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497B1 - 전동전환밸브 - Google Patents

전동전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497B1
KR102365497B1 KR1020140175346A KR20140175346A KR102365497B1 KR 102365497 B1 KR102365497 B1 KR 102365497B1 KR 1020140175346 A KR1020140175346 A KR 1020140175346A KR 20140175346 A KR20140175346 A KR 20140175346A KR 102365497 B1 KR102365497 B1 KR 102365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valve
gear
valve seat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1116A (ko
Inventor
웨이린 얀
밍후이 쑤
슈아이펑 딩
빈 첸
Original Assignee
제지앙 산후아 인텔리전트 컨트롤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산후아 인텔리전트 컨트롤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산후아 인텔리전트 컨트롤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4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의 대형화를 회피함으로써, 전동전환밸브가 차지하는 공간의 축소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밸브체를 양호한 평형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밸브 시트에 있어서의 밸브체의 회동방향 슬라이딩을 확보할 수 있는 전동전환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밸브 시트면(11a)의 면 상에 개구되어 있는 입력구(P) 및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개구를 지니는 출력구(P1, P2)와, 모터부(12)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밸브 시트면 상에서 회전 슬라이딩하는 밸브체(23)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체가 상기 복수의 출력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동전환밸브로서, 상기 모터부는, 냉매가 도입되는 원통형 케이싱(11)의 상단면의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원통형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에 고착되며, 상기 밸브체는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또한 상기 원통형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기어장치에 의해서 구동되며, 상기 밸브체는, 중앙부를 원판형상 밸브체로 구성하는 동시에, 해당 원판 외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해서 설치된 플랜지부(23b, 23c)를 대칭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한쪽을 스토퍼부(23'C1)로 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다른 쪽에 돌기부(23'C2)를 형성하며, 상기 돌기부를 상기 기어장치에 형성된 볼록부(20'C1, 20'C2)에 끼워넣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전환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전환밸브{ELECTROMOTIVE SWITCHING VALVE}
본 발명은, 에어컨과 냉장고 등의 냉매를 순환하며, 유로를 전환하는 전동전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로서, 예를 들면, 스테핑 모터를 사용하고, 그의 로터의 축의 하단부에 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기어와 밸브체를 구동하는 기어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기어의 구동력으로, 밸브체가 밸브 시트 면 상에서 슬라이딩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밸브 시트 면 상에 개구되어 있는 유로의 한쪽을 폐쇄하는 밸브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상기와 같이, 기어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밸브 시트 상에서 슬라이딩 회전하는 밸브체에 의해서 상기 개구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밸브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JPH3-28583 A JP 2000-346227 A
종래의 상기 밸브 시트 면 상에서 슬라이딩 회전하는 밸브체를 이용하는 밸브에 있어서는, 상기 밸브체와 기어가 수납되어 있는 케이싱 및 내부에 상기 모터의 로터를 가지는 하우징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을 형성하는 비자성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재의 벽이 비교적 두꺼워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하우징이 두꺼워지면, 스테핑 모터의 자성 특성이 저하되어, 모터의 토크가 감소되기 때문에, 소정의 모터의 토크를 얻기 위하여, 스테핑 모터의 출력이 큰 것을 필요로 한다. 그 결과, 전동전환밸브(또는 전동삼방밸브)의 대형화를 초래하게 되고, 냉동 순환을 구성할 때, 전동전환밸브가 차지하는 공간의 확대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슬라이딩 회전하는 밸브체에 있어서는, 밸브 시트 면 상에서 용이하고 원활하게 슬라이딩 가능한 밸브체의 형상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코일의 대형화를 회피함으로써, 차지하는 공간의 축소화를 실현함과 함께, 밸브체를 양호한 평형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밸브 시트 면 상에서의 밸브체의 회전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확보할 수 있는 전동전환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동전환밸브는, 밸브 시트 면의 면 상에 개구되어 있는 입력구 및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개구를 지니는 출력구와, 모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밸브 시트면 상에서 회전 슬라이딩하는 밸브체를 구비하되, 상기 밸브체가 상기 복수의 출력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동전환밸브로서, 상기 모터부는 냉매가 도입되는 원통형 케이싱의 상단면의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원통형 케이싱의 하단의 개구부에 고착되며, 상기 밸브체는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원통형 케이싱 내에 배치된 기어장치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밸브체는, 중앙부를 원판형 밸브체로 구성하는 동시에, 그 원판의 외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해서 설치된 플랜지부를 대칭적으로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한쪽을 스토퍼부로 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다른 쪽에 돌기부를 설치하여, 상기 돌기부를 상기 기어장치에 형성된 볼록부에 끼워 넣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밸브체는, 상기 돌기부와 상기 원판형 밸브체의 중앙 베이스부 사이에 평면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상기 볼록부는 그 대칭면에 평면을 지니고 있어, 상기 돌기부의 평면과 상기 볼록부의 평면이 서로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 시트 면에 설치된 출력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동전환밸브가, 모터부와 모터부에 의해서 구동되는 기어장치 및 상기 기어장치를 개재해서 회전 구동되는 밸브체를 수납한 원통형 케이싱을 별체로 해서 구성되므로, 상기 모터부를 구성하는 코일의 대형화를 회피해서, 전동전환밸브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차지하는 공간의 축소화를 실현하고, 출력구의 선택적인 개폐를 정확하게 실현할 수 있는 전동전환밸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래의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해 개략적인 설명과 해석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의 전동전환밸브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요부의 지지부재의 사시도와 종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요부의 연결부재의 사시도와 종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1의 요부의 대좌부재의 사시도와 종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1의 요부의 밸브체의 사시도와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밸브체와 밸브 시트의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밸브체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나타낸 압압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밸브체를 끼워맞춤시킨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밸브체를 끼워맞춤시킨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1Oa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상시히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동전환밸브(10)는,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재의 원통형 케이싱(11)과 모터부(12)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부(12)는 비자성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하우징(13)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로터(14) 및 로터축(14a)과, 상기 하우징(13)의 외측에 인레이되어 있고 또한 스테이터로서 상기 로터(14)를 구동하는 고정코일(15)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부(12)는 상기 케이싱(11)과 분리되어 있고, 도면 중 상기 케이싱(11)의 외측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케이싱(11)은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의 원반 형상의 밸브 시트("밸브 시트 면"이라고도 칭함)(11a)와, 상기 밸브 시트 면(11a)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단면으로서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의 원반 형상의 평면판(11b)과, 상기 밸브 시트 면(11a)과 평면판(11b) 사이에 설치된 원통형 측벽(11c)으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형 측벽(11c)은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되고, 그 원주변(11c')과, 상기 밸브 시트 면(11a)의 원주단(11a')과, 상기 평면판(11b)의 원주단(11b')은 용접,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상기 밸브 시트 면(11a) 및 상기 평면판(11b)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11)은 기밀성 밸브 캐비티(11d)로 형성된다.
