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493A - 앞심 및 앞심 내장 구두 - Google Patents

앞심 및 앞심 내장 구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493A
KR20130057493A KR1020137010951A KR20137010951A KR20130057493A KR 20130057493 A KR20130057493 A KR 20130057493A KR 1020137010951 A KR1020137010951 A KR 1020137010951A KR 20137010951 A KR20137010951 A KR 20137010951A KR 20130057493 A KR20130057493 A KR 20130057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ide wall
rear end
toe
end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2383B1 (ko
Inventor
요시노리 사쿠라이
Original Assignee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0242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05749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43B23/082Toe stiffeners made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43B23/086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 A43B23/087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made of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3/00Wear-resisting attachments
    • A43C13/14Special attachments for toe-caps; Protecting caps for toe-c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대차의 차륜과 같이 측방으로부터 충돌되는 물체로부터 발가락을 보호함과 함께, 보행 등의 발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 앞심 및 당해 앞심을 내장한 구두의 구조를 제공한다. 구두 끝에 내장한 상태로 발부리를 덮는 앞심(1)으로서, 선단벽(2), 좌우 측벽(3, 4), 상면벽(5)을 완만한 곡면으로 연속되도록 형성한 그릇 모양의 껍데기체를 가짐과 함께, 적어도 한쪽 측벽에, 당해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17)를 후방으로 연장시킨 연장 측벽(7)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해 앞심을 내장한 구두는, 통상의 앞심이 들어 있는 작업 구두에서는 보호가 충분하지 않은 발부리의 외측(새끼 발가락) 방향으로부터의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발부리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앞심 및 앞심 내장 구두{TOE BOX AND SHOE WITH INCORPORATED TOE BOX}
본 발명은 앞심 및 앞심 내장 구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발끝 부분에 경질의 앞심을 내장한 안전화가 알려져 있다. 안전화는 족부 재해 방지를 위해, 1955년경부터 사용이 증가하고, 1972년에는 안전화의 착용 의무가 정해지고(노동 안전 위생 규칙 제558조), 동시에 그 규격도 제정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또한, 세계 각국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규격(비특허문헌 2 등)이 정해져 있다.
앞심은, 안전화나 프로텍티브 스니커의 가장 중요 요소인 발끝 보호를 위해 발끝에 내장되고, 상기 규격 중에서 상세하게 그 성능·강도가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구두의 굴곡과의 관계로 제5 발가락(새끼 발가락)만은 보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족부 재해 중에서도 새끼 발가락의 손상에 대해서는 낙하, 대차 등의 옆으로부터의 밟힘에 의한 사고는 무시할 수 없는 것이었다.
앞심의 소재는 강철, 수지 등 여러 가지이지만, 그 형상은 특허문헌 1, 2, 3 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로 엄지 발가락의 뿌리부 부근으로부터 끝 부분을 덮는 그릇 모양(아치 형상 또는 돔 형상으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음)의 껍데기체를 갖는 것이며, 저면에 외주 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한 스커트를 가짐과 함께, 후방에 발 삽입부로 되는 개구를 가진 것이다.
특허 제377615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1030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41406호 공보
일본 공업 규격의 JIS T 8101 2004년 8월 1일 발행의 국제 규격 ISO20344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Test methods for footwear」
상기 안전화는, 건설 현장 등에 있어서 중량물의 낙하 등으로부터 발부리를 보호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여 앞심을 내장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안전화는 건설 현장뿐만 아니라, 운송 회사의 배송 센터와 같이, 대차에 의해 대량의 화물을 사람이 밀어서 반송하는 작업 현장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대차를 취급하는 작업 현장에서 일어나기 쉬운 것은, 대차의 차륜에 의한 발부리의 밟힘이다. 대차에는, 내하중 300㎏을 초과하는 직경 20㎝ 이상의 차륜을 갖는 큰 것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이 대차의 차륜이, 작업자의 발의 가로 방향으로부터 올라타는 것처럼 충돌하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히 앞심에 덮어져 있지 않은 새끼 발가락 측의 측면에 대차의 차륜이 부딪치는 일이 있어 부상을 당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상기한 경우, 앞심을 새끼 발가락까지 덮는 큰 형상으로 하면 새끼 발가락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형 앞심의 형상 그대로 새끼 발가락을 포함한 발부리 모두를 덮도록 하면, 발의 입구인 앞심의 후부 개구 모서리가 발의 굴곡 운동시에 발등(足甲)부와 접촉하여, 보행 동작을 저해해 버린다. 따라서, 종래의 앞심 및 앞심 내장 구두는, 구두의 운동 기능을 우선한 것이며, 할 수 없이 새끼 발가락 주변의 보호를 희생한 것이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종래와 마찬가지의 발부리 보호 기능 이외에, 이동 중인 대차의 차륜이 충돌하는 등과 같은 측방으로부터의 하중이나 충격으로부터 발가락을 보호함과 함께, 보행 등의 발의 운동이나 발부리의 굴곡 동작을 방해하는 일이 없는 앞심 및 당해 앞심을 내장한 구두에 관한 다양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즉 본원 발명은, 구두 끝에 내장된 상태로 발부리를 덮는 앞심이며, 선단벽, 좌우 측벽, 상면벽을 완만한 곡면으로 연속되도록 형성한 그릇 모양의 껍데기체를 가짐과 함께, 적어도 한쪽 측벽에, 당해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후방으로 연장시킨 연장 측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릇 모양의 껍데기체는 주로 종래형 앞심과 마찬가지로 엄지 발가락의 뿌리부 부근으로부터 전방의 부분을 보호하고, 연장 측벽은 종래의 앞심에서는 충분히 보호되지 못했던 새끼 발가락 부분을 보호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앞심은, 새끼 발가락 부분을 보호함에도 불구하고, 보행이나 발부리의 굴곡 운동을 방해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즉 본원 발명은, 발부리를 덮는 앞심을 구두 끝에 내장한 구두이며, 상기 앞심이, 선단벽, 좌우 측벽, 상면벽을 완만한 곡면으로 연속되도록 형성한 그릇 모양의 껍데기체를 가짐과 함께, 적어도 한쪽 측벽에, 당해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후방으로 연장시킨 연장 측벽을 설치한 앞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당해 앞심을 내장한 구두는, 종래형 앞심이 들어 있는 구두와 마찬가지로 구두 끝 부분을 보호함과 함께, 연장 측벽을 설치한 앞심의 작용에 의해, 종래 보호가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던 특히 새끼 발가락 주변의 보호를 강화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앞심은, 새끼 발가락 주변의 보호를 강화했음에도 불구하고, 보행이나 발부리의 굴곡 운동을 방해하는 일이 없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즉 본원 발명은, 구두 끝에 내장된 상태로 발부리를 덮는 앞심이며, 선단벽, 좌우 측벽, 상면벽을 완만한 곡면으로 연속되도록 형성한 그릇 모양의 껍데기체를 가짐과 함께, 적어도 한쪽 측벽에, 당해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보다도 후방을 향하여 길게 형성한 연장 측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앞심은, 전술한 앞심과 마찬가지로 엄지 발가락의 뿌리부 부근으로부터 전방의 발부리 부분을 보호함과 함께, 종래의 앞심에서는 충분히 보호되지 못했던 새끼 발가락 부분을 연장 측벽에 의해 보호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앞심은, 새끼 발가락 부분을 보호함에도 불구하고, 발등부가 앞심과 강하게 접촉하는 일이 없어, 보행의 저해나 발부리의 굴곡 운동을 저해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앞심에 있어서 상기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부리는 전방을 향하여 크게 굴곡되지만, 상기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형성함으로써, 당해 후단부 모서리를 가능한 한 후방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발부리 부분의 넓은 범위를 앞심에 의해 덮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앞심에 있어서 상기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엄지 발가락측 방향을 향하는 부위를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도록 설치함과 함께, 상기 후단부 모서리의 대략 중앙 부근 또는 당해 대략 중앙 부근으로부터 새끼 발가락측의 측벽에 이르는 중간 위치와 상기 연장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연결하는, 내측을 향하여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된 