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595A - 전동삼방밸브 - Google Patents

전동삼방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595A
KR20130058595A KR20120117347A KR20120117347A KR20130058595A KR 20130058595 A KR20130058595 A KR 20130058595A KR 20120117347 A KR20120117347 A KR 20120117347A KR 20120117347 A KR20120117347 A KR 20120117347A KR 20130058595 A KR20130058595 A KR 20130058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core
valve seat
cylindrical casing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17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1145B1 (ko
Inventor
슈아이펑 딩
웨이린 얀
빈 첸
밍후이 쑤
Original Assignee
제지앙 산후아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110381775.4A external-priority patent/CN103133717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210125797.9A external-priority patent/CN103375606B/zh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산후아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산후아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58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11/07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flat sealing faces
    • F16K11/0743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flat sealing faces with both the supply and the discharge passages being on one side of the closur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847Pivoted valve unit
    • Y10T137/86855G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7With flow control means for branched passages
    • Y10T137/87708With common valve operator
    • Y10T137/87732With g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7With flow control means for branched passages
    • Y10T137/87788With valve or movable deflector at junction
    • Y10T137/8782Rotary valve or defl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의 대형화를 회피함으로써, 전동삼방밸브가 차지하는 공간의 축소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밸브 코어를 양호한 평행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밸브 시트에 있어서의 밸브 코어의 회동방향 슬라이딩을 확보할 수 있는 전동삼방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일의 대형화를 회피함으로써, 전동삼방밸브가 차지하는 공간의 축소화를 실현함과 함께, 밸브 코어를 양호한 평행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밸브 시트에 있어서의 밸브 코어의 회동방향 슬라이딩을 확보할 수 있다.본 발명은, 밸브 시트의 면에 개구되어 있는 입력구 및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개구의 출력구와, 모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밸브 시트에 있어서 회동 슬라이딩하는 밸브 코어를 가지고, 밸브 코어는 복수의 출력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모터부는 분리된 개체로서 냉매를 도입하는 원통형 케이싱의 상단면의 외측에 장착되고, 밸브 시트는 원통형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에 설치되고, 밸브 코어는 모터부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또한 원통형 케이싱내에 배치되는 기어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원통형 케이싱은 일측의 개구부와 꼭대기부를 가지는 측벽으로 구성되고, 일측의 개구부에는 밸브 시트가 설치되어 있고, 꼭대기부에는 원통형 벽부에 의해 타측의 개구부가 설치되고, 타측의 개구부에는 원통형 벽부에 고정되고 또한 모터부가 내설되는 하우징이 직립으로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은 원통형 케이싱에 장착되어 있는 전동삼방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삼방밸브{ELECTOMOTIVE THREE-WAY VALVE}
본 발명은, 에어컨과 냉장고 등의 냉매를 순환하며, 유로를 전환하는 전동삼방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로서, 예를 들면, 스탭 모터를 사용하고, 이 로터의 축하단부에 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기어와 밸브 코어를 구동하는 기어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기어의 구동력으로, 밸브 코어가 밸브 시트에 있어서 슬라이딩 회동하도록 하여, 상기 밸브 시트에 개구되어 있는 유로의 일방을 폐색하는 밸브가 알려져 있다(일본특허문헌 1, 즉, 일본 특허 공보 특개평 3-28583호 참조). 또한, 상기와 같이, 기어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밸브 시트에 있어서 슬라이딩 구동되는 밸브 코어로 상기 개구의 개도를 제어하는 밸브도 알려져 있다(일본특허문헌 2, 즉, 일본 특허 공보 특개 2000-346227호 참조).
종래의 상기의 밸브 시트에 있어서 슬라이딩 회동하는 밸브 코어를 이용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코어와 기어가 수용되어 있는 케이싱 및 내부에 상기 모터의 로터를 가지는 하우징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을 형성하는 비자성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의 벽이 비교적 두꺼워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하우징이 두꺼워 지면, 스탭 모터의 자성특성이 저하되고, 모터의 토크가 감소되기 때문에, 소정의 모터의 토크를 얻기 위하여, 스탭 모터의 출력이 큰 것을 필요로 한다. 그 결과, 전동삼방밸브(또는 전동전환밸브)의 대형화를 초래하게 되고, 냉동 순환을 구성할 때, 전동삼방밸브가 차지하는 공간의 확대화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슬라이딩 회동하는 밸브 코어에 있어서, 밸브 시트에 있어서 용이하고 원활하게 슬라이딩가능한 밸브 코어의 모양을 고려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코일의 대형화를 회피함으로써, 차지하는 공간의 축소화를 실현함과 함께, 밸브 코어를 양호한 평행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밸브 시트에 있어서의 밸브 코어의 회동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확보할 수 있는 전동삼방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일의 대형화를 회피함으로써, 차지하는 공간의 축소화를 실현함과 함께, 밸브 코어를 양호한 평행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밸브 시트에 있어서의 밸브 코어의 회동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확보할 수 있는 전동전환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밸브 시트의 면에 개구되어 있는 입력구 및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개구의 출력구와, 모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밸브 시트에 있어서 회동 슬라이딩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출력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코어를 가지고, 상기 모터부는 분리된 개체로서 냉매를 도입하는 원통형 케이싱의 상단면의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원통형 케이싱의 하단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 코어는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또한 상기 원통형 케이싱내에 배치되는 기어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원통형 케이싱은 일측의 개구부와 꼭대기부를 가지는 측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의 개구부에는 상기 밸브 시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꼭대기부에는 원통형 벽부에 의해 타측의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타측의 개구부에는 상기 벽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모터부가 내설되는 하우징이 직립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원통형 케이싱에 장착되어 있는 전동삼방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동삼방밸브는, 상기 모터부가 분리된 개체로서, 상기 밸브 시트에 있어서 회동 슬라이딩하는 밸브 코어와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을 상기 밸브 코어에 전달하는 기어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상기 원통형 케이싱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삼방밸브의 대형화를 회피함으로써, 차지하는 공간의 축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은 분리된 개체로서 상기 원통형 케이싱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커버의 상기 타측의 원주단과 상기 원통형 벽부가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모터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원통형 케이싱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케이싱의 외측에 직립으로 착설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부 캡을 가지고, 상기 하부 캡은 상기 하우징의 다른 원주단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에는 상기 밸브 코어의 리미트부와 접촉되는 리미트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케이싱내에는 압압판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압압판은 상기 리미트핀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리미트핀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압판의 일측의 측면은 상기 원통형 케이싱의 상기 측벽에 접촉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압판에 판스프링이 착설되어 있고, 상기 판스프링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밸브 코어에 접촉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부면,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과 장점을 갖춘다.
