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365A -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365A
KR20190141365A KR1020180068023A KR20180068023A KR20190141365A KR 20190141365 A KR20190141365 A KR 20190141365A KR 1020180068023 A KR1020180068023 A KR 1020180068023A KR 20180068023 A KR20180068023 A KR 20180068023A KR 20190141365 A KR20190141365 A KR 20190141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actobacillus
promoting
lactic acid
neovascula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405B1 (ko
Inventor
김구환
한호재
Original Assignee
김구환
한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구환, 한호재 filed Critical 김구환
Priority to KR1020180068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405B1/ko
Publication of KR20190141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9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ermat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닭발 유래 콜라겐 저분자 펩티드와 황태발효추출물을 1 : 1의 중량비로 조성되는 유효성분을 함유하며, 상기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경구투여에 의해 포유동물 특히 개, 고양이 등 반려동물의 신생혈관 생성 및 피부상처 치유에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for promoting formation of new blood vessel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피부상처의 치유 및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생혈관은 상처치유(wound healing), 생리복구(menstrual restoration), 조혈작용(hematopoiesis) 및 종양성장과 같은 넓은 범위의 병리생리학적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상처치유는 일반적으로, 염증, 증식 및 재형성의 3가지 단계를 수반하는 복잡한 과정이다. 첫 번째 단계는 지혈을 달성하기 위한 응고(clotting), 세균 및 괴사조직을 파괴하기 위한 호중구의 보충, 그 이후에 대식세포의 보충을 수반하며, 두 번째 단계 동안, 혈관신생(angiogenesis)이 발생하고, 이때 내피세포가 상처 부위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섬유아세포가 상처 부위로 이동하여 육아 조직을 생산하는데 도움을 준다. 육아 조직의 형성은 재상피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며. 최종단계 동안, 콜라겐 생산과 파괴의 수준이 균등해지고, 치유된 상처는 최대강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천천히 변경된다.
그리고 콜라겐은 동물성 기원의 섬유상 구조단백질로 척추 및 무척추 동물의 총 단백질 중 30%를 차지하고 3중 나선구조를 이루며, 주로 피부, 뼈, 치아, 유기물질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피부조직에 있어서 콜라겐은 진피층의 세포 간 기질을 채우고 있으며, 노화에 의한 주름 생성 및 탄력 저하 등 피부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의약품, 화장품 및 식품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항 피부 노화 및 피부 탄력 개선, 관절염 예방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상기 콜라겐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을 예로 들면, 특허문헌1에 식품, 화장품 또는 약학 조성물의 원료가 되는 어류 유래 발효 콜라겐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문헌2에 콜라겐 펩티드에 엘라스틴 단백질, 히알루론산 및 비타민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콜라겐 펩티드는 콜라겐 트리펩티드를 콜라겐 펩티드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95 중량% 함유하고,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내 콜라겐 합성 촉진, 피부 광노화 억제, 피부 보습 증가, 피부내 콜라겐 펩티드의 생체 잔존율 향상, 및 세포 손상 회복력 증가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또 특허문헌3에는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고 주름을 개선하며 보습 증진에 도움을 주는 콜라겐과 히아루론산을 포함하는 천연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특허문헌4에는 쌀 및 콩 효소식품(enzyme food) 및, 콜라겐(collage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성 조갑(nail)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콜라겐 내지 저분자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피부 노화에 의한 주름 생성 및 탄력 저하 등 피부상태를 개선하는 기술이며, 피부의 상처치유(wound healing)의 과정에서 신생혈관 생성과 관련하여 콜라겐의 활용가능성에 대해서는 어떠한 시사도 없고, 아무런 관련이 없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콜라겐 저분자 펩티드와 황태발효추출물이 피부의 상처치유(wound healing)와 관련된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1254403 B KR 10-1393403 B KR 10-1842752 B KR 10-1850770 B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세하게는 피부상처의 치유 및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인 콜라겐 유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닭발 유래 저분자 콜라겐 함유 조성물의 최적화에 따라 반복적인 경구투여에 의해 피부상처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인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은 