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523A -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충전재로서의 차아인산칼슘의 용도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충전재로서의 차아인산칼슘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523A
KR20130120523A KR1020137022336A KR20137022336A KR20130120523A KR 20130120523 A KR20130120523 A KR 20130120523A KR 1020137022336 A KR1020137022336 A KR 1020137022336A KR 20137022336 A KR20137022336 A KR 20137022336A KR 20130120523 A KR20130120523 A KR 20130120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calcium hypophosphite
composition
hypophosphite
calc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6512B1 (ko
Inventor
캉포 플로리앙 드
아넬리제 뮈릴로
준리 리
팅팅 장
Original Assignee
로디아 차이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디아 차이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로디아 차이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20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5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5/00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C01B25/16Oxyacids of phosphorus; Salts thereof
    • C01B25/165Hypophosphorous acid;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2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0Solid density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의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충전재로서의 열안정화된 차아인산칼슘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강화용 및/또는 용적팽창용 충전재 및/또는 충격보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스핀 생성도가 낮은 차아인산칼슘을 사용하여 매우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제공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충전재로서의 차아인산칼슘의 용도{USE OF CALCIUM HYPOPHOSPHITE AS A FILLER TO INCREASE MECHANICAL PROPERTIES OF A POLYAMIDE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의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충전재로서의 열안정화된 차아인산칼슘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강화용 및/또는 용적팽창용 충전재 및/또는 충격보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스핀 생성도가 낮은 차아인산칼슘을 사용하여 매우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제공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본 출원인은 특정의 열안정화된 차아인산칼슘을 폴리아미드-기재 조성물에 사용하면 상기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차아인산칼슘이 충전재로 역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폴리아미드 조성물이,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차아인산칼슘을 0.1 내지 15 중량% 포함하는 경우에 기계적 물성들 간이 최적으로 조화된 수준이 된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충전재로서의 열안정화된 차아인산칼슘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상기 차아인산칼슘은 58 mL/min 속도의 아르곤 플러싱 흐름 하에 298℃에서 3시간 동안 가열되었을 때 차아인산칼슘 1g 당 0.5 mL 미만의 포스핀을 생성할 정도로 열에 안정적이다.
본 시험에 따르면, 차아인산칼슘은 1g 당 포스핀을 바람직하게는 0.1 mL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05 mL 미만, 특히는 0.02 mL 미만으로 생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아미드 조성물에 열안정화된 차아인산칼슘을 첨가함으로써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열안정화된 차아인산칼슘은
- 수용액 및/또는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출발물질 차아인산칼슘을 4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 범위에 그 값이 속하도록 조절된 pH 하에 적어도 1회 세정시키는 a) 단계, 및
- a) 단계의 세정 조작(들) 후에 수득된 차아인산칼슘을 감압 하에 건조시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는 b)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다.
전술된 a) 단계에서 사용되는 유기 용매는 바람직하게 아세톤,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아세토니트릴을 포함한 군에서 선택된다.
a) 단계의 출발물질 차아인산칼슘은 수용액 형태로 있을 수 있으며, 이를 반응기에 채우고 무기산 또는 유기산과 혼합한 후 4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의 값에 설정된 pH를 가진 슬러리를 얻는 것으로, 이때 산은 바람직하게 차아인산(hypophosphorous acid), 시트르산, 말레인산, 아세트산, 염산, 및 설폰산을 포함한 군에서 선택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차아인산이다.
a) 단계의 출발물질 차아인산칼슘은 수용액 형태로 있을 수 있으며, 이를 반응기에 채우고 무기염 또는 유기염과 혼합한 후 7.5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의 값에 설정된 pH를 가진 슬러리를 얻는 것으로, 이때 염은 바람직하게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한 군에서 선택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칼슘 및/또는 산화칼슘이다.
