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0043A - 전자 기기 및 프린트 기판의 접속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프린트 기판의 접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0043A
KR20130100043A KR20120136068A KR20120136068A KR20130100043A KR 20130100043 A KR20130100043 A KR 20130100043A KR 20120136068 A KR20120136068 A KR 20120136068A KR 20120136068 A KR20120136068 A KR 20120136068A KR 20130100043 A KR20130100043 A KR 20130100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guide rail
unit
case
printed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3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8543B1 (ko
Inventor
쇼헤이 하시모토
다케시 니시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0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7Pads along the edge of rigid circuit boards, e.g. for plugg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15Orientation; Alignment;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H05K7/1418Card guides, e.g. groo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4Card cages
    • H05K7/1425Card cages of standardised dimensions, e.g. 19"-subr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26Assembling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일 측면에서는, 본 발명은 케이스에 대한 제2 프린트 기판의 수납 작업의 작업성에 있어서, 제1 프린트 기판의 제1 커넥터와 제2 프린트 기판의 제2 커넥터와의 상하 방향의 위치 어긋남 양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측 가이드 레일(70)의 수납구(50A)측의 단부(70F)에는, 케이스(50)의 제1 커넥터(18)에 대하여 확장 유닛(20)의 제2 커넥터(40)를 장치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광폭 홈부(7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측 가이드 레일(60)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8)측에는, 확장 유닛(20)의 상측 슬라이드부(26S)를 하측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64)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리브(64)의 상면(64A)에서의 수납구(50A)측의 단부에는, 케이스(50)의 제1 커넥터(18)에 대하여 확장 유닛(20)의 제2 커넥터(40)를 장치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경사면(6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프린트 기판의 접속 방법{ELECTRONIC DEVICE AND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ION METHOD}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및 프린트 기판의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인 프린트 기판이 설치되며, 메인 프린트 기판에 접속되는 복수의 서브 프린트 기판을 수납하는 선반과, 선반에 설치되어, 서브 프린트 기판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전자 기기가 알려져 있다. 이들 한 쌍의 가이드 레일에는, 서브 프린트 기판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홈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화61-173188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허 공개 평성02-034991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한 쌍의 홈부의 형상이 각 가이드 레일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하게 되어 있으면, 이하와 같은 것이 걱정된다.
즉, 한 쌍의 홈부의 홈 폭이 좁아지는 결과, 이들 홈부의 각각에 서브 프린트 기판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삽입하기 어려워지고, 선반에 대한 서브 프린트 기판의 수납 작업의 작업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이 길어짐에 따라서, 메인 프린트 기판과 서브 프린트 기판을 접속하는 커넥터끼리의 상하 방향의 위치 어긋남 양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케이스에 대한 제2 프린트 기판의 수납 작업에 있어서, 제1 프린트 기판의 제1 커넥터와 제2 프린트 기판의 제2 커넥터와의 상하 방향의 위치 어긋남 양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이 개시하는 기술에서는, 전자 기기가 제1 커넥터를 갖는 제1 프린트 기판이 설치된 케이스와, 케이스에 형성된 수납구로부터 상기 케이스내로 삽입되는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이 유닛은, 제1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2 커넥터를 갖는 제2 프린트 기판을 갖추고 있다. 또한, 케이스내에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은, 케이스의 수납구로부터 삽입된 유닛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2 커넥터를 제1 커넥터로 안내한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수납구측의 단부에는, 제1 커넥터에 대하여 제2 커넥터를 유닛의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폭 방향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자 기기는, 폭 방향 위치 결정부보다 제1 커넥터측에 위치하여, 제1 커넥터에 대하여 제2 커넥터를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상하 방향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이 개시하는 기술에 따르면, 케이스에 대한 제2 프린트 기판의 수납작업에 있어서, 제1 프린트 기판의 제1 커넥터와 제2 프린트 기판의 제2 커넥터와의 상하 방향의 위치 어긋남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인 랙 마운트 장치가 수납된 랙을 도시하는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2는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인 랙 마운트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표시되는 랙 마운트 장치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되는 랙 마운트 장치에 장착되는 확장 유닛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표시되는 랙 마운트 장치에 장착되는 확장 유닛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표시되는 랙 마운트 장치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표시되는 랙 마운트 장치의 랙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a는 도 3에 표시되는 랙 마운트 장치의 상측 가이드 레일을 도시하는 평면도, 우측 정면도, 좌측 정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6B-6B선 단면도이다.
도 9a는 도 8a의 7A-7A선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8a의 7B-7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a에 표시되는 상측 가이드 레일의 좌측 정면도의 확대도이다.
도 11a는 도 3에 표시되는 랙 마운트 장치의 하측 가이드 레일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표시되는 하측 가이드 레일의 측면도이다.
도 11c는 도 11a의 9C-9C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a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3a는 도 3에 표시되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b는 도 3에 표시되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3에 표시되는 랙 내로 확장 유닛의 전방부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 6에 상당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3에 표시되는 랙 내에 확장 유닛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 6에 상당하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원이 개시하는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 각 도에 있어서 적절하게 표시되는 화살표 X는, 전자 기기의 폭 방향(장치 폭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Y는, 전자 기기의 깊이 방향(장치 깊이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화살표 Z는 전자 기기의 상하 방향(장치 상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는, 전자 기기의 일례로서의 복수의 랙 마운트 장치(10)가 수납된 랙 (RC)이 표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랙 마운트 장치(10)는, 장치 본체(12)와, 장치 본체(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확장 유닛(20)을 구비하고 있다. 장치 본체(12)는, 제1 프린트 기판의 일례로서의 메인 프린트 기판(14)과, 메인 프린트 기판(14)이 수납된 케이스(50)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 2에는, 랙(RC)의 최하단이 표시되어 있다.
