 장착된 안경으로서, 한 방향(예를 들면,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진동하는 직선 편광만을 투과하게 되어 있다.
편광판의 고온, 고습 하에서의 수축에 저항하는 관점에서,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의 인장 탄성률은 2000~4500MPa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의 두께는 적용되는 재료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게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10~1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6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40㎛이다.
<감압 접착제층>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10)에서는 제 1 감압 접착제층(1), 제 2 감압 접착제층(4)을 구비하고(도 1~도 4), 추가로 제 1 감압 접착제층(1)과 편광 필름(3)의 사이에 위상차판(7) 및 제 3 감압 접착제층(8)을 구비해도 된다.
제 1 감압 접착제층, 제 2 감압 접착제층은 각각 후술하는 소정의 저장 탄성률을 가지는 것이면 되고, 이들 감압 접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아크릴계, 고무계, 우레탄계, 에스테르계, 실리콘계, 폴리비닐 에테르계 등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감압 접착제가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뛰어난 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한 감압 접착제가 매우 적합하다. 특히, 적당한 습윤성이나 응집력을 유지하고, 투명 보호 필름이나 편광 필름과의 접착성도 뛰어나며, 가열이나 가습의 조건 하에서 들뜸이나 벗겨짐 등의 박리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선택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에너지선 경화형, 열경화형 등으로 불리는 감압 접착제여도 된다. 또, 제 3 감압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에 대하여도 상술한 것과 동일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감압 접착제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과 같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베이스 폴리머나, 이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2 종류 이상 사용한 공중합계 베이스 폴리머가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이들 베이스 폴리머에는 극성 모노머가 공중합되어 있다. 극성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카르복시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을 가지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이들 아크릴계 수지는 감압 접착제로서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지만, 통상은 가교제가 배합된다. 가교제로는 2가 또는 다가 금속 이온으로서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 카르복시산 금속염을 형성하는 것, 폴리아민 화합물로서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에폭시 화합물이나 폴리올로서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유기계 가교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에너지선 경화형 감압 접착제란,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에너지선의 조사를 받아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에너지선 조사 전에 있어서도 점착성을 가져 필름 등의 피착체에 밀착되며,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해 밀착력의 조정을 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는 감압 접착제이다. 에너지선 경화형 감압 접착제로는 특히 자외선 경화형 감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너지선 경화형 감압 접착제는 일반적으로는 상기한 것 같은 아크릴계 수지와 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통상은 추가로 가교제가 배합되어 있으며, 또 필요에 따라서 광중합 개시제나 광증감제 등이 배합되기도 한다.
감압 접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상기의 베이스 폴리머 및 가교제 외, 필요에 따라서, 감압 접착제의 점착력, 응집력, 점성, 탄성률, 유리 전이 온도 등을 조정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천연물이나 합성물인 수지류, 점착성 부여 수지, 산화 방지제, 염료, 안료, 소포제, 부식제, 광중합 개시제등이 적당한 첨가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미립자를 함유시켜 광산란성을 나타내는 감압 접착제층으로 할 수도 있다.
감압 접착제층은 상기한 바와 같은 각 성분을 톨루엔이나 아세트산 에틸 등의 유기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10~40중량% 정도의 고형분 농도로 한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유기용제를 제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에너지선 경화형 감압 접착제인 경우는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도막에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원하는 경화물로 할 수 있다.
감압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종래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 편광 필름이나 투명 보호 필름의 피착면에 상술한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해 건조하고, 필요에 따라서 에너지선을 조사해 경화시키는 방법이나, (2) 미리 세퍼레이터의 표면에 감압 접착제층을 형성한 적층체로부터 편광 필름이나 투명 보호 필름의 피착면에 감압 접착제층을 전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피착면과 감압 접착제층의 밀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피착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 방법에 의해 감압 접착제층을 형성했을 경우, 상기 층을 보호하기 위해서 세퍼레이터를 첩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 접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1~40㎛ 정도이지만, 가공성이나 내구성 등을 해치지 않고 복합 편광판의 박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3~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감압 접착제층의 두께로는 5~15㎛가 보다 바람직하다.
감압 접착제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광산란성을 나타내기 위한 미립자를 함유 시켜도 되고, 유리 섬유나 유리 비즈, 수지 비즈, 금속 가루나 그 밖의 무기 분말 등으로 이루어진 충전제, 안료나 착색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배합해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에는 살리실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이나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니켈 착염계 화합물 등이 있다.
