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970A - 분립물의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분립물의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970A
KR20140027970A KR1020137028899A KR20137028899A KR20140027970A KR 20140027970 A KR20140027970 A KR 20140027970A KR 1020137028899 A KR1020137028899 A KR 1020137028899A KR 20137028899 A KR20137028899 A KR 20137028899A KR 20140027970 A KR20140027970 A KR 20140027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petroleum resin
hydrogenated petroleum
chute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937B1 (ko
Inventor
모리오 이와타
하지메 다카스기
가즈노리 사에키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7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08Chutes with discontinuous guiding surfaces, e.g. arranged in zigzag or cascade formation
    • B65G11/085Chutes with discontinuous guiding surfaces, e.g. arranged in zigzag or cascade formation with zig-zag formations
    • B65G11/088Chutes with discontinuous guiding surfaces, e.g. arranged in zigzag or cascade formation with zig-zag formation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부로부터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공급하는 슈트의 하측에, 벨트 컨베이어 (62B)와, 회수 호퍼부 (62C)와, 스크류 컨베이어 (62D)를 차례로 배치한다. 벨트 컨베이어 (62B)에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공급했을 때, 흘러 떨어지거나 비산되거나 하더라도, 하측에 배치하는 회수 호퍼부 (62C)에서 회수하여 스크류 컨베이어 (62D)로 확실하게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립물의 반송 장치{CONVEYANCE DEVICE FOR GRANULAR MATERIALS}
본 발명은 분립물을 반송하는 분립물의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이 기저귀의 제조나 제본, 각종 포장 등에 핫 멜트 접착제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핫 멜트 접착제로서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이하, SBS라 칭함), 스티렌 이소프렌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tyrene-Isoprene-Styrene block copolymer: 이하, SIS라 칭함),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block copolymer: 이하, EVA라 칭함), 비정질성 폴리알파올레핀(Amorphous PolyAlpha-Olefin: 이하, APAO라 칭함) 등을 들 수 있고, 핫 멜트 접착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베이스 중합체에, 점착성 부여제로서의 수소 첨가 석유 수지가 배합되어 있다.
수소 첨가 석유 수지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디시클로펜타디엔에 스티렌 단량체를 중합시켜 얻어진 중합물을 수소화하는 수소 첨가 처리에 의해 생성된다. 취급 측면에서, 반구상 펠릿으로 제조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의 조립(造粒)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용융된 수소 첨가 석유 수지를 금속제의 냉각 벨트 컨베이어 위에 적하함으로써 조립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리고, 냉각된 수지 펠릿은 박편상의 스크레이퍼(scraper) 부재에 의해 냉각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박리되어, 벨트 컨베이어나 슈트 등을 통해 호퍼까지 반송되고, 호퍼에 투입되어 저장된다.
국제 공개 제2004/056882호
조립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은 비교적 경질이고 취약하다. 이러한 점에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이 조립 장치로부터 슈트를 통해 벨트 컨베이어에 투하될 때, 투하시의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어 파쇄물이나 분체가 발생한다. 이들 파쇄물이나 분체는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과 함께 슈트로부터 벨트 컨베이어에 투하되지만, 특히 분체는 투하시에 주위에 비산되어, 벨트 컨베이어의 구성 부품이나 주위에 부착되거나 퇴적되거나 한다. 이 때문에, 부착물이나 퇴적물에 의한 벨트 컨베어의 반송 장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부착물이나 퇴적물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착물이나 퇴적물은 용이하게 비산되기 때문에, 제거 작업의 환경은 나쁘며 작업도 매우 번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수 관리가 용이하고 장기간 안정적으로 분립물을 반송할 수 있는 분립물의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분립물의 반송 장치는 분립물을 공급하는 슈트의 하측에, 벨트 컨베이어 또는 버킷 컨베이어인 제1 컨베이어와, 호퍼와, 제2 컨베이어가 차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슈트로부터 공급된 분립물은 하측에 위치하는 벨트 컨베이어 또는 버킷 컨베이어의 제1 컨베이어에 투하되어 반송된다. 상기 분립물이 제1 컨베이어 위에 투하되었을 때에 흘러 떨어지거나, 일단 비산된 분립체는 더 하측에 위치하는 호퍼에 회수되고, 호퍼의 저부로부터 더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컨베이어로 반송된다. 이에 따라, 슈트로부터 흘러 떨어지거나 비산된 분립물이 퇴적됨으로써 제1 컨베이어의 구동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안정적으로 분립물을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컨베이어의 상측을 덮는 돔 형상을 갖는 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는, 돔 형상을 갖는 부재에 의해 제1 컨베이어 위에 공급된 분립물이 튀거나, 비산되어 주위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반송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컨베이어는 스크류 컨베이어(screw conveyor)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호퍼에 회수된 분립물은, 스크류 컨베이어의 제2 컨베이어에 의해 확실하게 흘러 떨어지지 않고 반출된다. 