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993A - 차량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993A
KR20130113993A KR1020130036490A KR20130036490A KR20130113993A KR 20130113993 A KR20130113993 A KR 20130113993A KR 1020130036490 A KR1020130036490 A KR 1020130036490A KR 20130036490 A KR20130036490 A KR 20130036490A KR 20130113993 A KR20130113993 A KR 20130113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vehicle seat
cam
locking device
tog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4591B1 (ko
Inventor
베른트 뢰머
Original Assignee
파우레시아 아우토시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우레시아 아우토시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파우레시아 아우토시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1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2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3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 시트는 적어도 전방 레그(4), 후방 레그(10), 4-힌지 형성부(20), 힌지점(15, 16, 17, 18)에 의해 서로 결합된 4개의 힌지부(3, 6, 8, 5) 및, 보상 스프링(22)을 포함하고, 이 경우 전방 레그(4) 및 후방 레그(10)는 길이방향 레일(2)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후방 레그(10)는 록킹 해제 후에 길이방향 레일(2)의 분리될 수 있고, 차량 시트(1)는 4-힌지 형성부(20)의 조절 및 보상 스프링(22)의 적어도 일시적인 지원에 의해 후방 레그(10)가 록킹된 시트 위치로부터 후방 레그(10)가 록킹 해제됨으로써 전방 작동 위치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차량 시트는 록킹 장치(25)를 포함하고, 제조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록킹 장치는 4-힌지-형성부(20)의 적어도 2개의 힌지부들(3, 6)을 자동으로 서로 록킹 또는 클램핑 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VEHICLE SEAT}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에 따른 차량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 시트는 한편으로는 길이방향 레일에서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시트 위치와 예를 들어 카고(Cargo) 또는 이지 엔트리(Easy entry) 위치일 수 있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접히는 작동 위치 사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차량 시트는 4개의 힌지부와 힌지부들을 연결하는 4개의 힌지점으로 이루어진 4-힌지 형성부를 갖는다. 힌지부로서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비스듬한 각도로 형성된 시트부 및 등받이부가 제공되고, 이 경우 시트부는 시트 쿠션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시트부는 보완적으로 등받이의 하부 영역에도 지지될수 있다. 등받이부는 등받이 전체 또는 등받이부의 하부일 수 있다. 이러한 힌지 구조에서 다른 힌지부로서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전방 레그에 고정 결합되거나 또는 자체가 전방 레그인 하부 수용부 및, 예를 들어 수용부와 등받이 사이의 커플링 로커가 이용된다.
차량 시트는 일반적으로 전방 레그 외에 후방 레그에 의해 길이방향 레일에 수용되고, 이 경우 예를 들어 전방 레그는 길이방향 위치에서 록킹될 수 있다. 후방 레그는 록킹 장치에 의해 길이방향 레일에 수용되고, 상기 록킹 장치는 접거나 또는 선회를 위해 록킹 해제될 수 있다.
시트 위치의 선회 운동은 먼저 제 1 부분 행정에서 위로 중앙 위치로 실시되고, 일반적으로 보상 스프링에 의해 지원되고, 이로써 사용자는 시트의 전체 중량을 극복하지 않아도 된다. 후속해서 다른 부분 행정이 작동 위치로 연속되고, 예를 들어 상기 부분 행정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4-힌지 형성부의 2개의 부분들 사이에, 예를 들어 커플링 로커와 시트부의 적절한 위치 사이에 보상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은 인장되어 고정된다.
개별 부재들, 특히 전방 레그와 후방 레그 또는 이들의 록킹 장치에서 제조에 따른 공차는 일반적으로 4-힌지 형성부의 개별 부분들의 소정의 유격을 야기하다. 특히 보상 스프링의 작용은 4-힌지 형성부의, 공차와 관련된 힌지부들의 응력을 야기한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길이방향 레일에서 레그들에 응력이 작용할 수 있고, 특히 길이방향 레일에서 후방 레그의 틸팅이 나타날 수 있다. 레그들의 이러한 틸팅은 길이방향 조절시 방해가 되는 저항 및 슬라이딩 이동이 일으킬 수 있다. 시트가 진동하거나 끼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조작이 간단하고 조절 위치 사이에서 확실한 조절이 가능한 차량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범위 제 1 항에 따른 차량 시트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 청구항은 바람직한 개선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4-힌지 형성부의 적어도 2개의 힌지부들의 조정 가능한 자동 록킹 또는 클램핑을 위해 록킹 장치가 제공된다. 조정 가능한 록킹 장치는 특히 등받이부와 커플링 로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장치는 2개의 부재들을 서로 록킹 또는 클랭핑하므로, 제조에 따른 공차가 보상될 수 있거나 또는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스프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장치는 조정 가능한 록킹 장치에 한 방향으로 예비 응력을 가하므로, 상기 록킹 장치는 스프링 응력으로 인해 한 방향으로 유격을 설정하고, 이 위치에서 록킹되거나 클램핑된다. 후속해서 예를 들어 보상 스프링의 힘 작용의 변동으로 인해 또는 4-힌지 형성부의 각도 조절 변경으로 인해 부재들 사이의 유격이 변동되는 경우에, 조정 가능한 록킹 장치는 상기 유격을 제거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재조정된다.
