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493B1 - 크러셔 - Google Patents

크러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493B1
KR102085493B1 KR1020190139469A KR20190139469A KR102085493B1 KR 102085493 B1 KR102085493 B1 KR 102085493B1 KR 1020190139469 A KR1020190139469 A KR 1020190139469A KR 20190139469 A KR20190139469 A KR 20190139469A KR 102085493 B1 KR102085493 B1 KR 102085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unit
fixed jaw
jaw portion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식
Original Assignee
김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식 filed Critical 김완식
Priority to KR1020190139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25Jaw clearance or overload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는, 승강장치에 장착되어, 지면의 대상물을 수집하거나 수집된 대상물을 파쇄하는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의 위치 이동에 따라 지면에 안착된 대상물을 들어올리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하부프레임과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수집된 대상물이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하는 상부프레임을 구비하는 버킷부, 상기 상부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는 고정턱부, 상기 하부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는 스윙턱부, 상기 스윙턱부의 상기 고정턱부와의 이격 거리를 변화시키는 거리변화부, 상기 거리변화부에 의한 상기 스윙턱부의 변위값을 측정하는 변위센서부, 상기 변위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변위값의 일정 시간 동안의 평균 변화량을 산출하는 평균산출부, 상기 평균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평균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과 상이한 경우, 상기 고정턱부와 상기 스윙턱부의 최소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고정턱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러셔{Crusher}
본 발명은 크러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승강장치에 장착되어, 지면의 대상물을 수집하거나 수집된 대상물을 파쇄하는 크러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석현장 등에서는 채석대상영역을 굴삭하여 채취물을 채취한 후 그 사용목적에 따라 충분한 성상(性狀)을 가져오기 위해 채취된 채취물을 파쇄하여 쇄석(碎石)을 배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채취물을 파쇄하기 위한 장치로 크러셔라는 장비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크러셔는 크게 외면에 다수의 파쇄날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파쇄드럼을 상호 맞물리면서 채취물을 분쇄하는 롤 타입과, 한쌍의 파쇄판 사이에 채취물을 유입하고 한쌍의 파쇄판 압착력에 의해 채취물을 분쇄하는 평판타입의 조 크러셔로 구분될 수 있는데, 롤 타입 크러셔의 경우 파쇄드럼의 크기에 따라 채취물을 파쇄할 수 있는 크기에 한계가 있어 다양한 크기라도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는 조 크러셔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5949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장치에 장착되어 수집된 대상물을 파쇄함에 있어서, 파쇄 공간에 수용된 대상물의 경도가 너무 높아 파쇄되지 않는 경우, 파쇄 부재의 파손/손상을 방지하고, 파쇄가 어려운 대상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크러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는, 승강장치에 장착되어, 지면의 대상물을 수집하거나 수집된 대상물을 파쇄하는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의 위치 이동에 따라 지면에 안착된 대상물을 들어올리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하부프레임과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수집된 대상물이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하는 상부프레임을 구비하는 버킷부, 상기 상부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는 고정턱부, 상기 하부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는 스윙턱부, 상기 스윙턱부의 상기 고정턱부와의 이격 거리를 변화시키는 거리변화부, 상기 거리변화부에 의한 상기 스윙턱부의 변위값을 측정하는 변위센서부, 상기 변위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변위값의 일정 시간 동안의 평균 변화량을 산출하는 평균산출부, 상기 평균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평균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과 상이한 경우, 상기 고정턱부와 상기 스윙턱부의 최소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고정턱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대상물이 유입되는 경로를 따라 상호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대상물이 유입되는 제1 개구 및 상기 대상물이 배출되는 제2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대상물이 유입된 후,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한 대상물이 상기 고정턱부와 상기 스윙턱부 사이에서 파쇄되는 중에, 상기 제2 개구가 점진적으로 지면을 향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회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상기 거리변화부는, 유압모터부, 상기 유압모터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부, 상기 스윙턱부와 연결된 채, 상기 풀리부에 의해 편심 회전하여 상기 스윙턱부가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편심부 및 상기 풀리부와 상기 편심부를 연결하여, 상기 풀리부의 회전력을 상기 편심부에 전달하는 벨트부를 구비하며, 상기 풀리부는, 외주면을 따라 요철 형상의 제1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벨트부는, 