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722A - 모터 홀더, 모터 조립체 및 모터 조립체를 구비하는 전동 릴 - Google Patents

모터 홀더, 모터 조립체 및 모터 조립체를 구비하는 전동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722A
KR20140020722A KR1020130040383A KR20130040383A KR20140020722A KR 20140020722 A KR20140020722 A KR 20140020722A KR 1020130040383 A KR1020130040383 A KR 1020130040383A KR 20130040383 A KR20130040383 A KR 20130040383A KR 20140020722 A KR20140020722 A KR 20140020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holder
reel
case
moto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701B1 (ko
Inventor
켄타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40020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모터 홀더의 외측면으로부터 모터의 내부로의 액체의 침입을 간소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전동 릴(10)의 모터 홀더(7)는, 일단(一端)에 개구(開口, 20e)를 가지고, 타단(他端)에 출력축(26)이 지지되는 바닥이 있는 통상(筒狀)의 모터 케이스(20)를 가지는 모터(4)를 릴 본체(2)에 취부하기 위한 것이다. 전동 릴(10)의 모터 홀더(7)는, 덮개부(7a)와 연결부(7b)를 구비한다. 덮개부(7a)는, 릴 본체(2)에 설치되고, 모터 케이스(20)의 일단의 외주면(外周面, 20f)에 계합(係合)하며, 개구(20e)를 막는 저부(底部, 36b)를 포함하는 계합 오목부(36)를 가진다. 연결부(7b)는, 모터 케이스(20)의 외주면(20f)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모터 홀더, 모터 조립체 및 모터 조립체를 구비하는 전동 릴{MOTOR HOLDER, MOTOR ASSEMBLY AND ELECTRICAL FISHING REEL WITH THE MOTOR ASSEMBLY}
본 발명은, 일단(一端)이 개구(開口)하고, 타단(他端)에 출력축이 지지되는 바닥이 있는 통상(筒狀)의 모터 케이스를 가지는 모터를 릴 본체에 취부하는 전동 릴의 모터 홀더, 모터 조립체 및 전동 릴에 관한 것이다.
전동 릴에는, 스풀의 내부 또는 스풀의 전방(前方)에 모터가 배치되어 있다. 모터는, 모터 케이스를 가지고 있고, 모터 케이스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개구를 막는 덮개 부재를 가지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전동 릴에서는, 릴 본체와 일체 또는 별체로 설치되는 모터 홀더에 덮개 부재를 복수개의 볼트에 의하여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모터가 릴 본체에 고정된다. 따라서, 모터 케이스에는, 볼트가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설치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284793호
종래의 전동 릴의 모터에서는, 모터 홀더에 덮개 부재를 볼트에 의하여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모터가 릴 본체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모터 홀더의 외측면으로부터 관통 구멍을 통하여 액체가 침입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종래의 전동 릴에서는, 볼트에 의하여 모터를 고정한 후에, 관통 구멍에 접착제 등의 봉지(封止, 개구를 폐쇄하는 것) 부재를 충전하고, 관통 구멍을 볼트의 머리부를 포함하여 봉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메인터넌스(maintenance) 등에 의하여 모터를 착탈(着脫)하는 경우, 모터를 떼어낼 때마다 봉지 부재를 떼어내고, 모터를 재차 취부한 후에 봉지 부재에 의하여 볼트 부재의 머리부를 포함하여 관통 구멍을 봉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모터 홀더의 외측면으로부터 모터의 내부로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하는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모터 홀더의 외측면으로부터 모터의 내부로의 액체의 침입을 간소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모터 홀더는, 일단에 개구를 가지고, 타단에 출력축이 지지되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모터 케이스를 가지는 모터를 릴 본체에 취부하기 위한 것이다. 전동 릴의 모터 홀더는, 덮개부와 연결부를 구비한다. 덮개부는, 릴 본체에 설치되고, 모터 케이스의 일단의 외주면(外周面)에 계합(係合, 걸어 맞춤)하며, 개구를 막는 저부(底部)를 포함하는 계합 오목부를 가진다. 연결부는, 모터 케이스의 외주면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 모터 홀더에서는, 덮개부의 계합 오목부의 저부가 모터 케이스의 개구를 막고, 덮개부의 계합 오목부가 모터 케이스의 일단의 외주면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모터 홀더가 모터 케이스를 막는다. 또한, 모터 케이스의 외주면이 연결부에 의하여 모터 홀더에 연결되고, 모터 케이스가 모터 홀더에 고정된다. 여기에서는, 모터 케이스의 개구를 막는 기능과, 모터 케이스를 릴 본체에 고정하는 기능의 2개의 기능을 모터 홀더가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모터 홀더에 덮개 부재를 취부하기 위한 볼트 부재의 관통 구멍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모터 홀더의 외측면으로부터 모터의 내부로의 액체의 침입을 간소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모터 홀더는, 발명 1에 기재된 모터 홀더에 있어서, 모터 케이스는 일단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를 가진다. 연결부는, 계합 오목부에 형성되고, 수나사부에 나합(螺合, 나사를 끼워 맞추는 것)하는 암나사부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모터 케이스와 모터 홀더를 상대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모터 케이스를 모터 홀더에 취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모터 케이스의 모터 홀더에의 취부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모터 홀더는, 발명 1에 기재된 모터 홀더에 있어서, 릴 본체는, 제1 측판과, 제1 측판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측판과, 제1 측판과 제2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가지는 프레임을 가진다. 모터 홀더는, 제1 측판에 볼트 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취부부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모터가 고정된 모터 홀더의 취부부를, 볼트 부재에 의하여 제1 측판에 고정하는 것으로 모터를 릴 본체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모터 홀더는, 발명 3에 기재된 모터 홀더에 있어서, 취부부는, 계합 오목부의 외주 측에 대경(大徑)으로 형성된 플랜지부이다. 연결부는, 나사 구멍과 나사 부재를 가진다. 나사 구멍은, 선단(先端)이 기단(基端)보다도 모터 케이스의 타단 측에 배치되도록 계합 오목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주면(內周面)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나사 부재는, 모터 홀더의 외측면으로부터 나사 구멍에 틀어넣어지고, 선단부에 의하여 모터 케이스의 외주면을 압압(押壓, 내리누르는 것)한다.
