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758A -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758A
KR20130061758A KR1020137011158A KR20137011158A KR20130061758A KR 20130061758 A KR20130061758 A KR 20130061758A KR 1020137011158 A KR1020137011158 A KR 1020137011158A KR 20137011158 A KR20137011158 A KR 20137011158A KR 20130061758 A KR20130061758 A KR 20130061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position detection
detection sensor
output
check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7399B1 (ko
Inventor
다케히코 구보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61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6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설치 조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설치 조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속도 이상인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을 감속시키기 위한 제동 지령을 출력하는 과속 감시부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작동판과, 승강로 내에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경로에 따라 병설되어 작동판을 검출하는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와,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의 양자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의 출력이 정합하고 있는 경우에 자신으로부터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정합성 체크 회로를 구비하고, 과속 감시부는 정합성 체크 회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TERMINATION FLOOR FORCED DECELERATION DEVICE FOR ELEVATOR}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이나 균형추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기가 승강로의 저부(底部) 피트(pit)에 설치되어 있다. 이 완충기는 엘리베이터 칸 등이 전속력으로 완충기에 충돌한 경우에도 충분히 완충시킬 수 있는 스트로크(stroke)로 할 필요가 있다. 이 필요한 스트로크는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가 높아질수록 길어진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가 높을수록 완충기가 설치되는 피트도 깊게 할 필요가 생긴다. 하지만 이 정격속도가 어느 정도 이상 높아지면 필요로 되는 피트의 깊이가 비현실적인 수치가 되어 버린다. 여기서 완충기의 스트로크를 본래 필요한 길이보다 짧게 하고 피트의 깊이를 얕게 함과 아울러 완충기에 충돌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 등을 감속하는 장치(종단층 강제 감속장치)가 종종 설치된다.
이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는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의 종단에 접근하고,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가 종단에서부터의 거리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과속 검출 레벨 이상이 되었을 때, 엘리베이터 칸을 강제적으로 감속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에 위치 검출 스위치를 마련함과 동시에, 승강로의 상방(上方) 종단 부근 및 하방(下方) 종단 부근에 이 위치 검출 스위치와 맞물린 캠을 마련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특허문헌 1에 있는 종래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있어서는 캠에 동작점을 마련하고, 캠과 맞물린 위치 검출 스위치를 이 동작점에서 동작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소정의 위치에 이른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그 때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확인하여 과속 검출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을 강제적으로 감속시킨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 10-324474호 공보
여기서, 승강로의 종단에서 엘리베이터 칸을 충분히 감속시키기 위하여는 엘리베이터의 정격 속도가 높아질수록, 보다 종단으로부터 먼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 있는 것과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는 위치 검출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동작점을 캠으로 설정하지 않으면 아니 된다.
따라서, 종단으로부터 먼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동작점을 설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캠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캠이 조금이라도 기울면 동작점의 위치가 크게 변화하여 버린다. 이 때문에, 캠의 설치 조정에 번잡한 수고가 들고, 설치 조정 시간이 증대하여 버린다는 과제가 있다.
또, 캠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버리면, 캠의 제작에 필요한 재료의 양도 증가하여 기기에 필요한 비용이 증대한다는 과제도 있다.
이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설치 조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설치 조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를 얻기 위한 것이다.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 승강이 자재(自在)로 배치된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속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감속시키기 위한 제동 지령을 출력하는 과속 감시부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작동판과, 상기 승강로 내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경로에 따라 병설되어 상기 작동판을 검출하는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와, 상기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의 양자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의 출력이 정합하고 있는 경우에 자신으로부터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정합성 체크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과속 감시부는 상기 정합성 체크 회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상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있어서는 설치 조정을 간소화 할 수 있고 설치 조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보인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정합성 체크 회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운행 제어부의 전원 투입 시에 있어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센서 이상(ON고장) 시에 있어서의 정합성 체크 회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센서 이상(ON고장) 시에 있어서의 정합성 체크 회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센서 이상(OFF 고장) 시에 있어서의 정합성 체크 회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센서 이상(OFF 고장) 시에 있어서의 정합성 체크 회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각 도면을 통틀어 같은 부호는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중복된 설명은 적당히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도 1에서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정합성 체크 회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 도 3은 운행 제어부의 전원 투입 시에 있어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 및 도 5는 센서 이상(ON고장) 시에 있어서의 정합성 체크 회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 도 6 및 도 7은 센서 이상(OFF 고장) 시에 있어서의 정합성 체크 회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이다. 이 승강로(1)의 꼭대기 부분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로(1)의 저부에는 최하층의 층 바닥면보다 더욱 하방으로 파여져서 피트(3)가 형성되어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이용자 등을 적재하여 복수의 층 사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이 자재로 배설(配設)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이 엘리베이터 칸(4)에 걸리는 하중을 보상하기 위한 균형추(5)도 승강이 자재로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꼭대기 부분의 기계실(2)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의 승강을 구동하기 위한 권상기(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의 상부에는 주 로프(7)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 주 로프(7)는 엘리베이터 칸(4)의 상부에서 승강로(1) 내에 연직 상방으로 뻗어있고, 그 중간이 권상기(6)의 구동 시브(sheave)(6a)에 감겨져 걸려있다. 주 로프(7)의 타단 측은 권상기(6)의 구동 시브(6a)에서 승강로(1) 안으로 연직 하방으로 뻗어 있고, 균형추(5)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는 주 로프(7)에 의하여 승강로(1) 내에 두레박 형상으로 걸려있다.
