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712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712A
KR20130061712A KR1020137002089A KR20137002089A KR20130061712A KR 20130061712 A KR20130061712 A KR 20130061712A KR 1020137002089 A KR1020137002089 A KR 1020137002089A KR 20137002089 A KR20137002089 A KR 20137002089A KR 20130061712 A KR20130061712 A KR 20130061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bristle
center
bristle bundle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6155B1 (ko
Inventor
테츠야 아베
유카리 야마모토
유스케 하카마타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61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76Bristles having pointed ends

Abstract

본 발명은, 식모면에는, 상기 식모면의 개략 중앙에 위치하는 2 이상의 중앙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모속군과, 상기 중앙 모속군을 끼우고 식설된 2 이상의 외측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제 1의 외측 모속군과, 제 2의 외측 모속군이 구비되고, 상기 중앙 모속군의 최외주에 위치하는 상기 중앙 모속이 식설된 상기 식모구멍의 외연을 연결한 환상선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을 중앙 식모 영역으로 하고, 상기 중앙 모속군을 구성하는 용모의 총 개수를 상기 중앙 식모 영역의 면적으로 나눈 값을 중앙 식모 밀도로 하고, 제 1의 외측 모속군의 영역을 제 1의 외측 식모 영역으로 하고, 제 2의 외측 모속군의 영역을 제 2의 외측 식모 영역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외측 모속군을 구성하는 용모의 총 개수를 상기 제 1의 외측 식모 영역의 면적과 상기 제 2의 외측 식모 영역의 면적과의 합으로 나눈 값을 외측 식모 밀도로 하고, 외측 식모 밀도/중앙 식모 밀도로 표시되는 식모 밀도비가, 1.6 내지 6.0인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잇몸에의 부드러운 닿는 느낌과, 치경부의 높은 청소성을 양립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0년 8월 6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2010-177779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구강 내 청소 기구인 칫솔에서는, 가장 필요한 기능인 플라그 제거 효과를 높이기 위해, 용모(用毛)를 묶은 모속(毛束)의 배열에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기본적인 칫솔에서의 모속의 배열로서는, 균일한 직경의 모속이 바둑판무늬형상 또는 지그재그형상으로 식설(植設)된 것이 알려져 있다.
근래, 위생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의해, 칫솔에는, 보다 한층 플라그 제거 효과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고, 이와 같은 요망에 대해, 다른 지름의 모속을 조합시킨 칫솔이나, 다른 모장(毛丈)의 모속을 조합시킨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헤드부의 전단 가까이에서 식모면의 주연(周緣)에 따라 개략 U자형으로 대구경 모속이 배치된 전단측 식모 영역과, 헤드부의 후단 가까이에 소구경 모속이 배치된 후단측 식모 영역을 가지며, 전단측 식모 영역의 식모 밀도를, 후단측 식모 영역의 식모 밀도보다도 높게 한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이 칫솔에 의하면, 구강 내의 각 부분, 특히 어금니의 교합면(咬合面)에서 높은 쇄소력(刷掃力)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헤드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중앙에, 내경이 2.0 내지 2.8㎜의 식모구멍에 쇄모가 식설된 중앙 모속열과, 상기 중앙 모속열의 양 외측에, 내경이 1.2 내지 1.6㎜의 식모구멍에 쇄모가 식설된 외측 모속열을 가지며, 중앙 모속열의 식모구멍의 총 면적과 외측 모속열의 식모구멍의 총 면적과의 비율이 1 : 0.6 내지 1 : 2.8인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이 칫솔에 의하면, 치면(齒面), 치경부(齒頸部) 및 치간부(齒間部) 등의 세밀한 부분에서, 플라그를 효율적으로 쇄소할 수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최외측열의 외측 터프트(tuft)의 속경(束徑)보다도 속경이 가늘고, 또한 상기 외측 터프트의 모장보다도 모장이 높은 중앙 터프트 및 중간 터프트의 열이 외측 터프트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고, 중앙 터프트의 모장이 가장 높고, 외측의 열의 터프트를 향하여 터프트의 모장이 순차적으로 낮아지고 있고, 중앙 터프트, 중간 터프트, 및 외측 터프트는, 이 순서로 속경이 순차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이 칫솔에 의하면, 우수한 청소 실감 및 구강 내의 간극에의 삽입 실감을 얻을 수 있다.
특허 문헌 4에는, 식모면을 칫솔의 축방향과 평행한 3㎜ 폭의 중앙 띠모양 영역과 이것의 양측에 한 쌍의 외측 영역으로 구획하여, 중앙 띠모양 영역의 중앙 주(主)브리슬(bristle)의 높이를 외측 영역의 외측 주브리슬의 높이보다 높게 하고, 또한 중앙 주브리슬 전체의 경도를 외측 주브리슬 전체의 경도보다 크게 한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이 칫솔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치간부를 쇄소할 수 있다.
또는, 용모의 모선(毛先)을 선예화한, 이른바 테이퍼모을 이용한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5에는, 테이퍼링된 침상(針狀)의 모를, 타 부위의 침상의 모의 높이보다 1㎜ 내지 10㎜ 높게 한 돌출부가 형성된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이 칫솔에 의하면, 필요에 응하여 침상의 모가 치아의 간극부 또는 치주 포켓 등의 치차의 주변의 세밀한 부위에 국소적, 집중적으로 침투하고, 음식 잔사를 부드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6 내지 7에는, 모장이 다른 모속이 식설되고, 상기 모속을 구성하는 브리슬의 선단부가 테이퍼형상이 된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이 칫솔에 의하면, 우수한 쇄소 실감 및 구강 내의 간극에의 삽입 실감을 얻을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7-22906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8-154808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제3583346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허 제4076403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 특개2002-85159호 공보 특허 문헌 6 : 일본 특허 제3585811호 공보 특허 문헌 7 : 일본 특개2001-346632호 공보
그런데, 치주병에 걸리면, 쇄소시의 통증이나 출혈 등을 회피하기 위해, 가능한 한 잇몸(치경)에 자극을 주지 않는 것 같은 느낌의 칫솔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잇몸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용모경을 가늘게 한 부드러운 용모, 이른바 털의 강직성(毛腰)이 낮은 용모를 이용하거나, 용모의 식모 밀도를 높게 하거나 하여, 쇄소압(刷掃壓)을 분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쪽으로, 털의 강직성이 낮은 용모를 이용하면, 플라그의 제거가 불충분하게 되기 쉽고, 용모의 식모 밀도를 높게 하면, 치아와 잇몸과의 간극에 모선을 넣기 위해 필요한 각 모속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치아와 같은 칫솔은, 치주병 대책의 근본적인 과제인 「치경부의 청소성」을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치주병 환자에 있어서, 잇몸에 부담을 주지 않는 안심감을 주면서, 적절하게 치경부를 청소할 수 있는 칫솔이 요구되고 있다.
