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331B1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331B1
KR101799331B1 KR1020110106220A KR20110106220A KR101799331B1 KR 101799331 B1 KR101799331 B1 KR 101799331B1 KR 1020110106220 A KR1020110106220 A KR 1020110106220A KR 20110106220 A KR20110106220 A KR 20110106220A KR 101799331 B1 KR101799331 B1 KR 101799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carriage
rotatably connected
angle
sea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6022A (ko
Inventor
노부히데 스가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6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Abstract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20)와, 자리부(51) 및 등받이부(53)를 갖는 좌석 부재(50)와, 좌석 부재의 등받이부의 측방을 뻗어 있는 지지 부재(75)와, 좌석 부재의 등받이부에 부착된 접속 부재(70)를 갖는다. 접속 부재는,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따라 지지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해지도록 당해 지지 부재에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유모차{STROLLER}
본 발명은, 유모차 본체와, 자리부 및 리클라이닝(reclining) 가능한 등받이부를 포함하며 유모차 본체에 장착된 좌석 부재를 갖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클라이닝 상태에 관계 없이 등받이부의 흔들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유아(乳幼兒)를 승차시키는 유모차로서, 유모차 본체와, 자리부 및 등받이부를 포함하며 유모차 본체에 장착된 좌석 부재를 갖는 유모차가 공지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유모차의 대부분은, 등받이부가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많은 경우, 좌석 부재는, 심재(芯材)와, 심재를 덮는 쿠션재로 구성되어 있고, 좌석 부재의 자리부 및 등받이부는, 그 가장자리부를 유모차 본체에 고정해서, 매달 수 있도록 해서 유모차 본체에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유모차에서는, 예를 들면 JP2010-538923T의 단락 0053 및 0054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로부터의 매달기 양을 짧게 해서, 당해 유모차 본체에 접근하도록 등받이부를 일으켜 세움으로써, 등받이부를 세운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유모차 본체로부터의 매달기 양을 길게 해서, 당해 유모차 본체로부터 이간하도록 등받이부를 후방으로 눕힘으로써, 등받이부를 눕힌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종래의 리클라이닝 기구에서는, 등받이부가 유모차 본체로부터 후방으로 크게 경사진 상태에 있어서, 등받이부의 유모차 본체로부터의 매달기 길이가 길어지므로, 당해 등받이부가, 유모차 본체에 대하여 폭방향(횡방향)으로 흔들리기(진동) 쉬워진다. 이러한 등받이부의 흔들림은, 유모차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승차감을 악화시키게 되고, 또한, 유모차를 운전하는 운전자(사용자, 보호자)의 조종성도 악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유모차 본체와, 자리부 및 리클라이닝 가능한 등받이부를 포함하며 유모차 본체에 장착된 좌석 부재를 갖는 유모차이며, 리클라이닝 상태에 관계 없이 등받이부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종래의 유모차(예를 들면, JP2007-210533A)에서는, 유모차 본체가 요동 가능한 프레임을 포함하고, 당해 요동 가능 프레임에 좌석 부재의 등받이부가 장착되어 있는 것도 있다. 이 유모차에서는, 강성을 가진 유모차 본체의 프레임에 의해 등받이부가 직접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등받이부의 폭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어느 정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렇지만, 등받이부에 강성 프레임이 내장되어 있을 경우, 유모차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승차감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강성 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요동 가능한 강성 프레임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유모차의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유모차의 중량이 무거워져서 조종성 및 취급성도 악화한다. 더불어서, 현재의 대부분의 유모차가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강성 프레임을 포함할 경우, 절첩 치수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가 이러한 문제에도 대처할 수 있으면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유모차 본체와,
자리부와, 리클라이닝 가능한 등받이부를 갖고, 상기 유모차 본체에 장착된 좌석 부재와,
상기 좌석 부재의 상기 등받이부의 측방을 뻗어 있는 지지 부재와,
상기 좌석 부재의 상기 등받이부에 부착된 접속 부재이며, 상기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따라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해지도록 당해 지지 부재에 접속된 접속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적어도 일 개소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그 양단이 상기 유모차 본체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유연성을 가진 부재여도 된다. 또는,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굴곡 가능한 관절부를 갖는 부재여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로 관통된 고리 형상부를 갖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가, 상기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절 기구는, 상기 유모차 본체 또는 상기 좌석 부재에 고정된 부착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를 상기 등받이부에 대하여 고정하는 제 2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접속 부재의 상기 고리 형상부를 관통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리는 후크를 갖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뻗는 통(筒) 형상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좌석 부재의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고정된 좌우의 측면부와, 좌우의 측면부 사이에 위치하는 배면부를 갖고,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배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접속 개소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좌석 부재의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고정된 좌우의 측면부와, 좌우의 측면부 사이에 위치하는 배면부를 갖고,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측면부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가, 상기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절 기구는, 상기 유모차 본체 또는 상기 좌석 부재에 고정된 부착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를 상기 등받이부에 대하여 고정하는 제 2 부재를 갖고, 상기 지지 부재는, 일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의 일부분과 묶여 있거나 혹은 상기 제 1 부재의 일부분과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좌우의 핸들과, 좌측의 핸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전각(前脚) 및 우측의 핸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전각과, 좌측의 핸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후각(後脚) 및 우측의 핸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후각과, 좌측의 전각 및 좌측의 후각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연결 프레임 부재 및 우측의 전각 및 우측의 후각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연결 프레임 부재를 갖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좌석 부재의 양 측방에 설치되고, 상기 좌석 부재의 양 측방에 설치된 좌우의 지지 부재에 각각 대응하여, 좌우의 접속 부재가 설치되고, 좌측의 지지 부재는, 좌측의 핸들 및 좌측의 후각에 고정되고, 당해 좌측의 핸들과 당해 좌측의 후각 사이를 뻗으며, 우측의 지지 부재는, 우측의 핸들 및 우측의 후각에 고정되고, 당해 우측의 핸들과 당해 우측의 후각 사이를 뻗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좌측의 전각 및 우측의 후각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 1 링크재(材)와, 우측의 전각 및 좌측의 후각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 2 링크재를 갖고, 제 1 링크재의 중간부와 제 2 링크재의 중간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링크 부재를, 더 가져도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좌석 부재의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고정된 좌우의 측면부와, 좌우의 측면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배면부를 갖고, 상기 등받이부의 상기 측면부는, 상기 핸들 및 상기 전각에 부착되며, 상기 자리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좌우의 암레스트(armrest)와, 우측의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프레임 부재, 및, 좌측의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프레임 부재와, 우측의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전각 및 우측의 후각, 및, 좌측의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전각 및 좌측의 후각과, 우측의 후각과 우측의 프레임 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브래킷(bracket), 및, 좌측의 후각과 좌측의 프레임 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브래킷과, 우측의 전각과 우측의 프레임 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연결 프레임 부재, 및, 좌측의 전각과 좌측의 프레임 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연결 프레임 부재와, 전방으로 경사진 제 1 위치와 후방으로 경사진 제 2 위치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프레임 부재에 연결된 핸들을 갖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좌석 부재의 양 측방에 설치되고, 상기 좌석 부재의 양 측방에 설치된 좌우의 지지 부재에 각각 대응하여, 좌우의 접속 부재가 설치되고, 우측의 지지 부재는, 우측의 프레임 부재 및 우측의 후각에 고정되고, 우측의 프레임 부재와 우측의 후각 사이를 뻗으며, 좌측의 지지 부재는, 좌측의 프레임 부재 및 좌측의 후각에 고정되고, 좌측의 프레임 부재와 좌측의 후각 사이를 뻗어 있어도 된다.
