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183A -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 - Google Patents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183A
KR20130099183A KR1020137016613A KR20137016613A KR20130099183A KR 20130099183 A KR20130099183 A KR 20130099183A KR 1020137016613 A KR1020137016613 A KR 1020137016613A KR 20137016613 A KR20137016613 A KR 20137016613A KR 20130099183 A KR20130099183 A KR 20130099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program
driving safety
alarm
plant data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사시 시게야마
가즈노부 구라하시
지히로 오바
아키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30099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01Computer implemented control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08Man-machine interface, e.g. control room layou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 플랜트가 일시적으로 LCO를 일탈했을 때, 보전 작업을 지원하여 휴먼 에러에 의한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의 사용자의 저촉을 방지하는 운전 관리 지원 장치를 제공한다. 원자력 발전 플랜트(2)에 설치된 센서(3a~3x)에 의해 계측된 플랜트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경보 값을 비교하여, 발전 플랜트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경보의 발령을 지시하는 경보 발령 지시 신호를 생성하는 경보 장치(12)와, 발전 플랜트의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DB(14)와, 경보 발령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경보의 발령에 관련되는 플랜트 데이터에 의거하여 운전 안전 프로그램 DB(14)로부터 저촉되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지원 장치(13)와, 플랜트 데이터와 지원 장치에 의해 추출된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15, 1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OPERATION MANAGEMENT SUPPORT DEVICE OF POWER PLANT}
본 발명은 발전 플랜트의 운전 상태를 관리하는 지원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원자력 발전소가 규정된 운전 제한 조건(LCO; Limiting Conditions for Operation)으로부터 일탈한 운전 상태로부터 복구되는 복구 작업 동안에 휴먼 에러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전기 사업자는, 발전소를 운용할 때, 운전, 보전, 연료의 관리 등과 같이 운전 안전을 위해 준수해야 할 기본적인 사항을 운전 안전 프로그램으로서 정하고, 이 운전 안전 프로그램을 따라야만 한다. 예를 들면, 원자력 발전 사업자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의해 안전 기능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대기 기기의 대수나, 온도, 압력 등의 파라미터 등의 필요한 사항을 정하고 있다. 이들 필요한 사항을 "운전 제한 조건(LCO)"이라고 한다.
원자력 발전 플랜트를 구성하는 일부 기기 등에 부적합이 발생함으로써, 원자력 발전 플랜트가 일시적으로 LCO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상태가 됨이 확인되었을 경우, 원자력 발전 사업자는 원자력 발전 플랜트의 현재 LCO 일탈을 선언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당해 기기를 LCO로부터 동작 가능한 상태로 복구시킨다. LCO 일탈로부터 복구가 곤란할 경우, 원자력 발전 사업자는 원자로를 긴급 정지시키는 등의 대응 조치를 행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즉, 부적합이 발생한 기기를 동작 가능한 상태로 복구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을 "허용 정지 시간(AOT : Allowed Outage Time)"이라고 한다. AOT는, 원자로의 운전 상태, LCO 일탈의 조건, 및 요구되는 조치마다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정해져 있다.
현재, 원자력 발전 사업자는, 경보의 발령, 파라미터의 변동, 정기적인 순시 점검 등에 의거하여 일부 기기가 부적합한 것을 발견한다. 이 경우, 원자력 발전 플랜트의 상황의 확인 및 판단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의 수집,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대한 확인, 및 LCO 일탈의 판단 및 조치(대응 조치)의 확인, 관련 부문에의 통지, AOT 내에서 부적합 상태로부터 복구 완료하기 위한 작업 시간 관리 등의 대응 조치를 사업자가 실시한다. 전기 사업자에게는 이들 조치를 확실하게 수행하기 위한 관리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기술로서, 발전 설비의 운전 관리를 지원하는 기술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운전 관리 시스템은, 운전 상태의 정보에 의거하여 발전 설비의 이상 정도를 단계적으로 비중을 매겨서, 이상 정도마다 미리 설정된 대응 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 운전 관리 시스템은, 설비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에는 그 고장 정도에 의거하여, 미리 정해진 처리 시간 및 처리 내용으로부터, 해당하는 처리 시간 및 처리 내용을 선택하는 시스템이다.
일본국 특개2002-6938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운전 관리 시스템은 이상 또는 고장 정도에 따라 판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이상 또는 고장 정도는, 보전 작업(조작)에 필요한 처리 수단이나 처리 내용을 기초로 비중이 매겨져 있는 정도이므로, 플랜트를 구성하는 기기마다 판정 기준이나 취해야 할 조치(대응 조치), 또는 AOT를 상세하게 정한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의거한 운용 관리에의 적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실제의 원자력 발전 플랜트의 운용에 있어서, 원자력 발전 사업자가 원자력 발전 플랜트에서의 현재 일시적인 LCO 일탈을 선언한 후에, 보전 활동의 수단이나 진척에 맞춰서 AOT가 변화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보전 활동의 수단이나 진척에 맞춰서 AOT가 변화하는 상황을 상정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들 종래 기술에서는 이 상황을 해결할 수 없다.
현재, 원자력 발전 플랜트에서는, 운전의 부적합이 발견되었을 경우에, 이 경우에의 대응 조치(대응 조치)는, 거의 당직 운전원을 비롯한 인간계에 의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대응 조치는, 당직 운전원의 오판단이나 조치 미달 등의 휴먼 에러에 의해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저촉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경보의 발령이나 파라미터의 변동에 의한 부적합의 경우, 부적합 개소의 특정이나 그 부적합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숙련된 운전원의 경험에 의거한 판단이 요구된다.
또한,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서 정해지는 방대한 조항 중에서, 관련되는 것을 정확하게 선택하여 대조하기 위해서는, 운전원이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을 기억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상에 기술한 바와 같이, 플랜트 운전상의 부적합에 대해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조치는, 운전원의 운전 능력에 크게 의존하게 되는 것이 현상황이다.
한편, 운전 상태 중의 운전중 보전(OLM : OnLine Maintenance)이나 장기 사이클 운전이 있다. OLM 또는 장기 사이클 운전은 원자력을 둘러싼 최근의 동향으로서 무시할 수 없는 것으로, 본격적으로 도입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이후, 이들 기술의 도입에 의해 AOT를 사용한 보전 작업의 적용 범위가 확대될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으며, AOT를 사용한 보전 작업의 적용 범위가 확실히 확대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해서 이루어졌다. 보전 작업(운전)을 지원하여 휴먼 에러에 의한 야기된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의 저촉을 방지하는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관리 지원 장치는, 상기 환경의 관점에서, 발전 플랜트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계측된 플랜트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경보 값을 비교하여, 상기 발전 플랜트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경보의 발령을 지시하는 경보 발령 지시 신호를 생성하는 경보 장치와, 상기 발전 플랜트의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저장부와, 상기 경보 발령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경보의 발령에 관련되는 상기 플랜트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경보 발령이 상기 운전 안전 프로그램 저장부로부터 저촉되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추출 장치와, 상기 플랜트 데이터와 상기 운전 안전 프로그램 추출 장치에 의해 추출된 상기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랜트 운전상의 부적합이 발견되었을 때, 휴먼 에러에 의한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의 저촉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관리 지원 장치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운전 관리 지원 장치의 실시형태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관리 지원 장치의 실시형태의 경보 발령 시에 있어서의 복구 지원 처리의 플로우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 표시 윈도우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플랜트 데이터 검색 윈도우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플랜트 데이터의 시계열 그래프를 나타내는 플랜트 데이터 표시 윈도우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운전 안전 프로그램 선택 화면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운전 안전 프로그램 검색 윈도우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보전 작업 관리 윈도우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LCO의 예, LCO로부터의 일탈에 대한 조건, 각 조건에서의 조치 및 AOT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LCO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있어서 요구되는 조치의 적용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원자력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를 지원하는 운전 관리 지원 장치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의 일 실시형태인 운전 관리 지원 장치(1)에 있어서의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운전 관리 지원 장치(1)는, 플랜트 데이터 데이터베이스(DB)(11)와, 경보 장치(12)와, 지원 장치(13)와, 운전 안전 프로그램 DB(14)와, 각종 맨-머신(man-machine) 디바이스(15~18)로 구성된다.
