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4057A - 림 조립체 및 타이어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림 조립체 및 타이어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4057A
KR20140024057A KR1020147001370A KR20147001370A KR20140024057A KR 20140024057 A KR20140024057 A KR 20140024057A KR 1020147001370 A KR1020147001370 A KR 1020147001370A KR 20147001370 A KR20147001370 A KR 20147001370A KR 20140024057 A KR20140024057 A KR 20140024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support member
pin
reference plan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3490B1 (ko
Inventor
마코토 다치바나
지로 아가와
모리히로 이마무라
다츠야 우에다
요시노리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4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01M17/021Tyre supporting devices, e.g. 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Abstract

이 림 조립체는, 제1 기준면이 형성된 제1 림과, 제2 기준면이 형성된 제2 림과, 상기 제1 림에 있어서 제1 기준면에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삽입 관통부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과, 상기 제1 기준면 또는 상기 제2 기준면 중 한쪽 면에 기립 설치되는 핀과, 상기 제1 기준면 또는 상기 제2 기준면 중 다른 쪽 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제1 기준면에 설치된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기준면에 설치된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핀의 외주면 주위에, 상기 돌출부가 결합되는 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로부터 상기 돌출부가 이격되었을 때에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접촉하고, 상기 홈부에 상기 돌출부가 결합되었을 때에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이격된다.

Description

림 조립체 및 타이어 시험 장치 {RIM ASSEMBLY AND TIRE TESTING MACHINE}
본 발명은, 시험 대상인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 조립체 및 타이어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1월 12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04504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타이어 시험 장치에는, 타이어의 균일성을 측정하는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나, 타이어의 밸런스를 측정하는 타이어 밸런스 측정 장치가 있다. 타이어 시험 장치에 의한 측정에 있어서, 시험 대상인 타이어를 장착하는 림 조립체는, 비드 직경이나 비드 폭에 따라서 타이어의 종류별로 교환된다.
일반적으로, 림 조립체는, 서로 착탈 가능한 하부 림(제1 림) 및 상부 림(제2 림)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하부 림과 상부 림은, 대략 원기둥 형상 내지 대략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정 대상 타이어의 종류가 많은 경우 등에 대응하기 위해, 림 조립체의 교환 시간의 단축화나 교환 작업의 생력화를 목적으로 하여, 자동으로 림 조립체를 교환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특허문헌 1 내지 3에서는, 림 교환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2661753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3-110138호 공보 일본 특허 제3672135호 공보
하부 림과 상부 림을 축선 방향으로 착탈하기 위해, 이른바 바요넷식 접합부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접합부는, 예를 들어 하부 림에 설치된 갈고리(핀)와, 상부 림 내에 설치되어 갈고리에 결합되는 수용부(돌출부)로 구성되어 있다. 갈고리를 상부 림 내에 삽입하고, 림끼리를 비틂으로써, 갈고리의 선단부가 수용부에 결합되어, 림끼리가 접속된다.
림 조립체를 교환할 때에 림 조립체를 스핀들(삽입 관통부)에 장착하기 위해, 스핀들을 하부 림 및 상부 림 각각의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시키는 경우가 있다. 관통 구멍과 스핀들의 간극이 작은 경우에는, 하부 림의 관통 구멍의 내주면이 스핀들에 접촉하여 하부 림이 기울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스핀들에 하부 림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없게 된다. 이때에는, 상부 림을 조작하여 수용부로 갈고리를 압입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갈고리에 큰 힘이 작용하면, 갈고리가 변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부 림을 하부 림측으로 압입한 경우라도, 압입한 힘이 핀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한 림 조립체 및 타이어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림 조립체의 제1 실시 형태는,
타이어 시험 장치의 삽입 관통부에 삽입 관통되는 동시에, 시험 대상인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 조립체이며,
제1 기준면이 형성된 제1 림과,
제2 기준면이 형성된 제2 림과,
상기 제1 림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면에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삽입 관통부가 삽입 관통 가능한 관통 구멍과,
상기 제1 기준면 또는 상기 제2 기준면 중 한쪽에 기립 설치되고, 자신의 외주면 주위에 홈부가 형성된 핀과,
상기 제1 기준면 또는 상기 제2 기준면 중 다른 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준면에 상기 제2 기준면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림에 대해 상기 제1 림을 상기 제1 림의 축선 주위로 상대적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상기 홈부에 결합 가능한 돌출부와,
상기 제1 기준면에 설치된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기준면에 설치되고, 상기 홈부 내에 상기 돌출부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준면과 상기 제2 기준면이 서로 접근하여 상기 홈부의 양 측면으로부터 상기 돌출부가 이격되었을 때에,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기준면과 상기 제2 기준면이 서로 이격되어 상기 홈부의 양 측면에 상기 돌출부가 결합되었을 때에, 상기 제1 지지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홈부 내에 돌출부를 배치한 상태에서 제2 림의 하방에 제1 림을 현수하면, 홈부의 양측 측면에 돌출부가 결합됨으로써 제2 림에 의해 제1 림이 지지된다.
제2 림의 하방에 제1 림을 지지한 상태에서, 제1 림의 관통 구멍에 타이어 시험 장치의 삽입 관통부를 삽입 관통시키면, 관통 구멍과 삽입 관통부의 간극이 작은 경우 등에는 관통 구멍 내에 삽입 관통부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2 림을 조작하여 제1 림을 하방에 압입하게 되지만, 제2 지지 부재를 제1 지지 부재에 접촉시킴으로써, 제2 림에 작용시킨 하방으로의 힘을 제1 림에 확실하게 전달시킬 수 있다. 이때, 홈부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부가 이격되므로, 이 압입한 힘이 핀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림 조립체의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축선 주위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상기 핀의 상기 홈부를 배치하기 위한 삽입용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삽입용 개구부에 상기 핀이 삽입된 상태 및 상기 홈부 내에 상기 돌출부가 배치된 상태 중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축선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상기 축선 주위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기준면과 제2 기준면이 대향하도록 제1 림 상에 제2 림을 배치하고, 삽입용 개구부에 핀을 삽입시키면서,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를 접촉시킨다. 이 상태로부터, 제1 림과 제2 림을 축선 주위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홈부 내에 돌출부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이 축선 주위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림과 제2 림을 축선 주위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킨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는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에 의해 제1 림 상에서 제2 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림 조립체의 제3 실시 형태는,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홈부 내에 상기 돌출부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접촉하는 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부를 갖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접촉하였을 때에 상기 돌기부에 결합되는 오목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기부에 오목부를 결합시키면서, 제1 림 상에 제2 림을 겹쳐 배치한다. 이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제1 림에 대해 제2 림을 들어올릴 필요가 있지만, 제2 림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제1 림과 제2 림이 축선 주위로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제1 림과 제2 림의 축선 주위의 위상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림 조립체의 제4 실시 형태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삽입용 개구부에 상기 핀이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돌기부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축선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오목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홈부 내에 상기 돌출부가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돌기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안내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는, 상기 축선 주위로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삽입용 개구부에 핀을 삽입시키면서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를 접촉시키면, 안내 오목부에 돌기부가 결합된다. 이 상태로부터 제1 림과 제2 림을 홈부 내에 돌출부가 배치되도록 축선 주위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안내 오목부를 따라 돌기부가 이동하므로, 제1 림에 대해 제2 림이 상하로 덜걱거리는 것을 억제하여 제2 림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림과 제2 림을 더욱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돌기부가 안내 오목부를 타고 넘으면, 안내 오목부와 오목부가 축선 주위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므로, 돌기부가 오목부에 용이하게 결합된다. 돌기부가 오목부에 결합되면, 제2 림은 자신에게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안내 오목부와 오목부 사이의 단차를 타고 넘어 회전하기 어려우므로, 제1 림과 제2 림의 축선 주위의 위상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림 조립체의 제5 실시 형태는, 제2 내지 제4 실시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접촉하는 면에, 상기 오목부에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었을 때에, 상기 제1 지지 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축선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삽입용 개구부에 대한 상기 돌출부의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접촉 가능한 지지 부재 측벽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목부에 돌기부가 결합되었을 때의 제1 지지 부재가 축선 주위로 삽입용 개구부에 대한 돌출부측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제1 림과 제2 림의 축선 주위의 위상이 어긋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림 조립체의 제5 실시 형태는, 제2 내지 제5 실시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부 내에 상기 돌출부가 배치되어 있을 때에, 상기 핀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축선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삽입용 개구부에 대한 상기 돌출부의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핀에 있어서의 상기 홈부보다도 상기 핀의 기단부의 방향으로 접촉 가능한 핀 측벽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홈부 내에 돌출부가 배치되어 있을 때의 핀이 축선 주위로 삽입용 개구부에 대한 돌출부측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제1 림과 제2 림의 축선 주위의 위상이 어긋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 시험 장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림 조립체의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림 조립체와,
상기 제1 림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 가능한 삽입 관통부와,
상기 삽입 관통부를 상기 삽입 관통부의 축선 주위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림 조립체에 타이어를 장착하고, 제1 림의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부를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삽입 관통부에 림 조립체를 장착한다. 그리고, 회전부에 의해 삽입 관통부를 그 축선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장착된 림 조립체와 타이어를 회전시켜 시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림 조립체 및 타이어 시험 장치에 따르면, 상부 림을 하부 림측으로 압입한 경우라도, 압입한 힘이 핀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림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림 조립체가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의 하부 스핀들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 중의 핀측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 중의 스탠드측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의 하부 림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의 상부 림의 저면도이다.
