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200A -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200A
KR20240044200A KR1020220123692A KR20220123692A KR20240044200A KR 20240044200 A KR20240044200 A KR 20240044200A KR 1020220123692 A KR1020220123692 A KR 1020220123692A KR 20220123692 A KR20220123692 A KR 20220123692A KR 20240044200 A KR20240044200 A KR 20240044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leeper
fine dust
bucket
inl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영
김민정
이철규
김지환
김경훈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23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200A/ko
Publication of KR20240044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6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 E01B29/09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under, or from under, installed rails
    • E01B29/10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under, or from under, installed rails for inserting or removing sleepers
    • E01B29/11Removal involving destruction of the sleeper, e.g. the section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E01B3/40Slabs; Blocks; Pot sleepers; Fastening tie-rods to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는, 콘크리트침목의 투입구와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분쇄물이 배출될 배출구가 형성되는 버킷 본체가 구비된 버킷부; 상기 콘크리트침목을 상기 투입구로 유도하기 위한 가동 톱니부; 상기 버킷 본체에 형성되는 분쇄공간에 배치되는 수치판이 구비된 수치부; 상기 수치부와 마주보는 형태로 상기 분쇄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치부와 함께 상기 분쇄공간에서 콘크리트침목의 일부를 분쇄시키기 위한 동치판이 구비된 동치부; 유압 셔블의 제어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크랭크와 크랭크 기기가 구비되는 크랭크부; 상기 크랭크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회전운동력을 직선운동력으로 변환한 후에 상기 동치부에 전달하여 상기 동치판의 위치 변화를 통해 상기 수치판과 동치판간의 이격 거리를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분쇄가 가능하게 변화시키는 서포트부; 상기 콘크리트침목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동안 상기 투입구 측에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향해 미스트를 분사하여 상기 투입구 측의 미세먼지를 응집시키는 미스트 분사부;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분쇄에 따라 상기 배출구 측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사이클론부; 및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파지를 통해 상기 수치판 또는 동치판의 파손/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벨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Bucket crusher with fine dust collection function and concrete sleeper crush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침목의 투입 및 분쇄 과정에서 발생된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기차 혹은 전철레일 밑에 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침목은 오랜 사용으로 인해 마모 및 균열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이를 새 콘크리트침목으로 교체한 후, 기존의 마모 및 균열이 생긴 콘크리트침목은 분쇄 후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콘크리트침목을 폐기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분쇄 장치는 공지되어 있는데, 공지된 다양한 분쇄 장치 중 하나인 크러셔는 크게 외면에 다수의 분쇄날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분쇄드럼을 상호 맞물리면서 폐자재를 분쇄하는 롤 타입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분쇄판(20, 30) 사이에 폐자재가 유입되고 한 쌍의 분쇄판(20, 30) 압착력에 의해 폐자재가 분쇄(또는 파쇄)시키는 버킷타입의 조 크러셔(또는 버킷 크러셔)로 구분될 수 있다.
롤 타입의 크러셔는 분쇄드럼의 크기에 따라 폐자재를 분쇄할 수 있는 크기에 한계가 있어 다양한 크기의 폐자재를 용이하게 분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현장에서는 롤 타입의 크러셔보다 조 크러셔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침목을 롤 타입의 크러셔 또는 조 크러셔로 분쇄하여 처리하게 될 경우, 콘크리트침목을 투입구에 투입하는 과정과 분쇄하는 과정에서 미세먼지가 발생하게 되는데, 콘크리트침목에 의한 미세먼지는 작업현장으로 비산될 경우 작업현장의 환경오염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작업현장의 작업자에게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콘크리트침목(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레일을 설치하기 위한 금속 재질의 숄더(51)가 일측에 구비되는데, 조 크러셔에 의해 분쇄될 때 조 크러셔의 분쇄부(20, 30)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콘크리트침목(50)은 조 크러셔의 버킷부(10)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조 크러셔의 분쇄부(30)에 콘크리트침목(50)의 일단과 숄더(51)가 동시에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조 크러셔의 과부하를 유발하여 분쇄 과정을 강제로 종료한 후 작업자의 인력을 통해 콘크리트침목(50)의 방향 및 위치를 설정한 후 재가동할 수 밖에 없어 분쇄 과정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침목(50)의 분쇄 과정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콘크리트침목(50)의 일단과 숄더(51)가 분쇄부(20, 30)와 동시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숄더(51)가 분쇄부(20, 30)와 접촉되지 않는 방향으로 작업자의 인력을 통해 콘크리트침목(50)을 버킷부(10)에 투입시킬 수 있으나, 콘크리트침목(50)의 분쇄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회전되어 여전히 콘크리트침목(50)의 일단과 숄더(51)가 분쇄부(20, 30)와 동시에 접촉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콘크리트침목(50)을 버킷부(10)에 투입시키는 과정에서 버킷부(10)로 바로 투입되지 않는 부분의 중력에 의해 콘크리트침목(50)이 작업현장으로 낙하될 수 있으므로, 작업현장에 위치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5493호(2020.02.2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9499호(2016.09.19 등록)
