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238B1 - 스피닝 릴 및 스피닝 릴의 릴 본체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 및 스피닝 릴의 릴 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238B1
KR102101238B1 KR1020130063651A KR20130063651A KR102101238B1 KR 102101238 B1 KR102101238 B1 KR 102101238B1 KR 1020130063651 A KR1020130063651 A KR 1020130063651A KR 20130063651 A KR20130063651 A KR 20130063651A KR 102101238 B1 KR102101238 B1 KR 102101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reel
mounting space
norma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7542A (ko
Inventor
히로카즈 히라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2963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25209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40518A external-priority patent/JP595684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30137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기구 장착 공간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억제하고, 또한 나사 부재를 후부(後部)에 노출시키는 일 없이 가드 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릴 본체(2)의 케이스부(2a)는, 측부(側部)가 개구하는 기구 장착 공간(2d)과, 전연부(前緣部)에 개구(開口)하는 제1 개구부(30)와, 제1 개구부(30)와 반대쪽에 배치되고 후연부(後緣部)에 개구하는 제2 개구부(31)를 가진다. 가드 부재(26)는, 케이스부(2a)의 후연부로부터 제2 개구부(31)에 삽입 가능한 보스부(26a)를 가진다. 통상부(25)는, 제1 개구부(30)와 제2 개구부(31)와의 사이에서 기구 장착 공간(2d)에 대하여 액밀(液密)로 되도록 기구 장착 공간(2d) 내에 설치된다. 나사 부재(27)는, 제1 개구부(30)를 통과 가능하고, 통상부(25)의 내부에 머리부(27a)가 계지(係止)되며 보스부(26a)에 틀어넣어진다.

Description

스피닝 릴 및 스피닝 릴의 릴 본체{SPINNING REEL AND SPINNING-REEL REEL UNIT}
본 발명은, 낚싯대에 장착 가능하고, 낚싯줄을 전방(前方)으로 방출하는 스피닝 릴 및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개구(開口)를 가지는 케이스부와, 개구를 막도록 케이스부에 고정되고, 케이스부와의 사이에서 기구 장착 공간을 형성 가능한 덮개 부재와, 케이스부 및 덮개 부재의 후부(後部)를 덮는 가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가드 부재는 케이스부에 나사 멈춤된다. 가드 부재를 케이스부에 나사 멈춤하기 위하여 가드 부재에 전방으로 돌출하는 보스부를 설치한 릴 본체가 종래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릴 본체는, 케이스부의 전부(前部)에 관통 구멍을 설치하고, 관통 구멍과 보스부와의 사이에 중간 부재를 배치하고 있다. 중간 부재는, 후부가 제1 나사 부재에 의하여 보스부에 고정되고, 또한 전부가 제2 나사 부재에 의하여 관통 구멍에 고정되어 있다. 관통 구멍은 제2 나사 부재에 의한 고정 후에 캡에 의하여 막힌다. 이것에 의하여, 가드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부재가 릴 본체의 후부에 노출하는 일 없이 가드 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4804330호 명세서
종래의 구성에서는, 가드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부재가 릴 본체의 후부에 노출하지 않는다. 그러나 가드 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2개의 나사 부재가 필요하게 되고, 가드 부재의 고정 작업이 번잡하게 된다. 또한, 관통 구멍에 캡 부재를 장착하고 있지만, 보스부와 릴 본체와의 간극(間隙)으로부터 액체가 기구 장착 공간에 침입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기구 장착 공간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억제하고, 또한 나사 부재를 후부에 노출시키는 일 없이 가드 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낚싯대에 장착 가능하고,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 가능한 스피닝 릴의 릴 본체이다. 릴 본체는, 케이스부와, 덮개 부재와, 가드 부재와, 통상(筒狀)부와, 나사 부재를 구비한다. 케이스부는, 측부(側部)가 개구하는 기구 장착 공간과, 전연부(前緣部)에 개구하는 제1 개구부와, 제1 개구부와 반대쪽에 배치되고 후연부(後緣部)에 개구하는 제2 개구부를 가진다. 덮개 부재는, 기구 장착 공간을 막기 위하여 케이스부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드 부재는, 케이스부의 후연부로부터 제2 개구부에 삽입 가능한 보스부를 가지고, 케이스부 및 덮개 부재를 덮도록 후방(後方)으로부터 장착된다. 통상부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와의 사이에서 기구 장착 공간에 대하여 액밀(液密)로 되도록 기구 장착 공간 내에 설치된다. 나사 부재는, 제1 개구부를 통과 가능하고, 통상부의 내부에 머리부가 계지(係止, 서로 걸려 고정되는 것)되며 보스부에 틀어넣어진다.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는, 각각 기구 장착 공간과 연통한다. 통상부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와의 사이에서 기구 장착 공간 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릴 본체는, 제1 실 부재와 제2 실 부재를 더 구비한다. 제1 실 부재는, 통상부와 제1 개구부와의 간극을 실(seal)한다. 제2 실 부재는, 통상부와 제2 개구부와의 간극을 실한다.
이 릴 본체에서는, 머리부가 통상부에 계지된 1개의 나사 부재에 의하여 가드 부재가 케이스부에 고정된다. 이 통상부는, 기구 장착 공간 내의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와의 사이에서 기구 장착 공간에 대하여 액밀하게 설치된다. 이 때문에, 통상부의 내부로부터 기구 장착 공간 내에 액체가 침입하지 않는다. 또한, 1개의 나사 부재에 의하여 가드 부재의 케이스부로의 고정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기구 장착 공간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억제하고, 또한 나사 부재를 후부에 노출시키는 일 없이 가드 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릴 본체에서는, 통상부는, 제1 실 부재 및 제2 실 부재에 의하여 제1 개구부와의 간극 및 제2 개구부와의 간극이 실된다. 이 때문에, 통상부의 내부로부터 기구 장착 공간 내에 액체가 침입하지 않는다.
삭제
삭제
릴 본체에 있어서, 제2 개구부는, 후연부에 개구하고 보스부가 삽입되는 제1 구멍부와, 제1 구멍부로부터 전연부를 향하여 형성되고 나사 부재의 나사축부(軸部)가 통과 가능하며, 제1 구멍부보다도 소경(小徑)의 제2 구멍부와, 제2 구멍부가 개구하고 제2 구멍부에 직교하는 면을 가지는 벽부(壁部)를 가져도 무방하다. 통상부는 기구 장착 공간 내에 배치된다. 통상부는 통부와 저부(底部)를 가지고 있다. 통부는 제1 개구부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통부는 나사 부재의 머리부를 삽입 가능하다. 저부는 벽부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저부는, 나사축부가 통과 가능한 제1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다. 저부는 머리부를 계지 가능하다. 제1 실 부재는 제1 개구부와 통부에 감합(嵌合)한다.
이 경우에는, 통상부가 기구 장착 공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덮개 부재를 케이스부에 고정하기 전에 통상부를 기구 장착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 부재가 제1 개구부와 통부에 감합하기 때문에, 제1 실 부재에 의하여 통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
릴 본체에 있어서, 제1 실 부재는, 제1 개구부에 감합하는 일단(一端)부가 통부에 감합하는 타단(他端)부보다도 대경(大徑)의 절두원추(截頭圓錐) 형상의 탄성체제의 부재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개구부를 지나 통부에 장착되는 제1 실 부재가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실 부재를 통부에 장착하기 쉽다.
릴 본체에 있어서, 제2 실 부재는, 벽부와 저부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통상부는, 저부로부터 벽부를 향하게 하여 원형으로 돌출하는 실 장착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제2 실 부재는, 실 장착부의 외주면(外周面)에 장착된다. 이 경우에는, 벽부와 저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실 부재가 실 장착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제2 실 부재를 확실히 장착할 수 있다.
