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0527A - 버튼 키 어셈블리, 조작 패널,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버튼 키 어셈블리, 조작 패널,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0527A
KR20130070527A KR1020120142568A KR20120142568A KR20130070527A KR 20130070527 A KR20130070527 A KR 20130070527A KR 1020120142568 A KR1020120142568 A KR 1020120142568A KR 20120142568 A KR20120142568 A KR 20120142568A KR 20130070527 A KR20130070527 A KR 20130070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key
button
substrate
keys
ke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7374B1 (ko
Inventor
도모오 미야가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0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01H13/807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characterised by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contact sites, e.g. superimposed 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6Return force
    • H01H2221/044Elastic part on actuator o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4Actuators connected by flexible we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6Modular concep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3/00Key modules
    • H01H2233/002Key modules joined to form button rows
    • H01H2233/004One molded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5/00Springs
    • H01H2235/006Elastic arms producing non linear counter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버튼 키 어셈블리, 버튼 키 어셈블리를 갖는 조작 패널, 및 조작 패널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버튼 키 어셈블리는, 복수의 버튼 키를 탄성 암 부재를 통하여 틀 부재에 의해 지지하는 복수의 버튼 키 유닛을 포개어 구성된다. 복수의 버튼 키 유닛 중 하나는, 탄성 암 부재를 통하여 버튼 키를 지지 가능한 폭을 갖는 지지 공간과, 지지 공간 내의 탄성 암 부재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지지 공간보다 좁은 폭을 갖는 빈 공간을 포함한다. 빈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키 유닛에 포개지는 다른 버튼 키 유닛의 버튼 키가 배치된다. 본 개시에 의하면, 복수의 버튼 키를 좁은 간격으로 조작 패널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버튼 키 어셈블리, 조작 패널, 및 화상 형성 장치{BUTTON KEY ASSEMBLY, OPERATING PANEL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개시는, 버튼 키 어셈블리, 상기 버튼 키 어셈블리를 갖는 조작 패널, 및 상기 조작 패널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 등에는, 장치의 각종 기능의 설정 등을 행하기 위해서 조작 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패널에는, 장치의 동작이나 설정의 상태 등을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나, 각종 기능의 설정 등을 행하는 복수의 버튼 키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패널에는 이들 버튼 키를 배치한 버튼 키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버튼 키 어셈블리로서는, 동일한 높이로 횡방향으로 늘어놓은 복수의 버튼 키를 수지 재료로 형성한 암 부재를 통하여 틀 부재에 접속하여 일체화한 것이나, 혹은, 단독의 버튼 키를 개개로 배치하거나 한 것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버튼 키 어셈블리에서는, 인접하는 버튼 키 간에 탄성 암 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버튼 키 간의 피치를 작게 하는 것이 어렵고, 조작 패널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 단독의 버튼 키를 개개로 배치하면, 부재 점수나 조립 작업의 공정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장치의 비용 절감을 도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와 관련된 버튼 키 어셈블리는 복수의 버튼 키 유닛을 구비한다. 복수의 버튼 키 유닛의 각각의 버튼 키 유닛은 복수의 버튼 키와 틀 부재를 포함한다. 복수의 버튼 키는 조작 패널에 설치되는 기판 상의 복수의 스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다. 틀 부재는 탄성 암 부재를 통하여 각 버튼 키를 지지한다. 버튼 키 어셈블리는 복수의 버튼 키 유닛을 포개어 구성된다. 복수의 버튼 키 유닛 중 하나의 버튼 키 유닛은, 탄성 암 부재를 통하여 버튼 키를 지지 가능한 폭을 갖는 지지 공간과, 상기 지지 공간 내의 탄성 암 부재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지지 공간보다 좁은 폭을 갖는 빈 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빈 공간에는, 하나의 버튼 키 유닛에 포개지는 다른 버튼 키 유닛의 버튼 키가 배치된다.