또는,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좌우의 암레스트와, 우측의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프레임 부재, 및, 좌측의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프레임 부재와, 우측의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전각 및 우측의 후각, 및, 좌측의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전각 및 좌측의 후각과, 우측의 후각과 우측의 프레임 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브래킷, 및, 좌측의 후각과 좌측의 프레임 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브래킷과, 우측의 전각과 우측의 프레임 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연결 프레임 부재, 및, 좌측의 전각과 좌측의 프레임 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연결 프레임 부재를 갖고, 상기 프레임 부재가, 핸들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좌석 부재의 양 측방에 설치되고, 상기 좌석 부재의 양 측방에 설치된 좌우의 지지 부재에 각각 대응하여, 좌우의 접속 부재가 설치되고, 우측의 지지 부재는, 핸들 및 우측의 후각에 고정되고, 핸들과 우측의 후각 사이를 뻗으며, 좌측의 지지 부재는, 핸들 및 좌측의 후각에 고정되고, 핸들과 좌측의 후각 사이를 뻗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따르면, 좌석 부재의 등받이부가, 리클라이닝 상태에 관계 없이, 유모차 본체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유모차를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모차를 후방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유모차의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유모차 본체를 절첩한 상태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좌석 부재의 등받이부를 세운 상태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좌석 부재의 등받이부를 눕힌 상태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5에 나타내진 유모차의 좌석 부재의 등받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나타내진 유모차의 좌석 부재의 등받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지지 부재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8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접속 부재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유모차 본체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유모차 본체를 포함한 유모차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유모차 본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건 명세서에 첨부하는 도면에 있어서는, 도시와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적당히 축척 및 종횡의 치수비 등을, 실물의 그것들로부터 변경하여 과장하고 있다.
도 1∼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 및 도 2에는, 유모차(10)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 설명하는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20)와, 유모차 본체(20)에 장착된 좌석 부재(50)와, 유모차 본체(20)에 장착된 덮개(80)와, 유모차 본체(20)에 부착된 수납 바구니(15)를 갖고 있다. 또한, 덮개(80) 및 수납 바구니(15)는, 도 1 및 도 2에서만 나타나 있다. 유모차 본체(20)는, 핸들(25) 및 후각(35)을 가진 프레임(20a)과, 프레임(20a)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전륜(前輪)(31) 및 후륜(後輪)(36)으로 이루어져 있다. 좌석 부재(50)는, 자리부(51) 및 리클라이닝 가능한 등받이부(53)를 포함하고, 유유아가 타는 소위 시트(seat)로서 기능한다.
도시하는 유모차(10)에 있어서, 좌석 부재(50) 및 덮개(80)는, 유모차 본체(20)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모차(10)는, 예를 들면 JP2010-132077A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첩한 상태의 유모차(10)를 운반하기 위한 벨트(18)가, 유모차 본체(20)에 설치되어 있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10)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하여 채용하는 「전(前)」, 「후(後)」, 「우(右)」, 「좌(左)」, 「횡(橫)」, 「상(上)」 및 「하(下)」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우」, 「좌」, 「횡」, 「상」 및 「하」를, 각각 의미한다. 또한, 유모차(10)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하여 채용하는 「폭방향」이란, 「좌」 및 「우」를 잇는 방향, 즉 「횡」방향이며, 유모차(10) 및 그 구성 요소로 대하여 채용하는 「주행방향」이란, 「전」 및 「후」를 잇는 방향이다.
도 1∼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는, 전체적으로, 횡방향의 중심을 지나는 주행방향(전후 방향)을 따른 면(횡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해서 대략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유모차 본체(20), 좌석 부재(50) 및 덮개(80)의 각각이, 주행방향(전후 방향)을 따른 횡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해서 대략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중 우선, 유모차 본체(20)부터 설명한다.
유모차 본체(20)는, 좌우의 핸들(25)과, 좌우의 전각(30)과, 좌우의 후각(35)을 갖고 있다. 유모차 본체(20)를 이루는 각 구성 요소는, 절첩 가능해지도록,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각(30)은, 그 상단 부분이, 대응하는 측의 핸들(25)의 하단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후각(35)은, 그 상단 부분이, 대응하는 측의 핸들(25)의 상방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전각(30)의 하단 부분에는, 전륜(3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후각(35)의 하단 부분에는, 후륜(3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핸들(25)의 상단 부분에는, 파지성(把持性)을 향상시키기 위한 그립(26)이 씌워져 있다.
