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375A -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 - Google Patents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375A
KR20130103375A KR1020130022874A KR20130022874A KR20130103375A KR 20130103375 A KR20130103375 A KR 20130103375A KR 1020130022874 A KR1020130022874 A KR 1020130022874A KR 20130022874 A KR20130022874 A KR 20130022874A KR 20130103375 A KR20130103375 A KR 20130103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loop
loop coil
axis dir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185B1 (ko
Inventor
다케시 고보리
다이스케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ublication of KR20130103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과제] 인출 선로부가 기판에서 점유하는 낭비적인 영역을 배제함과 아울러, 외부와의 접속 핀수를 줄일 수 있는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소정 형상의 루프부를 구비하는 제1 루프 코일이, 제1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됨과 아울러, 소정 형상의 루프부를 구비하는 제2 루프 코일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된다. 제1 및 제2 루프 코일은 루프부와 연속적으로 접속되는, 서로 평행한 제1 선로와 제2 선로로 이루어지는 인출 선로부를 각각 구비한다. 위치 검출 에어리어 내에서, 제1 루프 코일의 제1 또는 제2 선로 중 어느 한쪽의 선로를, 다른 제1 루프 코일의 제1 또는 제2 선로 중 어느 한쪽의 선로, 또는 제2 루프 코일의 루프부의 선로, 중 적어도 한쪽과 접속함으로써 공통화한다.

Description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SENSOR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COORDINATE INPUT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에 형성되는 루프 코일의 패턴 구성에 관한 것이다.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는 다수의 루프 코일을 좌표축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센서와, 코일과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공진 회로를 가지는 위치 지시기로 이루어져서, 위치 지시기와 센서 사이에서의 전자 유도 작용에 기초하여, 위치 지시기에 의해 지시된 위치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좌표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도 9는 종래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에 있어서의 도체 패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의 센서(100A)에 있어서는, 기판(3)의 한쪽 면에 X축 방향(예를 들면 기판(3)의 가로 방향)의 루프 코일군(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기판(3)의 상기 한쪽 면과는 반대 측인 다른 쪽 면에 Y축 방향(예를 들면 기판(3)의 세로 방향)의 루프 코일군(2)이 형성되어 있다.
X축 방향의 루프 코일군(1)은 도 9의 예에서는, 12개의 X축 방향 루프 코일(1X1 ~ 1X12)로 이루어져 있다. X축 방향 루프 코일(1X1, 1X2, … ,1X12)의 각각은, Y축 방향으로 가늘고 긴 구형(矩形) 영역을 둘러싸는 루프부(1X1L, 1X2L, … ,1X12L)과, 이 루프부(1X1L, 1X2L, … ,1X12L)에 각각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인출 선로부(1X1E, 1X2E, … ,1X12E)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12개의 X축 방향 루프 코일(1X1 ~ 1X12)은 그 루프부(1X1L ~ 1X12L)가 X축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루프부(1X1L ~ 1X12L)의 각각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인출 선로부(1X1E ~ 1X12E)가 각각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인출 선로부(1X1E ~ 1X12E)의 각각은 X축 방향으로 직각으로 꺾여 구부러져서, 커넥터부(4)에 접속된다.
또, Y축 방향의 루프 코일군(2)은, 도 9의 예에서는, 8개의 Y축 방향 루프 코일(2Y1 ~ 2Y8)로 이루어져 있다. Y축 방향 루프 코일(2Y1, 2Y2, … , 2Y8)의 각각은, X축 방향으로 가늘고 긴 구형 영역을 둘러싸는 루프부(2Y1L, 2Y2L, … , 2Y8L)와, 이 루프부(2Y1L, 2Y2L, … , 2Y8L)에 각각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인출 선로부(2Y1E, 2Y2E, … , 2Y8E)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8개의 X축 방향 루프 코일(2Y1 ~ 2Y8)은 루프부(2Y1L ~ 2Y8L)가 Y축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루프부(2Y1L ~ 2Y8L)의 각각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인출 선로부(2Y1E ~ 2Y8E)가 각각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인출 선로부(2Y1E ~ 2Y8E)의 각각은, 적당하게 X축 방향으로 직각으로 꺾여 구부러진 후, 재차, Y축 방향으로 꺾여 구부러져서, 커넥터부(4)에 접속된다.
또한, 인출 선로부(1X1E ~ 1X12E) 및 인출 선로부(2Y1E ~ 2Y8E)의 각각은, 신호를 공급 혹은 신호를 취출하기 위한 왕로 선로(going line)와, 기준 전위 예를 들면 접지 전위에 접속되는 귀로 선로(returning line)인 2개의 선로로 이루어진ek.
이 예의 센서(100A)에 있어서는, 12개의 X축 방향 루프 코일(1X1 ~ 1X12)의 루프부(1X1L ~ 1X12L)와, 8개의 Y축 방향 루프 코일(2Y1 ~ 2Y8)의 루프부(2Y1L ~ 2Y8L)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 영역이, 위치 지시기에 의한 지시 위치의 위치 검출 에어리어(5)가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00A)는 위치 검출 에어리어(5)의 외측에, 인출 선로부(X1E ~ X12E 및 Y1E ~ Y8E)가 점유하는 큰 면적 영역을 필요로 하여, 기판(3)의 전(全)면적에 대한 위치 검출 에어리어(5)의 면적이 작아져 버린다. 이 때문에, 이 기판(3)을, 예를 들면 전자 기기의 케이스에 수용하여 좌표 입력 장치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케이스 전체의 면적에 비하여, 좌표 입력 에어리어가 작아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감안하여 출원인은, 먼저, 특허 문헌 1(특허 제2842717호 공보)에 제시된 바와 같이, 1매의 기판에 있어서, 인출 선로부를 위치 검출 에어리어 내에 형성하여, 루프부와는 별개인 평면에 형성함으로써, 인출 선로부를 위해서 센서의 위치 검출 에어리어의 외측에 필요한 영역의 면적을 작게 하도록 한 발명을 제공했다.
도 10은 상기의 특허 문헌 1에서 제안한 센서(100B)에 있어서의 도체 패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의 센서(100B)에 있어서는, 표면(表面)과 이면(裏面)을 가지는 기판(13)의 한쪽 면에, X축 방향의 루프 코일군(11)이 형성되어 있고, 기판(13)의 상기 한쪽 면과는 반대 측인 면에 Y축 방향의 루프 코일군(12)이 형성되어 있다.
