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30323A1 - 토우캡 - Google Patents

토우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30323A1
WO2020130323A1 PCT/KR2019/014452 KR2019014452W WO2020130323A1 WO 2020130323 A1 WO2020130323 A1 WO 2020130323A1 KR 2019014452 W KR2019014452 W KR 2019014452W WO 2020130323 A1 WO2020130323 A1 WO 202013032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e
cap
side wall
tow
toe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445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재웅
Original Assignee
신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웅 filed Critical 신재웅
Publication of WO202013032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3032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7Lin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43B23/082Toe stiffeners made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43B23/086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 A43B23/087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made of plastic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e cap embedded in the front nose portion of the shoe to protect the toe or instep.
  • the toe cap is built into the front nose of the shoe to protect the toe or foot of the foot worn on the shoe.
  • the toe cap is embedded in the front nose of work shoes used in industrial sites, and functions to protect the feet from impact from falling objects or stabbing by nails in industrial sites.
  • Patents related to the tow cap are known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92383 (hereinafter referred to as'Patent Document 1') and European Patent Publication No. 1029463 (hereinafter referred to as'Patent Document 2'). .
  • the front core of Patent Literature 1 forms the front core body as a bowl-shaped shell body formed such that the front wall, the left wall, the right wall, and the top wall are continuously curved, and protects the sides of the baby toes. It has a configuration provided with an extended side wall that extends the rear end edge of the side wall on the toe side of the toe rearward from the rear end edge in the center position of the top wall.
  • the front cor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protect the little toe from external impact or the like through the extended sidewall.
  • 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92383
  • Patent Document 2 European Patent Publication No. 1029463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minimizes pressure and pain caused by contact between the toe cap and the foot, and more specifically, by preventing the baby toe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oe cap,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w cap that prevents compression and pain of the little toe and increases the fit of shoes equipped with a toe cap.
  • the front wall, the upper wall, the toe side wall, the toe side wall of the baby toe respectively, the front surface, the top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toe cap Formed
  • the front wall, the big toe side wall and the bent portion formed to be bent and extended at the lower portions of each of the little toe side walls are formed to form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 cap, and the little toe to the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 the groove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toe cap at the rear end of the side wall to open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toe side wall.
  •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ent portion, thereby forming a spaced portion between the groove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and the spaced portion is the cub connecting the bent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 below the groov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part of the toe side wall.
  • a cushion member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ttle toe side wall so as to cover the groove portion, the cushion member, the outer side of the joint to abut the inner surface of the little toe side wall; And a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joining portion so as to fit into the groove portion, wherein the cushion member is made of a soft material.
  • a reinforcing member provided on the rear of the tow cap comprising: a body having an arcuate curved shape like the rear of the toe cap;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joint blade so as to fit into the groove portion,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is made of a soft material.
  • the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to be stepp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ody so as to have an outer side lower than the outer side of the body, the outer side of the upper wall, the toe side wall and the inner side of each of the little toe side wall Toe ca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onding wing in contact with the side.
  •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baby toe side wall.
  • the groove portion and the separation portion are provided,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tow cap by falling objects or the like, the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tow cap can be absorbed to buffer the external impact.
  • the user can bend the foot forward further to prevent injury to the instep.
  • both sides of the toe cap have a streamlined shape that is more inclined forward than the conventional toe cap, and through this, when the foot is bent forward , By preventing the foot from being pushed toward the inside of the toe cap, when the foot is bent forwar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instep from touching the toe cap.
  • the second curved portion and the third curved portion Due to the second curved portion and the third curved portion, it is possible to disperse the load that is focused on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rough this, when the falling object fal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cap,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otect the toes and the like.
  • the upper wall of the tow cap can sufficiently secure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which the foot can enter.
  • the toe cap is provided with a groove portion, and a cushion member having a protrusion fitted to the groove portion is provided, pressu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ttle toe can be prevented, and a high user's wearing comfort can be achieved.
  • the toe cap is provided with a groove portion and a reinforcing member having a protrusion fitted to the groove portion is provided, it prevents pressure from being applied to the entire foot or pain, and prevents pressure from being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oe. It can achieve a high fit of the user.
  • the reinforcing member As the protrus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fitted into the groove, the reinforcing member can be coupled to the tow cap without error,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in in the foot from being felt due to an error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 FIG.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of a tow cap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a) is a front view of the tow cap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b) is a rear view of the tow cap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ottom view of the tow cap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a) a left side sectional view of the tow cap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ight side of the tow ca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right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wears shoes with a tow cap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ft side of the user wearing a shoe with a tow ca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ft side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user bent forward in the state of Figure 6 (a).
  •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tow cap and a foot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lan view comparing a conventional tow cap tow cap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a) and 9(b) are perspective views of a tow cap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w cap of FIG. 9;
  • FIG. 1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w cap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w cap of Figure 11 (a).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w cap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bottom view of a tow cap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or perspective views, which are ideal exemplary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shape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 the toe caps 10, 10', 10", 10"'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S. 1 to 13 are used for the right foot toe cap (10, 10', 10", 10"'). Therefore, the toe cap for the left foot may be described as being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toe caps 10, 10', 10", 10"'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below.
  • the front-to-back axis of the tow caps 10, 10', 10", 10"' is the X-axis
  • the left-right axis is the Y-axis
  • the up-down axis is Z wet.
  • Tow cap 1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of a tow cap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a) is a front view of a tow cap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b) is a rear view of the tow cap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bottom view of the tow cap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a)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ft side of the tow cap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ight side of the tow cap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a) is a front view of a tow cap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b) is a rear view of the tow cap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bottom view of the tow cap according to
  • FIG. 6(a) shows a state in which a user wears a shoe with a tow cap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b) is a left-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bent the foot forward in the state of Figure 6 (a)
  • Figure 7 is a tow cap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ot and Figure 8 is a plan view comparing the tow cap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conventional tow caps.
  •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wall 100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tow cap 10, and the tow cap 10
  • the front wall 100,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is formed to be bent and extended at the bottom of each, the bent portion 500 formed to form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w cap 10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roove portion 430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toe cap 10 at the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to open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have.
  • the toe cap 10 the front wall 100, the top wall 200, the big toe side wall 300,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respectively, the front, top and both sides of the toe cap 10 Formed, the front wall 100,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the bent portion 500 formed to be bent and extended at the bottom of each is formed to form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 cap, and toe toe
  • the rear end of the side wall 400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toe cap 10 from the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the groove 430 to open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May be provided.
  • the toe cap 10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is open, the front wall 100, the upper wall 200, the thumb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 the sides, the top and both sides will have a closed shape.
  • the region is not closed to the side where the groove portion 430 is formed on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but is open.
  • the front wall 100, the upper wall 200,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are integrally formed to extend each other, and the front wall 100, the top wall 200, and the big toe side wall
  • Each of the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is treated as a curved surface, and has a streamlined shape as a whole narrowing toward the front of the tow cap 10.
  • the bent portion 500 is formed to be bent and extended under each of the front wall 100,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 the bent part 500 forms only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w cap 10. As shown in FIG. 3, the bent part 500 has an'U' shape as a whole. Therefore, the bottom surface of the tow cap 10 has a shape in which the inside of the'U' shape is opened.
  • the bent part 500 is formed with a toe cap (90° or more)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front wall 100,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and the top surface of the bent portion 500 is 90° or more. It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10).
  • the width of the bent portion 500 has a length of several mm to several tens of mm.
  • the insole 2 is positioned above the bent portion 500.
  • the front wall 100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tow cap 10,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narrows toward the second frontmost point A2 toward the front.
  • the front wall 100 has a curve having a curvature, and through this, has a streamlined shape collected at the second foremost point A2.
  • the upper wall 200 extends from the central rear end of the front wall 100, and forms an upper surface of the tow cap 10.
  • the upper wall 200 serves to protect the toes from falling objects by cover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toes of the shoe wearer.
  • the rear end of the upper wall 200 is provided with a first curved portion 210 that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has a first foremost point A1, and the first foremost point A1 is a point located at the foremost point in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it means.
  •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is formed by having a curv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rst foremost point A1 toward the thumb toe side and a curved surface extending toward the young toe side.
  • the first end point B1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310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thumb toe side wall 300, and the second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The end point B2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curved surface portion 410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 the first end point B1 means an end point in the direction of the big toe from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and the second end point B2 is from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toward the little toe side. It means the end point.
  • the shape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as viewed from the top of the tow cap 10 is a first end point B1 and a first frontmost point A1.
  • the second end point (B2) continues to extend sequentially from the big toe side to the little toe side, and has a convex arcuate shape in the forward direction.
  • the foremost front of the arcuate shape convex in the forward direction is the first frontmost point A1.
  • FIG. 2(b) which is a rear view of the tow cap 10
  • the shape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seen from the rear side of the tow cap 10 is a first end point B1, a first 1
  • the frontmost point (A1), the second end point (B2) continues to extend sequentially from the big toe side to the little toe side, and has a convex arcuate shape in the upper direction.
  • the arcuate shape convex in the upper direction has a smaller curvature radius than the curved surface extending to the first end point B1 based on the second vertical plane P2. It may have an asymmetric arcuate shape.
  • the uppermost point of the arcuate shape convex in the upper direction may be a point where it meets the first foremost point A1 on the second vertical plane P2.
  • the upper wall 200 of the tow cap 10 has a length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foot F can enter, that is, a length in the Z-axis direction. I can secure enough.
  • the big toe side wall 300 extends from the big toe side rear end of the front wall 100 and forms a side surface of the toe cap 10. 1 to 4, when the toe cap 10 is the toe cap 10 for the right foot, the toe side wall 300 of the thumb forms the left side of the toe cap 10.
  • the big toe side wall 300 has an inclined shape toward the big toe side toward the rear.