도 7은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의 핀과 핀 수용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8은 하부 림의 핀이 핀 수용부의 핀 삽입부 내에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 중의 절단선 A1-A1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하부 림의 핀의 홈부 내에 돌출부가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 중의 절단선 A2-A2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 중의 절단선 A3-A3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 중의 절단선 A4-A4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하부 림의 핀의 홈부 내에 돌출부가 배치된 상부 림을 들어올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의 결합 기구가 대기 상태로 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하부 스핀들에 내장된 테이퍼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결합 기구가 결합 상태로 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의 림 엘리베이터로부터 접속 어댑터를 제거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의 고정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에서 림 조립체를 교환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에서 림 조립체를 교환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에서 림 조립체를 교환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에서 림 조립체를 교환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에서 림 조립체를 교환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에서 림 조립체를 교환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에서 림 조립체를 교환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에서 림 조립체를 교환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림 조립체에 타이어를 장착하여 측정을 행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림 조립체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림 조립체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림 조립체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하부 림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타이어 시험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타이어 시험 장치가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이하, 타이어 측정 장치라 약칭함)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타이어 측정 장치(1)는 시험 대상인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 조립체(10)와, 림 조립체(10)가 착탈 가능하게 되고, 장착된 림 조립체(10)를 그 축선 주위로 회전시켜 측정을 행하는 본체 유닛(60)과, 본체 유닛(60)에 장착된 림 조립체(10)를 교환하기 위한 림 교환 유닛(130)을 구비하고 있다.
타이어 측정 장치(1)는, 측정되는 타이어의 종류에 따라서 외경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림 조립체(1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그 중 1종류의 림 조립체(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체 유닛(60)의 후술하는 하부 스핀들(62)에 장착된 림 조립체(10)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부 스핀들(62)은 나타내고 있지 않다.
림 조립체(10)는 하부 림(제1 림)(20) 및 상부 림(제2 림)(40)을 갖고 있다. 양 림(20, 40)은, 하부 림(20)에 설정되는 제1 기준면(S1)과 상부 림(40)에 설정되는 제2 기준면(S2)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서로 결합시키거나, 이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하부 림(20)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21)와, 본체(21)의 상단부(21a)의 외주면에 설치된 플랜지부(22)를 갖고 있다. 제1 기준면(S1)은, 플랜지부(22)에 있어서의 본체(21)의 하단부(21b)와는 반대측의 주면(22a)에 형성된다.
본체(21)에는, 제1 기준면(S1)에 직교하도록 연장되는 하부 관통 구멍(관통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관통 구멍(23)에 있어서의 상단부(21b)의 내주면에는, 단부(21a)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직경 확장되는 림측 경사면(23a)이 형성되어 있다. 림측 경사면(23a)은 원뿔대의 측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21)의 하단부(21b)의 외주면에는, 제2 플랜지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플랜지부(24)에 있어서의 플랜지부(22)와는 반대측의 주면(24a)에는, 위치 결정 구멍부(24b)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22)의 주면(22a)에는 핀(27) 및 스탠드(제1 지지 부재)(28)가 기립 설치되어 있다. 3개의 핀(27)과, 3개의 스탠드(28)는 하부 림(20)의 축선 C1 주위로 교대로, 균등 각도마다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27)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핀(27)에 있어서의 기립 설치 방향의 선단측(상측)에는, 외주면의 전체 주위에 걸쳐 홈부(29)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29)의 선단측의 측면(29a) 및 기단부측의 측면(29b)은 각각 주면(22a)과 평행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핀(27)에 있어서의 홈부(29)보다 선단측은,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의 돌기부(30)로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탠드(28)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탠드(28)의 선단면(28a)에는, 선단면(28a)으로부터 돌출되는 대략 반구 형상의 돌기부(28b)가 설치되어 있다.
시험 대상인 타이어(T)는, 플랜지부(22)의 주면(22a)에 있어서의 핀(27)이나 스탠드(28)가 설치된 부분보다 테두리부측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림(40)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41)와, 본체(41)의 하단부(41a)의 외주면에 설치된 플랜지부(42)를 갖고 있다. 제2 기준면(S2)은, 플랜지부(22)에 있어서의 본체(41)의 상단부(41b)와는 반대측의 주면(42a)에 형성된다.
본체(41)에는, 제2 기준면(S2)에 직교하도록 연장되는 상부 관통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42)의 주면(42a)에는 핀 수용부(46) 및 스탠드 수용부(제2 지지 부재)(47)가 설치되어 있다. 3개의 핀 수용부(46)와 3개의 스탠드 수용부(47)는 상부 림(40)의 축선 C2 주위로 교대로, 균등 각도마다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 수용부(46)에는, 삽입용 개구부(48)와, 슬라이드용 개구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용 개구부(48)와 슬라이드용 개구부(49)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삽입용 개구부(48)는 핀(27)의 돌기부(30)가 출입 가능하다. 슬라이드용 개구부(49)는 삽입용 개구부(48)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부 림(40)의 주위 방향을 따라 개구되어 있다. 슬라이드용 개구부(49)의 폭은, 핀(27)의 돌기부(30)의 외경보다도 좁고, 홈부(29)의 외경보다도 넓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슬라이드용 개구부(49)는 삽입용 개구부(48)에 대해 좌측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 수용부(46)는 주면(42a)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도록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벽부(50)와, 각각의 벽부(50)의 선단부로부터 마주보는 벽부(50)의 선단부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돌출부(51)를 갖고 있다. 서로 접근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부(51)끼리의 사이의 간극에 의해, 전술한 슬라이드용 개구부(49)가 형성된다.
