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983A - 버킷형 죠 크러셔 - Google Patents

버킷형 죠 크러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983A
KR20130120983A KR1020127031837A KR20127031837A KR20130120983A KR 20130120983 A KR20130120983 A KR 20130120983A KR 1020127031837 A KR1020127031837 A KR 1020127031837A KR 20127031837 A KR20127031837 A KR 20127031837A KR 20130120983 A KR20130120983 A KR 20130120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jaw
tooth
plate
tog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9499B1 (ko
Inventor
카츠히로 이토
마코토 이시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토 쇼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토 쇼카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토 쇼카이
Publication of KR20130120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05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25Jaw clearance or overloa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4Jaw crushers or pulverisers with single-ac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7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ejecting or other unload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6Delivery chutes or screening plants or mixing plants mounted on dredgers or 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그 그 밖의 폐자재 처리에 사용되는 버킷형 죠 크러셔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건설 기계의 암에 부착되는 버킷(1)과, 이 버킷 내에 고정된 죠 고정 톱니(5)와, 이 죠 고정 톱니(5)에 대치하여 상부를 편심축(7)에 축지지하고 하부를 토글 기구로 지지하는 죠 가동 톱니(6)를 설치하고, 죠 가동 톱니(6)의 왕복 요동에 의해 슬래그 및 그 밖의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버킷형 죠 크러셔에 있어서, 버킷에 편심축(7)을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9)를 구비함과 아울러, 피파쇄물의 파쇄시에 자동적으로 상기 모터(9)에 의해 편심축(7)을 계속해서 역회전시키고 정회전시키는 파쇄 제어 수단을 설치했다.

Description

버킷형 죠 크러셔{BUCKET-TYPE JAW CRUSHER}
본 발명은 슬래그 및 그 밖의 폐자재 처리에 사용되는 버킷형 죠 크러셔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압 셔블 등의 작업기의 암에 장착되는 버킷형의 죠 크러셔로서,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45529(특허문헌 1)의 돌을 분쇄 및 선별하기 위한 버킷에서는 돌과 같은 재료를 위한 입구 개구부와 출구 개구부와, 이 입구 개구부와 출구 개구부 사이의 상기 돌과 같은 재료의 흐름 방향을 규정하고 있는 스쿱 형상의 본체와, 이 본체 내에 장착되고, 서로 대향한 제1 및 제2 죠와, 이 제1 죠를 제2 죠에 대하여 접리시켜, 이들 죠 사이를 흐르는 상기 돌과 같은 재료를 분쇄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죠에 적어도 관련하여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한 상기 제1 죠의 제1 회동 및 병진(竝進) 이동을 부여하도록,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부재와 상기 제1 죠 사이에 편심 접속부를 가지는 이동 수단과, 상기 제1 죠의 제2 회동 및 병진 이동을 부여하기 위한 상기 본체와 상기 제1 죠 사이의 토글 접속부를 구비하고, 이 토글 접속부는 각각의 피벗 지지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상기 제1 죠와 본체에 피벗 지지된 지주를 가지고, 이 지주는 상기 양 피벗 지지축선을 연결하는 선분이, 상기 지주와 제1 죠 사이의 피벗 지지축선과, 상기 회동축선을 연결하는 선분에 대하여, 90°보다 큰 각도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1 죠와 본체 사이에 연장되고, 이 버킷은 셀 형상의 구조체가 형성된 하부와, 상기 본체의 각각의 측부에 장착된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버킷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56423(특허문헌 2)의 버킷형 죠 크러셔에서는, 버킷 바닥 내면에 죠 고정 톱니를 설치하고, 그것에 대향하여 상부를 유압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편심 주축에 축지지하고, 하부를 토글 플레이트로 지지하여, 역 八자형의 배치로, 죠 가동 톱니에 의해 피파쇄물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한 유압 셔블의 암에 부착하는 버킷형 죠 크러셔에 있어서, 편심 주축의 일방측의 유압 모터와 타방측의 플라이 휠의 중간부에 카운터 웨이트를 설치하여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편심 주축의 회전에 의해, 죠 가동 톱니를 피파쇄물을 상부로부터 하부로 밀어 내리도록 왕복동시키면서, 토글 플레이트를 앞쪽이 올라가는 경사로 부착하여, 피파쇄물을 죠 고정 톱니에 누름으로써, 강력하고 또한 미세하게 파쇄할 수 있도록 한 버킷형 죠 크러셔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버킷형 죠 크러셔에서는 죠 가동 톱니를 지지하는 축부에 편심축을 설치하고, 이것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죠 가동 톱니, 톱니판의 표면의 운동 궤적은 편심축 부근에서는 원운동에 가깝고, 배출측의 토글 지지부에 근접함에 따라 타원운동으로부터 원호운동으로 변하여, 편심축을 정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피파쇄물을 배출측으로 끌어들이고, 역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퍼넣음측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따라서, 통상의 파쇄 작업시에는 정역시키기만 하며 역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일은 없고, 피파쇄물이 죠 크러셔에 가득 찬 경우에만, 일단 정지하여 버킷의 개구를 하방향으로 변위하고, 크러셔를 역전하여 가득 찬 피파쇄물을 배출하고 있었다.
버킷형 죠 크러셔에서는 버킷으로 피파쇄물을 퍼올려서 파쇄하여 배출하는 작업을 반복하기 때문에, 빈번히 죠 크러셔의 기동, 정지를 반복할 필요가 있다.
거치형의 죠 크러셔(압축형 파쇄기)에서는 무부하 상태로부터 죠 크러셔를 기동하는 것에 대해, 버킷형 죠 크러셔의 경우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버킷 내에 피파쇄물을 퍼넣은 부하 상태로 기동하고 있다.
그 때문에, 단단한 피파쇄물을 처리하는 경우에, 버킷의 개구를 상방향으로 하여 피파쇄물이 가득 찬 상태에서 죠 크러셔의 기동을 개시하고자 하면 피파쇄물이 물려버려 기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종래의 버킷 크러셔에서는 버킷으로 피파쇄물을 퍼넣고 나서 버킷의 개구가 완전히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의 버킷이 경사 자세의 단계에서 죠 크러셔를 기동시키기 시작함으로써, 상기 상방향의 파쇄 포지션에서의 피파쇄물로 가득 찬 정도를 경감하여 파쇄 처리를 하고 있지만, 오퍼레이터는 피파쇄물의 경도나 크기에 따라 기동의 타이밍을 조정할 필요가 있고, 타이밍이 어긋나면 피파쇄물이 가득 차서 죠 크러셔를 기동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2의 버킷형 죠 크러셔에서는, 편심 주축의 일방측에 유압 모터를 직결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편심 주축이 유압 모터의 출력축이 되기 때문에, 이물이 물렸을 때에 발생하는 충격이 유압 모터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슬래그의 파쇄 처리에 있어서 슬래그 중에 포함되는 단단한 금속물질 등이 물렸을 때에는, 유압 모터에 매우 큰 충격 부하를 주어버릴 위험성이 있어, 슬래그 처리에 적용할 수는 없었다.