본 개시와 관련된 조작 패널은, 상기한 버튼 키 어셈블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와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한 조작 패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복수의 버튼 키를 좁은 간격으로 조작 패널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버튼 키 어셈블리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버튼 키 어셈블리를 구비한 조작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버튼 키 어셈블리에 있어서의 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버튼 키 어셈블리에 있어서의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버튼 키 어셈블리에 있어서의 제1 버튼 키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버튼 키 어셈블리에 있어서의 제1 버튼 키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버튼 키 어셈블리에 있어서의 제1 버튼 키 유닛의 이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버튼 키 어셈블리에 있어서의 제2 버튼 키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버튼 키 어셈블리에 있어서의 제2 버튼 키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버튼 키 어셈블리에 있어서의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버튼 키 어셈블리에 있어서의 커버의 이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버튼 키 어셈블리에 있어서 기판에 제1 버튼 키 유닛을 포갠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버튼 키 어셈블리에 있어서 기판에 제1 버튼 키 유닛 및 제2 버튼 키 유닛을 포갠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 1~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안쪽, 앞쪽, 및 좌우의 방향은, 편의상, 화상 형성 장치(1)를 정면에서 본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버튼 키 어셈블리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의 좌측 비스듬한 하방이 화상 형성 장치(1)의 정면이 된다. 이 화상 형성 장치(1)는, 화상을 형성하는 본체 장치(2)와, 본체 장치(2)의 하방에 연결되는 적재형의 급지 유닛(3)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장치(2)의 상면 측에는, 중앙에, 급지 유닛(3)으로부터 본체 장치(2)에 반송되어 인쇄된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지부(4)가 설치된다. 또, 화상 형성 장치(1)의 앞쪽 모서리부에, 화상 형성 장치(1)의 각종 기능의 설정 등을 행하기 위한 조작 패널(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급지 유닛(3)이 1단만 나타내어져 있지만, 급지 유닛(3)은 본체 장치(2)의 하방에 복수단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조작 패널(5)의 안쪽에는, 화상 형성 장치(1)의 동작이나 설정의 상태 등을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6)가, 정면을 향해 경사져 설치되어 있다. 또, 조작 패널(5)에는, 표시부(6)의 앞쪽에, 원형의 오목부(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7)의 내외에 각각 화상 형성 장치(1)의 기능의 설정 등을 행하는 복수의 각종 버튼 키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경우, 오목부(7)의 내측에는, 중앙 안쪽에, 직사각형 형상의 상하 좌우 조작 키(8)가 배치되어 있다. 이 상하 좌우 조작 키(8)의 좌측에,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2개의 제1 버튼 키(9, 10)가 2단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하 좌우 조작 키(8)의 우측에, 상하 좌우 조작 키(8)보다 작은 직사각형 형상의 제2 버튼 키(11)가 배치되어 있다. 또, 오목부(7)의 내측에는, 상하 좌우 조작 키(8)의 앞쪽에, 0~9의 숫자 키나 #등의 기호 키 등의 13개의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제3 버튼 키(12)가 4단 4열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7)의 외측에는, 표시부(6)의 앞쪽 좌측에, 원 형상의 메뉴 키(13)가 배치되고, 표시부(6)의 앞쪽 우측에 원 형상의 캔슬 키(14)가 배치되어 있다. 메뉴 키(13)와 캔슬 키(14)의 사이에, 2개의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제2 버튼(15, 16)이 좌우에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5)은, 기판(17)(도 3 참조)과, 기판(17) 상에 포개지는 제1 버튼 키 유닛(18)(도 5 참조)과, 제1 버튼 키 유닛(18) 상에 포개지는 제2 버튼 키 유닛(19)(도 8 참조)으로 이루어지는 버튼 키 어셈블리를 갖고 있다. 이 버튼 키 어셈블리는, 본체 장치(1)의 앞쪽에 형성된 커버(20)(도 2 참조)에 의해 덮여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기판(17) 상에는, 안쪽에 상기 표시부(6)가 부착되어 있고, 그 앞쪽에, 복수의 각종 스위치류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류 중, 표시부(6)의 근접 위치에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는 4개의 대략 직방체 형상의 택트 스위치(21)는, 각각, 메뉴 키(13), 제2 버튼 키(15, 16), 캔슬 키(14)(도 2 참조)에 대응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 거의 중앙에 마름모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4개의 대략 직방체 형상의 택트 스위치(22)는 상하 좌우 조작 키(8)(도 2 참조)에 대응된다. 택트 스위치(22)의 좌우 및 앞쪽에 좌우 4열로 배치되어 있는 16개의 대략 직방체 형상의 택트 스위치(23)는, 제1 버튼 키(9, 10), 제2 버튼 키(11) 및 제3 버튼 키(12)(도 2 참조)에 각각 대응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우단의 택트 스위치(21)의 앞쪽에 대략 원주 형상의 버저(24)가 배치되어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17)에는, 제1 버튼 키 유닛(18)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구멍(82, 83)과, 기판(17)을 커버(20)에 나사로 고정하기 위한 설치 구멍(84, 85, 86, 87)이 형성되어 있다. 설치 구멍(84)은 나사와 거의 동일 직경의 둥근 구멍이며, 설치 구멍(85, 86, 87)은 나사의 직경보다 큰 구멍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제1 버튼 키 유닛(18)은, 기판(17) 상의 상기 복수의 스위치류에 대응된 위치에 설치되는 버튼 키(8, 9, 12, 13, 15, 16)를, 탄성 암 부재(25)를 통하여 지지하는 틀 부재(26)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 암 부재(25)는, 틀 부재(26)와 일체로 형성되고, S자 형상 등으로 굴곡되어 있다. 틀 부재(26)는, 수지제의 패널로 나누어지고,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틀 부재(26)의 중앙에는, 상하 좌우 조작 키(8) 및 상측의 제1 버튼 키(9)를 위한 제1 지지 공간(2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 공간(27)에 있어서, 상하 좌우 조작 키(8)는, 그 안쪽 측면에 접속된 2개의 탄성 암 부재(25)와, 좌우 측면에 각각 접속된 탄성 암 부재(25)를 통하여 틀 부재(26)에 지지된다. 제1 버튼 키(9)는, 그 안쪽 측면 및 앞쪽 측면에 각각 접속된 탄성 암 부재(25)를 통하여, 틀 부재(26)에 지지되어 있다. 또, 제1 버튼 키(9)의 앞쪽의 탄성 암 부재(25)가 배치되는 제1 지지 공간(27)의 부분에 인접하여, 제1 빈 공간(2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빈 공간(28)의 폭 d1은 제1 지지 공간(27)의 제1 버튼 키(9)를 지지하는 공간의 폭 D1보다 좁아져 있다.
