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087A - 양면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양면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087A
KR20130143087A KR1020137015328A KR20137015328A KR20130143087A KR 20130143087 A KR20130143087 A KR 20130143087A KR 1020137015328 A KR1020137015328 A KR 1020137015328A KR 20137015328 A KR20137015328 A KR 20137015328A KR 20130143087 A KR20130143087 A KR 20130143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meth
double
adhesive tape
sided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보루 아라키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43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2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09J2301/124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the opposite adhesive layers being diffe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표리의 접착성이 상이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간단한 수법으로 보다 얇게 제조 가능한 양면 점착 테이프는, 수지 조성물과 무기 충전재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시트상으로 경화된 것이다. 수지 조성물은, (A)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B) (A)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C) 광 중합 개시제 및 (D) 광 가교제를 함유한다. 무기 충전재는 평균 입경 30 ㎛ 이하이고, 테이프의 한쪽면측에 편재하고 있다. 무기 충전재가 편재하고 있는 측의 테이프면의 표면 거칠기(중심선 평균 거칠기 Ra)는 0.01 내지 0.50 ㎛이다.

Description

양면 점착 테이프{TWO-SIDED ADHESIVE TAPE}
본 발명은, 표리의 접착성이 상이한 양면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양면 점착 테이프에는, 그의 취급성이나 피착재의 리무버블성의 면에서 표리의 접착성을 변경한 것이 있다.
종래, 표리의 접착성이 상이한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UV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표리에 조사 강도를 변경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특허문헌 1)이나, 접착력이 상이한 2층 이상의 점착층을 중첩하는 방법(특허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2362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07011호 공보
그러나, 표리의 접착성이 상이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은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표리에서 자외선의 조사 강도를 변경하는 방법(특허문헌 1)이나, 접착력이 상이한 점착층을 적층하는 방법(특허문헌 2)에서는, 소기의 접착력을 발휘시키고, 테이프를 얇게 하는 것에 한계를 갖고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표리의 접착성이 상이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간편한 수법으로 보다 얇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특정한 입경의 무기 충전재를 함유시킨 점착제 조성물을 특정한 표면 거칠기의 이형 시트 위에서 시트상으로 성형하면, 이형 시트의 표면 거칠기가 전사된 점착 테이프의 표면 거칠기와, 그의 표면 거칠기를 갖는 테이프면측으로의 무기 충전재의 침강의 편재가 서로 작용하여, 표리의 접착성이 크게 상이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다음 성분 (A) 내지 (D)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과 무기 충전재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시트상으로 경화된 양면 점착 테이프이며, 무기 충전재는 평균 입경 30 ㎛ 이하이고, 테이프의 한쪽면측에 편재하며,
무기 충전재가 편재하고 있는 측의 테이프면의 표면 거칠기(중심선 평균 거칠기 Ra)가 0.01 내지 0.50 ㎛인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A)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B) (A)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C) 광 중합 개시제
(D) 광 가교제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으로서, 다음 성분 (A) 내지 (D)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과 평균 입경 30 ㎛ 이하의 무기 충전재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표면 거칠기(중심선 평균 거칠기 Ra) 0.01 내지 0.50 ㎛의 박리 시트 위에 도포하고, 점착제 조성물을 광 경화시키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A)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B) (A)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C) 광 중합 개시제