Y축 방향의 루프 코일군(12)은, 도 9의 예의 센서(100A)에 있어서의 Y축 방향의 루프 코일군(2)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지만, X축 방향의 루프 코일군(11)은 그 인출 선로부의 구성이, 도 9의 예의 센서(100A)에 있어서의 X축 방향의 루프 코일군(1)과는 다르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의 루프 코일군(11)의 12개의 X축 방향 루프 코일(11X1 ~ 11X12)의 루프부(11X1L ~ 11X12L)는, 기판(13)의 한쪽 면상에 형성된다. 이것에 대해서, 12개의 X축 방향 루프 코일(11X1 ~ 11X12)의 인출 선로부(11X1E ~ 11X12E)는 기판(13)의 다른 쪽 면측에 있어서, 위치 검출 에어리어(15) 내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형성된다. 이 경우에, 기판(13)의 다른 쪽 면측의 X축 방향 루프 코일(11X1 ~ 11X12)의 인출 선로부(11X1E ~ 11X12E)는, 기판(13)의 한쪽 면측의 루프부(11X1L ~ 11X12L)와, 도시를 생략한 스루홀(through hole)을 통해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X축 방향의 루프 코일군(11)의 12개의 X축 방향 루프 코일(11X1 ~ 11X12)의 인출 선로부(11X1E ~ 11X12E)는 위치 검출 에어리어(15) 내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기판(13)의 Y축 방향의 길이를 센서(100A)에 비해 짧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판(13)의 위치 검출 에어리어(15)의 주변부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제 2842717호 공보
그렇지만, 도 10의 예의 센서(100B)는 기판(13)의 크기를 작게 할 수는 있지만, X축 방향의 루프 코일군(11) 및 Y축 방향의 루프 코일군(12)의 루프 코일의 각각의 인출 선로부는, 왕로 선로와 귀로 선로의 페어(pair)를 각각 필요로 하고 있어, 인출 선로부의 도체 라인수는 루프 코일의 수의 2배가 필요했다. 이 때문에, 센서와 외부의 회로부를 커넥터부를 통해서 접속하는 경우에, 그 커넥터부의 접속 핀수도 루프 코일의 수의 2배가 되어, 커넥터부(14)의 크기가 커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인출 선로부로서 가는 패턴 배선을 사용하면, 커넥터부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러한 가는 패턴 배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용이 고가로 되어 버린다고 하는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커넥터부에 접속하는 인출 선로부의 선로수를 삭감하고, 커넥터부의 접속 핀수를 저감하는 방법으로서, 인출 선로부 중 귀로 선로를, 위치 검출 에어리어 외에 있어서 서로 공통으로 1점(点)에 접속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에, 그 1점의 공통 접속점에 접속하는 방법을 채용할 때는, 불필요한 자속(磁束)을 검출하지 않도록, 상기 공통 접속점은 소정의 면적을 구비한 솔리드 패턴(solid pattern)으로 할 필요가 있다.
즉, 이 방법을 전술의 센서(100B)에 적용하는 경우, 도시는 생략하지만, 기판(13)의 위치 검출 에어리어(15) 외에 소정의 면적의 솔리드 패턴을 마련하고, 위치 검출 에어리어(15)의 외부에 도출되는 인출 선로부 중 귀로 선로를, 이 솔리드 패턴에 공통으로 접속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솔리드 패턴을 마련했을 경우에는, 그 패턴 면적분만큼, 기판(13)을 크게 해야 한다. 또, 위치 지시기와의 전자 유도 신호의 송수 시에, 당해 솔리드 패턴에 있어서의 와전류(渦電流) 손실 때문에 자속이 감쇠해 버리고, 특히, 위치 검출 에어리어(15) 내 중, 솔리드 패턴의 가까운 부분에서의 위치 검출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회피하고, 인출 선로부가 점유하는 면적을 필요 최소한으로 하여 기판에서 점유하는 낭비적인 영역을 배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부와의 접속 핀수를, 루프 코일수의 배수보다도 줄일 수 있도록 한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서로 평행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선로로 이루어지는 제1 인출 선로부와, 상기 제1 인출 선로부의 상기 제1 및 제2 선로에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소정의 면적 영역을 둘러싸는 형상의 제1 루프부를 구비하는 제1 루프 코일이, 제1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된 제1 루프 코일군과,
서로 평행으로 형성되는 제3 및 제4 선로로 이루어지는 제2 인출 선로부와, 상기 제2 인출 선로부의 상기 제3 및 제4 선로에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소정의 면적 영역을 둘러싸는 형상의 제2 루프부를 구비하는 제2 루프 코일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된 제2 루프 코일군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 루프 코일군 및 상기 제2 루프 코일군의 상기 제1 루프부 및 제2 루프부가 점유하는 영역을 위치 검출 에어리어로 하는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로서,
상기 위치 검출 에어리어 내에서, 상기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또는 제2 선로 중 어느 한쪽의 선로를, 다른 상기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또는 제2 선로 중 어느 한쪽의 선로, 또는 상기 제2 루프 코일의 제2 루프부의 선로, 중 적어도 한쪽과 접속함으로써 공통화함과 아울러, 상기 선로를 공통화한 상기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또는 제2 선로의 다른 쪽을, 상기 공통화한 선로와 평행으로 근접하게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센서에 의하면, 제1 루프 코일의 제1 인출 선로부의 제1 또는 제2 선로 중 어느 한쪽의 선로는, 위치 검출 에어리어 내에 있어서, 다른 제1 루프 코일의 제1 인출 선로부의 제1 또는 제2 선로 중 어느 한쪽의 선로, 또는 제2 루프 코일의 제2 루프부의 선로, 중 적어도 한쪽과 접속됨으로써 공통화된다.
따라서 공통화된 선로의 분만큼, 인출 선로수는 루프 코일수의 2배보다도 적어진다. 그리고 공통화하는 선로의 접속은, 위치 검출 에어리어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기판의 위치 검출 에어리어 외에 솔리드 패턴 등이 낭비적인 영역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기판의 크기를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 선로가 공통화된 루프 코일의 제1 또는 제2 선로의 다른 쪽의 선로는, 공통화된 한쪽의 선로와 평행으로, 또한 근접하게 배설되므로, 위치 검출 에어리어 내에서 접속되어 공통화되었다고 하더라도, 위치 지시기와의 전자 결합에 의한 자속이 쇄교(鎖交)하는 부분의 면적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위치 지시기와 센서의 전자 결합에 의한 자속이 당해 면적 부분과 쇄교함으로써, 위치 검출에 대한 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 오차를 매우 작은 값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기판의 위치 검출 에어리어의 근방에 선로를 공통화하기 위한 솔리드 패턴을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솔리드 패턴의 근방에서의 위치 지시기와의 전자 결합에 있어서의 자속의 감쇠는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출 선로부가 점유하는 면적을 필요 최소한으로 하여 기판에 점유되는 낭비적인 영역을 배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부와의 접속 핀수를 루프 코일수의 배수보다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에 있어서의 X축 방향 루프 코일과 Y축 방향 루프 코일의 선로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위치 검출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의 제1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구성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의 제2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구성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의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설명]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센서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센서를 이용하는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구성예를,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예의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200)와 함께 사용하는, 펜형 위치 지시기(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301)과, 이 코일(301)에 병렬로 접속되는 콘덴서(302)로 구성되는 공진 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이 예의 좌표 입력 장치(200)의 센서(20)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3)의 상면 및 이면의 각각의 면에, X축 방향의 루프 코일군(21)과 Y축 방향의 루프 코일군(22)이, 공간적으로 겹치도록 배설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예에서는, 센서(20)의 기판(23)의 가로 방향을 X축 방향, 세로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하고 있다.
이 예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의 루프 코일군(21)은 X축 방향으로 배열된 n(n은 2이상의 정수)개의 구형 루프 코일(21X1 ~ 21Xn)로 이루어져 있고, 또 Y축 방향의 루프 코일(22)은 Y축 방향으로 배열된 m(m은 2이상의 정수)개의 루프 코일(22Y1 ~ 22Ym)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센서(20)에 있어서는, X축 방향의 루프 코일군(21)의 루프부와 Y축 방향의 루프 코일군(22)의 루프부에 의해, 위치 검출 에어리어(25)가 구성된다.
이 센서(20)는 도시를 생략한 커넥터부를 통하여, 위치 검출 회로(26)에 접속되어 있다. 이 위치 검출 회로(26)는 선택 회로(261), 발진기(262), 전류 드라이버(263), 송수신 절환 회로(264), 수신 앰프(265), 검파 회로(266), 로우 패스 필터(267), 샘플 홀드 회로(268), A/D(Analog to Digital) 변환 회로(269), 및 처리 제어부(260)을 구비하고 있다.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 및 Y축 방향 루프 코일군(22)은, 선택 회로(261)에 접속된다. 이 선택 회로(261)은 2개의 루프 코일군(21, 22) 중 하나의 루프 코일을, 처리 제어부(260)로부터의 제어 지시에 따라서 순차 선택한다.