본 발명은 밸브 시트에 있어서의 출력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동삼방밸브로서, 모터부와 모터부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장치 및 상기 기어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밸브 코어를 수납한 상기의 원통형 케이싱이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모터부를 구성하는 코일의 대형화를 회피함으로써,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차지하는 공간의 축소화를 실현하고, 정확하고 선택적으로 출력구를 개폐할 수 있는 전동삼방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리미트핀 및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밸브 시트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압압판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리미트핀 및 상기 베어링부재의 상기 밸브 시트에 있어서의 설치위치는 정확하게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삼방밸브의 상기 밸브 코어에 의해 상기 출력구(P1)와 상기 출력구(P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동작은 변동없이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고, 전동삼방밸브의 장기간의 정확한 개폐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밸브 시트의 면에 개구되어 있는 입력구 및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개구의 출력구와, 모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밸브 시트에 있어서 회동 슬라이딩하는 밸브 코어를 가지고, 상기 밸브 코어는 상기 복수의 출력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모터부는 분리된 개체로서, 냉매를 도입하는 원통형 케이싱의 상단면의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원통형 케이싱의 하단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 코어는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또한 상기 원통형 케이싱내에 배치되는 기어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전환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동전환밸브는, 상기 모터부가 분리된 개체로서 상기 밸브 시트에 있어서 회동 슬라이딩하는 밸브 코어와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을 상기 밸브 코어에 전달하는 기어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상기 원통형 케이싱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전환밸브의 대형화를 회피함으로써, 차지하는 공간의 축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스탭 모터이고, 상기 원통형 케이싱의 상기 상단으로부터 외측에 직립으로 설치되어 있는 비자성 금속 재료의 원통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있는 로터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의 고정코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전동전환밸브는, 상기 모터부가 상기 케이싱의 외측에 직립으로 설치되어 있는 비자성 금속 재료의 원통형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의 벽두께를 얇게 하고, 상기 코일의 소형화를 실현하여, 소형화된 전동전환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 코어의 중앙부가 디스크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밸브 코어는 상기 디스크형상의 중앙부의 외주로부터 양 외측으로 대칭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밸브 코어의 일측의 플랜지부는 상기 기어장치의 구동축의 베어링부로 함과 함께, 상기 밸브 코어의 타측의 플랜지부는 스톱부로 한다. 본 발명의 전동전환밸브는, 밸브 코어가 디스크부와 상기 디스크부의 외주로부터 외측으로 대칭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가지기 때문에, 밸브 코어는 양호한 평행을 유지할 수 있고, 밸브 시트에 있어서의 용이하고 원활한 슬라이딩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 코어의 스톱부는 스톱핀과 접촉되고, 스톱핀은 상기 밸브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출력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동전환밸브는 상기 밸브 코어의 슬라이딩 회동동작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출력구를 정확하고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부면,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과 장점을 갖춘다.
본 발명은 밸브 시트에 있어서의 출력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동전환밸브로서, 모터부와 모터부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장치 및 상기 기어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밸브 코어를 수납한 상기의 원통형 케이싱이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모터부를 구성하는 코일의 대형화를 회피함으로써,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차지하는 공간의 축소화를 실현하고, 출력구를 정확하고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전동전환밸브를 제공한다.
아래의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해 개략적인 설명과 해석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의 전동삼방밸브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요부의 지지부재의 사시도와 종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요부의 연결부재의 사시도와 종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1의 요부의 대좌부재의 사시도와 종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1의 요부의 밸브 코어의 사시도와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의 밸브 코어와 밸브 시트의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밸브 코어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나타낸 압압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기타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동전환밸브로서의 전동삼방밸브(10)는,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의 원통형 케이싱(11)과 모터부(12)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부(12)는 비자성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하우징(13)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로터(14) 및 로터축(14a)와, 상기 하우징(13)의 외측에 인레이되어 있고 또한 스테이터로서 상기 로터(14)를 구동하는 고정코일(15)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부(12)는 상기 케이싱(11)과 분리되어 있고, 도면 중 상기 케이싱(11)의 외측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케이싱(11)은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의 디스크형상의 밸브 시트(밸브 시트면이라고도 칭함. 11a)와, 상기 밸브 시트(11a)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단면으로서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의 디스크형상의 평면판(11b)와, 상기 밸브 시트(11a)와 평면판(11b)의 사이에 설치된 원통형 측벽(11c)으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형 측벽(11c)은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되고, 그 원주변(11c')과, 상기 밸브 시트(11a)의 원주단(11a')과, 상기 평면판(11b)의 원주단(11b')은 용접,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상기 밸브 시트(11a) 및 상기 평면판(11b)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11)은 기밀성 밸브 캐비티(11d)로 형성된다.
