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329A - 2피스 클립 - Google Patents
2피스 클립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15329A KR20130115329A KR1020137019203A KR20137019203A KR20130115329A KR 20130115329 A KR20130115329 A KR 20130115329A KR 1020137019203 A KR1020137019203 A KR 1020137019203A KR 20137019203 A KR20137019203 A KR 20137019203A KR 20130115329 A KR20130115329 A KR 201301153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
- grommet
- wall surface
- trunk
- head sid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4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arranged one on top of the other and in full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2피스 클립(10)의 그로밋(12)에는 걸어맞춤 볼록부(54)가 형성되어 있고, 2피스 클립(10)의 핀(14)에는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핀(14)을 그로밋(12)에 대하여 최대 압입 위치로 압입하면,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의 도중에,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의 내측단이 맞닿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최대 압입 위치에 있어서, 핀(14)의 선단부를 빼내는 방향으로 되밀어내면, 핀(14)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과,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의 내측단이 슬라이딩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착 구멍을 구비한 2 이상의 부재를, 이들 부착 구멍을 연통시켜 맞춰지도록 중첩시킨 상태에서, 부착 구멍에 대한 삽입과 그 후의 고정 조작에 의하여, 고정시키는 2피스 클립에 관한 것이다.
종래, 2피스 클립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 있다. 이 종래 기술에서는, 연통하여 맞쳐진 부착 구멍에 암부재의 몸통부를 삽입한 후에, 이 몸통부에 수부재의 축부를 기준 위치까지 압입(押-入)하고, 이 기준 위치에 있어서, 몸통부측에 걸어맞춤으로써 암부재의 몸통부를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켜서 부착 구멍을 구비한 2부재를 서로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암부재의 몸통부는, 그 선단으로부터 뿌리에 걸친 슬릿에 의하여 2 이상의 몸통부 구성편으로 분할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들 몸통부 구성편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선단측이 연장 조작부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 연장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이 2피스 클립을 재이용 가능한 위치로 되돌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재이용 가능한 위치로 되돌릴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2피스 클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은, 선단으로부터 뿌리에 걸친 2 이상의 슬릿에 의하여 분할되고 또한 선단부에 걸어맞춤 볼록부가 형성되며, 겹쳐진 부재의 부착 구멍에 삽입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뿌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부재의 부착 구멍의 주연부(周緣部)에 맞닿는 기부(基部)를 구비한 그로밋과, 상기 그로밋의 몸통부에 압입 가능하게 된 축부와, 상기 축부의 한쪽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를 구비한 핀과, 상기 핀의 축부에 형성되며, 상기 핀을 상기 그로밋에 소정량 압입한 기준 위치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의 걸어맞춤 볼록부가 걸어맞춰지고, 상기 그로밋의 몸통부를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켜서 상기 몸통부와 상기 기부에 의해 상기 부재를 사이에 지지시키는 선단측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핀의 축부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측 걸어맞춤 오목부보다 상기 머리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핀을 상기 그로밋에 상기 기준 위치보다 더 압입한 최대 압입 위치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걸어맞춤 볼록부가 걸어맞춰지고, 상기 그로밋의 몸통부를 내측으로 탄성 복귀시켜서 상기 부착 구멍을 통과 가능하게 하는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그로밋의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는, 상기 몸통부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몸통부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선단측 볼록부 벽면과, 상기 그로밋의 기부측으로부터 상기 몸통부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머리부측 볼록부 벽면을 구비하고, 상기 핀의 상기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는,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축부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선단측 오목부 벽면과, 상기 핀의 머리부측으로부터 상기 축부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머리부측 오목부 벽면을 구비하고, 상기 최대 압입 위치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의 도중에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의 선단측 볼록부 벽면의 내측단이 맞닿는 2피스 클립을 제공한다.
