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456A - 적층체,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적층체,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456A
KR20210011456A KR1020207037363A KR20207037363A KR20210011456A KR 20210011456 A KR20210011456 A KR 20210011456A KR 1020207037363 A KR1020207037363 A KR 1020207037363A KR 20207037363 A KR20207037363 A KR 20207037363A KR 20210011456 A KR20210011456 A KR 20210011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th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6138B1 (ko
Inventor
승우 이
정희 김
Original Assignee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11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곡을 시켰을 때에 점착제층에 기포가 생기지 않는 적층체, 그 점착제층에 이용하는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면판, 제1점착제층, 편광자층, 제2점착제층 및 배면판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제1점착제층 및 제2점착제층은 모두, 온도 25℃에서의 tanδ가 0.1 이상 0.6 이하인, 적층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적층체,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본 발명은, 적층체,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된 점착제층을 가지는 점착 필름을 표시장치에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 3).
  특허문헌 1 : 한국 특허 제10-2015-0119968호 명세서   특허문헌 2 : 한국 특허 제10-2014-0085299호 명세서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 제2018-27995호 명세서
점착제층에 의해 각 구성 부재가 접합된 적층체는, 굴곡을 시켰을 때에 점착제층에 기포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약하고, 점착제층과 피착 부재의 사이에 들뜸이나 박리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굴곡을 시켰을 때에 점착제층에 기포가 생기지 않고, 점착력이 우수한 적층체, 그 점착제층에 이용하는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적층체,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1] 전면판, 제1점착제층, 편광자층, 제2점착제층, 및 배면판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상기 제1점착제층 및 상기 제2점착제층은 모두, 온도 25℃에서의 tanδ가 0.1 이상 0.6 이하인, 적층체.
[2] 상기 제1점착제층 및 상기 제2점착제층은 모두,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는,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로부터 유래하는 구성 단위가 폴리머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5 질량% 미만인, [1]에 기재된 적층체.
[3]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알콕시기를 가지는 단관능성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에 기재된 적층체.
[4]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20만 이상 150만 이하인, [2]또는[3]에 기재된 적층체.
[5] 상기 전면판은,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하드 코트층이 설치된 필름인, [1]~[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6] 상기 배면판은, 터치 센서 패널인, [1]~[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7] [1]~[6]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굴곡을 시켰을 때에 점착제층에 기포가 생기지 않고, 점착력이 우수한 적층체, 그 점착제층에 이용하는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굴곡성 시험의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와 관련되는 적층체(이하, 간단히 「적층체」라고도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적층체>
도 1에 본 발명의 일 형태와 관련되는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적층체(100)는, 전면판(101), 제1점착제층(102), 편광자층(103), 제2점착제층(104), 및 배면판(105)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이하, 제1점착제층(102) 및 제2점착제층(104)은 총칭해 점착제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적층체(100)의 두께는, 적층체에 요구되는 기능 및 적층체의 용도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0㎛ 이상 4,0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20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고 150㎛ 이상 1000㎛ 이하이다.
적층체(100)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예를 들면 방형 형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장변과 단변을 가지는 방형 형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이다. 적층체(100)의 면방향의 형상이 장방형인 경우, 장변의 길이는, 예를 들면 10 mm 이상 1400 mm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50 mm 이상 600 mm 이하이다. 단변의 길이는, 예를 들면 5 mm 이상 800 m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0 mm 이상 500 m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m 이상 300 mm 이하이다.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층은, 모서리부가 R 가공되거나 단부가 노치 가공되거나 펀칭 가공되어 있어도 좋다.
적층체(100)는, 예를 들면 표시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표시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유기 EL) 표시장치, 무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무기 EL) 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전계발광 표시장치 등을 들 수 있다. 표시장치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점착제층의 tanδ]
제1점착제층(102) 및 제2점착제층(104)는 모두, 온도 25℃에서의 tanδ가 0.1 이상 0.6 이하이다. 이로 인해, 적층체(100)은, 굴곡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제1점착제층(102) 및 제2점착제층(104)는, 기포 억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온도 25℃에서의 tanδ가 0.2 이상 0.5 이하이다. 온도 25℃에서의 tanδ는, 후술의 실시예의 란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된다.
표시장치에 이용하는 적층체에서, 점착제층에 요구되는 특성의 하나로서 응력 완화 특성이 있다. 그러나, 응력 완화 특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이어도, 점착제층과 기재의 탄성률이 다름에 따라 적층체의 굴곡을 반복해 행했을 때에 점착제층에 기포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굴곡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적층체(100)의 면내에서의 적어도 한 방향에 관해서, 온도 25℃에서 적층체(100)의 내면의 굴곡 반경이 3.0 mm가 되도록 굴곡시켰을 때에, 기포를 일으키지 않고 굴곡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적층체(100)는, 그 면내에서의 적어도 한 방향에 관해서, 온도 25℃에서 적층체(100)의 내면의 굴곡 반경이 3.0 mm가 되도록 반복 굴곡시킬 때, 바람직하게는, 그 굴곡 횟수가 1만회이어도 기포가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기포에는, 점착제층내부에 생기는 기포나, 점착제층과 적층체의 구성 부재의 박리에 의해 생기는 공극 등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굴곡에는, 휨부분에 곡면이 형성되는 접어 구부림의 형태가 포함된다. 접어 구부림의 형태에서, 접어 구부린 내면의 굴곡 반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굴곡에는, 내면의 굴절각이 0도보다 크고 180도 미만인 굴절의 형태, 및 내면의 굴곡 반경이 제로에 근사, 또는 내면의 굴절각이 0도인 접힌 형태가 포함된다.
적층체(100)는, 제1점착제층 및 제2점착제층의 온도 25℃에서의 tanδ가 모두 0.1 이상 0.6 이하인 점에서, 전면판측을 내측으로 하여 굴곡하는 것(인 폴드) 및 전면판측을 외측으로 하여 굴곡하는 것(아웃 폴드)가 모두 가능해질 수 있다.
제1점착제층(102) 및 제2점착제층(104)의 온도 25℃에서의 tanδ가 모두 0.1 이상 0.6 이하인 것으로, 그 면내에서의 적어도 한 방향에 관해서, 온도 25℃에서 적층체(100)의 내면의 굴곡 반경이 3.0 mm가 되도록 반복 굴곡시킬 때, 바람직하게는, 그 굴곡 횟수가 5만회이어도 기포가 생기지 않는다. 적층체(100)는, 그 면내에서의 적어도 한 방향에 관해서, 온도 25℃에서 적층체(100)의 내면의 굴곡 반경이 3.0 mm가 되도록 반복 굴곡시킬 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 굴곡 횟수가 10만회 정도이어도 기포가 생기지 않고, 더 바람직하게는, 그 굴곡 횟수가 15만회 정도이어도 기포가 생기지 않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그 굴곡 횟수가 20만회 정도이어도 기포가 생기지 않는다. 적층체(100)는, 적어도, 그 면내에서의 한방향 및 이것에 직교하는 방향에 관해서, 온도 25℃에서 상기 반복의 굴곡을 시켰을 때의 기포를 일으키지 않는 굴곡 횟수가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100)를 적용한 표시장치는, 굴곡 또는 권회(卷回)) 등을 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1점착제층(102) 및 제2점착제층(104)의 온도 25℃에서의 tanδ를 0.1 이상 0.6 이하로 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점착제층을 후술하는 점착제 조성물 A로 구성하거나 후술하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종류를 변경하거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의 분자량을 조절하거나 가교제의 종류나 점착제 조성물 A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을 조절하는 방법, 및 이들의 방법을 조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전면판]
전면판(101)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판상체이면, 재료 및 두께는 한정되지 않고, 또한 1층만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2층 이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그 예로는, 수지제의 판상체(예를 들면 수지판, 수지 시트, 수지 필름 등), 유리제의 판상체(예를 들면 유리판, 유리 필름 등), 후술의 터치 센서 패널을 들 수 있다. 전면판은, 표시장치의 최표면을 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전면판(101)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 이상 500㎛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2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100㎛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각 층의 두께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두께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전면판(101)이 수지제의 판상체인 경우, 수지제의 판상체는, 광을 투과할 수 있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 필름 등의 수지제의 판상체를 구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티레이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메타)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폰,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고분자로 형성된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해 이용할 수 있다. 강도 및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고분자로 형성된 수지 필름이다. 수지제의 판상체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 이상 500㎛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2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150㎛ 이하이고, 100㎛ 이하이어도 좋다.
