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454B1 - 조 크러셔 및 자주식 파쇄기 - Google Patents

조 크러셔 및 자주식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454B1
KR100937454B1 KR1020087004942A KR20087004942A KR100937454B1 KR 100937454 B1 KR100937454 B1 KR 100937454B1 KR 1020087004942 A KR1020087004942 A KR 1020087004942A KR 20087004942 A KR20087004942 A KR 20087004942A KR 100937454 B1 KR100937454 B1 KR 100937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swing
crusher
exi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1991A (ko
Inventor
토오루 나카야마
료이찌 토가시
코우조 수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31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05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25Jaw clearance or overloa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4Jaw crushers or pulverisers with single-ac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10Shape or construction of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 B02C21/026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self-prope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티크 플레이트가 설치 볼트에 의해 크러셔 프레임의 측벽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조 크러셔에 있어서, 조 크러셔의 출구 근방의 설치 볼트는 출구 간극 조정용 링크 기구의 조정에 의해 스윙 조에 의해 은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 크러셔의 가동시에는 설치 볼트가 스윙 조에 덮여지기 때문에 원재료가 닿지 않으므로, 설치 볼트의 마모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 크러셔의 장기 수명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설치 볼트의 마모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티크 플레이트의 설치 구조를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Figure R1020087004942
조 크러셔, 자주식 파쇄기

Description

조 크러셔 및 자주식 파쇄기{JAW CRUSHER AND SELF-TRAVELING CRUSHER}
본 발명은 조 크러셔 및 이 조 크러셔를 구비한 자주식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고정 조에 대하여 스윙 조를 요동시킴으로써 원재료를 파쇄하는 조 크러셔가 알려져 있다. 고정 조 및 스윙 조는 크러셔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고정 조, 스윙 조, 및 크러셔 프레임으로 둘러싸여지는 영역에 원재료를 투입해서 스윙 조를 요동시킴으로써 고정 조와 스윙 조 사이에서 원재료가 파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조 크러셔에 있어서 크러셔 프레임의 내면에는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 티크 플레이트(teak plate)가 부착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평6-91182호 공보(제 4 도)
그러나, 조 크러셔의 동작 중에는 티크 플레이트가 원재료와 서로 마찰되기 때문에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티크 플레이트가 심하게 마모되면, 티크 플레이트의 오목부에 끼워 넣어진 볼트의 머리 등이 마모되거나, 볼트의 체결 강도가 저하되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티크 플레이트의 설치 구조가 약해지거나, 볼트의 수명이 짧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티크 플레이트의 설치 구조를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고, 장기 수명화를 촉진할 수 있는 조 크러셔 및 이 조 크러셔를 구비한 자주식 파쇄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1 발명은, 조 크러셔에 있어서, 고정 조와, 이 고정 조에 대하여 요동하는 스윙 조와, 스윙 조의 위치를 고정 조에 대하여 변경함으로써 고정 조와 스윙 조의 출구 간극을 조정하는 출구 간극 조정 기구와, 고정 조와 스윙 조를 지지하는 크러셔 프레임과, 고정 조와 스윙 조 사이의 크러셔 프레임 내면에 부착부재에 의해 부착되는 티크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출구 간극 조정 기구는 출구 근방에 배치되는 부착부재를 스윙 조에 의해 은폐할 수 있는 조정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의 조 크러셔에 있어서, 출구 간극 조정 기구는 가동시의 출구 간극의 상태에서 스윙 조가 부착부재를 은폐하고, 티크 플레이트의 교환시의 출구 간극의 상태에서 부착부재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은,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조 크러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이다.
<발명의 효과>
제 1 발명 및 제 2 발명에 의하면, 출구 간극 조정 기구가 티크 플레이트의 출구 간극 근방의 부착부재를 은폐할 수 있는 조정 범위를 갖고, 그 조정 범위가 가동시의 출구 간극의 상태에서 스윙 조가 부착부재를 은폐하고, 티크 플레이트의 교환시의 출구 간극의 상태에서 부착부재가 노출되게 된다.