본 발명은 종래 콘크리트침목의 분쇄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침목의 투입 및 분쇄 과정에서 발생된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침목의 분쇄 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콘크리트침목을 고정시켜 콘크리트침목의 분쇄 과정에서 콘크리트침목의 일측에 구비된 숄더와 콘크리트침목의 일단이 분쇄부와 동시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분쇄부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는, 콘크리트침목의 투입구와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분쇄물이 배출될 배출구가 형성되는 버킷 본체가 구비된 버킷부; 상기 콘크리트침목을 상기 투입구로 유도하기 위한 가동 톱니부; 상기 버킷 본체에 형성되는 분쇄공간에 배치되는 수치판이 구비된 수치부; 상기 수치부와 마주보는 형태로 상기 분쇄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치부와 함께 상기 분쇄공간에서 콘크리트침목의 일부를 분쇄시키기 위한 동치판이 구비된 동치부; 유압 셔블의 제어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크랭크와 크랭크 기기가 구비되는 크랭크부; 상기 크랭크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회전운동력을 직선운동력으로 변환한 후에 상기 동치부에 전달하여 상기 동치판의 위치 변화를 통해 상기 수치판과 동치판간의 이격 거리를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분쇄가 가능하게 변화시키는 서포트부; 상기 콘크리트침목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동안 상기 투입구 측에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향해 미스트를 분사하여 상기 투입구 측의 미세먼지를 응집시키는 미스트 분사부;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분쇄에 따라 상기 배출구 측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사이클론부; 및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파지를 통해 상기 수치판 또는 동치판의 파손/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벨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은, 버킷부의 버킷 본체와 벨트부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벨트부로 콘크리트침목의 파지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침목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침목이 자중에 의해 상기 버킷 본체의 투입구를 향해 이동되는 단계; 가동 톱니부로 상기 콘크리트침목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버킷 본체의 분쇄공간으로 투입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침목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 단계; 미스트 분사부가 상기 콘크리트침목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동안 상기 투입구 측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향해 미스트를 분사하여 상기 투입구 측의 미세먼지를 응집시키는 단계; 크랭크부 및 서포트부에 의한 상기 분쇄공간에 배치된 동치부의 동치판의 위치 변화를 통해 상기 동치부와 함께 상기 분쇄공간에 배치된 수치부의 수치판과 동치판간의 이격 거리를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분쇄가 가능하게 변화시켜 상기 수치판과 동치판이 상기 콘크리트침목을 분쇄시키는 단계; 및 사이클론부가 콘크리트침목의 분쇄에 따라 상기 버킷 본체의 배출구 측에서 발생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침목의 투입 및 분쇄 과정동안 발생하여 작업현장으로 비산될 수 있는 미세먼지를 제거함으로써, 미세먼지에 의한 작업현장의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현장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침목의 일측에 구비된 숄더와 콘크리트침목의 일단이 분쇄부와 동시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분쇄부의 과부하 방지와 콘크리트침목의 분쇄 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크러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콘크리트침목의 파쇄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부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톱니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치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치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이클론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의 일례 및 콘크리트침목의 투입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를 이용한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버킷 크러셔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부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100)는 콘크리트침목(50)을 분쇄하기 위한 장치로서, 버킷부(110), 가동 톱니부(120), 고정 톱니부(130), 수치부(140), 동치부(150), 크랭크부(160), 서포트부(170) 및 싸이클론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버킷부(110)는 상기 버킷 크러셔(100)의 나머지 구성요소가 구비되도록 하는 본체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제1, 2 투입유도부(120, 130)로부터 투입 유도되는 콘크리트침목(50)의 분쇄가 이루어질 분쇄공간을 내부에 형성한다.
상기 버킷부(110)는 제1, 2 투입유도부(120, 130)로부터 투입 유도되는 콘크리트침목(50)이 내부의 분쇄공간에 투입되도록 하기 위한 투입구(A)를 일측선단에 형성하게 되며, 상기 분쇄공간상에서 수치부(140) 및 동치부(150)를 통해 분쇄된 콘크리트침목(50)의 분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B)가 일측선단과 대향되는 타측선단에 형성된 버킷 본체(111)로 외형이 이루어진다.
