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102A - 방수판 장치 - Google Patents

방수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102A
KR20140027102A KR1020137023005A KR20137023005A KR20140027102A KR 20140027102 A KR20140027102 A KR 20140027102A KR 1020137023005 A KR1020137023005 A KR 1020137023005A KR 20137023005 A KR20137023005 A KR 20137023005A KR 20140027102 A KR20140027102 A KR 20140027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plate
water
pit
bucket
collecting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7881B1 (ko
Inventor
다이키 후카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쿠시루 스즈키 셔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쿠시루 스즈키 셔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쿠시루 스즈키 셔터
Publication of KR20140027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2Stop log dams; Emergency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06B11/025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4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of wing type, e.g. revolving or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7Flood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 Coke Industry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방수판의 동작의 확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수판 장치를 제공한다.
통로로부터 건물 등으로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노면으로부터 상승하여 물을 막는 것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방수판(16)과, 방수판을 수용 가능하게 노면보다 아래에 형성되는 홈 형상의 방수판 수용 피트(14)와, 방수판 수용 피트가 형성되는 통로에 설치되어, 침수시에 물이 유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홈 형상의 집수 피트(13)와, 집수 피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집수 피트에 유입된 물을 저류하고, 저류된 물의 중량에 의해 집수 피트 내를 하강 가능하게 형성되는 용기인 집수 버킷(15)과, 방수판과 집수 버킷을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통해 연결하고, 집수 버킷이 하강하는 힘을 방수판이 상승하는 힘으로 변환하는 기구인 전달 기구(31)를 구비하고, 전달 기구 또는 집수 버킷에는, 집수 버킷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는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40)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방수판 장치{WATERPROOF PLATE DEVICE}
본 발명은, 통로로부터 건물 등으로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큰 비나 홍수시에 있어서 도로 등이 물에 잠기면, 그 주위에 있는 건물이나 주차장 등에도 물이 침입하여 피해가 확대된다. 이때 건물이나 주차장 등으로 이어지는 통로에,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면 그 피해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당해 통로에 설치되어, 소정량 이상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수판 장치가 있다.
종래부터, 방수판 장치로서 다양한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특허문헌 1과 같은 방수판 장치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수판 장치(수방 장치)에는, 노면으로부터 파인 홈인 집수 피트의 내측에 집수 버킷이 배치되고, 또한 노면의 다른 위치에 파인 홈인 수용 피트에는, 상기 수용 피트로부터 돌출 함몰 가능한 판 형상의 방수판(수방판)이 구비되어 있다. 이 집수 버킷과 방수판은, 매달아 올리기 체인 및 스프로킷에 의해 서로가 당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평상시에는 방수판이 수용 피트의 내측에 수납되어, 방수판의 상단부가 노면과 동일 높이의 면으로 되는 자세로 밸런스가 맞추어져 있다. 한편, 수해시 등에는, 집수 버킷 내에 물이 저류되고, 그 물의 중량에 의해 집수 버킷이 내려감으로써, 당겨지는 것과 같이 방수판이 상승한다. 방수판의 상승에 의해 상기 방수판이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막도록 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그 이상의 물의 침입이 방지된다.
일본 특허 제4644734호 공보
그런데, 주지와 같이, 물은 낮은 쪽으로 흐르는 성질이 있으므로,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수판 장치에 있어서, 그 집수 버킷에 경사가 있으면 물이 낮은 방향으로 흘러, 경사가 수정되는 일 없이 상기 경사가 조장되는 경우가 있었다. 집수 버킷이 경사진 상태에서 내려가려고 하면, 집수 버킷이 집수 피트의 내벽에 걸려 적절하게 하강하지 않으므로, 방수판이 상승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 또한, 집수 버킷이 하강하였다고 해도, 경사져 있으므로, 방수판도 경사져 상승해 버리는 일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비추어, 방수판의 동작의 확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수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첨부 도면의 참조 부호를 괄호쓰기로 부기하지만,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이 도시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통로로부터 건물 등으로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노면으로부터 상승하여 물을 막는 것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방수판(16)과, 방수판을 수용 가능하게 노면보다 아래에 형성되는 홈 형상의 방수판 수용 피트(14)와, 방수판 수용 피트가 형성되는 통로에 설치되어, 침수시에 물이 유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홈 형상의 집수 피트(13)와, 집수 피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집수 피트에 유입된 물을 저류하고, 저류된 물의 중량에 의해 집수 피트 내를 하강 가능하게 형성되는 용기인 집수 버킷(15)과, 방수판과 집수 버킷을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통해 연결하고, 집수 버킷이 하강하는 힘을 방수판이 상승하는 힘으로 변환하는 기구인 전달 기구(31)를 구비하고, 전달 기구 또는 집수 버킷에는, 집수 버킷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는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40, 140, 140', 240)이 설치되어 있는, 방수판 장치(1, 101, 201)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방수판 장치(1, 101)에 있어서, 전달 기구(31)는, 방수판(16)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2개 설치되고,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40, 140, 140')은, 2개의 전달 기구를 동기시킴으로써 집수 버킷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방수판 장치(1, 101)에 있어서, 전달 기구(31)는, 방수판(16)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2개 설치되고, 각각의 전달 기구는, 방수판과 집수 버킷(15)을 연결하는 체인(32)과, 집수 버킷에 배치되고, 상기 체인을 권취하는 기어인 스프로킷 기어(37)를 구비하고,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40, 140, 140')은, 대향하여 설치되는 전달 기구에 구비되는 스프로킷 기어의 회전축끼리를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통해 연결하는 축 부재인 연결 축봉(41)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방수판 장치(1, 101)에 있어서, 연결 축봉(41)은 집수 버킷(15)이 상승한 자세에 있어서도 지면(地面)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수 버킷이 집수 피트 내를 하강할 때, 집수 버킷이 경사지는 것이 억제되어, 원활하게 하강할 수 있으므로 방수판 장치의 동작의 확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방수판 장치가 설치된 통로의 사시도로, 통로가 개방된 상태, 도 1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방수판 장치가 설치된 통로의 사시도로, 통로의 일부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a)에 II로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본 