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5167A - 장척 매체 - Google Patents

장척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5167A
KR20140015167A KR1020127031490A KR20127031490A KR20140015167A KR 20140015167 A KR20140015167 A KR 20140015167A KR 1020127031490 A KR1020127031490 A KR 1020127031490A KR 20127031490 A KR20127031490 A KR 20127031490A KR 20140015167 A KR20140015167 A KR 20140015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long
hole
indicator
grad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3987B1 (ko
Inventor
다카유키 에하라
준 오카자키
히로아키 스토
히로히사 우사미
히로유키 후쿠모토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6936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1516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5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46Applications of alarms, e.g. responsive to approach of end of line
    • B41J29/48Applications of alarms, e.g. responsive to approach of end of line responsive to breakage or exhaustion of paper or approach of bottom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73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2Form sets
    • B42D5/023Continuous form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20Advancing webs by web-penetrating means, e.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 B65H26/06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responsive to predetermined lengths of webs
    • B65H26/063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responsive to predetermined lengths of webs responsive to detection of the trail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 B65H26/06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responsive to predetermined lengths of webs
    • B65H26/066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responsive to predetermined lengths of webs responsive to information, e.g. printed mark, on the web or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0Special constructions, e.g. surface features, of feed or guide rollers for we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021Adaptations for printing on specific media
    • G06K15/022Adaptations for printing on specific media for printing on continuous media, e.g. ta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6Means for paper feeding or form fee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65Managing print media, e.g. determining available sheet siz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6Pin feeds
    • B41J11/28Pi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1Length
    • B65H2511/114Remaining length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 B65H2511/512Marks, e.g. invisible to the human eye;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1Photoelectric detectors
    • B65H2553/412Photoelectric detectors in barrier arrangements, i.e. emitter facing a recepto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2Surface aspects
    • B65H2701/121Perforations
    • B65H2701/1211Perforations arranged linear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장척(長尺) 매체(1)는, 양측 에지부(1a)의 직선 L1 상에 복수의 눈금(11)을 구비한다. 눈금(11)끼리의 간격 d는 일정하다. 매체(1)는, 직선 L1 상에 복수의 제1 지표공(指標孔)(12)을 구비한다. 매체(1)는 또한, 다른 직선 L2 상에 복수의 제2 지표공(13)을 구비한다. 제2 지표공(13)끼리의 간격 P2는, 제1 지표(12)끼리의 간격 P1보다 작다. 매체(1)는 선단(1b)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소비된다. 매체(1)가 소비될수록, 제2 지표(13)는 제1 지표(12)에 가까워진다. 시단 눈금(11a)과 제2 지표(13)와의 간격 H는, 매체(1)의 전체 길이 L 중 아직 소비되어 있지 않은 길이를 나타낸다. 눈금(11)은, 스프로켓공이다. 매체(1)는, 박리지(剝離紙)(5) 및 점착 시트(3)를 구비한다. 매체(1)에는, 프린터로 화상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장척 매체{LONG MEDIUM}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의 사이드 에지부의 부근에 눈금이 설치되고, 프린터나 플로터(plotter) 등(이하, 단지 프린터 등이라고도 함)에서 사용되는 장척(長尺) 매체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잔량을 기계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동시에, 시각적으로도 인식할 수 있는, 예를 들면, 롤형(roll type)으로 권취된 장척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에 있어서 2011년 3월 25일자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1-068994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을 참조함으로써, 본 출원에 포함된다.
박리지(剝離紙)에 점착(粘着) 시트를 가(假)부착한 장척 매체는, 길이 방향의 사이드 에지부에 스프로켓(sprocket)이나 트랙터 등과 걸어맞추어지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이들 구멍에 스프로켓이나 트랙터가 걸어맞추어지고, 스프로켓이나 트랙터가 회전함으로써 주행된다. 스프로켓이나 트랙터를 사용하여 주행되는 장척 매체는, 인쇄 출력 시, 롤러에 의해 협지(挾持)하여 롤러와의 마찰력으로 반송(搬送)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사행(斜行)하지 않고, 직선적으로 안정적으로 주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미터의 장척 매체를 출력하는 프린터 등에서는, 위치 어긋남이 없는 스프로켓이나 트랙터를 사용하여 주행되는 장척 매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장척 매체는, 예를 들면, 옥내, 옥외, 명판(銘板; name plate) 등의 도안이나 문자를 인쇄하는 인쇄 매체로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서멀 헤드를 헤드에 사용하는 프린터 등에서는, 잉크 리본의 염료가 인쇄층에 전사(轉寫)되어 소정의 화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장척 매체는, 인쇄 후, 프린터에 내장(內藏)된 절단 장치 또는 다른 절단 장치 등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잘라내고, 박리지를 박리하여, 소정의 장소에 접착된다.
이 종류의 장척 매체는, 롤형을 이루고 있고, 프린터 등에 세팅되어, 스프로켓이나 트랙터에 의해 주행된다. 수미터의 길이로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인쇄 도중에 장척 매체가 없어지면, 거기까지 인쇄한 장척 매체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프린터 등에서는, 세팅하고 있는 롤형의 장척 매체를 인출하여, 롤 직경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육안에 의한 확인에서는, 시각적으로 잔량을 추정하므로, 정확한 잔량의 파악이 곤란하다.
또한, 세팅하고 있는 롤형의 장척 매체를 인출하여 육안에 의해 잔량을 확인하는 경우, 잔량이 충분할 때, 다시 롤형의 장척 매체를 재세팅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모자라는 경우에는, 신품의 롤형의 장척 매체를 프린터 등에 세팅할 필요가 있다. 장척 매체의 재세팅의 작업은, 프린터 등으로부터 인출된 장척 매체를 롤에 되감는 작업으로 되어 번거롭다.
그런데, 프린터 등에 세팅된 장척 매체의 잔량을 시각적으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척 매체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는, 장척의 웹에 잔량을 나타내는 지표(指標)를 부여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구체적으로, 제1 지표를 등간격으로 부여하고, 제2 지표를, 제1 지표의 간격과 다른 제2 간격으로 부여하고, 인접하는 제1 지표와 제2 지표의 간격이 매체의 길이를 따라 변화하는 것이 개시(開示)되어 있다. 그러나, 프린터 등에 세팅하기 전에 매체의 길이를 육안으로 관찰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제1 지표와 제2 지표의 간격에 따라 길이를 나타내고 있을뿐 시각적으로 구체적인 잔량 길이를 파악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3m의 출력물을 얻고 싶은 경우에 있어서, 프린터 등에 세팅하려는 매체에 나타낸 제1 지표와 제2 지표에 의해, 시각적으로 3m 이상 매체가 남아 있는지 판단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도, 장척의 웹에 잔량을 나타내는 지표를 부여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2에서는, 구체적으로, 장척의 시트에 다단계의 마크를 표시하고, 이 마크의 조합에 의한 패턴에 따라 잔량을 나타내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다단적인 마크의 조합에 의한 패턴에 따라 잔량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흑백의 조합, 즉, 2진수로 나타내는 패턴에 따라 부여하는 것이 가장 분해능(分解能)을 높이는 방법으로 된다.