상기 버킷 본체(111)는 일련의 제조과정을 통해 내, 외부 구조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버킷 본체(111)는 일례로 커버(1110), 회전축(1111), 제1 하우징(1112), 제2 하우징(1113), 유도판(114), 측판(115), 제3 하우징(116), 보강플레이트(117), 제4 하우징(1118) 및 내부 하우징(1119)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1110)는 버킷 본체(111)의 일측선단에 형성된 투입구(A)를 개방 또는 폐쇄(이하에서는 '개폐'라 한다.)하기 위해, 회전축(1111)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커버(1110)는 회전축(1111)를 축으로 회전하여 투입구(A)를 폐쇄할 때 상기 투입구(A)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동 톱니부(120)가 고정 톱니부(130)와 맞물리는 형태가 될 때까지 회전축(1111)을 축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투입구(A)의 일부가 개방되는 상태로 상기 투입구(A)를 폐쇄시킬 수도 있다.
상기 회전축(1111)은 투입구(A)의 개폐를 위해 버킷 본체(111)에 구비되며, 버킷 크러셔(100)를 승강 및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 셔블(미도시)의 제어장치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거나, 상기 유압 셔블의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 하우징(1112)은 투입구(A)가 개방될 때를 기준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커버(1110)의 일면에 구비되며, 후술될 가동 톱니부(120)의 유압실린더(1200)에 구비된 체결수단이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구를 관통할 때 상기 유압실린더(1200)가 상기 커버(1110)상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2 하우징(1113)은 제1 하우징(1112)과 마찬가지로 커버(1110)의 일면에 구비되며, 후술될 가동 톱니부(120)의 제1 연결축(1203)이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됨으로써, 유압실린더(1200)를 제외한 나머지 가동 톱니부(120)의 구성요소가 상기 커버(1110)상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유도판(1114)은 콘크리트침목(50)을 투입구(A)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투입구(A)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형태로 버킷 본체(111)에 구비된다.
상기 측판(1115)은 콘크리트침목(50)이 제1, 2 투입유도부(120, 130)와 상기 유도판(1114)을 따라 투입구(A)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투입구(A)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도판(1114)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판(1115a, 1115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1116)은 유압 셔블의 승강장치(예: 암)과 버킷 본체(111)를 체결하기 위해, 한 쌍의 제3 하우징(1116a, 1116b)으로 구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버킷 본체(111)를 기준으로 상기 버킷 본체(111)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암에 구비된 체결수단이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구를 관통할 때 상기 암과 버킷 본체(111)가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보강플레이트(1117)는 한 쌍의 제3 하우징(1116a, 1116b)의 휨/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제3 하우징(1116a, 1116b)의 일측과 결합된다.
상기 제4 하우징(1118)은 후술될 크랭크부(160)의 크랭크(161) 및 플라이휠(164)이 도 5에 도시된 버킷 본체(111)를 기준으로 버킷 본체(111)의 양측에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버킷 본체(111)의 양측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크랭크(161) 및 플라이휠(164)와 각각 인접한 크랭크축(162a, 162b)이 삽입 가능한 직경의 삽입구(1118a)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내부 하우징(1119)은 서포트부(170)가 버킷 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내부 하우징(1119)은 서포트부(170)가 동치부(150)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동력을 크랭크부(160)로부터 전달받도록 하기 위해, 후술될 서포트부(170)의 고정축(172)이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축(172)이 관통구를 관통할 때 상기 서포트부(170)의 피스톤(171)이 크랭크부(160)의 메인저널(163)로부터 회전운동력을 전달받도록 하는 구조가 발생되도록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동 톱니부(120)는 제1, 2 하우징(1112, 1113)을 통해 커버(1110)상에 고정되며, 유압을 기반으로 동작하여 콘크리트침목(50)이 투입구(A)를 향해 이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가동 톱니부(120)는 일련의 제조과정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톱니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동 톱니부(120)는 구성요소 중 하나인 유압실린더(1200)가 제1 하우징(1112)에 체결되며, 상기 유압실린더(1200)에 의해 투입유도수단이 기계적으로 동작할 때 콘크리트침목(50)의 외면과 접촉한 후 상기 콘크리트침목(50)을 끌어당겨 콘크리트침목(50)을 투입구(A)로 향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투입유도수단은 기계적으로 동작하는동안 콘크리트침목(50)이 투입구(A)를 향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능한 형태라면 형태를 한정하지 아니하나, 일례로는 피스톤(1201), 제1 연결플레이트(1202), 제1 연결축(1203), 제2 연결축(1204), 제2 연결플레이트(1205), 연결플랜지(1206), 투입유도 플레이트(1207) 및 가동 톱니(1208)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1201)은 유압실린더(1200)가 유압을 통해 이동시키는 객체로서, 상기 유압실린더(1200)에 의해 이동이 발생될 때 투입유도수단, 바람직하게는 가동 톱니(1208)이 기계적으로 동작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1200)는 유압 셔블의 암을 따라 연결되는 펌프(미도시)로부터 유압을 발생시킬 유압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제1 연결플레이트(1202)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제1 연결축(1203)을 통해 제2 하우징(1113)에 체결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플레이트(1202a, 1202b)는 투입유도수단이 피스톤(1201)의 이동에 따라 기계적으로 동작하도록 제2 연결축(1204)을 통해 피스톤(1201)과 연결된다.