상기한 태양에서는, 겹쳐진 부재의 연통하는 부착 구멍에 그로밋의 몸통부를 끼운 후, 기준 위치까지 이 몸통부 내에 핀의 축부를 압입하는 것에 의해, 그로밋의 걸어맞춤 볼록부가 핀의 선단측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춰지며, 그로밋의 몸통부가 외측으로 탄성 변형함으로써, 몸통부와 기부의 사이에 2 이상의 부재를 사이에 지지시킬 수 있다. 또, 기준 위치에 있는 핀의 축부를, 그 머리부를 이용해서 최대 압입 위치까지 더 압입하는 것에 의해, 그로밋의 걸어맞춤 볼록부가 핀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춰지며, 기준 위치에 있어서 외측으로 휘어진 그로밋의 몸통부가 탄성 복귀함으로써, 그로밋의 몸통부의 부착 구멍에 대한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부착 구멍으로부터 2피스 클립을 빼낼 수 있다. 핀의 선단부를 빼내는 방향으로 더 되밀어내면, 핀에 있어서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의 도중에, 그로밋의 걸어맞춤 볼록부의 선단측 볼록부 벽면의 내측단이 맞닿아 있기 때문에, 핀에 있어서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과, 그로밋의 걸어맞춤 볼록부의 선단측 볼록부 벽면의 내측단이 슬라이딩한다. 이 결과, 그로밋의 몸통부를 외측으로 용이하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즉, 핀의 선단부를 빼내는 방향으로 되밀어내는 힘에 의하여, 핀에 있어서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과, 그로밋의 걸어맞춤 볼록부의 내측단이 슬라이딩하여, 그로밋의 몸통부를 벌릴 수 있다. 이로 인해, 핀의 선단부를 빼내는 방향으로 되밀어낸다는 간단한 조작임과 아울러 조작력도 저감할 수 있다. 이 결과, 그로밋에 대하여 핀을 재이용 가능한 위치로 되돌릴 때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은,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의 몸통부의 내주부와 상기 핀의 축부의 외주부가 상기 핀의 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 있어서 서로 접촉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태양에서는, 그로밋의 몸통부의 내주부와, 핀의 축부의 외주부가 핀의 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 있어서 서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그로밋의 몸통부의 내주부와 핀의 축부의 외주부가, 핀의 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 위에서 밀착한다. 이로 인해, 그로밋의 몸통부의 내주부와 핀의 축부의 외주부의 접촉 면적이 커진다. 이 결과, 2 이상의 부재를 이간하지 않도록 두어 고정시킨 상태에 있어서, 핀이 그로밋에 대하여 빠지기 어려워져, 내발거성(耐拔去性)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은,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태양에 있어서, 상기 핀에 형성된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에 있어서의 머리부측 오목부 벽면의 상기 핀의 축선에 대한 경사 각도가, 상기 핀에 형성된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에 있어서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의 상기 핀의 축선에 대한 경사 각도에 비해서 광각(廣角)이어도 좋다.
상기한 태양에서는, 핀에 형성된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에 있어서의 머리부측 오목부 벽면의 핀의 축선에 대한 경사 각도가, 핀에 형성된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에 있어서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의 핀의 축선에 대한 경사 각도에 비해서 광각이므로, 그로밋의 몸통부의 내주부와 핀의 축부의 외주부가 밀착하는 부분을, 핀의 선단측을 향해서 길게 연장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그로밋의 몸통부의 내주부와 핀의 축부의 외주부의 접촉 면적이 커진다. 이 결과, 2 이상의 부재를 이간하지 않도록 고정시킨 상태에 있어서, 핀이 그로밋에 대하여 빠지기 어려워져, 내발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핀에 형성된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에 있어서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의 상기 핀의 축선에 대한 경사 각도가, 상기 그로밋에 형성된 걸어맞춤 볼록부에 있어서의 선단측 볼록부 벽면의 상기 핀의 축선에 대한 경사 각도에 비해서 협각(狹角)이어도 좋다.
상기한 태양에서는, 핀에 형성된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의 핀의 축선에 대한 경사 각도가, 그로밋에 형성된 걸어맞춤 볼록부의 선단측 볼록부 벽면의 핀의 축선에 대한 경사 각도에 비해서 협각이므로, 핀과 그로밋의 사이에 간극을 만들 수 있다. 이로 인해, 핀과 그로밋의 접촉부가 작아짐으로써 핀의 선단에 가해진 힘이 핀과 그로밋의 접촉부에 집중되어, 그로밋측에 전해지기 쉬워진다. 이 결과, 재이용 가능한 위치로 되돌릴 때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의 걸어맞춤 볼록부의 내측단에 만곡 형상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태양에서는, 그로밋의 걸어맞춤 볼록부의 내측단에 만곡 형상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로밋의 몸통부가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핀에 있어서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과 그로밋의 걸어맞춤 볼록부의 내측단이 슬라이딩할 때에, 핀과 그로밋이 슬라이딩하기 쉬워진다. 이 결과, 재이용 가능한 위치로 되돌릴 때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은, 상기 구성으로 했으므로, 재이용 가능한 위치로 되돌릴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은, 상기 구성으로 했으므로, 내발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은, 상기 구성으로 했으므로, 내발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은, 상기 구성으로 했으므로, 재이용 가능한 위치로 되돌릴 때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은, 상기 구성으로 했으므로, 재이용 가능한 위치로 되돌릴 때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2피스 클립의 최대 압입 위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2피스 클립을 부재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최소 압입 위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2피스 클립을 부재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2피스 클립을 부재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최대 압입 위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2피스 클립의 그로밋을 나타내는 몸통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2피스 클립의 그로밋을 나타내는 기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2피스 클립의 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2피스 클립을 부재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최소 압입 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2피스 클립을 부재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최소 압입 위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2피스 클립을 부재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2피스 클립을 부재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최대 압입 위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2피스 클립의 그로밋을 나타내는 몸통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2피스 클립의 그로밋을 나타내는 기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2피스 클립의 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2피스 클립을 부재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최소 압입 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다음으로, 본 발명의 2피스 클립의 일 실시형태를 도 1∼8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화살표(PUS)는 2피스 클립의 부착 구멍에 대한 삽입 방향 및 핀의 그로밋에 대한 삽입 방향을 나타낸다.
(2피스 클립의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2피스 클립(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2피스 클립(10)은 합성 수지제이며, 2피스 클립(10)은 그로밋(12)과 핀(14)을 구비하고 있다. 또, 그로밋(12)은 기부(20)와 몸통부(22)를 구비하고 있고, 핀(14)은 머리부(24)와 축부(26)를 구비하고 있다.