방수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에 III으로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본 방수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IV-IV로 나타낸 선을 따른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V-V로 나타낸 선을 따른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VI로 나타낸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화살표 VII로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의 (a)는 방수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방수판 수용 자세, 도 8의 (b)는 방수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방수판 돌출 자세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방수판 장치 중,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14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방수판 장치 중, 변형예인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14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연결 축봉의 편심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방수판 장치 중,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24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작용 및 이득은, 다음에 설명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로부터 명백해진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당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방수판 장치(1)가 통로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1의 (a)는 방수판(16)이 방수판 수용 피트(14)(도 4 참조) 내에 수납되어, 통로가 개방된 자세를 나타내고, 도 1의 (b)는 방수판(16)이 방수판 수용 피트(14)로부터 돌출되어 통로의 일부를 폐쇄한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a)에 화살표 II로 나타낸 방향, 즉, 통로가 개방된 자세에 있어서 통로 입구측 방향으로부터 방수판 장치(1)를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에 화살표 III으로 나타낸 방향, 즉, 통로의 적어도 일부가 폐쇄된 자세에 있어서 통로 입구측 방향으로부터 방수판 장치(1)를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IV-IV로 나타낸 연직선을 따른 방수판 장치(1)의 단면도 중 화살표 방향의 것이다. 도 5는, 도 3에 V-V로 나타낸 연직선을 따른 방수판 장치(1)의 단면도 중 화살표 방향의 것이다. 도 1 내지 도 5 및 적절하게 도시하는 각 도면을 참조하면서 방수판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 및 이하의 설명에서 참조하는 각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적절하게 부재를 투시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각 도면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일부의 부재는 생략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의 (a), 도 1의 (b)의 지면(紙面) 경사 좌측 하방 및 도 4, 도 5의 지면 좌측이 통로 입구측을 나타내고, 그 반대측이 통로 출구측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도 2, 도 3은 통로 입구측으로부터 방수판 장치(1)를 본 도면이다. 즉, 수해시 등에는, 통로 입구측으로부터 물이 침입한다.
방수판 장치(1)는, 통로 개폐부(2) 및 기구 수용부(3)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구 수용부(3)는 통로 개폐부(2)의 일단부와 타단부 각각에 대향하여 기립 설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의 (a), 도 1의 (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수판 장치(1)는 벽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로를 형성하는 노면에 통로 개폐부(2)가 매설되고, 통로를 형성하는 벽의 각각에 기구 수용부(3)가 배치된다. 이에 의해 평상시에는 도 1의 (a), 도 2와 같이 통로는 개방되어 있어 출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수해시 등에는, 도 1의 (b), 도 3과 같이 방수판(16)이 상승하여 통로의 일부를 폐쇄하여 더 이상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통로 개폐부(2) 및 기구 수용부(3) 각각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통로 개폐부(2)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구획 부재(10, 11, 12), 집수 버킷(15), 방수판(16), 덮개 부재(17), 방수판 압박 부재(18, 19) 및 시일 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통로 개폐부(2)는 통로 중 노면에 매설되므로, 통로 개폐부(2)를 구성하는 각 부재도 일부의 부재를 제외하고 매설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구획 부재(10, 11, 12)는, 도 4, 도 5에 단면이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부재이며, 방수판 장치(1)의 좌우 방향(도 2, 도 3의 지면 좌우 방향, 도 4, 도 5의 지면 안쪽/앞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각 구획 부재(10, 11, 12)는, 그 판면이 대향하도록, 통로 입구측 출구측 방향(도 2, 도 3의 지면 안쪽/앞쪽 방향, 도 4, 도 5의 지면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로 입구측으로부터 통로 출구측을 향해, 구획 부재(10), 구획 부재(11), 구획 부재(12)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구획 부재(10)와 구획 부재(11)의 간극에 의해 집수 피트(13)가 형성되고, 구획 부재(11)와 구획 부재(12)의 간극에 의해 방수판 수용 피트(14)가 형성된다.
또한, 집수 피트(13)의 상단부 개구에는 덮개 부재(17)가 덮이도록 배치되어, 통로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덮개 부재(17)는 그레이팅에 의해 형성되고, 지상 공간과 집수 피트(13)가 연통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집수 피트(13) 내로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집수 버킷(15)은, 집수 피트(13) 내로 유입되는 물을 저류하기 위한 용기이며, 도 4, 도 5에 나타내어진 단면을 갖고, 도 2, 도 3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방수판 장치(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다. 집수 버킷(15)은, 집수 피트(13) 내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집수 피트(13) 내를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집수 버킷(15)은, 방수판 장치(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집수 피트(13)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 개구로부터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고, 이것을 저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집수 버킷(15)은, 그 전체 높이가 집수 피트(13)의 깊이의 1/2 이하로 되는 동시에, 집수 버킷(15)의 상하 이동에 있어서의 가장 아래로 되는 위치에서, 상기 집수 버킷(15)이 집수 피트(13)의 저면에 충돌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집수 버킷(15)의 상단부에는 시일 부재(15a)가 배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15a)는 집수 버킷(15)과 집수 피트(13)의 내벽면과의 간극을 막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집수 버킷(15)과 집수 피트(13)의 간극에 물이 들어가, 집수 피트(13) 내에 물이 저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집수 버킷(15)의 하부에는 추(15b)가 장착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수판(16)과의 밸런스를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추(15b)는 무게를 조정할 수 있도록 소량씩 착탈할 수 있다.
방수판(16)은, 상승한 자세에서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여 물을 막을 수 있는 후판 형상의 부재로, 도 4, 도 5에 도시한 단면을 갖고, 도 2, 도 3에 1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수판 장치(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방수판(16)은, 물을 막기 위한 둑판으로 되는 방수판 본체(16a)와, 방수판 본체(16a)의 상단부에 고착되어 노면의 일부로 되는 강판제의 덮개 부재(16b)를 구비하고 있다.