틀 부재(26)의 안쪽의 제1 지지 공간(27)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메뉴 키(13) 및 좌우의 제2 버튼 키(15, 16)를 위한 제2 지지 공간(29)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지지 공간(29)에 있어서, 메뉴 키(13)는, 그 안쪽 측면 및 좌측 측면에 각각 접속된 탄성 암 부재(25)를 통하여 틀 부재(26)에 지지된다. 좌측의 제2 버튼 키(15)는, 그 안쪽 측면 및 우측 측면에 각각 접속된 탄성 암 부재(25)를 통하여 틀 부재(26)에 지지된다. 우측의 제2 버튼 키(16)는, 그 안쪽 측면 및 앞쪽 측면에 각각 접속된 탄성 암 부재(25)를 통하여 틀 부재(26)에 지지되어 있다. 또, 좌측의 제2 버튼 키(15)와 우측의 제2 버튼 키(16)의 사이에는, 칸막이 부재(30)가 구비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30) 상에, 제1 돌기부(31)가 형성되어 있다.
틀 부재(26)의 앞쪽의 제1 지지 공간(27)에 인접하여, 1단째의 4개의 제3 버튼 키(12)를 위한 제3 지지 공간(32)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지지 공간(32)에 있어서, 각 제3 버튼 키(12)는, 그 안쪽 측면 및 앞쪽 측면에 각각 접속된 탄성 암 부재(25)를 통하여, 틀 부재(26)에 지지되어 있다. 가장 좌측의 제3 버튼 키(12)와 왼쪽으로부터 2열째의 제3 버튼 키(12)의 사이 및, 왼쪽으로부터 2열째의 제3 버튼 키(12)와 왼쪽으로부터 3열째의 제3 버튼 키(12)의 사이에는, 각각, 칸막이 부재(33, 34)가 설치되어 있다. 왼쪽으로부터 2열째의 제3 버튼 키(12)와 왼쪽으로부터 3열째의 제3 버튼 키(12)의 사이의 칸막이 부재(34) 상에는, 제2 돌기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3 지지 공간(32)의 앞쪽의 좌우 모서리부의 틀 부재(26) 상에는, 각각 제3 돌기부(36) 및 제4 돌기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제3 버튼 키(12)의 앞쪽의 탄성 암 부재(25)측에서, 제3 지지 공간(32)에 인접하여, 제2 빈 공간(38)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빈 공간(38)의 폭 d2는 제3 지지 공간의 폭 D2보다 좁아져 있다. 또, 제2 빈 공간(38)은, 제3 지지 공간(32)의 칸막이 부재(34)를 앞쪽으로 연장한 선 상에 형성된 칸막이 부재(39)에 의해, 좌우로 분할되어 있다.