플랜트 데이터 DB(11)는 원자력 발전 플랜트(2)에 설치된 센서(3a~3x)에 의해 계측된 소정의 플랜트 데이터를 저장한다. 센서(3a~3x)에 의해 계측된 플랜트 데이터는 경보 장치(12)를 통해서 지원 장치(13)에 전송된다.
경보 장치(12)는 센서(3a~3x)로부터 입력(전송)된 플랜트 데이터와 각각의 미리 설정된 경보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원자력 발전 플랜트(2)에서의 이상의 유무를 판정한다. 경보 장치(12)는,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원자력 발전 플랜트(2)에 이상 상태가 있다고 판정될 경우에는, 경보 발령을 허용하는 경보 발령 지시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경보 발령 지시 신호를 지원 장치(13)에 송신한다.
지원 장치(13)는, 경보 장치(12)로부터 경보 발령 지시 신호를 수신한 후에, 경보가 발령된 원인으로서 예측되는 플랜트 데이터, 즉 경보 발령에 관련된 플랜트 데이터를 플랜트 데이터 DB(11)로부터 추출하고(리스팅하고), 개별 표시 장치(16)에 표시하기 위해 플랜트 데이터를 개별 표시 장치(16)에 전송한다. 지원 장치(13)는, 개별 표시 장치(16)에 표시된 플랜트 데이터의 리스트에 대하여 입력 장치(17)를 통해서 표시 지시를 접수하면, 플랜트 데이터 DB(11)로부터 해당하는 플랜트 데이터의 상세를 추출하여, 대형 표시 장치(15) 또는 개별 표시 장치(16)에 전송한다.
지원 장치(13)는, 플랜트 데이터를 고려함으로써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저촉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조항을 운전 안전 프로그램 DB(14)로부터 리스팅한다. 리스팅된 조항은 개별 표시 장치(16)에 표시되도록 개별 표시 장치(16)에 전송된다. 지원 장치(13)는, 개별 표시 장치(16)에 표시된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대해서 선택을 접수한다. 이어서,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정해진 책임자로서의 관리자는 사람 인증에 의거해서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 지원 장치(13)는 LCO 일탈의 선언을 접수한다.
운전 안전 프로그램 DB(14)는 원자력 발전 플랜트(2)의 운전 안전 프로그램 및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규정된 요구되는 조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표시 장치(15, 16)는, 플랜트 데이터, 운전 안전 프로그램의 조항, 운전 안전 프로그램으로부터 요구되는 조치, 허용 정지 시간(AOT) 및 경보 발령으로부터 복구 완료까지의 보전 작업 이력을 비롯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대형 표시 장치(15)는 개별 표시 장치(16)에 비해서 큰 화면을 포함한다. 개별 표시 장치(16)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며, 개인이 개별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화면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17)는 마우스나 키보드 등이며, 운전원(사람)이 운전 관리 지원 장치(1)에 대해서 지시를 행할 때에 이용된다. 프린터(18)는 표시 장치(15, 16)에 표시되는 정보와 같은 정보를 프린트 아웃한다.
다음으로, 운전 관리 지원 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1)의 기능 블록도이다.
플랜트 데이터 입출력(I/O) 유닛(21)은 원자력 발전 플랜트(2)의 센서(3a~3x)에 의해 계측된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한다.
플랜트 데이터 DB(11)는 플랜트 데이터 저장부(22)를 갖는다. 플랜트 데이터 저장부(22)는 플랜트 데이터 I/O 유닛(21)으로부터 송신되는 플랜트 데이터를 자신의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또한, 플랜트 데이터 DB(11)는,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 추출 유닛(41)으로부터 전송된 요구에 따라, 후술하는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를 제공한다.
운전 안전 프로그램 DB(14)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저장부(23)를 갖는다. 운전 안전 프로그램 저장부(23)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조항마다, 운전상의 제한, 운전 안전 프로그램이 적용되는 조건, 요구되는 조치, 및 AOT에 관한 정보를 자신의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또한, 운전 안전 프로그램 DB(14)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추출 유닛(45)으로부터 전송된 요구에 따라, 후술하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선택 윈도우를 제공한다.
보전 작업 이력 저장부(24)는, 보전 작업마다 보전 작업 이력, 발생 시각 및 완료 시각 보전 작업 내용과 각 작업의 발생(완료) 시각을 저장한다. 경보 정보 저장부(25)는 발령된 경보 명칭과 발령 시각을 자신의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지원 장치(13)는, 주된 기능을 제공하는 컴포넌트로서, 플랜트 데이터 표시부(31)와, 운전 안전 프로그램 관련 정보 표시부(32)를 갖는다. 또한, 지원 장치(13)는, 주변 기능을 제공하는 컴포넌트로서 경보 표시부(33)와, 보전 이력 관리부(34)와, 화상 처리부(35)를 갖는다.
플랜트 데이터 표시부(31)는,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 추출 유닛(41)과, 플랜트 데이터 추출 유닛(42)을 포함한다.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 추출 유닛(41)은, 경보 장치(12)로부터 경보 발령 지시 신호를 수신한 후에, 이 경보에 의거하여 플랜트 데이터 DB(11)로부터 당해 경보 발령 지시 신호의 출력의 원인으로서 예측되는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를 추출하여,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를 화상 처리 유닛(51)에 전송한다.
플랜트 데이터 추출 유닛(42)은, 입력 장치(17)를 통해서 표시가 요구된 플랜트 데이터를 플랜트 데이터 저장부(22)로부터 추출하고, 이 플랜트 데이터를 화상 처리 유닛(51)에 전송한다.
운전 안전 프로그램 관련 정보 표시부(32)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추출 유닛(45), 대응 조치 추출 유닛(46) 및 타이머 유닛(47)을 포함한다.
운전 안전 프로그램 추출 유닛(45)은, 경보 장치(12)로부터 경보 발령 지시 신호를 수신하면,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저촉할 가능성이 있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조항의 리스트를 추출하고, 이 리스트를 화상 처리 유닛(51)에 전송한다. 운전 안전 프로그램 추출 유닛(45)은, 운전 안전 프로그램 조항을 추출할 때, 경보가 발령되는 이벤트와 운전 안전 프로그램 조항을 관련짓거나 하는 것 등에 의해 추출할 운전 안전 프로그램 조항을 결정할 수 있다.
