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877A -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877A
KR20130141877A KR1020120064957A KR20120064957A KR20130141877A KR 20130141877 A KR20130141877 A KR 20130141877A KR 1020120064957 A KR1020120064957 A KR 1020120064957A KR 20120064957 A KR20120064957 A KR 20120064957A KR 20130141877 A KR20130141877 A KR 20130141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peptide
fish
peptide
collagen
exchang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5225B1 (ko
Inventor
김무성
이상린
한민우
박용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Priority to KR1020120064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225B1/ko
Publication of KR20130141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21/00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 C12P21/06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produced by the hydrolysis of a peptide bond, e.g. hydrolysat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2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 A61K38/014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gelatin, colla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16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chromatography
    • C07K1/18Ion-exchange chroma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 A23V2250/5422Colla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ionic inter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1Serine endopeptidases (3.4.21)
    • C12Y304/21062Subtilisin (3.4.21.62)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류의 비늘 또는 껍질을 포함하는 원료를 작용부위가 다른 세균성 단백분해효소와 곰팡이성 단백분해효소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2차에 걸친 효소 분해 공정을 수행하되, 이때 상기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와 함께 녹차잎, 이의 추출물 또는 이의 추출 부산물을 첨가하여 효소 분해 공정을 수행하고, 흡착수지 및 이온교환수지의 칼럼을 통과시키는 정제 공정을 거침으로써 분자량이 낮은 콜라겐 펩티드를 얻을 수 있는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는 고미(苦味)와 냄새, 색깔이 제거된 고순도의 콜라겐 펩티드로서, 체중 및 복부지방층의 증가를 억제하고, 혈장 총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비만 예방 및 치료 또는 개선에 유용한 의약품 및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COLLAGEN PEPTIDE COMPLEX DERIVED FROM FISH,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 USE OF THE SAME}
본 발명은 어류의 비늘 또는 껍질로부터 유래되며 색깔, 냄새가 없고 비만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콜라겐은 단백질의 일종으로, 가늘고 긴 섬유 모양을 하고 있으며, 분자량이 약 10만 가량인 폴리펩티드 사슬이 3개 모여서 이루어진 나선구조의 고분자 단백질이다. 상기 콜라겐은 피부의 진피층과 결합조직의 주성분이며 피부의 70%를 차지하고 있고, 뼈를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 중 90% 및 뼈 중량의 2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고분자인 그 자체로서도 사용되나 최근에는 저분자화된 콜라겐 펩티드가 다양한 식품, 화장품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콜라겐 펩티드 제조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은 단백질 가수분해물이나 젤라틴 또는 콜라겐을 제조할 때, 소 혹은 유사 반추 동물의 뼈나 껍질을 사용하여 기능성 식품첨가물 및 화장품용 원료를 제조하여 왔다.
그러나 광우병(BSE,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의 발병을 계기로 한국식품안전청, 유럽 식품안정청, 미국 식품안정청 및 일본 후생성 등에서는 광우병 발병 위험이 큰 나라로부터 해당 원료를 수입하거나 반입 또는 사용을 금지하게 되었다.
또한, 돼지나 닭과 같은 가축을 이용한 단백질 가수분해물도 돼지 콜레라(Swine fever) 또는 조류 인플루엔자(Pathogenic avian influenza) 등의 발병으로 인하여 점차 그 사용을 금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광우병, 돼지 콜레라 또는 조류 인플루엔자 등의 위험이 없는 안전한 천연의 해양성 생물이나 식물 유래의 콜라겐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등에 대한 관련기술의 개발 또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특히 어류의 비늘이나 껍질이나 비늘에서의 콜라겐 펩티드는 활발히 상업화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어류 비늘이나 껍질로부터 유래한 콜라겐이나 그 가수분해물들은 우피와 돈피로부터 유래한 콜라겐에 비하여 특유의 냄새, 색깔 등 때문에 식품, 화장품 또는 의약품 소재 분야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지방성 물질 또는 단백질 변성 온도 등으로 인하여 투명도가 떨어지는 등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어, 탈취, 탈색된 고순도의 콜라겐 펩티드를 제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의 콜라겐 펩티드는 유사한 제조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32153호는 어류 비늘을 이용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여기에서는 탈재, 탈단백 공정인 산, 알칼리 처리단계와 가수분해효소로는 엔도형 가수분해효소로 펩신, 트립신, 파파인, 콜라게나제 또는 카텝신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얻어지는 콜라겐 펩티드는 분자량이 500∼1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47033호에 의하면 우피(Hide Splits), 돈피(Pig Skin), 건조된 소뼈(Ossein), 어류 등을 원료로 사용하였으며, 산, 알칼리 전처리와 열수 추출 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계통의 효소를 사용하고, 펌프로 1, 2차 여과, 카본필터로 3, 4차 여과하여 이취를 제거한 다음, 살균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는 단계로 콜라겐 펩티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99324호에 의하면 생선 비늘을 사용하고, 산, 알칼리를 이용한 전처리를 수행하고, 이어서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유래 알칼라제 효소(0.05∼0.6중량%, pH 7, 40∼70℃, 1∼48 시간 처리)를 사용하여 분자량 500∼10,000인 콜라겐 펩티드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92371호는 돈피를 원료로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및 바실러스 아밀로쿠에파시엠스 유래 유사한 효소로 2단계 효소 반응하여 분자량 1,000 내지 2,000인 콜라겐 펩티드를 제조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88913호에서는 식물성 및 마린 유래 원료를 사용하고 효소는 트립신 및 파파인을 사용하여 분자량 1,000∼5,000의 콜라겐 펩티드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20312호에는 산/염기 가수분해에 의한 전처리 공정 없이 탈재된 어류 비늘에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유래 알칼라제 및 바실러스 유래 프로타멕스를 함께 또는 순차처리하여 효소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 비늘 콜라겐 펩티드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는 등, 다양한 콜라겐 펩티드 제조법이 있으나 탈취 탈색에 대한 근본적인 공정적용은 구체적으로 명시된 경우가 드물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제2007-246460호에서 펩티드 Gly-X-Y를 함유하는 펩티드 혼합물을 알칼리성 음이온교환수지와 접촉하여 새 펩티드 Gly-X-Y를 흡착시킨 후, 이를 용출함으로써 새 펩티드 Gly-X-Y의 함유율이 상기 펩티드 혼합물보다 높일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 특허공개 제2008-024611호에 펩티드 혼합물에 함유되는 일부 소수성 펩티드를 비극성 흡착제에 흡착시켜, 상기 비극성 흡착제에 흡착하지 않았던 친수성 새 펩티드 Gly-X-Y를 회수함으로써 친수성 새 펩티드 Gly-X-Y의 함유율이 상기 펩티드 혼합물보다 높일 수 있는 펩티드 정제물의 제조방법을 언급하고 있다.