(D) 광 가교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무기 충전재를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을 특정한 표면 거칠기를 갖는 이형 시트 위에서 시트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얻어지기 때문에, 간편히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킨 단일의 점착층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다른 점착층이나 기재가 되는 층이 불필요해진다. 그 때문에, 소기의 접착력을 확보하면서 테이프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는, 표면 거칠기가 지나치게 큰 양면 점착 테이프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c)는,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와 박리 강도의 관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양면 점착 테이프 (1)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이 양면 점착 테이프 (1)은, 광 경화성의 수지 조성물과 무기 충전재 (2)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광 조사에 의해 시트상으로 경화된 점착층 (3)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무기 충전재 (2)의 평균 입경은 30 ㎛ 이하이며, 테이프의 한쪽면 (1a) 측에 편재하고 있고, 무기 충전재 (2)가 편재하고 있는 측의 한쪽면 (1a)의 표면 거칠기는 중심선 평균 거칠기 Ra로 0.01 내지 0.50 ㎛이다. 테이프의 다른쪽면 (1b)에는 무기 충전재 (2)가 존재하지 않고, 점착층 (3)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양면 점착 테이프 (1)에 따르면, 한쪽면 (1a)에서는 평균 입경 30 ㎛ 이하의 무기 충전재 (2)의 존재와, 점착층 (3)의 표면 거칠기 Ra 0.01 내지 0.50 ㎛의 표면 요철이 서로 작용하여 접착성이 크게 저하된다. 한편, 다른쪽면 (1b)에서는 무기 충전재 (2)가 존재하지 않고, 동일한 점착층 (3)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무기 충전재와 표면 요철에 의한 접착성의 저하는 없다. 따라서, 이 양면 점착 테이프 (1)에 따르면 표리의 접착성이 크게 상이하고, 표면(평탄면(다른쪽면 (1b)))에 첩부하는 피착재 (M1)의 박리 강도와, 이면(조면(한쪽면 (1a)))에 점착하는 피착재 (M2)의 박리 강도의 비를 2배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이프의 한쪽면 (1a)의 표면 거칠기가 상술한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도, 큰 경우에도, 이 한쪽면 (1a)의 접착성을 충분히 낮게 할 수 없다. 이것은, 테이프면의 표면 거칠기를 평탄한 상태로부터 점차 크게 해가면, 피착면과 테이프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짐으로써 접착성이 저하되지만, 표면 거칠기가 과도하게 커지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기 충전재 (2)보다 조면 (1a)측에 존재하는 수지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조면 (1a)의 접착성이 커지고, 다른쪽면 (1b)와의 접착 강도의 차가 작아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무기 충전재 (2)가 존재하는 측의 테이프의 표면 거칠기를 특정한 범위로 함으로써 테이프의 표리에서 접착성이 크게 변경되는 것은, 본 발명자의 지견에 의한 것이다.
무기 충전재 (2)의 평균 입경은 30 ㎛를 초과하면, 무기 충전재 (2)에 의한 표면 요철이 테이프의 평탄면 (1b)측에도 형성되고, 테이프 표리의 접착성의 차가 작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무기 충전재 (2)의 바람직한 평균 입경은 테이프 표리의 접착성의 차의 면에서 5 내지 20 ㎛이다.
또한, 무기 충전재 (2)로서는, 양면 점착 테이프 (1)의 제조시에 무기 충전재 (2)를 테이프의 한쪽면 (1a)측에 빠르게 침강시키고, 편재시킨 상태에서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킬 수 있도록 비중을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기 충전재 (2)로서는,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이산화규소 등의 절연성의 금속 산화물이나,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 수산화물을 들 수 있다.
무기 충전재 (2)의 형상은, 침강에 의해 테이프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기 쉬운 형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상, 진구상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점착층 (3)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로서는, 다음 성분 (A) 내지 (D)를 함유하는 것을 사용한다.
(A)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B) (A)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C) 광 중합 개시제
(D) 광 가교제
이 중, (A)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14,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인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이하, 이들을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라고도 함)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B) (A)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는, (메트)아크릴산, N-비닐피롤리돈, 이타콘산,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C) 광 중합 개시제로서는, 아세토페논계 또는 벤조페논계 개시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4-페녹시디시클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디페녹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질메틸케탈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D) 광 가교제로서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이외에, 수지 조성물에는 성분 (E)로서 로진계, 테르펜계, 테르펜페놀계 등의 점착 부여제(tackifier)를 함유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난연제 등을 더 함유시킬 수 있다.