닭발 유래 콜라겐 저분자 펩티드와 황태발효추출물을 1 : 1의 중량비로 조성되는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다른 측면은 닭발을 효소로 분해하여 얻어지는 콜라겐 저분자 펩티드와 황태를 발효하여 얻어지는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닭발 유래 콜라겐 저분자 펩티드와 황태발효추출물을 1 : 1의 중량비로 조성되는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특히, 개, 고양이 등 반려동물의 피부상처 치유용 약학조성물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닭발 유래 콜라겐 저분자 펩티드와 황태발효추출물을 1 : 1의 중량비로 조성되는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영양제 조성물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달성을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정선된 닭발을 100∼125℃, 1 ∼ 2.5기압의 조건에서 고압증기로 멸균시킨 다음, 멸균된 닭발을 탄산수소칼슘[Ca(HCO3)2]으로 분해시킨 후 지방을 제거하고 농축하여 농축된 산분해물을 얻는 제 1단계공정, b). 상기 제 1단계공정의 농축된 산분해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닭발로부터 콜라겐 저분자 펩티드를 얻는 제 2단계공정, c). 정선된 황태를 100∼125℃, 1 ∼ 2.5기압의 조건에서 고압증기로 멸균시킨 다음, 멸균된 황태를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황태 발효추출물을 얻는 제 3단계공정 및 d). 상기 제 2단계공정에서 얻은 콜라겐 저분자 펩티드와 상기 제 3단계공정에서 얻은 황태발효추출물을 1 : 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 4단계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은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이며 또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은 최적화에 따라 반복적 경구투여에 의해 피부상처의 치유에 효과적인 특징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피부상처 치유에 효과적인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은 개, 고양이 등 반려동물을 키우는 애완동물 마니아 및 수의사 등 전문가 그룹들에게 애완동물의 피부상처 치유를 위해 보다 유리하게 대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에 대하여 HPLC 분석에 의한 아미노산 조성 및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2 내지 도 6는 <시험예 1>의 피부상처 치유 효과에 대한 상처크기 영상물
도 7은 <시험예 1>의 피부상처 치유 효과에 대한 비교 도표
도 8은 <시험예 2>의 신생혈관 생성 효과에 대한 혈관면적 영상물
도 9는 <시험예 2>의 신생혈관 생성 효과에 대한 혈관면적 비교 도표
도 10은 <시험예 2>의 혈관 신생인자 단백질 발현 비교 도표
도 11은 <시험예 3>의 혈액검사(CBC)에 대한 혈액성상 비교도표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제적인 내용과 실시예(제조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아래 기재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인 유효성분으로는 닭발 유래 콜라겐 저분자 펩티드와 황태발효추출물이 1 : 1의 중량비로 조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닭발 유래 콜라겐 저분자 펩티드는 닭발을 산분해, 구체적으로는 탄산수소칼슘[Ca(HCO3)2]으로 분해시킨 후 분해물로부터 지방을 분리하여 제거하고 농축한 분해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얻어지며, 황태발효추출물은 황태를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황태는 통상적으로 한 겨울철에 명태를 일교차가 큰 장소에서 차가운 바람을 맞으며 얼고 녹기를 스무번 이상 반복해서 말린 시판하는 황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명태를 1차적으로 온도 -30∼-15℃에서 냉동 내지 저온으로 6 ~ 12시간 유지 한 후 -5 ∼ 10℃에서 3 ~ 6시간 유지하면서 해동시킨 다음, 2차적으로 -20 ∼ -10℃에서 냉동 내지 저온으로 6 ~ 12시간 유지한 후 -5∼ 15℃에서 3 ~ 6시간 유지하면서 해동시키는고, 3차적으로 -15 ∼ -10℃에서 냉동 내지 저온으로 6 ~ 12시간 유지한 후, -5 ∼ 20℃에서 3 ~ 6시간 유지하면서 해동시킨 다음, 마지막으로 실내에서 함수율 5 ~ 10%가 되게 건조 숙성하여 제조한 황태가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 및 해동공정인 1 차 ~ 3차 공정을 순차적으로2회 반복하여 황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외 콜라겐 저분자 펩티드의 체내 흡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바타민C가 추가로 조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포유동물의 피부상처 치유용 약학조성물은 상기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며, 포유동물, 특히 개, 고양이 등 반려동물의 경구투여 방법에 의해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상처 치유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약학조성물은 성견을 기준으로 하여 투여량은 10㎖/Kg을 일일 1 ~ 수회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과 혼합하여 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경구투여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영양제 조성물 역시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혼합하여 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으로 제조하여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a). 제 1단계공정은 정선된 닭발을 산분해 하여 농축된 산분해물을 얻는 공정이며, 정선된 닭발을 100∼125℃, 1 ∼ 2.5기압의 조건에서 고압증기로 멸균시킨 다음, 탄산수소칼슘[Ca(HCO3)2]으로 분해시킨 후 분해물로부터 지방을 분리하여 제거하고 농축하여 농축된 산분해물을 얻는다.
