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875A - 터치 스크린을 갖는 의료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을 갖는 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875A
KR20140007875A KR1020137022656A KR20137022656A KR20140007875A KR 20140007875 A KR20140007875 A KR 20140007875A KR 1020137022656 A KR1020137022656 A KR 1020137022656A KR 20137022656 A KR20137022656 A KR 20137022656A KR 20140007875 A KR20140007875 A KR 20140007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medical device
piezoelectric element
display
piezo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893B1 (ko
Inventor
홀거 브륌러
울프강 뷔마이어
Original Assignee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치란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치란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치란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07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using an array of force sens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5Touch-screens; Virtual keyboard or keypads; Virtual buttons; Soft keys; Mouse tou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투석기계와 같은 의료장치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퍼레이터의 입력이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편리하고 신뢰할 수 있을 정도로 구성되도록 의료장치를 더 개발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장치는 터치 스크린 상의 손가락 터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2개의 중복 센서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 스크린의 적어도 서브 표면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복수의 추가적인 압전소자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서브 표면이 돌출, 함몰, 진동 또는 감지된 표면 거칠기의 변화에 의해 그 주위 표면과 다르며 상기 센서는 이것을 위해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장치는 원하는 조작 입력과 원하지 않는 조작 입력을 구별함과 함께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의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제한된 조작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계되어 있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갖는 의료장치{MEDICAL DEVICE WITH TOUCHSCREEN,AND METHOD}
본 발명은 전문적인 의료장치(technical medical de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1개의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혈액치료장치 및 적어도 1개의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혈액치료장치에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의 표시와 오퍼레이터의 입력 수신을 동시에 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touch sensitive display, 터치 스크린)를 구비한 전문적인 의료장치는 종래기술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일례로는, 프레제니우스 메디컬 케어(Fresenius Medicalcare)제의 혈액투석기계(Hemodialysis Mmachine)가 있다.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문적인 의료장치는 끊어짐이 없는 평탄면(flat unbroken surface)으로 인하여 유저(user)에게 편리성, 가변성 및 위생적인 유저 인터페이스(hygienic 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전문적인 의료장치용의 터치 스크린은 기본적으로 매끄러운 평탄면만을 제공하여 왔다. 오퍼레이터(operator)는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의 시각적인 디스플레이에 기초하여 지문이 예상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인식한다. 이 예상되는 영역이 터치되었는지의 촉각 인지(tactile acknowledgement)는 전혀 없었다. 이러한 촉각 피드백(tactile feedback)은, 조작(operation)이 촉각적인 힘의 인가를 필요로 하고 및/또는 조작이 액츄에이터 이동(actuator travel)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통상의 기계식 스위치에 의해 제공된다. 그 디자인으로 인한 이와 같은 기계식 스위치의 한 가지 단점은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표면을 통하여 자주 파손된다는 특성을 가져, 그 표면의 위생적인 세정이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기계식 스위치는 터치 스크린의 소프트웨어 제어식 스위칭 매트릭스(switching matrix)의 가변성(variability)을 제공하지 않으며, 터치 스크린 상의 가상 스위치(virtual switch)의 개수, 크기 및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에 관해서는 유연성(flexibility)을 제공한다.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안전성을 위해서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입력하여 표시함으로써 신뢰할 수 있고 확실하게 기능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의 입력 기능(input functionality)에 고장이 있는 경우에 중요한 정보를 위해, 예를 들면 환자의 치료를 안전하게 종료하기 위해 다른 입력 옵션(input option)을 제공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통한 입력 옵션의 중복 설계(redundant design)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설계는 예를 들면 추가적인 기계식 스위치 또는 버튼에 의해 가능하게 이루어졌다. 기계식 스위치에 관한 전술한 특성은 이 점에서 하나의 단점임이 입증되었다.
촉각 피드백을 갖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는 전화통신과 컴퓨터의 기술 분야에서 알려져 있고, 국제출원 공개번호 WO 2009/085060는 이러한 장치의 하나를 설명하고 있다.
촉각 피드백은, 유저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손가락을 대었을 때 유저에게 기계식 버튼의 촉감을 부여하도록 하기 위해 그러한 장치에 의해 얻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는, 그 장치가 기계식 키패드를 전혀 갖지 않고 그 대신에 각종의 휴대전화 또는 미니컴퓨터의 터치 스크린과 같은 터치 스크린만을 갖는 경우에 특히 편리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응용분야에 있어서는, 이용의 편리성이 주된 관심사이지만, 전문적인 안전성의 이점은 공지의 장치로는 촉각 피드백을 갖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달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안전성의 측면은 전문적인 의료장치와 주로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안전성과 조작 편리성이 증대되도록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문적인 의료장치를 개선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장치, 청구항 8의 특징을 갖는 방법 및 청구항 12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종속 청구항의 요지로 된다.
촉각 신호는 변형(deformation), 즉 어느 정도의 영구적인 또는 교대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전문적인 의료장치, 특히 적어도 1개의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그 터치 스크린이 터치 스크린을 누르는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2개의 중복 센서(redundant sensor)를 갖는 투석기계에 기초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중복 센서를 갖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여 양쪽의 센서에 의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위의 지문의 위치를 결정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에서의 정보의 디스플레이 및 입력 방법에 기초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1개의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여 그 터치 스크린에서 촉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문적인 의료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상의 지문의 위치를 결정하는 터치 스크린의 센서 중 적어도 1개는 복수의 압전소자로 이루어져 있다.
압전소자는 전기 전압을 인가하여 움직임을 실행하거나 힘을 인가하여 전기 전압을 발생시키는 압전 효과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힘센서(force sensor) 및 액츄에이터로서 압전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압전소자는 터치 스크린 상에 매트릭스 패턴(matrix pattern)으로 분산 배치하여도 좋고 적당한 컨트롤에 의한 국부해(local solution)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압전소자는 디스플레이의 모퉁이(corner) 또는 디스플레이 하부측에 강제 잠금방식(force-locked manner)으로 디스플레이에 연결되어도 좋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압전소자는 디스플레이의 특정 위치에 다수 배치되어도 좋고 다른 특정 위치에 개수가 감소된 상태로 배치되거나 전혀 존재하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촉각 신호의 향상된 해상도(resolution)는 압전소자의 전체 개수를 증대시킴이 없이 터치 스크린 상의 특정 위치에서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압전소자는 기본적으로 투광성이 있는 전극의 대향측면(opposite sides)에 기본적으로 투광성 압전층(piezoelectric layer)을 접촉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압전층의 표면과 그 하부측에의 복수의 전극은 규칙적인 간격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전체에 걸쳐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관점으로부터, 압전소자는, 압전층의 표면으로 뻗는 전극과 압전층의 하부측으로 뻗는 전극이 교차하고 그 사이에 압전재료가 위치됨으로써 형성된다.