하부 힌지부로서 바람직하게 수용부가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는 전방 레그의 부분으로서 전방 레그에 고정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전방 레그에 연결된다. 따라서 수용부는 예컨대 시트부가 있는 힌지점과 커플링 로커가 있는 다른 힌지점을 포함하고, 전방 레그에서 약간의 선회 운동을 위한 힌지점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전방 레그에서 5°미만, 바람직하게는 1°미만의 선회 운동의 작은 각도 범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용부는 바람직하게 후방 및 전방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에 의해 각도 범위에서 상기 수용부는 길이방향 레일 또는 전방 레그에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수용부는 특히 각진 형태로 또는 아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조정 가능한 록킹 장치와 수용부는 서로 매칭될 수 있다. 특히 조정 가능한 록킹 장치의 더 큰 각도 변화는 기본적으로 조절 가능한 변속에 의해 수용부의 작은 각도 변화를 야기한다. 이로써 전방 레그에서 수용부의 매우 약간의 선회만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4-힌지-조절시, 요동 또는 진동을 느낄 수 없다.
조정 가능한 록킹 장치는 특히 경사면을 갖는 회전 가능한 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은 캠의 회전시 증가하는 반경을 가지므로, 캠의 회전에 의해 예를 들어 토글 힌지를 위한 지지면이 형성될 수 있다. 토글 힌지는 클램핑될 2개의 부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 2개의 토글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들은 각각 4-힌지 형성부의 2개의 부분들 중 하나에 연결되고, 이들의 힌지점들의 결합 라인 외부에 놓인 토글 힌지에서 서로 결합되므로, 2개의 부재들의 조절시 토글 힌지는 정해진 대로 가압된다. 제조로 인한 공차는 토글 힌지 형성부의 위치 변동 및 캠에 대한 토글 힌지 형성부의 지지면의 변동을 야기한다. 따라서, 토글 힌지 형성부에 대해 유격이 형성되는 경우에, 캠은 예를 들어 스프링 예비 응력으로 인해 충돌 방향으로 또는 더 큰 반경에 대해 재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토글 힌지의 약간의 변동은 캠에서 더 큰 각도 변경을 일으킬 수 있다. 즉, 경사면에 의해 캠의 더 큰 회전 운동으로 변속이 가능해진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캠은 차량 시트의 조절 운동에 대해 방해가 되지 않거나 클램핑 작용을 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캠은 리세스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리세스는 작동 위치를 향한 조절 운동시 토글 힌지를 일시적으로 수용한다. 따라서 후방 레그의 록킹 해제 후에 등받이가 전방으로 선회되는 경우에, 토글 힌지는 바람직하게 하강하고, 캠의 리세스에 결합하고, 상기 캠을 그 스프링 응력에 대항해서 중간 위치, 예를 들어 중앙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시키고, 다시 토글 힌지는 리세스 밖으로 이동한 후에 캠의 경사면에 접촉하기 위해 앞에 위치한 작동 위치에 도달하므로, 2개의 단부 위치들은 클램핑에 의해 록킹될 수 있고, 중간 위치는 차단되지 않는다.
이로써, 본 발명의 몇 가지 장점들이 가능해진다. 즉, 제조로 인한 공차 및 2개의 부재들 사이의 유격을 설정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록킹 또는 클램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4-힌지 형성부의 진동, 특히 길이방향 레일에서 후방 및/또는 전방 록킹이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따라서 길이방향 레일에서 틸팅 또는 클램핑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시스템에서 제조에 따른 공차를 제거하고 또는 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보상 스프링의 응력은 조정 가능한 록킹 장치에서 및 경우에 따라서 간단하게 선회될 수 있는 수용부에서 흡수되고 또는 "저지"되고, 이 경우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니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실시예와 관련해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시트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후방 레그의 록킹 해제 후에 및 접히기 시작한 후에 도 1에 따른 차량 시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완전히 접힌 작동 위치에서 차량 시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조절 위치에서 보상 스프링에 의한 및 보상 스프링과 무관하게 제공된 조절력을 재현하는 다이어그램과 함께 시트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차량 시트의 조절을 도시한 도면.