각각의 벽부(50)는 상부 림(40)의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벽부(50)끼리의 간격은 핀(27)의 돌기부(30)의 외경보다도 넓다. 주면(42a)으로부터 돌출부(51)까지의 거리는, 돌기부(30)의 길이보다 길다. 돌출부(51)의 두께 치수는, 홈부(29)의 측면(29a, 29b) 사이의 거리보다도 짧아지도록 설정된다. 돌출부(51)는, 홈부(29) 내에 돌출부(51)를 배치하였을 때에, 어느 측면(29a, 29b)으로부터도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벽부(50)는 상부 림(40)의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벽부(50)끼리의 간격은 핀(27)의 돌기부(30)의 외경보다도 넓다. 주면(42a)으로부터 돌출부(51)까지의 거리는, 돌기부(30)의 길이보다 길다. 돌출부(51)의 두께 치수는 홈부(29)의 측면(29a, 29b) 사이의 거리보다도 짧아지도록 설정된다. 돌출부(51)는 홈부(29) 내에 돌출부(51)를 배치하였을 때에, 돌출부(51)가 어느 측면(29a, 29b)으로부터도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1)의 주면(42a)과는 반대측의 표면에는, 핀(27)의 돌기부(30)를 수용 가능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오목 형상 홈(51a)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면에서 볼 때, 스탠드 수용부(47)는 상부 림(40)의 주위 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스탠드 수용부(47)는 축선 C2 주위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탠드 수용부(47)의 선단면(47a)은 주면(42a)에 대해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선단면(47a)에는, 오목부(54) 및 안내 오목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4) 및 안내 오목부(55)는 스탠드 수용부(47)의 선단면(47a)에 스탠드(28)의 선단면(28a)이 접촉하였을 때에, 스탠드(28)의 돌기부(28b)에 결합 가능해진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54)는 홈부(29) 내에 돌출부(51)가 배치되었을 때에, 스탠드(28)의 돌기부(28b)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안내 오목부(55)는 삽입용 개구부(48)에 핀(27)의 돌기부(30)가 삽입되었을 때에, 돌기부(28b)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축선 C2 주위로 좌측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안내 오목부(55)는 돌기부(30)가 삽입된 삽입용 개구부(48)에 연통되는 슬라이드용 개구부(49)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양 림(20, 40)을, 축선 C1, C2가 일치하도록 겹치면, 스탠드(28)의 돌기부(28b) 및 스탠드 수용부(47)의 오목부(54) 및 안내 오목부(55)는, 축선 C1, C2를 중심으로 하는 기준 원의 원주 상에 각각 배치된다.
오목부(54)는 돌기부(28b)보다 약간 큰 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안내 오목부(55)는 오목부(54)가 축선 C2 주위로 연장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오목부(54)는 안내 오목부(55)에 대해 좌측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축선 C2 주위로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시험 대상인 타이어(T)는, 플랜지부(42)의 주면(42a)에 있어서의 핀 수용부(46)나 스탠드 수용부(47)가 설치된 부분보다 테두리부측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림 조립체(10)의 결합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림 조립체(10)가 본체 유닛(60)으로부터 제거되어, 림 교환 유닛(130) 상에 배치되어 있을 때 등에는, 바닥 등의 위에 하부 림(20)이 배치되는 동시에, 이 하부 림(20) 상에 하부 림(20)에 결합된 상부 림(40)이 배치된다.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부 림(20)과 상부 림(40)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전술한 핀(27)과 핀 수용부(46)를 결합시킨다. 이때, 스탠드(28)와 스탠드 수용부(47)는, 핀(27)과 핀 수용부(46)의 결합 상태에 따라 서로 접촉하거나 이격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림(20)의 상방에 상부 림(40)을 각각의 기준면(S1, S2)이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삽입용 개구부(48) 내에 핀(27)의 돌기부(30)를 삽입하는 동시에, 스탠드 수용부(47)에 스탠드(28)를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돌출부(51)에 대한 축선 C2 주위의 연장선 L 상에 핀(27)의 홈부(29)가 배치되는 동시에, 스탠드 수용부(47)의 안내 오목부(55)에 스탠드(28)의 돌기부(28b)가 결합된다. 하부 림(20)의 하부 관통 구멍(23)과 상부 림(40)의 상부 관통 구멍(43)은 연통된 상태로 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상태로부터, 상부 림(40)에 대해 하부 림(20)을 축선 C1 주위로 회전시키면, 스탠드 수용부(47)에 스탠드(28)가 접촉하면서, 우선, 하부 림(20)의 홈부(29) 내에 상부 림(40)의 돌출부(51)가 배치된다. 계속해서, 돌기부(28b)가 안내 오목부(55)에 결합된 상태로부터, 오목부(54)에 결합된 상태로 된다(도 12 참조).
돌기부(28b)가 안내 오목부(55)를 타고 넘어 오목부(54)로 이동할 때에, 하부 림(20)에 대해 상부 림(40)이 상방으로 일시적으로 이동한다. 스탠드 수용부(47)에 스탠드(28)가 접촉하고 있을 때에는, 돌출부(51)는 홈부(29)의 양 측면(29a, 29b)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도 13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스탠드 수용부(47)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삽입용 개구부(48) 내에 핀(27)이 삽입된 상태 및 홈부(29) 내에 돌출부(51)가 배치된 상태 중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스탠드 수용부(47) 및 스탠드(28)는 축선 C1의 방향에 있어서 겹쳐져, 스탠드 수용부(47)에 스탠드(28)를 접촉시킬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28b)가 오목부(54)에 결합된 상태로부터 상부 림(40)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하부 림(20)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상부 림(40)에 대해 하부 림(20)이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제2 기준면(S2)으로부터 제1 기준면(S1)이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이때, 돌출부(51)에 홈부(29)의 측면(29a)이 결합되어, 핀 수용부(46)가 핀(27)을 지지하고, 하부 림(20)이 상부 림(40)에 현수된다. 스탠드(28)는 스탠드 수용부(47)로부터 이격되어, 돌기부(28b)와 오목부(54)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림 조립체(10)는 본체 유닛(60)으로부터 제거되어 있을 때에는, 홈부(29) 내에 돌출부(51)가 배치됨으로써, 양 림(20, 40)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림 조립체(10)가 본체 유닛(60)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양 림(20, 40)의 결합은 해제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 림(20, 40)은, 결합 기구(7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유닛(60)은 베이스(지지부)(6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하부 스핀들(62), 베이스(61)에 장착된 승강 기구(63) 및 고정 기구(64)를 갖고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스핀들(62)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통부(삽입 관통부)(67)와, 통부(67)의 하단부에 설치된 테이퍼부(68)와, 테이퍼부(68)의 하단부에 설치된 직경 확장부(69)를 갖고 있다. 테이퍼부(68)에는, 통부(67)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통부(67)의 외주면(67a)으로부터 직경 확장되는 장치측 경사면(68a)이 형성된다. 직경 확장부(69)는 테이퍼부(68)보다 외경이 크게 설정된다.
통부(67)의 외경은, 하부 림(20)의 하부 관통 구멍(23) 및 상부 림(40)의 상부 관통 구멍(43)이 삽입 관통 가능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몇 가지의 치수를 규정한다.
통부(67)로부터 타이어(T)의 끼워 맞춤면까지의 길이(비드 직경)를 D로 하고, 하부 관통 구멍(23)의 림측 경사면(23a)을 제외한 축선 C1 방향의 길이를 M으로 하고, 하부 관통 구멍(23)의 내주면과 통부(67)의 거리를 Δd, 하부 림(20)의 기울기를 Δa로 한다.
기울기 Δa, 길이 D, 길이 M 및 거리 Δd의 관계는, 의사적으로 (1)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01
기울기 Δa를 소정의 값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 거리 Δd는, 예를 들어 0.005㎜ 이상 0.01㎜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67)의 관로는, 하방측이 내경이 일정한 대직경부(67b)로 되고, 상방측이 대직경부(67b)보다 내경이 작은 소직경부(67c)로 되어 있다. 소직경부(67c)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통부(67)에는, 구멍부(72)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72)는 통부(67)의 외주면(67a)에 개구(72a)를 갖고, 대직경부(67b)에 연통된다.
대직경부(67b)에는, 하부 스핀들(62)에 림 조립체(10)가 장착되었을 때에, 하부 림(20)과 상부 림(40)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타이어용 구멍부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 구멍부(72)는 하부 스핀들(62)에 림 조립체(10)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 하부 스핀들(62)의 외부로부터 대직경부(67b) 내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경사면(68a)에 림측 경사면(23a)을 접촉시켰을 때에, 개구(72a)는 하부 림(20)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장치측 경사면(68a)은 하부 스핀들(62)의 축선 C4를 중심 축선으로 하는 원뿔대의 외측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축선 C4와 장치측 경사면(68a)이 이루는 각도 θ1은, 하부 림(20)의 축선 C1과 림측 경사면(23a)이 이루는 각도 θ2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직경 확장부(69)에는, 대직경부(67b)에 연통되는 통기 구멍(69a)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 구멍(69a)은 에어 공급원(기체 공급부)(73)에 접속되어 있어, 통기 구멍(69a)을 통해 대직경부(67b) 내에 압축된 공기(기체)를 공급할 수 있다. 대직경부(67b) 내에 공급된 공기는, 타이어용 구멍부를 통해 외부에 토출된다.