  • the big toe side wall 300 has a curvature curve, and through this, has a streamlined shape.
  • a second curved portion 310 formed to have a curvature is provided.
  • the second curved portion 310 has a shape that is curved forwar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toe side wall 300.
  • the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310 extends from the upper part of the 1-1 inclined surface and the 1-1 inclined surface gradually inclined forward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toe side wall 300, and the 1-1 inclined surface toward the upper part It may be formed of a steeply inclined 1-2 slope while having a greater inclination forward.
  • the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310 has a curved shape including a 1-1 inclined surface and a 1-2 inclined surface.
  •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310 is connected to the first end point B1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extends from the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of the front wall 100 and forms a side of the tow cap 10. 1 to 4, when the toe cap 10 is a toe cap 10 for the right foot,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forms the right side of the toe cap 10.
  •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has an inclined shape toward the little toe side toward the rear.
  •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has a curvature curve, and through this, has a streamlined shape.
  • the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is provided with a third curved portion 410 formed to have a curvature.
  • the third curved surface portion 410 has a curved shape toward the top of the toe side wall 400.
  •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curved portion 4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end point B2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 the instep is toe cap 10 It prevents touching (contacting) and can bend the instep further. In other words, even if the instep is tilted more than 90°, the instep does not contact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of the tow cap 10.
  • a groove portion 430 is provided below the third curved surface portion 410.
  • the groove portion 430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tow cap 10 at the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Accordingly, the groove portion 430 opens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 the groove part 430 functions to prevent the baby toe from contacting the toe side wall 400 of the toe cap 10 when the user wears the shoe 1.
  • the groove 43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ace where the little toe is located, through which the little toe 10 ) Is to prevent contact with the baby toe side wall (400).
  • the groove portion 43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nt portion 500. Therefore, the groove portion 430 is positioned between the third curved portion 410 and the bent portion 500.
  • the groove part 430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ent part 500 and the upper part. Therefore, a space part 431 is formed between the groove part 430 and the bent part 500.
  • the separating part 431 means a part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connecting the bent part 500 and the groove part 430 in the lower part of the groove part 430.
  • the groove part 430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ent part 500 and the upper part, thereby forming a space part 431 between the groove part 430 and the bent part 500, and the space part 431 Is a part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connecting the bent portion 500 and the groove portion 43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groove portion 430.
  • the spaced portion 431 is formed between the groove portion 430 and the bent portion 500, the curved shape of the groove portion 430 can be easily formed.
  • the function of the groove portion 430 to alleviate the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tow cap 10 can be further maximiz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second end point C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spacer 431,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toe cap 10's thumb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has a shape.
  •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of the toe cap 10 have an asymmetric shape.
  • the toe cap 10 is provided inside the front nose of the shoe 1, and functions to protect the foot F.
  • the insole (insole, 2)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nt portion 500 of the tow cap 10, and the insole 2 is a portion where the sole of the foot touches.
  • the midsole 3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nsole 2, and the outsole 4 forming the bottom of the shoe 1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idsole 3.
  • the outer surface of the tow cap 10 is wrapped with an outer shell 5, and this outer shell 5 forms the outer surface and shape of the shoe 1.
  • the toe cap 10 When the user wears the shoe 1 with the toe cap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6 and 6(a), the toe cap 10 is located at the front of the foot F. . In this case, the toe cap 10 covers the front, both sides, and the upper part of the front part of the foot F, and through this, protects the front part of the foot, that is, the toes from falling objects. However, due to the groove portion 430, the outer surface of the little toe is exposed to the outside.
  • the foot F is shown as not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ow cap 10, but this is only for facilitating the illustration, and is actually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ow cap 10. The outer surface of the big toe comes into contact.
  • FIGS. 7 and 8 Before entering the description,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7 and 8 will be described.
  • the metatarsal bone (G, Metatarsal) and the phalanx (J, toe bone, Phalanx), which is an anterior portion of the metatarsal bone (G), are formed.
  • the joint that connects the metatarsal (G) and phalanx (J) is called the MP (Metatarsal Phalanx) joint.
  • the MP line (MP) shown in FIGS. 7 and 8 is a virtual curve that gently connects each MP joint of the big toe (the first toe), the second toe, the third toe, the fourth toe, and the little toe (the fifth toe). to be.
  • the MP line MP becomes a reference line where the foot F is folded when the foot F is folded forward. In other words, the foot F is folded forward based on the MP line MP.
  • the first vertical plane P1 connects the first last point C1 located at the rearmost end of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second last point C2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It is a vertical plane.
  • the first vertical plane P1 is a Y-Z plane including a Y-axis that is a left-right axis of the tow cap 10 and a Z-axis that is a vertical axis.
  • first last point C1 and the second last point C2 are points located at the rearmost end of the tow cap 10.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first vertical plane P1 is a vertical plane connecting the rearmost point of the tow cap 10.
  • the second last point C2 is a point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spaced portion 431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as described above.
  • the second vertical plane P2 is the first foremost point A1 located at the foremost portion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and the second MP joint point of the second toe SF of the foot F worn on the shoe 1 It is the vertical plane connecting (E).
  • the second vertical plane P2 is an X-Z plane including an X-axis that is an ax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tow cap 10 and a Z-axis that is an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third vertical plane P3 is a vertical plane that connects the first end point B1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and the second end point B2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 the third vertical plane P3 is a Y-Z plane including a Y axis that is a left-right axis of the tow cap 10 and a Z axis that is a vertical axis.
  • the third vertical plane P3 is a vertical plane parallel to the first vertical plane P1, and is a vertical plan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plane P1 in the forward direction.
  • the outer surface of the big toe side of the big toe side i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outer side of the little toe side of the little toe It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portion 430. Accordingly, the big to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ig toe side wall 300, but the little toe does not touch the inner side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 the first vertical point connecting the first last point (C1) located at the rearmost end of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second last point (C2) located at the rearmost side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 the flat surface P1 connects the first frontmost point A1 located at the frontmost portion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and the second MP joint point E of the second toe SF of the foot F worn on the shoe. An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vertical plane P2.
  • the second MP joint point E may be a point connecting the metatarsal G and phalanx J of the second toe SF in the range within the second toe SF.
  •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tow cap 10 that is, the length w1 between the first last point C1 and the second last point C2 is 82 mm to It is 92 mm.
  • the second toe SF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ig toe side wall 300 in the direction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by 25 mm to 30 mm.
  • the thickness of the second toe SF is 17 mm to 25 mm.
  • the second MP joint point E may be located in a range spaced from 42 mm to 55 mm in the direction of the small toe side wall 400 from the big toe side wall 300.
  • the second foremost point A2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P joint point E.
  • the second foremost point A2 may also be located in a range spaced from 42 mm to 55 mm in the direction of the small toe side wall 400 from the big toe side wall 300.
  • the second foremost point A2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P joint point E, the second MP joint point E, the first foremost point A1 and the second foremost point A2 It may be placed on the same line, and the second vertical plane P2 may pass both the second MP joint point E, the first foremost point A1 and the second foremost point A2 lying on the same line.
  • the second vertical plane P2 becomes a vertical plane connecting all of the second MP joint point E, the first foremost point A1 and the second foremost point A2, and this second vertical plane P2 ) May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vertical plane P1.
  • the horizontal distance (d1) between the second MP joint point (E) and the first vertical plane (P1) is preferably 4 mm to 30 mm, between the first vertical plane (P1) and the first frontmost point (A1)
  • the horizontal distance d2 is preferably 4 mm to 20 mm.
  • the optimal curvature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is set. Can.
  • the MP line MP becomes a reference line when the foot F is bent forward.
  • the second MP joint point E is located at the forefront of the MP line MP.
  • the tow ca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the horizontal distance d1 between the second MP joint point E and the first vertical plane P1 to 4 mm to 30 mm, the user is shown in FIG. 6 (b). As shown in, when the foot (F) is bent forw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step from touching the tow cap (10), thereby making the user's shoes (1) more comfortable to wear and folding of the foot It is possible to prevent injuries of the instep.
  • the horizontal distance d2 between the first vertical plane P1 and the first foremost point A1 is a value related to the curvature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has a smaller radius of curvature than the MP line MP. It can have a gentle curvature.
  •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may have a smoother curvature than the MP line MP.
  • This effect may be more prominent because the first foremost point A1 i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P joint point E. That is, while the curvature shape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has a gentler curvature than the MP line MP,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P joint point E is located at the foremost front side, so that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This is because the shape of) itself is similar to the shape of the instep and has a gentle curved surface, thereby preventing contact of the instep.
  • Tow ca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 the horizontal distance d5 between the third vertical plane P3 and the first vertical plane P1 is preferably 2 mm to 12 mm.
  • the tow ca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horizontal distance (d3) between the first foremost point (A1) and the second foremost point (A2) located at the forefront of the tow cap (10) is 30 mm to 52 mm Do.
  • a streamlined shape in both directions of the toe cap 10 in a forward direction may be more inclined. Therefore, when the user move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foot F from further entering the toe cap 10 in the forward direction.
  • the aforementioned horizontal distance d2 is organically combined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and the horizontal distance d1, so that the foot F is folded forward as shown in FIG. 6(b).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instep from touching the tow cap 10.
  • Figure 8 (a)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ventional tow cap and foot (F) mentioned in the prior art of 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92383)
  • Figure 8 (b) is a patent
  • FIG. 1(c)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w cap and the foot (F) of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1292383)
  • FIG. 8(c) is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ot and the foot (F).
  • the tow cap of FIG. 8(a) is referred to as a first conventional tow cap 20, and the tow cap of FIG. 8(b) is referred to as a second conventional tow cap 30.
  • the rearmost portion of the second conventional tow cap 30 extends a distance'd6' rearward from the rearmost portion of the first conventional tow cap 20.