한편, 콜라겐 단백질은 히드록시프롤린이나 히드록시리신 등 콜라겐 특유의 아미노산을 갖는 반면, 필수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을 갖지 않기 때문에, 아미노산 스코어가 제로이고, 영양소로서는 역사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다니구찌 등은 콜라게나제 처리에 의한 콜라겐의 분해물(펩티드 혼합물)과 동일 비율의 아미노산 혼합물에 대하여 각각 랫트에 있어서의 피부 콜라겐의 합성 촉진 효과를 비교 검토한 결과, 아미노산 혼합물에서는 효과가 보이지 않고 콜라게나제에 의한 분해물에서만 효과가 보인 것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콜라게나제에 의한 분해물의 생리 작용이나 약리 작용은 아미노산으로서 체내에 흡수되어 단백질이 재구성됨으로써 발휘되는 것은 아니고, 펩티드 자체에 의해서 발휘됨을 시사한다.
지금까지 콜라겐 또는 콜라겐 펩티드의 생리 작용이나 약리 작용으로서, 골다공증의 예방ㆍ개선에 결부되는 골아 세포 증식 촉진 작용, 뼈 강화 작용, 노화에 따른 생체 조직 기능의 저하를 개선하는 생체 조직의 신진 대사 촉진 작용, 피부 대사 촉진 작용 등이 밝혀지고 있다. 최근 콜라겐 펩티드의 이와 같은 수많은 생리 작용이나 약리 작용이 발견되어, 화장품 및 식품용 원재료나 기능성 재료로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한편, 비만은 전세계에 걸쳐서 빠르게 확산되어 사회 경제적으로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질병으로 당뇨병, 심장질환, 뇌졸증 또는 암과 같은 심각한 질병을 야기한다.
콜라겐 또는 콜라겐 펩티드 성분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성인병 예방기능이 있으나, 콜라겐 펩티드 성분이 가지는 항비만 효과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3215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4703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92371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8891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99324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20312호 일본 특허공개 제2007-246460호 일본 특허공개 제2008-024611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순도 콜라겐 펩티드를 제조하면서 이들의 기능을 탐구하던 중 어류로부터 효소 처리에 의해 고미(苦味)와 냄새, 색깔이 제거된 콜라겐 펩티드를 분리하고, 이 물질이 지방 대사에 관여하여 비만을 억제, 개선하여 약학적 및 식품 용도에 사용 가능함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류로부터 고순도의 콜라겐 펩티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부터 얻어지는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어류의 비늘 또는 껍질을 포함하는 원료를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와 함께 녹차잎, 이의 추출물 또는 이의 추출 부산물을 첨가하여 효소 분해 공정을 수행 후 여과하여 콜라겐 펩티드 여과물을 얻는 단계;
상기 콜라겐 펩티드 여과물을 흡착수지 및 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켜 정제하는 단계; 및
농축, 건조하여 콜라겐 펩티드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얻어지며, 평균분자량이 90∼2800이며, 이때 평균분자량 1500 이하의 펩티드가 전체 조성 내에서 65 중량%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는 고미(苦味)와 냄새, 색깔이 제거된 고순도의 콜라겐 펩티드로서, 종래 콜라겐 펩티드에 비해 저분자로 구성된 올리고펩티드로 구성된다.
이러한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는 체중 및 복부지방층의 증가를 억제하고, 혈장 총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비만 예방 및 치료 또는 개선에 유용한 의약품 및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a) 실시예 1, (b) 비교예 1 및 (c) 비교예 2의 콜라겐 펩티드의 분자량 분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a) 실시예 1, (b) 비교예 1 및 (c) 비교예 2의 콜라겐 펩티드의 평균 분자량 분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어류로부터 고미(苦味)와 냄새, 색깔을 제거하고 고순도의 저분자 콜라겐 펩티드를 얻고, 이를 비만 예방, 개선 및 치료 용도로 사용함을 제시한다.