도 1 및 도 2에는 차량 시트(1)가 부분적으로만 도시되고,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는 완전히 도시된다. 차량 시트(1)는 길이방향 레일(2)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길이방향 위치에서 록킹될 수 있다. 차량 시트(1)는 도 4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시트 위치와 도 3에 도시된 작동 위치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차량 시트(1)가 예를 들어 다른 시트 또는 대상에 의해 조절에 방해를 받지 않는 경우에, 기본적으로 각각의 길이방향 위치에서 이러한 상이한 위치들을 취할 수 있다.
차량 시트(1)는 하부 등받이부(3;등받이대 부분), 전방 레그(4), 시트부(5) 및 커플링 로커(6)를 포함한다. 전방 단부(4)에서 수용부(8)는 선회점(9)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하부 등받이부(3)의 하단부에 후방 레그(10)가 형성된다. 전방 레그(4)는 길이방향 레일(2)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록킹 장치(4a)에 의해 록킹될 수 있고, 운전자에 의해 작동되는 록킹 해제 레버(12)에 의해 록킹 해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시트(1) 전체의 록킹 해제 후에 길이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후방 레그(10)는 록킹 장치(10a)에 해제 가능하게 록킹되고, 상기 록킹 장치는 제 2 록킹 해제 레버(14)에 의해 록킹 해제될 수 있으므로, 하부 등받이(3)는 록킹 해제 후에 위로 멀리 선회될 수 있다.
시트부(5)는 제 1 힌지점(15)에 있는 수용부(8) 및 제 2 힌지점(16)에 있는 하부 등받이부(3)에 연결된다. 커플링 로커(6)는 제 3 힌지점(17)에 있는 수용부(8) 및 제 4 힌지점(18)에 있는 하부 등받이부(3)에 연결된다. 따라서,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힌지부들, 등받이부(3), 시트부(5), 커플링 로커(6), 수용부(8) 및 힌지점들(15, 16, 17. 18)을 포함하는 4-힌지 형성부(20)가 제공된다.
후방 레그(10)의 록킹 해제 후에, 도 2에 따라 하부 등받이부(3)는 4-힌지 형성부(20)의 안내 하에 위로 및 앞으로 선회된다. 수용부(8)는 전방 레그(4)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힌지점(9)을 중심으로 예를 들어 α1 = 0.7°의 각도 범위에서 선회될 수 있기 때문에, 전방 레그(4)에서 4-힌지-기어(20)의 고정 커플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시트부(5)와 커플링 로커(6) 사이에 예비 응력을 받은 인장 스프링으로서 보상 스프링(22)이 걸리고, 따라서 상기 스프링은 도 2에 도시된 사각형 또는 4-힌지-기어(20)를 위로 우측 위치로 끌고 간다. 보상 스프링(22)은 커플링 로커(6)가 그 힌지점(17)을 중심으로 위로 선회하도록 작용한다. 보상 스프링(22)은 차량 시트(1)의 자기 중량의 부분적인 보상에 이용되고, 이 경우, 특히 도 4의 다이어그램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측 시트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도 4에 따른, 사용자의 조절 이동이 용이해진다. 다이어그램에는 사용자에 의해 상부 등받이(23)를 누름으로써 후방에서 전방으로 제공되는 힘이 도식화되고, 곡선 a에는 보상 스프링(22)의 보상 작용이 없는 경우가 도시되고, 곡선 b에는 보상 스프링(22)의 상기 보상 작용이 있는 경우가 도시된다. 상부 등받이부(23)는 하부 등받이부(3)에 예를 들어 조절 가능한 힌지에 또는 고정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부 등받이부(23), 예를 들어 머리 지지부(24) 아래의 상부 에지에 힘 F을 가하고, 이로 인해 4-힌지-기어(20)는 도 2에 도시된 사각형을 따라 위로 및 전방으로 선회한다.
도 4의 다이어그램의 하부 곡선 b는, 사용자에 의해 우측 시트 위치로부터 이어서 중간 위치로 및 후속해서(우측에서 볼 때 제 3) 차량 시트(1)의 중간 위치로 제공될 힘 F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중간 위치로 가면서 0으로 감소하는 것을 도시한다. 그와 달리 보상 없이 처음부터 매우 큰 힘 F이 제공되는 경우에, 중간 위치까지 계속해서 급격하게 감소한다.