출발물질 차아인산칼슘은 산화칼슘, 물 그리고 차아인산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차아인산염, 특히 차아인산칼슘은 미국특허 제5,225,052호에 교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알칼리성 조건 하에 황린(white phosphorus)(P4)을 수산화칼슘 또는 산화칼슘과 물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차아인산칼슘은 칼슘염과 차아인산의 반응에 의하거나, 또는 중국특허 제CN101332982호에 교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석회와 차아인산의 반응으로부터 얻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석회 현탁액을 차아인산으로 중화시키고, 그 불순물을 여과법에 의해 제거하면, 전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생성물이 단리된다. 또한 다른 금속성 차아인산염 또는 산에 이온 교환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차아인산칼슘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출발물질 차아인산염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은 회분식, 연속식 또는 반-연속식일 수 있으며, 비활성 분위기 하에 밀폐 시스템 또는 개방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비활성 분위기는 예를 들면 이산화탄소, 아르곤 또는 질소일 수 있다.
출발물질 차아인산염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방법은 대기압 하에, 가압조건 하에, 또는 진공 하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어떠한 이론적 해석에 연관시키지 않아도, 대부분의 초기 불안정성은 문제를 일으키는 불순물들의 존재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차아인산염의 품질은 ARC(단열 반응 열량계) 및 TGA(열 중량 분석계)와 같은 열분석 장비를 사용하여 잔여 불순물을 검출함으로써 정해질 수 있다. 본 시험은 전술된 가열 과정 도중 어느 단계에서도 수행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안정화된 차아인산염의 품질을 알아보기 위한 다른 방식은 단독으로 또는 플라스틱과 혼합된 상태의 생성물에 고온에서 안정성 시험을 수행하고, 시험 도중에 발생되는 포스핀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생성물을 폴리아미드와 같은 플라스틱과 배합시키는 경우에 발생되는 포스핀의 양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차아인산칼슘을 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혼합물 내 차아인산칼슘의 함량은, 특히, 적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폴리아미드를 용해시킨 후에 NMR 또는 적정법과 같은 잘 공지되어 있는 기술적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폴리아미드를 주요 매트릭스(기지 재료)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로는, 반(半)정질 또는 비정질의 폴리아미드 및/또는 코폴리아미드, 이를테면 지방족 폴리아미드, 반(半)방향족 폴리아미드; 그리고 보다 일반적으로는, 포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이산과 포화 방향족 또는 지방족 1차 디아민 사이의 중축합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선형 폴리아미드; 또는 락탐 또는 아미노산의 축합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아미드; 또는 이러한 다양한 단량체의 혼합물의 축합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선형 폴리아미드를 언급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이들 코폴리아미드는 예를 들면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으로부터 수득되는 폴리프탈아미드; 및 아디프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카프롤락탐으로부터 수득되는 코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폴리아미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12, 폴리(메타-크실렌디아민)(MXD6), 폴리아미드 66/6T, 폴리아미드 66/6I, 및 이들의 블렌드와 코폴리아미드(이를테면, 코폴리아미드 6.66)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특히 상기 폴리아미드로부터 유도되거나, 또는 이러한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의 블렌드로부터 유도되는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66 타입의 폴리아미드 및/또는 6 타입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매트릭스가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폴리아미드는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 폴리카프롤락탐, 또는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와 폴리카프롤락탐의 공중합체 및 블렌드이다.
사출성형 공정에 적합한 분자량, 예를 들면, ISO 표준 307에 따라 100 내지 160 ml/g의 점도지수 VI를 갖는 폴리아미드를 보통 사용하지만; 더 낮은 점도의 폴리아미드 역시 사용가능하다.