만곡 모서리를 갖는 연장 상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엄지 발가락측 방향을 향하는 부위를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도록 설치하면, 전방을 향하여 크게 굴곡되는 발부리의 동작을 방해하는 일이 없는 범위에서, 상기 후단부 모서리를 가능한 한 후방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단부 모서리의 대략 중앙 부근 또는 당해 대략 중앙 부근으로부터 새끼 발가락측의 측벽에 이르는 중간 위치와 상기 연장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연결하는 내측을 향하여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된 만곡 모서리를 갖는 연장 상벽을 설치함으로써, 종래 보호가 충분하지 못했던 새끼 발가락의 측면 및 상면을 덮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등부를 전방을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발부리를 굴곡시켜도, 발부리 부분의 굴곡 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연장 측벽을 갖는 앞심에 있어서, 상기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함과 함께, 당해 후단부 모서리의 중앙보다도 새끼 발가락측에 가까운 부위로부터 새끼 발가락측의 측벽에 이르는 중간 위치와 상기 연장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 부근을 연결하는, 경사진 단부 모서리를 갖는 연장 상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앞심은, 기본적인 형상으로서 상기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전방을 향하여 크게 굴곡되는 발부리의 동작을 방해하는 일이 없는 범위에서, 상기 후단부 모서리를 가능한 한 후방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당해 후단부 모서리의 중앙보다도 새끼 발가락측에 가까운 부위로부터 새끼 발가락측의 측벽에 이르는 중간 위치와 상기 연장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 부근을 연결하는 경사진 단부 모서리를 갖는 연장 상벽을 설치함으로써,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등부를 전방을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발부리를 굴곡시켜도, 발부리 부분의 굴곡 동작을 방해하는 일없이, 종래 보호가 충분하지 못했던 새끼 발가락의 측면 및 상면을 덮어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구두는, 발부리 부분을 덮는 앞심을 구두 끝에 내장한 구두로서, 상기 앞심이, 선단벽, 좌우 측벽, 상면벽을 완만한 곡면으로 연속되도록 형성한 그릇 모양의 껍데기체를 가짐과 함께, 적어도 한쪽 측벽에, 당해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보다도 후방을 향하여 길게 형성한 연장 측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앞심을 내장한 구두는, 전술한 구두와 마찬가지로 엄지 발가락의 뿌리부 부근으로부터 전방의 발부리 부분을 보호함과 함께, 도 4에 도시하는 종래의 앞심에서는 충분히 보호되지 못했던 새끼 발가락 부분을 연장 측벽에 의해 보호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앞심을 내장한 구두는, 새끼 발가락 부분을 보호함에도 불구하고, 발등부가 앞심과 강하게 접촉하는 일이 없어, 보행의 저해나 발부리의 굴곡 운동을 저해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구두는, 상기 앞심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부리는 전방을 향하여 크게 굴곡되지만, 상기 앞심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형성함으로써, 당해 후단부 모서리를 가능한 한 후방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발부리 부분의 넓은 범위를 앞심에 의해 덮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두의 굴곡을 방해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엄지 발가락측 방향을 향하는 부위를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도록 설치함과 함께, 상기 후단부 모서리의 대략 중앙 부근 또는 당해 대략 중앙 부근으로부터 새끼 발가락측의 측벽에 이르는 중간 위치와 상기 연장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 부근을 연결하는, 내측을 향하여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된 만곡 모서리를 갖는 연장 상벽을 설치한 앞심을 갖는 앞심 내장 구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앞심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대략 중앙으로부터 엄지 발가락측 방향을 향하는 부위를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도록 설치하면,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등부를 전방을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발부리를 굴곡시켜도, 발부리 부분의 굴곡 동작을 방해하는 일이 없는 범위에서 상기 후단부 모서리를 가능한 한 후방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앞심의 후단부 모서리의 대략 중앙 부근 또는 당해 대략 중앙 부근으로부터 새끼 발가락측의 측벽에 이르는 중간 위치와 상기 연장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연결하는 내측을 향하여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된 만곡 모서리를 갖는 연장 상벽을 설치함으로써, 종래 보호가 충분하지 못했던 새끼 발가락의 측면 및 상면을 덮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부리 부분의 굴곡 동작을 방해하는 일이 없는 구두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함과 함께, 당해 후단부 모서리의 중앙보다도 새끼 발가락측에 가까운 부위로부터 새끼 발가락측의 측벽에 이르는 중간 위치와 상기 연장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 부근을 연결하는, 경사진 단부 모서리를 갖는 연장 상벽을 설치한 앞심을 가진 앞심 내장 구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앞심 내장 구두에 설치한 앞심은, 기본적인 형상으로서 상기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등부를 전방을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발부리를 굴곡시켜도, 발부리 부분의 굴곡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후단부 모서리를 가능한 한 후방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 따른 앞심 내장 구두는, 후단부 모서리의 중앙보다도 새끼 발가락측에 가까운 부위로부터 새끼 발가락측의 측벽에 이르는 중간 위치와 상기 연장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 부근을 연결하는 경사진 단부 모서리를 갖는 연장 상벽을 설치한 상기 앞심에 의해, 발부리 부분을 굴곡시키는 동작을 방해하는 일없이, 종래 보호가 충분하지 못했던 새끼 발가락의 측면 및 상면을 덮어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장 측벽을 설치한 앞심 및 당해 앞심을 내장한 구두는, 종래의 앞심이 들어 있는 작업 구두에서는 보호가 충분하지 않은 발부리의 외측(새끼 발가락) 방향으로부터의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발부리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외측 방향으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발부리를 보호함과 함께, 발의 굴곡 동작을 저해하지 않는다고 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앞심의 사시도이며, 도 1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앞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앞심과 발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도 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앞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앞심과 발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종래의 앞심과 발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앞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의 (a)는 일본 공업 규격에 나타난 앞심의 설명도(측부 단면도).
도 6의 (b)는 일본 공업 규격에 나타난 앞심의 설명도(배면도).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앞심의 다른 예에 관한 평면도.
도 7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앞심의 다른 예에 관한 측부 단면도.
도 7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앞심의 다른 예에 관한 배면도.
도 8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앞심의 사용 상태에 관한 설명도.
도 8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앞심의 사용 상태에 관한 설명도.
도 9의 (a)는 발과 앞심의 관계를 측방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9의 (b)는 발과 앞심의 관계를 상방에서 도시한 설명도.
도 9의 (c)는 발과 앞심 저부의 관계를 상방에서 도시한 설명도.
도 9의 (d)는 발과 종래 앞심 저부의 관계를 상방에서 도시한 설명도.
도 10의 (a)는 비도스코프에 의한 구두 뒤의 관찰 사진.
도 10의 (b)는 비도스코프에 의한 구두 뒤의 관찰 사진.
도 10의 (c)는 비도스코프에 의한 구두 뒤의 관찰 사진.
도 11의 (a)는 비도스코프를 측면에서 도시한 설명도.
도 11의 (b)는 비도스코프를 정면에서 도시한 설명도.
도 11의 (c)는 비도스코프를 경사 방향에서 촬영한 설명 사진.
도 11의 (d)는 비도스코프를 상방에서 촬영한 설명 사진.
도 11의 (e)는 비도스코프에 사람이 올라간 상태를 도시한 설명 사진.
도 11의 (f)는 비도스코프에 사람이 올라간 상태를 도시한 설명 사진.
도 12의 (a)는 본원 발명에 포함되지 않는 앞심의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의 (b)는 본원 발명에 포함되지 않는 앞심의 예를 도시한 측부 단면.
도 12의 (c)는 본원 발명에 포함되지 않는 앞심의 예를 도시한 측부 단면.
