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575A - 서포터 - Google Patents

서포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575A
KR20130089575A KR1020127028116A KR20127028116A KR20130089575A KR 20130089575 A KR20130089575 A KR 20130089575A KR 1020127028116 A KR1020127028116 A KR 1020127028116A KR 20127028116 A KR20127028116 A KR 20127028116A KR 20130089575 A KR20130089575 A KR 20130089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back support
base material
knitted fabric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4762B1 (ko
Inventor
가즈히코 마쓰오
히토시 오지마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아도반싱구
디엠체인 교도쿠미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아도반싱구, 디엠체인 교도쿠미아이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9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25Loin or waist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31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8Elastic support stockings or elastic band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urs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종래의 밴드 형태 의복과 비교하여, 부재 점수가 적고, 장착 방법이 간단한 동시에, 서포터의 착용자에 대하여, 복강압 상승 효과를 부여하고, 후굴 억제를 도모하여 천장 관절을 안정시킬 수 있는 서포터를 제공한다. 서포터(100)는, 경편에 의한 편직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편직 원단의 편직 방향을 길이 방향(L)으로 하고, 길이 방향(L)의 신축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폭 방향(S)의 신축성을 억제한 기재(10)와, 기재(10)의 중앙 부분인 등지지부(11)와, 등지지부(11)의 양쪽으로 이루어지는 양단 부분이 위쪽으로 돌출된 돌출부(12)와, 등지지부(11) 및 돌출부(12)의 경계 근방을 대략 八자형으로 만곡시키는 만곡부(1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포터 {SUPPORTER}
본 발명은 착용자의 일상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 서포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서포터의 착용자에 대하여, 복강의 압력을 높여 요추를 지지하는 복강압(腹腔壓) 상승 효과를 부여하고, 요부(腰部)의 후굴(後屈)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후굴 억제를 도모하여, 천장 관절(薦腸關節, sacroiliac joint)을 안정시킬 수 있는 서포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밴드 형태 의복은, 흡한확산성(吸汗擴散散性) 편지(編地)를 적어도 내면에 사용하고, 확산 면적비가 3이상인 흡한확산성 편지나, 소수성의 이층(裏層)과 친수성의 표층(表層)의,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는 흡한확산성 편지를 사용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105615호
종래의 밴드 형태 의복은, 메시조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벨트(면파스너(Hook-and-loop fastener), 테두리 부재) 외에, 흡한확산성 편지로 이루어지는 안감, 보조 벨트 및 플라스틱제 스테이(stay)를 구비하고, 부재 점수가 많은데다가, 본체 벨트를 요부에 감아 면파스너로 고정한 후에, 보조 벨트를 체결하여 면파스너로 고정할 필요가 있고, 장착 방법이 번잡하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종래의 밴드 형태 의복과 비교하여, 부재 점수가 적고, 장착 방법이 간단한 동시에, 서포터의 착용자에 대하여, 복강압 상승 효과를 부여하고, 후굴 억제를 도모하여 천장 관절을 안정시킬 수 있는 서포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에서는, 경편(經編)에 의한 편직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편직 원단의 편직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길이 방향의 신축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폭 방향의 신축성을 억제한 기재(基材), 기재의 중앙 부분인 등지지부(back-supporting section), 등지지부의 양쪽으로 이루어지는 양단 부분을 위쪽으로 돌출한 돌출부, 그리고 등지지부 및 돌출부의 경계 근방을 대략 八자형으로 만곡시키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에서는, 경편에 의한 편직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편직 원단의 편직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길이 방향의 신축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폭 방향의 신축성을 억제한 기재와, 기재의 중앙 부분인 등지지부와, 등지지부의 양쪽으로 이루어지는 양단 부분이 위쪽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등지지부 및 돌출부의 경계 근방을 대략 八자형으로 만곡시키는 만곡부을 포함함으로써, 서포터의 착용자에 대하여, 복강압 상승 효과를 부여하고, 후굴 억제를 도모하여 천장 관절을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서포터의 안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도 1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겉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c)는 도 1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하측면도이며, (d)는 도 1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2의 (a)는 요부 근방의 골격의 명칭을 설명하기 위한 골격도이며, (b)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우측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우측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d)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3의 (a)는 복강압 상승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b)는 후굴 억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서포터의 안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도 4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겉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c)는 도 4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하측면도이며, (d)는 도 4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의 (a)에 나타낸 고정부로 고정시킨 경우의 서포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도 4의 (a)에 나타낸 고정부로 고정시킨 경우의 서포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의 (a)는 피험자의 측정 동작인 전굴(前屈)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b)는 피험자의 측정 동작인 측굴(側屈)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c)는 피험자의 측정 동작인 후굴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의 (a)는 서포터의 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전굴에서의 손가락끝에서 바닥까지의 거리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b)는 서포터의 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후굴 각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의 (a)는 서포터의 