대응 조치 추출 유닛(46)은, 입력 장치(17)로부터 선택된 운전 안전 프로그램 조항에 대응하는 조치(대응 조치) 및 AOT에 관한 정보를 운전 안전 프로그램 저장부(23)로부터 추출한다. 이 대응 조치 및 AOT에 관한 정보는, 대응 조치 추출 유닛(46)으로부터 화상 처리 유닛(51)에 전송한다. AOT에 관한 정보는 대응 조치 추출 유닛(46)으로부터 타이머 유닛(47)에도 전송된다.
타이머 유닛(47)은, 대응 조치 추출 유닛(46)으로부터 AOT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경우 계시(計時) 동작을 개시하고, AOT에 관한 정보와 함께 계시 정보를 표시 장치(15 또는 16)에 표시하기 위해 계시 정보를 대형 표시 장치(15) 또는 개별 표시 장치(16)에 전송한다.
경보 표시부(33)는 경보 정보 추출 유닛(49)을 포함한다. 경보 정보 추출 유닛(49)은, 경보 장치(12)로부터 경보 발령 지시 신호를 수신한 후에, 경보의 명칭과 경보 시각을 포함하는 경보 정보를 화상 처리 유닛(51) 및 보전 이력 관리 유닛(50)에 전송한다.
보전 이력 관리부(34)는 보전 이력 관리 유닛(50)을 포함한다. 보전 이력 관리 유닛(50)은, 경보 정보 추출 유닛(49)으로부터 수신하는 경보 정보와, 입력 장치(17)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화상 처리 유닛(51)에 전송한다. 여기에서, 입력 장치(17)로부터 입력된 정보는 보전 작업 내용 및 각 보전 작업의 발생 시간 및 완료 시간이다. 또한, 보전 이력 관리 유닛(50)은 입력 장치(17)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보전 작업 이력 저장부(24)에 저장한다.
화상 처리부(35)는, 화상 처리 유닛(51)과, 윈도우 폼 저장부(52)를 포함한다. 화상 처리 유닛(51)은, 운전 안전 프로그램 추출 유닛(45), 대응 조치 추출 유닛(46), 경보 정보 추출 유닛(49),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 추출 유닛(41), 플랜트 데이터 추출 유닛(42) 및 보전 이력 관리 유닛(50)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동안, 화상 처리 유닛(51)에 수신된 정보에 따라 필요한 윈도우 폼을 윈도우 폼 저장부(52)로부터 추출한다. 화상 처리 유닛(51)은 운전 안전 프로그램 추출 유닛(45)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윈도우 폼 저장부(52)로부터 추출한 윈도우 폼에 의거하여 표시 윈도우 정보를 생성하고, 이 표시 윈도우 정보를 개별 표시 장치(16)(대형 표시 장치(15))에 전송한다. 윈도우 폼 저장부(52)는, 개별 표시 장치(16)(대형 표시 장치(15))에 표시하는 윈도우 폼을 저장하고, 화상 처리 유닛(51)으로부터 요구되는 화상 폼을 화상 처리 유닛(51)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운전 관리 지원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관리 지원 장치가 경보를 발령할 경우의 복구 지원 절차의 플로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즉, 도 3에서, 운전 관리 지원 장치(1)(장비계)의 플로우로, 운전원을 비롯한 인간이 행하는 인간계의 복구 처리를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는, 지원 장치(13)의 각부(각 기능)에 대해서는 특별히 구별하지 않고, 각 단계를 지원 장치(13)가 행하는 것으로 해서 설명한다.
경보 감시 스텝 S1에 있어서, 지원 장치(13)는 경보를 감시한다. 경보 발령 판정 스텝 S2에 있어서, 지원 장치(13)는 경보의 발령의 유무를 판정한다. 즉, 지원 장치(13)는, 경보 발령 지시 신호가 생성되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지원 장치(13)는, 경보의 발령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경보 감시 스텝 S1로 되돌아와 경보의 감시를 계속한다. 경보 발령 판정 스텝 S2에서 경보가 발령된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데이터 제시(표시) 스텝 S3으로 절차가 진행된다(간다).
데이터 표시 스텝 S3에 있어서, 지원 장치(13)는, 개별 표시 장치(16)의 화면에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 표시 윈도우 및 플랜트 데이터 표시 윈도우를 표시시킨다.
도 4는,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 표시 윈도우(60)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 표시 윈도우(60)는, 경보 장치(12)로부터 발령한 경보(신호)의 명칭을 표시하는 경보 명칭 표시부(61)와, 리스팅된 TAG 번호, 플랜트 데이터 명칭, 순시(瞬時)값(리얼타임 측정값) 및 단위를 기재한 플랜트 데이터 테이블부(62)를 갖는다. 또한,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 표시 윈도우(60)는, 운전원에게 데이터의 선택을 행하게 하는 데이터 선택 체크박스(63)를 갖는다. 운전원에 의해 플랜트 데이터가 선택될 경우, 데이터 선택 체크박스(63)에는 체크마크(체크표시)(64)가 표시된다.
또한,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 표시 윈도우(60)에는, 표시 버튼(65)과, 검색 버튼(66)이 마련된다. 표시 버튼(65)은 운전원이 데이터 선택해서 체크박스(63)에서 마킹한 플랜트 데이터의 시계열 그래프를 표시하는 지시를 접수한다.
검색 버튼(66)은 플랜트 데이터를 검색(추출)하는 데 이용하는 플랜트 데이터 검색 윈도우를 표시하는 지시를 접수한다.
도 5는 플랜트 데이터 검색 윈도우(70)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플랜트 데이터 검색 윈도우(70)는, TAG 번호를 사용해서 임의의 플랜트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TAG 입력 영역(71)과, 플랜트 데이터 명칭을 사용해서 임의의 플랜트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명칭 입력 영역(72)과, 계통 명칭을 사용해서 임의의 플랜트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계통 입력 영역(73)과, 프리 키워드를 사용해서 임의의 플랜트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프리 키워드 입력 영역(74)을 갖는다. 또한, 플랜트 데이터 검색 윈도우(70)는 검색(추출) 실행의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검색 실행 버튼(75)을 갖는다.
지원 장치(13)는,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 표시 윈도우(60)(도 4)의 검색 버튼(66)의 클릭(눌림) 시에, 개별 표시 장치(16)에 플랜트 데이터 검색 윈도우(70)(도 5)를 표시시킨다. 지원 장치(13)는, TAG 번호, 플랜트 데이터 명칭, 계통, 프리 키워드로부터 임의로 선택되는 입력 영역(71, 72, 73, 74)에 대한 검색 키워드나 프리 키워드의 입력에 의해 얻어진 입력, 및 검색 실행 버튼(75)의 눌림에 의해 얻어진 지시를 접수한다. 지원 장치(13)는 개별 표시 장치(16)에 검색(추출) 결과를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 표시 윈도우(60)(도 4)와 같은 표시 포맷으로 표시한다.
또,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 표시 윈도우(60)에 있어서의 플랜트 데이터의 검색 기능, 즉 검색 버튼(66)은 생략해도 된다.
