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737A - 스타터 - Google Patents

스타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737A
KR20130058737A KR1020137005882A KR20137005882A KR20130058737A KR 20130058737 A KR20130058737 A KR 20130058737A KR 1020137005882 A KR1020137005882 A KR 1020137005882A KR 20137005882 A KR20137005882 A KR 20137005882A KR 20130058737 A KR20130058737 A KR 20130058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clutch
piece
shift piece
shif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0623B1 (ko
Inventor
노리아키 모리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8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15/067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the starter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클러치의 홈부(6)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감합됨과 함께, 시프트 레버(9)의 스트래들부에도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클러치와 시프트 레버를 연결하는 시프트 피스를 구비하고, 시프트 레버(9)의 시소 회동에 연동한 클러치의 왕복운동에 의해, 피니언 치차가 링 치차와 맞물리고, 또는 해제되는 스타터에 있어서, 시프트 피스는, 클러치의 홈부(6)에의 조립측인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7)와, 시프트 레버에의 조립측인 시프트 피스(B),(8)로 분할하고, 이들을 결합시켜서 조립하는 구조로 하였다.

Description

스타터{STARTER}
본 발명은, 전자 스위치의 플런저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시프트 레버가 시소 회동하여, 피니언 치차(gear)가 링 치차와 맞물리고, 또는 해제되는 스타터에 관한 것이다.
전자 스위치의 플런저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시프트 레버가 시소(seesaw) 회동하여, 피니언 치차가 링 치차와 맞물리고, 또는 해제되는 스타터의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나타나는 것이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 나타나는 것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프트 레버(SL)의 스트래들부(straddle portion)가 클러치의 홈부를 타고넘는 구성으로 되고, 시프트 레버의 스트래들부와 클러치의 홈부의 연결부는, 시소 회동하는 시프트 레버로 클러치를 원활히 왕복운동시키고, 또한 지름방향 회전하는 클러치의, 홈부의 양단면과의 미끄럼 운동 마찰에 의한 연결부의 과도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시프트 레버(SL)의 스트래들부의 양단부에 상대회전 가능한 시프트 피스(SP)를 마련하고, 이 시프트 피스(SP)를 통하여 클러치의 홈부와 연결하고 있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 나타나는 것이 있다. 이 특허 문헌 2에 나타나는 것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의 홈부에, 고리형상으로 시프트 레버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감합할 수 있는 부위를 마련한 시프트 피스(RP)를 설치하고, 이 시프트 피스(RP)의 감합부에 시프트 레버(SL)를 조립하여 연결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실공소48-31766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소55-107067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나타나는 상기 종래 구조의 경우, 시프트 레버 및 시프트 피스는, 클러치의 홈부에 조립할 때에 시프트 레버 및 시프트 피스를 탄성 변형시키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열처리를 시행한 강재제의 시프트 레버 및 시프트 피스를 이용할 수 있는 등, 시프트 레버 및 시프트 피스의 기계 강도 및 내마모 강도를 확보하고, 각각의 소형화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이 경우, 클러치의 홈부에의 조립 전에, 시프트 레버로부터의 시프트 피스의 탈락 방지에 주의를 필요로 하는, 또는 시프트 피스가 탈락하지 않도록 다른 부재로 각각의 시프트 피스를 시프트 레버에 미리 지지하는 등, 조립 작업 효율화의 면에서 난점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나타나는 종래 기술의 경우는, 시프트 피스가 고리형상이어서 클러치의 홈부의 양단면과의 접촉면적의 증가를 확보하기 쉽기 때문에, 시프트 피스는 내마모 강도가 낮고, 염가의 재질, 예를 들면 수지 재료의 사용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지만,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와, 