또한, 버킷형 크러셔에서는 중량 제한에 대처하기 위해서, 죠 가동 톱니의 경량화가 도모되고 있지만, 죠 가동 톱니의 톱니판의 선단은 죠 가동 톱니의 베이스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갈고리 형상의 걸음부에 걸려 고정되어 있으므로, 망간제의 톱니판에 신장이 생긴 경우에 이것을 흡수할 수 없어 걸음부에 균열이나 파손이 생기는데, 베이스 부분 전체의 보수가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4552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56423호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주된 과제는 버킷 내에 퍼넣은 피파쇄물이 간극 없이 가득 차있어도, 확실하게 파쇄시킬 수 있는 버킷형 죠 크러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토글 플레이트와 토글 시트의 접촉면을 최소한으로 함으로써, 윤활유의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고 연속적인 원활한 운동으로 텐션 스프링에도 편가중을 부여하지 않는 신뢰성이 높은 토글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죠 가동 톱니의 톱니판의 신장에 대하여, 긴밀체결 도구의 텐션의 조정으로 이것을 흡수할 수 있고, 또 간단히 교환할 수 있는 톱니판 고정 클로부(claw portion)를 설치한 버킷형 죠 크러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건설 기계의 암에 부착되는 버킷과, 이 버킷 내에 고정된 죠 고정 톱니와, 이 죠 고정 톱니에 대치하여 상부를 편심축으로 축지지하고 하부를 토글 기구로 지지하는 죠 가동 톱니를 설치하고, 죠 고정 톱니와 죠 가동 톱니를 버킷의 퍼넣음측의 공간을 투입구로 하여 넓게 개구하고 안쪽을 향해 서서히 좁게 하여 버킷의 배출구로 이어지도록 배치하고, 상기 죠 가동 톱니의 요동에 의해 슬래그 및 그 밖의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버킷형 죠 크러셔에 있어서,
버킷에 편심축을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함과 아울러,
피파쇄물의 파쇄시에, 자동적으로 상기 모터에 의해 편심축을 계속해서 역회전시키고 정회전시키는 파쇄 제어 수단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버킷형 죠 크러셔에서는, 파쇄 처리시에, 버킷 내에 퍼넣어 죠 고정 톱니와 죠 가동 톱니 사이에 피파쇄물이 간극없이 가득 차 있어도, 먼저 죠 가동 톱니의 편심축을 역회전시키고나서 정회전하여 파쇄를 행하도록 했으므로, 죠 가동 톱니와 죠 고정 톱니 사이의 피파쇄물 사이에 간극이 생기므로 물리지 않고 효율적으로 파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버킷의 퍼넣음량을 늘릴 수 있다.
또, 토글 기구는 토글 플레이트와 토글 시트의 접촉을 최소한으로 함으로써, 죠 가동 톱니의 움직임에 따른 토글 플레이트의 변위를 연속적으로 또한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텐션 스프링에도 편가중을 부여하지 않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하에 방진용의 커버를 설치함으로써 버킷형 죠 크러셔를 도립시켜도 토글 기구는 더스트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죠 가동 톱니의 톱니판의 신장에 대하여, 톱니판을 구속하기 위해서 별체의 톱니판 고정 클로부를 설치함으로써, 톱니판 고정 클로부의 볼트 등의 긴밀체결 도구의 텐션의 조정으로 신장을 흡수할 수 있고, 또 톱니판 고정 클로부 자체를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크러셔부의 좌우의 측판의 내측에 대략 삼각형상의 내마모성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라이너 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버킷 내벽면의 마모를 막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a)는 버킷형 죠 크러셔의 측면도, (b)는 내부를 횡단한 평면도이다.
도 2(a)는 파쇄 기구를 개방한 상태의 버킷형 죠 크러셔의 단면도, (b)는 토글 기구의 확대도이다.
도 3은 파쇄 기구의 중간의 상태의 버킷형 죠 크러셔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파쇄 기구를 폐쇄한 상태의 버킷형 죠 크러셔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파쇄 기구의 중간의 가압 상태의 버킷형 죠 크러셔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버킷의 입구 개구를 하방향으로 한 상태, (b)는 피파쇄물에 버킷의 선단을 관입한 상태의 유압 셔블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버킷으로 퍼넣은 상태, (b)는 틸트 업한 상태의 유압 셔블의 측면도이다.
도 8(a)는 버킷의 출구 개구를 하방향으로 하여 상승시킨 상태, (b)는 건설 기계의 상부 선회체를 반전하여 배출 장소에 파쇄물을 배출하는 상태의 유압 셔블의 측면도이다.
도 9(a) 내지 (b)는 건설 기계의 붐이나 암과 충합하지 않고 버킷을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버킷형 죠 크러셔의 출구 개구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라이너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버킷형 죠 크러셔에 내장된 유압 회로도, (b)는 블록도이다.
도 13(a)는 커버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커버의 다른 예의 차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c)는 커버의 상이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버킷형 죠 크러셔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의 버킷형 죠 크러셔(1)는 유압 셔블(20)의 암(21)(도 6 참조)에 부착되는 버킷(1)이 버킷 전방의 투입구측에 설치한 퍼넣기부(1A)와, 퍼넣기부(1A)의 후방에 설치한 크러셔부(1B)와, 버킷 후단의 배출구를 가지고 있다.
크러셔부(1B)에는 버킷(1) 내에 고정된 죠 고정 톱니(5)와, 이 죠 고정 톱니(5)에 대치하여 상부를 편심축(7)에 축지지하고 하부를 토글 기구(8)로 지지하는 죠 가동 톱니(6)를 가지고 있다(도 2~5 참조).
또, 이 죠 가동 톱니(6)의 구동 장치로서 피스톤식 유압 모터(9)의 출력축에 설치된 구동 풀리(P1)와, 상기 편심축(7)에 설치된 종동 풀리(P2)와, 양 풀리 사이에 걸쳐지는 무단 벨트(B)로 이루어져 있다(도 1(a) 참조).
[버킷]
버킷(1)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퍼넣기부(1A)와 크러셔부(1B)로 이루어져 있다.