이 때문에, 제1 컨베이어로부터 흘러 떨어지거나 비산된 후에 퇴적되거나 한 분립물을 배제하는 작업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어, 보수관리가 매우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호퍼는 적어도 상기 슈트로부터 상기 제1 컨베이어로의 입상물의 공급 위치의 하측에 설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는 제1 컨베이어에 공급된 분립물이 튀거나 비산되거나 한 위치의 하측에 호퍼를 설치하여 튀거나 비산된 분립물을 회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필요 최소한의 구성으로 효율적으로 제1 컨베이어로부터 흘러 떨어지는 분립물을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컨베이어에 있어서의 상기 슈트로부터 분립물이 공급되는 위치의 근방에 설치된 흡기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는 분립물이 제1 컨베이어에 투하되었을 때에 비산되더라도 흡기 수단에 의해 흡기되기 때문에, 제1 컨베이어에 분체가 부착됨에 따른 반송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립물이 폭발성 분진이라도 분체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호퍼는 내면의 경사가 상기 분립물의 안식각보다 큰 각도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는 호퍼의 내면에 분립체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다른 제품의 분립물이 슈트로부터 공급되었을 때에 흘러 떨어져 섞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슈트, 상기 제1 컨베이어, 상기 호퍼 및 상기 제2 컨베이어는 접지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는 정전기 방전에 의한 분진 폭발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립물은 조립된 수소 첨가 석유 수지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는, 분립물로서, 조립시 또는 조립 후에 슈트를 흐를 때의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어 분립물이 발생하기 쉬운 입상물인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포함하는 조립 후의 수소 첨가 석유 수지라 하더라도, 제1 컨베이어의 주위에 분립물이 퇴적되거나 하여 제1 컨베이어의 구동을 저해하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아, 장기간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입상물의 반송 장치에 관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의 제조 플랜트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선도이다.
[도 2] 상기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의 제조 플랜트에 있어서의 조립부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3] 상기 조립부에서의 조립 상황을 설명하는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상기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의 제조 플랜트에 있어서의 반송부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5] 상기 반송부에서의 반송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조립물의 반송 장치로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의 반송 장치에 관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분립물로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예시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분립물에도 적용할 수 있고, 특히 충격에 의해 파손되기 쉬운 입상물, 또는 상기 입상물과 함께 분체도 포함하는 형태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우선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의 반송 장치를 구비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제조하는 제조 플랜트의 구성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의 제조 플랜트의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의 제조 플랜트 (1)은, 수소 첨가 석유 수지 원료로부터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제조하는 플랜트이다.
상기 제조 플랜트 (1)은 중합 반응부 (2)와, 수소화 반응부 (3)과, 수소화 용매 회수부 (4)와, 조립부 (5)와, 반송부 (6)과, 저장부 (7)과,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중합 반응)
중합 반응부 (2)는, 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과 비닐 방향족계 화합물을 열 중합시켜 공중합물을 얻는 중합 반응을 실시한다.
상기 중합 반응부 (2)는, 용매를 이용하여 수소 첨가 석유 수지 원료인 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과 비닐 방향족계 화합물의 열 중합 반응을 실시하는 중합 반응조 등을 구비하고 있다.
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로는 시클로펜타디엔, 메틸시클로펜타디엔, 에틸시클로펜타디엔 이외에도, 이들의 이량체나 공이량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비닐 방향족계 화합물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용매로는 방향족계 용매, 나프텐계 용매,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디메틸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용매는 중합 반응조로부터 적절하게 회수되어 재이용된다.
회수된 용매 중에는, 통상 분자량 200 내지 350 정도의 저분자량체가 포함된다.
물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열 중합용 용매로서 재사용되는 경우의 용매의 저분자량체의 농도는 적어도 4 질량% 이하로 한다. 회수 용매 중 저분자량체의 함유량에 따라서는, 저분자량체를 별도로 분리 제거하거나 또는 새 용매로 희석하여 4 질량% 이하의 저분자량체 농도로 하고, 중합 반응 개시시의 중합용 용매로서 사용한다.
중합 반응조는 가압 및 가열하에서 중합을 실시하는 반응기로, 도시하지 않은 교반 장치와 가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중합 반응조에는 제1 원료 탱크, 제2 원료 탱크 및 용매 회수부의 용매 탱크가 접속되어, 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 비닐 방향족계 화합물 및 용매가 적절하게 유입된다. 또한, 중합 반응조의 저부는 얻어진 공중합물을 유출시켜 다음 수소 첨가 반응에 제공한다.