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측굴에서의 손가락끝에서 바닥까지의 거리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b)는 서포터의 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측굴 각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의 (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서포터의 안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도 9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겉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c)는 도 9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하측면도이며, (d)는 도 9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의 (a)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서포터의 안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서포터의 안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c)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서포터의 안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서포터의 등지지 대향부를 이루는 편조직(編組織)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도 1에서, 서포터(100)는, 허리용의 서포터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경편기(經編機)에 의해 씨실(1) 스윙의 경편으로 편직되는 편직 원단(이하, 경편 원단이라고 함)으로 이루어지고, 경편 원단의 편직 방향을 서포터(100)의 길이 방향(L)으로 하고, 길이 방향(L)의 신축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서포터(100)의 폭 방향(S)의 신축성을 억제한 기재(10)를 구비한다.
그리고, 경편기는, 바늘을 다양하게 사용하여 무늬를 특화한 뜨기(라셀(raschel) 뜨기)를 형성하는 라셀 경편기와, 무늬를 상정하지 않고 높은 생산성으로 특화한 뜨기(트리코(tricot) 뜨기)를 형성하는 트리코 경편기로 대별된다. 또, 라셀 경편기는, 더블 라셀(double russell) 경편기, 랏세리나 경편기, 레이스 경편기 또는 크로셰(crochet) 경편기(코바늘 편기) 등으로 세분화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서포터(100)는, 1장의 경편 원단에서 도 1에 나타낸 형태로 재단하여 기재(10)를 제작하고, 기재(10)의 가장자리(잘린 부분)를 바인더 테이프(20)에 끼워넣어 꿰매(바인더)지만, 가장자리 꿰매기나 바이어스 가선 둘러 꿰매기 등에 의해, 기재(10)의 잘린 부분의 올풀림 방지나 장식을 해도 된다. 특히, 기재(10)의 잘린 부분의 바인더는, 새발 뜨기(지그재그 꿰매기)로 바인더 테이프(20)를 꿰매므로, 인접하는 재봉선이 밀집하지 않기 때문에, 기재(10)의 길이 방향(L)의 신축성을 억제하는 경우는 없으므로 바람직하다.
기재(10)는, 기재(10)의 중앙 부분인 등지지부(11)와 등지지부(11)의 양쪽으로 이루어지는 양단 부분이 위쪽으로 돌출된 돌출부(12)와, 등지지부(11) 및 돌출부(12)의 경계 근방을 대략 八자형으로 만곡시키는 만곡부(13)로 구성된다.
돌출부(12)는, 기재(10)의 양단 부분의 상변(12a)을 만곡형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하고, 기재(10)의 양단 부분의 하변(12b)을 상변(12a)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한다.
또, 돌출부(12)는, 기재(10)의 양단 부분의 상이한 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이한 면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부로서 면파스너(Hook-and-loop fastener)(30)를 사용한 서포터(100)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기재(10)의 양단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다면 면파스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버튼, 도트 버튼, 스냅, 훅, 버클, 파스너(지퍼, 척), 앞 후크(front hook), 또는 스핀들 스토퍼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돌출부(1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자에게 직접 닿는 안감면에서의 일단 측에 면파스너(30)의 훅(32)이 설치되고, 착용자에게 직접 닿지 않는 겉감면에서의 타단 측에 면파스너(30)의 루프(31)가 설치되어 있지만, 훅(32)을 겉감면에 설치하고, 루프(31)을 안감면에 설치하여도 되고, 안감면에서의 훅(32)을 설치하는 측을 일단 측에서 타단측으로 변경하여 설치하고, 겉감면에서의 루프(31)를 설치하는 측을 타단측에서 일단 측에 변경하여 설치하여도 된다.
만곡부(13)는, 고정부인 면파스너(30)(루프(31), 훅(32))로 고정시킨 경우에,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10)의 양단 부분을 연속된 하변(12b)으로서 고정시키는 대략 八자형의 기준선(13a)을 가진다. 이와 같이, 기재(10)의 양단 부분을 연속된 하변(12b)으로서 고정시킴으로써, 루프(31)와 훅(32)의 접촉 면적을 넓혀 고정력을 높임과 동시에, 돌출부(12) 및 만곡부(13)에서의 기재(10)의 신축 방향이 전복부(前腹部)로부터 측복부(側腹部)에 걸쳐 위쪽을 향하고, 복부를 아래쪽에서 밀어 올려 복강(203)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준선(13a)은 장식 자수로 봉제하고 있지만, 표시가 될 수 있는 것이면, 이 심(seam)(재봉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대략 八자형의 기준선(13a)을 기준으로 하여 돌출부(12)를 하부 측(즉, 착용자의 하복부 측)으로 만곡되도록 굴곡시켜, 고정부인 면파스너(30)(루프(31), 훅(32))로 고정시키면, 착용자의 착용 후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만곡부(13)가 좌우의 측단부(13b)에서 대략 八자형이 된다.
여기서, 경편은, 세로 방향(편직 방향)에 코를 만들어 가고, 1개씩 평행으로 배열된 수많은 날실(정(整)날실)을 사용하고, 이것을 각각 결합시켜 편지를 만든다.
결합 방법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대표적인 것으로서, 인접한 날실끼리를 서로 얽히게 하면서 전체적으로 편지를 만드는 방법이나, 날실의 각각 1개씩으로, 독립된 많은 쇄편(鎖編)을 만들고, 이에 대하여 별도로 준비한 다른 한 세트의 날실을 삽입하여, 쇄편의 몇 개씩을 한데 모으면서 가로 방향으로 연락(連絡)하여, 전체적으로 편지를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경편은 쉽게 풀리지 않고, 가로 방향(편직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신장이 작은데다가, 생산성이 높고, 편직 폭이 큰 등의 특징이 있다.
기재(10)는, 경편 원단을 사용함으로써, 서포터(100)에 원하는 신축성을 부여하고, 서포터(10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원단을 재단해도 편사(編絲)가 잘린 부분에서 풀리는 일은 없고, 자유로운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 기재(10)는, 경편 원단을 사용함으로써, 인접하는 편사 사이의 간극에 존재하는 공기층에 의해 서포터(100)의 보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기재(10)는, 1장의 경편 원단으로 재단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원단에 의한 이음매가 없고, 형태의 붕괴나 굴곡이 쉽게 생기지 않는데다가, 수축성이 우수한 경편 원단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의 요철을 따라 착용자의 허리의 움직임(골반 및 등뼈의 움직임에 의한 몸의 굽힘, 젖힘 및 뒤틀림)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기재(10)를 경편 원단이 아니라, 긴 직사각형의 복수의 직물을 이어 맞추어 기재(10)를 봉제하는 경우에는, 직물이 날실과 씨실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상하로 직교하여 구성되는 직조직이므로,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신축성이 없고, 착용자의 신체에 꼭 맞기(적합하기) 어렵다.