지원 장치(13)는,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 표시 윈도우(60)(도 4)의 표시 버튼(65)이 눌렸을 경우에, 플랜트 데이터 저장부(22)에 저장된 플랜트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선택 체크박스(63)를 체크하여 선택된 플랜트 데이터의 시계열 그래프를 생성하고 개별 표시 장치(16)에 표시하도록, 개별 표시 장치(16)에 플랜트 데이터의 시계열 그래프를 전송한다. 운전원은, 원자력 발전 플랜트(2)의 부적합 개소 판정 스텝 S21 및 부적합 내용 확인 스텝 S22를 행한다.
도 6은, 플랜트 데이터의 시계열 그래프를 나타내는 플랜트 데이터 표시 윈도우(80)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플랜트 데이터 표시 윈도우(80)는,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 표시 윈도우(60)에 있어서 선택된 플랜트 데이터의 시계열 그래프를 표시하는 시계열 그래프 표시 영역(81)과, 시계열 그래프 표시 영역(81)에 표시된 시계열 그래프로서 플랜트 데이터의 명칭을 표시하는 플랜트 데이터 명칭 표시 영역(82)과, 시계열 플롯(83)을 포함한다.
도 6에 있어서의 플랜트 데이터 표시 윈도우(80)에서, "○○○ 접점"과, "(ⅰ) ○○[MW]"와, "(ⅱ) ▽△-A[㎷]", "(ⅲ) ▽△-B[㎷]", "(ⅳ) ▽△-C[㎷]"와, 및 "(ⅴ) □□[%]"의 시계열 그래프를 각각 표시한다. 여기에서, "○○○ 접점"은 접점 신호를 생성하는 접점이다. "(ⅰ) ○○[MW]"는 원자력 발전 플랜트 열출력 신호이다. "(ⅱ) ▽△-A[㎷]", "(ⅲ) ▽△-B[㎷]" 및 "(ⅳ) ▽△-C[㎷]"는 상이한 계통 A, B, C의 동종 기기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이다. "(ⅴ) □□[%]"는 다른 센서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이다.
운전원은, 플랜트 데이터(ⅱ)~(ⅳ)를 고려하여, "(ⅲ) ▽△-B[㎷]"의 출력 신호만이 변동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운전원은, "(ⅲ) ▽△-B[㎷]"의 출력 신호가 변화하기 시작한 후의 기간에서 출력 신호 "(ⅱ) ▽△-A[㎷]" 및 "(ⅳ) ▽△-C[㎷]"의 변동을 발견할 수 있다. 그 후, 최종적으로 운전원은 "(ⅴ) □□[%]"의 출력 신호가 시각(T)에서 임계값(X)을 초과했기 때문에 "○○○ 접점"의 신호가 "ON"으로 되어 경보가 발령된 것을 판정할 수 있다. 즉, 운전원은, 계통 B에 설치된 기기 ▽△의 출력 상승이 경보 발령의 원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도 6에서 설명한 부적합 개소 및 부적합 내용의 특정 방법은 단순한 예의 하나이며 실제 운용에서는 이에 한하지 않는다.
운전 안전 프로그램 확인 스텝 S4에 있어서, 지원 장치(13)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DB(14)에 저장된 운전 안전 프로그램을 확인한다. 또한, 운전 안전 프로그램 확인 스텝 S4과 병행하는 운전 상태 확인 스텝 S5에 있어서, 지원 장치(13)는 원자력 발전 플랜트(2)의 운전 상태를 확인한다.
요구되는 조치/AOT 제시(표시) 스텝 S6에 있어서, 지원 장치(13)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확인 스텝 S4에 있어서 확인한 운전 안전 프로그램과, 운전 상태 확인 스텝 S5에서 확인한 운전 상태를 고려하여,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저촉할 가능성이 있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조항을 표시 디바이스(15 및/또는 16)에서 운전원에게 제시한다.
도 7은, 운전 안전 프로그램 선택 윈도우(90)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운전 안전 프로그램 선택 윈도우(90)에서, 지원 장치(13)에 의해 리스팅된 운전 안전 프로그램의 조항(91)과, 운전 안전 프로그램으로부터 요구되는 조치(92)와,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정해져 있는 AOT(93)를 표시한다. 또한, 운전 안전 프로그램 선택 윈도우(90)는 운전원에게 조치(92)의 선택을 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선택 체크박스(94)를 갖는다. 플랜트 데이터가 운전원에 의해 선택되면, 프로그램 선택 체크박스(94)에는 체크마크(체크표시)(95)가 표시된다.
운전 안전 프로그램 선택 윈도우(90)에는, 실행 버튼(96)과, 변경 버튼(97)과, 종료 버튼(98)과, 검색 버튼(99)이 마련된다.
실행 버튼(96)은, 운전 안전 프로그램과 저촉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선택한 규정 조항에 관한 "LCO 일탈"을 선언하는 지시를 접수한다. 변경 버튼(97)은, 운전원의 판단에 의거하여, 이미 선언된 규정 조항의 조치(92)를 변경하는 지시를 접수한다. 종료 버튼(98)은 복구 조치의 종료(완료) 절차를 실행하는 지시를 접수한다. 검색 버튼(99)은 운전 안전 프로그램 검색 윈도우를 표시하는 지시를 접수한다.
도 8은 운전 안전 프로그램 검색 윈도우(100)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운전 안전 프로그램 검색 윈도우(100)는, 검색하는 조항의 범위를 지정하기 위한 범위 지정 영역(101)과, TAG 번호를 사용해서 임의의 규정 조항을 검색하기 위한 TAG 입력 영역(102)과, 플랜트 기기의 명칭(예를 들면, 재순환 펌프, 주 증기 격리 밸브 등)을 사용해서 임의의 규정 조항을 검색하기 위한 명칭 입력 영역(103)과, 계통 명칭을 사용해서 임의의 규정 조항을 검색하기 위한 계통 입력 영역(104)과, 기기 종류 명칭(예를 들면, 펌프, 밸브)을 사용해서 임의의 규정 조항을 검색하기 위한 기기 종류 입력 영역(105)과, 프리 키워드를 사용해서 임의의 규정 조항을 검색하기 위한 프리 키워드 입력 영역(106)을 갖는다. 또한, 운전 안전 프로그램 검색 윈도우(100)는 검색(추출)을 실행하는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검색 실행 버튼(107)을 갖는다.
지원 장치(13)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선택 윈도우(90)(도 7)에 있어서 검색 버튼(99)의 눌림에 의해 검색(추출)을 실행하는 지시를 접수하면, 개별 표시 장치(16)에 운전 안전 프로그램 검색 윈도우(100)(도 8)를 표시시킨다. 지원 장치(13)는, 범위 지정, TAG 번호, 기기의 명칭 등의 정보의 입력, 및 검색 실행 버튼(107)의 눌림에 의해 얻어진 지시를 접수한다. 지원 장치(13)는 개별 표시 장치(16)에 검색(추출) 결과를 운전 안전 프로그램 선택 윈도우(90)(도 7)와 같은 표시 포맷으로 표시한다.
즉, 운전 안전 프로그램 선택 윈도우(90)의 검색 기능, 즉 검색 버튼(99)을 생략해도 된다.