상기 풀리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을 따라 요철 형상의 제2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요홈부는, 상기 제1 요홈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벨트부가 상기 풀리부를 따라 주행하는 경우, 상기 풀리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상기 거리변화부는, 상기 편심부와 상기 풀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편심부와 상기 풀리부에 걸쳐진 상기 벨트부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벨트부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벨트부의 일부분과 접촉된 채, 상기 고정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와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를 상기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이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평균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고정턱부와 상기 스윙턱부의 최소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고정턱부를 위치 이동시키고, 상기 평균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평균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고정턱부와 상기 스윙턱부의 최소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상기 고정턱부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상기 고정턱부는, 상기 제1 곡률로 형성된 제1 면, 상기 제1 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곡률 보다 큰 제2 곡률로 형성된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곡률보다 작은 제3 곡률로 형성된 제3 면을 구비하며, 상기 스윙턱부는, 상기 하부프레임과 대향하는 대향면이 상기 하부프레임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부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스윙턱부와의 최소 이격 거리가 제1 거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위치 이동되어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스윙턱부와의 최소 이격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위치 이동되어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스윙턱부와의 최소 이격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3 거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윙턱부는, 상기 고정턱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거리변화부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고정턱부와 최소 이격 거리에 배치되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턱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거리변화부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고정턱부와 최소 이격 거리에 배치되면,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2 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턱부가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거리변화부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고정턱부와 최소 이격 거리에 배치되면,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3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상기 고정턱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고정턱부를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평균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과 상이한 경우, 상기 고정턱부와 상기 스윙턱부의 최소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상기 고정턱부는, 상기 스윙턱부와의 대향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상기 제2 개구를 향해 갈수록 이격 거리가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분쇄된 대상물의 상기 제2 개구로의 위치 이동을 유도하며, 상기 스윙턱부는, 상기 고정턱부와의 대향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제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상기 제2 개구를 향해 갈수록 이격 거리가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분쇄된 대상물의 상기 제2 개구로의 위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상기 제2 개구를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1 돌출편 및 상기 복수의 제1-1 돌출편을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제1-1 돌출편의 강성을 보강하는 제1-2 돌출편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상기 제2 개구를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1 돌출편 및 상기 복수의 제2-1 돌출편을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제2-1 돌출편의 강성을 보강하는 제2-2 돌출편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장치에 장착되어 수집된 대상물을 파쇄함에 있어서, 파쇄 공간에 수용된 대상물의 경도가 너무 높아 파쇄되지 않는 경우, 파쇄가 어려운 대상물의 외부로의 배출을 유도하여, 파쇄 부재의 파손/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쇄 부재의 변위량 정보를 기초로, 파쇄 공간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승강장치에 의한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스윙턱부와 고정턱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풀리부, 편심부 및 벨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장력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승강장치에 의한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1)는 승강장치에 장착되어, 지면의 대상물을 