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958A - 널링장치, 널링방법, 필름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널링장치, 널링방법, 필름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958A
KR20140011958A KR1020130084466A KR20130084466A KR20140011958A KR 20140011958 A KR20140011958 A KR 20140011958A KR 1020130084466 A KR1020130084466 A KR 1020130084466A KR 20130084466 A KR20130084466 A KR 20130084466A KR 20140011958 A KR20140011958 A KR 20140011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knurling
web
film
polym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006B1 (ko
Inventor
교우히사 우치우미
가즈노리 와타나베
준이치 하라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0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널링장치(34)는, 외주에 돌기(42)가 형성된 널링 롤러(36)와, 가열기(46)에 의하여 가열되는 지지 롤러(38)에 의하여 폴리머 필름(16)을 닙핑하고, 널링 롤러(36)의 돌기(42)를 폴리머 필름(16)에 압착함으로써 폴리머 필름(16)에 널링을 부여한다. 지지 롤러(38)는, 널링 롤러(36)보다 폴리머 필름(16)의 반송방향(A)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폴리머 필름(16)은, 먼저 지지 롤러(38)와 접촉하여, 이 상태를 유지한 채 널링 롤러(36)와 지지 롤러(38)와의 사이에 반송되어 널링이 부여된다.

Description

널링장치, 널링방법, 필름롤 제조방법{KNURLING APPARATUS, KNURLING METHOD, AND FILM ROLL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널링장치, 널링방법, 필름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머 필름은, 뛰어난 광투과성이나 유연성을 가지며, 경량 박막화가 가능하다는 등의 장점으로부터 광학 필름 등으로서 다방면에 이용되고 있다. 폴리머 필름으로서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등을 이용한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필름을 비롯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아크릴 필름 등 각종 필름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필름은, 사진 감광용 필름이나, 액정표시장치의 구성 부재인 편광판의 보호 필름 및 위상차 필름 등의 광학 필름에 이용되고 있다.
폴리머 필름의 제조과정, 또는, 제조된 폴리머 필름을 보관이나 수송을 위하여 롤형상으로 권취하여 필름롤을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 폴리머 필름의 측부에는 널링이라고 불리는 미소한 요철이 부여된다. 널링은, 적어도 일방의 둘레면에 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롤러 사이에 폴리머 필름을 통과시키고, 이 통과시에 돌기를 폴리머 필름에 압압함으로써 부여된다. 이와 같이 하여 부여된 널링은, 폴리머 필름의 핸들링을 높이는 작용이나, 필름롤의 어긋난 감김이나 변형을 방지하는 작용을 가진다.
상술과 같이, 폴리머 필름에 널링을 부여하는 것은 유효하다. 그러나, 널링을 부여할 때에 폴리머 필름의 온도가 낮으면, 변형되기 어려운 상태에서 폴리머 필름이 압압되므로, 충분한 두께(요철의 높이)의 널링을 형성할 수 없다는 문제나, 널링의 두께를 두껍게 하려고 하여 폴리머 필름이 균열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형성된 널링에 침하가 발생하기 쉽다. 침하는, 반송이나 보관시의 압압이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돌기가 작아지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3-175522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9-073154호에서는, 가열한 널링 롤러로 폴리머 필름을 압압하여 널링을 부여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널링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널링을 부여할 때에 폴리머 필름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널링이 침하되기 쉽지만, 반대로 폴리머 필름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폴리머 필름이 파단되거나, 의도한 형상의 널링을 부여할 수 없다. 이로 인하여, 롤러를 가열하는 경우는, 폴리머 필름의 온도가 적정한 온도 범위에 들어가도록 롤러의 온도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법은, 롤러와 폴리머 필름과의 접촉이 롤러 사이를 폴리머 필름이 통과하는 약간의 기간뿐이며, 이 약간의 기간에 가열과 널링의 부여를 동시에 행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롤러의 온도 제어가 어려워, 안정된 널링의 부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안정된 널링의 부여가 가능해지는 널링장치, 널링방법, 필름롤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널링장치는, 제1 롤러 및 제2 롤러와, 돌기와, 제1 가열기를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반송되고 있는 띠형상의 웨브에 널링을 부여한다. 제1 롤러 및 제2 롤러는, 웨브를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웨브가 제1 롤러의 외주를 래핑한 후에 제1 롤러와 제2 롤러와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제1 롤러는 제2 롤러보다 웨브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배치된다. 돌기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 중 적어도 일방의 외주에 형성된다. 제1 롤러와 제2 롤러의 협지에 의하여 돌기를 웨브에 압착하여 널링은 부여된다. 제1 가열기는, 제1 롤러를 가열한다.
가열기에 의하여, 웨브를 유리 전이점 이상 융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기는, 제1 롤러의 근방에서 자계 변화를 발생시킴으로써, 제1 롤러를 유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롤러를 가열하는 제2 가열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브가 제1 롤러의 외주를 래핑하는 래핑각도는, 5˚ 이상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롤러 및 제2 롤러는, 웨브의 폭방향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널링은, 웨브의 폭방향 양측부에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롤러와 제2 롤러는, 회전에 의하여 웨브의 측부를 폭방향 외측으로 견인하도록, 회전축이 상기 폭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을, 폭방향에 대해서 0.1˚ 이상, 1.0˚ 이하의 범위에서 경사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널링방법은, 가열 스텝과, 널링 스텝을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반송되고 있는 띠형상의 웨브에 널링을 부여한다. 가열 스텝은, 웨브를 제1 롤러로 가열한다. 웨브는, 가열기를 가지는 제1 롤러의 외주를 래핑하여 반송됨으로써 가열된다. 널링 스텝은, 제1 롤러를 래핑한 후의 웨브를, 제1 롤러와 제2 롤러에 의하여 협지하여 널링을 부여한다. 제1 롤러와 제2 롤러 중 적어도 일방의 외주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널링은, 웨브에 돌기를 압착함으로써 부여된다.