크러셔부(1B)에는 죠 고정 톱니(5)와 죠 가동 톱니(6)로 이루어지는 파쇄 기구를 내장하고 있고, 파쇄 기구의 투입측이 되는 퍼넣기부(1A)에 쇄석이나 슬래그 및 그 밖의 피파쇄물을 퍼넣기 위한 입구 개구부(3)를 가지고, 파쇄 기구의 배출측이 되는 타방에 출구 개구부(4)를 가지고, 입구 개구부(3)로부터 출구 개구부(4)까지 관통하는 파쇄 통로(W)를 가지는 공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버킷(1)의 바닥면(30)은 도 1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넣기부(1A)의 바닥면이 되는 바닥면 전방부(31)가 선단이 상방 위치에 있고 서서히 하강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 본실시예에서는, 퍼넣기부(1A)의 바닥면 상에 버킷의 투입구 선단으로부터 후술하는 죠 고정 톱니의 톱니판의 선단으로 이어지도록 만곡면으로 이루어지는 퍼올림면부(1a)가 설치된 이중 바닥 구조로 되어 있다.
버킷(1)은 브래킷과 암과의 피벗장착 개소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므로, 상기 퍼올림면부(1a)에 의해 원활하게 피파쇄물을 퍼올려서 파쇄 기구에 투입할 수 있다.
다음에, 크러셔부(1B)의 바닥면은 상기 바닥면 전방부(31)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면 본체(32)로서, 상기 경사면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접혀 구부러지는 전방 다리부(33)를 설치하여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바닥 높임면을 가지고 있다.
전방 다리부(33)는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 대략 V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 바닥면 본체(32)의 후단에는 단면 대략 회전한 ㄷ자형상의 후방 다리부(34)가 돌출설치되어 있고, 전방 다리부(33)와 후방 다리부(34)는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다리부(33)와 후방 다리부(34)는 바닥면(30)의 좌우 양측의 바닥면 가장자리부를 따라 설치된 프레임체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바닥면의 후단은 상방향으로 경사져서 배출구가 되는 출구 개구부(4)의 좌우의 가장자리부로 되어 있다.
또, 전방 다리부(33)와 후방 다리부(34)의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하방으로 돌출하는 형상이면 된다.
[라이너재]
그리고, 상기 전방 다리부(33)에는 그 바닥부를 덮도록 단면 대략 <형상으로 접혀 구부러진 내마모성을 가지는 전방 라이너재(43)가 고착되어 있고, 또 후방 다리부(34)에는 그 바닥부를 덮도록 편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후방 라이너재(44)가 각각 고착되어 있다.
라이너재의 형상은 전방 다리부(33)나 후방 다리부(34)의 바닥부를 덮는 것이면 되고, 그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버킷(1)의 바닥면(30)은 4점에서 지지되고, 그 이외의 바닥면 전방부(31) 및 바닥면 본체(32)는 모두 수평면에 대하여 중공 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바닥면(30)이 피파쇄물과 접촉하기 어려워져, 피파쇄물을 퍼넣을 때에도 스쳐서 마모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죠 고정 톱니]
상기 버킷(1) 내에서 바닥면측을 따라 죠 고정 톱니(5)가 고정되어 있다.
이 죠 고정 톱니(5)는 그 표측에 돌조 및 홈이 파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요철 형상의 일방의 톱니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죠 가동 톱니]
상기 버킷(1) 내에서 죠 고정 톱니(5)와 대치하여 죠 가동 톱니(6)가 배치되어 있고, 죠 고정 톱니(5)와 죠 가동 톱니(6) 사이의 공간이 피파쇄물이 이동하는 파쇄 통로(W)로 되어 있다.
상기 죠 가동 톱니(6)는 죠 고정 톱니(5)의 톱니부에 대향하는 표측에 그 돌조 및 홈에 맞물리도록 피치를 어긋나게 하여 파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 및 홈으로 이루어지는 타방의 톱니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죠 가동 톱니(6)는 베이스 프레임(6A) 상에 망간제의 톱니판(6B)을 부착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도 2(b) 참조).
상기 톱니판(6B)을 베이스 프레임(6A)에 걸어 고정하는 톱니판 고정 클로부(claw portion)(60)가 죠 가동 톱니(6)와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톱니판 고정 클로부(60)는 갈고리부(61)와 이 갈고리부(61)에 일체로 형성된 기부(62)를 가지고 있다.
갈고리부(61)가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기부(62)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6A)에 볼트 등의 긴밀체결 도구(63)로 착탈 가능하게 긴밀체결되어 있다.
버킷형 크러셔는 자주식 크러셔나 고정식 크러셔에 비해 경량화된 톱니판(6B)이 사용되고 있지만, 톱니판(6B)은 소재인 망간의 특성상 신장이 생기고, 신장에 의한 하중이 톱니판(6B)과 접촉하는 톱니판 고정 클로부(60)에 가해진다.
그래서, 톱니판(6B)의 신장을 볼트 등의 긴밀체결 도구의 텐션의 조정이나 톱니판 고정 클로부(60)를 손상, 파손시킴으로써 흡수할 수 있다.
손상, 파손된 톱니판 고정 클로부(60)는 긴밀체결 도구를 분리함으로써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죠 가동 톱니(6)는 상부가 버킷 내에서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지된 편심축(7)에 고정되고, 하부가 하중 받이부(82)를 통하여 토글 기구(8)를 구성하는 토글 플레이트(81)에 지지되어 있고, 버킷(1)의 입구 개구부(3)를 죠 고정 톱니(5)와 죠 가동 톱니(6)의 공간을 투입구로 하여 넓게 개구하고, 버킷(1)의 출구 개구부(4)를 향하여 서서히 좁게 하여 선단이 배출구가 되도록 대략 테이퍼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토글 기구]
본 실시예에서, 토글 기구(8)는 토글 플레이트(81)와, 이 토글 플레이트(81)의 받이부로서의 가동측 토글 시트가 되는 제1 하중 받이부(82) 및 고정측 토글 시트가 되는 제2 하중 받이부(83)와, 텐션 로드(84)로 이루어져 있다.
토글 플레이트(81)는 상기 제1 하중 받이부(82) 및 제2 하중 받이부(83)와 접하는 지주 본체의 양단이 단면 원호 형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면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하중 받이부(82)는 죠 가동 톱니(6)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토글 플레이트(81)의 타방의 단부의 원호와 동일한 방향에서 보다 대직경의 곡률로 설정된 단면 원호 형상으로 상기 타방의 단부와 단면 상에서 점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고 있다.