직경 확장부(69)의 상방의 면에는, 전술한 위치 결정 구멍부(24b)에 결합되는 위치 결정 볼록부(69b)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스핀들(62)에 하부 림(20)을 장착한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스핀들(62)에 하부 림(20)의 하부 관통 구멍(23)을 삽입 관통시켜, 하부 림(20)의 축선 C1 주위의 방향을 조절하면서, 하부 림(20)을 하강시켜 간다.
위치 결정 볼록부(69b)에 위치 결정 구멍부(24b)를 결합시키고, 하부 스핀들(62)의 장치측 경사면(68a)에 하부 림(20)의 림측 경사면(23a)을 접촉시키면, 장치측 경사면(68a)에 림측 경사면(23a)이 면 접촉한다.
이때, 통부(67)의 외주면(67a)과 하부 관통 구멍(23)의 내주면 사이에는, 미소한 간극 E1이 형성되어, 직경 확장부(69)로부터 제2 플랜지부(24)가 이격된 상태로 된다.
하부 림(20)은 주로 장치측 경사면(68a)에 지지되고, 통부(67)에 의해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 하부 스핀들(62)에 또한 상부 림(40)의 상부 관통 구멍(43)을 삽입 관통시키면, 통부(67)의 외주면(67a)과 상부 관통 구멍(43)의 내주면 사이에 미소한 간극이 형성된다.
하부 스핀들(62)에는, 결합 기구(76)가 내장되어 있다. 결합 기구(76)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3040514호 공보에 기재된 공지의 기구이다. 이 결합 기구(76)는 테이퍼 슬리브(77)와, 테이퍼 슬리브(77)에 접속된 훅 조작 로드(78)를 주된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퍼 슬리브(77)는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79)와, 본체(79)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플랜지부(80)를 갖고 있다.
본체(79)에는, 축선 C4의 방향으로 투과 구멍(79a)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79)의 측벽(79b)에는, 측벽(79b)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본체(79)의 축선 C4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79c)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 슬리브(77)는 직경 방향으로 압축되는 힘을 받음으로써, 슬릿(79c)의 폭이 좁아져, 투과 구멍(79a)의 내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 조작 로드(78)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원통부(83)와, 원통부(83)의 저면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축 형상 부재(84)를 갖고 있다. 원통부(83)의 내주면의 상단부에는, 테이퍼 슬리브(77)의 플랜지부(80)에 결합되는 환 형상 홈(83a)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83)에는, 벽부를 관통하여 상하 방향을 긴 축으로 하는 한 쌍의 긴 구멍(83b)이 형성되어 있다.
축 형상 부재(84)의 하단부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 등이 접속되어 있어, 훅 조작 로드(78)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원통부(83) 내에는, 한 쌍의 훅(87)이 축선 C4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훅(87)의 지지점으로 되는 핀(88)의 양단부는, 원통부(83)의 긴 구멍(83b)을 통해 하부 스핀들(62)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훅(87)의 하단부에는 스프링(89)이 접속되어 있어, 훅(87)의 하단부끼리가 서로 근접하도록 가압하고 있다.
훅(87)의 상단부 중, 축선 C4를 향하는 부위에는, 결합 갈고리(87a)가 돌출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대기 상태에서는, 결합 기구(76)는 하부 스핀들(62)에 대해 훅 조작 로드(78)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있다. 자연 상태의 테이퍼 슬리브(77)의 외주면과 통부(67)의 소직경부(67c) 사이에는, 근소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89)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훅(87)의 상단부가 원통부(83)의 내주면에 형성된 절결부(83c)로 들어가, 결합 갈고리(87a) 사이의 거리가 후술하는 상부 림 샤프트(112)의 외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한편, 도 17에 도시하는 고정 상태에서는, 결합 기구(76)의 훅 조작 로드(78)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있다. 테이퍼 슬리브(77)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소직경부(67c)에 압입됨으로써 직경 방향으로 압축되어, 투과 구멍(79a)의 내경이 작아진다. 훅(87)에 대해 훅 조작 로드(78)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훅(87)의 상단부가 절결부(83c)로부터 압출되어 결합 갈고리(87a)끼리의 사이의 거리가 짧아진다. 이때, 핀(88)은 긴 구멍(83b) 내를 이동하므로, 핀(88)이 훅 조작 로드(78)의 이동을 구속하는 일은 없다.
하부 스핀들(62)은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에 의해 베이스(61) 상에서 지지되어 있다. 하부 스핀들(62)은 도 1에 도시하는 서보 모터(회전부)(90)에 의해 축선 C4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승강 기구(63)는 베이스(61)에 고정된 프레임(93)과, 프레임(93)에 대해 볼 나사(94)를 통해 장착된 림 엘리베이터(95)를 갖고 있다. 림 엘리베이터(95)는 볼 나사(94)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림 엘리베이터(95)는 위치 결정부(96) 및 척부(규제부)(97)를 갖고 있다.
위치 결정부(96)는, 지지판(100)에 형성된 투과 구멍(100a)에 삽입 관통된 로드(101)와, 로드(101)의 하단부에 고정된 대략 원판 형상의 위치 결정 부재(102)와, 로드(101) 상단부에 고정된 지지 부재(103)를 갖는다.
위치 결정 부재(102)의 하면에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 확장되는 제2 장치측 경사면(102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장치측 경사면(102a)은 원뿔대의 내측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위치 결정 부재(102)의 축선 C6측에 노출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장치측 경사면(102a)은 축선 C6측을 향하고 있다.
로드(101)가 삽입 관통된 스프링(104)은, 지지판(100)의 하면 및 위치 결정 부재(102)의 상면에 각각 걸리고, 지지판(100)과 위치 결정 부재(102)의 거리에 상관없이, 지지판(100) 및 위치 결정 부재(102)를 서로 이격시키려고 하는 힘을 발생시키고 있다.
지지 부재(103)의 외경은, 투과 구멍(100a)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103)는 지지판(100)의 상면에 걸린다.
척부(97)는 에어 실린더(106)와, 수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한 쌍의 파지 부재(107)를 갖고 있다.
전술한 위치 결정부(96) 및 척부(97)는 상부 림(40)에 장착되는 접속 어댑터(110)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속 어댑터(110)는 도시하지 않은 볼트 등에 의해 상부 림(4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댑터 본체(111)와, 어댑터 본체(111)의 하부에 고정된 상부 림 샤프트(112)를 갖고 있다. 어댑터 본체(111) 및 상부 림 샤프트(112)는, 일체로 형성되어도 되고, 따로따로 형성된 후에 접합되어도 된다.
어댑터 본체(111)의 상부에는, 제2 림측 경사면(111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림측 경사면(111a)은 원뿔대의 측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접속 어댑터(110)의 축선 C7측과는 반대측에 노출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림측 경사면(111a)은 축선 C7측과는 반대측에 노출되어 있다.
전술한 축선 C6과 제2 장치측 경사면(102a)이 이루는 각도 θ4는, 축선 C7과 제2 림측 경사면(111a)이 이루는 각도 θ5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어댑터 본체(111)의 외주면에는, 파지 부재(107)가 결합되는 결합 홈(111b)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림 샤프트(112)의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전술한 결합 갈고리(87a)에 결합되는 결합 오목부(112a)가 형성되어 있다.
림 엘리베이터(95)에 접속 어댑터(110)를 장착할 때에는, 이하와 같은 순서로 된다.
미리, 에어 실린더(106)에 의해 한 쌍의 파지 부재(107)의 사이를 확장해 둔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부재(102) 내에 어댑터 본체(111)를 삽입하고, 제2 장치측 경사면(102a)에 제2 림측 경사면(111a)을 접촉시킨다. 접속 어댑터(110)를 스프링(10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지지판(100)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어댑터 본체(111)의 결합 홈(111b)에 파지 부재(107)를 결합시킨다.
