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4223A - 런플랫 타이어 - Google Patents

런플랫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4223A
KR20140024223A KR1020130096663A KR20130096663A KR20140024223A KR 20140024223 A KR20140024223 A KR 20140024223A KR 1020130096663 A KR1020130096663 A KR 1020130096663A KR 20130096663 A KR20130096663 A KR 20130096663A KR 20140024223 A KR20140024223 A KR 20140024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display space
display
dimple
l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9089B1 (ko
Inventor
나오키 유카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4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009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comprising sidewall rubber inserts, e.g. crescent shaped inserts
    • B60C17/0045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comprising sidewall rubber inserts, e.g. crescent shaped inserts comprising grooves or ribs, e.g. at the inner side of th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1Shape of the shoulders between tread and sidewall, e.g. rounded, stepped or cantilev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01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2Arrangement of grooves or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009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comprising sidewall rubber inserts, e.g. crescent shape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8Means facilitating folding of sidewalls, e.g. run-flat side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5/0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 B60C5/12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 B60C5/14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with impervious liner or coating on the inner wall of the tyre
    • B60C5/142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with impervious liner or coating on the inner wall of the tyre provided partially, i.e. not covering the whole inn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2Seating or securing beads on rims
    • B60C15/024Bead contour, e.g. lips, grooves, or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009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comprising sidewall rubber inserts, e.g. crescent shaped inserts
    • B60C2017/0054Physical properties or dimensions of the inserts
    • B60C2017/0063Modulus; Hardness; Loss modulus or "tangens del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런플랫 타이어는, 법규에 적합하면서 런플랫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사이드월부의 외측면에 딤플/핀 형성 영역을 마련한 런플랫 타이어에 있어서, 딤플/핀 형성 영역의 반경 방향 내외에, 제1, 제2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을 마련한다. 제1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에는, 법규 표시 스페이스 중 UTQG 표시 스페이스 이외의 주법규 표시 스페이스를 포함하는 제1 표시 스페이스가 형성된다. 제2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에는, 비법규 표시 스페이스 및/또는 UTQG 표시 스페이스를 포함하는 제2 표시 스페이스가 형성된다. 림 라인으로부터, 반경 방향 최내측 딤플/핀 열의 반경 방향 내단까지의 타이어 반경 방향의 높이(Ha)를 8 mm∼17 mm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런플랫 타이어{RUNFLAT TIRE}
본 발명은, 런플랫 내구 성능을 향상시킨 런플랫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펑크 등에 의해 타이어 내의 공기가 빠진 상태라 하더라도 비교적 장거리를 주행할 수 있는 런플랫 타이어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사이드월부에, 단면이 초승달형인 사이드 보강 고무층이 마련된 사이드 보강 타입의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런플랫 타이어라 하더라도, 런플랫 주행시의 사이드월부는 큰 굴곡 변형을 받아, 주행 거리 및/또는 속도의 증가와 함께 발열하여, 사이드 보강 고무층의 파괴 등이 발생하여 주행 불능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최근, 사이드월부의 외표면에, 오목형으로 함몰된 딤플(dimple)을 복수 개 마련한 런플랫 타이어가 제안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한편, 딤플 대신에, 볼록 리브형의 핀(fin)을 마련한 것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런플랫 타이어는, 상기 딤플이나 핀에 의해, 사이드월부의 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주행중, 딤플이나 핀의 표면에서 난류를 발생시켜, 보다 차가운 공기를 사이드월부의 표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상승 효과에 의해,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자의 연구 결과, 런플랫 주행시, 비드부측에서의 축열이 치명적인 경우가 많으며, 그 경우에는, 보다 비드부측에 딤플이나 핀을 형성함으로써 런플랫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규명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공기 타이어에 있어서는, 타이어를 판매하는 지역의 법규에 합치하기 위해, 사이드월부의 비드부측의 장소에, 상기 법규에 의해 표기가 의무화된 법규 표시 내용을 표시하는 법규 표시 스페이스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공기 타이어에서는, 상기 법규 표시 스페이스 이외에, 법규에 의해 표기가 의무화되지 않은 비법규 표시 내용을 표시한 비법규 표시 스페이스도, 상기 사이드월부의 비드부측에 한데 모아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딤플이나 핀을 비드부측에 형성하기가 어려워져, 런플랫 내구성의 더 많은 향상을 방해해 왔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98397호 공보
