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470A -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470A
KR20230110470A KR1020230091066A KR20230091066A KR20230110470A KR 20230110470 A KR20230110470 A KR 20230110470A KR 1020230091066 A KR1020230091066 A KR 1020230091066A KR 20230091066 A KR20230091066 A KR 20230091066A KR 20230110470 A KR20230110470 A KR 20230110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ible insect
hydrolyzate
fraction
edible
hyper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1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상
강민철
장혜원
용해인
김범근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230091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0470A/ko
Publication of KR20230110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47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23L5/32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using phonon wave energy, e.g. sound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2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8Ultrasonic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혈압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고혈압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독성이 없으므로 식품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ypertension containing edible insects hydrolysates and fractions thereof}
본 발명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고혈압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혈압(hypertension)은 여러번 측정한 혈압평균치가 수축기 혈압이 140 mmHg 이상, 확장기 혈압이 90 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인간의 생리적 활동 중 인공적으로 혈압이 상승하는 것으로 현대인의 건강에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 가지 이유에 의해 발생되는 것보다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혈압이 상승하는 것을 일차성 고혈압(primary hypertension) 혹은 본태성 고혈압(essential hypertension)이라 부른다. 그리고 주변 환경에 의해 고혈압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유전적인 원인에 의해 혈압이 상승하기도 하는데 이것을 이차성 고혈압(secondary hypertension)이라고 부른다.
혈압 상승의 중요한 기전인 renin-angiotensin system(RAS)에 있어 중요한 효소인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은 angiotensin Ⅰ(AngI)을 angiotension Ⅱ(AngII)로 전환하는 효소로서 전환된 AngII가 AngII type 1(AT1) receptor에 작용하여 혈관을 수축시키고 알도스테론의 분비를 증가시켜 혈압을 상승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AngII는 NADH/NADPH 산화효소계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활성산소종 및 질소종의 생성을 증가시켜 내피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 유발, 저밀도 지단백질 등의 산화를 통한 혈관의 염증반응을 유도한다(Am J. Cardiol. 2003, 91(12A)).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는 합성 화학물질이나 합성 펩타이드들인데, 합성 화학물질과 합성 펩타이드는 대량합성으로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이 유용하지만, 가려움(itching), 두통(headache), 심계 항진(tachycardia), 흉통(chest pain), 허약(weakness)과 같은 부작용 현상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들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한편, 식용곤충은 육류에 비해 단백질 함유량이 평균 2배 이상 높으며 무기질, 필수 및 비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지방의 대부분이 수용성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어 곤충이 함유하고 있는 영양성분이 인체에 쉽게 흡수될 수 있어 축산물에서 얻어지는 단백질의 대체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인간이 곤충을 먹기 시작한 것은 인류가 탄생한 시기와 같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중국, 태국, 일본, 남아프리카 공화국, 멕시코, 잠비아 등 전 세계 20억 명에 달하는 인구가 대략 1900여종의 식용곤충을 음식으로 섭취한다고 알려져 있다. 2003년 이후 유엔농업식량기구(FAO)는 전세계 국가와 긴밀하게 협의하여 식용곤충식의 확대와 개발 필요성에 대해 끊임없이 홍보하고 있으며, 네덜란드, 영국, 미국, 일본 등 많은 나라들이 식용곤충 식 활성화에 참여하고 있으며, 특히 CNN, TIME지 등의 보도매체를 통해 그간 식용곤충에 부정적이었던 서구권에서도 식용곤충의 식용화에 눈을 돌리고 있다.