  • the foremost point of the first conventional toe cap 20 and the foremost point of the second conventional toe cap 30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 the extended side wall 31 of the second conventional tow cap 30 is formed to extend rearward by a'd7' distance from the rearmost portion of the second conventional tow cap 30.
  • the rearmost portion of the tow ca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first vertical plane P1 connecting the first last point C1 and the second last point C2 in FIG. 6 is a first conventional toe cap ( It extends rearward'd7' rather than the rearmost part of 20), and the frontmost part of the tow ca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econd frontmost point A2 of FIG. 6, is the first conventional toecap 20
  • The'd8' distance is extended forward than the foremost portion of the and the foremost portion of the second conventional tow cap 30.
  •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210 is formed on the tow ca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of the tow ca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by a'd9' distance forward than the curved portion of the second conventional toe cap 30.
  • the tow ca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 the instep It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tow cap 10 than the second conventional tow cap 30.
  • first curved portion 210 of the tow ca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imply formed by extending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further forward,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is an MP line (MP ), while having a gentle curvature, the first foremost point (A1)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MP joint point (E), ergonomically preventing the instep from touching the tow cap (10) and at the same time Make it more foldable.
  • MP MP line
  • both sides of the tow cap 10 are The first and second conventional tow caps 20 and 30 have a streamlined shape that is more inclined forward. Accordingly, when the foot F is bent forw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ot F from being push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at is, the inner direction of the tow cap 10, and through this, the foot F is bent forwar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toe cap 10 from contacting the instep.
  • the second conventional tow cap 3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ear end edge of the side wall of the side of the young toe side extends rearwardl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ventional toe cap 20 to protect the young toe. to be.
  • the second conventional tow cap 30 may be useful for the protection of young toes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nded side wall 31, but the curved edge formed to form an arc toward the inside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extended side wall 31 is further formed. Accordingly, when the instep is bent, the instep has a problem of more easily contacting the curved corner compared to the first conventional tow cap 20.
  • the toe ca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bends the instep based on the first conventional toe cap 20, the instep does not contact the toe cap more than the first conventional toe cap 20, thereby bending It was solved by the discomfort according to.
  • the second conventional toe cap 30 is intended to protect the toes of the baby by adding the extended side wall 31 and the curved corners based on the first conventional toe cap 20, whereas the toe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the first conventional tow cap (20) on the basis of the first curved surface to remove the portion tha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step, so that there is no discomfort caused by the instep bending.
  • the tow ca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contact type tow cap 10 in which the instep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urved portion 210 of the tow cap 10 when the foot F is bent forward.
  • the user's instep is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conventional tow caps to solve the inconvenience.
  • the young toe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nded side wall 31.
  • the toe ca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groove 430 on the toe side wall 400 of the baby, as shown in FIGS. 5, 7 and 8, the inner toe of the baby toe side wall 400 Does not touch the side.
  • the tow ca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as the little toe does not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 the toe cap is generally made of a high-strength metal material or a hard plastic material to protect the foot from external impacts, that is, falling objects.
  • the second conventional tow cap 30 is also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hard plastic material
  • the toe of the baby toe is extended side wall ( B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31), the little toe is continuously pressed by the inner side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or the corner portion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Therefore, when wearing shoes for a long time, the user may feel discomfort, and further, pain or injury may occu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ttle toe.
  • the tow ca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little toe i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portion 430, the little toe does not contact the inner side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as described above.
  • the problem of the second conventional tow cap 30 may be solved.
  • the tow ca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forming a groove portion 430 on a portion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where the little toe is located in the toe cap 10 made of metal or hard plastic material, By providing a space where the toes do not contac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compression and pain problems of the little toes.
  • the tow ca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shape of the groove portion 430 and the separation portion 431,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tow cap 10 by falling objects or the like,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tow cap 10 Can be buffered.
  •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tow cap 10 can be buffered.
  • the groove 430 is crushed and sunk.
  • the impact amount by the falling object is absorbed, and deformation of other parts of the tow cap 10 can be minimized.
  • the spacer 431 and the grooves 430 with different shapes, it is possible to artificially induce the depression of the grooves 430 described above, through which the grooves 430 and spacers 431 Through the shock absorbing function of the tow cap 10 can be achieved more effectively.
  • the tow cap 10 has a structural difference from the first conventional tow cap 20 and the second conventional tow cap 30.
  • the tow ca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relief of discomfort caused by compression of the little toe and prevention of injury to the little toe.
  • Tow cap 10'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a) and 9(b) are perspective views of a tow cap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w cap of FIG. 9.
  • the tow cap 10' includes a front wall 100 and a tow cap (which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tow cap 10').
  • the upper wall 200 constituting the upper surface of 10'
  • the toe side wall 300 forming the toe side side of the toe cap 10'
  • the offspring forming the side of the small toe side of the toe cap 10'
  • the toe side wall 400, the front wall 100,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are formed to be bent and extended at the bottom of each, so as to form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 cap 10'
  • the formed bent portion 500 and the groove portion 430 that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toe cap 10' at the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to open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 a cushion member 600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ow cap 10 ′ to cover the groove portion 430.
  • the tow cap 10' includes a front wall 100, an upper wall 200, a big toe side wall 300, and a small toe side wall 400, respectively.
  • (10') forming the front surface, the upper surface and both sides, the front wall 100,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bent at the bottom of each of the bent portion 500 formed to be extended tow cap It is formed to form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by toe side wall 400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toe cap 10' from the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toe side wall 400
  • a groove 430 for ope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may be provided, and a cushion member 600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ow cap 10' may be further provided to cover the groove 430.
  •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ushion member 600 in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ore It is provided.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other configurations of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mitted.
  • the cushion member 600 has a joint portion 610 and a groove portion 430 whose out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rotrusion 80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nding portion 610 to fit on.
  • the protrusion 800 has a shape that meshes with the shape of the groove 430. Therefore, the protrusion 800 can be easily fitted into the groove 430.
  •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800 is preferably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This is to facilitate the coupling of the toe cap 10' and the shoe when the toe cap 10' is provided in the shoe by preventing the protruding portion 800 from protruding out of the baby toe side wall 400. to be.
  • the joint 61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large area extending from the protrusion 800,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chieve a large contact area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joint 6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have.
  • the thickness of the bonding portion 610 is preferably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800, through which, when the user wears the shoe with the toe cap 10', it is possible to ensure a high fit.
  • the cushion member 600 may be coupled to the toe cap 10' by an adhesive or the like.
  • an adhesive for example,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nding portion 610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the bonding portion 610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and the cushion member 600 is easily by an adhesive. Can be combined.
  •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800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430, so that the groove 430 and the protrusion 800 can be easily combined by the adhesive.
  • the cushion member 600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toe cap 10'.
  • the soft material may be rubber, synthetic rubber, soft plastic, or the like.
  • the cushion member 600 may be made of rubber, synthetic rubber, or soft plastic material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tow cap 10'. .
  • the hardness of the soft material constituting the cushion member 600 is preferably Shore A (Shore-A) 10 or less.
  • the material having a hardness of 10 or less of Shore A has soft and soft characteristics.
  •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ushion member 600 As the groove 430 is provided in the toe cap 10', and the cushion member 600 covering the groove 430 is further provided, the outer surface of the baby toe is inside the joint 610 of the cushion member 600. Will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 the cushion member 600 is made of a soft material, and the protrusion 800 has a constant thickness.
  • the protrusion 800 serves as a kind of cush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compression from being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ttle toe, and the user's wearing comfort is also increased.
  • the groove portion 430 when the groove portion 430 is provided without a cushion member made of a soft material on the toe cap side wall of the tow cap made of a hard material, the hardness of the baby toe side wall is high, resulting in As a result,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ttle toe.
  • the tow cap 10' secures a space on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through the groove portion 430, and this space, that is, the protrusion portion 800 in the groove portion 430 )
  • this space that is, the protrusion portion 800 in the groove portion 430
  • the cushion member 600 By providing the cushion member 600 in a fitted form, only the cushion member 600 having a soft soft material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by to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pain, compression, and injury of the little toe.
  • the toe cap 10' is formed with a groove 430, and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ittle toe is made of a soft heterogeneous material different from the material of the toe cap 10',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toe 10 It can minimize the pressure applied while ensuring a high fit of the user.
  • Tow cap (10)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w cap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w cap of FIG. 11(a).
  • the tow cap 10" includes a front wall 100 and a tow cap 10" constitu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tow cap 10".
  • the front wall 100,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is formed to be bent and extended under each of the bent portion formed to form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 cap 10" (500) and a groove portion (430) that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toe cap (10") at the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to open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70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tow cap (10").
  •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wall 100, the upper wall 200,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respectively, toe cap (10") forming the front surface, the upper surface and both sides, the front wall 100,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bent at the bottom of each of the bent portion 500 is formed to extend toe cap It is formed to form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 cap side wall 400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toe cap 10" from the rear end of the toe side wall 400, the toe side wall 400 A groove 430 for ope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may be provided, and a reinforcing member 70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tow cap 10"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or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member 700 in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other configurations of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is omitted.
  • the reinforcing member 70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tow cap 10", the body 710 having the same arcuate curved shape as the rear of the tow cap 10, and the body 710 It is formed to be stepp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body 710 so as to have a lower outer surface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wall 200,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respectivel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onding blade 730 in contact with, and the protrusion 80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nding blade 730 to be fitted to the groove portion 430.
  • the body 710 has an arcuate curved shape such as the rear of the tow cap 10.
  • the body 710 is shaped like an arcuate curved shap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wall 200 of the toe cap 10, the rear end of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 the bonding wing 730 is formed to be stepp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ody 710 to have a lower outer surface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710.