릴 본체에 있어서, 제2 실 부재는, 실 장착부에 장착 가능한 O링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시판의 실 부재에 의하여 통상부와 제2 개구부와의 간극을 실할 수 있다.
릴 본체에 있어서, 통상부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통상부가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통상부의 장착이 용이하다.
릴 본체에 있어서, 통상부는, 기구 장착 공간을 전후(前後) 방향으로 관통하며,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에 연통하는 제2 관통 구멍을 가지고, 또한 기구 장착 공간에 대하여 액밀하게 봉지(封止, 개구를 폐쇄하는 것)되는 관통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릴 본체에서는, 가드 부재를 케이스부에 고정하는 경우, 가드 부재의 보스부를 후부로부터 제2 관통 구멍에 삽입한다. 이 상태로 나사 부재를 전부로부터 제2 관통 구멍에 삽입하여 보스부와 나합(螺合, 나사를 끼워 맞추는 것)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가드 부재가 케이스부에 고정된다. 이때, 관통부는 기구 장착 공간에 대하여 액밀하게 봉지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부로부터 기구 장착 공간에 액체가 침입하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기구 장착 공간에 대하여 액밀한 관통부의 제2 관통 구멍의 내부에서 전부로부터 삽입된 1개의 나사 부재를 후부로부터 삽입된 보스부에 나합시켜 가드 부재를 케이스부에 고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구 장착 공간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억제하고, 또한 나사 부재를 후부에 노출시키는 일 없이 가드 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릴 본체에 있어서, 관통부는, 케이스부에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관통부가 덮개 부재에는 설치되지 않고 케이스부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다른 실 부재를 이용하여 관통부를 기구 장착 공간에 대하여 액밀하게 봉지하는 구성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가드 부재를 한층 더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릴 본체에 있어서, 케이스부는, 케이스부의 내측(內側)면으로부터 덮개 부재를 향하게 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돌출부는, 전연부와 후연부를 이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2 관통 구멍은, 돌출부 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전연부와 후연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 경우에는, 케이스부 내에 덮개 부재를 향하게 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돌출부 내에 전연부와 후연부를 관통하는 제2 관통 구멍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관통부의 기구 장착 공간에 대한 액밀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를 형성형(型成形)에 의하여 제작하는 경우, 돌출부를 설치하여도 좌우 방향(구동축 방향)으로 분할되는 단순한 금형으로 케이스부를 제작할 수 있다.
릴 본체에 있어서, 제2 관통 구멍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과 제3 부분을 가진다. 제1 부분은 전부에 설치되고, 나사 부재의 머리부를 삽입 가능하다. 제2 부분은 후부에 설치되고, 보스부를 삽입 가능하여도 무방하다. 제3 부분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부분보다도 소경이다.
이 제2 관통 구멍에서는, 제1 부분에 나사 부재의 머리부가 삽입되고, 제3 부분과의 단차(段差)에 의하여 머리부가 계지된다. 또한, 제2 부분에 보스부가 삽입된다. 보스부의 길이는, 선단(先端)과 제3 부분과의 단차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는 길이가 바람직하다.
릴 본체에 있어서, 관통부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관통부가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관통부의 장착이 용이하다.
릴 본체에 있어서, 스피닝 릴은, 스풀과, 스풀에 낚싯줄을 감기 위한 로터와, 로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어를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릴 본체의 통상부는, 구동 기어의 축 방향에 있어서, 구동 기어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통상부와 구동 기어를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부가 구동 기어에 간섭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통상부를 설치하여도 구동 기어의 대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릴 본체에 있어서, 케이스부는, 낚싯대에 장착 가능한 낚싯대 장착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비교적 강성(剛性)이 높은 케이스부에 낚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 낚싯대로부터의 힘이 작용하는 낚싯대 장착부가 설치되기 때문에, 낚싯대 장착부의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상기 릴 본체와, 스풀과, 로터와, 구동 기어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은, 릴 본체에 전후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로터는, 스풀에 낚싯줄을 감기 위하여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 기어는, 로터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이 스피닝 릴에서는, 상기 작용 효과를 가져오는 스피닝 릴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부가 제1 실 부재 및 제2 실 부재에 의하여 케이스부와의 사이에서 실된다. 이 때문에, 통상부의 내부로부터 기구 장착 공간 내에 액체가 침입하지 않는다. 또한, 1개의 나사 부재에 의하여 가드 부재의 케이스부로의 고정과 통상부의 케이스부로의 고정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기구 장착 공간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억제하고, 또한 나사 부재를 후부에 노출시키는 일 없이 가드 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그 측면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절단선 III-III에 의한 단면도.
도 4는 케이스부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릴 본체의 후부의 확대 측면 단면도.
도 6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의 도 5에 상당하는 확대 측면 단면도.
도 7은 제2 실시예의 도 3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8은 제2 실시예의 도 4에 상당하는 케이스부의 확대 사시도.
도 9는 제2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릴 본체의 후부의 확대 측면 단면도.
도 10은 제3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릴 본체의 후부의 확대 측면 단면도.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100)은,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 가능한 릴이다. 스피닝 릴(100)은, 핸들(1)과,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전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싯줄을 외주면에 감는 것이고, 로터(3)의 전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핸들(1)은 릴 본체(2)의 좌우 어느 쪽에도 장착 가능하다.
<릴 본체의 구성>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릴 본체(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부가 개구하는 기구 장착 공간(2d)을 가지는 케이스부(2a)와, 덮개 부재(2b, 도 3)와, 통상부(25)와, 보스부(26a)를 가지는 가드 부재(26)와, 나사 부재(27)와, 제1 실 부재(28)와, 제2 실 부재(29)를 구비한다. 케이스부(2a)는, 전연부에 개구하고 기구 장착 공간(2d)에 연통하는 제1 개구부(30)와, 제1 개구부(30)와 반대 측에 배치되고, 기구 장착 공간(2d)과 연통하며 후연부에 개구하는 제2 개구부(31)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부(2a)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합금제의 것이다. 케이스부(2a)에는, 상부(上部)에 전후로 연장되는 T자형의 낚싯대 장착부(2e)가 일체(一體)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부(2a)의 기구 장착 공간(2d) 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 구동 기구(5)와 오실레이팅(oscillating)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부(2a)의 전단(前端)에는,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의 플랜지부(2f)를 구성하는 대체로 반원형의 제1 플랜지(2f1)와, 플랜지부(2f)보다 소경으로 선단이 개구하는 원통부(2g, 도 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2f1)에는, 제1 개구부(30)가 개구하고 있다.
제1 개구부(30)는, 나사 부재(27)가 통과 가능한 내경(內徑)을 가지는 둥근 구멍에 의하여 구성된다. 제1 개구부(30)는, 케이스부(2a)의 전연부인 제1 플랜지부(2f)로부터 제2 개구부(31)를 향하여 돌출하는 제1 돌출부(2h)에 형성되어 있다. 제1 개구부(30)는, 나사 부재(27)에 의하여 가드 부재(26)를 취부(取付)한 후에 제1 실 부재(28)에 의하여 막혀 있다.