<제 1 감압 접착제층>
제 1 감압 접착제층은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100KPa이다. 제 1 감압 접착제층이 상기 소정의 저장 탄성률을 가짐으로써,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을 제 1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박형화된 유리 기판에 첩합했을 경우에, 고온, 고습 하에서도 유리 기판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유리 기판의 휨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제 1 감압 접착제층의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10~60KPa인 것이 바람직하고, 20~50KP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감압 접착제층>
제 2 감압 접착제층은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0.1~60KPa이다. 제 2 감압 접착제층이 상기 소정의 저장 탄성률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을 고온, 고습 하에서도 편광판 및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의 수축을 양호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에 대전 방지층을 마련해 상기 대전 방지층을 도전성 페이스트 또는 도전성 테이프를 통하여 액정 패널의 회로 기판과 접속했을 경우에, 고온, 고습 하가 되어도 도전성 페이스트 또는 도전성 테이프의 절단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수축 억제의 관점에서, 제 2 감압 접착제층의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1~40KPa인 것이 바람직하고, 0.1~30KP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감압 접착제층을 상기 소정의 저장 탄성률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 2 감압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 후술하는 아크릴 수지 (1), 아크릴 수지 (2), 실리콘 올리고머 (3) 및 가교제 (4)를 포함하는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 (1)>
아크릴 수지 (1):단량체 (A)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a) 및, 단량체 (B)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b)를 함유하는 아크릴 수지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2000000인 아크릴 수지
단량체 (A):식 (A)로 나타내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Figure pct00001
(식 (A)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14의 알킬기 또는 아랄킬기를 나타낸다. R2의 수소 원자는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단량체 (B):하기 (B-1) 및/또는 하기 (B-2)로 나타나는 단량체
(B-1):적어도 1개의 카르복실기와 1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단량체
(B-2):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옥세타닐기, 알데히드기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극성 관능기와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단량체
<아크릴 수지 (2)>
아크릴 수지 (2):구조 단위 (a) 및 구조 단위 (b)를 함유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500000인 아크릴 수지
<실리콘 올리고머>
실리콘 올리고머 (3):하기 식 (S)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s)를 2~100개 함유하는 올리고머. (단, 실리콘 올리고머 (3) 중에는 상이한 2 종류 이상의 구조 단위 (s)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Figure pct00002
(식 (S) 중, R3, R4는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X 및 Y는 수소 원자,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콕시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페녹시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랄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랄킬옥시기, 비닐기, 비닐옥시기, 1,2-에폭시시클로헥실기, 1,2-에폭시시클로헥실옥시기, 스티릴기, 스티릴옥시기, 메타크릴로일 옥시기, 아미노기, 우레이도기, 메르캅토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나타낸다.)
제 2 감압 접착제층은 고온, 고습 하에서의 복합 편광판의 수축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하는 소정의 시험법에 의해 측정되는 크리프 양이 200~6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00~4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3 감압 접착제층>
제 1 감압 접착제층과 편광 필름의 사이에 위상차판을 구비하는 경우에, 편광 필름과 위상차판을 제 3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접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 3 감압 접착제층은 23~80℃의 온도 범위에서 0.15~1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저장 탄성률을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상술한 점착제 조성물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를 배합하는 것이 유효하다. 이와 같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배합한데다 에너지선을 조사해 경화시킨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위상차판>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감압 접착제(1)와 편광 필름(3)의 사이에 투명 보호 필름(2b) 대신에 위상차판(7)을 구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정 셀의 시야각 보상 기능을 부여한 복합 편광판을 형성하거나 타원 또는 원 편광 모드의 복합 편광판을 형성하거나 할 수 있다. 이러한 위상차판은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위상차판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계 수지 외, 폴리카보네이트, 노르보넨계 수지를 대표예로 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위상차판으로서 광학 보상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광학 보상 필름은 편광판을 액정 디스플레이에 탑재했을 때의 광학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무기 층상 화합물의 도포층을 형성하여 두께 방향의 위상차를 발현시킨 광학 보상 필름, 액정성 화합물의 도포층을 형성시킨 광학 보상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액정성 화합물의 도포층을 형성시킨 시판의 광학 보상 필름에는 후지 필름(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와이드뷰"("WV 필름"이라고 표현되기도 함)나, JX 닛코우 일석 에너지(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NH 필름", "NV 필름" 등이 있다.