발진기(262)는 주파수 f0의 교류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교류 신호는 전류 드라이버(263)에 공급되어 전류로 변환된 후에, 송수신 절환 회로(264)로 송출된다. 송수신 절환 회로(264)는 처리 제어부(260)의 제어에 의해, 선택 회로(261)에 의해서 선택된 루프 코일이 접속되는 접속처(송신측 단자 T, 수신측 단자 R)를, 소정 시간마다 절환한다. 송신측 단자 T에는 전류 드라이버(263)가, 수신측 단자 R에는 수신 앰프(265)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송신시에는, 송수신 절환 회로(264)의 송신측 단자 T를 통하여, 전류 드라이버(263)로부터의 교류 신호가, 선택 회로(261)에서 선택되어 있는 루프 코일에 공급된다. 또, 수신시에는, 선택 회로(261)에서 선택된 루프 코일에 발생하는 유도 전압은, 선택 회로(261) 및 송수신 절환 회로(264)의 수신측 단자 R를 통하여 수신 앰프(265)에 공급되어 증폭되어 검파 회로(266)에 송출된다.
검파 회로(266)에 의해서 검파된 신호는, 저역 필터(267) 및 샘플 홀드 회로(268)를 통하여 A/D변환 회로(269)에 공급된다. A/D변환 회로(269)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 제어부(260)에 공급한다.
처리 제어부(260)는 위치 검출을 위해 제어를 행한다. 즉, 처리 제어부(260)는 선택 회로(261)에 있어서의 루프 코일의 선택, 송수신 절환 회로(264)에서의 신호 변환 제어, 샘플 홀드 회로(268)의 타이밍 등을 제어한다.
처리 제어부(260)는 송수신 절환 회로(264)를 송신측 단자 T에 접속하도록 절환함으로써,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 혹은 Y축 방향 루프 코일군(22) 중, 선택 회로(261)에서 선택되어 있는 루프 코일을 통전 제어하여 전자파를 송출시킨다. 위치 지시기(300)의 공진 회로는, 이 루프 코일로부터 송출된 전자파를 수신하여 에너지를 축적한다.
다음으로, 처리 제어부(260)는 송수신 절환 회로(264)를 수신측 단자 R에 접속하도록 절환한다. 그러면,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 및 Y축 방향 루프 코일군(22)의 각 루프 코일에는, 위치 지시기(300)로부터 송신되는 전자파에 의해서 유도 전압이 발생한다. 처리 제어부(260)는 이 각 루프 코일에 발생한 유도 전압의 전압치의 레벨에 기초하여, 센서(20)의 위치 검출 에어리어(25)에 있어서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지시 위치의 좌표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처리 제어부(260)는 산출한 좌표치의 정보를, 예를 들면 외부의 PC 등에 공급한다.
[본 발명의 센서의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도 2의 센서(20)에 적용되는 제1 실시 형태의 센서(20A)에 있어서, X축 방향의 루프 코일군(21)의 각 1개의 루프 코일(21Xi)(i는 1, 2, … n 중 어느 하나)과, Y축 방향의 루프 코일군(22)의 각 1개의 루프 코일(22Yj)(j는 1, 2, … m 중 어느 하나)이, 기판(23)에 대해서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A)는 기판(23)을 그 한쪽 면(23a)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1 (B)는 기판(23)을 그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 (B)에서는, 루프 코일(21Xi 및 22Yj)을 구성하는 도체 패턴의 도시는 생략했다.
이 도 1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예의 기판(23)은, 얇은 시트 모양의 플렉서블 기판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판(23)의 한쪽 면(23a)측에,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의 구형 영역을 둘러싸는 형상의 루프부(21XiL) 중 Y축 방향으로 평행한 직선부(XiLa, XiLb)가 형성되고, 기판(23)의 다른 쪽 면(23b)측에, 루프부(21XiL) 중 상기 직선부(XiLa, XiLb) 간을 접속하기 위한 X축 방향으로 평행한 직선부(XiLc, XiLd)가 형성된다. 기판(23)의 한쪽 면(23a)측의 직선부(XiLa, XiLb)와 다른 쪽 면(23b)측의 직선부(XiLc, XiLd)는, 스루홀(31ai, 31bi, 31ci, 31di)을 통해서 접속된다.
그리고 기판(23)의 한쪽 면(23a)측에 마련되어 있는 루프부(21XiL) 중 직선부(XiLa, XiLb) 중 한쪽, 도 1의 예에서는, 직선부(XiLb)는 서로 평행한 제1 및 제2 선로로 이루어지는 인출 선로부(21XiE)와 접속하기 위해서, 그 중간이 절단되어 있다.
인출 선로부(21XiE)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선로의 한쪽은, 커넥터부(24)를 통해서 전술한 위치 검출 회로(26)의 선택 회로(261)에 접속됨으로써, 신호가 공급되거나, 혹은 신호를 취출하기 위한 선로로 된다. 이하, 이 한쪽 선로를 왕로 선로(XiEs)로 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 인출 선로부(21XiE)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선로의 다른 쪽은, 기준 전위, 예를 들면 접지 전위에 접속되는 선로이다. 이하, 이 다른 쪽 선로를 귀로 선로(XiEg)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Y축 방향 루프 코일(22Yj)도 마찬가지로, 서로 평행한 제3 및 제4 선로를 구비하는 인출 선로부(22YjE)를 구비하고, 제3 및 제4 선 중 신호가 공급되거나, 혹은 신호를 취출하기 위한 한쪽의 선로를 왕로 선로(YjEs), 기준 전위, 예를 들면 접지 전위에 접속되는 다른 쪽의 선로를 귀로 선로(YjEg)라고 칭한다.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의 루프부(21XiL)의 직선부(XiLb)의 절단부의 한쪽 단부는 스루홀(31ei)을 통해서, 기판(23)의 다른 쪽 면(23b)측에 형성되어 있는 인출 선로부(21XiE)의 왕로 선로(XiEs)에 접속됨과 아울러, 직선부(XiLb)의 절단부의 다른 쪽 단부는 스루홀(31fi)을 통해서, 기판(23)의 다른 쪽 면(23b)측에 형성되어 있는 인출 선로부(21XiE)의 귀로 선로(XiEg)에 접속된다. 왕로 선로(XiEs)와 귀로 선로(XiEg)는, 이 예에서는, X축 방향의 직선으로서 서로 평행으로 근접하게 배설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의 인출 선로부(21XiE)는, 이 예에서는, 위치 검출 에어리어(25) 내에도 존재하며, 적어도, 이 위치 검출 에어리어(25) 내의 인출 선로부(21XiE)의 왕로 선로(XiEs)와 귀로 선로(XiEg)는, 서로 근접한 평행한 X축 방향의 직선으로서 배설된다. 왕로 선로(XiEs)와 귀로 선로(XiEg)의 간격은, 예를 들면, 0.1mm로 이루어진다.
왕로 선로(XiEs)와 귀로 선로(XiEg)를, 이와 같이 서로 근접한 평행한 쌍의 직선으로 하는 것은, 인출 선로부(21XiE)가 위치 검출 에어리어(25) 내에도 존재하기 때문에, 당해 쌍의 직선이 만드는 가늘고 긴 면(elongated surface)을 자속이 통과하면 불필요한 전류가 생겨서, 그것이 좌표 검출 회로에서의 위치 검출할 때의 오차 신호로 되므로, 그 오차 신호를 가능한 한 작게 억제하기 때문에 있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인출 선로부(21XiE)의 왕로 선로(XiEs) 및 귀로 선로(XiEg)는 위치 검출 에어리어(25)의 외측에 마련되는 커넥터부(24)에 접속된다.