전면판(101)은, 경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하드 코트층이 설치된 필름이다. 기재 필름으로는, 상기 수지로 만든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기재 필름의 한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양쪽 모두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드 코트층을 설치함으로써, 경도 및 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수지 필름으로 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층이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첨가제는 한정되지 않고,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전면판(101)이 유리판인 경우, 유리판은, 디스플레이용 강화유리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유리판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 이상 500㎛ 이하이어도 좋다. 유리판을 이용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표면 경도를 가지는 전면판(101)을 구성할 수 있다.
적층체(100)가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경우, 전면판(101)은, 표시장치의 전면 (화면)을 보호하는 기능(윈도우 필름으로서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터치 센서로서의 기능, 블루 라이트 컷 기능, 시야각 조정 기능 등을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제1점착제층]
제1점착제층(102)은, 전면판(101)과 편광자층(103)의 사이에 개재해 이들을 첩합하는 층이고, 예를 들면 점착제나 접착제로 구성되는 층 또는 상기 층에 대해서 어떠한 처리를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좋다. 제1점착제층은, 적층체를 구성하는 점착제층 중에서, 가장 전면판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점착제층일 수 있다. 점착제란, 감압식 접착제라고도 불리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접착제」란, 점착제(감압식 접착제) 이외의 접착제를 말하고, 점착제와는 명확하게 구별된다. 제1점착제층(102)은, 1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고, 또는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1층이다.
제1점착제층(102)는, 기포 억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온도 25℃에서의 tanδ가 0.2 이상 0.5 이하이다.
제1점착제층(102)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고무계 폴리머, 우레탄계 폴리머, 에스테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비닐 에테르계 폴리머와 같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어도 좋다. 그 중에서도 점착제 조성물로는, 내열성, 투명성, 내후성 등의 관점에서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하, 점착제 조성물 A라고도 한다)이 적합하다. 점착제 조성물 A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또는 열경화형이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란, 아크릴계 폴리머 및 메타크릴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나타낸다. 그 외의 「(메타)」를 붙인 용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하, 점착제 조성물 A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라고도 한다.
(1)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 조성물 A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인 경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는,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로부터 유래하는 구성 단위가 폴리머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5 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성 관능기로는, 예를 들면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도기, 및 에폭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로 인해, 점착제층의 유연성이 향상해, 점착제층의 크랙을 억제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는, 크랙 억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로부터 유래하는 구성 단위가 폴리머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1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로부터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지 않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도기, 및 에폭시기를 가지지 않는다.
점착제조성물 A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조성물인 경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로서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1 이상 24 이하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로부터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1 이상 24 이하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등이어도 좋고, 그 예로는,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헥실, (메타)아크릴산 옥틸, (메타)아크릴산 라우릴, (메타)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 이소보닐 등을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점착제 조성물 A 중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점착제 조성물 A의 고형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50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99.5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이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예를 들면 20만 이상 150만 이하이어도 좋고, 30만 이상 70만 이하이어도 좋고, 굴곡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만 이상 60만 이하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란에서 설명하는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A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를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A는, 그 구성 성분으로서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만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고, 가교제를 더 함유해도 좋다. 가교제로는, 2가 이상의 금속 이온이고,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 카르복실산금속염을 형성하는 것; 폴리아민 화합물이고,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에폭시 화합물이나 폴리올이고,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고,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교제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조성물 A가 가교제를 포함하는 경우, 가교제의 함유량은,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100 질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5 질량부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하이다. 점착제 조성물 A는 가교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이란, 자외선이나 전자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를 받아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활성 에너지선 조사 전에도 점착성을 가져 필름 등의 피착체에 밀착시킬 수 있고,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서 경화해 밀착력 등의 조정을 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는 점착제 조성물이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조성물 A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외에, 굴곡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알콕시기를 가지는 단관능성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를 함유한다. 알콕시기로는, 예를 들면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sec-부톡시기, tert-부톡시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기를 가지는 단관능성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의 예로는, 에톡시 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EOEOEA), 노닐 페놀 EO 변성 아크릴레이트[NP(EO) 8A]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중의 알콕시기를 가지는 단관능성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점착제 조성물 A의 고형분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3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이어도 좋다. 알콕시기를 가지는 단관능성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를 함유함으로써, 고분자쇄의 형태가 유연한 직쇄상 구조가 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점착제 조성물 A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인 경우, 점착제 조성물 A는,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 광중합개시제나 광증감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관능기 함유 화합물을 2종 이상 반응시켜 얻어지고,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함유 화합물 등의 (메타)아크릴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을, 점착제 조성물 A의 고형분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3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광중합개시제로는, 예를 들면 벤질 디메틸 케탈,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 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A가 광중합개시제를 포함할 때,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A가 광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전체 함유량은, 예를 들면 점착제 조성물 A의 고형분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0.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이어도 좋다.
점착제 조성물 A는, 광산란성을 부여하기 위한 미립자, 비즈(수지 비즈, 유리 비즈 등), 유리 섬유, 베이스 폴리머 이외의 수지, 점착성 부여제, 충전제(금속분말이나 그 외의 무기 분말 등),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염료, 안료, 착색제, 소포제, 부식 방지제, 광중합개시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잔존 용제에 의한 내구성 저하의 문제를 막는 관점에서 유기용제를 포함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이 점착제 조성물 A로 형성되는 경우, 점착제층은, 점착제 조성물 A를 기재 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는, 형성된 점착제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소망한 경화도를 가지는 경화물로 할 수 있다.