제2 개구부(31)는, 케이스부(2a)의 후연부로부터 제1 개구부(30)를 향하게 하여 돌출하는 제2 돌출부(2i)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부(31)는, 케이스부(2a)의 후연부에 원형으로 개구하는 제1 구멍부(31a)와, 제1 구멍부(31a)로부터 케이스부(2a)의 전연부를 향하게 하여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2 구멍부(31b)와, 제2 구멍부(31b)가 개구하는 벽부(31c)를 가지고 있다. 제1 구멍부(31a)에는, 가드 부재(26)의 보스부(26a)를 삽입 가능하다. 제2 구멍부(31b)는, 제1 구멍부(31a)보다도 소경이다. 제2 구멍부(31b)에는, 나사 부재(27)의 후술하는 나사축부(27b)가 통과 가능하다. 벽부(31c)는, 제2 구멍부(31b)가 개구하고, 제2 구멍부(31b)에 직교하는 면으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2b)는, 기구 장착 공간(2d)을 막기 위하여 케이스부(2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덮개 부재(2b)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합금제의 것이다. 덮개 부재(2b)는, 예를 들어, 로터(3)로 가려지는 앞쪽의 2개소(箇所)에서 도시하지 않는 2개의 고정 볼트에 의하여 케이스부(2a)에 고정되어 있다. 앞쪽의 2개의 고정 볼트는, 케이스부(2a)의 전부에 형성된 도 4에 도시하는 2개의 나사 구멍(18)에 틀어넣어진다. 또한, 덮개 부재(2b)는, 로터(3)로부터 이반하는 뒤쪽의 1개소에서 도시하지 않는 고정 볼트에 의하여 케이스부(2a)에 고정되어 있다. 뒤쪽의 고정 볼트는, 케이스부(2a)의 후부에 형성된 나사 구멍(19)에 틀어넣어진다. 따라서 앞쪽의 2개의 고정 볼트는 로터(3)에 의하여 가려진다. 또한, 뒤쪽의 고정 볼트는, 가드 부재(26)에 의하여 커버된다. 따라서 덮개 부재(2b)를 고정하는 고정 볼트는 릴 본체(2)의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다. 덮개 부재(2b)의 전단에는, 제1 플랜지(2f1)와 함께 플랜지부(2f)를 구성하는 제2 플랜지(2f2)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부(25)는, 제1 개구부(30)와 제2 개구부(31)와의 사이에서 기구 장착 공간(2d)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통상부(25)는, 기구 장착 공간(2d)에 대하여 액밀로 되도록 기구 장착 공간(2d) 내에 설치된다. 통상부(25)는, 제1 실시예에서는, 케이스부(2a)와 별체(別體)이고,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polyamide) 수지 또는 폴리아세탈(polyacetal) 등의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다. 통상부(25)는, 케이스부(2a)의 기구 장착 공간(2d)에 배치되어 있다. 통상부(25)는, 제1 개구부(30)와 제2 개구부(31)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통상부(25)는, 제1 개구부(30)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나사 부재(27)의 머리부(27a)를 삽입 가능한 통부(25a)와, 저부(25b)와, 실 장착부(25c)를 가지고 있다. 통부(25a)는, 제1 개구부(30)와 실질적으로 같은 직경의 구멍을 가지고 있다. 저부(25b)는, 벽부(31c)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저부(25b)는, 나사 부재(27)의 나사축부(27b)가 통과 가능한 제1 관통 구멍(25d)을 가지고 있다. 저부(25b)는, 나사 부재(27)의 머리부(27a)를 계지 가능하다. 실 장착부(25c)는, 저부(25b)로부터 벽부(31c)를 향하여 통상으로 돌출하고 있다. 실 장착부(25c)의 선단부는, 벽부(31c)에 접촉하여 배치된다. 제1 관통 구멍(25d)은, 제2 개구부(31)의 제2 구멍부(31b)와 실질적으로 같은 직경의 구멍이다.
가드 부재(26)는,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2a) 및 덮개 부재(2b)를 덮도록 후방으로부터 장착되는 부재이다. 가드 부재(26)는, 릴 본체(2)의 후부의 외형 형상을 결정하고 있다. 가드 부재(26)는, 형체 맞춤을 위한 도시하지 않는 패킹을 통하여 낚싯대 장착부(2e)를 포함하는 케이스부(2a) 및 덮개 부재(2b)에 장착된다. 가드 부재(26)의 보스부(26a)는, 중심에 나사 부재(27)가 나사 멈춤 고정되도록 봉상(棒狀)으로 형성된다. 보스부(26a)는,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케이스부(2a)의 후연부로부터 제2 개구부(31)에 삽입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보스부(26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개구부(31)의 제1 구멍부(31a)에 삽입 가능하다. 보스부(26a)의 중심에는, 나사 부재(27)가 틀어넣어지는 암나사부(26b)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26b)는, 보스부(26a)의 축 방향의 도중의 위치까지 연장된다. 보스부(26a)는, 가드 부재(26)가 고정되었을 때에, 제1 구멍부(31a)와 제2 구멍부(31b)와의 단차와 간극을 형성 가능한 길이를 가진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 부재(27)는, 머리부(27a)와, 머리부(27a)보다 소경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나사축부(27b)를 가지는 부재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나사 부재(27)는, 보스부(26a)에 형성된 암나사부(26b)에 나합하는 볼트 부재이다. 그러나 나사 부재는, 보스부(26a) 내에 암나사부를 형성 가능한 태핑(tapping) 나사여도 무방하다. 나사 부재(27)는, 스피닝 릴(100)의 조립 전에 통상부(25)에 장착된다. 조립 시에는, 제1 개구부(30)를 경유하여 드라이버 등의 조임 공구의 선단을 통상부(25)에 삽입하고, 조임 공구에 의하여 나사 부재(27)를 돌려 가드 부재(26)의 보스부(26a)에 틀어넣는다. 이것에 의하여, 가드 부재(26) 및 통상부(25)가 케이스부(2a)에 고정된다.
제1 실 부재(28)는, 통상부(25)와 제1 개구부(30)와의 간극을 실한다. 제1 실 부재(28)는, 제1 개구부(30) 및 통상부(25)의 통부(25a)의 각각의 내주(內周)면에 감합한다. 제1 실 부재(28)는, 합성 고무 등의 탄성체제의 부재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 부재(28)는, 제1 개구부(30)에 감합하는 제1 단부(端部)(28a)의 외경(外徑)이, 통상부(25)의 통부(25a)에 감합하는 제2 단부(28b)의 외경보다도 큰 절두원추 형상의 부재이다. 제1 실 부재(28)의 제1 단부(28a)의 외경은, 제1 개구부(30)의 내경보다도 크고, 제2 단부(28b)의 외경은, 통상부(25)의 통부(25a)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실 부재(28)가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이 되고, 제1 개구부(30)를 경유하여 통상부(25)에 제1 실 부재(28)를 장착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1 실 부재(28)에 의하여, 통상부(25)의 내부로부터 기구 장착 공간(2d) 내로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제1 개구부(30)로부터 기구 장착 공간(2d) 내로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 부재(29)는, 통상부(25)와 제2 개구부(31)와의 간극을 실한다. 제2 실 부재는, 실 장착부(25c)에 장착되는 O링이다. O링의 선경(線徑)은, 실 장착부(25c)의 돌출 길이보다도 크다. 이것에 의하여, 실 장착부(25c)의 선단면이 벽부(31c)에 당접(當接, 부딪는 상태로 접함)한 상태로 제2 실 부재(29)가 벽부(31c)와 저부(25b)에 끼워져 약간 압축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2 실 부재(29)는, 저부(25b)와 벽부(31c)와의 간극을 실한다. 이 결과, 제2 개구부(31)에 액체가 침입하여도 통상부(25)로부터 기구 장착 공간(2d) 내로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릴 본체(2)에서는, 가드 부재(26)를 취부하기 위한 나사 부재(27)가 제1 실 부재(28)에 의하여 덮여 있다. 이 때문에, 나사 부재(27)가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 깔끔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부(30)와 통상부(25)와의 간극이 제1 실 부재(28)에 의하여 실되고, 제2 개구부(31)와 통상부와의 간극이 제2 실 부재(29)에 의하여 실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구 장착 공간(2d)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억제하고, 또한 나사 부재(27)를 후부에 노출시키는 일 없이 가드 부재(26)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2b)를 케이스부(2a)에 고정하는 나사 부재도 로터(3) 및 가드 부재(26)에 의하여 가려지기 때문에, 그러한 고정 볼트도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다.