그러나, 흑백으로 나타낸 패턴으로 잔량 표시를 행하는 경우, 시트만으로 시각적으로 잔량을 파악하고자 하면, 2진수의 패턴을 디코드할 필요가 있고, 일반 사용자는 잔량을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다.
일본특허 제3756308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1992-235853호 공보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장척 매체의 잔량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척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눈금 지표를 표시해도 인쇄 영역이 협폭(狹幅)으로 되지 않고, 눈금 지표를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는 장척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적으로도, 장척 매체의 잔량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장척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장척 매체는, 길이 방향의 사이드 에지부 중 적어도 한쪽에, 직선 상에 등간격으로 표시된 복수의 눈금과, 상기 사이드 에지부 중 적어도 한쪽에, 직선 상에, 등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부여된 복수의 제1 지표와, 상기 사이드 에지부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제1 지표의 열과 다른 직선 상에, 상기 제1 지표의 간격보다 짧은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부여된 복수의 제2 지표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상기 제1 지표에 의해 구분된 상기 복수의 눈금은, 상기 장척 매체의 기준 길이를 나타내는 쌍을 이루는 시단(始端) 눈금과 종단(終端) 눈금으로 되고, 상기 제2 지표는, 상기 종단 눈금의 측에 표시되고, 상기 장척 매체의 종단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기 종단 눈금과 쌍을 이루는 시단 눈금에 근접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장척 매체에 의하면, 장척 매체의 사이드 에지부의 눈금의 간격이 장척 매체의 단위 길이를 나타내는 눈금 지표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눈금과 제1 지표로부터 제2 지표까지의 거리를 비교함으로써, 장척 매체의 잔량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장척 매체에 의하면, 기계적으로, 제1 지표와 제2 지표를 광학 센서 등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하여, 제1 지표로부터 제2 지표까지의 거리를 산출함으로써, 기계적으로도, 장척 매체의 잔량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눈금과 상기 복수의 제1 지표와 상기 복수의 제2 지표는, 서로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눈금의 간격과 상기 장척 매체의 단위 길이와의 제1 비(比)와, 상기 제1 지표의 간격과 상기 제2 지표의 간격과의 차이와 이 차이가 나타내는 상기 장척 매체의 길이의 변화량과의 제2 비가, 거의 같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지표와 상기 제2 지표와의 간격은, 상기 제2 지표가 상기 시단 눈금의 위치까지 달했을 때, 상기 장척 매체가 소진된 것을 나타내는 관계로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상기 눈금과 상기 제1 지표와 상기 제2 지표는, 상기 장척 매체의 다른 영역보다 투광성(透光性)이 높아지도록 해도 된다.
상기 장척 매체는, 길이 방향의 사이드 에지부의 양쪽에, 직선 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스프로켓공을 더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복수의 눈금은 직선 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스프로켓공이도록 해도 된다.
상기 스프로켓공의 길이 방향의 사이드 에지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눈금으로 되고, 상기 제1 지표는, 상기 복수의 스프로켓공의 간격의 정수배(整數倍)의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부여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상기 제1 지표는, 상기 스프로켓공과 동일 직선 상의 상기 스프로켓공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상기 장척 매체는, 박리지에 점착 시트가 가부착된 것이라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가 사용되는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의 잔량 검출 처리를 행할 때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의 반송 에러 검출 처리를 행할 때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가 사용되는 절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의 제5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의 제6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장척 매체의 개요
2. 프린터의 설명
3. 프린터의 잔량 검출 처리의 동작의 설명
4. 프린터의 반송 에러 검출 처리의 동작의 설명
5. 변형예
6. 제2 실시예
7. 제3 실시예
<1. 장척 매체의 개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1)는, 예를 들면, 서멀 헤드를 프린터 헤드에 사용하는 프린터(2)에 사용된다. 이 프린터(2)는, 예를 들면, 옥내, 옥외에, 명판 등의 도안이나 문자가 인쇄되는 것으로서, 길 때는 수미터 길이의 화상이 인쇄된다.
또한, 이 장척 매체(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3a)을 인쇄층으로 하고, 이면(裏面)(3b)에, 접착층(4)이 형성된 점착 시트(3)가, 접착층(4)을 통하여 박리 시트(5)의 표면(5a)에 가부착되어 이루어진다. 이 점착 시트(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 시트(5)보다 협폭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장척 매체(1)의 길이 방향의 사이드 에지부(1a)의 양쪽은, 인쇄층으로 되는 점착 시트(3)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비(非)인쇄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박리 시트(5)의 이면(5b) 측에는, 전체적으로 격자(格子) 등의 모양, 상품명을 나타내는 로고 등이 이미 인쇄되어 있다. 그리고, 박리 시트(5)의 이면(5b) 측에는, 로고 등이 인쇄되지 않아도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척 매체(1)에는, 상기 장척 매체(1)의 잔량을 시각적 및 기계적으로 파악 가능하게 하는 눈금부(10)가 부여되어 있다. 이 눈금부(10)는, 눈금 지표로 되는 눈금공(scale mark)(11)과, 장척 매체(1)의 잔량을 표시할 때의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지표로 되는 제1 지표공(index hole)(12)과, 제1 지표와의 거리가 현재의 장척 매체(1)의 잔량을 나타내는 제2 지표로 되는 제2 지표공(13)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눈금공(11)은, 장척 매체(1)의 길이 방향의 사이드 에지부(1a)의 양쪽에, 즉 점착 시트(3)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박리 시트(5)의 사이드 에지부의 양쪽(비인쇄 영역)에, 길이 방향을 향해 등간격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1 지표공(12)은, 길이 방향의 사이드 에지부(1a)의 한쪽에, 길이 방향을 향해 등간격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지표공(13)은, 길이 방향의 사이드 에지부(1a)의 한편 제1 지표공(12)과 같은 쪽에, 등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부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눈금공(11)과 제1 지표공(12)과 제2 지표공(13)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눈금공(11)은, 길이 방향을 향해 직선 L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지표공(12)은, 눈금공(11)과 동일 직선 L1 상의 눈금공(11, 11)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지표공(12)은, 눈금공(11)과 다른 직선 상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지표공(13)은, 제1 지표공(12)의 열과 다른 직선 L2 상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제1 지표공(12)의 열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눈금공(11)과 제1 지표공(12)과 제2 지표공(13)은, 장척 매체(1)를 관통하는 관통공이다. 예를 들면, 눈금공(11)은,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지표공(12)과 제2 지표공(13)은, 긴 구멍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눈금공(11)은, 예를 들면, 스프로켓공이며, 후술하는 프린터(2)의 스프로켓(20)의 돌기(20a)에 걸어맞추어진다. 장척 매체(1)는, 눈금공(11)이 스프로켓(20)의 돌기(20a)에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스프로켓(20)이 회전 구동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반송된다.