방수판 본체(16a)는, 그 내부가 발포 스티롤 등의 경량이며 또한 강도를 갖는 발포재 패널로 형성되고, 이 발포재 패널의 표면 전체를 스테인리스 강판 등의 내부식성과 강도를 가진 박판재로 덮음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방수판(16)은, 그 방수판 본체(16a)의 내부에 경량이며 또한 비중이 작은 발포재 패널이 사용되므로 경량화가 도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수판(16)을 상승 하강 가능하게 매달기 위해 필요로 하는 힘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발포재 패널의 표면은, 그것보다도 경질인 박판재에 의해 피복되므로, 발포재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는 방수판 본체(16a)에 발포재 패널을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다른 재료가 사용되는 것에 지장을 주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허니콤 코어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에 따르면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덮개 부재(16b)는, 방수판 본체(16a)의 상단부에 고착되어 노면의 일부로 되는 강판제의 판 형상 부재이다. 덮개 부재(16b)의 노면측으로 되는 표면에는, 복수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보행자나 차량의 슬립이 방지된다. 또한, 덮개 부재(16b)에 사용되는 강판은, 상기한 방수판 본체(16a)의 박판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수판(16) 중, 방수판 본체(16a)는 방수판 수용 피트(14)에, 상기 방수판 수용 피트(14)로부터 돌출 함몰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방수판 본체(16a)는, 그 전부가 방수판 수용 피트(14) 내에 수납되는 자세와, 그 일부가 방수판 수용 피트(14) 내에 수납되고, 다른 일부가 통로에 돌출되어 있는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 부재(16b)는, 방수판 본체(16a)의 전부가 방수판 수용 피트(14) 내에 수납된 자세에서, 상기 방수판 수용 피트(14)의 개구를 덮개를 덮는 것과 같이 덮는다.
여기서, 방수판(16)은, 집수 버킷(15), 후술하는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40) 및 이동 스프로킷(37)의 합계 중량보다 무겁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평상시에 있어서 방수판(16)을 방수판 수용 피트(14)의 내측에 적절하게 수용해 두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 도 5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방수판 수용 피트(14)의 벽면 중, 통로 입구측(도 4, 도 5의 지면 좌측) 상부에는 방수판 압박 부재(18)가 배치되어 있다. 방수판 압박 부재(18)는, 도 4,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로 출구측(도 4, 도 5의 지면 우측)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부위를 갖고 있다.
한편, 방수판(16) 중 통로 입구측 하부에는, 방수판 압박 부재(18)에 대응하는 방수판 압박 부재(19)가 구비되어 있다. 방수판 압박 부재(19)도 방수판 압박 부재(18)와 마찬가지로 경사지는 부위를 갖고 있다.
또한, 방수판 수용 피트(14)의 벽면 중 통로 출구측 상부에는 시일 부재(20)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수판 압박 부재(18, 19) 및 시일 부재(20)에 따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판(16)이 상승한 자세에 있어서, 방수판 압박 부재(18)와 방수판 압박 부재(19)가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때, 방수판 압박 부재(18, 19)의 경사진 부위끼리의 접촉의 효과에 의해, 방수판 압박 부재(18, 19)가 방수판(16)을 통로 출구측으로 압박한다. 이에 의해 방수판(16)이 시일 부재(20)에 확실하게 압박되므로, 지수(止水)가 보다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한, 집수 피트(13) 및 방수판 수용 피트(14)의 저부에는, 배수 수단이 설치되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피트 내에 물이 저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당해 배수 수단에는, 집수 피트나 방수판 수용 피트로 물이 역류하여 유입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기구 수용부(3)에 대해 설명한다. 기구 수용부(3)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로 개폐부(2)의 좌우 방향 단부의 각각에 설치되고, 통로를 형성하는 벽에 구비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기구 수용부(3)는, 통로 개폐부(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2개 설치되어 있다. 단, 2개의 기구 수용부(3)의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한쪽의 기구 수용부(3)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기구 수용부(3)는, 하우징(30) 및 상기 하우징(30) 내에 수용되는 전달 기구(31)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0)은 기구 수용부(3)의 외피를 형성하는 부재이며, 상자 형상으로 됨으로써 그 내측에 전달 기구(31)를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30)은 판 형상의 부재가 조합되거나 하여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달 기구(31)는, 상기 집수 버킷(15)과 방수판(16)을 연동시켜 서로의 상승 및 하강을 관련시키는 기능을 갖는 기구이다. 즉, 방수판(16)과 집수 버킷(15)을 연결하여, 집수 버킷(15)이 하강하는 힘을 방수판(16)이 상승하는 힘으로 변환하는 기구이다. 그러기 위해 전달 기구(31)는, 매달아 올리기 체인(32), 제1 가이드 스프로킷(35), 제2 가이드 스프로킷(36), 이동 스프로킷(37),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40), 래칫 기구(45) 및 방수판 압박 부재(48, 49)를 구비하고 있다.
매달아 올리기 체인(32)은, 힘 전달 부재로서 기능하며, 집수 버킷(15)과 방수판(16)을 연동시키도록 양자간의 힘을 전달시키는 체인이다. 도면에서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해, 단순한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매달아 올리기 체인(32)은, 그 일단부가 하우징(30)에 고정 부재(3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부재(34)에 의해 고정된 단부는 이동이 금지된다. 한편, 매달아 올리기 체인(32)의 타단부는, 방수판(16)의 좌우 방향 측면에 고정 부재(3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매달아 올리기 체인(32)의 당해 타단부는 방수판(16)의 상승, 하강과 동일하게 상하 이동한다.
또한, 매달아 올리기 체인(32)의 양단부간은, 후술하는 제1 가이드 스프로킷(35), 제2 가이드 스프로킷(36) 및 이동 스프로킷(37)에 귄취되어, 하우징(30) 내에 보유 지지된다.
