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114A - 가로로 오프셋될 수 있는 차량 시트 - Google Patents

가로로 오프셋될 수 있는 차량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114A
KR20130064114A KR1020137008064A KR20137008064A KR20130064114A KR 20130064114 A KR20130064114 A KR 20130064114A KR 1020137008064 A KR1020137008064 A KR 1020137008064A KR 20137008064 A KR20137008064 A KR 20137008064A KR 20130064114 A KR20130064114 A KR 20130064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rail
vehicle seat
relative
rail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0839B1 (ko
Inventor
볼프강 플루타
토마스 빈게르트
토마스 크리스토펠
Original Assignee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064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transvers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35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slide as a whole
    • B60N2/0737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slide as a whole the slide path being substantially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longitudinal
    • B60N2/074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slide as a whole the slide path being substantially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longitudinal rotated about the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35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slide as a whole
    • B60N2/0745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slide as a whole the slide path being cur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작 위치로부터 가로로 오프셋 된 끝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되돌아가도록 이동될 수 있는 차량 시트에 관한 것이며, 차량 시트는 시작 위치와 끝 위치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고, 제 1 하부 레일(10)에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제 1 상부 레일, 제 2 하부 레일(12)에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제 2 상부 레일(18), 및 하나 이상의 상부 레일(16, 18)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 쿠션(44)을 포함하고, 레일(10, 12, 16, 18)들에 대한 시트 쿠션(44)의 가로 운동은 제 2 상부 레일(18)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16)의 미리 정해진 전진 운동 및 그 후의 후진 운동 또는 제 2 상부 레일(18)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16)의 미리 정해진 후진 운동 및 그 후의 전진 운동 또는 제 2 상부 레일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의 미리 정해진 상대 전진 운동 또는 제 2 상부 레일(18)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16)의 미리 정해진 상대 후진 운동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가로로 오프셋될 수 있는 차량 시트 {VEHICLE SEAT WHICH CAN BE OFFSET LATERALLY}
본 발명은 가로로 변위 가능한 차량 시트에 관한 것이다.
레일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들이 일반적으로 공지되고, 이 레일 시스템에 의해 차량 시트는 이동 방향으로 뿐만 아니라 이동 방향의 반대로 길이방향 조정을 위해 변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이러한 레일 시스템은 이동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2 개의 하부 레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레일들은 차량 플로어에 체결된다. 하나의 각각의 하부 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2 개의 상부 레일들은 함께 시트 쉘을 운반한다.
횡 안내부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하위 구조가 DE 10 2008 012 376 A1 에 기재되고, 여기서 차량 시트는 횡 안내부에 의해 가로로 변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차량 시트 하위 구조는 공지된 방식으로 상기 하위 구조 아래에 배치되는 레일 쌍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레일 쌍들은 길이방향 안내부를 형성한다. 길이방향 안내부 및 횡 안내부는 이러한 경우 서로 독립적이다.
시트 부분 및 시트 하위 구조를 포함하는 시트가 DE 10 2006 037 344 A1 에 기재되고, 시트 부분은 시트 하위 구조에 대하여 횡 축선을 따라 변위 가능하고 횡 축선을 중심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피봇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변위 가능한 요소에는 차량에 고정되어 배치되는 하부 부분 및 상부 부분이 제공되고, 상기 변위 가능한 요소는 하위 구조의 부분을 형성한다. 전방으로의 피봇 운동과 함께, 횡 운동은 등받이를 앞으로 접음으로써 동작되고, 특히 짐칸 공간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DE 10 2006 022 732 A1 은 DE 10 2006 037 344 A1 과 유사한 시트를 나타내지만 피봇 운동을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타입의 차량 시트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갖는 차량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요지를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 시작 위치로부터 가로로 오프셋된 끝 위치로 그리고 다시 되돌아가도록 이동될 수 있는 차량 시트가 제공되고, 차량 시트는 시작 위치 및 끝 위치 모두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된다. 이러한 경우, 차량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대략적으로는 이동 방향으로 전방으로 배향된다. 이러한 경우 방향 정보는 이동의 정상 방향을 참조한다. 차량 시트는 하부 레일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레일 및 상부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 쿠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에 대한 시트 쿠션 및 따라서 차량 시트의 가로 운동은 상부 레일의 미리 정해진 전진 방향 및/또는 후진 방향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되고, 즉 상부 레일의 전진 운동 및/또는 후진 운동은 이 상부 레일에 비스듬하게,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 상부 레일에 직각으로 일어나는 시트 쿠션의 운동을 시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경우 시트 쿠션은 시트 구조물에 고정되고 하나 이상의 상부 레일에 대하여 받쳐지고 하나 이상의 상부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에 체결된다.
본 발명에 의해, 특히 2 개의 상부 레일들을 서로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배치하는 것이 제공된다. 서로에 대한 상부 레일들의 이러한 상대 변위성은 차량 시트의 가로 변위성을 위해 이용되며, 즉 평행하게 배치되는 차량 시트의 2 개의 상부 레일들의 상대 운동에 의해, 차량 시트의 가로 운동이 실행될 수 있다. 하지만, 차량 시트의 종래의 길이방향 조정은 2 개의 상부 레일들의 균일한 운동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르면 제 2 상부 레일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의 상대 운동에 의해, 상부 레일에 대하여 받쳐지는 지지부가 수직으로 연장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제 1 회전을 실행하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시트 쿠션이 따라서 동일한 회전을 실행한다. 제 2 단계에서, 제 2 회전 운동은 제 2 수직으로 연장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일어나서 시트 쿠션은 차례로 대응하는 회전을 실행한다. 이격된 축선들을 중심으로 하는 2 개의 회전들의 겹침에 의해, 시트 쿠션은 가로 방향으로, 즉 또는 횡 방향으로 변위된다. 제 2 상부 레일 상의 지지부가 제 1 축선을 중심으로 제 1 회전 방향으로 제 1 회전 운동을 실행하기 위해, 및 또한 제 1 축선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제 1 회전 방향의 반대인 제 2 회전 방향으로, 제 1 회전 운동 이후 시간 순서로(chronologically) 실행될 수 있는 제 2 회전 운동을 실행하기 위해 제 2 상부 레일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2 개의 축선들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차량 시트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향되기 때문에, 2 개의 회전 운동들에 의해 가로 변위가 이행될 수 있으며 이때 2 개의 상부 레일들은 동일한 높이에서의 시작 위치로부터 동일한 높이에서의 끝 위치로 이동되고, 처음 및 끝 위치들은 서로 대응한다. 이는 끝 위치에서 레일들의 길이방향 조정성의 전체 길이가 이용될 수 있고 최대 길이방향 조정성은 상이한 높이들에서의 상부 레일들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회전 운동들은 동일한 각도 범위를 갖지만 반대 방향들로 운행한다.