클러치의 홈부의 양단면의 과도한 치수 증가 없이 접촉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 내경과 클러치의 홈부의 외경의 클리어런스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의 시프트 레버 감합부에의 시프트 레버의 조립은, 원통형상의 별개 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또는 시프트 레버의 스트래들부를 탄성 변형시켜서 밀어 열어서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전자의 경우는, 시프트 피스의 연결 부재 지지부, 또는 원통상 연결 부재의 강도 확보를 위한 시프트 피스의 축방향 폭 증가, 또는 지름방향 두께 증가에 의한 치수 증가가 필요해지고, 후자의 경우는, 시프트 레버의 재질은, 예를 들면 열처리를 시행한 강재제 등의, 기계 강도는 높지만 탄성 변형 작업에 적합하지 않은 재료는 사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시프트 레버를 이것과 동등한 기계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프트 레버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서의 대형화가 필요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열처리를 시행한 강재제로 기계 강도를 확보하고, 소형화한 시프트 레버와, 내마모 강도 확보가 용이한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와의 조합에서는, 각각을 연결 조립하기 위해서는,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의 치수를 과도하게 증가시킬 것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의 과도한 치수 증가를 수반하지 않고서, 예를 들면 열처리를 시행한 강재제로 기계 강도를 확보하고 소형화한 시프트 레버와의 용이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 스타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스타터는, 모터와, 이 모터에의 통전을 입절(on/off)하는 전자 스위치와, 상기 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내연 기관의 링 치차에 맞물리는 피니언 치차에 전달함과 함께 링 치차에 대해 왕복운동 가능한 클러치와, 상기 전자 스위치의 플런저에 일단부가 결합됨과 함께, 타단부가 2갈래로 나누어져서 상기 클러치를 타고넘은 스트래들부를 갖는 시프트 레버와, 상기 클러치의 홈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감합됨과 함께, 상기 시프트 레버의 상기 스트래들부에도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클러치와 상기 시프트 레버를 연결하는 시프트 피스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가 시소 회동하고, 그 시소 회동에 연동한 상기 클러치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 치차가 상기 링 치차와 맞물리고, 또는 해제되는 스타터로서, 상기 시프트 피스는, 상기 클러치의 홈부에의 조립측인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시프트 피스(A))와, 상기 시프트 레버에의 조립측인 시프트 피스(B)로 분할하여 구성되고, 이들 시프트 피스(A)와 시프트 피스(B)를 결합시켜서 조립하는 구조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타터에 의하면,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시프트 피스(A))의 내경과 클러치의 홈부의 외경과의 사이에 과도한 클리어런스를 설정할 필요가 없고,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의 과도한 치수 증가를 수반하지 않고서, 열처리를 시행한 강재제로 기계 강도를 확보한 시프트 레버와 시프트 피스와의 연결과 이탈 방지가 용이하게 가능하고, 또한, 염가의 구성으로, 클러치를 반복 왕복 운동시키는데 필요한 시프트 레버와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의 연결부의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스타터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또한 그 밖의 본 발명의 목적, 특징, 효과는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기재로부터 보다 분명하게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스타터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시프트 피스(A))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시프트 피스(A))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시프트 피스(B)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시프트 피스(B)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시프트 피스(B)를 시프트 레버에 조립한 시프트 레버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시프트 레버 어셈블리를 시프트 피스(A)에 조립한 상태의 주요부 단면도.