제1 가이드 스프로킷(35)은, 상기 매달아 올리기 체인(32)에 결합 가능한 복수의 이(齒)가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로킷 기어이다. 따라서 제1 가이드 스프로킷(35)은 그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축은 하우징(30)에 고정되어 있어 이동이 금지되어 있다. 즉, 제1 가이드 스프로킷(35)은 하우징(30)의 소정의 장소에 고정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가이드 스프로킷(35)은, 방수판(16)의 상방에 배치되고, 그 높이 위치(도 4, 도 5의 지면 상하 방향 위치)는, 방수판(16)이 가장 상승한 자세라도 상기 방수판(16)을 매달아 올리기 체인(32)에 의해 보유 지지할 수 있는 위치이다. 한편, 제1 가이드 스프로킷(35)의 통로 출입구측 방향의 위치(도 4, 도 5의 지면 좌우 방향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지만, 제1 가이드 스프로킷(35)의 통로 출구측(도 4, 도 5의 지면 우측)으로부터 매달아 올리기 체인(32)의 일단부측이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그 일단부가 방수판(16)에 고정되는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따르면 방수판(16)을 바로 위로 끌어올리는 것이 가능해져, 방수판(16)의 보다 원활한 상하 이동이 도모된다.
제2 가이드 스프로킷(36)은, 제1 가이드 스프로킷(35)과 마찬가지로, 상기 매달아 올리기 체인(32)에 결합 가능한 복수의 이가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로킷 기어이다. 따라서 제2 가이드 스프로킷(36)은 그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축은 하우징(30)에 고정되어 있어 이동이 금지되어 있다. 즉, 제2 가이드 스프로킷(36)은 하우징(30)의 소정의 장소에 고정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가이드 스프로킷(36)은, 상기 제1 가이드 스프로킷(35)보다도 통로 입구측(도 4, 도 5의 지면 좌측)에 배치되고, 그 높이 위치는 제1 가이드 스프로킷(35)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동 스프로킷(37)은, 상기 매달아 올리기 체인(32)에 결합 가능한 복수의 이가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로킷 기어이다. 이동 스프로킷(37)은 그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축은 집수 버킷(15) 중 통로 개폐부(2)의 좌우 방향 단부(도 2, 도 3의 지면 좌우 방향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집수 버킷(15)은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동 스프로킷(37)도 집수 버킷(15)에 추종하여 상하 이동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제1 가이드 스프로킷(35), 제2 가이드 스프로킷(36) 및 이동 스프로킷(37)에는, 다음과 같이 매달아 올리기 체인(32)이 걸려 있다. 즉, 매달아 올리기 체인(32)의 통로 입구측 단부와 통로 출구측 단부 사이에 있어서, 제1 가이드 스프로킷(35) 및 제2 가이드 스프로킷(36)에 대해, 상측으로부터 매달아 올리기 체인(32)이 걸린다. 한편, 이동 스프로킷(37)은, 제2 가이드 스프로킷(36)과 매달아 올리기 체인(32)의 통로 입구측 단부 사이에서, 매달아 올리기 체인(32)에 실리도록 걸린다. 즉, 이동 스프로킷(37)을 통해 집수 버킷(15)이 매달아 올리기 체인(32)에 걸리도록 매달린다. 이들의 구체적인 동작은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40)은, 집수 버킷(15)이 상승 및 하강할 때에, 도 2, 도 3에서 도시한 시점에 있어서 집수 버킷(15)이 경사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수단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향하는 2개의 이동 스프로킷을 동기시키는 수단에 의한 것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에는 도 3에 VI로 나타낸 부분을 확대한 도면을 도시하였다. 도 7은, 도 6의 화살표 VII로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40)은, 연결 축봉(41) 및 베어링(42)을 구비하고 있다.
연결 축봉(41)은 봉 형상의 소위 축 부재(샤프트)이다. 연결 축봉(41)의 일단부는 한쪽의 이동 스프로킷(37)의 회전축에 배치되고, 연결 축봉(41)의 타단부는 다른 쪽의 이동 스프로킷(37)의 회전축에 배치된다(도 2, 도 3 참조). 연결 축봉(41)은 축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으면 그 재질이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다. 이것에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제의 중공 환봉 등을 들 수 있다.
베어링(42)은, 연결 축봉(41)의 베어링이며, 집수 버킷(15)과 이동 스프로킷(37) 사이에 배치되고, 집수 버킷(15)에 고정된다. 베어링(42)의 내측을 연결 축봉(41)이 통과되어, 베어링으로서 기능한다. 베어링(42)은, 통상의 베어링과 마찬가지로, 회전축의 원활하고 안정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이러한 목적의 것이라면 그 종류는 한정되는 일은 없다. 이것에는 예를 들어 베어링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40)에 따르면, 좌우 방향 양쪽의 각각에 구비된 2개의 이동 스프로킷(37)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양자의 회전을 동기시켜, 동일하게 회전하는 것을 강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이동 스프로킷의 회전 속도의 차에 의한 집수 버킷(15)의 경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도 4와 같이 통상의 경우에 있어서의 방수판 장치(1)의 자세에 있어서, 집수 버킷(15)이 상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 연결 축봉(41)이 덮개 부재(17)보다 하방에 배치된다. 통상의 경우에 있어서 연결 축봉(41)이 지면으로부터 돌출되면 장해물로 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어링(42)은 연결 축봉(41)의 양단부에만 배치하는 형태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일 없이, 베어링을 연결 축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더 배치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연결 축봉의 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 내지 도 5로 되돌아가, 방수판 장치(1)에 대해 설명을 계속한다.
래칫 기구(45)는, 한번 상승한 방수판이 하강하는 것을 금지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래칫 기어(46) 및 걸림 부재(4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래칫 기구(45)는, 소위 래칫을 구성하는 것이며, 제1 가이드 스프로킷(35)의 일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그 반대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는 것이다.