지지부는 바람직하게는 : 제 2 상부 레일에 체결되는 제 1 핀이 통과하여 돌출하는 제 1 리세스, 제 1 상부 레일에 체결되는 제 2 핀이 통과하여 돌출하는 제 2 리세스, 및 제 2 상부 레일에 체결되는 제 3 핀이 통과하여 돌출하는 제 3 리세스를 포함하고, 제 2 및 제 3 리세스들은 길이방향으로의 제 2 상부 레일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의 변위에 의해 지지부의 회전이 제 1 핀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트랙들로서 형성된다. 슬라이딩 블럭들로서 역할을 하는 대응하는 핀들 및 슬라이딩 트랙들로서 역할을 하는 리세스들을 제공함으로써, 상부 레일들 중 하나의 길이방향 조정에 의해 시행되는 회전 운동들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이행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제 2 및 제 3 리세스들은 길이방향으로의 제 2 상부 레일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의 후진 변위에 의해 제 3 핀의 중심 축선 주위로 지지부를 되돌아가도록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트랙들로서 구성된다.
회전 축선을 바꾸는 것에 의한 회전 운동들의 역전은 제 1 회전 운동의 끝에서의 제 1 리세스 내의 제 1 핀의 중심 축선의 끝 위치 및 제 2 회전 운동의 시작 전에 제 3 리세스 내의 제 3 핀의 중심 축선의 시작 위치에 의해 규정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잠금 메카니즘을 형성하는 바(bar)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보장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바는 그의 단부 구역들에서 각각의 경우 바의 변위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짧은 선형 구역을 갖는 곡선 트랙들을 갖고, 뿐만 아니라 각각의 경우 선형 방식으로 연장하는 상기 구역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2 개의 원형의 아치형 구역들을 갖고, 2 개의 원형 아치형 구역들은 각각의 경우 바의 상이한 측들 상에서 연장하고 선형 구역의 외부 단부로부터 제 2 선형 구역의 내부 단부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반경을 갖는다.
바에 대한 대안으로서, 2 개의 압축 스프링들에 의해 형성되는 잠금 메카니즘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압축 스프링들은 제 1 회전 운동 동안 처음에 제 1 리세스 내에 회전에 대하여 제 1 핀을 고착시키기 위해, 그리고 그 이후의 제 2 회전 운동 동안 제 3 리세스 내에 회전에 대하여 제 3 핀을 고착시키기 위해 2 개의 회전 운동들 동안 교대로 작용된다.
양쪽의 회전 운동들 동안 제 1 상부 레일이 제 1 하부 레일에 고정되는 것, 즉 제 2 상부 레일이 전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제 1 회전 운동 동안 제 2 상부 레일은, 차량 내의 차량 시트의 정상 배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제 2 하부 레일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고, 제 2 회전 운동 동안 다시 전방으로, 시작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변위 가능하고, 이러는 동안 차량 시트는 상이한 축선들을 중심으로 하는 2 개의 회전 운동들에 의해 가로로 변위 가능하다.
자연스럽게는, 제 1 회전 운동 동안 제 2 상부 레일이, 차량 내의 차량 시트의 정상 배향에 대하여, 전방으로 제 2 하부 레일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고, 제 2 회전 운동 동안 다시 후방으로, 시작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변위 가능하고, 이러는 동안 차량 시트는 상이한 축선들을 중심으로 하는 2 개의 회전 운동들에 의해 가로로 변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 운동은 2 개의 상부 레일들 중 하나의 간단한 전진 운동 또는 후진 운동에 의해 또한 시행될 수 있다. 이는 상당히 더 간단한 기하학적 형상 및 더 간단한 동작 순차의 이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경우 지지부는 상부 레일들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블럭들과 조합하여 슬롯형(slotted) 리세스들에 의해 형성되는 슬라이딩 트랙들에 의해 안내되고, 제 1 상부 레일 측의 슬라이딩 트랙(들)의 배향은 제 2 상부 레일 측의 슬라이딩 트랙(들)의 배향과 상이하며, 서로 대응하는 2 개의 슬라이딩 트랙들은 제 1 및/또는 제 2 상부 레일의 측에 형성되고 전체 3 개 이상의 슬라이딩 트랙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슬라이딩 트랙이 하나의 측에 제공되고 2 개의 슬라이딩 트랙들이 다른 측에 제공된다면 충분하지만, 각각의 경우 2 개의 슬라이딩 트랙들이 양쪽의 측들 상에 제공된다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트랙(들)은 상부 레일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상부 레일의 측에 배치된다. 다른 상부 레일 측의 슬라이딩 트랙(들)은 상부 레일에 비스듬하게, 바람직하게는 상부 레일의 길이방향에 30 내지 60°의 각도 범위로, 특히 상부 레일의 길이방향에 약 45°의 각도 범위로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모터가 바람직하게는 이동되는 상부 레일을 구동하기 위해 제공되며, 양쪽의 상부 레일들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각각의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어서, 예컨대 차량 시트의 길이방향 조정 동안이더라도 차량 시트의 가로 조정이 가능하다.