본 발명의 웨브롤 제조방법은, 가열 스텝과, 널링 스텝과, 권취 스텝을 구비한다. 가열 스텝은, 웨브를 제1 롤러로 가열한다. 웨브는, 가열기를 가지는 제1 롤러의 외주를 래핑하여 반송됨으로써 가열된다. 널링 스텝은, 제1 롤러를 래핑한 후의 웨브를, 제1 롤러와 제2 롤러에 의하여 협지하여 널링을 부여한다. 제1 롤러와 제2 롤러 중 적어도 일방의 외주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널링은, 웨브에 돌기를 압착함으로써 부여된다. 권취 스텝은, 널링이 부여된 웨브를 권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제2 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는 짧은 기간에 가열과 널링의 부여를 동시에 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웨브를 가열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고, 또한 웨브를 가열하는 시간을 래핑각도에 따라 임의로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롤러의 온도 제어가 용이하여, 안정된 널링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목적과 이점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필름롤 제조설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널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널링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다른 형태의 널링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다른 형태의 널링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다른 형태의 널링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다른 형태의 널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다른 형태의 널링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롤 제조설비(10)는, 필름제조 라인(12), 권취 장치(14)를 가진다. 필름제조 라인(12)은, 도시는 생략하지만, 유연장치, 텐터, 건조장치를 가지고, 예를 들면 용액제막방법에 의하여, 띠형상의 폴리머 필름(16)(예를 들면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제조한다.
권취 장치(14)는, 터릿암(18)을 가지고, 권취축(20)에 세트된 권심(22)에 폴리머 필름(16)을 권취한다. 터릿암(18)은 도시하지 않은 암 구동부에 의하여 180도 간헐 회전하여, 권심(22)을 권취 위치(PS1)와, 권심 교환 위치(PS2)로 선택적으로 전환한다. 다만, 터릿암(18)의 회전 방향의 중간 위치에는, 가이드암(24)이 설치되어 있으며, 가이드암(24)의 선단부에는 가이드 롤러(26)가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26)는, 터릿암(18)이 회전하고 있을 때에, 폴리머 필름(16)이 터릿암(18)이나 암장착축(28)에 접촉하지 않도록, 폴리머 필름(16)을 지지한다.
터릿암(18)의 선단부에는 권취축(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권취축(20)에 권심(22)이 세트된다. 권취 위치(PS1)에서는, 반송 롤러(30)로부터 보내져 오는 폴리머 필름(16)을 권심(22)에 권취한다. 또, 권심 교환 위치(PS2)에서는, 일정 길이의 폴리머 필름(16)을 권취하여 전부 권취된 필름롤(32)을 권심(22)과 함께 권취축(20)으로부터 분리하고, 이 권취축(20)에는 새로운 빈 권심(22)이 세트되어, 권심(22)의 교환이 행하여진다.
권취 위치(PS1)에서, 소정 길이의 폴리머 필름(16)이 권심(22)에 권취되어, 필름롤(32)이 전부 권취에 가까운 상태가 되면, 터릿암(18)이 180도 회전하여, 권심 교환 위치(PS2)에 전부 권취에 가까운 필름롤(32)을 위치시킨다. 또, 권취 위치(PS1)에는 빈 권심(22)이 위치 결정된다. 필름롤(32)이 소정 길이가 되면, 도시하지 않은 재권취 장치가 작동하여, 폴리머 필름(16)이 절단된다. 절단된 선행 필름의 후단부는 권심 교환 위치(PS2)에서 필름롤(32)에 권취된다. 또, 절단된 후행 필름의 선단부는 권취 위치(PS1)에서 빈 권심(22)에 권취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권심(22)에 폴리머 필름(16)이 권취됨으로써, 연속해서 보내져 오는 폴리머 필름(16)이 필름롤(32)의 형태로, 제품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폴리머 필름(16)은, 편광판 보호 필름 및 위상차 필름으로 이용된다. 또, 폴리머 필름(16)에 광학적 이방성층, 반사 방지층, 방현 기능층 등이 부여되어, 고기능 필름으로 이용된다.
필름제조 라인(12)과 권취 장치(14)와의 사이에는, 널링장치(34)가 설치되어 있다. 널링장치(34)는, 널링 롤러(제2 롤러)(36)와 지지 롤러(제1 롤러)(38)와 온도 제어 기구(40)를 구비하고 있다. 널링 롤러(36)의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42)가 형성되어 있다. 널링장치(34)는, 널링 롤러(36)와 지지 롤러(38)에 의하여 폴리머 필름(16)을 닙핑(협지)하고, 널링 롤러(36)의 외주에 형성된 돌기(42)를 폴리머 필름(16)에 압착시킴으로써 폴리머 필름(16)에 널링(미세한 요철)(44)(도 2 참조)을 부여한다.
온도 제어 기구(40)는, 가열기(46), 온도 센서(48), 제어부(50)로 구성된다. 가열기(46)는, 지지 롤러(38)의 근방에 배치되어, 제어부(50)의 제어하에서 지지 롤러(38)를 가열한다. 가열기(46)로서는, 지지 롤러(38)에 대해서 열풍을 송풍하는 것이나, 지지 롤러(38)에 대해서 세라믹 히터 등에 의하여 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이나, 지지 롤러(38)의 근방에서 자계 변화를 발생시킴으로써 지지 롤러(38)를 유도 가열하는 것 등 다양한 타입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지지 롤러(38)를 유도 가열하는 경우, 지지 롤러(38)를, 철, SUS440, 초경재 등의 강자성 금속, 또는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으로 형성한다.
온도 센서(48)는, 예를 들면, 열전대, 방사 온도계로 이루어지고, 상시 또는 소정 주기로 지지 롤러(38)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50)에 통지한다. 제어부(50)는, 온도 센서(48)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지지 롤러(38)가 미리 설정된 소정 온도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가열기(46)를 구동 제어한다.