위상차판이나 광학 보상 필름의 지상축과 편광 필름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용되는 액정 셀의 사양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위상차판이나 광학 보상 필름을 첩합해 시야각 보상 기능 부착 복합 편광판으로 했을 경우에는 단순히 편광판과 위상차판이 적층된 것과 비교하여 색 빠짐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층>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5)에서의 제 2 감압 접착제층(4)에 접하는 면과는 반대 측에 대전 방지층(6)을 적층할 수 있다. 대전 방지층(6)은 공지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중에 수지 경화 후에 투명해지는 대전 방지제,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의 레벨링제 및 용제 건조형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수지를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5) 상에 도공하고, 자외선에 의해 상기 투명 수지를 경화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전 방지층으로서의 기능을 얻기 위해서는 표면 저항값이 1014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2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경화 후에 투명해지는 대전 방지제에는 유기계 대전 방지제와 무기계 대전 방지제가 있다. 유기계 대전 방지제에는 예를 들면, 제4급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제1~3급 아미노기 등의 양이온성 기를 가지는 각종 양이온성 대전 방지제, 설폰산염기, 황산 에스테르염기, 인산 에스테르염기, 포스폰산염기 등의 음이온성 기를 가지는 음이온계 대전 방지제, 아미노산계, 아미노황산 에스테르계 등의 양성 대전 방지제, 아미노알콜계, 글리세린계, 폴리에틸렌 글리콜계 등의 비이온성의 대전 방지제 등의 각종 계면활성제형 대전 방지제, 나아가 상기와 같은 대전 방지제를 고분자량화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제3급 아미노기나 제4급 암모늄기를 갖고, 전리 방사선에 의해 중합 가능한 모노머나 올리고머, 예를 들면, N,N-디알킬아미노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이들의 제4급 화합물 등의 중합성 대전 방지제도 사용할 수 있다.
무기계 대전 방지제에는 ATO, SnO2, ITO 등의 미립자가 사용되며, 특히 수지 경화 후의 도막에 투명성을 내기 위해서는 입경이 가시광선의 파장 이하, 즉, 7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계 대전 방지제의 첨가량은 수지에 대해서 10~80중량%가 바람직하다. 유기계 대전 방지제 혹은 가시광선 파장 이하의 입경을 가지는 무기계 대전 방지제를 투명 수지에 분산시킨 것을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 상에 도공함으로써, 투명하고 또한 대전 방지능을 가지는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이 얻어진다.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도료의 도포 방법에는 예를 들면, 롤 코팅 방법, 그라비어 코팅 방법, 스크린 코팅 방법, 파운틴 코팅 방법 등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의 층>
또,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의 표면에, 대전 방지층과 함께 하드 코트층, 안티 글레어층, 반사 방지층 등의 표면 처리층을 가지는 것을 구성함으로써, 시인성을 높이거나 경도나 내찰상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단, 대전 방지층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표면 처리층을 가지는 경우에도 표면 저항값은 1014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2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은 표면이 평활한 것, 또 표면에 요철을 갖게 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실리콘계, 아크릴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등의 수지 재료 단독, 혹은 그 수지에 필러를 혼합시킨 것의 도포에 의해 형성되는 층을 예시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스핀 코트법,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트법 등 공지의 방법으로 상기의 하드 코트 수지를 도공해 경화시킴으로써 마련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1~30㎛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3㎛ 이상, 또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그 굴절률은 통상 1.65 이하, 바람직하게는 1.45~1.65의 범위이다.
안티 글레어층은 편광판의 표면에 외광이 비쳐 들어와 생기는 시인성의 저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샌드 블라스트 방식이나 엠보싱 가공 방식 등에 의한 조면화 방식이나,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투명 미립자를 혼합한 도공액을 도포해 경화시키는 방식 등에 의해서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의 표면에 요철 구성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한 하드 코트층을 표면 요철이 마련된 상태로 형성하면 그것이 안티 글레어층도 된다.