상기 모터부(12)의 상기 하우징(13)은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의 디스크형상의 상부 캡(13a) 및 원통형 비자성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의 커버(13c)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캡(13a)의 중앙에 후술하는 오목부(1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캡(13a)의 원주단(13a')과 상기 커버(13c)의 일측의 원주단(13c')은 용접,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커버(13c)의 타측의 원주단(13c'')은 상기 케이싱(11)의 상기 평면판(11b)의 중앙에 형성된 대직경 중앙오목부(11e)의 단부(11e1)와 접촉되고, 상기 타측의 원주단(13c'')은 상기 대직경 중앙오목부(11e)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타측의 원주단(13c'') 및 상기 대직경 중앙오목부(11e)의 상기 단부(11e1)가 연결되어 형성된 소직경 개구부(11e2)는 상기 평면판(11b)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13c)의 타측의 원주단(13c'')은 용접,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상기 평면판(11b)의 상기 중앙오목부(11e)에 용접되고, 상기 커버(13c)는 상기 평면판(11b)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캡(13a)과 상기 커버(13c)로 이루어진, 밀폐케이싱으로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13)은 상기 케이싱(11)의 위쪽에 직립으로 설치되고, 상기 밀폐케이싱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13)은 상기 케이싱(11)과 분리되어, 상기 케이싱(11)의 위쪽, 즉, 상기 상단면으로서의 상기 평면판(11b)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3) 내의 상기 로터(14)의 중심부에 로터축(14a)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로터(14)는 상기 하우징(13)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3)의 외주부에 스테이터로서의 고정코일(15)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고정코일(15)의 전자력에 의해 상기 로터(14)가 회동되고, 상기 로터축(14a)도 일체적으로 회동되며, 스탭 모터로서의 모터부(12)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코일(15)은 배경기술에서 언급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이미 개시되어 있으므로, 공지의 구조가 된다.
상기 로터(14)는, 외주면이 원통형 부재(14b)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원통형 부재(14b)의 중앙에 형성된 횡축(14c)을 가지고, 상기 로터축(14a)은 상기 횡축(14c)의 중앙을 관통하고, 예를 들면, 상기 횡축(14c)에 삽입 성형됨으로써 상기 로터축(14a)의 중앙부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로터축(14a)의 상단(14a1)은 상기 하우징(13)의 디스크형상의 상부 캡(13a)의 상기 오목부(13b)에 삽입되어, 상기 오목부(13b)의 바닥부의 베어링(13f)과 접촉되고, 상기 오목부(13b)는 베어링부로서 상기 로터축(14a)을 지지하고 있다. 상기 로터축(14a)의 하부는 지지부재(14d)에 의해 지지됨과 함께, 상기 로터축(14a)의 하단(14a2)은 연결부재(16)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재(14d)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 또는 PPS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4d)의 구조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터(14)의 상기 횡축(14c)과 상기 연결부(1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직경 디스크부(14d1)와, 상기 디스크부(14d1)의 외주에 돌출 형성된 볼록부(14d2)와, 상기 볼록부(14d2)에 직립으로 또한 일체적으로 설치된 소직경 원통부(14d3)로 이루어진다. 도 1a는 상기 지지부재(14d)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1a와 도 1b의 상기 지지부재(14d)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14d3) 내부의 관통공(14d4)은 상기 디스크부(14d1)의 중심부까지 관통되고, 상기 원통부(14d3)의 상단(14d5)과 상기 디스크부(14d1)의 하단(14d6)은 각각 상기 로터(14)의 상기 횡축(14c) 및 상기 연결부재(16)와 접촉되고, 상기 지지부재(14d)는 상기 로터(14)의 상기 횡축(14c)과 상기 연결부재(1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4d)의 상기 볼록부(14d2)와 상기 케이싱(11)의 상기 평면판(11b)의 상기 단부(11e1) 사이에 지지스프링(14d7)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스프링(14d7)은 상기 지지부재(14d)를 위쪽으로 지지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재(14d)의 상기 관통공(14d4)에 상기 로터축(14a)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14d)는 상기 로터축(14a)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통으로서, 상기 로터축(14a)의 회동을 지지하고 있다. 상기 로터축(14a)은 관통공(14d4)을 관통하고, 상기 로터축(14a)의 하단(14a2)은 상기 연결부재(16)에 의해 지지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16)는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으로 계단부를 가진 원기둥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6)의 구조는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2a는 상기 연결부재(16)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그 종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6)에 있어서, 대직경 원기둥부(16a)와 단부(16b)가 연결되어 중직경 원기둥부(16c)를 형성하고, 상기 중직경 원기둥부(16c)와 단부(16d)가 연결되어, 소직경 원기둥부(16e)를 형성하고, 상기 대직경 원기둥부(16a)는 평면(16a1)의 중앙부에, 바닥부분이 있는 원형 구멍(16a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16)는 상기 모터부(13)와 상기 케이싱(11)을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13c)은 분리된 개체로서 상기 케이싱(11)에 장착되어 있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3c)은 상기 케이싱(11)과 분리된 개체로서, 상기 케이싱(11)의 상기 평면판(11b)의 상기 중앙오목부(11e)에 직립으로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11)의 외측에 장착된다. 도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6)의 상기 대직경 원기둥부(16a)는 상기 평면판(11b)의 상기 오목부(11e)의 상기 단부(11e1)에 놓여져 있고, 또한 상기 중직경 원기둥부(16c)는 상기 케이싱(11)의 상기 평면판(11b)의 상기 개구부(11e2)에 간격을 두고 삽입되어 있고, 상기 소직경 원기둥부(16e)는 상기 케이싱의 상기 밸브 캐비티(11d) 내에 돌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16)의 상기 대직경 원기둥부(16a)의 바닥부분이 있는 원형 구멍(16a2)에는, 압입에 의해 상기 로터축(14a)의 하단(14a2)가 감입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16)는 상기 로터축(14a)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상기 소직경 원기둥부(16e)의 외주에는 압입에 의해 제1기어(17)가 감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조에 의해, 상기 로터(14), 상기 로터축(14a), 상기 연결부재(16) 및 상기 제1기어(17)는 일체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가능하다. 