(2) 열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 조성물 A가 열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인 경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2 ~ 20의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분자 내에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2 ~ 20의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함유함으로써 바람직한 점착성을 발현할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2 ~ 20의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는, 호모폴리머로서 유리 전이 온도(Tg)가 -40℃ 이하인 것(이하 「저 Tg 알킬 아크릴레이트」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 Tg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구성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함으로써, 점착제층의 유연성이 향상하고, 굴곡을 시킬때에 점착제층에 기포가 생기지 않아, 점착력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저 Tg 알킬 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n-부틸(Tg :-55℃), 아크릴산 n-옥틸(Tg :-65℃), 아크릴산 이소옥틸(Tg :-58℃), 아크릴산 2-에틸헥실(Tg :-70℃), 아크릴산 이소노닐(Tg :-58℃), 아크릴산 이소데실(Tg :-60℃), 메타크릴산 이소데실(Tg :-41℃), 메타크릴산 n-라우릴(Tg :-65℃), 아크릴산 트리데실(Tg :-55℃), 메타크릴산 트리데실(-40℃)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점착제의 온도 25℃에서의 tanδ가 전술의 범위에 들어가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저 Tg 알킬 아크릴레이트로서 호모폴리머의 Tg가, -4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 n-부틸 및 아크릴산 2-에틸헥실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저 Tg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하한치로서 85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이면, 온도 25℃에서의 tanδ가 전술의 범위에 들어가기 쉽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상기 저 Tg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상한치로서 99.9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9.5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9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저 Tg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99.9 질량% 이하 함유함으로써,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 중에 다른 모노머 성분(특히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을 적합한 양 도입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의 주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전술한 범위로 설정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호모폴리머로서 유리 전이 온도(Tg)가 0℃을 초과하는 모노머(이하 「하드 모노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함유량을, 가능한 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하드 모노머의 함유량을, 상한치로서 15 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이 하드 모노머에는, 후술하는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틸(Tg 10℃), 메타크릴산 메틸(Tg 105℃), 메타크릴산 에틸(Tg 65℃), 메타크릴산 n-부틸(Tg 20℃), 메타크릴산 이소부틸(Tg 48℃), 메타크릴산 t-부틸(Tg 107℃), 아크릴산 n-스테아릴(Tg 30℃), 메타크릴산 n-스테아릴(Tg 38℃), 아크릴산 시클로헥실(Tg 15℃), 메타크릴산 시클로헥실(Tg 66℃), 아크릴산 페녹시에틸(Tg 5℃), 메타크릴산 페녹시에틸(Tg 54℃), 메타크릴산 벤질(Tg 54℃), 아크릴산 이소보닐(Tg 94℃), 메타크릴산 이소보닐(Tg 180℃), 아크릴로일몰포린(Tg 145℃), 아크릴산아다만틸(Tg 115℃), 메타크릴산아다만틸(Tg 141℃), 아크릴산(Tg 103℃), 디메틸 아크릴아미드(Tg 89℃), 아크릴아미드(Tg 165℃) 등의 아크릴계 모노머, 아세트산비닐(Tg 32℃), 스티렌(Tg 80℃) 등을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함으로써 상기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 유래의 반응성 관능기를 통해, 후술하는 열가교제와 반응해, 이로 인해 가교 구조(삼차원 망목 구조)가 형성되어 소망한 응집력을 가지는 점착제가 얻어진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가,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는,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가지는 모노머(수산기 함유 모노머), 분자 내에 카르복시기를 가지는 모노머(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분자 내에 아미노기를 가지는 모노머(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유리 전이 온도(Tg)가 0℃ 이하인 것이 많은 점에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 에틸,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3-히드록시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 부틸, (메타)아크릴산 3-히드록시 부틸, (메타)아크릴산 4-히드록시 부틸 등의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알킬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리 전이 온도(Tg), 얻어지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에서의 수산기의 열가교제와의 반응성, 및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성의 점에서, 아크릴산 2-히드록시 에틸, 아크릴산 2-히드록시 프로필, 아크릴산 3-히드록시 프로필, 및 아크릴산 4-히드록시 부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 n-부틸 아미노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는,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로부터 유래하는 구성 단위가 폴리머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5 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는,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로부터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하한치가 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치가 4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3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가 모노머 단위로서 상기의 양으로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 특히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면, 얻어지는 점착제의 온도 25℃에서의 tanδ가 전술한 범위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특히 하드 모노머이기도 한 아크릴산을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카르복시기는 산성분이기 때문에,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는 것에 의해, 점착제의 첩부 대상에, 산에 의해 결함이 생기는 것, 예를 들면 주석 도프 산화 인듐(ITO) 등의 투명 도전막이나, 금속막, 금속 메쉬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산에 의한 이러한 결함(부식, 저항값 변화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는, 소망에 따라,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다른 모노머를 함유해도 좋다. 다른 모노머로는,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반응성을 가지는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른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메톡시 에틸, (메타)아크릴산 에톡시에틸 등의 (메타)아크릴산 알콕시 알킬 에스테르의 외, 호모폴리머로서 유리 전이 온도(Tg)가 -40℃ 초과, 0℃ 이하인 모노머(이하 「중 Tg 알킬 아크릴레이트」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등을 들 수 있다. 중 Tg 알킬 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에틸(Tg :-20℃), 아크릴산 이소부틸(Tg :-26℃),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Tg :-10℃), 아크릴산 n-라우릴(Tg :-23℃), 아크릴산 이소스테아릴(Tg :-18℃)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의 중합 형태는, 랜덤 공중합체이어도 좋고, 블록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하한치는, 2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4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하한치가 상기 이상이면, 점착제의 침출 등의 결함이 억제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법에 따라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값이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상한치는, 15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35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2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상한치가 상기 이하이면, 얻어지는 점착제의 온도 25℃에서의 tanδ가 전술한 범위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A에서,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열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 A를 가열하면, 열가교제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를 가교하고, 삼차원 망목 구조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얻어지는 점착제의 응집력이 향상하는 동시에, 상기 점착제의 온도 25℃에서의 tanδ가 전술한 범위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상기 열가교제로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가 가지는 반응성기와 반응하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히드라진계 가교제, 알데히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금속 알콕시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암모늄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가 가지는 반응성기가 수산기의 경우, 수산기와의 반응성이 우수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적어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 및 이들의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또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티롤프로판, 피마자유 등의 저분자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과의 반응물인 어덕트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산기와의 반응성의 관점에서, 트리메티롤프로판 변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특히 트리메티롤프로판 변성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메티롤프로판 변성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에폭시계 가교제로는, 예를 들면, 1, 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 시클로헥산, N,N, N', 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릴렌 디아민,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 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티롤프로판디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A 중에서의 열가교제의 함유량은,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질량%에 대해서, 0.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유량은, 1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열가교제의 함유량이 상기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얻어지는 점착제의 온도 25℃에서의 tanδ가 전술한 범위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점착제 조성물 A는, 상기의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얻어지는 점착제층은, 피착체가 되는 플렉서블 적층체 중에서의 각 부재와의 밀착성이 향상해, 굴곡에 대한 내구성이 보다 우수해진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분자 내에 알콕시 실릴기를 적어도 1개 가지는 유기 규소 화합물이고,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와의 상용성이 좋고, 광투과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규소 화합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3, 4-에폭시 시클로헥실) 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가지는 규소 화합물,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등의 메르캅토기 함유 규소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혹은 이들의 적어도 1개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알킬기 함유 규소 화합물과의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점착제 조성물 A 중에서의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은,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질량%에 대해서, 0.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유량은, 1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 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이 상기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얻어지는 점착제층은, 피착체가 되는 플렉서블 적층체 중에서의 각 부재와의 밀착성이 보다 바람직한 것이 된다.
점착제 조성물 A에는, 소망에 따라, 상술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중합 용매나 희석 용매는, 점착제 조성물 A를 구성하는 첨가제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는,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혼합물을 통상의 라디칼 중합법으로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의 중합은, 소망에 따라 중합개시제를 사용하고, 용액 중합법에 따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용매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 n-부틸, 아세트산 이소부틸, 톨루엔, 아세톤, 헥산, 메틸 에틸 케톤 등을 들 수 있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중합개시제로는, 아조계 화합물, 유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아조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2, 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2, 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 1'-아조비스(시클로헥산 1-카르보니트릴), 2, 2'-아조비스(2, 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 2'-아조비스(2, 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디메틸 2, 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4, 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릭산), 2, 2'-아조비스(2-히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2, 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 프로판]등을 들 수 있다.
유기 과산화물로는, 예를 들면, 과산화 벤조일, t-부틸퍼벤조에이트, 쿠멘히드로퍼옥시드, 디이소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n-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2-에톡시에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t-부틸 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 퍼옥시 피발레이트, (3, 5, 5-트리메틸헥사노일) 퍼옥시드, 디프로피오닐퍼옥시드, 디아세틸퍼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 공정에서, 2-메르캅토 에탄올 등의 연쇄 이동제를 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가 얻어지면,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의 용액에, 열가교제, 실란 커플링제 및 소망에 따라 첨가제 및 희석 용제를 첨가해,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용제로 희석된 점착제 조성물 A(도포 용액)를 얻는다.