상기 콜라겐 펩티드는 어류의 비늘 또는 껍질을 포함하는 원료를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와 함께 녹차잎, 이의 추출물 또는 이의 추출 부산물을 첨가하여 효소 분해 공정을 수행 후 여과하여 콜라겐 펩티드 여과물을 얻는 단계; 상기 콜라겐 펩티드 여과물을 흡착수지 및 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켜 정제하는 단계; 및 농축, 건조하여 콜라겐 펩티드를 회수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며, 이하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콜라겐 펩티드를 얻기 위해, 원료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원료로 사용가능한 어류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연어, 송어 등의 연어목 연어과, 참치, 가다랭이 등의 농어목 고등어과, 방어 등의 농어목 전갱이과, 틸라피아 등의 농어목 시크리드과, 대구, 명태 등의 대구목 대구과 등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틸라피아(Tilapia)를 사용하였다.
원료로서 어류의 비늘 또는 껍질을 물로 여러 번 세척을 수행하여 냄새를 완전히 제거한다.
다음으로, 전처리가 끝낸 원료를 효소 분해 공정을 수행하여 콜라겐 펩티드 여과물을 얻는다.
효소 분해를 통해 콜라겐을 포함한 단백질이 가수분해되면 펩티드가 생성되며 이때 펩티드의 조성,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생체 기능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상기 효소 분해 공정은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효소는 그 기원이나 종류에 따라 작용하는 기질 단백질 아미노산의 위치가 다르므로 저분자화를 위해서는 단일 효소보다는 가수분해 작용 위치가 다른 다양한 효소를 2 내지 4종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는 세균 유래 단백분해효소와 곰팡이 유래 단백분해효소를 순차적으로 2차에 걸친 효소 분해 공정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실러스(Bacillus) 유래의 단백분해효소인 알칼라제(Alcalase)를 원료 1kg에 대해 0.001∼25g, 바람직하게는 10g을 사용하여 20℃∼80℃, 바람직하게는 60℃에서 3∼24시간, 바람직하게는 6시간 처리하였다. 이어서,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유래의 단백분해 효소인 수미자임(Sumizyme) AP를 원료 1kg에 대해 0.001∼25g, 바람직하게는 10g을 사용하여 20℃∼60℃, 바람직하게는 40℃에서 3∼24시간, 바람직하게는 6시간 처리하였다.
만약 상기 단백분해효소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충분한 가수분해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펩티드를 높은 함량으로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더라도 그 효과가 중량 대비하여 크게 증가하지 않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이러한 효소처리 공정을 통해 저분자화된 콜라겐 펩티드를 회수할 수 있다.
그러나 어류의 비늘이나 껍질은 선도가 저하하면 비린 냄새 같은 이상취가 되고 다음에 암모니아 냄새를 발생한다. 어류의 악취를 대표하는 성분은 트리메틸아민(trimethyl amine)류 화합물로 이 물질의 냄새 지각가능 경계농도는 0.00021 ppm으로 대단히 낮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어취 성분이 생성된다.
또한, 효소반응 중에는 고온에 의한 지방의 산패, 갈변 작용과 함께 고미를 가진 방향족 아미노산 등의 생성이 유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불순물들은 반응 후 정제공정만으로 제거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효소분해에 의해 제조된 용해성 콜라겐 펩티드의 순도를 높이고, 초기 세척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냄새, 색 등과 반응중 생성되는 불순물 제거를 위해 탈취제로서 녹차잎, 이의 추출물 또는 이의 추출 부산물을 효소와 함께 투입하였다. 이러한 녹차잎 등은 총 폴리페놀의 양이 녹차재료 g당 50mg 이상의 것이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녹차 추출물은 녹차로부터 다양한 추출 공정을 통해 유용 성분을 추출한 조성을 의미하고, 추출 부산물은 추출 후 남은 잔사를 의미한다. 상기 추출 공정은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열수추출, 실온추출, 가온추출, 초음파추출, 또는 초임계추출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녹차잎 등은 원료(어류 비늘, 껍질 등) 원료 1kg에 대해 0.01∼500g, 바람직하게는 100g을 사용한다. 만약 상기 탈취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충분한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더라도 그 효과가 중량 대비하여 크게 증가하지 않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이때 원료는 물에 현탁하며, 건조 중량 대비 5∼50%의 농도, 바람직하기로 30%의 농도로 사용한다.
다음으로,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콜라겐 펩티드 여과물을 흡착수지 및 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켜 정제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효소분해 처리로 얻어진 콜라겐 펩티드 여과물은 용해성 콜라겐 펩티드 이외에 녹차성분과 결합한 냄새, 색깔 등의 불순물 등 다양한 불순물을 함유하고 있다. 콜라겐 펩티드 순도를 높이고, 폴리페놀 등 녹차성분과 결합한 냄새, 색 등 불순물의 제거가 필요하다.
이러한 불순물은 이온교환수지, 바람직하기로 약산성 양이온교환수지, 약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 및 흡착수지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제거하고, 이때 상기 이온교환수지와 흡착수지의 순서 배치는 서로 바꾸어도 무방하다.