다만, 제어부(50)는, 널링(44)을 부여할 때의(즉, 폴리머 필름(16)이 널링 롤러(36)와 지지 롤러(38)와의 사이를 통과할 때의) 폴리머 필름(16)의 온도가, 유리 전이점 이상 융점 이하가 되도록, 지지 롤러(38)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지지 롤러(38)의 온도를, 폴리머 필름(16)의 유리 전이점 이상 융점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롤러(38)의 온도가 폴리머 필름(16)의 유리 전이점 이상이면, 유리 전이점보다 낮은 경우에 비하여, 충분한 두께의 널링이 보다 확실하게 형성되거나, 폴리머 필름이 균열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회피된다. 또, 널링이 침하되기 어렵다. 반대로, 지지 롤러(38)의 온도가 폴리머 필름(16)의 융점 이하이면, 융점보다 높은 경우에 비하여, 폴리머 필름이 보다 파단되기 어려워, 의도한 형상의 널링이 보다 확실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작용 효과는, 두께가 두꺼운 폴리머 필름을 반송하는 경우보다, 두께가 얇은 폴리머 필름을 반송하는 경우가 보다 현저해진다. 다만, 두께가 두껍다는 것은, 예를 들면, 두께가 60㎛ 이상인 범위, 특히 60㎛ 이상 80㎛ 이하인 범위를 나타낸다. 또, 두께가 얇다는 것은, 예를 들면, 두께가 60㎛ 미만인 범위, 특히, 15㎛ 이상 40㎛ 이하인 범위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널링 롤러(36)와 지지 롤러(38)는, 폴리머 필름(16)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널링(44)은, 폴리머 필름(16)의 양측부에 부여된다. 마찬가지로, 가열기(46), 온도 센서(48)(도 2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도, 지지 롤러(38)에 대응하여 폴리머 필름(16)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50)(도 2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는, 폴리머 필름(16)의 양측부의 널링(44)이 각각 최적의 조건으로 형성되도록, 가열기(46)를 구동 제어한다.
이와 같이, 지지 롤러(38)의 온도를 관리하여, 폴리머 필름(16)의 온도를 적정한 범위 내로 유지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를 방지하여 안정된 널링(44)의 부여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지지 롤러와 폴리머 필과름과의 접촉 시간이 짧으면, 이 짧은 시간에 폴리머 필름의 내부까지 적정한 온도로 하도록 지지 롤러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은 어려워, 안정된 널링을 부여할 수 없다.
이로 인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널링장치(34)에서는, 널링 롤러(36)보다 폴리머 필름(16)의 반송방향(A)의 상류측에 지지 롤러(38)를 배치하고 있다. 이로써, 폴리머 필름(16)은, 먼저, 지지 롤러(38)와 접촉하고, 이 상태를 유지한 채(즉, 지지 롤러(38)에 의하여 가열되면서) 널링 롤러(36)와 지지 롤러(38)와의 사이에 반송되어 널링(44)이 부여된다. 이와 같이, 널링장치(34)에서는, 지지 롤러(38)와 폴리머 필름(16)과의 접촉 시간(폴리머 필름(16)을 가열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지지 롤러(38)의 온도 제어가 용이하다.
다만, 폴리머 필름(16)이 지지 롤러(38)에 접촉한 후 널링 롤러(36)와 지지 롤러(38)와의 사이에서 닙핑될 때까지(널링(44)이 부여될 때까지) 지지 롤러(38)가 회전하는 각도(이하, 래핑각도(θ1)라고 칭한다)는, 널링(44)을 부여할 때의 폴리머 필름(16)의 온도가, 유리 전이점 이상 융점 이하가 되도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래핑각도(θ1)가 5° 이상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래핑각도(θ1)가 커질수록 폴리머 필름(16)과 지지 롤러(38)와의 접촉 시간이 길어지므로, 지지 롤러(38)의 온도 제어가 용이해진다. 한편, 래핑각도(θ1)가 너무 크면 가열에 의하여 강도가 저하된 폴리머 필름(16)이 파단되거나 변형될 우려가 있다. 다만, 래핑각도(θ1)는, 폴리머 필름(16)이 지지 롤러(38)를 래핑하는 각도와 동일하다.
또, 적정한 래핑각도(θ1)는, 지지 롤러(38)의 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지지 롤러(38)의 온도에 따라 래핑각도(θ1)를 결정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지지 롤러(38)의 온도가 높을수록 래핑각도(θ1)를 작게 하고, 지지 롤러(38)의 온도가 낮을수록 래핑각도(θ1)를 크게 한다. 마찬가지로, 적정한 지지 롤러(38)의 온도는, 래핑각도(θ1)에 따라 변화하므로, 래핑각도(θ1)에 따라 지지 롤러(38)의 온도를 어느 범위로 유지할지를 결정하여도 된다. 물론, 양호한 널링이 형성되도록 래핑각도(θ1)와 지지 롤러(38)의 온도와의 양방을 변화시켜도 된다.
