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434A - 단자 금구 - Google Patents

단자 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434A
KR20140008434A KR1020137030424A KR20137030424A KR20140008434A KR 20140008434 A KR20140008434 A KR 20140008434A KR 1020137030424 A KR1020137030424 A KR 1020137030424A KR 20137030424 A KR20137030424 A KR 20137030424A KR 20140008434 A KR20140008434 A KR 20140008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elt
shaped piece
lanc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5381B1 (ko
Inventor
히로시 아오키
오사무 오시타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8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단자 금구(1)에서, 커넥터 하우징(5)의 캐비티(51)에서 유지 리세스(52)에 결합되는 랜스부(3)가 단자 본체(2)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랜스부(3)는 랜스부(3)와 유지 리세스(52)의 결합에 의해 캐비티(51)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랜스부(3)는, 랜스부(3)가 유지 리세스(52)에 결합될 때, 탄성 변위 방향(Q)을 따라 융기되는, 단자 본체(2)의 제 1 외측벽(22a)의 내면상에 겹쳐디는 벨트 형상 단편(27)의 자유단이며, 단자 금구(1)가 캐비티(51)로 삽입되는 삽입 방향(P)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탄성 변위 방향(Q)으로 기설정된 폭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단자 금구{terminal fitting}
본 발명은 단자 금구에 관한 것으로, 랜스부가 단자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랜스부에 의해 단자 금구가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 밖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는 기술이다.
도 5는 이하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단자 금구(100)의 구성을 개시하는 사시도이다.
단자 금구(100)는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되는 단자 본체(110) 및 단자 본체(1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게 배치되는 랜스부(120)를 포함한다.
단자 본체(110)는 전단측에 단자 결합부(111)를 구비한다. 단자 결합부(111)는 접속 상대측인 메일 단자가 정합되는 직사각 파이프 형상을 구비한다.
랜스부(120)는 단자 결합부(111)와 통합적으로 형성되어 랜스부(120)는 단자 결합부(111)로 탄성 변위되며 단자 결합부(11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한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 랜스부(120)는 단자 결합부(111)의 상부측 외벽인 제 1 외벽 판(112)의 일 부분을 절단하고 융기시켜 형성되어 랜스부(120)는 제 1 외벽 판(11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랜스부(120)는 단자 결합부(111)의 전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해 비스듬히 연장하는 판의 단편이다.
도시된 예에서 단자 금구(100)가 커넥터 하우징(미도시)의 캐비티(단자 삽입홀)로 삽입되면, 랜스부(120)는 캐비티에 형성된 유지 리세스로 진입하고 캐비티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단자 결합부의 전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해 비스듬이 연장되는 판의 단편에 의해 유지 랜스부가 형성되는 기술들이 또한 이하의 특허 문헌 2와 3에 개시된다.
특허 문헌 1: JP-A-10-40996 특허 문헌 2: JP-A-2002-280106 특허 문헌 3: JP-A-2002-93508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단자 금구(100)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스부(120)가 커넥터 하우징의 유지 리세스에 결합하는 동안 단자 금구(100)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단자 금구(100)에 작용하면, 인장력에 대한 부하(F)는 랜스부(20)의 자유단에 인가된다.
부하(F)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금구(100)가 커넥터 하우징(정합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 방향을 따르는 부하이며, 부하(F)는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랜스부(120)의 자유단에 대해 판 두께 방향으로 컴포넌트(Ft)를 구비하기 때문에, 랜스부(120)는 컴포넌트(Ft) 효과로 인해 판 두께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쉽다. 따라서, 이하의 문제가 있다. 인장력에 대한 부하(F)에 대해 랜스부(120)의 휨 강성을 증가시키기가 어렵고, 커넥터 하우징에서 단자 금구를 고정시키는 랜스부의 고정력(유지력)을 증가시키기가 어렵다.