여기서 본 발명은, 비법규 표시 스페이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딤플/핀 형성 영역의 반경 방향 외측의 제2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에 형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딤플이나 핀을 보다 비드부측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런플랫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런플랫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있어서, 트레드부로부터 양측의 사이드월부를 거쳐 비드부의 비드 코어에 이르는 카커스와, 상기 카커스의 내측이며 상기 사이드월부에 배치되는 단면이 초승달형인 사이드 보강 고무층을 구비하는 런플랫 타이어로서,
림 라인보다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이며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표면에,
딤플 또는 핀으로 이루어지는 냉각용 딤플/핀부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딤플/핀 열이 1열 이상 형성된 딤플/핀 형성 영역,
상기 딤플/핀 형성 영역과 상기 림 라인 사이에 배치되며, 제1 표시 스페이스가 형성되는 제1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 및
상기 딤플/핀 형성 영역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제2 표시 스페이스가 형성되는 제2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표시 스페이스는, 법규에 의해 표기가 의무화된 법규 표시 내용이 표시된 법규 표시 스페이스 중 UTQG(Uniform Tire Quality Grading) 이외의 법규 표시 내용이 표시된 주법규 표시 스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스페이스는, 상기 법규에 의해 표기가 의무화되지 않은 비법규 표시 내용이 표시된 비법규 표시 스페이스 및/또는 상기 UTQG가 표시된 표시 스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림 라인으로부터, 타이어 반경 방향 최내측 딤플/핀 열의 타이어 반경 방향 내단까지의 타이어 반경 방향의 높이(Ha)를 8 mm∼17 mm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높이(Ha)는 8 mm∼14 mm이고, 상기 제1 표시 스페이스는, 그 반경 방향 폭(Hb)이 상기 높이(Ha)를 초과하는 대형 표시 스페이스를 가지며, 상기 타이어 반경 방향 최내측 딤플/핀 열은, 상기 대형 표시 스페이스와 간섭하는 위치의 딤플/핀부를 삭제하거나, 또는 간섭하는 위치의 딤플/핀부에서의 간섭하는 부분을 삭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법규 표시 스페이스는, 「최대 허용 압력, 최대 부하 능력」을 표시하는 표시 스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최대 허용 압력, 최대 부하 능력」의 표시 스페이스를, 「최대 허용 압력」의 표시 스페이스 부분과 「최대 부하 능력」의 표시 스페이스 부분으로 구분하고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상기 높이(Ha)를 8 mm∼10 mm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딤플/핀 형성 영역은, 상기 딤플/핀 열을 타이어 반경 방향으로 2열 이상 구비하고, 타이어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딤플/핀 열은, 딤플/핀부의 배열의 위상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보강 고무층은, 복소 탄성률(E*)이 6 MPa∼12 MPa, 손실 탄젠트(tanδ)가 0.02∼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있어서, 타이어 내강면에 공기 비투과성의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이너 라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이너 라이너는, 상기 사이드 보강 고무층의 타이어 반경 방향 내단부와 외단부 사이에서는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스페이스 및/또는 제2 표시 스페이스는, 사이드월부의 외표면으로부터 함몰된 오목면에, 그 표시 내용이 각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타이어의 각 부분의 치수 등은, 비 림 조립 상태에 있어서, 타이어 사이즈로 규정되는 림 폭에 맞추어 비드부를 유지했을 때에 특정되는 값으로 한다.
또한 복소 탄성률(E*) 및 손실 탄젠트(tanδ)는, JIS-K6394의 규정에 준하여, 다음에 나타낸 조건으로 「점탄성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초기 변형(10%), 진폭(±1%), 주파수(10 Hz), 변형 모드(인장), 측정 온도(70℃).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딤플/핀 형성 영역의 반경 방향 내측, 외측에 제1, 제2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제1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에는 법규 표시 스페이스를 포함하는 제1 표시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제2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에는 비법규 표시 스페이스인 제2 표시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있다. 단 US 사양의 타이어에서는, 법규 표시 스페이스 중 UTQG의 표시 내용만, 버트레스측에 표기가 의무화되어 있기 때문에, US 사양의 타이어의 경우에만, UTQG의 표시 스페이스는, 제2 표시 스페이스로서 상기 비법규 표시 스페이스와 함께 제2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의 반경 방향의 영역 폭을 줄여, 상기 높이(Ha)를 17 mm 이하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딤플/핀부를 보다 비드부측에 근접시켜 형성할 수 있고, 판매하는 지역의 법규에 적합하면서, 런플랫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런플랫 타이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사이드월부의 외표면을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4의 (A),(B)는 딤플/핀부가 딤플인 경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딤플/핀부가 핀인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 (B)는 높이(Ha)를 더 줄이기 위한 수단(A, B)을 설명하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높이(Ha)를 더 줄이기 위한 다른 수단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런플랫 타이어(1)는, 트레드부(2)로부터 양측의 사이드월부(3)를 거쳐 비드부(4)의 비드 코어(5)에 이르는 카커스(6)와, 이 카커스(6)의 내측이며 상기 사이드월부(3)에 배치되는 단면이 초승달형인 사이드 보강 고무층(10)을 구비한다.
상기 카커스(6)는, 카커스 코드를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해서, 예컨대 75°∼90°의 각도로 배열한 1장 이상, 본 예에서는 1장의 카커스 플라이(6A)로 형성된다. 이 카커스 플라이(6A)는, 상기 비드 코어(5, 5) 사이에 걸치는 트로이드형의 플라이 본체부(6a)와, 그 양단에 연속되며 상기 비드 코어(5)의 둘레에서 타이어 축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접히는 플라이 접힘부(6b)를 갖는다. 상기 플라이 본체부(6a)와 플라이 접힘부(6b) 사이에는 비드 에이펙스 고무(8)가 배치된다.