압전층에 대하여 최상부에 위치되는 전극은 배선 패턴(line pattern), 바람직하게는 배선 폭에 상당하는 간격으로부터 등거리이고 또한 그 간격으로 서로 평행한 동일 폭을 갖는 배선 패턴을 형성한다. 압전층에 대하여 하부에 위치되는 전극 또한 마찬가지로 배열된다. 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쪽의 전극 레벨은 전극의 임의의 교차점이 압전소자의 위, 아래로 뻗는 상태로 균일한 격자(grid)를 가져, 개별적으로 제어 및/또는 판독될 수 있는 압전소자가 형성된다.
압전층의 하부측의 전극의 수에 압전층의 상부측의 전극의 수를 곱하면, 압전소자의 수가 산출된다.
특정의 압전소자는 압전측의 상부측의 1개의 전극과 그 하부측의 1개의 전극을 선택함으로써 제어 및/또는 판독될 수 있다. 압전층의 상부측의 전극과 하부측의 전극에 전압차를 가함으로써, 그 2개의 전극 사이의 압전재료는 변형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압전소자를 가로지르는 전압강하는 이러한 압전소자와 접촉하는 전극들에서 픽업(pick up)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개별적인 압전소자가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동시에 제어 및 판독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음이 판명되었다. 단일 전극은 한쪽에 있는 복수의 압전소자의 전위를 결정짓는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광투과성 전극,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형상(cuboid shape)으로 설계된 전극이 압전소자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전극의 각각은 그 자체의 제어 회선(control line)에 의해 제어 및/또는 판독될 수 있다. 압전층의 하부측은 광투과성 압전층의 표면 전체에 걸쳐 이어지고 단일의 제어 회선에 의해 전위를 제어 및/또는 판독할 수 있는 단일의 광투과성 전극을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전소자는 압전층의 상부측의 전극과 그 하부측의 공유 전극(shared electrode) 사이에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는 각각의 개별적인 압전소자를 개별적이고 동시적으로 제어 및 가독 가능하게 한다.
압전층의 상부측 전극의 표면은 사람의 손가락의 터치 표면(대략 1cm2)에 기초될 수 있다. 압전층의 상부측의 전극을 예를 들면, 바람직한 시각적 디스플레이(visual display)에 적합되는 형상과 크기로 개별적으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상의 특정의 위치에서 항상 나타나는 큰 조작면(operating surface)(예를 들면, "엔터(enter)")은 보다 큰 단일의 압전소자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 반면, 보다 작은 전극은 다른 위치에서 존재한다.
압전소자용 재료로서는, 베르리나이트(berlinite) 등의 천연 크리스탈, 사탕수수당(cane sugar), 석영, 로셸염(rochelle salt), 토파즈(topaz) 또는 투르말린(tourmaline), 갈륨 오르토인산염(gallium orthophosphate) 또는 란가사이트(langasite) 등의 합성 크리스탈, 세라믹 또는 폴리머가 사용되어도 좋다. 기본적으로는, 이를 위해 전압 인가시에 변형되는 임의의 재료가 사용되어도 좋다.
전극은 금속 또는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대체로 가시광선에 대해 투명한 산화인듐주석(indium tin oxide, ITO)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각 피드백을 갖는 터치 스크린의 실시형태에 대하여는 이후 투석기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한 실시형태가 한정됨이 없이 어떠한 전문적인 의료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분야의 숙련자에게 있어서는 자명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장치는 압력 인가에 의해 발생되는 각 압전소자의 전압을 판독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의 압전소자는 힘센서처럼 작동한다. 터치 스크린의 대응하는 위치에 대는 손가락의 압력은 이러한 방식으로 검출된다. 위치 분해능(position resolution)을 갖는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의 특성은 예를 들면, 기술적인 결함으로 인하여 제한되거나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어떻게든지 현존하는 장치에 추가하여 대안적인 중복 옵션(redundant option)이, 유저 입력을 위치 분해능으로 검출하는 가능성을 만들 수 있는 손가락의 압력으로 생성되는 압전소자의 전압을 판독함으로써 만들어져도 좋다.
터치 스크린에 대는 손가락의 위치를 확인하는 터치 스크린의 장치(이하, '터치 스크린 손가락 센서(touchscreen finger sensor)' 라고 함)의 신호를, 손가락의 압력이 터치 스크린에 접촉될 때마다 압전소자의 상응하는 전압과 비교함으로써 양쪽 센서 장치의 기능을 검사할 수도 있을 거라고 생각된다.
예를 들면, 위치 분해능을 갖는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의 기능이 결함이 있거나 제한되는 일이 있지만, 압전소자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 있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손가락으로 힘을 가하는 압전소자는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에 손가락을 눌러 전기전압을 생성한다. 터치 스크린의 손가락 센서의 신호와 압전소자의 신호를 비교하는 분석 및 제어장치는, 이 경우에 있어서는, 터치 스크린의 손가락 센서의 센서 신호의 부족(lack of sensor signals)을 검출하고, 그에 따라 결함 또는 오류 상황(error case)의 존재를 추측한다. 마찬가지로, 분석 및 제어장치가 터치 스크린의 손가락 센서의 신호를 검출하지만 압전소자 매트릭스의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압전소자에 수반되는 기능의 결함 및/또는 오류 상황이 검출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든, 분석 및 제어장치는 오퍼레이터를 위해 결함의 존재를 디스플레이하고 및/또는 투석기계의 다른 제어장치에 이러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제어 신호 및/또는 시각적, 촉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이어도 좋다. 결함이 있는 경우에는, 투석기계의 제어유닛은 예를 들면, 제어 방식으로 진행 중인 투석치료를 종료하여도 좋고, 또는 끝까지 그 투석치료를 계속하고 결함이 제거된 후에만 또 다른 치료를 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중복 입력 옵션(redundant input option)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투석기계에 추가적인 안전성을 제공한다. 이 중복 입력 옵션은 조작 중에 개수와 위치를 변경할 수 없는 중복 기계식 스위치보다 훨씬 더 유연하게 입력할 수 있게 해준다. 이 촉각 피드백을 갖는 터치 스크린의 유연성에 기인하여, 투석기계의 조작성(operability)은 오류 또는 결함이 있는 경우에도 어느 정도까지는 유지될 수 있다. 이는, 터치 스크린의 손가락 센서가 고장(failure)이 발생하였을 때의 경우에 있어서, 환자를 위해 상당히 개선한 것임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투석기계의 조작성은 중복 입력 옵션으로 인하여 제약 없이 지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진행 중인 투석치료를 전적으로 중단할 필요가 없어, 편리성과 안전성이 증대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여러 개의 손가락의 압력을 동시에 검출하기 위해 압전소자 매트릭스를 이용하여도 좋다. 종래에는, 멀티 터치(multitouch) 기능을 갖는 터치 스크린이 알려져 있는데, 이는 특수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기술(capacitive touchscreen technology)에 근거한 것이다.