또한, 제1 지표공(12)과 제2 지표공(13)은, 눈금공(11)보다 구멍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지표공(12)과 제2 지표공(13)은, 눈금공(11)과 형상 및 크기가 상이하므로, 눈금공(11)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표공(12)은, 복수의 눈금공(11)의 간격 d의 정수배 nd(n은 정수)의 간격 P1이며, 장척 매체(1)의 선단(1b)으로부터 종단(1c)까지의 전체 길이 L에 걸쳐 반복적으로 부여되어 있다. 제2 지표공(13)은, 장척 매체(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선단(1b)으로부터 종단(1c) 측으로 소정 거리 어긋난 위치로부터, 제1 지표공(12)보다 짧은 간격 P2로 반복적으로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지표(12)는, 눈금공(11)을 등간격으로 구획하기 위한 지표이며, 제1 지표(12)의 간격은 반드시 등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부여될 필요는 없고, 2종류 이상의 간격이 교호적(交互的)으로 반복하여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지표(12)는, 눈금공(11)과 동일 직선 상과 파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제2 지표(13)는, 눈금공(11)과 다른 직선 상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눈금공(11)과 제2 지표(13)의 상이한 2직선 상에 지표의 일부가 돌출하도록 한 형상을 배치해도 된다.
또한, 인접하는 제1 지표공(12, 12)에 의해 끼워넣어져 구분된 각각의 복수의 눈금공(11)은, 장척 매체(1)의 잔량을 파악할 때의 기준이 되는 눈금 지표로 되고, 인접하는 눈금공(11)의 간격 d는, 장척 매체(1)의 단위 길이 M을 나타낸다. 이 때, 장척 매체(1)의 선단(1b) 측의 제1 지표공(12)의 내측 근방의 눈금공(11)은, 시단 눈금공(11a)으로 되고, 종단(1c) 측의 제1 지표공(12)의 내측 근방의 눈금공(11)은, 시단 눈금공(11a)과 쌍을 이루는 종단 눈금공(11b)으로 된다. 이들 쌍을 이루는 시단 눈금공(11a)과 종단 눈금공(11b)과의 거리는, 장척 매체(1)의 기준 길이를 나타내고, 눈금 지표로 된다. 이에 대하여, 제1 지표공(12)은, 일정 구간의 눈금 지표의 경계를 나타낸다.
또한, 복수의 눈금공(11)과 복수의 제1 지표공(12)과 복수의 제2 지표공(13)은, 복수의 눈금공(11)의 간격 d와 장척 매체(1)의 단위 길이 M과의 제1 비와 제1 지표공(12)의 간격 P1과 제2 지표공(13)의 간격 P2와의 차이와 이 차이가 나타내는 장척 매체(1)의 길이의 변화량과의 제2 비가, 거의 같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장척 매체(1)의 가장 선단(1b) 측의 1번째의 제2 지표공(13)은, 장척 매체(1)가 미사용인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장척 매체(1)의 가장 선단(1b)에 부여된 1번째의 종단 눈금공(11b)과 일치하도록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2번째로부터의 제2 지표공(13)은, 장척 매체(1)의 종단(1c)을 향함에 따라, 점차, 시단 눈금공(11a)에 장척 매체(1)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길이씩 가까워지도록 부여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2번째로부터의 제2 지표공(13)은, 시단 눈금공(11a)과 제2 지표공(13)과의 간격 H가, 장척 매체(1)의 종단(1c)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장척 매체(1)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길이씩 협폭으로 되도록 부여된다.
다음에, 제1 지표공(12)의 간격 P1과 제2 지표공(13)의 간격 P2에 대하여, 구체적인 값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장척 매체(1)의 전체 길이 L을 15m(15000mm)로 하고, 눈금공(11)의 간격 d를 10mm로 하고, 이 눈금공(11)의 간격 d가 나타내는 장척 매체(1)의 단위 길이 M을 1m(1000mm)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면, 눈금공(11)의 간격 d와 장척 매체(1)의 단위 길이 M과의 제1 비 S는, S=d/M=10/1000=1/100로 된다. 즉, 복수의 눈금공(11)으로 이루어지는 눈금 지표는, 장척 매체(1)의 길이를 1/100 스케일로 표시하고 있다.
또한, 제1 지표공(12)의 간격 P1은, 장척 매체(1)의 전체 길이 L분의 눈금 지표를 확보하는 경우, P1≥L×S=15000×1/100=150mm 이상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제1 지표공(12)의 간격 P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눈금공(11)의 간격 d의 정수배 nd의 간격으로 부여되므로, P1=n×d에 의해, n>15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1개의 표시 구간끼리의 간격을 d의 1피치만큼 취하여, n=16으로 하고 있다. 그러면, 제1 지표공(12)의 간격 P1은, P1=n×d, P1=160mm로 된다. 즉, 제1 지표공(12)은, 160mm 피치이며, 인접하는 제1 지표공(12, 12)에 의해 각각 16개의 눈금공(11)이 끼워넣어지도록 부여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지표공(12)이 160mm 피치로 부여되므로, 장척 매체(1)의 선단(1b)으로부터 종단(1c)을 향함에 따라, 장척 매체(1)의 길이는, 160mm씩 짧아진다. 따라서, 제2 지표공(13)은, 장척 매체(1)의 선단(1b)으로부터 종단(1c)을 향함에 따라, 인접하는 선단(1b) 측의 제2 지표공(13)보다 시단 눈금공(11a)에 대하여, 160mm에 상기 제1 비 S, 즉 1/100을 승산한 만큼씩 가까워지도록 부여된다. 즉, 제2 지표공(13)의 간격 P2는, P2=P1(1-S)로 된다. 따라서, 제2 지표공(13)의 간격 P2는, P2=160×(1-(1/100))=158.4mm로 된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척 매체(1)의 선단(1b)의 위치에 있어서는, 제2 지표공(13)이 장척 매체(1)의 가장 선단(1b)에 부여된 1번째의 종단 눈금공(11b)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지표공(13)과 일치하는 종단 눈금공(11b)은, 쌍으로 되는 시단 눈금공(11a)으로부터 종단(1c) 측으로 15번째의 눈금공(11)이므로, 장척 매체(1)에는 대략 15m의 잔량이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척 매체(1)의 선단(1b)으로부터 대략 5m의 위치에 있어서는, 제2 지표공(13)이, 시단 눈금공(11a)으로부터 종단(1c) 측으로 10번째의 눈금공(11)과 거의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장척 매체(1)에는, 대략 10m의 잔량이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척 매체(1)의 선단(1b)으로부터 대략 15m의 위치에 있어서는, 제2 지표공(13)이, 시단 눈금공(11a)과 거의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장척 매체(1)에는, 잔량이 없어진 것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1)는, 사이드 에지부(1a)의 눈금공(11)의 간격 d가 장척 매체(1)의 단위 길이 M을 나타내는 눈금 지표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눈금공(11)과 시단 눈금공(11a)으로부터 제2 지표공(13)까지의 거리를 비교함으로써, 장척 매체(1)의 잔량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1)는, 종래부터 반송을 위해 형성되어 있는 스프로켓공인 눈금공(11)을 눈금 지표로 함으로써, 별도 눈금 지표를 표시할 필요가 없어, 눈금 지표를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장척 매체(1)의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1)는, 눈금 지표를 형성해도 인쇄 영역이 협폭으로 되지 않아, 인쇄 영역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장척 매체(1)에서는, 잉크가 정착하기 어려운 박리 시트(5)의 표면(5a)이나 이미 인쇄가 되어 있는 박리 시트(5)의 이면(5b)에 지표를 무리하게 형성하는 것도 없게 된다.