  • the joint wing 730 also has an arcuate curved shape, such as the rear of the tow cap 10, like the body 710.
  • the bonding blade 730 is formed to be stepp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body 710 so as to have a lower outer surface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710, thereby showing a reinforcement member (
  • 700) When 70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tow cap 10, the outer surface of the joint wing 7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each of the upper wall 200,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 Through this, the reinforcing member 700 can be easi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tow cap 10.
  • the protrusion 80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nding blade 730 to fit into the groove 430.
  • the protrusion 800 has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groove 430. Therefore, the protrusion 800 can be easily fitted into the groove 430.
  •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800 is preferably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This is to facilitate the engagement of the toe cap 10" and the shoe when the toe cap 10" is provided in the shoe by preventing the protruding portion 800 from protruding out of the baby toe side wall 400. to be.
  • the reinforcing member 700 and the toe cap 10" may be combined by an adhesive or the like.
  • the top wall 200, the toe side wall 300, and the toe side wall 400 of the toe cap 10" may be formed.
  • an adhesiv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nding blade 730 contacting each inner surface, the upper wall 200,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and the reinforcing member of the toe cap 10"
  • the bonding blade 730 of 700 can be easily coupled by an adhesive, and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800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430, so that the groove 430 and The protrusion 800 can be easily joined by an adhesive.
  • the reinforcing member 700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toe cap 10".
  • the soft material may be rubber, synthetic rubber, soft plastic, etc.
  • the toe cap ( When 10") is made of metal or a hard plastic material
  • the cushion member 600 may be made of rubber, synthetic rubber, or soft plastic material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tow cap 10".
  • the protrusion 800 of the reinforcing member 700 may b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body 710 and the bonding wing 730, and in this case, the hardness of the protrusion 800 is the body 710 and the bonding wing 730. It is preferable to have a hardness lower than the hardness of. This is to make the cushioning effect through the protrusion 800 more effective.
  • the hardness of the soft material constituting the protrusion 800 preferably has a hardness of Shore A (10) or less.
  • the material having a hardness of 10 or less of Shore A has soft and soft characteristics.
  •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inforcing member 70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toe cap 10", so that when the user wears the shoe with the toe cap 10", the upper part of the foot contacts the reinforcing member 700. Therefore, unlike the case where only the toe cap 10" made of a high hardness material is used, the soft reinforcing member 7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oot, thereby preventing pressure on the foot or feeling of pain.
  • the toe cap 10 is provided with a groove 430, and further provided with a reinforcing member 700 having a protrusion 800 fitted to the groove 430, the outer surface of the baby toe is the protrusion 80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joint wing 730.
  • the reinforcing member 700 is made of a soft material, and the protrusion 800 has a constant thickness.
  • the protrusion 800 acts as a kind of cush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essure from being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ttle toe, and the user's fit is also increased.
  • the space is secured to the side wall of the little toe through the groove portion 430, and thus, the protrusion portion 800 of the reinforcing member 700 is fitted into the space, that is, the groove portion 430, so that it has a soft soft material. Only the bonding wing 730 of the member 70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ittle to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pain, compression, and injury of the little toe.
  • the reinforcing member 700 when the reinforcing member 700 is installed to the rear of the tow cap 10", the protrusion 800 is fitted into the groove 430, so that the reinforcing member 7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stalled incorrectly. Through this, the reinforcing member 700 can be coupled to the tow cap 10" without error. As such, as the reinforcing member 700 is coupled to the toe cap 10" without error, when the toe cap 10" is provided in the shoe, it is inevitable that the foot feels pain due to an error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prevented.
  • the aforementioned reinforcing member 700 may also be embodied as a structure in which a bonding wing 730 is not formed on the body 710.
  • the coupling of the reinforcing member 700 and the tow cap 10" may be made by the protrusion 800.
  •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800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430. By being applied, the groove portion 430 and the protrusion portion 800 can be easily combined by an adhesive.
  • the combina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700 and the tow cap 10" is the body 710 itself. It can be made by the projection 800.
  •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710, the upper wall 200, the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of the toe cap 10" respectively B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he reinforcing member 700 and the toe cap 10" can be combined.
  • the upper wall 200, the toe side wall 300 of the toe cap 10 By applying an adhesive to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710 contacting each inner surface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the upper wall 200,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of the toe cap 10"
  • the side wall 400 and the body 710 of the reinforcing member 700 can be easily coupled by an adhesive, and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800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430, thereby forming a groove
  • the 430 and the protrusion 800 can be easily combined by an adhesive.
  • Tow cap (10"')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w cap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bottom view of the tow cap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ow cap 10"' includes a front wall 100 and a tow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tow cap 10"'
  • the lateral toe side wall (400"') forming the lateral side, the front wall (100),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small toe side wall (400) are formed to be bent and extended at the lower portions of the toe cap (10"' ) Is formed to form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ent portion 500"', and the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toe cap 10 toe side wall 400" ') is configured to include a free space portion 430"' to open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end portion, the rear end portion
  • the tow cap 10"' includes the front wall 100, the upper wall 200, the big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 Each of the toe cap (10"') of the front, top and both sides of the form, the front wall 100, thumb toe side wall 300 and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bent at the bottom of each bent and formed to extend (500"') is formed to form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 cap, the hind toe-side rear end 520"' of the bent part 500"' is the thumb-toe-side rear end of the bent part 500"'.
  • the toe cap 10"' at the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at the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It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toe side wall (400"') is provided with a free space portion (430"') to open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end, the lower portion of the free space portion (430"') is a bending It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portion 520"' of the little toe of (500"').
  •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with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free space portion 430"' And the shape of the groove portion 430 (the free space portion 430"' and the groove portion 430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shape of the bent portion 500"',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Therefore, the same components as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Description is omitted.
  • the bent portion 500"' is a toe cap 10 than the rear end portion 520"' of the toe side of the bent portion 500"' is larger than the rear end portion 510"' of the big toe portion of the bent portion 500"'. "') in the forward direction.
  • the toe-side rear end 510"' is locat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toe cap 10"' than the rear-toe-side rear end 520"' of the bent portion 500"'.
  • the bent portion 500"' is the position of the rear end portion 520"' of the toe side of the bent portion 500"'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toe cap 10"', and the bent portion 500"' ), the position of the big toe-side rear end 510"' is asymmetric.
  • the free space portion 43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portion 520"' of the toe side of the bent portion 500"' whose lower portion has the shape as above. Therefore, in the side wall 400"' of the little toe The position of the lower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where the free space portion 430"' is located may have the same position as that of the little toe side rear end 520"'.
  •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tow cap 10 according to, it has a larger area of free space 430"'. In other words, a large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oe cap 10"', where the little toe is located,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According to a preferred fourth embodiment of the tow cap 10"', regardless of a user's foot size,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may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little toe.
  • the position of the lower rear end of the little toe side wall 400"' where the free space portion 430"' is located has the same position as that of the little toe side rear end 520"'.
  • the cushion member 600 of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or The reinforcing member 700 of the tow cap 10"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may be combined, and in this case, the toe cap 10"' and the cushion member 600 or the reinforcing member 700 may be easily
  • the shape of the protrusion 800 of the cushion member 600 and the protrusion 800 of the reinforcing member 700 is the free space portion of the tow cap 100"' according to the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pace formed due to the shape of 430"') or the shape of the free space portion 430"' and the shape of the rear end 520" of the toe side of the bent portion 500"'. have.
  • Toe cap 20 First conventional toe cap
  • first curved portion 300 thumb toe side wall
  • A1 1st front point
  • A2 2nd front point
  • B1 First end point
  • B2 Second end poi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가락이나 발등을 보호하기 위해 신발의 앞코 부분에 내장되는 토우캡에 관한 것으로서, 토우캡과 발의 접촉에 따른 압박 및 통증을 최소화하는 것, 보다 구체적으로는, 토우캡의 내측면에 새끼발가락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함으로써, 새끼발가락의 압박 및 통증을 방지하고, 토우캡이 구비된 신발의 착용감을 상승시키는 토우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우캡
본 발명은 발가락이나 발등을 보호하기 위해 신발의 앞코 부분에 내장되는 토우캡에 관한 것이다.
토우캡은 신발에 착용되는 발의 발가락이나 발등을 보호하기 위해 신발의 앞코 부분에 내장된다.
특히, 토우캡은 산업현장에 사용되는 작업화 등의 앞코 부분에 내장되며, 산업현장에서 낙하물에 의한 충격이나, 못 등에 의한 찔림으로부터 발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토우캡에 관한 특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29238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와, 유럽공개특허 제1029463호(이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앞심은 앞심 본체를 선단벽, 좌측벽, 우측벽 및 상면벽을 완만한 곡면으로 연속되도록 형성한 그릇모양의 껍데기체로서 형성함과 함께, 새끼발가락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앞심 본체의 새끼발가락측의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상면벽의 중앙 위치에 있어서의 후단부 모서리보다 후방으로 연장시킨 연장 측벽을 구비한 구성을 갖고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앞심은 연장 측벽을 통해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새끼발가락을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토우캡이 구비된 신발을 신고 작업 등을 할 때, 새끼발가락이 지속적으로 연장측벽의 내면에 접촉하게 되면, 새끼발가락에 압박이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새끼발가락에 통증을 느끼거나, 심지어 새끼발가락에 부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의 토우캡의 경우에도, 새끼발가락을 보호하기 위해 새끼발가락측의 외곽 벽 부분을 후방으로 연장시키게 형성함으로써, 특허문헌 1의 토우캡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292383호
(특허문헌 2) 유럽공개특허 제102946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토우캡과 발의 접촉에 따른 압박 및 통증을 최소화하는 것, 보다 구체적으로는, 토우캡의 내측면에 새끼발가락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함으로써, 새끼발가락의 압박 및 통증을 방지하고, 토우캡이 구비된 신발의 착용감을 상승시키는 토우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토우캡은, 신발의 앞코 부분 내부에 내장되는 토우캡에 있어서, 전방벽, 상부벽, 엄지발가락측벽, 새끼발가락측벽이 각각 상기 토우캡의 전방면, 상면 및 양측면을 이루고, 상기 전방벽, 상기 엄지발가락측벽 및 상기 새끼발가락측벽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절곡부가 상기 토우캡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에는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에서 상기 토우캡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부는 상기 절곡부와 상부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홈부와 상기 절곡부의 사이에는 이격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격부는 상기 홈부의 하부에서 상기 절곡부와 상기 홈부를 연결하는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부를 덮도록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쿠션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쿠션부재는, 그 외측면이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내측면에 접하는 접합부; 및 상기 홈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접합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재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우캡의 후방에 설치되는 보강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토우캡의 후방과 같은 아치형 곡면 형상을 갖는 몸체; 및 상기 홈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접합날개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몸체의 외측면보다 더 낮은 외측면을 갖도록 상기 몸체의 전방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그 외측면이 상기 상부벽, 상기 엄지발가락측벽 및 상기 새끼발가락측벽 각각의 내측면에 접하는 접합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캡.
