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065A - 가드 부재 및 적층체 - Google Patents

가드 부재 및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065A
KR20130135065A KR1020130051686A KR20130051686A KR20130135065A KR 20130135065 A KR20130135065 A KR 20130135065A KR 1020130051686 A KR1020130051686 A KR 1020130051686A KR 20130051686 A KR20130051686 A KR 20130051686A KR 20130135065 A KR20130135065 A KR 20130135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laminated body
baby carriage
guard member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5821B1 (ko
Inventor
마사시 다니자키
다케시 데라우치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5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4Safety guards for children, e.g.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가드 부재(40)는, 유모차(10)의 폭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간해서 당해 유모차(10)에 부착된 한 쌍의 부착부(40a)와, 한 쌍의 부착부 사이를 뻗는 가드부(40b)를 갖는다. 가드 부재는, 적어도 가드부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적층체로서, 심재(60)와, 심재의 한쪽 측에 설치된 제 1 외재(71)와, 심재의 다른 쪽 측에 설치된 제 2 외재(72)를 포함하는 적층체(50)를 갖는다. 적층체는, 가드부를 구성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가드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내에서 양단부가 되는 위치에서, 압축된 상태로 일체화하고 있다.

Description

가드 부재 및 적층체{GUARD MEMBER AND LAMINATED BODY}
본 발명은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뻗도록 해서 당해 유모차에 부착된 가드 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드 부재를 가진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JP06-037052U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많은 유모차에 있어서,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뻗는 가드 부재(가드 아암(guard arm)이라고도 부름)가, 유모차에 착석(着座)한 유유아의 전방(前方)이 되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이 가드 부재에는, 유모차의 주행시에 있어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목적이나, 접이 동작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관점에서, 어느 정도의 강도, 유연성, 쿠션성 등의 여러가지 특성이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요망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근래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드 부재도 사용되고 있다. 도 8에 나타난 가드 부재(100)는, 외장용 직물(99)과, 외장용 직물(99) 내에 배치된 다수의 직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9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적층체(91)는, 폴리프로필렌 벨트(93) 및 2매의 폴리프로필렌 시트(94)로 이루어지는 심재(芯材)(92)와, 심재(92)의 양 외방(外方)에 포개진 발포 소재(96)를 갖고 있다. 또한, 각 발포 소재(96)는 보호 직물(97)에 의해 덮여 있다.
도 8에 나타난 종래의 가드 부재에 의하면, 각 층의 특성을 조정함으로써, 가드 부재에 원하는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다수의 층의 위치 어긋남에 기인해서 가드 부재가 기대된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심재를 이루는 폴리프로필렌 벨트 및 2매의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꿰매어 붙이고(예를 들면, 봉제 라인(L1)), 또한 한 쌍의 외장재도 심재를 포위하도록 양단부를 꿰매어 붙일(예를 들면, 봉제 라인(L2)) 필요가 생긴다. 따라서, 단지 적층체의 부품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봉제를 수반하는 작업성의 문제로,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되었다.
또한, 가드 부재의 적층체는, 통상의 상태에 있어서 곡면을 따라 뻗는다. 따라서, 외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도 곡면을 따르도록, 가드 부재가, 삼차원적인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봉제를 수반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가드 부재에 일정한 삼차원 형상을 안정되게 부여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높은 자유도로 설계된 원하는 형상을 안정되게 확보하면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가드 부재, 및, 이 가드 부재를 가진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 부재는,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간해서 당해 유모차에 부착되는 한 쌍의 부착부와, 상기 한 쌍의 부착부 사이를 뻗는 가드부를 갖는 가드 부재로서,
적어도 상기 가드부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적층체이며, 심재와, 상기 심재의 한쪽 측에 설치된 제 1 외재(外材)와, 상기 심재의 다른 쪽 측에 설치된 제 2 외재를 포함하는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체는, 상기 가드부를 구성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가드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내에서 양단부가 되는 위치에서, 압축된 상태로 일체화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상기 가드부를 구성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가드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내에서 양단부가 되는 위치에서, 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화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재 및 상기 심재는, 상기 양단부가 되는 위치 이외에서도 서로 접합되고, 상기 제 2 외재 및 상기 심재는, 상기 양단부가 되는 위치 이외에서도 서로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층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상기 적층체의 적층 방향에 직교하는 면을 중심으로 해서 비대칭인 층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웃하는 2개의 층은, 서로 접촉하고 있는 영역에서 서로 접합되어, 상기 적층체가 일체화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 부재가,