접속 어댑터(110)는 상대 중심을 유지하도록 위치 결정 조정된 파지 부재(107)에 의해 결합되므로, 접속 어댑터(110)의 축선 C7의 방향 및 수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포지셔닝되어 있다. 또한, 제2 림측 경사면(111a)이 제2 장치측 경사면(102a)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접속 어댑터(110)가 축선 C7에 직교하는 수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다 확실하게 위치 결정된다.
도 1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기구(64)는, 베이스(61)에 하부 스핀들(62)을 사이에 두고 한 쌍 장착되어 있다.
고정 기구(64)는, 베이스(61)에 장착된 축 부재(115)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훅(116)과, 베이스(61)에 장착된 축 부재(117) 주위로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피스톤부(118)를 갖고 있다.
피스톤부(118)는, 축 부재(117)에 접속된 실린더(119)에 대해 피스톤 로드(120)를 진퇴시킬 수 있다. 피스톤 로드(120)의 선단은, 훅(116)의 기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고정 기구(64)는, 피스톤 로드(120)가 실린더(119)로부터 압출됨으로써, 하부 스핀들(62)에 장착된 하부 림(20)을, 훅(116)이 장치측 경사면(68a) 상에서 고정된 고정 상태로 된다(도 19 중에서는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음).
한편, 고정 기구(64)는 피스톤 로드(120)가 실린더(119)측으로 복귀됨으로써, 이 고정을 해제한 해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고정 기구(64)는 고정 상태와 해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61)에는, 레일(123) 상에 로드 휠(124)이 배치되어 있다. 로드 휠(124)은, 레일(123) 상을 주행함으로써 하부 스핀들(62)에 접근하거나 하부 스핀들(6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림 교환 유닛(130)에서는, 선회대(131)가 레일(132) 상을 주행하여, 하부 스핀들(62)에 접근하거나 하부 스핀들(6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선회대(131)의 상부에는, 선회 축(133)이 설치된다. 선회 축(133)에는, 복수의 스토커 프레임(134)이 접속되어 있다. 선회 축(133)은 선회 축(133)의 축선 주위로 스토커 프레임(134)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선회 축(133)은 스토커 프레임(134)의 림 받침대(135) 상에 배치된 림 조립체(10)를 하부 스핀들(62)에 접근시키거나, 하부 스핀들(62)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각각의 스토커 프레임(134) 상에는, 위치 결정 볼록부(69b)(도 21 참조)가 형성되어 있어, 스토커 프레임(134) 상에 배치되는 림 조립체(10)의 축선 C1 주위의 위상이 위치 결정된다.
타이어 측정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 유닛(60)에 장착되는 림 조립체(10)를 교환하는 경우, 본체 유닛(60)에 장착된 림 조립체(10)에 타이어(T)를 장착하여 측정을 행하는 경우 각각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동작은,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림 조립체(10)를 교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림(20)과 상부 림(40)이 분리되어 있다. 하부 림(20)이 하부 스핀들(62)에 장착되고, 상부 림(40)에 고정된 접속 어댑터(110)가 림 엘리베이터(95)에 장착되어 상방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때, 하부 스핀들(62) 내의 결합 기구(76)는 대기 상태이고, 고정 기구(64)는 해제 상태이고, 로드 휠(124) 및 선회대(131)는 하부 스핀들(62)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20의 화살표 Y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상태로부터, 림 엘리베이터(95)를 하강시켜 상부 림(4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하부 림(20) 상에 상부 림(40)을 겹친다.
이때의, 양 림(20, 40)의 위상 관계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고, 스탠드(28)에 스탠드 수용부(47)가 접촉한 상태에서, 돌기부(28b)가 안내 오목부(55)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삽입용 개구부(48) 내에 핀(27)의 돌기부(30)가 삽입된다.
상부 림 샤프트(112)는 결합 기구(76) 내에 삽입된다. 이때, 결합 기구(76)가 대기 상태이므로, 훅(87)의 결합 갈고리(87a)는 상부 림 샤프트(112)의 결합 오목부(112a)에 결합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 20의 화살표 Y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보 모터(90)에 의해 하부 스핀들(62)과 함께 하부 림(20)을 축선 C1 주위로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의 양 림(20, 40)의 위상 관계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하부 림(20)의 회전에 의해, 스탠드 수용부(47)에 스탠드(28)가 접촉하면서, 핀(27)의 홈부(29) 내에 상부 림(40)의 돌출부(51)가 배치되어 핀 수용부(46)와 핀(27)이 결합되고, 하부 림(20)과 상부 림(40)이 일체화된다. 돌기부(28b)가 오목부(54)에 결합된다.
계속해서, 도 21의 화살표 Y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림 엘리베이터(95)를 상승시켜, 양 림(20, 40)이 일체화된 림 조립체(1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림(40)의 핀 수용부(46)가 핀(27)을 지지하고 있어, 하부 림(20)이 상부 림(40)에 현수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21의 화살표 Y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림 교환 유닛(130)을 하부 스핀들(62)에 접근시킨다. 이때, 림 조립체(1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스토커 프레임(134)을 림 엘리베이터(95)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림 조립체(10)의 하방에 배치한다.
다음에, 도 22의 화살표 Y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림 엘리베이터(95)를 하강시켜, 스토커 프레임(134) 상의 림 받침대(135)에, 접속 어댑터(110)가 장착된 림 조립체(10)를 배치한다. 이때, 스토커 프레임(134) 상에 돌출된 위치 결정 볼록부(69b)에, 하부 림(20)의 위치 결정 구멍부(24b)를 결합시킨다.
그 결과, 스탠드(28)에 스탠드 수용부(47)가 접촉하여, 하부 림(20)이 상부 림(40)을 지지한다. 이때, 핀(27)과 핀 수용부(46)는 서로 간섭하지 않아, 핀(27)이 상부 림(40)의 하중을 지지하는 일은 없어, 핀(27)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커 프레임(134) 상에 림 조립체(10)가 배치되면, 도 22의 화살표 Y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어댑터(110)를 지지하고 있었던 한 쌍의 파지 부재(107)를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시켜, 림 엘리베이터(95)로부터 림 조립체(10)를 제거한다. 도 23의 화살표 Y7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림 엘리베이터(95)를 상승시켜 림 교환 유닛(130)으로부터 이격시킨다.
그 후, 화살표 Y8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축(133)의 축선 주위로 스토커 프레임(134)을 회전시켜, 지금까지 본체 유닛(60)에 장착되어 있었던 림 조립체(10)와는 다른 종류의 림 조립체(10)를 림 엘리베이터(95)의 하방에 위치시킨다.
다음에, 도 24의 화살표 Y9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림 엘리베이터(95)를 하강시켜 어댑터 본체(111)의 결합 홈(111b)을 사이에 두도록 파지 부재(107)를 이동시킨다. 화살표 Y1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 부재(107)를 서로 접근시켜, 결합 홈(111b)에 파지 부재(107)를 결합시킨다. 이때, 림 조립체(10)의 하부 림(20)과 상부 림(40)은 서로 결합된 상태이다.
도 25의 화살표 Y1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림 조립체(10)에 결합시킨 림 엘리베이터(95)를 상승시킨다. 화살표 Y1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림 교환 유닛(130)을 하부 스핀들(62)로부터 이격시켜, 림 교환 유닛(130)의 스토커 프레임(134)을 하부 스핀들(62)의 상방으로부터 퇴피시킨다.
계속해서,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림 엘리베이터(95)를 하강시켜 하부 스핀들(62)에 림 조립체(10)를 장착한다. 이때, 하부 림(20)의 하부 관통 구멍(23) 및 상부 림(40)의 상부 관통 구멍(43)에 하부 스핀들(62)을 삽입해 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관통 구멍(23)과 하부 스핀들(62)의 간극은 작으므로, 하부 관통 구멍(23)에 하부 스핀들(62)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림 엘리베이터(95)에 의해 상부 림(40)을 하방으로 압입함으로써, 상부 림(40)의 스탠드 수용부(47)에 의해 하부 림(20)의 스탠드(28)를 하방으로 압박하여, 하부 관통 구멍(23)에 하부 스핀들(62)을 삽입시켜 간다.