상기 모터부(12)의 상기 하우징(13)은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의 원반 형상의 상부 캡(13a) 및 원통형 비자성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의 커버(13c)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캡(13a)의 중앙에 후술하는 오목부(1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캡(13a)의 원주단(13a')과 상기 커버(13c)의 일측의 원주단(13c')은 용접,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커버(13c)의 타측의 원주단(13c'')은 상기 케이싱(11)의 상기 평면판(11b)의 중앙에 형성된 대직경 중앙 오목부(11e)의 단차부(11e1)와 접촉되고, 상기 타측의 원주단(13c'')은 상기 대직경 중앙 오목부(11e)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타측의 원주단(13c'') 및 상기 대직경 중앙 오목부(11e)의 상기 단차부(11e1)가 연결되어 형성된 소직경 개구부(11e2)는 상기 평면판(11b)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13c)의 타측의 원주단(13c'')은 용접,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상기 평면판(11b)의 상기 중앙 오목부(11e)에 용접되고, 상기 커버(13c)는 상기 평면판(11b)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캡(13a)과 상기 커버(13c)로 이루어진, 밀폐 케이싱으로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13)은 상기 케이싱(11)의 위쪽에 직립으로 설치되고, 상기 밀폐 케이싱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13)은 상기 케이싱(11)과 분리되어, 상기 케이싱(11)의 위쪽, 즉, 상기 상단면으로서의 상기 평면판(11b)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3) 내의 상기 로터(14)의 중심부에 로터축(14a)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로터(14)는 상기 하우징(13)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3)의 외주부에 스테이터로서의 고정코일(15)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코일(15)의 전자력에 의해서 상기 로터(14)가 회동되고, 상기 로터축(14a)도 일체적으로 회동되며, 스테핑 모터로서의 모터부(12)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코일(15)은 배경기술에서 언급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이미 개시되어 있으므로, 공지의 구조가 된다.
상기 로터(14)는, 외주면이 원통형 부재(14b)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원통형 부재(14b)의 중앙에 형성된 횡축(14c)을 가지고 구성되며, 상기 로터축(14a)은 상기 횡축(14c)의 중앙을 관통하고, 예를 들면, 상기 횡축(14c)에 삽입 성형됨으로써 상기 로터축(14a)의 중앙부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로터축(14a)의 상단(14a1)은 상기 하우징(13)의 원반 형상의 상부 캡(13a)의 상기 오목부(13b)에 삽입되어, 상기 오목부(13b)의 바닥부의 베어링(13f)과 접촉되고, 상기 오목부(13b)는 베어링부로서 상기 로터축(14a)을 지지하고 있다. 상기 로터축(14a)의 하부는 지지부재(14d)에 의해 지지됨과 함께, 상기 로터축(14a)의 하단(14a2)은 연결부재(16)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재(14d)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 또는 PPS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4d)의 구조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터(14)의 상기 횡축(14c)과 상기 연결부(1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직경 원반부(14d1)와, 상기 원반부(14d1)의 외주에 돌출 형성된 볼록부(14d2)와, 상기 볼록부(14d2)에 직립으로 또한 일체적으로 설치된 소직경 원통부(14d3)로 이루어진다. 도 1a는 상기 지지부재(14d)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1a와 도 1b의 상기 지지부재(14d)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14d3) 내부의 관통 구멍(14d4)은 상기 원반부(14d1)의 중심부까지 관통되고, 상기 원통부(14d3)의 상단(14d5)과 상기 원반부(14d1)의 하단(14d6)은 각각 상기 로터(14)의 상기 횡축(14c) 및 상기 연결부재(16)와 접촉되며, 상기 지지부재(14d)는 상기 로터(14)의 상기 횡축(14c)과 상기 연결부재(1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4d)의 상기 볼록부(14d2)와 상기 케이싱(11)의 상기 평면판(11b)의 상기 단차부(11e1) 사이에 지지 스프링(14d7)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 스프링(14d7)은 상기 지지부재(14d)를 위쪽으로 지지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재(14d)의 상기 관통 구멍(14d4)에 상기 로터축(14a)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14d)는 상기 로터축(14a)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통으로서, 상기 로터축(14a)의 회동을 지지하고 있다. 상기 로터축(14a)은 관통 구멍(14d4)을 관통하고, 상기 로터축(14a)의 하단(14a2)은 상기 연결부재(16)에 의해 지지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16)는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으로 계단부를 가진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6)의 구조는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2a는 상기 연결부재(16)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그 종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6)에 있어서, 대직경 원기둥부(16a)와 단부(16b)가 연결되어 중직경 원기둥부(16c)를 형성하고, 상기 중직경 원기둥부(16c)와 단부(16d)가 연결되어 소직경 원기둥부(16e)를 형성하며, 상기 대직경 원기둥부(16a)는 평면(16a1)의 중앙부에, 바닥부분이 있는 원형 구멍(16a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16)는 상기 모터부(13)와 상기 케이싱(11)을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13c)은 분리된 개체로서 상기 케이싱(11)에 장착되어 있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3c)은 상기 케이싱(11)과 분리된 개체로서, 상기 케이싱(11)의 상기 평면판(11b)의 상기 중앙 오목부(11e)에 직립으로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11)의 외측에 장착된다.