상기 제 1 외재의 상기 심재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에 접합된 제 1 표면 직물과,
상기 제 2 외재의 상기 심재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에 접합된 제 2 표면 직물을 더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주연부(周緣部)가 되는 둘레 형상의 영역에서, 압축된 상태로 일체화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 부재가, 상기 부착부를 구성하는 유지 부재이며 상기 유모차에 부착되는 한 쌍의 유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는, 상기 부착부를 구성하여, 각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당해 단부는, 압축된 상태로 일체화하고 있는 부위여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 부재가,
상기 부착부를 구성해서 상기 유모차에 고정되는 한쪽의 단부를 가진 제 1 부재와,
상기 부착부를 구성해서 상기 유모차에 고정되는 한쪽의 단부를 가진 제 2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의 다른 쪽의 단부와 상기 제 2 부재의 다른 쪽의 단부를 개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적층체로 이루어지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주연부가 되는 둘레 형상의 영역에서, 압축된 상태로 일체화하고 있고, 상기 적층체의 상기 유모차에 고정되는 한쪽의 단부는, 압축된 상태로 일체화하고 있는 부위여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주연부가 되는 둘레 형상의 영역에서, 압축된 상태로 일체화하고 있고, 상기 적층체의 상기 연결구에 연결되는 다른 쪽의 단부는, 압축된 상태로 일체화하고 있는 부위여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적층체로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제 2 부재가 상기 적층체로 이루어지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 부재가, 상기 일체화하고 있는 단부에 꿰매어 붙여진 단부 직물을 더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 부재가, 상기 적층체를 덮는 외장재를 더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가드 부재는,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간해서 당해 유모차에 부착되는 한 쌍의 부착부와, 상기 한 쌍의 부착부 사이를 뻗는 가드부를 갖는 가드 부재로서,
열 프레스에 의해 일체화하고 있는 적층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가드 부재는,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간해서 당해 유모차에 부착되는 한 쌍의 부착부와, 상기 한 쌍의 부착부 사이를 뻗는 가드부를 갖는 가드 부재로서,
상기 부착부를 구성하며 상기 유모차에 고정되는 한쪽의 단부를 가진 제 1 부재와,
상기 부착부를 구성하며 상기 유모차에 고정되는 한쪽의 단부를 가진 제 2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의 다른 쪽의 단부와 상기 제 2 부재의 다른 쪽의 단부를 개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가드 부재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는,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간해서 당해 유모차에 부착되는 한 쌍의 부착부와, 상기 한 쌍의 부착부 사이를 뻗는 가드부를 갖는 가드 부재에 이용되어, 적어도 상기 가드부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적층체로서,
심재와, 상기 심재의 한쪽 측에 설치된 제 1 외재와, 상기 심재의 다른 쪽 측에 설치된 제 2 외재를 포함하는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체는, 상기 가드부를 구성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가드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내에서 양단부가 되는 위치에서, 압축된 상태로 일체화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적층체는,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간해서 당해 유모차에 부착되는 한 쌍의 부착부와, 상기 한 쌍의 부착부 사이를 뻗는 가드부를 갖는 가드 부재에 이용되어, 적어도 상기 가드부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적층체로서,
열 프레스에 의해 일체화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 부재의 제조 방법은,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뻗도록 해서 상기 유모차에 부착되는 가드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의 양단부에 유지 부재를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뻗도록 해서 상기 유모차에 부착되는 가드 부재에 이용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자유도로 설계된 형상을 가짐과 함께 안정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가드 부재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유모차 및 가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유지 부재를 분해한 상태에서 가드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가드 부재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3의 IV―IV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가드 부재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가드 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유모차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가드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건 명세서에 첨부하는 도면에 있어서는, 도시(圖示)와 이해의 용이함의 편의상, 적절히 축척 및 종횡의 치수비 등을, 실물 자체로부터 변경해서 과장하고 있다.
