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724A -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724A
KR20130143724A KR1020137028152A KR20137028152A KR20130143724A KR 20130143724 A KR20130143724 A KR 20130143724A KR 1020137028152 A KR1020137028152 A KR 1020137028152A KR 20137028152 A KR20137028152 A KR 20137028152A KR 20130143724 A KR20130143724 A KR 20130143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levator car
elevator
error
erro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7641B1 (ko
Inventor
마사히코 고케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43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66B1/42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separate from the main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66B11/0213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 B66B11/022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with changeable inter-deck di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66B1/42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separate from the main drive
    • B66B1/425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separate from the main drive adapted for multi-deck cars in a single ca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상하 엘리베이터 칸 각각의 착상 오차의 레벨 상태에 따라, 주프레임, 상하 엘리베이터 칸 또는 그 양방 중 어느 것을 움직이게 할지를 선택함으로써,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오차 레벨을 조정하여 단차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착상 오차 레벨 중 적어도 일방이 문턱값 이상인지 여부를 비교하여, 문턱값 이상이라 판정된 경우에, 착상 오차 레벨의 보정을 실시하는 복수의 조건에 상하 2단의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오차 레벨을 각각 순차로 적용시켜서 연산하고, 연산 수단의 연산 결과에 의하여 복수의 조건 가운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는 소정의 조건에 대응하여 주구동 장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 또는 주구동 장치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의 양방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할지를 선택한다.

Description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DOUBLE DECK ELEVATOR}
본 발명은 상 엘리베이터 칸과 하 엘리베이터 칸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엘리베이터 칸 간 조정 기구를 가지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빌딩의 고층, 대용량화가 진행되어 빌딩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도 다수의 승객을 한번에 옮기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설치 대수를 늘리면 빌딩의 플로어 면적이 줄어들어 버리기 때문에, 원 샤프트로 다수의 사람을 수송할 수 있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가 특히 메인 플로어에서 고층으로 직통하는 셔틀 엘리베이터 등에 적용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플로어와 고층에서는 일반적으로 층상 간의 높이가 상이한 경우가 많아, 층상 간을 조정할 수 있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가 제안되어 있다.
층간 조정 가능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종래 기술로서는 주프레임 안에 상하 엘리베이터 칸이 설치되고, 이것에 로프를 감아 걸어 엘리베이터 칸 안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상하의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상반(相反) 방향으로 이동시켜 층간 조정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엘리베이터 칸이 소정의 층상에 도착하여 정지한 후에 승객의 승강에 의하여 발생한 엘리베이터 칸 바닥과 승강장과의 사이의 착상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칸 내의 부하율의 변화량을 연산하고, 그 값에 기초하여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엘리베이터 칸 간격 조정 장치로 조정하는 방법으로 상하 엘리베이터 칸 동시에 바닥 맞춤 동작을 실시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1] 일본 특개 2007-331871호 공보(단락 0024, 0025 및 도 1)
[특허문헌2] 일본 특개 2002-338154호 공보(단락 0027~0029 및 도 2)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층간 조정 가능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는 상하 엘리베이터 칸이 연동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착상(着床) 레벨 오차를 일으키기 쉽고, 착상 시나, 착상 후에 승객의 승강이 있었을 경우에 단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2에 대하여는, 층상에 도착하였을 때의 승객의 승강에 의하여 발생한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오차 레벨은, 역방향으로 대략 동일하다는 것을 전제로 엘리베이터 칸 간격 조정 장치로 상하 엘리베이터 칸 동시에 바닥 맞춤 동작을 실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엘리베이터 칸 바닥 밑에 설치된 방진 고무의 영향으로 상 엘리베이터 칸과 하 엘리베이터 칸이 같은 방향으로 착상 오차를 일으키거나,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오차 레벨이 다른 경우가 있어, 상하 엘리베이터 칸이 연동하여 동작하는 시스템에서는,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바닥 레벨을 제로로 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 발명은 상하 엘리베이터 칸 각각의 착상 오차의 레벨 상태에 따라서, 주프레임, 상하 엘리베이터 칸, 또는 그 양방 중 어느 것을 움직이게 할지를 선택함으로써,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오차 레벨을 조정하여 단차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건물의 승강로를 승강하는 주프레임을 구동하는 주구동 장치와, 주프레임의 내부에 배설한 상하 2단의 엘리베이터 칸과, 주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됨과 아울러, 상하 2단의 엘리베이터 칸을 각각 주프레임에 대하여 매다는 로프가 감아 걸리는 위치 조정용 구동 시브를 가지고, 위치 조정용 구동 시브를 회전시켜서 엘리베이터 칸을 주프레임 내에서 서로 상반되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엘리베이터 칸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와, 엘리베이터 칸의 각각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착상 오차 레벨의 적어도 일방이, 미리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착상 오차 레벨의 보정을 실시할지 여부의 기준이 되는 착상 오차 레벨의 문턱값 이상인지를 비교하여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판정 수단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착상 오차 레벨의 적어도 일방이 문턱값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착상 오차 레벨의 보정을 실시하는 복수의 조건에 상하 2단의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오차 레벨을 각각 순차로 적용시켜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연산 수단의 연산 결과에 의하여 복수의 조건 가운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는 소정의 조건에 대응하여 주구동 장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 또는 주구동 장치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의 양방 중 어느 것을 구동할지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발명에 관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 따르면, 상하 엘리베이터 칸 각각의 착상 오차의 레벨 상태에 따라, 주프레임, 상하 엘리베이터 칸 또는 그 양방 중 어느 것을 움직이게 할지를 선택함으로써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오차 레벨을 조정하여 단차를 작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바닥 맞춤 제어 장치의 기능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주구동 장치로 주프레임을 동작시켜서 바닥 맞춤을 실시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로 상하 엘리베이터 칸을 동작시켜서 바닥 맞춤을 실시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주구동 장치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로 바닥 맞춤을 실시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주구동 장치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로 바닥 맞춤을 실시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바닥 맞춤 제어 장치의 기능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실시형태 1.