성분 (A)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성분 (B)의 (A)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배합 비율은 성분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성분 (B)를 1 내지 20 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은, 점도 500 내지 3500 mPaㆍ초(B형 점도계, 로터 No.3, 20 rpm, 25℃)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도포시에 수지 조성물이 확장되거나 한쪽면에 무기 충전재가 편재한 도막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며, 점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무기 충전재의 침강이 늦어지고, 테이프의 표리에서 무기 충전재의 침강의 정도에 차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수지 조성물과 상술한 무기 충전재의 배합 비율은,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무기 충전재를 100 내지 500 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면 점착 테이프 (1)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우선 통상법에 의해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조성물 (4)를 표면 거칠기(중심선 평균 거칠기 Ra) 0.01 내지 0.50 ㎛의 박리 시트 (10) 위에 코터 등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다. 이러한 표면 거칠기의 박리 시트로서는, 상질지에 폴리에틸렌 코팅과 실리콘 코팅을 순차 행한 시판된 박리지나 박리 처리 플라스틱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박리 시트 (10)의 표면 거칠기는, JIS B0601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또한, 박리 시트 (10) 위의 수지 조성물 (4)의 도포 두께는 50 내지 50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조성물 (4)의 도포층을 분위기 중의 산소로부터 차단하기 위해, 수지 조성물 (4)의 도포층 위에 투명한 박리용 PET 필름 등의 박리 필름 (11)을 라미네이트한다. 또한, 박리 필름 (11)측으로부터 UV 조사하여 수지 조성물 (4)를 경화시켜 점착층 (3)을 형성한다. 이 경화되는 동안에 수지 조성물 (4)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었던 무기 충전재 (2)는 침강하고, 박리 시트 (10)측에 편재한다. 통상, 무기 충전재 (2)의 비중은 수지 조성물 (4)의 비중에 비해 2배 이상 크고, 수지 조성물 (4)를 박리 시트 (10)에 도포한 후에 무기 충전재 (2)는 빠르게 침강하기 때문에, 실제로 도포로부터 UV 조사까지의 사이에 정치 시간을 두는 것은 불필요하지만, 무기 충전재 (2)를 보다 확실하게 편재시키기 위해서는 도포 후의 침강 시간으로서 3초 이상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UV 조사에 의해 수지 조성물 (4)가 경화된 후, 박리 시트 (10)과 박리 필름 (11)을 제거하여, 도 3(c)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 (1)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
표 1의 조성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와, 무기 충전재로서 수산화알루미늄(평균 입경 20 ㎛, 구상) 100 질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1
또한, 수지 조성물의 점도(25℃)를 B형 점도계(로터 No.3, 20 rpm)로 측정한 바, 700 mPaㆍ초였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거칠기가 상이한 5종의 박리 시트를 준비하였다. 이들 박리 시트의 표면 거칠기는, 표면 거칠기 측정기(미쯔토요(주), SV-2100)를 이용하여 JIS B0601에 준거하여 10 mm/s의 주사 속도로 측정하였다.
박리 시트 위에 상술한 수지 조성물을 교반한 후, 코터로 도포 두께 100 ㎛로 도포하고, 도포층 위에 박리용 PET 필름을 라미네이트하고, 이 PET 필름 위로부터 UV를 조사하고(조사량: 2.8 J/cm2),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2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대하여, 표면(평탄면)과 이면(조면)의 (a) 볼 태크와 (b) 박리 강도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과 도 4에 나타낸다.
(a) 볼 태크
JIS Z 0237에 의해, 경사각 30°의 테이프 위에서 강철구를 굴려, 테이프 위에서 정지한 강철구의 최대 직경을 구하였다.
(b) 박리 강도
JIS Zㆍ0237에 준거하여, 인장 시험기로서 텐실론 RTA-250(앤드데-(주))을 사용하고, 시험편으로서 SUS304(연마판)를 사용하고, 인장 속도 300 mm/분, 인장 방향 180°로 측정하였다.
Figure pct00002
표 2 및 도 4의 결과로부터, 박리 시트의 표면 거칠기(Ra), 즉 양면 점착 테이프의 조면의 표면 거칠기(Ra)가 0.01 내지 0.50 ㎛의 범위에 있는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표리의 박리 강도의 비가 2배 이상이지만, 표면 거칠기(Ra)가 이보다도 작은 비교예 1이나 이보다도 큰 비교예 2에서는, 표리의 박리 강도의 차가 작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표리의 접착성이 크게 상이하기 때문에, 전자 기기 내부의 부품의 고정 등에 사용되는 재박리성의 점착 테이프나, 임시 접착, 재박리 등의 용도에 유용하고, 특히 무기 충전재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내열성이 필요로 되는 재박리성의 점착 테이프로서 유용하다.
1 양면 점착 테이프
1a 양면 점착 테이프의 한쪽면 또는 조면
1b 양면 점착 테이프의 다른쪽면 또는 평탄면
2 무기 충전재
3 점착층
4 수지 조성물
10 박리 시트
11 박리 필름
M1, M2 피착재

Claims (23)

  1. 다음 성분 (A) 내지 (D)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과 무기 충전재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시트상으로 경화된 양면 점착 테이프이며, 무기 충전재는 평균 입경 30 ㎛ 이하이고, 테이프의 한쪽면측에 편재하며,
    무기 충전재가 편재하고 있는 측의 테이프면의 표면 거칠기(중심선 평균 거칠기 Ra)가 0.01 내지 0.50 ㎛인 양면 점착 테이프.