2개의 곡선에서 중간 위치에서부터 계속해서 도 4에 가장 좌측에 도시된 작동 위치로 힘의 부호 전환이 이루어지고, 즉 차량 시트는 자동으로 작동 위치로 조절되는데, 그 이유는 이 경우 차량 시트의 선회점이 내려가기 때문이다. 보상 스프링(22)은 이를 저지하고, 따라서 작동 위치에서 또는 록킹시 충돌도 제동된다. 이어서 복귀시 다시 도 4의 좌측 작동 위치로부터 중앙 위치로 사용자에 의해 적절한 힘이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시트는 이어서 자동으로 작동 위치로 조절된다.
보상 스프링(22)은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힘을 짧은 지렛대 거리에서, 즉 힌지(15, 17)에 근처에서 지원한다. 따라서 보상 스프링(22)은 적절한 크기의 힘으로 설정되고, 도 1의 록킹된 시트 위치에서 작용한다. 차량 시트(1)의 모든 부분들은 제조에 따른 공차를 갖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보상 스프링(22)에 의한 상기 응력은 부재들 사이의 응력 또는 틸팅을 야기하고, 이는 공차에 따라 길이방향 레일(2)에서 전방 레그(4) 및/또는 후방 레그(10)의 클램핑을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조정 가능한 록킹 장치(25)가 제공되고, 상기 록킹 장치는 커플링 로커(6)와 하부 등받이부(3) 사이의 조정 가능한 록킹 또는 자동 클램핑을 야기할 수 있다. 조정 가능한 록킹 장치(25)는,
- 캠(30)을 포함하고, 상기 캠은 회전점(축;31)에서 하부 등받이부(3)에 연결되고, 외주에서 캠(30)의 회전 방향으로 방사방향으로 높아지는 경사면(32)과 상기 경사면에 연결된 리세스(33)를 갖고,
- 제 1 토글 레버(35)를 포함하고, 상기 토글 레버는 회전점(36)에서 하부 등받이부(3)에 연결되고 및,
- 제 2 토글 레버(38)를 포함하고, 상기 토글 레버는 회전점(39)에서 커플링 로커(6)에 연결되고,
이 경우 2개의 토글 레버들(35, 38)은 토글 힌지(40)에서 서로 연결된다.
캠(30)은 스프링(34), 예를 들어 나선형 스프링(34)에 의해 하부 등받이부(3)에 대해, 본 도면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예비 응력을 받는다.
토글 레버(35, 3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제 1 토글 레버(35)에 경사면(32)에 접촉하기 위한 지지면(42)이 배치된다. 캠(30)은 나선형 스프링(34)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그리고 경사면(32)이 그 반경이 확장되면서 지지면(42)에 대해 고정되도록 예비 응력을 받으므로, 경사면(32)과 토글 힌지(40)의 지지면(42) 사이의유격 또는 자유 공간의 형성시 경사면(32)은 재조정된다.
커플링 로커(6)에 대한 하부 등받이부(3)의 선회 운동은 토글 힌지(40)를 꺾이게 하고, 이로 인해 토클 힌지(40)는 토글 레버(35, 38)의 힌지점(36, 39)의 연결 라인에 대해 오프셋 된다. 따라서 4-힌지 형성부의 조절시 지지면(42)과 경사면(32) 사이에 유격이 형성된다. 경사면(32)과 지지면(42) 사이의 상기 유격은 캠(30)의 선회 운동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도 1의 시트 위치에서 도 2의 위치로 그리고 계속해서 위로 4-힌지-기어(20)의 조절시 토글 힌지(40)는 우측 위로, 즉 캠(30)을 향해 가압되는데, 그 이유는 조절시 회전점(36, 39)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로써 토글 힌지(40)는 캠(30)을 향해 꺾인다.
힌지 형성부의 제조에 따른 공차는 특히 후방 레그(10) 또는 시트 레일(2) 상의 상기 레그의 록킹부, 및 전방 레그(4) 또는 시트 레일(2) 상에서 상기 전방 레그의 록킹 장치(4a)에 존재하는데, 그 이유는 이들은 부드럽게 작동해야 하고, 록킹 해제 시에도 클램핑 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후방 레그(10) 또는 상기 레그의 록킹 장치(10a)에서 제조 공차는 먼저 하부 등받이부(3)의 유격을 야기하고, 이로써 힌지점(18)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을 일으킨다. 상응하게 전방 레그(4) 또는 상기 레그의 록킹 장치(4a)에서 제조 공차는 전방 레그(4) 및 수용부(8)의 유격을 야기한다.
하부 수용부(8)의 힌지점(9)을 중심으로 각도 범위 α1 내에서 4-힌지 형성부(20)가 선회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의 록킹된 시트 위치에서도 부재들의 공차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사각형 또는 4-힌지 형성부(20)의 조절이 시작될 수 있고, 상기 조절은 힌지점(9)을 중심으로 상기 선회 운동에 의해 저지될 수 있다.