도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6)의 상기 대직경 원기둥부(16a)는 상기 평면판(11b)의 상기 오목부(11e)의 상기 단차부(11e1)에 놓여져 있고, 또한 상기 중직경 원기둥부(16c)는 상기 케이싱(11)의 상기 평면판(11b)의 상기 개구부(11e2)에 간격을 두고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소직경 원기둥부(16e)는 상기 케이싱의 상기 밸브 캐비티(11d) 내에 돌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16)의 상기 대직경 원기둥부(16a)의 바닥부분이 있는 원형 구멍(16a2)에는, 압입에 의해 상기 로터축(14a)의 하단(14a2)이 끼워넣어져 있고, 상기 연결부재(16)는 상기 로터축(14a)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상기 소직경 원기둥부(16e)의 외주에는 압입에 의해 제1기어(17)가 끼워넣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구조에 의해, 상기 로터(14), 상기 로터축(14a), 상기 연결부재(16) 및 상기 제1기어(17)는 일체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가능하다. 도 1에 있어서, 상기 로터축(14a)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통으로서, 상기 연결부재(16) 측에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재(14d)가 설치되어 있지만, 상기 지지부재(14d)를 설치하지 않아도, 상기 로터축(14a)은 회동가능하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1)의 상기 밸브 캐비티(11d) 내에 상기 제1기어(17)와 맞물리는 제2기어(1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기어(18)와 맞물리는 제3기어(19)는 원기둥형의 베어링 부재(21)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기어(19)는 상하 두 단의 기어(19a)와 기어(19b)로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18)와 상기 상단의 기어(19a)는 맞물리면서 회전한다. 상기 베어링 부재(21)는 상기 베어링 부재(21)의 양단(21a 및 21b)에 의해 상기 케이싱(11)의 상기 평면판(11b)과 상기 밸브 시트(11a)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링부재(21)는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단(21a 및 21b)이 상기 평면판(11b)의 상축 구멍(21a1)과 상기 밸브 시트(11a)의 하축 구멍(21b1)에 압입 끼워넣어짐으로써 고정된다.
상기 제3기어(19)의 상기 하단의 기어(19b)는 제4기어(20)와 맞물리고, 상기 제4기어(20)가 회동되면, 이 회동은 대좌(22)에 전달된다. 상기 대좌(22)는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되고,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대좌(22)는 대직경 원반 형상의 베이스부(22a) 및 상기 베이스부(22a)에 직립으로 설치된 원통부(22b)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부(22b)는, 그 내부(22b1)가 동일한 직경의 상기 베이스부(22a)의 관통 구멍(22a2)과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22a)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22a)에 있어서, 관통 구멍(22a1)이 상기 원통부(22b)에 인접하여 반경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 구멍(22a1)은 축 구멍이다. 상기 원통부(22b)의 외주에는, 압입 또는 용접,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제4기어(20)가 고착되어 있고, 상기 제4기어(20)의 회동은 상기 대좌(22)에 전달된다. 도 3a는 상기 대좌(22)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그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기어(17), 상기 제1기어(18), 상기 제3기어(19), 상기 제4기어(20)는 상기 케이싱(11) 내에 있어서 기어열(齒車列)을 구성한다.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구조의 상기 대좌(22)와 상기 케이싱(11)의 상기 밸브 시트(11a) 사이에 밸브체(23)가 개입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23)는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으로 구성되고,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반 형상의 중앙 베이스부(23a) 및 상기 중앙 베이스부(23a)의 외주측으로부터 지름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중앙 베이스부(23a)에 대칭으로 설치된 일측의 플랜지부(23b)와 타측의 플랜지부(23c)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23b) 및 상기 플랜지부(23c)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도 4a는 상기 밸브체(23)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화살표 R 방향에서 도 4a를 관찰한 단면도이다.