승강로(1)의 꼭대기 부분의 기계실(2) 내에는 조속기(8)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의 저부 근방의 피트(3) 내에는 인장 풀리(tension pulley)(9)가 회전 운동이 자재로 마련되어 있다. 이 조속기(8)와 인장 풀리(9) 사이에는 조속기 로프(10)가 끝이 없는 형태(無端狀)로 감겨져 있다. 이 조속기 로프(10)는 일 측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하면 조속기 로프(10)가 주회(周回)하여 조속기(8)의 시브가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속도에 따른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 조속기(8)에는 이 조속기(8)의 시브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로터리 인코더 등으로 이루어진 속도 검출기(11)가 장착되어 있다. 이 속도 검출기(11)에 의하여 검출된 조속기(8)의 시브의 회전 속도는 속도 검출 신호(11a)로서 출력된다.
피트(3)의 저부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경로의 최하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4) 충돌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카 완충기(12)가 설치되어 있다. 또, 피트(3)의 저부에 있어서의 균형추(5)의 승강 경로의 최하단부에는 균형추(5) 충돌 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균형추 완충기(13)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의 운전 전반에 관한 기기의 동작은 제어반(14) 내에 수납된 각종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어반(14) 내에 있는 운행 제어부(14a)는 권상기(6)나 브레이크(6b)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엘리베이터 칸(4))의 운행을 제어한다. 또, 제어반(14) 내에 있는 과속 감시부(14b)는 속도 검출기(11)로부터 출력되는 속도 검출 신호(11a)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를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소정의 과속 검출 속도 이상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조속기(8)를 작동시킨다. 조속기(8)가 작동하면 조속기 로프(10)가 파지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4)에 마련된 도시되지 않은 비상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비상 정지된다.
승강로(1) 내의 하방 종단 부근의 소정의 위치에는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는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방향에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띄워 병설되어 있다. 이때,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는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에 대하여 승강로(1)의 하방 종단 측에 오도록 배치된다.
또, 승강로(1) 내의 상방 종단 부근의 소정의 위치에는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상방 종단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는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방향에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띄워 병설되어 있다. 이때,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는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에 대하여 승강로(1)의 상방 종단 측에 오도록 배치된다.
엘리베이터 칸(4)에는 이러한 위치 검출 센서와 대향하는 차폐판(17)이 장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오면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이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의 쌍방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또,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상방 종단 위치에 오면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이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쌍방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 검출 센서는 비접촉식 센서이다. 그리고, 평시, 즉 위치 검출 센서의 센서부가 차폐판(17)에 차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압(포텐셜)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이다. 또,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에 그 센서부가 차단된 위치 검출 센서는 전압(포텐셜)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가 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이 전압(포텐셜)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를(신호가) 출력된 상태라고 표현하고, 전압(포텐셜)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를 출력이 차단된 상태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제어반(14) 내에는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가 마련되어 있다.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는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의 출력 결과의 정합성을 체크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의 출력은 과속 감시부(14b)로 입력된다. 또,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는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출력 결과의 정합성을 체크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의 출력도 과속 감시부(14b)로 입력된다.
과속 감시부(14b)는 이들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의 출력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보다 하방 종단측, 또는 소정의 상방 종단 위치보다 상방 종단측에 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과속 감시부(14b)는 각각의 종단 위치보다 종단 측에 엘리베이터 칸(4)이 있다고 인식되고 있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미리 정한 소정의 속도 이상이라고 속도 검출 신호(11a)에 기초하여 판단한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엘리베이터 칸(4)을 정지 또는 감속하도록 운행 제어부(14a)로 제동 지령을 내린다. 이 제동 지령을 받은 운행 제어부(14a)는 브레이크(6b)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칸(4)을 정지 또는 감속시킨다.