제조에 따른 공차는 보상 스프링(22)의 작용에 의해 4-힌지-기어(20)의 힌지부들의 적절한 - 일반적으로 약간의 - 회전 운동을 야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공차는 후속해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정 가능한 록킹 장치(25)의 형성에 의해 그리고 선회 가능한 수용부(8)에 의해 제거되고 또는 저지된다.
도 1에서 4-힌지-기어 장치(20)의 부분들, 특히 하부 등받이부(3), 보상 스프링(22) 및 수용부(8)의 약간의 회전으로 인해, 토글 힌지(40)는 회전점(31)에 대해 적절하게 조절된다. 도 1의 시트 위치에서 캠(30)의 지지면 또는 경사면(32)은 토글 레버(35)의 지지면(42)에 접촉한다. 이 경우 하부 등받이부(3) 및/또는 커플링 로커(6) 및/또는 수용부(8)의 회전이 회전점(31)에 대한 토글 힌지(40)의 간격을 더 많이 변경시키는 기계적 변속이 달성된다. 경사면(32)의 경사를 적절히 낮게 선택함으로써, 캠(30)의 큰 회전 운동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8)를 각도 범위 α1에서 약간 조절함으로써, 예를 들어 20°- 40°에서 캠(30)의 회전 운동이 커진다. 이로써 토글 힌지 시스템(35, 38, 40)에서 캠(30)의 자동 클램핑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도 1의 시트 위치에서 유격이 제거된다. 이 경우 상응하게 수용부(8)가 선회하는데, 그 이유는 수용부(8)는 시트 레일(2)에 직접 록킹되는 것이 아니라, 전방 레그(4)에 의해 록킹되기 때문이고, 수용부(8)의 이러한 선회는 전방 레그(4) 또는 그 록킹부(4a)에서 틸팅을 야기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의 시트 위치에서 제조에 따른 공차 및 보상 스프링(22)에 의한 장치 내의 클램핑이 저지된다.
도 1에서 도 2로 선회시, 후속해서 캠(30)은 제 1 토글 레버(35)의 지지면(42)으로부터 분리되고, 토글 레버(3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30)의 리세스(33)에 이른다. 따라서 토글 레버(35)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즉 상기 캠의 스프링 작용에 반해서 캠(30)을 회전시킨다. 도 3의 작동 위치로 이행시 - 캠(30)에 대해서 - 토글 레버(35)는 4-힌지-기어(20)의 선회 운동으로부터 이루어지는 바와 같이, 다시 아래로 멀어지게 하강한다. 이로써 토글 레버(35)는 리세스(33) 밖으로 이동되므로, 후속해서 캠(30)은 그 스프링(34)의 이완에 의해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3의 작동 위치에 따라 토글 레버(35)의 지지면(42)은 다시 경사면(32)으로 이동한다. 도 1 및 도 3의 위치에서 제 1 토글 레버(35) 및 캠(30)의 상대 위치는 유사하다. 즉, 이 경우 제 2 토글 레버(38)는 그 힌지점(39)에 의해 캠(30) 및 토글 레버(35)에 대해 우측으로 멀어지게 선회되므로, 힌지점(39)은 힌지점(36) 근처로 이동한다.
이로써 토글 레버 매커니즘 또는 조정 가능한 전체 록킹 장치는 2개의 단부 위치에서, 즉 도 1의 시트 위치에서 및 도 3의 작동 위치에서 조정 가능한 록킹 또는 클램핑 작용이 가능해지고, 또한 캠(30)을 선회시키기 위해, 토글 레버(35)가 하강에 이어 리세스(33)에 결합하고, 후속해서 도 3의 작동 위치로 이행시 캠(30)의 릴리스를 위한 하강이 가능해진다.
또한, 2개의 단부 위치에서, 즉 도 1의 시트 위치에서 및 도 3의 작동 위치에서 유격 또는 제조에 따른 공차의 보상을 위한 안정적이고, 자동적인 또는 조정 가능한 록킹이 달성된다.
수용부(8)에 의해 높은 안정성이 달성되는데, 그 이유는 수용부(8)는 전방 레그(4) 외에 그 지지면(8a 또는 8b)에 의해 힘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제 1 토글 레버(35) 대신에 제 2 토글 레버(38)도 캠(30)에 대한 지지를 위해 적절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정상적인 주행 조건에서 유격 및 진동 운동이 발생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 경우에도 조정 가능한 록킹 장치(25)는 유격을 제거 또는 무효화하기 때문이다.