수집하거나 수집된 대상물을 파쇄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대상물은 채석 현장 등에서 굴삭하여 채취된 쇄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크러셔(1)는, 버킷부(10), 고정턱부(20), 스윙턱부(30), 거리변화부(40), 변위센서부(50), 평균산출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킷부(10)는, 상기 승강장치의 위치 이동에 따라 지면에 안착된 대상물을 들어올리는 하부프레임(13) 및 상기 하부프레임(13)의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하부프레임(13)과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수집된 대상물이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하는 상부프레임(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과 상기 하부프레임(13)은, 상기 대상물이 유입되는 경로를 따라 상호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대상물이 유입되는 제1 개구(H1) 및 상기 대상물이 배출되는 제2 개구(H2)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일측단과 상기 하부프레임(13)의 일측단은 제1 이격 거리로 배치되어 이격된 공간으로 상기 제1 개구(H1)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프레임(11)의 타측단과 상기 하부프레임(13)의 타측단은 상기 제1 이격 거리보다 작은 제2 이격 거리로 배치되어 이격된 공간으로 상기 제2 개구(H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3)은, 지면에 안착된 대상물이 용이하게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끝단에 굴삭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제1 개구(H1)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대상물이 유입된 후,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한 대상물이 상기 고정턱부(20)와 상기 스윙턱부(30) 사이에서 파쇄되는 중에, 상기 제2 개구(H2)가 점진적으로 지면을 향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1)과 상기 하부프레임(13)을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파쇄된 대상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제2 개구(H2)로 배출되어, 상기 고정턱부(20)와 상기 스윙턱부(30) 사이의 대상물들이 순차적으로 파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턱부(20)는, 상기 상부프레임(11)과 대향하는 상기 하부프레임(13)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윙턱부(30)는, 상기 하부프레임(13)과 대향하는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턱부(20)와 상기 스윙턱부(30)는, 대향한 채, 배치되어 양자간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에 유입된 대상물을 파쇄할 수 있다.
상기 거리변화부(40)는, 상기 스윙턱부(30)의 상기 고정턱부(20)와의 이격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변위센서부(50)는, 상기 거리변화부(40)에 의한 상기 스윙턱부(30)의 변위값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윙턱부(30)의 변위값이란, 상기 스윙턱부(30)의 위치 이동량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유압모터부에 의해 편심 회전하여 위치 이동되는 상기 스윙턱부(30)의 변위값은, 상기 고정턱부(20)와의 사이에 끼인 대상물의 경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기 평균산출부(60)는, 상기 변위센서부(50)에 의해 측정된 변위값의 일정 시간 동안의 평균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평균산출부(60)에 의해 산출된 평균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과 상이한 경우, 상기 고정턱부(20)와 상기 스윙턱부(30)의 최소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고정턱부(2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스윙턱부와 고정턱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1)의 제어부(70)는, 상기 평균산출부(60)에 의해 산출된 평균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고정턱부(20)와 상기 스윙턱부(30)의 최소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고정턱부(2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최소 이격 거리란, 상기 스윙턱부(30)의 상기 거리변화부(40)에 의한 위치 이동 시, 상기 고정턱부(20)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는데 이 때, 변화되는 이격 거리 중 최소 이격 거리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평균산출부(60)에 의해 산출된 평균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고정턱부(20)와 상기 스윙턱부(30)의 최소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상기 고정턱부(2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턱부(20)는, 상기 제1 곡률로 형성된 제1 면(22), 상기 제1 면(22)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곡률 보다 큰 제2 곡률로 형성된 제2 면(21) 및 상기 제1 면(22)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곡률보다 작은 제3 곡률로 형성된 제3 면(2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22), 제2 면(21) 및 제3 면(23) 각각은, 상기 스윙턱부(30)를 향해 볼록하게 굴곡진 정도가 상이하므로, 상기 고정턱부(20)의 상기 스윙턱부(30)와의 이격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윙턱부(30)는, 상기 하부프레임(13)과 대향하는 대향면이 상기 하부프레임(13)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턱부(20)는, 제1 위치(도 4의 (a) 참조), 제2 위치(도 4의 (b) 참조) 및 제3 위치(도 4의 (c) 참조)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1 위치에서 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고정턱부(20)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스윙턱부(30)와의 최소 이격 거리가 제1 거리(L2)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위치 