상기 일측의 플랜지부(23b) 및 타측의 플랜지부(23c)는 각각 상기 중앙 베이스부(23a)의 상부면(23a1)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한 상부면(23b1) 및 (23c3)을 갖지만, 상기 일측의 플랜지부(23b)의 하부면(23b2)은, 두께가 상기 중앙 베이스부(23a)보다 약간 얇고, 홈부(23b3)를 가지고, 상기 타측의 플랜지부(23c)와 상기 중앙 베이스부(23a)는 두께가 동일하다. 상기 타측의 플랜지부(23c)는 상기 중앙 베이스부(23a)와 인접하여 관통 구멍(23c1)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관통 구멍(23c1)과 인접하여 절결 형상의 오목부(23c2)가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대좌(22)의 상기 소직경 원통부(22b)의 상기 내부(22b1)와 상기 베이스부(22a)의 관통 구멍(22a2)을 삽입 관통하는 축(24)은 상기 밸브체(23)의 타측의 플랜지부(23c)의 상기 관통 구멍(23c1)을 관통하고, 상기 축(24)은 상기 밸브 시트(11a)의 베어링구멍(11f) 내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대좌(22)의 대직경 베이스부(22a)의 상기 관통 구멍(22a1)을 관통하는 축(25)은, 상기 밸브체(23)의 상기 타측의 플랜지부(23c)의 오목부(23c2)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밸브 시트(11a)에 설치된다. 상기 축(25)의 일단(25a)은 약간 짧고 상기 밸브 시트(11a)와 접촉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축(25)의 타단(25b)은 상기 제4기어(20)와 접촉된다. 상기 축(24)과 상기 축(25)에 의해, 상기 밸브체(23)는 상기 대좌(22)와 상기 밸브 시트(11a) 사이에 자유회동 가능하게 개입된다.
이하, 상기 밸브체(23)의 작용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전동전환밸브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밸브 시트(11a) 및 상기 밸브체(23)의 사시도이고, 기타 구성부분은 생략한다.
도 5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11a)에는 상기 밸브 시트(11a)의 상기 밸브체(23) 측에 개구된 냉매 입력구(P)와 냉매를 유출하는 제1출력구(P1) 및 제2출력구(P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이러한 입력구 및 출력구와 연결된 금속 재료, 예를 들면, 구리로 형성된 입력관(PA)과 출력관(P1B) 및 출력관(P2B)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출력구(P1)는 상기 밸브 시트(11a)에 있어서 도출 구멍(P1A) 및 상기 도출 구멍(P1A)과 연결되는 상기 출력관(P1B)으로 형성되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출력관(P1B)은 상기 밸브 시트(11a)의 상기 밸브체(23)와 대향측의 면으로부터 상기 밸브 시트(11a)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용접에 의해 상기 밸브 시트(11a)에 고정된다.
상기 입력관(PA)과 상기 입력구(P)의 연결 및 상기 출력관(P2B)과 상기 출력구(P2)의 연결은, 상기 출력관(P1B)의 연결과 동일하게 행해진다. 또, 본 발명의 전동전환밸브는 필요에 따라 리미트 장치(스토퍼 장치라고도 함)를 설치해도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핀(26A) 및 (26B)은 스토퍼 핀(스톱핀이라고도 함)이고, 금속 재료인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 시트(11a)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도 1의 고정코일(15)에 입력되는 펄스신호에 의해, 스테핑 모터의 상기 로터(14)는 필요한 양만큼 회동하고, 상기 기어열의 회동에 의해 전달되며, 상기 밸브체(23)의 상기 타측의 플랜지부(23c)는 상기 대좌(22)와 함께 상기 축(24)과 상기 축(25)을 둘러싸고 회전하고,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23)가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밸브 시트(11a)에 대하여 슬라이딩 회동하도록 한다. 상기 반시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23)의 상기 중앙 베이스부(23a)는 상기 출력구(P1)를 폐색하고, 상기 출력구(P1)는 닫히며, 상기 입력구(P)로부터 상기 케이싱(11)의 상기 밸브 캐비티(11d)에 유입된 냉매는 저지되어 상기 출력관(P1B)으로부터 유출되는 동시에, 상기 냉매는 상기 출력구(P2)로부터 상기 출력관(P2B)에 유출된다. 이때, 상기 밸브체(23)의 일측의 플랜지부(23b)는 상기 스토퍼 핀(26A)에 접촉되어, 상기 밸브체(23)의 슬라이딩 회동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펄스신호에 의해, 상기 로터(14)는 필요한 양만큼 회동하고, 상기 밸브체(23)가 도 5b에 나타낸 시계방향으로 상기 밸브 시트(11a)에 대하여 슬라이딩 회동하도록 하며, 상기 밸브체(23)의 상기 중앙 베이스부(23a)는 상기 출력구(P2)를 폐색하고, 상기 출력구(P2)는 닫히며, 상기 입력구(P)로부터 상기 케이싱(11)의 상기 밸브 캐비티(11d)에 유입된 냉매는 저지되어 상기 출력관(P2B)으로부터 유출되는 동시에, 상기 냉매는 상기 출력구(P1)로부터 상기 출력관(P1B)에 유출된다. 또한, 상기 밸브체(23)의 일측의 플랜지부(23b)가 상기 스토퍼 핀(26B)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밸브체(23)의 슬라이딩 회동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 핀(26A) 및 (26B)에 의해, 상기 밸브체(23)는 상기 출력구(P1)와 출력구(P2)를 정확하게 폐색시킬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5의 평면도이다.