1 차량 시트
2 길이방향 레일
4 전방 레그
3, 5, 6, 8 힌지부
10 후방 레그
22 보상 스프링

Claims (14)

  1. 적어도 전방 레그(4), 후방 레그(10), 힌지점(15, 16, 17, 18)에 의해 서로 결합된 4개의 힌지부(3, 6, 8, 5)를 갖는 4-힌지 형성부(20) 및, 보상 스프링(22)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로서,
    상기 전방 레그(4) 및 상기 후방 레그(10)는 길이방향 레일(2)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후방 레그(10)는 록킹 해제 후에 상기 길이방향 레일(2)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차량 시트(1)는 상기 4-힌지 형성부(20)의 조절 및 상기 보상 스프링(22)의 적어도 일시적인 지원에 의해 후방 레그(10)가 록킹된 시트 위치로부터 상기 후방 레그(10)의 록킹 해제 후 전방 작동 위치로 조절될 수 있는 차량 시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트는 록킹 장치(25)를 포함하고, 제조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록킹 장치는 상기 4-힌지 형성부(20)의 적어도 2개의 힌지부들(3, 6)을 자동으로 서로 록킹 또는 클램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힌지 형성부(20)는 힌지부로서,
    시트부(5), 등받이부(3), 수용부(8) 및 커플링 로커(6)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5)는 제 1 하부 힌지점(15)에서 상기 수용부(8)에 연결되고, 제 2 상부 힌지점(16)에서 상기 등받이부(3)에 연결되고, 상기 커플링 로커(6)는 제 3 하부 힌지점(17)에서 상기 수용부(8)에 연결되고, 제 4 상부 힌지점(18)에서 상기 등받이부(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장치(25)는 상기 등받이부(3)와 상기 커플링 로커(6) 사이의 조정 가능한 록킹 또는 클램핑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스프링(22)은 상기 시트부(5)와 상기 커플링 로커(6)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8)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제 5 힌지점(9)에서 상기 전방 레그(4)에 연결되고, 상기 제 5 힌지점(9)에서 각도 범위(α1) 내에서 선회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수용부(8)는 상기 길이방향 레일(2) 및/또는 상기 전방 레그(4)에 지지를 위한 지지면(8a, 8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록킹 장치의 조정 가능한 조절 거리는 제조에 따른 공차로 인해 상기 전방 레그(4)에서 상기 수용부(8)의 선회 운동에 상응하고,
    상기 수용부(8)의 선회 운동은 상기 록킹 장치의 조정 가능한 조절 운동에 비해 감속되고, 이 경우 바람직하게 각도 범위(α1)는 5°보다 작은, 특히 1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레그(4)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위치에서 록킹 장치(4a)에 의해 록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레그(10)는 상기 등받이부(3)에 형성되거나 또는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장치(25)는
    - 상기 4-힌지 형성부(20)의 힌지부(3)에 연결된 캠(30)을 포함하고, 상기 캠은 외측면에 원주방향으로 방사방향으로 증가하는 경사면(32)을 갖고,
    - 제 1 토글 레버(35)와 제 2 토글 레버(38)를 갖는 토글 힌지 형성부(35, 38)를 포함하고, 상기 토글 레버들은 토글 힌지(40)에서 서로 힌지식으로 결합되고,
    토글 힌지 형성부에 대한 상기 캠의 경사면(32)의 접촉 위치의 변경에 의해 유격 또는 제조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시트 위치에서 및/또는 작동 위치에서 상기 캠(30)의 경사면(32)은 토글 힌지 형성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및 상기 제 1 토글 레버(35)는 상기 제 1 힌지부(6)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받이부(3)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토글 레버(38)는 제 2 힌지부(3)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플링 로커(6)에 연결되고, 상기 캠(30)은 상기 경사면(32)이 반경의 증가에 의해 토글 힌지 형성부(35, 38)로 가압되도록, 스프링 장치(34)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예비 응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캠(30)은 시트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선회시 상기 토글 힌지 형성부(35, 38)를 수용하기 위해 둘레에 리세스(33)를 포함하고,
    이 경우 시트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 시트(1)의 선회시 제 1 부분 행정에서 상기 토클 힌지 형성부(35, 38)는 리세스(33) 내로 이동하고, 상기 캠(30)을 그 스프링 응력에 대항해서 조절하고,
    이 경우 작동 위치로 이행시 후속하는 제 2 부분 행정에서 상기 토글 힌지 형성부(35, 38)는 상기 캠(30)의 스프링 장치(34)의 이완에 의해 상기 캠(30)의 후속 복귀 조절을 위해 그리고 상기 캠(30)의 경사면(32)에 대한 토글 힌지 형성부의 지지를 위해 상기 캠(30)의 릴리스 하에 다시 리세스(33)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2. 제 6 항 및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레그(4)에서 상기 수용부(8)의 선회 운동은 토글 힌지 형성부의 더 큰 꺾임 각도 및 상기 캠(30)의 더 큰 선회 각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레일(2)에서 상기 후방 레그(10)의 록킹 장치의 제조에 따른 공차 및/또는 상기 길이방향 레일(2)에서 상기 전방 레그(4)의 길이방향 록킹부(4a)의 제조에 따른 공차는 상기 보상 스프링(22)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전방 레그(4)에서 상기 수용부(8)를 자동으로 선회 운동시키고, 상기 록킹 장치(25)를 자동으로 변경 또는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트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 레일(2)에서 상기 후방 레그(10)를 록킹 해제한 후에 보상 스프링(22)의 지원 하에 길이방향 전방으로 향하는 힘(F)에 의해 전방으로 중간 위치까지 선회될 수 있고, 후속해서 상기 중간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KR1020130036490A 2012-04-07 2013-04-03 차량 시트 KR101444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08533.8A DE102012008533B4 (de) 2012-04-07 2012-04-07 Fahrzeugsitz