또한 상기 각 성분 중의 어느 하나에 고체상의 것을 이용하는 경우, 혹은 희석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다른 성분과 혼합한 경우에 석출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그 성분을 단독으로 미리 희석 용매에 용해 혹은 희석하고 나서, 그 외의 성분과 혼합해도 좋다.
상기 희석 용제로는, 예를 들면,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염화메틸렌, 염화에틸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 등의 알코올,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2-펜타논, 이소포론,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 에틸 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계 용제 등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된 도포 용액의 농도·점도로는, 코팅할 수 있는 범위이면 좋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제 조성물 A의 농도가 10 ~ 60 질량%가 되도록 희석한다. 또한 도포 용액을 얻을 때, 희석 용제 등의 첨가는 필요 조건이 아니고, 점착제 조성물 A가 코팅할 수 있는 점도 등이면, 희석 용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점착제 조성물 A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의 중합 용매를 그대로 희석 용제로 하는 도포 용액이 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로서 바람직한 점착제는, 점착제 조성물 A를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점착제 조성물 A의 가교는, 가열 처리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가열 처리는, 소망한 대상물에 도포한 점착제 조성물 A의 도막으로부터 희석 용제 등을 휘발시킬 때의 건조 처리로 겸할 수도 있다.
가열 처리의 가열 온도는, 50 ~ 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 1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시간은, 10초 ~ 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50초 ~ 2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열 처리 후, 필요에 따라서, 상온(예를 들면, 23℃, 50%RH)에서 1 ~ 2주간 정도의 양생 기간을 설치해도 좋다. 이 양생 기간이 필요한 경우는, 양생 기간 경과 후, 양생 기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가열 처리 종료 후, 점착제가 형성된다.
상기의 가열 처리(및 양생)에 의해, 가교제를 개재하여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가 충분히 가교되어 가교 구조가 형성되어 점착제가 얻어진다. 이러한 점착제는, 온도 25℃에서의 tanδ가 전술한 범위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관한 점착 시트는,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 A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점착제층은, 점착제 조성물 A를 기재 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A로서 열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는, 형성된 점착제층에 가열 처리(및 양생)를 실시하는 것으로, 소망한 경화도를 가지는 경화물로 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처리 및 양생의 조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기재는 이형처리가 실시된 박리 필름이어도 좋다. 점착 시트는, 이형필름 상에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을 시트 상에 형성해 두고, 그 점착제층 상에 또 다른 박리 필름을 첩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 A의 도포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1점착제층(102)의 두께는, 예를 들면 3㎛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이어도 좋다.
[편광자층]
편광자층(103)으로는,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층 등을 들 수 있다. 이색성 색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요오드나 이색성의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 이색성 유기 염료에는, C.I.DIRECT RED 39 등의 디스아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이색성 직접 염료, 트리스아조, 테트라키스아조 등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이색성 직접 염료가 포함된다.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층으로는, 액정성을 가지는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이색성 색소와 중합성 액정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얻어지는 층 등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편광자층을 들 수 있다.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층은,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에 비해, 굴곡 방향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인 편광자층]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인 편광자층은, 통상,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1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편광자층(103)의 두께는, 예를 들면 2㎛ 이상 40㎛ 이하이다. 편광자층(103)의 두께는 5㎛ 이상이어도 좋고, 20㎛ 이하, 또한 15㎛ 이하, 또한 10㎛ 이하이어도 좋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하여 얻어진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가 이용된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 에테르류, 불포화 설폰산류, 암모늄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몰% 이상 100 몰% 이하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상이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이상 10,0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5,000 이하이다.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층인 편광자층은, 통상,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는 공정, 얻어진 적층 필름을 1축 연신하는 공정, 1축 연신된 적층 필름의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층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켜 편광자층으로 하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기재 필름을 편광자층으로부터 박리 제거해도 좋다. 기재 필름의 재료 및 두께는, 후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재료 및 두께와 마찬가지이어도 좋다.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인 편광자층은, 그 한 면 또는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첩합되어 있는 형태로 적층체에 포함되어도 좋다. 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편광자층(103) 용의 보호 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예를 들면,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 등)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일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박형화의 관점에서, 통상 3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고, 또한, 통상 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위상차를 가지고 있어도, 가지지 않아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예를 들면, 접착제층을 이용하여 편광자층(103)에 첩합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층]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층으로는, 액정성을 가지는 중합성의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이색성 색소와 중합성 액정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도포하고 경화시켜 얻어지는 층 등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편광자층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기재 필름을 편광자층으로부터 박리 제거해도 좋다. 기재 필름의 재료 및 두께는,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재료 및 두께와 마찬가지이어도 좋다. 편광자층은, 배향막을 구비해도 좋다. 배향막은, 박리되어도 좋다.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층은, 그 한 면 또는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첩합되어 있는 형태로 광학 적층체에 포함되어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는,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인 편광자층에 이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마찬가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예를 들면, 접착제층을 이용하여 편광자층에 첩합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층은, 그 한 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으로서 오버코트(OC) 층이 형성되어도 좋다. 광경화성 수지나 수용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광경화성 수지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메타)아크릴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면, 폴리(메타)아크릴아미드계 폴리머; 폴리비닐 알코올, 및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 또는 그 무수물-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비닐 알코올계 폴리머; 카르복시비닐계 폴리머; 폴리비닐 피롤리돈; 전분류; 알긴산나트륨; 폴리에틸렌 옥시드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OC층의 두께는,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 이하이어도 좋고, 또한, 0.05㎛ 이상이고, 0.5㎛ 이상이어도 좋다.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층의 두께는, 통상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8㎛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 5㎛ 이하이다.
[제2점착제층]
제2점착제층(104)은, 편광자층(103)과 배면판(105)의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제층이다. 제2점착제층은, 적층체를 구성하는 점착제층 중에서, 가장 배면판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점착제층일 수 있다. 제2점착제층(104)은, 1층이어도 좋고, 또는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1층이다.
제2점착제층(104)은, 기포 억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온도 25℃에서의 tanδ가 0.1 이상 0.6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0.5 이하이다.
제2점착제층(10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제 조성물 A로 형성할 수 있다. 제2점착제층 두께 등은, 상술의 제1점착제층(102)의 설명에서 나타낸 것과 같다.
제2점착제층(104)은,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 및 배합 성분, 두께, 온도 25℃에서의 tanδ등에서, 제1점착제층(102)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배면판]
배면판(105)으로는,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판상체나 통상의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구성요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배면판(105)의 두께는, 예를 들면 5㎛ 이상 2,000㎛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1,0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500㎛ 이하이다.
배면판(105)에 이용하는 판상체로는, 1층만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2층 이상으로 구성된 것이어도 좋고, 전면판(101)에서 기술한 판상체에 대해 예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배면판(105)에 이용하는 통상의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구성요소로는, 예를 들면 세퍼레이터, 터치 센서 패널, 유기 EL 표시 소자 등을 들 수 있다. 표시장치에서의 구성요소의 적층순서로는, 예를 들면 전면판/원편광판/세퍼레이터, 전면판/원편광판/유기 EL 표시 소자, 전면판/원편광판/터치 센서 패널/유기 EL 표시 소자, 전면판/터치 센서 패널/원편광판/유기 EL 표시 소자 등을 들 수 있다.