몇몇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후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제 1 회전이 일어난 이후 회전된 지지부를 갖는 도 1 에 나타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은 제 2 피봇 핀을 잠금해제 하기 위한 중간 단계 이후 회전된 지지부를 갖는 도 1 에 나타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는 가로로 변위된 끝 위치 내의 도 1 에 나타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는 사용의 정상 위치 내의 분해도로 나타낸 차량 시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은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은 제 1 회전이 일어난 이후 회전된 지지부를 갖는, 도 6 에 나타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 은 가로로 변위된 끝 위치 내의 도 6 에 나타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는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처음과 끝 위치들의 겹쳐진 도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 은 우측(시작 위치)의 측면에 배치되는 - 이동 방향으로 볼 때 - 위치 내의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의 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 은 좌측(끝 위치)의 측면으로 변위되는 위치 내의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 는 도 10 의 구조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 은 도 11 의 구조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 는 도 10 의 구조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 는 도 11 의 구조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 은 도 10 의 구조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 은 도 11 의 구조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 은 우측(시작 위치)으로의 측에 배치되는 - 이동 방향으로 볼 때 - 위치 내의 제 4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 는 도 18 의 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 은 제 1 중간 위치 내의 도 18 의 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 은 제 2 중간 위치 내의 도 18 의 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2 는 제 3 중간 위치 내의 도 18 의 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3 은 좌측으로의 측에 배치되는 끝 위치 내의 도 18 의 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의 구조가 나타나 있다. 제 1 하부 레일(10) 및 제 2 하부 레일(12)은 차량 플로어(차량 구조에 고정됨)에 서로 평행하게 체결된다. 제 1 상부 레일(16)이 제 1 하부 레일(10)에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유사하게, 제 2 상부 레일(18)은 제 2 하부 레일(12)에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하부 레일(10, 12)들에 대한 상부 레일(16, 18)들의 이동 방향은 길이방향으로서 나타낸다.
이러한 예에서, 길이방향은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도면들에서 길이 방향은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화살표(x)에 의해 나타낸다. 상부 레일(16, 18)들은 따라서 이동 방향으로 및 이동 방향에 반대로 변위 가능하다. 하부 레일(10, 12)들을 이동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또는 경사지게 배치하는 것을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부 레일(16, 18)들은 이동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또는 경사지게 변위 가능하다.
지지부(30)(시트 구조물에 고정됨)가 상부 레일(16, 18)들에 대하여 받쳐지고 이하에 설명되는 방식으로 상부 레일들 상에 장착된다. 시트 쿠션(44)이 지지부(30) 상에 장착된다. 지지부(30)는 이러한 예에서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그리고 수평으로) 연장하는, 횡 방향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면의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한다.
하부 레일(10, 12)들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16) 및 제 2 상부 레일(18)의 동시 발생적 변위에 의해, 지지부(30)는 길이방향으로 변위된다.
길이방향에 수직이고 횡 방향에 수직으로 운행하는 방향은 이후에 수직 방향으로 표시된다.
지지부(30)는 제 2 상부 레일(18)에 체결되는 제 1 핀(22)이 통과하여 돌출하는 제 1 리세스(32)를 포함하고, 제 1 리세스의 중심 축선은 제 1 회전 축선을 형성한다.
또한, 지지부(30)는 제 1 상부 레일(16)에 체결되는 제 2 핀(24)이 통과하여 슬라이딩 블럭으로서 돌출하는 슬라이딩 트랙의 형태의 제 2 리세스(34)를 포함한다. 제 2 리세스(34)는 이러한 예에서, 제 2 핀(24)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형 슬롯의 형태를 취한다. 제 2 리세스(34)는 횡 방향에 비스듬하게 또한 연장할 수 있다. 상이한 형상, 예컨대 곡선의 형상을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제 2 리세스(34)가 지지부(30)의 에지까지 연장하고, 이에 의해 제 2 핀(24)이 안내되는, 외측 방향으로 개방된 포크 형상 배치를 초래하는 것을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지지부(30)는 제 2 상부 레일(18)에 체결되는 제 3 핀(26)이 통과하여 슬라이딩 블럭으로서 돌출하는 슬라이딩 트랙의 형태의 제 3 리세스(36)를 또한 포함한다. 제 3 리스세(36)는 제 3 핀(26)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원형 단편(segment)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원형 단편의 반경은 피봇 핀(22)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제 3 핀(26)의 중심 축선까지의 거리에 대응한다.
지지부(30)는 제 1 상부 레일(16)에 체결되는 제 4 핀(28)이 통과하여 슬라이딩 블럭으로서 돌출하는 슬라이딩 트랙의 형태의 제 4 리세스(38)를 포함한다. 제 4 리세스(38)는 제 4 핀(28)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곡선의 슬롯의 형태를 취한다.
핀(22, 24, 26, 28)들의 중심 축선들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리세스(34, 36, 38)들은 길이방향으로의 제 2 상부 레일(18)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16)의 변위에 의해 제 1 핀(22)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지지부(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디자인된다. 이러한 경우, 회전 운동 동안, 제 1 핀(22)은 잠금 메카니즘(39)에 의해 궁형(arcuate) 곡선 트랙으로서 구성되는 리세스(32)의 하나의 단부에 정적인 방식으로 위치되고, 이러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제 2 상부 레일(18)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16)의 이러한 변위에 의해 도달되는 위치가 도 2 에 나타나 있다. 지지부(30)는 이러한 경우, 제 1 회전 축선을 형성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핀(22)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도 1 에 나타낸 위치에 대하여 회전을 받게 된다.
회전 운동이 일어난 이후 중간 단계에서, 제 1 핀(22)의 잠금은 해제되어 상기 핀은 제 1 리세스(32) 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잠금 장치(39)는 그의 제 1 끝 위치로부터 제 2 끝 위치로 이동되어, 이제 제 3 핀(26)은 현재의 끝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제 1 핀(22)은 제 1 리세스(32)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잠금 장치(39)는 제 1 회전 운동의 끝에서 제 1 리세스(32) 내의 제 1 핀(22)의 중심 축선의 끝 위치와 제 2 회전 운동의 시작 전에 제 3 리세스(36) 내의 제 3 핀(26)의 중심 축선의 시작 위치에 의해 규정되는 방향으로 지지부(30) 상에 형성되는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세장형(elongated) 바로서 존재한다. 곡선의 트랙들은 바의 단부 구역들에 제공되고, 상기 곡선의 트랙들은 각각의 경우 안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짧은 선형 구역 뿐만 아니라 각각의 경우 선형 방식으로 연장하는 상기 구역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2 개의 원형 아치형 구역들을 가지며, 2 개의 원형 아치형 구역들은 각각의 경우 바의 상이한 측들 상에서 연장하고 선형 구역의 외부 단부로부터 제 2 선형 구역의 내부 단부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반경을 갖는다.