전각(30)과 후각(35)의 사이에는, 좌우의 연결 프레임 부재(34)와, 링크 부재(38)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의 연결 프레임 부재(34)는, 좌측의 전각(30) 및 좌측의 후각(35)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우측의 연결 프레임 부재(34)는, 우측의 전각(30) 및 우측의 후각(35)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각 연결 프레임 부재(34)는, 그 후단 부분에 있어서 대응하는 측의 후각(35)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각 연결 프레임 부재(34)의 전단 부분은, 당해 연결 프레임 부재(34)와 전각(30)의 연결 개소를 넘어서 전방으로 연장해 있다.
한편, 링크 부재(38)는, 제 1 링크재(38a) 및 제 2 링크재(38b)를 갖고 있다. 제 1 링크재(38a)는, 좌측의 전각(30)의 하단 부분과 우측의 후각(35)의 하단 부분의 사이를 뻗어 있고, 제 2 링크재(38b)는, 우측의 전각(30)의 하단 부분과 좌측의 후각(35)의 하단 부분의 사이를 뻗어 있다. 제 1 링크재(38a)는, 좌측의 전각(30) 및 우측의 후각(35)의 각각에 대하여, 교차하는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링크재(38a)는, 좌측의 전각(30) 및 우측의 후각(35)의 각각에 대하여, 이차원 평면 내에서의 회동 뿐만 아니라, 삼차원 공간 내에 있어서의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링크재(38b)는, 우측의 전각(30) 및 좌측의 후각(35)의 각각에 대하여, 교차하는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링크재(38a)의 중간 부분과, 제 2 링크재(38b)의 중간 부분이, 피벗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링크재(38a) 및 제 2 링크재(38b)는, 서로의 단부가 이간한 상태(X자 형상)로부터 접근하도록 또는 서로의 단부가 접근한 상태(I자 형상)로부터 이간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전각(30)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발판(32)이 설치되어 있다. 발판(32)은, 그 양단이, 좌측의 전각(30)의 하단 부분과 우측의 전각(30)의 하단 부분에 고정되어서, 유모차 본체(20)에 가설되어 있다. 발판(32)은, 천 재료, 피혁, 고무 등의 유연 재료(연질 재료)를 이용하고, 유연성을 가진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후각(35)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제 1 후방 스테이(37a)와 제 2 후방 스테이(37b)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후방 스테이(37b)는, 그 양단이, 좌측의 후각(35)의 하방 부분과 우측의 후각(35)의 하방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후방 스테이(37a)는, 제 2 후방 스테이(37b)보다 상방의 위치에 있어서, 그 양단이, 좌측의 후각(35) 및 우측의 후각(35)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후방 스테이(37a) 및 제 2 후방 스테이(37b)는, 각각, 굴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폭방향으로 뻗은 상태 및 굴곡해서 양단이 폭방향으로 접근한 상태로 될 수 있다.
이상이, 유모차 본체(20)의 주요한 구성이다. 이러한 유모차 본체(20)는, 핸들(25)과 전각(30)의 피벗 지지점(PP1)을 중심으로 해서, 전각(30)을 핸들(25)에 대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전개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 절첩할 수 있다. 절첩 조작시에는, 연결 프레임 부재(34)를 통해서 전각(30)에 연결된 후각(35)이, 전각(30)의 핸들(25)에 대한 회동에 따라, 핸들과의 피벗 지지점(PP2)을 중심으로 해서, 핸들(25)에 접근하도록 회동한다. 이 결과,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각(30), 핸들(25) 및 후각(35)을 겹치게 해서 유모차 본체(20)가 절첩되고, 절첩 상태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유모차 본체(20)의 바깥 치수(외측 윤곽)가 대폭 소형화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진 전개 상태와 도 4에 나타내진 절첩 상태의 비교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전개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 이행함에 따라, 전각(30)의 하단 부분 및 후각(35)의 하단 부분이 서로로부터 이간하게 된다. 이 결과, 전각(30)의 하단 부분과 후각(35)의 하단 부분의 사이에 설치된 링크 부재(38)는, 절첩 조작에 의해,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X자 형상으로부터 I자 형상으로 변형한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 본체(20)의 좌측의 구성 요소(핸들(25), 전각(30) 및 후각(35))와, 우측의 구성 요소(핸들(25), 전각(30) 및 후각(35))가 서로 접근하게 된다. 이 결과, 절첩 상태에 있어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유모차 본체(20)의 바깥 치수(외측 윤곽), 즉, 폭방향의 바깥 치수(외측 윤곽)도 대폭 소형화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모차 본체(20)의 좌측의 구성 요소와 우측의 구성 요소의 접근 동작시에, 좌우의 전각(30) 사이를 연결하는 발판(32)은 만곡 또는 절곡되고, 좌우의 후각(35)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의 후방 스테이(37a, 37b)는 굴곡한다. 따라서, 좌우의 구성 요소간을 연결하는 부재(32, 37a, 37b)에 의해 폭방향으로의 소형화가 저해될 일은 없다.
그런데, 절첩된 상태의 유모차 본체(20)는, 후각(35)에 설치된 후크(39)가 전각(30)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절첩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전개된 상태의 유모차 본체(20)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후방 스테이(37a) 및 제 2 후방 스테이(37b)에 연결된 로크 기구(24)에 의해, 전개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있다. 이 로크 기구(24)는, 제 1 후방 스테이(37a) 및 제 2 후방 스테이(37b)를 폭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로 유지하는, 즉, 제 1 후방 스테이(37a) 및 제 2 후방 스테이(37b)의 굴곡을 불가능하게 하는 로크 상태와, 제 1 후방 스테이(37a) 및 제 2 후방 스테이(37b)의 굴곡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상태를 취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기구(24)를 해제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술한 전개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의 절첩 동작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덮개(80)에 대해서 설명한다. 덮개(80)는,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해 가리개 및/또는 비 가리개로서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덮개(80)는, 유모차 본체(20)의 핸들(25)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덮개(80)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덮개 뼈대(81)와, 덮개 뼈대(81)에 부착된 덮개 천(83)을 갖고 있다. 각 덮개 뼈대(81)는, U자의 단부 부분에 있어서 다른 덮개 뼈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진 예에서는, 두 개의 덮개 뼈대(81)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 천(83)은, 서로로부터 이간하는 위치로 요동한 두 개의 덮개 뼈대(81)에 의해 덮인 상태로 지지되도록 해서, 당해 덮개 뼈대(81)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 뼈대(81)를 요동(회동)시킴으로써, 덮개(80)를 개폐할 수 있다.