도 1에 있어서, 상기 로터축(14a)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통으로서, 상기 연결부재(16) 측에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재(14d)가 설치되어 있지만, 상기 지지부재(14d)를 설치하지 않아도, 상기 로터축(14a)는 회동가능하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1)의 상기 밸브 캐비티(11d) 내에 상기 제1기어(17)와 맞물리는 제2기어(1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기어(18)와 맞물리는 제3기어(19)는 원기둥형의 베어링부재(21)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기어(19)는 상하 두 단의 기어(19a)와 기어(19b)로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18)와 상기 상단의 기어(19a)는 맞물리면서 회전한다. 상기 베어링부재(21)는 상기 베어링부재(21)의 양단(21a 및 21b)에 의해 상기 케이싱(11)의 상기 평면판(11b)과 상기 밸브 시트(11a)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링부재(21)는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단(21a 및 21b)이 상기 평면판(11b)의 상축 구멍(21a1)과 상기 밸브 시트(11a)의 하축 구멍(21b1)에 압입 감입되는 것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3기어(19)의 상기 하단의 기어(19b)는 제4기어(20)와 맞물리고, 상기 제4기어(20)가 회동되면, 이 회동은 대좌(22)에 전달된다. 상기 대좌(22)는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되고,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대좌(22)는 대직경 디스크형상의 베이스부(22a) 및 상기 베이스부(22a)에 직립으로 설치된 원통부(22b)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부(22b)는, 그 내부(22b1)가 동일한 직경의 상기 베이스부(22a)의 관통공(22a2)과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22a)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22a)에 있어서, 관통공(22a1)이 상기 원통부(22b)에 인접하여 반경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2a1)은 축 구멍이다. 상기 원통부(22b)의 외주에는, 압입 또는 용접,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제4기어(20)가 고착되어 있고, 상기 제4기어(20)의 회동은 상기 대좌(22)에 전달된다. 도 3a는 상기 대좌(22)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그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기어(17), 상기 제1기어(18), 상기 제3기어(19), 상기 제4기어(20)는 상기 케이싱(11) 내에 있어서 기어열(齒車列)을 구성한다.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구조의 상기 대좌(22)와 상기 케이싱(11)의 상기 밸브 시트(11a) 사이에 밸브 코어(23)가 개입되어 있다. 상기 밸브 코어(23)는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으로 구성되고,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형상의 중앙베이스부(23a) 및 상기 중앙베이스부(23a)의 외주측으로부터 지름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중앙베이스부(23a)에 대칭으로 설치된 일측의 플랜지부(23b)와 타측의 플랜지부(23c)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23b) 및 상기 플랜지부(23c)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도 4a는 상기 밸브 코어(23)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화살표 R 방향에서 도 4a를 관찰한 단면도이다. 상기 일측의 플랜지부(23b) 및 타측의 플랜지부(23c)는 각각 상기 중앙베이스부(23a)의 상부면 (23a1)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한 상부면(23b1) 및 (23c3)을 갖지만, 상기 일측의 플랜지부 (23b)의 하부면(23b2)은, 두께가 상기 중앙베이스부(23a)보다 약간 얇고, 홈부(23b3)를 가지고, 상기 타측의 플랜지부(23c)와 상기 중앙베이스부(23a)는 두께가 동일하다. 상기 타측의 플랜지부(23c)는 상기 중앙베이스부(23a)와 인접하여 관통공(23c1)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관통공(23c1)과 인접하여 결구모양의 오목부(23c2)가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대좌(22)의 상기 소직경 원통부(22b)의 상기 내부(22b1)와 상기 베이스부(22a)의 관통공(22a2)을 삽입 관통하는 축(24)은 상기 밸브 코어(23)의 타측의 플랜지부(23c)의 상기 관통공(23c1)을 관통하고, 상기 축(24)은 상기 밸브 시트(11a)의 베어링구멍(11f) 내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대좌(22)의 대직경 베이스부(22a)의 상기 관통공(22a1)을 관통하는 축(25)은, 상기 밸브 코어(23)의 상기 타측의 플랜지부(23c)의 오목부(23c2)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밸브 시트(11a)에 설치된다. 상기 축(25)의 일단(25a)은 약간 짧고 상기 밸브 시트(11a)와 접촉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축(25)의 타단(25b)은 상기 제4기어(20)와 접촉된다. 상기 축(24)과 상기 축(25)에 의해, 상기 밸브 코어(23)는 상기 대좌(22)와 상기 밸브 시트(11a) 사이에 자유회동 가능하게 개입된다.
이하, 상기 밸브 코어(23)의 작용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전동삼방밸브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밸브 시트(11a) 및 상기 밸브 코어(23)의 사시도이고, 기타 구성부분은 생략한다. 도 5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11a)에는 상기 밸브 시트(11a)의 상기 밸브 코어(23) 측에 개구된 냉매입력구(P)와 냉매를 유출하는 제1출력구(P1) 및 제2출력구(P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이러한 입력구 및 출력구와 연결된 금속 재료, 예를 들면, 구리로 형성된 입력관(PA)과 출력관(P1B) 및 출력관(P2B)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출력구(P1)는 상기 밸브 시트(11a)에 있어서 도출공(P1A) 및 상기 도출공(P1A)과 연결되는 상기 출력관(P1B)으로 형성되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출력관(P1B)은 상기 밸브 시트(11a)의 상기 밸브 코어(23)와 대향측의 면으로부터 상기 밸브 시트(11a)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용접에 의해 상기 밸브 시트(11a)에 고정된다. 상기 입력관(PA)과 상기 입력구(P)의 연결 및 상기 출력관(P2B)과 상기 출력구(P2)의 연결은, 상기 출력관(P1B)의 연결과 동일하게 행한다.