저촉 판정 스텝 S23에 있어서, 운전원은, 스텝 S21 및 스텝 S22에서 확인된 부적합 개소 특정 부적합 내용에 의거하여, 현재의 상황이 운전 안전 프로그램의 조항에 저촉되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운전원은, 현재의 상황이 운전 안전 프로그램의 조항에 저촉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복구 절차를 종료한다. 운전원과 마찬가지로, 운전 관리 지원 장치(1)도 복구 지원 절차를 종료한다.
한편, 운전원은 현재의 상황이 운전 안전 프로그램의 조항에 저촉되는 것으로 판정했을 경우, 운전원은 LCO 일탈 선언 스텝 S24에 있어서, 운전 안전 프로그램 선택 윈도우(90)(도 7)에 표시되는 조항 및 조치(92)로부터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저촉할 가능성이 있는 조항 및 조치(92)를 선택한다. 이때, 운전원은, 조항(91)의 프로그램 선택 체크박스(94)를 체크하여 안전 프로그램 선택 윈도우(90)가 체크마크(95)를 표시시키고, 이로써 운전 관리 지원 장치(1)에 대해서 LCO 일탈의 선언을 행한다.
여기에서, LCO 일탈을 선언하는 권한을 가지는 책임자는, 각각의 부적합 개소 및 부적합 내용에서 운전 안전 프로그램 내에 정해져 있다. 이 때문에, LCO 일탈을 선언하는 경우에 있어서, LCO 일탈을 선언하는 권한을 갖지 않는 사람이 권한자에 의한 허락 없이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원 디바이스(13)는, 패스워드 인증 기능 등에 의해 LCO 일탈 선언을 행하려는 자가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정해진 권한을 가지는 사람임을 확인하는 기능을 갖게 해도 된다.
이벤트 보고 스텝 S25에 있어서, 운전원은 원자력 발전 플랜트(2)에 발생한 소요의 이벤트의 보고를 소정의 태양으로 행한다.
한편, 지원 장치(13)는, LCO 일탈 선언 접수 스텝 S7에 있어서, 프로그램 선택 체크박스(94)의 체크에 대한 지시를 접수한 후, 지원 장치(13)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선택 윈도우(90)(도 7)의 실행 버튼(96)의 눌림 조작을 접수함으로써, LCO 일탈의 선언을 접수한다.
조치 결정 스텝 S8에 있어서, 지원 장치(13)는, 프로그램 선택 체크박스(94)에서 선택된 취해야 할 조치(92)에 의거하여, 운전 안전 프로그램으로부터 요구되는 취해야 할 조치를 결정한다.
운전원은, 복구 수순 검토 스텝 S26에 있어서, 취해야 할 조치를 실시(진행)하기 위한 복구 수순을 검토한다. 복구 작업 실행 스텝 S27에 있어서, 운전원은 조치를 취해야 할 복구 작업을 실행한다(행한다).
여기에서, 운전원은, 복구 작업 진행 중에 어떠한 이유에 의해 현재 취해야 할 조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변경 판정 스텝 S28에 있어서, 운전원은, 현재 취해야 할 조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운전원은, 취해야 할 조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할 경우, 운전 안전 프로그램 선택 윈도우(90)(도 7)에 표시되는 프로그램 선택 체크박스(94)에서 체크된 개소를 변경하여 조치(92)의 선택을 변경하고 변경 버튼(97)을 누른다. 그 후, 운전원은, 다시 복구 수순 검토 스텝 S26 및 복구 작업 실행 스텝 S27을 수행한다(행한다). 이 변경 판정 스텝(S28)의 운전원에 의해 실행되는 절차는 후술한다.
변경 버튼(97)의 눌림의 조작을 접수한 지원 장치(13)는, 조치 결정 스텝 S8에 있어서 이미 결정된 현재 취해야 할 조치를 변경하여 현재 취해야 할 조치를 변경한 후에 취해야할 새로운 조치를 다시 결정한다.
상황 관리 스텝 S9에 있어서, 지원 장치(13)는, AOT, 운전원에 의해 행해지는 복구 작업의 이력, 운전원에 의해 행해지는 복구 작업의 실황 상황 등을 대형 표시 장치(15)에 표시되는 보전 작업 관리 윈도우에 의해 관리한다.
도 9는 보전 작업 관리 윈도우(110)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보전 작업 관리 윈도우(110)는, 대형 표시 장치(15)에 AOT의 관리를 목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AOT 관리 영역(111)과, 대형 표시 장치(15)에 보전 작업의 관리를 목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작업 이력 관리 영역(112)을 포함한다.
AOT 관리 영역(111)은 AOT 남은 시간(113) 및 AOT(114)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이력 관리 영역(112)은, 경보 발생으로부터 복구 완료까지 실시되는 보전 작업 중, 주요한 작업이 발생한 시각을 표시하는 작업 발생 시각 표시부(115)와, 보전 작업의 내용을 표시하는 작업 이력 표시부(116)를 갖는다. 또한, 지원 장치(13)는 보전 작업 관리 윈도우(110)를 개별 표시 장치(16)에 표시할 수 있다.
작업 완료 스텝 S29에 있어서, 운전원은 복구 작업이 완료되면, 입력 장치(17)를 통해서 운전 안전 프로그램 선택 윈도우(90)(도 7)의 종료 버튼(98)을 누른다.
이에 대하여, 지원 장치(13)는 스텝 S10에 있어서, 운전원으로부터 종료 버튼(98)의 눌림에 의해 복구 작업의 완료를 정보를 접수한다. 이어서, 정보 수집 스텝 S11에 있어서, 지원 장치(13)는 복구 작업의 완료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 정보를 취득한다. 확인 정보는, 예를 들면 부적합 개소 특정 스텝 S21 및 부적합 내용 확인 스텝 S22에 있어서 운전원에 의해 선택된 플랜트 데이터이다. 복구 조치의 완료를 확인하는 방법은, 경보 발령 시에 이상이 발견된 파라미터가 정상 수준으로 안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는 것 등이다.
보고서 데이터 생성 스텝 S12에서, 지원 장치(13)는, 운전원의 업무로서의 보고서의 작성(생성)을 지원하기 위해, 복구 작업 이력이나 플랜트 데이터 표시 윈도우(80) 등을 프린트하여 하드 카피 등을 생성한다. 하드 카피 등에 의거하여 운전원은 보고서 작성 스텝 S30에 있어서 필요한 보고서를 만든다.