(그로밋의 구성)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12)의 기부(20)는 원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12)의 기부(20)는, 2피스 클립(10)에 의하여 고정되는 2 이상의 부재(30, 32)의 부착 구멍(34, 36)에 끼워지지 않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 그로밋(12)의 기부(20)에 있어서의 몸통부(22)의 돌출측의 면인 이면(裏面, 20A)은, 몸통부(22)의 중심축(23)에 직교하는 방향의 면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12)의 몸통부(22)는, 부재(30, 32)의 부착 구멍(34, 36)에 대하여, 기부(20)의 이면(20A)이 삽입 전방측에 있는 부재(30)의 외면(30A)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그로밋(12)의 기부(20)의 중앙부에는, 삽입 구멍(27)이 관통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 구멍(27)에 핀(14)의 축부(26)가 삽입되게 되어 있다. 또, 이 삽입 구멍(27)은, 그로밋(12)의 기부(20)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내곽 형상을 가진 오목부(31)의 바닥(31A)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 구멍(27)은, 핀(14)의 머리부(24)가 끼워지지 않는 크기로 되어 있고, 삽입 구멍(27)은, 그로밋(12)의 몸통부(22) 내의 공간(29)에 연통되어 있다. 또, 오목부(31)는 핀(14)의 머리부(24)가 수납되는 크기와, 핀(14)의 머리부(24)의 두께보다도 큰 깊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핀(14)이 도 2에 나타내는 최소 압입 위치로부터, 도 3에 나타내는 기준 위치로 압입되었을 때에, 핀(14)의 머리부(24)는, 그로밋(12)의 기부(20)의 정상부(20B)와 대략 같은 위치로 되며, 오목부(31)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12)의 몸통부(22)는, 그 선단으로부터 뿌리에 걸친 슬릿(50)에 의하여 2 이상(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몸통부 구성편(52)으로 분할되어 있다. 또, 몸통부(22)는 양단을 모두 개방시킨 원통 형상체로 되어 있으며, 그 일단을 기부(20)의 이면(20A)에 대하여 통 내의 공간이 삽입 구멍(27)에 연통하도록 하여 일체화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슬릿(50)은, 원통 형상체로 이루어진 몸통부(22)의 일단(선단)으로부터 타단(뿌리)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릿(50)은, 원통 형상체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슬릿(50)과의 사이에 대략 같은 간격을 두고 4개소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그로밋(12)의 몸통부(22)는 4개의 몸통부 구성편(52)으로 분할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12)의 각 몸통부 구성편(52)의 선단측에는, 걸어맞춤 볼록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어맞춤 볼록부(54)의 형성 위치에서는, 몸통부(22) 내의 공간(29)의 내경이, 핀(14)의 축부(26)의 최대 지름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또, 이들 걸어맞춤 볼록부(54)의 형성 위치로부터 기부(20)까지의 몸통부(22) 내의 공간(29)의 내경은 핀(14)의 축부(26)의 최대 지름과 대략 같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는, 몸통부(22)의 선단측{기부(20)의 반대측}으로부터 기부(20)측을 향해서, 몸통부(2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선단측 볼록부 벽면(54A)과, 몸통부(22)의 뿌리측{기부(20)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서, 몸통부(2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머리부측 볼록부 벽면(54B)을 구비하고 있다. 또, 걸어맞춤 볼록부(54)의 내측단으로부터는, 내향{몸통부(22)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로서의 정상부 돌기(54C)(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상부 돌기(54C)의 그로밋(12)의 축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은, 만곡 형상(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12)의 기부(20)에 있어서의 삽입 구멍(27)의 구멍 가장자리에는, 그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략 같은 간격을 두고, 4개소의 안내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안내 오목부(33)의 저면은 기부(20)의 정상부(20B)측으로부터 이면(20A)측을 향해서 점차 기부(20)의 중심 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안내 오목부(33)는 슬릿(50)의 종료단과의 사이에 넘김부(33A)를 남기고 종료되어 있다.
(핀의 구성)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14)의 축부(26)는 선단을 좁게 한 둥근 봉 형상체로 되어 있다. 또, 핀(14)의 축부(26)에 있어서의 축선(14A)을 따른 방향의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는,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에 인접한 선단측에는, 선단측 걸어맞춤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는 선단측 걸어맞춤 오목부(40)보다도 깊게(크게) 되어 있어,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는 핀(14)의 선단측 걸어맞춤 오목부(40)에는 끼워지지 않지만,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에는 끼워지게 되어 있다. 또, 핀(14)의 축부(26)에 있어서의 선단측 걸어맞춤 오목부(40)보다도 선단측에는, 빠짐 방지 작은 돌기(41)가 형성되어 있고, 핀(14)의 축부(26)에 있어서의 머리부(24)의 근방에는 머리부측 작은 돌기(43)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는, 그로밋(12)에 있어서의 몸통부 구성편(52)의 걸어맞춤 볼록부(54)의 윤곽 형상을 모방한 오목부 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는, 핀(14)의 축부(26)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와의 사이에 대략 같은 간격을 두고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또,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는,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과,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에 접속 축부(44B)를 개재하고 연속하는 머리부측 오목부 벽면(44C)이 모두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한편, 핀(14)의 선단측 걸어맞춤 오목부(40)는, 축부(26)의 중심을 사이에 둔 대향 위치에 있는 2개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에 인접한 개소에만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선단측 걸어맞춤 오목부(40)는, 걸어맞춤 볼록부(54)의 정상부 돌기(54C)만이 끼워지도록 축부(26)의 둘레 방향으로 길고 얕은 장방형 형상의 오목부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14)이 기준 위치로 압입되었을 때에는, 핀(14)의 선단측 걸어맞춤 오목부(40)에,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가 끼워져, 그로밋(12)의 몸통부(22), 즉, 각 몸통부 구성편(52)을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결과, 그로밋(12)의 몸통부 구성편(52)과 기부(20)의 사이에서 부재(30, 32)를 지지하여, 부재(30, 32)를 이간하지 않게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14)이 최대 압입 위치로 압입되었을 때에는,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에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가 들어가게 되어 있다.