또한, 널링(44)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상술한 지지 롤러(38)의 온도나 래핑각도(θ1) 외에, 폴리머 필름(16)의 반송 속도, 널링(44) 부여시의 폴리머 필름(16)의 닙핑압, 및, 폴리머 필름(16)의 특성을 들 수 있다. 폴리머 필름(16)의 특성으로는, 열전도율, 영률의 온도 함수, 탄성 변형률 등이 있다. 양호한 널링이 형성되도록, 이들 각 인자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들 인자 중 1개 또는 복수를 목표치로 설정하여, 다른 인자를 변화시킴으로써 양호한 널링이 형성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목표로 하는 반송 속도를 설정하고, 이 반송 속도로 양호한 널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지 롤러(38)의 온도나 래핑각도(θ1)를 조정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폴리머 필름을 반송방향 상류측의 지지 롤러의 외주에 래핑시켜 가열한 후에, 지지 롤러와 널링 롤러와의 사이를 통과시켜 널링을 부여함으로써, 지지 롤러의 온도 제어를 용이하게 하여, 안정된 널링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과 같이 안정된 널링을 부여함으로써, 폴리머 필름의 핸들링이 향상되므로, 폴리머 필름의 반송 텐션을 높이지 않고, 폴리머 필름을 고속 반송할 수 있다. 폴리머 필름의 제조 및 권취에서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송 속도를 고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폴리머 필름의 반송 속도를 고속으로 하면, 폴리머 필름을 반송하는 반송 롤러가 미끄러져 폴리머 필름이 흠집이 생길 우려가 있고, 특히 광학 기능성 필름에서는 이 흠집이 치명적인 결함이 되어 버린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머 필름의 핸들링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술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송 텐션을 높이면, 반송 중이나 반송시의 잔류 응력에 의하여 폴리머 필름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머 필름의 핸들링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반송 텐션을 높일 필요가 없어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반송 텐션을 높임으로 인한 변형의 문제는, 상술과 같이, 비교적 두꺼운 폴리머 필름(예를 들면, 두께가 60㎛~80㎛)을 반송하는 경우보다, 비교적 얇은 폴리머 필름(예를 들면, 두께가 15㎛~40㎛)을 반송하는 경우가 현저하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비교적 얇은 폴리머 필름을 반송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다만, 반송 텐션의 바람직한 범위로는 10~60N/m이다. 반송 텐션을 10N/m 이상으로 함으로써, 10N/m 미만에 비하여, 텐션이 너무 낮아 폴리머 필름의 표면에 기복이 발생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한편, 반송 텐션을 60N/m 이하로 함으로써, 60N/m을 넘는 경우에 비하여, 텐션이 너무 높아 폴리머 필름의 표면에 물결형상의 띠변형이 발생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반송 속도가 저속이란, 반송 속도가 10m/분보다 빠르며 40m/분 이하인 것을 의미하고, 반송 속도가 고속이란, 반송 속도가 40m/분보다 빠르며 150m/분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반송 텐션을 올리지 않고 고속 반송하는 방법으로서는, 반송 롤러의 표면에 홈을 형성하여 반송 롤러와 폴리머 필름과의 사이의 에어를 배제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특수한 반송 롤러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 또, 이러한 특수한 반송 롤러를 이용하면, 폴리머 필름에 홈 등의 자국이 남아 버릴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충분한 두께의 널링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널링의 간극으로부터 반송 롤러와 폴리머 필름과의 사이의 에어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특수한 반송 롤러를 이용지 않고 특수한 반송 롤러를 이용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두께가 충분하여 침하되기 어려운 양호한 널링을 안정적으로 부여할 수 있으므로, 폴리머 필름을 권취한 필름롤의 형태에 있어서, 필름의 어긋난 감김을 방지하는 효과가 높다.
다만, 본 발명은, 지지 롤러를 가열함과 함께, 이 지지 롤러를 널링 롤러보다 상류측에 배치하고, 널링을 부여하기 전에 웨브를 가열할 수 있으면 되므로, 세부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머 필름 이외의 웨브에 널링을 부여하는 널링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된다.
또, 웨브는, 단층이어도 복층(예를 들면, 플라스틱 지지체 상에 박막이 복수층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웨브로서는, 광학 기능성을 가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수지 필름에 증착층, 도포층 등이 형성된 기록 매체, 수지 필름에 유기막, 무기막이 적층된 방습·방기 필름 등, 각종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48)에 의하여 지지 롤러(38)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지지 롤러(38)의 온도를 제어하는 예로 설명을 하였지만, 온도 센서에 의하여 폴리머 필름(16)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지지 롤러(38)의 온도를 제어하여도 된다. 또, 온도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폴리머 필름(16)의 반송 속도 등 널링을 부여할 때의 조건에 따른 일정한 열을 가열기(46)로부터 지지 롤러(38)에 공급하여도 된다.
또, 필름제조 라인(12)과, 권취 장치(14)와의 사이에서 널링을 부여하는 예로 설명을 하였지만, 필름제조 라인 내에 본 발명의 널링장치를 배치하여, 제조 중의 필름에 대해서 널링을 부여하여도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널링장치(60)와 같이,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가열기(46)를 추가하여, 널링 롤러(36)를 가열하여도 된다. 다만, 도 4 이후의 도면을 이용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널링장치(70)와 같이, 지지 롤러(38)의 외주에 돌기(42)를 형성하여도 된다. 또, 지지 롤러의 외주에만 돌기를 형성하여도 된다. 즉, 돌기를, 널링 롤러의 외주에는 형성하지 않고, 지지 롤러의 외주에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지지 롤러나 널링 롤러의 외주에, 돌기 대신에 홈을 형성하여도 된다. 물론, 지지 롤러와 널링 롤러의 일방에 돌기를 형성하고, 타방에 홈을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의 실시형태는, 널링을 부여한 후에, 폴리머 필름(16)이 널링 롤러(36)에도 래핑하는 예, 즉, 지지 롤러(38)를 향하는 폴리머 필름(16)의 반송방향과, 널링 롤러(36)로부터 멀어진 후의 폴리머 필름(16)의 반송방향이 평행한 예(도 3 참조)이다. 이 양태 대신에, 도 6에 나타내는 널링장치(80)와 같이, 지지 롤러(38)를 향하는 폴리머 필름(16)의 반송방향(A)과, 널링 롤러(36)로부터 멀어진 후의 폴리머 필름(16)의 반송방향(B)과 다르게 하여, 널링(44)을 부여할 때만 폴리머 필름(16)을 널링 롤러(36)에 맞닿게 하여도 된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널링장치(90)와 같이, 폴리머 필름(16)의 폭방향으로 긴 1개의 지지 롤러(72)를 이용하여도 된다. 이 널링장치(90)에서는, 지지 롤러(72)의 양측부(72a)를, 폴리머 필름(16)에 대한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예를 들면, 철이나 스테인리스 등)로 형성하고, 중앙부(72b)를, 폴리머 필름(16)에 대한 열전도성이 낮은 재료(예를 들면, 지르코니아나 불소 수지 등)로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널링(44)을 부여하지 않은 부분의 열에 의한 변형, 변질을 방지하고 있다. 다만, 지지 롤러(72)의 양측부(72a)의 외주에 폴리머 필름(16)에 대한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를 코팅하거나, 지지 롤러(72)의 중앙부(72b)의 외주에 폴리머 필름(16)에 대한 열전도성이 낮은 재료를 코팅함으로써, 널링(44)을 부여하지 않은 부분의 열에 의한 변형, 변질을 방지하여도 된다.