따라서, 식용곤충을 이용하여 고혈압에 효과적인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148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6650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고혈압을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고혈압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고혈압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고혈압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동물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혈압을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은 식용곤충을 초음파로 추출한 추출물을 가수분해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용곤충 초음파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하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용매는 20 내지 99.5 부피%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식용곤충 초음파 추출물은 50 내지 700 W 파워의 초음파기로 10 내지 60분 동안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처리 시 추출온도는 20 내지 85 ℃일 수 있다.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은 플라보르자임(Flavourzyme), 알칼라아제(Alcalase), 프로테아제(Protease), 뉴트라아제(Neutrase) 또는 이들의 혼합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효소로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상등액을 분자량에 따라 분획하였을 때, 5 kDa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식용곤충은 메뚜기 목, 딱정벌레 목 및 나비 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식용곤충은 장수풍뎅이 유충(Allomyrina dichotoma, AD), 흰점박이꽃무지 유충(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PB),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 Mistshenko) 및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혈압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은 식용곤충을 초음파로 추출한 추출물을 가수분해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은 플라보르자임(Flavourzyme), 알칼라아제(Alcalase), 프로테아제(Protease), 뉴트라아제(Neutrase) 또는 이들의 혼합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효소로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상등액을 분자량에 따라 분획하였을 때, 5 kDa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 분획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혈압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사료 조성물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혈압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동물용 약학 조성물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독성이 없으며, 고혈압에 대한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매우 뛰어나 경쟁력 있는 식품 조성물 및 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은 독성이 없으므로 사료 조성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고혈압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혈압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은 식용곤충을 초음파로 추출한 추출물을 가수분해한 것이다.
상기 식용곤충 초음파 추출물은 식용곤충을 추출용매 하에서 초음파처리하여 추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식용곤충과 추출용매가 1 : 5 내지 2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0 내지 2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20 내지 50 kHz,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kHz의 진동수 및 50 내지 700 W,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400 W 파워의 초음파기로 20 내지 85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하에서 5 내지 30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분 동안 처리된다.
식용곤충을 추출 시 초음파 추출이 아니라 열수 추출, 에탄올 등의 알코올 추출인 경우에는 유효성분이 소량 추출될 뿐만 아니라 고혈압에 대한 효능이 저하되거나 없을 수 있다.
상기 식용곤충과 추출용매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추출물에 식용곤충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초음파기의 진동수 및 파워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고혈압에 대한 효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유효성분 외에 다른 물질도 다량으로 추출되어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고혈압에 대한 효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독성물질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에틸렌글리콜, 에틸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다. 상기 저급알코올로는 20 내지 99 부피%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수용액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저장기간 및 관능성을 위하여 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은 상기 식용곤충 초음파 추출물을 플라보르자임(Flavourzyme), 알칼라아제(Alcalase), 프로테아제(Protease), 뉴트라아제(Neutrase) 또는 이들의 혼합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효소로 30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하에서 10 내지 30시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시간 동안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효소 처리물이다.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은 그대로 또는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은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물이나 유기용매에 의한 추출물을 극성이 서로 다른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분획물, 분자량에 따라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 또는 이들 분획물의 겔 여과 분획물을 의미한다. 상기 유기용매는 에탄올을 포함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으며, 겔 여과시 용출 용매는 물 또는 상기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은 분자량에 따라 분획하여 얻어진 것으로서, 분자량이 5 kDa 미만인 것이 고혈압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 분자량이 5 kDa 이상인 경우에는 고혈압에 대한 효과가 메우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용곤충은 메뚜기 목, 딱정벌레 목 및 나비 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장수풍뎅이 유충(Allomyrina dichotoma, AD), 흰점박이꽃무지 유충(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PB),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 Mistshenko) 및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수풍뎅이 유충(Allomyrina dichotoma, AD) 또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PB)일 수 있다.
상기 장수풍뎅이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장수풍뎅이과(Family Dynastidae)에 속하는 곤충으로 장수풍뎅이의 애벌레인 장수애가 간질환에 효과가 있다는 민간요법이 알려지면서 이를 건강보조용 약재로 이용하는 예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장수풍뎅이에서 분리한 단백질이 세균에 대해 강한 활성 억제를 보이며, 장수풍뎅이에서 추출한 렉틴은 강력한 항암능력을 보여 항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고, 사염화탄소로 간독성을 유발한 쥐에 대한 간 보호 효과를 확인한 논문이 보고되었다.