즉, 스윙 조가 출구 간극이 최대가 되는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부착부재가 노출되고, 스윙 조가 출구 간극이 최소가 되는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부착부재가 스윙 조에 덮여진다. 통상 조 크러셔를 사용할 때에는 출구 간극을 출구 간극 조정범위의 최대값보다 작은 위치에서 사용하므로, 조 크러셔의 사용시에는 부착부재가 스윙 조에 덮여지게 된다. 따라서, 조 크러셔의 사용시에는 원재료가 부착부재에 닿을 일이 없으므로 부착부재의 마모가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부착부재의 장기 수명화가 촉진되고, 티크 플레이트 및 조 크러셔의 장기 수명화가 촉진된다.
또한, 부착부재가 직접 원재료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부착부재의 마모나 손상이 방지되고, 부착부재에 의한 티크 플레이트의 설치 강도의 저하가 방지되므로 티크 플레이트의 설치 구조가 보다 강고하게 된다.
또한, 출구 간극 조정 기구에 의해 스윙 조를 이동시켜 출구 간극을 최대로 하면 부착부재가 노출된다. 따라서, 티크 플레이트의 착탈이 가능하게 되므로,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티크 플레이트가 마모되더라도 티크 플레이트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 양호한 보수 관리성이 확보된다.
이상에 있어서, 출구 간극 조정 기구가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출구 간극을 조정할 때에는 액츄에이터를 작동해서 조정을 행한다. 따라서, 스윙 조의 위치의 변경이 용이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티크 플레이트의 교환 작업이 간단해지고, 교환을 위한 조 크러셔의 정지 시간의 단축이 도모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자주식 파쇄기가 상술한 조 크러셔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조 크러셔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고, 부착부재의 마모가 방지되며, 티크 플레이트의 설치 구조가 강고하게 됨과 아울러, 조 크러셔 및 자주식 파쇄기의 장기 수명화가 촉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자주식 파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 크러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 크러셔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부착부재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 크러셔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주식 파쇄기 30 : 조 크러셔
34 : 크러셔 프레임 35 : 고정 조
36 : 스윙 조
62 : 출구 간극 조정용 링크 기구(출구 간극 조정 기구)
65 : 록 실린더(lock cylinder)(액츄에이터)
311,311A,311B : 티크 플레이트 312A : 설치 볼트(부착부재).
〔전체 구성의 개략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주식 파쇄기(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 중 우측을 전방측, 좌측을 후방측이라고 한다.
자주식 파쇄기(1)는 1쌍의 하부 주행체(11)를 구비한 본체부 유닛(10)과, 본체부 유닛(10) 상의 후방측에 탑재되며 원재료가 공급되는 공급부 유닛(20)과, 공급부 유닛(20)의 전방측에 탑재된 조 크러셔(30)와, 조 크러셔(30)의 더욱 전방측에 탑재된 파워 유닛(40)과, 본체부 유닛(10)의 하방에서 1쌍의 크롤러(18) 사이로부터 전방 비스듬히 위쪽을 향해 연장된 배출 컨베이어(50)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 유닛(10)은 전후 방향으로 연속해서 설치된 좌우의 측방 프레임을 복수의 연결 프레임으로 연결한 메인 프레임(트럭 프레임)(14)을 구비하고, 각 측방 프레임의 하부측에 상기 하부 주행체(11)가 부착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11)는 전방부의 유압 모터(15)에 의해 구동되는 스프로킷(16) 및 후방부의 아이들러(17)에 크롤러(18)를 감게 한 구성이다.
공급부 유닛(20)은 후방으로 돌출된 프레임의 상부에 복수의 코일스프링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그리즐리 피더(grizzly feeder)가 적재되고, 이 그리즐리 피더가 진동장치(25)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즐리 피더의 상부에는 그 주위의 세방면을 둘러싸도록 호퍼(26)가 설치되고, 상방을 향해서 확대 개방된 이 호퍼(26) 내에 원재료가 투입된다. 또한, 그리즐리 피더의 하부에는 그리즐리에 의해 선별되어 낙하되는 원재료를 하방의 배출 컨베이어(50)에 안내하는 도시하지 않은 배출 슈트가 설치되어 있다.