사용가능한 약산성 양이온교환수지, 약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 및 흡착수지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되거나 시판되는 교환수지 또는 흡착수지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흡착수지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콜라겐 펩티드 여과물의 처리는 종래와는 다른 방식으로 진행한다. 즉, 일반적인 콜라겐 펩티드는 이온교환수지에 흡착시킨 후 용출시켜 정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에서는 빠른 속도로 소량의 약산성 양이온 및 약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킴으로써 폴리페놀 등 녹차성분과 결합한 냄새, 색 등을 불순물을 흡착시킨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는 합성 흡착제로 HP20를 사용하였고, 약산성 이온교환수지로 Diaion WK60L을 사용하였고, 약염기성 이온교환수지로 Trilite AW90을 사용하였으나, 이들에 의해 종류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흡착수지는 HP20를 원료 중량 대비 1∼6배 바람직하게는 3배의 양으로 충진한 컬럼에 SV1∼SV2의 속도로 통과시키고, 약산성 및 약염기성 이온교환수지에 이온교환수지는 원료 중량 대비 각각 0.5∼2배 바람직하게는 1배의 양을 충진한 각각의 컬럼에 SV3∼SV5의 속도로 통과시킨다.
이러한 이온교환수지 및 흡착수지를 거쳐 정제된 콜라겐 펩티드는 추가로 활성탄, 활성 백토, 알루미나 등을 처리하지 않아도 냄새, 색, 맛의 제거 정도가 우수하다.
다음으로, 상기 이온교환수지 및 흡착수지를 거쳐 정제된 콜라겐 펩티드를 농축, 건조하여 회수한다.
상기 농축 및 건조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의 방법에 의한, 즉 한외여과막, 감압농축 등의 방법과 동결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법으로 회수하고, 필요한 경우 분말화 공정을 통해 분말 상태로 회수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을 거쳐 얻어진 콜라겐 펩티드는 분자량 2800 이하의 펩티드가 100 중량%, 분자량 1500 미만의 펩티드가 전체 조성 내에서 65 중량%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콜라겐 펩티드는 냄새, 색깔, 고미가 제거되고, 저분자 비율이 높아 수용성이 크게 증가하여, 의약, 식품 등 여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콜라겐 펩티드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 활성이 있어,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약학적 조성물로 적용되는 경우, 콜라겐 펩티드 이외에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로는 물,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트, 락토스, 프로필렌 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생리식염수, 덱스트로스,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있으며, 이들은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및 부형제는 모두 사용가능하다. 또한, 항비만 조성물을 약제화하는 경우,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건강 상태, 배설률, 식이, 투여시간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일례로, 본 발명의 콜라겐 펩티드는 1일 0.1 내지 100 ㎎/㎏(체중)으로 1회 이상 투여가능하다. 그러나 상기한 투여량은 예시하기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상기 범위에 한정되진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는 비만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로 적용되는 경우, 콜라겐 펩티드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식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육류, 음료수, 초콜릿,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검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주류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 제조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효소의 순차 처리 및 녹차잎을 사용한 콜라겐 펩티드의 제조
틸라피아(Tilapia) 물고기 비늘 1.0kg을 상수 10L로 세척한 후 상수 3L에 넣고 교반시켰다. 이 용액에 건조된 녹차잎 100g을 첨가한 후, 프로테아제로서 알칼라제를 10g을 가하고, 용액의 pH를 8로 조정하여 60℃에서 6시간 효소 반응을 행하였다. 여기에 다시 프로테아제로서 수미자임을 10g 첨가하고, 용액의 pH를 5로 조정하여 40℃에서 6시간 효소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용액을 90℃ 이상으로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키고, 여과보조제 20g을 첨가하여 정밀 여과를 행한 후, 미리 충진한 흡착수지(HP20)를 SV1의 속도로 통과하고, 통과액은 미리 충진한 약산성 양이온교환수지(Diaion WK60L)과 약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Trilite AW90)를 충진한 칼럼을 각각 SV3의 속도로 통과하였다. 이어 통과액을 농축한 후 분무 건조시켜 분말상 콜라겐 펩티드 조성물을 얻었다. 사용한 녹차잎의 폴리페놀 함량은 112 mg/g이었으며, 최종 제조된 콜라겐 펩티드에서는 폴리페놀이 검출되지 않았다.
비교예 1: 단일 효소처리에 의한 콜라겐 펩티드의 제조
별도로 시판하는 틸라피아(Tilapia) 비늘 유래의 시료를 콜라겐 펩티드 조성물(A)로 하였다.
통상의 방법에 의한 일반 콜라겐 펩티드의 제조는 틸라피아(Tilapia) 물고기 비늘 1.0kg을 상수 10L로 세척한 후 상수 3L에 넣고 교반시켰다. 이 용액에 프로테아제로서 알칼라제를 20g 가하고, 용액의 pH를 8로 조정하여 60℃에서 12 시간 효소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용액을 90℃ 이상으로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키고, 여과보조제 20g을 첨가하여 정밀 여과를 행한 후, 활성탄을 비늘 중량대비 5% 사용하여 불순물과 색, 냄새를 제거하였으며 이를 2회 반복하였다. 여액은 농축한 후 분무 건조시켜 분말상 콜라겐 펩티드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 효소 동시 처리를 수행한 콜라겐 펩티드의 제조
틸라피아(Tilapia) 물고기 비늘 1.0kg을 상수 10L로 세척한 후 상수 3L에 넣고 교반시켰다. 이 용액에 프로테아제로서 알칼라제를 10g을 가하고, 용액의 pH를 8로 조정하여 60℃에서 6시간 효소 반응을 행하였다. 여기에 다시 프로테아제로서 수미자임을 10g을 첨가하고, 용액의 pH를 5로 조정하여 40℃에서 6시간 효소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용액을 90℃ 이상으로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키고, 여과보조제 20g을 첨가하여 정밀 여과를 행한 후, 미리 충진한 흡착수지를 SV1의 속도로 통과하고 통과액은 미리 충진한 약산성 양이온 및 약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를 각각 SV3(2.5L/min)의 속도로 통과하고 농축한 후 분무 건조시켜 분말상 콜라겐 펩티드 조성물을 얻었다.