<2. 프린터의 설명>
이상과 같은 장척 매체(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지와 같이 권취된 상태로 프린터(2)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프린터(2)에는, 장치 본체 내의 수납부(도시하지 않음)에, 장척 매체(1)의 롤이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다. 롤로부터 인출된 장척 매체(1)는, 스프로켓(20)이 양측 에지부(1a)의 눈금공(11)에 걸어맞추어져, 복수의 가이드 핀(도시하지 않음)이나 가이드 롤러(도시하지 않음)에 가이드되어 주행된다. 프린터(2)에는, 또한 스프로켓(20)보다 장척 매체(1)의 주행 방향의 상류측에 있어서, 인쇄 데이터에 따라서 열에너지를 인가하는 서멀 헤드(21)가 플래튼(22)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2)에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23)가 장착되고, 잉크 리본(24)이 서멀 헤드(21)와 플래튼(22)과의 사이에 개재된다. 잉크 리본(24)은, 서멀 헤드(21)와 플래튼(22)과의 사이에 있어서 중첩되어 잉크 리본(24)이 장척 매체(1)의 인쇄층에 압접(壓接)된다. 장척 매체(1)에는, 서멀 헤드(21)에 의해 인쇄 데이터에 따라서 열에너지가 인가되는 것에 의해, 잉크 리본(24)의 염료가 장척 매체(1)의 인쇄층으로 이행되는 것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스프로켓(20)보다 하류측에는, 인쇄된 장척 매체(1)를 절단하는 절단 기구(機構)(25)가 설치되어 있다. 절단 기구(25)는, 예를 들면, 장척 매체(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커터(25a)를 구비하고, 커터(25a)가 장척 매체(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장척 매체(1)가 주행함으로써, 장척 매체(1)를 소정 형상으로 절단한다.
또한, 서멀 헤드(21)의 상류측 또는 절단 기구(25)의 하류측에는, 잔량 검출 센서(26)가 설치되어 있다. 잔량 검출 센서(26)는, 제1 지표공(12)을 검출하는 제1 발광부(26a)와, 제1 발광부(26a)로부터 출사된 광을 검출하는 제1 수광부(26b)가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제2 지표공(13)을 검출하는 제2 발광부(26c)와 제2 발광부(26c)로부터 출사된 광을 검출하는 제2 수광부(26d)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프린터(2)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제어부(27)에 의해, 스프로켓(20)을 구동하는 모터, 잔량 검출 센서(26), 절단 기구(25), 서멀 헤드(21)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7)는, 장척 매체(1)의 주행 시, 잔량 검출 센서(26)의 제1 및 제2 수광부(26b, 26d)로부터의 출력의 위상차에 기초하여, 장척 매체(1)의 잔량을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27)는, 장척 매체(1)의 잔량이 인쇄 데이터에 따른 인쇄 영역의 길이보다 짧을 때, 표시부나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장척 매체의 부족을 알린다.
그리고, 프린터(2)는, 서멀 헤드(21)를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장척 매체(1)에 대하여 인쇄를 행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히터나 피에조(piezo) 소자에 의해 발생한 압력으로 잉크를 압압(押壓)하고, 압압된 잉크를 토출구으로부터 액적(液滴)으로 하여 장척 매체(1)에 대하여 토출하고, 장척 매체(1)에 대하여 화상이나 문자를 인쇄하는 잉크젯 방식의 헤드를 구비한 프린터라도 된다. 또한, 잉크 리본은, 단색이라도, 하나의 리본에, 옐로우, 시안, 마젠타, 블랙 등의 염료가 면(面) 순차적으로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3. 프린터의 잔량 검출 처리의 동작의 설명>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프린터(2)의 잔량 검출 처리의 동작에 대하여,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미 선단(1b)으로부터 소정 길이 사용된 장척 매체(1)의 잔량을 검출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 5 중의 2점 쇄선은, 중도 선단(1e)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1에 있어서, 제어부(27)는, 프린터(2)에 장척 매체(1)가 수납되거나, 수납된 상태로 전원 등이 온되면, 초기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는, 스프로켓(20)을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량에 따라 카운트 업하는 장척 매체(1)의 반송 거리의 카운트를 리셋한다. 또한, 제어부(27)는, 제1 지표공(12) 및 제2 지표공(13)의 구멍 직경의 카운트를 리셋한다.
스텝 S2에 있어서, 제어부(27)는, 장척 매체(1)를 반송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는, 롤로부터 인출된 장척 매체(1)를, 양측 에지부(1a)의 눈금공(11)에 걸어맞추어진 스프로켓(20)을 모터에 의해 구동하고, 복수의 가이드 핀이나 가이드 롤러에 가이드시켜 주행한다. 또한, 제어부(27)는, 장척 매체(1)의 반송 거리를 카운트 업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제어부(27)는, 잔량 검출 센서(26)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장척 매체(1)의 제1 지표공(12) 및 제2 지표공(13)의 검출 처리를 개시한다.
스텝 S4에 있어서, 제어부(27)는, 제1 발광부(26a)와 제1 수광부(26b)에 의해, 중도 선단(1e)으로부터 바로 옆의 제1 지표공(12)을 검출한다. 이 때, 제어부(27)는, 제1 지표공(12)의 반송 거리와 구멍 직경을 검출한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구멍 직경이란, 제1 지표공(12) 및 제2 지표공(13)이 원형상인 경우에는 직경이며, 긴 구멍형인 경우에는 길이 방향의 길이를 말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멍 직경은, 제1 및 제2 수광부(26b, 26d)의 출력의 위상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또한, 중도 선단(1e)으로부터 바로 옆의 제1 지표공(12)을 검출한 후에, 제어부(27)는, 제2 발광부(26c)와 제2 수광부(26d)에 의해, 검출한 제1 지표공(12)보다 종단(1c) 측으로 바로 옆의 제2 지표공(13)을 검출한다. 이 때, 제어부(27)는, 제2 지표공(13)의 반송 거리와 구멍 직경을 검출한다. 그리고, 스텝 S5에 있어서, 제어부(27)는, 제1 지표공(12) 및 제2 지표공(13)의 검출을 종료한다. 그리고, 제어부(27)는, 소정 시간 또는 소정 거리 반송해도 제1 지표공(12) 및 제2 지표공(13)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 동작을 정지하고, 표시부나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정규의 장척 매체(1)를 사용하도록 알린다.