DE102012008533.8 2012-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993A true KR20130113993A (ko) 2013-10-16
KR101444591B1 KR101444591B1 (ko) 2014-09-24

Family

ID=4920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490A KR101444591B1 (ko) 2012-04-07 2013-04-03 차량 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16787B2 (ko)
KR (1) KR101444591B1 (ko)
DE (1) DE102012008533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14497B4 (de) 2012-07-23 2019-05-09 Faurecia Autositz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teilten Fahrzeugsitz-Lehne
DE102014209167A1 (de) * 2014-01-20 2015-08-06 Johnson Controls Components Gmbh & Co. Kg Fahrzeugsitz und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r Ladestellung
DE102015200816B4 (de) * 2014-11-14 2017-08-03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Antriebssystem für eine Neigungseinstellung, Fahrzeugsitz, Verfahren zum Betrieb eines Antriebssystems
KR101725414B1 (ko) * 2015-12-24 2017-04-1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US10682933B2 (en) 2018-05-16 2020-06-16 Eric Bischoff Adjustable seat suspension assembly
US11091067B2 (en) * 2020-01-06 2021-08-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ssembly with fold flat seatback
CN114312279B (zh) * 2021-12-23 2024-03-08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悬置结构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601250U (de) 1960-12-12 1969-02-20 Bremshey & Co Mit federung und daempfung versehener fahrzeugsitz
US4241894A (en) 1978-04-15 1980-12-30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Seat suspension apparatus
DE2854217A1 (de) * 1978-12-15 1980-06-26 Rentrop Hubbert & Wagner 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JPS60206740A (ja) * 1984-03-29 1985-10-18 Aisin Seiki Co Ltd 座席
DE3635336A1 (de) * 1986-10-17 1988-04-28 Keiper Recaro Gmbh Co Sitzschienenanordnung zum verbinden eines fahrzeugsitzes mit dem boden eines zugehoerigen fahrzeuges
DE4010451C2 (de) 1990-03-31 1998-07-23 Audi Ag Sitz für Kraftfahrzeuge
FR2692529B1 (fr) * 1992-06-18 1994-09-16 Faure Bertrand Automobile Perfectionnements aux sièges de véhicules à réglages multiples.
WO1998054024A1 (en) * 1997-05-27 1998-12-03 Bertrand Faure Components Ltd. Slide/fold/ez entry seat mechanism
DE69835019T2 (de) 1997-09-01 2006-11-30 Toyota Shatai K.K., Kariya Drehbarer fahrzeugsitz
US6543848B1 (en) 1997-09-01 2003-04-08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Vehicular turning seat
US6183032B1 (en) * 1998-09-21 2001-02-06 Glaval Corporation Vehicle seating assembly
DE19853156B4 (de) * 1998-11-18 2006-04-13 Girsberger Holding Ag Sitz
US6805406B1 (en) * 2000-05-12 2004-10-19 Thomas Hilfen Hilbeg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Seat for a wheeled carriage or chair
KR101014044B1 (ko) * 2002-09-20 2011-02-14 인티어 오토모티브 인크. 자동 측방 변위를 갖는 플로어 격납 시트 조립체
US6679536B1 (en) * 2002-09-23 2004-01-20 Lear Corporation Foldable and tumblable seat system
DE10249092B4 (de) 2002-10-21 2006-04-13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6899392B1 (en) * 2003-10-31 2005-05-31 Lear Corporation Stadium slide seat
US6932409B2 (en) * 2003-12-01 2005-08-23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having a fold and tumble support assembly
DE102004007863A1 (de) * 2004-02-17 2005-09-08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r klappbaren Lehne und einer klappbaren Sitzbasis und Verfahren
US7152921B2 (en) * 2004-08-18 2006-12-26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DE102004042040B3 (de) 2004-08-31 2005-12-22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Kraftfahrzeugsitz