통상의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경우, 유저의 손가락이 디스플레이 표면에 접근되면, 터치 스크린 상의 코팅(coating, 예를 들면 ITO의 코팅)으로 정전용량을 형성하는데, 이 코팅은 기본적으로 가시광선에 대해 투명하다. 내스크래칭성 필름(scrach-proof film) 또는 글래스 커버(glass cover)는 코팅의 마모를 방지하여 터치 스크린의 강성을 도모하기 위해 주로 도전성 코팅(conductive coating) 위에 부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필름 또는 글래스 커버는 플레이트 캐패시터(plate capacitor)용 유전체(dielectric)로서 기능하고, 이에 의해 그 중 1개의 플레이트는 도전성 코팅을 나타내며 다른 플레이트는 접근하는 손가락 또는 가해진 손가락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을 기능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은, 스크린을 터치하는 물체(object)가 사람의 손가락인 경우에 전하를 취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도전성 코팅의 모퉁이는 복수의 AC 전압원에 연결되어 있다. 터치 스크린을 터치할 때, 손가락과 도전성층(conductive layer)에 의해 형성되는 전류는 AC 전압원으로부터 도전성층과 캐패시터에 걸쳐 흐르게 된다. 다음으로, 각각의 AC 전압원으로부터 손가락의 접촉점까지의 경로는 전기저항을 형성하며, 그 크기는 코팅의 비도전율(specific conductivity)과 상기 경로의 길이에 의존한다. 이 전기저항은 상기 경로의 길이에 비례하는 전류 레벨을 산출하며, 이 전류 레벨은 분석회로에 의해 검출되어 손가락의 순간 위치(instantaneous position)에 할당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의 이와 같은 보편화되고 저렴한 디자인으로는 2개의 손가락의 터치 위치를 알아낼 수 없다. 그 이유는, 2개의 접촉점에서의 전류 신호가 터치 위치에 명확히 할당될 수 없기 때문이다. 종래에 멀티 터치 기능을 갖는 터치 스크린이 알려져 있더라도, 종래의 투석기계에는 멀티 터치 기능을 갖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추가적인 압전소자 층으로 인하여, 이러한 기능 또한 실행될 수 없다. 각 압전소자는 개별적으로 쿼리(query)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다른 압전소자 상에 손가락을 동시에 누르는 것 또한 검출 가능하다. 이는, 매개변수(parameter)의 상한과 하한을 간편하게 입력하기 위해 예를 들면, 2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값의 구간을 매기는데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상에서 2개의 손가락을 움직임으로써,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확대 또는 축소 표현(representation)이 손가락들의 움직임으로 트리거(trigger)될 수도 있다는 것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압전소자는 전기 제어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터치 스크린의 표면에 직각으로 움직임을 실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전기 제어 전압은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되어도 좋고 또는 시간 기간 동안 동일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의 부분들은 그 촉각 성질이 개별적으로 변화되어도 좋다. 이러한 변화는 기본적으로, 주위 영역과 비교하여 터치 스크린의 부분 영역의 함몰(recess) 또는 돌출(elevation), 부분 영역의 진동 및 주위 영역과 비교하여 터치 스크린의 부분 영역의 거칠기(roughness)(거침/평활)의 변화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의 부분 영역에 미치는 촉각 성질의 모든 변화는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을 적당히 설계함으로써 터치 스크린의 전체 영역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적인 DC전압은 매트릭스의 1개 이상의 압전소자에 인가되어도 좋은 반면, 압전소자는 일차원(one dimension)으로 확대(lengthening)되거나 축소(shortening)되고(인가된 DC전압의 극성에 따라) 이러한 효과는 DC전압이 인가되는 한 지속된다. 유저는 각각의 압전소자 상의 위치에 손가락을 놓아둠으로써 1개 이상의 압전소자의 이러한 확대 또는 축소를 함몰 또는 돌출로서 감지한다.
이와 같이, 입력 필드 등의 터치 스크린 상의 위치는 주위 영역에 대해 접촉하기 위한 돌출 영역(elevated area)으로 나타나는데, 터치 스크린 상에 만들어져도 좋다. 오퍼레이터가 터치하였을 때 불분명한 정보 입력으로 야기되는 터치 스크린의 부분 영역은 입력 필드(input field)로서 규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0-키 키패드(10-key keypad)는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래서, 기계식 키(mechanical key)의 임프레션(impression)은 표시된 각각의 숫자 위의 돌출 위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반면, 입력 필드들 사이의 분할라인(dividing lines)은 달리 돌출되어 있지 않다.
촉각 효과를 지원하고 기계식 키 또는 스위치를 모사하기 위해, 유저의 손가락이 돌출된 입력 필드와 접촉하게 되어 터치 스크린의 센서들에 의해 검출되고 나서, 분석 및 제어 장치가 상기 입력 필드를 형성하는 압전소자들을 제어함으로써 그 압전소자들이 함몰 또는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응하는 압전소자들의 제어전압은 접점 검출 후에 반전(reverse)되거나 중단된다. 이와 같은 제어전압의 극성의 반전(polarity reversal) 또는 중단은 갑자기 발생하여도 좋고 또는 좀더 서서히 진행되어도 좋다.
또한, 압전소자들에 걸친 전압이 제어상태에서 모니터링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의 압력에 기인한 기계적인 힘의 인가를 검출할 수 있다. 압전소자들에 대한 손가락의 압력이 크면 클수록, 압전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에 의한 제어전압의 변조(modulation)가 더 커진다. 실제로, 압전소자에 작용하는 힘에 기인하는 제어전압의 DC 전압 성분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전소자들은 힘센서와 액츄에이터로서 동시에 작동한다.