실험예 1: 분자량 분석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에서 얻어진 콜라겐 펩티드의 분자량을 분석하였다.
도 1은 (a) 실시예 1, (b) 비교예 1 및 (c) 비교예 2의 콜라겐 펩티드의 분자량 분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알칼라제 단독 처리의 경우 분자량이 가장 높았으며, 비교예 2의 알칼라제와 수미자임을 동시에 처리한 경우가 낮았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알칼라제 처리 후 수미자임 처리 시 순차적으로 분자량이 적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의 콜라겐 펩티드의 평균 분자량을 하기 조건에서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행하여 측정하였으며, 분자량 마커의 유지 시간에 기초하여 별도로 제조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평균 분자량을 산출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분석 조건)
칼럼: Waters Ultrahydrogel120(300ㅧ7.8 mm)
이동상: 45 % 아세토니트릴(0.1 %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함유)
유속: 0.8 ml/분
검출 파장: 220 nm
도 2는 (a) 실시예 1, (b) 비교예 1 및 (c) 비교예 2의 콜라겐 펩티드의 평균 분자량 분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실시예 1의 콜라겐 펩티드는 평균 분자량이 90∼2800의 펩티드 집합물로서, 평균분자량 1500 이하의 펩티드가 전체의 65% 이상을 차지하였다. 구체적으로, 평균분자량 850 이하의 펩티드가 28.72%, 평균분자량 850∼1500의 펩티드가 36.61%, 평균분자량 1500∼2000의 펩티드가 27.42%, 평균분자량 2000 이상의 펩티드가 7.26%였다.
이와 비교하여, 비교예 1의 콜라겐 펩티드는 평균 분자량이 160∼3600으로, 상세한 비율은 평균분자량 850 이하의 펩티드가 12.95%, 평균분자량 850∼1500의 펩티드가 25.03%, 평균분자량 1500∼2100의 펩티드가 24.45%, 평균분자량 2100 이상의 펩티드가 27.5%였다.
또한, 비교예 2의 콜라겐 펩티드는 평균 분자량이 90∼3600으로, 상세한 비율을 보면 평균분자량 850 이하의 펩티드가 14.57%, 평균분자량 850∼1500의 펩티드가 23.46%, 평균분자량 1500∼2300의 펩티드가 44.62 %, 평균분자량 2300 이상의 펩티드가 17.35%였다.
실험예 2: 성상 분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콜라겐 펩티드의 성상 및 관능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의 콜라겐 펩티드는 원료 및 비교예 1, 2에서 얻어진 콜라겐 펩티드와 품질면에서 큰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콜라겐 펩티드 조성물의 성상
구분 시료*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아미노산 함량(%) 94.7 100.5 95.6 100.0
냄새 ++++ - ++++ +
색깔 ++ - ++ +
++ - +++ +
(강도: 없음 - , 약 + <-----> 강 +++++)
*: 시판되는 틸라피아 비늘 유래 시료
실험예 3: 비만억제 효과 분석
본 발명에 의한 콜라겐 펩티드를 사용하여 체중관련 기능성에 대한 분석과 효능을 평가하였다. 이하 콜라겐 펩티드의 경구투여에 의한 비만억제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지방 식이 섭취 생쥐에 대한 콜라겐 펩티드 영향)
실험동물
ICR 암컷 생쥐 (3주령)는 ORIENT BIO Inc (Korea)로부터 구입하였고, 24℃ 에서 12시간 밤/낮 주기로 유지하였다. 구입 후 1주일 동안 환경에 적응을 시킨 후 50마리의 생쥐를 무작위로 5개 그룹으로 10마리씩 나누었다 (n=10). 생쥐에게 고지방 식이 (a high-fat diet, HFD)는 Research Diets사의 Rodent Diet with 60% kcal Fat을 사용하였다. 생쥐는 물과 먹이를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였고 먹이는 매일 신선하게 제공해 주며 섭취량을 측정하였으며, 체중은 일주일에 두 번씩 측정하였다.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생쥐에게 14주 동안 일주일에 두 번씩 식도 내 삽관 방식으로 주입하였다. 각 콜라겐 펩티드는 체중에 비례하여 100 mg/kg씩 주입하였다. 콜라겐 펩티드를 고지방 식이와 함께 섭취한 생쥐의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샘플 추출과 분석방법
실험 하루 전부터 먹이를 주지 않은 상태에서 경추탈골로 생쥐를 죽인 후 EDTA 처리된 채혈용 튜브에 혈액을 모았다. 얻어진 혈액은 4℃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한 후 사용 전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생쥐를 해부하여 간과 지방 조직을 적출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적출한 간을 1g씩 3부분으로 나눠서 액체 질소에 넣어서 얼린 후 전체 RNA와 지방을 추출하였다.