(터치 센서 패널)
터치 센서 패널로는, 터치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이면, 검출 방식은 한정되지 않고,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결합 방식, 광 센서 방식, 초음파 방식, 전자 유도 결합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등의 터치 센서 패널이 예시된다. 저비용인 점에서,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의 일례는, 서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기판, 이들 한 쌍의 기판의 사이에 협지된 절연성 스페이서, 각 기판의 내측의 전면에 저항막으로서 설치된 투명 도전막, 및 터치 위치 검지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을 설치한 화상 표시장치에서는, 전면판(101)의 표면이 터치되면, 대향하는 저항막이 단락되고, 저항막에 전류가 흐른다. 터치 위치 검지 회로가, 이 때의 전압의 변화를 검지해, 터치된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의 일례는, 기판, 기판의 전면에 설치된 위치 검출용 투명 전극, 및 터치 위치 검지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을 설치한 화상 표시장치에서는, 전면판(101)의 표면이 터치되면, 터치된 점에서 인체의 정전 용량을 통하여 투명 전극이 접지된다. 터치 위치 검지 회로가, 투명 전극의 접지를 검지해, 터치된 위치가 검출된다.
터치 센서 패널의 두께는, 예를 들면 5㎛ 이상 2,000㎛ 이하이어도 좋고, 5㎛ 이상 100㎛ 이하이어도 좋다.
[위상차층]
적층체(100)는, 1층 또는 2층 이상의 위상차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상차층은 통상, 편광자층(103)과 배면판(105)의 사이에 배치된다. 위상차층은, 제1점착제층(102), 제2점착제층(104), 또는 이들 층 이외의 점착제 혹은 접착제로 구성되는 층(이하, 첩합층이라고도 한다)을 개재하여 다른 층(다른 위상차층을 포함한다.) 상에 적층시킬 수 있다.
[첩합층]
첩합층은, 제1점착제층(102) 및 제2점착제층(104)의 사이에 배치되는 층이고,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구성되는 층이다. 첩합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제1점착제층(102)이나 제2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대해 예시한 것과 같은 점착제이어도 좋고, 다른 점착제,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점착제, 스티렌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에폭시계 공중합체 점착제 등이어도 좋다.
첩합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로는, 예를 들면,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점착제 등 중 1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 형성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수용액, 수계 2액형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하는 접착제이고, 예를 들면 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성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 광반응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 바인더 수지 및 광반응성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로는, 광경화성 에폭시계 모노머, 광경화성 아크릴계 모노머, 광경화성 우레탄계 모노머 등의 광중합성 모노머나, 이들 모노머로부터 유래하는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개시제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해 중성 라디칼, 음이온 라디칼, 양이온 라디칼의 활성종을 발생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첩합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1㎛ 이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 이상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1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5㎛ 이하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적층체(200)는, 전면판(101), 제1점착제층(102), 편광자층(103), 첩합층(108) 및 배면판(105)을 구비하고, 제1 위상차층(106), 첩합층(109), 제2 위상차층(107) 및 제2점착제층(104)을 더 구비한다.
위상차층의 예로는, λ/4판이나 λ/2판 등의 포지티브 A 플레이트, 및 포지티브 C 플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층은, 예를 들면 상술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형성할 수 있는 위상차 필름이어도 좋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층, 즉,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층이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후자이다.
위상차 필름의 두께는, 상술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와 같아도 좋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 이상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8㎛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 6㎛ 이하이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도포해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기재 필름과 도포층의 사이에 배향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기재 필름의 재료 및 두께는,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재료 및 두께와 마찬가지이어도 좋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층은, 배향층 및/또는 기재 필름을 가지는 형태로 적층체(100)에 포함되어도 좋다. 배면판(105)이, 상기 조성물이 도포되는 기재 필름이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첩합층(108 및 109)은, 점착제를 이용해도 좋고, 접착제를 이용해도 좋다. 이 점착제는 상술의 제1점착제층(102) 및 제2점착제층(104)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이어도 좋다.
접착제로는, 수계 접착제 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로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수계 2액형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란,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으로 경화하는 접착제를 말하고, 예를 들면, 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것, 광반응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 바인더 수지 및 광반응성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성 화합물로는, 광경화성 에폭시계 모노머, 광경화성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광경화성 우레탄계 모노머 등의 광중합성 모노머나, 광중합성 모노머로부터 유래하는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개시제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중성 라디칼, 음이온 라디칼, 양이온 라디칼과 같은 활성종을 발생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로서 광경화성 에폭시계 모노머 및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적층체의 제조 방법]
적층체(100)는, 점착제층, 혹은 또한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체(100)를 구성하는 층끼리 첩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점착제층이나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층끼리를 첩합하는 경우에는,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첩합면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대해서, 예를 들면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층(103)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 또는 기재 필름 상에 직접 형성할 수 있고, 이 열가소성 수지 필름 또는 기재 필름은 적층체(100)에 포함되어도 좋고, 혹은 편광자층(103)으로부터 박리되어 적층체의 구성요소로는 되지 않아도 좋다.
<표시장치>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100)를 포함한다. 표시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기 EL 표시장치, 무기 EL 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전계발광 표시장치 등의 화상 표시장치를 들 수 있다. 표시장치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광학 적층체는, 굴곡 또는 접어 구부림 등이 가능한 가요성을 가지는 표시장치에 적합하다.
표시장치에서, 광학 적층체는, 전면판을 외측(표시 소자측과는 반대측, 즉 시인측)을 향해서 표시장치가 가지는 표시 소자의 시인 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스마트 폰, 테블릿 등의 모바일기기, 텔레비전, 디지털 포토 프레임, 전자 간판, 측정기나 계기류, 사무용 기기, 의료기기, 전산기기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이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는, 온도 25℃에서의 tan δ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로부터 유래하는 구성 단위가 폴리머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5 질량% 미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상온 환경 하에서의 점착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적층체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적합하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종류나 분자량, 반응성 관능기의 종류나 그 함유량,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 점착제 조성물의 타입, 점착제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첨가제 등의 예시는, 상술의 점착제 조성물 A의 설명에서 예시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예를 들면 각 성분을 믹서 등을 이용하여 일괄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점착 시트>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는,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점착제층은,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로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는, 형성된 점착제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소망한 경화도를 가지는 경화물로 할 수 있다.
기재는 이형처리가 실시된 박리 필름이어도 좋다. 점착 시트는, 이형필름 상에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을 시트 상으로 형성해 두고, 그 점착제층 상에 또 다른 박리 필름을 첩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3㎛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 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20㎛ 이상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는, 상온 환경 하에서의 우수한 점착 내구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는, 온도 25℃에서의 tanδ가 0.1 이상 0.6 이하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를 적층체에 이용한 경우, 적층체는 점착제층의 기포가 억제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점착 시트는, 온도 25℃에서의 tanδ가, 기포 억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0.5 이하이다. 온도 25℃에서의 tanδ는, 후술의 실시예의 란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층의 두께]
접촉식 막 두께 측정 장치(주식회사 니콘제 「MS-5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다만, 편광자층 및 배향막에 대해서는, 레이저 현미경(Olympus 주식회사 제 「OLS30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온도 25℃에서의 tanδ]
온도 25℃에서의 tanδ는, 점탄성 측정 장치(MCR-301, Anton Paar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것과 같은 점착 시트를 폭 30 mm×길이 30 mm로 재단하였다.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 필름을 떼어내고, 점착제층 두께가 150㎛가 되도록 복수매 적층하여 유리판에 접합하였다. 점착제층과 측정 팁을 접착한 상태로 20℃에서 100℃의 온도 영역에서 주파수 1.0 Hz, 변형량 1%, 승온 속도 5℃/분의 조건 하에서 측정을 행해, 온도 25℃에서의 tanδ의 측정치를 확인하였다. 또한 tanδ와 저장 탄성률 G'및 손실 탄성률 G''는 이하의 관계를 가진다.