상기 비드 에이펙스 고무(8)는, 상기 비드 코어(5)로부터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끝이 가늘어지는 형태로 연장되는 삼각형의 단면을 이룬다. 비드 에이펙스 고무(8)는 고탄성의 고무로 이루어지며, 비드부(4)로부터 사이드월부(3)에 걸쳐 보강한다. 한편 상기 플라이 접힘부(6b)는, 상기 비드 에이펙스 고무(8)의 외단을 넘어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본 예의 플라이 접힘부(6b)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단부는, 카커스(6)와 벨트층(7) 사이에 끼워져 종단된다. 이에 따라, 타이어 강성이 높아져, 런플랫 주행시의 조종 안정성과 내구성의 확보에 공헌한다.
상기 벨트층(7)은, 카커스(6)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이며 트레드부(2)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벨트층(7)은, 벨트 코드를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예컨대 10°∼35° 정도로 배열한 2장 이상, 본 예에서는 2장의 벨트 플라이(7A, 7B)로부터 형성된다. 벨트층(7)으로는, 각 벨트 코드가 플라이간 상호 교차한다. 이에 따라 벨트 강성이 높아져, 트레드부(2)의 대략 전폭이 테 효과를 가져 보강된다.
본 예에서는, 고속 내구성을 높이는 목적으로, 상기 벨트층(7)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에 밴드층(9)이 형성된다. 상기 밴드층(9)은, 밴드 코드를 둘레 방향에 대하여 5도 이하의 각도로 나선형으로 권회시킨 1장 이상의 밴드 플라이(9A)로 형성된다. 밴드 플라이(9A)로서, 상기 벨트층(7)의 타이어 축방향 외단부만을 피복하는 좌우 한 쌍의 에지 밴드 플라이(9Aa) 및 벨트층(7)의 대략 전폭을 덮는 풀 밴드 플라이(9Ab)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밴드층(9)이 한 쌍의 에지 밴드 플라이(9Aa)와 1장의 풀밴드 플라이(9Ab)로 형성되는 경우가 예시된다.
상기 사이드 보강 고무층(10)은, 최대 두께(Tm)를 갖는 중앙부로부터 타이어 반경 방향 내외를 향해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연장되는 초승달형의 단면을 이룬다. 본 예의 사이드 보강 고무층(10)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단부(10E1)는, 상기 벨트층(7)의 타이어 축방향 외단을 넘어 타이어 축방향 내측으로 뻗는다. 이에 따라 벨트층(7)과의 중복부(Y1)가 형성된다. 또한, 사이드 보강 고무층(10)의 타이어 반경 방향 내단부(10E2)는 상기 비드 에이펙스 고무(8)의 외단을 넘어 타이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비드 에이펙스 고무(8)와의 중복부(Y2)가 형성된다.
이 중복부(Y1, Y2)에 의해, 상기 사이드 보강 고무층(10)에 의한 보강 효과가 훨씬 높아져, 런플랫 주행시의 조종 안정성과 내구성이 확보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중복부(Y1, Y2)의 중복 폭(Wy1, Wy2)은 5 mm∼5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5 mm 미만에서는 사이드 보강 고무층(10)이 효과적으로 기능하기 어렵고, 반대로 50 mm를 초과하면 타이어 질량이 불필요하게 증가하여, 연비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중복 폭(Wy1, Wy2)의 하한은 10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상한은 40 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런플랫 주행시, 사이드 보강 고무층(10)에는 압축 하중이 작용하며, 반대로 사이드 보강 고무층(10)에 인접하는 카커스 플라이 본체부(6a)에는 인장 하중이 작용한다. 이 때, 사이드 보강 고무층(10)은 고무 집합체이므로, 압축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또한, 카커스 코드는 인장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다. 그 결과, 사이드월부(3)의 굽힘 강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고, 런플랫 주행시의 타이어의 세로 휨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런플랫 성능(조종 안정성과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보강 고무층(10)에서는, 복소 탄성률(E*)이 6 MPa∼12 MPa, 손실 탄젠트(tanδ)가 0.02∼0.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소 탄성률(E*)이 6 MPa를 밑돌면, 사이드월부(3)의 굽힘 강성이 부족하여 런플랫 성능을 저하시키는 경향을 초래한다. 혹은, 굽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이드 보강 고무층(10)의 고무 두께를 크게 해야만 해서 타이어 질량의 증가를 초래한다. 또한, 축열이 높아져 런플랫 내구성이 불리해진다. 반대로, 복소 탄성률(E*)이 12 MPa를 초과하면 승차감성에 불리함을 초래하고, 타이어 형성시의 고무의 가공성이 저하하여 생산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손실 탄젠트(tanδ)가 0.05를 초과하면 발열이 커져 런플랫 내구성이 불리해진다. 반대로 손실 탄젠트(tanδ)가 0.02를 밑돌면, 그에 연동하여 고무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런플랫 내구성이 불리해진다.