물론, 지지 롤러(72)와 마찬가지로, 폴리머 필름(16)의 폭방향으로 긴 1개의 널링 롤러를 이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 널링 롤러의 외주 중 널링을 부여하는 부분(널링 롤러의 양측부의 외주)에 돌기나 홈을 형성하면 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널링장치(100)와 같이, 지지 롤러(38)와 널링 롤러(36)를 폴리머 필름(16)의 반송방향(A)에 대해서 경사시켜도 된다. 도 8의 예에서는, 지지 롤러(38) 및 널링 롤러(36)를, 반송방향(A)에 대해서 각도(θ2)만큼 외측으로 경사시키고 있다. 여기에서, 각도(θ2)는, 지지 롤러(38)의 측면 및 널링 롤러(36)의 측면과, 반송방향(A)이 이루는 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롤러(38)와 널링 롤러(36)를 배치함으로써, 지지 롤러(38)와 널링 롤러(36)의 사이를 폴리머 필름(16)이 통과할 때에, 폴리머 필름(16)이 폭방향 외측으로 견인되므로, 주름 등이 방지된다. 다만, 각도(θ2)는, 너무 작으면 충분한 효과를 얻지 못하고, 너무 크면 폴리머 필름이 찢어져 버릴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하여, 각도(θ2)는, 0.1°~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롤러를 가열함으로써, 널링 부여 전의 폴리머 필름을 가열하지만, 예를 들면, 히터로부터의 열풍을 송풍함으로써 널링 부여 전의 폴리머 필름을 가열하여도 된다. 물론, 폴리머 필름을 히터에 의하여 직접 가열하여도 된다. 또, 널링장치가 설치된 룸의 온도를 고온으로 하거나, 널링을 부여하기 전에 고온실을 통과시킴으로써, 폴리머 필름을 가열하여도 된다. 또한 필름제조 라인 중에는, 제조중의 필름을 건조시키기 위한 고온의 건조실을 가지고 있는 것도 있으므로, 이 건조실 내에 널링장치를 설치하거나, 널링 부여 전의 폴리머 필름을 통과시킴으로써, 폴리머 필름을 가열하여도 된다.
이하, 표 1, 표 2를 근거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1~12에 대하여 비교예 1~6과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롤러 온도 래핑각도 평가
널링 롤러 지지 롤러 널링 두께 균열 침하율 흠집 종합평가
실시예 1 200℃ 200℃ 20㎛ A 40% B C
실시예 2 200℃ 200℃ 15° 60㎛ A 20% A B
실시예 3 200℃ 200℃ 30° 80㎛ A 15% A A
실시예 4 25℃ 200℃ 15㎛ A 50% B C
실시예 5 25℃ 200℃ 15° 40㎛ A 40% A B
실시예 6 25℃ 200℃ 30° 60㎛ A 30% A B
비교예 1 25℃ 25℃ - - - - -
비교예 2 100℃ 100℃ - - - - -
비교예 3 200℃ 200℃ 10㎛ B 80% C D
비교예 4 25℃ 200℃ - - - - -

롤러 온도 래핑각도 평가
널링 롤러 지지 롤러 널링 두께 균열 경시 변형 종합평가
실시예 7 200℃ 200℃ 20㎛ A A A
실시예 8 200℃ 200℃ 15° 25㎛ A A A
실시예 9 200℃ 200℃ 30° 30㎛ A A A
실시예 10 25℃ 200℃ 15㎛ A B B
실시예 11 25℃ 200℃ 15° 20㎛ A B B
실시예 12 25℃ 200℃ 30° 25㎛ A A A
비교예 5 200℃ 200℃ 15㎛ B C D
비교예 6 25℃ 200℃ 10㎛ C C D
표 1, 표 2에 있어서, 실시예 1~12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 롤러(38)를 널링 롤러(36)보다 상류측에 배치한(래핑각도(θ1)를 0°보다 크게 한) 널링장치(34)를 이용하였다. 한편, 비교예 1~6에서는, 래핑각도(θ1)를 0°로 한 종래의 널링장치를 이용하였다.
또,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폴리머 필름으로서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을 이용하고, 이 필름에 널링을 부여하여 권취한 후에 널링이나, 필름, 필름롤의 상태를 평가하였다. 또한, 필름의 반송 속도(권취 속도)를 100m/분으로 하고, 널링 부여시의 하중(닙핑압)을 30kgf로 하였다. 다만, 각도(θ2)는 0°로 하였다.