또, 복수 장의 경편 원단을 이어 맞추어 기재(10)를 봉제하는 경우에는, 기재(10) 전체적으로 장력이 없고, 신장에 통일성이 없는데다가, 인접하는 경편 원단의 이음매에서 쉽게 굴곡되고, 이음매가 넓어져 관통 구멍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 복수 장의 경편 원단을 이어 맞추어 기재(1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경편 원단의 이음매의 봉제 부분에서, 경편 원단을 중첩시키게 되어, 서포터(100)가 두꺼워지고, 서포터(100)의 중량 증가를 초래하여, 서포터(100)의 착용감을 해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기재(10)는, 1장의 경편 원단으로 재단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재(10)는, 경편 원단을 편성하는 날실로서, 부드럽고 흡한 및 속건성이 우수한 드라론(Dralon)사의 건식 아크릴 섬유 "드라론"(등록상표)과 면의 혼방사인 "드라론면혼"을 사용하고 있다. 이 드라론면혼은, 건식 아크릴 섬유가, 빈즈 단면에 의한 간극을 발생시키기 쉬운 구조이며, 착용자의 체온으로 따뜻해진 공기를 축적하는 퀼팅과 같은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수습성(收濕性)이 우수한 천연 섬유인 면소재가, 착용자의 피부에 부드럽고 유연하며, 땀을 흡수하여 서포터(100)(기재(10))의 촉감을 좋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서포터(1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2의 (b) 내지 도 2의 (d)에서는, 서포터(100)의 기재(10)의 신축 방향을 화살표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허리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5개의 뼈가 겹겹이 쌓인 요추(201)와 골반(20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요추(201)는, 복부에 있는 측복근 및 후복근 등의 복근군이나 등 부분에 있는 천배근(淺背筋) 및 심배근(深背筋) 등의 배근군에 지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요통을 완화하려면, 외부에서 허리 주위를 유지하고,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부를 아래쪽에서 밀어올려 복강(203)의 압력을 높여, 요추(201)를 지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복강압 상승 효과).
또, 정확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요추(201)를 안정시킨 것도 되며,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부에 가장 부담이 가는 후굴의 움직임을 억제함으로써, 요추(201)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후굴 억제).
또, 양 측면 측에서 장골(腸骨)(205)에 압력을 더하여 천장 관절(206)을 긴장시킴으로써, 요추(201)의 토대인 선골(仙骨)(204)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천장 관절의 안정).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서포터(100)는, 등지지부(11) 및 돌출부(12)의 경계 근방을 대략 八자형으로 만곡시키는 만곡부(13)를 구비한다. 이로써, 착용자가 서포터(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10)의 등지지부(11)가 착용자의 등 부분에서의 요추(201)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기재(10)의 만곡부(13)(양단 부분의 상변(12a))가 착용자의 측복부에서의 늑골(제12 늑골)(207)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하방(장골(205)근방)에 위치하고, 기재(10)의 돌출부(12)가 착용자의 앞복부에서의 늑골(제12 늑골)(207)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즉, 기재(10)의 등지지부(11)가 착용자의 요추(201)를 지지하면서, 기재(10)의 돌출부(12)가 늑골(207)에 방해받지 않고 복강(203)을 가압할 수 있어, 착용자에게 복강압 상승 효과를 부여하는 동시에, 요부의 후굴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서포터(100)는, 기재(10)의 돌출부(12)가 착용자의 전복부에서의 늑골(제12 늑골)(207)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에 위치하고, 늑골(207)을 가압하지 않기 때문에, 요부의 전굴의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아, 전굴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일상 동작에 지장 없음) 동시에, 착용자의 위(胃)를 가압하지 않기 때문에, 위에의 압박감이 없고, 서포터(100)의 장착감이 양호하다.
특히, 서포터(100)는, 길이 방향(L)의 신축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폭 방향(S)의 신축성을 억제한 기재(10)를 사용한다. 이로써, 도 2의 (b) 및 도 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10)의 신축력이 화살표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복부를 아래쪽으로부터 밀어올리고, 늑골(207) 내부의 내장을 또한 밀어올려, 내 장에 가한 압력을 등뼈에 전파하여, 등뼈를 내측에서도 지지함으로써, 복강압 상승 효과 및 후굴 억제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기재(10)의 좌우의 만곡부(13)는, 좌우의 측단부(13b) 측에서 장골(腸骨)(205)를 가압하여, 천장 관절(206)을 긴장시켜 천장 관절(206)을 안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서포터(1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인 면파스너(30)(루프(31), 훅(32))로 고정시킨 경우에, 기재(10)의 상변에 따른 주위 방향(H1)의 길이가 기재(10)의 하변에 따른 주위 방향(H2)의 길이보다 짧아서, 늑골(제12 늑골)(207)에 대응하는 부분의 아래쪽에서부터 골반(202)에 대응하는 부분에 걸쳐,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정면에서 볼 때는 좌우의 측단부(13b)에서 대략 八자형)이 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서포터(100)는, 원통형의 서포터와 비교하여, 착용자 허리의 형상에 맞게 골반(202)에 지지되게 되므로, 착용자의 허리의 움직임에 따르는 서포터(100)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여성의 골반(202)은, 남성의 골반(202)과 비교하여, 가로로 넓고 세로가 짧은 구조이다. 그러므로, 여성용의 서포터(100)는, 골반(202)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위하기 위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12)의 최상단의 위치를 등지지부(11)의 상변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로 하고, 같은 사이즈의 남성용(예를 들면, 도 1의 서포터(100)와 비교하여, 등지지부(11)에서 돌출부(12)의 선단까지의 길이를 길게 하고, 등지지부(11)의 하변과 돌출부(12)의 하변이 이루는 각 α2(>α1)를 크게 하여, 테이퍼각 θ2(>θ1)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에서의 등지지부(11)의 하변과 돌출부(12)의 하변이 이루는 각 α1은, 14°∼18°의 범위에 있다. 그리고, 이 이루는 각 α1의 범위에 대응하는 서포터(100)에서는, 대략 八자형의 기준선(13a)을 기준으로 하여 돌출부(12)를 아래쪽으로 만곡되도록 굴곡시켜, 고정부인 면파스너(30)로 고정시키면, 테이퍼각 θ1이 5°∼7°의 범위에 대응하는 서포터(100)가 된다.
또, 예를 들면, 도 4에서의 등지지부(11)의 하변과 돌출부(12)의 하변이 이루는 각 α2는 18°∼20°의 범위에 있다. 그리고, 이 이루는 각 α2의 범위에 대응하는 서포터(100)에서는, 대략 八자형의 기준선(13a)을 기준으로 하여 돌출부(12)를 아래쪽으로 만곡되도록 굴곡시켜, 고정부인 면파스너(30)로 고정시키면, 테이퍼각 θ2가 7°∼9°의 범위에 대응하는 서포터(100)가 된다.
여기서, 경도를 변화시키는 액체를 함침시킨 편사로 경편 원단을 편직하고, 경편 원단의 편직 방향을 서포터(100)의 길이 방향(L)으로 하여, 1장의 경편 원단에 의해 서포터(100)(실시예 1: 경도가 낮은 타입, 실시예 2: 경도가 높은 타입)을 제작했다. 그리고, 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서포터(100)에 대하여, 스트레치 테스터(stretch testers)(인장 하중: 4.5kg)에 의해, 신장율(잡아늘였을 때의 길이(신장 치수)와 원래 길이(그대로 두었을 때의 길이, 즉 방치 치수)의 차의, 원래 길이에 대한 백분율)를 측정한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낸다. 그리고, 실시예 1은, 수지 농도 20%의 액체를 함침시킨 편사에 의한 남성용의 서포터(100)이며, 실시예 2는, 수지 농도 25%의 액체를 함침시킨 편사에 의한 여성용의 서포터(100)이다.
실시예 측정 부위 방치 치수
[cm]
신장 치수
[cm]
신장율
[%]