조 크러셔(3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측벽 플레이 트(31)를 복수의 리브로 보강된 배벽(背壁) 플레이트(32) 및 크로스 멤버(33)로 연결한 크러셔 프레임(34)을 구비하고, 배벽 플레이트(32)의 내측에는 고정 조(35)가 부착되고, 고정 조(35)의 전방측에는 톱니면이 대략 연직으로 돌출된 스윙 조(36)가 배치되어 있다. 스윙 조(36)는 그 상부측이 측벽 플레이트(31)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가설된 메인 축(37)의 편심부에 매달려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부측이 파쇄시의 반력을 수용하는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로 지지되어 있고, 또한, 바이어싱(biasing) 기구(70)에 의해 항상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측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여기서,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는 일단이 스윙 조(36)의 배면 부분에 록킹된 링크 플레이트(link plate)(61)와, 링크 플레이트(61)의 타단측을 지지하고 또한 토글 링크(toggle link) 핀(6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토글 링크(64)와, 하단이 토글 링크(64)에 축지지된 록 실린더(65)로 대략 구성되고, 이 록 실린더(65)가 크로스 멤버(33)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록 실린더(65)의 로드(66)를 진퇴시킴으로써 각 조(35,36)의 하단 사이의 출구 간극(W)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는 록 실린더(65)의 구동에 의해 토글 링크(64) 및 링크 플레이트(61)를 통해서 스윙 조(36)를 고정 조(35)에 근접 이간시키는 출구 간극 조정용 링크 기구(출구 간극 조정 기구)(62)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바이어싱 기구(70)는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의 양측에 1쌍 배치되어 있고,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일단이 스윙 조(36)측에 축지지된 텐션 로 드(73)와, 이 텐션 로드(73)를 소정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텐션 스프링(74)으로 대략 구성되고, 이들 텐션 로드(73) 및 텐션 스프링(74)이 상술한 토글 링크(64)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조 크러셔(30)에서는 메인 축(37)의 일단에 설치된 풀리(38)를 V벨트를 통해서 유압 모터로 구동하면 메인 축(37)의 회전에 의해 스윙 조(36)가 요동 링크로서 기능하고, 고정 조(35)와의 사이에서 원재료를 파쇄한다. 이 때, 본 실시형태의 조 크러셔(30)는 스윙 조(36)가 고정 조(35)의 톱니면에 대하여 근접할 때에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스윙하도록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가 다운 스러스트 타입(down thrust type)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42) 상에는 적절한 적재용 브래킷이나 크로스 멤버를 통해서 엔진, 유압 펌프, 연료 탱크, 및 작동 오일 탱크 등으로 구성되는 파워 유닛(40)이 적재되어 있다. 또한, 유압 펌프로부터의 유압을 하부 주행체(11)의 유압 모터나, 그리즐리 피더의 진동장치(25), 조 크러셔(30)의 유압 모터, 및 배출 컨베이어(50) 구동용 유압 모터 등에 분배하는 컨트롤 밸브가 상기 파워 유닛(4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다.
배출 컨베이어(50)는 조 크러셔(30)의 출구로부터 낙하된 파쇄물을 전방으로 배출하고, 높은 곳으로부터 낙하시켜서 퇴적시키거나 한다. 또한, 원재료로서 철근이나 금속편 등의 이물이 포함될 경우에는 배출 컨베이어(50)의 전방부측에 자선기(磁選機)(28)를 부착하여 이 이물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배출 컨베이어(50)로부터의 파쇄물을 지상에 퇴적시키는 것이 아니라, 2차 컨베이어나 3차 컨 베이어 등을 이용하여 원격지까지 반송하는 경우도 있다.
〔조 크러셔의 상세설명〕
이하에, 조 크러셔(30)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조 크러셔(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벽 플레이트(32)에 고정된 고정 조(35)와, 이 고정 조(35)에 대하여 요동하는 스윙 조(36)를 구비하고 있다. 스윙 조(36)의 배면에는 스윙 조(36)의 반력을 수용하는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와, 스윙 조(36)를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측에 소정의 바이어싱 포오스(biasing force)로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기구(70)를 구비하고 있다.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링크 플레이트(61)와, 토글 링크(64)와, 록 실린더(65)를 구비한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링크 플레이트(61)는,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스윙 조(36) 배면의 거의 전체 폭에 걸쳐 접촉되는 판형상 부재이며,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가 다운 스러스트 타입(thrust type)이 되도록 스윙 조(36)에 대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접촉되어 있다. 이 링크 플레이트(61)의 일단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스윙 조(36) 배면에 설치된 접촉부(361)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링크 플레이트(61)의 타단은 토글 링크(64)에 설치된 접촉부(641)에 접촉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61)는 스윙 조(36) 및 토글 링크(64) 사이에 끼움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접촉부(361,641)에는 단면 대략 원호 오목 형상의 오목 형상부(362,642)가 형성되어 있고, 링크 플레이트(61)는 오목 형상부(362,642)의 원호 중심을 각각의 요동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토글 링크(64)는 측벽 플레이트(31)의 내측에 설치되고, 텐션 스프링(74)이 부착되는 부착부(644)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토글 링크(64)는 토글 링크 핀(63)에 축지지되어 있고, 이 토글 링크 핀(63)의 양단은 측벽 플레이트(31)에 고정되어 있다.