래칫 기어(46)는, 걸림 부재(47)가 걸림 가능한 복수의 래칫 이가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래칫용 기어이다. 래칫 기어(46)는, 제1 가이드 스프로킷(35)에 동축에 설치되어, 래칫 기어(46)와 제1 가이드 스프로킷(35)은 항상 연동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걸림 부재(47)는, 래칫 기어(46)의 래칫 이에 걸리는 걸림 돌기를 갖고 있다. 걸림 돌기는, 래칫 기어(46)의 래칫 이에 걸려 래칫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래칫 기구(45)에 의해, 제1 가이드 스프로킷(35)의 회전 중, 방수판(16)이 상승하는 방향의 회전이 허용되고, 방수판(16)이 하강하는 방향의 회전이 금지된다. 이에 의해, 한번 상승한 방수판(16)이 하강하지 않으므로 통로 폐쇄를 확실하게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방수판 압박 부재(48, 49)는, 방수판 압박 부재(48)와 방수판 압박 부재(49)로 쌍을 이루는 부재이며,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수판(16)이 상승하여, 방수판 압박 부재(48)와 방수판 압박 부재(49)가 대향하여 배치되었을 때에 서로 접하는 면이 경사면이도록 형성된 블록 형상의 부재이다. 방수판 압박 부재(48)는 하우징(30)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방수판 압박 부재(49)는 방수판(16)의 좌우 방향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수판 압박 부재(49)는, 고정 부재(33)에 설치되어 있다. 방수판 압박 부재(48)와 방수판 압박 부재(49)는,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수판(16)이 상승한 자세에서 경사면끼리가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쐐기의 효과로 방수판(16)을 통로 출구측으로 압박하는 것이 가능해져, 방수판(16)에 의한 지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방수판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는 동작 설명을 위한 도면를 도시하였다. 도 8의 (a)는 도 4에 대응하고, 도 8의 (b)는 도 5에 대응한다. 즉, 도 8의 (a)는, 방수판(16)이 가장 아래에 있는 동시에, 집수 버킷(15)이 가장 위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며, 평상시의 자세이다. 한편, 도 8의 (b)는, 방수판(16)이 상승하여 통로의 일부를 차단하고, 집수 버킷(15)이 내려가 있는 상태를 도시하며, 침수시의 자세이다. 도 8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는 것을 우선하므로, 많은 부호를 생략하였다. 부호는 도 8의 (a), 도 8의 (b)에 대응하는 도 4, 도 5를 참조할 수 있다.
도 8의 (a)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방수판 장치(1)는 평상시에 있어서, 집수 버킷(15)이 집수 피트(13)의 상부에 배치되고, 방수판(16)의 방수판 본체(16a)의 전부가 방수판 수용 피트(14)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로 되도록 설치된다. 즉, 집수 버킷(15)과 방수판(16)은 전달 기구(31)를 통해 그 중량에 의해 밸런스가 맞추어짐으로써 동작이 정해지므로, 평상시에 있어서 도 4, 도 8의 (a)의 자세로 하기 위해, 집수 버킷의 추(15b)를 착탈하는 것 등에 의해 밸런스가 맞추어진다. 도 8의 (a)의 자세에 따르면, 통로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사람이나 차 등의 통행을 저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덮개 부재(16b, 17)에 의해 노면에 가능한 한 단차가 없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통행의 쾌적성이 도모되어 있다.
한편, 홍수 등에 의해 노면에 물이 저류되기 시작하면, 도 8의 (a)에 VIIIa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레이팅에 의해 구성된 덮개 부재(17)를 통과하여 집수 피트(13) 내에 물이 유입되어, 집수 버킷(15) 내에 물이 저류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물이 계속해서 유입되면 차례로 집수 버킷(15) 내에 물이 저류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집수 버킷(15)과 방수판(16)은 전달 기구(31)를 통해 그 중량에 의해 밸런스가 맞추어짐으로써 동작이 정해지지만, 이와 같이 집수 버킷(15) 내에 소정 이상의 물이 저류되었을 때에는, 집수 버킷(15), 이동 스프로킷(37),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40) 및 저류된 물의 중량의 합계 쪽이, 방수판(16)의 중량보다 무거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만약 무거워지지 않는 경우에는, 착탈 가능한 추(15b)에 의해 그 무게를 조정해 둔다. 이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집수 버킷(15) 내로 유입하여 저류된 저류수가 소정 중량에 도달하면, 그 무게에 의해 방수판(16)의 중량을 상회하여, 도 8의 (a)에 VIII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집수 버킷(15)이 집수 피트(13) 내에서 하강한다. 그러면, 이 집수 버킷(15)의 하강력에 의해, 집수 버킷(15)과 함께 이동 스프로킷(37)이 회전하면서 대략 연직으로 하강한다.
이와 같이 이동 스프로킷(37)이 회전하면서 집수 버킷(15)이 하강하고, 도 8의 (a)에 VIIIc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수판(16)이 이것에 추종하여 상승하여, 통로 내로 밀려 올라간다. 그 결과, 도 8의 (b)와 같이 방수판(16)에 의해 통로로의 침수를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전달 기구(31)에 따르면, 매달아 올리기 체인(32)과 각 스프로킷(35, 36, 37)을 사용하여 구성되므로, 매달아 올리기 체인(32)을 각 스프로킷(35, 36, 37)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방수판(16)을 이동시켜 끌어올릴 수 있어, 방수판(16)으로의 상승력의 전달에 수반되는, 매달아 올리기 체인(32)과 각 스프로킷(35, 36, 37)의 마모나 슬립이 억제된다.