<스피닝 릴의 그 외의 구성>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이 고정된 구동축(10)과, 구동축(10)에 일체 또는 별체로 설치되는 페이스 기어의 형태의 구동 기어(11)와, 구동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구동축(10)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베어링(16a) 및 제2 베어링(16b)에 의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베어링(16a)은, 케이스부(2a)에 설치된 제1 보스부(17a)에 장착된다. 제2 베어링(16b)은, 덮개 부재(2b)에 설치된 제2 보스부(17b)에 장착된다. 구동 기어(11)의 외주부는, 구동축(10)의 축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부(2a)에 배치된 통상부(25)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통상부(25)는, 구동 기어(11)와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 때문에, 통상부(25)를 설치하여도 구동 기어(11)의 대경화를 저해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 실시예의 구동 기어(11)는, 종래의 구동 기어보다도 직경이 크고 톱니 수가 많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2)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니언 기어(12)의 전부는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너트(13)에 의하여 로터(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12)는, 그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後端)부가, 각각 베어링(14a, 14b)을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의 중심부에 드래그 기구(60)를 통하여 연결된 스풀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동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축(15)의 하방(下方)에 평행으로 배치된 트래버스 캠(traverse cam)축(21)과, 트래버스 캠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트래버스 캠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축(15)의 후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중간 기어(23)는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려 있다.
로터(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제1 축(X) 둘레에 회전 가능하다. 로터(3)는, 피니언 기어(1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로터(3)는, 피니언 기어(12)에 연결되는 대체로 통상의 로터 본체(3a)와, 로터 본체(3a)의 양 측방(側方)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로터 암(3b) 및 제2 로터 암(3c)을 가지고 있다. 또한, 로터(3)는, 제1 로터 암(3b) 및 제2 로터 암(3c)에 요동(搖動, 흔들려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일 암(40)을 가지고 있다. 베일 암(40)은, 낚싯줄을 스풀(4)에 감기 위하여 설치된다.
로터(3)는,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51)를 가지는 역전 방지 기구(50)에 의하여 역전 금지 상태와 역전 허가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이 전환 조작은, 릴 본체(2)의 하부에 배치된 전환 레버(52)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스풀(4)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제1 로터 암(3b)과 제2 로터 암(3c)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4)은, 스풀축(15)의 선단에 드래그 기구(60)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겨지는 줄 감기 몸통부(4a)와, 줄 감기 몸통부(4a)의 후방에 줄 감기 몸통부(4a)와 일체 형성된 통상의 스커트부(4b)와, 줄 감기 몸통부(4a)의 전단에 설치된 대경의 플랜지부(4c)를 가지고 있다.
드래그 기구(60)는, 스풀(4)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이고, 스풀축(15)의 선단에 나합하는 드래그 조정 손잡이(61)와, 드래그 조정 손잡이(61)에 의하여 압압(押壓, 내리누르는 것)되어 스풀(4)을 제동하는 제동부(62)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의 조립 순서>
이와 같은 구성의 스피닝 릴에서는, 릴 본체(2) 내에 로터 구동 기구(5) 및 오실레이팅 기구(6)를 장착하는 것과 함께, 원통부(2g) 내에 역전 방지 기구(50)를 장착한다. 또한, 통상부(25)에 나사 부재(27) 및 제2 실 부재(29)를 장착하고, 나사 부재(27)에 의하여 통상부(25)를 케이스부(2a)의 기구 장착 공간(2d) 내에 임시로 둔다. 이 상태로 덮개 부재(2b)를 케이스부(2a)에 씌우고, 도시하지 않는 고정 볼트에 의하여 케이스부(2a)에 덮개 부재(2b)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케이스부(2a) 및 덮개 부재(2b)의 후방으로부터 가드 부재(26)를 장착한다. 이때, 가드 부재(26)의 보스부(26a)를 제2 개구부(31)의 제1 구멍부(31a)에 삽입한다. 그리고 제1 개구부(30)로부터, 드라이버 등의 조임 공구를 이용하여 나사 부재(27)를 보스부(26a)에 틀어넣고, 가드 부재(26) 및 통상부(25)를 케이스부(2a)에 고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릴 본체(2)의 조립 작업이 완료한다.
여기에서는, 통상부(25)와 제1 개구부(30)와의 간극 및 통상부와 제2 개구부(31)와의 간극이, 제1 실 부재(28) 및 제2 실 부재(29)에 의하여 실된다. 또한, 통상부(25)의 내부에 배치된 1개의 나사 부재(27)를, 후부로부터 제2 개구부(31)에 삽입된 보스부(26a)에 나합시켜 가드 부재(26) 및 통상부(25)를 케이스부(2a)에 고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구 장착 공간(2d)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억제하고, 또한 나사 부재(27)를 후부에 노출시키는 일 없이 가드 부재(26)를 용이하게 케이스부(2a)에 고정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변형예>
제1 실시예에서는, 통상부(25)의 실 장착부(25c)의 선단을 제2 개구부(31)의 벽부(31c)에 접촉시키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보스부(126a)를 삽입 가능한 제1 구멍부(131a)만으로 제2 개구부(131)를 구성한다. 통상부(125)의 실 장착부(125c)는, 제2 개구부(131)의 제1 구멍부(131a)에 감합한다. 변형예에서는, 실 장착부(125c)의 외주면에 제2 실 부재(129)를 장착하기 위한 환상(環狀) 홈(125e)을 형성하고, 제2 실 부재(129)에 의하여 실 장착부(125c)와 제1 구멍부(131a)의 내주면과의 간극을 실하고 있다. 또한, 통상부(125)의 저부(125b)는, 제2 개구부(131)의 벽부(31c)에 접촉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제1 실시예와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통상부(125)를 기구 장착 공간(2d) 내에 임시로 둘 때에, 통상부(125)가 보지(保持)되기 쉬워진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통상부(25)를 케이스부(2a)와 별체로 설치하였지만,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스피닝 릴(300)의 릴 본체(202)의 통상부(225)를, 케이스부(202a)와 일체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1 개구부(230) 및 제2 개구부(231)가 기구 장착 공간(2d)과 연통하고 있지 않고, 제2 관통 구멍(224a)에 연통하고 있다. 통상부(225)는, 기구 장착 공간(2d)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관통 구멍(224a)을 가지고, 또한 기구 장착 공간(2d)에 대하여 액밀하게 봉지되는 관통부(224)를 가진다. 덧붙여,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의 부재에 관해서는, 이후의 설명 및 이후의 도면에 제1 실시예와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플랜지(2f1)에는, 둥근 구멍에 의하여 구성되는 제1 개구부(230)가 관통부(224)와 연통하여 개구하고 있다. 제1 개구부(230)는, 나사 부재(227)에 의하여 가드 부재(226)를 취부한 후에 캡(239)에 의하여 막혀 있다. 케이스부(202a)는, 내측면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232)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232)는, 덮개 부재(2b)를 향하게 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32)는, 케이스부(202a)의 전연부와 후연부를 이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 돌출부(232)에 관통부(224)의 제2 관통 구멍(224a)이 케이스부(202a)의 전연부와 후연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관통부(224)는, 기구 장착 공간(2d)에 대하여 액밀하게 봉지되어 있다.