[수 1]
Figure pct00001
[굴곡성 (25℃)]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체에 대해서, 이하와 같이 굴곡성 시험을 행하였다. 도 3은, 본평가 시험의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적층체의 중세퍼레이터를 떼어내고, PET 필름(두께 100㎛)을 첩합하였다. 2개의 스테이지(501, 502)를 구비한 굴곡 장치(Science Town 사 제, STS-VRT-500)을 준비해, 스테이지(501, 502) 상에 적층체(100)를 배치했다(도 3a). 2개의 스테이지(501, 502)의 사이의 거리(갭) C는 6 mm(3R)로 설정하였다. 이 스테이지(501, 502)는, 2개의 스테이지의 사이(갭) C를 중심으로 요동할 수 있고, 초기는 2개의 스테이지(501, 502)는 동일 평면을 구성한다. 2개의 스테이지(501, 502)를 위치 P1 및 위치 P2를 회전축의 중심으로서 상방으로 90도 회전시켜 2개의 스테이지(501, 502)를 닫고(도 3b), 다시 스테이지(501, 502)를 여는 동작을 1회의 굴곡이라고 정의한다. 이 동작을 반복해, 적층체(100)에 최초로 크랙이 생길 때까지의 굴곡 횟수를 세었다. 평가의 기준은 이하와 같다.
◎(매우 좋다):20만회 이상,
○(좋다):10만회 이상 20만회 미만,
△(사용 가능):5만회 이상 10만회 미만,
×(약간 뒤떨어진다):1만회 이상 5만회 미만,
××(뒤떨어진다):1만회 미만
[상온 점착 내구성 (25℃)]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체를 폭 100 mm×길이 100 mm로 커팅하였다. 중세퍼레이터를 떼어내고, 무알칼리 유리에 첩합하였다. 오토클레이브(50℃, 5 기압) 중에서 약 20 분 압착처리하고, 항온항습조건(23℃, 50%RH)에서 4시간 유지하였다. 25℃의 오븐에 샘플을 넣고, 250시간 후, 들뜸, 박리, 기포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들뜸, 박리, 발포 등의 외관 변화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들뜸, 박리, 발포 등의 외관 변화가 약간 눈에 띈다.
×:들뜸, 박리, 발포 등의 외관 변화가 현저하게 인정된다.
[중량 평균 분자량(Mw)]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폴리스티렌 환산의 수평균 분자량(Mn)으로서 이동상으로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이용하여 하기의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EC)에 의해 구하였다. 측정하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약 0.05 질량%의 농도로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켜, SEC에 10μL 주입하였다. 이동상은, 1.0mL/분의 유량으로 흘렸다. 컬럼으로서 PLgel MIXED-B(polymer laboratories ltd. 제)를 이용하였다. 검출기에는 UV-VIS 검출기 (상품명:Agilent GPC)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1>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1의 조제]
아크릴산 n-부틸 54 질량부, 아크릴산 2-에틸헥실 45 질량부 및 아크릴산 4-히드록시 부틸 1 질량부를 공중합시켜서,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1를 조제하였다. 이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1의 분자량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했는데,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20만이었다.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1를 100 질량부(고형분 환산치; 이하 같다), 열가교제로서 트리메티롤프로판 변성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Soken Chemical & Engineering Co., Ltd. 제, 제품명 「TD-75」) 0.15 질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로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Shin-Etsu Chemical Co., Ltd. 제, 제품명 「KBM403」) 0.2 질량부를 혼합하고, 충분히 교반하고, 메틸 에틸 케톤으로 희석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용액을 얻었다.
[점착 시트의 제조]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용액을, 경세퍼레이터(LINTEC Corporation 제, 제품명 「SP-PET752150」)의 박리 처리면에, 나이프 코터로 도포하였다. 그리고, 도포층에 대하여, 90℃에서 1분간 가열 처리해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에서 얻어진 경세퍼레이터 상의 도포층과 중세퍼레이터(LINTEC Corporation 제, 제품명 「SP-PET382120」)를, 상기 세퍼레이터의 박리 처리면이 도포층에 접촉하도록 첩합하고, 23℃, 50%RH의 조건 하에서 7일간 양생함으로써, 두께 25㎛의 점착제층을 가지는 점착 시트, 즉, 경세퍼레이터/점착제층(두께:25㎛)/중세퍼레이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제층 두께는, 상술의 방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1를 100 질량부(고형분 환산치)로 한 경우의 점착제 조성물의 각 배합(고형분 환산치)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기재된 약호 등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BA:아크릴산 n-부틸
2EHA:아크릴산 2-에틸헥실
4HBA:아크릴산 4-히드록시 부틸
<실시예 2>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1를 구성하는 각 모노머의 비율,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1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가교제의 배합량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하는 이외,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2 및 그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및 2>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1를 구성하는 각 모노머의 비율,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A1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가교제의 배합량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하는 이외,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B1, B2 및 이들의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3>
[(메타)아크릴계 폴리머(A3)의 조제]
질소 가스가 환류해 온도 조절이 용이하게 되도록, 냉각 장치를 설치한 1 L의 반응기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모노머 89.9 질량%, 부틸 아크릴레이트(BA) 모노머 10 질량%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을 투입한 후,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질소 가스를 1시간 환류한 후, 80℃로 유지하였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광중합개시제 벤질 디메틸 케탈(I-651) 0.05 질량%와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 케톤(I-184) 0.05 질량%를 투입하였다. 그 다음에 교반하면서, UV 램프(10 mW)를 조사해 중량 평균 분자량(Mw) 33만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머(A3)를 제조하였다. 표 2에 각 성분의 비율을 집약해 나타낸다.
[점착 시트의 제조]
표 3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제조한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이형제가 코팅된 경세퍼레이터(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두께 38㎛) 상에 두께가 25㎛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그 상에 중세퍼레이터(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두께 38㎛)를 접합하고, UV 조사를 행해, 경세퍼레이터/점착제층/중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표 3에 기재된 약호 등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EOEOEA:에톡시 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NP(EO) 8A:노닐 페놀 EO 변성 아크릴레이트
<실시예 4>
[(메타)아크릴계 폴리머(A4)의 조제]
질소 가스가 환류해 온도 조절이 용이하게 되도록, 냉각 장치를 설치한 1 L의 반응기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모노머 89.9 질량%, 부틸 아크릴레이트(BA) 모노머 4 질량%, 라우릴 아크릴레이트(LA) 모노머 6 질량%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을 투입한 후,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질소 가스를 1시간 환류한 후, 80℃로 유지하였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광중합개시제 벤질 디메틸 케탈(I-651) 0.05 질량%와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 케톤(I-184) 0.05 질량%를 투입하였다. 그 다음에 교반하면서, UV 램프(10 mW)를 조사해 중량 평균 분자량(Mw) 40만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머(A5)를 제조하였다.
[점착 시트의 제조]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표 3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제조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메타)아크릴계 폴리머(A5)의 조제]
질소 가스가 환류해 온도 조절이 용이하게 되도록, 냉각 장치를 설치한 1 L의 반응기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모노머 89.9 질량%, 라우릴 아크릴레이트(LA) 모노머 6 질량%,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IDA) 모노머 4 질량%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을 투입한 후,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질소 가스를 1시간 환류한 후, 80℃로 유지하였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광중합개시제 벤질 디메틸 케탈(I-651) 0.05 질량%와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 케톤(I-184) 0.05 질량%를 투입하였다. 그 다음에 교반하면서, UV 램프(10 mW)를 조사해 중량 평균 분자량(Mw) 40만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머(A5)를 제조하였다.
[점착 시트의 제조]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표 3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제조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2에서 제조한 점착 시트에 대해 온도 25℃에서의 tanδ의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전면판(윈도우 필름)]
전면판으로서 한 면에 하드 코트층(두께 10㎛)을 가지는 폴리이미드 필름(두께 50㎛)을 준비하였다.
[편광자층]
1.이하의 재료를 준비하였다.
1) 두께 25㎛의 TAC 필름.