이동되어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스윙턱부(30)와의 최소 이격 거리가 상기 제1 거리(L2)보다 작은 제2 거리(L1)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위치에서 위치 이동되어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스윙턱부(30)와의 최소 이격 거리가 상기 제1 거리(L2)보다 큰 제3 거리(L3)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윙턱부(30)는, 상기 고정턱부(2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거리변화부(40)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고정턱부(20)와 최소 이격 거리에 배치되면, 상기 제1 면(22)과 상기 제1 거리(L2)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면(22)이 상기 스윙턱부(30)의 위치 이동 경로와 대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고정턱부(20)의 상기 스윙턱부(30)와의 최소 이격 거리가 상기 제1 거리(L2)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윙턱부(30)는, 상기 고정턱부(20)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거리변화부(40)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고정턱부(20)와 최소 이격 거리에 배치되면, 상기 제2 면(21)과 상기 제2 거리(L1)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면(21)이 상기 스윙턱부(30)의 위치 이동 경로와 대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고정턱부(20)의 상기 스윙턱부(30)와의 최소 이격 거리가 상기 제2 거리(L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윙턱부(30)는, 상기 고정턱부(20)가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거리변화부(40)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고정턱부(20)와 최소 이격 거리에 배치되면, 상기 제3 면(23)과 상기 제3 거리(L3)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면(23)이 상기 스윙턱부(30)의 위치 이동 경로와 대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고정턱부(20)의 상기 스윙턱부(30)와의 최소 이격 거리가 상기 제3 거리(L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턱부(20)와 상기 스윙턱부(30)의 최소 이격 거리 변화는, 상기 고정턱부(20)와 상기 스윙턱부(30) 사이에 위치한 대상물의 경도가 너무 높아 파쇄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고정턱부(20)와 상기 스윙턱부(30)의 파손/손상을 방지하고, 파쇄가 어려운 대상물의 제2 개구(H2)로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공간에 수용된 대상물의 경도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 파쇄되기 어려운 대상물의 무리한 가압은, 오히려 고정턱부(20)와 스윙턱부(30)의 파손/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윙턱부(30)와 상기 고정턱부(20)의 이격 거리를 넓혀, 상기 스윙턱부(30)의 대상물에 의한 파손/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고정턱부(20)가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평균산출부(60)에 의해 산출된 평균 변화량이 기설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고정턱부(20)와 상기 스윙턱부(30)의 최소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고정턱부(20)를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공간에 수용된 대상물의 경도가 높아, 평균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보다 작게 된 경우, 상기 고정턱부(20)가 제1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턱부(20)가 제3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평균산출부(60)에 의해 산출된 평균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보다 커진 경우는, 상기 고정턱부(20)를 제3 위치로 위치 이동시킨 대상물이 제2 개구(H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스윙턱부(30)의 위치 이동이 원활해진 경우이므로, 수용공간에 수용된 대상물을 보다 잘게 파쇄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턱부(20)와 상기 스윙턱부(30)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턱부(20)를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시킨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고정턱부(20)가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평균산출부(60)에 의해 산출된 평균 변화량이 기설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고정턱부(20)의 위치가 상기 제3 위치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턱부(20)가 제3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평균산출부(60)에 의해 산출된 평균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고정턱부(20)를 제3 위치로 위치 이동시킨 대상물이 제2 개구(H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상기 스윙턱부(30)의 위치 이동이 계속 어려운 경우이므로, 상기 고정턱부(20)와 상기 스윙턱부(30)의 파손/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턱부(20)와 상기 스윙턱부(30)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고정턱부(20)가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평균산출부(60)에 의해 산출된 평균 변화량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 기설된 값보다 작게 유지되는 경우, 별도의 알람장치를 통해 작업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상기 알람장치는 빛 또는 소리를 통해 작업자가 이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턱부(20)는, 상기 하부프레임(13)의 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1)는, 구동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80)는, 상기 고정턱부(20)를 상기 하부프레임(13) 상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평균산출부(60)에 