도 13의 (a)는 본원 발명에 따른 앞심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의 (b)는 본원 발명에 따른 앞심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종래형 앞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앞심을 사용한 실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앞심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일례로서 강철로 형성된 강제 앞심으로서 형성된 앞심(1)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앞심(1)은 오른발용으로서 형성된 것이며, 왼발용 앞심은 당해 도시한 앞심과 좌우 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앞심(1)은 선단벽(2), 좌측벽(3), 우측벽(4), 상면벽(5)을 완만한 곡면으로 연속되도록 형성한 그릇 모양(돔 형상)의 껍데기체로서 형성된 것이다. 당해 껍데기체의 두께는 대략 1 내지 2㎜이며, 당해 껍데기체의 내부에는, 발부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전(앞)」 「후」 「좌」 「우」 「내」 「외」 「상」 「하」 「바닥」 등의 설명은, 구두를 신은 인체를 기준으로 한 방향, 자세,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앞심(1)은 일본 공업 규격(JIS)의 「JIS T8101」에 준거하여 형성되어 있다. 당해 JIS 규격은 구두 끝에 앞심을 내장한 안전화에 대해서, 그 작업 구분에 기초하여 H종: 중작업용, S종: 보통 작업용, L종: 경작업용의 3종류를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앞심의 형상은 「앞심은, 표면을 모두 평활하게 마무리하고, 가장자리 및 모서리에 라운딩 처리를 하고, 강제의 것은, 전체면에 걸쳐 녹 방지를 실시한 것으로 하고, 치수는 다음에 의한다.」로 한 후에, 「(a) 아치 후단부 중앙부와 최선단부의 수평 거리 a는, H종 및 S종은 40 내지 60㎜, L종은 30 내지 50㎜로 한다. (b) 높이 b는, 후단부 최후방부에 있어서, H종 및 S종은 33㎜ 이상, L종은 28㎜ 이상으로 한다. (c) 하변 절곡 부분은, 거의 수평하게 절곡하고, 수평한 저변의 폭 c는 3㎜ 이상으로 한다.」라고 하는 정의가 행해져 있다. 당해 정의 중에 사용한 각 치수값 abc는, 도 6에 도시한 동일 번호에 따른 각 부위의 치수이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앞심은, 일례로서 상기 JIS 규격의 H종을 만족시키도록 형성하고 있지만, S종, L종의 실시를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앞심은, JIS 규격을 만족시키는 안전화뿐만 아니라, 운동화 타입의 안전 스니커즈나, 일반 작업 구두, 장화 등에 적용하거나, 신사 구두 등의 발끝 보형구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선단벽(2), 좌측(내측)벽(3) 및 우측(외측)벽(4)의 하단부에는, 내측을 향하여 절곡된 소정 폭의 절곡부(6)가 설치되어 있다. 당해 절곡부(6)는 일반적으로 스커트라고 칭해지고 있는 부위이며, 강도의 향상과, 신발창에 대한 앞심(1)의 파고듦을 경감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앞심(1)은 상기 구조에 부가해서 적어도 한쪽 측벽에, 당해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17)를 상기 상면벽(5)의 중앙 위치에 있어서의 후단부 모서리(9)보다도 후방으로 연장시킨 연장 측벽(7)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적인 구체예로서는, 외측에 면한 새끼 발가락측의 측벽인 우측벽(4)에 연장 측벽(7)을 설치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종래형 통상의 앞심은, 무지구(拇指球)와 엄지 발가락 선단의 대략 중간 위치에 발부리를 넣는 상기 후단부 모서리(9)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개구는 구두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을 이룸과 함께 신발창면에 대하여 직각 혹은 약간 앞쪽으로 경사진 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종래형 앞심을 설치한 구두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심(100)에 의해 덮을 수 있는 것은 엄지 발가락을 중심으로 한 부위이며, 엄지 발가락보다도 후퇴된 위치에 있는 새끼 발가락 L은 앞심으로부터 밀려 나와 버려 있었다. 그로 인해, 당해 종래의 앞심(100)이라도, 대차의 차륜과 같이 폭이 가는 것이 가로 방향으로부터 추돌하는 경우에는, 앞심으로 덮어져 있지 않은 새끼 발가락 L 부분에 차륜이 닿는 일이 있어, 발부리를 충분히 보호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도 2의 (a)는 구두를 신은 상태의 발부리와 앞심(1)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발부리의 형태는 개인차가 있지만, 새끼 발가락 L은 대략 엄지 발가락 T에 대하여 후퇴된 위치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앞심(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측방에 연장 측벽(7)을 설치하고 있다. 연장 측벽(7)은 길이 및 높이 모두 새끼 발가락 L을 측방으로부터 충분히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대략 사각형상 돌출편이다. 도 2의 (a)에 도시한 연장 측벽(7)은 새끼 발가락 L의 상부가 거의 개방되고, 새끼 발가락 L의 하부에는 스커트인 절곡부(6)가 없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앞심(1)의 상기 연장 측벽(7)을 제외한 후단부 모서리(9)로 형성되는 발 삽입부 개구는, 종래의 앞심과 마찬가지로 무지구와 엄지 발가락 선단의 대략 중간 위치이며, 또한, 구두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을 이룸과 함께 신발창면에 대하여 직각 또는 약간 앞쪽으로 경사진 평면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b),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장 측벽(7)의 상단부와 상면벽(5)에 걸친 새끼 발가락 L의 상부에, 당해 새끼 발가락 L의 상부를 덮는 만곡된 대략 삼각 형상의 상부 소벽(연장 상벽)(8)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새끼 발가락 L의 하부에 스커트를 연장한 절곡부(6)를 설치해도 된다. 이 상부 소벽(8) 및 연장된 절곡부(6)는, 발가락의 굴곡에 수반하는 착화감, 보행이나 작업 시에 요구되는 신발창 및 갑피의 유연성을 고려하여, 그 형상이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의 연장 측벽(7)을 앞심(1)과는 상이한 별도 부재로서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측벽(16)을 준비하고, 이것을 앞심(1)의 우측벽(4)의 일부(외면(4a) 또는 후단부(4b) 또는 내면(4c))에 고착한다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 고착 방법으로서는, 접착제에 의한 고착, 용접에 의한 고착, 우측벽(4)과 측벽(16)에 각각 걸림부와 피걸림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한 고착(예를 들어 오목부와 볼록부의 끼워맞춤에 의한 것), 나아가서는 우측벽(4)과 측벽(16)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여 나사 고정하는 고착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 3은, 연장 측벽(7)을 설치한 측부 부근의 구두 끝의 단면도와, 직경 20㎝의 내하중 300㎏의 차륜 S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동일 도면에 도시한 구두는, 갑피(10), 앞심(1), 뱀프 라이닝(vamp lining)(11), 안창(인솔:insole)(12), 중간 바닥(中底:구두 내부 바닥 가죽)(13), 미드솔(갑피와 외저의 중간 쿠션재)(15), 아웃솔(1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상, 대차의 차륜 S는, 화물받이 아래의 네 모퉁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대차가 발에 부딪치는 경우에 차륜 S와 충돌하는 것은 대개 구두 끝이다. 발목에 가까운 부위는 화물받이의 모서리가 차륜보다도 먼저 접촉하는 경우가 많아 차륜과는 접촉하기 어렵지만, 발부리는 화물받이 아래에 끼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발부리 중에서도 특히 차륜 S와의 접촉이 많은 것은, 발의 외측이다. 즉, 발부리의 새끼 발가락측이 가장 차륜 S와 접촉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차륜 S와 구두 끝의 관계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연장 측벽(7)이 새끼 발가락 L과 차륜 S의 직접적인 접촉을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중량이 있는 화물을 탑재한 손으로 미는 대차의 경우, 차륜 S가 연장 측벽(7)을 타고 넘어 새끼 발가락 L의 상부까지 올라타는 일은 적다. 통상, 대차의 조작은 사람이 행하므로, 대차에 중량물이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속도가 느리고, 대차를 상승시키면서 차륜이 구두 끝에 올라탈 정도의 힘이 없기 때문이다. 차륜이 구두 끝에 부딪치면, 구두 끝이 쐐기와 같이 차륜과 바닥면 사이에 끼워지고, 차륜 고정기와 같이 대차를 정지시키는 상태가 된다.
또한, 탑재한 화물의 중량이 가벼워 대차의 스피드가 빠른 경우에는, 차륜이 구두 끝에 올라타는 케이스도 상정되지만, 이 경우에는 상방으로부터 새끼 발가락 L에 작용하는 하중은 비교적 작으므로 부상을 당하는 케이스는 적다. 또한 측방으로부터의 충격은 앞심(1)(연장 측벽(7))에 의해 차단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모든 경우라도 발부리에 발생하는 부상을 방지 또는 경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상부 소벽(연장 상벽)(8)을 설치한 경우에는, 연장 측벽(7) 자체의 강도가 향상됨과 함께, 약간이지만 새끼 발가락의 상방을 덮도록 보호하게 되므로, 올라탄 차륜으로부터 새끼 발가락 주변을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새끼 발가락 부근의 상부가 개구되어 있어도, 상기 연장 측벽(7)의 상부 모서리와 상면벽(5), 혹은 후술하는 연장 측벽(26)의 상부 모서리와 상면벽(24)이 새끼 발가락 부근을 둘러싸게 되어 있다. 따라서, 뾰족한 형상의 것이 새끼 발가락 부근의 직상부로부터 찌르는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 연장 측벽의 상부 모서리와 상면벽이 지탱부로 되어, 어느 정도 크기의 낙하물이나 올라탄 대차 등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새끼 발가락 부근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장 측벽의 상부 모서리와 상면벽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은 구두의 갑피에 의해 덮어져 있는 부분이며, 당해 갑피도 일정량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새끼 발가락 부근의 보호에 공헌하고 있다.
도 2의 (b)에 도시한 앞심(1)을 내장한 구두에 대하여, 측방(새끼 발가락측)으로부터 손으로 미는 대차를 충돌시킨 바, 도 15와 같은 실험 결과가 얻어졌다.