제2 빈 공간(38)의 앞쪽의 틀 부재(26)에 인접하여, 3단째의 3개의 제3 버튼 키(12)를 위한 제4 지지 공간(40)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제3 버튼 키(12)는, 그 안쪽 측면 및 앞쪽 측면에 각각 접속된 탄성 암 부재(25)를 통하여, 틀 부재(26)에 지지되어 있다. 왼쪽으로부터 2열째의 제3 버튼 키(12)와 왼쪽으로부터 3열째의 제3 버튼 키(12)의 사이에는, 칸막이 부재(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칸막이 부재(41)는, 제2 빈 공간(38)의 칸막이 부재(39)를 앞쪽으로 연장한 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상하 좌우 조작 키(8)의 이면 측에는, 외주 측면(42)에 의해 오목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외주 측면(42)의 안쪽 측면 및 앞쪽 측면의 하면에는, 각각 2개씩, 각편(脚片)(44)이 대향하도록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 오목부(43)에는, 각 택트 스위치(22)에 대응하도록, 돌기편(45)이 마름모꼴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단의 제1 버튼 키(9), 제3 버튼 키(12), 메뉴 키(13), 및 좌우의 제2 버튼 키(15, 16) 각각의 이면 측에는, 좌우로 대향하도록 각편(44)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각편(44)의 사이에는 각각의 택트 스위치(21, 23)에 대응되도록, 돌기편(45)이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제2 버튼 키 유닛(19)은, 기판(17) 상의 상기 복수의 스위치류에 대응된 위치에 배치되는 버튼 키(10, 11, 12)를, 탄성 암 부재(47)를 통하여 지지하는 틀 부재(46)를 구비하고 있다. 틀 부재(46)는 수지제의 패널로 나누어지고,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틀 부재(46)에는, 커버(20)의 형상으로 합치되도록, 우측으로부터 앞쪽에 걸쳐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부분(48)이 형성되어 있다. 또, 탄성 암 부재(47)는, 틀 부재(46)와 일체로 형성되고, S자 형상 등으로 굴곡되어 있다.
틀 부재(46)의 중앙 안쪽에는, 제1 버튼 키 유닛(18)의 틀 부재(26)에 지지되는 상하 좌우 조작 키(8)를 배치하기 위한 제3 빈 공간(4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3 빈 공간(49)의 좌측에는 제1 버튼 키(10)를 위한 제4 지지 공간(50)이 형성되어 있다. 제3 빈 공간(49)의 우측에는 제2 버튼 키(11)를 위한 제5 지지 공간(51)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지지 공간(50)에 있어서, 제1 버튼 키(10)는, 그 안쪽 측면 및 앞쪽 측면에 각각 접속된 탄성 암 부재(47)를 통하여, 틀 부재(46)에 지지된다. 또, 제5 지지 공간(51)에 있어서, 제2 버튼 키(11)는, 그 안쪽 측면 및 앞쪽 측면에 각각 접속된 탄성 암 부재(47)를 통하여, 틀 부재(46)에 지지되어 있다.
틀 부재(46)의 제3 빈 공간(49)과 제4 및 제5 지지 공간(50, 51)에 인접하여, 제4 빈 공간(52)이 형성되어 있다. 제3 빈 공간(49)과 제4 빈 공간(52)의 사이의 틀 부재(46)에는, 제1 버튼 키 유닛(18)의 제2 돌기부(35)에 대응하는 위치에, 원통 형상의 제1 구멍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구멍부(53)에, 제2 돌기부(35)를 끼워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틀 부재(46)의 제4 빈 공간(52)의 앞쪽에는, 2단째의 4개의 제3 버튼 키(12)를 위한 제6 지지 공간(5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6 지지 공간(54)에 있어서, 각 제3 버튼 키(12)는, 그 안쪽 측면 및 앞쪽 측면에 각각 접속된 탄성 암 부재(47)를 통하여, 틀 부재(46)에 지지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빈 공간(52)의 폭 d3은 제6 지지 공간(54)의 폭 D3보다 좁아져 있다. 제4 빈 공간(52)과 제6 지지 공간(54) 사이의 틀 부재(46)의 좌우 양 모서리부에는, 제1 버튼 키 유닛(18)의 제3 돌기부(36) 및 제4 돌기부(37)에 대응하는 위치에 원통 형상의 제2 구멍부(55) 및 제3 구멍부(5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 구멍부(55) 및 제3 구멍부(56)에, 제3 돌기부(36) 및 제4 돌기부(37)를 각각 끼워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제3 버튼 키(12)의 앞쪽에서 제6 지지 공간(54)에 인접하여, 제5 빈 공간(57)이 형성되어 있다. 제5 빈 공간(57)의 폭 d4는 제6 지지 공간의 폭 D3보다 좁아져 있다. 또, 제5 빈 공간(57)은 칸막이 부재(58)에 의해 좌우로 분할되어 있다.