즉, 기준 위치에 있는 핀(14)의 축부(26)를, 머리부(24)를 이용해서 최대 압입 위치까지 더 압입함으로써, 기준 위치에 있어서 외측으로 휘어진 그로밋(12)의 각 몸통부 구성편(52)을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 내로 탄성 복귀시켜서, 핀(14)의 몸통부(22)의 부착 구멍(34, 36)에 대한 고정을 해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부착 구멍(34, 36)으로부터 2피스 클립(10)을 빼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12)에 핀(14)의 축부(26)가 기준 위치까지 압입된 상태에 있어서, 그로밋(12)의 기부(20)의 오목부(31)로부터 핀(14)의 머리부(24)가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 기준 위치에서는, 예기치 않게 핀(14)의 머리부(24)가 눌려 축부(26)가 최대 압입 위치까지 압입되어 부착 구멍(34, 36)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지 않게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14)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은, 핀(14)의 선단측으로부터 머리부(24)측을 향해서, 축부(26)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핀(14)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의 머리부측 오목부 벽면(44C)은, 핀(14)의 머리부(24)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서, 축부(26)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또, 핀(14)의 축부(26)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에,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의 정상부 돌기(54C)를 끼운 상태(최대 압입 위치)에 있어서,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의 도중에, 걸어맞춤 볼록부(54)의 선단측 볼록부 벽면(54A)의 내측단이 맞닿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압입 위치에 있어서, 핀(14)의 선단부를 빼내는 방향(도 1의 화살표(A) 방향)으로 되밀어내면, 핀(14)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과,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의 선단측 볼록부 벽면(54A)의 내측단이 슬라이딩함으로써, 그로밋(12)의 각 몸통부 구성편(52)을 외측 방향(도 1의 화살표(B) 방향)으로 용이하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핀(14)의 선단부를 빼내는 방향으로 되밀어내는 힘에 의하여, 핀(14)에 있어서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과,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의 선단측 볼록부 벽면(54A)의 내측단을 슬라이딩시켜,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를 용이하게 외측 방향으로 벌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핀(14)의 선단부를 빼내는 방향으로 되밀어낸다는 간단하고, 또한 조작력을 저감 가능한 조작에 의해, 핀(14)을 그로밋(12)에 대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최대 압입 위치로부터, 기준 위치를 거쳐서, 최소 압입 위치(재이용 가능한 위치)로 되돌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14)의 빠짐 방지 작은 돌기(41)와 머리부측 작은 돌기(43)는, 모두 인접하는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사이를 통과하는 핀(14)의 축선(14A)을 따른 가상 직선(L) 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빠짐 방지 작은 돌기(41)는 축부(26)의 직경 방향 양측의 2개소에 형성되어 있으며, 머리부측 작은 돌기(43)는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로밋(12)의 안내 오목부(33)(도 6 참조)에, 핀(14)의 빠짐 방지 작은 돌기(41)를 끼우는 방향으로만 그로밋(12)의 삽입 구멍(27)을 통과해서, 그로밋(12)의 몸통부(22) 내에 핀(14)의 축부(26)를 끼울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끼움 조작에 의해 빠짐 방지 작은 돌기(41)는 탄성 변형해서 넘김부(33A)를 타고 넘어 슬릿(50)에 들어가게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최소 압입 위치(재이용 가능한 위치)에서는, 축부(26)는 몸통부 구성편(52)을 외측으로 휘게 하지 않아, 그로밋(12)의 몸통부(22)와 핀(14)의 축부(26)는 걸어맞춰지지 않지만, 도 7에 나타내는 핀(14)의 빠짐 방지 작은 돌기(41)가 슬릿(50)의 종료단에 걸리므로 기준 위치까지 축부(26)를 압입하지 않아도 핀(14)의 축부(26)는 그로밋(12)의 몸통부(22)로부터 완전히 빼낼 수 없게 되어 있다.