이하,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정상(頂上)부에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장치(50)을 구동하기 위한 주구동 장치(20)가 주구동 시브(21)와 연결되어서 마련되어 있다. 또, 주구동 장치(20)의 부근에는 엘리베이터 칸 장치(50)와 균형추(25)가 접촉하지 않기 위한 디플렉션 풀리(deflection pulley)(22)가 배치되어 있다. 주구동 시브(21) 및 디플렉션 풀리(22)에는 복수 개의 로프를 묶어서 이루어지는 메인 로프(23)가 감겨서 걸려 있으며, 메인 로프(23)의 일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장치(50)가 매달려 있는 것과 아울러, 메인 로프(23)의 타단부에는 균형추(25)가 매달려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장치(50) 및 균형추(25)는 메인 로프(23)에 의하여 1:1 로핑 방식(roping arrangement)으로 매달려 있어 주구동 장치(20)의 구동력에 의하여 승강로 안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한다. 여기서, 1:1로핑 방식이란, 메인 로프(23)의 속도와 엘리베이터 칸 장치(50)의 속도의 비가 1:1이 되는 로프 방식을 말한다.
엘리베이터 칸 장치(50)의 주프레임(24)은 한 쌍의 세로 프레임(vertical beam)(1), 탑빔(上梁, top beam)(2), 미들빔(中間梁, middle beam)(4), 버텀빔(下梁, bottom beam)(3), 한 쌍의 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 및 한 쌍의 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을 가지고 있다. 탑빔(2)은 세로빔(1)의 상단부 사이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미들빔(4)은 한 쌍의 세로빔(1)의 중간부 사이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버텀빔(3)은 세로빔(1)의 하단부 사이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은 상 엘리베이터 칸(26)의 주프레임(2)에 대한 상대적인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고, 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은 하 엘리베이터 칸(28)의 주프레임(2)에 대한 상대적인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며, 공히 주프레임(24)의 내측에 세로 프레임(1)과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다.
주프레임(24)은 상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방의 영역, 즉 상 프레임(2)과 미들빔(4)과의 사이에는 상 엘리베이터 칸(26)이 배설되어 있고, 하방의 영역 즉 미들빔(4)과 버텀빔(3)과의 사이에는 하 엘리베이터 칸(28)이 배설되어 있다. 상 엘리베이터 칸(26)은 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하 엘리베이터 칸(28)은 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 엘리베이터 칸(26) 및 하 엘리베이터 칸(28)에는,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을 매달기 위한 서스펜딩 풀리(suspending pulley)(27, 29)를 하부에 가지고 있고, 서스펜딩 풀리에는 상하 2단의 엘리베이터 칸을 각각 상기 주프레임에 대하여 매다는 복수 개의 로프(30, 33)가 감겨져 있다. 상 엘리베이터 칸의 로프(30)의 일단은 주프레임 상부의 탑빔(2)에 마련된 고정 부재(31)로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의 위치 조정용 구동 시브(32)에 감겨져 있다. 마찬가지로, 하 엘리베이터 칸의 로프(33)의 일단은 주프레임 중간부에 마련된 고정 부재(34)로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의 위치 조정용 구동 시브(32)에 감겨져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는 주프레임(24)의 상부로서 탑빔(2)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 엘리베이터 칸(26) 및 하 엘리베이터 칸(28)을 주프레임(24) 내에서 서로 상반되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양자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다. 또,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는 위치 조정용 구동 시브(32)를 가지고 있고, 위치 조정용 구동 시브(32)의 회전축이 상 엘리베이터 칸(26)의 폭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 엘리베이터 칸 로프(30)와 하 엘리베이터 칸 로프(33)는 한 개로 연결된 로프이며, 상 엘리베이터 칸의 로프(30)의 타단과 하 엘리베이터 칸의 로프(33)의 타단이 연결되어서, 위치 조정용 구동 시브(32)에 예를 들면 약 한 바퀴 반 감겨져 있다. 또한, 상하의 엘리베이터 칸은 2:1 로핑 방식으로 매달려 있으며,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연동하여 상하 엘리베이터 칸이 동작한다. 2:1 로핑 방식이란, 메인 로프(23)의 속도와 엘리베이터 칸 장치(50)의 속도의 비가 2:1이 되는 로프 방식을 말한다. 또한, 상 엘리베이터 칸의 로프(30)와, 하 엘리베이터 칸의 로프(33)를 별개의 로프로 구성하여도 좋으며, 그 경우에 상 엘리베이터 칸의 로프(30)와 하 엘리베이터 칸의 로프(33)의 위치 조정용 구동 시브(32)에 감는 방향을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하여, 타단을 각각 미들빔(4)의 상부에 고정하면 된다.