이 실험에서는, 앞심(1)의 연장 측벽(7)의 높이를 20㎜로 설정하고, 대차의 이동 속도를, 통상 보행 정도(1.4m/sec), 천천히 걷는 정도(1.0m/sec), 매우 천천히 걷는 정도(0.6m/sec)의 3단계로 조절하고, 각각의 이동 속도에 있어서, 대차의 차륜 S가 구두의 상면에 올라타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대차의 각 속도에 있어서, 대차 상에 탑재하는 화물의 중량을 50㎏ 내지 300㎏ 사이에서 50㎏씩 증가시켜 가고, 각 중량에 있어서 차륜 S가 구두의 상면에 올라타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도 15에 도시하는 표에서는, 차륜 S가 연장 측벽(7)을 넘어서 신발 위에 올라탄 경우에는 「올라탔다」라고 하는 표기를, 차륜 S가 연장 측벽(7)을 넘지 못하고 멈춘 경우, 혹은 이동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되돌아온 경우에는 「올라타지 않는다」라는 표기를 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 어떠한 이동 속도로 대차를 충돌시켜도, 차륜 S는 연장 측벽(7)을 넘지 않고 「올라타지 않는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앞심(1)을 사용함으로써, 발부리의 외측(특히 새끼 발가락측) 방향으로부터의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발부리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연장 측벽을 설치한 앞심 및 당해 앞심을 내장한 구두는, 통상의 앞심이 들어 있는 작업 구두에서는 보호가 충분하지 않은 발부리의 외측(특히 새끼 발가락측) 방향으로부터의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발부리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발부리의 보호에 중점을 두는 것이라면, 모든 발가락과 발등부까지를 덮는 큰 앞심을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발끝의 굴곡이 생기지 않아, 작업이나 보행에 지장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작업이나 보행에 지장이 생기는 일이 없고, 또한, 발가락 전부를 포함하는 발부리 전체를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연장 측벽 및 당해 연장 측벽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수단을 마련한 앞심(앞심을 내장한 구두)이 본원 발명의 요지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따른 수단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작용·효과를 발휘하는 수단인 경우에는, 그 형상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형상과 상이한 것이어도,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용도에 따라, 내측(엄지 발가락측)을 보호하도록, 연장 측벽(7)과 마찬가지의 측벽을 내측(엄지 발가락측)에 설치한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앞심을 구성하는 소재는 강재에 한하지 않고, 폴리카보네이트 그 밖의 합성 수지를 용도에 따라서 사용해도 되는 것이다.
도 7의 (a), 도 7의 (b), 도 7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앞심의 더욱 최적인 구체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의 (a)는 앞심(20)의 평면도, 도 7의 (b)는 도 7의 (a)에 도시한 앞심(20)의 X-X'선 단면도, 도 7의 (c)는 배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각 도면은 오른발용 앞심을 도시한 설명도로 되어 있다. 이하 당해 오른발용 앞심(2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당해 앞심(20)을 좌우 대칭으로 반전시킨 형상이 왼발용 앞심으로 되는 것이며, 양자에 기술적인 차이는 없다.
도 7에 도시한 앞심(20)은, 전술한 앞심(1)과 마찬가지로 선단벽(21), 좌측벽(22), 우측벽(23), 상면벽(24), 하변 절곡부(25), 연장 측벽(26), 후단부 모서리(27)를 갖는다. 앞심(20)은 상기 JIS 규격의 H종(중작업용)으로서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돔 형상의 껍데기체(이하 「본체 부분」이라고 함)를 가짐과 함께, 당해 본체 부분에 연장 측벽(26)을 설치한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연장 측벽(26)을 포함하는 앞심(20)의 전체 길이 L1은 60 내지 80㎜이며, 선단벽(21)으로부터 후단부 모서리(27)의 중앙 Q까지의 길이 a1은 약 40 내지 50㎜이다. 그리고, 측면에서 보아 후단부 모서리(27)의 중앙 Q로부터 연장 측벽(26) 선단까지의 길이 a2는 약 20 내지 30㎜이다.
또한, 상기 후단부 모서리(27)의 중앙 Q란, 본체 부분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점 부근 혹은 본체 부분의 선단벽(21)으로부터 후단부 모서리(27)까지의 거리가 가장 길어지는 후단부 모서리(27) 상의 위치 부근을 말하는 것이다.
연장 측벽(26)은, 본체 부분과의 경계(2점 쇄선(31))로부터 완만하게 하강하는 내측을 향하여 만곡된 만곡부(28)와, 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후단부면(29)을 갖고 있다. 만곡부(28)와 코너부(30) 사이의 부분은, 대략 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 h1을 갖게 되어 있고, 코너부(30)는 외측을 향하여 만곡된 외측 모서리로 되어 있다. 또한, 당해 높이 h1을 갖는 부위는 연장 측벽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한에 있어서, 만곡부(28)로부터 코너부(30)에 걸친 부위를 연속된 곡선으로서 형성하거나, 저면과 평행한 직선부로서 형성해도 지장이 없는 것이다.
당해 연장 측벽(26)의 높이 h1은, 일례로서 대략 전체 높이 b1의 절반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JIS 규격에 따르면 H종의 전체 높이 b1은 33㎜ 이상이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연장 측벽(26)의 높이 h1은 16.5mm 이상이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앞심(20)에서는 20㎜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고 있다. 이 높이는, 신발창이나 안창의 두께 등, 부착하는 구두의 구조도 고려하여 정해지는 것이며, 적어도 수용한 발의 새끼 발가락의 높이를 초과하도록 정해지는 것이다.
도 7의 (b)는 측방측에서 본 단면도로서, 주로 우측벽(23) 및 당해 우측벽(23)에 연속하여 설치된 연장 측벽(26)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선(31)은 돔 형상의 껍데기체인 본체 부분과 연장 측벽(26)의 가상적인 경계선이며, 측면에서 보아 반대측에 위치하는 좌측벽(22)의 개구 모서리와 거의 동일 위치에 겹쳐 보이는 부위이다.
연장 측벽(26)을 갖는 앞심(20)의 배면도는,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에 확장부를 설치한 형상으로 보이고 있다. 이 확장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부분이 연장 측벽(26)이며, 본체 부분에 대하여 경사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배면도에서는 우측으로 확장된 도형으로 보이고 있다. 또한, 도 7의 (c)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선(31)으로 나타낸 부위가 본체 부분의 후단부 모서리를 나타내고 있고, 이 위치는 대략 연장 측벽을 설치하지 않은 종래형 앞심의 후단부 모서리와 근사한 위치이다.
상면벽(24)의 후단부 모서리(27)의 형상은, 도 6에 도시한 앞심(50)의 후단부 모서리 Y와 같이, 좌우 방향을 따라 완만한 호를 그리는 상부 모서리와, 좌우 양 측벽에 있어서 완만하게 연속되면서 하강하는 내측 견부(37), 외측 견부(38)를 가진 개구 모서리를 가진 것으로 되어 있다.
상면벽(24)의 후단부 모서리(27)의 위치 및 형상은, 앞심을 내장한 구두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종래형 앞심의 경우에 후방을 향하는 후단부 모서리(27)의 돌출량이 많아지면, 발부리 부분이 약간 굴곡되어도 발등과 후단부 모서리(27)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앞심의 본체부가 구비하는 후단부 모서리(27)의 위치 및 형상은 작업 구두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되어 있다.
일본인의 발에 적합한 작업 구두를 만드는 경우에는, 발의 크기에 따른 구두의 크기마다 상기 JIS 규격으로 정해진 치수를 비례적으로 증감하여 적용한 앞심을 내장한다. 이에 의해, 대략 발부리 부분의 굴곡시에 발등과 후단부 모서리(27)가 강하게 접촉하지 않는 일본인의 발에 맞춘 앞심의 본체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 부분에 요구되는 앞심으로서의 강도 및 굴곡 시에 있어서의 발등과 후단부 모서리(27)의 접촉의 정도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하는 종래형 앞심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일본 이외의 나라에 있어서 전술한 JIS 규격과 마찬가지의 안전 규격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각국의 안전 규격을 만족시키도록 앞심 및 작업 구두가 형성된다.
도 14는 상기 종래형 앞심(50)을 내장시킨 구두 K와 발 F의 관계를 선단을 단면으로 해서 도시한 설명도로서, 구두 K는, 갑피(52), 뱀프 라이닝(53), 안창(인솔)(54), 미드솔(55), 아웃솔(56)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적절하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JIS 규격에 기초하는 종래형 앞심(50)의 경우, 발바닥이 보행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정도까지 구두 끝을 굴곡시킬 수 있다. 즉, 강하게 발부리를 굴곡시킨 경우에도 발등부가 후단부 모서리(57)와 접촉하지 않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앞심(20)은 상기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형 앞심(50)이 갖는 발부리의 굴곡성과 착화감을 손상시키지 않고, 외측(특히 새끼 발가락측)면의 보호를 강화한 앞심으로 되어 있다.
재차 앞심(20)의 구조적인 특징점을 설명하면, 앞심(20)은 도 7에 도시하는 구조를 가진 것이며, 본체 부분의 새끼 발가락측(외측)인 우측벽(23)에, 연장 측벽(26)을 경사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설치한 것이다.
상면벽(24)의 후단부 모서리(27)는 좌우 방향을 따라 완만한 호를 그리는 외형을 이루고 있다. 좌측(내측) 측벽(22)과 후단부 모서리(27) 사이에는, 완만하게 하강하면서 양자를 접속하는 내측 견부(37)가 있고, 우측(외측) 측벽(23)과 후단부 모서리(27) 사이에는, 완만하게 하강하면서 양자를 접속하는 외측 견부(38)가 설치되어 있다. 당해 연속하는 후단부 모서리(27), 내측 견부(37), 외측 견부(38)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상부 모서리부(39)의 형상이, 본 실시 형태인 앞심(20)에 있어서 중요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당해 상부 모서리부(39)의 형상은, 적절하게 형성된 종래형 앞심의 동일 부위와 근사한 형상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앞심(20)은 발을 강하게 전방으로 굴곡시켜도 발등부와 접촉하지 않고, 도 14에 도시한 예와 마찬가지로 발부리의 굴곡 동작을 방해하는 일이 없게 되어 있다.