록 실린더(65)는 토글 링크(64)의 전방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술한 로드(66)와, 이 로드(66)를 진퇴시키기 위한 실린더 본체(67)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록 실린더(65)는 로드(66)가 실린더 본체(67)의 하방측이 되도록 세워 설치되고, 로드(66)의 하단이 토글 링크(64)의 전방측의 단부에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본체(67)에 있어서 로드(66)가 진퇴하는 측의 단부 근방, 즉 하단측(헤드측)은 크로스 멤버(33)의 지지부(3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록 실린더(65)에서는 로드(66) 또는 로드(66) 단부의 피스톤이 실린더 본체(67)와의 사이에서 단단히 끼워져 있고, 통상 양자가 록킹(locking)되어 있다. 로드(66)를 통해서 이 단단히 끼워진 부분에 유압을 도입하면 실린더 본체(67)의 둘레벽이 외측으로 돌출하고, 이것에 의해 양자의 저항이 저감되어 록킹이 해제되고, 로드(66)를 실린더 본체(67)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로드(66)를 실린더 본체(67)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서 록킹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에 의하면, 원재료의 파쇄시에 발생되는 반력은 링크 플레이트(61)를 통해서 토글 링크(64)의 토글 링크 핀(63)과, 크로스 멤버(33)의 지지부(331)에 의해 수용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록 실린더(65)의 피스톤 및 실린더 본체(67) 사이에 유압을 도입해서 록킹을 해제하고, 이 상태에서 로드(66)를 진퇴시키면, 토글 링크(64) 및 링크 플레이트(61)를 통해서 스윙 조(36)가 이동하여 고정 조(35)에 대하여 근접 이간한다. 즉, 이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는 출구 간극 조정용 링크 기구(62)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
바이어싱 기구(70)는,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토글 링크(64)의 양측, 즉 스윙 조(36)의 폭방향 양단측에 1쌍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바이어싱 기구(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텐션 로드(73)와, 텐션 스프링(74)을 구비하고 있다.
텐션 로드(73)의 일단은 스윙 조(36)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텐션 로드(73)의 타단은 토글 링크(64)의 부착부(644)를 관통해서 일단의 설치 위치로부터 전방 비스듬히 위쪽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텐션 로드(73)는 텐션 스프링(74)에 삽입통과되어 있고, 이 텐션 스프링(74)은 선단이 텐션 로드(73)에 나사 결합된 접촉부(731)에 접촉되고, 기단이 부착부(644)에 고정된 접촉부(732)에 접촉됨으로써 텐션 로드(73)를 토글 링크(64)에 대하여 소정의 바이어싱 포오스(인장력)로 바이어싱하고 있다. 즉, 텐션 스프링(74)은 텐션 로드(73)를 통해서 스윙 조(36)를 토글 링크(64)측으로 바이어싱하고 있다. 이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61)는 스윙 조(36) 및 토글 링크(64) 사이에서 확실하게 유지된다.
〔조 크러셔의 동작〕
이하에, 조 크러셔(3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유압 모터의 구동에 의해 풀리(38)를 V벨트를 통해서 회전시켜 메인 축(37)을 회전시키면 메인 축(37)의 편심 부분에 축지지된 스윙 조(36)가 요동한다. 이 때, 스윙 조(36) 하부측은 다운 스러스트 타입의 반력 수용 링크 기구(60) 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링크 플레이트(61)가 토글 링크(64)측의 오목 형상부(642)의 원호 중심을 요동 중심으로 해서 요동함으로써, 스윙 조(36)가 고정 조(35)에 대하여 근접 이간하도록 요동한다. 이 요동 운동에 의해, 스윙 조(36) 및 고정 조(35)는 이들간에 투입된 원재료를 파쇄하고, 파쇄물을 하단간의 출구 간극(W)으로부터 배출 컨베이어(50)에 배출한다.