또, 기준 위치로부터 완전 압입 위치까지 핀(14)의 축부(26)를 압입할 때에는, 핀(14)의 머리부측 작은 돌기(43)이 탄성 변형해서, 그로밋(12)의 넘김부(33A)를 타고넘어 슬릿(50)에 끼워지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부위의 구성은 주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12)의 몸통부(22)의 내주부(22A)와, 핀(14)의 축부(26)의 외주부(26A)는, 핀(14)의 축선(14A)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 있어서 서로 접촉되어 있다. 이로 인해, 그로밋(12)의 몸통부(22)의 내주부(22A)와 핀(14)의 축부(26)의 외주부(26A)가 핀(14)의 축선(14A)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 위에서 밀착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2피스 클립(10)에 의하여 부재(30, 32)를 이간하지 않게 고정시킨 상태에 있어서, 그로밋(12)의 몸통부(22)의 내주부(22A)와 핀(14)의 축부(26)의 외주부(26A)의 접촉 면적이 커짐으로써, 핀(14)이 그로밋(12)에 대하여 빠지기 어려워져, 내발거력이 향상되게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14)에 형성된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에 있어서의 머리부측 오목부 벽면(44C)의 핀(14)의 축선(14A)에 대한 경사(기립) 각도(α1)가, 핀(14)에 형성된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에 있어서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의 핀(14)의 축선(14A)에 대한 경사(기립) 각도(α2)에 비해서 광각(α1>α2)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그로밋(12)의 몸통부(22)의 내주부(22A)와 핀(14)의 축부(26)의 외주부(26A)가 밀착하는 범위를, 핀(14)의 선단측을 향해서 길게 연장시킬 수 있어, 그로밋(12)의 몸통부(22)의 내주부(22A)와 핀(14)의 축부(26)의 외주부(26A)의 접촉 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2피스 클립(10)에 의하여, 부재(30, 32)를 이간하지 않도록 고정시킨 상태에 있어서, 핀(14)이 그로밋(12)에 대하여 빠지기 어려워져, 내발거성이 향상되게 되어 있다.
또, 핀(14)에 형성된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에 있어서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의 핀(14)의 축선(14A)에 대한 경사(상승) 각도(α2)가, 그로밋(12)에 형성된 걸어맞춤 볼록부(54)에 있어서의 선단측 볼록부 벽면(54A)의 핀(14)의 축선(14A)에 대한 경사(상승) 각도(α3)에 비해서 협각(α2<α3)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에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가 맞닿은 상태에서, 핀(14)과 그로밋(12)의 사이에 간극(60)을 만들 수 있다. 이로 인해, 핀(14)과 그로밋(12)의 접촉부가 작아짐으로써 핀(14)의 선단에 가해진 힘이, 핀(14)과 그로밋(12)의 접촉부에 집중되어, 그로밋측에 전해지기 쉽게 되어 있다.
(부착 순서)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2피스 클립(10)의 부착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12)의 몸통부(22)에, 핀(14)의 축부(26)의 선단부를 끼운 최소 압입 위치(재이용 가능한 위치)에 있는 2피스 클립(10)을, 부재(30, 32)의 부착 구멍(34, 36)에 삽입한다. 이때, 기부(20)의 이면(20A)이 삽입 전방측에 있는 부재(30)의 외면에 접하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14)의 축부(26)를 그로밋(12)의 몸통부(22) 내로 압입하여 기준 위치로 한다. 이것에 의해, 핀(14)의 선단측 걸어맞춤 오목부(40)에,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가 끼워져, 그로밋(12)의 몸통부(22), 즉, 각 몸통부 구성편(52)이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 결과, 그로밋(12)의 몸통부 구성편(52)과 기부(20)의 사이에서 부재(30, 32)를 지지하여, 부재(30, 32)를 이간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분리 순서)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2피스 클립(10)의 분리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2피스 클립(10)에 의하여 부재(30, 32)를 이간하지 않도록 고정시킨 상태(기준 위치)로부터, 핀(14)의 머리부(24)를 압입하여, 도 4에 나타내는 최대 압입 위치로 한다. 이것에 의해, 그로밋(12)의 몸통부 구성편(52)이 일단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핀(14)의 축부(26)의 선단측 걸어맞춤 오목부(40)와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그 후, 그로밋(12)의 몸통부 구성편(52)이 탄성 복귀하여,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가 핀(14)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에 끼워짐으로써, 부착 구멍(34, 36)에 대한 그로밋(12)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이로 인해, 2피스 클립(10)을 부착 구멍(34, 36)으로부터 빼내어 분리할 수 있다.
(재사용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 순서)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2피스 클립(10)을 재사용 가능한 상태로의 복귀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압입 위치에 있는 2피스 클립(10)의 핀(14)의 선단부를, 그로밋(12)에 대하여 빼내는 방향(도 1의 화살표(A) 방향)으로 되밀어낸다. 이때, 핀(14)에 있어서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의 도중에,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의 선단측 볼록부 벽면(54A)의 내측단만이 맞닿아 있다.
이로 인해, 핀(14)에 있어서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과,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의 선단측 볼록부 벽면(54A)의 내측단이 슬라이딩함으로써, 그로밋(12)의 각 몸통부 구성편(52)을 외측으로 용이하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즉, 핀(14)의 선단부를 빼내는 방향으로 되밀어내는 힘에 의하여, 핀(14)에 있어서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과,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의 선단측 볼록부 벽면(54A)의 내측단이 슬라이딩하여,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를 용이하게 벌릴 수 있다. 이 결과, 핀(14)이, 그로밋(12)에 대하여 빼내는 방향(도 1의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고, 기준 위치를 거쳐, 최소 압입 위치(재사용 가능한 상태)로 되돌아온다.