여기서 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과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혼합 비율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은 질량비로 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비닐 방향족 화합물=70:30 내지 20:80의 비율이다.
또한, 중합 용매의 사용량은 단량체 혼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500 질량부의 비율이다.
그리고, 중합 반응조에서는 열 중합의 개시시, 용매의 온도를 100℃,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으로 가열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반응조에서는, 가열된 용매 중에 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과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이 분할 첨가 되면서 공중합을 행한다.
분할 첨가 시간은 통상 0.5 내지 5시간이고, 등분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중합 반응은 시클로펜타디엔계 화합물과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모두 분할 첨가한 후에도 계속해서 반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의 반응 조건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은 반응 온도 150℃ 이상 350℃ 이하, 반응 압력은 0 MPa 이상 2 MPa 이하, 반응 시간은 1시간 이상 10시간 이하이다.
그리고, 중합 반응조는 이들 열 중합의 조건에 따라 연화점이 60℃ 이상 130℃ 이하, 비닐 방향족계 화합물의 함유량이 30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 브롬가가 30 g/100 g 이상 90 g/100 g 이하, 수 평균 분자량이 400 이상 1000 이하인 공중합물을 얻는다.
(수소화 반응)
수소화 반응부 (3)은, 중합 반응부 (2)에서 열 중합에 의해 생성된 공중합물에 수소를 첨가하여 수소화 반응물을 얻는 수소화 반응을 실시한다.
상기 수소화 반응부 (3)은, 중합 반응부 (2)에서 열 중합에 의해 생성된 공중합물에 수소화 용매의 존재하에서 수소를 첨가하여 수소화 반응을 실시하는 복수개의 수소화 반응탑 등을 구비하고 있다.
수소화 용매로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디메틸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이 이용된다.
수소화 반응탑은 수소화 반응 촉매가 각각 충전된 탑이며, 다단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수소화 반응 촉매로는 니켈, 팔라듐, 코발트, 백금, 로듐계 촉매 등이 이용된다. 그리고, 수소화 반응탑은 수소화 반응 촉매의 존재하에서, 수소와 공중합물을 120 내지 300℃의 온도, 1 내지 6 MPa의 반응 압력, 1 내지 7시간의 반응 시간으로 수소화 반응시킨다.
상기 수소화 반응의 조건에 따라 연화점이 70℃ 이상 140℃ 이하, 비닐 방향족계 화합물의 함유량이 0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 브롬가가 0 g/100 g 이상 30 g/100 g 이하, 수 평균 분자량이 400 이상 1000 이하인 수소화 반응물을 얻는다.
수소화 반응부 (3)에서는, 수소화 반응탑에 의한 수소화 반응 후, 미반응된 수소를 포함하는 기상분을 분리하여 적절하게 회수하고 계외에서 처리한다.
(수소화 용매 제거)
수소화 용매 회수부 (4)는, 수소화 반응물로부터 수소화 용매를 분리 제거한다. 상기 수소화 용매 회수부 (4)는, 제1 증발기인 용매 증발조 (41)과, 제2 증발기인 박막 증발기 (4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용매 증발조 (41)은 수소화 반응부 (3)에 접속되고, 수소화 반응부 (3)에서 얻어진 수소화 반응물로부터 수소화 용매를 증발시켜 분리 회수한다. 증발시킨 수소화 용매는 별도로 회수되어, 수소화 반응부 (3)에 있어서의 수소화 반응에서 이용하는 수소화 용매로서 재이용된다.
박막 증발기 (42)는 용매 증발조 (41)에 접속되고, 수소화 반응물에 잔류하는 수소화 용매를 증발시켜 분리 회수한다. 증발시킨 수소화 용매 및 저분자량체는 별도로 회수되고, 제조하는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의 물성값에 대응하여, 수소화 반응부 (3)에 있어서의 수소화 반응에서 이용하는 수소화 용매로서 적절하게재이용된다.
수소화 용매 회수부 (4)의 용매 증발조 (41)과 박막 증발기 (42) 사이에는, 산화 방지제를 첨가하는 첨가부가 설치되어 있다.
산화 방지제의 첨가부는, 용매 증발조 (41)에서 대부분의 수소화 용매가 제거된 수소화 반응물에 산화 방지제를 첨가한다.
산화 방지제를 용해시키는 용매로는, 후단의 박막 증발기 (42)에 의한 증발 처리에서, 산화 방지제를 용해시킨 용매와 함께 잔류하는 수소화 용매를 분리하고, 회수한 수소화 용매를 수소화 반응에 재이용할 수 있다. 수소화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산화 방지제를 용해시킨 용매는, 하류측의 박막 증발기 (42)에 의해 수소화 용매와 함께 수소화 반응물로부터 분리 회수된다.