더하여, 상술한 특허 문헌 1 내지 7의 칫솔은, 플라그의 효율적인 제거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발명이어서, 치주병 환자에의 배려가 불충분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잇몸에의 부드럽게 닿는 느낌과, 치경부의 높은 청소성을 양립할 수 있는 칫솔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식모면의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모속이 잇몸에 접촉하기 쉽기 때문에, 이러한 모속에 의한 잇몸에의 압력을 완화함으로써, 잇몸에의 부드러운 닿는 느낌을 실현할 수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더하여, 식모면의 개략 중앙에 위치하는 모속의 식모 밀도와 식모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모속의 식모 밀도를 일정한 범위로 함으로써, 잇몸에 부드러운 닿는 느낌과, 치경부의 청소성을 양립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칫솔은, 선단에 헤드부가 마련된 핸들체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형성된 2 이상의 식모구멍에 용모의 모속이 식설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에는, 상기 핸들체의 축선 방향으로 병설되고, 또한 상기 식모면의 개략 중앙에 위치하는 2 이상의 중앙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모속군(毛束群)과, 상기 핸들체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중앙 모속군을 끼우고 식설된 2 이상의 외측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외측 모속군이 구비되고,
상기 중앙 모속군의 최외주에 위치하는 상기 중앙 모속이 식설된 상기 식모구멍의 외연을 연결한 환상선(環狀線)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을 중앙 식모 영역으로 하고, 상기 중앙 모속군을 구성하는 용모의 총 개수를 상기 중앙 식모 영역의 면적으로 나눈 값을 중앙 식모 밀도로 하고, 한쪽의 상기 외측 모속군의 최외주에 위치하는 상기 외측 모속이 식설된 상기 식모구멍의 외연을 연결한 환상선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을 제 1의 외측 식모 영역으로 하고, 다른쪽의 상기 외측 모속군의 최외주에 위치하는 상기 외측 모속이 식설된 상기 식모구멍의 외연을 연결한 환상선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을 제 2의 외측 식모 영역으로 하고, 상기 한 쌍의 외측 모속군을 구성하는 용모의 총 개수를 상기 제 1의 외측 식모 영역의 면적과 상기 제 2의 외측 식모 영역의 면적과의 합으로 나눈 값을 외측 식모 밀도로 하고, 외측 식모 밀도/중앙 식모 밀도로 표시되는 식모 밀도비가, 1.6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모속은,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斷面)의 직경이 1.0 내지 1.6㎜이고, 상기 외측 모속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외측 모속의 단면적을, 상기 중앙 모속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중앙 모속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 1.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중앙 모속은, 상기 식모면상의 길이가, 상기 외측 모속의 상기 식모면상의 길이보다 긴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중앙 모속 및 상기 외측 모속의 쌍방 또는 어느 일방에는, 모선을 향하여 점차로 그 지름이 작아지는 용모가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칫솔에 의하면, 헤드부의 식모면에는, 핸들체의 축선 방향으로 병설되고, 또한 상기 식모면의 개략 중앙에 위치하는 2 이상의 중앙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모속군과, 상기 핸들체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중앙 모속군을 끼우고 식설된 2 이상의 외측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외측 모속군이 구비되고,
상기 중앙 모속군의 최외주에 위치하는 상기 중앙 모속이 식설된 상기 식모구멍의 외연을 연결한 환상선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을 중앙 식모 영역으로 하고, 상기 중앙 모속군을 구성하는 용모의 총 개수를 상기 중앙 식모 영역의 면적으로 나눈 값을 중앙 식모 밀도로 하고, 한쪽의 상기 외측 모속군의 최외주에 위치하는 상기 외측 모속이 식설된 상기 식모구멍의 외연을 연결한 환상선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을 제 1의 외측 식모 영역으로 하고, 다른쪽의 상기 외측 모속군의 최외주에 위치하는 상기 외측 모속이 식설된 상기 식모구멍의 외연을 연결한 환상선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을 제 2의 외측 식모 영역으로 하고, 상기 한 쌍의 외측 모속군을 구성하는 용모의 총 개수를 상기 제 1의 외측 식모 영역의 면적과 상기 제 2의 외측 식모 영역의 면적과의 합으로 나눈 값을 외측 식모 밀도로 하고, 외측 식모 밀도/중앙 식모 밀도로 표시되는 식모 밀도비가 1.6 내지 6.0이기 때문에, 잇몸에의 부드러운 닿는 느낌과, 치경부의 높은 청소성을 양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칫솔에 의하면, 상기 중앙 모속은,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직경이 1.0 내지 1.6㎜이고, 상기 외측 모속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외측 모속의 단면적을, 상기 중앙 모속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중앙 모속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 1.8 이상이기 때문에, 잇몸에의 닿는 느낌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치경부의 청소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칫솔에 의하면, 상기 중앙 모속은, 상기 식모면상의 길이가, 상기 외측 모속의 상기 식모면상의 길이보다 긴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중앙 모속의 선단이 치주 포켓이나 치간부에 들어가기 쉬워져서, 치경부의 청소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모속 및 상기 외측 모속의 쌍방 또는 어느 일방에는, 모선을 향하여 점차로 그 지름이 작아지는 용모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중앙 모속 또는 상기 외측 모속을 구성하는 용모의 선단이 치주 포켓이나 치간부에 들어가기 쉬워져서, 치경부의 청소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칫솔의 헤드부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 및 도 1의 B의 칫솔에 사용되는 용모의 측면도.