2)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폴리머 1]
이하의 구조 단위로 이루어지는 광반응성기를 가지는 폴리머 1을 준비하였다.
[화 1]
Figure pct00005
폴리머 1을 농도 5 질량%로 시클로펜타논에 용해한 용액을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이하, 조성물(D-1)이라고도 한다]으로서 이용하였다.
3) 편광자층 형성용 조성물
[중합성 액정 화합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식(1-1)로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하, 화합물(1-1)이라고도 한다]과 식(1-2)으로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하, 화합물(1-2)이라고도 한다]을 이용하였다.
[화 2]
Figure pct00006
[화 3]
Figure pct00007
화합물(1-1) 및 화합물(1-2)은, Lub et al.Recl.Trav.Chim.Pays-Bas, 115, 321-328(1996) 기재의 방법에 따라 합성하였다.
[이색성 색소]
이색성 색소에는, 하기 식(2-1a), (2-1b), (2-3a)으로 나타나는 일본 특허공개 2013-101328호 공보의 실시예에 기재된 아조 색소를 이용하였다.
[화 4]
Figure pct00008
[화 5]
Figure pct00009
[화 6]
Figure pct00010
편광자층 형성용 조성물[이하, 조성물(A-1)이라고도 한다]은, 화합물(1-1) 75 중량부, 화합물(1-2) 25 중량부, 이색성 염료로서 상기 식(2-1a), (2-1b), (2-3a)으로 나타나는 아조 색소 각 2.5 중량부, 중합개시제로서 2-디메틸 아미노-2-벤질-1-(4-몰포리노페닐) 부탄-1-온(Irgacure369, BASF 재팬 사 제) 6 중량부, 및 레벨링제로서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BYK-361 N, BYK-Chemie 사 제) 1.2 중량부를, 용제의 톨루엔 400 중량부에 혼합해, 얻어진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조제하였다.
4) 보호층(OC층) 형성용 조성물
보호층(OC층) 형성용 조성물[이하, 조성물(E-1)이라고도 한다]은, 물:100 질량부,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분말(Kuraray Co., Ltd.제, 평균 중합도 18000, 상품명:KL-318):3 중량부, 폴리아미드 에폭시 수지(가교제, Sumika Chemtex co., Ltd. 제, 상품명:SR650(30)):1.5 중량부를 혼합함으로써 조제하였다.
2.제작 방법
1) 이하와 같이 하여 TAC 필름 측에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였다.
우선 TAC 필름 측에 코로나 처리를 1회 실시했다. 코로나 처리의 조건은, 출력 0.3 kW, 처리 속도 3 m/분으로 하였다. 그 후, 상기 TAC 상에, 상술한 바와 같이 얻어진 조성물(D-1)을 바 코트법에 따라 도포하고, 80℃의 건조 오븐 중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하였다. 얻어진 건조 피막에 편광 UV 조사 처리를 실시해 제1 배향막(AL1)을 형성하였다. 편광 UV처리는, UV 조사 장치(SPOT CURE SP-7; USHIO INC. 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와이어 그리드(UIS-27132##, USHIO INC. 제)를 투과시켜, 파장 365 nm에서 측정한 적산 광량이 100 mJ/㎠인 조건에서 행했다. 제1 배향막(AL1)의 두께는 100 nm이었다.
2) 이하와 같이 하여 배향막측에 편광자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였다.
우선 형성한 제1 배향막(AL1) 상에, 조성물(A-1)을 바 코트법에 따라 도포하고, 120℃의 건조 오븐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상기 UV 조사 장치를 이용하고, 적산 광량 1200 mJ/㎠(365 nm 기준)으로 자외선을, 건조 피막에 조사함으로써, 편광자층(pol)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편광자층(pol)의 두께를 레이저 현미경(Olympus 주식회사 제 OLS3000)에 의해 측정했는데, 1.8㎛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TAC/AL1/pol」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3) 이하와 같이 하여 편광자층 측에 보호층(OC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였다.
형성한 편광자층(pol) 층 상에, 조성물(E-1)을 바 코트법에 따라 도포하고,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도공하고, 온도 80℃에서 3분간 건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TAC 필름/cPL(AL1+pol+보호층)」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위상차층]
1.재료 준비
이하의 재료를 준비하였다.
1) 두께 100㎛의 PET 필름.
2)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폴리머 1]
이하의 구조 단위로 이루어지는 광반응성기를 가지는 폴리머 1을 준비하였다.
[화 7]
Figure pct00011
폴리머 1을 농도 5 중량%로, 시클로펜타논에 용해한 용액을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이하, 조성물(D-1)이라고도 한다]로서 이용하였다.
3)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
하기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혼합해, 얻어진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조성물(B-1)을 얻었다.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b-1:80 질량부
[화 8]
Figure pct00012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b-2:20 질량부
[화 9]
Figure pct00013
중합개시제(Irgacure369, 2-디메틸 아미노-2-벤질-1-(4-몰포리노페닐) 부탄-1-온, BASF 재팬 사 제):6 질량부
레벨링제(BYK-361N,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BYK-Chemie 사 제):0.1 질량부
용제(시클로펜타논):400 질량부
2.제작 방법
1) 이하와 같이 하여 PET 필름에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였다.
기재로서 두께 100㎛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을 준비하고, 상기 필름 상에 조성물(D-1)을 바 코트법에 따라 도포하고, 80℃의 건조 오븐 중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하였다. 얻어진 건조 피막에 편광 UV 조사 처리를 실시해 제2 배향막(AL2)을 형성하였다. 편광 UV처리는, 상기 UV 조사 장치를 이용하고, 파장 365 nm에서 측정한 적산 광량이 100 mJ/㎠인 조건에서 행했다. 또한, 편광 UV의 편광 방향은 편광자층의 흡수 축에 대하여 45°가 되도록 행했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PET)/제2 배향막(AL2)」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2) 이하와 같이 하여 PET 필름의 배향막측에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제1기재의 제3 배향막(AL2) 상에, 조성물(B-1)을 바 코트법에 따라 도포하고, 120℃의 건조 오븐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얻어진 건조 피막에, 상기 UV 조사 장치를 이용하고, 적산 광량 1000 mJ/㎠(365 nm 기준)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위상차층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위상차층의 두께를 레이저 현미경(Olympus 주식회사 제 OLS3000)에 의해 측정했는데, 2.0㎛이었다. 위상차층은, 면내방향으로 λ/4의 위상차값을 나타내는 λ/4판(QWP)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PET)/AL2/QWP」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공통 점착 시트]
1) 아크릴 수지의 중합
하기 성분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55℃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아크릴 수지를 얻었다.
아크릴산 부틸:70 질량부
아크릴산 메틸:20 질량부
아크릴산:2.0 질량부
라디칼 중합개시제(2, 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0.2 질량부
2) 점착제 조성물 조액
하기 성분을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아크릴 수지:100 질량부
가교제(TOSOH CORPORATION 제 「Coronate L」):1.0 질량부
실란 커플링제(shin-etsu silicone 주식회사 제 「X-12-981」):0.5 질량부
전체 고형분 농도가 10 질량%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3) 점착 시트의 제조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처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중세퍼레이터, 두께 38㎛)의 이형처리면에,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도포층을 100℃에서 1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필름을 얻었다. 그 후, 점착제층의 노출 면 상에, 이형처리된 다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경세퍼레이터, 두께 38㎛)을 첩합하였다. 그 후, 온도 23℃, 상대습도 50%RH의 조건에서 7일간 양생시켜, 경세퍼레이터/공통 점착제층/중세퍼레이터를 얻었다.