반사 방지층은 편광판의 표면에서의 외광의 반사 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공지의 방법에 의해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트 등의 도포법을 이용하거나, 혹은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물리적 기상 성장법을 이용하여 유기물, 금속, 금속 화합물 등의 층을 마련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 형성을 위해서 사용하는 유기물로는 불소 원자가 도입된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으로는 알루미늄, 은 등을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금속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무기의 것이며, 무기 산화물, 무기 황화물, 무기 불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산화물의 예로는 산화 규소, 산화 아연, 산화 티탄, 산화 니오브, 산화 세륨, 산화 인듐-주석, 산화 텅스텐, 산화 몰리브덴, 산화 안티몬, 산화 알루미늄, 산화 지르코늄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황화물의 예로는 황화 아연, 황화 안티몬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불화물의 예로는 불화 알루미늄, 불화 리튬, 불화 나트륨, 불화 마그네슘, 불화 칼슘, 불화 스트론튬, 불화 바륨, 불화 이트륨, 불화 란탄, 불화 세륨, 불화 사마륨, 불화 니오브, 불화 납 등을 들 수 있다. 반사 방지층을 마련하는 경우는 이들 유기물, 금속, 금속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층이 적어도 1층 있으면 되지만, 필요에 따라서 다층으로 해도 된다.
<복합 편광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편광 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공지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해 편광판을 얻는다. 다음에, 편광판의 표면에 제 1 감압 접착제층을 적층한다. 또한, 제 1 감압 접착제층의 외측에는 통상 세퍼레이터가 첩합된다.
한편,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의 한쪽 면에, 제 2 감압 접착제층을 적층한다. 여기서, 제 2 감압 접착제층의 외측에도 그 표면을 가보호하는 세퍼레이터를 마련하는 것이 통례이다.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의 다른 쪽 면에 대전 방지층이나 그 밖의 층(하드 코트층, 방현층, 반사 방지층 등)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미리 이들 층이 마련된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에 제 2 감압 접착제층을 적층해도 되고,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제 2 감압 접착제층/세퍼레이터의 3층 구성으로 한 후,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에 대전 방지층 등을 마련해도 된다.
다음에, 먼저 얻어진 편광판의 투명 보호 필름과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제 2 감압 접착제층을 첩합함으로써, 복합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의 층 구성을 취하면, 전술한 형성 순서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편광판의 양면에 제 1, 제 2 감압 접착제층을 형성한 후,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을 첩합해도 된다.
편광판과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의 첩합 방법으로는 매엽 첩합 방법이나 시트·롤 복합 첩합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을 장척으로 생산할 수 있고, 또한 필요 수량이 많은 경우에는 롤·투·롤에 의한 첩합 방법이 특히도 유용하다.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제 1 감압 접착제층을 액정 패널의 유리 기판에 첩합해 액정 표시 장치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복합 편광판을 세퍼레이터로 보호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박리한 후, 액정 패널에 첩합한다. 또, 대전 방지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에서의 제 2 감압 접착제층에 접하는 면과는 반대 측에 대전 방지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대전 방지층을 외측으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시인 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예를 들면, 유기 EL 등의 화상 표시 소자에 첩합해 화상 표시 장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전성 페이스트 또는 도전성 테이프>
도전성 페이스트 또는 도전성 테이프로는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으로 충분한 도전성을 갖고, 또한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에 마련한 대전 방지층이나, 액정 패널의 회로 기판과의 밀착성이 좋은 것이 적절히 선택된다. 예로는 도전성 고무 부재, 금속박을 표면에 적층한 고무, 금속박을 감은 플라스틱 부재, Au, Ag, Cu, Co, Ni, Sn, Pb 중 적어도 하나의 단체 혹은 합금을 함유하는 이른바, 금속 납땜, Au, Ag, Cu, Co, Ni, Sn, Pb 중 적어도 하나의 단체 혹은 합금을 함유하는 수지, 금속 배선, 혹은 금속박 테이프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 탄성률 측정>
감압 접착제로부터 25±1㎎의 구형 시료 2개를 제작해, 이들 시료를 1개씩 3매의 플레이트 치구 사이에 넣어 시료편을 준비한다. 시료편에 대해 아이티 계측제어(주)사 제의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DVA-200"을 이용하여 주파수 10Hz의 비공진 강제 진동법에 의해 80℃에서의 저장 탄성률(G')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80℃에서의 감압 접착제의 저장 탄성률(G')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감압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80℃에서의 감압 접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을 측정할 수 있다.