또한, 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토우캡은, 신발의 앞코 부분 내부에 내장되는 토우캡에 있어서, 전방벽, 상부벽, 엄지발가락측벽, 새끼발가락측벽이 각각 상기 토우캡의 전방면, 상면 및 양측면을 이루고, 상기 전방벽, 상기 엄지발가락측벽 및 상기 새끼발가락측벽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절곡부가 상기 토우캡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절곡부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는 상기 절곡부의 엄지발가락측 후방단부보다 상기 토우캡의 전방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에는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에서 상기 토우캡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여유공간부가 구비되되, 상기 여유공간부의 하부는 상기 절곡부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토우캡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새끼발가락이 위치하는 새끼발가락측벽의 일부분에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새끼발가락이 접촉되지 않는 공간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종래의 새끼발가락의 압박 으로 인한 통증 및 새끼발가락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홈부 및 이격부가 구비됨에 따라, 낙하물 등에 의해 토우캡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토우캡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외부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발을 전방으로 굽힐 때, 종래의 토우캡보다 발등이 토우캡의 후방에 닿는 것(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발등에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1곡면부 형상을 인체공학적으로 형성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발을 전방으로 더욱 굽힐 수 있도록 하여 발등에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우캡의 전방이 종래의 토우캡보다 전방 방향으로 더욱 이격되게 형성됨에 따라, 토우캡의 양측면이 종래의 토우캡보다 전방으로 더욱 경사진 유선형 형상을 갖게되며, 이를 통해, 발을 전방으로 굽힐 때, 발이 토우캡의 내부 방향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발을 전방으로 굽힐 때, 발등이 토우캡에 닿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곡면부에 의해 줄어든 거리를 전방으로 보상해줌으로써, 낙하물로부터 발가락을 보호하는 안전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제1곡면부 뿐만 아니라 제2곡면부 및 제3곡면부를 통해, 발을 전방으로 굽힐 때, 발등에 토우캡이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곡면부 및 제3곡면부로 인해, 제1곡면부에 쏠리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낙하물이 토우캡의 상면에 떨어질 때, 발가락 등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제1곡면부의 아치형 형상으로 인해, 토우캡의 상부벽은 발이 들어갈 수 있는 상하 방향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토우캡에 홈부가 구비되고, 홈부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갖는 쿠션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새끼발가락 외측면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높은 착용감을 달성할 수 있다.
토우캡에 홈부가 구비되고, 홈부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갖는 보강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발 전체에 압박이 가해지거나 통증을 느끼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새끼발가락 외측면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높은 착용감을 달성할 수 있다.
보강부재의 돌출부가 홈부에 끼워짐에 따라 오차 없이 토우캡에 보강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작공정상의 오차로 인해 발에 통증을 느끼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저면도.
도 4(a)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좌측면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우측면 단면도.
도 5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을 구비한 신발을 신은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 단면도.
도 6(a)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을 구비한 신발을 신은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을 전방으로 굽힌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과 발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종래의 토우캡들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을 비교한 평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토우캡의 분해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의 토우캡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저면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 도인 단면도 및/또는 사시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아래의 사항을 전제한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도 1 내지 도 13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내지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 10', 10", 10"')은 오른쪽 발에 사용되는 오른발용 토우캡(10, 10', 10", 10"')을 기준으로 도시한다. 따라서, 왼쪽 발용 토우캡은 후술할 설명에 따른 토우캡(10, 10', 10", 10"')과 좌우로 대칭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내지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 10', 10", 10"')의 전후방향 축선은 X축이고, 좌우방향 축선은 Y축이고, 상하방향 축선은 Z축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저면도이고, 도 4(a)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좌측면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우측면 단면도이고, 도 5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을 구비한 신발을 신은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 단면도이고, 도 6(a)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을 구비한 신발을 신은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을 전방으로 굽힌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과 발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종래의 토우캡들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을 비교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토우캡(10)의 전방면을 이루는 전방벽(100)과, 토우캡(10)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부벽(200)과, 토우캡(10)의 엄지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엄지발가락측벽(300)과, 토우캡(10)의 새끼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새끼발가락측벽(400)과,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며, 토우캡(10)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된 절곡부(500)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홈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토우캡(10)은, 전방벽(100),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새끼발가락측벽(400)이 각각 토우캡(10)의 전방면, 상면 및 양측면을 이루고,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절곡부(500)가 토우캡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홈부(43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통해, 토우캡(10)은, 바닥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전방벽(100),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에 의해 전방면, 상면 및 양측면이 폐쇄된 형상을 갖게 된다. 단, 이 경우, 새끼발가락측벽(400)의 일부는 홈부(430)에 의해 개방되므로, 새끼발가락측벽(400)에 홈부(430)가 형성된 측방으로 영역은 폐쇄되지 않고,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전방벽(100),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은 서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전방벽(100),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이 곡면으로 처리되어, 토우캡(10)의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전체적으로 유선형 형상을 갖는다.
절곡부(500)는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하부에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다.
절곡부(500)는 토우캡(10)의 바닥면의 일부만을 이루게 된다. 절곡부(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U' 자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토우캡(10)의 바닥면은 'U' 자 형상의 내부가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절곡부(500)는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내면과, 절곡부(500)의 상면이 이루는 사잇각이 90°이상이 되도록, 토우캡(10)의 바닥면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 경우, 절곡부(500)의 폭은 수㎜ 내지 수십㎜의 길이를 갖는다.
도 5, 도 6(a) 및 도 6(b)와 같은 신발(1)에 토우캡(10)이 구비될 경우, 절곡부(500)의 상부에는 안창(2)이 위치하게 된다.
전방벽(100)은 토우캡(10)의 전방면을 이루며, 전방으로 갈수록 제2최전방점(A2)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전방벽(100)은 곡률을 갖는 곡선을 갖으며, 이를 통해, 제2최전방점(A2)으로 모아지는 유선형 형상을 갖는다.
상부벽(200)은 전방벽(100)의 중앙 후방단부에서 연장되며, 토우캡(10)의 상면을 이룬다.
상부벽(200)은 신발 착용자의 발가락들의 상부를 덮음으로써, 낙하물로부터 발가락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부벽(200)의 후방단부에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곡면부(210)가 구비된다.
제1곡면부(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최전방점(A1)을 갖으며, 제1최전방점(A1)은 제1곡면부(210)에서 가장 최전방에 위치하는 점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1곡면부(210)는 제1최전방점(A1)에서 엄지발가락측으로 연장되는 곡면을 갖고, 새끼발가락측으로 연장되는 곡면을 갖음으로써 형성된다.
제1곡면부(210)의 제1단부점(B1)은 엄지발가락측벽(300)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제2곡면부(310)의 상부와 연결되고, 제1곡면부(210)의 제2단부점(B2)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제3곡면부(410)의 상부와 연결된다.
제1단부점(B1)은 제1곡면부(210)에서 엄지발가락측 방향으로의 단부점을 의미하고, 제2단부점(B2)은 제1곡면부(210)에서 새끼발가락측 방향으로의 단부점을 의미한다.
토우캡(10)의 평면도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우캡(10)의 상부에서 바라본 제1곡면부(210)의 형상은 제1단부점(B1), 제1최전방점(A1), 제2단부점(B2)이 엄지발가락측에서 새끼발가락측 순서로 순차적으로 연장되게 이어지며, 전방 방향으로 볼록한 아치형 형상을 갖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전방 방향으로 볼록한 아치형 형상의 최전방은 제1최전방점(A1)이다.
또한, 토우캡(10)의 배면도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우캡(10)의 배면에서 바라본 제1곡면부(210)의 형상은 제1단부점(B1), 제1최전방점(A1), 제2단부점(B2)이 엄지발가락측에서 새끼발가락측 순서로 순차적으로 연장되게 이어지며,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아치형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아치형 형상은 제2수직평면(P2)을 기준으로 제1단부점(B1)으로 연장되는 곡면이 제2단부점(B2)으로 연장되는 곡면보다 곡률반경이 작은 경사를 갖는 비대칭 아치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아치형 형상의 최상부점은 제2수직평면(P2) 상에서 제1최전방점(A1)과 만나는 점일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곡면부(210)의 아치형 형상으로 인해, 토우캡(10)의 상부벽(200)은 발(F)이 들어갈 수 있는 상하 방향 길이(높이), 즉, Z축 방향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엄지발가락측벽(300)은 전방벽(100)의 엄지발가락측 후방단부에서 연장되며, 토우캡(10)의 측면을 이룬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우캡(10)이 오른발용 토우캡(10)일 경우, 엄지발가락측벽(300)은 토우캡(10)의 좌측면을 이룬다.