상기 밸브체(23)는 상기 중앙 베이스부(23a)와, 일측의 플랜지부(23b)와, 타측의 플랜지부(23c)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의 플랜지부(23b)를 리미트부(스토퍼부라고도 함)로 함과 함께, 상기 타측의 플랜지부(23c)를 상기 축(24) 및 상기 축(25)를 둘러싸고 회동하는 회동부로 해도 되며, 또한, 상기 중앙 베이스부(23a)는 상기 출력구(P1 및 P2)를 폐색하는 밸브부로 해도 되기 때문에, 상기 밸브체(23)는 평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원활하게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 회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밸브체(23)에 의해 상기 출력구(P1) 및 상기 출력구(P2)를 정확하고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전동전환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13c)이 분리된 개체로서 상기 케이싱(11)에 장착되어 있는 전동전환밸브(10)의 다른 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분 또는 대응부분에, 도 1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시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있어서, 상기 로터(14)의 로터축(14a')은 도 1의 상기 로터축(14a)보다 길고, 상기 로터축(14a')은, 예를 들면, 소결자석으로 형성된 원통형 지지부재(14a1) 중심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원통형 지지부재(14a1)는 상기 로터(14)의 상기 원통형 부재(14b)의 중심에 배치되고, 수지, 예를 들면, PPS로 사출 성형되어 상기 원통형 부재(14b)에 고정되며, 상기 로터(14)를 구성한다. 상기 로터(14)에 있어서의 도면의 부호(14a2)는 상기 수지의 사출성형부를 나타낸다. 또한, 로터축(14a')의 상단(14a'1)은 상기 베어링(13f)에 의해 상기 오목부(13b)에 지지되고, 상기 오목부(13b)는 상기 하우징(13)의 일측 원주단(13c')의 원반 형상의 상부 캡(13a)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로터축(14a')의 하단(14a'2)은 하부 캡(27) 중심을 관통하고 돌출되어 상기 밸브 캐비티(11d) 내에 삽입되며, 하부 캡(27)은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재의 원반 형상이고, 상기 하우징(13)을 형성하는 상기 커버(13c)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캡(27)은 압입 또는 용접,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상기 커버(13c)의 상기 타측의 원주단(13c'')에 고정된다. 상기 로터축(14a')은 상기 하부 캡(27)에 놓여져 있는 지지부재(14d)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재(14d)는 원반부(14d1) 및 단부(14d2)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부(14d3)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기둥부(14d3)의 외주에는 스프링(14d4)이 감겨져 있다. 상기 로터축(14a')은 상기 원기둥부(14d3) 및 상기 원반부(14d1)을 관통하고, 상기 원반부(14d1)는 상기 하부 캡(27)에 놓여져 있으며, 상기 스프링(14d4)은 상기 로터축(14a')의 상기 로터(14)의 사출성형부(14a2)와 상기 단부(14d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축(14a')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밸브 캐비티(11d)를 구성하는 케이싱(110)은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재의 측벽(113)으로 이루어지고, 측벽(113)은 일측의 개구부(111)와 꼭대기부(112)를 가지며, 상기 꼭대기부(112)는 상기 일측의 개구부(111)와 연결되어 형성된 숄더부(114)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꼭대기부(112)의 선단부(112a)는 상기 밸브 캐비티(11d) 내에 있어서 만곡하여, 원통형 벽부(112b)를 형성하고, 상기 꼭대기부(112)는 상기 원통형 벽부(112b)에 의해 상기 꼭대기부(112)의 중심에 타측의 개구부(112c)를 설치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타측의 개구부(112c) 내에 상기 하우징(13)의 커버(13c)의 상기 타측의 원주단(13c'') 및 상기 타측의 원주단(13c'')에 고정된 상기 하부 캡(27)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타측의 원주단(13c'')은 상기 하부 캡(27)과 함께 용접,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으로, 상기 원통형 벽부(112b)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타측의 개구부(112c) 내에 설치된다. 그 결과, 상기 모터부(12)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13)은 분리된 개체로서 상기 원통형 케이싱(110)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3)의 상기 커버(13c)의 상기 타측의 원주단(13c'')과 상기 원통형 벽부(112b)는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모터부(12)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13)은 상기 원통형 케이싱(11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케이싱(110)의 외측에 직립으로 착설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케이싱(110)에 의해서 구성된 상기 밸브 캐비티(11d)에 있어서, 상기 로터축(14a')의 상기 하단(14a'2)은 상기 밸브 캐비티(11d) 내에 돌출 설치되고, 제1기어(17)은 압입 또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상기 하단(14a'2)의 외주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어서, 상기 제1기어(17)와 맞물리는 상기 제2기어(18)와, 상기 제2기어(18)와 맞물리는 상기 제3기어(19')와, 상기 제3기어(19')와 맞물리는 제4기어(20)는 도 1의 구성과 동일하다. 하지만, 도 6에 있어서, 상기 제3기어(19')는 도 1과 달리, 도 1에 나타낸 상단 및 하단의 기어(19a) 및 (19b)는, 기어 동작의 단 구분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생략하고, 단일의 기어에 의해서만 형성된다.