1
양단 부분에 있는 면파스너의 꿰맨 선 사이(전체 길이에서 면파스너 부분을 제외한 영역) 길이 방향(L)
64.5

103.0

59.69

등지지부의 상변 및 하변 사이(폭(중심 길이)) 폭 방향(S)

17.0

17.0

0.00

2
양단 부분에 있는 면파스너의 꿰맨 선 사이(전체 길이에서 면파스너 부분을 제외한 영역) 길이 방향(L)
75.5

114.0

50.99

등지지부의 상변 및 하변 사이(폭(중심 길이)) 폭 방향(S)

16.0

16.0

0.00
표 1에 의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서포터(100)는, 길이 방향(L)의 신축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서포터(100)의 폭 방향(S)의 신축성을 억제(비신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1(길이 방향(L)의 신장율: 59.69%)에 따른 서포터(100)를 착용한 남성 피험자 및 실시예 2(길이 방향(L)의 신장율: 50.99%)에 따른 서포터(100)를 착용한 여성 피험자 모두, 장착감은 양호하였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서포터(100)의 작용 효과를 검증한 결과를 설명한다.
실험에서는, 피험자(27세 건강상태 정상인 성인 남성, 신장 172cm, 체중 58kg)의 허리에, 실시예 1에 따른 서포터(100)를 착용시켰을 경우(이하, 착용시라고 함)와 착용시키지 않는 경우(이하, 비착용시라고 함)에, 체간(體幹)의 전굴에서의 손가락끝과 바닥과의 거리(도 6의 (a)), 측굴에서의 손가락끝과 바닥과의 거리 및 각도(도 6의 (b)), 및 후굴에서의 각도(도 6의 (c))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측정 결과를 아래의 표 2 및 도 7 및 도 8에 나타낸다.
측정 내용 비착용시 착용시
전굴 거리 [cm] -9.0 -8.5
측굴
거리 [cm] -4.0 -43
각도 [°] 49.01 39.67
후굴 각도 [°] 46.4 43.9
표 2 및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포터(100)의 착용시는, 비착용시와 비교하여, 전굴에서의 손가락끝과 바닥과의 거리에 큰 차이는 없지만, 측굴에서의 손가락끝과 바닥과의 거리가 길어져, 측굴 및 후굴에서의 각도가 작아졌음을 알 수 있다.
즉, 서포터(100)는, 착용자의 전굴의 가동역을 제한하지 않고(비착용시와 같은 정도), 착용자의 측굴 및 후굴의 가동역을 제한하며, 요부에 가장 부담이 가는 후굴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
도 9의 (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서포터의 안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의 (b)는 도 9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겉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의 (c)는 도 9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하측면도이며, 도 9의 (d)는 도 9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9에서, 도 1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돌출부(12)는, 고정부인 면파스너(30)(루프(31), 훅(32))로 고정시킨 경우에, 착용자의 복강(203)을 가압하는 영역에 설치되고, 기재(10)의 길이 방향(L)의 신축성을 억제한 가압부(40)를 구비한다. 이 가압부(40)는, 예를 들면, 기재(10)에 수지를 도포하여 부착, 부착 또는 불어 부착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압부(40)는, 도 9의 (a)의 안감면에 나타낸 도면에서의 가압부(40) 및 훅(32)의 전체 형상이, 도 9의 (b)의 겉감면에 나타낸 도면에서의 루프(31)의 전체 형상과 대략 대칭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훅(32)에 연속하여 기재(10)의 동일면에 설치된다.
또, 면파스너(30)(루프(31), 훅(32))는 신축성을 갖지 않는 부재이므로, 가압부(40)와 함께, 기재(10)의 길이 방향(L)의 신축성을 억제하게 된다.
특히, 면파스너(30)의 훅(32)은 신축성을 갖지 않는 부재이므로, 가압부(40)를 설치해야 할 영역에도 훅(32)을 설치하여, 가압부(40)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가압부(40)를 훅(32)과 공용시켜도 된다).
그리고,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12)에 가압부(40)을 새롭게 설치하는 점만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이며, 후술하는 가압부(40)에 의한 작용 효과 이외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압부(40)는, 기재(10)의 길이 방향(L)의 신축성을 억제함으로써, 착용자의 복강(203)에 가하는 압력이 기재(10)의 신장에 의해 기재(10)의 길이 방향(L)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복강(203)에 대하여 압력을 집중하여 가할 수 있어 전술한 복강압 상승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
도 10의 (a)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서포터의 안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의 (b)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서포터의 안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서, 도 1의 (a)와 같은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등지지부(11)는 상변(11a) 및 하변(11b) 사이를 횡단하는, 재봉선, 덧대어 꿰매기 또는 접착 심지에 의해 형성되고, 기재(10)의 폭 방향(S)에서의 등지지부(11)의 굴곡을 억제한 지지부(11c)를 구비한다.
그리고, 재봉선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부(11c)는, 기재(10)에 대하여, 예를 들면, 바늘이 2개 또는 바늘이 3개인 재봉틀에 의한 재봉선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또, 덧대어 꿰매기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부(11c)는, 기재(10)에 대하여, 보강할 목적으로 별도로 덧대는 천(덧천) 등을 덧대어 봉제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또, 접착 심지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부(11c)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틸렌계(고밀도, 저밀도) 또는 에틸렌초산비닐계 등의 종류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 수지를, 도트(dot) 가공, 파우더(powder) 가공, 거미줄(spider web) 가공 또는 필름(film) 가공 등의 가공 방법에 따라 기재(10)에 도포하고, 플랫형(flat type) 프레스기, 롤러형(roller type) 프레스기 등에 의해 가열 및 가압 처리를 