표 1(실시예 1~6, 비교예 1~4)에서는, 두께가 60㎛인 필름의 양면에 널링을 부여하고, 표 2(실시예 6~12, 비교예 5, 6)에서는, 두께가 40㎛인 필름의 한쪽면에 널링을 부여하였다. 다만,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있어서의 지지 롤러나 널링 롤러의 온도, 래핑각도(θ1)는, 표 1,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표 1에서는, 실시예 1~6, 비교예 1~4에 대하여, 널링 두께, 균열, 침하율, 흠집, 종합 평가의 5항목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다만, “­”는, 필름이 찢어져 버려 권취를 정지해야 하여, 평가 대상 외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널링 두께는, 미츠토요사(Mitutoyo Corporation)제의 두께 계측기(IDC-112)를 이용하여 널링의 볼록부의 정점 부분과 널링의 부여되어 있지 않은 부분과의 차를 계측하여, 이것을 널링 두께로 하였다. 다만, 널링 두께는,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균열은, 5배의 루페로 널링 500mm당 몇 개의 균열이 있는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균열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는 “A”, 균열이 10개 이하인 경우는 “B”, 균열이 10개 이상인 경우는 “C”로 하였다. 다만, 균열은, 적은 쪽, 즉 “C”에서 “A”로 갈수록 바람직하다.
침하율은, 120℃의 DRY 환경에서 φ100mm의 롤러에 100N/m(길이 1m당 100N)의 텐션을 가해 1분간 유지하였을 때의 널링 두께의 저감률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침하율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흠집은, 500개의 롤러 상을 80N/m으로 반송하여 권취한 후의 필름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흠집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는 “A”, 흠집이 있지만 길이가 1mm 미만인 경우는 “B”, 길이가 1mm 이상의 흠집이 있는 경우는 “C”로 하였다. 다만, 흠집은, 작은 쪽, 즉 “C”에서 “A”로 갈수록 바람직하다.
종합 평가는, 각 평가 항목(표 1의 경우는, 널링 두께, 균열, 침하율, 흠집의 4항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제품으로서 문제 없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경우는, 바람직한 쪽으로부터 순서대로 “A”~“C”로 하였다. 한편, 제품으로서는 문제가 있어, 개선의 필요가 있는 경우는, “D”로 하였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60㎛의 두께의 필름에 대하여 조건을 변경하면서 널링을 부여한 실시예 1~6, 비교예 1~4를 비교한 결과, 실시예 1~6이 비교예 1~4보다, 널링 두께, 균열, 침하율, 흠집의 전체에 있어서 평가가 높아, 종합 평가도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래핑각도(θ1)가 커질수록, 널링 두께가 두꺼워, 침하율이 적은 양호한 널링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 1에서는, 본 발명에 의하여 필름의 핸들링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흠집의 평가에 있어서, 실시예 1~6은 평가가 높아 반송 롤러가 미끄러져 버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비교예 1~4에서는 평가가 낮아 반송 롤러가 미끄러져 버리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계속해서, 표 2에서는, 실시예 7~12, 비교예 5, 6에 대하여, 널링 두께, 균열, 경시 변화, 종합 평가의 4항목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다만, 널링 두께, 균열, 종합 평가에 대해서는, 표 1과 동일한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경시 변화는, 권취한 필름롤을, 23℃, 습도 50%의 환경에서 2주간 보관한 후, 필름롤의 변형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변형이 없었던 경우는 “A”, 거의 변형되지 않은 경우는 “B”, 약간의 변형은 있지만 제품으로서 문제가 없는 레벨인 경우는 “C”, 변형이 커 필름롤에 변형자국이 남아 버린 경우는 “D”로 하였다. 다만, 경시 변화는, 작은 쪽, 즉 “D”에서 “A”로 갈수록 바람직하다.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0㎛의 두께의 필름에 대하여 조건을 변경하면서 널링을 부여한 실시예 7~12, 비교예 5, 6을 비교한 결과, 실시예 7~12가 비교예 5, 6보다 널링 두께가 두껍고, 또, 균열도 없어, 종합 평가가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 래핑각도(θ1)를 크게 할수록, 또, 널링 롤러의 온도가 높을수록 널링 두께는 두꺼워지는 한편, 경시 변화도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표 2로부터는, 본 발명에 의하여 필름롤의 어긋난 감김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경시 변화의 평가에 있어서, 실시예 7~12는 평가가 높아 필름롤로 된 후에 중첩하는 필름 사이에서 어긋남이 억제되어 필름롤의 변형이 억제되고, 비교예 5, 6은 평가가 낮아 필름롤로 된 후에 중첩하는 필름 사이에서 어긋남이 발생하여 필름롤이 변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 1, 2로부터는, 필름의 두께가 60㎛로 비교적 두꺼운 것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필름의 두께가 40㎛로 비교적 얇은 것에 대해서도 본 발명이 유효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필름의 반송 속도를 100m/분이라는 고속으로 하여도 본 발명이 유효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에 대해서 널링을 부여하는 경우에 대하여 본 발명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다음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에 대해서 널링을 부여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유효성에 대한 검증을 행하였다. 이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롤러 온도 래핑각도 평가
널링 롤러 지지 롤러 널링 두께 균열 침하율 흠집
TAC 1 200℃ 200℃ 15° 60㎛ A 20% A
PET 1 200℃ 200℃ 20㎛ A 30% B
PET 2 200℃ 200℃ 60㎛ A 10% A
PET 3 200℃ 200℃ 15° 100㎛ A 10% A
PET 4 150℃ 150℃ 15° 60㎛ A 20% A
표 3에서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에 대해서 널링을 부여한 TAC1, PET 필름에 대해서 널링을 부여한 PET1~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다만, 널링 부여시의 조건은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고, 평가에 대해서도 상술의 표 1, 2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핑각도를 0°로 한 PET1보다, 래핑각도를 0°보다 크게 한 PET2~4가 평가가 좋아, PET 필름에 본 발명을 적용하였을 때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과 PET 필름에서는, 조건이 동일하다면 PET 필름이 양호한 널링을 부여할 수 있지만(TAC1와 PET3의 결과 참조),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에 대해서 본 발명을 실시한 경우와 PET 필름에 대해서 본 발명을 실시하지 않았던 경우에서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에 대해서 본 발명을 실시한 경우가 양호한 널링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TAC1와 PET1의 결과 참조). 즉, PET 필름보다 양호한 널링을 부여하는 것이 어려운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이어도,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지 않은 PET 필름보다 양호한 널링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이 PET 필름보다 양호한 널링을 부여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로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이 기계 강도는 높지만 파단 강도가 낮아(약하여), 힘을 가하였을 때에 변형되기 어렵고 균열되기 쉽기 때문에, 필름 내부까지 충분히 가열되어 있지 않으면 필요한 변형량(널링 두께)이 되기 전에 균열되어 버린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을 실시한 TAC1은, 본 발명을 실시하고 있지 않은 PET1보다 양호한 널링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필름 내부까지 충분히 가열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 내부까지 충분히 가열되므로, 변형되기 어렵고 균열되기 쉬운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에 대해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특히 유효하다.