또한,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동의보감'에 의하면 사람의 간에서 비롯되는 질병 즉, 간암, 간경화, 간염, 누적된 피로 해소 등을 포함하여 시력 감퇴, 백내장, 악성종기, 구내염, 파상풍, 중풍 등의 성인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적혀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기 용매를 이용하여 얼레지에 포함된 성분을 추출한 추출물, 이들로부터 분획한 분획물, 이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추가적으로 농축한 농축물, 이를 정제 또는 분리한 정제물도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 분획물, 농축물 또는 정제물을 건조한 건조물 또는 그를 분쇄한 분말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얼레지 추출물 이외에, 식품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기재된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식품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식품첨가물을 포함한다.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은 단당류,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 예를 들어 말토스, 설탕, 유당 등; 올리고당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물엿, 사이클로덱스트린 등; 당알코올, 예를 들어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은 고혈압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함량이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0.1 내지 99 중량%, 0.5 내지 95 중량%, 1 내지 90 중량%, 2 내지 80 중량%, 3 내지 70 중량%, 4 내지 60 중량%,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은 섭취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유무나 정도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들 들어 1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mg,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일 수 있고, 투여 횟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1일 3회 내지 1주일에 1회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엑스제, 젤리 제형, 티백 제형 또는 음료 제형일 수 있다.
또한 일반 식품에 고혈압의 예방 또는 개선의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첨가할 수 있으며, 첨가가 가능한 식품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식품위생법 제7조에 따른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예시된 과자류, 빵 또는 떡류, 코코아가공품류 또는 초콜릿류, 식육 또는 알가공품, 어육가공품, 두부류 또는 묵류, 면류, 다류, 커피,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장류, 조미식품, 드레싱류, 김치류, 젓갈류, 절임식품, 조림식품, 주류, 건포류, 기타 식품류 등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축산물위생관리법 제4조에 따른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축산물공전')에 예시된 유가공품, 식육가공품 및 포장육, 알가공품에 첨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은 단독으로 "고혈압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법적 기준에 따라 제조(가공을 포함)한 식품(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호)을 말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국가마다 용어나 범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미국의 '식이 보충제(Dietary Supplement)', 유럽의 '식품 보충제(Food Supplemnet)', 일본의 '보건기능식품' 또는 '특정보건용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중국의 '보건식품'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따른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과 함께 "고혈압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는 '기능성 원료'로 고시된 원료 또는 개별인정된 원료로서, 정어리펩타이드, 가쯔오부시올리고펩타이드, 카제인가수분해물, 올리브잎 추출물, 연어 펩타이드 등의 혈압과 관련된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복합하여 고혈압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이외에,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기재된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식품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식품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고,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또는 식품첨가물이 아니더라도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 별표 1의 단미사료의 범위에 해당하는 원료, 별표 2의 보조사료의 범위에 해당하는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에 따른 보조사료 중 추출제일 수 있고, 상기 보조사료를 포함하는 배합사료일 수 있다.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은 고혈압의 예방 또는 개선을 나타내는 함량이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0.1 내지 99 중량%, 0.5 내지 95 중량%, 1 내지 90 중량%, 2 내지 80 중량%, 3 내지 70 중량%, 4 내지 60 중량%,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은 섭취 동물의 상태, 체중, 질병의 유무나 정도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들 들어 1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mg,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일 수 있고, 투여 횟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1일 3회 내지 1주일에 1회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고혈압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동물용 의약 제조를 위한 얼레지 추출물의 신규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유효성분으로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이외에, 약학 조성물 등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이다. 상기 '희석제'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이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유당, 포도당, 설탕,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사용량은 환자 또는 치료대상 동물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치료대상 개체의 상태, 치료 대상 질환의 특정한 카테고리 또는 종류, 투여 경로, 사용되는 치료제의 속성에 의존적일 것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배설속도, 환자 또는 치료대상 동물의 연령 및 체중,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1일 0.1 내지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 mg/kg,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형화된 단위 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개별적으로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트로키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설탕 또는 유당,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혈압의 치료방법은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 특히 포유동물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고혈압을 가진 치료대상 개체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이다.