상기 사이드 보강 고무층(10)의 최대 두께(Tm)는 타이어의 카테고리나 사이즈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통상 3 mm∼20 mm의 범위이며, 승용차용 타이어의 경우 6 mm∼12 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타이어 내강면에는, 공기 비투과성의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이너 라이너(11)가 마련된다. 본 예의 이너 라이너(11)는, 상기 사이드 보강 고무층(10)의 타이어 반경 방향 내단부(10E2)와 외단부(10E1) 사이에서는 제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너 라이너(11)는, 트레드부(2)에 위치하는 위의 이너 라이너부(11a)와, 비드부(4)에 위치하는 아래의 이너 라이너부(11b)로 분할된다. 한편, 위의 이너 라이너부(11a)의 타이어 축방향 외단부는, 사이드 보강 고무층(10)의 외단부(10E1)와 중복부(Y3)를 형성한다. 또한, 아래의 이너 라이너부(11b)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단부는, 사이드 보강 고무층(10)의 내단부(10E2)와 중복부(Y4)를 형성한다. 상기 중복부(Y3, Y4)의 중복 폭(Wy3, Wy4)은, 5 mm∼15 mm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분할된 이너 라이너(11)는, 런플랫 주행시의 사이드 보강 고무층(10)의 발열을 타이어 내강으로 원활하게 배출시켜, 사이드 보강 고무층(1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또한, 이너 라이너(11)의 제거 부분에서는 사이드 보강 고무층(10)의 두께가 충분히 높으므로, 타이어 내강의 기밀성(공기 유지성)은 확보된다. 상기 중복 폭(Wy3, Wy4)이 15 mm를 초과하면, 상기 배열 효과가 줄어들고, 반대로 5 mm를 밑돌면 기밀성(공기 유지성)에 악영향을 끼친다.
다음,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런플랫 타이어(1)에서는, 림 라인(12)보다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이며 상기 사이드월부(3)의 외표면(3S)에, 딤플/핀 형성 영역(Qa)과, 제1, 제2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Qb, Qc)이 마련된다.
상기 림 라인(12)이란, 주지한 바와 같이, 림 조립 시에, 타이어와 림이 적정하게 조합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비드측의 외표면에 마련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는 선이다. 이 림 라인(12)의 비드 베이스라인(BL)으로부터의 반경 방향 높이(H1)는, 일반적으로, 림 플랜지 높이의 약 1.2배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딤플/핀 형성 영역(Qa)은, 딤플(20a) 또는 핀(20b)으로 이루어지는 냉각용의 딤플/핀부(20)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딤플/핀 열(21)이 1열 이상 형성된 영역이다. 본 예에서는, 상기 딤플/핀 열(21)이, 타이어 반경 방향 내외에 2열 형성된 경우가 개시된다. 이러한 딤플/핀부(20)는, 표면적을 증대시키고, 주행 중에 공기의 난류를 발생시켜, 보다 차가운 공기를 사이드월부(3)의 표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 효과를 높인다. 상기 딤플/핀 열(21)이 복수 열 배치되는 경우에는, 타이어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딤플/핀 열(21)끼리는 딤플/핀부(20)의 배열의 위상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예컨대 1/2피치로 어긋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냉각 효과가 균일해지기 때문에 런플랫 내구성에 바람직하다.
본 예에서는 딤플/핀부(20)로서, 딤플(20a)이 채용되는 경우가 개시된다. 상기 딤플(20a)은, 상기 외표면(3S)에 오목하게 패인 곳이다. 상기 외표면(3S)에서의 딤플(20a)의 개구 형상으로서는, 예컨대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그러나 난류의 발생 효과, 나아가서는 방열 효과의 관점에서, 본 예와 같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이 보다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다각형(정사각형, 직사각형, 육각형 등)의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코너부(K)를 원호(22)로 형성하는 것이, 오염을 제거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원호(22)의 반경(r)은, 너무 작으면 오염이 막혀 제거하기 어려워지고, 반대로 너무 크면 원형상에 근접하기 때문에 방열 효과가 불리해진다. 따라서, 상기 반경(r)은, 상기 코너부(K)를 이루는 변 중, 짧은 쪽의 변의 길이(L)의 25%∼35% 정도가 바람직하다. 한편 다각형인 경우, 그 한 변의 길이는 2 mm∼20 mm가 바람직하고, 또한 원형의 경우, 그 직경은 2 mm∼20 mm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딤플(20a)의 깊이(h)는 0.5 mm∼3.0 mm가 바람직하다. 딤플(20a)에서는, 크랙 억제를 위해, 측면과 바닥면 사이는, 반경 0.7 mm∼3.0 mm 정도의 원호로 매끄럽게 접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딤플/핀부(20)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20b)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핀(20b)은, 상기 외표면(3S)에 볼록하게 마련되는 리브로서, 그 높이(d)는 0.5 mm∼3.0 mm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Qb)은, 제1 표시 스페이스(25)가 형성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딤플/핀 형성 영역(Qa)과 상기 림 라인(1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표시 스페이스(25)는, 법규에 의해 표기가 의무화된 법규 표시 내용이 표시된 법규 표시 스페이스(26) 중, UTQG 이외의 법규 표시 내용이 표시된 주법규 표시 스페이스(26A)를 포함한다.