덮개(80)의 덮개 뼈대(81)는, 수지제 세판(細板)이나 금속제 세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80)의 덮개 천은, 천이나 비닐 등의 유연한 천 형상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유모차 본체(20)의 절첩 동작에 따라, 덮개 뼈대(81) 및 덮개 천(83)이 유모차 본체(20)의 변형에 추종해서 변형하고, 덮개(80)도 작아진다. 또한, 절첩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의 전개 동작에 따라, 덮개 뼈대(81)의 탄성 변형이 해제되어, 덮개(80)가 자동적으로 넓어진다.
다음으로, 좌석 부재(50)에 대해서 설명한다. 좌석 부재(50)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가 접촉하게 되는 부재이다. 좌석 부재(50)는, 유유아의 둔부가 접촉하게 되는 자리부(51)와, 유유아의 등에 접촉하게 되는 등받이부(53)를 갖고 있다. 이 중 등받이부(53)는, 유유아의 등에 후방으로부터 접촉하는 배면부(53a)와, 유유아에게 양 측방으로부터 대면하게 되는 좌우의 측면부(53b)를 갖고 있다. 등받이부(53)의 배면부(53a)는, 자리부(51)에 상방으로부터 접속하고 있다. 등받이부(53)의 각 측면부(53b)는, 자리부(51)에 상방으로부터 접속함과 함께 배면부(53a)에 전방으로부터 접속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좌석 부재(50)에는, 유유아를 안정되게 당해 좌석 부재에 지지하기 위한 좌석 벨트(57)가 설치되어 있다.
좌석 부재(50)는, 천, 메시 재료, 피혁 등의 유연한 천 형상물을 이용해서 형성된다. 특히, 유유아의 체중을 지지하게 되는 자리부(51) 및 등받이부(53)의 배면부(53a)는, 판 형상의 심재와, 심재를 피복하는 천 형상물, 바람직하게는 쿠션성을 가진 천 형상물로 형성된다. 또한, 좌석 부재(50)도, 유모차의 절첩 동작시 및 전개 동작시에, 유모차 본체(20)의 변형에 추종해서 변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심재가 좌석 부재(50)에 이용될 경우에는, 당해 심재에는 미리 접는선이나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좌석 부재(50)는, 유모차 본체(20)의 연결 프레임 부재(34), 전각(30) 및 핸들(25)에 고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 부재(50)의 자리부(51)는, 그 폭방향에 있어서의 가장자리부를, 전각(30)보다 전방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는 좌우의 연결 프레임 부재(34)의 전방 부분에 고정되고, 당해 좌우의 연결 프레임 부재(34)의 사이에 매달리게 해서 지지되어 있다(매달아 설치되어 있음). 또한, 좌석 부재(50)의 좌우의 측면부(53b)는, 그 가장자리부를, 대응하는 측의 핸들(25) 및 연결 프레임 부재(34)보다 상방의 부분에 있어서의 전각(30)에 고정되고, 당해 핸들(25) 및 전각(30)에 매달리게 해서 지지되어 있다(매달아 설치되어 있음). 한편, 좌석 부재(50)의 배면부(53a)는, 유모차 본체(20)에 직접 고정되어 있지 않지만, 인접하는 자리부(51) 및 좌우의 측면부(53b)를 통해서, 유모차 본체(20)에 매달려서 지지되어 있다.
등받이부(53)의 배면부(53a)는, 자리부(51)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해 있고, 또한, 등받이부(53)의 측면부(53b)는, 배면부(53a)의 자리부(51)에 대한 회동에 추종해서, 변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좌석 부재(50)의 등받이부(53)는,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5∼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모차(10)에는, 등받이부(53)의 리클라이닝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기구(60)가, 더 설치되어 있다.
조절 기구(60)는, 유모차 본체(20) 또는 좌석 부재(50)에 고정된 부착부(61a) 및 등받이부(53)에 형성된 삽입 통로(56) 안을 이동 가능하게 통과해서 등받이부(53)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61b)를 포함하는 제 1 부재(61)와, 제 1 부재(61)를 등받이부(53)에 대하여 고정하는 제 2 부재(64)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부재(61)는, 부착부(61a)가 유모차 본체(20)의 핸들(25)에, 예를 들면 리벳 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61)는, 벨트 형상의 기단측부(62a)와, 끈 형상의 선단측부(62b)를 갖는 세장(細長)형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각 핸들 부재(25)로부터, 각각 제 1 부재(61)가 뻗어나오고 있다. 한 쌍의 제 1 부재(61)는, 각각, 등받이부(53)의 대응하는 측의 측면부(53b)를 따라 뻗어, 등받이부(53)의 배면부(53a)에서 합류하게 되어 있다. 등받이부(53)의 배면부(53a)에는, 천 재료(55)가 배면부(53a)의 베이스로 되는 천 재료에 꿰매어져 있고, 당해 천 재료(55)와 베이스로 되는 천 재료의 사이에, 제 1 부재(61)의 슬라이딩부(61b)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통과되는 삽입 통로(5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천 재료(55)의 중앙에는 삽입 통로(56)에 통하는 관통 구멍(55a)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제 1 부재(61)는, 당해 관통 구멍(55a)을 합류해서 통과하여, 삽입 통로(56) 내로부터 외부로 빠져나가고 있다.