도시예에서는, 토글 플레이트(81)의 중앙을 중심으로 한 단부의 회전 궤적을 따른 만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토글 플레이트(81)의 타방의 단부와 제1 하중 받이부(82)의 접촉면은 모두 열처리를 시행하고 있으며 내마모성을 가지고 있다.
제2 하중 받이부(83)는 버킷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토글 플레이트(81)의 일방의 단부보다 대직경의 곡률로 설정된 단면 원호 형상이며 상기 일방의 단부와 단면 상에서 점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고 있다.
도시예에서는, 죠 가동 톱니(6)의 변위와 일체로 변위하는 제2 하중 받이부(83)에 대하여 토글 플레이트(81)의 타단이 연동하여 전동할 수 있도록 일방의 단부보다 큰 곡률로 제1 하중 받이부(82)의 접촉면보다 작은 곡률로 설정된 만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도, 토글 플레이트(81)의 일방의 단부와 제2 하중 받이부(83)의 접촉면은 모두 열처리를 시행하고 있으며 내마모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토글 플레이트(81)의 양단부는 제1 하중 받이부(82) 및 제2 하중 받이부(83)에 대하여 선접촉(단면 상에서는 점접촉)하면서 토글 플레이트(81)의 중앙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원활하게 전동시킬 수 있다.
이 토글 플레이트(81)는 죠 가동 톱니(6)에 고정된 링(L)에 선단의 U자 형상의 후크부(84a)가 걸려 고정된 텐션 로드(84)와 스프링(85)을 통하여, 상기 접촉 개소가 받이면(접촉면)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됨과 아울러, 죠 가동 톱니(6)의 수직면으로부터 편심축(7)측으로 상방향 경사짐으로써, 편심축(7)의 회전(정회전)에 의해 죠 가동 톱니(6)의 하부를 죠 고정 톱니(5)에 접근 내지 이간 방향으로 입구 개구부측에서 대략 원형으로 움직여 왕복 요동하는 죠 가동 톱니(6)를, 피파쇄물을 끼우고 죠 고정 톱니(5)에 누르도록 동작시킨다.
또한, 하부 하중 받이부(83)의 하면의 조정판(86)의 부착 매수를 증감시킴으로써, 죠 가동 톱니(6)와 죠 고정 톱니(5)의 하단의 간극을 조정하고, 피파쇄물의 파쇄 치수를 증감할 수 있다.
또, 토글 플레이트(81)의 일방의 단부와 제2 하중 받이부(83)의 접촉면을 덮도록 토글 플레이트(81)에 통과시켜 고정한 방진용의 고정측 커버(C2)를 설치하고, 마찬가지로 토글 플레이트(81)의 타방의 단부와 제1 하중 받이부(82)의 접촉면을 덮도록 토글 플레이트(81)에 통과시켜 고정한 방진용의 가동측 커버(C1)를 설치해 두면, 버킷형 죠 크러셔를 상하 전도시켜도 토글 기구는 더스트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여기서, 도 2(a)는 편심축(7)의 회전에 의해 출구 개구부(4)를 가장 개방한 상태의 도면이며, 도 3은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편심축(7)의 회전축 중심이 변위한 중간 상태의 도면이며, 도 4는 더욱 90도 회전하여 출구 개구부(4)를 폐쇄한 상태의 도면이며, 도 5는 더욱 90도 회전하여 편심축(7)의 회전축 중심이 변위한 중간 압축 상태의 도면이다.
[라이너 플레이트]
상기 크러셔부(1B)의 버킷측판에는 그 내측에 내마모재의 일례로서 고망간 주강제의 라이너 플레이트(22)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도 11 참조).
즉, 크러셔부(1B)의 버킷측판은 파쇄 기구가 가동중에는 상시 파쇄물이 부딪쳐서 마모 손상된다.
마모 부분은 메인터넌스시에 내마모의 육성 용접으로 보수할 수도 있지만, 버킷 전체의 수명에 큰 영향을 준다.
한편, 버킷형 죠 크러셔(1)는 건설 기계의 암 선단에 부착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중량이 제약되고 있다.
그래서, 크러셔부(1B)의 측판에서 파쇄 기구가 되는 죠 고정 톱니(5)와 죠 가동 톱니(6)의 개구 자세(대기 자세)의 측면을 완전히 덮도록 대응하여 대략 삼각 형상의 라이너 플레이트(22)가 측판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라이너 플레이트(22)는 도시예의 경우, 상기 개구 자세의 죠 고정 톱니(5)와 죠 가동 톱니(6)의 길이 방향의 중앙과 상기 톱니의 기단이 되는 투입구측의 대략 중간 위치를 기단으로 하고, 서서히 폭이 좁아져 배출구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도시예의 경우, 기단측은 동일한 폭이 되어 대략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라이너 플레이트(22)에는 외측 방향으로 수평으로 돌출하는 스터드 볼트(23)가 일체로 고착(용착)되어 있고, 크러셔부(1B)의 측판에는 상기 스터드 볼트(23)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 구멍(24)이 뚫려 있다.
그래서, 상기 측판의 내벽면측에 라이너 플레이트(22)를 대고, 스터드 볼트(23)를 볼트 구멍(24)에 통과시켜, 측판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돌출 부분을 너트(25)로 긴밀체결함으로써 라이너 플레이트(23)를 측판(2)의 내벽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파쇄 기구에서 피파쇄물이 측판에 눌려도 버킷의 측판이 손상되지 않아 고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커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버킷의 측판(2)의 외측 전방에 편심축(7)과 유압 모터(9)의 출력축이 돌출되어 있고, 편심축(7)에는 종동 풀리(P2)가 연결되고, 동시에 파쇄 에너지를 비축하기 위한 페이스 휠 형상의 카운터 웨이트(W)가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측판(2)의 외측 후방에는 유압 모터(9)의 출력축에 연결된 구동 풀리(P1)가 연결되어 있고, 무단 벨트(B)에 의해 벨트 전동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에 명료한 바와 같이, 풀리(P1, P2)와 무단 벨트(B)의 보호 및 보안을 위해서 커버(10)가 부착되어 있다.
커버(10)는 전방이 대직경의 종동 풀리(P2)를 덮기 위해서 대직경의 대략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간 부분이 서서히 폭이 좁아져, 후방이 소직경의 구동 풀리(P1)를 덮기 위해서 소직경이며 역방향의 대략 반원 형상으로 되어 버킷의 측판(2)과 평행하게 이간하는 외벽부와, 이 외벽부(10A)와 버킷의 측판(2) 사이를 막는 둘레벽부(10B)로 이루어져 있다.