본 발명의 칫솔에 관해,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1)의 헤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의 B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1)의 헤드부의 측면도이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칫솔(1)은, 핸들체(2)를 구비하는 것이고, 핸들체(2)는, 장척형상의 파지부(부도시)와, 상기 파지부의 선단에 마련된 헤드부(4)로 개략 구성되는 것이다. 도 1의 A중, 부호 O는, 핸들체(2)의 축선, 즉, 핸들체(2)의 길이 방향으로, 또한 핸들체(2)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이다.
헤드부(4)는, 축선(O) 방향을 긴쪽으로 하는 평면으로 보아 개략 사각형상으로 되고, 임의의 면이, 모속을 식모하는 식모면(5)으로 된 것이다. 식모면(5)에는, 축선(O)상 및 축선(O)에 따라,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23개의 중앙 식모구멍(10)이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2 이상의 중앙 식모구멍(10)에, 2 이상의 중앙 용모(13)를 개략 원주형상으로 묶은 중앙 모속(12)이 식설되어 중앙 모속군(14)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식모면(5)에는, 그 폭방향, 즉 축선(O)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중앙 식모구멍(10)을 끼우고, 축선(O)에 따라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12개의 외측 식모구멍(20)이 형성되고, 이 외측 식모구멍(20)에, 2 이상의 외측 용모(23)를 개략 원주형상으로 묶은 외측 모속(22)이 식설되어 있다. 그리고, 식모면(5)에는, 헤드부(4)의 측연(6)에 따라 마련된 6개의 외측 모속(22)에 의해, 제 1의 외측 모속군(24a)이 구성되고, 헤드부(4)의 측연(7)에 따라 마련된 6개의 외측 모속(22)에 의해 제 2의 외측 모속군(24b)이 구성되어 있다.
중앙 모속(12)의 식모면(5)상의 길이인 모장(t1)은, 외측 모속(22)의 식모면(5)상의 길이인 모장(t2)보다도 긴 것으로 되어 있다.
식모면(5)에는, 중앙 모속군(14)이 마련된 영역을 나타내는 중앙 식모 영역(11)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 식모 영역(11)은, 중앙 모속군(14)의 최외주에 위치하는 중앙 모속(12)이 식설된 중앙 식모구멍(10)의 외연을 연결하는 환상선으로 둘러싸여진 영역이다. 또한, 이 환상선은, 인접하는 중앙 식모구멍(10)끼리의 공통 접선을 구성한다.
식모면(5)에는, 제 1의 외측 모속군(24a)이 마련된 영역을 나타내는 제 1의 외측 식모 영역(21a)이 형성되어 있고, 제 1의 외측 식모 영역(21a)은, 제 1의 외측 모속군(24a)을 구성하는 외측 모속(22)이 식설된 외측 식모구멍(20)의 외연을 연결하는 환상선으로 둘러싸여진 영역이다.
또한, 이 환상선은, 제 1의 외측 모속군(24a) 내에서 인접하는 외측 식모구멍(20)끼리의 공통 접선을 구성한다.
또한, 식모면(5)에는, 제 2의 외측 모속군(24b)이 마련된 영역을 나타내는 제 2의 외측 식모 영역(21b)이 형성되어 있고, 제 2의 외측 식모 영역(21b)은, 제 2의 외측 모속군(24b)을 구성하는 외측 모속(22)이 식설된 외측 식모구멍(20)의 외연을 연결하는 환상선으로 둘러싸여진 영역이다. 또한, 이 환상선은, 제 2의 외측 모속군(24b) 내에서 인접하는 외측 식모구멍(20)끼리의 공통 접선을 구성한다.
핸들체(2)의 재질은, 칫솔(1)에 요구되는 강성이나 기계 특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구부림 탄성율(JIS K7203)이 500 내지 3000MPa의 범위에 있는 고경도 수지를 사용함에 의해, 칫솔(1)에 필요하게 되는 기계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고경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AS)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헤드부(4)의 크기는, 구강 내로의 조작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폭(W)이 10 내지 15㎜가 되고, 두께(T)가 4 내지 8㎜가 된다.
중앙 식모구멍(10)의 직경(R1)은, 중앙 모속(12)의 직경, 즉, 중앙 모속(12)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직경에 응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0 내지 1.6㎜가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중앙 식모구멍(10)의 직경(R1)이 개략 동등하게 되어 있다. 개략 동등이란, 모든 직경(R1)이 ±5%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외측 식모구멍(20)의 직경(R2)은, 외측 모속(22)의 직경에 응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8 내지 2.4㎜가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외측 식모구멍(20)의 직경(R2)이 개략 동등하게 되어 있다. 개략 동등이란, 모든 직경(R2)이 ±5%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도 1의 A에서는, 중앙 식모구멍(10)의 수가 23개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중앙 식모구멍(10)의 수는 식모면의 형상에 응하여 결정할 수 있고, 18 내지 28개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의 A에서는, 외측 식모구멍(20)의 수가 12개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외측 식모구멍(20)의 수는 식모면의 형상에 응하여 결정할 수 있고, 8개 내지 16개가 바람직하다.
중앙 모속(12)의 모장(t1)은, 중앙 용모(13)의 재질, 및 두께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6 내지 15㎜가 된다.
중앙 모속(12)의 모속경(r1), 즉, 중앙 모속(12)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직경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내지 1.6㎜가 바람직하고, 1.2 내지 1.4㎜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앙 모속(12)의 모속경(r1)이 1.0㎜ 이상이면, 중앙 모속(12)으로서의 털의 강직성이 높아져서, 치경부의 청소성이 향상하고, 1.6㎜ 이하이면, 중앙 모속(12)의 선단부가 치주 포켓이나 치간부 등의 미세 부분에 침입하기 쉬워지고 청소성이 향상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중앙 모속(12)의 모속경(r1)이, 개략 동등하게 되어 있다. 개략 동등이란, 모든 직경(r1)이 ±5%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1개의 중앙 모속(12)당의 중앙 용모(13)의 개수는, 중앙 용모(13)의 용모경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0 내지 30개가 된다.