도 8은 종래 기술의 한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9는 종래 기술의 다른 한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스타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스타터는, 모터(1)와, 모터(1)에의 통전을 입절하는 전자 스위치(2)와, 모터축(3)의 회전 동력이 전달되는 동력 전달 기구부(4)와, 이 동력 전달 기구부(4)와 연결된 일방향의 클러치(5)와, 이 클러치(5)의 홈부(6)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7)(이하, 시프트 피스(A)라고도 칭한다)와,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7)에 연결 지지되는 시프트 피스(8)(이하, 시프트 피스(B)라고도 칭한다)와, 클러치(5)와 전자 스위치(2)와의 사이에 걸쳐서 마련되고 클러치(5)를 왕복운동시키는 시프트 레버(9)와, 클러치(5)의 피니언축(10)의 단부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 가능하고 스플라인 결합된 피니언 치차(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시프트 레버(9)는, 예를 들면 열처리를 시행한 강재제로, 기계 강도를 확보한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자 스위치(2)에서는, 케이스(12)의 편측부터 가동 철심(도시 생략)과 연결된 플런저(13)가 돌출하고 있다. 이 플런저(13)는, 케이스(12) 내의 코일(도시 생략)에 통전되어 여자됨으로서, 고정 철심(도시 생략)측으로 흡인된 가동 철심과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동력 전달 기구부(4)에서는, 모터축(3)에 태양치차(14)가 마련되어 있다. 이 태양치차(14)를 둘러싸서 내치차(15)가 마련되어 있다. 태양치차(14)와 내치차(15)의 사이에는, 태양치차(14)에 내접하고 내치차(15)에 외접한 유성치차(16)가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각 유성치차(16)의 중심축에는 유성치차축(17)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유성치차축(17)의 타단부는, 피니언축(10)의 중심축선에 따라 연설(延設)되어, 피니언축(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클러치(5)에서는, 피니언축(10)의 외주에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클러치 롤러(18)가 마련되어 있다. 각 클러치 롤러(18)의 축선 방향의 일단면은 클러치 커버(19)로 덮여 있고, 또한 각 클러치 롤러(18)의 둘레면은 클러치 하우징으로 덮여 있다.
도 2는 도 1의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7)(시프트 피스(A))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7)의 측면도이다.
도 2, 도 3에서,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7)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에 의해 강화된 폴리아미드 수지제의, 기계 강도가 확보될 수 있고, 또한 소량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측면부(외주부)에는 시프트 피스(8)(시프트 피스(B))를 연결 지지하기 위한 홈부(20), 및 시프트 피스(8)의 빠짐 방지 오목부(21a, 21b)가 마련되어 있다. 이 홈부(20)는, 벽면(20a, 20b)을 갖는다.
이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7)는, 클러치(5)의 홈부(6)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도 4는 도 1의 시프트 피스(8)(시프트 피스(B))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시프트 피스(8)의 측면도이다.
도 4, 도 5에서, 시프트 피스(8)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에 의해 강화된 폴리아미드 수지제의, 기계 강도가 확보될 수 있고, 또한 시프트 레버(9)에의 조립이 가능할 만큼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호 22a, 22b는, 시프트 피스(8)의 측면부, 부호 23a, 23b는,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7)의 빠짐 방지 오목부(21a, 21b)와 결합하는 빠짐 방지 볼록부, 부호 24a, 24b는 시프트 레버(9)와의 연결부이다.
도 6은 시프트 피스(8)를 시프트 레버(9)에 조립한 시프트 레버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시프트 레버(9)는 스트래들부(25)에 구멍(26a, 26b)을 가지며, 이 구멍(26a, 26b)에 시프트 피스(8)의 연결부(24a, 24b)를 결합하고, 시프트 피스(8)는 시프트 레버(9)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도 7은 도 6의 시프트 레버 어셈블리를 도 2의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7)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 조립할 때,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7)의, 내경측으로의 탄성 변형량과, 시프트 피스(8)의, 외경측으로의 탄성 변형량의 합계는, 시프트 피스(8)의 빠짐 방지 볼록부(23a, 또는 23b)의 높이만큼 있으면 좋기 때문에, 조립은 용이하게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시프트 레버(9)는, 스타터 하우징(27)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지점 지지부(28)에 의해 위치가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 있는 클러치(5)측은, 동력 전달 기구부(4)에 클러치(5)가 지지되어 있음에 의해, 스타터 동작시에는 시프트 피스(8)를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7)로부터 절리 하려는 힘은 작고, 이 때문에 시프트 피스(8)의 빠짐 방지 볼록부(23a, 23b)는 이것에 견딜 수 있는 높이만 확보되어 있으면 좋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스타터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키 스위치(도시 생략)를 투입하면, 전자 스위치(2)의 코일(도시 생략)이 여자되고, 가동 철심이 고정 철심측으로 흡인됨으로써, 플런저(13)는 도 1의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 플런저(13)의 이동과 함께, 시프트 레버(9)는 지점 지지부(28)를 중심으로 하여 시소 회동하고, 시프트 레버(9)의 스트래들부(2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의해 시프트 피스(8)의 피니언 치차(11)측의 측면(22a)으로,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7)의 홈부(20)의 벽면(20a)을 가압하고, 그에 의해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7)가 클러치(5)의 홈부(6)의 피니언측 벽면을 가압함으로써, 클러치(5)는 도 1의 오른쪽 방향으로 압출되어, 피니언 치차(11)가 내연 기관의 링 치차(도시 생략)와 맞물린다.