도 1∼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 및 가드 부재의 일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에는, 유모차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1에 나타난 유모차(10)는, 한 쌍 전각(前脚)(22) 및 한 쌍의 후각(後脚)(24)을 갖는 프레임부(15)와, 프레임부(15)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수동 핸들(13)을 갖는 유모차 본체(11)를 구비하고 있다. 유모차 본체(11)의 각 전각(22)의 하단에는, 전차륜(前車輪)(23)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각 후각(24)의 하단에는, 후차륜(後車輪)(25)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유모차(10)에서는, 핸들(13)을 프레임부(15)에 대하여 요동시킴으로써, 조작자(보호자)가 유유아의 배면측에서 핸들(13)을 파지해서 유모차(10)를 조종하고, 유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주행시키는 것(도 1의 상태, 및, 도 2의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 및, 조작자가 유유아와 대면하는 전각 측의 위치에서 핸들(13)을 파지해서 유모차(10)를 조종하여, 유모차(10)의 후각 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도록 해서 유모차(10)를 주행시키는 것(도 2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의 양쪽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핸들(13)은,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대면 밀기 위치와, 도 2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배면 밀기 위치에 해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핸들(13)을 프레임부(15)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은, 기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모차(10)는 널리 보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JP2008-254688A에 개시되어 있듯이, 접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유모차(10)는 이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유모차 본체(11)(유모차(1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뻗는 횡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해서 대략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부(15)는,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전각(22)과,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후각(24)과,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아암레스트(armrest)(28)와,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제 1 링크재(26)를 갖고 있다. 전각(22)의 상방(上方) 단부는,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아암레스트(28)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각(24)의 상방 단부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아암레스트(28)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링크재(26)의 상방 부분이,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아암레스트(28)의 후방(後方)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프레임부(15)는, 좌측 전각(22)과 좌측 제 1 링크재(26)를 연결하는 좌측 제 2 링크재(18), 및, 우측 전각(22)과 우측 제 1 링크재(26)를 연결하는 우측 제 2 링크재(18)를 더 갖고 있다. 각 제 2 링크재(18)는, 그 전방 부분이 전각(22)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방 부분이 제 1 링크재(26)의 하방(下方)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부(15)는, 좌측 후각(24)과 좌측 제 1 링크재(26)를 연결하는 좌측 제 3 링크재(16), 및, 우측 후각(24)과 우측 제 1 링크재(26)를 연결하는 우측 제 3 링크재(16)를 더 갖고 있다. 각 제 3 링크재(16)는, 그 일부분에 있어서 후각(24)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부분에 있어서 제 1 링크재(26)의 하방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15)에 대하여, 핸들(13)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핸들(13)은, U자의 양단부를 대응하는 측의 제 3 링크재(16)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배면 밀기 위치에 있는 핸들(13)은, 아암레스트(28) 또는 제 1 링크재(26)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게 된다. 또한, 핸들(13)의 제 3 링크재(16)에 대한 회동 축선(요동 중심)은, 제 3 링크재(16)와 제 1 링크재(26)의 회동 축선, 및, 제 1 링크재(26)와 제 2 링크재(18)의 회동 축선과 일치하고 있어도 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의 횡방향(폭방향)으로 뻗는 부재로서, 한 쌍의 전각(22) 사이를 연결하는 풋레스트(footrest)(17)와, 한 쌍의 후각(24)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연결 부재(1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아암레스트(28)에는, 가드 부재(40)가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가드 부재(4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상과 같은 전체 구성을 가진 유모차(10)는, 각 구성 부재를 서로 회동시킴으로써 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면 밀기 위치에 배치된 핸들(13)을 일단 후(後) 상방으로 끌어올리고, 그 후에 하방으로 밀어 내림으로써, 제 3 링크재(16)를 후각(24)에 대해 도 2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조작에 수반하여, 아암레스트(28) 및 제 2 링크재(18)는 제 1 링크재(26)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측면에서 볼 때 핸들(13)과 전각(22)이 접근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됨과 함께, 핸들(13)의 배치 위치가 내려가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유모차(10)를 접을 수 있고, 유모차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유모차(10)를 접힌 상태로부터 전개(展開)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접이 조작과 반대의 순서를 밟으면 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에 대한 「전」, 「후」, 「상」 및 「하」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및 「하」를 의미한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좌하(左下)와 우상(右上)을 연결하는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승차한 유유아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하측이 유모차(10) 의 전측(前側)이 된다. 한편, 유모차(10)의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으로 직교함과 함께 유모차(10)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접지면이 수평면일 경우, 「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횡방향」이란 폭방향이며,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어느 쪽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다음으로, 가드 부재(4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드 부재(40)는 가드 아암이라고도 불리며, 유모차(10)의 폭방향으로 뻗도록 해서 유모차 본체(11)의 한 쌍의 아암레스트(28)에 부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드 부재(40)는 유모차(10)의 폭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간해서 당해 유모차(10)에 부착되는 한 쌍의 부착부(40a)와, 한 쌍의 부착부(40a) 사이를 뻗는 가드부(40b)를 갖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우측의 부착부(40a)가 우측의 아암레스트(28)에 부착되고, 좌측의 부착부(40b)가 좌측의 아암레스트(28)에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가드 부재(40)는, 우측의 아암레스트(28)에 부착된 우측의 유지 부재(41)와, 좌측의 아암레스트(28)에 부착된 좌측의 유지 부재(41)와, 한 쌍의 유지 부재(41) 사이를 뻗는 적층체(50)를 갖고 있다. 적층체(50)는,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를 대응하는 측의 유지 부재(41)에 유지하고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부착부(40a)는 한 쌍인 유지 부재(41) 및 적층체(50)의 유지 부재(41)에 유지된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가드부(40a)는, 적층체(50)의 한 쌍의 유지 부재(41) 사이를 뻗는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유모차(10)에 착석한 유유아에 전방으로부터 대면하게 된다. 또한, 적어도 한쪽의 유지 부재(41)는, 대응하는 측의 아암레스트(28)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유유아가 타고 내릴 때에 있어서, 한 쌍의 아암레스트(28) 사이를 개방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50)는 다수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적층체(50)는, 가드부(40b)를 구성하는 부분에 있어서 가드부(40b)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도 5의 단면) 내의 단부가 되는 위치에서, 압축된 상태로 일체화하고 있는, 바꿔 말하면, 압축된 상태로 적층체(50)를 구성하는 각 층이 서로 접합되어 있다. 즉, 적층체(50)의 단부 영역은, 그 밖의 영역과 비교해서 두께가 얇은 프레스부(51)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적층체(50)는, 주연부가 되는 둘레 형상의 영역에서, 압축된 상태로 일체화하고 있다. 즉, 압축된 프레스부(51)는, 적층체(50)의 주연을 따라 둘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스부(51)의 폭은, 적층체(5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서 넓게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되어서 강성이 높아진 프레스부(51)에 있어서, 적층체(50)는 유지 부재(41)와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난 예에서는, 적층체(50) 중 부착부(40a)를 이루는 부분의 대부분이, 프레스부(51)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난 예에서는, 프레스부(51)에 관통 구멍(52)이 형성되어 있고, 유지 부재(41)에는 관통 구멍(52)을 통과하는 파지부(보스)(42)가 설치되어 있다. 파지부(42)와 관통 구멍(52)의 걸어 맞춤에 의해, 적층체(50)가 유지 부재(41)에 유지되어 있다.