이와 같이, 필름의 종류에 관계 없이 본 발명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계속해서, 래핑각도를 일정하게 하고, 널링 롤러나 지지 롤러의 온도를 변화시켜, 널링 롤러나 지지 롤러의 최적 온도를 검증하였다. 이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롤러 온도 래핑각도
평가
널링 롤러 지지 롤러 널링 두께 균열 침하율 흠집
TAC 2 100℃ 100℃ 15° 3 3 3 3
TAC 3 150℃ 150℃ 15° 2 3 2 2
TAC 4 180℃ 180℃ 15° 1 1 1 1
TAC 5 200℃ 200℃ 15° 1 1 1 1
TAC 6 300℃ 300℃ 15° 1 1 1 1
TAC 7 340℃ 340℃ 15° 1 3 1 1
표 4에서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에 대해서 널링을 부여한 TAC2~7을 이용하여 널링 롤러나 지지 롤러의 최적 온도를 검증하였다. 널링 부여시의 조건은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다만, 상술과 같이 널링 롤러나 지지 롤러의 온도에 관계 없이 본 발명이 유효한 것은 이미 실증되어 있다(표 1~3 참조). 즉, 표 4에 있어서, 품질상 문제가 있는 레벨인지 아닌지에 대하여 평가를 하여도 모두가 합격(품질상 문제가 없는 레벨)이 되어, 널링 롤러나 지지 롤러의 온도의 차이가 널링에 주는 영향을 알 수 없다. 이로 인하여, 표 4에서는, 품질상 문제가 없는 범위를 더욱 3 단계로 나누어, 양호한 순서대로 “1”~“3”의 평가를 내렸다.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널링 롤러와 지지 롤러의 온도를 100℃로부터 상승시켜 가면, 이들의 온도가 180℃가 될 때까지는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널링의 질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널링 롤러와 지지 롤러의 온도를 340℃로부터 저하시켜 가면, 이들의 온도가 300℃가 될 때까지는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널링의 질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널링 롤러와 지지 롤러의 온도가 180℃~300℃인 범위에서는, 널링의 질이 좋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로부터, 널링 롤러와 지지 롤러의 온도가 180℃~300℃의 범위인 것이, 필름이 내부까지 충분히 가열되고 또한 과도하게 가열되지 않는 적절한 범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0)

  1. 길이방향으로 반송되고 있는 띠형상의 웨브에 널링을 부여하는 널링장치로서,
    상기 웨브를 양면으로부터 협지하는 제1 롤러 및 제2 롤러;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중 적어도 일방의 외주에 형성된 돌기; 및
    상기 제1 롤러를 가열하는 제1 가열기;
    를 구비하고,
    상기 웨브가 상기 제1 롤러의 외주를 래핑한 후에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와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2 롤러보다 상기 웨브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의 협지에 의하여 상기 돌기를 상기 웨브에 압착하여 상기 널링이 부여되는
    널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에 의하여, 상기 웨브를 유리 전이점 이상 융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는
    널링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상기 제1 롤러의 근방에서 자계 변화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제1 롤러를 유도 가열하는
    널링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를 가열하는 제2 가열기를 가지는
    널링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가 상기 제1 롤러의 외주를 래핑하는 래핑각도가 5° 이상 30° 이하인
    널링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웨브의 폭방향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널링은, 상기 웨브의 폭방향 양측부에 부여되는
    널링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는, 회전에 의하여 상기 웨브의 측부를 폭방향 외측으로 견인하도록, 회전축이 상기 폭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널링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상기 폭방향에 대해서 0.1° 이상, 1.0° 이하의 범위에서 경사시키고 있는
    널링장치.
  9. 길이방향으로 반송되고 있는 띠형상의 웨브에 널링을 부여하는 널링방법으로서,
    상기 웨브를 제1 롤러로 가열하는 스텝; 및
    상기 제1 롤러를 래핑한 후의 상기 웨브를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에 의하여 협지하여 상기 널링을 부여하는 스텝;
    을 구비하고,
    상기 웨브는 가열기를 가지는 상기 제1 롤러의 외주를 래핑하여 반송됨으로써 가열되며,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중 적어도 일방의 외주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널링은 상기 웨브에 상기 돌기를 압착시킴으로써 부여되는
    널링방법.
  10. 웨브를 제1 롤러로 가열하는 스텝;
    상기 제1 롤러를 래핑한 후의 상기 웨브를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에 의하여 협지하여 상기 널링을 부여하는 스텝; 및
    상기 널링이 부여된 상기 웨브를 권취하는 스텝;
    을 구비하고,
    상기 웨브는 가열기를 가지는 상기 제1 롤러의 외주를 래핑하여 반송됨으로써 가열되며,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중 적어도 일방의 외주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널링은 상기 웨브에 상기 돌기를 압착하여 부여되는
    웨브롤 제조방법.