(조립)
조립부 (5)는 수소화 용매가 제거되고 산화 방지제가 첨가된 수소화 반응물인 용융 수지를 펠릿상의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으로 조립한다.
구체적으로는, 조립부 (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기 (50A)와 조립 공냉부 (50B)를 구비하고 있다.
조립기 (50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기 본체 (52)와, 냉각 컨베이어 (53)을 구비하고 있다.
조립기 본체 (52)는, 냉각 컨베이어 (53)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의 상류단측에 대향하여 조립 하우징 (5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조립기 본체 (52)는, 원통상이며 도시하지 않은 가열부를 갖는 동체부 (52A)에, 상기 동체부 (52A)의 외주면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용융 수지를 토출시키는 다이 (52B)를 갖고 있다.
또한, 조립기 본체 (52)는, 동체부 (52A)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감합되는 원통상의 회전체 (52C)를 갖고 있다. 회전체 (52C)는, 펀칭 메탈 형태로 복수개의 토출 구멍 (52D)를 갖고, 동체부 (52A)의 외주면을 회전함으로써 토출 구멍 (52D)가 다이 (52B)에 위치하면 용융 수지 (5A)를 냉각 컨베이어 (53) 위에 소정량으로 토출시킨다.
냉각 컨베이어 (53)은 조립 하우징 (51) 내에 배치되고, 한 쌍의 풀리(pulley) (53A)와, 이들 풀리 (53A)에 회행(回行) 가능하도록 걸쳐진 금속제의 무단 벨트인 금속 벨트 (53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냉각 컨베이어 (53)에는, 금속 벨트 (53B)의 이면으로부터 냉각수 (53C)를 분출시켜 금속 벨트 (53B)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53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금속 벨트 (53B)의 냉각 방법으로는 냉각수 (53C)를 분출하는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냉풍을 분사하는 등 어떠한 방법도 적용할 수도 있다.
조립 공냉부 (50B)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 하우징 (51)에 공기를 도입하는 송풍 블로어(blower) (54A)를 가진 공기 도입로 (54B)와, 조립 하우징 (51)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흡기 블로어 (54C) 및 필터 (54D)를 가진 흡기로 (54E)를 구비하고 있다.
공기 도입로 (54B)는, 냉각 컨베이어 (53)의 하류단과 중간 위치의 2개소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조립 하우징 (51) 내에 공기를 도입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흡기로 (54E)는, 냉각 컨베이어 (53)의 상류단이 되는 조립기 본체 (52) 근방의 3개소와, 냉각 컨베이어 (53)의 반송 방향의 중간 위치의 2개소에 대응하는 위치, 즉 냉각 컨베이어 (53) 위에 적하된 용융 수지가 고화되기까지의 범위에서 조립 하우징 (51) 내의 공기를 흡기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기로 (54E)는, 조립 하우징 (51) 내의 저분자량체 미스트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저분자량체 미스트를 필터 (54D)로 포착 제거하여 공기만을 배기한다.
또한, 중간 위치의 흡배기는, 제조하는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의 상이한 연화점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설계된다. 즉, 용융 수지가 고화되기까지의 범위가 제품에 따라 상이한 경우에도 대응 가능하도록, 복수의 위치에서 흡배기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 (54D)로는 관성 충돌형 필터, 차단형 필터, 정전 흡착 필터, 브라운 확산 필터 등이 이용되고, 특히 유리 섬유 필터가 바람직하다. 즉, 저분자량체 미스트는 미스트 직경 1 ㎛ 이하의 미세한 고점도 미립자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성 충돌 효과뿐만 아니라 질량이 무시되는 입자를 포집하는 효과(브라운 확산에 의한 포집 효과)가 얻어지는 유리 섬유 필터가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 (54D)의 압력 손실은, 여과 면적과의 관계로부터 바람직하게는 0.5 kPa 이상 2.5 kPa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립 하우징 (51) 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 컨베이어 (53)의 하류단에 위치하여, 금속 벨트 위에서 고화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 (5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립 하우징 (51)에는 냉각 컨베이어 (53)의 하류단에 위치하고 저장부 (7)로 반송하는 반송부 (6)이 접속되어 있다.
(반송)
반송부 (6)은, 조립부 (5)에서 조립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저장부 (7)로 반송한다.
이 반송부 (6)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부 (5)에 접속된 슈트로서의 슈트 (61)과, 상기 슈트 (61)에 접속된 반송 컨베이어 (62)와, 도시하지 않은 버킷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다.