상기 제3기어(19')는 상기 제2기어(18)의 회동에 추종해서 회동하여, 상기 베어링 부재(21')의 외주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 부재(21')는 도 1에 나타낸 상기 베어링 부재(21)와 달리, 상기 베어링 부재(21)보다 짧고, 상기 베어링 부재(21')의 하단(21b')은 압입에 의해 상기 밸브 시트(11a)에 끼워 넣어져 고정된다. 그 고정은 용접,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에 의해 행해도 된다. 상기 베어링 부재(21')에는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재의 샤프트캡(21'a)이 압설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3기어(19')를 지지하고, 상기 샤프트캡(21'a)은 상기 제3기어(19')와 상기 밸브 시트(11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기어(17)와, 상기 제2기어(18)와, 제3기어(19')와, 상기 제4기어(20)에 의해, 상기 케이싱(110) 내에 기어열을 형성하고, 도 1에 나타낸 고정코일(15)에 입력되는 펄스신호에 의해, 상기 로터축(14a')은 스테핑 모터(12)의 상기 로터(14)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고, 상기 기어열은 상기 로터축(14a')의 회동에 따라 회동의 전달을 행하며, 상기 밸브체(23)는 상기 밸브 시트(11a)에 있어서 슬라이딩 회동한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전동전환밸브(10)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출력구(P1)와 상기 출력구(P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실현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해, 상기 케이싱(110)의 구조는 간소화되고, 또한 상기 제3기어(19') 또는 상기 베어링 부재(21') 등이 내장되는 상기 밸브 캐비티(11d)의 구조도 간소화됨으로써, 부품수가 감소되고, 장착성이 향상되고, 비용이 저감되며, 상기 출력구(P1)와 상기 출력구(P2)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전동전환밸브를 제공한다.
계속해서,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23)가 상기 슬라이딩 회동에 의해 접촉되는 상기 핀(26A) 및 상기 핀(26B)(도시생략)의 상기 밸브 시트(11a)에 있어서의 고정강도는 한층 더 향상되고, 또한 상기 베어링 부재(21')의 상기 밸브 시트(11a)에 있어서의 고정강도도 한층 더 향상되기 때문에, 상기 핀(26A) 및 상기 핀(26B) 또는 상기 베어링 부재(21')를 압압하는 압압판(28)은 상기 밸브 캐비티(11d) 내에 배치해도 된다. 즉, 상기 압압판(28)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재의 비교적 얇은 플레이트로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7에 있어서, 상기 압압판(28)은 그 한 변에 절결부(28a)를 형성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터축(14a')은 상기 절결부(28a)에 의해 상기 밸브 캐비티(11d) 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압압판(28)은 도 8에 나타낸 사시도와 같이 배치되고, 도 8은 도 6에 나타낸 전동전환밸브(10)의 요부를 나타낸다. 즉, 상기 압압판(28)은 각각 하단이 상기 밸브 시트(11a)에 압입고정된 상기 스토퍼 핀(26A) 및 (26B)의 상단에 접촉되는 동시에, 상기 베어링 부재(21')의 상단에도 접촉된다. 또한, 상기 압압판(28)의 일측의 측변(28b)은 상기 원통형 케이싱(110)의 상기 측벽(113) 내면에 접촉되고, 상기 압압판(28)의 다른 측변(28c)은 상기 측벽(113) 내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상기 압압판(28)의 측변(28b)은 상기 측벽(113)에 접촉하도록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압압판(28)은 상기 원통형 케이싱(110)의 상기 밸브 캐비티(11d) 내에 위치결정됨으로써, 상기 스토퍼 핀(26A), 상기 스토퍼 핀(26B) 및 상기 베어링 부재(21')와 상기 하부 캡(27)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 캐비티(11d) 내에 설치된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부호(26A') 및 (26B')는 각각 상기 스토퍼 핀(26A) 및 상기 스토퍼 핀(26B)과 상기 압압판(28)의 접촉부를 나타내고, 부호(21a')는 상기 베어링 부재(21')와 상기 압압판(28)의 접촉부를 나타내고, 상기 접촉부(26A'), (26B') 및 (21a')는 용접,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 핀(26A) 및 (26B) 및 상기 베어링 부재(21')는 상기 압압판(28)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 스토퍼 핀(26A) 및 (26B) 또는 상기 베어링 부재(21')는 상기 밸브 시트(11a)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압압판(28)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 핀(26A) 및 (26B) 및 상기 베어링 부재(21')의 상기 밸브 시트(11a)에 있어서의 설정위치는 정확하게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전환밸브(10)의 상기 밸브체(23)에 의해 상기 출력구(P1)와 상기 출력구(P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동작을 변동 없이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고, 전동전환밸브(10)의 장기간의 정확한 개폐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9a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9a는 상기 압압판(28)에 얇은 판스프링(29)을 용접, 예를 들면, 스폿 용접하거나, 핀을 개재하여 장착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29)은 평면판의 기판(29A)과 스프링부(29B)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부(29B) 선단에 평면부(29B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면부(29B1)에 반구형의 볼록부(29B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부(29B)는 판넓이가 동일하거나 판넓이가 상기 베이스부(29A)로부터 상기 볼록부(29B2)를 향하여 확대되는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스프링부(29B)는 도면에 있어서 판넓이가 동일한 모양으로 표시된다. 