혈장의 전체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리드 양은 Enzychrome HDL 과 LDL/VLDL 분석 키트(BioAssay System)와 트리글리세리드 (GPO-Trinder) 키트(Sigma-Aldrich)를 사용하였다. 간 지방은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액을 이용하여 분리한 후 (Folch 등 1957), 2-프로판올에 녹여서 간의 전체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리드를 Enzychrome HDL 과 LDL/VLDL 분석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각 그룹 분류는 하기와 같다.
- 대조군(Control):고지방 식이 섭취 그룹
- 그룹 A: 고지방 식이 섭취 및 시료(시판하는 틸라피아 비늘 유래 시료) 주입 그룹
- 그룹 B: 고지방 식이 섭취 및 비교예 1의 콜라겐 펩티드 주입 그룹
- 그룹 C: 고지방 식이 섭취 및 비교예 2의 콜라겐 펩티드 주입 그룹
- 그룹 D: 고지방 식이 섭취 및 실시예 1의 콜라겐 펩티드 주입 그룹
(1) 생쥐의 체중비 및 사료요구율 측정
하기 표 2는 콜라겐 펩티드를 투여한 고지방식이 생쥐의 대조군에 대한 체중비, 및 사료요구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콜라겐 펩티드를 투여한 고지방식이 생쥐의 체중비 및 사료요구율
구분 대조군 그룹 A 그룹 B 그룹 C 그룹 D
체중비
(body wt, % control)
100.0±4.7 92.4±4.6 103.3±2.6 87.7±3.8 75.2±4.1
사료요구율
(food gain ratio, %)
100.0±3.8 100.5±5.6 111.4±6.2 92.1±5.7 89.1±6.5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대조군 대비 그룹 B의 경우는 체중이 증가하였고, 그룹 A, C 및 D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콜라겐 펩티드를 투여한 그룹 D의 경우 체중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사료 요구율 또한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생쥐의 복부 지방층 및 간의 중량 측정
체중 측정 후 생쥐의 간과 복부 지방층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은 콜라겐 펩티드를 투여한 고지방식이 생쥐의 복부 지방층 및 간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콜라겐 펩티드를 투여한 고지방식이 생쥐의 복부 지방층 및 간의 중량
구분 대조군 그룹 A 그룹 B 그룹 C 그룹 D
복부 지방층(adipose tissue, g) 2.42±0.52 2.30±0.61 2.21±0.38 1.98±0.32 1.38±0.26
간 중량(g) 2.37±0.18 2.19±0.21 2.25±0.16 2.17±0.24 2.18±0.20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그룹의 간의 무게는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콜라겐 펩티드를 주입한 생쥐의 경우 복부 지방층의 무게는 대조군보다 감소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콜라겐 펩티드를 투여한 그룹 D의 경우에서 가장 큰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다.
(3) 혈장 트리글리세리드 , 혈장 글리세롤, 간의 트리글리세리드의 농도를 측정
체중 측정 후 혈액을 얻어 혈장 트리글리세리드 농도와 혈장 글리세롤 농도 그리고 간의 트리글리세리드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는 콜라겐 펩티드를 투여한 고지방식이 생쥐의 혈장 트리글리세리드, 혈장 글리세롤 및 간 트리글리세리드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콜라겐 펩티드를 투여한 고지방식이 생쥐의 혈장 트리글리세리드, 혈장 글리세롤 및 간 트리글리세리드
구분 대조군 그룹 A 그룹 B 그룹 C 그룹 D
혈장 트리글리세리드 (mg/dl) 27.53±6.15 26.01±3.35 23.37±2.68 19.85±3.74 15.52±4.26
혈장 글리세롤
(mg/dl)
18.32±3.65 14.78±3.82 15.02±3.71 15.24±4.01 12.86±3.49
간 글리세롤
(mg/dl)
98.34±4.13 90.65±4.64 92.23±3.02 84.72±3.78 72.39±4.17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대조군에 비해 콜라겐 펩티드를 처리한 그룹에서 전혈 트리글리세리드와 혈장 글리세롤 및 간의 트리글리세리드 농도가 감소하였다. 각각 대조군, A, B, C, D 그룹의 혈장 트리글리세리드 농도는 27.53±6.15, 26.01±3.35, 22.37±2.68, 19.85±3.74, 15.52±4.26 mg/dl로 D 그룹이 가장 낮았다.