스텝 S6에 있어서, 제어부(27)는, 검출한 제1 지표공(12) 및 제2 지표공(13)의 위치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는, 검출한 제1 지표공(12)의 반송 거리로부터 제1 지표공(12)의 구멍 직경의 절반의 길이를 감산하여, 검출한 제1 지표공(12)의 중심 위치에서의 반송 거리를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27)는, 검출한 제2 지표공(13)의 반송 거리로부터 제2 지표공(13)의 구멍 직경의 절반의 길이를 감산하여, 검출한 제2 지표공(13)의 중심 위치에서의 반송 거리를 산출한다. 그리고, 스텝 S7에 있어서, 제어부(27)는, 제1 지표공(12) 및 제2 지표공(13)의 중심 위치에서의 반송 거리의 산출을 종료한다.
스텝 S8에 있어서, 제어부(27)는, 중도 선단(1e)으로부터 1번째의 제1 지표공(12)의 중심 위치에서의 반송 거리를, 1번째의 제2 지표공(13)의 중심 위치에서의 반송 거리로부터 감산하여, 1번째의 제1 지표공(12)로 1번째의 제2 지표공(13)과의 사이의 제1 간격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7)는, 제1 간격 H로부터 장척 매체(1)의 잔량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눈금 지표와 장척 매체(1)의 길이는, 제1 비 S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눈금 지표는, 장척 매체(1)의 1/100 스케일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장척 매체(1)의 잔량은, 제1 간격 H와 제1 비 S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척 매체(1)의 잔량은, 제1 간격 H를 100배로 되는 것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프린터(2)는, 장척 매체(1)의 잔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그 후, 제어부(27)는, 검출한 장척 매체(1)의 잔량과 입력된 인쇄 데이터에 따른 인쇄 영역의 길이를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부(27)는, 검출한 잔량이 인쇄 영역의 길이보다 짧을 경우, 동작을 정지하고, 표시부나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잔량 부족하다는 것을 알린다. 또한, 제어부(27)는, 검출한 잔량이 인쇄 영역보다 길 경우, 장척 매체(1)를 되감은 후, 재차 반송을 행하고, 잉크 리본(24), 서멀 헤드(21) 및 플래튼(22)을 사용하여, 인쇄 데이터에 따른 인쇄를 행하고, 커터(25a)에 의해 절단 데이터에 따른 절단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27)는, 인쇄 시에 있어서도, 스텝 S3 내지 스텝 S8의 동작을 행하고, 항상, 장척 매체(1)의 잔량의 검출을 행한다.
즉,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1)는, 제1 지표공(12)과 제2 지표공(13)이 관통공이므로, 관통공을 검출 가능한 광학 센서를 프린터(2)에 구비하는 것만으로, 제1 지표공(12)과 제2 지표공(13)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1)는, 기계적으로도, 장척 매체(1)의 잔량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4. 프린터의 반송 에러 검출 처리의 동작의 설명>
다음에, 프린터(2)의 반송 에러 검출 처리의 동작에 대하여,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잔량 검출 처리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미 선단(1b)으로부터 소정 길이분이 사용된 장척 매체(1)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스텝 S10에 있어서, 제어부(27)는, 예를 들면, 인쇄 시 등에 장척 매체(1)를 반송할 때, 전술한 잔량 검출 처리의 동작의 스텝 S1 내지 스텝 S8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하여, 잔량 검출 처리를 행한다. 전술한 잔량 검출 처리의 동작에서는, 제1 지표공(12)과 제2 지표공(13)을 1개씩 검출하여, 중도 선단(1e)으로부터 장척 매체(1)의 바로 옆의 잔량을 검출한 것에 대하여, 스텝 S10에 있어서, 제어부(27)는, 제1 지표공(12)과 제2 지표공(13)을 복수 개씩 검출하여, 복수 개소의 잔량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7)는, 3개소의 잔량을 검출한다.
스텝 S11에 있어서, 제어부(27)는, 제1 잔량과 제2 잔량과의 제1 변화량과, 제2 잔량과 제3 잔량과의 제2 변화량을 산출한다.
스텝 S12에 있어서, 제어부(27)는, 제1 변화량과 제2 변화량이, 일정 또는 소정의 규정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부(27)는, 제1 변화량과 제2 변화량이 일정 또는 소정의 규정 내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 스텝 S14로 진행하고, 동작을 정지하고, 표시부나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반송 이상(異常)을 알린다. 그리고, 제어부(27)는, 반송 이상과 함께, 정규의 장척 매체(1)를 사용하도록 알려도 된다. 또한, 제어부(27)는, 제1 변화량과 제2 변화량이 일정 또는 소정의 규정 내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 스텝 S13으로 진행하고, 반송을 계속하여, 예를 들면, 인쇄 처리의 종료 후에 반송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프린터(2)는, 장척 매체(1)의 반송 에러를 검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1)는, 프린터(2)에 의해 반송될 때, 장척 매체(1)의 잔량의 변화량을 검출함으로써, 장척 매체(1)의 잼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1)는, 장척 매체(1)의 반송 이상으로서 인쇄 동작을 정지시키는 등의 이상 처리를 행할 수 있다.
<5. 변형예>
그리고, 장척 매체(1)는, 롤형으로 권취된 롤지에 한정되지 않고, 미싱눈을 따라 교호적으로 절첩된 팬폴드지(fanfold paper)라도 된다.
또한, 장척 매체(1)는, 점착 시트(3)를, 박리 시트(5)보다 협폭으로 설치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장척 매체(1)는, 점착 시트(3)를 박리 시트(5)와 대략 같은 폭으로 설치하고, 박리 시트(5)의 전체면에 점착 시트(3)를 설치하고, 점착 시트(3)의 사이드 에지부에, 눈금공(11)과 제1 지표공(12)과 제2 지표공(13)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눈금공(11)과 제1 지표공(12)과 제2 지표공(13)은, 전술한 형상, 크기 및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눈금공(11)은, 프린터(2)의 스프로켓(20)의 돌기(20a)에 걸어맞춤 가능한 형상, 크기 및 간격이면, 어떤 형상, 크기 및 간격이라도 된다. 또한, 제1 지표공(12) 및 제2 지표공(13)은, 긴 구멍형 외에 원형상이나 직사각형 등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되고, 눈금공(11)과 같은 형상 및 크기라도 된다. 또한, 제1 지표공(12)과 제2 지표공(13)은, 상이한 형상 및 크기라도 된다.