또한, 중앙 모속(12)의 모속경(r1)은, 식모면(5)과의 경계부에서의 직경이고, 중앙 식모구멍(10)의 직경(R1)과 개략 동등하다. 개략 동등이란, ±5% 내의 차이를 말한다.
중앙 모속군(14)의 식모 밀도, 즉, 중앙 모속군(14)을 구성하는 중앙 용모(13)의 총 개수를 중앙 식모 영역(11)의 면적으로 나눈 값(중앙 식모 밀도)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4 내지 11개/㎟가 바람직하고, 6 내지 9개/㎟가 바람직하다. 중앙 식모 밀도가 4개/㎟ 미만이면, 쇄소시에 있어서 중앙 모속(14)끼리가 상호 지탱되지 않고, 낮은 털의 강직성이 되어 치경부의 청소성이 저하된다. 중앙 식모 밀도가 11개/㎟ 초과면, 쇄소시에, 인접하는 중앙 모속(14)끼리의 간섭이 커져서, 중앙 모속(14)이 휘여짐 등의 움직임이 과도하게 억제되고, 치경부에의 중앙 용모(13)의 침입이 저해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용모(13)는, 개략 원주형상으로, 그 선단부가, 기부(13b)로부터 선단(13a)을 향하여 점차 지름이 작아지는, 이른바 테이퍼모(毛)이다.
중앙 용모(13)의 재질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6-12나일론, 및 6-10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및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등의 폴리에스테르 ; PP 등의 폴리올레핀 ; 및 올레핀계 일래스토머, 및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수지 재료를 2 이상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코어 시스 구조 등과 같이, 코어부와 시스부에서 다른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중앙 용모(13)의 용모경은, 중앙 용모(13)의 재질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6 내지 9mil(1mil=1/1000inch=0.025㎜)이 된다. 6mil 이상이면, 치경부를 양호하게 청소할 수 있는 털의 강직성이 확보되고, 9mil 이하면, 잇몸 등에의 자극을 완화할 수 있는 유연성이 확보된다. 또한, 테이퍼모에 있어서의 용모경은, 선단(13a)을 향하여 점차 지름이 작아지기 직전, 즉, 선단부의 기부(13b)에서의 직경이다.
외측 모속(22)의 식모면(5)상의 길이, 즉 모장(t2)은, 외측 용모(23)의 재질, 및 두께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6 내지 13㎜가 된다.
하기 (1)식으로 표시되는 중앙 모속(12)의 모장(t1)과 외측 모속(22)의 모장(t2)의 모장차(t3)는, 0.3㎜ 이상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1.5㎜가 보다 바람직하다. t1>t2라면, 치경부의 청소성 및 잇몸에의 닿는 느낌의 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모장차(t3)(㎜)=모장(t1)(㎜) - 모장(t2)(㎜) … (1)
외측 모속(22)의 모속경(r2), 즉, 외측 모속(22)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직경은, 1.8 내지 2.4㎜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2.2㎜가 보다 바람직하다. 외측 모속(22)의 모속경(r2)이 1.8㎜ 미만이면, 쇄소시에 있어서, 외측 모속(22)의 선단에서 잇몸에 걸리는 압력을 분산할 수가 없어서, 잇몸에의 자극이 강해지고, 잇몸에의 닿는 느낌이 저하된다. 외측 모속(22)의 모속경(r2)이 2.4㎜ 초과면, 외측 용모(23)는, 같은 외측 모속(22)을 구성하는 다른 외측 용모(23)와의 간섭이 너무 커져서, 움직임의 자유도가 손상되어, 부드러운 닿는 느낌을 저하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외측 모속(22)의 모속경(r2)이, 개략 동등하게 되어 있다. 개략 동등이란, 모든 직경(r2)이 ±5%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1개의 외측 모속(22)당의 외측 용모(23)의 개수는, 외측 용모(23)의 용모경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50 내지 200개가 된다.
또한, 외측 모속(22)의 모속경(r2)은, 식모면(5)과의 경계부에서의 직경이고, 외측 식모구멍(20)의 직경(R2)과 개략 동등하다.
외측 모속(22)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적(외측 모속 단면적)과, 중앙 모속(12)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적(중앙 모속 단면적)과의 비율로서, [외측 모속 단면적]/[중앙 모속 단면적]으로 표시되는 모속 단면적비는, 1.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8 내지 5.0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내지 4.0이 더욱 바람직하다. 1.8 이상이면, 외측 모속(22)의 모속경이 너무 작은 것이 없고, 외측 모속(22)의 선단에서 잇몸에 걸리는 압력을 충분히 분산될 수 있어서, 닿는 느낌이 향상한다. 또한, 중앙 모속(12)의 모속경이 너무 큰 것이 없고, 중앙 모속(12)의 선단부가 치주 포켓이나 치간부에 들어가기 쉬워지고, 치경부의 청소성이 향상한다. 5.0 이하면, 중앙 모속(12)의 모속경이 외측 모속(22)의 모속경에 비하여 너무 작은 것이 없고, 중앙 모속(12)의 털의 강직성이 높아져서 치경부의 청소성이 향상한다. 또한, 외측 모속(22)이 너무 큰 것이 없고, 헤드부의 증폭(增幅)에 의한 조작성, 및 헤드부의 강도가 향상한다.
또한, 중앙 모속 단면적은, 중앙 모속(12)과 식모면(5)과의 경계부분의 단면적이고, 중앙 식모구멍(10)의 개구면적과 개략 동등하다. 외측 모속 단면적은, 외측 모속(22)과 식모면과의 경계부분의 단면적이고, 외측 식모구멍(20)의 개구면적과 개략 동등하다.
제 1의 외측 모속군(24a)의 식모 밀도, 즉, 제 1의 외측 모속군(24a)을 구성하는 외측 용모(23)의 총 개수를 제 1의 외측 식모 영역(21a)의 면적으로 나눈 값은, 10개/㎟ 이상이 바람직하고, 15개/㎟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의 외측 모속군(24a)의 식모 밀도가 10개/㎟ 미만이면, 쇄소시에 있어서 외측 모속(22)의 선단에서 잇몸에 걸리는 압력을 분산하기 어려워진다.