또, Y축 방향 루프 코일(22Yj)은 그 구형 영역을 둘러싸는 형상의 루프부(22YjL) 중 X축 방향으로 평행한 직선부(YjLa, YjLb)가, 기판(23)의 다른 쪽 면(23b)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23)의 한쪽 면(23a)측에, 루프부(22YjL) 중, 상기 직선부(YjLa, YjLb) 간을 접속하기 위한 Y축 방향으로 평행한 직선부(YjLc, YjLd)가 형성된다. 기판(23)의 다른 쪽 면(23b)측의 직선부(YjLa, YjLb)와 한쪽 면(23a)측의 직선부(YjLc, YjLd)는, 스루홀(32aj, 32bj, 32cj)을 통해서 접속된다.
그리고 기판(23)의 다른 쪽 면(23b)측에 마련되어 있는 Y축 방향 루프 코일(22Yj)의 루프부(22YjL) 중 직선부(YjLa, YjLb)의 한쪽, 도 1의 예에서는, 직선부(YjLb)는 위치 검출 에어리어(25)보다도 더욱 외측으로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출 선로부(22YjE)의 귀로 선로(YjEg)로 된다. 또, 위치 검출 에어리어(25)에 있어서 X축 방향의 가장 커넥터 측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루프부(22YjL)의 직선부(YjLc)가, 스루홀(32dj)을 통해서, 기판(23)의 다른 쪽 면(23b)측에 있어서 X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인출 선로부(22YjE)의 왕로 선로(YjEs)에 접속된다. 이 왕로 선로(YjEs)는 귀로 선로(YjEg)와 평행으로 근접하게 배설된다.
인출 선로부(22YjE)의 왕로 선로(YjEs)는 전술한 위치 검출 회로(26)의 선택 회로(261)에 접속됨으로써, 신호가 공급되거나, 혹은 신호를 취출하기 위한 선로로 된다. 귀로 선로(YjEg)는 기준 전위, 예를 들면 접지 전위에 접속되는 선로이다. 이 Y축 방향 루프 코일(22Yj)의 인출 선로부(22YjE)의 왕로 선로(YjEs) 및 귀로 선로(YjEg)도, 커넥터부(24)에 접속된다.
또한, 센서(20A)의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 및 Y축 방향 루프 코일(22Yj)의 루프부(21XiL 및 22YiL)는, 위치 지시기(300)와의 사이에서의 전자 유도에 의한 자속이 쇄교하는데 충분한 소정의 면적 부분을 둘러싸는 것이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1 실시 형태의 센서(20A)의 주요부]
제1 실시 형태의 센서(20A)에 있어서는, 이상과 같이 하여 기판(23)에 형성되는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의 인출 선로부(21XiE)의 귀로 선로(XiEg)를, 다른 X축 방향 루프 코일(21Xk)(단 i≠k)의 인출 선로부(21XkE)의 귀로 선로(XkEg)와 공통화함으로써,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으로부터 위치 검출 에어리어(25)의 외측의 커넥터부(24)에 접속하기 위한 인출 선로의 합계인 선로수를 삭감하도록 한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센서(20A)의 기판(23)에 형성되는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 중 임의의 2개의 X축 방향 루프 코일의 사이에서의 귀로 선로의 공통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 도 3은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의 인출 선로(21XiE)와, X축 방향 루프 코일(21Xk)의 인출 선로(21XkE)에서, 귀로 선로를 공통화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3에 있어서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실선의 직선은 기판(23)의 한쪽 면(23a)에 형성된 선로를 나타내고 있고, 점선의 직선은 기판(23)의 다른 쪽 면(23b)에 형성된 선로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기판(23)의 한쪽 면(23a)에 형성된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의 루프부(21XiL)의 직선부(XiLa 및 XiLb)는, 스루홀(31ai, 31bi, 31ci, 31di)을 통해서, 기판(23)의 다른 쪽 면(23b)에 형성된 직선부(XiLc 및 XiLd)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기판(23)의 한쪽 면(23a)에 형성된 X축 방향 루프 코일(21Xk)의 루프부(21XkL)의 직선부(XiLa와 XkLb)는, 스루홀(31ak, 31bk, 31ck, 31dk)을 통해서, 기판(23)의 다른 쪽 면(23b)에 형성된 직선부(XkLc 및 XkLd)에 접속된다.
그리고 기판(23)의 한쪽 면(23a)상에 형성된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의 루프부(21XiL) 및 X축 방향 루프 코일(21Xk)의 루프부(21XkL)의 직선부(XiLb) 및 직선부(XkLb)는, 그 절단부의 한쪽 단부(端部)가 각각 스루홀(31ei 및 31ek)을 통해서, 인출 선로(21XiE) 및 인출 선로(21XkE)의 왕로 선로(XiEs 및 XkEs)에 접속된다.
또, 직선부(XiLb) 및 직선부(XkLb)의 절단부의 다른 쪽 단부는, 각각 스루홀(31fi 및 31fk)을 통해서, 인출 선로(21XiE) 및 인출 선로(21XkE)의 귀로 선로(XiEg 및 XkEg)에 접속된다. 이 경우에,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의 인출 선로부(21XiE)의 귀로 선로(XiEg)는, 스루홀(31fk)과 접속된 후의 선로부는, X축 방향 루프 코일(21Xk)의 귀로 선로(XkEg)와 공용되게 된다. 즉, 귀로 선로(XiEg)와 귀로 선로(XkEg)는, 공통 귀로 선로(CMg)의 구성으로 된다.
그리고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의 인출 선로부(21XiE)의 왕로 선로(XiEs)는, 공통 귀로 선로(CMg)와 평행으로 근접하게 배설됨과 아울러, X축 방향 루프 코일(21Xk)의 인출 선로부(21XkE)의 왕로 선로(XkEs)도, 공통 귀로 선로(CMg)와 평행으로 근접하게 배설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X축 방향의 루프 코일의 귀로 선로를, 다른 X축 방향의 루프 코일의 귀로 선로와 공통화함으로써, 종래는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의 인출 선로부(21XiE)로서 2개, X축 방향 루프 코일(21Xk)의 인출 선로부(21XkE)로서 2개인, 합계 4개의 인출 선로가 필요했는데, 1개 적은 3개의 인출 선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추가로,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의 인출 선로부(21XiE)의 왕로 선로(XiEs)와, X축 방향 루프 코일(21Xk)의 인출 선로부(21XkE)의 왕로 선로(XkEs)를, 공통 귀로 선로(CMg)를 중심으로 한 양측에 형성하도록 한다. 이 때문에, 스루홀(31ei와 31ek)은 공통 귀로 선로(CMg)를 걸친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공통 귀로 선로(CMg)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왕로 선로(XiEs)와 왕로 선로(XkEs)를 배설하도록 함으로써, 왕로 선로(XiEs)와 공통 귀로 선로(CMg)의 간격, 및 왕로 선로(XkEs)와 공통 귀로 선로(CMg)의 간격을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양쪽 모두의 간격을 0.1mm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왕로 선로와 귀로 선로로 형성되는 면적 부분을 최소인 상태로 할 수 있어, 오차 신호의 발생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의 n개의 루프 코일(21X1 ~ 21Xn)의 2개씩에 대해서, 인출 선로(21X1 ~ 21Xn)의 귀로 선로를 공통화함으로써,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으로부터 도출되는 인출 선로의 전체의 귀로 선로의 선수(線數)를, 종래의 1/2로 할 수 있다.
추가로, 귀로 선로를 공통화하는 X축 방향 루프 코일의 수를, 3 이상으로 함으로써,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으로부터 도출되는 인출 선로의 전체의 귀로 선로의 선수를, 보다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의 n개의 X축 방향 루프 코일(21X1 ~ 21Xn)을, 각각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그룹(G1, G2, … )과 같이 복수개로 나누어 각 그룹마다 귀로 선로를 공통화함으로써,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으로부터 도출되는 인출 선로의 전체의 귀로 선로의 선수를, 그 그룹수분으로 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그룹(G1, G2, … ) 마다 1개의 공통 귀로 선로(CMg1, CMg2, … )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그룹(G1, G2, … )을 구성하는 X축 방향 루프 코일의 수는, 동수(同數)는 아니고 차이가 나도 좋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기판(23)에 형성되었을 때의 하나의 그룹에 있어서의 복수개의 X축 방향 루프 코일의 선로 패턴의 예를, 그룹(G1)이 6개의 X축 방향 루프 코일(21X1 ~ 21X6)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다. 다른 그룹에 있어서의 복수개의 X축 방향 루프 코일에 의한 선로 패턴도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된다.