이러한 정보는 터치 스크린의 의도하지 않은 터치(unintentional touching)와 의도적인 유저 입력(intentional user input) 사이를 구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의심스러울 경우에, 터치 스크린의 의도하지 않은 터치는 터치 스크린의 센서들의 신호를 트리거(trigger)할 수 있을 것인 반면에, 조작 필드(operating field)의 각 압전소자에 걸친 전압은 신호를 트리거하지 않거나 약간만 변조될 수 있을 것이다. 의도적인 터치는 유저의 손가락에 의해 일정한 힘을 인가함으로써 발생되는데, 이러한 힘은 터치 스크린 센서들의 신호를 트리거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압전소자에 걸쳐 일정한 전압 변조도 일으키며, 이는 이미 정의된 한계값(limit vaule)보다 크다. 이 한계값을 초과할 때에는, 의도적인 입력이 검출되고, 그 후에 조작 필드가 앞서 설명한 방식대로 돌출 상태(elevated state)로부터 함몰 상태(recessed state)로 변화될 수 있다. 이것은, 일정한 힘의 인가가 유저 입력을 위해 필요하다는 것을 보장해준다. 또한, 이것은 현실적으로 기계식 스위치 또는 버튼의 거동을 모사(simulation)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의도하지 않은 유저 입력을 검출하여 오조작(faulty operation)을 방지하도록 투석기계에 부가적인 안전성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터치 스크린의 시각적인 디스플레이가 고장난 경우에도 압전소자들을 통한 조작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응하는 또 다른 입력 옵션을 통한 유저 입력, 예컨대 "디스플레이 결함"으로 기인하거나 적절한 센서, 예컨대 디스플레이의 배경 조명을 조정하고 그 배경 조명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제어유닛에 전송하는 감광성 성분(light-sensitive component)의 조회(inquiry)에 의해 터치 스크린의 시각적인 디스플레이가 결함을 갖는 경우에는, 압전소자들은 입력 및 출력 장치로서 동시에 이용된다는 사실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 표면은, 예를 들면 구별 가능한 촉각 성질에 따라 여러개의 부분 영역으로 세분화될 수도 있으므로, 이 부분 영역은 촉감에 따라 유저/오퍼레이터에 의해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유저에게 알려져 있고 및/또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제시되는 어떠한 동작은 각 부분 영역에 할당된다. 예를 들면, 유저의 손가락 또는 손으로 그 디스플레이를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의 부분 영역이 선택될 때에 그 부분 영역이 촉각 성질과 동작이 수행되는 것과 관련되는 것을 보여주는 문헌이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표면이 4개의 부분으로 세분화되고, 그 위치는 터치 스크린 상의 위치 및/또는 상응하는 촉각 성질에 의해 특징 지워진다는 것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하나의 부분 영역은 "돌출(elevated)" 및 "아래쪽(lower light)"의 촉각 성질에 의해 특징 지워져도 좋고 "투석치료 종료"의 동작이 이 부분 영역에 할당되어도 좋다. 다른 부분 영역은 마찬가지로 "진동" 및 "왼쪽 상단(ipper left)"의 촉각 성질에 의해 특징 지워져도 좋고 "투석치료 지속"의 동작과 연관되어도 좋다. 터치 스크린의 시각적인 디스플레이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투석기계를 작동시키는 사람(의사)의 판단으로 투석치료를 안전하게 종료하거나 지속하도록 하기 위해 투석기계의 적어도 제한된 조작성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터치 스크린의 시각적인 디스플레이에 장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투석기계의 적어도 감소된 조작성을 보장하도록 투석기계에 부가적인 안전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유저 입력을 위해 사용되는 조작 표면만이 돌출되도록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일정한 구간 내에서만 변화할 수 있는 숫자 값을 입력할 때에, 허용된 조작 필드(operating field)만이, 즉 그럴듯한 허용된 숫자들로 할당된 조작 필드만이 그 숫자들의 입력을 위하여 돌출되는 방식으로 입력을 설계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0∼50을 포함하는 숫자들의 구간 내에서만의 입력이 허용되 경우, 첫번째 숫자가 입력될 때에는, 0∼5의 숫자를 갖는 조작 필드가 돌출되고, 두번째 숫자가 입력될 때에는, 0∼9의 숫자 또는 0의 숫자(첫번째 숫자가 5인 경우)만을 갖는 조작 필드가 돌출된다. 허용된 조작 필드의 이러한 촉각 특성은 상응하는 시각적 디스플레이 및 청각적 신호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그래서, 허용되는 조작 필드는 허용되지 않는 조작 필드보다 다른 색상 또는 세기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청각적 신호는 입력 오류가 있는 경우에 출력될 수도 있다.
입력용이 아닌 조작 필드가 압전소자로 인하여 함몰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대신에, 입력용인 조작 필드가 압전소자에 의해 함몰되고 또한 입력용이 아닌 조작 필드가 돌출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용이 아닌 조작 필드 위에 손가락을 누름으로써 그 조작 필드는 오류가 있는 입력에 대해 촉감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주위를 끌도록 진동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진동은 각 압전소자를 AC 전압으로 제어함으로써 발생되므로, 압전소자는 제어 전압의 주파수에 의해 진동된다. 진동 속도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진동으로서 검출되도록 하기 위해 100Hz 미만, 30Hz 이상의 범위에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주파수와 가능한 진폭에서의 진동은 압전소자로 인하여 제한되고 실용상 이용 가능한 영역이 매우 작아, 가청음(audible sound) 방출로 이어지지는 않고 감지만 될 뿐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전소자를 고주파수에서 진동하는 방식으로 제어하여도 좋다. 고주파수, 바람직하게는 약 20kHz 범위의 주파수에서의 진동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거친 표면(rough surface)으로서 인식된다. 20kHz에서는, 이 진동과 관련된 음향 방출이 사람에게는 들리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의 조작 표면은 터치 스크린의 조작 표면 또는 다른 표면과는 현저하게 구별되어도 좋다.
또 다른 실시형태는 적어도 3개의 액츄에이터, 바람직하게는 4개, 특히 압전소자의 사용에 관한 것으로, 이 액츄에이터 등은 적어도 터치 스크린 아래의 모퉁이 또는 가장자리에 위치되고 그곳에 형태 끼워맞춤(form-fitting) 방식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이 설계된 경우, 디스플레이 전체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움직여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상의 손가락의 압력은 압전소자 전압 또는 대안적인 압력센서의 쿼리(query)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상의 손가락의 압력의 능동힘(active force)은 그 가장자리 또는 모퉁이에 위치된 힘센서에 위치 함수(function of position)로서 분포된다. 센서 신호들을 비교함으로써, 손가락 압력의 위치와 세기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압전소자의 모든 제어 및 판독 프로세스는 제한됨이 없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돌출된 진동 영역은, 상응하는 압전소자가 DC 성분을 갖는 AC 전압으로 제어되도록 실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반대 부호(opposite sign)를 갖는, DC 성분을 갖는 AC 전압으로 상응하는 압전소자를 제어하기 때문에, 함몰된 진동 표면이 가능하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숫자는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같은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투석기계로서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터치 스크린의 제1 실시형태로서 압전소자와 심볼 제어부(symbolic control)를 갖는 터치 스크린의 디자인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터치 스크린의 제2의 실시형태로서 복수의 압전소자와 심볼 제어부를 갖는 터치 스크린의 다른 디자인을 도시한 도면.
도 2c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터치 스크린의 제3 실시형태로서 액츄에이터형 지지부(actuator-type support)를 갖는 터치 스크린의 또 다른 디자인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a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서의 복수 전극을 갖는 단일 압전소자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추가적인 촉각 정보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문적인 의료장치에, 예를 들면 도 2a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촉각 피드백(100)을 갖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투석기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문적인 의료장치(110)의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투석기계(110)는 환자(도시하지 않음)의 혈액을 운반하는 동맥혈 라인(arterial blood line)(10)을 갖는 체외 혈액 회로(extracorporeal blood circuit)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혈액 펌프(102)는 체외 혈액 회로와 투석액 회로(dialysate circuit) 사이에 반투막 분리(separation)를 위한 반투막(semipermeable membrane)이 구비된 투석필터(103)를 통해 혈액을 수송한다. 처리된 혈액은 정맥 라인(venous line)(104)을 통하여 환자에게 되돌려진다. 투석액은 투석액 라인(105, 106)에 의해 투석필터(103)를 통해 펌핑되어, 투석필터(103)의 반투막을 통과하여 환자의 혈액과의 확산 물질 교환(diffusive mass exchange)이 이루어진다. 압력 구배(pressure gradient)가 환자의 투석필터의 혈액측으로부터 투석액측으로 추가 구축되면, 플라즈마 워터(plasma water)가 혈액으로부터 투석액 속으로 스며나오게 된다. 따라서, 환자의 혈액의 물양(water content)이 감소될 수 있다. 투석액은 혈액투석기계(110)에서 만들어지며 사용 후에는 폐기된다.