제 2의 외측 모속군(24b)의 식모 밀도, 즉, 제 2의 외측 모속군(24b)을 구성하는 외측 용모(23) 총 개수를 제 2의 외측 식모 영역(21b)의 면적으로 나눈 값은, 제 1의 외측 모속군(24a)의 식모 밀도와 마찬가지이다.
제 1의 외측 모속군(24a)의 식모 밀도와 제 2의 외측 모속군(24b)의 식모 밀도는,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단, 쇄소시에 있어서, 구강 내의 상하 좌우의 어느 잇몸에 대해서도 부드러운 닿는 느낌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제 1의 외측 모속군(24a)의 식모 밀도와 제 2의 외측 모속군(24b)의 식모 밀도는, 개략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략 동등이란, [제 1의 외측 모속군의 식모 밀도]/[제 2의 외측 모속군의 식모 밀도]로 표시되는 비가, 0.95 내지 1.05인 것을 의미한다.
제 2의 외측 모속군(24b)을 구성하는 외측 용모(23)의 총 개수는, 제 1의 외측 모속군(24a)을 구성하는 외측 용모(23)의 총 개수와 마찬가지이다.
제 1의 외측 모속군(24a)을 구성하는 외측 용모(23)의 총 개수와, 제 2의 외측 모속군(24b)을 구성하는 외측 용모(23)의 총 개수는,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단, 쇄소시에 있어서, 구강 내의 상하 좌우의 어느 잇몸에 대해서도 부드러운 닿는 느낌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제 1의 외측 모속군(24a)을 구성하는 외측 용모(23)의 총 개수와, 제 2의 외측 모속군(24b)을 구성하는 외측 용모(23)의 총 개수는, 개략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략 동등이란, [제 1의 외측 모속군을 구성하는 외측 용모의 총 개수]/[제 2의 외측 모속군을 구성하는 외측 용모의 총 개수]로 표시되는 비가, 0.95 내지 1.05인 것을 의미한다.
제 1의 외측 모속군(24a)을 구성하는 외측 용모(23)의 총 개수와 제 2의 외측 모속군(24b)을 구성하는 외측 용모(23)의 총 개수와의 합을, 제 1의 외측 식모 영역(21a)의 면적과 제 2의 외측 식모 영역(21b)과의 면적의 합으로 나눈 값(외측 식모 밀도)은, 예를 들면, 10개/㎟ 이상이 바람직하고, 15개/㎟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외측 식모 밀도가 10개/㎟ 미만이면, 쇄소시에 있어서 외측 모속(22)의 선단에서 잇몸에 걸리는 압력을 분산하기 어려워진다.
[외측 식모 밀도]/[중앙 식모 밀도]로 표시되는 식모 밀도비는, 1.6 내지 6.0이고, 1.8 내지 4.0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3. 5가 보다 바람직하다. 식모 밀도비가 1.6 이상이면, 외측 모속군의 압력 분산 저하에 의해 부드러운 닿는 느낌이 향상하고, 중앙 모속의 밀도 과다에 의해 치경부의 청소성이 향상한다. 식모 밀도비가 6.0 이하면, 중앙 모속군(14)의 털의 강직성이 높아져서, 치경부의 청소성이 향상한다. 즉, 상기 범위 내라면, 잇몸에의 부드러운 닿는 느낌과, 치경부의 양호한 청소성과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외측 용모(23)는, 중앙 용모(13)와 마찬가지로, 그 선단부가, 선단을 향하여 점차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모이다.
외측 용모(23)의 재질은, 중앙 용모(13)의 재질과 같다.
또한, 중앙 용모(13)의 재질과 외측 용모(23)의 재질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외측 용모(23)의 용모경은, 외측 용모(23)의 재질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4 내지 7mil이 된다. 4mil 이상이면, 충분한 자립성(自立性)을 얻을 수 있고, 7mil 이하면, 잇몸에의 자극을 충분히 완화할 수 있다.
더하여, 외측 용모(23)의 용모경은, 중앙 용모(13)의 용모경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쇄소중에 있어서 잇몸에 접촉하기 쉬운 외측 용모(23)에 의해, 잇몸에의 자극을 완화하면서, 중앙 용모(13)에 의해 치경부의 청소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칫솔(1)의 제조 방법은, 종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용모를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을 식모구멍에 타입함에 의해 모속을 식설하는 평선식 식모나, 모속의 하단을 식모부가 되는 용융 수지중에 압입하여 고정하는 열융착법, 모속의 하단을 가열하여 용융괴를 형성한 후에, 금형중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식모부를 성형하는 인몰드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식모면의 개략 중앙에 중앙 모속군이 마련됨과 함께, 중앙 모속군의 양측에 한 쌍의 외측 모속군이 마련되고, 또한 식모 밀도비가 1.6 내지 6.0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쇄소시에는 식모 밀도가 높은 외측 모속군이 잇몸에 접촉하여 부드러운 닿는 느낌을 줌과 함께, 식모 밀도가 낮은 중앙 모속군을 구성하는 중앙 용모에 의해, 양호하게 치경부를 청소할 수 있다. 이것은, 쇄소시에 잇몸에 접촉하기 쉬운 외측 모속군이 높은 식모 밀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 모속의 선단에서 잇몸에 걸리는 압력이 분산되고, 잇몸에의 자극이 완화되기 때문이다.
더하여, 중앙 모속군은, 외측 모속군에 비하여 식모 밀도가 낮은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중앙 용모의 움직임의 자유도가 확보되어, 중앙 용모가 치주 포켓이나 치간부에 용이하게 들어가서 치경부를 양호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용모의 움직임이 한 쌍의 외측 모속군에 의해 적당하게 제어되기 때문에, 중앙 용모는, 플라그의 제거에 필요한 털의 강직성이 확보되어, 치경부를 양호하게 청소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중앙 모속은, 외측 모속보다도 길다란 모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치주 포켓이나 치간부에 들어가기 쉬워지고, 치경부의 청소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중앙 용모 및 외측 용모가 테이퍼모로 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 용모 또는 외측 용모가 치주 포켓이나 치간부에 깊이 들어가기 쉽고, 치경부의 청소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모속이 개략 원주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평면으로 보아 타원형의 타원 주형상이라도 좋고, 평면으로 보아 삼각형, 사각형 및 5각형 등의 다각주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중앙 모속의 형상을 거의 원주형상 이외로 한 경우, 그 모속경은 평면으로 본 형상에 외접하는 진원의 직경이 된다.