제2 관통 구멍(224a)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부분(224b)과, 제2 부분(224c)과, 제3 부분(224d)을 가지고 있다. 제1 부분(224b)은, 제1 개구부(230)에 연통한다. 제1 부분(224b)은, 케이스부(202a)의 전부에 설치되고, 나사 부재(227)의 머리부(227a)를 삽입 가능한 구멍이다. 제2 부분(224c)은, 케이스부(202a)의 후부에 설치되고, 가드 부재(226)의 후술하는 보스부(226a)를 삽입 가능한 구멍이다. 제2 부분(224c)은, 제2 개구부(231)에 연통하고 있다. 제3 부분(224d)은, 제1 부분(224b)과 제2 부분(224c)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3 부분(224d)은, 제1 부분(224b)보다도 소경의 구멍이고, 나사 부재(227)의 축부(227b)를 삽입 가능하다. 제1 부분(224b)과 제3 부분(224d)과의 단차에는, 나사 부재(227)의 머리부(227a)가 계지된다. 제3 부분(224d)에는, 축부(227b)가 통과하여 제2 부분(224c)에 이른다. 제2 부분(224c)에는, 보스부(226a)가 삽입된다. 보스부(226a)의 선단부는, 제2 부분(224c)과 제3 부분(224d)과의 단차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관통 구멍(224a)의 형상에 맞추어 돌출부(232)에 있어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부분(224d)에 대응하는 중간부(232a)가 그 양측의 부분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돌출부(232)와 관통부(224)와의 사이의 두께가 균등하게 되고, 형성형 시에 싱크 마크(sink mark)가 생기기 어려워지며, 싱크 마크에 의한 관통부(224)의 구멍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가드 부재(226)는, 제1 실시예의 가드 부재(26)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다만, 보스부(226a)의 길이가 제1 실시예의 보스부(26a)보다도 길다. 보스부(226a)는, 케이스부(202a)의 후부로부터 관통부(224)의 제2 관통 구멍(224a)을 향하여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226a)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부(224)의 제2 부분(224c)에 삽입 가능하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스부(226a)의 중심에는, 나사 부재(227)가 틀어넣어지는 나사 멈춤 오목부(226b)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 멈춤 오목부(226b)는, 보스부(226a)의 축 방향의 도중의 위치까지 연장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 부재(227)는, 머리부(227a)와, 머리부(227a)보다 소경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축부(227b)를 가지는 부재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나사 부재(227)는, 암나사부를 형성 가능한 태핑 나사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나사 부재는, 암나사부에 나합하는 통상의 볼트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나사 멈춤 오목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나사 부재(227)는, 케이스부(202a)의 전부로부터 관통부(224)에 삽입되어 가드 부재(226)의 보스부(226a)에 나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가드 부재(226)가 케이스부(202a)에 고정된다.
이 릴 본체(202)에서는, 가드 부재(226)를 취부하기 위한 나사 부재(227)가 캡(239)에 의하여 덮여 있다. 이 때문에, 나사 부재(227)가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 깔끔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나사 부재(227)가 기구 장착 공간(2d)에 대하여 액밀하게 봉지된 관통부(224)에 장착되고, 나아가 가드 부재(226)의 보스부(226a)도 관통부(224)에 배치되어 나사 부재(227)에 의하여 케이스부(202a)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기구 장착 공간(2d)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억제하고, 또한 나사 부재(227)를 후부에 노출시키는 일 없이 가드 부재(226)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2b)를 케이스부(202a)에 고정하는 나사 부재도 로터(3) 및 가드 부재(226)에 의하여 가려지기 때문에, 그러한 나사 부재도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다.
<릴 본체의 조립 순서>
이와 같은 구성의 스피닝 릴에서는, 릴 본체(202) 내에 로터 구동 기구(5)나 오실레이팅 기구(6)를 장착하는 것과 함께, 원통부(2g) 내에 역전 방지 기구(50)를 장착한다. 이 상태로 덮개 부재(2b)를 케이스부(202a)에 씌우고, 도시하지 않는 고정 볼트에 의하여 케이스부(202a)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케이스부(202a) 및 덮개 부재(2b)의 후방으로부터 가드 부재(226)를 장착한다. 이때, 가드 부재(226)의 보스부(226a)를 제2 관통 구멍(224a)의 제2 부분(224c)에 삽입한다. 그리고 제1 부분(224b)으로부터 나사 부재(227)를 삽입하고,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나사 부재(227)를 보스부(226a)에 틀어넣어, 가드 부재(226)를 케이스부(202a)에 고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릴 본체(202)의 조립 작업이 완료한다.
여기에서는, 기구 장착 공간(2d)에 대하여 액밀한 관통부(224) 내에서 전부로부터 삽입된 1개의 나사 부재(227)를 후부로부터 삽입된 보스부(226a)에 나합시켜 가드 부재(226)를 케이스부(202a)에 고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구 장착 공간(2d)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억제하고, 또한 나사 부재(227)를 후부에 노출시키는 일 없이 가드 부재(226)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통상부(25)를 기구 장착 공간(2d)에만 배치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하는 릴 본체(302)에 있어서, 통상부(325)는, 케이스부(302a)의 제1 개구부(330)와 제2 개구부(331)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통상부(325)는, 기구 장착 공간(2d)을 넘어서 배치된다. 제1 개구부(330)는, 대경의 제3 구멍부(330a)와 소경의 제4 구멍부(330b)를 가지고 있다. 제2 개구부(331)는 통상부(325)가 관통 가능하게 형성된다.
통상부(325)는, 제3 구멍부(330a)와 제4 구멍부(330b)와의 단차 부분에 계지되는 대경의 테두리부(325b)와, 테두리부(325b)보다도 소경의 통부(325a)를 가지고 있다. 통상부(325)는, 제2 관통 구멍(324a)을 가지는 관통부(324)를 더 가지고 있다. 제2 관통 구멍(324a)은, 나사 부재(327)의 머리부(327a)를 삽입 가능한 내경을 가지는 제1 부분(324b)과, 가드 부재(326)의 보스부(326a)를 삽입 가능한 내경을 가지는 제2 부분(324c)과, 제1 부분(324b)과 제2 부분(324c)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소경의 제3 부분(324d)을 가지고 있다. 제3 부분(324d)은, 나사 부재(327)의 나사축부(327b)가 통과 가능한 내경을 가지고 있다. 통부(325a)의 후단부는, 케이스부(302a)보다도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가드 부재(326)의 보스부(326a)의 선단부는, 제2 부분(324c)과 제3 부분(324d)과의 단차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나사 부재(327)는, 머리부(327a)가 제1 부분(324b)과 제3 부분(324d)과의 단차에 계지된다. 나사축부(327b)는, 제3 부분(324d)을 관통하여 보스부(326a)에 나합한다. 나사 부재(327)는 예를 들어 태핑 나사이다.
통상부(325)와 제1 개구부(330)와의 간극을 실하는 제1 실 부재(328)는, 통부(325a)의 전부의 외주면과 제1 개구부(330)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실 부재(328)는, 도 10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325a)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환상 홈(325f)에 장착되어 있다.
통상부(325)와 제2 개구부(331)와의 간극을 실하는 제2 실 부재(329)는, 통부(325a)의 후부의 외주면과 제2 개구부(331)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실 부재(329)는, 도 10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325a)의 후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환상 홈(325g)에 장착되어 있다. 제1 실 부재(328) 및 제2 실 부재(329)는 O링이다. 통상부(325)의 제1 부분(324b)의 앞쪽 개구 부분은, 예를 들어 탄성체제의 캡 부재(339)에 의하여 막힌다.