행하여, 원단에 수지를 고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등지지부(11)에 지지부(11c)를 새롭게 설치하는 점만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이며, 후술하는 지지부(11c)에 의한 작용 효과 이외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서포터(100)에서는, 등지지부(11)가 지지부(11c)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요부의 만곡을 따른 등지지부(11)의 곡면을 유지하면서, 기재(10)의 폭 방향(S)에서의 등지지부(11)의 굴곡을 억제하여, 등지지부(11)의 걷어올려짐을 방지하고, 착용자의 요부에 서포터(100)을 밀착시킬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도 10의 (a) 또는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11c)가 등지지부(11)의 상변(11a) 및 하변(11b) 사이를 비스듬히 횡단함으로써, 기재(10)의 길이 방향(L)의 신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등지지부(11)는, 면파스너(30)에 의해 기재(10)의 길이 방향(L)의 신축성이 억제된 돌출부(12)와 함께, 등지지부(11)와 면파스너가 설치된 돌출부(12)의 일부와의 사이에서의 길이 방향(L)에 신축성을 부여한 기재(10)에 대하여, 앵커(anchor)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부(11c)는, 기재(10)의 폭 방향(S)에서의 등지지부(11)의 굴곡을 억제하는 것이면,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개수, 위치, 크기 및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기재(10)(등지지부(11))의 재질,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
도 10의 (c)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서포터의 안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서포터의 등지지 대향부를 이루는 편조직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0의 (c)에서, 도 1의 (a)와 같은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수납부(50)는, 기재(10)의 등지지부(11)에 봉제한 주머니 형태의 물건을 넣어 두는 것이며, 예를 들면, 등지지부(11)를 보강하기 위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편 등의 스테이나 회로 등의 부속품을 넣는 것이다. 도 10(c)에서는, 수납부(50)를 안감면에 설치하고 있지만, 겉감면에 설치해도 된다. 또, 수납부(50)에 회로(懷爐, 품에 품고 다닐 수 있는 작은 화로)를 수납하는 용도의 경우에는, 등지지부(11) 이외의 돌출부(12)에도 수납부(50)를 설치해도 되고, 수납부(50)를 복수의 장소에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납부(50)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를 수납하는 것으로서,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10)의 등지지부(11)에 대응하는 형상의 천 또는 편지(이하, 등지지 대향부(51)라고 함)의 일부를 절제해 단면을 봉제함으로써 회로의 삽입구(52)로 하고, 기재(10)의 등지지부(11)에 등지지 대향부(51)을 맞대어, 기준선(13a)을 겸하여 주위를 봉제하여 형성한다. 특히, 등지지 대향부(51)의 상변 및 하변은, 기재(10)의 가장자리(자른 부분)와 함께, 바인더 테이프(20)로 끼워넣어 꿰매도 된다.
또, 등지지 대향부(51)를 경편지로 한 경우에는, 등지지 대향부(51)를 편성하는 편기로서 크로슈(cloche) 경편기를 사용하고, 골(wale)(W)을 구성하는 경편사(51a)와 코스 C 방향으로 주행하는 삽입 씨실로 편성되는 경편지에 슬릿(52a)을 형성하여, 이 슬릿(52a)을 삽입구(52)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골(W3) 및 제4 골(W4) 사이이며, 제4 코스(C4)∼제9 코스(C9)에서, 슬릿(52a)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편성한다.
도 11에 나타낸 경편지는, 제4 코스(C4)∼제9 코스(C9)에서의 3개의 골((제1 골(W1), 제2 골(W2), 제3 골(W3))의 사슬코를 연결하기 위해 제1 골(W1) 및 제3 골(W3)에서 제1 삽입 씨실(51b)의 되돌림 단부가 형성되고, 제4 코스(C4)∼제9 코스 (C9)에서의 3개의 골(제4 골(W4), 제5 골(W5), 제6 골(W6))의 사슬코를 연결하기 위해 제4 골(W4) 및 제6 골(W6)에서 제2 삽입 씨실(51c)의 되돌림 단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낸 경편지는, 제3 골(W3) 및 제4 골(W4)에서의, 제1 코스(C1)와 제2 코스(C2) 사이, 제2 코스(C2)와 제3 코스(C3) 사이, 제9 코스(C9)와 제10 코스(C10) 사이, 및 제10 코스(C10)와 제11 코스(C11) 사이에서, 제1 삽입 씨실(51b)과 제2 삽입 씨실(51c)이 중첩된다.
이와 같이, 등지지 대향부(51)를 경편지로 하고, 경편지에 슬릿(52a)을 형성하여, 삽입구(52)로 함으로써, 삽입구(52)가 되는 단면을 절제하는 공정과 단면을 봉제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삽입구(52)의 제조 공정수 및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등지지부(11)에 수납부(50)를 새롭게 설치하는 점만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이며, 후술하는 수납부(50)에 의한 작용 효과 이외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납부(50)는, 착용자의 요구에 따른 부속품을 수용할 수 있고, 서포터(100)의 편리성을 높인 것이며, 특히, 스테이를 수납하는 경우에는, 등지지부(11)의 경도 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경편 원단의 편직 방향을 서포터(100)의 길이 방향(L)으로 한 기재(10)를 사용함으로써, 신축성을 가지는 날실을 사용하지 않고, 길이 방향(L)의 신축성을 부여하고 있지만, 신축성을 가지는 날실을 사용해도 된다.
또,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서포터(100)는, 허리용의 서포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복부용 서포터, 골반용 서포터, 또는 장골용 서포터 등의 서포터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10: 기재
11: 등지지부
11a: 상변
11b: 하변
11c: 지지부
12: 돌출부
12a: 상변
12b: 하변
13: 만곡부
13a: 기준선
13b: 측단부
20: 바인더 테이프
30: 면파스너
31: 루프
32: 훅
40: 가압부
50: 수납부
51: 등지지 대향부
51a: 경편사
51b: 제1 삽입 씨실
51c: 제2 삽입 씨실
52: 삽입구
52a: 슬릿
100: 서포터
201: 요추
202: 골반
203: 복강
204: 선골
205: 장골
206: 천장 관절
207: 늑골
L: 길이 방향
S: 폭 방향