우선, 확장 유닛(20)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의 일례로서의 확장 유닛(20)은, 전체적으로로 직방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50)에 형성된 수납구(50A)에서 장치 깊이 방향(화살표 Y 방향)을 따라서 케이스(50)내로 끼웠다 뺐다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확장 유닛(20)은, 길이 방향(전후 방향)을 장치 깊이 방향으로 하며 폭 방향을 장치 폭 방향(화살표 X 방향)으로 한 상태로, 케이스(50)내에 수납된다. 또, 각 도에 있어서 적절하게 표시되는 화살표 S는, 케이스(50)에 대한 확장 유닛(20)의 삽입 방향의 깊이측을 나타내고 있다.
확장 유닛(20)은 플러그인형의 유닛으로 되어 있고, 제2 프린트 기판의 일례로서의 서브 프린트 기판(22)과, 접속용 프린트 기판(26)과, 이들 서브 프린트 기판(22) 및 접속용 프린트 기판(26)을 수납하는 유닛 케이스(30)를 구비하고 있다.
서브 프린트 기판(22)은, 예컨대 복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 인터페이스 보드 등의 확장 보드(확장 카드)이며, 판 두께 방향을 확장 유닛(20)의 폭 방향(화살표 X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서브 프린트 기판(22)에는, 복수의 전자 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서브 프린트 기판(22)의 전후 방향의 후단측에는, 다른 전자 기기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 등이 접속되는 2개의 커넥터(2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커넥터(24)는, 서브 프린트 기판(22)상에 형성된 전기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서브 프린트 기판(22)의 상측에는, 상기 서브 프린트 기판(22)과, 케이스(50)에 설치된 메인 프린트 기판(14)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 프린트 기판(26)이 배치되어 있다. 접속용 프린트 기판(26)에는, 서브 프린트 기판(22)과 같이, 복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며, 이들 전자 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용 프린트 기판(26)은, 서브 프린트 기판(22)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판 두께 방향을 상하 방향(화살표 Z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용 프린트 기판(26)의 하면에는, 서브 프린트 기판(22)의 상단부에 형성된 접속부(22A)가 삽입되는 커넥터(2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속용 프린트 기판(26)의 전단부에는, 제2 커넥터(40)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커넥터(40)는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속용 프린트 기판(26)상에 형성된 전기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커넥터(40)의 선단부에는, 챔퍼 가공에 의해서 챔퍼부(4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커넥터(40)가 케이스(50)에 설치된 후술하는 제1 커넥터(18)(도 3 참조)에 삽입됨으로써, 서브 프린트 기판(22)상의 전기 회로가, 접속용 프린트 기판(26)을 통해 메인 프린트 기판(14)의 전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용 프린트 기판(26)의 폭 방향의 양단부는, 서브 프린트 기판(22)의 판 두께 방향(화살표 X 방향)의 양측으로 확장되어 있다. 이들 접속용 프린트 기판(26)의 양단부에는, 후술하는 상측 가이드 레일(60)에 의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측 슬라이드부(26S)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 케이스(30)는, 백 커버(32)와, 사이드 커버(38)를 갖고 있다. 백 커버(32)는, 서브 프린트 기판(22)의 후측에 배치되며, 서브 프린트 기판(22)측이 개구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백 커버(32)의 배면에는, 서브 프린트 기판(22)에 접속된 2개의 커넥터(24)를 노출시키는 접속구(32A)(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백 커버(32)에는, 확장 유닛(20)을 케이스(50)에 고정하기 위한 착탈 레버(34)가 설치되어 있다. 착탈 레버(34)는, 확장 유닛(2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의 중앙부가 백 커버(32)에 설치된 회전축(3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백 커버(32)의 전측(前側)에 배치된 착탈 레버(34)의 전단부에는, 접속용 프린트 기판(26)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결합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34A)는, 케이스(50)에 설치된 후술하는 피결합부(80)(도 6 참조)에 결합된다.
한편, 백 커버(32)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된 착탈 레버(34)의 후단측에는, 작업자가 꽉 쥐는 핸들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핸들부(34B)를 작업자가 상측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착탈 레버(34)의 전단부에 설치된 결합부(34A)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케이스(50)에 설치된 피결합부(80)로부터 착탈 레버(34)의 결합부(34A)가 떨어져, 케이스(50)에 대한 확장 유닛(20)의 고정이 해제된다.