상기 농축된 산분해물을 얻는 과정은 멸균된 닭발에 물과 함께 60 ~ 100℃에서 중탕하면서 탄산수소칼슘[Ca(HCO3)2]을 첨가하여 분해시키며, 2 ~ 3일 정도 중탕하는 과정에서 지방을 수시로 제거하여 농축된 산분해물을 얻는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b). 제 2단계공정은 농축된 산분해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콜라겐 저분자 펩티드를 얻는 공정이며, 상기 발효에 선택되는 유산균주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lus),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이지애(Saccaromyces Cerevisiae),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으로부터 선택되는 2이상의 혼합 유산균주가 선택되며, 38 ~ 42℃의 온도에서 2 ~ 3일간 발효시킨 후 발효물로부터 콜라겐 저분자 펩티드를 얻는다.
상기 제 2단계공정에서 얻어지는 콜라겐 저분자 펩티드는 분자량 1,500Da. 이하의 저분자 콜라겐이며, 체내 흡수율이 높아 본 발명에 따른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하는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적합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c). 제 3단계공정은 황태발효추출물을 얻는 공정이며, 정선된 황태를 100∼125℃, 1 ∼ 2.5기압의 조건에서 고압증기로 멸균시킨 다음, 멸균된 황태를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후 발효물로부터 황태발효추출물을 얻으며, 발효에 선택되는 유산균주은 상기 제 2단계공정에서 산분해물을 발효시키는 유산균과 동일하며, 구체적으로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이지애,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으로부터 선택되는 2이상의 혼합 유산균주가 선택되며, 38 ~ 42℃의 온도에서 2 ~ 3일간 발효시켜 황태발효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d). 제 4단계공정은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인 유효성분이 함유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며, 상기 제 2단계공정에서 얻은 콜라겐 저분자 펩티드와 상기 제 3단계공정에서 얻은 황태발효추출물을 1 : 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조하며, 필요에 따라 콜라겐 체내 흡수를 높이는 비타민C가 조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 4공정에서 얻어진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영양제 조성물은 약학적 내지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내지 부형제 등을 포함하며, 경구투여용 과립제, 환제, 캡슐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a). 제 1단계공정(닭발로부터 농축된 산분해물 제조)
시중에서 구입한 닭발을 세척하고 닭발로부터 발톱과 비늘 등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고압열수를 분사하여 세척하여 정선된 닭발을 준비한다.
미리 준비된 중탕솥에 상기 정선된 닭발 15㎏을 투입하고 120℃로 가열하면서 2기압하에 30분간 증기로 멸균한 후, 중탕솥에 식용수를 닭발의 1.5배정도 투입한 다음 상압에서 가열하여 끓으면, 탄산수소칼슘[Ca(HCO3)2] 10g을 투입하고, 중간불로 가열하면서 중탕한다. 중탕과정에 지방을 수시로 제거하고, 물이 증발하여 줄어들면 보충하면서 3일간 중탕하여 농축된 산분해물을 얻었다.
b). 제 2단계공정(산분해물의 유산균발효로 콜라겐 저분자 팹티드 제조)
상기에서 수득한 산분해물 10㎏에 바실러스 서브틸러스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이지애로 조성된 혼합균주 20g을 접종하고 3일간 발효시켜 닭발 유래 콜라겐 저분자 팹티드를 제조하였다.
c). 제 3단계공정(황태발효추출물 제조)
황태을 세척하면서 내장과 이물질 등을 분리하고 일정크기로 절단하고 고압열수를 분사하여 세척한 정선한 황태 10㎏을 준비한다.