이때, 하방 종단 위치보다 하방 종단 측에 있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4)을 강제적으로 감속하는 속도와, 상방 종단 위치보다 상방 종단 측에 있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4)을 강제적으로 감속하는 속도는 다른 별개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는 3개의 세이프티 릴레이인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 및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의 동작에 연동하여 개폐하는 제1 하방 측 상개접점(常開接點)(22a)과 제1 하방 측 상폐접점(常閉接點)(23a),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의 동작에 연동하여 개폐하는 제2 하방 측 상개접점(22b)과 제2 하방 측상폐접점(23b),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의 동작에 연동하여 개폐하는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과 제3 하방 측 상폐접점(23c)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의 출력 측은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와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 사이에는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이 직렬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에 대하여 제2 하방 측 상개접점(22b)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의 출력 측은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와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 사이에는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이 직렬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에 대하여 제1 하방 측 상개접점(22a)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의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에는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의 출력 측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출력 측이 접속되어 있다.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와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 사이에는 제1 하방 측 상폐접점(23a) 및 제2 하방 측 상폐접점(23b)이 직렬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하방 측 상폐접점(23a)에 대하여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의 출력 측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출력 측은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내에 있어서, 제1 하방 측 상개접점(22a), 제2 하방 측 상개접점(22b) 및 제3 하방 측 상폐접점(23c)이 직렬로 접속된 다음,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 과속 감시부(14b)로 출력된다.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는 3개의 세이프티 릴레이인 제1 상방 측 릴레이(UPA)(21a),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 및 제1 상방 측 릴레이(UPA)(21a)의 동작에 연동하여 개폐하는 제1 상방 측 상개접점(24a)과 제1 상방 측 상폐접점(25a),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의 동작에 연동하여 개폐하는 제2 상방 측 상개접점(24b)과 제2 상방 측 상폐접점(25b),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의 동작에 연동하여 개폐하는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과 제3 상방 측 상폐접점(25c)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의 출력 측은 제1 상방 측 릴레이(UPA)(21a)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와 제1 상방 측 릴레이(UPA)(21a) 사이에는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이 직렬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에 대하여 제2 상방 측 상개접점(24b)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출력 측은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와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 사이에는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이 직렬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에 대하여 제1 상방 측 상개접점(24a)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의 출력 측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출력 측은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에도 접속되어 있다.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와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 사이에는 제1 상방 측 상폐접점(25a) 및 제2 상방 측 상폐접점(25b)이 직렬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상방 측 상폐접점(25a)에 대하여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아울러,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의 출력 측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출력 측은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 내에 있어서, 제1 상방 측 상개접점(24a), 제2 상방 측 상개접점(24b) 및 제3 상방 측 상폐접점(25c)이 직렬로 접속된 다음,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 과속 감시부(14b)로 출력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는 전원이 투입되면, 이후에 설명할 도 7에 나타난 흐름에 따라서 동작한다.
도 2에,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 있는 상태에서 전원이 투입된 후, 먼저 엘리베이터 칸(4)을 최상층까지 주행시키고, 이어서 최하층까지 주행시키고, 그 후 다시 최상층까지 주행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4)은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보다 하방에 있다. 따라서, 모든 위치 검출 센서, 즉,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들 모든 위치 검출 센서로부터 신호가 출력되고 있다.
그리고,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 있어서는, 초기 상태에서는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 및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는 석방된(여자(勵磁)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면,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와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 사이의 제1 하방 측 상폐접점(23a) 및 제2 하방 측 상폐접점(23b)은 닫히기 때문에,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는 여자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에 있어서는, 초기 상태에서는 제1 상방 측 릴레이(UPA)(21a) 및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는 석방된(여자 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면,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와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와의 사이의 제1 상방 측 상폐접점(25a) 및 제2 상방 측 상폐접점(25b)은 닫히기 때문에,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는 여자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제1 하방 측 상개접점(22a) 및 제2 하방 측 상개접점(22b)은 개방되어 있으며, 또한 제3 하방 측 상폐접점(23c)도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차단되어 있다. 또, 제1 상방 측 상개접점(24a) 및 제2 상방 측 상개접점(24b)은 개방되어 있으며, 또한 제3 상방 측 상폐접점(25c)도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도 차단되어 있다. 따라서,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의 어느 것으로부터도 출력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과속 감시부(14b)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 검출은 부정(不定)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부터 상승하여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다다르면, 먼저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를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이 차단하여,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된다. 이어서, 차폐판(17)이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를 차단하여,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의 양쪽이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있고,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의 쌍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상승을 계속하면, 먼저 차폐판(17)은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를 차단하지 않게 되고,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된다.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는 여자되어 있고,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은 닫혀지는 점에서,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의 출력이 재개되면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가 여자된다.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가 여자되면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중의 제1 하방 측 상개접점(22a)이 닫히고, 제1 하방 측 상폐접점(23a)이 개방된다. 따라서,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는 자기(自己) 유지된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하방 측 상폐접점(23a)이 개방되어도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은 닫혀있기 때문에,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는 여자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여전히 차단되어 있다. 따라서, 과속 감시부(14b)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 검출은 부정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아울러, 엘리베이터 칸(4)이 상승하면 차폐판(17)은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도 차단하지 않게 되고,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로부터의 출력도 재개된다.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는 여자되어 있고,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은 닫혀지는 점에서,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의 출력이 재개되면,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여자된다.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여자되면,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중의 제2 하방 측 상개접점(22b)이 닫히고, 제2 하방 측 상폐접점(23b)이 개방된다. 따라서,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도 자기 유지된 상태가 된다.