제 2 회전 운동은 잠금 장치(39)의 해제 및 재잠금의 중간 단계에 후속한다. 이러한 제 2 회전 운동은 제 1 회전 운동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일어나고 제 1 회전 운동과 동일한 회전 각도에 걸쳐 실행된다.
본 경우에, 제 2 상부 레일(18)은 전체 운동 동안 제 2 하부 레일(12)에 대하여 동일한 상대 위치에 있다. 제 1 상부 레일(16)은 후방으로의 길이방향 변위의 형태로 제 1 회전 운동 동안 및 전방으로의 길이방향 변위의 형태로 제 2 회전 운동 동안 제 1 하부 레일(10)에 대한 그의 상대 위치를 바꾸며, 2 개의 길이방향 변위들의 절대 길이들은 서로 대응한다.
원리적으로, 변위는 차량 시트의 "정상" 길이방향 변위에 의해 겹쳐지는 것이 또한 자연스럽게는 가능하다.
차량 플로어에 배치되는 제 1 모터가 제 1 상부 레일(16)을 구동하기 위해 제공된다. 게다가, 또한 차량 플로어에 배치되는 제 2 모터가 제 2 상부 레일(18)을 구동하기 위해 제공된다. 모터들은, 예컨대 전자적으로 정류된(commutated) 또는 브러시형(brushed) DC 모터들로서 디자인된다. 모터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모터들을 상이한 지점들에, 예컨대 차량 플로어 또는 심지어 상부 레일들에 고정되게 배치하는 것을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양쪽의 상부 레일(16, 18)들을 구동하기 위해 단지 하나의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또한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연결되고 연결 해제될 수 있는 하나의 각각의 결합이 각각의 상부 레일(16, 18)에 대하여 제공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모터들은 또한 생략될 수 있고, 상부 레일(16, 18)들은 수동으로 변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상부 레일(16, 18)들은 별개의 잠금 가능한 잠금 장치를 갖는다.
도 5 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가 사용 위치로 나타나 있다. 나타낸 예시적인 실시예는 여기서 좌측 핸들 구동 차량(left-hand drive vehicle)의 차량 시트를 나타낸다. 하부 레일(10, 12)들에 의해 규정되는 길이방향은 이러한 경우 적어도 대략적으로는 이동 방향에 대응한다.
시트 쿠션(44)이 지지부(30) 상에 장착되며, 상기 시트 쿠션은 길이방향으로 전방 단부(46) 및 길이방향으로 후방 단부(48)를 갖는다. 등받이(50)가 시트 쿠션(44)의 후방 단부(48)의 구역에 배치된다. 시트 쿠션(44) 및 등받이(50)는 시트 쉘을 형성한다. 사용 위치에서, 시트 쿠션(44)의 전방 단부(46)는 대략 이동 방향을 향하고 시트 쿠션(44)의 후방 단부(48)는 대략적으로 이동 방향의 반대를 향한다.
따라서, 시트 쿠션(44)의 전방 단부(46)의 방향으로의 상부 레일(16, 18)의 운동이 대략적으로 이동 방향으로의 운동에 대응하고 이후에 전진 운동이라고 나타낸다. 시트 쿠션(44)의 후방 단부(48)의 방향으로의 상부 레일(16, 18)의 운동이 대략적으로 이동 방향의 반대의 운동에 대응하고 이후에 후진 운동이라고 나타낸다.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동 방향으로 본 제 1 상부 레일(16) 및 제 1 하부 레일(10)은 제 2 상부 레일(18) 및 제 2 하부 레일(12)의 좌측에 위치된다. 제 2 상부 레일(18) 및 제 2 하부 레일(12)은 따라서 차량의 중심을 향하고, 제 1 상부 레일(16) 및 제 1 하부 레일(10)은, 여기서 도시되지 않은 차량 도어를 향한다.
제 2 하부 레일(12)에 대한 제 2 상부 레일(18)의 동시적인 고착에 의한, 후진 방향으로 제 1 하부 레일(10)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16)의 변위에 의해, 지지부(30)는 차량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받는다. 시트 쿠션(44) 및 등받이(50)는 동일한 회전을 겪고, 이에 의해 시트 쿠션(44)의 전방 단부(46)는 차량 도어를 향하여 이동한다.
차량 시트의 이러한 회전된 위치에서, 예컨대, 운전자가 간단한 방식으로 차량 내측의 운전자 시트 상으로 오르는 것이 가능하다.
차량 시트의 여기서 설명된 제 1 반시계방향 회전은 상부 레일(16, 18)들의 다른 운동들, 예컨대 제 1 상부 레일(16)의 동시적인 고착에 의해 그리고 후진 방향으로의 제 1 상부 레일(16)의 및 전진 방향으로의 제 2 상부 레일(18)의 동시적인 변위에 의한 전진 방향으로의 제 2 상부 레일(18)의 변위에 의해 자연스럽게 또한 이행될 수 있다.
반시계방향의 차량 시트의 회전은 제 1 상부 레일(16)이 후진 방향으로 제 2 상부 레일(18)에 대하여 이동할 때 일어난다.
후진 방향으로의 제 1 상부 레일(16)의 그리고 전진 방향으로의 제 2 상부 레일(18)의 동시적인 변위가 사용 위치로부터의 기재된 회전된 위치가 최소의 양의 시간으로 달성된다는 이점을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가로 방향으로의 동시적인 변위에 의해, 등받이(50)가 다시 정상 배향이 되는 것과 함께 시트 쿠션(44)의 회전은, 제 3 핀(26)의 중심 축선에 의해 형성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제 2 시계방향 회전 운동에 의해, 차량의 중심 방향으로 일어난다.
리세스들의 배치 및 치수들에 의해,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낸 하위 구조는 사용 위치로부터의 반시계방향 회전 및/또는 하나의 방향으로의 가로 변위에 대해서만 적절하다.