이 때에, 전자 스위치(2)가 작동하고, 이에 의해 모터(1)가 구동하여 모터축(3)은 회전한다. 모터축(3)의 회전에 수반하여, 유성치차(16)는 태양치차(14)를 중심으로 하여 자전하면서 공전한다. 유성치차(16)의 공전에 수반하여, 유성치차축(17), 피니언축(10), 및 피니언 치차(11)는 회전하고, 피니언 치차(11)에 맞물린 링 치차는 회전하고, 내연 기관은 시동한다.
그 후, 키 스위치가 개방되면, 코일의 통전은 끊기고, 가동 철심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개리되고, 플런저(13)는 케이스(12)로부터 돌출하고, 시프트 레버(9)는 지점 지지부(28)를 중심으로 시소 회동하고, 시프트 레버(9)의 스트래들부(25)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계속해서 시프트 피스(8)의 반피니언측 측면(22b)으로,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7)의 홈부(20)의 반피니언측 벽면(20b)을 가압하고,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7)로 클러치(5)의 홈부(6)의 반피니언측 벽면을 가압함으로써, 클러치(5), 피니언 치차(11)는 링 치차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피니언 치차(11)와 링 치차의 맞물림은 해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스타터에 의하면, 클러치(5)의 홈부(6)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7)에의, 시프트 레버(9)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시프트 피스(8)의 조립이 용이함과 함께, 시프트 레버(9)의 시소 회동에 의해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7)의 홈부의 벽면(20a)과 시프트 피스(8)의 측면(22a), 및 벽면(20b)과 측면(22b)은, 충돌, 가압이 반복되지만, 벽면(20a)과 측면(22a), 및 벽면(20b)과 측면(22b)은, 각각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7)의 약 반주(半周)에 걸치는 접촉면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충돌, 가압의 하중에 견딜 만한 면압 이하로 억제하는 치수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시프트 피스(8)는, 수지 성형품으로 함으로써, 측면(22a, 22b)뿐만 아니라, 빠짐 방지 볼록부(23a, 23b), 및 시프트 레버(9)와의 연결부(24a, 24b)를 포함한 일체 성형으로의 제조가 가능하고, 부품 제조 용이성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스타터에 의하면,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시프트 피스(A))의 내경과 클러치의 홈부의 외경과의 사이에 과도한 클리어런스를 설정할 필요가 없고,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의 과도한 치수 증가를 수반하지 않고서, 열처리를 시행한 강재제로 기계 강도를 확보한 시프트 레버와 시프트 피스와의 연결과 이탈 방지가 용이하고, 또한, 염가의 구성으로, 시프트 레버와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의 연결부의, 클러치를 반복 왕복운동시키는데 필요한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스타터를 얻을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전자 스위치의 플런저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시프트 레버가 시소 회동하여, 피니언 치차가 링 치차와 맞물리고, 또는 해제되는 스타터에 이용하기 알맞는 것이다.