제 2 부재(64)는, 등받이부(53)의 관통 구멍(55a)으로부터 나온 한 쌍의 제 1 부재(61)를 묶어서 고정하는 고정 도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 2 부재(64)는, 제 1 부재(61)를 등받이부(53)에 대하여 고정함으로써, 등받이부(53)의 삽입 통로(56) 내를 통과해온 제 1 부재(61)가 삽입 통로(56) 내로 되돌려지지 않게 하고 있다. 따라서,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 부재(50)의 등받이부(53)의 배면부(53a)에 형성된 관통 구멍(55a)으로부터 제 1 부재(61)를 끌어낸 상태에서 제 1 부재(61)를 제 2 부재(64)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등받이부(53)를 자리부(51)에 대하여 일으킬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64)에 의한 구속을 해제해서, 관통 구멍(55a)을 통해 삽입 통로(56) 측으로 제 1 부재(61)를 되돌림으로써, 등받이부(53)를 자리부(51)에 대하여 눕힐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에서는, 도 7 및 도 8의 비교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조절 기구(60)에 의해 좌석 부재(50)의 등받이부(53)의 측면부(53b)를 걷어올리거나 또는 풀어냄으로써, 유모차 본체(20)로부터의 배면부(53a)의 매달기 양을 조절하여, 등받이부(53)의 리클라이닝 각도를 조절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태양에 따르면, 측면부(53b)에 의한 배면부(53a)의 매달기 양을 길게 확보함으로써, 좌석 부재(50)의 등받이부(53)를 자리부(51)에 대하여 크게 눕힐 수 있다. 이 경우,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를 후방으로부터 떠받치는 배면부(53a)는 좌우의 측면부(53b)에 의해 후방으로의 쓰러짐이 방지되어 있다. 단, 종래의 유모차에 있어서는, 좌석 부재의 배면부가 폭방향(횡방향)으로 흔들리게 된다는 불편이 생기고 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모차(10)에, 좌석 부재(50)의 등받이부(53)의 측방을 뻗어 있는 지지 부재(75)와, 좌석 부재(50)의 등받이부(53)에 부착된 접속 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 부재(70)는, 등받이부(53)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따라 지지 부재(75)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해지도록 당해 지지 부재(75)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등받이부(53)의 리클라이닝 상태에 관계 없이, 좌석 부재(50)의 등받이부(53)가, 접속 부재(70)를 통해서, 당해 등받이부(53)의 측방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75)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폭방향으로의 등받이부(53)의 자유로운 이동이 규제되게 된다. 결과로서, 등받이부(53)가 자리부(51)에 대하여 크게 경사져 있을 경우여도, 등받이부(53)의 폭방향(횡방향)으로의 흔들림(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 부재(75)는, 천 재료, 피혁, 고무 등으로 형성되며 유연성을 가진 벨트 형상 부재(세장형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세장형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75)가, 등받이부(5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지지 부재(75)는, 그 양단이, 예를 들면 리벳 결합에 의해, 유모차 본체(20)에 고정되어 있다. 좌측의 지지 부재(75)는, 좌측의 핸들(25) 및 좌측의 후각(35)에 고정되어, 당해 좌측의 핸들(25)과 당해 좌측의 후각(35)의 사이를 뻗어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지지 부재(75)는, 우측의 핸들(25) 및 우측의 후각(35)에 고정되어, 당해 우측의 핸들(25)과 당해 우측의 후각(35)의 사이를 뻗어 있다.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각 지지 부재(75)는, 핸들(25)의 전각(30)과의 연결 개소 및 당해 핸들(25)의 후각(35)과의 연결 개소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당해 핸들(25)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 부재(75)는, 후각(35)의 핸들(25)과의 연결 개소 및 당해 후각(35)의 연결 프레임 부재(34)와의 연결 개소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당해 후각(35)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태양에 따르면, 지지 부재(75)가, 연질 재료로 구성되어서 만곡하거나 절곡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 부재(75)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이 저해될 일은 없다. 즉, 지지 부재(75)가, 유모차 본체(20)의 절첩 동작에 추종하여 변형 가능한 정도의 유연성을 가짐으로써,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을 부드럽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지지 부재(75)의 양단의 유모차 본체(20)에의 부착 개소는, 전개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의 절첩 조작시에, 점점 접근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75)가 유모차(10)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어느 정도 팽팽해진 상태가 되도록 해도,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에 지장을 줄 일은 없고, 이것에 의해, 좌석 부재(50)의 등받이부(53)의 횡방향(폭방향)으로의 흔들림(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75)가 유모차(10)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어느 정도 팽팽해진 상태가 되어 있으면, 등받이부(53)의 리클라이닝 동작시에 있어서의 접속 부재(70)에 의한 지지 부재(75)에 대한 슬라이딩도 원활해져, 리클라이닝 조작을 부드럽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 부재(70)도, 천 재료, 피혁, 고무 등으로 형성되며 유연성을 가진 벨트 형상 부재(세장형 부재)를 이용해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 부재(70)는, 유연성을 가진 벨트 형상 부재의 양단을 겹쳐서 또는 근접해서, 등받이부(53)에 고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접속 부재(70)는, 유연성을 가진 벨트 형상의 부재의 양단을 겹쳐서, 좌석 부재(50)의 등받이부(53)에 꿰매 붙임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인 부착 위치로서, 도시된 접속 부재(70)는, 등받이부(53) 중 배면부(53a)와 측면부(53b)의 접속 개소에 부착되어 있다. 단, 접속 부재(70)의 부착 개소는 측면부(53b)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예로서, 후술하는 도 10에 나타내진 변형예와 같이 접속 부재(70)를 측면부(53b)에 부착해도 되며, 혹은, 접속 부재(70)를 배면부(53a)에 부착해도 되고, 또한, 접속 부재(70)를 배면부(53a) 및 측면부(53b)의 양쪽에 걸치도록 부착해도 된다.