엄지발가락측벽(300)은 후방으로 갈수록 엄지발가락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엄지발가락측벽(300)은 곡률을 갖는 곡선을 갖으며, 이를 통해, 유선형 형상을 갖는다.
엄지발가락측벽(300)의 후방단부에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곡면부(310)가 구비된다.
제2곡면부(310)는 엄지발가락측벽(300)의 상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굴곡진 형상을 갖는다.
제2곡면부(310)는 엄지발가락측벽(300)의 상부로 갈수록 완만하게 전방으로 경사진 제1-1경사면과, 제1-1경사면의 상부에서 연장되며, 상부로 갈수록 제1-1경사면보다 전방으로 더 큰 기울기를 갖으면서 급격하게 경사진 제1-2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곡면부(310)는 제1-1경사면과 제1-2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굴곡진 형상을 갖는다.
제2곡면부(310)의 상부는 제1곡면부(210)의 제1단부점(B1)과 연결된다.
새끼발가락측벽(400)은 전방벽(1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에서 연장되며, 토우캡(10)의 측면을 이룬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우캡(10)이 오른발용 토우캡(10)일 경우, 새끼발가락측벽(400)은 토우캡(10)의 우측면을 이룬다.
새끼발가락측벽(400)은 후방으로 갈수록 새끼발가락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새끼발가락측벽(400)은 곡률을 갖는 곡선을 갖으며, 이를 통해, 유선형 형상을 갖는다.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3곡면부(410)가 구비된다.
제3곡면부(410)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상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굴곡진 형상을 갖는다.
제3곡면부(410)의 상부는 제1곡면부(210)의 제2단부점(B2)과 연결된다.
전술한 제2곡면부(310) 및 제3곡면부(410)의 형상으로 인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F)을 전방으로 굽힐 때, 발등이 토우캡(10)에 닿는 것(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발등을 더욱 굽힐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발등을 90° 이상으로 젖혀도 발등이 토우캡(10)의 제1곡면부(21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2곡면부(310) 및 제3곡면부(410)로 인해, 제1곡면부(210)에 쏠리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낙하물이 토우캡(10)의 상면에 떨어질 때, 발가락 등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제3곡면부(410)의 하부에는 홈부(430)가 구비된다.
홈부(430)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홈부(430)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킨다.
이러한 홈부(4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신발(1)을 신을 때, 새끼발가락이 토우캡(10)의 새끼발가락측벽(40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홈부(430)는 사용자가 토우캡(10)이 구비된 신발(1)을 신을 때, 새끼발가락이 위치하는 곳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새끼발가락이 토우캡(10)의 새끼발가락측벽(40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홈부(430)는 절곡부(500)의 상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홈부(430)는 제3곡면부(410)와 절곡부(500) 사이에 위치한다.
홈부(430)는 절곡부(500)와 상부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이로 인해, 홈부(430)와 절곡부(500)의 사이에는 이격부(431)가 형성된다.
이격부(431)는 홈부(430)의 하부에서 절곡부(500)와 홈부(430)를 연결하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일부분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홈부(430)는 절곡부(500)와 상부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홈부(430)와 절곡부(500)의 사이에는 이격부(431)가 형성되며, 이격부(431)는 홈부(430)의 하부에서 절곡부(500)와 홈부(430)를 연결하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일부분이다.
위와 같이, 홈부(430)와 절곡부(500)의 사이에 이격부(431)가 형성됨에 따라, 홈부(430)의 곡면 형상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격부(431)가 형성됨에 따라, 토우캡(1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홈부(430)의 기능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격부(431)의 후방단부에는 후술할 제2최후방점(C2)이 위치하게 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술한 홈부(430)의 구성으로 인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우캡(10)의 엄지발가락측벽(300)과 새끼발가락측벽(400)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게 된다.
다시 말해, 토우캡(10)의 엄지발가락측벽(300)과 새끼발가락측벽(400)은 상호 비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이하, 도 5, 도 6(a), 도 6(b)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사용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우캡(10)은 신발(1)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어, 발(F)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토우캡(10)의 절곡부(500)의 상부에는 안창(인솔, 2)이 구비되며, 안창(2)은 발바닥이 닿는 부분이다.
안창(2)의 하부에는 미드솔(3)이 구비되며, 미드솔(3)의 하부에는 신발(1)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4)이 구비된다.
또한, 토우캡(10)의 외면에는 외피(5)가 감싸지며, 이러한 외피(5)는 신발(1)의 외면 및 형상을 이룬다.
사용자가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토우캡(10)을 구비한 신발(1)을 신게 되면, 도 6 및 도 6(a)와 같이, 토우캡(10)이 발(F)의 앞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토우캡(10)은 발(F)의 앞부분의 전방, 양측면 및 상부를 감싸게 되며, 이를 통해, 낙하물 등으로부터 발의 앞부분, 즉, 발가락들을 보호하게 된다. 단, 홈부(430)로 인해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사용자가 작업, 도보 등을 할 때, 도 6(b)와 같이 발(F)을 앞으로 굽히게 되면, 사용자의 발(F)은 도 7의 MP라인(MP)을 따라 앞, 즉, 전방으로 굽혀지게 된다.
MP라인(MP)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우캡(10)에 구비된 제1곡면부(210)로 인해, 전방으로 접혀진 발(F)의 발등과, 제1곡면부(210)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발등이 토우캡(10)에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과 발(F)의 관계와, 종래의 토우캡들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과의 차이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신발(1) 전체를 도시하지 않고, 토우캡(10)과 발(F)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7 및 도 8에는 발(F)이 토우캡(10)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이는 도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일 뿐, 실제적으로 토우캡(10)의 내측면에 엄지발가락의 외측면이 접촉하게 된다.
또한, 이하의 수치들은, 엄지발가락이 토우캡(10)의 내측면에 접할 때까지 발(F)을 토우캡(10)의 내부로 위치시켰을 때(다시 말해, 신발(1)을 신었을 때, 발(F)이 정위치할 때)를 기준으로 한다.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구성들에 대해 설명한다.
발(F)의 저면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F)의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발가락부(O), 앞꿈치부(Q), 족궁부(R), 뒤꿈치부(S)의 영역으로 나눠질 수 있다.
발가락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족골(G, Metatarsal)과, 중족골(G) 보다 앞쪽 부분인 지골(J, 발가락뼈, Phalanx)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중족골(G)과 지골(J)을 접속하는 관절을 MP(Metatarsal Phalanx) 관절이라고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MP라인(MP)은 엄지발가락(첫번째 발가락), 두번째 발가락, 세번째 발가락, 네번째 발가락, 새끼발가락(다섯번째 발가락)의 각 MP관절을 완만하게 연결한 가상적인 만곡선이다.
이러한 MP라인(MP)은 발(F)을 전방으로 접을 때, 발(F)이 접히는 기준선이 된다. 다시 말해, MP라인(MP)을 기준으로 발(F)이 전방으로 접히는 것이다.
제1수직평면(P1)은 엄지발가락측벽(300)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제1최후방점(C1) 및 새끼발가락측벽(400)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제2최후방점(C2)을 연결하는 수직평면이다. 이러한 제1수직평면(P1)은 토우캡(10)의 좌우 방향 축선인 Y축과, 상하 방향 축선인 Z축을 포함하는 Y-Z 평면이다.
이 경우, 제1최후방점(C1) 및 제2최후방점(C2)은 토우캡(10)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점이다. 따라서, 제1수직평면(P1)은 토우캡(10)의 최후방점을 연결하는 수직평면이라고 할 수 있다. 제2최후방점(C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이격부(431)의 후방단부에 위치하는 점이다.
제2수직평면(P2)은 제1곡면부(210)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제1최전방점(A1) 및 신발(1)에 착용되는 발(F)의 두번째 발가락(SF)의 두번째 MP관절점(E)을 연결하는 수직평면이다. 이러한 제2수직평면(P2)은 토우캡(10)의 전후 방향 축선인 X축과, 상하 방향 축선인 Z축을 포함하는 X-Z 평면이다.
제3수직평면(P3)은 제1곡면부(210)의 제1단부점(B1)과, 제1곡면부(210)의 제2단부점(B2)일 연결하는 수직평면이다. 이러한 제3수직평면(P3)은 토우캡(10)의 좌우 방향 축선인 Y축과, 상하 방향 축선인 Z축을 포함하는 Y-Z 평면이다. 또한, 제3수직평면(P3)은 제1수직평면(P1)과 평행한 수직평면이며, 제1수직평면(P1)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이격된 수직평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과 발(F)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신발(1)을 착용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발가락의 엄지발가락측 외측면이 엄지발가락측벽(30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새끼발가락의 새끼발가락측 외측면이 홈부(4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엄지발가락은 엄지발가락측벽(300)의 내측면에 접하나, 새끼발가락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내측면에 접하지 않는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엄지발가락측벽(300)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제1최후방점(C1) 및 새끼발가락측벽(400)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제2최후방점(C2)을 연결하는 제1수직평면(P1)은, 제1곡면부(210)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제1최전방점(A1) 및 신발에 착용되는 발(F)의 두번째 발가락(SF)의 두번째 MP관절점(E)을 연결하는 제2수직평면(P2)과 서로 수직을 이룬다.
이 경우, 두번째 MP관절점(E)은 두번째 발가락(SF) 내의 범위에서 두번째 발가락(SF)의 중족골(G)과 지골(J)을 연결하는 점일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따라 토우캡(10)의 좌, 우 폭, 즉, 제1최후방점(C1)과, 제2최후방점(C2) 사이의 길이(w1)는 82㎜ 내지 92㎜ 이다. 이 경우, 도 6과 같이, 사용자가 신발(1)을 착용하게 될 때, 두번째 발가락(SF)은 엄지발가락측벽(300)으로부터 새끼발가락측벽(400) 방향으로 25㎜ 내지 30㎜ 이격되게 위치하게 되고, 두번째 발가락(SF)의 두께는 17㎜ 내지 25㎜ 이다.