또, 착탈 레버(34)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등에 의해서 결합부(34A)가 상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되며, 상기 결합부(34A)가 피결합부(80)와 결합 가능한 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커버(38)는 판금 등으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브 프린트 기판(22)의 판 두께 방향의 한쪽 측에, 상기 서브 프린트 기판(22)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커버(38)의 상단부에는, 서브 프린트 기판(22)측으로 절곡되어진 부착부(38A)가 설치되어 있다. 부착부(38A)는 서브 프린트 기판(22)과 접속용 프린트 기판(26)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 부착부(38A)에 비스(41)에 의해서 접속용 프린트 기판(26)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커버(38)의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하측 가이드 레일(70)에 의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측 슬라이드부(38S)가 설치되어 있다. 하측 슬라이드부(38S)는, 사이드 커버(38)의 하단측을 서브 프린트 기판(22)측으로 절첩하여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장치 본체(12)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확장 유닛(20)을 수납하는 케이스(50)를 갖고 있다. 케이스(50)는, 장치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상벽부(52) 및 하벽부(54)와, 장치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도시하지 않는 한 쌍의 측벽부를 가지며, 장치 깊이 방향의 양측이 개구되어 있다. 이들 상벽부(52) 및 하벽부(54) 사이에, 복수의 확장 유닛(20)이 장치 폭 방향으로 나란히 수납된다.
케이스(50)의 깊이측에는, 메인 프린트 기판(14)이 설치되어 있다. 메인 프린트 기판(14)은,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메모리 등의 복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 머더 보드(메인 보드)로 되어 있다. 또한, 메인 프린트 기판(14)에는, 복수의 전자 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메인 프린트 기판(14)은, 판 두께 방향을 장치 상하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고, 케이스(50)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다.
메인 프린트 기판(14)의 수납구(50A)측의 단부에는, 확장 유닛(20)의 제2 커넥터(40)가 접속되는 복수의 제1 커넥터(18)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제1 커넥터(18)는 수납구(50A)측이 개구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메인 프린트 기판(14)상에 형성된 전기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제1 커넥터(18)는, 케이스(50)의 상벽부(52)와 하벽부(54) 사이에서의 상벽부(52)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18)에 후술하는 상측 가이드 레일(60)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0)에는, 확장 유닛(20)의 상측 슬라이드부(26S) 및 하측 슬라이드부(38S)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상측 가이드 레일(60) 및 하측 가이드 레일(70)이 설치되어 있다. 상측 가이드 레일(60)은 케이스(50)의 상벽부(52)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고, 하측 가이드 레일(70)은 케이스(50) 하벽부(54)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가이드 레일(60) 및 하측 가이드 레일(70)은, 길이 방향을 장치 깊이 방향으로 하며, 장치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들 상측 가이드 레일(60) 및 하측 가이드 레일(70)에 의해서, 확장 유닛(20)에 설치된 제2 커넥터(40)가 케이스(50)에 설치된 제1 커넥터(18)로 안내된다. 또, 상측 가이드 레일(60) 및 하측 가이드 레일(70)은,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의 일례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가이드 레일(60)에 있어서의 수납구(50A)(도 6 참조)측의 단부(60F)에는, 확장 유닛(20)의 상측 슬라이드부(26S)가 삽입되는 삽입구(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가이드 레일(60)의 하면에는, 삽입구(66)로부터 삽입된 상측 슬라이드부(26S)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측 가이드 홈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삽입구(66)의 주연부에는, 챔퍼 가공에 의해서 챔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구(66)에 확장 유닛(20)의 상측 슬라이드부(26S)를 삽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상측 가이드 홈부(62)는 하측이 개구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측 가이드 레일(60)에 따라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상측 가이드 홈부(62)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벽부(62A)와, 장치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62B)를 갖고 있다. 이들 한 쌍의 측벽부(62B)에 의해서, 삽입구(66)(도 8A 참조)로부터 삽입된 상측 슬라이드부(26S)가 장치 폭 방향의 양측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가이드 홈부(62)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8)측에는, 확장 유닛(20)의 상측 슬라이드부(26S)를 하측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64)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리브(64)는, 상측 가이드 홈부(62)의 각 측벽부(62B)의 하단부를 따라서 설치되며, 각 측벽부(62B)의 내측면(62B1)으로부터 서로 상대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리브(64)의 상면(64A)은, 수평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리브(64)의 상면(64A)에서의 삽입구(66)(수납구(50A)측)의 단부에는, 케이스(50)의 제1 커넥터(18)에 대하여 확장 유닛(20)의 제2 커넥터(40)를 장치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경사면(64B)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64B)은, 가이드 리브(64)의 상면(64A)에 대하여 수납구(50A)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 경사면(64B)상을 확장 유닛(20)의 상측 슬라이드부(26S)가 슬라이드함으로써, 케이스(50)의 제1 커넥터(18)에 대하여 확장 유닛(20)의 제2 커넥터(40)가 장치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가이드 레일(60)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8)측의 단부(60R)에는, 제1 커넥터(18)에 부착되는 부착부의 일례로서의 부착 홈부(68)가 마련되어 있다. 부착 홈부(68)는 상측 가이드 레일(6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고, 저벽부(68A)와, 장치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68B)를 갖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부착 홈부(68)내에 제1 커넥터(18)의 상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측 가이드 레일(60)이 제1 커넥터(18)에 부착되어지며, 제1 커넥터(18)에 대하여 상측 가이드 레일(60)이 장치 폭 방향 및 장치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 부착 홈부(68)의 주연부에는, 챔퍼 가공에 의해서 챔퍼부(68M)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착 홈부(68)내에 제1 커넥터(18)의 상부를 끼워 넣기 쉽게 되어 있다.