그리고, 스윙 조(36)가 원재료를 파쇄할 때에 수용하는 반력은 링크 플레이트(61)를 통해서 토글 링크(64)의 토글 링크 핀(63)과, 크로스 멤버(33)의 지지부(331)에 의해 수용된다. 또한, 스윙 조(36)가 수용하는 반력이 과대할 경우에는 록 실린더(65)의 단단히 끼워진 부분이 슬라이딩함으로써 조 크러셔(30) 본체의 손상을 방지한다.
한편, 파쇄된 파쇄물의 입도를 변경할 때에는 출구 간극 조정용 링크 기구(62)를 조작한다. 록 실린더(65)의 피스톤 및 실린더 본체(67) 사이에 유압을 도입해서 실린더 본체(67)를 약간 팽창시켜 양자의 저항을 저감하고, 단단히 끼워짐에 의한 록킹을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 본체(67)의 헤드측 또는 보텀측에 유압을 도입해서 로드(66)를 진퇴시키면, 이에 따라 토글 링크(64)가 토글 링크 핀(6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링크 플레이트(61)가 이동하고, 스윙 조(36)가 고정 조(35)에 대하여 근접 이간하므로, 이것에 의해 스윙 조(36) 및 고정 조(35)의 하단간의 출구 간극(W)을 조정해서 파쇄물의 입도를 변경한다.
측벽 플레이트(31) 내면에 있어서 고정 조(35)와 스윙 조(36) 사이의 대략 삼각형의 영역에는 티크 플레이트(311)가 부착되어 있다. 티크 플레이트(311)는 소 정 두께의 평판형상이며 상하 2장으로 분할되고, 상부 티크 플레이트(311A)와 하부 티크 플레이트(311B)로 구성되어 있다. 티크 플레이트(311)가 상하 2장으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원재료가 항상 닿음으로써 마모가 보다 심한 하부 티크 플레이트(311B)만을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조 크러셔(30)의 보수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티크 플레이트(311)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고정 조(35)의 폭방향 양측에는 티크 플레이트(311)를 가이드하는 도시하지 않은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 조(35)는 하방을 향해 스윙 조(36)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돌기부도 경사져서 형성되게 된다. 티크 플레이트(311)는 이 돌기부에 접촉해서 가이드됨으로써 측벽 플레이트(31)에 대하여 어느 정도 위치 결정된다.
또한, 티크 플레이트(311)의 재료로서는 높은 내마모성을 갖는 재료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조(35) 및 스윙 조(36)와 동일한 하이 망간(Hi-Mn) 주강이 채용되어 있다.
또한, 티크 플레이트(311)에 있어서 측벽 플레이트(31)에 대향하는 면에는 티크 플레이트(311)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적절하게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부 티크 플레이트(311A)는 상방의 치수가 하방의 치수보다 큰 대략 사다리꼴로 형성되고,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설치 볼트(312) 및 외측으로부터의 더블 너트(도시 생략)에 의해 측벽 플레이트(31)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티크 플레이트(311A)에 있어서 설치 볼트(312)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긴 변이 연직방향을 따 른 가늘고 긴 형상의 오목부(31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설치 볼트(312)의 머리부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머리부가 오목부(313)에 끼워짐으로써 설치 볼트(312)의 머리부가 티크 플레이트(31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설치 볼트(312)가 원재료와 직접 마찰되는 것이 억제되어 설치 볼트(312)의 마모나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313)가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설치 볼트(312)의 회전 방지의 역할을 한다.
상부 티크 플레이트(311A)용 설치 볼트(312)는 양쪽 모두 고정 조(35)와 스윙 조(36)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고, 파쇄실 공간 내에 노출되어 있다. 상부 티크 플레이트(311A)가 2개소에서 측벽 플레이트(3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원재료를 파쇄할 때에 수용하는 힘에 의해 상부 티크 플레이트(311A)의 평면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설치 볼트(312)에 의한 상부 티크 플레이트(311A)의 설치 구조를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설치 볼트(312)에 가해지는 부하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볼트(312)의 장기 수명화를 촉진할 수 있다.
하부 티크 플레이트(311B)는 상방의 치수가 하방의 치수보다 큰 대략 사다리꼴로 형성되고,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설치 볼트(312) 및 외측으로부터의 더블 너트(도시 생략)에 의해 측벽 플레이트(31)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설치 볼트(312)는, 상부 티크 플레이트(311A)의 설치 볼트(312)와 마찬가지로, 하부 티크 플레이트(311B)에 형성된 가늘고 긴 형상의 오목부(313)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설치 볼트(312)의 머리부가 하부 티크 플레이트(311B)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아 설치 볼트(312)의 마모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들 설치 볼트(312) 중 한쪽은 고정 조(35)와 스윙 조(36)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고, 파쇄실 공간 내에 노출되어 있다.