이러한 접속 부재(70)는, 고리 형상부(71)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속 부재(70)의 고리 형상부(71)는, 지지 부재(75)에 의해 관통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지지 부재(75)는, 접속 부재(70)의 고리 형상부(71)를 관통한 상태에서, 그 양단이 유모차 본체(20)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태양에 따르면, 접속 부재(70)를 통한 등받이부(53)와 지지 부재(75)의 접속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어, 등받이부(53)의 폭방향(횡방향)으로의 흔들림(진동)을 안정되게 억제할 수 있다. 더불어서, 접속 부재(70)가, 유모차 본체(20)의 절첩 동작에 추종하여 변형 가능한 정도의 유연성을 가짐으로써,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을 부드럽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불어서, 접속 부재(70)가, 등받이부(53)의 리클라이닝 동작시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75)에 대한 상대 위치의 차이에 추종하여 변형 가능한 정도의 유연성을 가짐으로써, 리클라이닝 조작을 부드럽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53)의 리클라이닝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기구(60)는 세장형의 제 1 부재(61)를 갖고 있지만, 도 7 및 도 8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61)도 접속 부재(70)의 고리 형상부(71)를 관통해서 뻗어 있다. 또한, 접속 부재(70)를 통과하고 나서 유모차 본체(20)에 고정되기까지, 조절 기구(60)의 제 1 부재(61) 및 지지 부재(75)는, 동일한 경로를 따라 가고 있다. 이러한 태양에 따르면, 등받이부(53)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접속 부재(70)에 의해, 제 1 부재(61)를 유도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 부재(75)가 좌석 부재(50)의 등받이부(53)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고, 좌석 부재(50)의 등받이부(53)에 부착된 접속 부재(70)가, 등받이부(53)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따라 지지 부재(75)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해지도록 지지 부재(75)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좌석 부재(50)의 등받이부(53)가, 리클라이닝 상태에 관계 없이, 유모차 본체(20)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등받이부(53)의 폭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유유아의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는 동시에, 유모차를 운전하는 운전자(사용자, 보호자)의 조종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해 온 접속 부재(70) 및 지지 부재(75)의 추가는, 유모차 본체에 요동 가능한 강성 프레임을 설치하고 당해 프레임을 좌석 부재의 등받이부에 조립하는 것(예를 들면, JP2007-210533A에 개시된 유모차)과 비교하여, 구조의 간단화, 유모차의 소형화, 유모차의 경량화가 가능해지고, 또한 이것들에 따라, 승차감의 개선 및 조종성의 향상의 면에 있어서도 단연 유리하다. 그리고, 이러한 이점은, 강성 프레임의 구성이 보다 복잡해지는 절첩식 유모차에의 적용에 있어서, 보다 현저해진다.
한편, 상술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변경의 일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 부재(75)의 양단이 유모차 본체(20)에 고정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75)의 후방 단부가 후각(35)에 고정되고, 지지 부재(75)의 전방 단부가 등받이부(53)의 측면부(53b), 바람직하게는, 측면부(53b) 중 전각 근방의 영역에 고정되어, 결과적으로, 지지 부재(75)가, 등받이부(53)의 리클라이닝 경로를 따라 뻗어, 임의의 리클라이닝 위치에 있는 등받이부(53)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 부재(75)가, 일부 구역에 있어서, 조절 기구(60)의 제 1 부재(61)와 동일한 경로를 뻗고 있는 예를 나타냈다. 이 예에 있어서, 지지 부재(75)가, 일부분에 있어서, 제 1 부재(61)의 일부분과 묶여 있도록 해도 되고, 혹은, 제 1 부재(61)의 일부분을 겸하고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7 및 도 9에 나타내진 등받이부(53)가, 가장 세워져 있는 상태라고 하면, 도 7 및 도 9에 있어서, 접속 부재(70)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75) 및 제 1 부재(61)는, 묶여 있어도 되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지지 부재(75)를 이루는 벨트 형상 부재는, 일단이 후각에 접속되는 동시에, 타단은 제 1 부재(61)를 이루는 벨트 형상 부재에 꿰매 붙여져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당해 꿰매 붙임부(75a)보다 전방측에 있어서, 동일한 벨트 형상 부재가, 지지 부재(75) 및 조절 기구(60)의 제 1 부재(61)의 양쪽을 겸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 부재(75)가 유연성을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가, 굴곡 가능한 관절부를 갖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지지 부재가, 유연성을 갖지 않는 부재였다고 해도, 관절부에서 굴곡함으로써, 유모차 본체(20)의 절첩 동작 또는 전개 동작에 추종하여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가, 유모차 본체(2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 부재(75)가, 등받이부(53)의 양 측방에 하나씩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등받이부(53)의 일측 측방(예를 들면, 좌측의 측방)에 설치된 지지 부재(75)와, 등받이부(53)의 타측 측방(예를 들면, 우측의 측방)에 설치된 지지 부재(75)가 상기 핸들(25)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른 위치, 즉 다른 높이 방향(상하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지지 부재(75)가, 등받이부(53)의 일측 측방에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지지 부재(75)가, 등받이부(53)의 일측 측방에 복수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등받이부(53)의 일측 측방에 설치된 지지 부재(75)의 수와, 등받이부(53)의 타측 측방에 설치된 지지 부재(75)의 수가 다르게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 개의 지지 부재(75)에 대하여, 한 개의 접속 부재(70)만이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한 개의 지지 부재(75)에 대하여, 둘 이상의 접속 부재(70)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 부재(70)가, 벨트 형상의 부재의 양단을 등받이부(53)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진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부재(70)가, 지지 부재(75)의 길이방향을 따라 뻗는 통 형상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접속 부재(70)가, 지지 부재(75)에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당해 지지 부재(75)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후크 등의 유연성을 갖지 않는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절 기구(60)의 제 1 부재(61)의 슬라이딩부(61b)가 통과하는 등받이부(53)의 삽입 통로(56)가, 배면부(53a)에만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삽입 통로(56)가, 등받이부(53)의 배면부(53a) 및 측면부(53b)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삽입 통로(56)가, 배면부(53a)에 설치된 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수의 루프(loop)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절 기구(60)의 제 1 부재(61)가, 벨트 형상의 부재(62a)와, 벨트 형상의 부재(62a)에 연결된 끈 형상의 부재(62b)로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부재(61)가, 벨트 형상의 부재(62a)만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끈 형상의 부재(62b)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유모차 본체(20)는, 단순한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진 유모차 본체(120)에 대해서도, 상술한 접속 부재(70) 및 지지 부재(75)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진 유모차 본체(120)는, 프레임 부재(121)와, 프레임 부재(121)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암레스트(122)와, 암레스트(122)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전각(130) 및 후각(135)과, 전방으로 경사진 제 1 위치(도 12의 위치)와 후방으로 경사진 제 2 위치(도 13의 위치)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프레임 부재(121)에 연결된 핸들(125)을 갖고 있다. 프레임 부재(121), 암레스트(122), 전각(130) 및 후각(135)은, 각각, 대칭적인 배치로 좌측 및 우측의 합계 두 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모차 본체(120)는, 전각(130)과 프레임 부재(121)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부재(134)를 좌우에 각각 갖고 있다. 또한, 유모차 본체(120)는, 일단측이 후각(135)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됨과 함께 타단측이 프레임 부재(121), 연결 프레임 부재(134) 및 핸들(125)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연결 브래킷(123)을 갖고 있다. 후각 사이에는, 후방 스테이(137)가 설치되고, 전각 사이에는, 제 1 전방 스테이(132a) 및 제 2 전방 스테이(발판)(132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내진 유모차(110)에 있어서, 좌석 부재(150)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자리부(151) 및 등받이부(153)를 갖고, 등받이부(153)는, 배면부(153a)와 배면부(153a)의 양 측방에 설치된 측면부(153b)를 갖고 있다. 지지 부재(175)는, 프레임 부재(121)와 후각(135)의 사이를 뻗어 있다. 또한, 접속 부재(170)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태양으로, 등받이부(153)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유모차(110)에 있어서도, 접속 부재(170) 및 지지 부재(175)에 의해, 등받이부(153)의 횡방향(폭방향)으로의 흔들림(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진 유모차 본체(120)에서는, 핸들(125)이 프레임 부재(121)와는 별도로 설치되고, 핸들(125)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25)이 제 2 위치에 고정되어, 제 2 위치로부터 요동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3에 나타내진 유모차(210)의 유모차 본체(220)에 있어서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핸들(225)의 U자의 단부 부분에 상당하는 부분에 의해,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진 유모차(110)에 있어서의 한 쌍의 프레임 부재(121)가 구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진 유모차(110)에 있어서의 프레임 부재(121)가 핸들(225)의 일부분을 구성하게 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진 유모차(210)에 있어서, 일례로서, 핸들(225)(프레임 부재(121))과 후각(135)의 사이에 지지 부재(275)를 설치함으로써, 등받이부(153)의 횡방향(폭방향)으로의 흔들림(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는, 도 11 및 도 12에 타나낸 유모차와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도 11 및 도 12에서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있다.