하기 표 5는 콜라겐 펩티드를 투여한 고지방식이 생쥐의 혈장 총 콜레스테롤, 혈장 총 LDL, 간 총 콜레스테롤 및 간 총 LDL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콜라겐 펩티드를 투여한 고지방식이 생쥐의 혈장 총 콜레스테롤, 혈장 총 LDL, 간 총 콜레스테롤 및 간 총 LDL
구분 대조군 그룹 A 그룹 B 그룹 C 그룹 D
혈장 총 콜레스테롤
(mg/dl)
265.75±6.67 253.65±11.34 259.87±17.36 223.21±10.45 190.55±11.23
간 콜레스테롤
(mg/dl)
190.72±8.43 169.65±9.12 170.12±8.21 165.55±7.25 147.37±10.43
간 LDL
(mg/dl)
12.27±2.60 11.65±3.61 10.54±0.47 9.32±2.01 9.21±3.08
혈장 LDL
(mg/dl)
50.13±4.62 49.75±2.60 49.05±5.82 43.45±4.62 40.72±5.02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각각 대조군, A, B, C, D 그룹의 혈장의 콜레스테롤농도는 265.75±6.67, 253.65±11.34, 259.87±17.36, 223.21±10.45, 190.55±11.23 mg/dl로 C, D 그룹의 생쥐에서 콜레스테롤 농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간의 콜레스테롤 농도는 각각 대조군, A, B, C, D 그룹의 순서로 190.72±8.43, 169.65±9.12, 170.12±8.21, 165.55±7.25, 147.37±10.43 mg/dl로 각 콜라겐 펩티드를 처리한 모든 그룹에서 대조군보다 감소하였다.
각 콜라겐 펩티드를 처리한 그룹의 간 및 혈장의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Lipoprotein, LDL) 농도가 감소한 것을 관찰하였는데 C, D 그룹에서 간의 LDL 농도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한 실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조된 콜라겐 펩티드를 섭취할 경우 지방대사 및 비만억제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단회 및 반복 투여 독성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 펩티드를 경구 투여 시 독성 유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단회 독성 및 4주 반복 투여 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단회 독성은 6주령 웅성 ICR 생쥐 각 6마리를 한 군으로 하여 실시예 1의 콜라겐 펩티드 수용액을 경구로 1,000∼5,000mg/kg체중으로 단회 투여 후 2주간 생존 여부를 살피고 실험동물을 안락사 후 부검을 통해 장기 이상 소견을 관찰하였다. 모든 농도의 투여군에서 사망한 동물은 없었고 장기 이상 소견도 발견되지 않아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하루 한 번 28일간 반복 투여하면서 체중변화, 일반 증상 및 생존 여부를 살피고 실험동물을 안락사 후 부검을 통해 장기이상 소견을 관찰하였다. 모든 농도의 투여군에서 사망한 동물은 없었고 장기 이상 소견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콜라겐 펩티드를 함유한 조성물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이들 제제예 및 제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통상의 산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1의 콜라겐 펩티드 300mg, 유당 100mg, 및 탈크 10m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1의 콜라겐 펩티드인 5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1의 콜라겐 펩티드인 5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1의 콜라겐 펩티드인 50 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및 pH 조절제 적량을 혼합하여 1 앰플당 (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1의 콜라겐 펩티드 100mg, 이성화당 10g, 만니톨 5g을 정제수에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1: 건강음료
멸균하여 준비한 1000 ml 정제수에 실시예 1의 콜라겐 펩티드 0.1g을 첨가한 다음, 여기에 구연산 1g과 유자과육농축액 1g, 올리고당 100g을 첨가하여 60분간 85℃에서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보관하였다. 제조된 건강음료의 pH는 3.5, 당도는 9%였다.
제형요 2: 청량음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콜라겐 펩티드는 0.1g을 사이다와 같은 소프트 음료 시럽 1000ml에 용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제형요 3: 스포츠 음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콜라겐 펩티드는 0.1g을 스포츠 드링크(상품명: 포카리스웨트) 1000ml에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Claims (11)

  1. 어류의 비늘 또는 껍질을 포함하는 원료를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와 함께 녹차잎, 이의 추출물 또는 이의 추출 부산물을 첨가하여 효소 분해 공정을 수행 후 여과하여 콜라겐 펩티드 여과물을 얻는 단계;
    상기 콜라겐 펩티드 여과물을 흡착수지 및 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켜 정제하는 단계; 및
    농축, 건조하여 콜라겐 펩티드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는 연어목 연어과, 농어목 고등어과, 농어목 전갱이과, 농어목 시크리드과, 대구목 대구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 분해 공정은 작용부위가 다른 세균성 단백분해효소와 곰팡이성 단백분해효소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2차에 걸친 효소 분해 공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성 단백분해효소는 알칼라제(Alcalase)이고, 곰팡이성 단백분해효소는 수미자임(Sumizy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 분해 공정시 원료 1kg에 대해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0.001∼50g, 녹차잎, 이의 추출물 또는 이의 추출 부산물은 0.01∼500g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 분해 공정은 20℃∼80℃에서 6∼48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약산성 이온교환수지 및 약염기성 이온교환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 펩티드 여과물은 흡착수지를 SV1∼SV2, 이온교환수지를 SV3∼SV5의 속도로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의 제조방법.