이 경우에는, 모터 케이스의 외주면을 향하여, 나사 구멍에 나사 부재를 틀어넣는다. 이것에 의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된 나사 부재의 선단부가 모터 케이스의 외주면을 비스듬하게 압압하여, 모터가 모터 홀더에 고정된다. 여기에서는, 나사 부재를 비스듬하게 틀어넣을 수 있기 때문에, 나사 부재의 기단이 플랜지부로부터 이반(離反)하여, 나사 부재를 돌리기 위한 공구가 플랜지부에 간섭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모터를 모터 홀더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모터 홀더는, 발명 4에 기재된 모터 홀더에 있어서, 나사 부재는, 나사축의 기단에 공구 계지부를 가지는 멈춤 나사이다. 이 경우에는, 머리부를 가지지 않는 나사 부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모터 홀더의 취부 구조가 콤팩트하게 된다.
발명 6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모터 홀더는, 발명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터 홀더에 있어서, 덮개부에는, 모터 케이스의 일단 측의 단면(端面)이 접촉한다. 이 경우에는, 모터 케이스의 축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모터 홀더는, 발명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터 홀더에 있어서, 덮개부는, 출력축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수납 가능한 클러치 수납부를 더 가진다. 이 경우에는, 원웨이 클러치의 수납 구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발명 8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모터 홀더는, 발명 7에 기재된 모터 홀더에 있어서, 클러치 수납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출력축의 제2 단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수납하는 베어링 수납부를 더 가진다. 이 경우에는, 모터의 출력축을 고정도(高精度)로 지지할 수 있다.
발명 9에 관련되는 모터 조립체는, 모터와, 발명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터 홀더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덮개 부재를 겸하는 모터 홀더를 가지는 모터 조립체가 회전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과 함께, 상기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모터 조립체를 얻을 수 있다.
발명 10에 관련되는 전동 릴은,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과, 발명 9에 기재된 전동 릴의 모터 조립체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전동 릴을 얻을 수 있다.
발명 11에 관련되는 전동 릴은, 발명 10에 기재된 전동 릴에 있어서, 모터는, 스풀의 내부에 수납된다. 이 경우에는, 모터가 스풀 내에 수납되기 때문에, 릴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발명 12에 관련되는 전동 릴은, 발명 10에 기재된 전동 릴에 있어서, 모터는, 스풀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스풀의 소경화(小徑化)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 케이스의 개구를 막는 기능과, 모터 케이스를 릴 본체에 고정하는 기능의 2개의 기능을 모터 홀더가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모터 홀더에 덮개부를 취부하기 위한 볼트 부재의 관통 구멍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모터 홀더의 외측면으로부터 모터의 내부로의 액체의 침입을 간소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동 릴의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전동 릴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절단선 III-III에 의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모터 취부 부분의 단면 확대도.
도 5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
도 6은 제2 실시예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
도 7은 제3 실시예의 전동 릴의 평면 단면도.