이 UTQG의 표시 내용은, 미국 운수성이 규정한 타이어의 트레드부 마모, 트랙션, 내열성에 관한 표기로서, 버트레스측에의 표기가 의무화되어 있다. 따라서, US 사양의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UTQG의 표시 스페이스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상기 제2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Qc)에 형성된다.
상기 법규 표시 내용으로서는, 타이어를 판매하는 지역(국가를 포함함)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사이즈 표시」, 「브랜드명 표시」, 「DOT 스텐실 표시」, 「제조주 표시」, 「TUBELESS/TUBETYPE 표시」, 「레이디얼 표시」, 「스노우 타이어 표시」, 「REINFORCED/EXTRA LOAD 표시」, 「재료 표시」, 「최대 허용 내압, 최대 부하 능력 표시」, 「국가 인증 마크 표시」, 「E 넘버 표시」, 상기 「UTQG 표시」로 이루어지는 그룹 A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다.
여기서,
(a) 「사이즈 표시」는, 타이어 사이즈의 표시로서, 예컨대 「185/70R14 88S" 등으로서 표기된다.
(b) 「브랜드명 표시」는, 제품명이나 회사명의 표시이다.
(c) 「DOT 스텐실 표시」는, 운수성의 안전 기준을 준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로서, 예컨대 「DOT EU70AB」 등으로서 표기된다.
(d) 「제조주 표시」는, 타이어의 제조년주 등을 나타내는 표시로서, 예컨대 「3408」 등으로서 표기된다. 또한, 공장 코드, 사이즈 코드, 설계 코드 등과 함께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e) 「TUBELESS/TUBETYPE 표시」, 「레이디얼 표시」, 「스노우 타이어 표시」는 타이어가 TUBELESS 타이어, TUBETYPE 타이어, 레이디얼 타이어, 스노우 타이어인 것을 표기하고 있다.
(f) 「REINFORCED/EXTRA LOAD 표시」는, 유럽의 EXTRA LOAD 규격에 적합한 타이어인 것을 표시하며, 예컨대 「REINFORCED」 등으로서 표기된다.
(g) 「재료 표시」는, 타이어의 구성 재료를 나타내는 표시이다.
(h) 「최대 허용 내압, 최대 부하 능력 표시」는, 타이어의 최대 허용 내압 및 최대 부하 능력을 나타내는 표시로서, 예컨대 「MAX. PRESS. 350KPa」 「MAX. LOAD 800Kg」 등으로서 표기된다.
(i) 「국가 인증 마크 표시」는 국가가 승인한 것을 나타내는 표시로서, 예컨대 인도네시아의 SNI 마크, 중국의 CCCS 마크 등이 있다.
(j) 「E 넘버 표시」는 유럽이 승인한 것을 나타내는 표시로서, 예컨대 「e4」 등으로서 표기된다.
상기 그룹 A 중, 상기 법규 표시 내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법규에 의해 표기가 의무화되지 않은 비법규 표시 내용으로서, 그 중의 몇 개는 제1 표시 스페이스(25)로서 주법규 표시 스페이스(26A)와 함께 제1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Qb)에 표기된다.
또한, 상기 제2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Qc)은 제2 표시 스페이스(28)가 형성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딤플/핀 형성 영역(Qa)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 표시 스페이스(28)는, 상기 법규에 의해 표기가 의무화되지 않은 비법규 표시 내용이 표시된 비법규 표시 스페이스(27) 및/또는 상기 UTQG가 표시된 표시 스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주법규 표시 스페이스(26A)는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비법규 표시 스페이스(27)로서, 상기 그룹 A 내의 비법규 표시 내용을 표시한 비법규 표시 스페이스(27) 및 「세이프티 와닝(safety warning)」, 「런플랫용 주의 사항서」 등의 내용을 표시한 표시 스페이스를 들 수 있다.
(k) 「세이프티 와닝」은 타이어 사용상의 주의 사항서이고, 또한 「런플랫용 주의 사항서」는 런플랫 주행시의 주의 사항서이다.
이들 법규 표시 스페이스(26), 비법규 표시 스페이스(27)의 표시 내용은, 주지한 바와 같이, 문자, 기호, 도형으로 이루어지는 마킹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킹은, 종래와 동일하게 상기 외표면(3S) 상에 오목형 또는 볼록형으로 각인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월부(3)의 외표면(3S)에, 해당 외표면(3S)으로부터 함몰된 오목부(30)를 마련하고, 이 오목부(30)의 바닥면인 오목면(30S)에 상기 마킹을 각인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표시 스페이스(25) 및/또는 제2 표시 스페이스(28)는, 상기 외표면(3S)으로부터 움푹 들어간 오목면(30S)에 그 표시 내용을 각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타이어의 경량화와 표시 내용의 시각 인지성 향상에 유용하다.