본 발명의 전동삼방밸브는 필요에 따라 리미트장치(스톱장치라고도 함)를 설치해도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핀(26A) 및 (26B)은 리미트핀(스톱핀이라고도 함)이고, 금속 재료인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 시트(11a)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도 1의 고정코일(15)에 입력되는 펄스신호에 의해, 스탭 모터의 상기 로터(14)는 필요한 양만큼 회동하고, 상기 기어열의 회동에 의해 전달되고, 상기 밸브 코어(23)의 상기 타측의 플랜지부(23c)는 상기 대좌(22)와 함께 상기 축(24)과 상기 축(25)을 둘러싸고 회전하고,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밸브 코어(23)가 시계반대방향으로 상기 밸브 시트11a에 대하여 슬라이딩 회동하도록 한다. 상기 시계반대방향에 있어서, 상기 밸브 코어(23)의 상기 중앙베이스부(23a)는 상기 출력구(P1)를 폐색하고, 상기 출력구(P1)는 닫히고, 상기 입력구(P)로부터 상기 케이싱(11)의 상기 밸브 캐비티(11d)에 유입된 냉매는 저지되어 상기 출력관(P1B)으로부터 유출되는 동시에, 상기 냉매는 상기 출력구(P2)로부터 상기 출력관(P2B)에 유출된다. 이때, 상기 밸브 코어(23)의 일측의 플랜지부(23b)는 상기 리미트핀(26A)에 접촉되어, 상기 밸브 코어(23)의 슬라이딩 회동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펄스신호에 의해, 상기 로터(14)는 필요한 양만큼 회동하고, 상기 밸브 코어(23)가 도 5b에 나타낸 시계방향으로 상기 밸브 시트(11a)에 대하여 슬라이딩 회동하도록 하고, 상기 밸브 코어(23)의 상기 중앙베이스부(23a)는 상기 출력구(P2)를 폐색하고, 상기 출력구(P2)는 닫히고, 상기 입력구(P)로부터 상기 케이싱(11)의 상기 밸브 캐비티(11d)에 유입된 냉매는 저지되어 상기 출력관(P2B)으로부터 유출되는 동시에, 상기 냉매는 상기 출력구(P1)로부터 상기 출력관(P1B)에 유출된다. 또한, 상기 밸브 코어(23)의 일측의 플랜지부(23b)가 상기 리미트핀(26B)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밸브 코어(23)의 슬라이딩 회동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미트핀(26A) 및 (26B)에 의해, 상기 밸브 코어(23)는 상기 출력구(P1)와 출력구(P2)를 정확하게 폐색시킬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5의 평면도이다. 상기 밸브 코어(23)는 상기 중앙베이스부(23a)와, 일측의 플랜지부(23b)와, 타측의 플랜지부(23c)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의 플랜지부(23b)를 리미트부(스톱부라고도 함)로 함과 함께, 상기 타측의 플랜지부(23c)를 상기 축(24) 및 상기 축(25)를 둘러싸고 회동하는 회동부로 해도 되고, 또한, 상기 중앙베이스부(23a)는 상기 출력구(P1 및 P2)를 폐색하는 밸브부로 해도 되기 때문에, 상기 밸브 코어(23)는 평행모양을 유지한 상태에서 원활하게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회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밸브 코어(23)에 의해 상기 출력구(P1) 및 상기 출력구(P2)를 정확하고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전동삼방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13c)가 분리된 개체로서 상기 케이싱(11)에 장착되어 있는 전동삼방밸브(10)의 기타 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도 6은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의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분 또는 대응부분에, 도 1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시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있어서, 상기 로터(14)의 로터축(14a')은 도 1의 상기 로터축(14a)보다 길고, 상기 로터축(14a')은, 예를 들면, 소결자석으로 형성된 원통형 지지부재(14a1) 중심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원통형 지지부재(14a1)는 상기 로터(14)의 상기 원통형 부재(14b)의 중심에 배치되고, 수지, 예를 들면, PPS로 사출 성형되어 상기 원통형 부재(14b)에 고정되고, 상기 로터(14)를 구성한다. 상기 로터(14)에 있어서의 도면의 부호(14a2)는 상기 수지의 사출성형부를 나타낸다. 또한, 로터축(14a')의 상단(14a'1)은 상기 베어링(13f)에 의해 상기 오목부위(13b)에 지지되고, 상기 오목부위(13b)는 상기 하우징(13)의 일측 원주단(13c')의 디스크형상의 상부 캡(13a)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로터축(14a') 하단(14a'2)은 하부 캡(27) 중심을 관통하고 돌출되어 상기 밸브 캐비티(11d) 내에 삽입되고, 하부 캡(27)은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재의 디스크형상이고, 상기 하우징(13)을 형성하는 상기 커버(13c)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캡(27)은 압입 또는 용접,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상기 커버(13c)의 상기 타측의 원주단(13c'')에 고정된다. 상기 로터축(14a')은 상기 하부 캡(27)에 놓여져 있는 지지부재(14d)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재(14d)는 디스크부(14d1) 및 단부(14d2)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부(14d3)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기둥부(14d3)의 외주에는 스프링(14d4)이 감겨져 있다. 상기 로터축(14a')은 상기 원기둥부(14d3) 및 상기 디스크부(14d1)을 관통하고, 상기 디스크부(14d1)은 상기 하부 캡(27)에 놓여져 있고, 상기 스프링(14d4)은 상기 로터축(14a')의 상기 로터(14)의 사출성형부(14a2)와 상기 단부(14d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축(14a')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밸브 캐비티(11d)를 구성하는 케이싱(110)은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재의 측벽(113)으로 이루어지고, 측벽(113)은 일측의 개구부(111)와 꼭대기부(112)를 가지고, 상기 꼭대기부(112)는 상기 일측의 개구부(111)와 연결되어 형성된 숄더부(114)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꼭대기부(112)의 선단부(112a)는 상기 밸브 캐비티(11d) 내에 있어서 만곡하여, 원통형 벽부(112b)를 형성하고, 상기 꼭대기부(112)는 상기 원통형 벽부(112b)에 의해 상기 꼭대기부(112)의 중심에 타측의 개구부(112c)를 설치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타측의 개구부(112c) 내에 상기 하우징(13)의 커버(13c)의 상기 타측의 원주단(13c'') 및 상기 타측의 원주단(13c'')에 고정된 상기 하부 캡(27)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타측의 원주단(13c'')는 상기 하부 캡(27)과 함께 용접,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으로, 상기 원통형 벽부(112b)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타측의 개구부(112c) 내에 설치된다. 