슈트 (61)은, 일단부가 냉각 컨베이어 (53)의 하류단에서의 조립 하우징 (51)의 하부에 접속되어 다른 단부가 하측으로 연장되는 상슈트부 (61A)와, 이 상슈트부 (61A)의 하단에 일단이 접속되고 다른 단부가 상슈트부 (61A)와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하슈트부 (61B)를 가지며, 측면에서 볼 때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상슈트부 (61A) 및 하슈트부 (61B)는,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이 유하하는 경사면 (63)이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각 44°이상 75°이하로 경사져셔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경사면 (63)의 경사각이 44°보다 작은 완경사가 되면,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이 경사면 (63) 위에 체류하고, 제조하는 제품의 절환에 의해 체류하는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이 새롭게 제조되는 제품과 혼합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경사면 (63)의 경사각이 75°보다 큰 급경사가 되면, 경사면 (63) 위를 유하하는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의 유하 속도가 빨라져, 유하 충격에 의해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이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의 유하 속도는 1.98 m/초보다 빨라지지 않도록 유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송 컨베이어 (6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돔 형상을 갖는 부재인 컨베이어 하우징 (62A)와, 제1 컨베이어로서의 벨트 컨베이어 (62B)와, 호퍼인 회수 호퍼부 (62C)와, 제2 컨베이어로서의 스크류 컨베이어 (62D)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반송 컨베이어 (62)는, 슈트 (61)의 하측에 벨트 컨베이어 (62B)와, 회수 호퍼부 (62C)와, 스크류 컨베이어 (62D)가 차례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벨트 컨베이어 (62B)는, 일단부에 하슈트부 (61B)의 하단이 접속하는 컨베이어 하우징 (62A) 내에 배치되고, 하슈트부 (61B)를 유하하는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반송한다. 즉, 벨트 컨베이어 (62B)의 상측을 컨베이어 하우징 (62A)가 덮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벨트 컨베이어 (62B)는, 한쌍의 반송 풀리 (62B1)과, 이들 반송 풀리 (62B1)에 회행 가능하도록 걸쳐진 무단 벨트 (62B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컨베이어 하우징 (62A)의 다른 단부에는, 벨트 컨베이어 (62B)에서 반송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저장부 (7)로 투입하는 투입 슈트 (62A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투입 슈트 (62A1)에는,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저장부 (7)로 반송하는 버킷 컨베이어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컨베이어 하우징 (62A) 및 벨트 컨베이어 (62B)는 접지되어 있다.
회수 호퍼부 (62C)는 상측을 향하여 직경이 확장되도록 개구 형성되고, 벨트 컨베이어 (62B)의 하측에 위치하며 컨베이어 하우징 (62A)의 하면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회수 호퍼부 (62C)는 내면이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의 분체가 붕괴되는 안식각보다 큰 각도, 구체적으로는 수평면에 대하여 70°이상으로 경사져셔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수 호퍼부 (62C)는 복수개 설치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슈트부 (61B)의 하측에 위치하고, 하슈트부 (61B)를 유하하여 벨트 컨베이어 (62B)에서 흘러 떨어지는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회수 가능하면 1개만일 수도 있다.
스크류 컨베이어 (62D)는 복수개의 회수 호퍼부 (62C)의 하부에 설치되고, 각 회수 호퍼부 (62C)에 회수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이나 그의 분립체를 회수 호퍼부 (62C) 밖으로 반송한다.
이들 회수 호퍼부 (62C) 및 스크류 컨베이어 (62D)도 접지되어 있다.
또한, 반송 컨베이어 (62)에는, 적어도 하슈트부 (61B)의 근방으로부터 컨베이어 하우징 (62A) 내를 흡기하는 도시하지 않은 흡기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흡기 수단은, 예를 들면 조립부 (5)의 조립 공냉부 (54)와 같이 블로어와 백 필터(bag filter) 등의 필터를 구비하고, 슈트 (61)로부터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이 벨트 컨베이어 (62B)에 공급되었을 때, 비산된 수소 첨가 석유 수지의 분체 등도 흡인하고, 필터로 포착 가능한 각종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저장)
저장부 (7)은, 반송부 (6)에서 반송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적절하게 취출 가능하도록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 (7)은, 도시하지 않은 저장 호퍼와, 반송부 (6)의 버킷 컨베이어로 반송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소정의 저장 호퍼에 투입하는 도시하지 않은 절환부를 구비하고 있다.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립부 (5)로부터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공급하는 슈트 (61)의 하측에, 벨트 컨베이어 (62B)와, 회수 호퍼부 (62C)와, 스크류 컨베이어 (62D)를 차례로 배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슈트 (61)로부터 공급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은, 하측에 위치하는 벨트 컨베이어 (62B)에 투하되고, 반송된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 (62B) 위에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이 투하되었을 때에 흘러 떨어지거나, 수소 첨가 석유 수지의 분체가 일단 비산되어 벨트 컨베이어 (62B) 밖으로 낙하하거나 하는 것은, 더 하측에 위치하는 회수 호퍼부 (62C)에 회수된다. 상기 회수 호퍼부 (62C)에 회수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이나 분체는, 회수 호퍼부 (62C)의 저부로부터 더 하측에 위치하는 스크류 컨베이어 (62D)로 외부로 반출된다.