조 크러셔(30)의 출구 근방에 배치되는 다른쪽의 설치 볼트(312A)는 통상의 운전시에는 스윙 조(36)에 덮여져 파쇄실 공간 내에 노출되지 않는다.
여기서, 다른쪽의 설치 볼트(312A)는,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출구 간극 조정용 링크 기구(62)에 의한 스윙 조(36)의 출구 간극 조정 범위 내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즉, 하부 티크 플레이트(311B)에 있어서는 출구 간극(W)이 최대가 되는 스윙 조(36)의 끝면의 위치(Pmax)와, 출구 간극(W)이 최소가 되는 스윙 조(36)의 끝면의 위치(Pmin) 사이에서 스윙 조(36)의 궤적에 의한 영역(A)이 형성되지만, 출구 근방의 다른쪽의 설치 볼트(312A)는 이 영역(A)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스윙 조(36)가 출구 간극(W)이 최소가 되는 위치(Pmin)에 있을 경우에는 다른쪽의 설치 볼트(312A)는 스윙 조(36)에 덮여져 파쇄실 공간 내에 노출되지 않게 되고, 스윙 조(36)가 출구 간극(W)이 최대가 되는 위치(Pmax)에 있을 경우에는 다른쪽의 설치 볼트(312A)가 파쇄실 공간 내에 노출된다.
조 크러셔(30)의 통상 운전시에는 통상, 출구 간극(W)은 최대값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다른쪽의 설치 볼트(312A)가 스윙 조(36)에 덮여져 파쇄실 공간 내에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재료가 다른쪽의 설치 볼트(312A)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른쪽의 설치 볼트(312A)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설치 볼트(312A)의 장기 수명화를 촉진할 수 있다. 특히, 고정 조(35)와 스윙 조(36)의 출구 근방은 원재료가 항상 서로 마찰되므로 하부 티크 플레이트(311B)의 마모가 심하다. 따라서, 고정 조(35)와 스윙 조(36) 사이에 노출되어 있으면, 설치 볼트(312A)가 오목부(313)에 수납되어 있더라도, 하부 티크 플레이트(311B)의 마모에 따라 설치 볼트(312A)의 머리부 등이 마모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쪽의 설치 볼트(312A)가 통상의 운전시에 스윙 조(36)에 덮여져 원재료와 서로 마찰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다른쪽의 설치 볼트(312A)의 마모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티크 플레이트(311B)가 2개(복수)의 설치 볼트(312,312A)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원재료를 파쇄할 때에 수용하는 힘에 의해 하부 티크 플레이트(311B)의 평면방향의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설치 볼트(312,312A)에 의한 하부 티크 플레이트(311B)의 설치 구조를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설치 볼트(312,312A)에 가해지는 부하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볼트(312,312A)의 장기 수명화를 촉진할 수 있다.
티크 플레이트(311)를 교환할 때에는 출구 간극 조정용 링크 기구(62)를 조작해서,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스윙 조(36)와 고정 조(35)의 하단간의 출구 간극(W)을 조정 가능 범위의 최대값으로 설정한다. 그러면, 하부 티크 플레이트(311B)의 설치 볼트(312A)가 고정 조(35)와 스윙 조(36) 사이에 노출되므로, 이 상태에서 설치 볼트(312A)를 떼어내고, 티크 플레이트(311)를 떼어내면 된다. 여기서, 출구 간극 조정용 링크 기구(62)는 록 실린더(65)에 의해 유압으로 조작이 가능하므로, 설치 볼트(312A)가 스윙 조(36)에 덮여져 있더라도 스윙 조(36)를 간단 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설치 볼트(312)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간단한 작업으로 티크 플레이트(311)를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티크 플레이트(311)의 교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조 크러셔(30)의 보수 관리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티크 플레이트는 2장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 크러셔의 치수나 사용 조건에 따라 예컨대 3장 이상으로 분할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분할되지 않고 1장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부착부재는 1개의 티크 플레이트에 2개소 설치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설치수는 임의이다. 또한, 부착부재가 복수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중의 임의의 수의 부착부재를 출구 간극 조정 기구의 출구 간극 조정 범위 내에 배치해도 된다.