예컨대 승객 시트에 대하여 요구되는, 사용 위치로부터의 차량 시트의 시계방향 회전, 및/또는 반대 방향으로의 가로 변위를 이행하기 위해, 지지부(30) 및 잠금 메카니즘(39)은 거울 대칭형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차량 시트는 제 1 시계방향 회전이 사용 위치로부터 가능하고 뿐만 아니라 제 1 반시계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양쪽의 가로 방향들로의 변위성이 또한 따라서 이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낸 하위 구조에서, 사용 위치에서 제 2 핀(24)은 제 2 리세스(34)의 하나의 단부에 대하여 받쳐지고, 제 3 핀(26)은 제 3 리세스(36)의 하나의 단부에 대하여 받쳐지고 제 4 핀(28)은 제 4 리세스(38)의 하나의 단부에 대하여 받쳐진다. 사용의 위치(중앙 처음)에서, 제 1 핀(22)이 제 1 리세스(32)의 중앙 구역에 있고, 제 2 핀(24)이 제 2 리세스(34)의 중앙 구역에 있고, 제 3 핀(26)이 제 3 리세스(36)의 중앙 구역에 있고 제 4 핀(38)이 제 4 리세스(38)의 중앙 구역에 있도록 제 1 리세스(32), 제 2 리세스(34), 제 3 리세스(36) 및 제 4 리세스(38)를 디자인함으로써, 사용 위치로부터 차량 시트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이 가능하다. 제 1 회전이 제 1 회전 방향으로 일어난 이후, 제 2 핀(24)은 제 2 리세스(34) 내의 대응하는 끝 위치로 고착되고 제 1 회전 운동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의 제 2 회전 운동이 제 2 핀(24)을 중심으로 일어난다. 따라서 가로 변위성이 양쪽의 방향들에 제공된다.
도 6 내지 도 9 에서, 차량 시트, 특히 운전자 시트의 하위 구조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사용 위치로, 중간 위치들로 및 가로로 변위된 위치로 제 2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나타나 있다.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요소들은 이러한 경우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의 대응하는 요소들과 동일한 참조 부호들에 의해 나타내었다.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위 구조는,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낸 하위 구조가 그러한 것과 같이, 2 개의 하부 레일(10, 12)들 및 2 개의 상부 레일(16, 18)들을 포함한다. 제 2 상부 레일(18) -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와 유사 - 은 제 1 핀(22) 및 제 3 핀(26)을 갖는다. 제 1 상부 레일(16) -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와 대조적 - 은 단지 하나의 제 2 핀(24)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예시적인 실시예들 사이의 실질적인 차이는 잠금 메카니즘(39)이며,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잠금 메카니즘은 2 개의 압축 스프링들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경우 대응하는 핀(22 및 26)들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다.
지지부(30)는 상부 레일(16, 18)들에 대하여 받쳐지고 이들 상부 레일 상에 장착되며 핀(22, 24 및 26)들에 의해 안내된다. 도 1 에 나타낸 지지부(30)와 유사하게, 지지부(30)는 제 1 리세스(32), 제 2 리세스(34) 및 제 3 리세스(36)를 포함한다. 제 4 리세스는 생략되었고, 제 4 핀도 생략되었다. 이러한 경우, 제 1 핀(22)은 제 1 리세스(32)를 통과하고, 제 2 핀(24)은 제 2 리세스(34)를 통과하고 제 3 핀(26)은 제 3 리세스(36)를 통과한다.
대응하는 리세스들과 연관한 개별 핀들의 기능은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능과 원리적으로 대응하며, 제 1 핀(22)은 후방에 배치되어, 후방으로 제 1 하부 레일(10)에 대하여 제 1 상부 레일(16)이 이동할 때, 제 1 시계방향 회전 운동이 제 1 핀(22)을 중심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회전 운동을 완료한 이후, 압축 스프링이 제 1 핀(22) 상에 작용하여, 핀(22)은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며, 다른 압축 스프링에 의해 그때까지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었던 핀(26)은 해제된다. 그 결과, 전방으로의 제 1 하부 레일(10)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16)의 (후진)운동에 의해, 제 2 회전 운동은 제 3 핀(26)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이에 의해 차량 시트는 다시 직립으로, 하지만 시작 위치에 대하여 가로로 오프셋된 위치로 설정된다(도 9 참조).
상기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았지만, 제 1 핀(22)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시행시키는 제 2 상부 레일(18)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16)의 운동의 적절한 제어에 의해, 그리고 제 3 핀(26)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제 2 회전 운동을 시행시키는 적절한 후진 운동에 의해, 원리적으로 차량 시트의 임의의 가로 변위가 또한 시행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리세스(32 및/또는 36) 내의 임의의 지점에서 핀(22 및 26)들을 회전 가능하게 고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야만 한다.
제 3 및 제 4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 구조물은 상부 레일들 중 하나의 다른 상부 레일에 대한 간단한 전진 운동 또는 후진 운동에 의해 레일들에 대하여 가로로 변위된다. 이러한 경우, 서로에 대한 상부 레일들의 상대 시작 위치는 상부 레일들의 상대 끝 위치와 상이하다. 더 명쾌한 이해를 위해,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요소들은 상기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들에 의해 나타내었다.
이후에, 도 10 내지 도 17 을 참조하여, 제 3 예시적인 실시예가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경우,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응하여, 제 1 하부 레일(10) 및 제 2 하부 레일(12)은 서로 평행하게 차량 플로어에 대하여 체결되고(차량 구조에 고정됨), 하부 레일(10 및 12)들은 본 경우에 차량 플로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되지만 평행한 배치가 또한 가능하다. 제 1 상부 레일(16)은 제 1 하부 레일(10)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또한, 제 2 상부 레일(18)이 제 2 하부 레일(12)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하부 레일(10, 12)들에 대한 상부 레일(16, 18)들의 이동 방향은 길이방향으로 나타낸다. 상부 레일(16, 18)들은 이동 방향으로 뿐만 아니라 이동 방향의 반대로 변위 가능하고, 시트 높이는 자동적으로 약간 바뀐다.