단자 금구가 정합되는 정합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판의 단편인 특허 문헌 1의 랜스부가, 특허 문헌 2와 특허 문헌 3의 단자 금구 경우에 공통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문제들이 특허 문헌 1에서와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고, 커넥터 하우징의 유지 리세스에 랜스부가 결합되면 유지 리세스로부터 랜스부에 인가되는 부하에 대한 랜스부의 휨 강성이 증가될 수 있고, 커넥터 하우징에서 단자 금구를 고정시키는 랜스부의 고정력(유지력)이 증가될 수 있는 단자 금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단자 금구로서: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되는 단자 본체; 및
단자 본체와 통합적으로 형성되어 단자 본체에서 탄성 변위되며, 단자 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랜스부를 포함하고,
단자 금구가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에 삽입되면, 랜스부가 캐비티에 형성된 유지 리세스에 진입하여 단자 금구가 캐비티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랜스부는, 단자 금구가 캐비티로 삽입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랜스부가 유지 리세스에 결합되면 랜스부의 탄성 변위 방향을 따라 융기되는 단자 본체의 제 1 외측 벽의 내면에 포개어지는 벨트 형상 단편의 자유단이며, 탄성 변위방향으로 기설정된 폭을 구비하고 단자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2) 상기 (1)을 따르는 단자 금구는, 단자 본체가, 벨트 형상 단편이 구부러지거나 바깥으로 변위하는 것을 막기 위해 벨트 형상 단편의 외측 에지에 포개어지는 제 2 외측벽을 구비한다.
(3) 상기 (1) 또는 (2)를 따르는 단자 금구는, 자유단의 단부를 벨트 형상 단편의 고정단으로 되돌려 벨트 형상 단편의 자유단이 적층된 2중 구조로 형성된다.
(4) 상기 (1) 또는 (2)를 따르는 단자 금구는, 벨트 형상 단편의 고정단에서, 제 1 외측벽이 결합되는 벨트 형상 단편의 폭 방향으로 두 개 측에서 결합부에 굴곡 컷이 제공되어 벨트 형상 단편이 폭 방향으로 구부러질 때 응력 집중을 예방한다.
상기 (1)의 구성을 따르면, 랜스부가 되는 벨트 형상 단편이 단자 본체의 제 1 외측벽의 내면으로 접히고, 단자 금구가 캐비티로 삽입되는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단자 금구(1)가 인장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단자 금구에 인가되고 인장력에 대한 부하(F)가 유지 리세스로부터 랜스부의 자유단으로 인가되면, 부하(F)는 랜스부의 판 두께 방향에서 컴포넌트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랜스부가 판 두께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변위되기 어렵다.
따라서, 단자 금구가 캐비티로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종래의 랜스부와 비교할 때, 인장력에 대한 부하(F)에 대한 랜스부의 휨 강성은 증가될 수 있고 커넥터 하우징에 단자 금구를 고정시키는 랜스부의 고정력(유지력)도 증가될 수 있다.
상기 (2)의 구성을 따르면, 외부 장치로부터의 외란으로 인해 단자 본체의 외측을 향하는 인장 부하가 랜스부에 인가되는 경우에도, 단자 본체의 제 2 외측 벽이 랜스부가 되는 벨트 형상 단편이 바깥으로 구부러지거나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랜스부가 바깥으로 구부러지는 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3)의 구성을 따르면, 랜스부가 되고 커넥터 하우징의 유지 리세스에 결합되는 벨트 형상 단편의 자유단이 단부가 되돌아가는 적층된 이중 구조이므로, 랜스부의 기계적 강도는 높다. 따라서, 단자 금구를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랜스부의 고정력(유지력)이 추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상기 (4)의 구성을 따르면, 단자 금구가 커넥터 하우징에 정합되고 설치되면, 랜스부가 되는 벨트 형상 단편이 벨트 형상 단편의 폭 방향을 따라 단자 본체를 향해 구부러지거나 변위될 수 있다. 벨트 형상 단편이 구부러지거나 변위되면, 벨트 형상 단편에서 생성되는 내부 응력이, 벨트 형상 단편의 고정단에서 벨트 형상 단편의 폭 방향에서 두 개 측에 위치한 결합부에 집중적으로 인가되므로, 결합부는 해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4)의 구성을 따르면, 결합부에 굴곡 컷이 제공되어 응력 집중 생성이 예방될 수 있다. 따라서, 벨트 형상 단편의 고정단에서 결합부가 해체되는 것이 방지되며, 단자 금구의 내구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단자 금구가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에 수용되는 것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전단측에서 위로부터 비스듬히 바라본 도 1에 도시된 단자 금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1 외측벽과 벨트 형상 단편의 결합부에 형성된 굴곡 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단자 금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부하(F)가 도 5에 도시된 랜스부에 인가될 대 랜스부의 판 두께 방향에서 부하 컴포넌트(Ft)가 인가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 금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본 발명의 단자 금구(1)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 금구(1)는 단자 본체(2) 및 단자 본체(2)에 통합적으로 형성되는 랜스부(3)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5)의 캐비티(단자 삽입 홀, 51)로 삽입됨으로써, 단자 금구(1)가 커넥터 하우징(5)에 설치된다. 단자 금구(1)가 캐비티(51)로 적절히 삽입되면, 단자 본체(2)상의 랜스부(3)는 캐비티(51)에 형성된 유지 리세스(52)로 진입하여 유지 리세스(52)와 결합한다. 랜스부(3)가 유지 리세스(52)와 결합하기 때문에, 단자 금구(1)의 이탈은 방지된다. 도 1의 화살표 P는 단자 금구(1)가 캐비티(51)로 삽입되는 방향을 개시한다.