또한, 제1 지표공(12) 및 제2 지표공(13)은, 사이드 에지부(1a)의 한쪽에만 부여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양쪽에 부여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지표공(12) 및 제2 지표공(13)은, 사이드 에지부(1a)의 양측의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부여함으로써, 장척 매체(1)를 스프로켓(20)의 돌기(20a)에 결합시켜 세팅할 때, 이들 지표가 길이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로 되는 눈금공(11)을 식별하는 지표로서도 이용 가능하므로, 눈금공(11)을 단(段) 어긋남에 의한 경사지게 세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표공(12) 및 제2 지표공(13)은, 장척 매체(1)의 잔량이 대략 0m로 되는 위치까지 부여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장척 매체(1)의 잔량이 소정 길이, 예를 들면, 1m 남아 있는 위치까지 부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1 지표공(12) 및 제2 지표공(13)은, 장척 매체(1)의 선단(1b)으로부터 부여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장척 매체(1)의 선단(1b)으로부터 종단(1c) 측으로 소정의 위치, 예를 들면, 10m의 위치로부터 부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1 지표공(12) 및 제2 지표공(13)은, 장척 매체(1)의 선단(1b)으로부터 종단(1c) 측에 소정의 위치로부터 장척 매체(1)의 잔량이 소정 길이분만큼 남아 있는 위치까지 부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척 매체(1)는, 눈금공(11)에 의한 눈금 지표의 경계선을 나타내는 기준 마크(14)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기준 마크(14)는, 예를 들면, 제2 지표공(13)과 동일 직선 L2 상에서 제1 지표공(12)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관통공이다. 장척 매체(1)는, 기준 마크(14)를 제2 지표공(13)과 동일 직선 L2 상에서 제1 지표공(12)과 일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눈금 지표의 경계선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제1 지표공(12)과 제2 지표공(13)과의 간격을 판독할 때, 제1 지표공(12)의 대신으로 되어, 용이하게 제1 지표공(12)과 제2 지표공(13)과의 간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장척 매체(1)는, 프린터(2)에 사용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1)는, 절단 기구(25)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프린터로 인쇄된 장척 매체(1)를 절단하는 절단 장치(30)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절단 장치(30)는, 프린터(2)로부터 서멀 헤드(21)를 제외한 구성과 거의 같으므로, 그 자세한 것은 생략한다.
또한, 장척 매체(1)는, 단위 길이 M을 장척 매체(1)의 길이를 따라 설정해도 되고, 예를 들면, 장척 매체(1)를 길게 함에 따라, 단위 길이 M을 길게 설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눈금공(11)의 간격을 변경하지 않고, 시단 눈금공(11a)으로부터 종단 눈금공(11b)에 걸쳐 일정 구간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시단 눈금공(11a)으로부터 종단 눈금공(11b)에 걸쳐 일정 구획의 길이를 과도하게 길게 하지 않고 눈금 지표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져, 장척 매체(1)의 잔량을 육안으로 파악할 때 장척 매체(1)의 인출량을 감소시켜, 육안으로 파악하기 용이해진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척 매체(1)는, 인접하는 제1 지표공(12, 12)에 의해 끼워넣어져 구분된 각각의 복수의 눈금공(11)의, 선단(1b) 측으로부터 1번째의 눈금공(11)을 시단 눈금공(11a)으로 설정하고, 16번째의 눈금공(11)을 종단 눈금공(11b)으로 설정하였으나, 장척 매체(1)의 전체 길이에 따라, 예를 들면, 종단 눈금공(11b)의 위치를 선단(1b) 측으로부터 11번째의 눈금공(11)으로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이면, 제2 지표공(13)과 일치하는 종단 눈금공(11b)은, 쌍으로 되는 시단 눈금공(11a)으로부터 종단(1c) 측으로 10번째의 눈금공(11)이므로, 장척 매체(1)에는 대략 10m의 잔량이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척 매체(1)는, 시단 눈금공(11a) 및 종단 눈금공(11b)의 위치를 오프셋하여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눈금공(11) 중, 장척 매체(1)의 선단(1b) 측의 제1 지표공(12)으로부터 세어 6번째의 눈금공(11)을 시단 눈금공(11a)으로 설정해도 된다. 이 때는 제2 지표공(13)도 시단 눈금공(11a)에 맞추어 오프셋하고, 장척 매체(1)의 잔량이 다했을 때 제2 지표공(13)이 시단 눈금공(11a)과 거의 일치하도록 배치하면 잔량이 다한 것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종단 눈금공(11b)을 선단(1b) 측의 제1 지표(12)의 근방에 오프셋하여 배치함으로써, 선단(1b) 측의 제1 지표공(12)으로부터 제2 지표공(13)의 거리의 거리를 비교함으로써, 장척 매체(1)의 잔량이 아니고 장척 매체(1)를 몇 m 사용했는지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척 매체(1)는, 시단 눈금공(11a)과 종단 눈금공(11b)을 장척 매체(1)의 종단측(1b)에 오프셋하여 배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시단 눈금공(11a)을 장척 매체(1)의 선단측의 제1 지표공(12)으로부터 세어 4번째의 눈금공(11)에 맞추어 오프셋하고, 종단 구멍(11b)을 14번째의 눈금공(11)에 맞추어 오프셋한다. 이와 같이 하면, 장척 매체(1)의 가공의 공정 상, 제1 지표공(12)과 제2 지표공(13)은 구별 공정에서 부여되므로, 시단 눈금공(11a)과 종단 눈금공(11b)의 위치를 오프셋시키는 쪽이 가공하기 쉬운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오프셋시켰을 때는, 패키지나 취급 설명서에 기재하는 등 주지의 방법으로, 제1 지표(12)로부터 오프셋하여 시단 눈금공(11a)과 종단 눈금공(11b)이 배치되어 있는 취지를 사용자에 알리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장척 매체(1)의 잔량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척 매체(1)는, 제1 지표(12)와 제2 지표(13)에, 필름(15)을 접착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지표(12)의 관통공과 제2 지표(13)의 관통공을 덮도록, 필름(15)이 접착된다. 이와 같이 하면, 필름(15)이 접착된 제1 지표(12) 및 제2 지표(13)의 영역이, 장척 매체(1)의 다른 영역보다 투광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장척 매체(1)는, 제1 지표(12)와 제2 지표(13)를, 잔량 검출 센서(26)에 의해, 단순한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제1 지표(12)와 제2 지표(13)일 때보다,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필름(15)은, 주위와 색이 상이하므로, 시각적으로도, 제1 지표(12)와 제2 지표(13)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척 매체(1)는, 제1 지표(12)와 제2 지표(13)가 관통공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장척 매체(1)의 다른 영역보다 얇거나 메쉬로 형성된 투광부(16)로서, 장척 매체(1)의 다른 영역보다 투광성이 높아지도록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장척 매체(1)는, 단순한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제1 지표(12)와 제2 지표(13)일 때보다, 잔량 검출 센서(26)에 의해,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얇거나 메쉬로 형성된 투광부(16)도, 주위와는 시각적으로도 촉각적으로도 상이하므로, 제1 지표(12)와 제2 지표(13)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6.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1)의 제2 실시예로 되는 장척 매체(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장척 매체(40)는, 전술한 장척 매체(1)에 있어서, 눈금공(11)이, 스프로켓공이었던 것에 대하여, 스프로켓공과는 별개의 관통공이다. 이 장척 매체(40)의 눈금공(41)은, 장척 매체(40)의 길이 방향의 사이드 에지부(40a)의 한쪽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상에 등간격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장척 매체(1)의 눈금공(11)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장척 매체(40)의 제1 지표(42)는, 사이드 에지부(40a)의 한쪽 눈금공(41)과 같은 쪽이며, 눈금공(41)의 열보다 내측에 직선 상에 부여되는 것 이외에는, 장척 매체(1)의 제1 지표공(12)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장척 매체(40)의 제2 지표(43)는, 장척 매체(1)의 제2 지표공(13)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장척 매체(40)는, 양쪽의 사이드 에지부(40a, 40a)에, 눈금공(41)의 열보다 외측에 직선 상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스프로켓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눈금공(41), 제1 지표(42), 제2 지표(43) 및 스프로켓공(44)은, 인쇄층으로 되는 점착 시트(3)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박리 시트(5)의 사이드 에지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의 장척 매체(40)는, 별개의 눈금공(41)을 형성할 필요가 있어, 전술한 장척 매체(1)보다 인쇄 영역이 협폭으로는 되지만, 전술한 장척 매체(1)와 마찬가지로, 눈금공(41)과 시단 눈금공(41a) 또는 제1 지표(42)로부터 제2 지표공(43)까지의 거리를 비교함으로써, 잔량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의 장척 매체(40)는, 전술한 장척 매체(1)와 마찬가지로, 제1 지표공(42)과 제2 지표공(43)이 관통공이므로, 관통공을 검출 가능한 광학 센서를 프린터(2)에 구비하는 것만으로, 제1 지표공(42)과 제2 지표공(43)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어, 기계적으로도, 장척 매체(40)의 잔량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장척 매체(40)는, 박리 시트(5)의 전체면에 인쇄층으로 되는 점착 시트(3)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눈금공(41), 제1 지표(42), 제2 지표(43) 및 스프로켓공(44)은, 장척 매체(40)의 사이드 에지부(40a), 즉 점착 시트(3)의 사이드 에지부에 형성된다.