이와 같이 형성된 릴 본체(302)에서는, 제1 실 부재(328) 및 제2 실 부재(329)를 장착한 통상부(325)를 제1 개구부(330)로부터 삽입하고, 제2 개구부(331)를 관통하여 미리 케이스부(302a)에 테두리부(325b)가 제3 구멍부(330a)와 제4 구멍부(330b)의 단차에 접촉할 때까지 밀어넣는다. 기구 장착 공간(2d) 내로의 로터 구동 기구(5) 및 오실레이팅 기구(6) 등의 기구의 조립이 완료하면, 가드 부재(326)의 보스부(326a)를 관통부(324)의 제2 부분(324c)에 삽입한다. 그리고 제1 부분(324b)으로부터 나사 부재(327)를 삽입하며, 가드 부재(326)가 케이스부(302a) 및 덮개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접촉하고, 또한 테두리부(325b)가 제1 개구부(330)의 제3 구멍부(330a)와 제4 구멍부(330b)와의 단차에 접촉할 때까지 틀어넣는다. 이것에 의하여, 가드 부재(326) 및 통상부(325)가 케이스부(302a)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릴 본체(302)에서는, 통상부(325)의 전후의 외주부가 제1 실 부재(328) 및 제2 실 부재(329)에 의하여 실되기 때문에, 통상부(325)와 제1 개구부(330) 및 제2 개구부(331)와의 간극으로부터 기구 장착 공간(2d)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상부(325)가 케이스부(302a)의 전연부와 후연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통상부(325)의 내부에 액체가 침입하여도, 기구 장착 공간(2d)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릴 본체(2)는, 낚싯대에 장착 가능하고,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하는 스피닝 릴(100)의 릴 본체(2)이다. 릴 본체(2)는, 케이스부(2a)와, 덮개 부재(2b)와, 가드 부재(26)와, 통상부(25)와, 나사 부재(27)를 구비한다. 케이스부(2a)는, 측부가 개구하는 기구 장착 공간(2d)과, 전연부에 개구하고 기구 장착 공간(2d)과 연통하는 제1 개구부(30)와, 제1 개구부(30)와 반대쪽에 배치되고 기구 장착 공간(2d)과 연통하며 후연부에 개구하는 제2 개구부(31)를 가지고 있다. 덮개 부재(2b)는, 기구 장착 공간(2d)을 막기 위하여 케이스부(2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드 부재(26)는, 케이스부(2a) 및 덮개 부재(2b)를 덮도록 후방으로부터 장착된다. 가드 부재(26)는, 케이스부(2a)의 후연부로부터 제2 개구부(31)에 삽입 가능한 보스부(26a)를 가지고 있다. 통상부(25)는, 제1 개구부(30)와 제2 개구부(31)와의 사이에서 기구 장착 공간(2d)에 대하여 액밀로 되도록 기구 장착 공간(2d) 내에 설치된다. 나사 부재(27)는, 제1 개구부(30)를 통과 가능하고, 통상부(25)의 내부에 머리부(27a)가 계지되고 보스부(26a)에 틀어넣어진다.
이 릴 본체(2)에서는, 머리부(27a)가 통상부(25)에 계지된 1개의 나사 부재(27)에 의하여 가드 부재(26)가 케이스부(2a)에 고정된다. 이 통상부(25)는, 기구 장착 공간(2d) 내의 제1 개구부(30)와 제2 개구부(31)와의 사이에서 기구 장착 공간(2d)에 대하여 액밀하게 설치된다. 이 때문에, 통상부(25)의 내부로부터 기구 장착 공간(2d) 내에 액체가 침입하지 않는다. 또한, 1개의 나사 부재에 의하여 가드 부재(26)의 케이스부(2a)로의 고정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기구 장착 공간(2d)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억제하고, 또한 나사 부재(27)를 후부에 노출시키는 일 없이 가드 부재(26)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B) 릴 본체(2)에 있어서, 제1 개구부(30) 및 제2 개구부(31)는, 각각 기구 장착 공간(2d)과 연통한다. 통상부(25)는, 제1 개구부(30)와 제2 개구부(31)와의 사이에서 기구 장착 공간(2d) 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릴 본체(2)는, 제1 실 부재(28)와 제2 실 부재(29)를 더 구비한다. 제1 실 부재(28)는, 통상부(25)와 제1 개구부(30)와의 간극을 실한다. 제2 실 부재(29)는, 통상부(25)와 제2 개구부(31)와의 간극을 실한다.
(C) 릴 본체(2)에 있어서, 제2 개구부(31)는, 후연부에 개구하고 보스부(26a)가 삽입되는 제1 구멍부(31a)와, 제1 구멍부(31a)로부터 전연부를 향하여 형성되고 나사 부재(27)의 나사축부(27b)가 통과 가능하며, 제1 구멍부(31a)보다도 소경의 제2 구멍부(31b)와, 제2 구멍부(31b)가 개구하고 제2 구멍부(31b)에 직교하는 면을 가지는 벽부(31c)를 가지고 있다. 통상부(25)는, 기구 장착 공간(2d) 내에 배치된다. 통상부(25)는, 통부(25a)와 저부(25b)를 가지고 있다. 통부(25a)는, 제1 개구부(30)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통부(25a)는, 나사 부재(27)의 머리부를 삽입 가능하다. 저부(25b)는, 벽부(31c)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저부(25b)는, 나사축부(27b)가 통과 가능한 제1 관통 구멍(25d)을 가지고 있다. 저부(25b)는, 머리부(27a)를 계지 가능하다. 제1 실 부재(28)는, 제1 개구부(30)와 통부(25a)에 감합한다.
(D) 릴 본체(2)에 있어서, 제1 실 부재(28)는, 제1 개구부(30)에 감합하는 제1 단부(28a)가 통부(25a)에 감합하는 제2 단부(28b)보다도 대경의 절두원추 형상의 탄성체제의 부재이다. 이 경우에는, 제1 개구부(30)를 지나 통부(25a)에 장착되는 제1 실 부재(28)가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실 부재(28)를 통부(25a)에 장착하기 쉽다.
(E) 릴 본체(2)에 있어서, 제2 실 부재(29)는, 벽부(31c)와 저부(25b)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통상부(25)는, 저부(25b)로부터 벽부(31c)를 향하게 하여 원형으로 돌출하는 실 장착부(25c)를 가지고 있다. 제2 실 부재(29)는, 실 장착부(25c)의 외주면에 장착된다. 이 경우에는, 벽부(31c)와 저부(25b)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실 부재(29)가 실 장착부(25c)에 장착되기 때문에, 제2 실 부재(29)를 확실히 장착할 수 있다.
(F) 릴 본체(2)에 있어서, 제2 실 부재(29)는, 실 장착부(25c)에 장착 가능한 O링이다. 이 경우에는, 시판의 O링에 의하여 통상부(25)와 제2 개구부(31)와의 간극을 실할 수 있다.
(G) 릴 본체(2)에 있어서, 통상부(25)는, 제1 개구부(30) 및 제2 개구부(3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에는, 통상부(25)가 제1 개구부(30) 및 제2 개구부(3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통상부(25)의 장착이 용이하다.
(H) 릴 본체(202)에 있어서, 통상부(225)는, 기구 장착 공간(2d)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며, 제1 개구부(230) 및 제2 개구부(231)에 연통하는 제2 관통 구멍(224a)을 가지고, 또한 기구 장착 공간(2d)에 대하여 액밀하게 봉지되는 관통부(224)를 가진다.