그 결과, 상기 모터부(12)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13)은 분리된 개체로서 상기 원통형 케이싱(110)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3)의 상기 커버(13c)의 상기 타측의 원주단(13c'')과 상기 원통형 벽부(112b)는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모터부(12)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13)은 상기 원통형 케이싱(11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케이싱(110)의 외측에 직립으로 착설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케이싱(110)으로 구성된 상기 밸브 캐비티(11d)에 있어서, 상기 로터축(14a')의 상기 하단(14a'2)은 상기 밸브 캐비티(11d) 내에 돌출 설치되고, 제1기어(17)은 압입 또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상기 하단(14a'2)의 외주에 감입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제1기어(17)와 맞물리는 상기 제2기어(18)와, 상기 제2기어(18)와 맞물리는 상기 제3기어(19')와, 상기 제3기어(19')와 맞물리는 제4기어(20)는 도 1의 구성과 동일하다. 하지만, 도 6에 있어서, 상기 제3기어(19')는 도 1과 달리, 도 1에 나타낸 상단 및 하단의 기어(19a) 및 (19b)는, 기어 동작의 단 구분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생략하고, 단일한 기어로서만 형성된다. 상기 제3기어(19')는 상기 제2기어(18)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여, 상기 베어링부재(21')의 외주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재(21')는 도 1에 나타낸 상기 베어링부재(21)와 달리, 상기 베어링부재(21)보다 짧고, 상기 베어링부재(21')의 하단(21b')은 압입에 의해 상기 밸브 시트(11a)에 감입 고정된다. 그 고정은 용접,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에 의해 행해도 된다. 상기 베어링부재(21')에는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재의 샤프트캡(21'a)이 압설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3기어(19')를 지지하고, 상기 샤프트캡(21'a)은 상기 제3기어(19')와 상기 밸브 시트(11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기어(17)와, 상기 제2기어(18)와, 제3기어(19')와, 상기 제4기어(20)에 의해, 상기 케이싱(110) 내에 기어열을 형성하고, 도 1에 나타낸 고정코일(15)에 입력되는 펄스신호에 의해, 상기 로터축(14a')은 스탭 모터(12)의 상기 로터(14)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고, 상기 기어열은 상기 로터축(14a')의 회동에 따라 회동의 전달을 행하고, 상기 밸브 코어(23)는 상기 밸브 시트(11a)에 있어서 슬라이딩 회동한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전동삼방밸브(10)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출력구(P1)와 상기 출력구(P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실현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해, 상기 케이싱(110)의 구조는 간소화되고, 또한 상기 제3기어(19') 또는 상기 베어링부재(21') 등이 내장되는 상기 밸브 캐비티(11d)의 구조도 간소화됨으로써, 부품수가 감소되고, 장착성이 향상되고, 비용이 저감되며, 상기 출력구(P1)와 상기 출력구(P2)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전동삼방밸브를 제공한다.
계속해서,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 코어(23)가 상기 슬라이딩 회동에 의해 접촉되는 상기 핀(26A) 및 상기 핀(26B)(도시생략)의 상기 밸브 시트(11a)에 있어서의 고정강도는 한층 더 향상되고, 또한 상기 베어링부재(21')의 상기 밸브 시트(11a)에 있어서의 고정강도도 한층 더 향상되기 때문에, 상기 핀(26A) 및 상기 핀(26B) 또는 상기 베어링부재(21')를 압압하는 압압판(28)은 상기 밸브 캐비티(11d) 내에 배치해도 된다. 즉, 상기 압압판(28)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재의 비교적 얇은 플레이트로 대략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7에 있어서, 상기 압압판(28)은 그 일변에 결구(28a)를 형성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터축(14a')은 상기 결구(28a)에 의해 상기 밸브 캐비티(11d) 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압압판(28)은 도 8에 나타낸 사시도와 같이 배치되고, 도 8은 도 6에 나타낸 전동삼방밸브(10)의 요부를 나타낸다. 즉, 상기 압압판(28)은 각각 하단이 상기 밸브 시트(11a)에 압입고정된 상기 리미트핀(26A) 및 (26B)의 상단에 접촉되는 동시에, 상기 베어링부재(21')의 상단에도 접촉된다. 또한, 상기 압압판(28)의 일측의 측변(28b)은 상기 원통형 케이싱(110)의 상기 측벽(113) 내면에 접촉되고, 상기 압압판(28)의 다른 측변(28c)은 상기 측벽(113) 내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상기 압압판(28)의 측변(28b)은 상기 측벽(113)에 접촉하도록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압압판(28)은 상기 원통형 케이싱(110)의 상기 밸브 캐비티(11d) 내에 위치결정됨으로써, 상기 리미트핀(26A), 상기 리미트핀(26B) 및 상기 베어링부재(21')와 상기 하부 캡(27)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 캐비티(11d) 내에 설치된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부호(26A') 및 (26B')는 각각 상기 리미트핀(26A) 및 상기 리미트핀(26B)과 상기 압압판(28)의 접촉부를 나타내고, 부호(21a')는 상기 베어링부재(21')와 상기 압압판(28)의 접촉부를 나타내고, 상기 접촉부(26A'), (26B') 및 (21a')는 용접,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리미트핀(26A) 및 (26B) 및 상기 베어링부재(21')는 상기 압압판(28)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 리미트핀(26A) 및 (26B) 및 상기 베어링부재(21')는 상기 밸브 시트(11a)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압압판(28)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리미트핀(26A) 및 (26B) 및 상기 베어링부재(21')의 상기 밸브 시트(11a)에 있어서의 설정위치는 정확하게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삼방밸브(10)의 상기 밸브 코어(23)에 의해 상기 출력구(P1)와 상기 출력구(P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동작을 변동 없이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고, 전동삼방밸브(10)의 장기간의 정확한 개폐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9a에는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의 요부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9a는 상기 압압판(28)에 얇은 판스프링(29)을 용접, 예를 들면, 스폿 용접하거나, 핀을 개재하여 장착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29)은 평면판의 기판(29A)과 스프링부(29B)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부(29B) 선단에 평면부(29B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면부(29B1)에 반구형의 볼록부(29B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부(29B)는 판넓이가 동일하거나 판넓이가 상기 베이스부(29A)로부터 상기 볼록부(29B2)를 향하여 확대되는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스프링부(29B)는 도면에 있어서 판넓이가 동일한 모양으로 표시된다. 