의해 산출된 평균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과 상이한 경우, 상기 고정턱부(20)와 상기 스윙턱부(30)의 최소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구동부(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1)의 고정턱부(20)는, 상기 스윙턱부(30)와의 대향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2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27)는, 상기 제1 개구(H1)로부터 상기 제2 개구(H2)를 향해 갈수록 이격 거리가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분쇄된 대상물의 상기 제2 개구(H2)로의 위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스윙턱부(30)는, 상기 고정턱부(20)와의 대향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제2 돌출부(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31)는, 상기 제1 개구(H1)로부터 상기 제2 개구(H2)를 향해 갈수록 이격 거리가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분쇄된 대상물의 상기 제2 개구(H2)로의 위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27)는, 상기 제1 개구(H1)로부터 상기 제2 개구(H2)를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1 돌출편(271) 및 상기 복수의 제1-1 돌출편(271)을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제1-1 돌출편(271)의 강성을 보강하는 제1-2 돌출편(27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31)는, 상기 제1 개구(H1)로부터 상기 제2 개구(H2)를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1 돌출편(311) 및 상기 복수의 제2-1 돌출편(311)을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제2-1 돌출편(311)의 강성을 보강하는 제2-2 돌출편(313)을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풀리부, 편심부 및 벨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1)의 거리변화부(40)는, 유압모터부, 풀리부(41), 편심부(43) 및 벨트부(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풀리부(41)는, 상기 유압모터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편심부(43)는, 상기 스윙턱부(30)와 연결된 채, 상기 풀리부(41)에 의해 편심 회전하여 상기 스윙턱부(30)가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벨트부(45)는, 상기 풀리부(41)와 상기 편심부(43)를 연결하여, 상기 풀리부(41)의 회전력을 상기 편심부(43)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풀리부(41)는, 외주면을 따라 요철 형상의 제1 요홈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벨트부(45)는, 상기 풀리부(41)와 대향하는 대향면을 따라 요철 형상의 제2 요홈부(4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요홈부(451)는, 상기 제1 요홈부(4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벨트부(45)가 상기 풀리부(41)를 따라 주행하는 경우, 상기 풀리부(41)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심부(43)는, 외주면을 따라 요철 형상의 제3 요홈부(4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요홈부(451)는, 상기 제3 요홈부(431)와 맞물려, 상기 벨트부(45)가 상기 편심부(43)를 따라 주행하는 경우, 상기 편심부(43)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1)의 거리변화부(40)는, 토글부 및 연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토글부는, 상기 스윙턱부(30)의 상기 상부프레임(11)에 대한 장착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글부는, 상기 제2 개구(H2)를 규정하는 상기 스윙턱부(30)의 타측단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고정턱부(20)의 타측단과의 이격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제2 개구(H2)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쇄된 대상물의 파쇄 치수를 증감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평균산출부(60)에 의해 산출된 평균 변화량에 따라 상기 고정턱부(20)를 위치 이동시키며, 상기 토글부는 상기 스윙턱부(30)의 장착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토글부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풀리부(41)에 의한 상기 스윙턱부(30)의 진동 시, 상기 스윙턱부(30)에 의해 무작위적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스윙턱부(30)가 요동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스윙턱부(30)의 상기 상부프레임(11)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의 장력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변화부(40)는, 상기 편심부(43)와 상기 풀리부(41)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편심부(43)와 상기 풀리부(41)에 걸쳐진 상기 벨트부(45)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벨트부(45)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부(47)는, 상기 상부프레임(11)에 고정되는 고정부(471), 상기 벨트부(45)의 일부분과 접촉된 채, 상기 고정부(47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473) 및 상기 슬라이딩부(473)와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부(473)를 상기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이동부(475)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벨트부(45)는, 원통형의 상기 슬라이딩부(473)의 하부측에 걸쳐진 채, 주행하며, 상기 슬라이딩부(473)는, 상기 벨트부(45)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473)가 상기 고정부(471)를 기준으로 높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벨트부(45) 또한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벨트부(45)의 장력은 증가한다.