또한, 장척 매체(40)는, 롤러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반송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장척 매체(40)는, 스프로켓공(44)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별개의 눈금공(41)을 형성할 필요가 있지만, 전술한 장척 매체(1)와 마찬가지로 인쇄 영역이 협폭으로 되지 않으므로, 잔량을 시각적 및 기계적으로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7. 제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적용한 장척 매체(1)의 제3 실시예로 되는 장척 매체(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장척 매체(50)는, 전술한 제2 실시예의 장척 매체(40)의 눈금공(41), 제1 지표(42) 및 제2 지표(43)가 관통공인데 대하여, 이들 지표가 인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장척 매체(50)는, 박리 시트(5)의 전체면에 인쇄층으로 되는 점착 시트(3)가 형성되어 있고, 눈금공(41)에 대응하는 눈금(51)과 제1 지표(42)에 대응하는 제1 지표(52)와 제2 지표(43)에 대응하는 제2 지표(53)가, 점착 시트(3)의 표면(3a)의 사이드 에지부 또는 박리 시트(5)의 이면(5b)의 사이드 에지부에 인쇄되어 있다. 눈금(51)은, 예를 들면, 눈금선(51c)이나 눈금선(51c)에 대응하는 잔량 수치(51d)이다. 제1 지표(52) 및 제2 지표(53)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 원형상, 긴 구멍형의 마크이다. 또한, 장척 매체(50)는, 프린터(2) 또는 절단 장치(30)의 롤러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와 같은 제3 실시예의 장척 매체(50)는, 눈금(51), 제1 지표(52) 및 제2 지표(53)가 점착 시트(3)의 표면(3a)의 사이드 에지부에 인쇄되는 경우, 전술한 장척 매체(1)보다 인쇄 영역이 협폭으로 되고, 박리 시트(5)의 이면(5b)의 사이드 에지부에 인쇄되는 경우, 인쇄하기가 어렵지만, 전술한 장척 매체(1)와 마찬가지로, 눈금(51)과 시단 눈금(51a) 또는 제1 지표(52)로부터 제2 지표(53)까지의 거리를 비교함으로써, 잔량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의 장척 매체(50)는, 전술한 장척 매체(1)와 마찬가지로, 제1 지표(52)와 제2 지표(53)가 인쇄 마크이므로, 관통공을 검출 가능한 광학 센서 대신에, 인쇄 마크를 검출 가능한 광학 센서를 프린터(2)에 구비하는 것만으로, 제1 지표(52)와 제2 지표(53)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어, 기계적으로도, 장척 매체(50)의 잔량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장척 매체(50)는, 눈금(51)의 열보다 외측에 스프로켓공을 형성하고, 프린터(2) 또는 절단 장치(30)의 스프로켓(20)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반송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장척 매체(50)는, 인쇄층으로 되는 점착 시트(3)를 박리 시트(5)보다 협폭으로 설치하고, 눈금(51)과 제1 지표(52)와 제2 지표(53)를, 박리 시트(5)의 표면(5a) 또는 이면(5b)의 사이드 에지부에 인쇄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9)

  1. 길이 방향의 사이드 에지부 중 적어도 한쪽에, 직선 상에 등간격으로 표시된 복수의 눈금;
    상기 사이드 에지부 중 적어도 한쪽에, 직선 상에, 등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부여된 복수의 제1 지표(指標);
    상기 사이드 에지부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제1 지표의 열과 다른 직선 상에, 상기 제1 지표의 간격보다 짧은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부여된 복수의 제2 지표;
    를 포함하고,
    인접하는 상기 제1 지표에 의해 구분된 상기 복수의 눈금은, 상기 장척(長尺) 매체의 기준 길이를 나타내는 쌍을 이루는 시단(始端) 눈금과 종단(終端) 눈금으로 되고,
    상기 제2 지표는, 상기 종단 눈금 측에 표시되고, 상기 장척 매체의 종단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기 종단 눈금과 쌍을 이루는 시단 눈금에 근접하는, 장척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눈금과 상기 복수의 제1 지표와 상기 복수의 제2 지표는, 서로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눈금의 간격과 상기 장척 매체의 단위 길이와의 제1 비(比)와, 상기 제1 지표의 간격과 상기 제2 지표의 간격과의 차이와 이 차이가 나타내는 상기 장척 매체의 길이의 변화량과의 제2 비는, 거의 같도록 설치되어 있는, 장척 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표와 상기 제2 지표와의 간격은, 상기 제2 지표가 상기 시단 눈금의 위치까지 달했을 때, 상기 장척 매체가 소진된 것을 나타내는 관계로 설정되어 있는, 장척 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과 상기 제1 지표와 상기 제2 지표는, 상기 장척 매체의 다른 영역보다 투광성(透光性)이 높은, 장척 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 매체는, 길이 방향의 사이드 에지부의 양쪽에, 직선 상에 등간격으로 표시된 복수의 스프로켓공을 더 포함하는, 장척 매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눈금은 직선 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스프로켓공인, 장척 매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켓공의 길이 방향의 사이드 에지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눈금으로 되고,
    상기 제1 지표는, 상기 복수의 스프로켓공의 간격의 정수배(整數倍)의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부여되어 있는, 장척 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표는, 상기 스프로켓공과 동일 직선 상의 상기 스프로켓공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장척 매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 매체는, 박리지(剝離紙)에 점착 시트가 가(假)부착된 것인, 장척 매체.