‘35’는 상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 ‘36’은 하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이며. 엘리베이터 칸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하 엘리베이터 칸(36, 38)에는 착상 시 혹은 착상 후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착상 오차를 검지하는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37’은 상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상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이며, 승강로에 설치된 플레이트(38)와의 상대 위치를 검지하여 착상 오차 레벨(41)을 검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 엘리베이터 칸에도 하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39)가 있으며, 승강로에 설치된 플레이트(40)와의 위치를 검지하여 하 엘리베이터 칸의 출입구의 착상 오차 레벨(42)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주프레임(24)의 상부에는 상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37) 및 하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39)에서 검출된 착상 오차 레벨(41) 및 착상 오차 레벨(42)에 기초하여, 주구동 장치(20),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 혹은 그 양방에 대하여 바닥 맞춤 운전의 지령을 전송하는, 바닥 맞춤 제어 장치(1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6’은 연속하는 상하층의 층상 간 거리를 가리킨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장치(50)(주프레임(24)) 및 균형추(25)는 주구동 장치(20)의 구동력에 의하여 승강로 안을 승강한다. 상 엘리베이터 칸(26) 및 하 엘리베이터 칸(28)은 상하로 인접한 승강장층에 동시에 착상되지만, 건물의 층상 간격은 반드시 일정하지는 않고, 층에 따라서 상이한 경우가 있기 따문에, 이와 같은 경우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에 의하여 상 엘리베이터 칸(26) 및 하 엘리베이터 칸(28)이 주프레임(2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하여 양자의 간격이 층상 간격에 따라서 조정된다. 즉, 상 엘리베이터 칸(26)이 하강하면 하 엘리베이터 칸(28)이 상승하고, 양자의 간격은 축소된다. 또, 상 엘리베이터 칸(26)이 상승하면 하 엘리베이터 칸(28)이 하강하고, 양자의 간격은 확대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에 의한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량의 절대값은 대략 동일해진다. 통상, 이동하는 층상의 폭은 미리 기억되어 있으며, 도착하기 전에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간격을 조정하고 나서 주프레임(24)이 그 층상으로 이동한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바닥 맞춤 제어 장치의 기능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상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37) 및 하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39)는 상하 엘리베이터 칸(36, 38)에 각각 마련된 착상 오차 레벨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이다. 승강로에 설치된 플레이트(38)의 위치와 상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37)의 위치가 일치한 때에 착상 오차 레벨이 0이 되도록 플레이트(38)의 위치가 정해져 있다. 마찬가지로, 플레이트(40)의 위치와 하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39)의 위치가 일치한 때에 착상 오차 레벨이 0이 되도록 플레이트(40)의 위치가 정해져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이 기준 위치보다 상방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를 양, 하방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를 음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한다.
주프레임(24)의 상부에 마련된 바닥 맞춤 제어 장치(12)는 상하 엘리베이터 칸(26, 28)과 승강장과의 사이에 발생한 단차를 문턱값 이내 혹은 0이 되도록 상하 엘리베이터 칸(26, 28)의 조정을 실시하여 바닥 맞춤, 즉 착상 오차 레벨의 보정을 실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바닥 맞춤 제어 장치(12)는 착상 오차 레벨 인식·판정 수단(7), 조건식 연산 수단(8), 기억 수단(9), 바닥 맞춤 운전 선택·연산 수단(10), 및 바닥 맞춤 운전 지령 수단(11)으로 구성된다.