폴리아미드 매트릭스는 특히 스타형 또는 H자형 거대분자 사슬과, 해당되는 경우 선형 거대분자 사슬을 포함하는 중합체일 수 있다. 이러한 스타형 또는 H자형 거대분자 사슬을 포함하는 중합체에 대해 예를 들면 프랑스특허 제2743077호 및 제2779730호, 미국특허 제5959069호, 그리고 유럽특허 제0632703호, 제0682057호 및 제0832149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변형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매트릭스는 불규칙 트리 형태의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불규칙 트리 구조를 가진 코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불규칙 트리 구조의 코폴리아미드와, 이들의 제조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WO 99/03909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매트릭스는 또한 선형 열가소성 중합체, 및 전술된 바와 같이 성형, H자형 및/또는 트리형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매트릭스는 또한 특허문헌 WO 00/68298에 기재된 형태의 초분지형(hyperbranched)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선형, 성형, H자형, 트리형, 초분지형 코폴리아미드 열가소성 중합체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구체적으로는 10 중량% 내지 90 중량%의 폴리아미드,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내지 80 중량%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조성물에 바람직하게는 섬유성 충전재(이를테면,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 및 비섬유성 무기질(mineral) 충전재(이를테면, 점토, 고령토, 규회석, 실리카, 활석 또는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강화용 및/또는 용적팽창용 충전재를 첨가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강화용 및/또는 용적팽창용 충전재의 첨가 수준은 해당 복합재 분야의 표준에 따른다. 충전재 수준은 에를 들면 1%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60%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정의된 바와 같은 열안정화된 차아인산칼슘과, 충격보강제를 적어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격보강제"란 용어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충격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하고자 한다. 이들 충격보강제 화합물은 폴리아미드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포함한다. "폴리아미드와 반응하는 관능기"란 표현은 폴리아미드의 산 관능기 또는 아민 관능기와 화학적으로, 구체적으로는 공유-, 이온- 또는 수소-결합 상호작용 또는 반 데르 발스 결합에 의해 작용 또는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를 의미하고자 한다. 이러한 반응기들 덕분에 폴리아미드 매트릭스 내에 충격보강제가 양호하게 분산될 수 있게 된다. 매트릭스 내 양호한 분산은 일반적으로 0.1 내지 1μm의 입도를 지닌 충격보강제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진다.
충격보강제는, 아주 좋게는 그 자체 내에 예를 들면 에틸렌 아크릴산(EAA)과 관련하여 폴리아미드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수말레인산으로 그래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의 경우, 폴리아미드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일반적으로 그래프트 또는 공중합 반응에 의해 충격보강제에 부착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단량체: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이소프렌, 디엔, 아크릴레이트, 부타디엔, 스티렌, 옥텐,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에테르(이를테면, 아크릴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 에스테르),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올리고머성 또는 중합체성 화합물인 충격보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또한 상기 언급한 단량체 외에 다른 단량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충격보강제 혼합물의 기재(base)(임의로 엘라스토머성 기재로도 불림)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이소프렌,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에틸렌 부텐 고무,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고무, 부타디엔 스티렌 고무, 부타디엔 아크릴레이트 고무, 에틸렌 옥텐 고무,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고무, 에틸렌 아크릴산(EAA),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에틸렌 아크릴 에스테르(EE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공중합체,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 타입의 코어-쉘 엘라스토머, 또는 위에 나열된 엘라스토머 중 2종 이상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위에 나열된 기들에 더하여, 충격보강제는 폴리아미드 a)와 반응하는, 보통 그래프트되거나 공중합된 관능기, 이를테면 구체적으로, 산(예컨대, 카복실산, 염화된 형태의 산(salified acid)), 에스테르(특히,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아이오노머, 글리시딜기(특히, 에폭시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무수물(특히, 무수말레인산),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 상의 이러한 관능기는, 가령, 엘라스토머의 제조시 공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수득된다.
폴리아미드 a)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포함하는 충격보강제로서, 특히, 에틸렌/아크릴 에스테르/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삼원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에틸렌/무수말레인산의 공중합체, 무수말레인산-그래프트된 스티렌/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무수말레인산과 그래프트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무수말레인산-그래프트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무수말레인산-그래프트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된 형태를 언급할 수 있다.