상기 제2 연결플레이트(1205)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한 쌍의 제1 연결플레이트(1202a, 1202b)의 일측과 각각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플레이트(1205a, 1205b)는 한 쌍의 제1 연결플레이트(1202a, 1202b)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연결플레이트(1202a, 1202b)와 함께 피스톤(1201)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변화된다.
상기 연결플랜지(1206)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한 쌍의 제2 연결플레이트(1205a, 1205b)의 일측과 각각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연결플랜지(1206a, 1206b)는 한 쌍의 제2 연결플레이트(1205a, 1205b)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 연결플레이트(1205a, 1205b)와 함께 피스톤(1201)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변화된다.
상기 투입유도 플레이트(1207)는 한 쌍의 연결플랜지(1206a, 1206b)의 일단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연결플랜지(1206a, 1206b)와 함께 피스톤(1201)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변화된다.
상기 가동 톱니(1208)는 투입유도 플레이트(1207)의 일단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피스톤(1201)의 이동에 따라 콘크리트침목(50)의 외면과 접촉한 후 상기 콘크리트침목(50)을 투입구(A) 측으로 끌어당겨 상기 콘크리트침목(50)이 상기 투입구(A)로 향하도록 유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유도수단은 투입유도수단이 피스톤(1201)의 이동에 따라 기계적으로 동작하는동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톱니(1208)가 고정 톱니부(130)와 이격된 상태로부터 근접해지도록 위치가 변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가동 톱니(1208)를 콘크리트침목(50)의 외면과 접촉시킨 후 상기 가동 톱니(1208)로 상기 콘크리트침목(50)을 투입구(A) 측으로 끌어당겨 상기 콘크리트침목(50)이 상기 투입구(A)로 향하도록 유도한 다음에 다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 톱니(1208)를 고정 톱니부(130)와 이격된 상태로 복구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톱니부(130)는 지반의 굴착을 위해 버킷 본체(111)에 마련되며, 복수개의 가동 톱니(1208)가 위치 변화에 따라 유도판(1114)의 일단과 접촉할 때를 기준으로 각 가동 톱니(1208)가 사이공간마다 투입되는 형태를 가지는 복수개의 고정 톱니가 유도판(1114)의 일단에 복수개로 마련된다.
상기 수치부(140)는 버킷 본체(111)의 분쇄공간에서 동치부(150)와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동치부(150)와 함께 상기 분쇄공간에 투입되는 콘크리트침목(50)의 일부를 분쇄시켜 상기 분쇄공간상에서 분쇄물이 생성되도록 한다.
상기 수치부(140)는 일련의 제조과정을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치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수치부(140)는 콘크리트침목(50)의 분쇄와 유도판(1114)을 지지하기 위한 수치판(141), 수치프레임(142) 및 지지부재(143)를 포함한다.
상기 수치판(141)은 동치부(150)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편(141a)이 복수개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돌출편(141a)을 통해 콘크리트침목(50)의 일부를 파쇄하게 된다.
상기 수치프레임(142)은 버킷 본체(111)와 결합되어 수치판(141)이 버킷 본체(111)의 분쇄공간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143)는 유도판(1114)이 콘크리트침목(50)의 자중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수치프레임(142)과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유도판(1114)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유도판(1114)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143)는 유도판(1114)의 지지 효율이 향상되도록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부재(143a), 제2 지지부재(143b), 제3 지지부재(143c) 및 제4 지지부재(143d)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복수개의 지지부재(143)의 개수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동치부(150)는 버킷 본체(111)의 분쇄공간에서 수치부(140)와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동치부(150)와 함께 상기 분쇄공간에 투입되는 콘크리트침목(50)의 일부를 분쇄시켜 상기 분쇄공간상에서 분쇄물이 생성되도록 한다.
상기 동치부(150)는 일련의 제조과정을 통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치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동치부(150)는 콘크리트침목(50)의 분쇄와 크랭크부(160)를 고정하기 위한 동치판(151), 동치프레임(152) 및 크랭크 고정수단(153)을 포함한다.
상기 동치판(151)은 수치부(140)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편(151a)이 복수개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돌출편(151a)을 통해 콘크리트침목(50)의 일부를 파쇄하게 된다.
상기 동치판(151)은 버킷 본체(111)의 분쇄공간상에서 투입구(A)로부터 배출구(B)를 향해 갈수록, 수치부(140)와의 상호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게 분쇄공간상에서 사선으로 배치된다.
상기 동치프레임(152)은 버킷 본체(111)와 결합되어 동치판(151)이 버킷 본체(111)의 분쇄공간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동치프레임(152)은 일부가 서포트부(170)와 결합되어 서포트부(170)로부터 전달받는 직선운동력에 의해 위치가 변하게 된다.