또한, 도면의 부호(28C') 및 (28D')는 상기 기판(29A)에 있어서의 용접부를 나타내고, 도면에는 상기 판스프링(29)이, 예를 들면, 스폿 용접에 의해 상기 압압판(28)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압판(28)과 상기 판스프링(29)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29)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볼록부(29B2)(도시생략)를 상기 밸브체(23)와 접촉시키고, 상기 밸브체(23)가 상기 밸브 시트(11a)에 대하여 슬라이딩할 경우, 그 슬라이딩을 한층 더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체(23)에 의해 상기 출력구(P1)와 상기 출력구(P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동작은 안정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동전환밸브(10)는 더욱 정확한 개폐동작을 보다 장기간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의 구성을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다. 도 10a는 도 6에 나타낸 전동전환밸브의 제4기어(20)를 제4기어로 하여 부호(20')와 같이 형성하고 있다. 도 10a에 있어서, 제4기어(20')는, 해당 기어(20')의 하부면, 즉, 도면의 아래쪽(20'A)의 안쪽에 기어(20')를 형성하고 있는 톱니(20'B)로부터 소정 간격(D)으로 이루어진 반달 형상의 볼록부(20'C1)와 반달 형상의 볼록부(20'C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반달 형상의 볼록부(20'C1)와 볼록부(20'C2)는, 서로 동일한 높이를 지니고 평면부(20'C11), (20'C21)가 내면 측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멍(20')을 사이에 개재해서 서로 대향해서, 즉,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반달 형상의 볼록부(20'C1), (20'C2)의 외면 측(20'C 22), (20'C12)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반달 형상의 볼록부(20'C1), (20'C2)의 외면 측(20'C 22), (20'C12)은 도면부호 (20'P)에 해당하는 구성의 원주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반달 형상의 볼록부(20'C1), (20'C2)의 상부면 측(20'C13), (20'C23)은 서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볼록부(20'C1) 및 볼록부(20'C2)와 상기 톱니(20'B)로 구성되는 상기 제4기어(20')는, 예를 들어, 구리재의 입자로 이루어진 분말을 이용한 소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볼록부(20'C1) 및 볼록부(20'C2)에는, 도 10c에 나타낸 밸브체(23')가 끼워맞춤된다. 도 10c에 나타낸 밸브체(23')는, 중앙 베이스부(23'a) 및 한쪽의 플랜지부(23'C1)와 다른 쪽의 플랜지부(23'C2)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른 쪽의 플랜지부(23'C2)의 단부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23'C21)와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23'C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른 쪽의 플랜지부(23'C2)에는, 상기 돌기(23'C21) 및 돌기(23'C22)가, 상기 밸브체(23')와 일체, 예를 들어, 구리재의 입자로 이루어진 분말을 이용한 소결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23'C21) 및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23'C22)의 높이는, 양자 모두 상기 반달 형상의 볼록부(20'C1) 및 상기 반달 형상의 볼록부(20'C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체(23')의 상기 플랜지부(23'C2)에는, 상기 밸브체(23')를 회전 슬라이딩하기 위한 오목부(도 4의 오목부(C2)로 표시됨)를 형성하는 일 없이, 상기 밸브체(23')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체(23')에 의해 조립성을 한층 향상시킨 전동전환밸브를 실현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 (23'Ca1)은 밸브체(23')의 회전 슬라이딩에 의해 냉매를 상기 출력구(P1) 및 상기 출력구(P2)로부터 유출시키기 위한 작은 구멍이다.
이러한 상기 밸브체(23')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돌기(23'C21)와 돌기(23'C22)가,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4기어(20')의 상기 반달 형상의 볼록부(20'C1) 및 반달 형상의 볼록부(20'C2)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즉, 도 10c에 있어서, 상기 반달 형상의 볼록부(20'C1)와 상기 돌기부(23'C22)가 끼워 넣어지고, 또한 상기 반달 형상의 볼록부(20'C2)와 상기 돌기(23'C21)가 끼워 넣어져 있다. 이 끼워맞춤은, 상기 밸브체(23')의 상기 중앙 베이스부(23'a)와 상기 돌기(23'C22) 사이에 형성되어, 평면(23'C24)과 상기 볼록부(20'C)의 평면(20'C21)이 맞닿고, 또한 상기 중앙베이스부(23'a)와 상기 돌기(23'C21) 사이에 형성되어, 평면(23'C24)과 상기 볼록부(20'C2)의 평면(20'C21)이 맞닿고, 또 상기 중앙베이스부(20'C23)가 끼워 넣어져 행해짐으로써 상기 밸브체(23')가 상기 기어(20')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평면(23'C24)과 상기 평면(20'C21)의 맞닿음 및 상기 평면(23'C23)과 상기 평면(20'C23)의 맞닿음은, 상기 평면(23'C24)과 상기 평면(23'C23) 사이의 거리가 상기 평면(20'C23)과 상기 평면(23'C24) 사이의 거리보다도 약간 작은 것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평면(23'C24)과 상기 평면(20'C21)이 맞닿고 또한 평면(23'C23)과 상기 평면(20'C2)이 맞닿음으로써, 상기 밸브체(23')는 상기 기어(20')에 의해 한층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된다.