<제1 실시예>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전동 릴(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핸들(1)이 장착된 릴 본체(2)와,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3)과, 스풀(3) 내에 장착된 모터(4)와, 릴 본체(2)에 설치되는 모터 홀더(7, 도 3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의 상부(上部)에는, 수심 표시 등을 행하기 위한 카운터 케이스(5)가 장착되어 있다. 릴 본체(2)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의 회전을 스풀(3)에 전달하는 것과 함께 모터(4)의 회전을 스풀(3)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2)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3)과, 프레임(13)의 양 측방(側方)을 덮는 제1 측 커버(14, 도 3 참조) 및 제2 측 커버(15)와, 상(上) 커버(16)와, 전(前) 커버(17)를 가진다. 상 커버(16)는, 프레임(13)과 제1 측 커버(14) 및 제2 측 커버(15)와의 사이의 상부에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전 커버(17)는, 프레임(13)의 전방을 덮는다. 프레임(13)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일체 성형된 부재이며, 제1 측판(13a) 및 제2 측판(13b)과, 제1 측판(13a) 및 제2 측판(13b)을 복수 개소에서 연결하는 연결 부재(13c)를 가지고 있다. 제1 측판(13a)에는, 원형의 제1 개구(13d)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개구(13d)에는, 모터 홀더(7)가 장착되어 있다. 제1 측판(13a)의 제1 개구(13d)의 주위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예를 들어 6개)의 관통 구멍(13f, 도 4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3f)은, 모터 홀더(7)를 제1 측판(13a)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2 측판(13b)에는, 원형의 제2 개구(13e)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13e)에는, 회전 전달 기구(6)를 포함하는 각종 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기구 장착판(19)이 장착되어 있다. 하부(下部)의 연결 부재(13c)에는, 낚싯대를 장착하기 위한 장대 장착 다리(18)가 장착되어 있다. 제1 측 커버(14)는 핸들(1)과 반대쪽에 배치되고, 제1 측판(13a)의 외방(外方)을 덮는다.
제1 측 커버(14)는, 커버 본체(14a)와, 커버 본체(14a)의 모터 배치 부분에 장착되고, 모터(4)의 냉각용의 슬릿(14c)을 가지는 냉각 커버(14b)를 가진다. 제2 측 커버(15)는, 핸들(1) 장착 측에 배치되고, 제2 측판(13b)의 외방을 덮는다. 기구 장착판(19)은, 제2 측판(13b)과 제2 측 커버(15)의 사이에 배치된다. 기구 장착판(19)의 중심부에는, 스풀(3)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44)이 장착된다.
<스풀의 구성>
스풀(3)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이 감기는 줄 감기 몸통부(3a)와, 줄 감기 몸통부(3a)의 양단(兩端)에 일체 형성된 제1 플랜지부(3b) 및 제2 플랜지부(3c)를 가진다. 줄 감기 몸통부(3a)는, 중공(中空)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모터(4)를 수납하는 모터 수납 공간(3d)과, 회전 전달 기구(6)를 구성하는 유성 감속 기구(40)를 수납하는 유성 수납 공간(3e)이 형성된다. 유성 감속 기구(40)는, 모터(4)의 회전을 감속하여 스풀(3)에 전달한다. 스풀(3)은, 일단이 베어링(42)에 의하여 모터(4)의 후술하는 모터 케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3)의 타단(도 3 우단)에는, 회전 지지용의 고정판(46)이 고정되어 있다. 고정판(46)은, 베어링(44)에 의하여, 릴 본체(2)의 기구 장착판(1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모터의 구성>
모터(4)는, 예를 들어, 정격 출력이 120와트 정도의 브러시리스 모터(brushless motor)이다. 모터(4)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케이스(20)와, 모터 케이스(20)의 내주면에 설치된 고정자(22)와, 고정자(22)의 내주 측에 배치된 회전자(24)와, 회전자가 고정된 출력축(26)을 가지고 있다. 모터 케이스(20)는, 내식성을 높이기 위하여 알루마이트(alumite) 처리된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다.
모터 케이스(20)는, 저부(20a)와 통부(筒部, 20b)를 가지고, 일단(도 4 좌단)에 개구(20e)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부재이다. 모터 케이스(20)의 타단에 설치된 저부(20a)는, 베어링(30)을 장착하기 위한 보스부(20c)를 중심부에 가진다. 저부(20a)는, 통부(20b)의 내주면에 틀어넣음 고정된다. 모터 케이스(20)의 통부(20b)의 일단 측의 외주면(20f)은 타단 측의 외주면(20g)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부(20b)의 일단 측의 외주면(20f)에는, 도 4의 A부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나사부(20d)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20d)는, 외주면(20f)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부(20b)의 일단면은 모터 홀더(7)의 후술하는 저부(36b)에 당접(當接, 부딪는 상태로 접함)한다. 또한, 수나사부(20d)에 인접하여, 통부(20b)의 외주면(20f)에는, 스풀(3)을 지지하는 베어링(42)이 장착되어 있다.
고정자(22)는, 통부(20b)의 내주면에 고정된 도시하지 않는 복수(예를 들어 3개)의 적층 코어와 적층 코어에 감아 돌려지는 코일을 가진다. 회전자(24)는, 출력축(26)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회전자(24)는, S극 및 N극을 가지는 2극의 통상의 자석(24a)과, 자석(24a)의 양단을 보지(保持)하는 한 쌍의 자석 홀더(24b)를 포함하고 있다. 자석 홀더(24b)는, 출력축(26)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회전자(24)는, 노출 부분이 도금 등의 방식(防蝕) 피막에 의하여 방식 처리되어 있다.