제5 빈 공간(57)의 앞쪽의 틀 부재(46)에는, 4단째의 좌우 2개의 제3 버튼 키(12)를 위한 제7 지지 공간(59)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제3 버튼 키(12)는, 그 안쪽 측면 및 앞쪽 측면에 각각 접속된 탄성 암 부재(47)를 통하여, 틀 부재(46)에 지지되어 있다. 좌우의 제3 버튼 키(12)의 사이에는, 제5 빈 공간(57)의 칸막이 부재(58)를 앞쪽으로 연장한 선 상에 칸막이 부재(6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칸막이 부재(60)의 앞쪽 단부에는, 원통 형상의 제4 구멍부(61)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제1 버튼 키(10), 제2 버튼 키(11) 및 제3 버튼 키(12) 각각의 이면 측에는, 좌우로 대향하도록 각편(62)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각편(62)의 사이에는 각각의 택트 스위치(23)에 대응되도록, 돌기편(63)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10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커버(20)는, 평면에서 볼 때 가로로 긴 대략 장방형을 이룬다. 커버(20)의 좌우 앞쪽의 모서리부는 각각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커버(20)의 우측에는, 조작 패널(5)의 버튼 키 어셈블리를 덮도록, 조작 패널 커버(64)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패널 커버(64)의 안쪽은 표시부(6)를 덮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정면측 경사 부분(65)에,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7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조작 패널 커버(64)의 정면측 경사 부분(65)보다 앞쪽에서 오목부(7)의 외측의 부분에는, 메뉴 키(13), 캔슬 키(14), 및 제2 버튼 키(15, 16)가 여유있게 삽입 가능한(insertable with a play) 개구부(66, 67, 68, 6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 패널부(64)의 오목부(7)의 내측에는, 상하 좌우 조작 키(8), 제1 버튼 키(9, 10), 제2 버튼 키(11), 및 제3 버튼 키(12)가 여유있게 삽입 가능한 개구부(70, 71, 72, 7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커버(20)의 이면 측에는, 제1 버튼 유닛(18)의 제1 돌기부(31)에 대응된 위치에, 원통 형상의 걸어맞춤 오목부(74)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2 버튼 유닛(19)의 제1~제4 구멍부(53, 55, 56, 61)에 대응된 위치에, 각각 걸어맞춤 돌출부(75, 76, 77, 78)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 기판(17)의 설치 구멍(84, 85, 86, 87)에 대응하여, 나사 구멍이 형성된 보스(88)가 4개소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구비한 조작 패널(5)을 조립하는 경우, 먼저, 도 4에 나타내는 기판(17) 상의 위치 결정 구멍(82, 83)에, 도 7에 나타내는 제1 버튼 키 유닛(18)의 제1· 제2 돌기부(31, 35)를 삽입하여 포갠다. 위치 결정 구멍(82)은 제2 돌기부(35)와 동일 직경의 둥근 구멍이며, 위치 결정 구멍(83)은 제1 돌기부(31)의 직경과 같은 폭의 긴 구멍이다. 포갬에 의해, 틀 부재(26)의 하단은 기판(17) 상에 맞닿는다. 그리고 상하 좌우 조작 키(8), 상단의 제1 버튼 키(9), 제3 버튼 키(12), 메뉴 키(13), 및 좌우의 제2 버튼 키(15, 16)의 각 각편(44)의 하단은 기판(17)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한다. 이 결과, 제1 버튼 키 유닛(18)은, 각 각편(44)의 사이의 돌기편(45)이 각각의 택트 스위치(21, 22, 23) 상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자세로, 기판(17) 상에 지지된다.
이로 인해, 도 12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3개의 택트 스위치(21) 상에, 각각, 메뉴 키(13) 및 제2 버튼 키(15, 16)가 배치된다. 마름모꼴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택트 스위치(22) 상에, 상하 좌우 조작 키(8)가 배치된다. 8개의 택트 스위치(23) 상에, 각각, 상측의 제1 버튼 키(9), 1단째의 4개의 제3 버튼 키(12) 및 3단째의 3개의 제3 버튼 키(12)가 배치된다. 또, 제1 빈 공간(28)에, 하측의 제1 버튼 키(10)를 위한 택트 스위치(23)가 배치된다. 제2 빈 공간(38)에, 2단째의 4개의 제3 버튼 키(12)를 위한 택트 스위치(23)가 배치된다. 또한, 제1 버튼 키 유닛(18)보다 오른쪽 외측에는, 안쪽으로부터 앞쪽으로 순서대로, 택트 스위치(21), 버저(24), 택트 스위치(23)가 배치된다. 제1 버튼 키 유닛(18)보다 앞쪽 외측에는, 택트 스위치(23)가 좌우로 병렬로 배치된다.
다음에, 제1 버튼 키 유닛(18)의 돌기부와 제2 버튼 키 유닛(19)의 구멍부를 끼워맞추고, 제1 버튼 키 유닛(18) 상에 제2 버튼 키 유닛(19)을 포갠다. 구체적으로는, 제2 돌기부(35)에 제1 구멍부(53)를 끼워맞추고, 제3 돌기부(36) 및 제4 돌기부(37)에 각각 제2 구멍부(55) 및 제3 구멍부(56)를 끼워맞추고, 제1 버튼 키 유닛(18) 상에 제2 버튼 키 유닛(19)을 포갠다. 그러면, 틀 부재(26)의 상단과 틀 부재(46)의 하단이 복수 개소에서 맞닿는다. 그리고도 8에 나타내는 제1 버튼 키(10), 제2 버튼 키(11), 및 제3 버튼 키(12)의 각 각편(62)의 하단은 기판(17)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한다. 이 결과, 제2 버튼 키 유닛(19)은, 각 각편(62)의 사이의 돌기편(63)이 각각의 택트 스위치(23) 상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자세로, 기판(17) 및 제1 버튼 키 유닛(18) 상에 지지된다.