버킷의 반대측의 측판(2')에는 상기 편심축(7)의 타방단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종동 풀리(P2)와 동일한 크기의 플라이 휠(P3)이 연결되고 동시에 카운터 웨이트(W)가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라이 휠(P3)의 보호 및 보안을 위해서, 마찬가지의 커버(1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커버(10')는 반대측의 커버(10)와 동일 형상이어도 되고, 플라이 휠(P3)을 덮을 정도의 짧은 형상이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0)에는 버킷의 입구 개구(3)측이 되는 둘레벽부(10B)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즉, 커버(10)의 외벽면(10A)의 전방의 윤곽으로부터 전방의 버킷의 측판(2)에 둘레벽부(10B)의 선단이 접하여 부착되고, 이 선단으로부터 외벽면(10A)의 선단 가장자리부까지가 서서히 융기하는 경사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종래의 커버는 둘레벽부가 측판(2)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기립하는 수직면이기 때문에, 특히 정면을 향하는 전면 부분에서는 버킷으로부터 벗어난 피파쇄물의 충격을 둘레벽부가 직각으로 닿기 때문에, 둘레벽부나 외벽부의 각부가 변형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둘레벽부(10B)를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피파쇄물의 충격을 완화하여, 커버(10)의 변형이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도 13(a)는 커버(10)의 전방의 둘레벽부(10B)를 일련의 경사면으로 설정한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외벽면(10A)의 선단 가장자리부의 형상을 대략 원호 형상으로 하고, 둘레벽부(10B)의 선단을 상기 외벽면(10A)의 선단 가장자리부와 대략 동심 대직경의 대략 원호 형상으로 설정하여 커버(10)의 외벽면(10A)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간한 위치에서 측판(2)에 접하도록 부착하고, 일련의 대략 C자 형상의 경사면(11)으로 한 구조를 나타낸다.
도 13(b)는 커버(10)의 전방의 둘레벽부(10B)를 복수의 경사면의 조합 형상으로 한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둘레벽부(10B)의 선단 가장자리부를 커버(10)의 외벽면(10A)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간한 위치에서 측판(2)에 접하도록 부착하고, 둘레벽부의 선단 가장자리부와 외벽면의 선단 가장자리부를 복수의 대략 사각형의 경사면(12)으로 연결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3(c)는 사각형 대신에 대략 삼각형이나 사다리꼴의 경사면의 조합 형상으로 한 것이며, 전방의 둘레벽부(10B)를 대략 삼각형이나 대략 사다리꼴의 경사면(13)의 조합으로 형성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11~13)은 측판(2)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경사지면 되고, 더욱 상방을 향하더라도 경사진 것, 또는 하방을 향하더라도 경사진 것이면 된다.
또, 능선 부분은 각을 세우지 않고 만곡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측판(2)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을 나타냈지만, 피파쇄물이 부딪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면 되므로, 측판(2)에 대하여 직각이 되는 수직면이라도, 둘레벽부(10B)의 상부 또는 하부이면 경사면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을 조합시켜 전방의 둘레벽부(10B)로 할 수 있다.
또, 커버(10)의 외벽면(10A)의 도중 위치에는 전방부가 대략 반원형이며 후방부가 대략 사각형상의 융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융기부(15)의 반원 형상의 능선(15A)에 대한 두께 방향의 면(15a)이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고, 사각형상의 상하의 능선(15B)이 내측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점차 경사지는 경사면(15b)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경사면에 의해 피파쇄물을 커버(10)의 바깥쪽으로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피파쇄물이 커버(10)의 둘레벽면(10B)에 직접적으로 충합하지 않아,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커버(10')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구동 구조]
상기 편심축(7)은 버킷(1)의 일방의 측판(2)의 입구 개구부(3)에 가깝게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이 돌출 부분에 플라이 휠이 되는 대직경의 종동 풀리(P2)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편심축(7)은 종동 풀리(P2)의 회전축에, 이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편심한 위치에 보다 대직경의 단면 원형의 편심부(7a)가 일체로 부착된 공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종동 풀리(P2) 동일 축으로 대응하는 측판(2')의 외측에는 쌍이 되는 플라이 휠(P3)이 부착되어 있다.
도면 중 W는 종동 풀리(P2)나 플라이 휠(P3)에 고착된 카운터 웨이트이다.
또, 상기 일방의 측판(2)을 따라, 상기 편심축(7)으로부터 출구 개구부(4)측으로 이간한 위치에서 측판(2)의 내측에 피스톤식 유압 모터(9)가 고정되어 있다(도 1(b) 참조).
이 버킷형 죠 크러셔에 내장되고, 피스톤식 유압 모터(9)를 구비한 유압 회로는 유압 셔블(20)의 공지의 유압 회로(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일례를 나타내는 버킷형 죠 크러셔에 내장되는 유압 회로는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회전측의 포트와 역회전측의 포트를 가지는 피스톤식의 유압 모터(9)에, 유압 셔블(20)에 장비된 어태치먼트용의 유압 회로의 펌프측의 포트(P)와 탱크측의 포트(T)를 접속하고 있다.
유압 모터(9)가 정회전하면 편심축(7)을 통하여 죠 가동 톱니(6)가 파쇄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유압 회로에 제1, 제2 유압 파일럿 전환 밸브(V1, V2)와, 좁힘부(C1, C2, C4) 및 체크가 부착된 역지 밸브(C3, C5)를 가지는 파쇄 제어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가 유압 셔블(20)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파쇄 작업용의 페달을 밟으면, 페달을 밟은 초기는 P포트로부터 들어가는 라인의 유압이 낮기 때문에, 제1 유압 파일럿 전환 밸브(V1)는 스프링의 가압력으로 도시하는 역전 위치(a)가 되어, 오일은 유압 모터(9)의 역회전측의 포트(M2)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유압 모터(9)가 역회전을 시작하면, 유압 모터(9)로부터 나온 오일은 M1포트로부터 체크가 부착된 역지 밸브(C5)에 흘러, 제1 유압 파일럿 전환 밸브(V1)를 통하여 T포트로 되돌아온다.
상기 체크가 부착된 역지 밸브(C5)를 통과한 오일은 그 흐르는 양이 제한되므로, 유압 모터(9)의 역회전은 정회전에 비해 늦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 P포트로부터 도면 중 점선으로 나타내는 파일럿 라인에 들어가는 오일은 좁힘부(C1, C2)에 의해 서서히 압력이 올라가고, 일정한 압력에 이르면 제2 유압 파일럿 전환 밸브(V2)를 도시하는 드레인으로의 통과 위치(c)로부터 차단 위치(d)로 전환하고, 제1 유압 파일럿 전환 밸브(V1)의 파일럿 포트에 압유를 보내서 제1 유압 파일럿 전환 밸브(V1)를 정전 위치(b)로 전환하고, 오일을 유압 모터(9)의 정회전측의 포트(M1)에 공급하고, 유압 모터(9)는 정회전한다.