<실시예 6>
이하의 순서로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우선, 상술의 편광자층을 포함하는 적층체(410)[TAC 필름(301)/cPL((AL1+pol)(302)/OC층(303))]과 상술의 공통 점착 시트(420)(경세퍼레이터(304)/공통 점착제층(305)/중세퍼레이터(306))를 준비하였다(도 4a). 편광자층을 포함하는 적층체(410)의 OC층(303) 측과 공통 점착 시트(420)의 경세퍼레이터(304)를 박리한 면에 코로나 처리(출력 0.3 KW, 속도 3 m/분)을 실시한 후, 첩합하여, 적층체 a(430)를 얻었다. 상술의 위상차층(440)[기재(PET)(308)/AL2/QWP(307)]를 준비하였다. (도 4b).
다음에 위상차층(440)의 QWP(307)측과 적층체 a의 중세퍼레이터(306)를 박리한 면에 코로나 처리(출력 0.3 KW, 속도 3 m/분)을 실시한 후, 첩합하여, 적층체 b(450)를 얻었다. 그 후,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점착 시트(460)(경세퍼레이터(309)/점착제층(310)/중세퍼레이터(311))를 준비하였다(도 4c).
적층체 b(450)의 기재(PET)(308)을 박리한 면과 점착 시트(460)의 경세퍼레이터(309)를 박리한 면에 코로나 처리(출력 0.3 KW, 속도 3 m/분)을 실시한 후, 첩합하고, 적층체 c(470)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점착 시트(490)(경세퍼레이터(314)/점착제층(315)/중세퍼레이터(316))를 준비하고, 경세퍼레이터(314)를 박리한 면과 상술의 전면판(480)(폴리이미드 필름(313)/하드 코트층(312))의 폴리이미드 필름(313) 측에 코로나 처리(출력 0.3 KW, 속도 3 m/분)을 실시한 후, 첩합하여 적층체 d(500)를 얻었다(도 4d).
적층체 d(500)의 중 세퍼레이터(316)을 박리한 면과 적층체 c(470)의 TAC(301) 측에 코로나 처리(출력 0.3 KW, 속도 3 m/분)을 실시한 후, 첩합하여, 실시예 6의 적층체(300)을 얻었다(도 4e).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7~10 및 비교예 3~4>
실시예 6에서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점착 시트를 이용했던 것 대신에 표 4에 나타내는 점착 시트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4
100, 200, 300 적층체,
101 전면판,
102 제1점착제층,
103 편광자층,
104 제2점착제층,
105 배면판,
106 제1 위상차층,
107 제2 위상차층,
108, 109 첩합층,
301 TAC 필름,
302 pol,
303 OC층,
305 공통 점착제층,
306, 311, 316 중 세퍼레이터,
307 QWP,
308 기재,
304, 309, 314 경 세퍼레이터,
310, 315 점착제층,
312 하드 코트층,
313 폴리이미드 필름,
410 편광자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420 공통 점착 시트,
430 적층체 a,
440 위상차층,
450 적층체 b,
460, 490 점착 시트,
470 적층체 c,
500 적층체 d,
501, 502 스테이지.

Claims (7)

  1. 전면판, 제1점착제층, 편광자층, 제2점착제층, 및 배면판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상기 제1점착제층 및 상기 제2점착제층은 모두, 온도 25℃에서의 tanδ가 0.1 이상 0.6 이하인,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제층 및 상기 제2점착제층은 모두,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는,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로부터 유래하는 구성 단위가 폴리머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5 질량% 미만인, 적층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알콕시기를 가지는 단관능성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20만 이상 150만 이하인, 적층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하드 코트층이 설치된 필름인, 적층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은, 터치 센서 패널인, 적층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207037363A 2019-02-27 2020-02-07 적층체,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KR102326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34136A JP6792657B2 (ja) 2019-02-27 2019-02-27 積層体、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JP-P-2019-034136 2019-02-27
PCT/JP2020/004751 WO2020175088A1 (ja) 2019-02-27 2020-02-07 積層体、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456A true KR20210011456A (ko) 2021-02-01
KR102326138B1 KR102326138B1 (ko) 2021-11-15

Family

ID=7223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363A KR102326138B1 (ko) 2019-02-27 2020-02-07 적층체,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92657B2 (ko)
KR (1) KR102326138B1 (ko)
CN (1) CN113474164A (ko)
TW (1) TW202035127A (ko)
WO (1) WO20201750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2066B2 (ja) * 2021-02-15 2023-08-23 Dic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製造装置、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二液硬化型接着剤、積層フィルム
JP2022186285A (ja) * 2021-06-04 2022-12-15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及び表示装置
JP2022186286A (ja) * 2021-06-04 2022-12-15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及び表示装置
JP2023073162A (ja) * 2021-11-15 2023-05-2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画像表示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3073163A (ja) * 2021-11-15 2023-05-25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シング機能を内蔵する画像表示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CN114474904B (zh) * 2022-02-11 2024-03-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缓冲复合膜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TW202348419A (zh) * 2022-03-16 2023-12-16 日商三菱化學股份有限公司 黏著片材、可撓性圖像顯示構件及可撓性圖像顯示裝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1924A (ko) * 2011-05-31 2014-03-13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복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40085299A (ko) 2012-12-27 2014-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50119968A (ko) 2011-02-18 2015-10-2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 사용 방법 및 이로부터의 물품
KR20160131875A (ko) * 2015-05-07 2016-11-16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WO2017142078A1 (ja) * 2016-02-18 2017-08-24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
KR20180013768A (ko) * 2016-07-29 2018-02-0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적층체
KR20180027995A (ko) 2016-09-07 2018-03-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의 미래 예측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1383A1 (ja) * 2014-03-18 2015-09-24 綜研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剤層付き偏光板
JP6564695B2 (ja) * 2015-11-27 2019-08-21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 LTD. 粘着剤組成物、その製造方法、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271828B1 (ja) * 2016-04-26 2018-01-31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積層体及びそれを備えた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
JP6932420B2 (ja) * 2016-08-15 2021-09-08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粘着剤組成物、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粘着剤層、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JP2018168305A (ja) * 2017-03-30 2018-11-0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積層体、及びデバイス
CN109207103B (zh) * 2017-07-04 2021-11-26 三星Sdi株式会社 用于偏光板的粘合膜和粘合剂组合物、包含粘合膜的偏光板以及包含偏光板的光学显示器
JPWO2019026760A1 (ja) * 2017-07-31 2020-05-28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9968A (ko) 2011-02-18 2015-10-2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 사용 방법 및 이로부터의 물품
KR20140031924A (ko) * 2011-05-31 2014-03-13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복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40085299A (ko) 2012-12-27 2014-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60131875A (ko) * 2015-05-07 2016-11-16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WO2017142078A1 (ja) * 2016-02-18 2017-08-24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
KR20180013768A (ko) * 2016-07-29 2018-02-0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적층체
KR20180027995A (ko) 2016-09-07 2018-03-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의 미래 예측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38375A (ja) 2020-09-03
TW202035127A (zh) 2020-10-01
WO2020175088A1 (ja) 2020-09-03
KR102326138B1 (ko) 2021-11-15
JP6792657B2 (ja) 2020-11-25
CN113474164A (zh)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6138B1 (ko) 적층체,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JP6911166B2 (ja) 積層体
JP2021184091A (ja) 積層体及び表示装置
KR20210130165A (ko) 플렉서블 적층체
CN113474701B (zh) 柔性层叠体
CN113474702B (zh) 柔性层叠体
KR20210130739A (ko) 플렉서블 적층체
JP2021179615A (ja) 積層体及び表示装置
CN113474693B (zh) 层叠体
KR20210130166A (ko) 적층체
CN113490869B (zh) 层叠体
KR102272574B1 (ko) 적층체,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KR20200115209A (ko) 적층체
KR20210141521A (ko) 적층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40455A (ko) 적층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