상기 고혈압을 가진 치료대상 개체 여부는,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치료를 위한 투여량, 투여 방법 및 투여 횟수는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투여량, 투여 방법 및 투여 횟수를 참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알칼라아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초음파 추출물
흰점박이꽃무지 유충과 물을 1 : 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초음파기(JAC Ultrasinic, Hwaseng, Korea)에 투입 후 70 ℃ 하에서 초음파(40 kHz, 200 W)를 이용하여 30분 동안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1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함으로써 흰점박이꽃무지 초음파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 가수분해물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초음파 추출물에 알칼레이즈(Alcalase 2.4L FG, Novozyme Nordisk, Bagsvaerd, Denmark)의 최적 활성 조건(pH 8.0, 50 ℃)에서 1%(w/w)의 기질 대 효소비로 24시간 동안 효소 가수분해를 수행하였다. 가수분해 반응 후 효소 불활성화를 위해 100 ℃에서 10분간 끓이고, 원심분리(3,500 rpm, 10분) 및 감압여과를 수행하여 상층액을 분리한 후 이를 동결건조하여 흰점박이꽃무지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알칼라아제+5 kDa 미만
흰점박이꽃무지 분획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흰점박이꽃무지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분획 분자량(molecular weight cut-off, MWCO)이 5 kDa인 한외여과막으로 4 ℃에서 분획을 수행하여 분자량이 5 kDa 미만인 흰점박이꽃무지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플라보르자임+5 kDa 미만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흰점박이꽃무지 가수분해물을 제조 시 알칼레이즈 대신 플라보르자임(최적 활성 조건: pH 7.0, 50 ℃)을 사용하여 흰점박이꽃무지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뉴트라아제+5 kDa 미만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흰점박이꽃무지 가수분해물을 제조 시 알칼레이즈 대신 뉴트라아제(최적 활성 조건: pH 6.0, 40 ℃)을 사용하여 흰점박이꽃무지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주정추출+알칼라아제+5 kDa 미만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초음파 추출 시 주정을 사용하여 수득한 흰점박이꽃무지 초음파 추출물을 이용하여 흰점박이꽃무지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장수풍뎅이 유충_물+알칼라아제+5 kDa 미만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대신 장수풍뎅이 유충을 사용하여 장수풍뎅이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장수풍뎅이 유충_주정+알칼라아제+5 kDa 미만
상기 실시예 6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초음파 추출 시 주정을 사용하여 수득한 장수풍뎅이 초음파 추출물을 이용하여 장수풍뎅이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추출 시 열수 추출_알칼라아제+5 kDa 미만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흰점박이꽃무지 초음파 추출물 대신 흰점박이꽃무지 열수 추출물을 사용하여 흰점박이꽃무지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열수 추출물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과 물을 1 : 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 ℃ 하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초음파 추출 생략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초음파 추출을 생략하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바로 가수분해하여 흰점박이꽃무지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알칼라아제+10 kDa 초과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10 kDa인 한외여과막으로 4 ℃에서 분획을 수행하여 분자량이 10 kDa 초과인 흰점박이꽃무지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알칼라아제+5-10 kDa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5 kDa 및 10 kDa인 한외여과막으로 4 ℃에서 분획을 수행하여 분자량이 5-10 kDa인 흰점박이꽃무지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밀웜 유충_물+알칼라아제+5 kDa 미만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대신 밀웜 유충을 사용하여 밀웜 유충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밀웜 유충_주정+알칼라아제+5 kDa 미만
상기 비교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초음파 추출 시 주정을 사용하여 수득한 밀웜 초음파 추출물을 이용하여 밀웜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누에 번데기_물+알칼라아제+5 kDa 미만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대신 누에 번데기를 사용하여 누에 번데기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누에 번데기_주정+알칼라아제+5 kDa 미만
상기 비교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초음파 추출 시 주정을 사용하여 수득한 누에 번데기 초음파 추출물을 이용하여 누에 번데기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대조군으로는 정어리 물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1. ACE 저해활성 평가 및 단백질 함량
1-1. ACE 저해활성: ACE kit-WST (Dojindo Inc., Japan)를 사용하였으며,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시료 용액 50 μL에 ACE 조효소액 50 μL를 가한 다음 37 ℃에서 5분간 예비반응을 시킨 후, 기질 50 μL를 가하고 다시 37 ℃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다음 1 N HCl 150 μ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750 μL의 ethyl acetate를 가한 후, 1분간 교반하고 원심분리(4 ℃, 5,000 rpm, 10 min)한 다음 500 μL의 상등액을 얻었다. 이 상등액을 120 ℃에서 30분간 완전히 건조시켜 2 mL의 methanol을 넣은 후 228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로는 추출용매 50 μL를 가하여 측정하였다.