전체 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충격보강제가 차지하는 중량비는 특히 0.1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30 중량%이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또한 1종 이상의 다른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ABS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성형처리 목적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보통 사용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윤활제, 난연제, 가소제, 조핵제, 촉매, 항산화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안료, 매트화제(matting agent), 전도체(이를테면, 카본블랙), 몰딩 보조제 또는 기타 통상적인 첨가제를 언급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이들 충전재 및 첨가제는 각각의 충전재 또는 첨가제에 적합한 통상적 방식으로, 예를 들면, 중합반응 도중에 또는 용융 혼합물로서 폴리아미드에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차아인산칼슘은 용융 공정시, 구체적으로는 폴리아미드의 압출 단계 도중에; 또는 기계식 혼합기 내에서의 고체 공정시 폴리아미드에 첨가되며; 그러면 고체 혼합물은 예를 들어 압출 공정에 의해 용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플라스틱 가공 분야에서, 예를 들면, 사출성형, 사출/블로우 성형, 압출, 또는 압출/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물품의 제조를 위한 원료로 사용가능하다. 일 종래 구현예에 따르면, 개질형 폴리아미드를, 가령 이축 압출 장치 내에서, 막대 형태로 압출하고 나서, 그래뉼 형태로 잘게 절단한다. 이어서, 상기 생성된 그래뉼을 용융시키고, 용융된 조성물을 사출 몰딩 장치에 공급함으로써, 몰딩된 부품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수득되는 물품으로는, 예를 들면, 자동차 산업에서의 물품, 이를테면 엔진 후드 아래의 부품, 차체 부품, 튜브 및 탱크; 또는 전기전자 분야에서의 물품, 이를테면 커넥터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들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고자 구상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자신의 전반적인 지식을 근거로 특히 본 발명을 수정, 개선 및 완전화할 수 있다.
"및/또는"이란 용어에는 "및", "또는", 그리고 이 용어에 관련된 구성요소들의 모든 기타 가능한 조합에 대한 의미들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세부사항 또는 장점들은, 단지 예시 목적으로 제공된 하기 실시예들의 도움으로 더 분명해질 것이다.
Coperion ZSK 40D 이축 압출기 상에서, 다양한 양의 열안정화된 차아인산칼슘 및 30 중량%의 유리 섬유를 첨가하면서 압출시켜, 폴리아미드(ISO 307 표준에 따라 110 mg/g의 VI를 가진, Rhodia사의 PA66 23A)를 기재로 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Shanghai Lingfeng chemical reagent(주)의 공업용 등급의 차아인산칼슘으로 만들어진 차아인산칼슘(102g)을 반응기에 채우고, 물(161g)과 혼합하였다. 그런 후에는 50% 차아인산(34g)을 서서히 첨가시키고, 그 혼합물을 30분 동안 철저히 교반하고 나서, pH를 4 내지 6으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슬러리를 여과시켜 75g의 고형물을 얻었다. 이 고형물을 물(40g)에 이어 아세톤(75g)으로 세정시켰다. 57.8g의 습윤 고형물을 얻었으며, 이를 실온에서 감압 하에 밤새 방치하여 휘발성 성분들을 증발시킨 후에 56g의 건조 차아인산칼슘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수득된 차아인산칼슘을 58 mL/min의 아르곤 플러싱 흐름 하에 3시간 동안 298℃에서 가열하였다. 배출 가스를 5% 과산화수소 용액에 버블 통과시킴으로서, 생성되어 있을 수 있는 포스핀을 스크러빙(제거)한다. 그런 후에는 스크러버 용액을 이온 크로마토그래피(IC)로 분석하여 인산염 수준을 구하였다. 모든 인산염이 포스핀으로부터 유도되었다고 가정하여, 생성된 포스핀을 계산하였다. 열안정화된 차아인산칼슘은 차아인산칼슘 1g 당 0.015mL의 포스핀(PH3)을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hanghai Lingfeng chemical reagent(주)에서 공급된 공업용 등급의 차아인산칼슘으로 만들어진 차아인산칼슘과 대조해 본 결과, 특정 처리가 시행되지 않으면, 폴리아미드에 안전하게 사용하기에는 지나치게 많은 포스핀이 생성되어, 압출법을 진행할 수 없게 한다.
작동 특성은 다음과 같다:
이축 압출기: Coperion ZSK
- 온도 프로파일: 245-250-250-250-250-250℃,
- 스크류 속도(rpm): 600,
- 회전력(%): 60,
- 진공압: -0.05Mpa.
시험편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출성형법을 통해 제조하였다:
LGH 80D-GC 사출장치
시스(sheath)의 T(℃): 250 내지 260,
몰드의 T(℃): 80 내지 90
사출 속도(mm/s): 30 내지 40,
사출 압력(bar): 50 내지 60,
유지 압력(bar): 25,
카운터 압력(bar): 3,
스크류 속도(rpm): 110.