한편, 발부리(구두 끝)의 굴곡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는, 상기 상부 모서리부(39)의 형상과 함께, 앞심(20)의 저부의 형상도 중요하다. 도 8의 (a)는 앞심(20)을 장착한 구두 K의 구두 끝부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구두 K는, 주된 구성으로서 갑피(32), 뱀프 라이닝(33), 안창(인솔)(34), 미드솔(35), 아웃솔(36)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 8의 (b)는 구두 K의 선단부가 굴곡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a) 내지 도 9의 (c)는, 도 8의 (a)에 도시한 앞심(20)과 발 F의 끝부만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의 (a)는 측방에서 본 단면도로서 나타내고, 도 9의 (b)는 앞심(20)의 상벽의 후단부 모서리(27)와 발 F의 발부리 부분의 관계를 나타내고, 도 9의 (c)는 앞심(20)의 저면과 발 F의 끝부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9의 (d)는 도 9의 (c)와의 비교에 사용하는 종래형 앞심과 발 F의 끝부의 관계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로서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 F의 저면은 대략 전방으로부터 발가락 A, 앞꿈치부 B, 족궁부 C, 뒤꿈치부 D의 각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발가락은, 대략 중족골 J(Metatarsal)와, 당해 중족골 J보다 앞쪽 부분인 지골 G(발가락뼈, Phalanx)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중족골 J와 지골 G를 접속하는 관절을 MP(Metatarsal Phalanx) 관절이라고 한다. 본원 명세서에서는, 제1 발가락(엄지 발가락)으로부터 제5 발가락(새끼 발가락)까지의 각 MP 관절을 완만하게 연결한 가상적인 만곡선을 MP 라인(MP)이라고 한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발끝 서기와 같은 굴곡은, 주로 MP 라인 상의 어떠한 관절을 중심으로 하여 일어나는 것이며, 굴곡 부위에 가까운 앞꿈치부 B가 보행면 등과 접지하는 상태로 된다.
신발창의 구조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구두의 내측으로부터 접지면측을 향하여 안창(34), 미드솔(35), 아웃솔(3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발바닥이 수직으로 되는 굴곡을 행하는 경우에는, 당연히 신발창도 발의 형상으로 추종하여 굴곡된다.
발부리가 굴곡될 때에, 신발창이 발의 형상으로 추종하여 굴곡되지 않으면, 작업 자세의 유지나 발의 운동을 저해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앞심(20)은, 연장 측벽(26)을 설치함에 따라서 비굴곡부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구두와 마찬가지의 굴곡 성능을 갖고 있다.
도 10은, 관찰면으로 되는 유리 표면과 접촉한 부위를 밝게 비추는 비도스코프를 사용하여 촬영한 신발창면의 사진 화상이다.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d)는 비도스코프의 설명도 및 설명 사진 등이다. 촬영에 사용한 비도스코프(90)는, 입방체형의 케이스를 갖고 있으며, 관찰면으로서 투명하고 두께가 두꺼운 유리판(91)을 설치한 것이다. 유리판(91)의 이면에는, 신발창의 외형보다도 약간 크게 오려내진 마스크판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마스크판에 의해 오려내진 영역에서만 광의 투과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당해 오려내진 영역은, 좌우의 구두 각각에 대응하여 개별로 설치되어 있고, 전후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리판(91)의 단부면으로부터 라이트(92)에 의해 균등한 광을 유리판(91) 내에 조사하게 되어 있다.
상기 입방체형의 케이스 내의 중앙에는, 좌우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9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좌우의 구두용의 오려내진 영역에 대응한 공간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또한, 전방은 케이스의 전방이 개구됨과 함께, 격벽(93)으로 구획된 좌우의 공간 각각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한 거울(94)이 설치되어 있다.
도 11의 (e), 도 11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의 비도스코프(90) 상에 구두를 착용한 사람이 서면 전방의 개구로부터 거울(94)을 거쳐서 신발창면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유리판(91)에 밀착되어 있는 부분이, 유리판(91) 내로 확산되어 있는 광에 의해 조사되어 밝게 반사된다. 이 반사광을 카메라(95)로 촬영한 것이, 도 10에 도시하는 화상이다.
도 10의 (a)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앞심(20)을 장착한 구두의 저면으로서, 착용자가 관찰면에 대하여 직립한 경우(도 11의 (e)의 상태)를 촬영한 화상이다.
도 10의 (b)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앞심(20)을 장착한 구두의 저면으로서, 착용자가 무릎을 전방으로 밀어내어 관찰면에 대하여 구두 끝을 접촉시킨 상태로 뒤꿈치부를 들뜨게 한 경우(도 11의 (f)의 상태)를 촬영한 화상이다.
도 10의 (c)는 연장 측벽이 없는 종래형 앞심을 장착한 구두의 저면으로서, 도 10의 (b)와 마찬가지로 착용자가 무릎을 전방으로 밀어내어 관찰면에 대하여 구두 끝을 접촉시킨 상태로 뒤꿈치부를 들뜨게 한 경우를 촬영한 화상이다.
도 10의 (a)는 구두 끝을 굴곡시키지 않고, 비도스코프 상에 선 상태의 신발창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험의 결과, 연장 측벽(26)의 유무에 관계없이 거의 동일한 부위가 유리판(91)의 표면에 접하고 있는 상태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도 10의 (a)는 연장 측벽이 있는 앞심(20)을 사용한 구두에 관한 사진만을 게재하고, 연장 측벽이 없는 앞심에 관한 사진을 생략하고 있다.
도 10의 (b)에 기재한 곡선(66)과, 도 10의 (c)에 기재한 곡선(67)은 모두, 접지 부위와 접지하지 않은 부위의 경계를 연결한 경계선이다. 양 도면을 비교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경계선(66, 67)의 위치는 거의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연장 측벽의 유무에 관계없이, 신발창이 발의 형상에 추종하여 굴곡되어 있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연장 측벽(26)의 유무가 발의 굴곡에 영향을 주지 않고, 본 실시예에 따른 앞심을 내장한 구두가 종래형 앞심을 내장한 것과 마찬가지의 굴곡성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c)는 신발창 부근의 앞심(20)의 형상과 발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며, 도 9의 (d)는 종래형 앞심(50)의 신발창 부근의 형상과 발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부리부의 굴곡은 MP 라인을 따른 앞꿈치부 B를 중심으로 행해진다. 도 9의 (c)와 도 9의 (d)를 비교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장 측벽(26)이 종래형 앞심의 후단부 모서리에 상당하는 부위보다도 후방으로 신장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MP 라인에 따른 앞꿈치부 B를 중심으로 한 영역에 대하여, 굴곡을 저해하는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에 앞심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이해된다. 이것은, 상기 비도스코프를 사용한 관찰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도 9의 (c)에 도시한 mp 라인은, MP 라인을 구두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앞꿈치부 B의 전방 모서리부와 일치할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시킨 가상선이다. 이 mp 라인의 최전방부는, 평면에서 보아 종래형 및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앞심(20)의 후단부 모서리(27)(상부 모서리부(39))의 위치와 거의 일치한다.
발부리의 굴곡은, 앞꿈치부 B를 중심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앞꿈치부 B의 전방 모서리부인 mp 라인 상에서는 큰 굴곡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따른 앞심(20)을 탑재한 도 9의 (c)에 기재된 구두도, 거의 종래형 앞심(50)을 탑재한 도 9의 (d)에 기재된 구두도, 신발창의 굴곡 방법에 실질적인 차이는 없고, 구두 끝의 굴곡 동작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모서리부(39)란, 앞심(20)의 후단부 모서리(27), 당해 후단부 모서리(27)에 연속되는 내측 견부(37) 및 외측 견부(38)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모서리부이며, 발을 전방으로 굴곡시켰을 때에 발 등부가 근접하는 부위이다. 그러나, 당해 상부 모서리부(39)는 MP 라인보다 전방의 굴곡되지 않는 위치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MP 라인에서 발이 굴곡되어도 발등부와 접촉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2의 「5.1 Specific ergonomic features」의 Figure1에, 구두의 절곡 시험 시에 있어서의 한쪽 무릎을 세운 자세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두 끝의 굴곡 자세는, 당해 비특허문헌 2에 관한 ISO 규격에 의해 정해진 자세이다.
당해 규격에서 나타난 한쪽 무릎을 세운 자세를 취하는 경우, 후방의 발에 착용한 구두는 전방으로 크게 굴곡된다. 이러한 굴곡이 발생하는 경우, 엄지 발가락의 무지구라고 불리는 앞꿈치부 B에 포함되는 융기 부분이 주된 접지 영역으로 되어 각 관절이 굴곡된다. 즉, 전술한 MP 라인을 중심으로 한 굴곡이 행해지고,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발바닥이 수직으로 될 정도의 굴곡이 행해진다.