미리 준비된 중탕솥에 상기 정선된 황태를 투입하고 120℃로 가열하면서 2기압하에 30분간 증기로 멸균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다음 바실러스 서브틸러스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이지애로 조성된 혼합균주 20g을 접종하고 38℃에서 3일간 발효시켜 발효물을 채로 걸러 이물질 등을 분리 제거하고 황태 발효추출물을 얻었다.
d). 제 4단계공정(조성물 제조)
상기 제 2단계공정에서 얻은 닭발 유래 콜라겐 저분자 팹티드와 상기 제3단계공정에서 얻은 황태 발효추출물을 중량비로 1 : 1의 비율로 조합하여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인 유효성분이 함유된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에 대하여 HPLC 분석에 의한 아미노산 조성 및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를 [도 1]로 나타내었다.
<동물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의 신생혈관 생성 및 피부상처의 치유 효과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시험하였다.
1). 동물 및 피부상처 모델
한림실험동물연구소를 통하여 ICR Mouse (25 ~ 30g) 수컷을 구입하고, 동물들은 사료와 식수를 자유롭게 공급받고 온도와 빛이 조절되는 사육장(23±2℃, 12/12h light/dark cycle with lights on at 08:00)에서 실험시작 3일 전부터 적응시켰다.
피부상처 모델은 마취상태에서 등쪽 피부를 제모 후, 멸균된 biopsy punch로 등쪽 두 군데에 동그란 상처를 내고, 피부 절개 부위에 실리콘 링을 대고 수술용 실로 피부에 고정시킨 후, 상처부위에 Tegaderm을 붙여 2차 감염을 방지하였다.
2). 본 발명의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의 투여방법
본 발명의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10㎕/g)을 경구투여방법으로 마우스용 존대를 사용하여 위 내로 주입하였으며. 수술 14일 전 조성물 투여를 시작하여 매일 2회(09:00 AM, 18:00 PM), 수술 후 10일까지 투여하였다.
<시험예 1>. 피부상처 치유 효과
본 발명의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의 경구투여에 대한 피부상처 치유 효과의 확인을 위하여 수술 후 0, 3, 6, 9, 10일째에 상기 실험동물을 N2O/O2gas와 함께 3% isoflurane으로 호흡마취 한 후, 디지털 카메라 (Canon, Tokyo, Japan)를 사용하여 같은 위치에서 상처를 촬영하고 [도 2] 내지 [도 6]로 나타내었으며, 상처크기는 Image J software progra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0 ~ 9일째의 상처 크기는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0일째 영양제를 경구투여한 그룹은 대조군에 비하여 상처 크기가 유의적으로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신생혈관 생성효과
a). 혈관면적 측정
수술 후 10일째에 마우스를 안락사 시킨 후 피부를 샘플링하여 4% paraformaldehyde(PFA)로 실온에서 2시간 고정하였다. 그리고 20% sucrose in PBS에 조직을 옮겨 4시간 상온에 둔 후, 30% sucrose in PBS에 옮겨 1일 냉장 보관하였다. 피부조직을 O.C.T.로 얼리고 cryostat를 이용하여 10μm 두께로 자른 후 SuperFrost Plus slides 위에 올려 말린다. 4% PFA에 5분 고정시킨 후 Haematoxylin 과 Eosin 용액에 차례로 담가 염색시켜 cover glass를 올린 후 Eclipse upright microscope (Nikon, Melville, NY, USA)로 영상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도 8]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b). 피부의 상처조직 내의 혈관신생인자 단백질 발현
피부조직을 homogenizer와 Branson Sonifier를 이용하여 용해시키고 15,000 rpm, 4°C 에서 40분간 원심분리한다. BCA protein assay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고, SDS-PAGE를 이용해 단백질을 분리시킨다. 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에 단백질을 옮겨 5% skim milk에 40분동안 blocking하고, 1차 항체로 rabbit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tibody (1:1000 희석, Santa Cruz)와 rabbit anti-collagen antibody (1:2000 희석. Thermo)를 사용하여 4°C에서 overnight 반응시킨다. 다음날 HRP-conjugated secondary antibodies를 상온에서 4시간 반응시킨 후 ChemiDoc™ XRS+ System (Bio-Rad, Hercules, CA, USA)를 이용하여 영상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의 경구투여 한 그룹은 대조군에 비하여 혈관면적과 혈관생성인자의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혈액검사(complete blood cell count; CBC)