단자 본체(2)의 구성을 기술한 이후, 랜스부(3)가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본체(2)는 전선 압착부(21) 및 단자 결합부(22)를 포함한다.
전선 압착부(21)는 전선(도면에 미도시)의 단부를 압착시키고 접속시키는 부분이며, 전선의 도체를 압착시키는 도체 압착편(21a)과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해 전선의 외피상으로 압착되는 코팅 고정부(21a)를 포함한다.
단자 결합부(22)는 접속 상대부인 메일 단자가 정합되는 부분이다. 단자 결합부(22)는 메일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부(23)가 네 개의 외측 벽에 의해 둘러싸이는 직사각 파이프 형상 구조로 형성되고, 네 개의 외측 벽은 제 1 내지 제 4 외측벽(22a, 22b, 22c, 22d)들이다.
제 1 내지 제 4 외측벽(22a,22b,22c,22d)인 4 개의 외측벽 중에서, 제 1 외측벽(22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의 전방으로부터 바라볼 때 단자 삽입부(23)의 우측을 덮는 우측 외측벽인 판이며, 랜스부(3)가 유지 리세스(52)에 결합될 때 랜스부(3)가 탄성 변위되는 탄성 변위 방향(Q)을 따라 융기된다. 제 2 외측벽(22b)은, 단자의 전방으로부터 볼 때 단자 삽입부(23)의 상부측을 덮는 상측 외측벽인 판이며, 제 3 외측벽(22c)은 단자의 전방으로부터 바라볼 때 단자 삽입부(23)의 좌측을 덮는 좌측 외측벽인 판이며, 제 4 외측벽(22d)은 단자 전방으로부터 바라볼 때 단자 삽입부(23) 하방측을 덮는 하측 외측벽인 판이다.
본 실시예에서, 네 개의 외측벽(22a,22b,22c,22d)을 단자 금구(1)의 전방측으로부터 바라볼 때, 제 1 외측벽(22a)은 제 4 외측벽(22d)의 우측 에지와 연결된 외측 벽이고, 제 3 외측벽(22c)은 제 4 외측벽(22d)의 좌측 에지와 연결된 외측벽이며, 제 2 외측벽(22b)은 제 3 외측벽(22c)의 상측 에지와 연결된 외측벽이다.