도 1의 투석기계는 혈액투석기계로서 설계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어떠한 제한 없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와 오퍼레이터 입력을 바꿔놓을 수 있는 모든 전문적인 의료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는 명확히 전적으로, 자동복막투석을 위한 장치는 물론 혈액 여과, 혈액 투석 여과, 혈장 교환술(plasmapheresis),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을 위한 장치 등의 혈액치료장치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투석 치료중에는, 투석기계 및/또는 정보, 예를 들면 선택된 투석 방법 또는 환자에 관한 정보에 광범위한 오퍼레이터 입력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또는 치료 과정 또한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 투석치료의 중요한 안전 특성은, 조작 입력이 항시 신뢰할 수 있고 확실하게 기능한다는 것이다. 환자가 알아채지 못하는 경우, 조작 옵션의 오동작이나 실수는 환자의 안전과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투석기계에 촉각 피드백을 갖는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기 때문에 조작 입력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훨씬 더 확실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터치 스크린의 손가락 압력센서가 고장난 경우에 조작 입력을 동작시킬 가능성은 지금까지는 기계식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이 아닌 기계 상에서의 조작 입력에 제한되었다. 이는 치료에 해로운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그 이유로는, 터치 스크린의 완전한 기능(full functionality)이 중복 방식(redundant manner)으로 기계식 스위치에 의해 모사(simulate)될 수 없어서, 매우 제한된 조작성(operability)이 여하튼간에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터치 스크린의 손가락 프린트 센서(fingerprint sensor)에 추가하여 유연하고 중복적인 오퍼레이터 입력을 실행하는 대안적인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장치의 적절한 디자인에 의해, 터치 스크린의 손가락 압력센서에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조작성이 손상되지 않아, 예정대로 치료를 지속할 수도 있다.
종래의 전문적인 의료장치를 이용한 치료는 터치 스크린의 손가락 압력센서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에 안전성 이유 때문에 종료 또는 중단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한 치료는 예정대로 지속하여 종료할 수 있고, 이는 치료의 편리성, 안전성 및 치료 효과의 상당한 개선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조작 표면에 압력을 가하는 힘이 분석되는 의도적이지 않은 터치로 인하여 오퍼레이터 입력이 의도적이든 의도적이 아니든 간에 그 오퍼레이터 입력을 검사하는 옵션을 제공한다. 조작 안전성과 신뢰성이 증가되고 이렇게 하여 오조작 입력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 일부 또는 전체에 촉각 성질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데이터 입력의 편리성이 상당히 증대된다. 이와 같이, 조작 표면을 주위 표면에 비하여 돌출함으로써, 단지 터치만 하는 조작 표면이 입력을 위해 적합한지를 촉각 피드백을 통해 오퍼레이터에게 신호를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안전성 이유 때문에 치료의 변화로 이어지지 않는 잘못된 조작 또는 입력은 이와 같이 촉각 방식으로 신호를 받을 수 있고, 이 촉각 방식은 단지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경고인 경우보다 오퍼레이터에 의해 더 용이하게 인지된다. 따라서,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조작 안전성은 본 발명에 따라 더욱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멀티터치 기능, 즉 터치 스크린 상에 동시에 다른 위치에서의 다중 터치를 인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간편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상의 디스플레이를 확대하는 것이나 손가락들의 적당한 이동을 통해 값 구간을 매기는 입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데이터 입력의 편리성과 디스플레이의 퀄리티(quality)를 상당히 증대시킨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문적인 의료장치에 대한 촉각 피드백을 구비한 터치 스크린(200a)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는 통상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1)는 바람직하게는,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기술로 설계되어 있다.
수평으로 뻗는 4개의 전극(203), 압전층(202) 및 수직으로 뻗는 전극(204)의 구성은 본 명세서에서는, 디스플레이(201) 위에 배치되어 있다.
수평 및 수직의 전극에는 2개의 제어장치(205, 207)를 통해 개별적으로 그리고 서로 독립적으로 전압이 공급되어도 좋고 및/또는 전극들의 전압을 판독할 수 있어도 좋다. 이를 위해, 전극(204)은 도전 접속부(conducting connection)(211)를 통해 제1 제어장치(207)에 접속되어 있고, 전극(203)은 도전 접속부(212)를 통해 제2 제어장치(205)에 접속되어 있다.
간소화를 위해, 도 2a는 몇 개의 전극만을 도시하고 있다. 실제로는, 전극폭은, 예를 들면 0.1mm 이하로 훨씬 작아도 좋다. 이는 전극 수를 증가시켜 압전층(202)의 해상도를 증가시킨다.
터치 스크린과 수평 및 수직의 전극들 모두는 제3 제어장치(210)를 통해 제어 및/또는 판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제어장치(210)는 제어 및 판독 라인(206, 208, 209)을 통해 터치 스크린(2010)과 2개의 제어장치(205, 207)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및 판독장치(206, 208, 209)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버스(databus)로서 구현되며 복수의 단일 운반 라인(carrying line)으로 이루어지지만 개별 라인으로도 가능하다.
압전소자는 압전층(202)의 일부가 교차 영역들 사이에 위치되는 상태로 수직 전극(204)과 수평 전극(203)과의 교차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압전소자를 제어하려고 하면, 대응하는 전극들은 전압을 공급받아야 한다. 전극들의 개별적인 전압의 전압차는 이러한 압전소자에 대한 제어 전압이다. 이와 같은 전압차의 극성에 따라, 압전소자는 2개의 전극의 방향으로 더 길어지거나 짧아지게 되도록 제어된다.
압전소자는 도 2a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동시에 개별적으로 제어 또는 판독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웃하는 압전소자의 행(row)은 동시에 제어되어 예를 들면, 증가된 동작 필드(operating field)을 생성할 수 있다.
압전소자가 힘센서로서 사용된다면, 암전소자의 개개의 행이 고속 시퀀스(rapid sequence)로 연속적으로 쿼리되는 경우 유리한 면이 있다. 따라서, 시간기간 t 동안에, 전극(203)들 중 1개와 전극(204) 모두 사이의 전압은 제어장치(205, 207, 201)에 의해 결정됨으로써, 이웃하는 전극(203)들과 전체 전극(204) 사이의 전압을 동시에 결정한다. 이와 같이, 전체 전극(203)과 전체 전극(204) 사이의 전압은 이어서 연속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시간 기간 t가 충분히 작은 상태에서 손가락의 압력에 의해 힘을 인가하기 위해 모든 압전소자의 반연속 모니터링(quasi-continuous monitoring)을 가능하게 한다. 모든 압전소자의 쿼리가 유저의 손가락의 가능한 움직임보다 더 신속하게 발생하는 경우, 시간 기간 t는 충분히 작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치(100a, 100b)(도 2b)와 장치(100c)(도 2a) 위에는 전기절연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막은 얇고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각 피드백에 의해 상부쪽으로 향하여 터치 스크린을 전기절연하는 성질에 더하여, 이러한 막은 또한 매끄러운 위생표면(hygienic surface)을 제공한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문적인 의료장치용의 촉각 피드백(200b)를 갖는 터치 스크린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통상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1)은, 바람직하게는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기술로 구현된다.