이 릴 본체(202)에서는, 가드 부재(226)를 케이스부(202a)에 고정하는 경우, 가드 부재(226)의 보스부(226a)를 후부로부터 제2 관통 구멍(224a)에 삽입한다. 이 상태로 나사 부재(227)를 전부로부터 제2 관통 구멍(224a)에 삽입하여 보스부(226a)와 나합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가드 부재(226)가 케이스부(202a)에 고정된다. 이때, 관통부(224)는 기구 장착 공간(2d)에 대하여 액밀하게 봉지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부(224)로부터 기구 장착 공간(2d)에 액체가 침입하지 않는다.
(I) 릴 본체(202(302))에 있어서, 관통부(224(324))는, 케이스부(202a(302a))에만 설치된다. 이 경우에는, 관통부(224(324))가 덮개 부재(2b)에는 설치되지 않고 케이스부(202a(302a))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다른 실 부재를 이용하여 관통부(224(324))를 기구 장착 공간(2d)에 대하여 액밀하게 봉지하는 구성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가드 부재(226(326))를 한층 더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J) 릴 본체(202)에 있어서, 케이스부(202a)는, 케이스부(202a)의 내측면으로부터 덮개 부재(2b)를 향하게 하여 돌출하는 돌출부(232)를 가진다. 돌출부(232)는, 전연부와 후연부를 이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2 관통 구멍(224a)은, 돌출부(232) 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전연부와 후연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 경우에는, 케이스부(202a) 내에 덮개 부재(2b)를 향하게 하여 돌출하는 돌출부(232)를 설치하고, 돌출부(232) 내에 전연부와 후연부를 관통하는 제2 관통 구멍(224a)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관통부(224)의 기구 장착 공간(2d)에 대한 액밀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202a)를 형성형에 의하여 제작하는 경우, 돌출부(232)를 설치하여도 좌우 방향(구동축 방향)으로 분할되는 단순한 금형으로 케이스부를 제작할 수 있다.
(K) 릴 본체(202)에 있어서, 제2 관통 구멍(224a)은, 제1 부분(224b)과 제2 부분(224c)과 제3 부분(224d)을 가진다. 제1 부분(224b)은 전부에 설치되고, 나사 부재(227)의 머리부(227a)를 삽입 가능하다. 제2 부분(224c)은 후부에 설치되고, 보스부(226a)를 삽입 가능하다. 제3 부분(224d)은, 제1 부분(224b)과 제2 부분(224c)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부분(224b) 및 제2 부분(224c)보다도 소경이다.
이 제2 관통 구멍(224a)에서는, 제1 부분(224b)에 나사 부재(227)의 머리부(227a)가 삽입되고, 제3 부분(224d)과의 단차에 의하여 머리부(227a)가 계지된다. 또한, 제2 부분(224c)에 보스부(226a)가 삽입된다. 보스부(226a)의 길이는, 선단과 제3 부분(224d)과의 단차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는 길이가 바람직하다.
(L) 릴 본체(2)에 있어서, 관통부(324)는, 제1 개구부(330) 및 제2 개구부(33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에, 관통부(324)가 제1 개구부(330) 및 제2 개구부(33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관통부(324)의 장착이 용이하다.
(M) 스피닝 릴은, 스풀(4)과, 스풀(4)에 낚싯줄을 감기 위한 로터(3)와, 로터(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어(11)를 구비한다. 릴 본체(2)에 있어서, 통상부(25)는, 구동 기어(11)의 축 방향에 있어서, 구동 기어(11)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통상부(25)와 구동 기어(11)를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부(25)가 구동 기어(11)에 간섭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통상부(25)를 설치하여도 구동 기어(11)의 대경화를 도모할 수 있다.
(N) 릴 본체(2)에 있어서, 케이스부(2a)는, 낚싯대에 장착 가능한 낚싯대 장착부(2e)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비교적 강성이 높은 케이스부(2a)에 낚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 낚싯대로부터의 힘이 작용하는 낚싯대 장착부(2e)가 설치되기 때문에, 낚싯대 장착부(2e)의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O) 스피닝 릴(100)은, 릴 본체(2)와, 스풀(4)과, 로터(3)와, 구동 기어(11)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4)은, 릴 본체(2)에 전후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로터(3)는, 스풀(4)에 낚싯줄을 감기 위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스피닝 릴(100)에서는, 상기 작용 효과를 가져오는 스피닝 릴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실 부재(29)로서 O링을 개시하였지만, 제2 실 부재는 O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벽부(31c)와 저부(25b)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링상(狀)의 시트 패킹이어도 무방하다.
(b)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는, 케이스부(2a)에 낚싯대 장착부(2e)가 일체 형성되어 있지만, 덮개 부재(2b)에 낚싯대 장착부(2e)가 일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c) 제2 실시예에서는, 돌출부(232)를 케이스부(202a)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시켰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케이스부(202a)의 내부의 상면(上面)으로부터 하방을 향하게 하여 돌출부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케이스부(202a)를 형성형으로 제작하는 경우는, 금형의 복잡화를 피하기 위하여, 돌출부(232)는, 덮개 부재(2b)를 향하게 하여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릴 본체
2a, 202a: 케이스부
2b: 덮개 부재
2d: 기구 장착 공간
2e: 낚싯대 장착부
3: 로터
4: 스풀
5: 로터 구동 기구
11: 구동 기어
25, 125, 225, 325: 통상부
25a: 통부
25b: 저부
25c, 125c: 실 장착부
25d: 제1 관통 구멍
26, 226, 326: 가드 부재
26a, 226a, 326a: 보스부
27, 227, 327: 나사 부재
27a, 227a, 327a: 머리부
27b, 227b, 327b: 나사축부
28, 328: 제1 실 부재
28a: 제1 단부
28b: 제2 단부
29, 129, 329: 제2 실 부재
30, 230, 330: 제1 개구부
31, 231, 331: 제2 개구부
31a, 131a: 제1 구멍부
31b: 제2 구멍부
31c: 벽부
100, 300: 스피닝 릴
125e: 환상 홈
224, 324: 관통부
224a, 324a: 제2 관통 구멍
224b, 324b: 제1 부분
224c, 324c: 제2 부분
224d, 324d: 제3 부분
325f: 제1 환상 홈
325g: 제2 환상 홈

Claims (15)

  1. 낚싯대에 장착되고, 낚싯줄을 전방(前方)으로 방출 가능한 스피닝 릴의 릴 본체이며,
    측부(側部)가 개구(開口)하는 기구 장착 공간과, 전연부(前緣部)에 개구하는 제1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와 반대쪽에 배치되고 후연부(後緣部)에 개구하는 제2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스부와,
    상기 기구 장착 공간을 막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부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 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의 상기 후연부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에 삽입 가능한 보스부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부 및 덮개 부재를 덮도록 후방(後方)으로부터 장착되는 가드 부재와,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와의 사이에서 기구 장착 공간에 대하여 액밀(液密)로 되도록 상기 기구 장착 공간 내에 설치되는 통상(筒狀)부와,
    상기 제1 개구부를 통과 가능하고, 상기 통상부의 내부에 머리부가 계지(係止)되며 상기 보스부에 틀어넣어지는 나사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는, 각각 상기 기구 장착 공간과 연통하고,
    상기 통상부는,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기구 장착 공간 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통상부와 상기 제1 개구부와의 간극(間隙)을 실(seal)하는 제1 실 부재와,
    상기 통상부와 상기 제2 개구부와의 간극을 실하는 제2 실 부재를 더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후연부에 개구하고 상기 보스부가 삽입되는 제1 구멍부와, 상기 제1 구멍부로부터 상기 전연부를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나사 부재의 나사축부(軸部)가 통과 가능하며, 상기 제1 구멍부보다도 소경(小徑)의 제2 구멍부와, 상기 제2 구멍부가 개구하고 상기 제2 구멍부에 직교하는 면을 가지는 벽부(壁部)를 가지며,
    상기 통상부는, 상기 기구 장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나사 부재의 머리부를 삽입 가능한 통부와, 상기 벽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나사축부가 통과 가능한 제1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머리부를 계지 가능한 저부(底部)를 가지고,
    상기 제1 실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통부에 감합(嵌合)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에 감합하는 일단(一端)부가 상기 통부에 감합하는 타단(他端)부보다도 대경(大徑)의 절두원추(截頭圓錐) 형상의 탄성체제의 부재인, 스피닝 릴의 릴 본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 부재는, 상기 벽부와 상기 저부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통상부는,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벽부를 향하게 하여 원형으로 돌출하는 실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실 부재는, 상기 실 장착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 부재는, 상기 실 장착부에 장착 가능한 O링인, 스피닝 릴의 릴 본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부는,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8. 낚싯대에 장착되고, 낚싯줄을 전방(前方)으로 방출 가능한 스피닝 릴의 릴 본체이며,