단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일례로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처럼 해서, 적층체(50)가 유지 부재(41)에 의해 유지되도록 해도 된다. 도 4에 나타난 예에서는, 프레스부(51)를 이루고 있는 적층체(50)의 길이 방향 단부가 되접혀서, 당해 부분보다 길이 방향 안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봉제 라인(Ld)을 따라 꿰매어 붙여져 있다. 이 되접힌 부분에 의해, 적층체(50)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바퀴 형상부(5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난 예에 의하면, 유지 부재(41)에 고정된, 예를 들면 핀 등으로 이루어지는 파지부(42)가, 적층체(50)의 길이 방향 단부의 바퀴 형상부(53)를 삽입 통과함으로써, 적층체(50)가 유지 부재(41)에 의해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적층체(50)에서는, 적층체(50)를 구성하는 다수의 층은, 압축된 단부뿐만 아니라 마주 보는 면의 전역(全域)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적층체(50)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층은, 열가소성의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또는 층을 구성하는 재료 자체의 열가소성을 이용하여 용착(히트시일, 열 접착)되어 있다.
또한,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50)의 측단면은, 단부 직물(바이어스)(45)에 의해 덮여있다. 단부 직물(45)은, 봉제 라인(Lc)을 따라 적층체(50)의 프레스부(51)에 꿰매어 붙여져, 적층체(50)의 주연을 따라 둘레 형상으로 뻗어 있다.
한편, 가드 부재(40)는, 주로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가, 유모차 본체(11)로부터 의도치 않게 낙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질 것, 전형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힘으로는 절단되지 않을 것이, 가드 부재에 요망되고 있다. 또한, 가드 부재(40)는 유모차(10)에 착석한 유유아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주행시 등에, 유유아가 가드 부재(40)에 접촉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승차감을 악화시키지 않도록, 가드 부재(40)에는 유연성이나 쿠션성도 요망되고 있다. 또한, 접이 동작을 저해하지 않는 관점에서도, 가드 부재(40)에는 유연성이나 쿠션성이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요망에 따름과 함께, 또한 원하는 형상을 안정되게 부여할 수 있도록, 가드 부재(40)의 적층체(50)는 다음과 같은 층 구성을 갖고 있다.
우선, 적층체(50)는, 심재(60)와 심재(60)의 한쪽 측에 설치된 제 1 외재(71)와, 심재(60)의 다른 쪽 측에 설치된 제 2 외재(72)를 갖고 있다. 또한 적층체(50)는, 제 1 외재(71)의 심재(60)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즉, 제 1 외재(71)의 한쪽 측의 면)에 접합된 제 1 표면 직물(73)과, 제 2 외재(72)의 심재(60)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즉, 제 2 외재(71)의 다른 쪽 측의 면)에 접합된 제 2 표면 직물(74)을 더 갖고 있다. 또한, 적층체(50)가 가드 부재(40)의 일 구성 요소로서 유모차(10)에 장착된 때에는, 적층체(50)의 제 1 표면 직물(73) 측이 전방에 배치되고, 적층체(50)의 제 2 표면 직물(74) 측이 후방에 배치되어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에 대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층체(50)를 이루는 이웃하는 2개의 층은, 서로 접합되어 있다. 즉, 제 1 표면 직물(73) 및 제 1 외재(71)는 서로 접합되고, 제 1 외재(71) 및 심재(60)는 서로 접합되며, 심재(60) 및 제 2 외재(72)는 서로 접합되고, 또한 제 2 외재(72) 및 제 2 표면 직물(74)은 서로 접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 1 표면 직물(73) 및 제 1 외재(71) 사이에, 열가소성의 접합층(75)이 설치되고, 이 접합층(75)을 통해서 제 1 표면 직물(73) 및 제 1 외재(71)가 용착되어 있다. 또한, 심재(60)의 제 1 외재(71) 측의 면이 열가소성을 갖고 있으며, 심재(60)의 열가소성을 이용하여, 제 1 외재(71) 및 심재(60)가 용착되어 있다. 또한, 심재(60) 및 제 2 외재(72) 사이에, 열가소성의 접합층(76)이 설치되고, 이 접합층(76)을 통해서 심재(60) 및 제 2 외재(72)가 용착되어 있다. 또한, 제 2 외재(72) 및 제 2 표면 직물(74) 사이에, 열가소성의 접합층(77)이 설치되고, 이 접합층(77)을 통해서 제 2 외재(72) 및 제 2 표면 직물(74)이 용착되어 있다.