이 결과, 상기 밸브체(23')는 상기 기어(20')에 더 한층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상기 밸브체(23')는 상기 밸브 시트면(11a)에서 슬라이딩 회전을 원활하게 하여, 한층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압압판(28)과 상기 판스프링(29)을 이용하는 일 없이 상기 밸브체(23')에 의해서 정확한 개폐동작을 안정적으로 장기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압판(28)과 상기 판스프링(29)을 이용해서, 상기 밸브체(23')의 슬라이딩 회전을 실시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11: 케이싱 11a: 밸브 시트 면
12: 모터부 13: 하우징
14: 로터 15: 고정코일
17: 제1기어 18: 제2기어
19': 제3기어 20, 20': 제4기어
20'C1: 볼록부 20'C2: 볼록부
23, 23': 밸브체 23'C1: 플랜지부
23'C2; 플랜지부 26A: 스토퍼 핀
26B: 스토퍼 핀

Claims (2)

  1. 밸브 시트 면의 면 상에 개구되어 있는 입력구 및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개구를 지니는 출력구와, 모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밸브 시트 면 상에서 회동 슬라이딩하는 밸브체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체가 상기 복수의 출력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동전환밸브로서,
    상기 모터부는, 냉매가 도입되는 원통형 케이싱의 상단면의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원통형 케이싱의 하단 개구부에 고착되며,
    상기 밸브체는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또한 상기 원통형 케이싱 내에 배치된 기어장치에 의해서 구동되며,
    상기 밸브체는, 중앙부를 원판형상 밸브체로 구성하는 동시에, 해당 원판의 외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해서 설치된 플랜지부를 대칭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한쪽을 스토퍼부로 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다른 쪽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기 돌기부를 상기 기어장치에 형성된 볼록부에 끼워 넣고 있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돌기부와 상기 원판 형상의 밸브체의 중앙 베이스부 사이에 평면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상기 볼록부는 그 대향면에 평면을 지니고 있으며, 상기 돌기부의 평면과 상기 볼록부의 평면이 서로 맞닿아 있고
    제4기어는 하부면의 안쪽에 기어를 형성하고 있는 톱니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반달 형상의 볼록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볼록부는 서로 동일한 높이를 지니고 평면부가 내면 측에 형성되어, 관통구멍을 사이에 개재해서 서로 대향해서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볼록부의 외면 측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볼록부의 상부면 측은 서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볼록부에는 밸브체가 끼워맞춤되고, 상기 밸브체는 중앙 베이스부 및 한쪽의 플랜지부와 다른 쪽의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른 쪽의 플랜지부의 단부에는 복수의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의 높이는, 각각의 상기 볼록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전환밸브.
  2. 삭제
KR1020140175346A 2014-06-09 2014-12-08 전동전환밸브 KR102365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252076.3 2014-06-09
CN201410252076.3A CN105276229A (zh) 2014-06-09 2014-06-09 电动切换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116A KR20150141116A (ko) 2015-12-17
KR102365497B1 true KR102365497B1 (ko) 2022-02-21

Family

ID=5493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346A KR102365497B1 (ko) 2014-06-09 2014-12-08 전동전환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193202B2 (ko)
KR (1) KR102365497B1 (ko)
CN (1) CN10527622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2802B2 (ja) * 2016-06-03 2020-06-0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装置
CN107781498B (zh) * 2016-08-24 2021-03-12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控制阀
CN106246994A (zh) * 2016-09-08 2016-12-21 宁波爱姆优东海精工电器有限公司 一种齿轮式电动切换阀
JP2020056467A (ja) * 2018-10-03 2020-04-09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流量調整弁
JP7340378B2 (ja) * 2019-07-31 2023-09-07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弁体駆動装置
CN110594452A (zh) * 2019-10-08 2019-12-20 永一阀门集团有限公司 在线切换安全阀
JP7542983B2 (ja) 2020-04-10 2024-09-02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弁体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4444B2 (ja) 1989-06-23 1998-02-16 日本ランコ株式会社 分流弁
JP2000346227A (ja) 1999-06-09 2000-12-15 Pacific Ind Co Ltd 電動膨張弁
JP2002005543A (ja) * 2000-06-19 2002-01-09 Saginomiya Seisakusho Inc 四方切換弁と電動膨脹弁との複合弁
CN100366965C (zh) * 2001-07-10 2008-02-06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阀驱动设备
JP4208441B2 (ja) * 2001-08-20 2009-01-1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駆動装置
JP4626335B2 (ja) * 2005-02-23 2011-0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弁装置
JP5606511B2 (ja) * 2011-11-25 2014-10-15 浙江三花股▲分▼有限公司 電動切換弁
CN103375606B (zh) * 2012-04-25 2017-02-22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电动三通阀
CN203051924U (zh) * 2013-01-31 2013-07-10 浙江博豪阀门机械有限公司 伞齿轮阀门驱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76229A (zh) 2016-01-27
JP6193202B2 (ja) 2017-09-06
JP2015232385A (ja) 2015-12-24
KR20150141116A (ko)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497B1 (ko) 전동전환밸브
JP5606511B2 (ja) 電動切換弁
CN103133717B (zh) 电动切换阀
JP5615993B1 (ja) 冷媒バルブ装置
US9903479B2 (en) Valve device
JP4303162B2 (ja) アクチュエータ
CN103375606B (zh) 电动三通阀
CN110345270B (zh) 阀装置和冰箱
US7284571B2 (en) Valve device
JP6702802B2 (ja) バルブ装置
JP2016023710A (ja) 電動弁
KR102189050B1 (ko) 모터 및 밸브 구동 장치
JP2024015519A (ja) 電動弁
JP2018115743A (ja) 電動弁及び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JP2004360762A (ja) 電動弁
CN112189108A (zh) 流路切换阀
JP2018021671A (ja) 電動弁
JP2019180135A (ja) モータ
JP7418838B2 (ja) ステーターユニットおよび電動弁、ならびに、ステーター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4826429B2 (ja) モータ
JP7320853B2 (ja) 流量制御弁
CN118775612A (zh) 阀芯驱动装置
JP2024039243A (ja) 電動弁
JP2018189111A (ja) 遮断弁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