따라서, 도면에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금속 판이 단자 금구(1)의 접히지 않은 형상으로 천공되고, 단자 결합부(22)는 단자 폭 방향으로 제 1 외측벽(22a), 제 4 외측벽(22d), 제 3 외측벽(22c) 및 제 2 외측벽(22b)으로 순차적으로 전개 형상으로 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자 결합부(22)의 제 2 외측벽(22b)의 외면(221)은 랜스부(3)가 바깥으로 돌출하는 단자 본체(2)의 외측면에 상당한다. 단자 결합부(22)의 제 2 외측벽(22b)에는 랜스 개구(25)가 제공된다. 랜스 개구(25)는 이후 기술되는 랜스가 이동가능하게 바깥으로 삽입될 수 있는 직사각 컷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지지부(223)는 단자 본체(2)의 제 4 외측벽(22d)과 통합하여 형성되며, 단자 접촉판(224)과 벨트 형상 단편(27)은 제 1 외측벽(22a)과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스프링 지지부(223)는 제 4 외측벽(22d)의 전단에 제공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스트립(226)은 스프링 지지부(223)에 근접하여 제공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스트립(226)은, 단자 삽입부(23)에서 전후 방향으로(도 1에 도시된 화살표 X1방향)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판 스프링이고, 단자 삽입부(23)로 삽입되고 스프링 스트립(226)과 이후 기술되는 단자 접촉판(224) 사이에서 협지되는 메일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단자 접촉판(224)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외측벽(22a)의 상단 에지로부터 연장되고, 구부러져서 제 2 외측벽(22b)의 내측에 적층되도록 배치되는 판 물질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접촉 판(224)은 스프링 스트립(226)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부(224a)와 함께 프레스 성형된다. 돌기부(224a)는, 스프링 스트립(226)과 함께, 메일 단자를 고정하여 메일 단자의 접촉 성능을 증가시키는 부분이다.
벨트 형상 단편(27)은 P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벨트 형상 단편이며(도 1 참조), 단자 금구(1)가 제 1 외측벽(22a)의 전단으로부터 캐비티(51)로 삽입된다. 금속판이 단자 금구(1)의 전개 형상으로 천공되면, 벨트 형상 단편(27)은 제 1 외측벽(22a)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직선으로 연장되는 벨트이다(도 4 참조). 천공 이후, 제 1 외측벽(22a)의 후면측으로 되돌림으로써, 벨트 형상 단편(27)은 제 1 외측벽(22a)의 내면상으로 접히도록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형상 단편(27)이 제 1 외측벽(22a)의 내면(후면)상으로 접히도록 배치되면서, 벨트 형상 단편(27)은 탄성 변위 방향(Q, 도 2 참조)을 따라 기설정된 폭 L1 을 갖도록 제공되며, 단자 본체(2)의 전후 방향을 따라(도 1에 도시된 화살표 X1방향) 기설정된 길이 L2 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벨트 형상 단편(27)은, 돌기부(31)가 자유단에 형성되기 때문에, 랜스부(3)로 기능한다.
돌기부(31)는 유지 리세스(52)에 결합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부분이며, 제 2 외측벽(22b)의 외면(221)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제 2 외측벽(22b)의 랜스 개구(25)를 관통한다.
본 실시예의 랜스부(3)가, 단자 금구(1)가 캐비티(51)로 삽입되는 삽입 방향(P)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벨트 형상 단편(27)의 자유단에 돌기부(31)가 제공되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형상으로 정의하자면, 단자 금구(1)가 캐비티(51)로 삽입되는 삽입 방향(P)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돌기부(31)가 유지 리세스(52)에 결합될 때 돌기부(31)가 탄성 변위되는 탄성 변위 방향을 따라 융기되는, 제 1 외측벽(22a)의 내면상으로 접히도록, 랜스부(3)는 제공된다. 랜스부(3)는 단자 본체(2)와 통합적으로 형성되어 돌기부(31)는 단자 본체(2)에서 탄성 변위될 수 있고, 돌기부(31)가 탄성 변위되지 않을 때, 돌기부(31)는 기설정된 길이 만큼, 단자 본체(2)의 외측면인 외면(221)으로부터 돌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31a)이 돌기부(31)의 전단측에 형성된다. 