또한, 외측 모속은, 중앙 모속과 마찬가지로, 평면으로 보아 타원형의 타원주형상이라도 좋고, 평면으로 보아 삼각형, 사각형 및 5각형 등의 다각주형상이라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식모구멍이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중앙 식모구멍의 형상은, 중앙 모속의 형상에 응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중앙 식모구멍을 평면으로 보아 타원형의 바닥이 있는 통형상이라도 좋고, 평면으로 보아 삼각형, 사각형 및 5각형 등의 바닥이 있는 다각 통형상 등이라도 좋다.
또한, 외측 식모구멍은, 중앙 식모구멍과 마찬가지로, 평면으로 보아 타원형의 바닥이 있는 통형상이라도 좋고, 평면으로 보아 삼각형, 사각형 및 5각형 등의 바닥이 있는 다각 통형상 등이라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중앙 식모구멍의 직경이 개략 동등하게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모든 중앙 식모구멍의 직경은, 서로 달라도 좋고, 일부의 중앙 식모구멍의 직경과 다른 중앙 식모구멍의 직경이 달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외측 식모구멍의 직경이 개략 동등하게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모든 외측 식모구멍의 직경은, 서로 달라도 좋고, 일부의 외측 식모구멍의 직경과 다른 외측 식모구멍의 직경이 달라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용모가 테이퍼모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중앙 용모는, 그 길이 방향에 걸쳐서 균일한 직경의 것이라도 좋고, 선단이 반구면 또는 식모면에 평행한 면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단, 치주 포켓 또는 치간부에 들어가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중앙 모속의 일부의 중앙 용모가 테이퍼모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앙 모속의 모든 중앙 용모가 테이퍼모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용모는, 중앙 용모와 마찬가지로, 그 길이 방향에 걸쳐서 균일한 직경의 것이고도 좋고, 선단이 반구면 또는 식모면에 평행한 면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단, 잇몸에의 닿는 느낌을 부드러운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외측 모속의 일부의 외측 용모가 테이퍼모인 것이 바람직하고, 외측 모속의 모든 외측 용모가 테이퍼모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더하여, 중앙 용모 또는 외측 용모의 어느 한쪽을 테이퍼모로 구성하여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용모 및 외측 용모가, 개략 원주형상의 테이퍼모로 되어 있지만, 중앙 용모 및 외측 용모는, 평면으로 보아 타원형의 타원주형상, 평면으로 보아 삼각형, 사각형 및 5각형 등의 다각주형상 등이라도 좋다. 또한, 중앙 용모 또는 외측 용모가 개략 원주형상 이외의 형상인 경우, 그 용모경은, 그 평면으로 본 형상에 외접하는 진원의 직경이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모속의 모장이 외측 모속의 모장보다 긴 것으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중앙 모속의 모장과 외측 모속의 모장이 같은, 즉 모장차가 0㎜라도 좋고, 중앙 모속의 모장이 외측 모속의 모장보다 짧아도 좋다. 또한, 본 모속의 선단을 이은 형상이 핸들체의 축선 방향으로 산부(山部)와 곡부(谷部)를 반복한 요철면이 되도록, 중앙 모속 및 외측 모속의 모장을 설정하여도 좋다.
단, 치경부의 청소를 양호하게 행한 관점에서, 중앙 모속의 모장이 외측 모속의 모장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모속군은, 중앙 모속이 지그재그형상으로 식설된 것이지만, 예를 들면, 중앙 모속이 바둑판무늬형상으로 식설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중앙 모속군은 23개의 중앙 모속으로 구성되지만, 중앙 모속군을 구성하는 중앙 모속의 수는 22개 이하라도 좋고, 24개 이상이라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또는 제 2의 외측 모속군은, 6개의 외측 모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제 1 또는 제 2의 외측 모속군을 구성하는 외측 모속은 5개 이하라도 좋고, 7개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제 1의 외측 모속군을 구성하는 외측 모속의 수와, 제 2의 외측 모속군을 구성하는 외측 모속의 수는,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의 외측 모속군은, 외측 모속을 핸들체의 축선 방향으로 1열로 병설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1 또는 제 2의 외측 모속군은, 외측 모속이 바둑판무늬형상, 지그재그형상으로 식설된 것이라도 좋다. 단, 제 1 및 제 2의 외측 모속군을 구성하는 외측 모속의 모속경을 가능한 한 크게 하여, 잇몸에의 닿는 느낌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제 1 및 제 2의 외측 모속군은, 외측 모속을 핸들체의 축선 방향으로 1열로 병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식모 영역의 외측에 외측 모속이 식설되어 있지만, 외측 모속은, 중앙 모속을 끼우고 식설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그 일부가 중앙 식모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중앙 모속의 모속경이 개략 동등하게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중앙 모속의 모속경이 서로 달라도 좋다. 단, 중앙 모속의 털의 강직성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관점에서, 모든 중앙 모속의 모속경은 개략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외측 모속의 모속경이 개략 동등하게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외측 모속의 모속경이 서로 달라도 좋다. 단, 외측 모속의 선단에서 잇몸에 걸리는 압력을 각 외측 모속에서 균일으로 하여, 외측 모속군 전체가 닿는 느낌을 부드러운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모든 외측 모속의 모속경은 개략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평가 방법)
각 예의 칫솔에 관해, 하기한 방법으로 닿는 느낌과 치경부의 청소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치경부의 청소성은, 「치경부 삽입 실감」 및 「치경부 청소 실감」에 의해 평가하였다.