이와 같이, 표시 영역을, 딤플/핀 형성 영역(Qa)의 타이어 반경 방향 내측, 외측의 제1, 제2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Qb, Qc)으로 분할했기 때문에, 판매하는 지역의 법규에 적합하면서, 제1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Qb)의 반경 방향 폭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림 라인(12)으로부터, 타이어 반경 방향 최내측 딤플/핀 열(21)의 타이어 반경 방향 내단까지의 타이어 반경 방향의 높이(Ha)를 8 mm∼17 mm 범위까지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Ha)를 17 mm 이하로 줄임으로써, 런플랫 내구성에 보다 영향이 큰 비드부측에서의 승온을 억제할 수 있어, 런플랫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예컨대 「제조주 표시」를 포함하는 몇 개의 표시 스페이스에서는, 그 표시 스페이스 형성용의 각인 금형을 타이어 가황 금형으로 교체 가능하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각인 금형이 너무 작으면, 그 교체 작업이 어려워지고, 금형 구조상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표시 스페이스의 반경 방향 폭은 적어도 6.4 mm 이상 필요하며, 이를 위해 상기 높이(Ha)를 8 mm 이상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높이(Ha)가 17 mm를 초과하면, 런플랫 내구성의 향상 효과가 낮아진다.
다음 타이어에서는, 디자인 가치를 높이기 위해, 제1 표시 스페이스(25) 중의, 예컨대 「브랜드명 표시」 등의 특정 표시 스페이스를 가능한 한 크게, 즉 그 반경 방향 폭(Hb)을 가능한 한 높게 설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경우에는, 하기의 수단(A, B)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수단(A)에서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특정 표시 스페이스를, 그 반경 방향 폭(Hb)이 상기 높이(Ha)를 초과하는 대형 표시 스페이스(25x)로서 형성한다. 그리고, 타이어 반경 방향 최내측 딤플/핀 열(21)에 있어서, 이 대형 표시 스페이스(25x)와 간섭하는 위치의 딤플/핀부(20x)만을 삭제한다. 동일 도면에는 삭제된 딤플/핀부(20x)가 파선으로 표시된다.
수단(B)에서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 반경 방향 최내측 딤플/핀 열(21)에 있어서, 상기 대형 표시 스페이스(25x)와 간섭하는 위치의 딤플/핀부(20x)에서의 간섭하는 부분(20x1)을 삭제한다. 동일 도면에는 간섭하는 부분(20x1)이 파선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대형 표시 스페이스(25)를 구비하면서, 상기 높이(Ha)를 14 mm 이하로 줄일 수 있다. 한편, 수단(A, B)을 병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표시 스페이스(25)에서는, 「최대 허용 압력, 최대 부하 능력」을 표시하는 표시 스페이스를 포함하는데, 종래에 있어서, 이 표시 스페이스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2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높이(Ha)의 저감의 방해가 되었다. 따라서, 이 표시 스페이스를 「최대 허용 압력」의 표시 스페이스 부분과 「최대 부하 능력」의 표시 스페이스 부분으로 구분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높이(Ha)를 10 mm 이하로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편의상 수단(C)이라고 부른다.
이상,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양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도 1에 도시한 구조를 이루는 런플랫 타이어(타이어 사이즈 235/55R18)를, 표 1의 사양으로 시험 제작했다. 그리고 각 시험에 사용할 타이어의 런플랫 내구성을 테스트하여 서로 비교했다. 각 타이어의 내부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딤플/핀부로는, 반경 방향 길이 8.8 mm, 둘레 방향 길이 20.0 mm, 깊이 3 mm의 직사각형의 딤플을 채용했다. 딤플/핀 열의 열수는 2열이다.
또한 비교예 1은, 제1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에, 전체 표시 스페이스(법규 표시 스페이스 및 비법규 표시 스페이스)를 형성한 종래 예이다. 비교예 2는, 제1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을 형성하지 않고, 림 라인을 따라 딤플/핀 형성 영역을 형성한 (Ha=0)으로 한 예이다. 실시예 1, 실시예 5는, 수단(A, C)를 채용함으로써, 법규에 적합하면서, 반경 방향 높이(Ha)를 8 mm로 줄인 예이다. 실시예 2는, 수단(A)을 채용함으로써, 법규에 적합하면서, 반경 방향 높이(Ha)를 10 mm로 줄인 예이다. 실시예 3은, 수단(B)을 채용함으로써, 법규에 적합하면서, 반경 방향 높이(Ha)를 14 mm로 줄인 예이다. 실시예 4는, 수단(A∼C)은 채용하지 않고, 법규에 적합하면서, 반경 방향 높이(Ha)를 17 mm로 한 예이다.
(1) 런플랫 내구성:
드럼 주행 시험기를 이용하여, 정규 림에 조립된 시험 제공용 런플랫 타이어를, 속도 80km/h, 내압 0kPa, 종하중 5.2kN의 조건으로 타이어를 주행시켰다. 그리고 타이어로부터 이음이 발생할 때까지의 주행 거리를, 비교예 1을 100으로 하는 지수로 평가했다. 지수가 클수록 내구성이 뛰어나다.
Figure pat00001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타이어는, 법규에 적합하면서, 런플랫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는, 제1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을 마련하지 않고, 림 라인을 따라 딤플/핀 형성 영역을 형성했기 때문에, 런플랫 내구성은 뛰어나지만, 마킹 내용은 법규에 적합하지 않다.