제2 하방 측 상폐접점(23b)이 개방되면,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가 석방된다.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가 석방되면,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중의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이 개방되고, 제3 하방 측 상폐접점(23c)이 닫힌다. 따라서, 제1 하방 측 상개접점(22a) 및 제2 하방 측 상개접점(22b)이 닫히고, 또한 제3 하방 측 상폐접점(23c)도 닫히기 때문에,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서 과속 감시부(14b)로 신호가 출력된(전압이 높은) 상태가 된다.
이리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서부터 상승하면,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과속 감시부(14b)는 이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의 신호 출력으로써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서부터 상승하여 멀어지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의 출력이 있는 한편으로,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의 출력이 없는 상태가 된다. 과속 감시부(14b)는 이 출력 상황으로 엘리베이터 칸(4)은 상방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다.
상승을 계속한 엘리베이터 칸(4)이 상방 종단 위치에 다다르면,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이, 먼저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를 차단하고, 이어서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를 차단하며,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양쪽이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상방 종단 위치에 있고,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쌍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어 있다. 그리고,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여전히 차단된 상태이다.
더욱 엘리베이터 칸(4)이 상승을 계속하면, 먼저, 차폐판(17)은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를 차단하지 않게 되고,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된다. 여기서,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는 여자되어 있고,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는 닫혀 있는 점에서,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되면,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가 여자된다. 그리고,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가 여자되면, 제2 상방 측 상개접점(24b)이 닫혀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가 자기 유지 되는 됨과 아울러 제2 상방 측 상폐접점(25b)이 개방되어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가 석방된다.
이 상태에서 더욱 엘리베이터 칸(4)이 상승하면, 차폐판(17)은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도 차단하지 않게 되고,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로부터의 출력도 재개된다.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는 이미 석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의 출력이 재개되어도, 제1 상방 측 릴레이(UPA)(21a)는 여자되지 않고 석방된 채로 있다. 따라서,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여전히 차단되어 있다.
이리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상방 종단 위치보다 상승하여 최상층에 도착하면, 이번엔 최하층을 향하여 하강을 시작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상방 종단 위치에 다다르면, 우선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를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이 차단하고,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된다. 이어서, 차폐판(17)이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를 차단하고,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양쪽이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상방 종단 위치에 있고,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쌍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어 있다.
그러면,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는 것에 수반하여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가 석방된다.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가 석방되면, 제2 상방 측 상폐접점(25b)이 닫히기 때문에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가 여자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을 계속하면, 먼저, 차폐판(17)은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를 차단하지 않게 되고,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된다.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는 여자되어 있고,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은 닫혀있는 점에서,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의 출력이 재개되면, 제1 상방 측 릴레이(UPA)(21a)가 여자 된다. 제1 상방 측 릴레이(UPA)(21a)가 여자되면, 제1 상방 측 상개접점(24a)이 닫히고 제1 상방 측 상폐접점(25a)이 개방된다. 따라서 제1 상방 측 릴레이(UPA)(21a)는 자기 유지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제1 상방 측 상폐접점(25a)이 개방되어도,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은 닫혀있기 때문에,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는 여자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여전히 차단되어 있다. 따라서, 과속 감시부(14b)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4)이 상방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더욱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하면, 차폐판(17)은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도 차단하지 않게 되고,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로부터의 출력도 재개된다.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는 여자되어 있고,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은 닫혀 있는 점에서,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출력이 재개되면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가 여자된다.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가 여자되면 제2 상방 측 상개접점(24b)이 닫히고 제2 상방 측 상폐접점(25b)이 개방된다. 따라서,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도 자기 유지된 상태가 된다.
제2 상방 측 상폐접점(25b)이 개방되면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가 석방된다.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가 석방되면,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이 개방되고, 제3 상방 측 상폐접점(25c)이 닫힌다. 따라서 제1 상방 측 상개접점(24a) 및 제2 상방 측 상개접점(24b)이 닫히고, 또한 제3 상방 측 상폐접점(25c)도 닫히기 때문에,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에서 과속 감시부(14b)로 신호가 출력된 상태가 된다.
이리 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상방 종단 위치에서부터 하강하여 멀어지면,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과속 감시부(14b)는 이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의 신호 출력으로써 엘리베이터 칸(4)이 상방 종단 위치에서부터 하강하여 멀어진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의 쌍방으로부터 출력이 있는 상태가 된다. 과속 감시부(14b)는 이 출력 상황으로 엘리베이터 칸(4)은 상방 및 하방 종단 위치의 중간에 있다고 인식한다.
최하층에서 한 번 최상층까지 주행한 엘리베이터 칸(4)이, 재차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다다르면,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이 먼저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를 차단한다. 그러면,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고 그때까지 여자되어 있던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석방된다.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석방되면, 제2 하방 측 상개접점(22b)이 개방되기 때문에,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차단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이르고,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도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되면,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로부터의 출력도 차단된다. 그러면, 여자되어 있던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가 석방된다.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가 석방되면, 제1 하방 측 상폐접점(23a)이 닫히기 때문에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가 여자된다.