즉, 도 5는 기판(23)의 한쪽 면(23a)측에서 본 선로 패턴 및 스루홀을, 그룹(G1)에만 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이 도 5에 있어서도, 기판(23)의 한쪽 면(23a)측의 선로 패턴은 실선으로 나타내고, 기판(23)의 다른 쪽 면(23b)측의 선로 패턴은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루프 코일(21X1 ~ 21X6)의 각 루프부(21X1L ~ 21X6L)를 구성하는 각 4개의 직선부(X1La, X1Lb, X1Lc, X1Ld ~ X6La, X6Lb, X6Lc, X6Ld)는,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처럼, 각각 스루홀(31a1, 31b1, 31c1, 31d1 ~ 31a6, 31b6, 31c6, 31d6)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23)의 한쪽 면(23a)상에 형성된 직선부(X1Lb ~ X6Lb)는 그 절단부의 한쪽 단부가 각각 스루홀(31e1 ~ 31e6)을 통해서, 왕로 선로(X1Es ~ X6Es)에 접속된다.
또, 직선부(X1Lb ~ X6Lb)의 절단부의 다른 쪽 단부는, 각각 스루홀(31f1 ~ 31f6)을 통해서, 기판(23)의 다른 쪽 면(23b)측의 귀로 선로 패턴과 접속되지만, 이 경우, 기판(23)의 다른 쪽 면(23b)측에 있어서, 스루홀(31f1 ~ 31f6)은 하나의 선로 패턴인 공통 귀로 선로(CMg1)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직선부(X1Lb ~ X6Lb)의 절단부의 다른 쪽 단부는, 공통 귀로 선로(CMg1)에 모두 접속된다. 즉, 6개의 X축 방향 루프 코일(21X1 ~ 21X6)의 인출 선로부(21X1E ~ 21X6E)의 귀로 선로는, 공통화된 1개의 공통 귀로 선로(CMg1)로 된다.
이 결과, 종래라면, 6개의 X축 방향 루프 코일(21X1 ~ 21X6)의 인출 선로부의 선로수로서, 왕로 선로와 귀로 선로의 6쌍인 12개가 필요한데, 도 5의 예에 있어서는, 6개의 왕로 선로와 1개의 공통 귀로 선로의 합계 7개의 선로수로 되어, 대폭적인 삭감을 할 수 있다.
그리고 X축 방향 루프 코일(21X1 ~ 21X6)의 인출 선로부(21X1E ~ 21X6E)의 왕로 선로(X1Es ~ X6Es)의 각각은, 공통 귀로 선로(CMg1)와 평행으로 근접하게 배설된다. 이 예에 있어서도, 선로(X1Es ~ X6Es) 및 CMg1가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의 간격은 0.1 mm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 6개의 왕로 선로(X1Es ~ X6Es)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귀로 선로(CMg1)를 중심으로 하여, 그 양측에 배설된다. 또, 6개의 왕로 선로(X1Es ~ X6Es)는 커넥터부(24)측에서 보아, 루프부가 먼 위치에 있는 것에서부터 순서대로, 교대로 공통 귀로 선로(CMg1)의 양측에 배설된다. 이것에 의해, 도 5의 예에서는, 6개 중 3개의 왕로 선로(X1Es, X3Es, X5Es)가 공통 귀로 선로(CMg1)의 상측에, 나머지의 3개의 왕로 선로(X2Es, X4Es, X6Es)가 공통 귀로 선로(CMg1)의 하측에, 각각 배설된다. 이 경우에, 6개의 왕로 선로(X1Es ~ X6Es)는 서로 겹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커넥터부(24)에 가까운 것일수록, 공통 귀로 선로(CMg1)에 가까운 내측의 위치로 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왕로 선로를, 공통 귀로 선로(CMg1)의 양측에 배설함으로써, 예를 들면 공통 귀로 선로(CMg1)의 편측(片側)에만, 복수개의 왕로 선로를 모두 배설하는 경우에 비해, 왕로 선로와 공통 귀로 선로의 간격의 최대치를, 1/2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왕로 선로와 공통 귀로 선로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면적을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어, 오차 신호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다. 또, X축 방향 루프 코일의 루프부의 커넥터부 측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왕로 선로를, 공통 귀로 선로의 양측에 교대로 배설함으로써, 인출 선로부에 있어서의 오차 신호에 의한 변동을, 가능한 한 균일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X축 방향 루프 코일의 귀로 선로를, 다른 X축 방향 루프 코일의 귀로 선로와 공통화함으로써, 인출 선로의 선로수를 종래와 비교하여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솔리드 패턴을 마련하지 않기 때문에, 솔리드 패턴의 근방에서의 위치 지시기와의 전자 결합에 있어서의 자속의 감쇠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센서(20A)와 위치 검출 회로(26)를 커넥터부에서 접속하는 경우에, 커넥터 핀수가 감소하여, 커넥터부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비용 다운이 가능해진다.
또한, n개의 X축 방향 루프 코일(21X1 ~ 21Xn)의 인출 선로부(21X1E ~ 21XnE)의 귀로 선로(X1Eg ~ XnEg)의 모두를 공통화하고, 1개의 공통 귀로 선로(CMg)로 하도록 하여도 물론 좋다. 그러나 X축 방향 루프 코일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공통 귀로 선로(CMg)와 가장 외측으로 되는 왕로 선로의 간격이 커져 버려서, 오차 신호의 영향을 고려해야 하게 되므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는 편이 좋다.
또한, 상술된 제1 실시 형태는, X축 방향 루프 코일군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Y축 방향 루프 코일군에 대해서도, 완전하게 마찬가지로 하여, 제1 실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인출 선로의 귀로 선로의 수의 최소치는,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에 대해서 1개, Y축 방향 루프 코일군(22)에 대해서 1개인, 합계 2개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X축 방향 루프 코일군과 Y축 방향 루프 코일군의 양쪽 모두의 인출 선로부를 하나의 커넥터부에 공통으로 접속하도록 했지만, X축 방향 루프 코일군과 Y축 방향 루프 코일군에서, 인출 선로부의 선로 형성 방향을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해도 좋다.
또, 상술된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1매의 기판(23)의 제1 면과 그 반대 측인 제2 면의 양면을 이용하여,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과 Y축 방향 루프 코일군(22)을 형성하도록 했지만,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과 Y축 방향 루프 코일군(22)을 서로 다른 기판에 형성하고, 그 2매의 기판을 접착시킨 2층 기판의 구성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센서의 제2 실시 형태]
이 제2 실시 형태의 센서(20B)에 있어서도,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 및 Y축 방향 루프 코일(22Yj)의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기판(23)에 대해서 형성된다.