지지부(30)(시트 구조물에 고정됨)가 상부 레일(16, 18)들에 대하여 받쳐지고 이 상부 레일들 상에 이하에 설명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시트 쿠션(44)이 지지부(30) 상에 장착된다. 지지부(30)는 이러한 예에서, 평면의, H 형상의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고, 이 플레이트는 그의 림(limb)들이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 그리고 길이 방향에 중앙적으로, 횡 방향으로 나타내는,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및 수평으로) 연장한다.
하부 레일(10, 12)들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16)과 제 2 상부 레일(18)의 동시 발생적인 변위에 의해, 지지부(30)는 길이방향으로 변위된다.
지지부(30)는 제 2 상부 레일(18)에 체결되는 제 1 핀(22)이 통과하여 돌출하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선형 슬롯의 형태의 제 1 리세스(32)를 갖고, 이 리세스의 중심 축선은 제 1 축선을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 슬롯은 실질적으로는 제 1 핀(22)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다.
지지부(30)는 제 1 상부 레일(16)에 체결되는 제 2 핀(24)이 통과하여 돌출하는 슬롯의 형태의 제 2 리세스(34)를 또한 갖는다. 제 2 리세스(34)는 이러한 예에서 선형 방식으로 연장하는 슬롯의 형태를 취하고, 이 슬롯은 제 2 핀(24)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제 2 리세스(34)는 따라서 제 1 리세스(32)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연장한다.
지지부(30)는 제 2 상부 레일(18)에 체결되는 제 3 핀(26)이 통과하여 돌출하는 제 3 리세스(36)를 또한 갖는다. 제 3 리세스(36)는 제 1 슬롯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제 1 슬롯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3 리세스는 제 3 핀(26)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다.
지지부(30)는 제 1 상부 레일(16)에 체결되는 제 4 핀(28)이 통과하여 돌출하는 제 4 리세스(38)를 또한 갖는다. 제 4 리세스(38)는 제 2 슬롯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슬롯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4 리세스는 제 4 핀(28)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다.
핀(22, 24, 26, 28)들의 중심 축선들은 서로 평행하게, 지지부(30)의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한다. 리세스(32, 34, 36, 38)들은 길이방향으로의 제 2 상부 레일(18)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16)의 변위에 의해, 본 경우에 시작 위치로부터 후방으로의 제 1 상부 레일의 변위에 의해, 도 10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 레일(16, 18)들의 평행한 배치에 의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의 지지부(30)의 가로 변위가 가능하도록 디자인되고, 방향 정보는 차량의 정상 이동 방향에 대하여 전방으로 배향된 차량 시트를 참조한다. 차량의 "전진" 방향은 도 10 에서 차량 구조를 나타내는 세부 사항 상의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다.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 및 도 11 로부터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후방으로의 제 1 상부 레일(16)의 변위의 경우, 지지부(30)는 후방 및 좌측으로 이동된다. 왼편 제 1 상부 레일(16)의 최대 후진 운동(Sx)은 오른편 제 2 상부 레일(18)의 측에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수용기(32, 36)들의 길이에 의해 규정된다. 후진 운동은 이동되는 레일의 후진 운동, 즉 제 1 상부 레일(16)의 후진 운동에 의해 실행된다.
본 경우에,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의 변위(Sy)에 의해, 또한 상기 경로(Sx)에 걸친 상기 후진 운동과 연관되고,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후진)변위에 의해, 차량 시트의 대응하는 전진 운동과 연관되는 가로 운동은 차량 시트의 길이방향 조정 동안 자연스럽게 또한 실행될 수 있다. 오른편 상부 레일에 대한 왼편 상부 레일의 상대 운동만이 가로 변위에 대하여 관련된다.
역전 외부 방향 운동이 - 특히 다른 차량 측의 시트에 대하여 - 자연스럽게 또한 가능하며 이를 위해 전체 배치는 중앙 길이방향 평면에 대하여 거울 대칭형으로 구성되어, 오른편 상부 레일의 후진 운동에 의해, 내부 시작 위치로부터(예컨대 차량의 우측에 설치된 차량 시트에 대한) 우측으로, 즉 외측으로(및 후방으로)의 운동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18 로부터 나타낸 제 4 예시적인 실시예는 가로 변위의 동작이 길이방향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리세스(34, 38)들을 갖는 제 1 상부 레일(16)을 통하여 일어나지 않고 길이방향에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리세스(32, 36)들을 갖는 제 2 상부 레일(18)을 통하여 일어난다는 점에서만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와 상이하다. 제 2 상부 레일(18)을 경로(Sx)에 걸쳐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부(30)는 도 23 에 표시된 것과 같이, 전체로서 경로(Sy)에 걸쳐, 리세스(32, 36)의 비스듬한 배치의 결과로서 가로 방향으로 좌측으로(만) 변위된다. 길이방향으로의 시트의 변위는 따라서 제 2 상부 레일(18)의 전적인 동작에 의해 회피될 수 있다.
제 3 및 제 4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리세스(34, 38)들은 길이방향(x-방향)에 대하여 대략 45°의 각도로 배치되지만, 각도는 또한 이와 상이할 수 있으며, 특히, 이동되는 상부 레일의 길이방향 변위에 관한 원하는(또는 달성 가능한) 비(ratio)에 의존하여, 길이방향에 대하여 30°내지 60°일 수 있다. 곡선의 부분들이, 예컨대 상부 레일이 일정한 속도로 이동될 때 끝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늦추기 위해, 또한 가능하다.
제 3 및 제 4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핀들은 또한 차량 구조 상에 직접적으로 하나의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즉 모터와 함께 상부/하부 레일 쌍들 중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의 차량 시트는 단지 길이방향으로 경로(Sx)에 걸쳐서 그리고 동시에 횡 방향으로 경로(Sy)에 걸쳐서만 변위 가능하다. 제 4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 차량 시트는 단지 경로(Sy)에 걸쳐 횡 방향으로만 변위 가능하다. 이러한 배치는 차량 시트들의 임의의 길이방향 조정성을 제공하지 않는 제 2 또는 제 3 시트에 대하여 특히 적절하다.