1 : 런플랫 타이어 1S : 타이어 내강면
2 : 트레드부 3 : 사이드월부
3S : 외표면 4 : 비드부
5 : 비드 코어 6 : 카커스
10 : 사이드 보강 고무층 10E1 : 외단부
10E2 : 내단부 11 : 이너 라이너
12 : 림 라인 20 : 딤플/핀부
20a : 딤플 20b : 핀
21 : 딤플/핀 열 22 : 원호
25 : 제1 표시 스페이스 26 : 법규 표시 스페이스
26A : 주법규 표시 스페이스 27 : 비법규 표시 스페이스
28 : 제2 표시 스페이스

Claims (7)

  1. 트레드부로부터 양측의 사이드월부를 거쳐 비드부의 비드 코어에 이르는 카커스와, 상기 카커스의 내측이며 상기 사이드월부에 배치되는 단면이 초승달형인 사이드 보강 고무층을 구비하는 런플랫 타이어로서,
    림 라인보다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이며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표면에,
    딤플(dimple) 또는 핀(fin)으로 이루어지는 냉각용 딤플/핀부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딤플/핀 열이 1열 이상 형성된 딤플/핀 형성 영역,
    상기 딤플/핀 형성 영역과 상기 림 라인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표시 스페이스가 형성되는 제1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 및
    상기 딤플/핀 형성 영역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제2 표시 스페이스가 형성되는 제2 표시 스페이스 형성 영역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표시 스페이스는, 법규에 의해 표기가 의무화된 법규 표시 내용이 표시된 법규 표시 스페이스 중 UTQG(Uniform Tire Quality Grading) 이외의 법규 표시 내용이 표시된 주법규 표시 스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스페이스는, 상기 법규에 의해 표기가 의무화되지 않은 비법규 표시 내용이 표시된 비법규 표시 스페이스와 상기 UTQG가 표시된 표시 스페이스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하며,
    상기 림 라인으로부터, 타이어 반경 방향 최내측의 딤플/핀 열의 타이어 반경 방향 내단까지의 타이어 반경 방향의 높이(Ha)를 8 mm∼17 mm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플랫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Ha)는 8 mm∼14 mm이고, 상기 제1 표시 스페이스는, 그 반경 방향 폭(Hb)이 상기 높이(Ha)를 초과하는 대형 표시 스페이스를 가지며, 상기 타이어 반경 방향 최내측의 딤플/핀 열은, 상기 대형 표시 스페이스와 간섭하는 위치의 딤플/핀부를 삭제하거나, 또는 간섭하는 위치의 딤플/핀부에서의 간섭하는 부분을 삭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플랫 타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법규 표시 스페이스는, 「최대 허용 압력, 최대 부하 능력」을 표시하는 표시 스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 허용 압력, 최대 부하 능력」의 표시 스페이스를, 「최대 허용 압력」의 표시 스페이스 부분과 「최대 부하 능력」의 표시 스페이스 부분으로 구분하며,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상기 높이(Ha)를 8 mm∼10 mm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플랫 타이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딤플/핀 형성 영역은, 상기 딤플/핀 열을 타이어 반경 방향으로 2열 이상 구비하고,
    타이어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딤플/핀 열은, 딤플/핀부의 배열의 위상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플랫 타이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보강 고무층은, 복소 탄성률이 6 MPa∼12 MPa, 손실 탄젠트(tanδ)가 0.02∼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플랫 타이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이어 내강면에 공기 비투과성의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이너 라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이너 라이너는, 상기 사이드 보강 고무층의 타이어 반경 방향 내단부와 외단부 사이에서는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플랫 타이어.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스페이스와 제2 표시 스페이스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사이드월부의 외표면으로부터 함몰된 오목면에, 그 표시 내용이 각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플랫 타이어.