<크리프 양>
감압 접착제를 스미토모 화학(주)사 제의 편광판 SRW062A에 첩합한다. 이때에 280W, 10m/분의 조건으로 코로나 방전 처리를 감압 접착제층 측과 편광판 측에 실시했다. 다음에, 25㎜×100㎜의 크기로 절단한 후, 이것을 무알칼리 유리(코닝(주)사 제, Eagle-XG)에 첩합하고, 다음에, 5MPa, 50℃, 20분의 조건으로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실시해, 크리프 양을 측정하는 시험편을 제작한다. 이렇게 하여 제작된 시료편을 23℃×55%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방치해 양생한 후, 시험편의 긴 변과 평행이 되도록 1kg의 하중을 건다. 초기부터 3000초까지의 감압 접착제층의 변위량을 레이저 변위계(KEYENCE(주)사 제 LK-G15)로 측정해 크리프 양으로 한다.
<코로나 방전 장치>
본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코로나 방전 장치를 사용했다.
코로나 표면 처리 프레임 STR-1764, 고주파 전원 CT-0212, 고압 트랜스 CT-T02W(모두 카스가전기(주) 제).
<대전 방지층 부착된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
대전 방지층 부착된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으로서 「톳판 인쇄(주)사 제의 광학용 투명 보호 필름;40KSPLR」를 사용했다. 상기 기판의 인장 탄성률은 MD 방향에서는 3431~4412MPa, TD 방향에서는 2941~3431MPa이며, 두께는 45㎛이다. 또, 대전 방지층의 표면 저항값은 5×1011Ω/□이다.
<감압 접착제층>
감압 접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감압 접착제로서 이하의 감압 접착제를 사용했다.
(1) 감압 접착제 A
·80℃에서의 저장 탄성률(G');34KPa
·크리프 양;343㎛
·막 두께;10㎛
(2) 감압 접착제 B(스미토모 화학(주)사 제, 광학용 감압 접착제 L2)
·80℃에서의 저장 탄성률(G');227KPa
·크리프 양;193㎛
·막 두께;5㎛
(3) 감압 접착제 C
·80℃에서의 저장 탄성률(G');36KPa
·크리프 양;254㎛
·막 두께;25㎛
(4) 감압 접착제 D
·80℃에서의 저장 탄성률(G');53KPa
·크리프 양;236㎛
·막 두께;10㎛
실시예 1>
(감압 접착제 C의 조제)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아크릴산 부틸(BA), 아크릴산 메틸(MA), 아크릴산 2-페녹시에틸(PEA),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HEA) 및 아크릴산(AA)을 69:20:9:1:1의 중량비로 중합해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만인 아크릴 수지를 얻었다. 다음에, 이 아크릴 수지 100중량부를 가교제인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어덕트체(상품명:콜로네이트 L, 일본 폴리우레탄 공업(주) 제) 0.5중량부, 대전 방지제 2중량부 및 실란 화합물(상품명:KBM-403, 신에츠 화학공업(주) 제) 0.3중량부와 혼합했다. 다음에, 농도가 15%가 되도록 이 혼합물을 메틸에틸케톤(MEK)으로 희석시켜 점착제 조성물(감압 접착제 C)을 얻었다.
(감압 접착제 A의 조제)
「아크릴 수지 (1)의 조제」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아크릴산 부틸(BA) 및 아크릴산(AA)을 99:1의 중량비로 중합해 중량 평균 분자량이 130만인 아크릴 수지 (1)를 얻었다.
「아크릴 수지 (2)의 조제」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아크릴산 부틸(BA), 메타크릴산 부틸(BMA), 아크릴산 메틸(MA) 및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HEA)을 35:44:20:1의 중량비로 중합해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인 아크릴 수지(2)를 얻었다.
「감압 접착제 A의 조제」
전술한 아크릴 수지 (1) 및 아크릴 수지 (2) 100중량부(중량비 70:30)을 가교제인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어덕트체(상품명:콜로네이트 L, 일본 폴리우레탄 공업(주) 제) 3중량부 및 실란 화합물(상품명:KBM-403, 신에츠 화학공업(주) 제) 0.3중량부와 혼합하고, 농도가 15%가 되도록 메틸에틸케톤(MEK)으로 희석시켜 점착제 조성물(감압 접착제 A)을 얻었다.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 및 제 2 감압 접착제층의 적층체의 제작)
전술한 대전 방지층 부착된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에 있어서, 대전 방지층이 부착되지 않은 면에 제 2 감압 접착제층으로서 감압 접착제 A로 형성된 감압 접착제을 첩합함으로써, 양자가 적층된 적층체를 제작했다. 또한, 양자를 첩합할 때에는 280W, 10m/분의 조건으로 코로나 방전 처리를 각 첩합면에 실시해 감압 접착제층과 플라스틱 기판의 밀착성을 높이도록 했다.