또한, 림 조립체(10)를 제거한 후 등에, 하부 스핀들(62)의 외주면(67a)이나 장치측 경사면(68a)에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개구(72a)에 하부 관통 구멍(23)의 내주면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에어 공급원(73)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여 개구(72a)로부터 토출시킴으로써, 화살표 Z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를 하방이나 상방으로 흘려, 이 먼지를 날린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림 엘리베이터(95)를 더 하강시켜, 하부 스핀들(62)의 장치측 경사면(68a)에 하부 림(20)의 림측 경사면(23a)을 접촉시켜, 장치측 경사면(68a)에 의해 림 조립체(10)를 지지한다.
이때, 하부 관통 구멍(23)과 상부 관통 구멍(43) 각각에 하부 스핀들(62)이 삽입 관통되므로, 하부 스핀들(62)의 축선 C4에 대해 양 림(20, 40)이 기울어지는 것이 억제된다.
화살표 Y1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하부 스핀들(62)을 축선 C4 주위로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 림(40)에 대해 하부 림(2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부 림(40)과 하부 림(20)의 위상 관계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하부 림(20)의 우측 방향의 회전에 의해, 핀(27)의 돌기부(30)가 삽입용 개구부(48)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핀 수용부(46)와 핀(27)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즉, 림 엘리베이터(95)를 상승시킴으로써, 핀 수용부(46)로부터 핀(27)을 이격시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림 조립체(10)를 하부 림(20)과 상부 림(40)으로 분리할 수 있다.
림 조립체(10)에 타이어(T)를 장착하여 측정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 측정 장치(1)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하부 림(20)의 플랜지부(22) 상에 타이어(T)를 배치한다.
림 엘리베이터(95)를 소정의 타이어 계측용의 림 폭까지 하강시킨다. 이때, 결합 기구(76)의 테이퍼 슬리브(77)의 투과 구멍(79a) 내 및 한 쌍의 훅(87) 사이에 상부 림 샤프트(112)가 삽입된다.
훅 조작 로드(78)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테이퍼 슬리브(77)의 투과 구멍(79a)의 내경이 작아져, 상부 림 샤프트(112)의 상부가 테이퍼 슬리브(77)를 통해 하부 스핀들(62)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부 림 샤프트(112)의 결합 오목부(112a)에 훅(87)의 결합 갈고리(87a)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 기구(76)를 대기 상태로부터 결합 상태로 함으로써, 하부 스핀들(62)에 대해 상부 림 샤프트(112)가 고정된다. 이에 의해, 하부 스핀들(62), 림 조립체(10) 및 접속 어댑터(110)가 일체로 된다.
다음에, 에어 공급원(73)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여 도시하지 않은 타이어용 구멍부로부터 토출시킴으로써, 타이어(T) 내의 공기를 소정의 압력에 도달시키는 동시에, 양 림(20, 40)에 타이어(T)를 끼워 맞춤시킨다. 이때, 공기의 압력에 의해, 타이어(T)가 하부 림(20)의 플랜지부(22)나 상부 림(40)의 플랜지부(42)에 압박되어 부착되는 동시에, 하부 림(20)도 장치측 경사면(68a)에 압박된다.
서보 모터(90)에 의해 하부 스핀들(62)을 회전시키면, 림 조립체(10) 및 접속 어댑터(110)와 함께 타이어(T)가 축선 C4 주위로 회전한다. 로드 휠(124)을 하부 스핀들(62)에 접근시켜 타이어(T)에 접촉시키고, 타이어(T)에 작용하는 하중의 분포를 측정한다.
하중 분포의 측정 후에, 하부 스핀들(62)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러나, 타이어(T) 내의 공기의 압력에 의해 타이어(T)가 하부 림(20)의 플랜지부(22)에 부착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기구(64)를 고정 상태로 하여, 훅(116)에 의해 장치측 경사면(68a) 상에서 하부 림(20)을 고정한다.
이에 의해, 하부 림(20)으로부터 타이어(T)를 떼어낼 때에, 하부 림(20)에 부착된 타이어(T)와 함께 하부 림(20)도 상방으로 이동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림 조립체(10) 및 타이어 측정 장치(1)에 의하면, 홈부(29) 내에 돌출부(51)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부 림(40)의 하방에 하부 림(20)을 현수하면, 홈부(29)의 측면(29a)에 돌출부(51)가 결합됨으로써, 상부 림(40)에 의해 하부 림(20)이 지지된다.
상부 림(40)의 하방에 하부 림(20)을 지지한 상태에서, 하부 림(20)의 하부 관통 구멍(23)에 하부 스핀들(62)의 통부(67)를 삽입 관통시키면, 하부 관통 구멍(23)과 통부(67)의 간극이 작으므로, 하부 관통 구멍(23) 내에 통부(67)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부 림(40)을 조작하여 하부 림(20)을 하방으로 압입하게 되지만, 스탠드 수용부(47)를 스탠드(28)에 접촉시킴으로써, 상부 림(40)에 작용시킨 하방으로의 힘을 하부 림(20)에 확실하게 전달시킬 수 있다. 이때, 홈부(29)의 양 측면(29a, 29b)으로부터 돌출부(51)가 이격되므로, 이 압입한 힘이 핀(27)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부 림(40)에는, 삽입용 개구부(48)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기준면(S1) 및 제2 기준면(S2)이 대향하도록 하부 림(20) 상에 상부 림(40)을 배치하고, 삽입용 개구부(48)에 핀(27)을 삽입시키면서, 스탠드(28) 및 스탠드 수용부(47)를 접촉시킨다. 이 상태로부터, 하부 림(20)을 축선 C1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홈부(29) 내에 돌출부(51)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 수용부(47)가 축선 C2 주위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삽입용 개구부(48) 내에 핀(27)이 삽입된 상태 및 홈부(29) 내에 돌출부(51)가 배치된 상태 중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스탠드(28) 및 스탠드 수용부(47)는 축선 C1의 방향에 있어서 겹쳐져, 스탠드(28) 및 스탠드 수용부(47)는 서로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림(20)을 축선 C1 주위로 회전시킨,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스탠드(28) 및 스탠드 수용부(47)에 의해 하부 림(20) 상에서 상부 림(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하부 림(20)의 스탠드(28)에는 돌기부(28b)가, 상부 림(40)의 스탠드 수용부(47)에는 오목부(5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8b)와 오목부(54)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하부 림(20)에 대해 상부 림(40)을 들어올릴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림 조립체(10)의 보관시[상부 림(40)을 하부 림(20)에 지지시킨 상태] 등에서는, 상부 림(40)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양 림(20, 40)이 축선 C1 주위로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양 림(20, 40)의 축선 C1 주위의 위상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탠드 수용부(47)에는, 안내 오목부(55)가 형성된다. 오목부(54)와 안내 오목부(55)는, 축선 C2 주위로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삽입용 개구부(48)에 핀(27)을 삽입시키면서, 스탠드(28) 및 스탠드 수용부(47)를 접촉시키면, 안내 오목부(55)에 돌기부(28b)가 결합된다. 이 상태로부터, 홈부(29) 내에 돌출부(51)가 배치되도록 하부 림(20)을 축선 C1 주위로 회전시키면, 안내 오목부(55)를 따라 돌기부(28b)가 이동하므로, 하부 림(20)에 대해 상부 림(40)이 상하로 덜걱거리는 것을 억제하여, 상부 림(40)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스탠드(28) 및 스탠드 수용부(47)는 축선 주위로 균등 각도마다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부 림(40)을 하방으로 압입하는 힘을 하부 림(20)에 축선 주위로 거의 균등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타이어 측정 장치(1)는 림 조립체(10), 하부 스핀들(62) 및 서보 모터(90)를 구비하고 있다. 림 조립체(10)에 타이어(T)를 장착하고, 하부 림(20)의 하부 관통 구멍(23)에 통부(67)를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하부 스핀들(62)에 림 조립체(10)를 장착한다. 그리고, 서보 모터(90)에 의해 하부 스핀들(62)을 축선 C4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장착된 림 조립체(10)와 타이어(T)를 회전시켜, 타이어(T)의 균일성을 측정하는 시험을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구성의 변경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탠드 수용부(47)의 선단면(47a)에, 지지 부재 측벽부(141)를 설치해도 된다. 이 지지 부재 측벽부(141)는, 오목부(54)에 돌기부(28b)가 결합되었을 때의 스탠드(28)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축선 C2 주위로, 삽입용 개구부(48)에 대한 돌출부(51)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평면에서 보아, 축선 C2 주위로 좌측 방향측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 측벽부(141)는 스탠드(28)에 접촉 가능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림 조립체(10)에서는, 오목부(54)에 돌기부(28b)가 결합되었을 때에, 평면에서 보아, 스탠드(28)가 축선 C1 주위에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양 림(20, 40)의 축선 C1 주위의 위상이 어긋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51)에 있어서, 홈부(29) 내에 돌출부(51)가 배치되어 있을 때의 핀(27)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평면에서 보아, 축선 C2 주위에 있어서의 좌측 방향으로, 핀 측벽부(146)를 설치해도 된다. 