먼저, 광투과성 전극(213)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1) 위에 배치된다. 이는 압전층(202)과 압전층의 상부측에 있는 복수의 전극(222)(이 경우에는 정사각형)에 의해 형성되는 모든 압전소자에 대한 공유 전극을 이룬다. 표면 상의 각각의 전극은 제어장치(207)에 개개의 라인(211b)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간소화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2개의 압전소자에 대한 접속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나머지 접속은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공유 전극(213)은 제어 회선(20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어 회선 및 판독 라인(208, 209)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버스로서 구현되며 복수의 단일 수송 라인으로 이루어지지만 개별적인 라인으로도 가능하다.
제어장치(210)는 제1 제어장치(207)로부터 신호를 받아 제어 및 판독 라인(208)을 통해 제어장치(207)에 신호를 보낸다. 터치 스크린(201)은 제어 및 판독 라인(209)을 통해 제어장치(210)에 접속된다.
도 2b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압전소자는 개별적으로, 그리고 다른 압전소자 모두와 동시에 제어되어 쿼리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한 면이 있다.
촉각 피드백을 갖는 터치 스크린(100c)의 다른 실시형태는 도 2c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진 것과 같은 통상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1)는, 본 명세서에서는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기술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1)는 각 모퉁이에서 강제 잠금방식으로 압전소자(214, 215, 216, 271)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압전소자는 액츄에이터 및 힘센서로서 작동한다. 압전소자는 제어장치(221)에 의해 단일 라인(218, 219, 220, 221)을 통하여 제어되고 쿼리된다. 압전소자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전체는 압전소자(21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인다.
도 2c에 도시한 실시형태 타입에 있어서는, 촉각 성질에 의해 사용될 터치 스크린(201)의 부분 영역을 제공하는 것 대신에, 터치 스크린의 전체 영역만이 그러한 특성을 가져도 좋다. 그러나, 유저에게 국부 해상도(local resolution)를 갖는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손가락의 압력이 터치 스크린의 손가락 압력센서 및 제어유닛(221)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에 접촉되는 위치에서 돌출(또는 함몰 및/또는 진동)가 감지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판정이 바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판정이 그 경우(오퍼레이터가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영역을 누른 경우)에 해당한다면, 압전소자(214∼217)는 디스플레이 전체를 상승시키도록 제어된다. 다음으로, 조작하는 손가락이 함몰, 진동 또는 정상적인 유저 평면(user plane) 내의 위치가 할당되는 위치로 이동되면, 압전소자(214∼217)는, 디스플레이 전체가 그에 따라 움직이도록 제어된다. 유저는 정보의 입력을 위해 통상 1개의 손가락만을 이용하므로, 이는 위치 해상도를 갖는 터치 스크린의 촉각 성질의 형태로 촉각 피드백의 임프레션(impression)을 가져다준다.
본 실시형태는 또한 어떤 손가락의 압력을 검출하는 데 사용되어도 좋다. 조자작가 디스플레이 상의 어느 위치를 누르면, 그 힘은 압전소자 또는 디스플레이 상의 개개의 압전소자(214∼217)로부터 거리에 역비례하여 분포된다. 힘을 가함으로써 작동되는 개개의 압전소자의 전기 전압이 제어유닛(221)에 의해 측정되어 분석되면, 손가락 압력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더 나은 예시를 위해 개개의 압전소자(300)를 도시한 것으로, 이 압전소자는 전극(203A)과 전극(204A)과의 교차 및 도 2a와 유사하게 교차 표면들 사이에 위치된 압전층(202)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경계 영역(202A)은 압전층(202)의 상부 경계 영역의 상세 부분을 나타내는 것인 반면, 실선으로 도시한 경계 영역(202B)은 압전층(202)의 하부 경계 영역의 상세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상부 전극(203A)은 경계 영역(202A) 위로 뻗어 이 계면과 접촉됨으로써, 전기접점이 확립된다. 마찬가지로, 하부 전극(204A)은 경계 영역(202B) 위로 뻗어 이 계면과 접촉된다.
차동전압(differential voltage)은 2개의 전극(202A, 203A)을 통해 압전소자(100)에 인가되고, 예를 들면 외부 압력으로 인한 압전소자의 변형에 의해 그 압전소자(300)를 가로지르는 전압강하가 판독될 수 있다.
압전소자(300)는 도 3에 2개의 화살표(20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201A, 203A)의 방향으로 2개의 전극(202A, 203A)을 통해 인가된 차동전압에 의해 변형되기도 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필드(input field)(401)를 갖는 촉각 피드백(100)을 구비한 터치 스크린을 도시한 것이다. 입력 필드(401)는 예를 들면, 수개의 작용키를 갖는 10-키 키패드로서 구현되지만, 어떠한 표현(representation)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는 것은 해당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조작 필드(operating field)(402)("0," "1" 및 "enter")는 돌출되어 있는 것처럼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예를 들면, 검출될 수 있는 허용 입력(allowed input)을 촉감으로 특징지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조작 필드는 감지되는 진동 또는 거칠기(roughness)의 변화에 의해, 주위 영역과 비교하여 실감형 함몰(tangible depression)에 의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특징지어도 좋다.
도 4에 할당된 "0," "1" 및 "enter"의 키가 상승된 상태로 표시된 터치 스크린의 부분적인 영역의 특정 촉각 성질로 인하여, 한편으로는 오퍼레이터를 위한 입력의 편리성이 증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조작의 안전성이 증대된다. 이는 가능하지 않은 입력이 촉각 성질의 추가적인 기능에 의해서 특징지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해,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전문적인 의료장치를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실시형태들은 단순히 예시를 위해 제공한 것뿐이다. 본 발명의 특징을 추가적인 실시형태를 설계하는데 이용한다는 것은 해당분야의 숙련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Claims (19)

  1. 적어도 1개의 터치 스크린을 갖는 전문적인 의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 상의 손가락 압력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2개의 중복 센서(redundant sensor)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적인 의료장치는 혈액치료장치이고 특히 혈액 투석, 혈액 여과, 혈액 투석 여과, 혈장 교환술(plasma-pheresis) 또는 자동복막투석을 위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 중 적어도 1개는 복수의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변형(deformation)되도록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함몰(recess) 또는 돌출(elevation) 및/또는 터치 스크린의 표면에 수직한 진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적인 의료장치는 각각의 압전소자에 전기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및/또는 각각의 압전소자를 가로질러 전기 전압 강하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각각의 압전소자의 측정된 전압으로부터 터치 스크린 상의 어떠한 손가락 압력의 힘의 인가와 위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
  8. 적어도 1개의 터치 스크린을 갖는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촉각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적인 의료장치는 혈액치료장치이고 특히 혈액 투석, 혈액 여과, 혈액 투석 여과, 혈장 교환술(plasma-pheresis) 또는 자동복막투석을 위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신호는 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함몰 또는 돌출 및/또는 터치 스크린의 표면에 수직한 진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12. 적어도 1개의 터치 스크린을 갖는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손가락 압력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2개의 중복 센서(redundant sensor)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정보의 디스플레이 및 입력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손가락 압력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센서는 복수의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정보의 디스플레이 및 입력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손가락 압력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2개의 중복 센서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제어유닛이 제공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정보의 디스플레이 및 입력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하나의 센서신호만이 검출될 때에 오류 상황(fault case)이 있음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정보의 디스플레이 및 입력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센서신호가 너무 낮을 때에 의도하지 않은 손가락 압력(unintentional finger pressure)이 있었음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정보의 디스플레이 및 입력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시각적인 디스플레이가 작용하고 있는지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의 시각적인 디스플레이가 작용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경우에, 터치 스크린의 부분적인 영역들이, 다른 촉각 성질을 갖도록 압전소자들을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정보의 디스플레이 및 입력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부분적인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 상의 손가락 압력은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미리 정의된 작동(predefined action)을 트리거(trigger)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정보의 디스플레이 및 입력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터치 스크린을 동시에 내리누르는 여러개의 손가락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 상의 손가락 압력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2개의 중복 센서(redundant sensor)의 신호를 분석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적인 의료장치의 정보의 디스플레이 및 입력 방법.