KR1020127031490A 2011-03-25 2011-03-25 장척 매체 KR101773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68994A JP4771023B1 (ja) 2011-03-25 2011-03-25 長尺媒体
PCT/JP2011/057483 WO2012131858A1 (ja) 2011-03-25 2011-03-25 長尺媒体
JPJP-P-2011-068994 2011-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167A true KR20140015167A (ko) 2014-02-06
KR101773987B1 KR101773987B1 (ko) 2017-09-01

Family

ID=4469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490A KR101773987B1 (ko) 2011-03-25 2011-03-25 장척 매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4) US9169099B2 (ko)
EP (2) EP2915680B1 (ko)
JP (1) JP4771023B1 (ko)
KR (1) KR101773987B1 (ko)
CN (2) CN104842675B (ko)
DK (1) DK2915680T3 (ko)
ES (1) ES2726672T3 (ko)
HK (2) HK1190377A1 (ko)
PL (1) PL2915680T3 (ko)
TW (1) TWI549892B (ko)
WO (1) WO20121318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987B1 (ko) * 2011-03-25 2017-09-01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장척 매체
CN103430688A (zh) * 2013-08-27 2013-12-11 苏州安必瑟斯机电技术有限公司 切割线
JP5967162B2 (ja) * 2014-09-18 2016-08-10 マックス株式会社 長尺媒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6534838B2 (ja) * 2015-03-19 2019-06-26 株式会社イシダ 製袋包装機
JP6811671B2 (ja) * 2017-03-31 2021-01-13 日東電工株式会社 ウエブ送給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ウエブ送給装置
JP6885254B2 (ja) * 2017-08-02 2021-06-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77442B2 (ja) 2017-09-21 2021-12-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及びテープロール
US11370626B1 (en) * 2019-07-24 2022-06-28 Lucy A. Mitchell Roll of material with length indicator
JP7534725B1 (ja) 2024-03-29 2024-08-15 マックス株式会社 長尺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01703A (en) * 1945-08-03 1948-05-11 Albert James Findlay Apparatus for recording and computing working time
DE351212C (de) 1920-10-26 1922-04-05 Albert Wilden Vorrichtung zum Anzeigen und Kontrollieren der Laenge von aufgewickelten Baendern aller Art
GB2127374A (en) * 1982-09-24 1984-04-11 Thurne Eng Co Ltd Improvements in automatic bag sealing machines
US4834276A (en) * 1983-08-05 1989-05-30 Gerber Scientific Products, Inc. Web loading and feeding system, related web construc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web
US4708901A (en) * 1985-09-20 1987-11-24 Gerber Scientific Products, Inc. Coded web and associated web handling and working machine
US4768410A (en) * 1985-09-20 1988-09-06 Gerber Scientific Products, Inc. Coded web and associated web handling and working machine
CA1261896A (en) * 1985-12-09 1989-09-26 Grace M. Donnelly Computer assisted laboratory notebook kit
GB2184062B (en) * 1985-12-11 1989-12-28 Frances Keith Showering Improvements relating to continuous stationery
US4895287A (en) * 1985-12-13 1990-01-23 Gerber Scientific Products, Inc. Web loading and feeding system
US4867363A (en) * 1985-12-13 1989-09-19 Gerber Scientific Products, Inc. Web loading and feeding system
JPS63116462A (ja) * 1986-11-05 1988-05-20 Tomoegawa Paper Co Ltd 固体撮像装置のシ−リング方法
JPH04235853A (ja) 1991-01-10 1992-08-24 Canon Inc シート材搬送装置
US5810494A (en) * 1996-09-06 1998-09-22 Gerber Systems Corporation Apparatus for working on sheets of sheet material and sheet material for use therewith
US5816165A (en) * 1997-02-10 1998-10-06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of encoding roll length indicia on printer media
US6106645A (en) * 1998-01-21 2000-08-22 Gerber Scientific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graphic product
US6255665B1 (en) * 1999-01-29 2001-07-03 Hewlett-Packard Company Print media and method of detecting a characteristic of a substrate of print media used in a printing device
JP2000247003A (ja) * 1999-03-03 2000-09-12 Sony Corp 画像プリンタ用印画紙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画像プリンタ
JP2000289906A (ja) * 1999-03-31 2000-10-17 Seiko Instruments Inc ロール状感光感圧型プリント用紙及び該用紙を用いたプリンタ
JP2001063254A (ja) * 1999-08-27 2001-03-13 Dainippon Printing Co Ltd タック紙連続フォーム
DE19954671A1 (de) * 1999-11-13 2001-05-17 Baldwin Grafotec Gmbh Druckmaschinenzylinder-Reinigungstuch und -Reinigungsvorrichtung
KR101773987B1 (ko) * 2011-03-25 2017-09-01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장척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49892B (zh) 2016-09-21
KR101773987B1 (ko) 2017-09-01
US10108886B2 (en) 2018-10-23
PL2915680T3 (pl) 2019-08-30
CN104842675A (zh) 2015-08-19
US20170308775A1 (en) 2017-10-26
ES2726672T3 (es) 2019-10-08
TW201304970A (zh) 2013-02-01
HK1208408A1 (en) 2016-03-04
US20130202837A1 (en) 2013-08-08
CN103443004A (zh) 2013-12-11
JP2012201039A (ja) 2012-10-22
EP2690041B1 (en) 2016-03-23
EP2690041A4 (en) 2014-09-03
EP2690041A1 (en) 2014-01-29
WO2012131858A1 (ja) 2012-10-04
CN104842675B (zh) 2019-07-19
US10423864B2 (en) 2019-09-24
US20190065916A1 (en) 2019-02-28
JP4771023B1 (ja) 2011-09-14
CN103443004B (zh) 2015-11-25
EP2915680A1 (en) 2015-09-09
US20160048744A1 (en) 2016-02-18
DK2915680T3 (da) 2019-05-13
US9169099B2 (en) 2015-10-27
HK1190377A1 (zh) 2014-07-04
EP2915680B1 (en) 2019-03-13
US9684857B2 (en)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5167A (ko) 장척 매체
CN110281659B (zh) 印刷装置以及标签检测方法
KR20060112130A (ko) 열전사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리본잔량 표시/검출방법
WO2011146603A2 (en) Indicator marks on a roll of label stock
JP2012131165A (ja) サーマルプリンタ、サーマルプリンタのラベル用紙検出方法
JP4977975B2 (ja) 印刷装置、リボン搬送制御装置、リボン搬送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16658B2 (ja) 画像形成装置
JP5617772B2 (ja) 長尺媒体
JP5967162B2 (ja) 長尺媒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5200965B2 (ja) 印刷装置
KR101508186B1 (ko) 라벨지 인쇄장치
JP2014128947A (ja) リボン残量検知機構及び印刷装置
JP2012183767A (ja) マーク付き用紙の搬送距離の補正方法、サーマルプリンタ及びプログラム
JP2008142943A (ja) プリンタ
JP6202169B2 (ja) テープ印刷装置、及び、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6008119B2 (ja) テープ印刷装置、及び、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2011104828A (ja) ロール状記録媒体およびロール状記録媒体の終端検知方法
JP2010125790A (ja) 印刷装置
JP2013134734A (ja) 読取装置とプリント装置およびコード
JP2014128948A (ja) リボンカセ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印刷装置
JP2001219629A (ja) ラベルプリンタ及びラベル印字方法及びラベルプリンタ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074785A (ja) プリンタおよび印字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