도 11a∼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가이드 레일(70)의 수납구(50A) 측의 단부(70F)에는, 확장 유닛(20)의 하측 슬라이드부(38S)가 삽입되는 삽입구(7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가이드 레일(70)의 상면에는, 삽입구(72)로부터 삽입된 하측 슬라이드부(38S)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측 가이드 홈부(74)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가이드 홈부(74)는 상측이 개구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측 가이드 레일(70)을 따라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하측 가이드 홈부(74)는, 저벽부(74A)와, 장치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74B)를 갖고 있다. 이들 한 쌍의 측벽부(74B)에 의해서, 삽입구(72)로부터 삽입된 하측 슬라이드부(38S)가 장치 폭 방향의 양측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삽입구(72)의 주연부에는, 챔퍼 가공에 의해서 챔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구(72)에 하측 슬라이드부(38S)가 삽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여기서, 하측 가이드 레일(70)의 단부(70F)에는, 케이스(50)의 제1 커넥터(18)에 대하여 확장 유닛(20)의 제2 커넥터(40)를 장치 폭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폭 방향 위치 결정부의 일례로서의 광폭 홈부(76)가 형성되어 있다. 광폭 홈부(76)는, 저벽부(76A)와, 장치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76B)를 가지고, 하측 가이드 홈부(74)에 접속되어 있다. 이 광폭 홈부(76)에 있어서의 한 쌍의 측벽부(76B) 사이의 홈폭(H1)은, 하측 가이드 홈부(74)의 홈폭(H2)에 대하여 삽입구(72)(수납구(50A)측)를 향함에 따라서 넓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폭 홈부(76)에 하측 슬라이드부(38S)가 삽입되었을 때에, 서브 프린트 기판(22)측에 위치하는 한쪽 측벽부(76B)의 내측면(76B1)이, 삽입구(72)(수납구(50A))를 향함에 따라서, 이하와 같이 경사져 있다. 즉, 한쪽 측벽부(76B)의 내측면(76B1)이, 삽입구(72)(수납구(50A))를 향함에 따라서 하측 슬라이드부(38S)측에 위치하는 다른 쪽 측벽부(76B)의 내측면(76B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다. 다시 말하면, 광폭 홈부(76)의 홈폭(H1)은, 하측 가이드 홈부(74)로부터 삽입구(72)(수납구(50A)측)로 향함에 따라서 서브 프린트 기판(22)측으로 넓어지고 있다. 또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폭 홈부(76)의 저벽부(76A)의 상면(76A1)은, 삽입구(72)(수납구(50A))를 향해서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광폭 홈부(7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가이드 레일(60)의 삽입구(66)보다 수납구(50A)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50)에 확장 유닛(20)이 삽입되었을 때에, 상측 가이드 레일(60)보다 먼저, 하측 가이드 레일(70)의 광폭 홈부(76)에 의해서 확장 유닛(20)이 가이드된다.
케이스(50)의 상벽부(52)의 하면에는, 확장 유닛(20)에 설치된 착탈 레버(34)의 결합부(34A)가 결합되는 피결합부(80)가 설치되어 있다. 피결합부(80)는, 단면 L자 형상의 앵글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측 가이드 레일(60)보다 랙(RC)의 수납구(50A)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피결합부(80)에 착탈 레버(34)의 결합부(34A)가 결합됨으로써, 케이스(50)에 대하여 확장 유닛(20)이 고정된다.
또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8)에는, 제2 커넥터(40)의 삽입부(44)가 삽입되는 접속구(19)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접속구(19)의 내주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내주 가장자리부의 전체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1 테이퍼부(19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테이퍼부(19A)는, 접속구(19)의 내주 가장자리부를 챔퍼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테이퍼부(19A)에 의해서, 제1 커넥터(18)의 접속구(19)에 제2 커넥터(40)의 삽입부(44)가 삽입되었을 때에, 제1 커넥터(18)의 접속구(19)에 대하여 제2 커넥터(40)의 삽입부(44)가 장치 상하 방향 및 장치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넥터(40)의 삽입부(44)의 선단부에서의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외주 가장자리부의 전체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2 테이퍼부(44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테이퍼부(44A)는, 삽입부(44)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챔퍼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테이퍼부(44A)에 의해서, 제2 커넥터(40)의 삽입부(44)를 제1 커넥터(18)의 접속구(19)에 삽입했을 때에, 제1 커넥터(18)의 접속구(19)에 대하여 제2 커넥터(40)의 삽입부(44)가 장치 상하 방향 및 장치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케이스(50)에 대한 확장 유닛(20)의 장착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계의 일례로서 케이스(50)에 형성된 수납구(50A)로부터 확장 유닛(20)을 삽입하고, 제2 단계의 일례로서 케이스(50)의 하벽부(54)에 설치된 하측 가이드 레일(70)의 삽입구(72)에 확장 유닛(20)의 하측 슬라이드부(38S)를 삽입한다. 삽입구(72)로부터 하측 가이드 레일(70)내에 삽입된 하측 슬라이드부(38S)는, 광폭 홈부(76)에 의해서 하측 가이드 홈부(74)로 안내된다. 이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유닛(20)의 상측 슬라이드부(26S)가, 케이스(50)의 상벽부(52)에 설치된 상측 가이드 레일(60)의 삽입구(66)에 삽입된다. 