다양한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제공하였다:
제제 표준 1 2 3
PA66 69 65 60
유리 섬유 30 30 30
CaHypo 1 5 10
밀도 g/cm3 ISO 1183-A 1.379 1.4 1.433
인장 강도 Mpa ISO 527-2 161 182 182
파단 강도 % ISO 527-2 2.1 2.7 2.9
굴곡 강도 Mpa ISO 178 253 268 271
굴곡 탄성율 Mpa ISO 178 9341 9666 10572
노치무 샤르피 충격
(Unnotched Charpy impact)
KJ/m2 ISO 179-1eU 63.5 84.1 83.3
압출 공정 동안, Gastec 튜브들을 사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배출 가스 및 포스핀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배기 가스의 시료들을 분석하였을 때, 포스핀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이는 포스핀 수준이 0.05 ppm 미만임을 나타낸다.

Claims (10)

  1.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충전재로서의 열안정화된 차아인산칼슘의 용도이며, 상기 차아인산칼슘은 58 mL/min 속도의 아르곤 플러싱 흐름 하에 298℃에서 3시간 동안 가열되었을 때 차아인산칼슘 1g 당 0.5 mL 미만의 포스핀을 생성할 정도로 열에 안정적인 차아인산칼슘의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열안정화된 차아인산칼슘은
    - 수용액 및/또는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출발물질 차아인산칼슘을 4 내지 11 범위에 그 값이 속하도록 조절된 pH 하에 적어도 1회 세정시키는 a) 단계, 및
    - a) 단계의 세정 조작(들) 후에 수득된 차아인산칼슘을 감압 하에 건조시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는 b)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안정화되는 것인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차아인산칼슘을 0.1 내지 15 중량% 포함하는 것인 용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반(半)정질 또는 비정질의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인 용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12, 폴리(메타-크실렌디아민)(MXD6), 폴리아미드 66/6T, 폴리아미드 66/6I, 및 이들의 블렌드와 코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용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아미드를 10 내지 90 중량% 포함하는 것인 용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적어도 강화용 및/또는 용적팽창용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인 용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적어도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것인 용도.
  9. 적어도 폴리아미드, 열안정화된 차아인산칼슘 및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며, 상기 차아인산칼슘은 58 mL/min 속도의 아르곤 플러싱 흐름 하에 298℃에서 3시간 동안 가열되었을 때 차아인산칼슘 1g 당 0.5 mL 미만의 포스핀을 생성할 정도로 열에 안정적인, 조성물.
  10. 열안정화된 차아인산칼슘을 폴리아미드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차아인산칼슘은 58 mL/min 속도의 아르곤 플러싱 흐름 하에 298℃에서 3시간 동안 가열되었을 때 차아인산칼슘 1g 당 0.5 mL 미만의 포스핀을 생성할 정도로 열에 안정적인, 방법.
KR1020137022336A 2011-02-24 2011-02-24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충전재로서의 차아인산칼슘의 용도 KR101516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1/071247 WO2012113147A1 (en) 2011-02-24 2011-02-24 Use of calcium hypophosphite as a filler to increase mechanical properties of a polyamide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523A true KR20130120523A (ko) 2013-11-04
KR101516512B1 KR101516512B1 (ko) 2015-05-04

Family

ID=4672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336A KR101516512B1 (ko) 2011-02-24 2011-02-24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충전재로서의 차아인산칼슘의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317158A1 (ko)
EP (1) EP2678384A4 (ko)
JP (1) JP2014506616A (ko)
KR (1) KR101516512B1 (ko)
CN (1) CN103403076A (ko)
BR (1) BR112013021583A2 (ko)
WO (1) WO20121131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746B1 (ko) 2015-10-05 2016-10-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용 침수방지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3730B2 (ja) 2012-01-05 2016-08-2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Ie型トレンチゲートigbt
CN110461946B (zh) 2017-03-28 2022-04-2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树脂组合物、成形品、薄膜和多层薄膜
CN112708267B (zh) * 2020-12-07 2022-12-06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断路器用聚酰胺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9946A (ja) * 1974-11-22 1976-05-25 Teijin Ltd Nannenseijushisoseibutsu
JPS58183747A (ja) * 1982-04-20 1983-10-27 Mitsubishi Chem Ind Ltd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H01301753A (ja) * 1988-05-31 1989-12-05 Asahi Fiber Glass Co Ltd 樹脂組成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
DE68917989T2 (de) * 1988-05-31 1995-03-16 Asahi Fibreglass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arzmischung.