상기 동치프레임(152)은 동치판(151)의 위치 변화를 통해 수치판(141) 및 상기 동치판(151)이 콘크리트침목(50)를 분쇄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수치판(141) 및 동치판(151)간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한다.
상기 동치프레임(152)은 동치판(151)의 위치 변화를 통해 콘크리트침목(50)의 직경에 따라 상기 동치판(151)과 수치판(141)간의 이격 거리를 넓히거나 좁혀지게 하며, 버킷 크러셔(100)는 콘크리트침목(50)의 직경을 측정한 후, 상기 콘크리트침목(50)의 직경 정보를 유압 셔블의 제어장치로 송신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유압 셔블의 제어장치는 센서로부터 수신한 콘크리트침목(50)의 직경 정보에 따라 수치판(141) 및 동치판(151)이 상기 콘크리트침목(50)의 외면과 접촉되는 이격 거리로 이격되도록 하기 위한 직선운동력이 서포트부(170)로부터 발생되도록 하는 회전운동력이 크랭크부(160)로부터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크랭크 고정수단(153)은 버킷 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는 크랭크부(160)의 크랭크축(162a, 162b)이 각각 삽입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상기 한 쌍의 크랭크 고정수단(153a, 153b)은 크랭크축(162a, 162b)이 각각 삽입되는 경우, 상기 크랭크축(162a, 162b)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크랭크축(162a, 162b)은 상기 한 쌍의 크랭크 고정수단(153a, 153b)상에서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크랭크부(160)는 유압 셔블의 제어장치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크랭크(161)를 구비한다.
상기 크랭크(161)는 일부가 제4 하우징(1118)의 삽입구(1118a)에 삽입된 상태로 유압 셔블의 제어장치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운동력을 크랭크 기구에 전달하여 상기 크랭크 기구의 회전운동력이 서포트부(170)에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크랭크 기구는 일련의 제조과정을 통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크랭크 기구는 버킷 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며, 회전운동에 따른 동력을 서포트부(170)에 전달하기 위한 제1 크랭크축(162a), 제2 크랭크축(162b), 메인저널(163) 및 플라이휠(16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크랭크축(162a)은 크랭크(161)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객체로서 크랭크(161)로부터 전달받은 회전운동력에 따라 제1 크랭크 고정수단(153a)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 크랭크축(162b)은 크랭크(161)로부터 전달받은 회전운동력에 따라 제2 크랭크 고정수단(153b)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메인저널(163)은 서포트부(170)와 연결되는 객체로서 크랭크(161)로부터 전달받은 회전운동력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운동력을 연결된 서포트부(170)의 피스톤(171)에 전달한다.
상기 플라이휠(164)은 크랭크축(162a, 162b) 및 메인저널(163)의 회전 불균형과 회전 진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객체로서, 크랭크(161)로부터 전달받은 회전운동력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게 되면, 상기 서포트부(170)는 메인저널(163)로부터 전달받은 회전운동력을 직선운동력으로 변환하며, 직선운동력을 기반으로 동치프레임(152)의 위치가 변화되도록 한다.
상기 서포트부(170)는 일련의 제조과정을 통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서포트부(170)는 직선운동력을 동치프레임(152)로 전달하기 위한 피스톤(171), 실린더(172) 및 동력전달부재(173)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171)은 실린더(172)의 내부에 배치되며, 메인저널(163)로부터 전달받은 회전운동력에 의해 직선운동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172)는 피스톤(171)이 내부에 투입되며, 서포트부(170)가 버킷 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내부 하우징(1119)을 관통하게 될 고정축(172a)이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173)는 실린더(172)와 결합됨과 동시에 동치프레임(152)의 일부와 결합되어 피스톤(171)에 의한 직선운동력을 동치프레임(152)에 전달하여 동치판(151)의 위치 변화를 통해 수치판(141) 및 동치판(151)간의 이격 거리가 콘크리트침목(50)의 분쇄가 가능하도록 변화시킨다.
즉, 일 실시예에서 동치판(151)은 크랭크부(160)의 회전운동력을 서포트부(170)가 직선운동력으로 변환하게 되는 경우, 상기 직선운동력을 기반으로 수치판(141)과의 이격 거리가 변화될 수 있으며, 크랭크부(160)는 서포트부(170)에 구비된 피스톤(171)의 직선운동력을 기반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이 아닌 유압 셔블의 제어장치를 통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킷 크러셔(100)는 콘크리트침목(50)이 투입구(A)로 투입되는동안 상기 투입구(A) 측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저감시키기 위해 미스트 분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미스트 분사부는 투입구(A) 측에서 발생된 미세먼지를 향해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도록 버킷 본체(111)의 일측에 구비되며, 미스트 분사를 통해 상기 투입구(A) 측에서 발생된 미세먼지를 중력 침강시키면서 응집되도록 한다.