Mouse의 혈액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술 후 10일째 혈액 샘플을 추출하여 혈액검사(CBC)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같이 CBC 항목 가운데 WBC, MCV, MCH, MCHC, PLT는 본 발명에 따른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의 경구투여 그룹이 대조군에 비하여 그룹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RBC. HGB, HCT는 영양제의 경구투여 그룹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상기 <시험예 1> 내지 <시험예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의 경구투여에 의해 신생혈관 생성 효과 및 피부상처의 치유효과가 대조군에 비하여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이 피부상처 치유에 효과적인 약학조성물 및 영양제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은 것을 예측할 수 있으며, 특히 개, 고양이 등 반려동물을 키우는 애완동물 마니아 및 수의사 등 전문가 그룹들에게 애완동물의 신생혈관 생성 및 피부상처 치유를 위해 보다 유리하게 대처할 수 있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Claims (9)

  1. 닭발 유래 콜라겐 저분자 펩티드와 황태발효추출물이 1 : 1의 중량비로 조성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닭발 유래 콜라겐 저분자 펩티드는 닭발을 탄산수소칼슘[Ca(HCO3)2] 분해 및 유산균 발효로부터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황태발효추출물은 황태를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유산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lus),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이지애(Saccaromyces Cerevisiae),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으로부터 선택되는 2이상의 혼합 유산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피부상처 치유용 약학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유산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lus),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이지애(Saccaromyces Cerevisiae),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으로부터 선택되는 2이상의 혼합 유산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피부상처 치유용 약학조성물.
  7. a). 정선된 닭발을 100∼125℃, 1 ∼ 2.5기압의 조건에서 고압증기로 멸균시킨 다음, 멸균된 닭발을 탄산수소칼슘[Ca(HCO3)2]으로 분해시킨 후 지방을 제거하고 농축하여 농축된 산분해물을 얻는 제 1단계공정,
    b). 상기 제 1단계공정의 농축된 산분해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닭발로부터 콜라겐 저분자 펩티드를 얻는 제 2단계공정,
    c). 정선된 황태를 100∼125℃, 1 ∼ 2.5기압의 조건에서 고압증기로 멸균시킨 다음, 멸균된 황태를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황태발효추출물을 얻는 제 3단계공정 및
    d). 상기 제 2단계공정에서 얻은 콜라겐 저분자 펩티드와 상기 제 3단계공정에서 얻은 황태발효추출물을 1 : 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 4단계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 2단계공정과 제 3단계공정의 유산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lus),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이지애(Saccaromyces Cerevisiae),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으로부터 선택되는 2이상의 혼합 유산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 4단계공정에 추가하여 부형제를 배합하여 과립제, 환제, 정제, 캡슐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하는 제 5단계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068023A 2018-06-14 2018-06-14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44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023A KR102144405B1 (ko) 2018-06-14 2018-06-14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023A KR102144405B1 (ko) 2018-06-14 2018-06-14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365A true KR20190141365A (ko) 2019-12-24
KR102144405B1 KR102144405B1 (ko) 2020-08-12

Family

ID=6900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023A KR102144405B1 (ko) 2018-06-14 2018-06-14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40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403B1 (ko) 2011-01-06 2013-04-15 샘표식품 주식회사 발효 콜라겐 펩타이드 제조 방법