단,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의 인출 선로부(21XiE)의 귀로 선로(XiEg)를, Y축 방향 루프 코일(22Yj)의 루프부(22YjL)의 하나의 직선부(YjLb)에 접속하고, 이 직선부(YjLb)를, XiEg로서도 이용함으로써 공통화하여,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으로부터 위치 검출 에어리어(25)의 외측의 커넥터부(24)에 접속하기 위한 인출 선로의 합계의 선로수를 삭감하도록 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도, 도 1과 마찬가지로, 실선의 직선은 기판(23)의 한쪽 면(23a)에 형성된 선로를 나타내고 있고, 점선의 직선은 기판(23)의 다른 쪽 면(23b)에 형성된 선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 루프 코일(22Yj)은 기판의 다른 쪽 면(23b)측의 X축 방향의 직선부(YjLa 및 YjLb)와, 한쪽 면(23a)측의 Y축 방향의 직선부(YjLc 및 YjLd)가 스루홀(32aj, 32bj, 32cj)을 통해서 접속됨으로써, 그 루프부(22YjL)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도 한 것처럼, 기판(23)의 한쪽 면(23a)의 직선부(YjLc)가, 스루홀(32dj)을 통해서, 기판(23)의 다른 쪽 면(23b)에 있어서, 위치 검출 에어리어(25)의 외측에, X축 방향으로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는 왕로 선로(YjEs)에 접속된다. 또, 기판(23)의 다른 쪽 면(23b)측에 형성되어 있는 X축 방향의 직선부(YjLb)가, 위치 검출 에어리어(25)의 외측에, 더욱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귀로 선로(YjEg)로 된다.
한편,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은, 도 3과 마찬가지로 하여, 기판(23)의 한쪽 면(23a)측의 직선부(XiLa 및 XiLb)와 다른 쪽 면(23b)측의 직선부(XiLc 및 XiLd)가, 스루홀(31ai, 31bi, 31ci, 31di)을 통해서 접속됨으로써 그 루프부(21XiL)가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23)의 한쪽 면(23a)상에 형성된 직선부(XiLb)의 절단부의 한쪽 단부가, 스루홀(31ei)을 통해서 기판(23)의 다른 쪽 면(23b)측에 형성되어 있는 인출 선로(21XiE)의 왕로 선로(XiEs)에 접속된다. 이 왕로 선로(XiEs)는 Y축 방향 루프 코일(22Yj)의 루프부(22YjL)의 직선부(YjLb)에 평행으로 근접하게 배설된다. 왕로 선로(XiEs)와, 루프부(22YjL)의 직선부(YjLb)와의 간격은, 예를 들면 0.1mm로 된다.
그리고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직선부(XiLb)의 절단부의 다른 쪽 단부는, 스루홀(31fi)을 통해서 Y축 방향 루프 코일(22Yj)의 루프부(22YjL)의 직선부(YjLb)의 중간부에 접속된다. 이 루프부(22YjL)의 직선부(YjLb)는, 전술한 것처럼, Y축 방향 루프 코일(22Yj)의 인출 선로부(22YjE)의 귀로 선로(YjEg)가 그 연장부로 되어 있는 선로이다.
그리고 전술한 것처럼, Y축 방향 루프 코일(22Yj)의 루프부(22YjL)의, 이 직선부(YjLb)는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의 인출 선로부(21XiE)의 왕로 선로(XiEs)와 평행으로 근접하게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Y축 방향 루프 코일(22Yj)의 루프부(22YjL)의, 이 직선부(YjLb)는 스루홀(31fi)을 통한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의 직선부(XiLb)와의 접속점으로부터, 커넥터부(24)까지의 부분이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의 인출 선로부(21XiE)의 귀로 선로(XiEg)로서도 공용화되게 된다.
그리고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위치 검출 에어리어(25)로부터, 그 외부의 커넥터부(24)(도 6에서는 도시를 생략)에 접속하기 위한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의 인출 선로부(21XiE)와 Y축 방향 루프 코일(22Yj)의 인출 선로부(22YjE)에 있어서는, 공통화된 공통 귀로 선로(CMYg)를 가지는 것으로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X축 방향 루프 코일(21Xi)로부터의 인출 선로부(21XiE)에서는, 귀로 선로를 개별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 그 만큼 인출 선로수를 삭감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의 X축 방향 루프 코일의 수가, Y축 방향 루프 코일군(22)의 Y축 방향 루프 코일의 수 이하인 경우에는, X축 방향 루프 코일의 각각을, 서로 다른 Y축 방향 루프 코일과 귀로 선로를 공통화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위치 검출 에어리어(25) 내에 존재하는 X축 방향 루프 코일에 대한 인출 선로(왕로 선로와 공통 귀로 선로(Y축 방향 루프 코일의 루프부의 직선부))와의 간격은, 항상, 최소의 간격, 예를 들면 0.1mm로 할 수 있어, 오차 신호의 발생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의 X축 방향 루프 코일의 각각으로부터의 인출 선로로서 귀로 선로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으므로,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 및 Y축 방향 루프 코일군(22)의 전체로부터의 인출 선로의 귀로 선로의 수를, Y축 방향 루프 코일의 수만큼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보다도,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 및 Y축 방향 루프 코일군(22)의 전체로부터의 인출 선로의 귀로 선로의 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의 X축 방향 루프 코일의 수가, Y축 방향 루프 코일군(22)의 Y축 방향 루프 코일의 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Y축 방향 루프 코일의 루프부의 직선부의 일부를 귀로 선로로서 공용하는 X축 방향 루프 코일의 수를 복수개로 하면 좋다. 즉,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를 조합한 형태로 하도록 하면 좋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도 5의 예에, 제2 실시 형태를 적용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7의 예에서는, 그룹(G1)의 X축 방향 루프 코일(21X1 ~ 21X6)의 귀로 선로는, Y축 방향 루프 코일(22Yu)의 루프부(22YuL)의 일부와 공용되고, 공통 귀로 선로(CMYg1)로서 위치 검출 에어리어(25) 밖으로 도출된다. 또, 그룹(G2)의 X축 방향 루프 코일(21X7 ~ 21X12)의 귀로 선로는, Y축 방향 루프 코일(22Y)의 루프부 (22YL)의 일부와 공용되고, 공통 귀로 선로(CMYg2)로서 위치 검출 에어리어(25) 밖으로 도출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의 경우의 그룹(G1)에 있어서의 기판(23)의 선로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그룹(G1, G2, … )의 X축 방향 루프 코일(21X1 ~ 21X6, 21X7 ~ 21X12, … )의 귀로 선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처럼 하여, 공통화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그룹(G1)에서는, Y축 방향 루프 코일(22Yu)의 루프부(22YuL)의 직선부(YuLb)의 일부가, 그룹(G1)의 X축 방향 루프 코일(21X1 ~ 21X6)의 공통화된 귀로 선로와 공용화되고, 위치 검출 에어리어(25)의 외측에서는 공통 귀로 선로(CMYg1)로 된다. 또, 그룹(G2)에서는, Y축 방향 루프 코일(22Y)의 루프부(22YL)의 직선부(YLb)의 일부가, 그룹(G2)의 X축 방향 루프 코일(21X7 ~ 21X12)의 공통화된 귀로 선로와 공용화되고, 위치 검출 에어리어(25)의 외측에서는 공통 귀로 선로(CMYg2)로 된다.
Y축 방향 루프 코일(22Yu)의 인출 선로부(YuE)의 왕로 선로(YuEs)는, 이 예에서는, 공통 귀로 선로(CMYg1)에 평행한, 가장 근접한 선로로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Y축 방향 루프 코일(22Y)의 인출 선로부(YE)의 왕로 선로(YEs)는, 이 예에서는, 공통 귀로 선로(CMYg2)에 평행한, 가장 근접한 선로로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의 모든 X축 방향 루프 코일의 귀로 선로를, Y축 방향 루프 코일군(21)의 Y축 방향 루프 코일의 루프부의 선로 중 귀로 선로가 접속되는(상기의 예와 같이, 연장되어 귀로 선로로 되는 경우를 포함함) 쪽의 선로에 접속함으로써, 당해 Y축 방향 루프 코일의 루프부의 선로를, X축 방향 루프 코일의 귀로 선로로서도 공용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 및 Y축 방향 루프 코일군(22)의 전체로부터의 인출 선로의 귀로 선로를, Y축 방향 루프 코일(22Y1 ~ 22Ym)의 수만큼으로 할 수 있어, 종래의 1/2로 할 수 있다.