삽입구(66)로부터 상측 가이드 레일(60)내에 삽입된 상측 슬라이드부(26S)는, 상측 가이드 홈부(62)를 따라서 슬라이드한다. 이에 따라, 케이스(50)에 설치된 제1 커넥터(18)에 대하여 확장 유닛(20)에 설치된 제2 커넥터(40)가 장치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로, 제3 단계의 일례로서 확장 유닛(20)을 케이스(50)내에 추가로 삽입하면, 확장 유닛(20)의 상측 슬라이드부(26S)가, 가이드 리브(64)에 형성된 경사면(64B)상을 따라서 슬라이드한다. 이에 따라, 케이스(50)의 제1 커넥터(18)에 대하여 확장 유닛(20)의 제2 커넥터(40)가 장치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게다가, 확장 유닛(20)을 케이스(50)내에 삽입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유닛(20)의 제2 커넥터(40)가 케이스(50)의 제1 커넥터(18)에 접속된다. 이때에,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8)의 접속구(19)에 마련된 제1 테이퍼부(19A)를 따라서, 제2 커넥터(40)의 삽입부(44)에 마련된 제2 테이퍼부(44A)가 슬라이드함으로써, 제2 커넥터(40)의 삽입부(44)가 제1 커넥터(18)의 접속구(19)내로 안내된다. 이에 따라, 제1 커넥터(18)에 대하여 제2 커넥터(40)가 장치 상하 방향 및 장치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제1 커넥터(18)에 제2 커넥터(40)가 접속된다. 그 결과, 제1 커넥터(18) 및 제2 커넥터(40)를 통해 확장 유닛(20)의 서브 프린트 기판(22)이 케이스(50)의 메인 프린트 기판(14)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1 커넥터(18)에 대하여 제2 커넥터(40)가 접속되면, 확장 유닛(20)에 설치된 착탈 레버(34)의 결합부(34A)가, 케이스(50)의 상벽부(52)에 설치된 피결합부(8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50)에 대하여 확장 유닛(20)이 고정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랙 마운트 장치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가이드 레일(70)의 수납구(50A)측의 단부(70F)에는, 광폭 홈부(76)가 마련되어 있다. 이 광폭 홈부(76)에 의해서 확장 유닛(20)의 하측 슬라이드부(38S)를 판 두께 방향의 양측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케이스(50)의 제1 커넥터(18)에 대하여 확장 유닛(20)의 제2 커넥터(40)가 장치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여기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폭 홈부(76)의 홈폭(H1)은, 삽입구(72)(수납구(50A)측)를 향함에 따라서 넓어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하측 가이드 레일(70)의 삽입구(72)에 확장 유닛(20)의 하측 슬라이드부(38S)를 삽입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케이스(50)에 대한 확장 유닛(20)의 수납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즉, 케이스(50)에 대한 서브 프린트 기판(22)의 수납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특히, 본 실시예는, 상측 가이드 레일(60) 및 하측 가이드 레일(70)이 잘 보이기 어려운 랙(RC)(도 1 참조)의 최하단에 유효하다.
또한, 광폭 홈부(76)에 있어서의 한쪽 측벽부(76B)의 내측면(76B1)은, 삽입구(72)(수납구(50A)측)를 향함에 따라서, 다른 쪽 측벽부(76B)의 내측면(76B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다. 바꿔 말하면, 광폭 홈부(76)의 홈폭(H1)은, 하측 가이드 홈부(74)로부터 삽입구(72)(수납구(50A)측)를 향함에 따라서, 서브 프린트 기판(22)측으로 넓어져 있다. 이에 따라, 광폭 홈부(76)의 홈폭(H1)을 하측 가이드 홈부(74)로부터 삽입구(72)(수납구(50A)측)를 향함에 따라서, 하측 슬라이드부(38S)측으로 넓힌 구성과 비교하여, 확장 유닛(20)의 장치 폭이 좁아진다. 즉, 확장 유닛(20)을 폭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50)에 대하여 장착 가능한 확장 유닛(20)의 수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가이드 레일(60)의 상측 가이드 홈부(62)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8)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64)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리브(64)의 상면(64A)에서의 삽입구(66)측(수납구(50A)측)의 단부에는, 상기 상면(64A)에 대하여 수납구(50A)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6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경사면(64B)에 의해서, 확장 유닛(20)의 상측 슬라이드부(26S)를 하측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케이스(50)의 제1 커넥터(18)에 대하여 확장 유닛(20)의 제2 커넥터(40)가 장치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면(64B)에 의해서 상측 가이드 레일(60)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8)측에서, 케이스(50)의 제1 커넥터(18)에 대하여 확장 유닛(20)의 제2 커넥터(40)가 장치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에 따라, 상측 가이드 레일(60)에 있어서의 수납구(50A)측에서, 제1 커넥터(18)에 대하여 제2 커넥터(40)를 장치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제1 커넥터(18)에 대한 제2 커넥터(40)의 장치 상하 방향의 위치 어긋남 양이 저감된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 가이드 레일(60)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8)측에만 한 쌍의 가이드 리브(6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64)를 상측 가이드 레일(6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설치한 구성과 비교하여, 상측 가이드 레일(60)의 제조 비용이 삭감된다.