이로 인해, 도 13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기판(17)의 8개의 택트 스위치(23) 상에, 각각, 제2 버튼 키 유닛(19)의 제1 버튼 키(10), 제2 버튼 키(11)와 2단째의 4개의 제3 버튼 키(12) 및 4단째의 2개의 제3 버튼 키(12)가 배치된다. 또, 제2 버튼 키 유닛(19)의 빈 공간에 제1 버튼 키 유닛(18)의 조작 키 또는 버튼 키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3 빈 공간(49)에 상하 좌우 조작 키(8)가 배치된다. 제4 빈 공간(52) 및 그 좌방의 공간(80)에 1단째의 4개의 제3 버튼 키(12)가 배치된다. 제5 빈 공간(57) 및 그 좌방의 공간(81)에 3단째의 3개의 제3 버튼 키(12)가 배치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버튼 키 어셈블리를 커버(20)로 덮으면, 도 5에 나타내는 제1 버튼 키 유닛(18)의 제1 돌기부(31)는 도 11에 나타내는 커버(20)의 걸어맞춤 오목부(74)에 끼워맞춰진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기판(17)의 설치 구멍(84)에 나사를 삽입하고, 대응되는 도 11에 나타내는 보스(88)와 체결한다. 설치 구멍(84)은 나사와 동일 직경이기 때문에, 보스(88)에 대해서 기판(17)이 위치 결정된다. 그때에 걸어맞춤 오목부(74)와 보스(88)에, 걸어맞춤 오목부(74)와 보스(88)의 걸어맞춤 방향으로 교차하는 평면 방향의 상대 치수 공차가 있어도, 위치 결정 구멍(83)이 긴 구멍이기 때문에, 제1 돌기부(31)에 대해서 기판(17)이 어긋나 오차가 흡수된다. 또, 제1 돌기부(31)가 커버(20)의 오목부(74)에서 위치 결정되고, 돌기부(35)가 기판(17)의 위치 결정 구멍(82)에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위치 및 자세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6)가 개구부로부터 노출되고, 오목부(7)의 내측에서는, 상하 좌우 조작 키(8), 제1 버튼 키(9, 10), 제2 버튼 키(11), 및 제3 버튼 키(12)는 각각 개구부(70, 71, 72, 7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오목부(7)의 외측에서는, 메뉴 키(13), 캔슬 키(14), 및 제2 버튼 키(15, 16)는, 각각 개구부(66, 67, 68, 69)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이때, 캔슬 키(14)는 독립하여 지지되고, 도 10에 나타내는 개구부(67)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또, 상기의 조립 작업은, 커버(20)에 대해서 제2 버튼 키 유닛(19)을 부착하고, 그 위에 제1 버튼 키 유닛(18)을 부착하고, 또한 기판(17)을 부착하는 순서로 행하는 등, 그 이외의 순서도 포함하여 변경이 가능하다.
그 후, 오목부(7) 상에는, 각종 버튼 키의 설명서(도시 생략)가 올려짐과 더불어, 상기 설명서 상에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제의 시트(도시 생략)가 올려진다. 이들 설명서 및 시트는, 오목부(7)의 내주를 따라서 끼워넣어지는 둥근 환상의 링(도시 생략)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버튼 키 어셈블리에 의하면, 제1 버튼 키 유닛(18)에 제2 버튼 키 유닛(19)을 포개고, 버튼 키의 지지 공간보다 폭이 좁은 빈 공간에 버튼 키가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1 버튼 키 유닛(18)의 탄성 암 부재(25)와 제2 버튼 키 유닛(19)의 탄성 암 부재(47)는 상하 방향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므로, 상하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의 오버랩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버튼 키의 피치를 작게 할 수 있고, 배치 면적을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패널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버튼 키의 피치가 작아도, 개개의 탄성 암 부재를 설치하는 평면 공간이나, 버튼 키와 스위치류의 이간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눌려진 버튼 키가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스위치류와 원활히 접촉하여, 조작성이나 기능성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2개의 버튼 키 유닛을 포개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본 개시는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3개 이상의 버튼 키 유닛을 중합하는 구성에도 본 개시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한 실시의 형태의 설명은, 본 개시와 관련된 버튼 키 어셈블리에 있어서의 적합한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틀 부재의 형상이나 버튼 키의 배치 등에 있어서,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 가지의 한정을 부여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단, 본 개시의 기술 범위는, 특별히 본 개시를 한정하는 기재가 없는 한, 이들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는 적절히, 기존의 구성 요소 등과의 치환이 가능하고, 또한, 다른 기존의 구성 요소와의 조합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의 변화가 가능하다. 상기한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의 기재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개시의 내용은 한정되지 않는다.