또한, 도면의 부호(28C') 및 (28D')는 상기 기판(29A)에 있어서의 용접부를 나타내고, 도면에는 상기 판스프링(29)이, 예를 들면, 스폿 용접에 의해 상기 압압판(28)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구조에 근거하여,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압판(28)과 상기 판스프링(29)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29)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볼록부(29B2)(도시생략)를 상기 밸브 코어(23)와 접촉시키고, 상기 밸브 코어(23)가 상기 밸브 시트(11a)에 대하여 슬라이딩할 경우, 그 슬라이딩을 한층 더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 코어(23)에 의해 상기 출력구(P1)와 상기 출력구(P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동작은 안정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동삼방밸브(10)는 더욱 정확한 개폐동작을 더욱 장기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8은 상기 전동삼방밸브(10)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29)을 사용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상기 판스프링(29)은, 상기 밸브 코어(23)가 상기 밸브 시트(11a)에 대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유출통로(P1)를 봉쇄할 경우, 상기 밸브 코어(23)가 상기 판스프링(29)의 탄성력 작용을 받고, 상기 밸브 코어(23)는 상기 제1유출통로(P1)에 대해 확실한 닫힘 동작을 실시한다. 그 후, 상기 밸브 코어(23)가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할 경우, 상기 제2유출통로(P2)에 대해, 상기 밸브 코어(23)는 상기 판스프링(29)의 탄성력 작용을 받지 않고 상기 제2유출통로(P2)를 봉쇄한다.

Claims (9)

  1. 밸브 시트의 면에 개구되어 있는 입력구 및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개구의 출력구; 및 모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밸브 시트에 있어서 회동 슬라이딩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출력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코어를 구비한 전동삼방밸브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분리된 개체로서, 냉매를 도입하는 원통형 케이싱의 상단면의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원통형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 코어는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또한 상기 원통형 케이싱내에 배치되는 기어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원통형 케이싱은 일측의 개구부와 꼭대기부를 가지는 측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의 개구부에는 상기 밸브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꼭대기부에는 원통형 벽부에 의해 타측의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타측의 개구부에는 상기 원통형 벽부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모터부가 내설되는 하우징이 직립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원통형 케이싱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삼방밸브.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부 캡을 가지고, 상기 하부 캡은 상기 하우징의 다른 원주단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삼방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에는 상기 밸브 코어의 리미트부와 접촉되는 리미트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케이싱내에는 압압판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압압판은 상기 리미트핀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리미트핀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삼방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판의 일측의 측면은 상기 원통형 케이싱의 상기 측벽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삼방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판에는 판스프링이 착설되어 있고, 상기 판스프링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밸브 코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삼방밸브.
  6. 밸브 시트의 면에 개구되어 있는 입력구 및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개구의 출력구; 및 모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밸브 시트에 있어서 회동 슬라이딩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출력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코어를 가지는 전동전환밸브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분리된 개체로서 냉매를 도입하는 원통형 케이싱의 상단면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원통형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 코어는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또한 상기 원통형 케이싱내에 배치되는 기어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전환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스탭 모터이고, 상기 원통형 케이싱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에 직립으로 설치되는 비자성 금속 재료의 원통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로터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의 고정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전환밸브.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코어의 중앙부는 디스크형상을 가지고, 또한 상기 밸브 코어는 상기 디스크형상의 중앙부의 외주로부터 양 외측으로 대칭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밸브 코어의 일측의 플랜지부는 상기 기어장치의 구동축의 베어링부로 하는 동시에, 상기 밸브 코어의 타측의 플랜지부는 스톱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전환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코어의 상기 스톱부는 스톱핀과 접촉되고, 상기 스톱핀은 상기 밸브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출력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전환밸브.