오일은 유압 모터(4)로부터 M2포트를 통하여 제1 유압 파일럿 전환 밸브(V1)를 통하여 T포트에 되돌아온다.
이것에 의해, 파쇄 작업시에, 페달을 밟은 초기만 유압 모터(9)를 역회전시키고, 이후는 유압 모터(9)를 정회전시킬 수 있다.
초기의 역회전의 횟수는 1회전 미만으로부터 수회전 정도가 바람직한데, 이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파일럿압을 조정함으로써 제1 유압 파일럿 전환 밸브(V1)의 위치의 전환의 타이밍을 변경해도 되고, 피파쇄물의 종류나 형상 등의 조건에 대응하여 적당히 실험적으로 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압 셔블에 장비된 어태치먼트용의 유압 회로로서 일방향으로 순환하는 모드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 발명에서는 상기 유압 회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방향 전환 밸브에 의해 정전, 역전의 쌍방향으로 전환하여 순환하는 모드를 사용해도 된다.
유압 회로에서는 파쇄 작업시에 페달을 밟으면, 자동적으로 가장 먼저 유압 모터(9)를 역회전시키고, 이어서 곧바로 계속해서 정회전시키는 구성이면, 어떠한 회로 구성이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킷의 개구가 거의 바로 위를 향한 위치에서 슬래그 등의 단단한 피파쇄물의 초크 상태로부터 파쇄 처리를 스타트하는 버킷형 죠 크러셔에 있어서, 싱글 토글 기구로부터 발생하는 죠 가동 톱니(6)의 운동 특성을 이용한 파쇄를 행할 수 있다.
또, 작업중에 슬래그 등에 함유된 금속 등, 단단한 이물이 물려들어가 죠 가동 톱니가 정지한 경우에도, 우선 모터(9)를 멈추고 파쇄 처리를 정지한다.
다음에 유압 셔블의 암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버킷(1)을 반전시킨다(도 6 참조).
이것에 의해 버킷(1) 내의 파쇄 통로(W) 내에 잔류한 피파쇄물이 낙하한다.
다음에 오퍼레이터는 파쇄 작업용의 조작 페달을 밟음으로써 유압 모터(9)가 가장 먼저 역회전하므로, 이것에 의해 물린 이물을 제거하는 것에도 이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피스톤식 유압 모터(9)의 출력축이 상기 측판(2)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이 돌출 부분에 소직경의 구동 풀리(P1)가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종동 풀리(P2)와 구동 풀리(P1)는 측판(2)의 외측에 나란히 하여 배치되고, 종동 풀리(P2)와 구동 풀리(P1) 사이에 무단 벨트(B)가 걸쳐져 있으며, 무단 벨트(B)에는 평벨트가 사용된 평벨트 전동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파쇄 기구는 우선 버킷(1) 내에 편입한 유압 모터(9)의 출력축에 접속된 구동 풀리(P1)로부터 평벨트(B)를 사용하여 편심축(7)에 부착한 종동 휠(P2)을 회전시킨다.
편심축(7)은 편심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죠 가동 톱니(6)의 배출측에 설치한 토글 기구(8)에 조합하여, 죠 가동 톱니(6)의 배출측에 왕복 요동 운동을 부여한다.
파쇄 기구의 파쇄 통로(W)는 입구(공급)측으로부터 출구(배출)측을 향하여 서서히 용적이 좁게 되어 있다.
왕복 요동 운동을 얻을 목적에서, 중력으로 아래로 이동하는 피파쇄물에 대하여 파쇄를 위한 압축 하중을 부여하게 된다.
피파쇄물이 단단한 슬래그인 경우에는, 편심축(7)은 항상 파쇄시의 강한 충격 하중을 받지만, 플라이 휠의 종동 풀리(P2)는 죠 가동 톱니(6)의 복귀시의 에너지를 비축하고, 이것을 압축 파쇄시에 방출함으로써 큰 부하 변동을 완화한다.
또, 무단 벨트(B)에는 평벨트를 채용함으로써, 슬래그 중에 함유되는 금속 등의 단단한 이물이 물려들어갔을 때에 받는 큰 충격 부하를 일순간의 신장이나 슬립으로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벨트 구동을 작용하는 것은 구동용 유압 모터의 출력축에 대한 부하를 저감하고, 축 둘레로부터의 기름 누출의 리스크를 낮게 하고 있다.
벨트 구동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유압 모터(9)의 출력축의 회전수를 편심축(7)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약1/4 내지 1/5의 범위에서 감속함으로써 반대로 유압 모터(9)의 출력축 토크를 4 내지 5배로 높이게 되고, 구동 회전의 설계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파쇄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슬래그의 파쇄 처리에 적합하므로, 슬래그 파쇄기로서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킷을 건설 기계의 붐이나 암과 간섭하지 않는 회전 궤적을 가지도록 외주 형상을 설정했으므로, 작업성이 우수하지만(도 9(a) 내지 (c) 참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형상에 한정하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터로서 유압 모터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유압 회로는 실시예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유압 모터 대신에 전동 모터를 사용하고, 그것을 제어하는 전기 회로를 사용해도 된다.
전동 모터(9)의 경우도, 오퍼레이터가 건설 기계에서 파쇄 작업용의 페달 또는 스위치를 투입하면 전동 모터는 처음에는 편심축(7)을 역회전시키고 계속해서 곧바로 편심축을 정회전시켜 파쇄 작업을 행하는 파쇄 제어 회로를 설치하면 된다(도 12(b) 참조).