다음으로, 판정 스텝 S28이 발생할 경우의 상세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LCO의 예와, LCO로부터의 일탈에 대한 조건, 각 조건에서의 조치 및 AOT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의 LCO의 예는, "○○ 제어 장치에 대해서 기능이 동작 가능한 것"임을 요한다. 예시된 LCO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의 조건에는, 조건(A)~조건(D)가 있다. 조건(A)는 "엘리먼트(X)가 동작 불능인 경우"이다. 조건(B)는 "엘리먼트(Y)가 동작 불능인 경우"이다. 조건(C)는 "엘리먼트(X) 및 엘리먼트(Y)가 동작 불능인 경우(엘리먼트(X) 및 엘리먼트(Y) 모두 동작 불능)"이다. 조건(D)는 "엘리먼트(A, B 및 C)로부터 요구되는 조치를 완료 시간 이내(AOT 내)에 완료할 수 없는 경우"이다. "엘리먼트(A)" ~ "엘리먼트(D)"에 요구되는 조치 및 AOT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도 11은, LCO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있어서 요구되는 조치의 적용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1개의 엘리먼트(여기에서는 엘리먼트(X))가 동작 불능인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 11b는 다른 엘리먼트(여기에서는 엘리먼트(Y))가 동작 불능인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 11c는, 도 11b에 나타낸 적용 패턴에 있어서 "조건(C)"(여기에서는 엘리먼트(X) 및 엘리먼트(Y)가 동작 불능인 경우)의 AOT가 완료되기 전에, "조건(A)"(여기에서는 1개의 엘리먼트(엘리먼트(X))가 동작 불능인 경우)의 AOT가 완료되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플랜트가 일시적으로 정해진 LCO를 일탈한 것으로 판단한 시간으로부터 LCO 일탈로부터 복구 조치가 완료(종료)할 시간까지 3개의 작업(운전) 흐름이 있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에 각각 나타낸 3개의 적용 패턴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작업(운전) 흐름을 설명한다. 또, 운전 안전 프로그램의 조항 또는 조치의 변경이나 운전의 종료에 대하여 후술하지만, 실제의 조치의 변경이나 운전의 종료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선택 윈도우(90)(도 7)의 변경 버튼(97)이나 종료 버튼(98)을 누름으로써 행해진다.
도 11a에 나타내는, 하나의 엘리먼트(엘리먼트(X))가 동작 불능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시각(T1a)
운전원은, 시각(T1a)에서 엘리먼트(X)가 동작 불능인 것으로부터, "조건(A)"가 적용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조치(A1)" 및 "조치(A2)"을 실행한다. 조치를 실행할 경우, 지원 장치(13)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선택 윈도우(90)에 표시된 프로그램 선택 체크박스(94)를 체크함으로써 정해진 조항의 적절한 조치(92)(여기에서는 "조치(A1)" 및 "조치(A2)")의 선택의 지시를 접수한 후, 실행 버튼(96)의 누름 지시를 접수한다. 후술하는 적절한 조치(92)의 선택 방법은, 후술하는 적절한 조치(92)를 선택하는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2) 시각(T2a)
시각(T1a)으로부터 1시간 후의 시각(T2a)에 있어서 "조치(A1)"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AOT 내에 완료 요구되는 조치를 시각(T2a)까지 완료할 수 없으므로, 운전원은 "조건(A)"으로부터 "조건(D)"으로 조건을 변경한다. 운전원은, "조치(A1)" 및 "조치(A2)"를 실행함과 동시에, "조치(D1)" 및 "조치(D2)"도 병행해서 실행한다.
조치를 변경할 경우에, 지원 장치(13)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선택 윈도우(90)(도 7)에 표시된 프로그램 선택 체크박스(94)를 체크함으로써 변경된 조치(92)의 선택의 지시를 접수한 후, 지원 장치(13)는 변경 버튼(97)의 눌림의 지시를 접수한다. 지원 장치(13)는, 조치 결정 스텝 S8에 있어서 이미 결정된 조치(92)를 변경하여, 취해야 할 새로운 조치를 결정한다. 취해야 할 조치를 변경하는 것에 관한 전술한 방법은 취해야 할 조치를 변경하는 것에 관한 후술하는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3) 시각(T3a)
"조치(D1)" 및 "조치(D2)"의 실행 중에 시각(T3a)에서 "조치(A1)"가 완료되었을 경우, 운전원은 "조건(D)"에 따른 "조치(D1)" 및 "조치(D2)"를 중지하고 "조건(D)"에 따른 "조치(D1)" 및 "조치(D2)"를 "조건(A)"에 따른 "조치(A2)"로 조치를 변경한다. 단, 운전원은 "조건(A)"에 따른 "조치(A2)"로 변경할 경우는, "조치(A1)"가 "조치(A2)"의 AOT 내에 완료된 경우에 한한다.
(4-1) "조치(A2)"가 AOT(시각(T4a)) 내에 완료되었을 경우
운전원은, "조치(A2)"가 완료된 시점에서 LCO를 만족시키고 있음의 확인의 완료로서 간주한다. LCO를 만족시킨다는 판정이 완료되었을 때, 지원 장치(13)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선택 윈도우(90)(도 7)에 표시된 종료 버튼(98)을 누름으로써 복구 작업의 완료의 통지를 접수한다. 상술한 복구 작업의 완료에 관한 방법은 후술하는 복구 작업의 완료에 관한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4-2) 시각(T4a)
"조치(A2)"의 AOT 내에 "조치(A2)"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시각(T1a)으로부터 3일 후의 시각인 시각(T4a)에 있어서, 운전원은 조건을 "조건(A)"으로부터 "조건(D)"으로 다시 변경한다. 조건이 변경될 경우 "조치(D1)" 및 "조치(D2)"의 AOT의 카운트는 시각(T4a)으로부터 개시된다.
다음으로, 도 11b에 나타내는 하나의 엘리먼트(엘리먼트(X))를 복구 중에, 다른 하나의 엘리먼트(엘리먼트(Y))가 동작 불능으로 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시각(T1b)
운전원은, 시각(T1b)에 있어서 엘리먼트(X)가 동작 불능인 것으로부터 "조건(A)"이 적용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조치(A1)" 및 "조치(A2)"를 실행한다.
(2) 시각(T2b)
시각(T1b)으로부터 1시간 이내인 시각(T2b)에 있어서, "조치(A2)"가 AOT 내에 완료되었다. 운전원은, "조건(A)"을 만족시키기 위해 "조치(A2)"를 계속해서 실행한다.
(3) 시각(T3b)
"조치(A2)"의 실행 중, 시각(T3b)에 있어서 엘리먼트(Y)가 동작 불능으로 되었을 경우, 엘리먼트(X) 및 엘리먼트(Y)가 동작 불능으로 되므로, 운전원은 "조건(C)"이 적용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운전원은, 조치를 "조치(C1)" 및 "조치(C2)"로 조치를 변경한다. 또한, 운전원은 병행해서 "조치(A2)", "조치(B1)" 및 "조치(B2)"도 실행한다.
(4) 시각(T4b)
시각(T1b)으로부터 3일 이내인 시각(T4b)에 있어서, "조치(A1)"가 완료되었다. "조치(A1)"가 완료되어 "조치(C1)"도 완료되므로, 동작 불능인 엘리먼트는 엘리먼트(Y)만으로 된다. 운전원은 "조건(B)"으로 조건을 변경하고, 계속해서 "조치(B1)" 또는 "조치(B2)"를 실행한다.
(5) 시각(T5b)
운전원은, 시각(T3b)으로부터 8시간 이내인 시각인 시각(T5b)에 있어서 "조치(B1)" 또는 "조치(B2)"가 완료되었을 경우, LCO를 만족시키고 있음의 확인의 완료가 완료된 것으로 간주한다. 즉, "조건(B)"에 따른 AOT의 카운트의 기점은 엘리먼트(Y)의 동작 불능이 확인된 시각인 시각(T3b)이다.