이는, 상기 풀리부(41) 및 상기 편심부(43)와 밀착된 채, 주행하는 벨트부(45)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늘어나게 되어, 상기 풀리부(41) 및 상기 편심부(43)로부터 헛돌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위치이동부(475)는, 상기 고정부(471)에 형성된 체결홀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부(473)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이동부(475)와 상기 체결홀은 볼트/너트 연결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475)는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473)의 상기 고정부(471)에 대한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크러셔
10: 버킷부
20: 고정턱부
30: 스윙턱부
40: 거리변화부
50: 변위센서부
60: 평균산출부
70: 제어부
80: 구동부

Claims (9)

  1. 승강장치에 장착되어, 지면의 대상물을 수집하거나 수집된 대상물을 파쇄하는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의 위치 이동에 따라 지면에 안착된 대상물을 들어올리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하부프레임과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수집된 대상물이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하는 상부프레임을 구비하는 버킷부;
    상기 상부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는 고정턱부;
    상기 하부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는 스윙턱부;
    상기 스윙턱부의 상기 고정턱부와의 이격 거리를 변화시키는 거리변화부;
    상기 거리변화부에 의한 상기 스윙턱부의 변위값을 측정하는 변위센서부;
    상기 변위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변위값의 일정 시간 동안의 평균 변화량을 산출하는 평균산출부; 및
    상기 평균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평균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과 상이한 경우, 상기 고정턱부와 상기 스윙턱부의 최소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고정턱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대상물이 유입되는 경로를 따라 상호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대상물이 유입되는 제1 개구 및 상기 대상물이 배출되는 제2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대상물이 유입된 후,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한 대상물이 상기 고정턱부와 상기 스윙턱부 사이에서 파쇄되는 중에, 상기 제2 개구가 점진적으로 지면을 향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회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평균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고정턱부와 상기 스윙턱부의 최소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고정턱부를 위치 이동시키고, 상기 평균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평균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고정턱부와 상기 스윙턱부의 최소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상기 고정턱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러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변화부는,
    유압모터부, 상기 유압모터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부, 상기 스윙턱부와 연결된 채, 상기 풀리부에 의해 편심 회전하여 상기 스윙턱부가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편심부 및 상기 풀리부와 상기 편심부를 연결하여, 상기 풀리부의 회전력을 상기 편심부에 전달하는 벨트부를 구비하며,
    상기 풀리부는,
    외주면을 따라 요철 형상의 제1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벨트부는,
    상기 풀리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을 따라 요철 형상의 제2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요홈부는,
    상기 제1 요홈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벨트부가 상기 풀리부를 따라 주행하는 경우, 상기 풀리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러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변화부는,
    상기 편심부와 상기 풀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편심부와 상기 풀리부에 걸쳐진 상기 벨트부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벨트부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벨트부의 일부분과 접촉된 채, 상기 고정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와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를 상기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러셔.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턱부는,
    제1 곡률로 형성된 제1 면, 상기 제1 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곡률 보다 큰 제2 곡률로 형성된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곡률보다 작은 제3 곡률로 형성된 제3 면을 구비하며,
    상기 스윙턱부는,
    상기 하부프레임과 대향하는 대향면이 상기 하부프레임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부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스윙턱부와의 최소 이격 거리가 제1 거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위치 이동되어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스윙턱부와의 최소 이격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위치 이동되어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스윙턱부와의 최소 이격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3 거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윙턱부는,
    상기 고정턱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거리변화부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고정턱부와 최소 이격 거리에 배치되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턱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거리변화부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고정턱부와 최소 이격 거리에 배치되면,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2 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턱부가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거리변화부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고정턱부와 최소 이격 거리에 배치되면,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3 거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러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턱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고정턱부를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평균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과 상이한 경우, 상기 고정턱부와 상기 스윙턱부의 최소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러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턱부는,
    상기 스윙턱부와의 대향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상기 제2 개구를 향해 갈수록 이격 거리가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분쇄된 대상물의 상기 제2 개구로의 위치 이동을 유도하며,
    상기 스윙턱부는,
    상기 고정턱부와의 대향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제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상기 제2 개구를 향해 갈수록 이격 거리가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분쇄된 대상물의 상기 제2 개구로의 위치 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러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상기 제2 개구를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1 돌출편 및 상기 복수의 제1-1 돌출편을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제1-1 돌출편의 강성을 보강하는 제1-2 돌출편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상기 제2 개구를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1 돌출편 및 상기 복수의 제2-1 돌출편을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제2-1 돌출편의 강성을 보강하는 제2-2 돌출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러셔.