KR1020120117347A 2011-11-25 2012-10-22 전동삼방밸브 KR101481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381775.4 2011-11-25
CN201110381775.4A CN103133717B (zh) 2011-11-25 2011-11-25 电动切换阀
CN201210125797.9 2012-04-25
CN201210125797.9A CN103375606B (zh) 2012-04-25 2012-04-25 电动三通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595A true KR20130058595A (ko) 2013-06-04
KR101481145B1 KR101481145B1 (ko) 2015-01-12

Family

ID=4846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347A KR101481145B1 (ko) 2011-11-25 2012-10-22 전동삼방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44569B2 (ko)
JP (1) JP5606511B2 (ko)
KR (1) KR1014811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116A (ko) * 2014-06-09 2015-12-17 제지앙 산후아 컴퍼니 리미티드 전동전환밸브
WO2016076678A1 (ko) * 2014-11-14 2016-05-19 주식회사 에스 씨디 냉장고용 4방향 냉매 밸브
KR20200093043A (ko) * 2017-12-11 2020-08-04 쯔지앙 산후아 오토모티브 컴포넌츠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 작동식 밸브
KR20210008224A (ko) 2019-07-11 2021-01-21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삼방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2009B2 (ja) * 2013-06-11 2017-03-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媒切替弁およびこれを備える機器
JP6309323B2 (ja) * 2014-03-27 2018-04-1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装置
JP6455732B2 (ja) * 2016-03-14 2019-01-2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支持部材
DE102016212862A1 (de) * 2016-07-14 2018-01-18 Robert Bosch Gmbh Leistungseinheit für ein elektrisches Lenksystem
CN107781498B (zh) * 2016-08-24 2021-03-12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控制阀
CN107781499A (zh) * 2016-08-24 2018-03-09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套管组件及具有其的控制阀
KR101917117B1 (ko) * 2016-10-11 2018-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매 유로 절환용 사방 밸브
JP6306758B2 (ja) * 2017-02-07 2018-04-0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媒切替弁
DE102017102841A1 (de) * 2017-02-13 2018-08-16 Otto Egelhof Gmbh & Co. Kg Mehrwegventil zur Steuerung eines Kältemittelkreislaufs
JP6928484B2 (ja) * 2017-06-02 2021-09-01 伸和コントロールズ株式会社 流量制御用三方弁及びこれを用いた温度制御装置
KR102081813B1 (ko) * 2017-07-21 2020-04-23 엘티정밀 주식회사 4방향 밸브
CN107747635A (zh) * 2017-11-22 2018-03-02 马鹏彦 一种三通阀及具有其的呼吸机
US11047493B2 (en) * 2018-03-12 2021-06-29 The Boeing Company Directional flow control device
CN110822130A (zh) * 2018-08-07 2020-02-21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电动切换阀及其阀块
JP2020180630A (ja) * 2019-04-24 2020-11-05 株式会社不二工機 流路切換弁
US11649999B2 (en) 2021-05-14 2023-05-1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rect cooling ice maker with cool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9355A (en) * 1977-04-28 1979-02-13 Essex Group, Inc. Four wave valve for reversible cycle refrigeration system
US4860794A (en) * 1988-08-31 1989-08-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Single ended solenoid valve assembly
JP2714444B2 (ja) * 1989-06-23 1998-02-16 日本ランコ株式会社 分流弁
TW305419U (en) * 1993-01-25 1997-05-11 Pacific Eng Four-way change-over valve for air-conditioner and service valve therewith
JP3863287B2 (ja) * 1998-04-21 2006-12-27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金属弁体を備えた電磁弁
JP2000346227A (ja) * 1999-06-09 2000-12-15 Pacific Ind Co Ltd 電動膨張弁
JP3295889B2 (ja) * 1999-08-02 2002-06-24 フジ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における流体流量制御弁又は流体流路切換弁の作動機構
KR100758366B1 (ko) * 2000-02-10 2007-09-14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사방 변환 밸브
JP2002005543A (ja) * 2000-06-19 2002-01-09 Saginomiya Seisakusho Inc 四方切換弁と電動膨脹弁との複合弁
JP4633943B2 (ja) * 2001-01-11 2011-02-16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切換え弁
JP4612226B2 (ja) * 2001-05-24 2011-01-12 株式会社不二工機 除湿機能付き電動弁及び該電動弁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EP2261538B1 (en) * 2001-07-10 2012-03-07 Nidec Sankyo Corporation Valve drive device
JP2003232455A (ja) * 2002-02-12 2003-08-22 Sankyo Seiki Mfg Co Ltd バルブ駆動装置
JP4112918B2 (ja) * 2002-07-11 2008-07-0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装置
JP4183075B2 (ja) * 2002-09-12 2008-11-1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装置
JP2004270903A (ja) * 2003-03-12 2004-09-30 Fuji Koki Corp 電動切換弁
KR20050077662A (ko) * 2004-01-30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탭핑모터밸브
JP2006057763A (ja) * 2004-08-20 2006-03-02 Nidec Sankyo Corp バルブ駆動装置
JP4142636B2 (ja) * 2004-12-16 2008-09-03 平田バルブ工業株式会社 粉体用ドアバルブ
KR20070042018A (ko) * 2005-10-17 2007-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7540301B2 (en) * 2006-12-27 2009-06-02 Walter Tuymer Compressor valve
JP5611558B2 (ja) * 2008-11-04 2014-10-22 株式会社不二工機 多方切換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116A (ko) * 2014-06-09 2015-12-17 제지앙 산후아 컴퍼니 리미티드 전동전환밸브
WO2016076678A1 (ko) * 2014-11-14 2016-05-19 주식회사 에스 씨디 냉장고용 4방향 냉매 밸브
KR20200093043A (ko) * 2017-12-11 2020-08-04 쯔지앙 산후아 오토모티브 컴포넌츠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 작동식 밸브
KR20210008224A (ko) 2019-07-11 2021-01-21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삼방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13441A (ja) 2013-06-10
JP5606511B2 (ja) 2014-10-15
US20130134336A1 (en) 2013-05-30
US8844569B2 (en) 2014-09-30
KR101481145B1 (ko) 201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8595A (ko) 전동삼방밸브
KR102365497B1 (ko) 전동전환밸브
JP5615993B1 (ja) 冷媒バルブ装置
JP4303162B2 (ja) アクチュエータ
CN103133717B (zh) 电动切换阀
US7284571B2 (en) Valve device
US9903479B2 (en) Valve device
CN110345270B (zh) 阀装置和冰箱
KR102189050B1 (ko) 모터 및 밸브 구동 장치
CN1637573B (zh) 促动器、光量调节装置及步进电动机
JP2018528745A (ja) 小型減速モータ
CN103375606B (zh) 电动三通阀
US20160065033A1 (en) Geared motor and damper device
JP3932898B2 (ja) 電磁弁装置
CN210800195U (zh) 致动器的固定结构及致动器
JP2011151898A (ja) モータ
JP4002714B2 (ja) 電動流量制御弁
JP2005201407A (ja) 電動弁
JP2001289348A (ja) 電動切換弁
JP2021124132A (ja) 電動弁およ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2005354818A (ja) モータ弁
CN117255907A (zh) 阀装置
JP2020085176A (ja) 軸受組立体およびモータ
JP2020070837A (ja) 電動弁およびステータを製造する方法
JP2013241836A (ja) 電動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