출력축(26)은, 대경부(26a)와 소경부(小徑部, 26b)를 가지는 단붙이의 축이다. 대경부(26a)에는, 회전자(24)가 장착된다. 출력축(26)의 대경부(26a)는 모터 케이스(20)의 보스부(20c)에 장착된 베어링(30)과, 모터 홀더(7)에 장착된 베어링(32)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대경부(26a) 일단에는, 출력축(26)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기 위한 원웨이 클러치(34)가 장착되어 있다. 소경부(26b)에는, 회전 전달 기구(6)를 구성하는 유성 감속 기구(40)의 2개의 태양 기어(40a) 및 태양 기어(40b)가 장착된다. 태양 기어(40a)는 소경부(26b)에 압입(壓入)된다. 태양 기어(40b)는 소경부(26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출력축(26)을 단붙이 축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출력축(26)의 대경부(26a)를 베어링(30) 및 베어링(32)에 의하여 지지하면서, 소경부(26b)에 태양 기어(40a)를 압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원웨이 클러치(34)의 내륜(內輪)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모터 홀더의 구성>
모터 홀더(7)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대체로 원형의 부재이다. 모터 홀더(7)는, 모터 케이스(20)의 개구(20e)를 막는 모터 케이스(20)의 덮개 부재의 기능과, 모터(4)를 릴 본체(2)에 고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모터 홀더(7)는, 제1 측판(13a)의 중심부의 축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예를 들어, 6개)의 볼트 부재(28)에 의하여 제1 측판(13a)에 고정되어 있다. 볼트 부재(28)는, 스풀(3) 측으로부터 제1 측판(13a)에 형성된 복수(예를 들어 6개)의 관통 구멍(13f)을 관통하여, 모터 홀더(7)에 설치된 후술하는 나사 구멍(7d)에 나합한다. 모터 홀더(7)에는, 모터(4)의 모터 케이스(20)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모터(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풀(3) 내에 형성된 모터 수납 공간(3d)에 수납되어 있다. 모터 수납 공간(3d)은, 그리스(grease) 등에 의하여 실(seal)되어 있다. 모터 홀더(7)는, 덮개부(7a)와, 연결부(7b)와, 취부부로서의 원형의 플랜지부(7c)를 가진다.
덮개부(7a)는, 모터 케이스(20)의 개구(20e)를 막기 위하여 설치된다. 덮개부(7a)는, 모터 케이스(20)의 통부(20b)의 일단의 외주면(20f)에 계합하는 통상부(36a)와, 개구(20e)를 막는 저부(36b)를 포함하는 계합 오목부(36)를 가진다. 계합 오목부(36)의 통상부(36a)의 선단은, 베어링(42)의 내륜에 당접하여, 베어링(42)을 축 방향에 위치 결정한다. 덮개부(7a)는, 원웨이 클러치(34)를 수납하는 클러치 수납부(38) 및 베어링(32)을 수납하는 베어링 수납부(39)를 더 가진다. 베어링 수납부(39)는, 클러치 수납부(38)의 축 방향 내측(도 4 우측)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원웨이 클러치(34)는, 클러치 수납부(38)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외륜(外輪, 34a)과, 외륜(34a)에 박힘 가능한 복수의 전동체(34b)를 가진다. 전동체(34b)는, 대경부(26a)와 외륜(34a)의 사이에 배치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내륜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대경부(26a)의 축단(軸端) 부분에 있어서, 모터 홀더(7)에 관통 구멍(7f)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7f)은, 태양 기어(40a)를 출력축(26)의 소경부(26b)에 압입할 때, 출력축(26)의 축단에서 힘을 받기 위한 지지 부재를 삽입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7f)은, 태양 기어(40a)를 압입 후에 탄성체제의 캡 부재(48)에 의하여 막힌다. 또한, 이 캡 부재(48)는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캡 부재(48)를 떼어내는 것에 의하여, 모터 홀더(7)를 떼어내는 일 없이, 베어링(32) 및 원웨이 클러치(34)에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다.
연결부(7b)는, 모터 케이스(20)의 외주면(20f)을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연결부(7b)는, 계합 오목부(36)의 내주부에 형성되고, 수나사부(20d)에 나합하는 암나사부(36c, 도 4의 A부 참조)를 가진다.