또한, 유모차 본체에 요동 가능한 강성 프레임을 설치하고 당해 프레임을 좌석 부재의 등받이부에 조립한 유모차(예를 들면, JP2007-210533A에 개시된 유모차)와의 비교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의 이점을 설명했지만, 이 기재는, 유모차 본체에 요동 가능한 강성 프레임을 설치하고 당해 프레임을 좌석 부재의 등받이부에 조립한 유모차에의, 접속 부재 및 지지 부재의 적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유모차 본체에 요동 가능한 강성 프레임을 설치하고 당해 프레임을 좌석 부재의 등받이부에 조립한 유모차에, 접속 부재 및 지지 부재를 적용한 태양도 포함하고, 이러한 태양에 있어서도, 등받이부의 횡방향(폭방향)으로의 흔들림(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0 : 유모차
20 : 유모차 본체
50 : 좌석 부재
51 : 자리부
53 : 등받이부
70 : 접속 부재
75 : 지지 부재

Claims (18)

  1. 유모차 본체와,
    자리부와, 리클라이닝(reclining) 가능한 등받이부를 갖고, 상기 유모차 본체에 장착된 좌석 부재와,
    상기 좌석 부재의 상기 등받이부의 측방을 뻗어 있는 지지 부재와,
    상기 좌석 부재의 상기 등받이부에 부착된 접속 부재이며, 상기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따라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해지도록 당해 지지 부재에 접속된 접속 부재를 구비하는 유모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적어도 일 개소에서 상기 유모차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유모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그 양단이 상기 유모차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유모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유연성을 가진 부재인 유모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굴곡 가능한 관절부를 갖는 부재인 유모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유모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로 관통된 고리 형상부를 갖는 유모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절 기구는, 상기 유모차 본체 또는 상기 좌석 부재에 고정된 부착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를 상기 등받이부에 대하여 고정하는 제 2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접속 부재의 상기 고리 형상부를 관통하고 있는 유모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리는 후크를 갖는 유모차.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뻗는 통(筒) 형상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는 유모차.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부재의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고정된 좌우의 측면부와, 좌우의 측면부 사이에 위치하는 배면부를 갖고,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배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접속 개소에서, 상기 등받이부에 부착되어 있는 유모차.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부재의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고정된 좌우의 측면부와, 좌우의 측면부 사이에 위치하는 배면부를 갖고,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측면부에서, 상기 등받이부에 부착되어 있는 유모차.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절 기구는, 상기 유모차 본체 또는 상기 좌석 부재에 고정된 부착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를 상기 등받이부에 대하여 고정하는 제 2 부재를 갖고,
    상기 지지 부재는, 일부분에서, 상기 제 1 부재의 일부분과 묶여 있거나 혹은 상기 제 1 부재의 일부분과 일체화되어 있는 유모차.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고,
    좌우의 핸들과,
    좌측의 핸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전각(前脚) 및 우측의 핸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전각과,
    좌측의 핸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후각(後脚) 및 우측의 핸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후각과,
    좌측의 전각 및 좌측의 후각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연결 프레임 부재 및 우측의 전각 및 우측의 후각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연결 프레임 부재를 갖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좌석 부재의 양 측방에 설치되고,
    상기 좌석 부재의 양 측방에 설치된 좌우의 지지 부재에 각각 대응하여, 좌우의 접속 부재가 설치되고,
    좌측의 지지 부재는, 좌측의 핸들 및 좌측의 후각에 고정되고, 당해 좌측의 핸들과 당해 좌측의 후각 사이를 뻗으며,
    우측의 지지 부재는, 우측의 핸들 및 우측의 후각에 고정되고, 당해 우측의 핸들과 당해 우측의 후각 사이를 뻗어 있는 유모차.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좌측의 전각 및 우측의 후각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 1 링크재(材)와, 우측의 전각 및 좌측의 후각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 2 링크재를 갖고, 제 1 링크재의 중간부와 제 2 링크재의 중간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링크 부재를, 더 갖는 유모차.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부재의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고정된 좌우의 측면부와, 좌우의 측면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배면부를 갖고,
    상기 등받이부의 상기 측면부는 상기 핸들 및 상기 전각에 부착되며,
    상기 자리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유모차.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고,
    좌우의 암레스트(armrest)와,
    우측의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프레임 부재, 및, 좌측의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프레임 부재와,
    우측의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전각 및 우측의 후각, 및, 좌측의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전각 및 좌측의 후각과,
    우측의 후각과 우측의 프레임 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브래킷(bracket), 및, 좌측의 후각과 좌측의 프레임 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브래킷과,
    우측의 전각과 우측의 프레임 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연결 프레임 부재, 및, 좌측의 전각과 좌측의 프레임 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연결 프레임 부재와,