Claims (7)

  1. 경편에 의한 편직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편직 원단의 편직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길이 방향의 신축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폭 방향의 신축성을 억제한 기재로 이루어지는 서포터로서,
    상기 기재의 중앙 부분인 등지지부;
    상기 등지지부의 양쪽으로 이루어지는 양단 부분이 위쪽으로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등지지부 및 돌출부의 경계 근방을 대략 八자형으로 만곡시키는 만곡부
    를 포함하는 서포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양단 부분의 상이한 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이한 면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시킨 경우에, 상기 기재의 상변에 따른 주위 방향의 길이가 상기 기재의 하변에 따른 주위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서포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양단 부분의 상변을 만곡형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서포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양단 부분의 상이한 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이한 면을 고정시키는 면파스너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양단 부분의 하변을 상기 상변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면파스너로 고정시킨 경우에, 상기 만곡부가, 상기 양단 부분을 연속된 하변으로서 고정시키는 대략 八자형의 기준선을 구비하는, 서포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고정부로 고정시킨 경우에, 상기 착용자의 복강을 가압하는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기재의 길이 방향의 신축성을 억제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서포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지지부가, 상변 및 하변 사이를 횡단하는, 재봉선, 덧대어 꿰매기 또는 접착 심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기재의 폭 방향에서의 등지지부의 굴곡을 억제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서포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1장의 경편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서포터.
KR1020127028116A 2010-07-23 2011-07-22 서포터 KR101634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66029 2010-07-23
JP2010166029 2010-07-23
PCT/JP2011/066653 WO2012011550A1 (ja) 2010-07-23 2011-07-22 サポー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575A true KR20130089575A (ko) 2013-08-12
KR101634762B1 KR101634762B1 (ko) 2016-06-29