상기 설명되지 않았지만, 차량 시트의 상기 설명된 가로 운동들은, 예컨대 종래의 회전 지지부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운동과 또한 조합될 수 있어서, 예컨대 차량으로부터의 내림(disembarking)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10 제 1 하부 레일
12 제 2 하부 레일
16 제 1 상부 레일
18 제 2 상부 레일
22 제 1 핀
24 제 2 핀
26 제 3 핀
28 제 4 핀
30 지지부
32 제 1 리세스
34 제 2 리세스
36 제 3 리세스
38 제 4 리세스
39 잠금 메카니즘
44 시트 쿠션
46 시트 쿠션의 전방 단부
48 시트 쿠션의 후방 단부
50 등받이
Sx 길이방향 경로
Sy 횡 방향 경로

Claims (9)

  1. 시작 위치로부터 가로로 오프셋된 끝 위치로 그리고 다시 되돌아가도록 이동될 수 있는 차량 시트로서, 상기 차량 시트는 시작 위치와 끝 위치 모두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고, 제 1 하부 레일(10)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제 1 상부 레일(16), 제 2 하부 레일(12)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제 2 상부 레일(18), 및 하나 이상의 상부 레일(16, 18)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 쿠션(44)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에 있어서,
    상기 레일(10, 12, 16, 18)들에 대한 시트 쿠션(44)의 가로 운동은 제 2 상부 레일(18)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16)의 미리 정해진 전진 운동 및 그 후의 후진 운동 또는 제 2 상부 레일(18)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16)의 미리 정해진 후진 운동 및 그 후의 전진 운동 또는 제 2 상부 레일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의 미리 정해진 전진 운동, 또는 제 2 상부 레일(18)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16)의 미리 정해진 후진 운동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44)은 시트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부 레일(16, 18)들에 대하여 받쳐지고 상부 레일들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3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부 레일(18) 상의 지지부(30)는 제 1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제 1 회전 방향으로 제 1 회전 운동을 실행하기 위해, 그리고 또한 제 1 축선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제 1 회전 방향의 반대인 제 2 회전 방향으로, 제 1 회전 운동 이후 시간 순서로 실행될 수 있는 제 2 회전 운동을 실행하기 위해 제 2 상부 레일(1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2 개의 축선들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차량 시트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 운동들은 동일한 각도 범위를 갖지만 반대 방향들로 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는 :
    제 2 상부 레일(18)에 체결되는 제 1 핀(22)이 통과하여 돌출하는 제 1 리세스(32),
    제 1 상부 레일(16)에 체결되는 제 2 핀(24)이 통과하여 돌출하는 제 2 리세스(34), 및
    제 2 상부 레일(18)에 체결되는 제 3 핀(26)이 통과하여 돌출하는 제 3 리세스(36)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및 제 3 리세스(34, 36)들은 길이방향으로의 제 2 상부 레일(18)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16)의 변위에 의해 지지부(30)의 회전이 제 1 핀(22)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트랙들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리세스(34, 36)들은 길이방향으로의 제 2 상부 레일(18)에 대한 제 1 상부 레일(16)의 후진 변위에 의해 제 3 핀(26)의 중심 축선 주위로 지지부(30)를 역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트랙들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운동 동안 제 2 상부 레일(18)은, 차량 내의 차량 시트의 정상 배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제 2 하부 레일(12)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고 그리고 제 2 회전 운동 동안, 다시 전방으로, 즉 시작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변위 가능하며, 이러는 동안 차량 시트는 상이한 축선들을 중심으로 하는 2 개의 회전 운동들에 의해 가로로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는 상부 레일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블럭들과 조합하여 슬롯형 리세스(32, 34, 36, 38)들에 의해 형성되는 슬라이딩 트랙들에 의해 안내되고, 제 1 상부 레일(16) 측의 슬라이딩 트랙(들)의 배향은 제 2 상부 레일(18) 측의 슬라이딩 트랙(들)의 배향과 상이하고, 서로 대응하는 2 개의 슬라이딩 트랙들은 제 1 및/또는 제 2 상부 레일(16 및/또는 18)의 측에 형성되고 전체 3 개 이상의 슬라이딩 트랙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트랙들은 상부 레일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상부 레일의 측에 배치되고, 다른 상부 레일 측의 슬라이딩 트랙들은 상부 레일에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KR1020137008064A 2010-09-02 2011-08-01 가로로 오프셋될 수 있는 차량 시트 KR101420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44654.8A DE102010044654B4 (de) 2010-09-02 2010-09-02 Fahrzeugsitz
DE102010044654.8 2010-09-02
PCT/EP2011/003857 WO2012028235A2 (de) 2010-09-02 2011-08-01 Fahrzeug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114A true KR20130064114A (ko) 2013-06-17
KR101420839B1 KR101420839B1 (ko) 2014-07-18

Family

ID=4462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064A KR101420839B1 (ko) 2010-09-02 2011-08-01 가로로 오프셋될 수 있는 차량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14733B2 (ko)
EP (1) EP2611649B1 (ko)
JP (1) JP5548817B2 (ko)
KR (1) KR101420839B1 (ko)
CN (1) CN103003094B (ko)
DE (1) DE102010044654B4 (ko)
WO (1) WO20120282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4654B4 (de) 2010-09-02 2017-06-29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Fahrzeugsitz
DE102011108374A1 (de) * 2011-07-22 2013-01-24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DE102012017772B4 (de) * 2012-09-06 2018-11-29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Fahrzeugsitz mit einer Drehvorrichtung
KR101468617B1 (ko) * 2013-02-25 2014-12-04 (주)보쉬전장 듀얼 모터 타입의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 장치
CN103797980A (zh) * 2014-03-06 2014-05-21 星光农机股份有限公司 一种联合收割机的驾驶室座椅
US9463715B1 (en) 2015-05-07 2016-10-11 Atieva, Inc. Method of operating a multi-position vehicle seat
US10040373B2 (en) 2015-05-07 2018-08-07 Atieva, Inc. Method of operating a multi-position vehicle seat
US9452692B1 (en) * 2015-05-07 2016-09-27 Atieva, Inc. Multi-position vehicle seat
CN106004536B (zh) * 2016-06-30 2018-10-26 赖保全 具有夹持部的公交座椅
CN106004537B (zh) * 2016-06-30 2018-10-26 赖保全 移动式公交座椅
DE102016224512A1 (de) * 2016-12-08 2018-06-1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Fahrzeugsitzanordnung mit einer bodenschienenseitig angeordneten Antriebseinrichtung
CN107176177B (zh) * 2017-06-20 2023-08-22 北京安达维尔航空设备有限公司 一种万向柔性安装多位置调节机构
CN107901796A (zh) * 2017-10-30 2018-04-13 黄丽贤 一种万向座椅调节结构