착상 오차 레벨 인식·판정 수단(7)(판정 수단)은 상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37) 및 하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39)에서 검출한 착상 오차 레벨(41, 42)을 인식하여, 상 엘리베이터 칸(26) 혹은 하 엘리베이터 칸(28)의 착상 오차 레벨이, 바닥 맞춤을 실시할지 여부의 기준이 되는 상기 착상 오차 레벨의 문턱값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것이다. 또, 기억 수단(9)은, 착상 오차 레벨 인식·판정 수단(7)으로 상 엘리베이터 칸(26) 혹은 하 엘리베이터 칸(28)의 착상 오차 레벨이 문턱값 이상인지를 판정할 때에 비교하는 문턱값을 미리 기억하고, 또한, 주구동 장치(20),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 혹은 그 양방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할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식, 및 바닥 맞춤량을 결정하는 수식을 기억하는 것이다. 조건식 연산 수단(8)(연산 수단)은, 착상 오차 레벨 인식·판정 수단(7)에서 적어도 상하 엘리베이터 칸(26, 28) 중 어느 것이 문턱값 이상의 착상 오차 레벨인 경우의 상하 엘리베이터 칸(26, 28)의 착상 오차 레벨을, 기억 수단(9)에 기억된 복수의 조건식에 순차로 적용시켜서 연산하는 것이다. 바닥 맞춤 운전 선택·연산 수단(10)(선택 수단)은, 조건식 연산 수단(8)의 연산 결과에 의하여 복수의 조건식 가운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였을 경우에, 그 소정의 조건에 대응하여 주구동 장치(20),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 혹은 그 양방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할지를 선택함과 아울러, 기억 수단(9)에 기억된 바닥 맞춤량을 결정하는 수식에 기초하여 주구동 장치(20),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 혹은 그 양방 중 어느 하나를 몇 mm 이동시킬 것인지를 연산한다. 바닥 맞춤 운전 지령 수단(11)은 바닥 맞춤 운전 선택·연산 수단(10)의 판정·연산 결과에 따라서 주구동 장치(20),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 혹은 그 양방에 구동 지령을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의 실시형태 1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착상 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장치(50)가 승강장 도착하기 전에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간격을 조정하고 나서 주프레임(24)이 그 층상으로 이동한다. 그렇지만, 엘리베이터 칸 장치(50)가 정지하고, 승객이 승강함으로써 상 엘리베이터 칸(26)과 승강장, 혹은 하 엘리베이터 칸(28)과 승강장과의 사이에 착상 오차가 발생한다. 이때, 상 엘리베이터 칸(26)과 하 엘리베이터 칸에 발생하는 착상 오차는, 승객의 부하에 의한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바닥밑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 고무의 휘어짐의 영향이나, 승객의 부하에 의한 상하 엘리베이터 칸 로프(30, 33)의 일시적인 신장의 영향 등에 의하여, 같은 방향으로도, 역방향으로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도 1~도 3에 있어서, 상 엘리베이터 칸(26)의 착상 후에 승객이 승강하였을 때에 발생한 출입구의 착상 오차 레벨(41)을 상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37)가 검출한다. 마찬가지로, 하 엘리베이터 칸(28)의 착상 후에 승객이 승강하였을 때에 발생한 하 엘리베이터 칸의 출입구의 착상 오차 레벨(42)을 하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39)가 검출한다. 그리고, 착상 오차 레벨 인식·판정 수단(7)은 상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37) 및 하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39)로부터 입력된 착상 오차 레벨(41, 42)을 인식한다. 또, 착상 오차 레벨 인식·판정 수단(7)은 기억 수단(9)에 기억된 문턱값과 착상 오차 레벨(41, 42)을 비교하여, 상 엘리베이터 칸(26) 혹은 하 엘리베이터 칸(28) 중 적어도 일방이 문턱값 이상인지를 판정한다(S101). 문턱값 이상인 경우에는 S102 이후로 진행하고, 기억 수단(9)에 기억된 복수의 조건식에 상하 2단의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오차 레벨을 순차로 적용시켜서 연산한다. 한편, 문턱값 미만이면 이후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
S102에서는 조건식 연산 수단(8)이 기억 수단(9)에 기억된 착상 오차의 조건식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1) -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2 ≤ 문턱값에 착상 오차 레벨(41, 42)을 적용시켜, 조건식이 성립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조건식이 성립한 경우에는 S106으로 진행한다. 반대로 조건식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S103으로 진행한다.
S106에서는 조건식 연산 수단(8)이 판단한 조건식의 성립에 대응하여 주구동 장치(20)(주프레임(24))를 구동하도록 선택한다. 또, 그 구동량인 바닥 맞춤 레벨로서는, 기억 수단(9)에 기억된, 주프레임 바닥 맞춤 레벨 =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1) +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2 라는 수식을 이용하여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1) 및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을 적용시켜서 바닥 맞춤 레벨을 연산한다. 그리고, 연산된 바닥 맞춤 레벨만큼 주구동 장치(20)를 작동시키도록 바닥 맞춤 운전 지령 수단(11)이 주구동 장치(20)에 구동의 지령을 출력하고, 그 지령에 따라서 주구동 장치(20)에 의한 바닥 맞춤을 실시한다.