Family

ID=45496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116A KR101634762B1 (ko) 2010-07-23 2011-07-22 서포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402758B2 (ko)
EP (1) EP2596711B1 (ko)
JP (1) JP5656234B2 (ko)
KR (1) KR101634762B1 (ko)
CN (1) CN103052329B (ko)
ES (1) ES2709575T3 (ko)
HK (1) HK1179833A1 (ko)
SG (1) SG187169A1 (ko)
TW (1) TWI516253B (ko)
WO (1) WO20120115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968A (ko) * 2015-08-31 2017-03-08 서상구 허리보호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50844S (en) 2013-02-27 2013-09-16 Kobayashi Pharmaceutical Co Disposal body warmer
US20150165246A1 (en) * 2013-12-17 2015-06-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ip pad with offset angle
US20150165247A1 (en) * 2013-12-17 2015-06-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ip pad with thermoformed layer
US9161854B2 (en) 2014-03-03 2015-10-20 Thinking Tiger, Llc Postpartum abdominal support
USD752233S1 (en) 2014-03-03 2016-03-22 Thinking Tiger, Llc Postpartum abdominal support
JP1541684S (ko) * 2015-06-26 2016-01-18
US20170143065A1 (en) * 2015-11-23 2017-05-25 Han A Reum Outstandingly elastic headwear
US10966851B2 (en) 2016-08-09 2021-04-06 Ossur Iceland Ehf Orthopedic device
EP3496673B1 (en) 2016-08-09 2020-12-30 Össur Iceland EHF Orthopedic device
JP6994708B2 (ja) * 2016-11-30 2022-01-14 興和株式会社 サポーター
JP7118388B2 (ja) * 2017-07-25 2022-08-16 明治 岩上 骨盤ベルトと押圧矯正器具との組み合わせからなる骨盤矯正用具
CN107467730A (zh) * 2017-09-28 2017-12-15 江苏阳光毛纺服装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护具可拆卸的裤子
USD872285S1 (en) * 2017-11-17 2020-01-07 Ossur Iceland Ehf Lumbar support
USD863567S1 (en) 2017-11-27 2019-10-15 Ossur Iceland Ehf Orthopedic device
USD891623S1 (en) 2017-12-05 2020-07-28 Ossur Iceland Ehf Hinge
CN108837484A (zh) * 2018-08-27 2018-11-20 北京万博汇佳科贸有限公司 一种快粘式护具
USD910858S1 (en) * 2018-12-27 2021-02-16 Hyper Ice, Inc. Back brace with heating and vibration
RU194109U1 (ru) * 2019-06-07 2019-11-28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Московское протезно-ортопедическое предприятие» Министерства труда и социальной защит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Бандаж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пущения органов брюшной полости и малого таза
CN110331511A (zh) * 2019-07-24 2019-10-15 青岛威达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薄荷纤维加中空聚酯纤维服装面料
JP2021028428A (ja) * 2019-08-09 2021-02-25 株式会社アイリス 身体着用具
USD875261S1 (en) * 2019-09-24 2020-02-11 Jinhua Liu Waist belt
USD947389S1 (en) * 2019-10-29 2022-03-29 The New Genius (Sz) Technology Co., Limited Belt
USD937428S1 (en) * 2019-12-12 2021-11-30 Hoi Ming Michael HO Multi-functional back relief belt
USD884199S1 (en) * 2020-01-16 2020-05-12 Goldman International Limited Pelvis support belt
USD884198S1 (en) * 2020-01-16 2020-05-12 Goldman International Limited Postpartum belly wrap
USD884200S1 (en) * 2020-01-16 2020-05-12 Goldman International Limited Postpartum belly wrap
CA3189901A1 (en) 2020-08-19 2022-02-24 Dave Madden Sacroiliac orthosis
USD920523S1 (en) * 2020-09-17 2021-05-25 Humboldt Technology (Hk) Limited Waist belt
EP4267049A1 (en) 2020-12-28 2023-11-01 Ossur Iceland Ehf Sleeve and method for use with orthopedic device
USD973212S1 (en) * 2021-03-09 2022-12-20 Keaworld Pte Ltd. Pelvis belt
US20230292865A1 (en) * 2022-03-17 2023-09-21 FISIOLINK S.r.l.s. Waist belt and clothing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725A (ko) * 1993-07-28 1995-02-16 츠카모토 요시타카 요부보호용 의류