<닿는 느낌의 평가>
닿는 느낌은, 모니터 10인이 각 예의 칫솔을 사용하고, 잇몸에의 닿는 느낌을 하기한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모니터 10인의 평균점이 2.5점 이상을 「A」, 평균점 2.0점 이상 2.5점 미만을 「B」, 평균점 1.5점 이상 2.0점 미만을 「C」, 평균점 1.5점 미만을 「D」로 하였다.
≪평가 기준≫
3점 : 잇몸의 통증이 없고, 닿는 느낌이 매우 좋다.
2점 : 잇몸의 통증이 없고, 닿는 느낌이 좋다.
1점 : 잇몸에, 약한 통증을 느낀다.
0점 : 잇몸에 강한 통증을 느낀다.
<치경부 삽입 실감의 평가>
치경부 삽입 실감은, 모니터 10인이 각 예의 칫솔을 사용하고, 치경부에의 삽입 실감을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모니터 10인의 평균점이 2.5점 이상을 「A」, 평균점 2.0점 이상 2.5점 미만을 「B」, 평균점 1.5점 이상 2.0점 미만을 「C」, 평균점 1.5점 미만을 「D」로 하였다.
≪평가 기준≫
3점 : 치아와 잇몸과의 간극에 모선이 도달하는 감촉을 매우 느낀다.
2점 : 치아와 잇몸과의 간극에 모선이 도달하는 감촉을 느낀다.
1점 : 치아와 잇몸과의 간극에 모선이 도달하는 감촉을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
0점 : 치아와 잇몸과의 간극에 모선이 도달하는 감촉을 느끼지 않는다.
<치경부 청소 실감의 평가>
치경부 청소 실감은, 모니터 10인이 각 예의 칫솔을 사용하고, 치경부 청소 실감을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모니터 10인의 평균점이 2.5점 이상을 「A」, 평균점 2.0점 이상 2.5점 미만을 「B」, 평균점 1.5점 이상 2.0점 미만을 「C」, 평균점 1.5점 미만을 「D」로 하였다.
≪평가 기준≫
3점 : 치아와 잇몸과의 간극의 오물이 떨어진 감촉을 매우 느낀다.
2점 : 치아와 잇몸과의 간극의 오물이 떨어진 감촉을 느낀다.
1점 : 치아와 잇몸과의 간극의 오물이 떨어진 감촉을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
0점 : 치아와 잇몸과의 간극의 오물이 떨어진 감촉을 느끼지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1 내지 2)
표 1에 표시하는 사양에 따라, 도 1의 A 및 도 1의 B의 칫솔(1)과 마찬가지로, 테이퍼모(PBT제)를 식설한 칫솔을 제작하였다. 이 칫솔은, 지그재그형상으로 식설된 중앙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모속군과, 중앙 모속군을 끼우고 외측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외측 모속군을 구비하는 것이다. 제 1의 외측 모속군과 제 2의 외측 모속군은, 각각 동수의 외측 모속으로 구성된 것이다.
표중, 「중앙 모속당의 중앙 용모수」란, 1개의 중앙 모속을 구성하는 중앙 용모의 수이고, 「외측 모속당의 외측 용모수」란, 1개의 외측 모속을 구성하는 외측 용모의 수이다. 외측 모속군에 관한 사양은, 제 1의 외측 모속군 및 제 2의 외측 모속군을 합친 것으로 하여 기재하였다.
얻어진 각 예의 칫솔에 관해, 닿는 느낌, 치경부 삽입 실감, 및 치경부 청소 실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1 내지 5는, 모두 닿는 느낌, 치경부 삽입 실감, 치경부 청소 실감의 평가가 「A」 또는 「B」였다. 한편, 식모 밀도비가 1.2인 비교예 1은, 닿는 느낌, 치경부 삽입 실감, 및 치경부 청소 실감의 평가가 「C」였다. 또한, 식모 밀도비가 6.1인 비교예 2는, 닿는 느낌의 평가가 「A」인 것이지만, 치경부 삽입 실감, 및 치경부 청소 실감의 평가가 「C」였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잇몸에의 부드러운 닿는 느낌과, 치경부의 청소성의 양립이 도모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잇몸에의 부드러운 닿는 느낌과, 치경부의 높은 청소성을 양립시킨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칫솔 2 : 핸들체
4 : 헤드부 5 : 식모면
10 : 중앙 식모구멍 11 : 중앙 식모 영역
12 : 중앙 모속 13 : 중앙 용모
14 : 중앙 모속군 20 : 외측 식모구멍
21a : 제 1의 외측 식모 영역 21b : 제 2의 외측 식모 영역
22 : 외측 모속 23 : 외측 용모
24a : 제 1의 외측 모속군 24b : 제 2의 외측 모속군
O : 축선

Claims (5)

  1. 선단에 헤드부가 마련된 핸들체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형성된 2 이상의 식모구멍에 용모의 모속이 식설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에는, 상기 핸들체의 축선 방향으로 병설되고, 또한 상기 식모면의 개략 중앙에 위치하는 2 이상의 중앙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모속군과, 상기 핸들체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중앙 모속군을 끼우고 식설된 2 이상의 외측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외측 모속군이 구비되고,
    상기 중앙 모속군의 최외주에 위치하는 상기 중앙 모속이 식설된 상기 식모구멍의 외연을 연결한 환상선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을 중앙 식모 영역으로 하고, 상기 중앙 모속군을 구성하는 용모의 총 개수를 상기 중앙 식모 영역의 면적으로 나눈 값을 중앙 식모 밀도로 하고,
    한쪽의 상기 외측 모속군의 최외주에 위치하는 상기 외측 모속이 식설된 상기 식모구멍의 외연을 연결한 환상선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을 제 1의 외측 식모 영역으로 하고, 다른쪽의 상기 외측 모속군의 최외주에 위치하는 상기 외측 모속이 식설된 상기 식모구멍의 외연을 연결한 환상선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을 제 2의 외측 식모 영역으로 하고, 상기 한 쌍의 외측 모속군을 구성하는 용모의 총 개수를 상기 제 1의 외측 식모 영역의 면적과 상기 제 2의 외측 식모 영역의 면적과의 합으로 나눈 값을 외측 식모 밀도로 하고,
    외측 식모 밀도/중앙 식모 밀도로 표시되는 식모 밀도비가, 1.6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모속은,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직경이 1.0 내지 1.6㎜이고,
    상기 외측 모속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외측 모속의 단면적을, 상기 중앙 모속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중앙 모속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 1.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모속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외측 모속의 단면적을, 상기 중앙 모속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중앙 모속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 1.8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모속은, 상기 식모면상의 길이가, 상기 외측 모속의 상기 식모면상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모속 및 상기 외측 모속의 쌍방 또는 어느 일방에는, 모선을 향하여 점차로 그 지름이 작아지는 용모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137002089A 2010-08-06 2011-07-28 칫솔 KR101786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77779A JP5947480B2 (ja) 2010-08-06 2010-08-06 歯ブラシ
JPJP-P-2010-177779 2010-08-06