KR20130141877A (ko) * 2012-06-18 2013-12-27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393403B1 (ko) 2008-08-27 2014-05-14 (주)아모레퍼시픽 콜라겐 펩티드를 함유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0968A (ko) * 2016-05-20 2017-11-29 주식회사 미싹바이오 저분자 콜라겐 펩티드 및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180005052A (ko) * 2016-07-05 2018-01-15 농업회사법인자연건강주식회사 닭발 콜라겐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50770B1 (ko) 2017-09-14 2018-04-2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소 식품 및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여성 손톱 개선용 조성물
KR101842752B1 (ko) 2015-12-11 2018-05-14 (주)엠앤씨생명과학 콜라겐과 히아루론산을 포함하는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403B1 (ko) 2008-08-27 2014-05-14 (주)아모레퍼시픽 콜라겐 펩티드를 함유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254403B1 (ko) 2011-01-06 2013-04-15 샘표식품 주식회사 발효 콜라겐 펩타이드 제조 방법
KR20130141877A (ko) * 2012-06-18 2013-12-27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842752B1 (ko) 2015-12-11 2018-05-14 (주)엠앤씨생명과학 콜라겐과 히아루론산을 포함하는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0968A (ko) * 2016-05-20 2017-11-29 주식회사 미싹바이오 저분자 콜라겐 펩티드 및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180005052A (ko) * 2016-07-05 2018-01-15 농업회사법인자연건강주식회사 닭발 콜라겐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50770B1 (ko) 2017-09-14 2018-04-2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소 식품 및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여성 손톱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Sci Food Agric 2011; 91: 2173-217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405B1 (ko)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213B1 (ko) 저분자 콜라겐 펩티드 및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1289507B (zh) 一种胶原蛋白及胶原多肽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0455294C (zh) 鸡胚胎素的制备方法
CN101063161A (zh) 一种胶原蛋白和硫酸软骨素的联产工艺
KR20100080972A (ko) 나무수액 발효물과 그 이용방법.
KR101685189B1 (ko) 전복을 이용한 콜라겐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TW202031275A (zh) 促進皮膚創傷癒合之醫藥組成物及其用途
JP2010202578A (ja) 皮膚改善剤、血管機能改善剤、並びにこれらを含む医薬組成物、食品、飼料及び化粧品
CN110368347A (zh) 一种抗衰修复双层双色精华素及其制备方法
KR20190141365A (ko) 신생혈관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602682A (zh) 一种多肽及其应用
WO2019235292A1 (ja) 肥厚性瘢痕の形成抑制用組成物
CN107278721A (zh) 防治“红阳”猕猴桃树溃疡病的方法
CN110935003B (zh) 促进皮肤损伤修复的生物多肽组合物
KR101115510B1 (ko) 저온에서 액상으로 효소 추출하는 누에 등의 효소 분해 추출물의 추출방법
RU2456016C2 (ru) Ранозаживляюще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ран у больных сахарным диабетом
CN1535620A (zh) 一种全蚕粉保健食品制备方法
KR101618726B1 (ko) 명태껍질로부터 엘라스틴을 포함하는 단백질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CN114557447A (zh) 一种复合营养品及其制备方法
KR102033214B1 (ko) 소화 흡수 촉진으로 아토피에 유효한 식품 첨가제, 그 제조방법과 이를 첨가한 식품
WO2015166312A1 (en) Production methodology of hydrolyzed collagen using swiftlet nest as raw material
CN105734102B (zh) 胶原蛋白肽的制备方法
KR102625435B1 (ko)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멀꿀 발효물과 이를 이용한 골밀도 개선, 뼈 성장촉진, 키 성장촉진 또는 관절건강증진용 조성물
CN114712481B (zh) 一种复合植物源多肽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702549B (zh) 一种具有抗氧化作用的活性六肽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