이 때문에, 슈트 (61)로부터 공급되며 벨트 컨베이어 (62B)로부터 흘러 떨어지거나 비산되거나 한 수소 첨가 석유 수지의 분립물이, 벨트 컨베이어 (62B)나 그 주위에서 퇴적됨으로써 벨트 컨베이어 (62B)의 구동이 저해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 컨베이어 (62B)의 상측을 덮는 돔 형상을 갖는 부재의 컨베이어 하우징 (62A)를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컨베이어 하우징 (62A)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 (62B) 위에 공급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이 튀거나 비산되어 주위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반송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수 호퍼부 (62C)에 회수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스크류 컨베이어 (62D)에 의해 반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스크류 컨베이어 (62D)에 의해 회수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흘러 떨어지지 않도록 확실하게 반출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 (62B)에서 흘러 떨어지거나 비산된 후에 퇴적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이나 분체를 배제하는 작업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어, 보수관리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슈트 (61)로부터 벨트 컨베이어 (62B)에 공급된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이 튀거나 분체가 비산되거나 하는 공급 위치의 하측에 적어도 회수 호퍼부 (62C)를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필요 최소한의 구성으로, 효율적으로 벨트 컨베이어 (62B)에서 흘러 떨어지는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이나 분체를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슈트 (61)로부터 벨트 컨베이어 (62B)에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이 공급되는 위치 근방에 흡기 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벨트 컨베이어 (62B) 위에 공급되었을 때에 분체가 비산되더라도 흡기 수단으로 흡인되어 포착되기 때문에, 벨트 컨베이어 (62B)에 수소 첨가 석유 수지의 분체가 부착되어 벨트 컨베이어 (62B)의 구동이 불안정해져 반송 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하우징 (62A) 내의 분체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분진 폭발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수 호퍼부 (62C)의 내면의 경사가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이나 분체의 안식각보다 큰 각도가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회수 호퍼부 (62C)의 내면에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이나 분체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다른 제품의 분립물이 슈트 (61)로부터 공급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흘러 떨어져, 퇴적되는 분립물과 혼합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슈트 (61), 벨트 컨베이어 (62B), 회수 호퍼부 (62C), 스크류 컨베이어 (62D)를 각각 접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전기 방전에 의한 분진 폭발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립시 또는 조립 후에 슈트 (61)을 흐를 때의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어 파편이나 분체 등의 분립체가 발생하기 쉬운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반송하는 구성에 적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포함하는 조립 후의 수소 첨가 석유 수지라도, 벨트 컨베이어 (62B) 주위에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이나 분립물이 퇴적되거나 하여 벨트 컨베이어 (62B)의 구동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을 일으키지 않아, 장기간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고, 퇴적물을 긁어내는 등의 번잡한 작업도 거의 필요없어 보수관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파손되기 쉬운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반송하는 구성에 대해서 예시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벨트 컨베이어 (62B)나 버킷 컨베이어 위에 공급했을 때에 튀는 입상물이나, 공급했을 때에 비산되는 분체, 나아가 이들이 혼재하는 분립물 등, 반송시에 컨베이어로부터 흘러 떨어지는 어떠한 분립물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부 (5)로부터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을 공급하는 슈트 (61)로서는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분립물을 벨트 컨베이어 (62B) 또는 버킷 컨베이어 위에 공급 가능한 어떠한 구조의 슈트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슈트 (61)로부터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이 공급되는 컨베이어로서 벨트 컨베이어 (62B)를 예시했지만, 버킷 컨베이어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류 컨베이어 (62D)에 의해 회수한 분립물을 반출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스크류 컨베이어 (62D)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벨트 컨베이어 (62B)나 버킷 컨베이어 등 각종 컨베이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회수 호퍼부 (62C)의 형상에 대해서도, 벨트 컨베이어 (62B)나 버킷 컨베이어로부터 흘러 떨어지는 분립체를 회수 가능한 어떠한 형상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벨트 컨베이어 (62B)의 상측을 덮는 컨베이어 하우징 (62A)는, 벨트 컨베이어 (62B)에 공급한 분립물이 튀거나 비산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어떠한 형상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하우징 (62A)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반송 컨베이어 (62)에 설치하는 흡기 수단으로서도, 분립체, 특히 비산되는 분체를 흡인 가능한 어떠한 구성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흡기 수단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정전기를 일으키기 어려운 분립물이나 분진 폭발 등을 일으키지 않는 분립물 등의 경우에는, 접지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구체적인 구조 및 절차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으로 변경하는 등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수소 첨가 석유 수지 펠릿 등, 분체가 혼재하는 각종 분립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에 이용된다.