심재(60)는, 주로, 어느 정도의 강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항장력 또는 인장 강도를 가드 부재(40)에 부여하는 층으로서 기능한다. 즉, 심재(60)는 도 8에 나타난 종래의 가드 부재(100)에 있어서의 심재(92)의 역할을 맡는다. 또한, 심재(60)는 적당한 부피를 가지고 있어, 적층체(50)에 부여되어야 할 원하는 형상의 실현에 공헌한다.
도시된 적층체(50)에 있어서, 심재(60)는, 제 1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층(64), 제 1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61), 열가소성의 접합층(66), 제 2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62), 제 2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층(65), 및, 제 3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63)를, 제 1 외재(71) 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포함하고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층(64, 65)은, 가열되면 연화되어서 유동성을 나타내고, 한편으로 냉각되면 탄성체로 돌아가는 성질을 가진 층이다. 즉,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층(64, 65)은, 적층체(50)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소정의 강도를 적층체(50)에 부여하고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층(64, 65)으로서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61, 62, 63)는, 가열에 의해 용융할 수 있는 열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층, 예를 들면 열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로서 구성되어 있다.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61, 62, 63)는, 어느 정도의 부피를 가짐과 함께, 가열 가압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부형(賦型)될 수 있다. 즉,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61, 62, 63)를 포함한 심재(60)는, 가열 가압에 의해 원하는 삼차원 형상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61, 62, 63)는, 일반적으로, 높은 인장 강도(항장력)를 갖고 있어, 이에 따라 적층체(50)에 뛰어난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61, 62, 63)는 부피를 갖고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제 1 외재(71) 및 제 2 외재(72)와는 상이한 쿠션성을 적층체(50)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 1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61) 및 제 2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62)는, 적층체(5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적층체(50)의 양단부까지 완전히 뻗어있지 않다. 그리고, 제 1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61) 및 제 2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62)는, 적층체(50)의 프레스부(51)까지 뻗어 들어가 있지 않다. 한편으로, 가장 후방(가장 유유아 측)에 배치된 제 3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63)는, 적층체(50)의 프레스부(51)까지 뻗어 들어가 적층체(50)의 양단부까지 전부 뻗어 있다. 더불어서, 제 1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61), 제 2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62) 및 제 3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63)는, 각각 상이한 두께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심재(60)는, 적층체(50)의 적층 방향에 직교하는 어느 쪽의 면을 중심으로 해도, 비대칭인 층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원하는 삼차원 형상, 예를 들면 원하는 삼차원 만곡 형상을 적층체(50)에 안정되게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외재(71, 72)는, 주로 쿠션성을 가드 부재(40)에 부여하는 층으로서 기능한다. 즉, 비교적 고강도의 심재(60)를 끼우는 위치에 배치된 외재(71, 72)는, 도 8에 나타난 종래의 가드 부재(100)에 있어서의 외재(96)의 역할을 맡는다. 이러한 외재(71, 72)는, 일례로서, 어느 정도의 부피를 가지며 원하는 쿠션성을 발현할 수 있는 우레탄층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표면 직물(73, 75)은, 적층체(50)의 최외층(最外層)을 이루고 있으며, 유모차에 착석하는 유유아나, 당해 유유아의 보호자가 접촉할 수 있는 부위이다. 이 때문에, 표면 직물(73, 75)은 촉감이 좋은 직물이나, 오염 제거가 쉬운 직물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접합층(75, 76, 77) 및 심재(60) 내의 접합층(66)은, 열가소성의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이며, 인접하는 두 층을 용착하기 위한 층으로서 기능한다. 접합층(75, 76, 77, 66)은, 열가소성의 성질을 가진 여러가지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서, 열가소성의 부직포를 접합층(75, 76, 77, 66)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50)는, 일례로서, 도 6에 나타난 열 프레스 가공에 의해, 매우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열 프레스 가공에 있어서는, 우선, 상술한 적층체(50)의 각 층을 이루게 되는 재료(직물, 소재)를 상술한 순서로 적층한다. 다음으로, 적층된 재료 그룹을, 적층체(50)에 부여되어야 할 형상에 대응하는 캐비티를 가진 한 쌍의 틀(81, 82)로, 양측으로부터 가압한다. 이때, 틀(81, 82)은, 적층체(50)의 각 층을 이루게 되는 재료가 연화하는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적층체(50)의 각 층을 이루는 재료가, 서로 용착된다. 동시에, 적층체(50)의 각 층을 이루는 재료, 특히 제 1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61), 제 2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62) 및 제 3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63)가, 틀(81, 82)의 캐비티 형상에 대응해서 변형한다. 다음으로, 필요에 따라 성형품의 주위를 트리밍하면, 적층체(50)가 얻어진다.