KR1020137022656A 2011-02-18 2012-02-17 터치 스크린을 갖는 의료장치 KR101879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44316P 2011-02-18 2011-02-18
US61/444,316 2011-02-18
DE102011011769A DE102011011769A1 (de) 2011-02-18 2011-02-18 Medizintechnisches Gerät mit Touchscreen und Verfahren
DE102011011769.5 2011-02-18
PCT/EP2012/000708 WO2012110250A1 (de) 2011-02-18 2012-02-17 Medizinisches gerät mit touchscreen und verfah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875A true KR20140007875A (ko) 2014-01-20
KR101879893B1 KR101879893B1 (ko) 2018-07-18

Family

ID=4660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656A KR101879893B1 (ko) 2011-02-18 2012-02-17 터치 스크린을 갖는 의료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89597B2 (ko)
EP (1) EP2675496B1 (ko)
JP (1) JP6073253B2 (ko)
KR (1) KR101879893B1 (ko)
CN (1) CN103458936B (ko)
DE (1) DE102011011769A1 (ko)
WO (1) WO20121102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110A (ko) * 2017-04-06 2022-11-24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가변 전력 공급을 갖는 전자식 증기 제공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9443B2 (en) 2012-05-15 2018-10-02 Baxter International Inc. Home medical device systems and methods for therapy prescription and tracking, servicing and inventory
EP2627277B1 (en) 2010-10-12 2019-11-20 Smith & Nephew, Inc. Medical device
JP6049685B2 (ja) 2011-03-23 2016-12-21 ネクステージ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腹膜透析使い捨てユニット、コントローラ、腹膜透析システム
US9861733B2 (en) 2012-03-23 2018-01-09 Nxstage Medical Inc. Peritoneal dialysis systems, devices, and methods
KR101841060B1 (ko) * 2011-06-09 2018-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위치 검출 방법, 터치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5458196B2 (ja) * 2012-03-02 2014-04-02 株式会社 資生堂 塗布動作評価装置、塗布動作評価方法、及び塗布動作評価プログラム
US20130257744A1 (en) * 2012-03-29 2013-10-03 Intermec Technologies Corporation Piezoelectric tactile interface
US9383848B2 (en) * 2012-03-29 2016-07-05 Intermec Technologies Corporation Interleaved piezoelectric tactile interface
JP5634462B2 (ja) * 2012-08-31 2014-12-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DE102012020945B4 (de) * 2012-10-25 2019-10-10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System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Informationsanzeige und Bedienung von medizinischen Fluidmanagementgeräten
FR2999742B1 (fr) * 2012-12-13 2018-03-30 Dav Interface de commande tactile
AT513944A1 (de) * 2013-02-11 2014-08-15 Frequentis Ag Terminal für ein Verkehrsleitnetzwerk
US9737649B2 (en) 2013-03-14 2017-08-22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reduced pressure therapy
CN105492035B (zh) 2013-03-14 2019-06-14 史密夫和内修有限公司 用于应用减压治疗的系统和方法
RU2016108629A (ru) 2013-08-13 2017-09-19 Смит Энд Нефью, Инк.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ля применения терапии пониженным давлением
JP6289100B2 (ja) * 2014-01-06 2018-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01167B2 (en) 2014-10-22 2016-11-22 Synaptics Incorporated Scanned piezoelectric touch sensor device
CN204808275U (zh) * 2015-06-10 2015-11-25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压力感测装置
CN106325579B (zh) * 2015-07-10 2023-04-07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压力感测输入装置
DE102015112444A1 (de) 2015-07-30 2017-02-02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Bedien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Bedieneinrichtung
US10481645B2 (en) 2015-09-11 2019-11-19 Lucan Patent Holdco, LLC Secondary gesture input mechanism for touchscreen devices
DE102015013627A1 (de) * 2015-10-20 2017-04-20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Blutbehandlungsgerät und Verfahren zur Erstellung einer Verschreibung
JP6394572B2 (ja) * 2015-11-18 2018-09-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画像処理装置、報知方法
DE102015122347A1 (de) 2015-12-21 2017-06-22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Sensorgesteuerte Displayausgabe für Dialysemaschinen
DE102016105199A1 (de) 2016-03-21 2017-09-21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Entferntes Steuern von Meldungen für ein Dialysegerät
DE102016111971A1 (de) 2016-06-30 2018-01-04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Dediziertes Fernsteuern von mehreren Dialysegeräten
USD835648S1 (en) 2016-10-27 2018-12-11 Smith & Nephew,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therapy device
KR20180062851A (ko) * 2016-12-01 2018-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DE102016124592A1 (de) 2016-12-16 2018-06-21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Sensor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Sensoreinrichtung
CN108319886B (zh) * 2017-01-17 2020-07-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指纹识别方法及装置
US11678445B2 (en) 2017-01-25 2023-06-13 Apple Inc. Spatial composites
KR20190130140A (ko) 2017-03-29 2019-11-21 애플 인크. 통합형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갖는 디바이스
JP6991791B2 (ja) * 2017-08-25 2022-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複合センサ
JP7110570B2 (ja) * 2017-09-25 2022-08-02 Tdk株式会社 振動ユニット
US10915151B2 (en) 2017-09-29 2021-02-09 Apple Inc. Multi-part device enclosure
EP3694580A1 (en) * 2017-10-10 2020-08-19 Sanofi Trigger arrangement for an infusion device
KR102440291B1 (ko) 2017-11-15 2022-09-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 제어방법
CA3092575A1 (en) 2018-02-28 2019-09-06 Nxstage Medical, Inc. Fluid preparation and treatment devices, methods, and systems
DE102018108941A1 (de) 2018-04-16 2019-10-17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Video-gestützte Aufrüstung von Dialysemaschinen
US11258163B2 (en) 2018-08-30 2022-02-22 Apple Inc. Housing and antenna architecture for mobile device
US10705570B2 (en) 2018-08-30 2020-07-0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ousing with integrated antenna
CN114399013A (zh) 2019-04-17 2022-04-26 苹果公司 无线可定位标签
DE102019003997A1 (de) * 2019-06-07 2020-12-10 Drägerwerk AG & Co. KGaA Eingabe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elektromedizinischen Geräts