1: 화상 형성 장치 5: 조작 패널
8: 상하 좌우 조작 키 9, 10: 제1 버튼 키
11: 제2 버튼 키 12: 제3 버튼 키
13: 메뉴 키 14: 캔슬 키
15, 16: 제2 버튼 키 17: 기판
18: 제1 버튼 키 유닛 19: 제2 버튼 키 유닛
20: 커버 21, 22, 23: 택트 스위치
25: 탄성 암 부재 26: 틀 부재
27: 제1 지지 공간 28: 제1 빈 공간
29: 제2 지지 공간 32: 제3 지지 공간
38: 제2 빈 공간 40: 제4 지지 공간
46: 틀 부재 47: 탄성 암 부재
49: 제3 빈 공간 51: 제5 지지 공간
52: 제4 빈 공간 54: 제6 지지 공간
57: 제5 빈 공간 59: 제7 지지 공간
70, 71, 72, 73, 79: 개구부
82, 83: 위치 결정 구멍(위치 결정부) 20a~20c: 키
24a~24c: 조작부측 키 구멍
25a, 25c: 끼워맞춤 돌기(조작부측 걸어맞춤부)
30: 플랫 케이블(전선)

Claims (8)

  1. 복수의 버튼 키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버튼 키 유닛의 각각의 버튼 키 유닛이,
    조작 패널에 설치되는 기판 상의 복수의 스위치에 대응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버튼 키와, 탄성 암 부재를 통하여 상기 각 버튼 키를 지지하는 틀 부재를 포함하는 버튼 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버튼 키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의 버튼 키 유닛을 포개어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버튼 키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키 유닛은, 상기 탄성 암 부재를 통하여 상기 버튼 키를 지지 가능한 폭을 갖는 지지 공간과, 상기 지지 공간 내의 상기 탄성 암 부재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공간보다 좁은 폭을 갖는 빈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빈 공간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키 유닛에 포개지는 다른 버튼 키 유닛의 버튼 키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키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른 버튼 키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키 유닛에 끼워맞춰지는 제1 끼워맞춤부와, 상기 조작 패널 및/또는 상기 기판과 끼워맞춰지는 제2 끼워맞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키 어셈블리.
  3.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한 커버와,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도록 복수의 버튼 키를, 탄성 암 부재를 통하여 지지하는 틀 부재를 구비한 복수의 버튼 키 유닛과,
    상기 버튼 키가 눌러짐으로써 작동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기판을 포함하는 조작 패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키 유닛은, 상기 커버와 상기 기판의 사이에서 서로 포개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패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키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키 유닛에 포개지는 다른 버튼 키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키 유닛에 끼워맞춰지는 제1 끼워맞춤부와, 상기 조작 패널 및/또는 상기 기판과 끼워맞춰지는 제2 끼워맞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패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키 유닛은, 상기 커버와 끼워맞춰져 위치 결정되는 제3 끼워맞춤부와 상기 기판과 끼워맞춰져 위치 결정되는 제4 끼워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기판은 상기 커버에 대해서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패널.
  6.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한 커버와,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도록 복수의 버튼 키를, 탄성 암 부재를 통하여 지지하는 틀 부재를 구비한 복수의 버튼 키 유닛과,
    상기 버튼 키가 눌러짐으로써 작동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기판을 포함하는 조작 패널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키 유닛은, 상기 커버와 상기 기판의 사이에서 서로 포개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키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키 유닛에 포개지는 다른 버튼 키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키 유닛에 끼워맞춰지는 제1 끼워맞춤부와, 상기 조작 패널 및/또는 상기 기판과 끼워맞춰지는 제2 끼워맞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버튼 키 유닛은, 상기 커버와 끼워맞춰져 위치 결정되는 제3 끼워맞춤부와 상기 기판과 끼워맞춰져 위치 결정되는 제4 끼워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기판은 상기 커버에 대해서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20142568A 2011-12-19 2012-12-10 버튼 키 어셈블리, 조작 패널,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397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76685A JP5526116B2 (ja) 2011-12-19 2011-12-19 操作パネルのボタンキー構造及び操作パネル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1-276685 2011-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527A true KR20130070527A (ko) 2013-06-27
KR101397374B1 KR101397374B1 (ko) 2014-05-19

Family

ID=47594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568A KR101397374B1 (ko) 2011-12-19 2012-12-10 버튼 키 어셈블리, 조작 패널,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56293B2 (ko)
EP (1) EP2608237B1 (ko)
JP (1) JP5526116B2 (ko)
KR (1) KR101397374B1 (ko)
CN (1) CN1031653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99825A (zh) * 2013-07-19 2015-01-21 新巨企业股份有限公司 一体射出制作的键帽平板模块
US9713274B2 (en) * 2013-09-18 2017-07-18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CN105990064B (zh) * 2015-01-28 2018-04-13 新巨企业股份有限公司 薄型键盘的指令触发结构