플랜지부(7c)는, 모터 홀더(7)를 제1 측판(13a)의 외측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계합 오목부(36)의 직경 방향 외방에 설치된다. 플랜지부(7c)는, 제1 개구(13d)의 외주 측에서 제1 측판(13a)의 외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원판상(圓板狀)으로 형성된다. 플랜지부(7c)에는, 볼트 부재(28)가 나합하는 복수(예를 들어 6개)의 나사 구멍(7d)이 관통 구멍(13f)에 대향한 위치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7c)의 축 방향의 내측면에는, 제1 개구(13d)에 감합(嵌合)하는 환상(環狀) 돌출부(7e)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4)와 모터 홀더(7)에 의하여 모터 조립체(8)가 구성된다. 모터 조립체(8)에 의하여 모터(4)의 각종 테스트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모터 홀더(7)에는, 모터 케이스(20)를 틀어넣음 결합에 의하여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모터 케이스(20)의 덮개 부재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모터 홀더(7)에는, 모터의 배선을 외부로 꺼내기 위한 배선 취출 구멍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무방하다. 이 배선 취출 구멍에 봉지 부재를 충전하여도, 배선을 메인터넌스 등으로 떼어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봉지 부재를 떼어내거나 봉지 부재를 배선 취부 구멍에 재차 충전하거나 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모터 홀더(7)의 외측면으로부터 모터(4)의 내부로의 액체의 침입을 간소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
도 5에 도시하는 제1 변형예의 전동 릴(110)에서는, 모터 홀더(107)가 릴 본체(102)의 프레임(113)의 제1 측판(113a)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 부재(28)는 불필요하다. 그 외의 점은 도 4에 도시하는 제1 실시예의 전동 릴(10)과 같은 구성이기 위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
도 6에 도시하는 제2 실시예의 전동 릴(210)에서는, 모터(204)를 고정하는 모터 홀더(207)의 연결부(207b) 및 모터 홀더(207)를 제1 측판(213a)에 고정하는 플랜지부(207c)의 구성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도 6의 B부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207b)는, 나사 구멍(248)과 나사 부재(250)를 가진다. 나사 구멍(248)은, 선단(248a)이 기단(248b)보다도 모터 케이스(220)의 타단 측(도 6 우측)에 배치되도록 계합 오목부(236)의 외측면(236d)으로부터 내주면(236e)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나사 부재(250)는, 모터 홀더(207)의 외측면(236d)으로부터 나사 구멍(248)에 틀어넣어지고, 선단부(250a)에 의하여 모터 케이스(220)의 외주면(220f)을 압압한다. 나사 부재(250)는, 예를 들어, 나사축(250b)의 기단에 예를 들어 육각봉 렌치(wrench)가 계합하는 육각형으로 패인 공구 계지부(250c)를 가지는 멈춤 나사이다. 나사 부재(250)는, 선단부(250a)가 패여 있는 오목 끝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2 실시예에서는, 나사 부재(250)의 선단(248a)이 모터 케이스(220)의 외주면(220f)을 압압하여 패이게 하여, 모터 케이스(220)가 모터 홀더(207)에 연결된다.
플랜지부(207c)에는, 나사 구멍이 아니라, 볼트 부재(228)가 관통 가능한 복수의 제1 관통 구멍(207d)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제1 측판(213a)에도, 제1 관통 구멍(207d)과 같은 위치에 볼트 부재(228)가 관통 가능한 제2 관통 구멍(213f)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측판(213a)과 스풀(3)의 사이에는, 환상의 고정 부재(252)가 배치되어 있다. 고정 부재(252)에는, 제1 관통 구멍(207d) 및 제2 관통 구멍(213f)과 대향 가능한 나사 구멍(252a)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볼트 부재(228)는, 플랜지부(207c)의 외측면으로부터 제1 관통 구멍(207d) 및 제2 관통 구멍(213f)을 관통하여 환상 부재(252)의 나사 구멍(252a)에 나합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측판(213a) 또는 모터 홀더(207)에 나사 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그것들의 기계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볼트 부재(228)를 개별적으로 너트에 단단히 조이는 경우에는 비하여, 볼트 부재(228)의 조임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덧붙여, 이 제2 실시예에서는, 계합 오목부(236)의 덮개부(207a)에 제1 실시예에 설치된 관통 구멍(7f)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2 실시예에서는, 모터 케이스(220)의 외주면(220f)을 향하여, 나사 구멍(248)에 나사 부재(250)를 틀어넣는다. 이것에 의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된 나사 부재(250)의 선단이 모터 케이스(220)의 외주면(220f)을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모터(204)가 모터 홀더에 고정된다. 여기에서는, 나사 부재(250)를 비스듬하게 틀어넣을 수 있기 때문에, 나사 부재(250)의 기단이 플랜지부(207c)로부터 이반하여, 나사 부재(250)를 돌리기 위한 공구가 플랜지부(207c)에 간섭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모터(204)를 모터 홀더(207)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전동 릴에서는, 모터가 스풀 내에 수납되어 있었지만,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전동 릴(310)에서는, 모터(304)가 스풀(303)의 전방(도 7 하방(下方))에서 릴 본체(302)에 수납되어 있다. 릴 본체(302)의 프레임(313)은, 제1 측판(313a)과 제2 측판(313b)을 연결하는 통상의 연결 부재(313c)를 스풀(303)의 전방에 가진다. 통상의 연결 부재(313c)는, 내부에 모터 수납부(313g)를 가지고 있다.