[수학식 1]
ACE inhibition(%)=[1- (CAbs-SAbs)/(CAbs-BAbs) ]X100
CAbs: 대조구 흡광도, SAbs: 시료 흡광도, BAbs: 시료 무첨가구의 흡광도
1-2. 단백질 함량: 단백질 함량은 브래드퍼드(Bradford Protein Assay)으로 측정하였다.
구분 ACE억제 활성(%) 단백질 함량(ug/ml)
38.43 ug/ml 76.87 ug/ml 153.75 ug/ml 307.5 ug/ml 615.0 ug/ml
대조군 84.2 90.1 94.8 95.2 95.5 442.75
실시예 1 55.4 62.7 79.5 84.7 84.1 216.33
실시예 2 54.8 79.3 91.2 95.9 89.7 434.50
실시예 3 55.7 68.1 88.1 91.5 93.5 331.00
실시예 4 63.5 85.2 90.7 94.8 95.0 15.66
실시예 5 59.5 81.4 92.8 96.4 97.5 455.92
실시예 6 51.8 72.5 83.5 91.4 92.0 421.27
실시예 7 56.5 79.5 93.2 96.8 97.3 447.82
비교예 1 53.3 57.2 62.1 68.5 61.5 116.33
비교예 2 48.1 51.5 55.6 50.8 49.1 220.47
비교예 3 52.2 58.9 67.5 77.4 73.3 307.48
비교예 4 51.1 60.4 70.5 78.9 75.3 310.61
비교예 5 31.1 50.6 58.4 63.5 66.7 169.54
비교예 6 35.5 53.8 62.5 66.8 69.9 207.16
비교예 7 28.2 42.1 49.4 56.6 61.4 135.56
비교예 8 30.4 35.7 42.0 49.1 54.8 162.4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7에 따라 제조된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분획물은 비교예 1 내지 8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ACE 제해활성이 우수하므로 고혈압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밀웜 유충과 누에 번데기를 이용한 비교예 5 내지 8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및 장수풍뎅이 유충을 이용한 실시예에 비하여 ACE 제해활성이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DPPH 라디칼 소거능(DSA) 측정
2,2-diphenyl-1- 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을 통해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DPPH는 비교적 안정한 프리 라디칼로써 ascorbic acid, tocopherol등에 의해 환원되어 짙은 자색이 탈색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간단히 측정할 수 있다. 시료를 희석하고 희석한 시료 0.25 mL와 0.1 M DPPH 1.25 mL를 혼합한 후 실온에서 20분간 암실 보관한 다음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ascorbic acid(CAS 50-81-7, Sigma, USA)를 이용하였고, 시료와 동일한 조건으로 진행하였다. 라디칼 소거능은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2]
라디칼 소거활성(%)=[1-(시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X100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
라디칼 소거능(%) 73.09 80.46 78.18 77.17 84.55 79.72 82.76 -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라디칼 소거능(%) 45.11 40.06 50.06 53.15 31.1 35.2 30.7 32.8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7에 따라 제조된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분획물은 비교예 1 내지 8에 비하여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밀웜 유충과 누에 번데기를 이용한 비교예 5 내지 8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및 장수풍뎅이 유충을 이용한 실시예에 비하여 항산화 효과가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항알러지 측정_IgE/BSA
비만 세포의 분리 및 배양
6~8주령의 C57/BL6 마우스를 경추탈골로 희생시킨 뒤, 대퇴부를 절단하여 골수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였고,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는 골수 세포는 10% PWM-SCM (pokeweed mitogen-stimulated spleen cell-conditioned medium) 및 0.2% 2-ME (mercaptoethanol, sigma, USA)가 첨가 된 α-MEM 배지(10% FBS, 1% penicillin-streptomycin)에서 배양되었다. 4~5주 동안 주 1회 계대배양하였고, 비만세포(bone marrow cultured mast cells, BMCMCs)가 90% 이상으로 분화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BMCMCs의 생존율
BMCMCs에 대한 곤충 추출물이 세포독성을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BMCMCs를96 well plate에 2X104 cells로 분주하고 곤충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후, 15 μl의 MTT solution(AMRESCO,USA, 5 mg/ml)을 각 well에 첨가하여 incubator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한 뒤, 100 μl의 DMSO solution(50% DMSO, 10% SDS, pH 7.4)을 처리하여 형성된 formazan 침전물을 용해시키고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ader기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존율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계산하였다.