DE102004045988B3 (de) 2004-09-22 2005-12-01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Anzeige zur Signalisierung der Nichtverriegelung einer klappbaren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DE102004049191B3 (de) 2004-10-08 2005-12-01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Sitzstruktur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4056507B3 (de) 2004-11-24 2005-11-10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Fahrzeugsitz
US20060138839A1 (en) 2004-12-01 2006-06-29 Ryan Christopher J Flip and slide seat assembly
DE102005005485A1 (de) 2005-02-04 2006-08-10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Fondlehnenrahmen für ein Fondlehnenteil eines Fahrzeugsitzes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05012320A1 (de) 2005-03-17 2006-09-21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Kraftfahrzeugsitz
DE102005013613B4 (de) 2005-03-24 2010-06-17 Faurecia Autositze Gmbh Kraftfahrzeugsitz
DE102005019946B4 (de) 2005-04-29 2007-01-04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die Kopfstütze eines Fahrzeugsitzes
US7393056B2 (en) * 2005-05-11 2008-07-01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release assembly
DE102005037385B4 (de) 2005-08-08 2011-05-26 Faurecia Autositze Gmbh Sitz einer hinteren Sitzreihe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5044555B3 (de) 2005-09-17 2007-02-01 Faurecia Autositze Gmbh & Co.Kg Fahrzeugsitz
DE102005048279A1 (de) 2005-10-08 2007-04-12 Faurecia Autositze Gmbh Fahrzeugsitzanordnung mit einer elektrischen Verstellung
DE102005052781B3 (de) 2005-11-05 2006-12-14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Neigungsverstellbeschlag für die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DE102005058367C5 (de) 2005-12-06 2012-02-09 Faurecia Autositze Gmbh Fahrzeugsitz
DE102005060444B4 (de) 2005-12-17 2008-01-10 Keiper Gmbh & Co.Kg Fahrzeugsitz mit Bodenstellung
DE102006013847B4 (de) 2006-03-25 2008-05-08 Faurecia Autositze Gmbh Kraftfahrzeugsitz
US8313144B2 (en) 2007-01-16 2012-11-20 Intier Automotive Inc Stand up and kneel seat
DE202010004599U1 (de) * 2009-04-08 2010-07-29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DE102009037816B3 (de) 2009-08-12 2010-10-28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EP2603394A1 (en) * 2010-08-12 2013-06-1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Easy entry mechanism for vehicle seating
US8388065B2 (en) * 2010-09-07 2013-03-05 Honda Motor Co., Ltd. Vehicle seat
KR101209993B1 (ko) * 2010-12-03 2012-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
DE102012010230B4 (de) 2012-05-24 2014-01-09 Faurecia Autositze Gmbh Montage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Gurtschlo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008533A1 (de) 2013-10-10
US20130264853A1 (en) 2013-10-10
KR101444591B1 (ko) 2014-09-24
DE102012008533B4 (de) 2014-08-14
US9016787B2 (en)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3993A (ko) 차량 시트
US10076980B2 (en) Vehicle seat
JP5276261B2 (ja) シート部と背もたれとアンダーフレームとを備えた自動車シート
US7246836B2 (en) Seat having suspension system
US10493869B2 (en) Backrest adjuster for a seat, and vehicle seat
US20090167068A1 (en) Vehicle seats
CN101357607B (zh) 车用座椅的锁紧装置
WO2011148414A1 (ja) 椅子の背凭れ用反力機構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椅子
KR101444592B1 (ko) 차량 시트
US20020167209A1 (en) Chair, in particular office chair
KR20150005657A (ko) 시트 경사 조정 기구, 차량 시트 및 차량 시트의 장착 방법
JP6213367B2 (ja) 乗物用シート
JP2014523368A (ja) 自動車シート用シート継手
CN103661018A (zh) 用于安全带高度调节设备的锁止和解锁的设备以及车辆座椅
KR20160098214A (ko) 조절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RU2011140216A (ru) Спинка сиденья с подголовником
US9656578B2 (en) Vehicle seat
JP2002104029A (ja) 車両用シートのクッション跳ね上げ装置
CN103517824A (zh) 车辆座椅特别是机动车辆座椅
JP2018514429A (ja) 折り畳み型電動チャイルドシート
EP1500550B1 (en) Seat device
CN203244147U (zh) 搁脚部装置
JP2014133064A (ja) アームレスト
US20100133871A1 (en) Tilt-down vehicle seat
US20220227268A1 (en) Sea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