    전방으로 경사진 제 1 위치와 후방으로 경사진 제 2 위치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프레임 부재에 연결된 핸들을 갖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좌석 부재의 양 측방에 설치되고,
    상기 좌석 부재의 양 측방에 설치된 좌우의 지지 부재에 각각 대응하여, 좌우의 접속 부재가 설치되고,
    우측의 지지 부재는, 우측의 프레임 부재 및 우측의 후각에 고정되고, 우측의 프레임 부재와 우측의 후각 사이를 뻗으며,
    좌측의 지지 부재는, 좌측의 프레임 부재 및 좌측의 후각에 고정되고, 좌측의 프레임 부재와 좌측의 후각 사이를 뻗어 있는 유모차.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고,
    좌우의 암레스트와,
    우측의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프레임 부재, 및, 좌측의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프레임 부재와,
    우측의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전각 및 우측의 후각, 및, 좌측의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전각 및 좌측의 후각과,
    우측의 후각과 우측의 프레임 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브래킷, 및, 좌측의 후각과 좌측의 프레임 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브래킷과,
    우측의 전각과 우측의 프레임 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의 연결 프레임 부재, 및, 좌측의 전각과 좌측의 프레임 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의 연결 프레임 부재를 갖고,
    상기 프레임 부재가 핸들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좌석 부재의 양 측방에 설치되고,
    상기 좌석 부재의 양 측방에 설치된 좌우의 지지 부재에 각각 대응하여, 좌우의 접속 부재가 설치되고,
    우측의 지지 부재는, 핸들 및 우측의 후각에 고정되고, 핸들과 우측의 후각 사이를 뻗으며,
    좌측의 지지 부재는, 핸들 및 좌측의 후각에 고정되고, 핸들과 좌측의 후각 사이를 뻗어 있는 유모차.
KR1020110106220A 2010-10-29 2011-10-18 유모차 KR101799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44743A JP5693916B2 (ja) 2010-10-29 2010-10-29 ベビーカー
JPJP-P-2010-244743 2010-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022A KR20120046022A (ko) 2012-05-09
KR101799331B1 true KR101799331B1 (ko) 2017-11-20

Family

ID=46000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220A KR101799331B1 (ko) 2010-10-29 2011-10-18 유모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693916B2 (ko)
KR (1) KR101799331B1 (ko)
CN (1) CN202358148U (ko)
HK (1) HK1151683A2 (ko)
TW (1) TWI5474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52781B2 (ja) * 2013-04-04 2019-07-31 コンビ株式会社 シート支持ユニット、乳母車、シート支持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乳母車の製造方法
JP6444796B2 (ja) * 2015-03-31 2018-12-26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用のシート、乳母車及びシート規制具
JP6599158B2 (ja) * 2015-07-31 2019-10-30 コンビ株式会社 折り畳み式の乳母車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5733A2 (en) * 1998-12-14 2000-06-22 Garland, Llc Collapsible stroller
JP2002316650A (ja) * 2001-02-15 2002-10-29 Combi Corp ベビーカー
JP2004114982A (ja) * 2002-09-30 2004-04-15 Aprica Kassai Inc 乳母車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329954D0 (en) * 1983-11-10 1983-12-14 Maclaren Ltd Andrews Collapsible support with armrests
JPH0752778Y2 (ja) * 1990-09-20 1995-12-0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リクライニング機構
JP3766821B2 (ja) * 2002-06-05 2006-04-19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育児器具
JP4188016B2 (ja) * 2002-07-19 2008-11-2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4184094B2 (ja) * 2003-01-07 2008-11-1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4140766B2 (ja) * 2003-01-30 2008-08-27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育児器具の座席
TW200911594A (en) * 2007-01-16 2009-03-16 Combi Corp Baby carriage
TWI503247B (zh) * 2009-03-09 2015-10-11 Aprica Children S Products G K 折疊式手推車及折疊式嬰兒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5733A2 (en) * 1998-12-14 2000-06-22 Garland, Llc Collapsible stroller
JP2002316650A (ja) * 2001-02-15 2002-10-29 Combi Corp ベビーカー
JP2004114982A (ja) * 2002-09-30 2004-04-15 Aprica Kassai Inc 乳母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358148U (zh) 2012-08-01
HK1151683A2 (en) 2012-02-03
JP2012096625A (ja) 2012-05-24
KR20120046022A (ko) 2012-05-09
JP5693916B2 (ja) 2015-04-01
TWI547402B (zh) 2016-09-01
TW201221396A (en)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543B1 (ko) 절첩 가능한 유모차
JP4757594B2 (ja) ベビーカー
KR101179136B1 (ko) 유모차
US20180208085A1 (en) Car seat with rigid backrest
TWI611963B (zh) 車輪保持單元及嬰兒車
KR101799331B1 (ko) 유모차
JP4299016B2 (ja) 折畳式乳母車
TWI627085B (zh) Baby carriage
JP3981027B2 (ja) 育児器具の座席ハンモック
JP2017144856A (ja) ベビーカー
KR101435542B1 (ko) 유모차
JP6009221B2 (ja) シートおよびベビーカー
JP6169426B2 (ja) 乳母車及びシート支持ユニット
KR102246596B1 (ko) 차륜 유지 유닛 및 유모차
KR102213626B1 (ko) 유모차
JP7365255B2 (ja) 子供用育児器具の幌
CN216128315U (zh) 儿童车架
JP6976603B2 (ja) 乳母車
JP7378868B1 (ja) 乳母車
JP7094573B2 (ja) 乳幼児サポート及び育児器具
JP4679565B2 (ja) 乗物用シート装置
JP4159868B2 (ja) ハンモック型ベビーカー
JP6987422B1 (ja) シート支持ユニット及び乳母車
JP7428526B2 (ja) 乳母車
WO2023162145A1 (ja) 乳母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