상기 미스트 분사부는 콘크리트침목(50)의 투입이 시작될 때부터 상기 콘크리트침목(50)의 투입이 종료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유압 셔블의 제어장치에 의해 원격 제어되어 미스트를 분사함으로써, 투입구(A) 측에서 발생된 미세먼지의 저감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미스트 분사부가 미세먼지를 응집시키기 위한 유체는 한정하지 아니하나, 일 실시예에서는 물일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싸이클론부(18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B)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배출구(B) 측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저감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이클론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이클론부(180)는 배출구(B) 측의 미세먼지를 저감함으로써 미세먼지가 상기 배출구(B)를 통해 작업현장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B) 측의 미세먼지 저감 효율 향상을 위해 상기 배출구(B)와 근접한 버킷 본체(111)의 양측부로부터 탈부착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클론부(180a, 180b)는 콘크리트침목(50)의 분쇄에 따라 버킷 본체(111)의 분쇄공간에서 발생된 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투입구(A) 측에서 미스트에 의해 응집된 미세먼지도 집진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클론부(180a, 180b)는 배출구(B) 측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침목(50)의 분쇄 과정동안 버킷 본체(111)의 분쇄공간에 발생된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해 복수개의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연결된 형태로 마련되며, 복수개의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상기 분쇄공간과 연통됨으로써, 상기 분쇄공간의 미세먼지를 집진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사이클론부(180a, 180b)는 입자 분리 방식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집진하며, 이 과정에서 생성된 미세먼지를 저감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버킷 크러셔(100)는 콘크리트침목(50)의 분쇄 과정에서 상기 콘크리트침목(50)의 일단 및 상기 콘크리트침목(50)의 일측에 구비된 숄더(51)가 동시에 수치판(141) 또는 동치판(151)와 접촉함에 따라 상기 수치판(141) 또는 동치판(151)이 파손/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벨트부(190)를 더 포함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의 일례 및 콘크리트침목의 투입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벨트부(190)는 콘크리트침목(50)의 지지와 회전 방지를 위한 지지 벨트(191) 및 회전 방지 벨트(19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벨트(191)는 버킷 본체(111)의 일측선단과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버킷 본체(111)의 하부와 결합되어 콘크리트침목(50)의 일측을 지지한다.
상기 회전 방지 벨트(192)는 콘크리트침목(50)이 수치판(141) 및 동치판(151)을 통해 분쇄되는동안 상기 콘크리트침목(50)의 일단과 숄더(51)가 상기 수치판(141) 또는 동치판(151)과 동시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침목(50)을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 방지 벨트(192)가 콘크리트침목(50)을 고정시키는 것은 상기 콘크리트침목(50)의 완전히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콘크리트침목(50)의 자중에 의해 지지 벨트(191)를 따라 투입구(A)를 향해 이동되는동안 상기 콘크리트침목(50)의 회전을 방지할 정도로 파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버킷 크러셔(100)는 버킷 본체(111)가 분쇄공간 내에서 분쇄된 콘크리트침목(50)의 분쇄물이 자중에 의해 배출구(B)로 배출되도록 유압 셔블의 승강장치에 의해 상기 배출구(B)가 점진적으로 지면을 향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침목(50)은 벨트부(19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어야 하므로, 상기 벨트부(190)는 콘크리트침목(50)이 수직 방향으로 투입구(A)에 투입되도록 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클론부(180a, 180b)는 버킷 본체(111)의 배출구(B)가 지면을 향하도록 유압 셔블의 승강장치에 의해 회동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지면에 해당되는 작업현장의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배출구(B) 측의 미세먼지의 저감 뿐만 아니라 작업현장 대기로의 배출로 인한 미세먼지 농도 상승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버킷 크러셔(100)는 미스트 분사부 및 사이클론부(180a, 180b)를 통해 버킷 본체(111)의 투입구(A)와 배출구(B) 측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함으로써, 콘크리트침목(50)의 분쇄에 의한 미세먼지가 작업현장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
이하에서는, 상기 버킷 크러셔(100)에 의해 수행되는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S13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S130)은 사용자에 의해 지지 벨트(191)와 버킷부(191)가 연결될 수 있다(S131).
상기 단계(S131)에서 사용자는 유압 셔블이 위치한 작업현장의 작업자일 수 있다.
상기 단계(S131) 후, 사용자는 콘크리트침목(50)의 회전을 방지하는 형태로 회전 방지 벨트(192)로 상기 콘크리트침목(50)을 파지하는 것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침목(50)이 고정되도록 한다(S132).
그 후, 콘크리트침목(50)은 자중에 의해 지지 벨트(191)를 따라 투입구(A)를향해 이동될 수 있다(S133).
그 후, 가동 톱니부(120) 및 유도판(1114)은 콘크리트침목(50)이 투입구(A)를 통해 버킷 본체(111)의 분쇄공간으로 투입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침목(50)은 상기 투입구(A)에 투입될 수 있다(S134).