핀 측벽부(146)는 핀(27)에 있어서의 홈부(29)보다도 제1 기준면(S1)측에 접촉 가능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림 조립체(10)에서는, 홈부(29) 내에 돌출부(51)가 배치되어 있을 때에, 평면에서 보아, 핀(27)이 축선 C2 주위에 있어서의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양 림(20, 40)의 축선 주위의 위상이 어긋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핀(27)에 있어서의, 홈부(29)보다도 제1 기준면(S1)측은, 돌기부(30)측보다도, 외력에 대한 강도가 높아 변형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외력에 의해, 핀(27)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림(20)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핀(27) 및 스탠드(28)는 축선 C1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한 원주 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27) 및 스탠드(28)가 축선 C1을 중심으로 하는 서로 다른 반경의 원주 상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부 림(40)에 있어서의 핀 수용부(46)와 스탠드 수용부(4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탠드(28)를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스탠드 수용부(47)를 축선 C2 주위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였다. 그러나, 스탠드 수용부를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스탠드를 축선 C1 주위로 연장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돌기부는 스탠드 수용부에 형성되고, 오목부(54) 및 안내 오목부(55)는 스탠드에 형성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에서 보아, 상부 림(40)의 슬라이드용 개구부(49)는 삽입용 개구부(48)에 대해 좌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평면에서 보아, 슬라이드용 개구부(49)를 삽입용 개구부(48)에 대해 우측 방향으로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상부 림(40)의 오목부(54)는 안내 오목부(55)에 대해 우측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 림(40)의 삽입용 개구부(48) 내에 하부 림(20)의 돌기부(30)를 삽입한 후에, 하부 림(20)을 축선 C1 주위로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양 림(20, 40)이 결합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28b)를 스탠드(28)에 고정하는 대신에, 돌기부(28b)가 스탠드(28)의 선단면(28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지지해도 된다.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는, 공지의 플런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돌기부(28b)가 하방으로 힘을 받았을 때에, 돌기부(28b)가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선단면(28a)으로부터 스탠드(28)의 내부측으로 몰입되므로, 돌기부(28b)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목부(54)는 돌기부(28b)보다 약간 큰 대략 반구 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탠드 수용부(47)의 선단면(47a)으로부터 우묵하게 들어가고, 돌기부(28b)가 결합 가능한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오목부가 원뿔 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형상이면, 스탠드 수용부(47)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가공이 용이해지므로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내 오목부(55)는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하부 림(20)에 상부 림(40)을 결합시킬 때에, 이하와 같이 조립한다.
하부 림(20)의 상방에 상부 림(40)이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삽입용 개구부(48) 내에 핀(27)의 돌기부(30)를 삽입시켰을 때에, 스탠드 수용부(47)에 스탠드(28)를 접촉시키지 않고, 스탠드 수용부(47)로부터 돌기부(28b)를 약간 이격시켜 둔다. 그리고, 양 림(20, 40)을 상대적으로 축선 C1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핀(27)의 홈부(29) 내에 핀 수용부(46)의 돌출부(51)를 배치한다. 평면에서 보아, 오목부(54)와 돌기부(28b)의 위치(위상)가 일치하면, 상부 림(40)을 하부 림(20) 상으로 내리면, 스탠드 수용부(47)의 선단면(47a)에 스탠드(28)의 선단면(28a)이 접촉하는 동시에, 오목부(54)에 돌기부(28b)가 결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림(20)에 스탠드 수용부(47)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부 림(40)에 핀(27)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돌기부를 스탠드 수용부(47)에 설치하는 동시에, 오목부를 스탠드(28)에 설치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멍부(72)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에어 공급원(73)과는 다른 전용의 공급부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타이어 시험 장치는, 타이어 유니포머티 측정 장치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일 없이, 타이어 밸런스 측정 장치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시험 대상인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 조립체 및 타이어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림을 하부 림측으로 압입한 경우라도, 압입한 힘이 핀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 : 타이어 측정 장치(타이어 시험 장치)
10 : 림 조립체
20 : 하부 림(제1 림)
23 : 하부 관통 구멍(관통 구멍)
27 : 핀
28 : 스탠드(제1 지지 부재)
28b : 돌기부
29 : 홈부
40 : 상부 림(제2 림)
47 : 스탠드 수용부(제2 지지 부재)
48 : 삽입용 개구부
51 : 돌출부
54 : 오목부
55 : 안내 오목부
67 : 통부(삽입 관통부)
90 : 서보 모터(회전부)
141 : 지지 부재 측벽부
146 : 핀 측벽부
C1, C2 : 축선
L : 연장선
S1 : 제1 기준면
S2 : 제2 기준면
T : 타이어

Claims (7)

  1. 타이어 시험 장치의 삽입 관통부에 삽입 관통되는 동시에, 시험 대상인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 조립체이며,
    제1 기준면이 형성된 제1 림과,
    제2 기준면이 형성된 제2 림과,
    상기 제1 림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면에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삽입 관통부가 삽입 관통 가능한 관통 구멍과,
    상기 제1 기준면 또는 상기 제2 기준면 중 한쪽에 기립 설치되고, 자신의 외주면 주위에 홈부가 형성된 핀과,
    상기 제1 기준면 또는 상기 제2 기준면 중 다른 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준면에 상기 제2 기준면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림에 대해 상기 제1 림을 상기 제1 림의 축선 주위로 상대적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상기 홈부에 결합 가능한 돌출부와,
    상기 제1 기준면에 설치된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기준면에 설치되어, 상기 홈부 내에 상기 돌출부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준면과 상기 제2 기준면이 서로 접근하여 상기 홈부의 양 측면으로부터 상기 돌출부가 이격되었을 때에,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기준면과 상기 제2 기준면이 서로 이격되어 상기 홈부의 양 측면에 상기 돌출부가 결합되었을 때에, 상기 제1 지지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축선 주위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상기 핀의 상기 홈부를 배치하기 위한 삽입용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삽입용 개구부에 상기 핀이 삽입된 상태 및 상기 홈부 내에 상기 돌출부가 배치된 상태 중 어느 쪽에 있어서도, 상기 축선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상기 축선 주위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림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홈부 내에 상기 돌출부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접촉하는 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부를 갖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접촉하였을 때에 상기 돌기부에 결합되는 오목부를 갖는, 림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삽입용 개구부에 상기 핀이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돌기부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축선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오목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홈부 내에 상기 돌출부가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돌기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안내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는, 상기 축선 주위로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림 조립체.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접촉하는 면에, 상기 오목부에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었을 때에, 상기 제1 지지 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축선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삽입용 개구부에 대한 상기 돌출부의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접촉 가능한 지지 부재 측벽부를 갖는, 림 조립체.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부 내에 상기 돌출부가 배치되어 있을 때에, 상기 핀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축선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삽입용 개구부에 대한 상기 돌출부의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핀에 있어서의 상기 홈부보다도 상기 핀의 기단부의 방향으로 접촉 가능한 핀 측벽부를 갖는, 림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림 조립체와,
    상기 제1 림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 가능한 삽입 관통부와,
    상기 삽입 관통부를 상기 삽입 관통부의 축선 주위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구비하는, 타이어 시험 장치.