KR1020190139469A 2019-11-04 2019-11-04 크러셔 KR102085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469A KR102085493B1 (ko) 2019-11-04 2019-11-04 크러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469A KR102085493B1 (ko) 2019-11-04 2019-11-04 크러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493B1 true KR102085493B1 (ko) 2020-03-18

Family

ID=69999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469A KR102085493B1 (ko) 2019-11-04 2019-11-04 크러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200A (ko) 2022-09-28 2024-04-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236U (ko) * 1996-09-23 1998-07-06 박병재 차량용 타이밍 벨트
JP2012066252A (ja) * 2010-05-18 2012-04-05 Ito Shokai:Kk バケット型ジョークラッシャ
JP2012081369A (ja) * 2010-10-06 2012-04-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破砕機
JP2019124338A (ja) * 2018-01-19 2019-07-25 株式会社中山鉄工所 伝動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236U (ko) * 1996-09-23 1998-07-06 박병재 차량용 타이밍 벨트
JP2012066252A (ja) * 2010-05-18 2012-04-05 Ito Shokai:Kk バケット型ジョークラッシャ
KR101659499B1 (ko) 2010-05-18 2016-09-23 가부시키가이샤 이토 쇼카이 버킷형 죠 크러셔
JP2012081369A (ja) * 2010-10-06 2012-04-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破砕機
JP2019124338A (ja) * 2018-01-19 2019-07-25 株式会社中山鉄工所 伝動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200A (ko) 2022-09-28 2024-04-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미세먼지 집진기능이 구비된 버킷 크러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침목 분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92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ushing mineral material
KR102085493B1 (ko) 크러셔
EP2198969B1 (en) Bucket type jaw crusher
US20160121338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supporting a frame of a mineral material crusher and a crushing plant
US20160376771A1 (en) Multi-sensor ultrasonic wear measurement system
EP3073019B1 (en) Bucket for crushing stones and the like
TR201810064T4 (tr) Bir konkasörün çalıştırılmasına yönelik yöntem, kırma sistemi ve kırma tesisi
AU200522533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ntrol of a crusher
EP3558529B1 (en) Jaw crusher support frame
US4936520A (en) Vibrating jaw crusher
CA1091207A (en) Jaw plate structure for jaw crushers
EP2644275B1 (en) Jaw crusher
FI126262B (fi) Tienrakennusmassan levityslaite
RU2815381C1 (ru) Защитный узел рукояти рабочего органа землеройной машины (варианты)
NO20120266L (no) Sikt for bruk i en vibrasjonssikt og fremgangsmate for bruk av samme
JP2010274157A (ja) ジョークラッシャ
JP3393759B2 (ja) 破砕機
JP7353866B2 (ja) 移動式処理機
JP2021053566A (ja) 揺動式破砕機及び歯間隔取得方法
US20010045476A1 (en) Concaves for gyratory crusher
US20230390782A1 (en) Jaw crusher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JP2003334462A (ja) ロール破砕機
US251969A (en) tayleb
US419294A (en) Rock-breaker
KR100993261B1 (ko) 원료 불출기의 버킷 휠 가이드 라이너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