모터(304)는, 제1 실시예와 모터 케이스(320)의 구성이 다르다. 모터 케이스(320)에 있어서, 저부(320a)와 통부(320b)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모터 홀더(307)는, 취부부(307c)가 플랜지부를 가지지 않고, 계합 오목부(336)의 외주부로부터 개별적으로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취부 암을 가진다. 취부 암의 선단이 볼트 부재에 의하여 제1 측판(313a)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스풀(303)의 전방에 배치되는 모터(304)여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덧붙여,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나타내지는 구조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의 부호를 붙이고 있다.
(A) 전동 릴(10)의 모터 홀더(7)는, 일단에 개구(20e)를 가지고, 타단에 출력축(26)이 지지되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모터 케이스(20)를 가지는 모터(4)를 릴 본체(2)에 취부하기 위한 것이다. 전동 릴의 모터 홀더는, 덮개부(7a)와 연결부(7b)를 구비한다. 덮개부(7a)는, 릴 본체(2)에 설치되고, 모터 케이스(20)의 일단의 외주면(20f)에 계합하며, 개구(20e)를 막는 저부(36b)를 포함하는 계합 오목부(36)를 가진다. 연결부(7b)는, 모터 케이스(20)의 외주면(20f)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 모터 홀더(7)에서는, 덮개부(7a)의 계합 오목부(36)의 저부(36b)가 모터 케이스(20)의 개구(20e)를 막고, 계합 오목부(36)가 모터 케이스(20)의 일단의 외주면(20f)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모터 홀더(7)가 모터 케이스(20)를 막는다. 또한, 모터 케이스(20)의 외주면(20f)이 연결부(7b)에 의하여 모터 홀더(7)에 연결되어, 모터 케이스(20)가 모터 홀더(7)에 고정된다. 여기에서는, 모터 케이스(20)의 개구(20e)를 막는 기능과, 모터 케이스(20)를 릴 본체(2)에 고정하는 기능의 2개의 기능을 모터 홀더(7)가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모터 홀더(7)에 덮개 부재를 취부하기 위한 볼트 부재의 관통 구멍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모터 홀더(7)의 외측면으로부터 모터(4)의 내부로의 액체의 침입을 간소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B) 모터 홀더(7)에 있어서, 모터 케이스(20)는 일단의 외주면(20f)에 형성된 수나사부(20d)를 가진다. 연결부(7b)는, 계합 오목부(36)에 형성되고, 수나사부(20d)에 나합하는 암나사부(36c)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모터 케이스(20)와 모터 홀더(7)를 상대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모터 케이스(20)를 모터 홀더(7)에 취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모터 케이스(20)의 모터 홀더(7)에의 취부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C) 모터 홀더(7)에 있어서, 릴 본체(2)는, 제1 측판(13a)과, 제1 측판(13a)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측판(13b)과, 제1 측판(13a)과 제2 측판(13b)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13c)를 가지는 프레임(13)을 가진다. 모터 홀더(7)는, 제1 측판(13a)에 볼트 부재(28)에 의하여 고정되는 플랜지부(7c)(취부부의 일례)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모터(4)가 고정된 모터 홀더(7)의 플랜지부(7c)를 제1 측판(13a)에 볼트 부재(28)에 의하여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모터(4)를 릴 본체(2)에 고정할 수 있다.
(D) 모터 홀더(207)에 있어서, 취부부는, 계합 오목부(236)의 외주 측에 대경으로 형성된 플랜지부(207c)이다. 연결부(207b)는, 나사 구멍(248)과 나사 부재(250)를 가진다. 나사 구멍(248)은, 선단(248a)이 기단(248b)보다도 모터 케이스(220)의 타단 측에 배치되도록 계합 오목부(236)의 외측면(236d)으로부터 내주면(236e)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나사 부재(250)는, 모터 홀더(207)의 외측면으로부터 나사 구멍(248)에 틀어넣어지고, 선단부(250a)에 의하여 모터 케이스(220)의 외주면(220f)을 압압한다.
이 경우에는, 모터 케이스(220)의 외주면(220f)을 향하여, 나사 구멍(248)에 나사 부재(250)를 틀어넣는다. 이것에 의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된 나사 부재(250)의 선단부(250a)가 모터 케이스(220)의 외주면(220f)을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모터(204)가 모터 홀더(207)에 고정된다. 여기에서는, 나사 부재(250)를 비스듬하게 틀어넣을 수 있기 때문에, 나사 부재(250)의 기단이 플랜지부(207c)로부터 이반하여, 나사 부재(250)를 돌리기 위한 공구가 플랜지부(207c)에 간섭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모터(204)를 모터 홀더(207)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E) 모터 홀더(207)에 있어서, 나사 부재(250)는, 나사축(250b)의 기단에 공구 계지부(250c)를 가지는 멈춤 나사이다. 이 경우에는, 머리부를 가지지 않는 나사 부재(250)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취부 구조가 콤팩트하게 된다.