따라서, 두번째 MP관절점(E)은 엄지발가락측벽(300)으로부터 새끼발가락측벽(400) 방향으로 42㎜ 내지 55㎜ 이격되는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최전방점(A2)은 이러한 두번째 MP관절점(E)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최전방점(A2) 또한, 엄지발가락측벽(300)으로부터 새끼발가락측벽(400) 방향으로 42㎜ 내지 55㎜ 이격되는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2최전방점(A2)이 두번째 MP관절점(E)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함에 따라, 두번째 MP관절점(E), 제1최전방점(A1) 및 제2최전방점(A2)이 동일선상에 놓일 수 있으며, 제2수직평면(P2)은 상기 동일선상에 놓인 두번째 MP관절점(E), 제1최전방점(A1) 및 제2최전방점(A2)을 모두 지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수직평면(P2)은 두번째 MP관절점(E), 제1최전방점(A1) 및 제2최전방점(A2)을 모두 연결한 수직평면이 되며, 이러한 제2수직평면(P2)은 제1수직평면(P1)과 서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두번째 MP관절점(E)과 제1수직평면(P1) 사이의 수평거리(d1)은 4㎜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수직평면(P1)과 제1최전방점(A1) 사이의 수평거리(d2)는 4㎜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두번째 MP관절점(E), 제1수직평면(P1), 제1최전방점(A1) 사이의 수평거리의 관계가 만족함에 따라, 제1곡면부(210)의 최적 곡률이 설정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MP라인(MP)은 발(F)을 전방으로 굽힐 때, 기준선이 된다. 이러한 MP라인(MP) 중 두번째 MP관절점(E)은 MP라인(MP)에서 최전방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토우캡(10)의 경우, 두번째 MP관절점(E)과 제1수직평면(P1) 사이의 수평거리(d1)를 4㎜ 내지 30㎜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F)을 전방으로 굽힐 때, 발등이 토우캡(10)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신발(1) 착용감을 보다 편안하게 하고, 발의 접힘에 따른 발등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수직평면(P1)과 제1최전방점(A1) 사이의 수평거리(d2)는 제1곡면부(210)의 곡률과 관계되는 수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우캡(10)의 좌, 우 폭, 즉, 제1최후방점(C1)과, 제2최후방점(C2) 사이의 길이(w1)가 82㎜ 내지 92㎜ 일 경우, 제1수직평면(P1)과 제1최전방점(A1) 사이의 수평거리(d2)가 4㎜ 내지 20㎜일 때, 제1곡면부(210)는 MP라인(MP)보다 곡률반경이 작은, 보다 완만한 곡률을 갖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수직평면(P1)과 제1최전방점(A1) 사이의 수평거리(d2)와, 제1최후방점(C1)과, 제2최후방점(C2) 사이의 길이(w1)의 비, 즉, 'd2 : w1' 은 '1 : 4.1 내지 23' 관계를 만족할 때, 제1곡면부(210)는 MP라인(MP)보다 완만한 곡률을 갖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F)을 전방으로 굽힐 때, 발(F)이 전방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어 토우캡(10)에 발등이 닿게 되더라도, 발등의 곡률보다 제1곡면부(210)의 곡률이 더욱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어, 발등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제1최전방점(A1)이 두번째 MP관절점(E)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음으로써,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 즉, 제1곡면부(210)의 곡률 형상이 MP라인(MP)보다 완만한 곡률을 가지면서도, 두번째 MP관절점(E)에 대응되는 위치가 최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1곡면부(210)의 형상 자체가 발등의 형상과 유사하고 완만한 곡면을 갖게 되며, 이를 통해, 발등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1곡면부(210)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곡면부(210)의 제1단부점(B1)과, 제1곡면부(210)의 제2단부점(B2)일 연결하는 제3수직평면(P3)과, 제1곡면부(210)의 제1최전방점(A1) 사이의 수평거리(d4)는 2㎜ 내지 8㎜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수직평면(P3)과 제1수직평면(P1)과의 수평거리(d5)는 2㎜ 내지 12㎜ 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평거리(d2) = 수평거리(d4) + 수평거리(d5)' 의 관계를 만족한다. 또한, 수평거리(d4)와 수평거리(d5)의 비 즉, '수평거리(d4) : 수평거리(d5)'는 '1 : 0.25 내지 6'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제1최전방점(A1)과 토우캡(10)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제2최전방점(A2) 사이의 수평거리(d3)는 30㎜ 내지 5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수평거리(d3)가 30㎜ 내지 52㎜ 를 만족함에 따라, 토우캡(10)의 양측면에서 전방 방향으로의 유선형 형상이 더욱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움직일 때, 발(F)이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더욱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F)이 전방으로 접혀질 때, 발(F)이 토우캡(10)의 내부, 즉, 전방 방향으로 밀려서 들어갈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토우캡(10)의 양측면에서 전방 방향으로의 유선형 형상이 더욱 경사지게 형성되면, 엄지발가락의 외측면이 토우캡(10)의 내부 양측면에 걸리게 되어 발(F)이 토우캡(1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수평거리(d2)는 제1곡면부(210) 및 수평거리(d1)의 구성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F)이 전방으로 접혀질 때, 발등이 토우캡(10)에 닿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곡면부(210)로 인해, 토우캡(10)의 상면의 수평거리가 줄어든 것을 수평거리(d2)로서 보상할 수 있으므로, 토우캡(10)을 통해 낙하물에 의한 발(F)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종래의 토우캡들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과의 차이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는 특허문헌 1(한국등록특허 제10-1292383호)의 종래기술에 언급된 종래의 토우캡과 발(F)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이고, 도 8(b)는 특허문헌 1(한국등록특허 제10-1292383호)의 토우캡과 발(F)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이고, 도 8(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과 발(F)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도 8(a)의 토우캡을 제1종래토우캡(20)이라 하고, 도 8(b)의 토우캡을 제2종래토우캡(30)이라 한다.
제2종래토우캡(30)의 최후방부는 제1종래토우캡(20)의 최후방부보다 후방으로 'd6' 거리만큼 연장되어 있다.
제1종래토우캡(20)의 최전방점과, 제2종래토우캡(30)의 최전방점은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제2종래토우캡(30)의 연장측벽(31)은 제2종래토우캡(30)의 최후방부보다 'd7' 거리만큼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토우캡(10)의 최후방부, 즉, 도 6의 제1최후방점(C1)과 제2최후방점(C2)을 연결하는 제1수직평면(P1)은, 제1종래토우캡(20)의 최후방부보다는 후방으로 'd7' 만큼 연장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토우캡(10)의 최전방부, 즉, 도 6의 제2최전방점(A2)은, 제1종래토우캡(20)의 최전방부 및 제2종래토우캡(30)의 최전방부보다 전방으로 'd8'거리만큼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토우캡(10)에는 제1곡면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토우캡(10)의 제1곡면부(210)는 제2종래토우캡(30)의 곡면부보다 전방으로 'd9'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토우캡(10)과 제1, 2종래토우캡(20, 30)의 차이점으로 인해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토우캡(10)의 제1곡면부(210)가 제2종래토우캡(30)보다 전방 방향으로 'd9'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발(F)을 전방으로 접을 때, 발등이 토우캡(10)에 닿는 것을 제2종래토우캡(30)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토우캡(10)의 제1곡면부(210)는 단순히 전방으로 제1곡면부(210)를 추가로 연장하여 형성한 것이 아닌 제1곡면부(210)가 MP라인(MP)보다 완만한 곡률을 갖으면서, 두번째 MP관절점(E)에 대응되게 제1최전방점(A1)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인체공학적으로 발등이 토우캡(10)에 닿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발등이 더욱 접힐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토우캡(10)의 제1최전방점(A1)이 제1, 2종래토우캡(20, 30)보다 전방 방향으로 'd8'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토우캡(10)의 양측면이 제1, 2종래토우캡(20, 30)보다 전방으로 더욱 경사진 유선형 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발(F)을 전방으로 굽힐 때, 발(F)이 전방 방향, 즉, 토우캡(10)의 내부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발(F)을 전방으로 굽힐 때, 발등에 토우캡(10)이 닿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1곡면부(210)에 의해 줄어든 거리를 전방으로 보상해줌으로써, 낙하물로부터 발가락을 보호하는 안전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제2종래토우캡(30)은 새끼발가락의 보호를 위해 제1종래토우캡(20)의 구성에서 새끼발가락측의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후방으로 연장한 연장측벽(31)을 구비토록한 구조이다.
이러한 제2종래토우캡(30)은 연장측벽(31)의 구성을 통해 새끼발가락의 보호에는 유용하겠지만, 연장측벽(31)의 후단부에 내측을 향하여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된 만곡 모서리가 추가로 형성됨에 따라 발등을 굽혔을 때, 발등이 제1종래토우캡(20)에 비해 만곡 모서리에 보다 쉽게 접촉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제1종래토우캡(20)을 기준으로 발등을 굽혔을 때, 제1종래토우캡(20)에 비해 발등이 토우캡에 더 안닿게 함으로써, 굽힘에 따른 불편함으로 해소한 것이다.
다시 말해, 제2종래토우캡(30)은 제1종래토우캡(20)을 기준으로 연장측벽(31) 및 만곡 모서리를 추가하여 새끼발가락을 보호하고자 하는 것인 반면에,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제1종래토우캡(20)을 기준으로 제1곡면부를 통해 발등이 맞닿을 수 있는 부분을 제거하여 발등의 굽힘에 따른 불편함이 없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발(F)을 전방으로 굽힐 때, 토우캡(10)의 제1곡면부(210)에 발등이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식 토우캡(10)으로서, 종래의 토우캡들을 사용시, 사용자의 발등이 종래의 토우캡들의 후단에 접촉되어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해소한 것이다.