엘리베이터 칸(4)이 더욱 하강하여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가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게 되면,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되어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여자된다.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여자되면 제2 하방 측 상폐접점(23b)이 개방되기 때문에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가 석방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을 계속하여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가 차폐판(17)에 의해 차단되지 않게되면,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된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는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는 여자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되어도,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는 여자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차단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리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를 지나 최하층에 도착한 후, 다시 엘리베이터 칸(4)이 상승을 시작하면, 우선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가 차폐판(17)에 의해 차단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도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되고,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의 쌍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면,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가 여자된다.
이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가 여자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4)이 상승하여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가 차폐판(17)에 의해 차단되지 않게 되고,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되면,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가 여자되어 자기 유지된다. 또한, 더욱 엘리베이터 칸(4)이 상승하여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도 차폐판(17)에 의해 차단되지 않게 되고,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로부터의 출력도 재개되면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도 여자되어 자기 유지된다.
이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여자된 단계에서, 차단되어 있던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이 재개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를 지나 최하층에 도착하고 나서, 상승하여 다시 하방 종단 위치보다 상방에 통과할 때까지 동안에는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만 신호가 출력되고,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는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과속 감시부(14b)는 이 출력 상황으로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보다 상방으로 이동하면,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되고,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의 쌍방으로부터 출력이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상방 및 하방 종단 위치의 중간에 있다고 인식한다.
그 후, 엘리베이터 칸(4)이 상승하여 상방 종단 위치에 도달하면,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고,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만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가 되어,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상방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하여 상방 종단 위치보다 하방에 오면,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되기 때문에,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상방 및 하방 종단 위치의 중간에 있다고 인식한다.
이와 같이, 전원 투입 후에 한 번 엘리베이터 칸(4)을 최하층에서 최상층으로 운전하여, 차폐판(17)에 의해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 및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를 한 번 차단시킴으로써,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의 동작 상태를 리셋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합성 체크 회로의 출력에 기초하여,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를 인식한다.
즉,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만 출력이 있고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의 출력이 없는 경우에는,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상방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다. 또, 반대로,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만 출력이 있고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의 출력이 없는 경우에는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다. 그리고,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의 양쪽으로부터 출력이 있는 경우에는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중간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다.
또한, 이상과 같이, 전원 투입 후에 한 번 엘리베이터 칸(4)을 종단층에서 반대측 종단층으로 운전하여, 차폐판(17)으로 각 위치 검출 센서 모두를 차단할 때까지는 엘리베이터 칸(4)이 중간 위치에 있다고는 인식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4)이 종단 위치에 있다는 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여기서, 전원 투입 후에 엘리베이터 칸(4)이 한 번 양 종단층을 왕복할 때까지는, 운행 제어부(14a)는 엘리베이터 칸(4)의 최고속도를 정격 속도가 아닌 완충기(버퍼)에 대응한 속도(이하, ‘버퍼 대응 속도’라 한다)로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도 3의 흐름도는 이 전원 투입 시의 운행 제어부(14a)에 있어서의 처리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전원이 투입되면, 먼저, 스텝 S1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또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확인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 호출 또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에 있어서 최고 속도를 버퍼 대응 속도로 설정한 다음, 스텝 S3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당해 등록되어 있는 호출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 칸(4)을 주행시킨다.
스텝 S1에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또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혹은 스텝 S3에서 호출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 칸(4)을 주행시킨 후에는 스텝 S4로 진행된다.이 스텝 S4에 있어서는 운행 제어부(14a)는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 정지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확인한다.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5로 진행하고, 운행 제어부(14a)는 버퍼 대응 속도로 엘리베이터 칸(4)을 최상층으로 주행시킨다. 그리고, 이어지는 스텝 S6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또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확인한다.
이 스텝 S6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또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7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버퍼 대응 속도로 엘리베이터 칸(4)을 최하층으로 주행시킨 후, 스텝 S8에 있어서, 최고속도를 정격 속도로 설정하여 일련의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스텝 S6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또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9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당해 등록되어 있던 호출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 칸(4)을 주행시킨다.