PCT/JP2011/067345 WO2012017923A1 (ja) 2010-08-06 2011-07-28 歯ブラ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712A true KR20130061712A (ko) 2013-06-11
KR101786155B1 KR101786155B1 (ko) 2017-10-17

Family

ID=4555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089A KR101786155B1 (ko) 2010-08-06 2011-07-28 칫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947480B2 (ko)
KR (1) KR101786155B1 (ko)
CN (1) CN103052338B (ko)
MY (1) MY164124A (ko)
TW (1) TWI516226B (ko)
WO (1) WO20120179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4986A1 (ja) * 2012-05-01 2013-11-07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6170835B2 (ja) * 2013-12-26 2017-07-2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および電動歯ブラシ
USD754443S1 (en) 2014-06-11 2016-04-2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JP6511229B2 (ja) * 2014-06-27 2019-05-15 小林製薬株式会社 歯ブラシ
JP6472956B2 (ja) * 2014-07-01 2019-02-20 小林製薬株式会社 歯ブラシ
RU2669740C1 (ru) 2014-12-23 2018-10-15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US10743646B2 (en) 2014-12-23 2020-08-1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1291293B2 (en) 2014-12-23 2022-04-0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EP3223657B1 (en) 2014-12-23 2022-12-0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MX2017007626A (es) 2014-12-23 2017-09-18 Colgate Palmolive Co Implemento para el cuidado bucal.
MX2017007843A (es) 2014-12-23 2017-09-19 Colgate Palmolive Co Implemento para el cuidado bucal.
CA2970674C (en) 2014-12-23 2022-05-1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US10660430B2 (en) 2014-12-23 2020-05-2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MX2017007857A (es) 2014-12-23 2017-09-19 Colgate Palmolive Co Implemento para el cuidado bucal.
CA2970676A1 (en) 2014-12-23 2016-06-3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780457S1 (en) 2014-12-23 2017-03-0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WO2016105367A1 (en) 2014-12-23 2016-06-3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JP2016209097A (ja) * 2015-04-30 2016-12-15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7162409B2 (ja) * 2016-05-23 2022-10-28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7199139B2 (ja) * 2016-08-03 2023-01-05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US10709533B2 (en) 2017-12-12 2020-07-1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nd handle and refill head thereof
US10631964B2 (en) 2017-12-12 2020-04-2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891784S1 (en) 2018-12-18 2020-08-04 Colgate-Palmolive Company Electric toothbrush handle
WO2020215308A1 (zh) * 2019-04-26 2020-10-29 龙昌日用品工业(南宁)有限公司 具有双层刷毛结构的牙刷
USD960582S1 (en) 2020-12-10 2022-08-1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refill head
CN112972040A (zh) * 2021-02-08 2021-06-18 好维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牙刷头及其制作方法
RU210390U1 (ru) * 2021-10-12 2022-04-14 Анастасия Николаевна Борисова Зубная щетк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9257U (ko) * 1975-12-26 1977-07-04
JPS60145826U (ja) * 1984-03-06 1985-09-27 ライオン株式会社 歯刷子
JPS63147408A (ja) * 1986-12-11 1988-06-20 サンスタ−株式会社 歯ブラシ
JPH1057149A (ja) * 1996-08-23 1998-03-03 Kao Corp 歯ブラシ
JP3583346B2 (ja) * 2000-04-28 2004-11-04 花王株式会社 歯ブラシ
JP3585811B2 (ja) * 2000-06-07 2004-11-04 花王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01346632A (ja) * 2000-06-07 2001-12-18 Kao Corp 歯ブラシ
JP4076403B2 (ja) * 2002-08-30 2008-04-16 花王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05046232A (ja) * 2003-07-30 2005-02-24 Kao Corp 歯ブラシ及びその設計方法
JP3142875U (ja) * 2008-03-25 2008-07-03 利夫 西野 歯列を跨いで磨く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155B1 (ko) 2017-10-17
WO2012017923A1 (ja) 2012-02-09
TWI516226B (zh) 2016-01-11
CN103052338B (zh) 2015-06-10
JP2012034845A (ja) 2012-02-23
JP5947480B2 (ja) 2016-07-06
CN103052338A (zh) 2013-04-17
MY164124A (en) 2017-11-30
TW201210530A (en)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1712A (ko) 칫솔
KR102539341B1 (ko) 칫솔
JP5401154B2 (ja) 歯ブラシ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3085006A1 (ja) 歯ブラシ
JP5909192B2 (ja) 歯ブラシ
WO2006018927A1 (ja) 歯ブラシ
JP5690523B2 (ja) 歯ブラシ
JP6141835B2 (ja) 歯ブラシ
JP5779413B2 (ja) 歯ブラシ
JP2018110987A (ja) 歯ブラシ
JP5851115B2 (ja) 歯ブラシ
CN107635432B (zh) 牙刷
CN110573043B (zh) 牙刷
JP5690525B2 (ja) 歯ブラシ
JP2015036042A (ja) 歯ブラシ
TWI802701B (zh) 牙刷
WO2017170126A1 (ja) 歯ブラシ
CN109152470B (zh) 牙刷
WO2022138016A1 (ja) 歯ブラシ
JP4094644B2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