단자 금구(1)가 캐비티(51)로 삽입되면, 경사면(31a)이 캐비티(51)의 경사 돌출부(51a)와 충돌하므로, 경사면(31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성 변위 방향 Q를 따라 돌출부(51a)로부터 힘을 받고, 벨트 형상 단편(27)은 랜스부(3)가 유지 리세스(52)에 결합될 때 탄성 변위 방향(Q)으로 쉽게 구부러지거나 변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랜스부(3)의 탄성 변위 방향(Q)을 따르는 휨 강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히 폭 L1, 단자 금구(1)가 캐비티(51)로 삽입되는 삽입 방향 P를 따르는 길이 L2 및 판 두께를 선택하여 임의 조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랜스부(3)의 경우, 벨트 형상 단편(27)의 자유단에서 돌기부(31)는, 벨트 형상 단편(27)의 고정단(제 1 외측벽(22a)의 전단측)을 향해 돌기부(31)의 단부를 접음으로써 적층된 이중 구조(W)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랜스부(3)의 경우, 금속판이 접히지 않은 형태로 천공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형상 단편(27)의 고정단에서 , 굴곡 컷(28)이 벨트 형상 단편(27)의 폭 방향으로 2 개 측에서 제 1 외측벽(22a)을 연결시키는 결합부에서 제공된다. 굴곡 컷(28)은 벨트 형상 단편(27)이 폭 방향으로 구부러지면 생성되는 응력 집중을 방지하는 컷이며, 벨트 형상 단편(27)의 폭방향에서 구부러짐 변형이 증가하더라도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의 단자 금구(1)의 경우, 단자 본체(2)의 제 2 외측벽(22b)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형상 단편(27)의 외측 에지상(도 1에서 상방 에지)에 겹쳐져 벨트 형상 단편(27)이 바깥으로 구부러지거나 변위되는 것을 방지한다(도 1에서, 상방).
상기된 본 실시예의 단자 금구(1)에 있어서, 랜스부(3)가 되는 벨트 형상 단편(27)은 단자 본체(2)의 제 1 외측벽(22a)의 내면상으로 접히고, 단자 금구(1)가 캐비티(51)로 삽입되는 삽입 방향(P)을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단자 금구(1)가 인장되는 방향으로 단자 금구(1)에 외력이 인가되고, 인장력에 대한 부하(F)(도 1 참조)가 유지 리세스(52)로부터 랜스부(3)의 자유단 상으로 인가되면, 부하(F)가 랜스부(3)의 판 두께 방향에서 컴포넌트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랜스부(3)가 판 두께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변위되기는 어렵다.
따라서, 단자 금구(1)가 캐비티(51)로 삽입되는 삽입 방향(P)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종래 랜스부와 비교할 때, 인장력에 대한 부하(F)와 관련한 랜스부(3)의 휨 강성은 증가될 수 있고, 커넥터 하우징(5)에 단자 금구(1)를 고정시키는 랜스부(3)의 고정력(유지력)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된 본 실시예의 단자 금구(1)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의 외란으로 인해 단자 본체(2)의 외측으로 인장 부하가 랜스부(3)에 인가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본체(2)의 제 2 외측벽(22b)이 랜스부(3)가 되는 벨트 형상 단편(27)이 바깥으로 구부러지거나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외력에 의해 랜스부(3)가 바깥으로 구부러지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방지된다.
또한, 기상술된 본 실시예의 단자 금구(1)에 있어서, 랜스부(3)가 되고 도체 하우징(5)의 유지 리세스(52)에 결합되는 벨트 형상 단편(27)의 자유단이, 단부가 되돌아 가는 적층된 이중 구조이므로, 랜스부(3)의 기계적 강도는 높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5)에 단자 금구(1)를 고정시키는 랜스부(3)의 고정력(유지력)은 추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단자 금구(1)에 있어서, 단자 금구(1)가 커넥터 하우징(5)으로 정합되고 설치되면, 랜스부(3)가 되는 벨트 형상 단편(27)이 벨트 형상 단편(27)의 폭 방향을 따라 단자 본체(2)를 향해 구부러지거나 변위된다. 벨트 형상 단편(27)이 구부러지거나 변위되면, 벨트 형상 단편(27)에서 생성되는 내부 응력이, 벨트 형상 단편(27)의 고정단에서 벨트 형상 단편(27)의 폭 방향으로 2 개 측에 위치한 결합부에 집중적으로 인가되므로, 결합부는 해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본 실시예의 단자 금구(1)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형상 단편(27)의 고정단에서 결합부에 굴곡 컷(28)이 제공되어 응력 집중 생성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벨트 형상 단편(27)의 고정단에서 결합부 해체가 방지되고, 단자 금구(1)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자 금구는 이전에 기술된 실시예의 단자 금구(1)로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한 변형, 개선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전에 기술된 실시예에서, 랜스부(3)가 되는 벨트 형상 단편(27)은 단자 본체(2)의 외측벽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벨트이며, 또한 벨트 형상 단편이 단자 본체(2)의 외측벽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측으로 연장되는 벨트일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벨트 형상 단편(27)의 자유단은, 단부가 되돌아가 적층된 이중 구조이며, 그러나 벨트 형상 단편(27)은, 특히 강도(strength)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단부가 되돌아가지 않은 한겹 구조 일 수 있다.