방수판(16)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본적인 동작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전기적인 에너지 공급을 필요로 하는 일이 없으므로,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조건하의 예기치 않은 큰 비나 홍수 등에 있어서도 동작을 확실하게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종래의 방수판 장치에 있어서는, 무언가의 이유에 의해 좌우 방향(도 2의 지면 좌우 방향)으로 집수 버킷에 경사가 있으면 물이 낮은 방향으로 흘러, 경사가 수정되는 일 없이 상기 경사가 조장되는 경우가 있었다. 집수 버킷이 경사진 상태에서 여기에 물이 저류되어 강하가 시작되면, 집수 버킷의 양측의 각각에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스프로킷이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하면서 강하한다. 이 스프로킷의 회전각이 각각 다르면 매달아 올리기 체인의 이동도 마찬가지로 다르므로, 매달아 올리기 체인에 연결된 방수판의 상승도 좌우에서 다르기 때문에 방수판이 경사져 버린다. 그러면 집수 버킷이나 방수판이 피트의 내벽에 걸려, 집수 버킷이 적절하게 하강하지 않으므로, 방수판이 상승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 또한, 방수판이 상승하였다고 해도, 방수판이 경사져 상승해 버리는 일이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방수판 장치(1)에 따르면,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40)에 의해, 2개의 이동 스프로킷(37)이 마찬가지로 회전하는 것이 강제되므로, 양쪽의 전달 기구(31)가 동일하게 작동한다. 이에 의해 집수 버킷(15) 및 방수판(16)이 경사져 상승, 하강하는 일 없이, 동작이 확실하게 도모된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방수판 장치(101)에 구비되는 부재 중, 집수 버킷(15), 이동 스프로킷(37), 매달아 올리기 체인(32)의 일부 및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140)에 주목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 도 3과 마찬가지의 시점으로부터의 도면이며, 통로 입구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방수판 장치(101)는, 상기한 방수판 장치(1)의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40) 대신에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140)이 적용되는 점에서 다르고, 다른 부재는 마찬가지의 것이 사용된다. 당해 마찬가지의 부재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140)은, 대향하는 2개의 이동 스프로킷을 동기시키는 수단에 의한 경사 억제의 일례이며, 연결 축봉(141), 보조 기구(142) 및 베어링(42)을 구비하고 있다.
연결 축봉(141)은 막대 형상의 소위 축 부재(샤프트)이다. 연결 축봉(141)의 양단부의 각각에는 보조 기구(142)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보조 기구(142)를 통해 2개의 이동 스프로킷(37)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 축봉(141)은 축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으면 그 재질이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다. 이것에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제의 중공 환봉 등을 들 수 있다.
보조 기구(142)는, 연결 축봉(141)과 이동 스프로킷(37) 사이에 배치되어, 그 일단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 축봉(14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이동 스프로킷(37)에 연결된다. 이때, 2개의 이동 스프로킷(37), 연결 축봉(141) 및 2개의 보조 기구(142)는 서로 그 회전 운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보조 기구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2개의 이동 스프로킷과 연결 축봉의 회전 운동을 서로 전달하도록 연결할 수 있으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조 기구(142)는 2개의 보조축(142b) 및 보조축(142b)의 단부 및 연결 축봉(141)의 단부에 설치된 마이터 기어(142a)에 의해 회전 운동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베어링(42)은, 보조 기구(142)의 보조축(142b)의 베어링이며, 집수 버킷(15)과 이동 스프로킷(37) 사이에 배치되고, 집수 버킷(15)에 고정된다. 베어링(42)의 내측을 보조축(142b)이 통과되어 베어링으로서 기능한다. 베어링(42)은, 통상의 베어링과 마찬가지로, 회전축의 원활하고 안정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이러한 목적의 것이라면 그 종류는 한정되는 일은 없다. 이것에는 예를 들어 베어링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140)에 따르면, 좌우 방향 양쪽의 각각에 구비된 2개의 이동 스프로킷(37)이, 연결 축봉(141) 및 보조 기구(142)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양자의 회전을 동기시켜, 동일하게 회전하는 것을 강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40)과 마찬가지로, 2개의 이동 스프로킷(37)의 회전 속도의 차에 의한 집수 버킷(15)의 경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140)에서는, 보조 기구(142)를 사용함으로써 연결 축봉(141)이 배치되는 위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수 피트(13)에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배관이나 도수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 설치하였을 때, 연결 축봉(141)이 당해 배관 등과 접촉하지 않도록 보조 기구(142)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도 10은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140)의 변형예인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14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와 동일한 시점에 의한 도면이다.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140')에서는, 보조 기구(142')의 형태가 상기 보조 기구(142)의 형태와 다르다.
보조 기구(142')는, 베어링(42)에 지지되면서 이동 스프로킷(37)과 연결 축봉(141) 사이의 각각에 배치되어, 제1 풀리(142a'), 제2 풀리(142b'), 벨트(142c') 및 보조축(142d')을 갖고 있다.
보조축(142d')은, 이동 스프로킷(37)의 회전축에 피봇되어 있다. 제1 풀리(142a')는 연결 축봉(141)의 단부에 고정되고, 제2 풀리(142b')는 보조축(142d')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풀리(142a')와 제2 풀리(142b')를 걸쳐 벨트(142c')가 배치된다.
이러한 보조 기구(142')에 의해서도, 좌우 방향 양쪽의 각각에 구비된 2개의 이동 스프로킷(37)이, 연결 축봉(141) 및 보조 기구(142')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양자의 회전을 동기시켜, 동일하게 회전하는 것을 강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40)과 마찬가지로, 2개의 이동 스프로킷의 회전 속도의 차에 의한 집수 버킷(15)의 경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에 적용되는 연결 축봉(41, 141)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연결 축봉(41, 141)은 가요성을 가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소위 플렉시블 샤프트이다. 이것에 따르면, 예를 들어 집수 피트(13)에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배관이나 도수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 설치하였을 때, 당해 배관 등을 피하도록 연결 축봉을 구부리거나 하여 설치할 수 있어, 구성 부재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연결 축봉(41, 141)은, 편심된 회전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편심된 연결봉축의 회전은, 그 회전에 있어서 원심력이 커져 회전력을 조장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축의 회전 속도를 높여, 더 회전시키려고 하는 움직임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전달 기구에 구비되는 각 부재에 있어서 미끄럼 이동성의 저하 등, 기구의 동작을 방해하는 무언가의 원인이 발생하고 있던 경우에도 기구를 작동시키려고 하는 힘을 강하게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연결 축봉에 편심된 회전을 발생시키는 구체적인 수단은 특별히 한정시키는 일 없이, 고려되는 공지의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축봉의 단면 형상에 착안하면, 연결 축봉의 회전 중심과 연결 축봉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무게 중심 위치를 어긋나도록 구성한다. 당해 위치의 어긋남량이 클수록 편심의 정도도 크다.