KR200163988Y1 (ko) * 1999-07-06 2000-02-15 김광천 허리보호및교정용복대
JP2003105615A (ja) 2001-09-28 2003-04-09 Tookoo Eizai Kk 吸汗拡散性に優れたバンド状衣類
KR20080005135U (ko) * 2008-10-14 2008-11-04 김영수 허리보호대
KR200447430Y1 (ko) * 2009-04-23 2010-01-25 정덕필 허리 가압복대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0008A (en) * 1974-08-08 1975-11-18 Ira S Lehman Support belt
JPS5395208U (ko) 1976-12-31 1978-08-03
JPS55103204U (ko) 1979-01-12 1980-07-18
US4836194A (en) * 1986-08-29 1989-06-06 Safeguard Industrial Corporation Therapeutic lumbosacral appliance
US5111806A (en) * 1991-08-01 1992-05-12 Champion Ergonomics, Inc. Support belt with color indicator
JPH0678943A (ja) * 1992-09-04 1994-03-22 Arukea Kk 腰部帯
US5388274A (en) * 1993-08-06 1995-02-14 Depuy Inc. Power belt for heavy lifting
US5505692A (en) * 1994-06-27 1996-04-09 Johnson & Johnson Professional, Inc. Conformable polyurethane casting tape
JPH08191850A (ja) 1995-01-18 1996-07-30 Gunze Ltd 腰部用サポーター
JPH09192152A (ja) 1996-01-17 1997-07-29 Yamamoto Kogaku Kk 腰部支持ベルト
US5628721A (en) * 1996-03-29 1997-05-13 Royce Medical Company Back support assembly having an inflatable air cushion
US5785672A (en) 1997-05-20 1998-07-28 Core Products International, Inc. Lumbosacral support belts and method
US6319217B1 (en) 1999-03-10 2001-11-20 Bsn Medical, Inc. Custom-fitting lumbosacral support pad
JP3453082B2 (ja) * 1999-03-25 2003-10-06 株式会社セイホウ 腰椎ベルト
CN1376453A (zh) * 2002-01-30 2002-10-30 周林生 弹性护腰
JP3953868B2 (ja) 2002-04-08 2007-08-08 株式会社ワコール 腰保護具
JP2004100117A (ja) * 2002-09-12 2004-04-02 Morito Co Ltd 経編地
US7364558B2 (en) * 2002-10-18 2008-04-29 Beiersdorf, Inc. Back support panel with convex surfaces for muscle support
JP4589653B2 (ja) * 2004-05-06 2010-12-01 株式会社ワコール 衣料
JP2009240738A (ja) * 2008-04-01 2009-10-22 Alcare Co Ltd 腰部固定帯
CN201727931U (zh) * 2010-05-20 2011-02-02 彪仕医技股份有限公司 具有弹性及透气功能的护具
CN202800141U (zh) * 2012-07-09 2013-03-20 皇甫华丰 束腰腰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725A (ko) * 1993-07-28 1995-02-16 츠카모토 요시타카 요부보호용 의류
KR200163988Y1 (ko) * 1999-07-06 2000-02-15 김광천 허리보호및교정용복대
JP2003105615A (ja) 2001-09-28 2003-04-09 Tookoo Eizai Kk 吸汗拡散性に優れたバンド状衣類
KR20080005135U (ko) * 2008-10-14 2008-11-04 김영수 허리보호대
KR200447430Y1 (ko) * 2009-04-23 2010-01-25 정덕필 허리 가압복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968A (ko) * 2015-08-31 2017-03-08 서상구 허리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2011550A1 (ja) 2013-09-09
TW201208655A (en) 2012-03-01
US9402758B2 (en) 2016-08-02
EP2596711A4 (en) 2017-10-04
EP2596711B1 (en) 2019-01-16
CN103052329B (zh) 2015-08-19
JP5656234B2 (ja) 2015-01-21
KR101634762B1 (ko) 2016-06-29
SG187169A1 (en) 2013-02-28
WO2012011550A1 (ja) 2012-01-26
TWI516253B (zh) 2016-01-11
US20130116609A1 (en) 2013-05-09
HK1179833A1 (zh) 2013-10-11
CN103052329A (zh) 2013-04-17
ES2709575T3 (es) 2019-04-16
EP2596711A1 (en)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9575A (ko) 서포터
KR101894346B1 (ko) 서포터
KR101798347B1 (ko) 조정가능한 편물 부분을 갖는 편물 구성요소
CN106659578B (zh) 护具
WO2019140704A1 (zh) 孕妇腰腹支撑带
TWI702010B (zh) 下半身衣料
US20050115282A1 (en) Seamless knit garments
JPWO2020066740A1 (ja) 下衣
JP6018673B2 (ja) サポーター
JP3215192U (ja) ポケット付きパンツ
JPS62240092A (ja) 部分的に強度が相違する芯地を使用した身体用支持具
JP2022030429A (ja) ベビーキャリア
JP2022111243A (ja) パンツ
JP2006161205A (ja) 補整芯材挿入用管状テープ
JP2018064696A (ja) ウエストベルト用メッシュ生地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