그리고, 이어지는 스텝 S10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 정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8로 진행하여 최고 속도를 정격 속도로 설정하고 일련의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 정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 S4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 정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로 진행한다. 그리고, 운행 제어부(14a)는 스텝 S1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이 최상층에 정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엘리베이터 칸(4)이 최상층에 정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이 중간층에 정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스텝 S1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이 최상층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 혹은 스텝 S1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이 중간층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 있어서는, 운행 제어부(14a)는 버퍼 대응 속도로 엘리베이터 칸(4)을 최하층으로 주행시킨다. 그리고, 이어지는 스텝 S14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또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확인한다. 이 스텝 S14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또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5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버퍼 대응 속도로 엘리베이터 칸(4)을 최상층으로 주행시킨 후, 스텝 S8에 있어서, 최고속도를 정격 속도로 설정하고 일련의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스텝 S14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또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6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당해 등록되어 있던 호출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 칸(4)을 주행시킨다. 그리고, 이어지는 스텝 S17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엘리베이터 칸(4)이 최상층에 정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엘리베이터 칸(4)이 최상층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8로 진행하여 최고속도를 정격 속도로 설정하고 일련의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엘리베이터 칸(4)이 최상층에 정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4로 되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한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는 하방 종단 및 상방 종단에 각각 2개씩 위치 검출 센서를 마련하고, 이들 위치 검출 센서의 출력을 정합성 체크 회로를 통하여 과속 감시부(14b)에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종단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있어서, 동일한 종단 측에 설치된 2개의 위치 검출 센서 중 어느 일방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의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 도 4 내지 도 7이다.
먼저, 도 4에 2개의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중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에 ON고장, 즉, 계속 신호가 출력되어 버리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여기에서는 전원 투입 후,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 최상층까지 운전된 후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전원 투입 후,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 최상층까지 운전되고, 그 후 최상층에서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 바로 전까지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할 때까지는 도 2와 같으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다다르면,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이 먼저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를 차단한다. 그러면,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고, 그때까지 여자되어 있던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석방된다.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석방되면, 제2 하방 측 상개접점(22b)이 개방되기 때문에,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차단된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이르러,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도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된다. 그러나,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는 ON 고장이기 때문에,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로부터의 출력은 차단되지 않고 계속된다. 이 때문에,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는 여자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제1 하방 측 상폐접점(23a)은 개방된 채로 있고,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가 여자되지는 않는다.
엘리베이터 칸(4)이 더욱 하강하여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가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게 되면,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된다. 그러나,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는 여자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은 개방되어 있고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는 여자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가 ON 고장나면, 차폐판(17)에 의하여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가 차단되었을 때,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가 여자된 채로 있게 되고,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 및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는 여자되지 않게 된다. 이 사정은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부터 상승하여 하방 종단 위치를 통과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부터 상승하여 하방 종단 위치를 통과하여도,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는 않는다.
즉,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가 ON 고장난 경우라도,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까지 하강한 경우에는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차단된다. 이 때문에,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부터 상승하여 하방 종단 위치를 통과하여도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는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 채로 있게 된다.
이 상태는 과속 감시부(14b)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가 오인식(誤認識)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오인식은 위험 측이 아닌 안전 측으로 인식하고 있다. 즉, 엘리베이터의 최고 속도가 정격 속도보다 느린 버퍼 대응 속도로 설정된 상태가 계속되는 것이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2개의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중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에 ON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에서도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원 투입 후,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 최상층까지 운전된 후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전원 투입 후,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 최상층까지 운전되고, 그 후 최상층에서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의 바로 앞까지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하기까지는 도 2와 같다.
이 경우는 차폐판(17)에 의하여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가 차단되었을 때,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여자된 채로 있게 되고,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 및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가 여자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앞의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가 ON 고장난 경우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부터 상승하여 하방 종단 위치를 통과하여도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는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즉,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가 ON 고장난 경우라도,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까지 하강한 경우에는,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차단된다. 이 때문에,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부터 상승하여 하방 종단 위치를 통과하여도,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는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 채로 있게 된다. 따라서, 안전 측으로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를 인식하게 되므로, 앞의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가 ON 고장난 경우와 마찬가지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까지 하강한 것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 2개의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중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에 OFF 고장, 즉, 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되어 버리는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도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원 투입 후,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부터 최상층까지 운전된 후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전원 투입 후,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 최상층까지 운전되고, 그 후 최상층에서부터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의 바로 앞까지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하기까지는 도 2와 같다.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다다르면,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이 먼저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를 차단한다. 그러면,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고, 그때까지 여자되어 있던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석방된다.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석방되면, 제2 하방 측 상개접점(22b)이 개방되기 때문에,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차단된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이르러,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도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되면,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로부터의 출력도 차단된다. 그러면, 여자되어 있던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가 석방된다.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가 석방되면, 제1 하방 측 상폐접점(23a)이 닫히기 때문에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가 여자된다.
그 후,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하면,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 및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는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게 된다. 이때,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로부터의 출력은 재개되지만,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는 OFF 고장이기 때문에,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로부터의 출력은 이후에 있어서 재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가 OFF 고장나면,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는 여자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 하방 측 상개접점(22a)는 개방된 채로 있게 되므로,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부터 상승하여 하방 종단 위치를 통과하여도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된다.
즉,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가 OFF 고장났을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까지 하강하였을 경우에는,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차단된다. 이 때문에,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부터 상승하여 하방 종단 위치를 통과하여도,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는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 채로 있게 된다. 따라서, 안전 측으로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를 인식하게 되기 때문에, 앞의 ON고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까지 하강한 것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나타난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에 OFF 고장이 발생한 경우도,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마찬가지이다.