이상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한 차례의 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적층체(50)의 성형과 적층체(50)를 이루는 각 층의 접합(용착)을 행할 수 있다. 즉, 높은 생산성으로 적층체(50)를 제작할 수 있고, 가드 부재(40)의 제조 비용을 대폭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틀(81, 82)의 캐비티 형상이나, 적층체(50)의 각 층을 이루는 재료의 종류 및 양 등을 적절히 조절해 둠으로써, 원하는 단면 형상을 적층체(50)에 안정되게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평면적인 형상뿐만 아니라, 원하는 입체적인 형상을 적층체(50)에 안정되게 부여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전개 상태의 유모차(10)에 부착했을 때와 마찬가지의 형상(만곡 상태)으로 적층체(50)를 안정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 경우, 가드 부재(40)의 유모차 본체(11)에의 착탈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얻어진 적층체(50)의 단부 영역에는, 압축된 상태로 각 재료가 서로 접합(용착)되어서 일체화한 프레스부(5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적층체(50)를 이용한 가드 부재(40)에서는, 번잡한 봉제를 행할 일이 없어, 적층체(50)의 적층 상태가 안정되게 된다. 즉,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가드 부재(40)가, 당해 가드 부재(40)에 기대된 기능을 안정되게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불어서, 상술한 열 프레스를 이용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적층체(50)의 프레스부(51)에 있어서, 각 재료가 서로 접합될 뿐만 아니라, 프레스부(51) 이외의 영역에서도, 적층체(50) 중에 포함되는 이웃하는 2개의 층이 서로 접합(용착)된다. 즉, 이 적층체(50)의 적층 상태는 매우 안정되게 된다. 따라서, 가드 부재(40)의 사용 중에, 적층체(50)가 비틀어지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고 해도, 적층체(50)의 적층 상태가 안정되고, 이에 따라 가드 부재(40)가, 당해 가드 부재(40)에 기대된 기능을 안정되게 계속해서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가드 부재(40)가, 높은 자유도로 설계된 원하는 형상이 안정되게 부여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변형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층체(5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상술한 층 구성 이외의 층 구성을 갖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적층체(50)의 주위에 적층체(50)를 둘러싸는 외장재를 설치해도 된다. 이 예에 있어서, 가드 부재(40)의 가드부(40b)는, 적층체(50)와 외장재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이 외장재는, 적층체(50)와 접합되어 있지 않고, 적층체(50)로부터 분리해서 세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가드 부재(40)의 전체적인 구성을 여러가지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층체(50)가 유지 부재(41)를 통해서 유모차 본체(11)에 부착된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층체(50)의 길이 방향 단부가, 리벳 등의 고정구(54)(도 7 참조)를 이용하여, 유모차 본체(11)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적층체(50)의 길이 방향 단부가 프레스부(51)로서 형성되어 있으면, 적층체(50)를 유모차 본체(11)의 아암레스트(28) 등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가드 부재(40)가, 한쪽의 단부(56a)를 유모차 본체(11)에 고정되는 제 1 부재(56)와, 한쪽의 단부(57a)를 유모차 본체(11)에 고정되는 제 2 부재(57)와, 제 1 부재(56)의 다른 쪽의 단부(56b)와 제 2 부재(57)의 다른 쪽의 단부(57b)를 개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58)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연결구(58)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한 쌍의 부품(58a, 58b), 예를 들면 버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유지 부재를 준비할 필요가 없이, 경량화 및 제조 비용의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 제 1 부재(56) 및 제 2 부재(57)의 적어도 한쪽이, 적층체(50)에 의해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이 예에서는, 제 1 부재(56)의 한쪽의 단부(56a) 및 제 2 부재(57)의 한쪽의 단부(57a)에 의해, 가드 부재(40)의 부착부(40a)가 구성되어 있고, 제 1 부재(56)의 한쪽의 단부(56a) 및 제 2 부재(57)의 한쪽의 단부(57a)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의해, 가드 부재(40)의 가드부(40b)가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난 예에서는, 제 1 부재(56) 및 제 2 부재(57)도, 상술한 적층체(50)와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는 적층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 1 부재(56)는, 유모차 본체부(11)에 고정되는 한쪽의 단부(56a)가 프레스부(51)로서 형성되고, 또한 연결구(58)에 연결되는 제 1 부재(56)의 다른 쪽의 단부(56b)도 프레스부(51)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부재(56)는, 제 1 단부(56a) 및 제 2 단부(56b) 사이에 있어서는, 상술한 적층체(50)의 가드부(40b)를 구성하는 부분과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부재(56)는, 유모차 본체(11) 및 연결구(58)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난 예에 있어서, 제 2 부재(57)는, 유모차 본체부(11)에 고정되는 한쪽의 단부(57a)가 프레스부(51)로서 형성되고, 또한 연결구(58)에 연결되는 제 2 부재(57)의 다른 쪽의 단부(57b)도 프레스부(51)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부재(57)는, 제 1 단부(57a) 및 제 2 