(작용·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2피스 클립(10)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압입 위치에 있어서, 핀(14)에 있어서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의 도중에,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의 선단측 볼록부 벽면(54A)의 내측단이 맞닿아 있다. 이로 인해, 핀(14)의 선단부를 빼내는 방향(도 1의 화살표(A) 방향)으로 되밀어내면, 핀(14)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과,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의 선단측 볼록부 벽면(54A)의 내측단이 슬라이딩함으로써, 그로밋(12)의 각 몸통부 구성편(52)을 외측 방향(도 1의 화살표(B) 방향)으로 용이하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즉, 핀(14)의 선단부를 빼내는 방향으로 되밀어내는 힘에 의하여, 핀(14)에 있어서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과,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의 선단측 볼록부 벽면(54A)의 내측단을 슬라이딩시켜,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를 용이하게 외측 방향으로 벌릴 수 있다. 이로 인해, 핀(14)의 선단부를 빼내는 방향으로 되밀어낸다는 간단하고, 또한 조작력을 저감 가능한 조작에 의해, 핀(14)을 그로밋(12)에 대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최대 압입 위치로부터, 기준 위치를 거쳐서, 최소 압입 위치(재사용 가능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2피스 클립(10)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12)의 몸통부(22)의 내주부(22A)와, 핀(14)의 축부(26)의 외주부(26A)가, 핀(14)의 축선(14A)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 있어서 서로 접촉되어 있다. 이로 인해, 그로밋(12)의 몸통부(22)의 내주부(22A)와 핀(14)의 축부(26)의 외주부(26A)가 핀(14)의 축선(14A)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 위에서 밀착하여, 그로밋(12)의 몸통부(22)의 내주부(22A)와 핀(14)의 축부(26)의 외주부(26A)의 접촉 면적이 커진다. 이 결과, 2피스 클립(10)에 의하여 부재(30, 32)를 이간하지 않도록 고정시킨 상태에 있어서, 핀(14)이 그로밋(12)에 대하여 빠지기 어려워져, 내발거력이 향상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2피스 클립(10)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14)에 형성된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의 머리부측 오목부 벽면(44C)의 핀(14)의 축선(14A)에 대한 경사 각도(α1)가, 핀(14)에 형성된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의 핀(14)의 축선(14A)에 대한 경사 각도(α2)에 비해서 광각(α1>α2)이다. 이로 인해, 그로밋(12)의 몸통부(22)의 내주부(22A)와 핀(14)의 축부(26)의 외주부(26A)의 밀착하는 부분을, 핀(14)의 선단측을 향해서 길게 연장시킬 수 있어, 그로밋(12)의 몸통부(22)의 내주부(22A)와 핀(14)의 축부(26)의 외주부(26A)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부재(30, 32)를 이간하지 않도록 고정시킨 상태에 있어서, 핀(14)이 그로밋(12)에 대하여 빠지기 어려워져, 내발거성이 향상된다.
또, 핀(14)에 형성된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의 핀(14)의 축선(14A)에 대한 경사 각도(α2)가, 그로밋(12)에 형성된 걸어맞춤 볼록부(54)의 선단측 볼록부 벽면(54A)의 핀(14)의 축선(14A)에 대한 경사 각도(α3)에 비해서 협각(α2<α3)이다. 이로 인해, 핀(14)과 그로밋(12)의 사이에 간극(60)을 만들 수 있어, 핀(14)과 그로밋(12)의 접촉부가 작아지므로, 핀(14)의 선단에 가해진 힘이 핀(14)과 그로밋(12)의 접촉부에 집중되어, 그로밋측에 전해지기 쉬워진다. 이 결과, 핀(14)을 그로밋(12)에 대하여 재이용 가능한 위치로 되돌릴 때의 조작력을 저감 할 수 있어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2피스 클립(10)에서는,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의 내측단에, 만곡 형상(둥근 형상)의 정상부 돌기(54C)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최대 압입 위치에 있어서, 핀(14)의 선단부를 빼내는 방향(도 1의 화살표(A) 방향)으로 되밀어내어, 그로밋(12)의 몸통부(22)가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핀(14)의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44A)과, 그로밋(12)의 걸어맞춤 볼록부(54)의 내측단의 정상부 돌기(54C)가 슬라이딩할 때에, 핀(14)과 그로밋(12)이 슬라이딩하기 쉬워진다. 이 결과, 핀(14)을 그로밋(12)에 대하여 재이용 가능한 위치로 되돌릴 때의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어, 재이용 가능한 위치로 되돌릴 때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다.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다양한의 실시형태가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피스 클립(10)을 합성 수지제로 했지만, 2피스 클립(10)의 재질은 합성 수지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그로밋(12)의 재질과 핀(14)의 재질을 상이한 재질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2피스 클립(10)에 있어서, 3 이상의 부재를 고정시켜도 좋다.