여기서, 구체적인 예를 도 4로 설명한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주구동 장치로 주프레임을 동작시켜 바닥 맞춤을 실시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먼저, 기억 수단(9)에 기억되어 있는 바닥 맞춤 실시 요부(要否)의 문턱값을 예를 들면 5mm로 한다. 이 경우는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1) 혹은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이 문턱값 5mm 이상, -5mm 이하일 때, 바닥 맞춤을 실시한다.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1) -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2 ≤ 문턱값(5mm)인 경우는 주프레임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주프레임 바닥 맞춤 레벨 =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1) +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2인 수식에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 8mm 및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 4mm를 적용시키면 -6mm가 되어, 주프레임(주구동 장치(20))을 -6mm 이동시킨다. 이로써, 상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오차(41)는 2mm,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는 -2mm가 되어 상하 출입구 모두 문턱값 5mm 이내가 된다. 마찬가지로,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가 3mm 이고,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42)가 7mm인 경우, 주프레임을 5mm 이동시킴으로써, 상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오차(41)는 -2mm,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는 2mm가 되어, 상하 출입구 모두 문턱값 이내가 된다. 이와 같이 주프레임(24)의 이동만으로 상하 엘리베이터 칸을 문턱값 내에 바닥 맞춤하는 것이 가능하다.
S103으로 진행하면, 다음으로 조건식 연산 수단(8)은 기억 수단(9)에 기억된 착상 오차의 조건식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 +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4)|/2 ≤ 문턱값에 착상 오차 레벨(41, 42)을 적용시켜 조건식이 성립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조건식이 성립한 경우에는 S105로 진행한다. 반대로 조건식이 성립하지 않은 경우에는 S104로 진행한다.
S105에서는, 조건식 연산 수단(8)이 판단한 조건식의 성립에 기초하여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상하 엘리베이터 칸(26, 28))을 구동하도록 선택한다. 또, 그 구동량인 바닥 맞춤 레벨로서는 기억 수단(9)에 기억된, 상 엘리베이터 칸 바닥 맞춤 레벨 =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 -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1))/2, 혹은 하 엘리베이터 칸 바닥 맞춤 레벨 =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1) -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2라는 수식을 이용하여,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1) 및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을 적용시켜서 바닥 맞춤 레벨을 연산한다. 그리고, 연산된 바닥 맞춤 레벨만큼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를 작동시키도록 바닥 맞춤 운전 지령 수단(11)이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에 구동의 지령을 출력하고, 그 지령에 따라서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에 의한 바닥 맞춤을 실시한다.
여기서, 구체적인 예를 도 5로 설명한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로 상하 엘리베이터 칸을 동작시켜 바닥 맞춤을 실시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먼저, 기억 수단(9)에 기억되어 있는 바닥 맞춤 실시 요부의 문턱값을 예를 들면 5mm로 한다. 이 경우는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1) 혹은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이 문턱값 5mm 이상, -5mm 이하일 때, 바닥 맞춤을 실시한다.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1) +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2 ≤ 문턱값(5mm)인 경우는, 상하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가 5mm 이고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42)가 -7mm인 경우는, 상 엘리베이터 칸을 -6mm, 하 엘리베이터 칸을 6mm 이동시킨다. 이로써, 상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오차(41)는 -1mm,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는 1mm가 되어, 상하 출입구 모두 문턱값 이내가 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의 이동만으로 상하 엘리베이터 칸을 문턱값 내에 바닥 맞춤하는 것이 가능하다.
S102 및 S103의 조건에 적용되지 않는 경우(즉, 기억 수단(9)에 기억된 착상 오차의 조건식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1) +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2 > 문턱값, 및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1) -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2 > 문턱값이 성립하는 경우)에는, S104로 진행하여, 주구동 장치(20) 및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를 구동하도록 선택한다. 또, 그 구동량인 바닥 맞춤 레벨로서는 기억 수단(9)에 기억된, 주프레임 바닥 맞춤 레벨 =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1) +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2라는 수식을 이용하여 주프레임(24)에 의한 바닥 맞춤 레벨을 연산하고, 추가적으로, 기억 수단(9)에 기억된, 상 엘리베이터 칸 바닥 맞춤 레벨 =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 -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1))/2, 혹은 하 엘리베이터 칸 바닥 맞춤 레벨 =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1) -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2이라는 수식을 이용하여,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1) 및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을 적용시켜서 상하 엘리베이터 칸(26, 28)에 의한 바닥 맞춤 레벨을 연산한다. 그리고, 주프레임과 상하 엘리베이터 칸에서 각각 연산된 바닥 맞춤 레벨만큼 주구동 장치(20)와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를 작동시키도록, 바닥 맞춤 운전 지령 수단(11)이 주구동 장치(20)와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의 양자에 구동의 지령을 출력하고, 그 지령에 따라서 주구동 장치(20) 및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에 의한 바닥 맞춤이 실시된다.