그 후, 미스트 분사부는 콘크리트침목(50)이 투입구(A)로 투입되는동안 상기 투입구(A) 측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향해 미스트를 분사하여 상기 투입구(A) 측의 미세먼지가 응집되도록 한다(S135).
그 후, 동치판(151)은 크랭크부(160) 및 서포트부(170)에 의한 위치 변화를 통해 콘크리트침목(50)의 분쇄가 가능하게 수치판(141)과의 이격 거리 변화되며, 상기 수치판(141)과 동치판(151)은 콘크리트침목(50)을 분쇄시킬 수 있다(S136).
상기 단계(S135)에서, 콘크리트침목(50)의 분쇄물은 유압 셔블의 승강장치에 의해 지면을 향하게 된 버킷 본체(111)의 배출구(B)를 통해 지면에 해당되는 작업현장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 후, 한 쌍의 사이클론부(180a, 180b)는 콘크리트침목(50)의 분쇄에 따라 배출구(B) 측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흡입한 후, 미세먼지의 입자 분리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구(B) 측의 미세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S137).
상기 단계(S137)에서 한 쌍의 사이클론부(180a, 180b)는 투입구(A) 측에서 미스트 분사부로부터 분사된 미스트에 의해 응집된 미세먼지나 복수개의 사이클론 집진장치로 구성되어 버킷 본체(111)의 분쇄공간에 발생된 미세먼지의 집진도 가능하다.
또한, 한 쌍의 사이클론부(180a, 180b)는 미세먼지의 입자 분리를 통해 생성된 미세먼지를 저감하게 되는데, 여기서 외부는 버킷 본체(111)가 유압 셔블의 승강장치에 의해 회동됨에 따라 배출구(B)와 마주보게 되는 작업현장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배출구(B) 측의 미세먼지의 저감 뿐만 아니라 작업현장 대기로의 배출로 인한 미세먼지 농도 상승을 줄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S130)은 미스트 분사부 및 사이클론부(180a, 180b)를 통해 버킷 본체(111)의 투입구(A)와 배출구(B) 측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함으로써, 콘크리트침목(50)의 분쇄에 의한 미세먼지가 작업현장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50: 콘크리트침목, 51: 숄더,
100: 버킷 크러셔, 110: 버킷부,
111: 버킷 본체, 1110: 커버,
1111: 회전축, 1112: 제1 하우징,
1113: 제2 하우징, 1114: 유도판,
1115: 측판, 1116: 제3 하우징,
1117: 보강플레이트, 1118: 제4 하우징,
1118a: 삽입구, 1119: 내부 하우징,
120: 가동 톱니부, 1200: 유압실린더,
1201: 피스톤, 1202: 제1 연결플레이트,
1203: 제1 연결축, 1204: 제2 연결축,
1205: 제2 연결플레이트, 1206: 연결플랜지,
1207: 투입유도 플레이트, 1208: 가동 톱니,
130: 고정 톱니부, 140: 수치부,
141: 수치판, 141a: 돌출편,
142: 수치프레임, 143: 지지부재,
150: 동치부, 151: 동치판,
151a: 돌출편, 152: 동치프레임,
153: 크랭크 고정수단, 153a: 제1 크랭크 고정수단,
153b: 제2 크랭크 고정수단, 160: 크랭크부,
161: 크랭크, 162a: 제1 크랭크축,
162b: 제2 크랭크축, 163: 메인저널,
164: 플라이휠, 170: 서포트부,
171: 피스톤, 172: 실린더,
172a: 고정축, 173: 동력전달부재,
180: 사이클론부, 190: 벨트부,
191: 지지 벨트, 192: 회전 방지 벨트,
A: 투입구, B: 배출구.