[수학식 2]
생존율(%) = 살아있는 세포 수/(살아있는 세포 수+죽어있는 세포 수)X100
구분 15.6 ug/ml 31.3 ug/ml 62.5 ug/ml
실시예 1 95.8 96.7 95.9
실시예 2 95.9 96.9 97.8
실시예 3 95.7 94.9 95.8
실시예 4 96.4 95.8 96.2
실시예 5 97.8 96.2 97.5
실시예 6 95.9 96.9 96.8
실시예 7 94.9 95.9 96.2
비교예 1 68.9 70.5 61.5
비교예 2 65.2 66.8 67.8
비교예 3 88.1 88.5 89.3
비교예 4 87.2 89.2 88.6
비교예 5 87.5 89.2 88.5
비교예 6 89.2 90.2 88.1
비교예 7 85.4 89.3 91.5
비교예 8 86.5 88.1 90.1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7에 따라 제조된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분획물, 비교예 3 내지 8은 BMCMCs 에서 독성이 나타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BMCMCs에서 분비되는 β-hexosaminidase 분비량에 대한 억제 효과 측정
탈과립현상의 지표물질인 β-hexosaminidase의 분비량에 대한 곤충 추출물의 효능을 확인하였다. BMCMCs (2X105 cells)에 곤충 추출물을 처리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켰고, anti-DNP-IgE (1 ug/ml)를 처리하였다. 1시간 후, 0.1% BSA-Tyroide's buffer 500 μl를 가하여 반응시킨 후 상층액을 분리하였고, 세포에 0.5% triton 100-Tyroide's buffer 50 μl를 처리하여 반응액을 분리하였다. 상층액과 반응액을각각 β-hexosaminidase의 기질인 substrate buffer(4-p-nitrophenyl-N-acetyl-β-D-glucosaminide 1.3 mg/ml, 0.1 M sodium citrate, pH 4.5)와 혼합하여 37 ℃에서 40분 동안 반응시켰고 각 well당 0.2 M glycine(pH 10.7)을 처리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뒤, ELISA reader기를 이용하여 405 nm의 파장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15.6 ug/ml 31.3 ug/ml 62.5 ug/ml
-/- 4.9
+/+ 15.0
실시예 1 15.0 10.1 6.1
실시예 2 10.2 5.9 3.0
실시예 3 11.5 7.8 5.1
실시예 4 11.3 6.7 4.7
실시예 5 11.0 6.3 4.0
실시예 6 7.2 10.1 5.8
실시예 7 11.1 8.1 10.2
비교예 1 15.0 14.1 13.2
비교예 2 15.0 15.0 13.9
비교예 3 15.0 13.2 11.7
비교예 4 15.0 13.4 11.1
비교예 5 15.0 13.1 12.9
비교예 6 13.5 12.0 11.4
비교예 7 15.0 14.2 14.0
비교예 8 15.0 13.6 13.1
IgE에 의해 유도된 비만 세포는 외부 항원 자극을 받으면 알러지 및 염증 매개성 물질인 히스타민, β-hexosaminidase가 분비되어 알러지를 유도하게 되는데, 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7에 따라 제조된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분획물은 비교예 1 내지 8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β-hexosaminidase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이는 실시예 1 내지 7의 가수분해물 또는 분획물이 항알러지 효능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체적으로 주정 추출물을 사용한 군이 물 추출물을 사용한 군에 비하여 β-hexosaminidase 억제 효능이 우수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5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3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6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4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8: 사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2의 추출물 분말 0.1 kg, 옥수수 25.5 kg, 소맥 15.04 kg, 소맥분 8.15 kg, 미강 7.4 kg, 대두박 18 kg, 옥구르텐 1kg, 닭부산물 14 kg, 동물성유지 9 kg, 가공염 0.3 kg, 인산제삼칼슘 0.3 kg, 석회석 1 kg, 염화콜린 0.01 kg, 비타민 0.05 kg, 미네랄 0.05 kg 및 소화효소제 0.1 kg을 혼합하여 동물(개, 애완견)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Claims (5)

  1.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상등액을 분자량에 따라 분획하였을 때, 5 kDa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 분획물이며,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은 장수풍뎅이 유충(Allomyrina dichotoma, AD) 또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PB)을 초음파로 추출한 초음파 추출물을 뉴트라아제(Neutrase)로 가수분해한 것이고, 상기 식용곤충을 초음파로 추출 시 20 내지 99.5 부피%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수용액 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곤충 초음파 추출물은 50 내지 700 W 파워의 초음파기로 10 내지 60분 동안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처리 시 추출온도는 20 내지 8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4.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상등액을 분자량에 따라 분획하였을 때, 5 kDa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 분획물이며,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은 장수풍뎅이 유충(Allomyrina dichotoma, AD) 또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PB)을 초음파로 추출한 초음파 추출물을 뉴트라아제(Neutrase)로 가수분해한 것이고, 상기 식용곤충을 초음파로 추출 시 20 내지 99.5 부피%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수용액 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은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상등액을 분자량에 따라 분획하였을 때, 5 kDa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 분획물이며,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은 장수풍뎅이 유충(Allomyrina dichotoma, AD) 