한편 연결 축봉의 길이 방향에 착안하면,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축봉(41)과 동심이 아닌 편심용 부재(41')를 단수, 또는 복수 배치하거나, 연결 축봉 자체를 만곡시키거나, 연결봉 자체에 구부린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방수판 장치(201)에 구비되는 부재 중, 도 6에 상당하는 도면를 도시하였다. 즉, 도 12는, 집수 버킷(15)의 좌우 방향 일측 단부, 한쪽의 이동 스프로킷(37), 한쪽의 매달아 올리기 체인(32)의 일부 및 한쪽의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240)에 주목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방수판 장치(201)에는 이것과 대향하도록 타측에도 마찬가지의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방수판 장치(201)는, 상기한 방수판 장치(1)의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40) 대신에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240)이 적용되는 점에서 다르고, 다른 부재는 마찬가지의 것이 사용된다. 당해 마찬가지의 부재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240)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집수 버킷의 경사를 직접 제한하는 수단에 의한 경사 억제의 일례이며, 2개의 가이드 롤러(241, 242)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롤러(241, 242)는, 차륜(241a, 242a)과, 상기 차륜(241a, 242a)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기재(241b, 242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241)는 도 1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집수 버킷(15) 중, 이동 스프로킷(37)이 배치되어 있는 면의 상부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재(241b)가 집수 버킷(15)에 고정되고, 차륜(241b)이 집수 피트 내면(13a)측을 향해 배치된다.
가이드 롤러(242)는 도 1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집수 버킷(15) 중, 이동 스프로킷(37)이 배치되어 있는 면의 하부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재(242b)가 집수 버킷(15)에 고정되고, 차륜(242b)이 집수 피트 내면(13a)측을 향해 배치된다.
여기서 차륜(241a, 242a)과 집수 피트 내면(13a)은 반드시 항상 접하고 있을 필요는 없지만, 그 간극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집수 버킷(15)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240)에 따르면, 좌우 방향 양쪽의 각각에 구비된 가이드 롤러(241, 242)가 집수 피트 내면(13a)에 접하고 있거나, 또는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으므로, 집수 버킷(15)이 경사지는 것 자체가 제한된다. 이때, 가이드 롤러(241, 242)는 차륜(241a, 242a)에 의해 집수 피트 내면(13a)에 접하므로, 집수 버킷(15)의 상하 이동이 저해되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해, 집수 버킷(15) 및 방수판(16)의 경사가 억제되어, 원활한 동작의 확실성이 높아진다.
1 : 방수판 장치
2 : 통로 개폐부
3 : 기구 수용부
13 : 집수 피트
14 : 방수판 수용 피트
15 : 집수 버킷
16 : 방수판
31 : 전달 기구
32 : 매달아 올리기 체인(체인)
35 : 제1 가이드 스프로킷
36 : 제2 가이드 스프로킷
37 : 이동 스프로킷(스프로킷 기어)
40 : 집수 버킷 경사 방지 수단
41 : 연결 축봉
42 : 베어링
101 : 방수판 장치
140 : 집수 버킷 경사 방지 수단
201 : 방수판 장치
240 : 집수 버킷 경사 방지 수단

Claims (4)

  1. 통로로부터 건물 등으로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노면으로부터 상승하여 물을 막는 것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방수판과,
    상기 방수판을 수용 가능하게 상기 노면보다 아래에 형성되는 홈 형상의 방수판 수용 피트와,
    상기 방수판 수용 피트가 형성되는 통로에 설치되어, 침수시에 물이 유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홈 형상의 집수 피트와,
    상기 집수 피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집수 피트로 유입된 물을 저류하고, 저류된 물의 중량에 의해 상기 집수 피트 내를 하강 가능하게 형성되는 용기인 집수 버킷과,
    상기 방수판과 상기 집수 버킷을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통해 연결하고, 상기 집수 버킷이 상기 하강하는 힘을 상기 방수판이 상기 상승하는 힘으로 변환하는 기구인 전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 기구 또는 상기 집수 버킷에는, 상기 집수 버킷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는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방수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기구는, 상기 방수판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2개 설치되고,
    상기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은, 상기 2개의 전달 기구를 동기시킴으로써 상기 집수 버킷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기구는, 상기 방수판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2개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전달 기구는, 상기 방수판과 상기 집수 버킷을 연결하는 체인과, 상기 집수 버킷에 배치되고, 상기 체인을 권취하는 기어인 스프로킷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집수 버킷 경사 억제 수단은, 상기 대향하여 설치되는 상기 전달 기구에 구비되는 상기 스프로킷 기어의 회전축끼리를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통해 연결하는 축 부재인 연결 축봉을 구비하고 있는, 방수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축봉은 상기 집수 버킷이 상승한 자세에 있어서도 지면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판 장치.