여기서, 구체적인 예를 도 6으로 설명한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주구동 장치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로 바닥 맞춤을 실시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먼저, 기억 수단(9)에 기억되어 있는 바닥 맞춤 실시의 문턱값을 예를 들면 5mm로 한다. 이 경우는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41) 혹은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42)가 문턱값 5mm 이상, -5mm 이하일 때 바닥 맞춤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가 3mm 이고,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42)가 15mm인 경우는, 주프레임을 -6mm 이동시키고, 또한 상 엘리베이터 칸을 3mm, 하 엘리베이터 칸을 -3mm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오차(41)는 0mm,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는 0mm가 되어, 상하 출입구 모두 착상 오차 레벨을 0mm로 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오차의 레벨에 따라서 바닥 맞춤 방법을 선택하여 실시함으로써, 문이 열린 상태로 승객이 승강한 때라도, 상하 엘리베이터 칸 모두 문턱값 내의 착상 오차 레벨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최적의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바닥 맞춤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장치(50)가 승강장에 도착하여 승객이 승강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착상 오차의 보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 장치(50)가 승강장에 도착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착상 오차를 보정할 때에도 동일한 바닥 맞춤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처리는 마이크로컴퓨터의 소프트웨어로 처리하는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감산회로 등의 회로를 마련하여, 가감산이나 문턱값 비교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 1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는 적당 생략한다.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 및 도 7에 있어서, 착상 오차 레벨 인식·판정 수단(7)은 상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37) 및 하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39)로부터 입력된 착상 오차 레벨(41, 42)을 인식한다. 또한, 착상 오차 레벨 인식·판정 수단(7)은 기억 수단(9)에 기억된 문턱값과 착상 오차 레벨(41, 42)을 비교하여, 상 엘리베이터 칸(26) 혹은 하 엘리베이터 칸(28) 중 적어도 일방에 착상 오차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10).
그 후에, 엘리베이터 칸 안에 마련된 휠체어 버튼 장치의 조작에 의하여 등록되는 엘리베이터 칸 내 휠체어 버튼 등록 장치(도시 생략), 혹은 승강장에 마련된 휠체어 버튼 장치의 조작에 의하여 등록되는 승강장 휠체어 버튼 등록 장치(도시 생략)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으면, 착상 오차 레벨 인식·판정 수단(7)은 S111에서 특정 조건이라 간주하여 S104로 진행하고, 주구동 장치(20) 및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에 의한 바닥 맞춤이 실시된다. 이것은 휠체어 이용자가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때에 단차에서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휠체어 버튼 장치가 눌린 엘리베이터 칸의 바닥 맞춤 레벨을 0으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엘리베이터 칸 내 휠체어 버튼 등록 장치, 혹은 승강장 휠체어 버튼 등록 장치로부터의 신호가 착상 오차 레벨 인식·판정 수단(7)에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착상 오차 레벨 인식·판정 수단(7)은 특정 조건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S102로 진행한다.
S102로 진행하면, 착상 오차 레벨 인식·판정 수단(7)은 상 엘리베이터 칸(26) 혹은 하 엘리베이터 칸(28) 중 적어도 일방의 착상 오차 레벨이 문턱값 이상인지를 판정한다(S101). 그 이후의 플로우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여기서, 구체적인 예를 도 8로 설명한다.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주구동 장치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로 바닥 맞춤을 실시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착상 오차가 발생한 경우, 바닥 맞춤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안이나 승강장의 휠체어 버튼 장치(도시 생략)가 눌려 있는 등, 특정의 조건이 구비된 경우는, 주프레임 및 상하 엘리베이터 칸 양방으로 바닥 맞춤을 실시하며, 이것은 도 6과 같다.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이 8mm 이고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이 4mm인 경우는 주프레임을 -6mm 이동시키고, 또한 상 엘리베이터 칸을 -2mm, 하 엘리베이터 칸을 2mm 이동시킨다. 또한,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이 3mm 이고,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42)이 7mm인 경우는 주프레임을 -5mm 이동시키고, 또한 상 엘리베이터 칸을 -2mm, 하 엘리베이터 칸을 2mm 이동시킨다.