61… 슈트로서의 슈트
62… 분립물의 반송 장치로서의 반송 컨베이어
62A… 돔 형상을 갖는 부재인 컨베이어 하우징
62B… 제1 컨베이어로서의 벨트 컨베이어
62C… 호퍼인 회수 호퍼부
62D… 제2 컨베이어로서의 스크류 컨베이어

Claims (8)

  1. 분립물을 공급하는 슈트(chute)의 하측에, 벨트 컨베이어 또는 버킷 컨베이어인 제1 컨베이어와, 호퍼(hopper)와, 제2 컨베이어가 차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물의 반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의 상측을 덮는 돔 형상을 갖는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물의 반송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베이어는 스크류 컨베이어(screw convey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물의 반송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적어도 상기 슈트로부터 상기 제1 컨베이어로의 입상물의 공급 위치의 하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물의 반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에 있어서의 상기 슈트로부터 분립물이 공급되는 위치의 근방에 설치된 흡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물의 반송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내면의 경사가 상기 분립물의 안식각보다 큰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물의 반송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 상기 제1 컨베이어, 상기 호퍼 및 상기 제2 컨베이어는 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물의 반송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립물은 조립(造粒)된 수소 첨가 석유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물의 반송 장치.
KR1020137028899A 2011-06-01 2012-05-31 분립물의 반송 장치 KR1019679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3668 2011-06-01
JP2011123668A JP5709647B2 (ja) 2011-06-01 2011-06-01 粉粒物の搬送装置、粉粒物の製造プラント、および、粉粒物の搬送方法
PCT/JP2012/064050 WO2012165533A1 (ja) 2011-06-01 2012-05-31 粉粒物の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970A true KR20140027970A (ko) 2014-03-07
KR101967937B1 KR101967937B1 (ko) 2019-08-13

Family

ID=4725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899A KR101967937B1 (ko) 2011-06-01 2012-05-31 분립물의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75871B2 (ko)
EP (1) EP2716583A1 (ko)
JP (1) JP5709647B2 (ko)
KR (1) KR101967937B1 (ko)
CN (1) CN103502123B (ko)
SG (1) SG194791A1 (ko)
TW (1) TWI510423B (ko)
WO (1) WO20121655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27081B2 (ja) * 2019-06-12 2023-02-21 東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粒子の搬送用のシュート管
JP7284505B2 (ja) * 2019-08-09 2023-05-31 株式会社タカゾノ 粉粒体供給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734A (ja) * 1996-12-16 1998-06-23 Hitachi Ltd 灰粒子の捕集装置
JP2002088117A (ja) * 2000-09-14 2002-03-27 Idemitsu Petrochem Co Ltd 水素添加石油樹脂の製造方法
JP2003053172A (ja) * 2001-08-20 2003-02-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造粒機
WO2004056882A1 (ja) 2002-12-20 2004-07-08 Idemitsu Kosan Co., Ltd. 水素添加石油樹脂の製造方法
JP2004307090A (ja) * 2003-04-02 2004-11-04 Ishikawajima Constr Mach Co 粉粒体搬送用ベルトコンベヤ
JP2010155670A (ja) * 2008-12-26 2010-07-15 Sanwa Sangyo Kk 粉体送給機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1851A (en) * 1974-02-12 1974-10-15 E Kaiser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gasification of organic matter
US4139462A (en) * 1976-07-12 1979-02-13 Dresser Industries, Inc. Method for thermally treating oil well drill cuttings
US4119193A (en) * 1976-10-28 1978-10-10 A. O. Smith Harvestore Products, Inc. Shuttle type livestock feeder
US4098200A (en) * 1976-12-09 1978-07-04 Dauvergne Hector A Low pollution solid waste burner
SE436417B (sv) * 1977-05-10 1984-12-10 Plm Ab Forflyttningsanordning for hushallsavfall
US4380284A (en) * 1979-09-28 1983-04-19 Caterpillar Mitsubishi Ltd. Chip conveyer
US4549698A (en) * 1982-02-05 1985-10-29 Andrews Robert S L Method of reclaiming foundry sand
US4919686A (en) * 1986-10-14 1990-04-24 Co-Gen Power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yrolytic production of synthetic gas
US5393501A (en) * 1993-10-13 1995-02-28 Cedarapids, Inc. Material remediation in multi-function heating drum
CA2141156A1 (en) * 1994-01-27 1995-07-28 James S. Keller Ethylene oxide catalyst loading device
JPH09225236A (ja) * 1996-02-20 1997-09-02 Nkk Corp ろ過式集塵装置
JP3086191B2 (ja) * 1997-07-01 2000-09-11 株式会社椿本バルクシステム ピボテッドバケットコンベヤのこぼれ回収装置
CH693034A5 (it) * 1998-01-09 2003-01-31 Greenpower Engineering & Techn Procedimento per il trattamento di materiali combustibili solidi e dispositivo per realizzare il procedimento.