본 출원은 2011년 6월 17일 제출된(특허 출원 2011-135491) 일본 특허 출원에 기초하였으며, 그 내용은 참고적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었다.
본 발명의 단자 금구에 따르면, 랜스부가 되는 벨트 형상 단편은 단자 본체의 제 1 외측벽의 내면상으로 접히고, 단자 금구가 캐비티로 삽입되는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외력이 단자 금구가 인장되는 방향으로 단자 금구에 인가되고, 인장력에 대한 부하(F)가 유지 리세스로부터 랜스부의 자유단상에 인가되면, 부하(F)는 랜스부의 판 두께 방향에서 컴포넌트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랜스부가 판 두께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변위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단자 금구가 캐비티로 삽입되는 삽입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종래 랜스부와 비교할 대, 인장력에 대한 부하(F)와 관련한 휨 강성은 증가될 수 있고, 단자 금구를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랜스부의 고정력(유지력)이 증가될 수 있다.
1 : 단자 금구
2 : 단자 본체
3 : 랜스부
5 : 커넥터 하우징
22 ; 단자 결합부
22a : 제 1 외측벽
22b : 제 2 외측벽
22c : 제 3 외측벽
22d : 제 4 외측벽
25 : 랜스 개구
27 : 벨트 형상 단편
28 : 굴곡 컷
31 : 돌기부
51 : 캐비티
52 : 유지 리세스
221 : 외면(외측면)
P : 삽입 방향(단자 금구가 캐비티로 삽입되는 방향)
Q : 탄성 변위 방향(유지 리세스에 결합될 때 랜스부가 탄성 변위되는 방향)

Claims (4)

  1. 단자 금구로서,
    금속 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되는 단자 본체; 및
    상기 단자 본체와 통합적으로 형성되어 단자 본체에서 탄성 변위가능하며 단자 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랜스부를 포함하고,
    단자 금구가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로 삽입되면, 상기 랜스부가 상기 캐비티에 형성된 유지 리세스에 진입하여 단자 금구가 상기 캐비티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랜스부는, 단자 금구가 상기 캐비티로 삽입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랜스부가 상기 유지 리세스에 결합되면 상기 랜스부의 탄성 변위 방향을 따라 융기되는 상기 단자 본체의 제 1 외측벽의 내면상에 포개어지는 벨트 형상 단편의 자유단이며, 탄성 변위 방향에서 기설정된 폭을 가지고 단자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금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본체는 상기 벨트 형상 단편이 바깥으로 구부러지거나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벨트 형상 단편의 외측 에지 상에 놓이는 제 2 외측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금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형상 단편의 자유단은, 상기 벨트 형상 단편의 고정단을 향해 상기 자유단의 단부를 되돌림으로써 적층된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금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형상 단편의 고정단에서, 상기 벨트 형상 단편이 폭 방향으로 구부러질 때 응력 집중을 예방하기 위해, 제 1 외측벽이 결합되는 상기 벨트 형상 단편의 폭 방향으로 두 개 측에서 결합부에 굴곡 컷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금구.