DE102018210515A1 (de) * 2018-06-27 2020-01-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Tragstruktur für einen Fahrzeugsitz, Fahrzeugsitz und Fahrzeug
GB2579544B (en) * 2018-11-30 2022-01-05 Jaguar Land Rover Ltd A vehicle floor assembly
WO2020109626A1 (en) * 2018-11-30 2020-06-04 Jaguar Land Rover Limited A vehicle seat platform
FR3105948B1 (fr) * 2020-01-03 2021-12-31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upport de siège de véhicule, ensemble de siège comportant un tel support et procédé de montage d’un tel dans un véhicule
DE102020123609A1 (de) 2020-09-10 2022-03-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konsole
DE102021100625B3 (de) 2021-01-14 2022-03-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ängs verschiebbarer und quer bewegbarer Fahrzeugsitz und Fahrzeug mit einem derartigen Fahrzeugsitz
CN113679195A (zh) * 2021-09-27 2021-11-23 恺博座椅机械部件有限公司 改善旋转座椅机构后撞强度的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0028A (en) * 1948-05-19 1954-02-23 Briggs Mfg Co Adjustable vehicle seat
US2681687A (en) * 1948-12-08 1954-06-22 Haltenberger Jules Motor vehicle independent seat control
US2851083A (en) * 1954-06-01 1958-09-09 American Forging & Socket Co Swivel type adjustable seat track assembly
US3013837A (en) * 1960-07-01 1961-12-19 Gen Motors Corp Pivoted vehicle seat
US3933331A (en) * 1974-11-25 1976-01-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at adjuster mechanism
JPS6034740B2 (ja) * 1976-02-27 1985-08-10 株式会社ニコン 十字動載物台
DE3920454A1 (de) * 1989-06-22 1991-01-24 Keiper Recaro Gmbh Co Drehschemel fuer fahrzeugsitz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US5529275A (en) * 1994-09-08 1996-06-25 Lear Seating Corporation Vehicle seat track assembly
US6027170A (en) * 1999-02-19 2000-02-22 Paccar Inc Rotating vehicle seat
DE10056757B4 (de) * 2000-11-16 2006-04-27 Daimlerchrysler Ag Sitzanordnung
JP2002225595A (ja) * 2001-01-31 2002-08-14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シート
WO2005012030A1 (en) * 2003-08-01 2005-02-10 Intier Automotive Inc. Vehicle seat assembly and floor rail for lateral seat shuttling
DE102006037344B4 (de) * 2006-08-08 2011-02-24 Johnson Controls Gmbh Sitz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6022732B4 (de) * 2006-05-12 2013-05-29 Johnson Controls Gmbh Sitz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JP5200438B2 (ja) * 2007-07-20 2013-06-0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装置
JP2009149219A (ja) 2007-12-21 2009-07-09 Toyota Boshoku Corp 乗り物用シート
JP5151456B2 (ja) * 2007-12-21 2013-02-2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り物用シート
JP5251113B2 (ja) 2007-12-21 2013-07-3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り物用シート
DE102008004231B4 (de) * 2008-01-14 2013-11-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Sitzanordnung mit einer Zwangsführung
DE102008012376A1 (de) 2008-03-03 2009-09-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Fahrzeugsitzunterbau und Sitzanordnung aus einem Fahrzeugsitz und einem solchen Fahrzeugsitzunterbau
CN100577467C (zh) * 2008-05-15 2010-01-06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汽车座椅滑道机构
JP2010105438A (ja) * 2008-10-28 2010-05-13 Nhk Spring Co Ltd 自動車用シート
DE102008059999A1 (de) * 2008-12-02 2010-06-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raftfahrzeugsitz mit einer Verstellvorrichtung
DE102009033494A1 (de) * 2009-07-15 2011-01-20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DE102010044654B4 (de) 2010-09-02 2017-06-29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Fahrzeugsi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26451A (ja) 2013-06-24
US20130221720A1 (en) 2013-08-29
KR101420839B1 (ko) 2014-07-18
CN103003094A (zh) 2013-03-27
DE102010044654B4 (de) 2017-06-29
EP2611649A2 (de) 2013-07-10
DE102010044654A1 (de) 2012-03-08
JP5548817B2 (ja) 2014-07-16
US9114733B2 (en) 2015-08-25
WO2012028235A2 (de) 2012-03-08
EP2611649B1 (de) 2015-01-07
WO2012028235A3 (de) 2012-11-22
CN103003094B (zh)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839B1 (ko) 가로로 오프셋될 수 있는 차량 시트
RU2684957C2 (ru) Посадочный узе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US9663001B2 (en) Utility vehicle with lockable slide part
KR101592723B1 (ko) 레그 레스트 장치
US10773607B2 (en) Vehicle seat structure
ES2309793T3 (es) Asiento de automovil con costados laterales regulables.
US9566888B2 (en) Vehicle seat having extendable bolsters and thigh supports
KR102299335B1 (ko) 차량의 시트 위치 조절 장치
CN106068205B (zh) 车用座椅
CN103568890B (zh) 儿童座椅
US10717373B2 (en) Seat slide device
US20200101867A1 (en) Set of seats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a set of seats
RU2688121C2 (ru) Посадочный узе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иденье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установочный узел для подушки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18002130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RU2682140C2 (ru) Узел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иденье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установочный узел для подушки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6928805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11014480B2 (en) Headrest
JP6378564B2 (ja) シートアジャスター装置
KR102540545B1 (ko) 자동차용 시트 회전 장치
KR101746457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US20150084389A1 (en) Longitudinal adjustment mechanism for a seat, mechanism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a seat portion, vehicle seat
JP2022010977A (ja) 車両用シート
CN109204076A (zh) 车辆用座椅装置
KR101469438B1 (ko) 시트쿠션 연동식 리클라이닝 시트
JP2019043200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