KR1020130084466A 2012-07-19 2013-07-18 널링장치, 널링방법, 필름롤 제조방법 KR102201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0702A JP5647649B2 (ja) 2012-07-19 2012-07-19 ナーリング装置、ナーリング方法、フィルムロール製造方法
JPJP-P-2012-160702 2012-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958A true KR20140011958A (ko) 2014-01-29
KR102201006B1 KR102201006B1 (ko) 2021-01-08

Family

ID=5014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466A KR102201006B1 (ko) 2012-07-19 2013-07-18 널링장치, 널링방법, 필름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47649B2 (ko)
KR (1) KR102201006B1 (ko)
TW (1) TWI61862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481A (ko) * 2017-09-23 2019-04-02 이동열 초음파 융착에 의한 공조기기용 브레이징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브레이징 시트
KR20220126595A (ko) * 2021-03-09 2022-09-16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공급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6865B2 (ja) * 2016-02-29 2020-10-1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ナール構造付き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23248896A1 (ja) * 2022-06-22 2023-12-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フィルムロール及びフィルムロールの製造方法
WO2023248894A1 (ja) * 2022-06-22 2023-12-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フィルムロール及びフィルムロールの製造方法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6726A (ja) * 1987-03-05 1988-09-09 Konan Tokushu Sangyo Kk 合成樹脂シ−トの表面賦形用ロ−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89228A (ja) * 1990-08-02 1992-03-23 Nissan Motor Co Ltd 樹脂シートのエンボス加工方法
JPH11262950A (ja) * 1998-01-16 1999-09-28 Fuji Photo Film Co Ltd ウエブの厚み出し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10030834A (ko) * 1997-10-01 2001-04-16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엠보싱 처리된 중합체 배향 필름
JP2004333936A (ja) * 2003-05-08 2004-11-25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画像表示装置
JP2005195726A (ja) * 2004-01-05 2005-07-21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防止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698589B2 (ja) * 1999-06-30 2005-09-21 花王株式会社 孔付き凹凸シートの製造装置
KR20080085773A (ko) * 2007-03-19 2008-09-24 오브듀캇 아베 나노 임프린팅 장치 및 방법
JP2009517310A (ja) * 2005-11-23 2009-04-30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ガラス製品を表面構造化する方法、構造化された表面を有するガラス製品、及び使用
WO2010071055A1 (ja) * 2008-12-17 2010-06-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ローラー型インプリント装置、及び、インプリント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1131585A (ja) * 2009-11-26 2011-07-07 Toray Ind Inc エンボス加工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2030542A (ja) * 2010-08-02 2012-02-16 Konica Minolta Opto Inc エンボス形成装置及びそのエンボス形成装置により製造された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3154A (ja) * 2007-09-25 2009-04-09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88412A (ja) * 2008-05-28 2009-12-10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6726A (ja) * 1987-03-05 1988-09-09 Konan Tokushu Sangyo Kk 合成樹脂シ−トの表面賦形用ロ−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89228A (ja) * 1990-08-02 1992-03-23 Nissan Motor Co Ltd 樹脂シートのエンボス加工方法
KR20010030834A (ko) * 1997-10-01 2001-04-16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엠보싱 처리된 중합체 배향 필름
JPH11262950A (ja) * 1998-01-16 1999-09-28 Fuji Photo Film Co Ltd ウエブの厚み出し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3698589B2 (ja) * 1999-06-30 2005-09-21 花王株式会社 孔付き凹凸シートの製造装置
JP2004333936A (ja) * 2003-05-08 2004-11-25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画像表示装置
JP4213989B2 (ja) * 2003-05-08 2009-01-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眩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5195726A (ja) * 2004-01-05 2005-07-21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防止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517310A (ja) * 2005-11-23 2009-04-30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ガラス製品を表面構造化する方法、構造化された表面を有するガラス製品、及び使用
KR20080085773A (ko) * 2007-03-19 2008-09-24 오브듀캇 아베 나노 임프린팅 장치 및 방법
WO2010071055A1 (ja) * 2008-12-17 2010-06-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ローラー型インプリント装置、及び、インプリント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1131585A (ja) * 2009-11-26 2011-07-07 Toray Ind Inc エンボス加工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2030542A (ja) * 2010-08-02 2012-02-16 Konica Minolta Opto Inc エンボス形成装置及びそのエンボス形成装置により製造されたフィル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481A (ko) * 2017-09-23 2019-04-02 이동열 초음파 융착에 의한 공조기기용 브레이징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브레이징 시트
KR20220126595A (ko) * 2021-03-09 2022-09-16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공급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04575A (zh) 2014-02-01
JP5647649B2 (ja) 2015-01-07
JP2014019077A (ja) 2014-02-03
KR102201006B1 (ko) 2021-01-08
TWI618623B (zh)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1958A (ko) 널링장치, 널링방법, 필름롤 제조방법
KR102129628B1 (ko) 널링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필름 롤 제조 방법
JP5058953B2 (ja) 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ロール原反
KR102121629B1 (ko)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웨브 반송 장치
KR20120046759A (ko) 에지 웹부를 포함하는 유리기판
KR20150086253A (ko) 유리 제조 방법 및 유리 제조 장치
JP2009015273A5 (ko)
JP6064667B2 (ja) 両面構造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WO2012114820A1 (ja) 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フィルムの製造装置
JP2007070514A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ロール
JP2015063357A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搬送方法、搬送ローラ
KR101618387B1 (ko)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 필름
CN107848266B (zh) 光学积层体的制造方法
KR102482643B1 (ko) 폴리머 필름
JP2013237256A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KR20190086353A (ko) 지지체, 지지체의 제조 방법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5214025A (ja) 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並びにそれにより得られた熱可塑性樹脂シート
JP4500122B2 (ja) 光学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I635994B (zh) 樹脂薄膜的製造方法
JP6634207B2 (ja) 縦延伸装置
WO2014027660A1 (ja) 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並びにそれにより得られた熱可塑性樹脂シート
WO2023027891A1 (en) Roll-to-roll glass lamination system and method of laminating glass
TW202346985A (zh) 偏光板之製造方法
JP2015214026A (ja) 熱可塑性樹脂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21713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ロ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