또한, 발의 길이나 형상은 개인차가 있으므로, 상기 MP 관절의 위치를 연결하는 선 MP 라인이나 당해 MP 라인을 전방으로 시프트 이동시킨 mp 라인의 위치도, 엄밀하게 말하면 구두를 신는 사람에 따라 상이한 것이다. 그러나, 이 점에 대해서는, 전술한 일본 공업 규격 등에 의해 규격화되어 있는 앞심의 치수값을 기준으로 하여, 구두의 크기에 맞춘 몇개의 대표적인 위치를 단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당해 규격으로 표준화된 종래형 앞심은, 발부리를 적절하게 보호하면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발부리의 굴곡을 허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당해 규격으로 정한 상기 최선단부로부터 아치 후단부 중앙부까지의 수평 거리 a(H종 및 S종은 40 내지 60㎜)는, 발부리의 보호와 발부리의 굴곡이 양립되는 앞심의 후단부 모서리의 위치를 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위치는 발의 크기에 따른 구두의 크기인, 24㎝, 25㎝…30㎝라고 하는 표준적인 구두의 크기에 따라서 비례적으로 환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규격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수평 거리 a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앞심(20)의 상부 모서리부(39)의 위치를 정하는 수치이기도 한다. 그리고, 발부리의 보호와 발의 굴곡을 양립시킨다는 기능의 점에서 보아, 상기 수평 거리 a는 상기 mp 라인의 최전방부와 일치하는 치수값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부리의 굴곡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발부리의 등부가 앞심(20)의 상부 모서리부(39)에 강하게 접촉하지 않는 것이 조건이 된다. 종래의 앞심은, 구두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을 이루도록 후단부 모서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앞심(20)도, 구두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을 이루도록 상부 모서리부(39)를 설치하고 있다.
한편, mp 라인은 양단이 후방을 향하도록 만곡된 선이며, 발등과의 관계만을 고려하면, 상기 상부 모서리부(39)도 mp 라인을 초과하지 않을 정도로 만곡시킨 외측 모서리로서 형성해도 지장이 없는 것이다.
도 12의 (a) 내지 (c)는, 연장 측벽을 갖는 앞심의 형상을 예시한 것이다. 도 12의 (a)는 상부 모서리부를 후방을 향하여 만곡시킨 앞심의 일례이며, 도 12의 (b)는 당해 도 12의 (a)의 중앙 위치 X1-X1'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로서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a)에 도시한 앞심(60)은 본체 부분의 형상은 종래의 앞심과 마찬가지의 것이지만, 새끼 발가락측(외측)의 측벽(61)을 후방을 향하여 길게 형성하고, 엄지 발가락측(내측)의 측벽(62)은 종래의 앞심과 마찬가지의 위치에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면벽(63)의 후단부 모서리(64)를 측벽(61)의 상부와 측벽(62)의 상부를 완만하게 연결하는 곡선을 그리게 형성한 것이다. 또한, 당해 예는 좌우를 연결하는 후단부 모서리(64)가 전술한 mp 라인을 크게 초과한 형상을 가진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예에 나타낸 앞심(60)은, 후단부 모서리(64)가 mp 라인을 크게 초과하고 있으므로, 발부리를 크게 굴곡시키면 등부가 후단부 모서리(64)와 접촉하여, 그 이상의 굴곡 운동이 방해받게 된다.
도 12의 (c)에 도시한 앞심(70)은, 본체 부분의 형상은 종래의 앞심과 마찬가지의 것이지만, 새끼 발가락측(외측)의 측벽(71)을 후방을 향하여 길게 형성하고, 엄지 발가락측(내측)의 측벽(72)은 종래의 앞심과 마찬가지의 위치에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면벽(73)의 후단부 중앙으로부터 엄지 발가락측(내측)을 향하는 후단부 모서리(74)는 종래의 앞심과 마찬가지의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함과 함께, 중앙으로부터 새끼 발가락측(외측)의 측벽(71)을 향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새끼 발가락측(외측)의 측벽(71)으로부터 중앙 방향을 향하는 단부 모서리(75)와 상면벽(73)의 중앙으로부터 경사 후방을 향하는 단부 모서리(76)를 가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 나타낸 앞심(70)은, 상기 단부 모서리(75)와 단부 모서리(76)로 구성되는 중앙으로부터 외측의 후단부 모서리가 mp 라인을 크게 초과하고 있으므로, 발부리를 크게 굴곡시키면 등부가 단부 모서리(75, 76)와 접촉하여, 그 이상의 굴곡 운동이 방해받게 된다.
도 13의 (a)에 도시한 앞심(40)은 본체 부분의 형상은 종래의 앞심과 마찬가지의 것이지만, 새끼 발가락측(외측)의 측벽(41)을 후방을 향하여 길게 형성하고, 엄지 발가락측(내측)의 측벽(42)은 종래의 앞심과 마찬가지의 위치에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면벽(43)의 후단부 중앙(45)으로부터 엄지 발가락측(내측)을 향하는 후단부 모서리(44)는 종래의 앞심과 마찬가지의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함과 함께, 후단부 중앙(45)으로부터 새끼 발가락측(외측)의 측벽(41)을 향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당해 후단부 중앙(45)으로부터 새끼 발가락측(외측)의 측벽(41)에 설치한 연장 측벽의 후단부에 내측을 향하여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된 만곡 모서리(46)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면벽(43)의 외측 후방부에 당해 만곡 모서리(46)를 단부 모서리로 하는 연장 상벽(47)이 설치되어 있다.
만곡 모서리(46)는, mp 라인을 초과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형상의 경우, 발을 크게 굴곡시켜도 등부가 만곡 모서리(46)와 접촉하기 어려워 굴곡 운동을 방해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만곡 모서리(46)와 근사한 형상이어도, 중앙부(45)와 측벽(41)의 후단부를 평면에서 보아 직선적으로 연결하는 형태의 후단부 모서리를 형성한 경우에는 mp 라인을 초과하는 상태로 되어 발의 굴곡 운동을 방해하게 된다.
또한, 당해 앞심(40)은 전술한 앞심(20)의 상부 모서리부(39)에 상당하는 부위보다도 후방에, mp 라인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면벽(43)과 연장 측벽을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연장 상벽(47)이 설치되어 있다. 당해 연장 상벽(47)은, 연장 측벽을 보강하는 작용을 가짐과 함께, 새끼 발가락의 상방을 덮게 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앞심과 비교하여 상방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한 보호가 강화되어 있는 것이다.
도 13의 (b)에 도시한 앞심(80)은 본체 부분의 형상은 종래의 앞심과 마찬가지의 것이지만, 새끼 발가락측(외측)의 측벽(81)을 후방을 향하여 길게 형성하고, 엄지 발가락측(내측)의 측벽(82)은 종래의 앞심과 마찬가지의 위치에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면벽(83)의 후단부 중앙(85)으로부터 엄지 발가락측(내측)을 향하는 후단부 모서리(84)는 종래의 앞심과 마찬가지의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함과 함께, 당해 후단부 중앙(85)보다도 새끼 발가락측(외측)에 가까운 부위(86)로부터 새끼 발가락측의 측벽(81)에 설치한 연장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 부근을 연결하는 경사진 단부 모서리(87)를 형성하고 있다.
당해 단부 모서리(87)는 mp 라인을 초과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형상의 경우, 발부리를 크게 굴곡시켜도 등부가 단부 모서리(87)와 접촉하기 어려워 굴곡 운동을 방해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당해 앞심(80)은, 전술한 앞심(20)의 상부 모서리부(39)에 상당하는 부위보다도 후방에, mp 라인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면벽(83)과 연장 측벽을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연장 상벽(88)이 설치되어 있다. 당해 연장 상벽(88)은 연장 측벽을 보강하는 작용을 가짐과 함께, 새끼 발가락의 상방을 덮게 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앞심과 비교하여 상방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한 보호가 강화되어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하단부의 절곡부(스커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심(1)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장 측벽(7)만을 설치한 경우, 연장 측벽(7)에 측방(새끼 발가락측)으로부터 극도로 큰 충격력이 가해지면 연장 측벽(7)이 내측(앞심(1)의 개구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연장 측벽(7)의 하단부에 절곡부(스커트)(6)를 형성함으로써, 연장 측벽(7)의 좌우 방향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연장 측벽(7)이 내측(앞심(1)의 개구측)으로 절곡되기 어려워져, 측방으로부터의 충격력에 대한 새끼 발가락 보호를 강화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앞심(1)에 절곡부(6)를 설치하지 않고 연장 측벽(7)만을 설치한 경우, 연장 측벽(7)에 상방으로부터 낙하물 등에 의한 큰 충격이 가해지면 연장 측벽(7)이 신발창에 대하여 파고들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파고듦이 깊어지면, 연장 측벽(7) 상단부 모서리가 새끼 발가락보다도 낮아져, 낙하물의 하중이 새끼 발가락의 상면에 작용할 가능성이 생긴다. 그래서, 상기와 동일하게 연장 측벽(7)의 하단부에 절곡부(스커트)(6)를 형성하면, 절곡부(6)와 신발창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면 연장 측벽(7)이 신발창에 대하여 파고들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상방으로부터 큰 충격이 가해져도 새끼 발가락을 보호하게 되어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안전화 그 밖의 작업 구두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운동화 타입의 안전 스니커즈나 일반 작업 구두, 장화, 신사구두 등의 발끝 보형구(부재)로서 이용 가능하다.