DE102015101496B3 (de) * 2015-02-03 2016-06-16 Zippy Technology Corp. Flache befehlsansteuerungsstruktur für eine tastatur
JP6337821B2 (ja) * 2015-04-06 2018-06-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
US10674023B2 (en) * 2015-07-30 2020-06-0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n operation apparatus with a button disposed on the side
JP6732415B2 (ja) * 2015-07-30 2020-07-29 キヤノン株式会社 操作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7079197A (ja) * 2015-10-22 2017-04-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信号伝送路及び信号処理装置
JP2017185756A (ja) * 2016-04-08 2017-10-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
JP2020064750A (ja) 2018-10-17 2020-04-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操作パネル及び画像形成装置
JP7103288B2 (ja) * 2019-03-25 2022-07-20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ボタンのヒンジ構造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8818A (ja) * 1993-01-11 1994-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連結キー
JPH10294044A (ja) * 1997-04-21 1998-11-04 Kansei Corp スイッチボタン取付構造
TW446616B (en) * 1999-01-27 2001-07-21 Taisei Plastics Co Ltd Control panel having sheet-formed pushbutton uni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TW507929U (en) * 2001-11-22 2002-10-21 High Tech Comp Corp Pressing control button device
DE10203400C1 (de) * 2002-01-29 2003-06-18 Siemens Ag Tastaturanordnung
JP2004006168A (ja) * 2002-06-03 2004-01-08 Pioneer Electronic Corp 押しボタン構造
CN2689309Y (zh) * 2003-07-17 2005-03-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盘驱动器面板
TW200725023A (en) * 2005-12-16 2007-07-01 Innolux Display Corp Flat panel display
TWI301284B (en) * 2006-03-10 2008-09-21 Hon Hai Prec Ind Co Ltd Button assembly and electronic product employing the same
DE102006034850B3 (de) * 2006-07-27 2007-11-08 Siemens Home And Office Communication Devices Gmbh & Co. Kg Frontblende mit Tastenleiste
JP2008153169A (ja) * 2006-12-20 2008-07-03 Yamaha Corp 電子機器のパネル操作子構造
JP5004715B2 (ja) * 2007-08-10 2012-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KR20090106255A (ko) * 2008-04-04 2009-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버튼어셈블리
JP4560569B2 (ja) * 2008-06-26 2010-10-13 株式会社沖データ ボタンキー構造及び電子機器装置
JP4850888B2 (ja) * 2008-11-12 2012-01-11 株式会社沖データ ボタンキー構造、及び電子機器
CN101872691B (zh) * 2009-04-21 2013-05-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按键组件及具有该按键组件的便携式电子装置
CN102054610B (zh) * 2009-10-29 2013-11-1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按键及其制造方法
JP2012114020A (ja) * 2010-11-26 2012-06-14 Ricoh Co Ltd キー構造、そのキー構造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65323B (zh) 2015-12-02
EP2608237B1 (en) 2017-11-22
EP2608237A1 (en) 2013-06-26
US20130154939A1 (en) 2013-06-20
JP2013127895A (ja) 2013-06-27
US9256293B2 (en) 2016-02-09
CN103165323A (zh) 2013-06-19
KR101397374B1 (ko) 2014-05-19
JP5526116B2 (ja)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374B1 (ko) 버튼 키 어셈블리, 조작 패널, 및 화상 형성 장치
US8618429B2 (en) Keypad assembly, and image forming device and data processor incorporating the same
JP4861502B1 (ja) テレビ、電子機器
JP2013102420A (ja) 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JP2013092731A (ja) 操作部ユニットの取付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US9131608B2 (en) Waterproof type electronic apparatus
JP2012038265A (ja) タッチパネル用ユニット枠およびタッチパネルユニット
JP2008027631A (ja) 操作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6173710B2 (ja) 電子機器
JP3568933B2 (ja) メニュー表示装置
US8760590B2 (en) Attachment structure for control key unit
JP3610428B2 (ja) 計器類の前面側構造
JP6274873B2 (ja) キーボード
JP6421703B2 (ja) 操作ユニットおよび遊技機
JP7465707B2 (ja) ボタン操作装置
JP6046456B2 (ja) ボタンスイッチ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0192275A (ja) 導光シートスイッチ
JP6115125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およびその押ボタンスイッチを備えた操作機器
JP2008102436A (ja) 薄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4362361B2 (ja) キーシート
JP4676379B2 (ja) キー装置
JP2006040047A (ja) キーボード装置
JP2009077328A (ja) 電話機
JP2008123907A (ja)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JP2004303617A (ja)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及び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