티크 플레이트를 교환할 때에는 출구 간극 조정 기구에 의해 출구 간극을 반드시 최대값까지 확대 개방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부착부재가 노출되는 위치까지 확대 개방하면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출구 간극 조정 기구의 작동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티크 플레이트의 교환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
출구 간극 조정 기구의 액츄에이터는 유압에 의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전동 등 임의의 구동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출구 간극 조정 기구는 반드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액츄에이터를 구비하지 않 고 있는 출구 간극 조정 기구이여도 출구 간극의 조정 시간은 걸리지만, 티크 플레이트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구성, 방법 등은 이상의 기재에서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주로 특정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특별히 도시되고, 또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목적하는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이상에서 서술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형상, 재질, 수량, 그 외의 상세한 구성에 있어서 당업자가 여러가지 변형을 더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개시한 형상, 재질 등을 한정한 기재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들의 형상, 재질 등의 한정의 일부 또는 전부의 한정을 제외한 부재의 명칭에 의한 기재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티크 플레이트의 높은 내구성이 요구되는 조 크러셔 및 자주식 파쇄기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

  1. 고정 조와,
    이 고정 조에 대하여 요동하는 스윙 조와,
    상기 스윙 조의 위치를 상기 고정 조에 대하여 변경함으로써 상기 고정 조와 상기 스윙 조의 출구 간극을 조정하는 출구 간극 조정 기구와,
    상기 고정 조와 상기 스윙 조를 지지하는 크러셔 프레임과,
    상기 고정 조와 상기 스윙 조 사이의 상기 크러셔 프레임 내면에 부착부재에 의해 부착되는 티크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출구 간극 조정 기구는 상기 출구 근방에 배치되는 부착부재를, 가동시의 출구 간극의 상태에서 상기 스윙 조가 은폐하고, 한편, 상기 티크 플레이트의 교환시의 출구 간극의 상태에서 노출시키는 조정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2. 고정 조와,
    이 고정 조에 대하여 요동하는 스윙 조와,
    상기 스윙 조의 위치를, 상기 고정 조와 상기 스윙 조의 출구 간극이 최소로 된 위치(Pmin)와 상기 출구 간극이 최대로 된 위치(Pmax)의 사이로 상기 고정 조에 대하여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출구 간극을 조정하는 출구 간극 조정 기구와,
    상기 고정 조와 상기 스윙 조를 지지하는 크러셔 프레임과,
    상기 고정 조와 상기 스윙 조와의 사이의 상기 크러셔 프레임 내면에 복수의 부착부재에 의해 부착되는 티크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출구 간극 조정 기구는, 상기 복수의 부착부재 중 상기 출구 근방에 배치되는 부착부재를, 상기 스윙 조가 상기 출구 간극이 최소로 된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스윙 조로 은폐하고, 한편, 상기 스윙 조가 상기 출구 간극이 최대로 된 위치에 있을 때는 노출시키는 조정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조 크러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KR1020087004942A 2005-08-29 2006-08-24 조 크러셔 및 자주식 파쇄기 KR100937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48047 2005-08-29
JP2005248047 2005-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991A KR20080031991A (ko) 2008-04-11
KR100937454B1 true KR100937454B1 (ko) 2010-01-19

Family

ID=3780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942A KR100937454B1 (ko) 2005-08-29 2006-08-24 조 크러셔 및 자주식 파쇄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86241B2 (ko)
JP (1) JP4879903B2 (ko)
KR (1) KR100937454B1 (ko)
CN (1) CN100581651C (ko)
DE (1) DE112006002326T5 (ko)
FI (1) FI20085246A (ko)
GB (1) GB2444015B (ko)
WO (1) WO2007026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8218B2 (en) * 2005-08-29 2010-05-04 Komatsu Ltd. Jaw crusher and self-traveling crusher
SE532419C2 (sv) * 2008-05-21 2010-01-19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nordning för uppbärning av ett käftkrosstativ på ett fundament
WO2011036334A1 (en) * 2009-09-28 2011-03-31 Metso Minerals, Inc. Frame of jaw crusher, jaw crusher and crushing plant
CN102548660B (zh) * 2009-09-28 2014-11-05 美特索矿物公司 夹钳式破碎机的框架前端、夹钳式破碎机和破碎设备
AT509476B1 (de) * 2010-03-11 2013-04-15 Hartl Stefan Backenbrecher
NL2004700C2 (nl) * 2010-05-11 2011-11-14 Koos Jacobus Schenk Breekinrichting.