    측부(側部)가 개구(開口)하는 기구 장착 공간과, 전연부(前緣部)에 개구하는 제1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와 반대쪽에 배치되고 후연부(後緣部)에 개구하는 제2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스부와,
    상기 기구 장착 공간을 막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부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 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의 상기 후연부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에 삽입 가능한 보스부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부 및 덮개 부재를 덮도록 후방(後方)으로부터 장착되는 가드 부재와,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와의 사이에서 기구 장착 공간에 대하여 액밀(液密)로 되도록 상기 기구 장착 공간 내에 설치되는 통상(筒狀)부와,
    상기 제1 개구부를 통과 가능하고, 상기 통상부의 내부에 머리부가 계지(係止)되며 상기 보스부에 틀어넣어지는 나사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통상부는, 상기 기구 장착 공간을 전후(前後)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에 연통하는 제2 관통 구멍을 가지고, 또한 상기 기구 장착 공간에 대하여 액밀하게 봉지(封止)되는 관통부를 가지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케이스부에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부는, 전연부와 후연부를 이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內側面)으로부터 상기 덮개 부재를 향하게 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2 관통 구멍은, 상기 돌출부 내에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전연부와 상기 후연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 구멍은, 전부(前部)에 설치되고, 상기 나사 부재의 머리부를 삽입 가능한 제1 부분과, 후부(後部)에 설치되고, 상기 보스부를 삽입 가능한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나사 부재의 축부를 삽입 가능하며, 상기 제1 부분보다도 소경의 제3 부분을 가지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12. 낚싯대에 장착되고, 낚싯줄을 전방(前方)으로 방출 가능한 스피닝 릴의 릴 본체이며,
    측부(側部)가 개구(開口)하는 기구 장착 공간과, 전연부(前緣部)에 개구하는 제1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와 반대쪽에 배치되고 후연부(後緣部)에 개구하는 제2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스부와,
    상기 기구 장착 공간을 막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부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 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의 상기 후연부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에 삽입 가능한 보스부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부 및 덮개 부재를 덮도록 후방(後方)으로부터 장착되는 가드 부재와,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와의 사이에서 기구 장착 공간에 대하여 액밀(液密)로 되도록 상기 기구 장착 공간 내에 설치되는 통상(筒狀)부와,
    상기 제1 개구부를 통과 가능하고, 상기 통상부의 내부에 머리부가 계지(係止)되며 상기 보스부에 틀어넣어지는 나사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통상부는, 상기 기구 장착 공간을 전후(前後)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에 연통하는 제2 관통 구멍을 가지고, 또한 상기 기구 장착 공간에 대하여 액밀하게 봉지(封止)되는 관통부를 가지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케이스부에만 설치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13.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닝 릴은, 스풀과, 스풀에 낚싯줄을 감기 위한 로터와, 상기 로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통상부는, 상기 구동 기어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14.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낚싯대에 장착 가능한 낚싯대 장착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1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전후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에 상기 낚싯줄을 감기 위하여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어
    를 구비하는 스피닝 릴.
KR1020130063651A 2012-06-07 2013-06-03 스피닝 릴 및 스피닝 릴의 릴 본체 KR102101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29636 2012-06-07
JP2012129636A JP2013252097A (ja) 2012-06-07 2012-06-07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JP-P-2012-140518 2012-06-22
JP2012140518A JP5956842B2 (ja) 2012-06-22 2012-06-22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542A KR20130137542A (ko) 2013-12-17
KR102101238B1 true KR102101238B1 (ko) 2020-04-16

Family

ID=4857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651A KR102101238B1 (ko) 2012-06-07 2013-06-03 스피닝 릴 및 스피닝 릴의 릴 본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55735B2 (ko)
EP (1) EP2671446B1 (ko)
KR (1) KR102101238B1 (ko)
CN (1) CN103478093B (ko)
MY (1) MY165059A (ko)
TW (1) TWI6318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8539B2 (ja) * 2013-09-13 2017-09-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けリール
JP6419020B2 (ja) * 2015-04-28 2018-11-0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180093929A (ko) * 2015-12-18 2018-08-22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시용 스피닝 릴
JP6759047B2 (ja) * 2016-10-20 2020-09-23 株式会社シマノ 魚釣り用リール
JP6979785B2 (ja) * 2017-04-26 2021-12-1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979384B2 (ja) * 2018-03-30 2021-12-1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WO2020257651A1 (en) 2019-06-21 2020-12-24 Biz Outdoors, Inc. Left handed fishing re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4481A (ja) 2006-12-21 2008-07-10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10172252A (ja) 2009-01-29 2010-08-1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4330Y1 (ko) 1968-10-14 1973-02-03
SG144041A1 (en) 2006-12-21 2008-07-29 Shimano Kk Reel unit of spinning reel
JP4884343B2 (ja) * 2007-09-14 2012-02-2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US7802744B2 (en) * 2007-09-14 2010-09-28 Shimano Inc. Spinning reel
JP5199904B2 (ja) 2009-01-28 2013-05-1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4481A (ja) 2006-12-21 2008-07-10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10172252A (ja) 2009-01-29 2010-08-1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78093B (zh) 2017-04-12
TWI631896B (zh) 2018-08-11
EP2671446B1 (en) 2016-01-13
MY165059A (en) 2018-02-28
TW201400010A (zh) 2014-01-01
CN103478093A (zh) 2014-01-01
US9055735B2 (en) 2015-06-16
EP2671446A1 (en) 2013-12-11
US20130327870A1 (en) 2013-12-12
KR20130137542A (ko) 201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238B1 (ko) 스피닝 릴 및 스피닝 릴의 릴 본체
KR102430733B1 (ko) 낚시용 릴의 방수 구조
KR102219554B1 (ko) 스피닝 릴
JP604649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7054016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14131491A5 (ko)
JP5848086B2 (ja)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及び釣り用リール
TWI607699B (zh) 釣魚用捲線器
KR102097358B1 (ko) 릴 본체, 및 스피닝 릴
JP2015097492A5 (ko)
JP480433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1509749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KR20190054903A (ko)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 및 낚시용 릴
JP595684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14003923A5 (ko)
JP513524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1017227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4964709B2 (ja) 魚釣用リール
JP2009106233A (ja) 魚釣用リール
JP658600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190049427A (ko) 스피닝 릴
KR20170070785A (ko) 스피닝 릴의 로터, 및 스피닝 릴
JP201325209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432446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2007215418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