게다가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8)의 접속구(19)에 제1 테이퍼부(19A)가 마련되며, 제2 커넥터(40)의 삽입부(44)에 제2 테이퍼부(44A)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제1 테이퍼부(19A) 및 제2 테이퍼부(44A)에 의해서, 제1 커넥터(18)에 대하여 제2 커넥터(40)가 장치 상하 방향 및 장치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에 따라, 제1 테이퍼부(19A) 및 제2 테이퍼부(44A)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과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커넥터(18)에 대한 제2 커넥터(40)의 장치 상하 방향 및 장치 폭 방향의 위치 어긋남 양이 저감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가이드 레일(60)의 제1 커넥터(18)측의 단부(60R)에는, 부착 홈부(68)가 마련되어 있다. 이 부착 홈부(68)에 제1 커넥터(18)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측 가이드 레일(60)의 단부(60R)가 제1 커넥터(18)에 부착되어 있다. 즉, 제1 커넥터(18)에 대하여 상측 가이드 레일(60)이 직접적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측 가이드 레일(60)에 의한 확장 유닛(20)의 상측 슬라이드부(26S)의 안내 정밀도가 향상된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용 프린트 기판(26)에 상측 슬라이드부(26S)가 설치되며, 유닛 케이스(30)의 사이드 커버(38)에 하측 슬라이드부(38S)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프린트 기판(22)상에 상측 슬라이드부(26S) 및 하측 슬라이드부(38S)를 설치한 구성과 비교하여, 서브 프린트 기판(22)상에 실장 가능한 전자 부품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서브 프린트 기판(22)상에 고밀도로 전자 부품을 실장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변형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측 가이드 레일(70)에 설치된 광폭 홈부(76)의 홈폭(H1)을 하측 가이드 홈부(74)로부터 수납구(50A)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브 프린트 기판(22)측으로 넓어지게 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광폭 홈부(76)의 홈폭(H1)은, 하측 가이드 홈부(74)로부터 수납구(50A)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하측 슬라이드부(38S)측으로 넓어지더라도 좋다. 또한, 광폭 홈부(76)의 홈폭(H1)는, 하측 가이드 홈부(74)로부터 수납구(50A)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브 프린트 기판(22)의 양측으로 넓어지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폭 홈부(76)를 하측 가이드 레일(70)에 설치했지만, 광폭 홈부(76)는 상측 가이드 레일(60)에 마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상측 가이드 레일(60)의 광폭 홈부(76)를 하측 가이드 레일(70)의 삽입구(72)보다도 수납구(50A)측으로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케이스(50)에 확장 유닛(20)이 삽입되었을 때에, 하측 가이드 레일(70)보다 먼저, 상측 가이드 레일(60)에 마련된 광폭 홈부(76)에 의해서 확장 유닛(20)이 가이드된다. 또한, 광폭 홈부(76)는, 상측 가이드 레일(60) 및 하측 가이드 레일(70)의 양쪽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광폭 홈부(76)는 상측 가이드 레일(60) 및 하측 가이드 레일(70)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측 가이드 레일(60)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8)측에 경사면(64B)을 마련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경사면(64B)은, 광폭 홈부(76)보다 제1 커넥터(18)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고, 상측 가이드 레일(60)에 있어서의 수납구(50A)측에 경사면(64B)을 마련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하 방향 위치 결정부의 일례로서의 경사면(64B)을 상측 가이드 레일(60)에 마련했지만, 상하 방향 위치 결정부는 상측 가이드 레일(60) 및 하측 가이드 레일(70)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할 수 있다. 하측 가이드 레일(70)에 상하 방향 위치 결정부를 설치하는 경우는, 예컨대 하측 가이드 홈부(74)의 저벽부(74A)의 상면에 수납구(50A)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면 좋다. 또한, 상하 방향 위치 결정부는, 상측 가이드 레일(60) 및 하측 가이드 레일(70) 이외의 부재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가이드 레일(60)의 단부(60R)를 제1 커넥터(18)에 부착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커넥터(18)를 케이스(50)의 하벽부(54)측에 배치하고, 하측 가이드 레일(70)의 제1 커넥터(18)측의 단부(70R)를 상기 제1 커넥터(18)에 부착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하측 가이드 레일(70)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8)측에, 전술한 상하 방향 위치 결정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확장 유닛(20)의 접속용 프린트 기판(26)에 상측 슬라이드부(26S)를 설치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확장 유닛(20)의 제2 커넥터(40)의 양측 측부에 서브 프린트 기판(22)에 대하여 상기 서브 프린트 기판(22)의 판 두께 방향의 양측으로 돌출하는 상측 슬라이드부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유닛 케이스(30)나 서브 프린트 기판(22)에 상측 슬라이드부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접속용 프린트 기판(26)은 적절하게 생략 가능하다. 접속용 프린트 기판(26)을 생략한 경우는, 제2 커넥터(40)를 서브 프린트 기판(22)상에 형성된 전기 회로에 직접 접속하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커넥터(18)에 제1 테이퍼부(19A)를 마련하며, 제2 테이퍼부(44A)에 제2 커넥터(40)를 설치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제1 테이퍼부(19A) 및 제2 테이퍼부(44A)와 같은 테이퍼부는, 제1 커넥터(18) 및 제2 커넥터(40)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테이퍼부(19A) 및 제2 테이퍼부(44A)는 적절하게 생략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닛 케이스(30)를 구성하는 사이드 커버(38)의 하단부에 하측 슬라이드부(38S)를 설치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유닛 케이스(30)를 구성하는 다른 부재에 하측 슬라이드부를 설치하더라도 좋고, 서브 프린트 기판(22)의 하단부에 하측 슬라이드부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이상, 본원이 개시하는 기술의 일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원이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 및 각종 변형예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이용하더라도 좋고, 본원이 개시하는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양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10 : 랙 마운트 장치(전자 기기의 일례)