Claims (5)
- 선단으로부터 뿌리에 걸친 2 이상의 슬릿에 의하여 분할되고 또한 선단부에 걸어맞춤 볼록부가 형성되며, 겹쳐진 부재의 부착 구멍에 삽입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뿌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부재의 부착 구멍의 주연부에 맞닿는 기부(基部)를 구비한 그로밋과,
상기 그로밋의 몸통부에 압입 가능하게 된 축부와, 상기 축부의 한쪽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를 구비한 핀과,
상기 핀의 축부에 형성되며, 상기 핀을 상기 그로밋에 소정량 압입한 기준 위치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의 걸어맞춤 볼록부가 걸어맞춰지고, 상기 그로밋의 몸통부를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켜서 상기 몸통부와 상기 기부에 의해 상기 부재를 사이에 지지시키는 선단측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핀의 축부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측 걸어맞춤 오목부보다 상기 머리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핀을 상기 그로밋에 상기 기준 위치보다 더 압입한 최대 압입 위치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걸어맞춤 볼록부가 걸어맞춰지고, 상기 그로밋의 몸통부를 내측으로 탄성 복귀시켜서 상기 부착 구멍을 통과 가능하게 하는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그로밋의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는, 상기 몸통부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몸통부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선단측 볼록부 벽면과, 상기 그로밋의 기부측으로부터 상기 몸통부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머리부측 볼록부 벽면을 구비하고,
상기 핀의 상기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는,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축부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선단측 오목부 벽면과, 상기 핀의 머리부측으로부터 상기 축부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머리부측 오목부 벽면을 구비하고,,
상기 최대 압입 위치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의 도중에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의 선단측 볼록부 벽면의 내측단이 맞닿는 2피스 클립.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의 몸통부의 내주부와 상기 핀의 축부의 외주부가 상기 핀의 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 있어서 서로 접촉되어 있는 2피스 클립.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핀에 형성된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에 있어서의 머리부측 오목부 벽면의 상기 핀의 축선에 대한 경사 각도가, 상기 핀에 형성된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에 있어서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의 상기 핀의 축선에 대한 경사 각도에 비해서 광각(廣角)인 2피스 클립.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에 형성된 머리부측 걸어맞춤 오목부에 있어서의 선단측 오목부 벽면의 상기 핀의 축선에 대한 경사 각도가, 상기 그로밋에 형성된 걸어맞춤 볼록부에 있어서의 선단측 볼록부 벽면의 상기 핀의 축선에 대한 경사 각도에 비해서 협각(狹角)인 2피스 클립.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의 걸어맞춤 볼록부의 내측단에 만곡 형상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2피스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288942 | 2010-12-24 | ||
JP2010288942A JP5701593B2 (ja) | 2010-12-24 | 2010-12-24 | 2ピースクリップ |
PCT/JP2011/079549 WO2012086652A1 (ja) | 2010-12-24 | 2011-12-20 | 2ピースクリップ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5329A true KR20130115329A (ko) | 2013-10-21 |
KR101481360B1 KR101481360B1 (ko) | 2015-01-21 |
Family
ID=46313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19203A KR101481360B1 (ko) | 2010-12-24 | 2011-12-20 | 2피스 클립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103363B2 (ko) |
EP (1) | EP2657545B1 (ko) |
JP (1) | JP5701593B2 (ko) |
KR (1) | KR101481360B1 (ko) |
CN (1) | CN103270323B (ko) |
WO (1) | WO201208665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36284B2 (ja) * | 2009-07-15 | 2013-11-06 | 株式会社ニフコ | 2ピースクリップ |
JP5901195B2 (ja) * | 2011-09-16 | 2016-04-06 | 株式会社ニフコ | 締結具 |
JP6126958B2 (ja) * | 2013-09-19 | 2017-05-10 | 株式会社ニフコ | クリップ |
CN105793912B (zh) * | 2013-12-02 | 2017-08-29 | 蛇牌股份公司 | 用于医疗无菌容器的安全密封件 |
AT515173B1 (de) * | 2013-12-13 | 2016-11-15 | Ultimate Europe Transp Equipment Gmbh | Befestigungssystem |
US9528540B2 (en) | 2014-08-12 | 2016-12-27 | Newfrey Llc | Insertion-locking pin and grommet and related methods |
US10030682B2 (en) | 2014-08-25 | 2018-07-24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Two-part fastener |
DE202015104382U1 (de) | 2015-08-25 | 2015-09-08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Zweiteiliges Befestigungselement |
JP6396277B2 (ja) * | 2015-11-26 | 2018-09-26 | 株式会社ニフコ | クリップ |
US9873388B2 (en) * | 2016-04-06 | 2018-01-23 | Newfrey Llc | Automotive door trim fastener and molding method |
GB2551367B (en) * | 2016-06-15 | 2019-03-27 | Ford Motor Co | Temporary fastener assembly |
JP6669623B2 (ja) * | 2016-09-23 | 2020-03-18 | 株式会社ニフコ | 部材取付構造及び取付クリップ |