KR1020137023005A 2012-01-31 2012-05-10 방수판 장치 KR101537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18293A JP5785107B2 (ja) 2012-01-31 2012-01-31 防水板装置
JPJP-P-2012-018293 2012-01-31
PCT/JP2012/062066 WO2013114640A1 (ja) 2012-01-31 2012-05-10 防水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102A true KR20140027102A (ko) 2014-03-06
KR101537881B1 KR101537881B1 (ko) 2015-07-17

Family

ID=4890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005A KR101537881B1 (ko) 2012-01-31 2012-05-10 방수판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93433B2 (ko)
EP (1) EP2811100A4 (ko)
JP (1) JP5785107B2 (ko)
KR (1) KR101537881B1 (ko)
CN (1) CN103403286B (ko)
HK (1) HK1186507A1 (ko)
TW (1) TW201331453A (ko)
WO (1) WO20131146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867A (ko) * 2018-05-21 2019-11-2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 튀김 방지용 보행자 안전휀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10420B (zh) * 2013-07-24 2015-10-28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多工位卷闸式升降自动防淹挡板结构
US9303448B2 (en) * 2013-10-23 2016-04-05 Zachary Dax Olkin Flood shield systems and methods
CN103498450B (zh) * 2013-10-23 2015-08-05 张卫 自动防涝闸门
JP6386731B2 (ja) * 2014-01-15 2018-09-05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止水装置
JP6456074B2 (ja) * 2014-09-02 2019-01-23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遮水板および開口部の防水装置
CN104294799B (zh) * 2014-10-01 2016-10-05 广州珠江外资建筑设计院有限公司 建筑地下设施自动隔水结构
TWM496634U (zh) * 2014-10-07 2015-03-01 guo-ji Zhang 自動化之液體洩漏圍阻系統
JP6348866B2 (ja) * 2015-03-31 2018-06-27 株式会社ノムラフォーシーズ 防水装置
KR101651793B1 (ko) * 2015-12-17 2016-08-26 (주) 대력에프에이에스 튜브 수문 모듈
JP6773308B2 (ja) * 2016-04-01 2020-10-21 シバタ工業株式会社 防水扉構造体
CN105756535B (zh) * 2016-04-21 2017-10-17 高瞻 一种双挡水板结构的顶降式防汛挡水门
CN106014161A (zh) * 2016-07-08 2016-10-12 高瞻 一种顶降式挡水门
US20180016809A1 (en) * 2016-07-18 2018-01-18 Patrick Hyland Retractable Fence Assembly
CN106437461B (zh) * 2016-09-20 2018-10-16 王奔 一种用于防洪工程的防洪设备
JP6765755B2 (ja) * 2016-09-28 2020-10-07 三基工業株式会社 軽量止水パネルを備えた止水装置
AT519923B1 (de) * 2017-05-02 2020-10-15 Amari Austria Gmbh Dammvorrichtung mit einem vertikal verlagerbaren Dammkörper zur Rückhaltung von Wasser
CN107237594B (zh) * 2017-06-09 2018-10-12 上海理工大学 循环式高度调节阻水装置
CN107762712B (zh) * 2017-11-20 2019-04-26 厦门中宸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地下建筑的自发电自动隔水装置
CN107869178B (zh) * 2017-11-20 2019-08-30 广州德晟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用地下设施自动隔水系统
CN110552328B (zh) * 2019-10-17 2021-02-09 扬州大学 一种具有分层取水功能的叠梁式闸门及其工作方法
CN110552330A (zh) * 2019-10-17 2019-12-10 扬州大学 一种具有分层取水功能的河道闸门及其工作方法
CN113719216A (zh) * 2021-08-05 2021-11-30 北京和居智能窗业科技有限公司 一种具备应急通风功能的厨房用平开窗及方法
CN114156741A (zh) * 2021-12-18 2022-03-08 江苏欧达电气有限公司 一种智能温控电力户外箱
KR102656340B1 (ko) * 2022-06-03 2024-04-11 황창국 승강식 차수문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71233A (en) * 1926-04-30 1927-05-26 Robert Arnold Blakeborough An improvement in or relating to sluice gates
US4576507A (en) * 1984-11-28 1986-03-18 Terio Charles J Terrorist vehicle barrier
JP3352396B2 (ja) * 1998-06-16 2002-12-03 有限会社只埜工業 水路の仕切装置
EP1273712A1 (de) * 2001-07-05 2003-01-08 Klaus Wolfgang Scheibe Mobiles Hochwasserschutzsystem
US20030026659A1 (en) * 2001-08-01 2003-02-06 Chun-Ching Wu Water gate opened and closed by oil pressure
JP4073195B2 (ja) * 2001-10-24 2008-04-09 有限会社ノムラフォーシーズ 水圧駆動式の防水装置
JP4644734B2 (ja) * 2008-12-15 2011-03-02 信行 菅本 水防装置
US20130094906A1 (en) * 2010-06-14 2013-04-18 Cornelis Elisabeth Rijlaarsdam Water barr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867A (ko) * 2018-05-21 2019-11-2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 튀김 방지용 보행자 안전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40340A1 (en) 2013-12-26
EP2811100A1 (en) 2014-12-10
KR101537881B1 (ko) 2015-07-17
TW201331453A (zh) 2013-08-01
CN103403286A (zh) 2013-11-20
JP5785107B2 (ja) 2015-09-24
US8893433B2 (en) 2014-11-25
WO2013114640A1 (ja) 2013-08-08
CN103403286B (zh) 2015-04-08
EP2811100A4 (en) 2015-11-11
JP2013155553A (ja) 2013-08-15
HK1186507A1 (en) 201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7102A (ko) 방수판 장치
JP3977848B2 (ja) 浮体利用の簡易防水板
JP2010138668A (ja) 水防装置
JP6187217B2 (ja) 防水扉装置
KR102513019B1 (ko) 맨홀 추락 방지용 안전 발판
BR102014029881A2 (pt) extrator de sumo de tipo de acionamento superior
JP4459740B2 (ja) 浸水防止機能を備えたシャッタ装置
JP6461699B2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KR101516182B1 (ko) 바스킷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 샘플링 장치
JP5990370B2 (ja) 防水板装置
JP4829666B2 (ja) 防水装置
JP2015227739A (ja) 空調ダクトの止水ダンパ
JP6114073B2 (ja) 浸水防止装置
KR100765835B1 (ko) 친환경적인 건축용 난간
JP6595159B2 (ja) 開口部装置
JP5416872B1 (ja) 貯水タンク循環方式の重力発電システムおよび重力発電システム群
JP4436230B2 (ja) 建物の出入口部虫侵入防止用開閉装置
JP5247341B2 (ja) 防火ドア
JP7097724B2 (ja) 横辷り出し窓
JP2006028940A (ja) 建物の出入口部開閉装置
JP6092585B2 (ja) 防水板装置
KR20100084243A (ko) 엘리베이터용 도어 장치
JP2007146537A (ja) 窓装置
JP2020051104A (ja) シャッター装置
JP2005256286A (ja) オーバヘッド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