CN103721820B (zh) * 2012-10-16 2016-04-13 义乌市黑白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全程式单机破碎生产线
CN103008045A (zh) * 2013-01-18 2013-04-03 贵州成智重工科技有限公司 颚式破碎机拉杆弹簧机构
JP5899254B2 (ja) * 2014-02-25 2016-04-06 株式会社中山鉄工所 ジョークラッシャの駆動装置
CN106111240B (zh) * 2016-08-17 2018-08-14 贵州万恒科技发展有限公司 井下采场破碎台车
DE102018110265B4 (de) 2018-04-27 2024-03-21 Kleemann Gmbh Backenbrecher
CN109847831B (zh) * 2018-11-30 2020-09-22 沂南县宝石硅砂有限公司 一种瞬时冲击辅助式鄂式破碎板
CN110813414B (zh) * 2019-12-22 2021-06-08 巴里坤哈萨克自治县宏泰矿业有限公司 一种用于矿石破碎的颚式破碎机
CN112808355B (zh) * 2020-12-22 2022-07-29 寿县安固建材有限公司 一种煤矸石砖烧结前处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24A (ja) * 1991-06-24 1993-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赤外線透過性レンズの製造方法
KR200306703Y1 (ko) * 2002-11-26 2003-03-11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죠 크러셔의 이동플레이트 하부 결합구조
JP2004174452A (ja) * 2002-11-28 2004-06-24 Komatsu Ltd ジョークラッシャ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24Y2 (ko) * 1988-01-20 1993-02-08
JPH0691182A (ja) 1992-09-16 1994-04-05 Kobe Steel Ltd ジョークラッシャ
JPH079436A (ja) 1992-12-28 1995-01-13 Bridgestone Corp 混練方法及び配合薬品回収装置
CN2351194Y (zh) * 1998-12-15 1999-12-01 万强华 颚式破碎机
JP2003053203A (ja) * 2001-08-16 2003-02-25 Komatsu Ltd ジョークラッシャ
JP4109539B2 (ja) * 2002-11-28 2008-07-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ジョークラッシャ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走式破砕機
US7708218B2 (en) * 2005-08-29 2010-05-04 Komatsu Ltd. Jaw crusher and self-traveling crush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24A (ja) * 1991-06-24 1993-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赤外線透過性レンズの製造方法
KR200306703Y1 (ko) * 2002-11-26 2003-03-11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죠 크러셔의 이동플레이트 하부 결합구조
JP2004174452A (ja) * 2002-11-28 2004-06-24 Komatsu Ltd ジョークラッシ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20085246A (fi) 2008-03-27
CN101252996A (zh) 2008-08-27
GB2444015A (en) 2008-05-21
GB0805500D0 (en) 2008-04-30
GB2444015A8 (en) 2008-08-13
CN100581651C (zh) 2010-01-20
GB2444015B (en) 2009-03-18
WO2007026589A1 (ja) 2007-03-08
JP4879903B2 (ja) 2012-02-22
US20090095833A1 (en) 2009-04-16
DE112006002326T5 (de) 2008-07-10
US7686241B2 (en) 2010-03-30
JPWO2007026589A1 (ja) 2009-03-05
KR20080031991A (ko) 200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454B1 (ko) 조 크러셔 및 자주식 파쇄기
KR100937448B1 (ko) 조 크러셔 및 자주식 파쇄기
KR100987690B1 (ko) 조크러셔
CN104902999A (zh) 活动颚安装组件
US20070284465A1 (en) Crusher
US9339820B2 (en) Jaw crusher support frame
JP4669761B2 (ja) ジョークラッシャおよび自走式破砕機
US4989797A (en) Single swing jaw crushing apparatus with an unobstructed feed opening
JP4746064B2 (ja) ジョークラッシャ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走式破砕機
JP4098605B2 (ja) ジョークラッシャ
KR102573693B1 (ko) 파쇄 효율이 우수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해머 크러셔 장치
JP2004174449A (ja) ジョークラッシャ
JP5731442B2 (ja) 破砕機
JP4071608B2 (ja) 自走式破砕機
JP2006110420A (ja) 破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