그리고 Y축 방향 루프 코일(22Y1 ~ 22Ym)에 대해서, 제1 실시 형태를 추가로 적용했을 경우에는, Y축 방향 루프 코일군(22)으로부터의 인출 선로의 귀로 선로를 최소 1개로 할 수 있으므로,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 및 Y축 방향 루프 코일군(22)의 전체로부터의 인출 선로의 귀로 선로를, 최소, 1개로 할 수 있어, 선로수를 큰폭으로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제1 실시 형태보다도 인출 선로의 삭감수를 많이 할 수 있으므로, 그 효과는 보다 크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을 도 8의 예와 같이, 그룹마다 나누고, 공유하는 Y축 방향 루프 코일을 다른 것으로 할 필요는 없고,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의 모든 X축 방향 루프 코일(21X1 ~ 21Xn)의 귀로 선로를, Y축 방향 루프 코일군(22) 중 임의의 1개의 Y축 방향 루프 코일(22Yj)의 루프부에 접속하여 공용화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술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X축 방향 루프 코일군과 Y축 방향 루프 코일군의 관계를 반대로 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상술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X축 방향 루프 코일군 및 Y축 방향 루프 코일군으로부터의 양쪽 모두의 인출 선로부를, X축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하고, 하나의 커넥터부에 공통으로 접속하도록 했지만, Y축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하고, 하나의 커넥터부에 공통으로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더하여, X축 방향 루프 코일군의 각 X축 방향 루프 코일로부터는 왕로 선로만을 X축 방향으로 도출하고, Y축 방향 루프 코일군의 Y축 방향 루프 코일로부터는, 각 왕로 선로 및 귀로 선로 혹은 공통 귀로 선로를, Y축 방향으로 도출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술된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1매의 기판(23)의 제1 면과 그 반대 측의 제2 면의 양면(兩面)을 이용하여,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과 Y축 방향 루프 코일군(22)을 형성하도록 했지만, X축 방향 루프 코일군(21)과 Y축 방향 루프 코일군(22)을 서로 다른 기판에 형성하고, 그 2매의 기판을 접착시킨 2층 기판의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X축 방향 루프 코일의 귀로 선로와 Y축 방향 루프 코일의 루프부의 선로는, 스루홀 비아(via)를 통해서 접속되는 것이다.
[그 외의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
상술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루프 코일의 예로서의 X축 방향 루프 코일 및 Y축 방향 루프 코일은, 그 루프부가 구형 영역을 둘러싸는 구형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제1 및 제2 루프 코일의 루프부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선형(扇形), 삼각형 등 여러 가지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또, 상술된 실시 형태에서는, X축 방향 루프 코일 및 Y축 방향 루프 코일의 루프부는 1턴(turn)으로 했지만,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제1 및 제2 루프 코일의 루프부는 2턴 이상의 다중권(多重卷)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는 스마트 폰으로 불리는 고기능 휴대 전화 단말과 같이,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중첩해서 이용되는 센서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좌표 입력 장치를 내장한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슬레이트(slate) PC나 노트 PC의 센서로서도 이용할 수 있는 것 외에, 화면을 내장하지 않는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20A, 20B: 센서,
21: X축 방향 루프 코일군,
21X1 ~ 21Xn: X축 방향 루프 코일
21X1L ~ 21XnL: X축 방향 루프 코일의 루프부,
21X1E ~ 21XnE: X축 방향 루프 코일의 인출 선로부,
22: Y축 방향 루프 코일군,
22Y1 ~ 22Ym: X축 방향 루프 코일,
22Y1L ~ 22YmL: Y축 방향 루프 코일의 루프부,
22Y1E ~ 22YmE: Y축 방향 루프 코일의 인출 선로부,
X1Es ~ XnEs, Y1Es ~ YmEs: 왕로 선로,
X1Eg ~ XnEg, Y1Eg ~ YmEg: 귀로 선로,
CMg, CMg1, CMg2, CMYg, CMYg1, CMYg2: 공통 귀로 선로

Claims (10)

  1. 서로 평행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선로로 이루어지는 제1 인출 선로부와, 상기 제1 인출 선로부의 상기 제1 및 제2 선로에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소정의 면적 영역을 둘러싸는 형상의 제1 루프부를 구비하는 제1 루프 코일이, 제1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된 제1 루프 코일군과,
    서로 평행으로 형성되는 제3 및 제4 선로로 이루어지는 제2 인출 선로부와, 상기 제2 인출 선로부의 상기 제3 및 제4 선로에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소정의 면적 영역을 둘러싸는 형상의 제2 루프부를 구비하는 제2 루프 코일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된 제2 루프 코일군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 루프 코일군 및 상기 제2 루프 코일군의 상기 제1 루프부 및 제2 루프부가 점유하는 영역을 위치 검출 에어리어로 하는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로서,
    상기 위치 검출 에어리어 내에서, 상기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또는 제2 선로 중 어느 한쪽의 선로를, 다른 상기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또는 제2 선로 중 어느 한쪽의 선로, 또는 상기 제2 루프 코일의 제2 루프부의 선로, 중 적어도 한쪽과 접속함으로써 공통화함과 아울러, 상기 선로를 공통화한 상기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또는 제2 선로의 다른 쪽을, 상기 공통화한 선로와 평행으로 근접하게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 선로부의 상기 제1 선로는 신호를 공급 혹은 신호를 취출하기 위한 선로이고, 상기 제2 선로는 기준 전위에 접속되는 선로이며,
    상기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인출 선로부의 상기 제2 선로를, 다른 상기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인출 선로부의 제2 선로, 또는 상기 제2 루프 코일의 제2 루프부의 선로, 중 적어도 한쪽과 접속함으로써 공통화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선로를 공통화한 상기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선로를, 상기 공통화한 선과 평행으로 근접하게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루프부의 적어도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부분은 상기 기판의 제1 면상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인출 선로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면과는 반대 측인 제2 면상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기판에 마련되어 있는 스루홀을 통하여, 상기 제1 인출 선로부와 상기 제1 루프부가 접속되고,
    상기 제2 루프 코일의 상기 제2 루프부의 적어도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부분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2 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및 제2 선로 중 어느 한쪽의 선로와, 상기 다른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및 제2 선로 중 어느 한쪽의 선로, 또는 상기 제2 루프 코일의 상기 제2 루프부, 중 적어도 한쪽과의 접속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2 면에서 이루어지는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 에어리어 내에서, 상기 제1 루프 코일군의 복수개의 상기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인출 선로부의 상기 제2 선로를, 상기 제1 루프 코일군의 다른 상기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인출 선로부의 상기 제2 선로와 공통으로 접속함으로써 공통화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선로를 공통화한 상기 복수개의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선로를, 상기 공통화한 제2 선로와 평행으로 마련(dispose)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통화한 상기 제2 선로와 평행으로 배설된, 상기 제2 선로를 공통화한 상기 복수개의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인출 선로부의 상기 제1 선로는, 상기 공통화한 상기 제2 선로의 양측으로, 상기 공통화한 상기 제2 선로를 중심으로 하여 교대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 코일군의 상기 복수개의 루프 코일은 복수개의 그룹으로 분할되고, 상기 복수개의 그룹의 각각 내의 각각의 상기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인출 선로부의 상기 제2 선로를 공통화한 선로로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 에어리어 내에서, 상기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인출 선로부의 상기 제2 선로를, 상기 제2 루프 코일의 상기 제2 루프부와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2 루프부의 선로를 상기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2 선로로서 공용화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선로를 공용화한 상기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선로를, 상기 공용화한 상기 제2 루프부의 선로와 평행으로 마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 에어리어 내에서, 상기 제1 루프 코일군의 복수개의 상기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2 선로를, 상기 제1 루프 코일군의 다른 상기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2 선로와 공통으로 접속함으로써 공통화함과 아울러,