  9. 평균분자량이 90∼2800이며, 이때 평균분자량 1500 이하의 펩티드가 전체 조성 내에서 65 중량%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
  10. 제9항의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11. 제9항의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20064957A 2012-06-18 2012-06-18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415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957A KR101415225B1 (ko) 2012-06-18 2012-06-18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957A KR101415225B1 (ko) 2012-06-18 2012-06-18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877A true KR20130141877A (ko) 2013-12-27
KR101415225B1 KR101415225B1 (ko) 2014-07-04

Family

ID=49985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957A KR101415225B1 (ko) 2012-06-18 2012-06-18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22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3920A (zh) * 2014-12-05 2015-04-29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鳀鱼干粉调味料的制备方法
WO2016076647A1 (ko) * 2014-11-13 2016-05-19 아미코젠주식회사 콜라겐 분해효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콜라겐 트리펩타이드의 제조방법
CN106632605A (zh) * 2016-12-22 2017-05-10 浙江海洋大学 利用金枪鱼下脚料制备的具有肝损伤修复作用的活性肽
CN109735591A (zh) * 2019-03-14 2019-05-10 舜甫科技(固安)有限公司 一种牛骨胶原蛋白肽及其生产方法
KR20190141365A (ko) * 2018-06-14 2019-12-24 김구환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2047A (ko) * 2019-06-27 2021-01-0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삼치가수분해물의 항노화 효과 및 삼치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001780A (ko)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리앤씨바이오 나노콜라겐펩타이드 킬레이트 칼슘 및 그의 제조방법
CN112724245A (zh) * 2021-02-04 2021-04-30 海南华研胶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鱼鳞酶解提取小分子胶原蛋白肽的方法
CN117466993A (zh) * 2023-12-28 2024-01-30 山东鑫日海食品有限公司 深海鱼胶原蛋白肽的膜过滤提纯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369B1 (ko) * 2020-05-19 2021-01-19 주식회사 뷰티콜라겐 이취와 점도가 개선된 콜라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4440A (ja) * 2006-03-27 2007-10-04 Ihara Suisan Kk 脂質代謝調節剤及び脂質代謝調節食品
KR101020312B1 (ko) * 2008-04-07 2011-03-08 주식회사 키토라이프 어류비늘 콜라겐펩타이드의 제조방법
KR101071338B1 (ko) * 2008-07-07 2011-10-07 샘표식품 주식회사 해양 생물 유래 콜라겐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콜라겐 펩타이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647A1 (ko) * 2014-11-13 2016-05-19 아미코젠주식회사 콜라겐 분해효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콜라겐 트리펩타이드의 제조방법
CN104543920A (zh) * 2014-12-05 2015-04-29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鳀鱼干粉调味料的制备方法
CN106632605A (zh) * 2016-12-22 2017-05-10 浙江海洋大学 利用金枪鱼下脚料制备的具有肝损伤修复作用的活性肽
CN106632605B (zh) * 2016-12-22 2020-06-16 浙江海洋大学 利用金枪鱼下脚料制备的具有肝损伤修复作用的活性肽
KR20190141365A (ko) * 2018-06-14 2019-12-24 김구환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9735591A (zh) * 2019-03-14 2019-05-10 舜甫科技(固安)有限公司 一种牛骨胶原蛋白肽及其生产方法
CN109735591B (zh) * 2019-03-14 2020-11-10 舜甫科技(固安)有限公司 一种牛骨胶原蛋白肽及其生产方法
KR20210002047A (ko) * 2019-06-27 2021-01-0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삼치가수분해물의 항노화 효과 및 삼치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001780A (ko)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리앤씨바이오 나노콜라겐펩타이드 킬레이트 칼슘 및 그의 제조방법
CN112724245A (zh) * 2021-02-04 2021-04-30 海南华研胶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鱼鳞酶解提取小分子胶原蛋白肽的方法
CN117466993A (zh) * 2023-12-28 2024-01-30 山东鑫日海食品有限公司 深海鱼胶原蛋白肽的膜过滤提纯方法
CN117466993B (zh) * 2023-12-28 2024-03-08 山东鑫日海食品有限公司 深海鱼胶原蛋白肽的膜过滤提纯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225B1 (ko) 201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225B1 (ko)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Nirmal et al. Valorization of fish byproducts: sources to end‐product applications of bioactive protein hydrolysate
JP4470212B2 (ja) 皮膚改善剤
JP4738856B2 (ja) N−アセチルグルコサミン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20079964A (ko) 발효 콜라겐 펩타이드 제조 방법
CN104159912A (zh) 二肽基肽酶iv抑制剂
WO2009035169A1 (ja) 血圧上昇抑制作用を有するぺプチド
JPWO2016163245A1 (ja) 筋肉細胞におけるエネルギー代謝活性化剤
KR101566036B1 (ko)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34436A (ko) 홍어 껍질 유래 젤라틴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WO2021100614A1 (ja) 大豆ペプチド及び/又はコラーゲンペプチド含有神経心理学的機能改善剤
KR20200048049A (ko) 서양종꿀벌의 수번데기를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JP5654290B2 (ja) アンジオテンシン変換酵素阻害ペプチ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110470A (ko)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JP6369951B2 (ja) ジペプチジルペプチダーゼ−iv阻害剤
WO2005099486A1 (ja) バナバ抽出物の調製方法
JP2020518572A (ja) 抗酸化及び抗高血圧効果を有するヒラメ練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46997B1 (ko) 황태 가수분해물, 2차 가수분해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활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JP7089044B2 (ja) 骨粗しょう症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US20090263356A1 (en) Anti-angiogenic composition comprising grain-derived component as active ingredient
US20220330595A1 (e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blood pressure-lowering agent, and beverages and food products
JP6083085B2 (ja) アンジオテンシン変換酵素阻害剤およびその用途
KR101629517B1 (ko) 경구 조성물
KR101489734B1 (ko) 발아 검은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JP6826726B2 (ja) 糖取り込み促進用経口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