Claims (10)

  1. 콘크리트침목의 투입구와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분쇄물이 배출될 배출구가 형성되는 버킷 본체가 구비된 버킷부;
    상기 콘크리트침목을 상기 투입구로 유도하기 위한 가동 톱니부;
    상기 버킷 본체에 형성되는 분쇄공간에 배치되는 수치판이 구비된 수치부;
    상기 수치부와 마주보는 형태로 상기 분쇄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치부와 함께 상기 분쇄공간에서 콘크리트침목의 일부를 분쇄시키기 위한 동치판이 구비된 동치부;
    유압 셔블의 제어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크랭크와 크랭크 기기가 구비되는 크랭크부;
    상기 크랭크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회전운동력을 직선운동력으로 변환한 후에 상기 동치부에 전달하여 상기 동치판의 위치 변화를 통해 상기 수치판과 동치판간의 이격 거리를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분쇄가 가능하게 변화시키는 서포트부;
    상기 콘크리트침목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동안 상기 투입구 측에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향해 미스트를 분사하여 상기 투입구 측의 미세먼지를 응집시키는 미스트 분사부;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분쇄에 따라 상기 배출구 측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사이클론부; 및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파지를 통해 상기 수치판 또는 동치판의 파손/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벨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톱니부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가 유압을 통해 이동시키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이동이 발생될 때 위치 변화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침목을 상기 투입구 측으로 끌어 당겨 상기 콘크리트침목이 상기 투입구를 향해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복수개의 가동 톱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사부는,
    상기 투입구 측을 향해 분사하는 미스트가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버킷 본체의 양측부로부터 탈부착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투입구 측과 함께 상기 버킷 본체의 분쇄공간에 발생된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연결된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개의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상기 분쇄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버킷 본체의 일측선단과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버킷 본체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벨트; 및
    상기 콘크리트침목이 상기 수치판 및 동치판을 통해 분쇄되는동안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일단과 상기 콘크리트침목에 구비된 숄더가 상기 수치판 또는 동치판과 동시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 방지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벨트는,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자중에 의해 상기 지지 벨트를 따라 상기 투입구를 향해 이동되는동안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회전을 방지할 정도로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 본체는,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분쇄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유압 셔블의 승강장치에 의해 상기 배출구가 점진적으로 지면을 향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콘크리트침목이 수직 방향으로 상기 투입구에 투입되도록 하기 위한 형태로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파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배출구가 향하는 지면에 해당되는 작업현장의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10. 버킷부의 버킷 본체와 벨트부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벨트부로 콘크리트침목의 파지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침목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침목이 자중에 의해 상기 버킷 본체의 투입구를 향해 이동되는 단계;
    가동 톱니부로 상기 콘크리트침목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버킷 본체의 분쇄공간으로 투입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침목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 단계;
    미스트 분사부가 상기 콘크리트침목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동안 상기 투입구 측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향해 미스트를 분사하여 상기 투입구 측의 미세먼지를 응집시키는 단계;
    크랭크부 및 서포트부에 의한 상기 분쇄공간에 배치된 동치부의 동치판의 위치 변화를 통해 상기 동치부와 함께 상기 분쇄공간에 배치된 수치부의 수치판과 동치판간의 이격 거리를 상기 콘크리트침목의 분쇄가 가능하게 변화시켜 상기 수치판과 동치판이 상기 콘크리트침목을 분쇄시키는 단계; 및
    사이클론부가 콘크리트침목의 분쇄에 따라 상기 버킷 본체의 배출구 측에서 발생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
KR1020220123692A 2022-09-28 2022-09-28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 KR20240044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692A KR20240044200A (ko) 2022-09-28 2022-09-28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692A KR20240044200A (ko) 2022-09-28 2022-09-28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200A true KR20240044200A (ko) 2024-04-04

Family

ID=9063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692A KR20240044200A (ko) 2022-09-28 2022-09-28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20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499B1 (ko) 2010-05-18 2016-09-23 가부시키가이샤 이토 쇼카이 버킷형 죠 크러셔
KR102085493B1 (ko) 2019-11-04 2020-03-18 김완식 크러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499B1 (ko) 2010-05-18 2016-09-23 가부시키가이샤 이토 쇼카이 버킷형 죠 크러셔
KR102085493B1 (ko) 2019-11-04 2020-03-18 김완식 크러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4048B2 (ja) 2軸ロールクラッシャ
CN204208601U (zh) 一种锤式破碎机
CN110369020A (zh) 一种建筑施工混凝土块破碎装置
CN110548577A (zh) 一种中药连续粉碎机
KR20240044200A (ko)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
CN109453846A (zh) 一种土木工程建筑废料处理装置
CN107127025A (zh) 一种小麦下脚料粉碎机
CN216173107U (zh) 一种固体废物处理用具有防溅结构的预处理粉碎装置
CN114100790A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垃圾破碎装置
CN219356490U (zh) 一种破碎机
CN216499660U (zh) 一种用于采矿的矿石破碎装置
CN211801321U (zh) 一种纤维类物料用锤片粉碎机
CN213669506U (zh) 一种矿石多次破碎装置
CN204746436U (zh) 一种用于建筑垃圾处理的多次冲击粉碎的装置
CN113842999A (zh) 一种危险固体废弃物用中和处理设备
JP2012135743A (ja) ジョークラッシャ
CN106140393A (zh) 一种用于建筑垃圾处理的多次冲击粉碎的装置
KR200478637Y1 (ko) 유리 파쇄기
CN217164566U (zh) 一种混凝土试块破碎装置
CN218990162U (zh) 一种混凝土桩头破碎机
CN208824588U (zh) 一种固体废弃物粉碎处理装置
CN216368376U (zh) 一种用于路桥工程的液压碎石设备
CN217511933U (zh) 一种碳酸钙研磨装置
CN220677968U (zh) 一种带回收功能的建筑垃圾处理装置
CN219923208U (zh) 一种矿山碎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