1 : 앞심
2 : 선단벽
3 : 좌측(내측)벽
4 : 우측(외측)벽
4a : 외면
4b : 후단부
4c : 내면
5 : 상면벽
6 : 절곡부
7 : 연장 측벽
8 : 상부 소벽(연장 상벽)
9 : 후단부 모서리
10 : 갑피
11 : 뱀프 라이닝
12 : 안창(인솔)
13 : 중간 바닥
14 : 아웃솔
15 : 미드솔
16 : 측벽
17 : 후단부 모서리
20 : 앞심
21 : 선단벽
22 : 좌측벽
23 : 우측벽
24 : 상면벽
25 : 하변 절곡부
26 : 연장 측벽
27 : 후단부 모서리
28 : 만곡부
29 : 후단부면
30 : 모퉁이부
31 : 본체 부분과의 경계(2점 쇄선)
32 : 갑피
33 : 뱀프 라이닝
34 : 안창(인솔)
35 : 미드솔
36 : 아웃솔
37 : 내측 견부
38 : 외측 견부
39 : 상부 모서리부
40 : 앞심
41 : 새끼 발가락측(외측)의 측벽
42 : 엄지 발가락측(내측)의 측벽
43 : 상면벽
45 : 후단부 중앙
44 : 후단부 모서리
46 : 만곡 모서리
47 : 연장 상벽
50 : 앞심
52 : 갑피
53 : 뱀프 라이닝
54 : 안창(인솔)
55 : 미드솔
56 : 아웃솔
57 : 후단부 모서리
60 : 앞심
61 : 새끼 발가락측(외측)의 측벽
62 : 엄지 발가락측(내측)의 측벽
63 : 상면벽
64 : 후단부 모서리
70 : 앞심
71 : 새끼 발가락측(외측)의 측벽
72 : 엄지 발가락측(내측)의 측벽
73 : 상면벽
74 : 후단부 모서리
75 : 단부 모서리
76 : 단부 모서리
80 : 앞심
81 : 새끼 발가락측(외측)의 측벽
82 : 엄지 발가락측(내측)의 측벽
83 : 상면벽
84 : 후단부 모서리
85 : 후단부 중앙
86 : 새끼 발가락측(외측)에 가까운 부위
87 : 단부 모서리
88 : 연장 상벽
90 : 비도스코프
91 : 유리판
92 : 라이트
93 : 격벽
94 : 거울
95 : 카메라
96 : 곡선
97 : 곡선
100 : 앞심
MP : MP 라인
mp : mp 라인
h1 : 높이
a : 수평 거리
A : 발끝(발가락)
B : 앞꿈치부
C : 족궁부
D : 뒤꿈치부
F : 발
G : 지골(발가락뼈, Phalanx)
J : 중족골(Metatarsal)
K : 구두
L : 새끼 발가락
S : 차륜
T : 엄지 발가락
Y : 후단부 모서리

Claims (10)

  1. 구두 끝에 내장된 상태로 발부리를 덮는 앞심이며,
    선단벽, 좌우 측벽, 상면벽을 완만한 곡면으로 연속되도록 형성한 그릇 모양의 껍데기체를 가짐과 함께,
    적어도 한쪽 측벽에, 당해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후방으로 연장시킨 연장 측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심.
  2. 발부리를 덮는 앞심을 구두 끝에 내장한 구두이며,
    상기 앞심이, 선단벽, 좌우 측벽, 상면벽을 완만한 곡면으로 연속되도록 형성한 그릇 모양의 껍데기체를 가짐과 함께,
    적어도 한쪽 측벽에, 당해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후방으로 연장시킨 연장 측벽을 설치한 앞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심 내장 구두.
  3. 구두 끝에 내장된 상태로 발부리를 덮는 앞심이며,
    선단벽, 좌우 측벽, 상면벽을 완만한 곡면으로 연속되도록 형성한 그릇 모양의 껍데기체를 가짐과 함께,
    적어도 한쪽 측벽에, 당해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보다도 후방을 향하여 길게 형성한 연장 측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엄지 발가락측 방향을 향하는 부위를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도록 설치함과 함께,
    상기 후단부 모서리의 대략 중앙 부근 또는 당해 대략 중앙 부근으로부터 새끼 발가락측의 측벽에 이르는 중간 위치와 상기 연장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연결하는, 내측을 향하여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된 만곡 모서리를 갖는 연장 상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함과 함께, 당해 후단부 모서리의 중앙보다도 새끼 발가락측에 가까운 부위로부터 새끼 발가락측의 측벽에 이르는 중간 위치와 상기 연장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 부근을 연결하는, 경사진 단부 모서리를 갖는 연장 상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심.
  7. 발부리를 덮는 앞심을 구두 끝에 내장한 구두이며,
    상기 앞심이, 선단벽, 좌우 측벽, 상면벽을 완만한 곡면으로 연속되도록 형성한 그릇 모양의 껍데기체를 가짐과 함께,
    적어도 한쪽 측벽에, 당해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보다도 후방을 향하여 길게 형성한 연장 측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심 내장 구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심 내장 구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엄지 발가락측 방향을 향하는 부위를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도록 설치함과 함께,
    상기 후단부 모서리의 대략 중앙 부근 또는 당해 대략 중앙 부근으로부터 새끼 발가락측의 측벽에 이르는 중간 위치와 상기 연장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 부근을 연결하는, 내측을 향하여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된 만곡 모서리를 갖는 연장 상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심 내장 구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함과 함께, 당해 후단부 모서리의 중앙보다도 새끼 발가락측에 가까운 부위로부터 새끼 발가락측의 측벽에 이르는 중간 위치와 상기 연장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 부근을 연결하는, 경사진 단부 모서리를 갖는 연장 상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심 내장 구두.
KR1020137010951A 2010-11-05 2011-07-06 앞심 및 앞심 내장 구두 KR101292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48883 2010-11-05
JPJP-P-2010-248883 2010-11-05
PCT/JP2011/065479 WO2012060134A1 (ja) 2010-11-05 2011-07-06 先芯および先芯内蔵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493A true KR20130057493A (ko) 2013-05-31
KR101292383B1 KR101292383B1 (ko) 2013-08-01

Family

ID=4602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951A KR101292383B1 (ko) 2010-11-05 2011-07-06 앞심 및 앞심 내장 구두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898933B2 (ko)
EP (1) EP2622978B1 (ko)
JP (3) JP5154699B2 (ko)
KR (1) KR101292383B1 (ko)
CN (1) CN103188958B (ko)
AU (1) AU2011324670B2 (ko)
BR (1) BR112013011200B1 (ko)
CA (1) CA2816411C (ko)
CL (1) CL2013001197A1 (ko)
MX (1) MX2013004942A (ko)
MY (1) MY156745A (ko)
PE (1) PE20140440A1 (ko)
RU (1) RU2565576C2 (ko)
SA (1) SA111330075B1 (ko)
TW (1) TW201218970A (ko)
WO (1) WO2012060134A1 (ko)
ZA (1) ZA201303197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1965A3 (ko) * 2017-01-16 2018-09-27 신재웅 압력 분산 구조의 안전화 토캡용 보강재
KR102010036B1 (ko) * 2018-12-19 2019-08-12 신재웅 토우캡
KR101973769B1 (ko) * 2018-11-21 2019-09-02 신재웅 토우캡
KR102121765B1 (ko) * 2019-02-27 2020-06-11 이호영 임업용 장화
KR20200076572A (ko) * 2018-12-19 2020-06-29 신재웅 토우캡
KR102177067B1 (ko) * 2019-07-18 2020-11-10 최철민 측면 확장형 토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5065A (ja) * 2007-07-31 2010-11-18 ポール シラグサ 着用可能な靴型
JP5093626B2 (ja) 2011-04-25 2012-12-12 克之 納所 安全靴用先芯及び安全靴
US20150040439A1 (en) * 2013-08-07 2015-02-12 Protectozz, Llc Toe protector for athletic footwear having removable cleats
US10045592B2 (en) * 2013-08-07 2018-08-14 Protectozz, Llc Toe protector for athletic footwear having removable cleats
US11602193B2 (en) * 2015-10-06 2023-03-14 L.P. Royer Inc. Safety footwear
USD787788S1 (en) 2015-12-08 2017-05-30 Rocky Brands, Inc. Footwear toe cap
USD854175S1 (en) * 2016-07-15 2019-07-16 Millennium Plastics Limited Toe cap
CN106235502A (zh) * 2016-08-30 2016-12-21 赛纳(苏州)安防用品有限公司 一种高温防护安全鞋
JP2018033705A (ja) * 2016-08-31 2018-03-08 ミドリ安全株式会社 先芯
IT201600109572A1 (it) * 2016-10-31 2018-05-01 Diadora Sport S R L Puntale per calzatura di sicurezza
IT201600109573A1 (it) * 2016-10-31 2018-05-01 Diadora Sport S R L Dispositivo di protezione per calzature di sicurezza
CN107252843A (zh) * 2017-06-16 2017-10-17 浙江铭瑞鞋材有限公司 一种钢包头的加工工艺
CN107252158B (zh) * 2017-08-04 2019-09-03 三六一度童装有限公司 一种防止鞋头踢损的护件及防止鞋头踢损的鞋子
US10786044B2 (en) * 2017-08-16 2020-09-29 Wolverine Outdoors, Inc. Footwear with protective toe guard and related method
USD1014682S1 (en) 2017-12-22 2024-02-13 Bauer Hockey Llc Toe cap for a skate
US11234481B2 (en) * 2017-12-22 2022-02-01 Bauer Hockey Llc Skate
USD871051S1 (en) * 2018-03-15 2019-12-31 Shoe-Vital LLC Pair of shoe shapers
US11266205B2 (en) * 2018-03-15 2022-03-08 Shoe-Vital LLC Wearable shoe shaper
US20200008531A1 (en) * 2018-07-03 2020-01-09 Evan Parker Curved Toe Cap Safety Boot
USD924545S1 (en) * 2019-09-04 2021-07-13 Shanshan Lu Shoe shield
GB2590724B (en) * 2019-12-31 2024-01-31 Singh Notay Navtej Toe protector
USD883649S1 (en) * 2020-01-19 2020-05-12 Xiaoming Huang Crease protector
USD919942S1 (en) * 2020-08-08 2021-05-25 Xianwen Hu Pair of shoe protectors
USD1014943S1 (en) * 2021-08-09 2024-02-20 Tbl Licensing Llc Toe cap for footwear
USD974711S1 (en) * 2022-04-11 2023-01-10 Zening Xu Shoe guard
USD1023541S1 (en) * 2022-05-05 2024-04-23 Xiangjian Liang Shoe toe suppor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6556A (en) * 1876-04-25 Improvement in processes of forming heel-stiffeners and other articles in the manu
US1118755A (en) * 1914-06-18 1914-11-24 Logan T Fiscus Foot-gear.