    (A)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B) (A)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C) 광 중합 개시제
    (D) 광 가교제
  2. 제1항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이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무기 충전재 100 내지 500 질량부를 함유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A)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성분 (B)의 (A)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배합 비율이 성분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성분 (B)가 1 내지 20 질량부인 양면 점착 테이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500 내지 3500 mPaㆍ초(B형 점도계, 로터 No.3, 20 rpm, 25℃)인 양면 점착 테이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과 무기 충전재의 배합 비율이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무기 충전재가 100 내지 500 질량부인양면 점착 테이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가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인 양면 점착 테이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B)의 (A)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가 (메트)아크릴산, N-비닐피롤리돈, 이타콘산,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인 양면 점착 테이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C)의 광 중합 개시제가 4-페녹시디시클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디페녹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또는 벤질메틸케탈인 양면 점착 테이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D)의 광 가교제가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인 양면 점착 테이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 성분 (E)를 더 함유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E) 점착 부여제(tackifier)
  11. 제10항에 있어서, 성분 (E)의 점착 부여제가 로진계 점착 부여제, 테르펜계 점착 부여제 또는 테르펜페놀계 점착 부여제인 양면 점착 테이프.
  12. 다음 성분 (A) 내지 (D)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과 평균 입경 30 ㎛ 이하의 무기 충전재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표면 거칠기(중심선 평균 거칠기 Ra) 0.01 내지 0.50 ㎛의 박리 시트 위에 도포하고, 점착제 조성물을 광 경화시키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A)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B) (A)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C) 광 중합 개시제
    (D) 광 가교제
  13. 제12항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 시트 위에 도포한 후 3초 이상 두고 점착제 조성물을 광 경화시키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이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무기 충전재 100 내지 500 질량부를 함유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성분 (B)의 (A)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배합 비율이 성분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성분 (B)가 1 내지 20 질량부인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500 내지 3500 mPaㆍ초(B형 점도계, 로터 No.3, 20 rpm, 25℃)인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과 무기 충전재의 배합 비율이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무기 충전재가 100 내지 500 질량부인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가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인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19.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B)의 (A)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가 (메트)아크릴산, N-비닐피롤리돈, 이타콘산,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인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C)의 광 중합 개시제가 4-페녹시디시클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디페녹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또는 벤질메틸케탈인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21.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D)의 광 가교제가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인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22. 제12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이 다음 성분 (E)를 더 함유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E) 점착 부여제
  23. 제22항에 있어서, 성분 (E)의 점착 부여제가 로진계 점착 부여제, 테르펜계 점착 부여제 또는 테르펜페놀계 점착 부여제인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KR1020137015328A 2011-03-09 2012-02-23 양면 점착 테이프 KR201301430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51708A JP5838569B2 (ja) 2011-03-09 2011-03-09 両面粘着テープ
JPJP-P-2011-051708 2011-03-09
PCT/JP2012/054348 WO2012121017A1 (ja) 2011-03-09 2012-02-23 両面粘着テー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087A true KR20130143087A (ko) 2013-12-30

Family

ID=46797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328A KR20130143087A (ko) 2011-03-09 2012-02-23 양면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999455B2 (ko)
EP (1) EP2653515A4 (ko)
JP (1) JP5838569B2 (ko)
KR (1) KR20130143087A (ko)
CN (1) CN103403115B (ko)
TW (1) TWI540054B (ko)