KR1020147001370A 2012-01-12 2012-12-26 림 조립체 및 타이어 시험 장치 KR101553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04504 2012-01-12
JP2012004504A JP5752057B2 (ja) 2012-01-12 2012-01-12 リム組立体およびタイヤ試験装置
PCT/JP2012/083619 WO2013105436A1 (ja) 2012-01-12 2012-12-26 リム組立体およびタイヤ試験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057A true KR20140024057A (ko) 2014-02-27
KR101553490B1 KR101553490B1 (ko) 2015-09-15

Family

ID=4878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370A KR101553490B1 (ko) 2012-01-12 2012-12-26 림 조립체 및 타이어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94768B2 (ko)
JP (1) JP5752057B2 (ko)
KR (1) KR101553490B1 (ko)
CN (1) CN103688150B (ko)
DE (1) DE112012003331B4 (ko)
TW (1) TWI513602B (ko)
WO (1) WO20131054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198B1 (ko) 2012-08-06 2016-09-22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어 지지장치
KR101766196B1 (ko) * 2015-10-22 2017-08-0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균일성 설비의 림 교체장치
US10885656B2 (en) * 2015-11-20 2021-01-05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JP6692181B2 (ja) * 2016-02-29 2020-05-13 国際計測器株式会社 動釣合い試験装置
WO2018154649A1 (ja) * 2017-02-22 2018-08-30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回転体荷重測定装置
WO2019163016A1 (ja) 2018-02-21 2019-08-29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リム交換装置、タイヤ試験装置、及びリム交換方法
CN111742206B (zh) * 2018-02-21 2022-07-08 三菱重工机械系统株式会社 轮胎保持机构及轮胎试验装置
CN111634161A (zh) * 2019-09-18 2020-09-08 广州迈德威复合材料技术有限公司 针对带有开合车圈的车轮装胎工艺
JP7379242B2 (ja) * 2020-03-25 2023-11-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試験機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3130A (en) 1958-09-22 1962-07-10 Robert E Patterson Tubeless tire testing apparatus
JPS6071237A (ja) * 1983-09-28 1985-04-23 Bridgestone Corp タイヤの把持装置
JPH0448514Y2 (ko) * 1986-02-19 1992-11-16
JPS63150643A (ja) * 1986-12-15 1988-06-23 Kobe Steel Ltd リム自動交換式タイヤユニフオミテイ機におけるリムトランスフア装置
US4763710A (en) * 1987-01-14 1988-08-16 The Uniroyal Goodrich Tire Company Rim and spindle for tire uniformity machines
JPH01155234A (ja) * 1987-12-14 1989-06-19 Yokohama Rubber Co Ltd:The ユニフォミテイーマシンに於けるタイヤ・リムの自動段替方法及びその装置
JPH02171633A (ja) * 1988-12-26 1990-07-03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ユニフオミテイーに於ける段取り替え用二つ割りリム
JPH0347742A (ja) 1989-04-14 1991-02-28 Kobe Steel Ltd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マシンのリム交換装置
JP2661753B2 (ja) * 1989-08-30 1997-10-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マシン
JPH03110138A (ja) * 1989-09-25 1991-05-10 Kobe Steel Ltd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マシンにおけるリムチエンジャ装置
JPH03150143A (ja) * 1989-11-06 1991-06-26 Kobe Steel Ltd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機用リム装着装置
JPH03231834A (ja) 1990-02-07 1991-10-15 Kobe Steel Ltd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マシンのリム交換装置
JP3040514B2 (ja) * 1991-04-09 2000-05-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動バランス測定機
JPH05187952A (ja) * 1992-01-14 1993-07-27 Bridgestone Corp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マシンにおけるリム交換方法
JPH0970833A (ja) * 1995-09-04 1997-03-18 Bridgestone Corp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のリム交換装置
US6237402B1 (en) * 1996-04-15 2001-05-2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and rim assembly centering method
JP3672135B2 (ja) 1996-08-09 2005-07-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測定におけるリム交換装置
US6082191A (en) * 1997-01-24 2000-07-04 Illinois Tool Works, Inc. Inlet conveyor for tire testing systems
US5979231A (en) 1997-01-24 1999-11-09 Illinois Tool Works, Inc. Loadwheel assembly for tire testing systems having conical support plates
EP1143233A1 (en) * 1997-12-16 2001-10-10 Kokusai Keisokuki Kabushiki Kaisha Structure for rotatably supporting a tire
US6584835B2 (en) * 2000-02-11 2003-07-01 Mts Systems Corporation Spindle assembly for a tire or wheel testing machine
JP2001225603A (ja) 2000-02-15 2001-08-21 Toyoda Gosei Co Ltd キャップ付きタイヤホイール
CN101832867B (zh) 2004-05-14 2012-08-15 株式会社神户制钢所 轮胎测试机以及用于轮胎测试机的跳动测量方法
JP4331091B2 (ja) * 2004-07-16 2009-09-16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保持装置
US7062956B2 (en) 2004-11-15 2006-06-20 Bridgestone Firestone North American Tire, Llc Tire testing machine with removable hanger hoist and method for loading a tire
WO2010061845A1 (ja) * 2008-11-28 2010-06-0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検査装置のリム装着装置、磁石取付方法、リム交換装置、並びにタイヤ検査装置
JP5313943B2 (ja) * 2010-02-25 2013-10-09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試験機のリム交換装置及びリム交換方法
JP5956456B2 (ja) 2010-11-23 2016-07-27 マイクロ−ポイズ メジャーメント システムズ,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タイヤ・ユニフォーミティ試験システム
US9046444B2 (en) * 2010-12-15 2015-06-02 Kobe Steel, Ltd. Tire testing device
JP5752012B2 (ja) * 2011-11-11 2015-07-22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リム組立体、タイヤ試験機及びリム組立体交換方法
JP5851848B2 (ja) * 2012-01-12 2016-02-03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試験装置
JP5752068B2 (ja) * 2012-02-17 2015-07-22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試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52057B2 (ja) 2015-07-22
JP2013142682A (ja) 2013-07-22
KR101553490B1 (ko) 2015-09-15
TWI513602B (zh) 2015-12-21
CN103688150A (zh) 2014-03-26
TW201343427A (zh) 2013-11-01
US9194768B2 (en) 2015-11-24
DE112012003331B4 (de) 2018-11-22
WO2013105436A1 (ja) 2013-07-18
DE112012003331T5 (de) 2014-08-14
CN103688150B (zh) 2016-05-11
US20150185113A1 (en)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4057A (ko) 림 조립체 및 타이어 시험 장치
KR20140050117A (ko) 타이어 시험 장치
JP5783585B2 (ja) タイヤ保持装置
JP5752012B2 (ja) リム組立体、タイヤ試験機及びリム組立体交換方法
KR101444630B1 (ko) 타이어 시험 장치
JP2018004355A (ja) タイヤ付ホイールの支持装置および試験装置
JP2003004597A (ja) ホイール付きタイヤのユニフォーミティおよび/または動釣合釣合試験装置
US10371602B2 (en) Tire testing rim
JP5529594B2 (ja) バルブコッター嵌込方法
CN209478098U (zh) 电机橡胶节点装卸机构、退卸机构及电机橡胶节点装卸工装
JPH0347742A (ja)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マシンのリム交換装置
JP7257037B2 (ja) 動釣合い試験機用の被試験体支持装置
JP6798862B2 (ja) タイヤの動バランス及びユニフォーミティの測定装置
CN213616369U (zh) 行星架工装
JP2013170870A (ja) タイヤバランス測定装置、およびタイヤのダイナミックバランス測定方法
JP7202000B2 (ja) 被試験体支持装置および試験機
KR100934816B1 (ko) 수평원심주조 몰드의 중심위치 설정용 센터링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