또, 이상은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 중 어느 일방이 고장났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어느 일방이 고장난 경우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는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을 때, 즉, 엘리베이터 칸이, 하방 종단 위치보다 하방 종단 측 또는 상방 종단 위치보다 상방 종단 측에 있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속도 이상일 때, 엘리베이터 칸(4)을 감속시키기 위한 제동 지령을 과속 감시부(14b)가 출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에 마련된 동작판인 곳의 차폐판(17)을 검출하는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 또는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가 승강로(1) 내에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경로를 따라서 병설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의 양자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의 출력이 정합하고 있는 경우에 자신으로부터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정합성 체크 회로를 구비하고, 과속 감시부(14b)는 정합성 체크 회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로(1)의 종단에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것이다.
여기서,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의 양자의 출력이 정합하고 있는 상태란,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자의 일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면 이어서 타방으로부터의 출력도 차단되고, 양자의 일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되면 이어서 타방으로부터의 출력도 재개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양자로부터의 출력이 정합하고 있는 경우에는 정합성 체크 회로 자신으로부터의 출력을 반전시킨다. 즉, 정합성 체크 회로로부터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출력을 차단하고, 정합성 체크 회로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고 있는 경우에는 출력을 재개한다.
이 때문에, 캠을 이용하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 칸이 종단 위치에 있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어, 설치 조정을 간소화하고, 설치 조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때,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와 정합성 체크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위치 검출 센서 자체에는 고장 검출 기능을 마련하는 일 없이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캠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기기의 제조 등에 필요한 비용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게다가 정합성 체크 회로는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의 양자 중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작동판을 검출한 취지의 출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또한 상기 양자의 출력이 정합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과속 감시부(14b)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로(1)의 종단에서부터 상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다고 인식되는 출력을 실시하는, 즉, 출력을 차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의 양자의 출력이 정합하고 있지 않는(부정합인) 상태란, 예를 들면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의 일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타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지 않은 상태나, 반대로 양자의 일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타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러한 부정합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정합성 체크 회로로부터의 출력은 차단되고,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상하의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다.
이 때문에, 2개 있는 위치 검출 센서의 일방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안전 측으로 판정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엘리베이터 칸이 종단 위치에까지 하강한 것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2.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형태 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투입 시에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의 동작 상태를 세팅하기 위해, 한 번 엘리베이터 칸을 종단층에서부터 반대측의 종단층으로 운전하여, 차폐판으로 각 위치 검출 센서 모두를 한 번 차단시킬 필요가 있었다. 이것은 정전 등에 의하여 전원이 차단된 후 복전(復電) 시에 있어도 마찬가지이다. 즉, 정전 등에 의하여 전원이 차단되면,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의 릴레이의 여자가 모두 해제되어 버린다. 그리고, 복전 시에는 한 번 엘리베이터 칸을 종단층에서부터 반대 측의 종단층으로 운전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인식할 수 없다.
이에,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형태 2는 정전 등에 의하여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에,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에 있어서의 전원이 차단되기 직전 릴레이의 작동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배터리를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에는 배터리(26)가 접속되어 있다. 정전 등에 의하여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이 배터리(26)에서 이들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로 전력이 공급된다. 그리고, 이 배터리(26)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의 각 릴레이의 작동(여자)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다른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며,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과 같은 효과를 내는 것이 가능한 것에 더하여, 정전 등에 의하여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에도,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의 릴레이의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복전시하였을 때에 한 번 엘리베이터 칸을 종단층에서 반대측 종단층으로 운전하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정상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발명은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속도에 이르면, 엘리베이터 칸을 감속시키기 위한 제동 지령을 출력하는 과속 감시부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승강로
2 기계실
3 피트
4 엘리베이터 칸
5 균형추
6 권상기
6a 구동 시브
6b 브레이크
7 주 로프
8 조속기
9 인장 풀리
10 조속기 로프
11 속도 검출기
11a 속도 검출 신호
12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
13 균형추 완충기
14 제어반
14a 운행 제어부
14b 과속 감시부
15a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
15b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
16a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
16b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
17 차폐판
18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
19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
20a 제1 하방 측 릴레이(LWA)
20b 제2 하방 측 릴레이(LWB)
20c 제3 하방 측 릴레이(LWC)
21a 제1 상방 측 릴레이(UPA)
21b 제2 상방 측 릴레이(UPB)
21c 제3 상방 측 릴레이(UPC)
22a 제1 하방 측 상개접점
22b 제2 하방 측 상개접점
22c 제3 하방 측 상개접점
23a 제1 하방 측 상폐접점
23b 제2 하방 측 상폐접점
23c 제3 하방 측 상폐접점
24a 제1 상방 측 상개접점
24b 제2 상방 측 상개접점
24c 제3 상방 측 상개접점
25a 제1 상방 측 상폐접점
25b 제2 상방 측 상폐접점
25c 제3 상방 측 상폐접점
26 배터리

Claims (8)

  1.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 승강이 자재(自在)로 배치된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속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감속시키기 위한 제동 지령을 출력하는 과속 감시부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작동판과,
    상기 승강로 내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경로에 따라 병설되어 상기 작동판을 검출하는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와,