마지막으로, 도 11c에 나타내는, 적용 패턴(B)에 있어서 "조건(C)"의 AOT 완료 전에 "조건(A)"의 AOT가 완료되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시각(T1c)
운전원은, 시각(T1c)에 있어서 엘리먼트(X)가 동작 불능인 것으로부터 "조건(A)"이 적용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조치(A1)" 및 "조치(A2)"를 실행한다.
(2) 시각(T2c)
시각(T1c)으로부터 1시간 이내의 시각인 시각(T2c)에 있어서, "조치(A1)"가 AOT 내에 완료되었다. 운전원은, "조건(A)"을 만족시키므로, "조치(A2)"를 계속해서 실행한다.
(3) 시각(T3c)
"조치(A2)"의 실행 중, 시각(T3c)에 있어서 엘리먼트(Y)가 동작 불능으로 되었을 경우, 엘리먼트(X) 및 엘리먼트(Y)가 동작 불능이므로, 운전원은 "조건(C)"이 적용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운전원은, 조치를 "조치(C1)" 및 "조치(C2)"로 조치를 변경한다. 또한, 운전원은 병행해서 "조치(A2)", "조치(B1)" 및 "조치(B2)"도 실행한다. 그러나, "조치(C2)"의 AOT 완료 시각보다 먼저 "조치(A2)"의 AOT인 시각(T4c)(시각(T1c)으로부터 3일 후)이 다가올 경우, "조치(A2)"의 AOT가 "조치(C2)"의 AOT에 우선된다(예를 들면, 시각(T3c)이 시각(T1c)으로부터 2일과 23.5시간 후인 시각).
(4-1) "조치(A2)"가 AOT(시각(T4c)) 내에 완료되었을 경우
"조건(A)"의 AOT(시각(T4c)) 내에 "조치(A2)"가 완료되었을 경우, 동작 불능인 엘리먼트는 엘리먼트(Y)만으로 된다. 따라서, 운전원은 조건을 "조건(C)"으로부터 "조건(B)"으로 변경하고, 계속해서 "조치(B1)" 또는 "조치(B2)"를 실행한다.
(4-2) 시각(T4c)
엘리먼트(X)의 동작 불능이 확인된 시각(T1c)으로부터 3일 후의 시각인 시각(T4c)까지 "조치(A2)"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AOT 내에 조치 완료할 수 없는 것으로 판정한다. 이에 따라, 운전원은 조건을 "조건(D)"로 변경하고, "조치(D1)" 및 "조치(D2)"를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1)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 플랜트(2)에 있어서 경보가 발령되었을 때에, 운전 관리 지원 장치(1)가 상황확인을 위하여 필요한 것으로 예측한 플랜트 데이터와, 당해 경보가 발령됨으로써 저촉할 가능성이 있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의 조항을 정확하게, 간결하게, 구체적으로 운전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전 관리 지원 장치(1)는, 원자력 발전 플랜트(2)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정보의 제공, 취해야 할(또는 현재 취해지고 있는) 조치의 제시, 복구 완료까지의 시간 관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운전 관리 지원 장치(1)는, 운전원이 필요 충분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작업량이나 작업 시간, 복구 작업 부하를 삭감할 수 있다. 운전 관리 지원 장치(1)는 운전원이 요구되는 조치(대응 조치)를 확실하게 수행하게 함으로써, 휴먼 에러에 야기된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의 저촉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 표시 윈도우(60)(도 4)에 검색 기능을 마련한다. 이에 따라, 운전 관리 지원 장치(1)는, 운전원이 원자력 발전 플랜트(2)의 상황을 확인할 때에,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 표시 윈도우(60)에 리스팅되지 않은 플랜트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운전 관리 지원 장치(1)에 의해 리스팅되지 않은 플랜트 데이터에 대해서도, 운전원이 임의로 참조할 수 있다. 운전 관리 지원 장치(1)에서, 운전원은, 다각적인 상황 분석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부적합 개소나 부적합 내용의 확정에 대한 확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 안전 프로그램 선택 윈도우(90)(도 7)에 검색 기능을 마련한다. 이에 따라, 운전 관리 지원 장치(1)는, 운전원이 운전 안전 프로그램과 저촉되는 조항을 선택할 때에 운전 안전 프로그램 선택 윈도우(90)에 리스팅되지 않은 규정 조항을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 관리 지원 장치(1)에 의해 리스팅되지 않은 규정 조항에 대해서도, 운전원이 임의로 참조할 수 있다. 운전 관리 지원 장치(1)에서, 운전원은, 한정적인 범위에서 판단하는 것에 의한 잘못된 선택의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된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구현 단계에서 상술한 특정 실시형태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유념한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에서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생략, 치환, 및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에 상당하는 것에 포함된다.
1 : 운전 관리 지원 장치
2 : 원자력 발전 플랜트
3a~3x : 센서
11 : 플랜트 데이터 데이터베이스(DB)
12 : 경보 장치
13 : 지원 장치
14 : 운전 안전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DB)
15 : 대형 표시 장치
16 : 개별 표시 장치
17 : 입력 장치
18 : 프린터
21 : 플랜트 데이터 입출력(I/O) 유닛
22 : 플랜트 데이터 저장부
23 : 운전 안전 프로그램 저장부
24 : 보전 작업 이력 저장부
25 : 경보 정보 저장부
41 : 플랜트 데이터 리스트 추출 유닛
42 : 플랜트 데이터 추출 유닛
45 : 운전 안전 프로그램 추출 유닛
46 : 대응 조치 추출 유닛
47 : 타이머 유닛
49 : 경보 정보 추출 유닛
50 : 보전 이력 관리 유닛
51 : 화상 처리 유닛
52 : 화면 폼 저장부

Claims (7)

  1. 발전 플랜트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계측된 플랜트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경보 값을 비교하여, 상기 발전 플랜트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경보 발령을 지시하는 경보 발령 지시 신호를 생성하는 경보 장치와,
    상기 발전 플랜트의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저장부와,
    상기 경보 발령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경보 발령에 관련되는 상기 플랜트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운전 안전 프로그램 저장부로부터 상기 경보 발령이 되는 상기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추출 장치와,
    상기 플랜트 데이터와 상기 운전 안전 프로그램 추출 장치에 의해 추출된 상기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 데이터 및 상기 운전 안전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입력 장치를 더 구비하는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안전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는,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운전 안전 프로그램의 조항마다 운전상의 제한 조건, 운전 안전 프로그램이 적용되는 조건, 요구되는 조치 및 허용 정지 시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된 상기 요구되는 조치로부터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선택 장치와,
    상기 요구되는 조치로부터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했을 경우, 계시(計時)를 개시하는 타이머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타이머 장치에 의해 계시된 시간과 상기 지시에 의거한 상기 요구되는 조치의 허용 정지 시간을 표시하는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발령으로부터 이상 상태에서 복구 완료까지의 시간 및 보전 작업의 발생 시각 동안 일어나는 보전 작업의 내용을 저장하는 보전 작업 이력 저장부를 더 구비한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TAG 번호, 플랜트 데이터 명칭, 계통 또는 프리 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되는 검색 조건에 따라 상기 플랜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검색 조건에 따른 플랜트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에 전송하는 플랜트 데이터 추출 장치를 더 구비한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TAG 번호, 플랜트 기기 명칭, 계통, 기기의 종류, 및 프리 워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조건에 따라 상기 운전 안전 프로그램을 추출하고, 상기 검색 조건에 따른 운전 안전 프로그램을 상기 표시 장치에 전송하는 운전 안전 프로그램 추출 장치를 더 구비한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
KR1020137016613A 2010-12-15 2011-12-12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 KR201300991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79671 2010-12-15