JP2001151346A (ja) * 1999-11-26 2001-06-05 Heishin Engineering & Equipment Co Ltd 粉体移送用配管の閉塞防止方法と同装置ならびに粉体移送用一軸偏心ねじポンプ
JP2001270379A (ja) * 2000-03-27 2001-10-02 Nippon Alum Co Ltd 粉体用コンテナ車
JP2003303695A (ja) * 2002-04-09 2003-10-24 Kasuga Electric Works Ltd 帯電物体の帯電量自動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4026969A (ja) * 2002-06-25 2004-01-29 Idemitsu Petrochem Co Ltd 高軟化点共重合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水素添加物
JP2004189764A (ja) * 2002-12-06 2004-07-08 Idemitsu Petrochem Co Ltd 石油樹脂及び水素添加石油樹脂の製造方法
JP2005008165A (ja) * 2003-06-17 2005-01-13 Nippon Seiki Co Ltd 粉粒体搬送装置
FI124436B (fi) * 2008-03-18 2014-08-29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US8534452B2 (en) * 2009-02-26 2013-09-17 J-Power Entech, Inc. Equipment for discharging a fixed amount of a particulate body
TW201041793A (en) * 2009-05-19 2010-12-01 Wei-Yeh Tan Crude terephthalic acid powder transporting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734A (ja) * 1996-12-16 1998-06-23 Hitachi Ltd 灰粒子の捕集装置
JP2002088117A (ja) * 2000-09-14 2002-03-27 Idemitsu Petrochem Co Ltd 水素添加石油樹脂の製造方法
JP2003053172A (ja) * 2001-08-20 2003-02-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造粒機
WO2004056882A1 (ja) 2002-12-20 2004-07-08 Idemitsu Kosan Co., Ltd. 水素添加石油樹脂の製造方法
JP2004307090A (ja) * 2003-04-02 2004-11-04 Ishikawajima Constr Mach Co 粉粒体搬送用ベルトコンベヤ
JP2010155670A (ja) * 2008-12-26 2010-07-15 Sanwa Sangyo Kk 粉体送給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09647B2 (ja) 2015-04-30
US8875871B2 (en) 2014-11-04
CN103502123B (zh) 2018-04-13
WO2012165533A1 (ja) 2012-12-06
JP2012250794A (ja) 2012-12-20
SG194791A1 (en) 2013-12-30
KR101967937B1 (ko) 2019-08-13
US20140116848A1 (en) 2014-05-01
TW201302582A (zh) 2013-01-16
CN103502123A (zh) 2014-01-08
EP2716583A1 (en) 2014-04-09
TWI510423B (zh)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973B1 (ko) 입상물의 반송 장치
KR101967937B1 (ko) 분립물의 반송 장치
KR102061717B1 (ko) 과립형 폴리실리콘을 분급 및 탈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TW201217039A (en) Solid polymer separator
TWI535643B (zh) Storage device for granular material and storage device for hydrogenated petroleum resin particles
JP6011327B2 (ja) 振動篩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EP0278246A2 (en) Production of granular bisphenols
JP5496430B2 (ja) 粉粒体冷却装置
FI3554723T3 (fi) Laite monikiteisen piin erottamiseksi ja vastaava menetelmä
JP4222113B2 (ja) 焼結原料の造粒方法
JP7344113B2 (ja) ばら物の水分除去装置
JP2002229274A (ja) 電子写真用キャリア、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1060550A (ja) 焼結原料の造粒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分級装置
CN112439510A (zh) 立式辊碾机
JP2006045599A (ja) 硫黄濾別残渣の造粒方法
JPH06262055A (ja) 合着団塊粒の製造法及び装置
JP2001328723A (ja) コンベア乗り継ぎ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