    상기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의 양자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의 출력이 정합하고 있는 경우에 자신으로부터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정합성 체크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과속 감시부는 상기 정합성 체크 회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상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합성 체크 회로는, 상기 양자 중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상기 작동판을 검출한 취지의 출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또한 상기 양자의 출력이 정합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과속 감시부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상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다고 인식되는 출력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성 체크 회로는, 세이프티 릴레이(safety relay)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성 체크 회로는, 엘리베이터의 전원 투입 시의 초기 상태가 상기 과속 감시부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상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다고 인식되는 출력을 실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운행을 제어하는 운행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운행 제어부는 엘리베이터의 전원 투입 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최고 속도를 상기 소정의 속도 이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제어부는 엘리베이터의 전원 투입 후에 자동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상하의 종단층 사이에서 왕복 운전시킨 후,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최고 속도를 정격 속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로의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에, 상기 정합성 체크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의 출력은 상기 작동판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포텐셜이 높은 상태이고, 상기 작동판을 검출하였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포텐셜이 낮은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
KR1020137011158A 2010-12-27 2010-12-27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 KR101447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73527 WO2012090264A1 (ja) 2010-12-27 2010-12-27 エレベーターの終端階強制減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758A true KR20130061758A (ko) 2013-06-11
KR101447399B1 KR101447399B1 (ko) 2014-10-06

Family

ID=4638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1158A KR101447399B1 (ko) 2010-12-27 2010-12-27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60179B1 (ko)
JP (1) JP5541372B2 (ko)
KR (1) KR101447399B1 (ko)
CN (1) CN103282298B (ko)
WO (1) WO20120902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032A (ko) * 2015-07-22 2018-03-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92480B1 (ja) 2022-08-04 2023-06-16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9346A (en) * 1972-05-17 1973-12-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Terminal slowdown control for elevator system
JPS58135075A (ja) * 1982-02-08 1983-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終端階減速装置
JPH04182287A (ja) * 1990-11-16 1992-06-2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非常運転装置
JPH07223783A (ja) * 1994-02-10 1995-08-22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端階安全装置
JPH08208145A (ja) * 1995-02-07 1996-08-13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深ピットドアロックスイッチの点検方法とその装置
JPH09240938A (ja) * 1996-03-12 1997-09-16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3355913B2 (ja) * 1996-03-28 2002-12-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10324474A (ja) * 1997-05-26 1998-12-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終端階減速装置
JPH11246141A (ja) * 1998-03-06 1999-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終端階減速装置
KR20000001155A (ko) * 1998-06-09 2000-01-1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
JP2003095555A (ja) * 2001-09-25 2003-04-0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303133B2 (ja) * 2002-04-24 2009-07-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超過速度調整装置
CN1950286B (zh) * 2005-03-30 2012-10-1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4896873B2 (ja) * 2005-03-30 2012-03-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4705407B2 (ja) * 2005-05-13 2011-06-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4999355B2 (ja) * 2006-05-09 2012-08-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終端階速度制御システム
JP4812037B2 (ja) * 2007-07-23 2011-11-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乗りかごの速度検出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JP4854640B2 (ja) * 2007-11-01 2012-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着床プレート支持装置
JP5169176B2 (ja) 2007-11-28 2013-03-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032A (ko) * 2015-07-22 2018-03-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US10858218B2 (en) 2015-07-22 2020-12-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2090264A1 (ja) 2014-06-05
KR101447399B1 (ko) 2014-10-06
CN103282298B (zh) 2015-07-08
EP2660179B1 (en) 2020-12-16
EP2660179A1 (en) 2013-11-06
JP5541372B2 (ja) 2014-07-09
WO2012090264A1 (ja) 2012-07-05
EP2660179A4 (en) 2017-11-15
CN103282298A (zh)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9945B2 (en) Supplemental elevator safety system
KR10102506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2361312B1 (ko)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
US10773923B2 (en) Method for avoiding unwanted safety gear tripping in an elevator system, controller adapted to perform such a method, governor brake and elevator system each having such a controller
JP5462836B2 (ja) エレベーター用制動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WO2012127560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449127B2 (ja) エレベータ
JP2007176624A (ja) エレベータ
KR20130061758A (ko)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
JP7147900B1 (ja) エレベータ
JP4919593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439772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733190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9099325A (ja) エレベーター
JP2004210507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14555506B (zh) 电梯系统
JP2004175560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JP5462843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3915915A1 (en) Elevator safety monitoring system, elevator system, elevator drive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JP2008133091A (ja) エレベータの終端階速度制御システム
JP2000327239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81736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2162330A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