KR1020137030424A 2011-06-17 2012-06-14 단자 금구 KR101465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35491A JP5739744B2 (ja) 2011-06-17 2011-06-17 端子金具
JPJP-P-2011-135491 2011-06-17
PCT/JP2012/065290 WO2012173211A1 (ja) 2011-06-17 2012-06-14 端子金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434A true KR20140008434A (ko) 2014-01-21
KR101465381B1 KR101465381B1 (ko) 2014-11-26

Family

ID=4735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424A KR101465381B1 (ko) 2011-06-17 2012-06-14 단자 금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051307A1 (ko)
JP (1) JP5739744B2 (ko)
KR (1) KR101465381B1 (ko)
CN (1) CN103534880A (ko)
DE (1) DE112012002503T5 (ko)
WO (1) WO20121732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583B1 (ko) * 2015-12-30 2016-07-01 주식회사 씨케이텍 커넥터용 하우징과 이를 갖는 커넥터 및 커넥터용 하우징의 사출 금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9743B2 (ja) * 2011-06-17 2015-06-2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US9472885B2 (en) * 2014-12-08 2016-10-18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ow terminal insertion force
DE102015221937B4 (de) * 2015-11-09 2020-10-08 Robert Bosch Gmbh Rastelement eines Kontaktes mit nasenförmigem Vorsprung
KR102567021B1 (ko) 2016-08-23 2023-08-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JP2019153502A (ja) * 2018-03-05 2019-09-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4993U (ko) * 1977-09-02 1979-03-28
JPH0517951U (ja) * 1991-08-20 1993-03-05 株式会社カンセイ 電気接続子
FR2719163A1 (fr) * 1994-04-22 1995-10-27 Amp France Borne anti-corrosion par usure, destinée à recevoir une borne complémentaire.
JPH08321347A (ja) * 1995-05-26 1996-12-03 Yazaki Corp コネクタの端子組付構造
EP0762551B1 (en) * 1995-09-12 2002-10-16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with locking lance
FR2741204A1 (fr) * 1995-11-14 1997-05-16 Amp France Assemblage de connecteur electrique
JP3575583B2 (ja) * 1997-03-25 2004-10-1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
JP3283791B2 (ja) * 1997-06-12 2002-05-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00357555A (ja) * 1999-06-15 2000-12-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599175B2 (ja) * 2000-07-31 2004-12-08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02134206A (ja) * 2000-10-20 2002-05-10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3745634B2 (ja) * 2001-03-15 2006-02-1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JP4273681B2 (ja) * 2001-08-28 2009-06-03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04047171A (ja) * 2002-07-09 2004-02-12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DE102007040937B3 (de) * 2007-08-30 2009-01-15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Kontak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583B1 (ko) * 2015-12-30 2016-07-01 주식회사 씨케이텍 커넥터용 하우징과 이를 갖는 커넥터 및 커넥터용 하우징의 사출 금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381B1 (ko) 2014-11-26
US20140051307A1 (en) 2014-02-20
CN103534880A (zh) 2014-01-22
JP2013004363A (ja) 2013-01-07
WO2012173211A1 (ja) 2012-12-20
DE112012002503T5 (de) 2014-04-30
JP5739744B2 (ja)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381B1 (ko) 단자 금구
KR101517319B1 (ko) 단자 금구
JP6342708B2 (ja) コネクタと端子金具の接続構造
US8795007B2 (en) Terminal fitting
KR101121255B1 (ko) 탄성 접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암형 전기 접촉부
TWI559626B (zh) 無須在金屬外殼中形成大開孔而可輕易獲得所要的摩擦鎖定的插座連接器
EP2852004A1 (en) Terminal fitting
JP2011181330A (ja) 端子金具
JP5723133B2 (ja) 雌型端子金具
JPWO2011030712A1 (ja) 端子金具及びこの端子金具の組み立て方法
EP2833484A1 (en) Electric wire-to-substrate connector
JP4938800B2 (ja) 改善されたカバー接続を備えた爆管コネクタ
EP3879637A1 (en) Connector lock structure
JP6150053B2 (ja) コネクタ
JP6130236B2 (ja) 端子
CN108370112B (zh) 母电接头以及连接组装件
CN114122764B (zh) 端子零件及链式端子
JP2007141769A (ja) 端子金具および端子金具の製造方法
JP6143194B2 (ja) 雄端子金具
EP2575215A1 (en) Terminal fitting
JP4730266B2 (ja) 端子金具
JP5564277B2 (ja) 雌型端子金具
JP6211564B2 (ja) 端子及びコネクタ
US20240072457A1 (en) Terminal
JP5527229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