특히, 전동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정회전만으로 파쇄 처리를 행하고자 하면, 초크에 의한 오버로드에 의해, 전동기 정격의 200~300%의 과부하를 걸게 되어 서멀 릴레이나 퓨즈의 절단을 하지 않으면 정지할 수 없고, 이것을 빈번하게 반복하면 고장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과부하 릴레이 등으로 기계를 보호할 필요가 있었지만, 파쇄 작업시에 가장 먼저 역회전시키고 계속해서 정회전시킴으로써, 그러한 문제를 막을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컨대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1…버킷
2…측판
3…입구 개구부
4…출구 개구부
5…죠 고정 톱니
6…죠 가동 톱니
7…편심축
8…토글 기구
9…피스톤식 유압 모터
10…커버
20…유압 셔블
21…암
81…토글 플레이트
82…제1 하중 받이부
83…제2 하중 받이부
84…텐션 로드
85…스프링
B…무단 벨트
P1…구동 풀리
P2…종동 풀리
W…파쇄 통로

Claims (7)

  1. 건설 기계의 암에 부착되는 버킷과, 이 버킷 내에 고정된 죠 고정 톱니와, 이 죠 고정 톱니에 대치하여 상부를 편심축으로 축지지하고 하부를 토글 기구로 지지하는 죠 가동 톱니를 설치하고, 죠 고정 톱니와 죠 가동 톱니를 버킷의 퍼넣음측의 공간을 투입구로 하여 넓게 개구하고 안쪽을 향해 서서히 좁게 하여 버킷의 배출구로 이어지도록 배치하고, 상기 죠 가동 톱니의 요동에 의해 슬래그 및 그 밖의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버킷형 죠 크러셔에 있어서,
    버킷에 편심축을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함과 아울러,
    피파쇄물의 파쇄시에, 자동적으로 상기 모터에 의해 편심축을 계속해서 역회전시키고 정회전시키는 파쇄 제어 수단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형 죠 크러셔.
  2. 버킷에 건설 기계의 유압 회로와 접속하여 편심축을 정역 회전시키는 유압 모터를 구비한 유압 회로를 설치하고 있고,
    이 유압 회로는 피파쇄물의 파쇄시에 자동적으로 상기 유압 모터에 의해 편심축을 계속해서 역회전시키고 정회전시키는 파쇄 제어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형 죠 크러셔.
  3. 제 1 항에 있어서, 토글 기구가 양단이 단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토글 플레이트와, 버킷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토글 플레이트의 일방의 단부보다 대직경의 곡률로 설정된 단면 원호 형상이며 상기 일방의 단부와 단면 상에서 점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고정측 토글 시트와, 죠 가동 톱니에 설치되고 상기 토글 플레이트의 타방의 단부보다 대직경의 곡률로 설정된 단면 원호 형상이며 상기 타방의 단부와 단면 상에서 점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가동측 토글 시트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형 죠 크러셔.
  4. 제 2 항에 있어서, 토글 플레이트의 일방의 단부와 고정측 토글 시트와의 접촉면을 덮는 방진용의 고정측 커버와, 토글 플레이트의 타방의 단부와 가동측 토글 시트와의 접촉면을 덮는 방진용의 가동측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형 죠 크러셔.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죠 가동 톱니가 베이스 프레임 상에 톱니판을 부착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이 톱니판을 베이스 프레임에 걸어 고정하는 톱니판 고정 클로부가 죠 가동 톱니와 별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톱니판 고정 클로부는 갈고리부와 이 갈고리부에 일체로 형성된 기부를 가지고 있으며,
    배출구측이 되는 상기 죠 가동 톱니의 선단에서, 상기 톱니판의 선단에 갈고리부가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기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볼트 등의 긴밀체결 도구로 착탈 가능하게 긴밀체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형 죠 크러셔.
  6.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러셔부의 좌우의 측판의 내측에, 죠 고정 톱니와 죠 가동 톱니의 개구 자세에 대응한 대략 삼각 형상의 내마모성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라이너 플레이트를 배치하고, 이 라이너 플레이트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스터드 볼트가 고착되어 있고 상기 측판의 외측으로부터 너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형 죠 크러셔.
  7.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킷의 퍼넣기부의 바닥면이 선단으로부터 서서히 하강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설정되고,
    크러셔부의 바닥면이 상기 경사면의 최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접혀 구부러지는 전방 다리부를 통하여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바닥 높임면으로 되어 있고, 이 바닥 높임면의 후방이며 버킷의 배출구 근방에서 상기 바닥 높임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접혀 구부러져 전방 다리부와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된 후방 다리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형 죠 크러셔.
KR1020127031837A 2010-05-18 2011-05-17 버킷형 죠 크러셔 KR101659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14824 2010-05-18
JP2010114824 2010-05-18
JPJP-P-2010-114823 2010-05-18
JP2010114823 2010-05-18
PCT/JP2010/070058 WO2011145233A1 (ja) 2010-05-18 2010-11-10 バケット型ジョークラッシャ
WOPCT/JP2010/070058 2010-11-10
PCT/JP2011/061349 WO2011145631A1 (ja) 2010-05-18 2011-05-17 バケット型ジョークラッシャ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983A true KR20130120983A (ko) 2013-11-05
KR101659499B1 KR101659499B1 (ko) 2016-09-23

Family

ID=44991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837A KR101659499B1 (ko) 2010-05-18 2011-05-17 버킷형 죠 크러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72283B2 (ko)
EP (1) EP2572789B1 (ko)
JP (3) JP4945012B2 (ko)
KR (1) KR101659499B1 (ko)
BR (1) BR112012029266A2 (ko)
RU (1) RU2012154631A (ko)
WO (2) WO20111452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D20110310A1 (it) * 2011-09-30 2013-03-31 Meccanica Breganzese S P A Benna per la vagliatura e la frantumazione di materiale inerte con valvola equilibratrice
USD734789S1 (en) * 2013-01-15 2015-07-21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Crusher
CN104607266B (zh) * 2015-02-16 2017-01-11 浙江浙矿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颚式破碎机
JP6198870B2 (ja) * 2016-03-07 2017-09-20 油圧機工業有限会社 破砕機用の刃板及び破砕機
CN106000519B (zh) * 2016-07-04 2018-12-11 薛运浩 一种中医科用中草药高效研磨装置
CN106540772A (zh) * 2016-11-25 2017-03-29 广东技术师范学院 一种颚式破碎机用防雨保护装置
CN107051630A (zh) * 2017-01-13 2017-08-18 能诚集团有限公司 破碎机
USD823360S1 (en) * 2017-06-20 2018-07-17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Jaw crusher front frame end
BR112019024959A2 (pt) 2017-08-22 2020-06-23 Yuatsuki Co., Ltd. Placa de lâmina para um triturador, e, triturador.