(F) 모터 홀더(7)에 있어서, 덮개부(7a)에는, 모터 케이스(20)의 일단 측의 단면이 접촉한다. 이 경우에는, 모터 케이스(20)의 축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G) 모터 홀더(7)에 있어서, 덮개부(7a)는, 출력축(26)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는 원웨이 클러치(34)를 수납 가능한 클러치 수납부(38)를 더 가진다. 이 경우에는, 원웨이 클러치(34)의 수납 구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H) 모터 홀더(7)에 있어서, 클러치 수납부(38)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출력축(26)의 제2 단을 지지하는 베어링(32)을 수납하는 베어링 수납부(39)를 더 가진다. 이 경우에는, 모터(4)의 출력축(26)을 고정도로 지지할 수 있다.
(I) 모터 조립체(8)는, 모터(4)와 모터 홀더(7)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덮개 부재를 겸하는 모터 홀더(7)를 가지는 모터 조립체(8)가 회전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과 함께, 상기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모터 조립체(8)를 얻을 수 있다.
(J) 전동 릴(10)은, 릴 본체(2)와,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3)과, 모터 조립체(8)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전동 릴을 얻을 수 있다.
(K) 전동 릴(10)에 있어서, 모터(4)는, 스풀(3)의 내부에 수납된다. 이 경우에는, 모터(4)가 스풀(3) 내에 수납되기 때문에, 전동 릴(10)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K) 전동 릴(310)에 있어서, 모터(304)는, 스풀(303)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스풀(303)의 소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터로서 브러시리스 모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닥이 있는 통상의 모터 케이스를 가지는 것이면, 모터는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브러시 부착의 직류 모터여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결부로서,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에 의한 나사 결합 또는 나사 부재에 의한 압압에 의한 연결 구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연결 구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모터 케이스를 모터 홀더에 공구 등으로 이음매를 단단히 밀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모터 홀더를 베이오넷(bayonet) 구조에 의하여 모터 케이스에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카운터 케이스를 가지는 전동 릴을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카운터 케이스를 가지지 않는 전동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1 : 핸들
2, 102, 302 : 릴 본체
3, 303 : 스풀
4 : 모터
7 : 모터 홀더
7a : 덮개부
7b : 연결부
7c : 플랜지부
7d : 나사 구멍
8 : 모터 조립체
10 : 전동 릴
13 : 프레임
13a : 제1 측판
13b : 제2 측판
13c : 연결 부재
20 : 모터 케이스
20d : 수나사부
20e : 개구
20f : 외주면
26 : 출력축
28 : 볼트 부재
32 : 베어링
34 : 원웨이 클러치
36 : 계합 오목부
36c : 암나사부
38 : 클러치 수납부
39 : 베어링 수납부
102 : 릴 본체
107 : 모터 홀더
113 : 프레임
113a : 제1 측판
204 : 모터
207 : 모터 홀더
207a : 덮개부
207b : 연결부
207c : 플랜지부
210 : 전동 릴
213a : 제1 측판
220 : 모터 케이스
220f : 외주면
228 : 볼트 부재
236 : 계합 오목부
236d : 외측면
236e : 내주면
248 : 나사 구멍
248a : 선단
248b : 기단
250 : 나사 부재
250a : 선단부
250b : 나사축
250c : 공구 계지부
302 : 릴 본체
303 : 스풀
304 : 모터
307 : 모터 홀더
310 : 전동 릴
313 : 프레임
313a : 제1 측판
313b : 제2 측판
336 : 계합 오목부

Claims (12)

  1. 일단(一端)에 개구(開口)를 가지고, 타단(他端)에 출력축이 지지되는 바닥이 있는 통상(筒狀)의 모터 케이스를 가지는 모터를 릴 본체에 취부하기 위한 전동 릴의 모터 홀더이고,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 케이스의 상기 일단의 외주면(外周面)에 계합(係合)하며, 상기 개구를 막는 저부(底部)를 포함하는 계합 오목부를 가지는 덮개부와,
    상기 모터 케이스의 상기 외주면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
    를 구비하는 전동 릴의 모터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스는 상기 일단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계합 오목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에 나합(螺合)하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전동 릴의 모터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는, 제1 측판과, 상기 제1 측판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측판과,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가지는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계합 오목부보다 직경 방향 외방(外方)에서 상기 제1 측판에 볼트 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취부부를 더 구비하는, 전동 릴의 모터 홀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는, 상기 계합 오목부의 외주 측에 대경(大徑)으로 형성된 플랜지부이고,
    상기 연결부는,
    선단(先端)이 기단(基端)보다도 상기 모터 케이스의 상기 타단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계합 오목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주면(內周面)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나사 구멍과,
    상기 모터 홀더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나사 구멍에 틀어넣어지고, 선단부에 의하여 상기 모터 케이스의 외주면을 압압(押壓)하는 나사 부재를 가지는, 전동 릴의 모터 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부재는, 나사축의 기단에 공구 계지부를 가지는 멈춤 나사인, 전동 릴의 모터 홀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모터 케이스의 상기 일단 측의 단면(端面)이 접촉하는, 전동 릴의 모터 홀더.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출력축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수납 가능한 클러치 수납부를 더 가지는, 전동 릴의 모터 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클러치 수납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출력축의 상기 제2 단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수납하는 베어링 수납부를 더 가지는, 전동 릴의 모터 홀더.