WO (1) WO20121210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7736B2 (en) 2017-02-10 2022-08-30 Lg Chem, Ltd. Substrate-free transfer ta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8940B (zh) * 2012-09-25 2013-12-25 金甲化工企业(中山)有限公司 一种uv中性粘合剂及其制备方法
WO2014139126A1 (en) 2013-03-14 2014-09-18 Laird Technologies, Inc. Flame-retardant electrically-conductive adhesiv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5849000B (zh) * 2013-12-27 2018-03-06 日本合成化学工业株式会社 航空器构件固定用双面粘合带
CN106458774B (zh) * 2014-05-21 2019-06-04 三菱化学株式会社 混凝土表面覆盖层形成用层叠薄膜、混凝土制建筑材料和其制造方法
CN108156813B (zh) * 2015-09-30 2020-12-08 3M创新有限公司 多层阻隔涂层
US10836932B2 (en) * 2015-11-27 2020-11-17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release film-support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E102015016702A1 (de) * 2015-12-22 2017-06-22 Man Truck & Bus Ag Partikelteilchen aufweisendes Klebemittel zur Verbindung zweier Fahrzeugteile
CN109844051B (zh) * 2016-11-07 2021-07-23 株式会社钟化 粘合剂用组合物
CN113480954A (zh) * 2021-07-27 2021-10-08 中山市皇冠胶粘制品有限公司 接枝改性的丙烯酸酯压敏胶、双面胶带及制备方法和应用
CN114907799A (zh) * 2022-05-24 2022-08-16 深圳市津田电子有限公司 一种丙烯酸泡棉胶带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7678B2 (ja) * 1993-11-24 1999-03-3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US6861141B2 (en) * 1996-12-04 2005-03-01 Gina M. Buccellato Pavement marking article and raised pavement marker that use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JP2001081422A (ja) * 1999-09-13 2001-03-27 Oji Paper Co Ltd 粘着シート
JP4213887B2 (ja) * 2001-10-26 2009-01-21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性粘着剤組成物とその粘着シート
JP2005255706A (ja) * 2004-03-09 2005-09-22 Lintec Corp 粘接着剤組成物、光ディスク製造用シートおよび光ディスク
JP4511320B2 (ja) * 2004-11-11 2010-07-28 北川工業株式会社 片面粘着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5022782A1 (de) * 2005-05-12 2006-11-16 Tesa Ag Haftklebemass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4436306B2 (ja) 2005-10-28 2010-03-2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熱伝導性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る熱伝導性シート
JP2007204595A (ja) * 2006-02-01 2007-08-16 Dainippon Ink & Chem Inc 粘着フィルム、及びポリエステル樹脂製容器
KR20080004021A (ko) * 2006-07-04 2008-01-0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양면의 접착력이 서로 다른 전도성 점착 테이프 및 그제조방법
JP4570604B2 (ja) * 2006-10-12 2010-10-2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記録媒体製造用シートおよび光記録媒体、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5030264B2 (ja) 2006-11-29 2012-09-19 日東電工株式会社 解体容易な接着方法、その粘着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32803A (ja) * 2007-11-30 2009-06-18 Nitto Denko Corp リワーク性粘着部材
JP5087414B2 (ja) * 2008-01-22 2012-12-0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硬化型アクリル系粘弾性体組成物、アクリル系粘弾性体、アクリル系粘弾性体層テープ又はシート、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DE102008032570A1 (de) * 2008-07-11 2010-01-14 Tesa Se Haftklebemass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7736B2 (en) 2017-02-10 2022-08-30 Lg Chem, Ltd. Substrate-free transfer t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03115A (zh) 2013-11-20
EP2653515A1 (en) 2013-10-23
JP5838569B2 (ja) 2016-01-06
JP2012188500A (ja) 2012-10-04
CN103403115B (zh) 2016-10-12
WO2012121017A1 (ja) 2012-09-13
TW201240824A (en) 2012-10-16
TWI540054B (zh) 2016-07-01
US20140093685A1 (en) 2014-04-03
US20130295329A1 (en) 2013-11-07
EP2653515A4 (en) 2014-08-20
US9567494B2 (en) 2017-02-14
US8999455B2 (en) 201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3087A (ko) 양면 점착 테이프
TWI673339B (zh) 黏著薄片及其製造方法
JP5715857B2 (ja) 粘着シートの剥離方法
KR102046656B1 (ko) 점착 시트 및 점착제 조성물
KR102370507B1 (ko) 점착 시트 및 박리 필름 구비 점착 시트
WO2017010502A1 (ja) 粘着シート及び積層体とその製造方法
JPWO2014065126A1 (ja) 透明両面粘着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WO2016152787A1 (ja) 両面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127527A (ja) 積層シートおよびロール体
WO2015133274A1 (ja) 多層型熱伝導性シート、多層型熱伝導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4505583B2 (ja) ダイカットで使用する基材レス両面粘着テープ
JP2020050756A (ja) 透明粘着フィルム
JP5620050B2 (ja) (メタ)アクリル系独立粘着フィルム
TWI667316B (zh) Adhesive sheet
JP6743422B2 (ja) 両面粘着シート
JP7258497B2 (ja) 透明粘着フィルム
JP6743421B2 (ja) 両面粘着シート
JP2022131875A (ja) 積層体の製造方法
JP2022131866A (ja) 粘着シート、積層体並びに光学デバイス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2131877A (ja) 積層体の製造方法
JP2022131868A (ja) 粘着シート、積層体並びに光学デバイス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2131869A (ja) 積層体の製造方法
JP2022131864A (ja) 粘着シート、積層体並びに光学デバイス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8076392A (ja) 粘着シート及び積層体
TW201331333A (zh) 用於粗糙表面之黏晶薄膜的切割膠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