JPH0796645B2 (ja) * 1989-07-24 1995-10-18 東レ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H10292114A (ja) * 1997-02-21 1998-11-04 Toray Ind Inc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JP4683802B2 (ja) * 1999-06-18 2011-05-18 ソルヴェイ アドバンスド ポリマー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部分芳香族ポリアミドを備えた組成物
JP2001261973A (ja) * 2000-03-16 2001-09-26 Daicel Chem Ind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AU2003200821B2 (en) * 2002-03-11 2007-06-14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rocess for producing oxygen absorbing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oxygen absorbing polyamide resin composition produced by the process
JP2004095279A (ja) * 2002-08-30 2004-03-25 Toray Ind Inc 自動車用フューズ
CN1878829B (zh) * 2003-11-07 2011-06-15 伊塔尔麦奇化学股份公司 无卤阻燃的聚碳酸酯组合物
ATE393798T1 (de) * 2004-01-07 2008-05-15 Italmatch Chemicals Spa Flammgeschützte polyamid-zusammensetzungen mittels aluminiumhypophosphit
DE102004023085A1 (de) * 2004-05-11 2005-12-15 Clariant Gmbh Dialkylphosphinsäure-Salz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20100160523A1 (en) * 2007-07-13 2010-06-24 Ugo Zucchelli Halogen-free flame retardant additive
JP2009097011A (ja) * 2007-09-27 2009-05-07 Toray Ind Inc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CN101332982B (zh) * 2008-07-30 2010-06-09 江苏康祥集团公司 次磷酸钙的生产方法
EP2475743A4 (en) * 2009-08-24 2014-01-29 Rhodia China Co Ltd PROCESS FOR THE STABILIZATION OF SALTS HYPOPHOSPHITES
BR112012009360A2 (pt) * 2009-10-23 2016-11-22 Rhodia China Co Ltd processo para estabilização de hipofosfit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746B1 (ko) 2015-10-05 2016-10-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용 침수방지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선박
WO2017061659A1 (ko) 2015-10-05 2017-04-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용 침수방지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512B1 (ko) 2015-05-04
US20130317158A1 (en) 2013-11-28
WO2012113147A1 (en) 2012-08-30
JP2014506616A (ja) 2014-03-17
EP2678384A4 (en) 2015-07-29
BR112013021583A2 (pt) 2018-06-12
CN103403076A (zh) 2013-11-20
EP2678384A1 (en) 201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286B1 (ko) 열안정화된 폴리아미드 조성물
EP0801091B1 (en) Semiaromatic polyamid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6026064B1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EP1654305B1 (en) Process for efficiently producing highly plasticized polyamide blends
JP2005533886A (ja) ポリアミドを基礎とするポリマーブレンド
US20120123041A1 (en) High-viscosity polyamide
JPH03109452A (ja) 熱可塑性ポリプロピレン―ポリアミド成形材料およびその製造法
KR20120138802A (ko) 고점도 폴리아미드 조성물
KR101516512B1 (ko)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충전재로서의 차아인산칼슘의 용도
CN110964316A (zh) 聚酰胺组合物、成型品和半芳香族聚酰胺
CA2051345C (en) Polyamide/polypropylene blends
JP2013035908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7236189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90078066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7164861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CN115785493A (zh) 长纤维增强无卤阻燃生物基聚酰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977588B1 (ko) 폴리아미드/이오노머 블렌드 수지 조성물 또는 이들의 반응물
JP4109399B2 (ja) 熱可塑性樹脂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4569988B2 (ja) メタリック原着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7294715B1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4235878B2 (ja) 耐熱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NO301127B1 (no) Slagbestandig polyamidsammensetning
JPH06263984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013994A (ja) 筐体
JPH11269265A (ja) コネクター用ポリアミド樹脂、樹脂組成物及びコネク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