1 : 모터
2 : 전자 스위치
3 : 모터축
4 : 동력 전달 기구부
5 : 클러치
6 : 클러치의 홈부
6a, 6b : 벽면
7 :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시프트 피스(A))
8 : 시프트 피스(시프트 피스(B))
9 : 시프트 레버
10 : 피니언축
11 : 피니언 치차
12 : 케이스
13 : 플런저
14 : 태양치차
15 : 내치차
16 : 유성치차
17 : 유성치차축
18 : 클러치 롤러
19 : 클러치 커버
20 : 홈부
20a, 20b : 벽면
21a, 21b : 빠짐 방지 오목부
22a, 22b : 측면부
23a, 23b : 빠짐 방지 볼록부
24a, 24b : 연결부
25 : 스트래들부
26a, 26b : 구멍
27 : 스타터 하우징
28 : 지점 지지부

Claims (5)

  1. 모터와, 이 모터에의 통전을 입절하는 전자 스위치와,
    상기 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내연 기관의 링 치차에 맞물리는 피니언 치차에 전달함과 함께 링 치차에 대해 왕복운동 가능한 클러치와,
    상기 전자 스위치의 플런저에 일단부가 결합됨과 함께, 타단부가 2갈래로 나누어져서 상기 클러치를 타고넘은 스트래들부를 갖는 시프트 레버와,
    상기 클러치의 홈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감합됨과 함께, 상기 시프트 레버의 상기 스트래들부에도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클러치와 상기 시프트 레버를 연결하는 시프트 피스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가 시소 회동하고, 그 시소 회동에 연동한 상기 클러치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 치차가 상기 링 치차와 맞물리고, 또는 해제되는 스타터로서,
    상기 시프트 피스는, 상기 클러치의 홈부에의 조립측인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시프트 피스(A))와, 상기 시프트 레버에의 조립측인 시프트 피스(B)로 분할하여 구성되고, 이들 시프트 피스(A)와 시프트 피스(B)를 결합시켜서 조립하는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는, 수지제로서, 고리형상 외주부에는 상기 시프트 피스(B)를 연결 지지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고, 또한, 이 홈부에 상기 시프트 피스(B)의 빠짐 방지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피스(B)는, 수지제이고, 상기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의 홈부와 감합하는 측면부와, 상기 고리형상 시프트 피스의 빠짐 방지 오목부에 결합하는 빠짐 방지 볼록부을 가지며, 또한, 상기 시프트 레버와의 연결부를 갖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버는, 금속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버는, 열처리를 시행하여 강화된 강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KR1020137005882A 2010-11-16 2010-11-16 스타터 KR101390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70364 WO2012066632A1 (ja) 2010-11-16 2010-11-16 スタ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737A true KR20130058737A (ko) 2013-06-04
KR101390623B1 KR101390623B1 (ko) 2014-04-29

Family

ID=46083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882A KR101390623B1 (ko) 2010-11-16 2010-11-16 스타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70151B2 (ko)
EP (1) EP2642113B1 (ko)
JP (1) JP5367180B2 (ko)
KR (1) KR101390623B1 (ko)
CN (1) CN103119285B (ko)
WO (1) WO2012066632A1 (ko)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5997A (en) * 1953-07-23 1956-05-15 American Laundry Mach Co Clutch control for plural motor unit
FR1401271A (fr) * 1964-04-08 1965-06-04 Dba Sa Dispositif de démarrage pour moteurs à combustion interne
US3283595A (en) * 1964-08-11 1966-11-08 Nippon Denso Co Engine starter
JPS4831766Y1 (ko) 1968-04-15 1973-09-28
GB1269511A (en) * 1968-10-04 1972-04-06 Lucas Industries Ltd Electric starter motors
JPS4831766A (ko) 1971-08-26 1973-04-26
JPS4864412A (ko) * 1971-12-15 1973-09-06
FR2331186A1 (fr) * 1975-11-07 1977-06-03 Paris & Du Rhone Perfectionnements aux demarreurs electriques
GB1588520A (en) * 1976-11-26 1981-04-23 Lucas Industries Ltd Starter motor
DE2904530A1 (de) 1979-02-07 1980-08-21 Bosch Gmbh Robert Andrehvorrichtung fuer brennkraftmaschinen
US4579010A (en) * 1984-09-26 1986-04-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Shift mechanism for engine starting apparatus
JP2507365B2 (ja) * 1986-11-19 1996-06-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タ−タのピニオンシフト機構