US1744122A (en) * 1928-10-18 1930-01-21 John G Keeling Toe-dancer's shield
US1965431A (en) * 1932-03-30 1934-07-03 William J Prewitt Lining element for shoes
FR858165A (fr) * 1938-07-23 1940-11-19 Dispositif pour chaussures, empêchant les bas de se déchirer
US2268435A (en) * 1941-06-30 1941-12-30 Zucker Victor Shoe and foot saver
US2443725A (en) * 1946-02-19 1948-06-22 Cobb John Lynch Shoe toe box
US2601162A (en) 1947-04-25 1952-06-17 Edward F Mclaughlin Safety shoe
US2563751A (en) * 1947-07-21 1951-08-07 A R Hyde & Sons Company Athletic shoe
US2457664A (en) 1948-11-04 1948-12-28 Raymond B Harrison Safety shoe
GB657858A (en) * 1948-11-04 1951-09-26 Raymond Bernard Harrison Improvements in safety shoes
US2575867A (en) * 1949-08-04 1951-11-20 Ferri Saul Toe spacing device
DE1684494U (de) 1954-06-24 1954-10-07 Romika K G Lemm & Co Unfallverhuetungsschuhwerk aus gummi, kunststoff od. dgl.
DE1154016B (de) * 1959-10-30 1963-09-05 Schabsky Atlas Schuhfab Sicherheitsschuh
JPS60101908U (ja) 1983-05-06 1985-07-11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ピツチヤ−用野球靴の爪先保護具
JP2821515B2 (ja) * 1994-09-13 1998-11-05 ミドリ安全株式会社 安全靴用先芯及びその製造方法
JP3776158B2 (ja) 1996-03-04 2006-05-17 ミドリ安全株式会社 安全靴用先芯及びその製造方法
EP1029463A1 (en) 1999-02-19 2000-08-23 Uk Safety Group Limited Asymmetric cap
US6412195B1 (en) * 2001-06-14 2002-07-02 Aundra Mack Protective footwear for use with running shoes, sneakers
FR2834183B1 (fr) * 2002-01-03 2004-07-30 Severine Zaoui Dispsoitif de protection de l'avant des pieds, notamment adapte au port de chaussures de danse classique
JP2003310307A (ja) 2002-04-26 2003-11-05 Okamoto Ind Inc 作業靴用の先芯及びその先芯を具備する作業靴
US6836980B2 (en) * 2002-05-17 2005-01-04 Tooley Verla Woods Toe guard assembly and method
JP2004041406A (ja) 2002-07-11 2004-02-12 Ykk Corp 樹脂製安全靴先芯
CN2750698Y (zh) * 2004-09-30 2006-01-11 张炜焯 钢性鞋头
EP2286686A1 (en) * 2009-08-21 2011-02-23 Mascot International A/S Toe protection cap and footgear comprising toe protection cap
JP5477848B2 (ja) 2009-11-13 2014-04-23 株式会社エスエスケイ スポーツシューズの爪先部構造
USD654260S1 (en) * 2010-04-19 2012-02-21 Sport Maska Inc. Toe cap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1965A3 (ko) * 2017-01-16 2018-09-27 신재웅 압력 분산 구조의 안전화 토캡용 보강재
KR101973769B1 (ko) * 2018-11-21 2019-09-02 신재웅 토우캡
WO2020105787A1 (ko) * 2018-11-21 2020-05-28 신재웅 토우캡
KR102010036B1 (ko) * 2018-12-19 2019-08-12 신재웅 토우캡
WO2020130323A1 (ko) * 2018-12-19 2020-06-25 신재웅 토우캡
KR20200076572A (ko) * 2018-12-19 2020-06-29 신재웅 토우캡
KR102121765B1 (ko) * 2019-02-27 2020-06-11 이호영 임업용 장화
KR102177067B1 (ko) * 2019-07-18 2020-11-10 최철민 측면 확장형 토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E20140440A1 (es) 2014-04-10
CN103188958A (zh) 2013-07-03
BR112013011200B1 (pt) 2020-07-21
US20130255111A1 (en) 2013-10-03
EP2622978A4 (en) 2013-10-02
MY156745A (en) 2016-03-31
JP5154699B2 (ja) 2013-02-27
EP2622978A1 (en) 2013-08-07
CL2013001197A1 (es) 2013-10-11
EP2622978B1 (en) 2016-03-23
MX2013004942A (es) 2013-08-15
BR112013011200A2 (pt) 2016-08-23
JP2013013827A (ja) 2013-01-24
CA2816411C (en) 2015-12-08
ZA201303197B (en) 2014-07-30
JPWO2012060134A1 (ja) 2014-05-12
AU2011324670B2 (en) 2015-05-21
WO2012060134A1 (ja) 2012-05-10
RU2013110230A (ru) 2014-12-10
US8898933B2 (en) 2014-12-02
CA2816411A1 (en) 2012-05-10
TW201218970A (en) 2012-05-16
JP2012179430A (ja) 2012-09-20
SA111330075B1 (ar) 2014-06-25
CN103188958B (zh) 2016-07-13
AU2011324670A1 (en) 2013-05-23
RU2565576C2 (ru) 2015-10-20
KR101292383B1 (ko)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383B1 (ko) 앞심 및 앞심 내장 구두
US4213255A (en) Sole for hiking boots and the like
US3841004A (en) Instep guard for safety footwear
JP7425275B2 (ja) カウンタを備えた靴
US7328526B2 (en) Metatarsal guard
US4102062A (en) Safety boot with metatarsal protection
KR102010036B1 (ko) 토우캡
KR101973769B1 (ko) 토우캡
JP7261817B2 (ja)
KR102401084B1 (ko) 토우캡
KR102177067B1 (ko) 측면 확장형 토캡
WO2007053886A1 (en) Foot guard
JP3448575B2 (ja) 靴用保護具
US2601162A (en) Safety shoe
WO2014086229A1 (en) An integrated flexible metatarsal protection for heavy-duty safety footwear
KR102175901B1 (ko) 연질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우캡 조립체
KR100549049B1 (ko) 슬리퍼형 안전화
JP2014012101A (ja) 安全靴用先芯
US2891329A (en) Safety shoes
EP1779742A1 (en) Toecap for safety footwear
JP5912515B2 (ja) 作業靴および甲プロテクター
TH64805B (th) หัวรองเท้าและรองเท้าแบบฝังหัวรองเท้า
JPH0582302U (ja) 安全靴の補強用先芯
CA2060467A1 (en) Inner sole structure for safety shoes
TH128245A (th) หัวรองเท้าและรองเท้าแบบฝังหัวรองเท้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