(편광판의 제작)
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몰% 이상인 폴리비닐 알코올로 이루어진 두께 75㎛의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을 건식으로 약 5배로 1축 연신하고, 또한 긴장 상태를 유지한 채로 60℃의 순수에 1분간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화 칼륨/물의 중량비가 0.05/5/100인 수용액에 28℃에서 60초간 침지했다. 그 후, 요오드화 칼륨/붕산/물의 중량비가 8.5/8.5/100인 수용액에 72℃에서 300초간 침지했다. 계속해서 26℃의 순수로 20초간 세정한 후, 65℃에서 건조하여 폴리비닐 알코올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편광 필름을 얻었다.
이 편광 필름의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표면에 비누화 처리가 실시된 두께 40㎛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을 첩합했다. 첩합에는 수계 접착제를 사용해 첩합 후 80℃에서 5분간 건조함으로써, 투명 보호 필름을 편광 필름에 접착시켜 투명 보호 필름/편광 필름/투명 보호 필름의 3층으로 이루어진 편광판을 제작했다.
(제 1 감압 접착제층의 형성)
상기 편광판의 한면에 제 1 감압 접착제층으로서 감압 접착제 C로 형성된 감압 접착제층을 첩합함으로써, 제 1 감압 접착제층과 편광판의 적층체를 제작했다. 또한, 양자를 찹합할 때에는 280W, 10m/분의 조건으로 코로나 방전 처리를 각 첩합면에 실시해 제 1 감압 접착제층과 편광판의 밀착성을 높이도록 했다.
(복합 편광판의 제작)
제 1 감압 접착제층이 첩합된 편광판에서의 제 1 감압 접착제층과는 반대 측과 제 2 감압 접착제층이 형성된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에서의 제 2 감압 접착제층을 첩합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작했다. 또한, 양자를 첩합할 때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각 첩합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해 양자의 밀착성을 높이도록 했다.
(내열성 시험)
상기 복합 편광판을 편광판 흡수축이 긴 변에 대해서 83°가 되도록 92㎜×53㎜의 크기로 절단해 평가용 샘플로 했다. 다음에, 이 평가용 샘플을 무알칼리 유리(코닝(주)사 제, Eagle-XG)에 첩합하고, 다음에 5MPa, 50℃, 20분의 조건으로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실시해 유리와 평가 샘플의 밀착성이 충분해지도록 했다.
다음에, 유리에 첩합한 평가용 샘플을 고온조(85℃)에서 100시간 가열 처리한 후, 니콘(주)사 제의 2차원 측정기 "NEXIV VMR-12072"를 이용해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의 치수 변화량(수축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 긴 변 측의 치수 변화량(수축량)은 131㎛이며, 짧은 변 측의 치수 변화량(수축량)은 190㎛였다.
실시예 2>
(감압 접착제 D의 조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아크릴 수지 (1) 100중량부를 가교제인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어덕트체(상품명:콜로네이트 L, 일본 폴리우레탄 공업(주) 제) 3중량부 및 실란 화합물(상품명:KBM-403, 신에츠 화학공업(주) 제) 0.3중량부와 혼합하고, 농도가 15%가 되도록 메틸에틸케톤으로 희석해 점착제 조성물(감압 접착제 D)을 얻었다.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감압 접착제 A 대신에, 감압 접착제 D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복합 편광판을 제작했다. 다음에, 상기 복합 편광판에 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법에 의해, 그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의 치수 변화량(수축량)을 측정한 결과, 긴 변 측의 치수 변화량(수축량)은 185㎛이고, 짧은 변 측의 치수 변화량(수축량)은 227㎛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감압 접착제 A의 대신에, 감압 접착제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복합 편광판을 제작했다. 다음에, 상기 복합 편광판에 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법에 의해, 그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의 치수 변화량(수축량)을 측정한 결과, 긴 변 측의 치수 변화량(수축량)은 289㎛이고, 짧은 변 측의 치수 변화량(수축량)은 335㎛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결과를 비교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감압 접착제층(감압 접착제 A 및 D로 형성)의 80℃에서의 저장 탄성률(G')이 34KPa 및 53KPa인 경우에는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의 수축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비교예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감압 접착제층(감압 접착제 B로 형성)의 80℃에서의 저장 탄성률(G')이 227KPa인 경우에는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의 수축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었다. 또,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결과를 비교하면, 제 2 감압 접착제층의 80℃에서의 저장 탄성률(G')이 보다 낮은 실시예 1(감압 접착제 A에 의해 형성)이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의 수축량도 보다 낮은 것이 파악되었다.