단부(57b) 사이에 있어서, 상술한 적층체(50)의 가드부(40b)를 구성하는 부분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제 1 단부(57a) 및 제 2 단부(57b)와 마찬가지로 프레스부(51)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제 2 부재(57)는, 유모차 본체(11) 및 연결구(58)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유모차(10)의 유모차 본체(11)의 구성은, 단순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이 불가능하게 프레임부(15)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일본국 특개2011-148454호에 개시된 유모차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소형화하도록 접은 후에 더 접어서 폭방향으로도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유모차(10)의 유모차 본체(11)가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유모차 본체(11)의 폭방향으로 뻗는 부재, 즉, 핸들(13)의 상방 부분, 풋레스트(17) 및 후방 연결 부재(19)가 힌지(굴곡점)를 갖고, 이들 부재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소형화하도록 접힌 후에, 힌지를 중심으로 해서 더 굴곡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유모차(10)의 유모차 본체(11)에 있어서, 핸들(13)이 배면 밀기 위치와 대면 밀기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핸들(13)이 배면 밀기 위치에 고정된 채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Claims (17)

  1.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간해서 당해 유모차에 부착되는 한 쌍의 부착부와, 상기 한 쌍의 부착부 사이를 뻗는 가드부를 갖는 가드 부재로서,
    적어도 상기 가드부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적층체이며, 심재(芯材)와, 상기 심재의 한쪽 측에 설치된 제 1 외재(外材)와, 상기 심재의 다른 쪽 측에 설치된 제 2 외재를 포함하는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체는, 상기 가드부를 구성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가드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내에서 양단부가 되는 위치에서, 압축된 상태로 일체화하고 있는 가드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상기 가드부를 구성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가드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내에서 양단부가 되는 위치에서, 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화하고 있는 가드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재 및 상기 심재는, 상기 양단부가 되는 위치 이외에서도 서로 접합되고,
    상기 제 2 외재 및 상기 심재는, 상기 양단부가 되는 위치 이외에서도 서로 접합되어 있는 가드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는 가드 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열접착성 섬유 집합체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층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가드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상기 적층체의 적층 방향에 직교하는 면을 중심으로 해서 비대칭인 층 구성으로 되어 있는 가드 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웃하는 2개의 층은, 서로 접촉하고 있는 영역에서 서로 접합되어, 상기 적층체가 일체화하고 있는 가드 부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재의 상기 심재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에 접합된 제 1 표면 직물과,
    상기 제 2 외재의 상기 심재와는 반대측이 되는 면에 접합된 제 2 표면 직물을 더 구비하는 가드 부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주연부(周緣部)가 되는 둘레 형상의 영역에서, 압축된 상태로 일체화하고 있는 가드 부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를 구성하는 유지 부재이며, 상기 유모차에 부착되는 한 쌍의 유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는, 상기 부착부를 구성하여, 각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당해 단부는 압축된 상태로 일체화하고 있는 부위인 가드 부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유모차에 고정되는 한쪽의 단부를 가진 제 1 부재와,
    상기 부착부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유모차에 고정되는 한쪽의 단부를 가진 제 2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의 다른 쪽의 단부와 상기 제 2 부재의 다른 쪽의 단부를 개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가드 부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주연부가 되는 둘레 형상의 영역에서, 압축된 상태로 일체화하고 있고,
    상기 적층체의 상기 유모차에 고정되는 한쪽의 단부는 압축된 상태로 일체화하고 있는 부위인 가드 부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주연부가 되는 둘레 형상의 영역에서, 압축된 상태로 일체화하고 있고,
    상기 적층체의 상기 연결구에 연결되는 다른 쪽의 단부는 압축된 상태로 일체화하고 있는 부위인 가드 부재.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적층체로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제 2 부재가 상기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가드 부재.
  15.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간해서 당해 유모차에 부착되는 한 쌍의 부착부와, 상기 한 쌍의 부착부 사이를 뻗는 가드부를 갖는 가드 부재로서,
    적어도 상기 가드부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적층체이며, 열 프레스에 의해 일체화하고 있는 적층체를 구비하는 가드 부재.