KR1020130096663A 2012-08-20 2013-08-14 런플랫 타이어 KR101959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81827 2012-08-20
JP2012181827A JP5809611B2 (ja) 2012-08-20 2012-08-20 ランフラットタ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223A true KR20140024223A (ko) 2014-02-28
KR101959089B1 KR101959089B1 (ko) 2019-03-15

Family

ID=4899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663A KR101959089B1 (ko) 2012-08-20 2013-08-14 런플랫 타이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69666B2 (ko)
EP (1) EP2700513B1 (ko)
JP (1) JP5809611B2 (ko)
KR (1) KR101959089B1 (ko)
CN (1) CN1036252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8303B2 (ja) * 2012-10-16 2016-02-2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KR101871558B1 (ko) * 2012-12-06 2018-06-27 친 코크 얍 통합 공급 체인 건물
JP6281194B2 (ja) * 2013-07-03 2018-02-2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162023B2 (ja) * 2013-10-28 2017-07-1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ランフラットラジアルタイヤ
JP6454471B2 (ja) * 2014-02-03 2019-01-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ランフラットラジアルタイヤ
JP6312543B2 (ja) 2014-07-15 2018-04-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2016107937A (ja) * 2014-12-10 2016-06-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建設車両用タイヤ
DE102015209061A1 (de) * 2015-05-18 2016-11-24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mit Notlaufeigenschaften
DE102015211889A1 (de) 2015-06-26 2016-12-29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mit Notlaufeigenschaften
JP6634833B2 (ja) * 2016-01-07 2020-01-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10494276B (zh) * 2017-04-20 2021-10-01 横滨橡胶株式会社 充气轮胎的制造方法、轮胎模具和充气轮胎
US11225112B2 (en) 2017-07-24 2022-01-18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Sidewall treatment for cooling and aerodynamics
JP6934354B2 (ja) * 2017-08-09 2021-09-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CN111108007B (zh) * 2017-10-04 2021-01-08 横滨橡胶株式会社 充气轮胎
JP6910284B2 (ja) * 2017-12-18 2021-07-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CN112313093B (zh) * 2018-06-25 2022-10-25 株式会社普利司通 缺气保用轮胎
JP6537030B1 (ja) * 2019-01-30 2019-07-0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7136746B2 (ja) * 2019-06-11 2022-09-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7352449B2 (ja) * 2019-11-15 2023-09-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ランフラットタイヤ
US11065919B1 (en) * 2020-08-20 2021-07-20 King Abdulaziz University Sealing device for tubeless tir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8992A (ja) * 2005-09-30 2007-04-19 Sumitomo Rubber Ind Ltd ランフラット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98397A (ja) 2008-05-16 2009-12-24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10155576A (ja) * 2008-12-29 2010-07-15 Sumitomo Rubber Ind Ltd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2012076555A (ja) * 2010-09-30 2012-04-19 Bridgestone Corp 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37461A (ko) * 1950-09-13
BE550658A (ko) * 1955-08-30
JPH07108610B2 (ja) * 1989-10-27 1995-11-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安全タイヤ
JP2983606B2 (ja) * 1990-10-16 1999-11-2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3645277B2 (ja) * 1992-12-24 2005-05-1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3614973B2 (ja) * 1995-04-19 2005-01-2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多数のリッジによる装飾体を備えた空気入りタイヤ
JPH1058925A (ja) * 1996-08-21 1998-03-03 Bridgestone Corp サイド部下方領域に多数のディンプルを備えた空気入りタイヤ
JP2000198324A (ja) * 1998-12-28 2000-07-18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US6988522B2 (en) * 2002-12-12 2006-01-24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elf-supporting pneumatic tire with a partial inner liner
JP2006082572A (ja) * 2004-09-14 2006-03-30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ホイール・サポートリング組立体及び該タイヤ・ホイール・サポートリング組立体へのランフラット表示手段取り付け方法
JP5081477B2 (ja) * 2007-03-12 2012-11-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DE102007012401A1 (de) * 2007-03-15 2008-09-18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Fahrzeugluftreifen mit Notlaufeigenschaften
JP2008302716A (ja) * 2007-06-05 2008-12-18 Yokohama Rubber Co Ltd:The 氷雪路用空気入りタイヤ
US9016340B2 (en) 2007-07-30 2015-04-28 Bridgestone Corporation Pneumatic tire
JP5007173B2 (ja) * 2007-07-30 2012-08-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DE102007055434A1 (de) * 2007-11-21 2009-05-28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Fahrzeugluftreifen
JP5222551B2 (ja) * 2007-12-28 2013-06-2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4919974B2 (ja) * 2008-01-04 2012-04-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サイド部補強層及びランフラットタイヤ及びサイド部補強層の製造方法
JP2010042739A (ja) * 2008-08-11 2010-02-25 Bridgestone Corp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2010125886A (ja) * 2008-11-25 2010-06-10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5317667B2 (ja) * 2008-12-19 2013-10-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10167832A (ja) * 2009-01-20 2010-08-05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2012254706A (ja) * 2011-06-08 2012-12-27 Bridgestone Corp タイヤ側面の照射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8992A (ja) * 2005-09-30 2007-04-19 Sumitomo Rubber Ind Ltd ランフラット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98397A (ja) 2008-05-16 2009-12-24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10155576A (ja) * 2008-12-29 2010-07-15 Sumitomo Rubber Ind Ltd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2012076555A (ja) * 2010-09-30 2012-04-19 Bridgestone Corp 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089B1 (ko) 2019-03-15
JP5809611B2 (ja) 2015-11-11
JP2014037214A (ja) 2014-02-27
US20140048193A1 (en) 2014-02-20
US9669666B2 (en) 2017-06-06
EP2700513B1 (en) 2016-10-12
EP2700513A1 (en) 2014-02-26
CN103625221B (zh) 2017-05-24
CN103625221A (zh)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4223A (ko) 런플랫 타이어
KR101972175B1 (ko) 런 플랫 타이어
JP5589015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150136296A1 (en) Pneumatic Tire
US9862235B2 (en) Pneumatic tire
WO2013038903A1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5722899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0280322A (ja) 空気入りタイヤ
JP5299913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9055702A (ja) 空気入りタイヤ
JP6079622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140044936A (ko) 공기 타이어
US9849732B2 (en) Pneumatic tire with side wall having circumferential rows of dimples
JP6408333B2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6480699B2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5536259B1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6046947B2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5497721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480698B2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US10086658B2 (en) Run-flat tire
JP2014196068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3028320A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