  9. 상기 모터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터 홀더
    를 구비하는 전동 릴의 모터 조립체.
  10.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과,
    제9항에 기재된 모터 조립체
    를 구비하는 전동 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스풀의 내부에 수납되는, 전동 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스풀의 전방(前方)에 배치되는, 전동 릴.
KR1020130040383A 2012-08-09 2013-04-12 모터 홀더, 모터 조립체 및 모터 조립체를 구비하는 전동 릴 KR102042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77116A JP6027816B2 (ja) 2012-08-09 2012-08-09 モータホルダ、モータ組立体及びモータ組立体を備える電動リール
JPJP-P-2012-177116 2012-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722A true KR20140020722A (ko) 2014-02-19
KR102042701B1 KR102042701B1 (ko) 2019-11-08

Family

ID=5003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383A KR102042701B1 (ko) 2012-08-09 2013-04-12 모터 홀더, 모터 조립체 및 모터 조립체를 구비하는 전동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27816B2 (ko)
KR (1) KR102042701B1 (ko)
CN (1) CN103563869B (ko)
TW (1) TWI5540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4115B2 (ja) * 2016-03-10 2020-04-2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554059B2 (ja) * 2016-03-31 2019-07-3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US11462973B2 (en) * 2018-04-16 2022-10-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ncoder and mo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7986A (ko) * 1972-09-13 1974-05-09
JPH10178984A (ja) * 1996-12-27 1998-07-07 Ryobi Ltd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4000099A (ja) * 2002-06-03 2004-01-08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9284793A (ja) 2008-05-28 2009-12-10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6892A (en) * 1961-08-15 1964-01-07 Pickard Rod Electric fishing reel
JP3515899B2 (ja) * 1998-03-03 2004-04-0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2039240A (ja) * 2000-07-24 2002-02-06 Asmo Co Ltd 電動ブレーキ装置用モータ
JP2003125681A (ja) * 2001-10-19 2003-05-07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
KR20030085922A (ko) * 2002-05-02 2003-11-07 주식회사 아피스 케이알 낚시용 릴
JP2004105098A (ja) * 2002-09-19 2004-04-08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6109831A (ja) * 2004-09-14 2006-04-27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5382701B2 (ja) * 2009-04-09 2014-01-08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10263837A (ja) * 2009-05-15 2010-11-25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カウンタケース
CN201947815U (zh) * 2010-12-28 2011-08-31 梁琦 电动渔线轮
JP5616247B2 (ja) * 2011-01-31 2014-10-2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7986A (ko) * 1972-09-13 1974-05-09
JPH10178984A (ja) * 1996-12-27 1998-07-07 Ryobi Ltd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4000099A (ja) * 2002-06-03 2004-01-08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9284793A (ja) 2008-05-28 2009-12-10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27816B2 (ja) 2016-11-16
CN103563869B (zh) 2017-03-01
KR102042701B1 (ko) 2019-11-08
TW201407933A (zh) 2014-02-16
JP2014033650A (ja) 2014-02-24
CN103563869A (zh) 2014-02-12
TWI554010B (zh)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4569B2 (en) Bicycle hub generator
KR102042701B1 (ko) 모터 홀더, 모터 조립체 및 모터 조립체를 구비하는 전동 릴
JP5254882B2 (ja) 魚釣用リール
JP2005229721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モータ
JP2010136596A (ja) モータ
TW201507613A (zh) 紡車式捲線器
KR20140119983A (ko) 센서 마그넷을 갖는 모터
KR102101238B1 (ko) 스피닝 릴 및 스피닝 릴의 릴 본체
JP2014033650A5 (ko)
KR20140036946A (ko) 스피닝 릴
KR20110107275A (ko) 마스터 기어 조립체
JP2013226109A (ja) 魚釣用リール
WO2018044568A1 (en) Reek with disengageable seal
JP2014057544A5 (ko)
JP480433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6710118B2 (ja) インパクト工具
CN201218893Y (zh) 一种摄像头的转动设备
JP3174891U (ja) 電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5287903B2 (ja) ロータユニット、風力発電システム、回転電機、発電機および回転電機の組立方法
JP2008086110A (ja) モータ
JP6696919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ロータのアダプタ、このアダプタを含むディスクブレーキロータ、および、磁気発生装置
KR100879903B1 (ko) 낚시용 릴의 너트 부재 회전 방지 구조
CN213095633U (zh) 鱼线轮的新型防水结构
CN117461604A (zh) 钓鱼用电动渔线轮
CN203691134U (zh) 搭配卡式飞轮的电动自行车用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