USD872141S1 (en) * 2018-08-10 2020-01-07 Superior Industries, Inc. Jaw crusher forward wall
US11602755B2 (en) 2019-08-27 2023-03-14 Eagle Crusher Company, Inc. Crusher with resettable relief system
EP3800295A1 (en) * 2019-10-01 2021-04-07 Grado Cero Sistemas, S.L. Bucket for crushing stones and the like
KR102085493B1 (ko) 2019-11-04 2020-03-18 김완식 크러셔
CN113522477A (zh) * 2021-07-09 2021-10-22 济南雷嘉思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材料回收降解用根据材料数量自启停破碎的辅助设备
CN113649102A (zh) * 2021-07-31 2021-11-16 北京瑞辉如景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破碎装置
KR20240044200A (ko) 2022-09-28 2024-04-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49746A (en) * 1944-05-06 1948-09-21 Buffalo Ankerite Gold Mines Lt Wear plate for jaw crushers
JPS5617942U (ko) * 1979-07-21 1981-02-17
JPH0691182A (ja) * 1992-09-16 1994-04-05 Kobe Steel Ltd ジョークラッシャ
JP2009045529A (ja) 2007-08-16 2009-03-05 Meccanica Breganzese Srl 石を粉砕並びに選別するためのバケット
JP2009056423A (ja) 2007-09-03 2009-03-19 Ueda Sangyo Kk バケット型ジョークラッシャ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07661A (en) 1922-06-10 1924-09-09 Charles G Buchanan Wearing plate for crushers
DE389045C (de) 1922-07-20 1924-01-25 Hoffmann & Staeden Eisengiesse Backenbrecher fuer Hartgestein
FR776752A (fr) 1934-08-01 1935-02-04 Gras Et Sacksteder Ets Système de mâchoires pour concasseur à bielle
FR1512467A (fr) 1966-12-23 1968-02-09 Richier Sa Dispositif de fixation des mâchoires de concasseur
JPS4890253U (ko) 1972-02-01 1973-10-30
JPH0233875Y2 (ko) 1986-06-10 1990-09-11
JPH0755232Y2 (ja) * 1989-07-24 1995-12-20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フラワーシェルフ
US5054958A (en) * 1989-10-26 1991-10-08 Strunk Wayne D Apparatus to prepare a road surface
US5630555A (en) * 1992-05-08 1997-05-20 Boyd Motors Limited Rock crusher
JP2945287B2 (ja) * 1994-11-30 1999-09-06 ジャクティ・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ジョークラッシャ
JPH08299820A (ja) * 1995-05-01 1996-11-19 Techno Sakato:Kk 破砕方法及び破砕装置
JP2925067B2 (ja) 1995-07-11 1999-07-26 株式会社栗本鐵工所 ジョークラッシャーのチークプレートの固定構造
US5725166A (en) 1995-11-10 1998-03-10 Nakayama Iron Works, Ltd. Swing type crusher
JP3758767B2 (ja) * 1995-11-10 2006-03-22 株式会社中山鉄工所 ジョークラッシャー及びその運転方法
JP3025742U (ja) 1995-12-12 1996-06-25 優 下田 掘削機用バケット
US6332582B1 (en) * 1998-06-26 2001-12-25 Komatsu Ltd. Self-propelled crushing machine
JP4503205B2 (ja) * 2001-08-17 2010-07-14 株式会社フジタ 破砕機
ATE415202T1 (de) * 2002-04-12 2008-12-15 Terex Pegson Ltd Backenbrecher mit hydraulischer überlastungseinrichtung
US6915972B2 (en) * 2002-09-17 2005-07-12 Robert R. Rossi, Jr. Mobile jaw crusher assembly
JP4292542B2 (ja) * 2003-09-03 2009-07-08 株式会社中山鉄工所 破砕バケット
WO2007129730A1 (ja) * 2006-05-10 2007-11-15 Komatsu Ltd. 自走式破砕機及び自走式破砕機の管理システム
JP2010064008A (ja) 2008-09-11 2010-03-25 Ueda Sangyo Kk バケット型ジョークラッシャ
JP3164735U (ja) 2010-09-28 2010-12-16 株式会社伊藤商会 バケット型ジョークラッシャのカバー構造
JP3165577U (ja) 2010-11-10 2011-01-27 株式会社伊藤商会 バケット型ジョークラッシャのカバー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49746A (en) * 1944-05-06 1948-09-21 Buffalo Ankerite Gold Mines Lt Wear plate for jaw crushers
JPS5617942U (ko) * 1979-07-21 1981-02-17
JPH0691182A (ja) * 1992-09-16 1994-04-05 Kobe Steel Ltd ジョークラッシャ
JP2009045529A (ja) 2007-08-16 2009-03-05 Meccanica Breganzese Srl 石を粉砕並びに選別するためのバケット
JP2009056423A (ja) 2007-09-03 2009-03-19 Ueda Sangyo Kk バケット型ジョークラッシ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72283B2 (en) 2016-03-01
KR101659499B1 (ko) 2016-09-23
JPWO2011145631A1 (ja) 2013-07-22
EP2572789B1 (en) 2024-01-03
JP5069805B2 (ja) 2012-11-07
US20130153697A1 (en) 2013-06-20
EP2572789A4 (en) 2017-11-01
WO2011145631A1 (ja) 2011-11-24
JP2012066253A (ja) 2012-04-05
JP4996776B2 (ja) 2012-08-08
BR112012029266A2 (pt) 2016-07-26
EP2572789A1 (en) 2013-03-27
WO2011145233A1 (ja) 2011-11-24
RU2012154631A (ru) 2014-06-27
JP2012066252A (ja) 2012-04-05
JP4945012B2 (ja) 2012-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0983A (ko) 버킷형 죠 크러셔
US8322643B2 (en) Rock crusher attachment
US9718062B2 (en) Crusher with adjustable closed side setting
US5172869A (en) Jaw crusher
KR100937454B1 (ko) 조 크러셔 및 자주식 파쇄기
JP2009056423A (ja) バケット型ジョークラッシャ
KR100224291B1 (ko) 자주식 파쇄기계
KR100278063B1 (ko) 암석재의 파쇄 방법 및 장치
CN104888883A (zh) 一种颚式破碎机
JP4011880B2 (ja) 破砕装置および工具
JP4292546B2 (ja) 破砕蓋付バケットとその破砕方法
JP2003038968A (ja) インパクトクラッシャの隙間調整装置
JP3165577U (ja) バケット型ジョークラッシャのカバー構造
EP2147163B1 (en) Jaw crusher for a mobile rubble crushing device
JP3164735U (ja) バケット型ジョークラッシャのカバー構造
JP2003334462A (ja) ロール破砕機
JP2003334462A6 (ja) ロール破砕機
KR200398510Y1 (ko) 조 크러셔
JP2014114557A (ja) バケット型ジョークラッシャ
CN102245308A (zh) 装备有相对于供料槽轴线倾斜的转子的小型搅碎机
JP5731442B2 (ja) 破砕機
TR202000710U5 (tr) Bi̇r çeneli̇ kirici
JPH08299820A (ja) 破砕方法及び破砕装置
JP2005342610A (ja) 破砕機
JPH09271682A (ja) 固定歯の交換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