14 : 메인 프린트 기판(제1 프린트 기판의 일례)
18 : 제1 커넥터 19 : 접속구
19A : 제1 테이퍼부 20 : 확장 유닛(유닛의 일례)
22 : 서브 프린트 기판(제2 프린트 기판의 일례)
26S : 상측 슬라이드부 38S : 하측 슬라이드부
40 : 제2 커넥터 44 : 삽입부
44A : 제2 테이퍼부 50 : 케이스
50A : 수납구
60 : 상측 가이드 레일(상측의 가이드 레일의 일례)
60F : 단부(상측의 가이드 레일의 수납구측의 단부의 일례)
60R : 단부(상측의 가이드 레일의 제1 커넥터의 단부의 일례)
62 : 상측 가이드 홈부
62B1 : 내측면(상측 가이드 홈부의 내측면의 일례)
64 : 가이드 리브
64A : 상면(가이드 리브의 상면의 일례)
64B : 경사면(상하 방향 위치 결정부의 일례)
70 : 하측 가이드 레일(하측의 가이드 레일의 일례)
70F : 단부(하측의 가이드 레일의 수납구측 단부의 일례)
70R : 단부(하측의 가이드 레일의 제1 커넥터측 단부의 일례)
74 : 하측 가이드 홈부
76 : 광폭 홈부(폭 방향 위치 결정부의 일례)
76B1 : 내측면(서브 프린트 기판측의 내측면의 일례)
76B2 : 내측면(하측 슬라이드부측의 내측면의 일례)
H1 : 홈폭(광폭 홈부의 홈폭의 일례)

Claims (10)

  1. 제1 커넥터를 갖는 제1 프린트 기판이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제1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2 커넥터를 갖는 제2 프린트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수납구로부터 상기 케이스내에 삽입되는 유닛과,
    상기 케이스내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설치되어, 상기 수납구로부터 삽입된 상기 유닛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제1 커넥터로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중 적어도 한쪽의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의 상기 수납구측의 단부(端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유닛의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폭 방향 위치 결정부와,
    상기 폭 방향 위치 결정부보다 상기 제1 커넥터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제2 커넥터를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상하 방향 위치 결정부
    를 구비한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 위치 결정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전자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어느 상기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커넥터측의 단부는, 상기 제1 커넥터에 부착되어 있는 것인 전자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어느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측의 상기 가이드 레일로 되고,
    상기 상하 방향 위치 결정부는, 상측의 상기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커넥터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전자 기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린트 기판은, 판 두께 방향을 상기 유닛의 폭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고,
    상기 유닛은, 상기 제2 프린트 기판에 대하여 상기 판 두께 방향의 양측으로확장되는 상측 슬라이드부를 가지며,
    상측의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상측 슬라이드부를 상기 판 두께 방향의 양측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측 가이드 홈부와, 상기 상측 가이드 홈부의 각 내측면에서 서로 상대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상측 슬라이드부를 하측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를 가지며,
    상기 상하 방향 위치 결정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리브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구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인 것인 전자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상기 제2 프린트 기판에 대하여 상기 판 두께 방향의 한쪽 측에 배치된 하측 슬라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폭 방향 위치 결정부는, 하측의 상기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의 상기 수납구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측 슬라이드부를 상기 판 두께 방향의 양측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며, 홈 폭이 상기 수납구측을 향함에 따라서 넓어진 광폭 홈부인 것인 전자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폭 홈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프린트 기판측의 내측면은, 상기 수납구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광폭 홈부에 있어서의 상기 하측 슬라이드부측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인 전자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가 접속되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접속구의 내주(內周)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내주 가장자리부를 따른 제1 테이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 전자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에 설치된 접속구에 삽입되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선단부에서의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외주 가장자리부를 따른 제2 테이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 전자 기기.
  10. 제1 커넥터를 갖는 제1 프린트 기판이 설치된 케이스에 형성된 수납구에, 상기 제1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2 커넥터를 갖는 제2 프린트 기판을 구비한 유닛을 삽입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케이스내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설치되어, 상기 수납구로부터 삽입된 상기 유닛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유닛의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여 상기 제1 커넥터로 안내하는 폭 방향 위치 결정부를 갖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상기 유닛을 슬라이드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슬라이드된 상기 유닛을, 상기 폭 방향 위치 결정부보다 상기 제1 커넥터측에 위치시켜,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제2 커넥터를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상하 방향 위치 결정부를 따라서 상기 제2 커넥터측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트 기판의 접속 방법.