    상기 위치 검출 에어리어 내에서, 상기 제2 선로를 공통화한 상기 복수개의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공통화한 상기 제2 선로를, 상기 제2 루프 코일의 상기 제2 루프부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2 루프부의 선로를 상기 복수의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2 선로로서 공용화하고, 추가로, 상기 제2 선로를 공통화한 상기 복수의 제1 루프 코일의 상기 제1 선로를, 상기 공용화한 상기 제2 루프부의 선로와 평행으로 마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 코일군의 상기 복수개의 제1 루프 코일은 서로 겹쳐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2 루프 코일군의 상기 복수개의 제2 루프 코일은 서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 선로부와 상기 제2 인출 선로부가,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평행으로 배열되고, 하나의 커넥터부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
KR1020130022874A 2012-03-09 2013-03-04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 KR102030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52683A JP5888733B2 (ja) 2012-03-09 2012-03-09 電磁誘導方式の座標入力装置のセンサ
JPJP-P-2012-052683 2012-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375A true KR20130103375A (ko) 2013-09-23
KR102030185B1 KR102030185B1 (ko) 2019-10-08

Family

ID=4791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874A KR102030185B1 (ko) 2012-03-09 2013-03-04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60436B2 (ko)
EP (1) EP2637082B1 (ko)
JP (1) JP5888733B2 (ko)
KR (1) KR102030185B1 (ko)
CN (2) CN203133807U (ko)
DE (1) DE202013012596U1 (ko)
TW (1) TWI55049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6550A (ko) * 2015-04-17 2017-12-11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전자 유도 방식의 위치 검출 센서
KR20220090009A (ko) * 2020-12-22 2022-06-29 유현우 오브젝트의 위치 및 종류 식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8733B2 (ja) * 2012-03-09 2016-03-22 株式会社ワコム 電磁誘導方式の座標入力装置のセンサ
CN103615961B (zh) * 2013-11-19 2016-03-23 华中科技大学 一种螺旋光电位敏定位装置及方法
JP2016029519A (ja) * 2014-07-25 2016-03-03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用センサ及び位置検出用センサの製法
JP5984281B1 (ja) * 2015-04-17 2016-09-06 株式会社ワコム 電磁誘導方式の位置検出センサ及び電磁誘導方式の位置検出センサの製造方法
CN207458029U (zh) 2015-06-01 2018-06-05 株式会社和冠 位置检测传感器
CN107066165B (zh) * 2017-02-13 2018-06-12 深圳市华鼎星科技有限公司 一种阵列编码磁信号定位感应装置
CN106933437B (zh) * 2017-02-13 2018-11-27 深圳市华鼎星科技有限公司 一种手写输入装置
TWI681328B (zh) * 2018-11-12 2020-01-01 劉志岷 多點陣列式天線收發感應觸控板
WO2021182017A1 (ja) 2020-03-11 2021-09-16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センサ及び位置検出センサの製法
JPWO2022097340A1 (ko) 2020-11-06 2022-05-12
KR20230172643A (ko) * 2022-06-15 2023-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7803A (ja) * 1991-11-08 1993-05-25 Wacom Co Ltd 座標入力装置のセンス部
JP2008191860A (ja) * 2007-02-02 2008-08-21 Casio Comput Co Ltd 電磁誘導型入力パネル及び電磁誘導型入力パネル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US20110273384A1 (en) * 2010-05-05 2011-11-10 Yun-Hsiang Yeh Electromagnetic antenna loop layou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2873A (ja) * 1993-02-17 1994-09-02 Hitachi Seiko Ltd 座標検出装置の布線板
JP3502664B2 (ja) * 1994-06-20 2004-03-02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
JP3517449B2 (ja) * 1994-07-27 2004-04-12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JP3015269B2 (ja) * 1994-12-05 2000-03-06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及びその方法
TWI253003B (en) * 2002-05-10 2006-04-11 Waltop Int Corp Antenna layout and coordinate positioning method for electromagnetic-induction systems
JP4405247B2 (ja) * 2003-11-28 2010-01-27 株式会社ワコム 座標入力装置のセンス部
JP5067763B2 (ja) * 2008-10-08 2012-11-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接触検出装置、表示装置および接触検出方法
JP5886489B2 (ja) * 2009-09-21 2016-03-16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
JP5275959B2 (ja) * 2009-11-17 2013-08-28 株式会社ワコム コイル、位置指示器、位置検出装置及びコイル巻回方法
TWM379806U (en) * 2009-12-07 2010-05-01 Waltop Int Corp Touch apparatus
CN201754208U (zh) * 2010-01-20 2011-03-02 深圳华映显示科技有限公司 触控式显示装置
TW201131460A (en) * 2010-03-04 2011-09-16 Chunghwa Picture Tubes Ltd Touch panel apparatus with shared output pin configuration and method thereof
JP5427070B2 (ja) * 2010-03-05 2014-02-26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
JP5888733B2 (ja) * 2012-03-09 2016-03-22 株式会社ワコム 電磁誘導方式の座標入力装置のセ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7803A (ja) * 1991-11-08 1993-05-25 Wacom Co Ltd 座標入力装置のセンス部
JP2842717B2 (ja) 1991-11-08 1999-01-06 株式会社ワコム 座標入力装置のセンス部
JP2008191860A (ja) * 2007-02-02 2008-08-21 Casio Comput Co Ltd 電磁誘導型入力パネル及び電磁誘導型入力パネル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US20110273384A1 (en) * 2010-05-05 2011-11-10 Yun-Hsiang Yeh Electromagnetic antenna loop layou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6550A (ko) * 2015-04-17 2017-12-11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전자 유도 방식의 위치 검출 센서
KR20220090009A (ko) * 2020-12-22 2022-06-29 유현우 오브젝트의 위치 및 종류 식별 장치
WO2022139293A1 (ko) * 2020-12-22 2022-06-30 유현우 오브젝트의 위치 및 종류 식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51255A (zh) 2013-12-16
CN203133807U (zh) 2013-08-14
EP2637082A3 (en) 2017-08-02
CN103309545A (zh) 2013-09-18
JP5888733B2 (ja) 2016-03-22
JP2013186784A (ja) 2013-09-19
DE202013012596U1 (de) 2017-09-21
CN103309545B (zh) 2017-09-15
TWI550497B (zh) 2016-09-21
US8860436B2 (en) 2014-10-14
EP2637082B1 (en) 2020-04-29
EP2637082A2 (en) 2013-09-11
KR102030185B1 (ko) 2019-10-08
US20130234730A1 (en)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3375A (ko) 전자 유도 방식의 좌표 입력 장치의 센서
KR102416377B1 (ko) 제스처 검출 및 트래킹을 위한 전극 배치구조
JP2017528803A5 (ko)
US20150373837A1 (en) Transmission of signals on multi-layer substrates with minimum interference
JP6327925B2 (ja) 位置検出装置
JP2013186784A5 (ko)
TW201112096A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KR102557667B1 (ko) 다수의 송신 전극들을 구비한 용량형 센서 시스템
JPH08249105A (ja) センサコイル・パターン及び座標入力装置
KR20170034288A (ko) 위치 검출 유닛
US20220035501A1 (en) Position detection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JP2013030722A (ja) 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US10256667B2 (en) Power supplying device
CN103699288B (zh) 电磁感应方式的位置检测传感器
US20050134260A1 (en) Sensor for coordinate input device
CN107533399B (zh) 电磁感应方式的位置检测传感器
JP2012079443A (ja) 端子台
JP2018195695A (ja) 回路基板、スキャナ装置および測定装置
JP2018078175A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の実装構造
JP2014135815A (ja) 伝送システム、受電装置及び送電装置
KR20130059573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