이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하면, 상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오차 레벨(41)은 0mm,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은 0mm가 되고, 상하 출입구 모두 착상 오차 레벨을 0mm로 하여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바닥 간격을 승강장의 층상 간 거리(6)와 동일하게 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더욱 높은 안전성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 1 및 2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는 적당 생략한다.
도 9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바닥 맞춤 제어 장치의 기능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며, 도 10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착상 오차 레벨 인식·판정 수단(7)은 상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37) 및 하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39)로부터 입력된 착상 오차 레벨(41, 42)을 인식한다. 또, 착상 오차 레벨 인식·판정 수단(7)은 기억 수단(9)에 기억된 착상 오차 레벨의 문턱값과 착상 오차 레벨(41, 42)을 비교하여, 상 엘리베이터 칸(26)에 발생한 착상 오차 레벨(41) 혹은 하 엘리베이터 칸(28)에 발생한 착상 오차 레벨(42) 중 적어도 일방이 문턱값 이상인지를 판정한다(S101). 문턱값 이상인 경우에는 S112로 진행하고, 문턱값 미만이면 이후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
S112에서는 착상 오차 레벨 인식·판정 수단(7)이 판정한 상 엘리베이터 칸(26)에 발생한 착상 오차 레벨(41), 혹은 하 엘리베이터 칸(28)에 발생한 착상 오차 레벨(42) 중 적어도 일방이 문턱값 이상인 회수를, 바닥 맞춤 제어 장치(12)에 마련된 이상 검출 수단(43)이 카운트하고, 일정 시간 내에 소정 회수 이상(예를 들면 5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 결과, 소정 회수 계속되었을 경우는 경년 변화(經年變化)에 의하여 상하 엘리베이터 칸 로프(30, 33)가 신장하였다거나, 혹은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부하가 극단적으로 상이한 언밸런스 상태가 생겨 상하 엘리베이터 칸 로프(30, 33)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였다는 등의 이상 상태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이상 검출 수단(43)이 이상을 외부에 통보하고 보수원의 검사를 촉구한다.
이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하면,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로프의 경년 변화에 의한 신장이나, 상하 엘리베이터 칸의 부하 언밸런스에 의한 미끄러짐 등의 이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어, 더욱 높은 승객의 안전씨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상하 엘리베이터 칸(26, 28)의 주프레임(24)에 대한 상대적인 바닥 맞춤 속도가 일정 이상이 된 경우, 바닥 맞춤 기능을 중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5)에 설치된 제어용 속도 검출기(도시 생략)에 의하여 검출된 상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 속도를 A, 주구동 장치(20)에 설치된 속도 검출기에 의하여 검출된 주프레임의 이동 속도를 B로 한다. 이동 속도 C=A+B는 착상 오차 레벨을 보정할 때의 승강장에 대한 상 엘리베이터 칸의 상대속도이며 속도 C > 이상 속도 레벨이 된 경우는 바닥 맞춤을 중지한다. 이로써, 상대적인 바닥 맞춤 속도가 이상 상태인 것을 판단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1 세로빔 2 탑빔
3 버텀빔 4 미들빔
5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 6 층간 거리
7 착상 오차 레벨 인식·판정 수단 8 조건식 연산 수단
9 기억 수단
10 바닥 맞춤 운전 선택·연산 수단 11 바닥 맞춤 운전 지령 수단
12 바닥 맞춤 제어 장치 20 주구동 장치
21 주구동 시브 22 디플렉션 풀리
23 메인 로프 24 주프레임
25 균형추 26 상 엘리베이터 칸
27, 29 서스펜딩 풀리 28 하 엘리베이터 칸
30, 33 로프 31, 34 고정 부재
32 위치 조정용 구동 시브 35, 36 완충기
37 상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 38, 40 플레이트
39 하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 41, 42 착상 오차 레벨
43 이상 검출 수단 50 엘리베이터 칸 장치

Claims (6)

  1. 건물의 승강로를 승강하는 주프레임을 구동하는 주구동 장치와,
    상기 주프레임의 내부에 배설(配設)한 상하 2단의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주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상하 2단의 엘리베이터 칸을 각각 상기 주프레임에 대하여 매다는 로프가 감아 걸리는 위치 조정용 구동 시브를 가지고, 상기 위치 조정용 구동 시브를 회전시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주프레임 내에서 서로 상반되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각각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 검출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착상 오차 레벨의 적어도 일방이, 미리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상기 착상 오차 레벨의 보정을 실시할지 여부의 기준이 되는 상기 착상 오차 레벨의 문턱값 이상인지 여부를 비교하여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상기 착상 오차 레벨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문턱값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착상 오차 레벨의 보정을 실시하는 복수의 조건에 상기 상하 2단의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오차 레벨을 각각 순차로 적용시켜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의 연산 결과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조건 가운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주구동 장치,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 또는 상기 주구동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의 양방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할지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건 가운데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 -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2 ≤ 문턱값 이라는 조건이 성립한 경우는, 상기 선택 수단이 상기 주구동 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건 가운데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 +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2 ≤ 문턱값 이라는 조건이 성립한 경우는, 상기 선택 수단이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건 가운데 |상 엘리베이터 칸착상 오차 레벨 +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2 > 문턱값, 및 |상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 - 하 엘리베이터 칸 착상 오차 레벨|/2 > 문턱값 이라는 조건이 성립한 경우는, 상기 선택 수단이 상기 주구동 장치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안에 마련된 휠체어 버튼 장치의 조작에 의하여 등록되는 엘리베이터 칸 내 휠체어 버튼 등록 장치, 혹은 승강장에 마련된 휠체어 버튼 장치의 조작에 의하여 등록되는 승강장 휠체어 버튼 등록 장치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판정 수단에 입력되면, 상기 주구동 장치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조정용 구동 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이 판정한 상기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착상 오차 레벨 중 적어도 일방이 상기 문턱값 이상인 회수를 카운트하는 이상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상 검출 수단은, 상기 회수가 일정 시간 내에 소정의 회수 이상이라 판단하면 이상(異常)을 외부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KR1020137028152A 2011-03-28 2011-03-28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KR101487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01808 WO2012131755A1 (ja) 2011-03-28 2011-03-28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724A true KR20130143724A (ko) 2013-12-31
KR101487641B1 KR101487641B1 (ko) 2015-01-29

Family

ID=4692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152A KR101487641B1 (ko) 2011-03-28 2011-03-28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92676B1 (ko)
JP (1) JP5523625B2 (ko)
KR (1) KR101487641B1 (ko)
CN (1) CN103443007B (ko)
WO (1) WO20121317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9323B2 (ja) * 2013-03-08 2017-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DE112013007076B4 (de) * 2013-05-16 2019-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Aufzugvorrichtung
DE102013110790A1 (de) * 2013-09-30 2015-04-02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anlage
JP6256217B2 (ja) * 2014-06-17 2018-01-10 三菱電機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WO2016006056A1 (ja) * 2014-07-09 2016-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6658240B2 (ja) * 2016-04-13 2020-03-04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6686670B2 (ja) * 2016-04-26 2020-04-22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6690625B2 (ja) * 2017-10-31 2020-04-28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4470U (ko) * 1976-11-01 1978-05-31
JP3346978B2 (ja) * 1996-01-26 2002-11-18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2087716A (ja) * 2000-09-13 2002-03-27 Toshiba Corp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DE60043999D1 (de) * 2000-11-08 2010-04-22 Mitsubishi Electric Corp Kabine-einrichtung für doppeldeckaufzüge
JP2002338154A (ja) 2001-05-11 2002-11-27 Mitsubishi Electric Corp 可動式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4067286A (ja) * 2002-08-05 2004-03-04 Toshiba Elevator Co Ltd 階間距離調整機構付き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168530A (ja) 2002-11-22 2004-06-17 Otis Elevator Co 可動式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自動階床学習装置および自動階床学習方法
JP4194864B2 (ja) 2003-03-17 2008-12-1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FI5925U1 (fi) * 2003-04-02 2003-09-05 Kone Corp Laitteisto double-deck tasolle ajamiseksi
JP4376036B2 (ja) 2003-11-19 2009-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着床制御装置
JP2007331871A (ja) 2006-06-14 2007-12-27 Mitsubishi Electric Corp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641B1 (ko) 2015-01-29
EP2692676A1 (en) 2014-02-05
EP2692676B1 (en) 2016-10-26
JP5523625B2 (ja) 2014-06-18
WO2012131755A1 (ja) 2012-10-04
EP2692676A4 (en) 2014-11-19
CN103443007B (zh) 2015-04-29
CN103443007A (zh) 2013-12-11
JPWO2012131755A1 (ja)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641B1 (ko)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JP2015009989A (ja) エレベータロープ振れ抑制システム
KR10093431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2162361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診断装置
JP567336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5137614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914188B1 (en) Elevator device
JP6419638B2 (ja) 両かごエレベーター
JP2016175765A (ja) エレベータ用のかご横揺れ抑制装置及びかご横揺れ抑制方法
JP2010208781A (ja) エレベータ
KR20190007471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5550313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7147900B1 (ja) エレベータ
JP2001019287A (ja) 可動式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13767059B (zh) 电梯的打滑检测系统
WO2021124381A1 (ja) エレベーター
JP2004168530A (ja) 可動式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自動階床学習装置および自動階床学習方法
JP5966872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5945398B2 (ja)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JP5462843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2193570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6912429B2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装置の制御方法
KR10092360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0208752A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55722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