KR20120136068A 2012-02-29 2012-11-28 전자 기기 및 프린트 기판의 접속 방법 KR101408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44591 2012-02-29
JP2012044591A JP5924028B2 (ja) 2012-02-29 2012-02-29 電子機器、及びプリント基板の接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043A true KR20130100043A (ko) 2013-09-09
KR101408543B1 KR101408543B1 (ko) 2014-06-17

Family

ID=4756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36068A KR101408543B1 (ko) 2012-02-29 2012-11-28 전자 기기 및 프린트 기판의 접속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13566B2 (ko)
EP (1) EP2635099B1 (ko)
JP (1) JP5924028B2 (ko)
KR (1) KR101408543B1 (ko)
CN (1) CN1032983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2000B1 (en) * 2015-11-05 2017-05-16 Super Micro Computer Inc. Converter
JP6308694B2 (ja) * 2016-01-29 2018-04-11 太陽誘電株式会社 テーピング装置、並びに、テーピング装置用部品供給ユニット
JP6848587B2 (ja) * 2017-03-27 2021-03-24 日本電気株式会社 挿抜装置、交換ユニット、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07592731A (zh) * 2017-09-19 2018-01-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路板的制备方法、电路板拼板及电子设备
CN108463082B (zh) * 2018-04-25 2024-01-16 咸宁职业技术学院 一种电路板组件
TWI745951B (zh) * 2020-05-06 2021-11-11 佳世達科技股份有限公司 電路板的固定結構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9721A (en) * 1974-03-20 1975-08-12 Bell Telephone Labor Inc Printed circuit card guide
JPS61173188U (ko) 1985-04-16 1986-10-28
JPH0731596Y2 (ja) * 1986-09-18 1995-07-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収納ケース
JPH0234991A (ja) 1988-07-25 1990-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リント基板取付装置
JPH0227790U (ko) * 1988-08-11 1990-02-22
JPH0719188Y2 (ja) * 1989-06-02 1995-05-01 富士通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の挿脱構造
US5019948A (en) * 1989-11-10 1991-05-28 Hewlett-Packard Company T-rail printed circuit board guide and support
JPH0518081U (ja) * 1991-08-13 1993-03-05 富士通株式会社 プリント板
GB9205087D0 (en) * 1992-03-09 1992-04-22 Amp Holland Sheilded back plane connector
SE503000C2 (sv) * 1994-06-10 1996-03-11 Ericsson Telefon Ab L M Skenarrangemang
KR19990007707U (ko) * 1997-07-31 1999-02-25 윤종용 오디오/비디오의 인쇄회로기판 록킹구조
JP3432712B2 (ja) * 1997-08-28 2003-08-04 富士通株式会社 シェルフユニットのガイドプレート構造
US6359788B1 (en) * 1998-07-02 2002-03-19 Ap Labs Circuit board card cage with one-piece, integral card guide units
TW455819B (en) * 1998-08-05 2001-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C card read/write apparatus
US6317329B1 (en) * 1998-11-13 2001-11-13 Hewlett-Packard Company Data storage module alignment system and method
JP3732727B2 (ja) * 2000-08-15 2006-01-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5019861A (ja) * 2003-06-27 2005-01-20 Kyocera Corp プラグイン式電子機器
JP2006237487A (ja) * 2005-02-28 2006-09-07 Yaskawa Electric Corp ユニット位置決め装置
US7324349B2 (en) * 2005-04-26 2008-01-29 Dell Product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 modular component to a chassis
CN2809949Y (zh) * 2005-06-10 2006-08-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背板连接器
US7679924B2 (en) * 2005-10-17 2010-03-16 Alcatel Lucent Configurable chassis guidance system and method
JP5146278B2 (ja) 2008-11-18 2013-02-20 富士通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およびプリント基板搭載構造
US8628356B2 (en) * 2009-10-23 2014-01-14 Molex Incorporated Right angle adaptor
US8062075B2 (en) * 2009-11-24 2011-11-22 Delta Electronics, Inc. Power connector having a signal detecting terminal on a separation member
JP2011155163A (ja) * 2010-01-28 2011-08-1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通信機器の配線基板実装構造
JP2011254052A (ja) * 2010-06-04 2011-12-15 Fujitsu Ltd 基板ユニットの挿入緩衝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98308A (zh) 2013-09-11
CN103298308B (zh) 2016-02-24
EP2635099A2 (en) 2013-09-04
JP2013182953A (ja) 2013-09-12
US9113566B2 (en) 2015-08-18
EP2635099B1 (en) 2018-10-31
JP5924028B2 (ja) 2016-05-25
KR101408543B1 (ko) 2014-06-17
EP2635099A3 (en) 2017-08-02
US20130223027A1 (en)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543B1 (ko) 전자 기기 및 프린트 기판의 접속 방법
US9265175B2 (en) Fan chassis, fan unit, and communication device
US9019711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circuit board
CN109727526B (zh) 带显示器的控制装置
CN109729679B (zh) 控制装置
CN109729696B (zh) 控制装置
JP6781763B2 (ja) 電気コネクタ
KR20140143723A (ko) 카드 커넥터 및 카드 커넥터 조립체
EP2704545A2 (en)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connection method
JP2009104851A (ja) コネクタ
JP2007258174A (ja) プラグ接続アダプタ
CN109729697B (zh) 风扇单元
CN201181774Y (zh) 电连接器
JP5769568B2 (ja) コネクタを最適配置できる装置
JP7201424B2 (ja) 電子装置
JP2004335650A (ja) プラグインユニットの挿入ガイド機構
JP6441683B2 (ja) 回路基板のカードガイドおよび取付装置
EP4362234A1 (en) Connector
JP6844447B2 (ja) 電気機器のユニット取り付け構造
JP2006237487A (ja) ユニット位置決め装置
CN205985570U (zh) 焊接式连接器
JP6123910B2 (ja) 電力変換装置
JP2014192378A (ja) 基板の支持構造
JP2006245060A (ja) 電気機器
JP4375033B2 (ja) 基板ユニット用サブ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