  16. 유모차의 폭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간해서 당해 유모차에 부착되는 한 쌍의 부착부와, 상기 한 쌍의 부착부 사이를 뻗는 가드부를 갖는 가드 부재로서,
    상기 부착부를 구성하며 상기 유모차에 고정되는 한쪽의 단부를 가진 제 1 부재와,
    상기 부착부를 구성하며 상기 유모차에 고정되는 한쪽의 단부를 가진 제 2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의 다른 쪽의 단부와 상기 제 2 부재의 다른 쪽의 단부를 개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를 구비하는 가드 부재.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드 부재를 구비하는 유모차.
KR1020130051686A 2012-05-30 2013-05-08 가드 부재 및 적층체 KR102215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23633A JP6469333B2 (ja) 2012-05-30 2012-05-30 ベビーカー用のガード部材およびベビーカー
JPJP-P-2012-123633 2012-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065A true KR20130135065A (ko) 2013-12-10
KR102215821B1 KR102215821B1 (ko) 2021-02-16

Family

ID=49731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686A KR102215821B1 (ko) 2012-05-30 2013-05-08 가드 부재 및 적층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69333B2 (ko)
KR (1) KR102215821B1 (ko)
CN (1) CN103448782B (ko)
TW (1) TWI5686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2237B (zh) * 2019-01-09 2022-12-13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扶手及其制备方法和幼儿载具
JP6630859B2 (ja) * 2019-01-30 2020-01-15 ピジョン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およびフロントガード部材
JP7516124B2 (ja) 2020-06-15 2024-07-16 ニューウェルブランズ・ジャパン合同会社 座席付き育児器具、座席付き育児器具用の前ガ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8999A (ja) * 2005-09-30 2007-04-19 Combi Corp ベビーカーのガードアー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5964A (en) * 1985-12-24 1987-06-30 Ford Motor Company Titanium engine valve and method of making
JPH0646338Y2 (ja) * 1990-10-23 1994-11-30 株式会社ムラタ ランドセル等の背負バンド
JP2523556Y2 (ja) * 1992-10-27 1997-01-2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保護枠
JPH08192630A (ja) * 1995-01-20 1996-07-30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ドアトリム
JP3775829B2 (ja) * 1995-10-03 2006-05-17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保護枠
JP2004041385A (ja) * 2002-07-10 2004-02-12 Kihara Sangyo Kk 防臭加工した靴中敷
JP2007061241A (ja) * 2005-08-30 2007-03-15 Hashimoto:Kk 紐体と鞄類
KR101397493B1 (ko) * 2005-09-30 2014-05-20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및 유모차의 가이드 암
JP2007143980A (ja) * 2005-11-29 2007-06-14 Aprica Kassai Inc バスチェア
JP4542082B2 (ja) * 2006-11-13 2010-09-08 株式会社二子商事 プロテクター
JP4994925B2 (ja) * 2007-04-09 2012-08-08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ES1071692Y (es) * 2010-01-13 2010-06-22 Jane Sa Barandilla protectora para coches-silla infantiles plegab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8999A (ja) * 2005-09-30 2007-04-19 Combi Corp ベビーカーのガードア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48782A (zh) 2013-12-18
TWI568618B (zh) 2017-02-01
CN103448782B (zh) 2020-03-10
JP6469333B2 (ja) 2019-02-13
KR102215821B1 (ko) 2021-02-16
TW201406589A (zh) 2014-02-16
JP2013248926A (ja)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1646A1 (en) Carrier and baby carriage
KR20130135065A (ko) 가드 부재 및 적층체
CN109552394B (zh) 婴儿车
TWI627086B (zh) Seat support unit and stroller
JP6266320B2 (ja) シートフレーム
JP3185845U (ja) 椅子用座面シート及び椅子
JP2012115411A (ja) シート装置
KR102246596B1 (ko) 차륜 유지 유닛 및 유모차
KR101799331B1 (ko) 유모차
JP3230095U (ja) マスク
JP6009221B2 (ja) シートおよびベビーカー
JP4418529B2 (ja) 布帛を用いた成形物の加工方法及び布帛を用いた成形物
WO2014017230A1 (ja) マスク
TWI616371B (zh) Seat support unit and stroller
JP6236300B2 (ja)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JP4490742B2 (ja) ウエストベルト付きバッグ
JP7094573B2 (ja) 乳幼児サポート及び育児器具
KR102213626B1 (ko) 유모차
TWI847647B (zh) 嬰兒車
JP7336336B2 (ja) ハンドルカバー
TWI754265B (zh) 嬰兒車
JP2015016818A (ja) ベビーカー
WO2024013941A1 (ja) 乳母車
JP2011234968A (ja) シートカバー及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
JP2015098282A (ja) シート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53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025

Effective date: 20201020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