US11542973B2 (en) | 2017-08-24 | 2023-01-03 | Nifco, Inc. | Clip |
JP6850773B2 (ja) * | 2018-08-22 | 2021-03-31 | 株式会社ニフコ | クリップ |
JP6547237B1 (ja) | 2019-02-26 | 2019-07-24 |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 はんだ付け装置及びはんだ付け装置にパッキンを固定する方法 |
CN111664153B (zh) * | 2019-03-08 | 2024-05-24 |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 铆钉型紧固件 |
US10900513B2 (en) | 2019-04-02 | 2021-01-26 | Newfrey Llc | Re-usable one-push pin and grommet fastener |
CN111609013A (zh) * | 2020-05-29 | 2020-09-01 |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 一种止退型铆钉和天线 |
US20220065281A1 (en) * | 2020-09-03 | 2022-03-03 | Milbank Manufacturing Co. | Plumb adjuster for electrical enclosure |
CN112924003B (zh) * | 2021-01-25 | 2022-08-26 | 柴沙沙 | 一种基础数学用电子天平 |
CN115370649A (zh) * | 2021-05-19 | 2022-11-22 |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 索环及紧固件组件 |
US12092138B2 (en) * | 2022-04-08 | 2024-09-17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Coupling assemblies having frangible portions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42568Y2 (ko) * | 1985-06-19 | 1992-10-08 | ||
JPH032003Y2 (ko) * | 1986-09-26 | 1991-01-21 | ||
JPS6414912U (ko) * | 1987-07-16 | 1989-01-25 | ||
JPH0524807Y2 (ko) * | 1987-12-04 | 1993-06-23 | ||
JPH0247414U (ko) * | 1988-09-29 | 1990-03-30 | ||
AU626479B2 (en) * | 1989-12-12 | 1992-07-30 | W.A. Deutsher Pty Ltd | Two part fastener |
US5201623A (en) * | 1992-02-18 | 1993-04-13 | Emhart Inc. | Two stage rivet |
JP3265103B2 (ja) * | 1994-01-24 | 2002-03-11 |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 プラスチック製ブラインドリベット |
JP2004028244A (ja) * | 2002-06-27 | 2004-01-29 |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 クリップ及び部材連結装置 |
JP4091859B2 (ja) * | 2003-03-03 | 2008-05-28 |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 締結具 |
US7736107B2 (en) * | 2004-03-30 | 2010-06-15 | Piolax, Inc. | Clipping device |
JP4485281B2 (ja) * | 2004-08-05 | 2010-06-16 | 株式会社ニフコ | 留め具 |
DE102005021940A1 (de) * | 2005-05-12 | 2006-11-30 | Volkswagen Ag | Verbindungseinrichtung, Formgebungs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indungseinrichtung |
JP4520920B2 (ja) * | 2005-08-22 | 2010-08-11 | 株式会社ニフコ | クリップ |
JP4423266B2 (ja) | 2006-01-25 | 2010-03-03 | 株式会社ニフコ | グロメット |
JP5036816B2 (ja) * | 2007-07-12 | 2012-09-26 |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 留め具 |
-
2010
- 2010-12-24 JP JP2010288942A patent/JP5701593B2/ja active Active
-
2011
- 2011-12-20 KR KR1020137019203A patent/KR10148136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12-20 EP EP11850490.1A patent/EP2657545B1/en active Active
- 2011-12-20 WO PCT/JP2011/079549 patent/WO201208665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12-20 CN CN201180062331.2A patent/CN103270323B/zh active Active
- 2011-12-20 US US13/997,502 patent/US9103363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657545A4 (en) | 2018-01-03 |
EP2657545B1 (en) | 2021-09-08 |
JP2012137130A (ja) | 2012-07-19 |
JP5701593B2 (ja) | 2015-04-15 |
KR101481360B1 (ko) | 2015-01-21 |
CN103270323A (zh) | 2013-08-28 |
EP2657545A1 (en) | 2013-10-30 |
WO2012086652A1 (ja) | 2012-06-28 |
US20130287517A1 (en) | 2013-10-31 |
US9103363B2 (en) | 2015-08-11 |
CN103270323B (zh) | 2015-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115329A (ko) | 2피스 클립 | |
JP5081759B2 (ja) | クリップ | |
JP6563854B2 (ja) | 管状体のロック機構 | |
EP2413013A1 (en) | Pipe connecting connector | |
KR101309391B1 (ko) | 노크식 필기구 | |
EP2543895A1 (en) | Grommet | |
CN111033062B (zh) | 卡夹 | |
EP3686470A1 (en) | Pipe connector | |
JP4423266B2 (ja) | グロメット | |
KR20170070997A (ko) |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 |
JPH0623582B2 (ja) | 保持器組立体 | |
JP2015215077A (ja) | クリップ | |
JP5210207B2 (ja) | クリップと取付部材との組付構造 | |
JP6517129B2 (ja) | 連結具、及び、セグメントの連結方法 | |
JP2007012366A (ja) | 雌端子金具 | |
JP5840484B2 (ja) | クリップ | |
JP6298707B2 (ja) | 取付具 | |
JP3173806U (ja) | 連結機構 | |
JP5871555B2 (ja) | パイプの連結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掃除具 | |
JP4601802B2 (ja) | パイプ端用キャップ | |
CN219417799U (zh) | Lc连接器 | |
JP5793838B2 (ja) | 軸筒 | |
JP2004232742A (ja) | 軸の連結構造 | |
KR20100017061A (ko) | 클립 | |
JPH0453985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