1 제 1 감압 접착제층
2a, 2b 투명 보호 필름
3 편광 필름
4 제 2 감압 접착제층
5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
6 대전 방지층
7 위상차판
8 제 3 감압 접착제층
10 복합 편광판

Claims (6)

  1. 제 1 감압 접착제층, 편광판, 제 2 감압 접착제층,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복합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 필름과 제 2 감압 접착제층에 접하고 있는 투명 보호 필름을 갖고,
    제 1 감압 접착제층의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10~100KPa이며, 제 2 감압 접착제층의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1~60KPa인 복합 편광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제 1 감압 접착제층에 접하고 있는 투명 보호 필름을 가지는 복합 편광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의 인장 탄성률이 2000~4500MPa인 복합 편광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의 두께가 10~100㎛인 복합 편광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에서의 제 2 감압 접착제층과는 반대측 면에 대전 방지층이 적층되어 있는 복합 편광판.
  6. 청구항 5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과, 회로 기판을 가지는 액정 패널과 상기 복합 편광판의 대전 방지층과 상기 액정 패널의 회로 기판을 접속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또는 도전성 테이프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37031884A 2011-05-31 2012-05-14 복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819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21556 2011-05-31
JPJP-P-2011-121556 2011-05-31
JP2012066882A JP6136093B2 (ja) 2011-05-31 2012-03-23 複合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JP-P-2012-066882 2012-03-23
PCT/JP2012/062881 WO2012165184A1 (ja) 2011-05-31 2012-05-14 複合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924A true KR20140031924A (ko) 2014-03-13
KR101819787B1 KR101819787B1 (ko) 2018-01-17

Family

ID=4725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884A KR101819787B1 (ko) 2011-05-31 2012-05-14 복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136093B2 (ko)
KR (1) KR101819787B1 (ko)
CN (1) CN103562760B (ko)
TW (1) TWI569976B (ko)
WO (1) WO20121651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456A (ko) * 2019-02-27 2021-02-01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적층체,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7427A (ja) * 2013-01-15 2014-07-28 Nissha Printing Co Ltd 偏光サングラス対応のタッチ機能付偏光板とその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
JP6048297B2 (ja) * 2013-04-24 2016-12-21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CN110361895A (zh) 2013-05-16 2019-10-22 日本瑞翁株式会社 带静电容量式触摸面板的显示装置
FR3009234B1 (fr) * 2013-08-05 2017-09-29 Essilor Int Structure en couches fonctionnalisee
JP6294043B2 (ja) * 2013-10-10 2018-03-14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セット
CN107076901B (zh) * 2014-09-09 2019-08-1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振板以及液晶面板的制造方法
JP2016062027A (ja) * 2014-09-19 2016-04-2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偏光板
JP2016071347A (ja) * 2014-09-29 2016-05-0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CN105739003B (zh) * 2014-12-26 2019-12-24 住友化学株式会社 偏振板
KR101927432B1 (ko) * 2015-02-11 2018-12-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고내구성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1780540B1 (ko) 2015-02-16 2017-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2016218304A (ja) * 2015-05-22 2016-12-22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7026078A1 (ja) * 2015-08-10 2017-02-1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101579710B1 (ko) * 2015-11-12 2015-12-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JP2017102425A (ja) * 2015-11-20 2017-06-08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液晶パネル
CN105572948B (zh) * 2016-03-23 2022-03-25 大连龙宁科技有限公司 一种高温高湿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6442435B2 (ja) * 2016-05-26 2018-12-1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80047473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JP6936009B2 (ja) * 2017-01-20 2021-09-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
KR102268920B1 (ko) * 2017-03-28 2021-06-2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인셀형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407435B1 (ko) 2017-03-28 2022-06-1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인셀형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CN116640523A (zh) * 2019-01-30 2023-08-25 日东电工株式会社 带粘合剂层的光学层叠膜及图像显示装置
JP7257165B2 (ja) * 2019-02-12 2023-04-13 日東電工株式会社 補強フィルムを備える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補強方法