또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PB)을 초음파로 추출한 초음파 추출물을 뉴트라아제(Neutrase)로 가수분해한 것이고, 상기 식용곤충을 초음파로 추출 시 20 내지 99.5 부피%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수용액 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KR1020230091066A 2020-11-25 2023-07-13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KR20230110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066A KR20230110470A (ko) 2020-11-25 2023-07-13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706A KR20220072915A (ko) 2020-11-25 2020-11-25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KR1020230091066A KR20230110470A (ko) 2020-11-25 2023-07-13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706A Division KR20220072915A (ko) 2020-11-25 2020-11-25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470A true KR20230110470A (ko) 2023-07-24

Family

ID=819834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706A KR20220072915A (ko) 2020-11-25 2020-11-25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KR1020230091066A KR20230110470A (ko) 2020-11-25 2023-07-13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706A KR20220072915A (ko) 2020-11-25 2020-11-25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729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774A (ko) * 2022-06-21 2023-12-29 주식회사 파미르바이오 누에 또는 곤충을 이용한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858B1 (ko) 2017-03-02 2018-11-0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의 단백 가수분해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66503B1 (ko) 2016-11-16 2019-04-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mealworm) 유충의 단백 가수분해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간 보호용 및 스트레스 감소용 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503B1 (ko) 2016-11-16 2019-04-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mealworm) 유충의 단백 가수분해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간 보호용 및 스트레스 감소용 식품 조성물
KR101914858B1 (ko) 2017-03-02 2018-11-0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의 단백 가수분해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915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2705A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705548B1 (ko)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JP2018510910A (ja) 水溶性イガイ抽出物
KR101434465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eml-cap3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항균 및 항진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178926B1 (ko) 발효 태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 또는 항피로 조성물과 그의 용도
WO2011016220A1 (ja) ジペプチジルペプチダーゼ-4阻害剤
KR20070121639A (ko) 계란유래의 뼈 강화 조성물
JP5594819B2 (ja) 脂質代謝改善用組成物
KR20230110470A (ko)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KR101612051B1 (ko)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5007640A1 (ja) ウィルス感染症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AU2018338277B2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energy consumption
JPWO2004112817A1 (ja) セリ科植物由来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18968B1 (ko) CHP(cyclo(His-Pro))를 고농도로 함유한 대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혈당 조절용 조성물
JP6661597B2 (j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
KR102461788B1 (ko) 누에동충하초(눈꽃동충하초)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2252955B1 (ko) 돈태반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돈태반 가수분해물 및 간 보호용 조성물
JP2018513211A (ja) 水溶性パウア抽出物
JP2009084191A (ja) 食欲抑制用薬理組成物
KR20210003994A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연잎 유래 효소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75184A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가수분해물 유래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고혈압 식품 조성물
KR102173591B1 (ko) 효소처리 로얄젤리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168761A (ko) 알팔파 새싹 가수분해물 또는 이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US20240050487A1 (en) Immuno-potentiating enzymatic extract of deer antler that excellently enhances activity of immune cell including nk cell
KR102253996B1 (ko) 광어 가수분해물 유래의 펩티드를 포함하는 항고혈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