JP2010279671A JP5622553B2 (ja) 2010-12-15 2010-12-15 発電プラントの運転管理支援装置
PCT/JP2011/078712 WO2012081554A1 (ja) 2010-12-15 2011-12-12 発電プラントの運転管理支援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997A Division KR101577385B1 (ko) 2010-12-15 2011-12-12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183A true KR20130099183A (ko) 2013-09-05

Family

ID=462446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613A KR20130099183A (ko) 2010-12-15 2011-12-12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
KR1020157005997A KR101577385B1 (ko) 2010-12-15 2011-12-12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997A KR101577385B1 (ko) 2010-12-15 2011-12-12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70266B2 (ko)
EP (1) EP2653942A4 (ko)
JP (1) JP5622553B2 (ko)
KR (2) KR20130099183A (ko)
CN (1) CN103261985A (ko)
WO (1) WO20120815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7852B2 (ja) * 2013-01-29 2016-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ントの異常状態解決支援システム
WO2016132396A1 (ja) * 2015-02-19 2016-08-25 三菱電機株式会社 手順抽出システム
JP6596261B2 (ja) 2015-08-19 2019-10-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原子力プラントの電子手順書表示装置、安全系制御監視システム、及び運転監視システム
JP6296068B2 (ja) * 2016-01-15 2018-03-20 横河電機株式会社 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支援方法
JP6520772B2 (ja) * 2016-03-14 2019-05-29 オムロン株式会社 評価システム、評価プログラムおよび評価方法
CN105913226B (zh) * 2016-04-12 2018-01-16 中国人民解放军海军工程大学 基于智能语音提示的核电厂运行支持系统
US10911255B2 (en) * 2016-05-31 2021-02-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hands free facility status alerts
JP6747104B2 (ja) * 2016-06-30 2020-08-26 オムロン株式会社 セーフティ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CN106774271B (zh) * 2017-01-03 2020-06-23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城市轨道交通车辆故障诊断与显示系统
JP2019040293A (ja) * 2017-08-23 2019-03-14 アズビル株式会社 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および、エンジニアリング方法
JP7112934B2 (ja) * 2018-10-12 2022-08-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発電プラントの運転管理支援装置
JP6796690B2 (ja) * 2019-08-05 2020-12-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原子力プラントの運転監視システム
KR102500136B1 (ko) * 2022-08-31 2023-02-17 (주)원프랜트 원자력 발전소 유지보수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897B2 (ja) * 1991-05-15 2000-05-22 株式会社東芝 プラント運転支援装置
KR940007720A (ko) * 1992-09-28 1994-04-28 조안 엠. 젤사 지식 베이스 진단 조언장치 및 방법
JP3052621B2 (ja) * 1992-11-13 2000-06-19 三菱電機株式会社 警報表示装置
US5311562A (en) * 1992-12-01 1994-05-10 Westinghouse Electric Corp. Plant maintenance with predictive diagnostics
ZA947893B (en) * 1993-09-05 1995-05-24 George Hans Lowe An indicating system
JPH10319180A (ja) 1997-05-14 1998-12-04 Toshiba Corp プラント異常時復旧支援システム
US6091790A (en) 1998-05-08 2000-07-18 Combustion Engineering, Inc. Control element assembly position system
JP3799217B2 (ja) 2000-06-22 2006-07-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発電設備の運用管理システム及び保守管理サービス方法
JP2003185782A (ja) * 2001-12-18 2003-07-03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工程管理プログラム及び工程管理装置
US7330768B2 (en) * 2003-01-28 2008-02-12 Fisher-Rosemount Systems, Inc. Integrated configuration in a process plant having a process control system and a safety system
JP2004317273A (ja) * 2003-04-16 2004-11-11 Toshiba Corp 原子力設備保安規定情報提供装置
JP4013899B2 (ja) * 2004-01-05 2007-11-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遠隔管理システム
JP2006330774A (ja) 2005-05-23 2006-12-07 Yokogawa Electric Corp プロセス異常状態回復操作支援システム
JP4607702B2 (ja) * 2005-08-10 2011-01-05 株式会社東芝 プラント運転支援装置およびプラント運転支援方法
GB2448894A (en) 2007-05-02 2008-11-05 William Bryan Salter Computer-aided fault tracking for industrial plant providing instructions and countdown
JP2010211377A (ja) * 2009-03-09 2010-09-24 Yokogawa Electric Corp プラント情報管理装置およびプラント情報管理方法
CN101674032A (zh) * 2009-10-19 2010-03-17 浙江大学 基于无线网络的自动跟踪式光伏发电站监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53942A4 (en) 2014-05-21
US9070266B2 (en) 2015-06-30
EP2653942A1 (en) 2013-10-23
WO2012081554A1 (ja) 2012-06-21
JP2012128674A (ja) 2012-07-05
KR20150038624A (ko) 2015-04-08
KR101577385B1 (ko) 2015-12-16
JP5622553B2 (ja) 2014-11-12
US20130271287A1 (en) 2013-10-17
CN103261985A (zh)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9183A (ko) 발전 플랜트의 운전 관리 지원 장치
EP1727009B1 (en) System for displaying alarms and related information for supporting process operation
CN104392756B (zh) 一种基于数字化仪控系统的反应堆动态联锁系统及方法
CN108053041B (zh) 变电站多关联场景下二次系统异常识别和防误系统及方法
CN103389705A (zh) 操作监控系统和操作监控方法
WO2014173276A1 (zh) 通过hra判定dcs人机界面的可靠性的方法、系统
CN106683727B (zh) 一种事故处理中的故障监测方法
JP2004108209A (ja) マイクロガスタービン設備の遠隔監視システム
Husseiny et al. Operating procedure automation to enhanc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CN112234717A (zh) 操作票指令的执行方法及装置
JP2009059204A (ja) コンピュータリモート制御システム
CN101819823A (zh) 一种核电站电子挂牌系统
Park et al. The development of a quantitative measure for the complexity of emergency tasks stipulated in emergency operating procedures of nuclear power plants
KR102265090B1 (ko)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을 위한 관리플랫폼을 구비한 스마트 팩토리 관리시스템
Niu Application Research on Human Reliability Analysis Method of Class C Human Action of China Fast Reactor
CN113806909B (zh) 核电综合场景验证的场景选取方法及装置、核电综合场景验证方法及系统
KR102256346B1 (ko) 한약 추출기 자동제어 시스템
EP3974958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interface with sis for remote maintenance
JP2001008365A (ja) 復旧支援システム
Hulsmans et al. Probabilistic analysis of accident precursors in the nuclear industry
CN117452869A (zh) 特种设备的无线控制方法及装置
JPS6326800Y2 (ko)
CN102467620A (zh) 一种显示杀毒软件安全守护状态的方法
JP4172254B2 (ja) ボイラの警報方法およびボイラの保守管理方法
Satoh et al. Development of an Advanced Man-Machine System for Japanese PWR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