JP7194042B2 (ja) * 2019-02-20 2022-12-21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
KR20210141521A (ko) * 2019-03-18 2021-11-23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적층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3574428A (zh) * 2019-03-18 2021-10-29 住友化学株式会社 层叠体和包含其的显示装置
JP7345330B2 (ja) * 2019-09-13 2023-09-15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8388A (ja) * 1992-01-10 1993-07-30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H1044286A (ja) * 1996-08-01 1998-02-17 Mitsui Petrochem Ind Ltd 静電気防止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
JPH1191038A (ja) * 1997-07-24 1999-04-06 Sumitomo Chem Co Ltd 帯電防止板
JP4993245B2 (ja) * 2005-05-13 2012-08-0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用粘着剤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粘着剤付光学部材、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5082480B2 (ja) 2007-02-13 2012-11-28 住友化学株式会社 薄型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5242969B2 (ja) * 2007-08-03 2013-07-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液晶表示装置
JP2009258589A (ja) * 2008-03-26 2009-11-05 Sumitomo Chemical Co Ltd 複合偏光板、複合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9244486A (ja) * 2008-03-31 2009-10-22 Toagosei Co Ltd 位相差一体型複合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9251284A (ja) * 2008-04-07 2009-10-29 Sumitomo Chemical Co Ltd 複合偏光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9271490A (ja) * 2008-04-07 2009-11-19 Sumitomo Chemical Co Ltd 複合偏光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4340321B1 (ja) * 2008-05-16 2009-10-07 株式会社オプトメイト 積層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デバイス
JP5332599B2 (ja) * 2008-07-11 2013-11-0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複合偏光板
KR20100009472A (ko) * 2008-07-18 2010-0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표시장치
JP2010044211A (ja) * 2008-08-12 2010-02-25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10122487A (ja) 2008-11-20 2010-06-03 Sumitomo Chemical Co Ltd 高弾性率粘着剤層を有する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456A (ko) * 2019-02-27 2021-02-01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적층체,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07087A (zh) 2013-02-16
TWI569976B (zh) 2017-02-11
KR101819787B1 (ko) 2018-01-17
JP2013011853A (ja) 2013-01-17
JP6136093B2 (ja) 2017-05-31
WO2012165184A1 (ja) 2012-12-06
CN103562760A (zh) 2014-02-05
CN103562760B (zh)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6093B2 (ja) 複合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2038372B1 (ko) 인셀 터치 패널 액정 소자의 전방면용 광학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인셀 터치 패널형 액정 표시 장치
JP5332599B2 (ja) 偏光板、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複合偏光板
JP6136527B2 (ja) インセルタッチパネル液晶素子の前面用の光学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セルタッチパネル型液晶表示装置
WO2017138611A1 (ja) 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前面板、並びに画像表示装置
TW201930065A (zh) 積層體
JP6550251B2 (ja) 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KR20160107113A (ko)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JP6043315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202030088A (zh) 光學積層體及具備其之影像顯示裝置
KR20170004875A (ko) 점착제, 점착 시트 및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JP6444793B2 (ja) 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KR20160115765A (ko)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TW201830103A (zh) 偏光板及液晶顯示裝置
JP6508169B2 (ja) インセルタッチパネル液晶素子の前面用の光学積層体及びインセルタッチパネル液晶表示装置、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4089269A (ja) インセルタッチパネル液晶素子の前面用の光学積層体及びインセルタッチパネル液晶表示装置、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7564170B2 (ja) 光学シート
JP6438818B2 (ja) 粘着性組成物、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JP2017134134A (ja) 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JP6594782B2 (ja) 粘着剤層付き偏光板
JP6550250B2 (ja) 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KR20160107114A (ko)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JP2020187595A (ja)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TW202335859A (zh) 保護薄膜、偏光板、偏光板之製造方法及影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JP2021162856A (ja) 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31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