DE102019121843A1 (de) 2019-08-13 2021-02-18 B.Braun Avitum Ag Interface für ein medizinisches Gerät mit einem adaptiven Betätigungssensor
US10942602B1 (en) 2019-10-30 2021-03-09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Electronic device with finger touch detection and related methods
CN113439886B (zh) * 2020-03-28 2023-03-14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电子烟的控制方法和装置
TWI737428B (zh) * 2020-07-31 2021-08-21 國家中山科學研究院 血液透析模擬系統、方法及其模擬裝置
JP2023547706A (ja) 2020-11-10 2023-11-13 サノフイ 薬物送達デバイスまたは薬物送達アドオンデバイスのタッチセンサ
US11774940B2 (en) 2021-03-29 2023-10-03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Redundant touchless inputs for autom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35Y2 (ko) * 1986-05-20 1993-02-01
JPH03127218A (ja) * 1989-10-13 1991-05-30 Oki Electric Ind Co Ltd 情報入力装置
JPH0457117A (ja) * 1990-06-27 1992-02-24 Toshiba Corp タッチ操作式入力装置
WO1995015521A2 (en) * 1993-11-29 1995-06-08 Perception, Inc. Pc based ultrasound device with virtual control user interface
US5788851A (en) * 1995-02-13 1998-08-04 Aksys, Ltd.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 of medical instruments, such as dialysis machines
US5818429A (en) 1995-09-06 1998-10-06 Canon Kabushiki Kaisha Coordinates input apparatus and its method
DE19849787C1 (de) 1998-10-28 2000-02-24 Fresenius Medical Care De Gmbh Blutbehandlungsgerät
US6825833B2 (en) 2001-11-30 2004-11-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 touch on a capacitive touch screen
DE10323843A1 (de) 2003-05-23 2004-12-23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Blutbehandlungsgerät
JP2006243812A (ja) * 2005-02-28 2006-09-14 Kyocera Mita Corp タッチパネル並びに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入力装置
JP4799237B2 (ja) * 2006-03-27 2011-10-26 三洋電機株式会社 変位検出センサ、変位検出装置及び端末装置
CN101957684B (zh) * 2006-04-17 2013-05-29 京瓷株式会社 带有显示功能的坐标输入装置
FR2903207B1 (fr) 2006-06-28 2008-11-07 Jazzmutant Soc Par Actions Sim Capteur tactile multipoint a matrice active
WO2008010004A1 (en) * 2006-07-14 2008-01-24 Gambro Lundia Ab Blood processing apparatus
EP2062119A4 (en) 2006-09-09 2012-07-11 Origin Inc F INTEGRATED PRESSURE-SENSITIVE LENS ASSEMBLY
US20090002328A1 (en) * 2007-06-26 2009-01-01 Immersion Corporation, A Delawar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touch tactile touch panel actuator mechanisms
DE102007039609A1 (de) * 2007-08-22 2009-02-26 Siemens Ag Eingabeeinrichtung für sicherheitsgerichtete Eingaben, basierend auf Touchscreentechnologien
US8517990B2 (en) * 2007-12-18 2013-08-27 Hospira, Inc. User interface improvements for medical devices
US9857872B2 (en) 2007-12-31 2018-01-02 Apple Inc. Multi-touch display screen with localized tactile feedback
US8692777B2 (en) 2008-02-08 2014-04-08 Apple Inc. Method for rapidly testing capacitance sensing array fault conditions using a floating conductor
CN102016768B (zh) 2008-02-28 2014-11-19 3M创新有限公司 具有变化的薄层电阻的触屏传感器
US7988849B2 (en) 2008-06-03 2011-08-02 Baxter International Inc. Customizable personal dialysis device having ease of use and therapy enhancement features
DE102008031660A1 (de) * 2008-07-04 2010-01-07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r Peritonealdialyse
DE102008058568A1 (de) 2008-11-21 2010-05-2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Haptische Bedieneinrichtung
TWI381043B (zh) 2008-12-12 2013-01-01 Ghitron Technology Co Ltd Ion dielectric type touch sensor and device thereof
EP2202619A1 (en) * 2008-12-23 2010-06-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actile touch-sensitive inpu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00236843A1 (en) * 2009-03-20 2010-09-2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ata input device
US8730181B1 (en) * 2009-05-27 2014-05-20 Google Inc. Tactile guidance system for touch screen interaction
JP2010272143A (ja) * 2010-08-27 2010-12-02 Elo Touchsystems Inc 投影型静電容量方式センサおよび感圧タッチセンサを用いたデュアルセンサタッチスクリーン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0-504988호(2000.04.25.)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110A (ko) * 2017-04-06 2022-11-24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가변 전력 공급을 갖는 전자식 증기 제공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58936B (zh) 2016-10-05
WO2012110250A1 (de) 2012-08-23
EP2675496A1 (de) 2013-12-25
US9189597B2 (en) 2015-11-17
EP2675496B1 (de) 2018-06-27
CN103458936A (zh) 2013-12-18
JP2014512879A (ja) 2014-05-29
DE102011011769A1 (de) 2012-08-23
US20120212434A1 (en) 2012-08-23
JP6073253B2 (ja) 2017-02-01
KR101879893B1 (ko)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893B1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의료장치
KR101432988B1 (ko) 지문 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JP5536809B2 (ja) 感圧タッチ式制御装置
US8120588B2 (en) Sensor assembly and display including a sensor assembly
JP5536808B2 (ja) 一体型タッチ式制御装置
US20210200319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with feedback to perceive presence and activation of an object
KR101474733B1 (ko) 개선된 패턴 구조를 갖는 지문 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US10908698B2 (en) User interfaces for patient care devices
KR20180077394A (ko) 터치 센서,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터치 센서의 구동 방법
EP3179349A1 (en) Touch screen appliance display having a coupled physical element
CN106095160A (zh) 压力传感器及压力触控面板
JP2003173238A (ja) タッチセンサおよびタッチセンサ付き表示装置
JP2018101281A (ja) タッチ検出装置
JP2022545637A (ja) 適応性作動センサを有する医療装置のためのインターフェイス
JP7011159B2 (ja) 容量検出回路及び静電容量センサ装置
KR20170048160A (ko) 압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 입력 장치
TWI543050B (zh) 觸控感測和回饋裝置與方法
JP2019194833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6328592B2 (ja) 抵抗膜式タッチパネル
JP2011113489A (ja) 非接触型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3792410B2 (ja) タッチパネル装置
KR20200081982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오디오-촉감 멀티 피드백 유닛
WO2017107201A1 (zh) 一种3d触摸屏及触摸膜结构
TW201140416A (en) Touch point sensing structure and sensing method of resistive touch panel
JP2005149403A (ja) 接触位置検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