EP0379141A1 (de) * 1989-01-17 1990-07-25 Heribert Hiendl Betonstahlverbindung
JPH02263947A (ja) * 1989-04-03 1990-10-26 Tokushu Denkyoku Kk 炭火物を分散した高強度鋼の製造方法
JP2585897B2 (ja) * 1991-08-21 1997-0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タータのピニオン移送装置
JP2774733B2 (ja) * 1992-03-30 1998-07-09 三菱電機株式会社 始動電動機のシフトレバー支持装置
JPH0666234A (ja) * 1992-08-24 1994-03-08 Hitachi Ltd スタータのピニオンシフト機構
TW318204B (ko) * 1995-05-10 1997-10-21 Nippon Denso Co
JPH09236070A (ja) 1996-02-29 1997-09-09 Denso Corp スタータ
JP3719635B2 (ja) * 1999-04-13 2005-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始動電動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
US6612191B2 (en) * 2000-12-08 2003-09-02 Denso Corporation Starter with driving lever having lever pin
US7892185B2 (en) * 2002-04-19 2011-02-22 Pelika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ody fluid sampling and analyte sensing
JP4178214B2 (ja) * 2003-10-29 2008-11-12 澤藤電機株式会社 スタータ
US20090133531A1 (en) * 2004-10-20 2009-05-28 Hitoshi Ono Electric Starter Motor With Idle Gear
JP2006161724A (ja) * 2004-12-08 2006-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タータ
US20060137416A1 (en) * 2004-12-27 2006-06-29 Wen-Kwei Chang Lock core reinforced structure device with two different metallic parts
GB2437954B (en) * 2005-03-30 2010-12-08 Kobe Steel Ltd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phosphatability
JP4380595B2 (ja) * 2005-05-31 2009-12-09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JP4538747B2 (ja) * 2005-09-22 2010-09-08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JP4375314B2 (ja) * 2005-09-26 2009-12-02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JP4864412B2 (ja) 2005-10-13 2012-02-01 株式会社東芝 人事管理システム
JP4544238B2 (ja) 2006-11-01 2010-09-15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US20080168861A1 (en) * 2007-01-17 2008-07-17 Teixeira Daniel B Slotted shift lever plug with multiple pivot positions
JP5573320B2 (ja) * 2009-04-20 2014-08-20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およびエンジン始動装置
JP4757325B2 (ja) * 2009-04-28 2011-08-24 三菱電機株式会社 補助回転式スタータの電磁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2113B1 (en) 2018-07-04
EP2642113A1 (en) 2013-09-25
KR101390623B1 (ko) 2014-04-29
CN103119285B (zh) 2015-10-14
EP2642113A4 (en) 2016-10-05
JP5367180B2 (ja) 2013-12-11
CN103119285A (zh) 2013-05-22
WO2012066632A1 (ja) 2012-05-24
US9270151B2 (en) 2016-02-23
US20130140928A1 (en) 2013-06-06
JPWO2012066632A1 (ja)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7602B2 (ja) スタータ
JPWO2006043580A1 (ja) アイドルギヤ付始動電動機
US7101299B2 (en) Starter with planetary reduction gear device
JP4994478B2 (ja) スタータ
KR100673197B1 (ko) 스타터
KR101390623B1 (ko) 스타터
JPH0712034A (ja) スタータ
JP2010144554A (ja) スタータ
JP2009236265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US6910564B2 (en) Toothed electromagnetic clutch brake
CN101251070B (zh) 具有过量扭矩吸收装置的起动机
JP2008057692A (ja) スプリングの配置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クラッチ装置
JP2008008225A (ja) スタータ
CN200985969Y (zh) 一种大扭矩单向离合器
JP5472367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WO2021095654A1 (ja) 回転式アクチュエータ
JP5580221B2 (ja) スタータ
JP2014080942A (ja) スタータ
JP2017096314A (ja) 動力伝達装置
JP2012167648A (ja) スタータ
JP2009024721A (ja)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JP2010096103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2006002890A (ja) 摩擦ローラ式変速機
JP2008240540A (ja) 始動電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