제2종래토우캡(30)은 연장측벽(31)으로 인해, 새끼발가락이 연장측벽(31)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새끼발가락측벽(400)에 홈부(430)가 구비되어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끼발가락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는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토우캡(10)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내측면에 새끼발가락이 접촉하지 않음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토우캡은 외부 충격, 즉, 낙하물 등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해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제2종래토우캡(30) 또한 금속재질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가 제2종래토우캡(30)이 구비된 신발을 신고 이동을 하거나 작업을 할 때 새끼발가락이 연장측벽(31)의 내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새끼발가락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내측면 또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모서리 부분에 의해 지속적으로 압박된다. 따라서, 장시간동안 신발을 신게되면,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나아가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에 통증 또는 부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토우캡(10)의 경우,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이 홈부(4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으므로, 새끼발가락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게 되며, 위와 같은 제2종래토우캡(30)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금속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토우캡(10)에서 새끼발가락이 위치하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일부분에 홈부(430)를 형성함으로써, 새끼발가락이 접촉되지 않는 공간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새끼발가락의 압박 및 통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홈부(430)로 인해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이 토우캡(10)에 의해 덮혀있지 않더라도, 홈부(430)를 제외한 면이 새끼발가락측벽(400)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외부 충격, 즉, 차량 바퀴 등으로 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이 부상당할 염려가 없다.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홈부(430) 및 이격부(431)의 형상으로 인해, 낙하물 등에 의해 토우캡(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토우캡(1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토우캡(10)에 낙하물이 떨어져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이격부(431) 및 홈부(4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인해, 홈부(430)가 찌그러지져 함몰 된다. 이처럼 홈부(430)가 함몰됨에 따라, 낙하물에 의한 충격량이 흡수되며, 토우캡(10)의 다른 부분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격부(431) 및 홈부(430)의 형상을 달리하여 설계함에 따라 전술한 홈부(430)의 함몰 형상을 인위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홈부(430) 및 이격부(431)를 통한 토우캡(10)의 충격흡수 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제1종래토우캡(20) 및 제2종래토우캡(30)과 구조적인 차이가 있다.
위와 같은 구족적인 차이로 인해,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새끼발가락의 압박으로 인한 불편감 해소 및 새끼발가락에 부상 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발(F)을 전방으로 접을 때, 제1종래토우캡(20) 및 제2종래토우캡(10)과 달리, 발등이 토우캡(10)에 닿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토우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토우캡(10')의 전방면을 이루는 전방벽(100)과, 토우캡(10')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부벽(200)과, 토우캡(10')의 엄지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엄지발가락측벽(300)과, 토우캡(10')의 새끼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새끼발가락측벽(400)과,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며, 토우캡(10')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된 절곡부(500)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홈부(430)와, 홈부(430)를 덮도록 토우캡(1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쿠션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전방벽(100),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새끼발가락측벽(400)이 각각 토우캡(10')의 전방면, 상면 및 양측면을 이루고,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절곡부(500)가 토우캡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홈부(4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홈부(430)를 덮도록 토우캡(1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쿠션부재(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에 쿠션부재(600)를 더 포함하여, 또는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a), 도 9(b)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재(600)는 그 외측면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내측면에 접하는 접합부(610)와, 홈부(430)에 끼워지도록 접합부(6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800)는 홈부(430)의 형상에 치합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돌출부(800)는 홈부(430)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돌출부(800)의 두께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돌출부(800)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바깥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토우캡(10')을 신발에 구비할 때, 토우캡(10')과 신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접합부(610)는 돌출부(800)로부터 연장되어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접합부(610)의 외측면과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내측면의 넓은 접촉 면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610)의 두께는 돌출부(8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토우캡(10')이 구비된 신발을 신을 때, 높은 착용감을 보장할 수 있다.
쿠션부재(600)가 토우캡(10')의 결합은 접착제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접합부(610)의 외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새끼발가락측벽(400)과 쿠션부재(600)의 접합부(610)가 접착제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홈부(43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돌출부(800)의 둘레면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홈부(430)와 돌출부(800)가 접착제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쿠션부재(600)는 토우캡(10') 재질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질의 재질로는 고무, 합성고무, 연질의 플라스틱 등일 수 있다. 예컨데, 토우캡(10')이 금속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쿠션부재(600)는 토우캡(10')의 재질보다 경도가 낮은 고무, 합성고무,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부재(600)를 이루는 연질의 재질의 경도는 쇼어A(Shore-A) 10 이하의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쇼어A(Shore-A) 10 이하의 경도를 갖는 재질은 말랑말랑하고 부드러운 연질의 특성을 갖는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효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토우캡(10')에 홈부(430)가 구비되고, 홈부(430)를 덮는 쿠션부재(600)가 더 구비됨에 따라,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이 쿠션부재(600)의 접합부(610)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쿠션부재(600)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돌출부(800)가 일정한 두께를 갖음으로써. 돌출부(800)가 일종의 쿠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새끼발가락 외측면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착용감 또한 상승하게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홈부(430)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히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토우캡의 새끼발가락측벽에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쿠션부재를 구비할 경우, 새끼발가락측벽의 경도가 높으므로, 결과적으로 새끼발가락 외측면에 압박이 가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홈부(430)를 통해 새끼발가락측벽(400)에 공간을 확보하고, 이러한 공간, 즉, 홈부(430)에 돌출부(800)를 끼운 형태로 쿠션부재(600)를 구비시킴으로써, 말랑말랑한 연질의 재질을 갖는 쿠션부재(600)만이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새끼발가락의 통증, 압박, 부상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토우캡(10')은 홈부(430)가 형성되고, 새끼발가락 외측면에 접촉하는 부분을 토우캡(10')의 재질과 다른 연질의 이종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새끼발가락 외측면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높은 착용감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토우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토우캡(10")의 전방면을 이루는 전방벽(100)과, 토우캡(10")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부벽(200)과, 토우캡(10")의 엄지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엄지발가락측벽(300)과, 토우캡(10")의 새끼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새끼발가락측벽(400)과,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며, 토우캡(10")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된 절곡부(500)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홈부(430)와, 토우캡(10")의 후방에 설치되는 보강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전방벽(100),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새끼발가락측벽(400)이 각각 토우캡(10")의 전방면, 상면 및 양측면을 이루고,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절곡부(500)가 토우캡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홈부(4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토우캡(10")의 후방에 설치되는 보강부재(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에 보강부재(700)를 더 포함 또는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700)는 토우캡(10")의 후방에 설치되며, 토우캡(10)의 후방과 같은 아치형 곡면 형상을 갖는 몸체(710)와, 몸체(710)의 외측면보다 더 낮은 외측면을 갖도록 몸체(710)의 전방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그 외측면이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내측면에 접하는 접합날개(730)와, 홈부(430)에 끼워지도록 접합날개(7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710)는 토우캡(10)의 후방과 같은 아치형 곡면 형상을 갖는다. 다시 말해, 몸체(710)는 토우캡(10)의 상부벽(200)의 후방단부, 엄지발가락측벽(300)의 후방단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가 연결된 아치형 곡면 형상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접합날개(730)는 몸체(710)의 외측면보다 더 낮은 외측면을 갖도록 몸체(710)의 전방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접합날개(730) 또한, 몸체(710)와 같이, 토우캡(10)의 후방과 같은 아치형 곡면 형상을 갖는다.
위와 같이, 접합날개(730)가 몸체(710)의 외측면보다 더 낮은 외측면을 갖도록 몸체(710)의 전방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700)가 토우캡(10)의 후방에 설치될 때, 접합날개(730)의 외측면이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며, 이를 통해, 보강부재(700)가 토우캡(10)의 후방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돌출부(800)는 홈부(430)에 끼워지도록 접합날개(730)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이 경우, 돌출부(800)는 홈부(43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돌출부(800)는 홈부(430)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돌출부(800)의 두께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돌출부(800)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바깥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토우캡(10")을 신발에 구비할 때, 토우캡(10")과 신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보강부재(700)와 토우캡(10")의 결합은 접착제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토우캡(10")의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접합날개(730)의 외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토우캡(10")의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과 보강부재(700)의 접합날개(730)가 접착제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홈부(43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돌출부(800)의 둘레면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홈부(430)와 돌출부(800)가 접착제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강부재(700)는 토우캡(10") 재질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질의 재질로는 고무, 합성고무, 연질의 플라스틱 등일 수 있다. 예컨데, 토우캡(10")이 금속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쿠션부재(600)는 토우캡(10")의 재질보다 경도가 낮은 고무, 합성고무,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부재(700)의 돌출부(800)는 몸체(710) 및 접합날개(730)와 다른 이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돌출부(800)의 경도는 몸체(710) 및 접합날개(730)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돌출부(800)를 통한 쿠션 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돌출부(800)를 이루는 연질의 재질의 경도는 쇼어A(Shore-A) 10 이하의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쇼어A(Shore-A) 10 이하의 경도를 갖는 재질은 말랑말랑하고 부드러운 연질의 특성을 갖는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효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토우캡(10")의 후방에 보강부재(700)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토우캡(10")이 구비된 신발을 신고 활동을 할 때, 발의 상부가 보강부재(700)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경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토우캡(10")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와 달리, 연질의 보강부재(700)가 발에 닿음으로써, 발에 압박이 가해지거나 통증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우캡(10")에 홈부(430)가 구비되고, 홈부(430)에 끼워지는 돌출부(800)를 구비한 보강부재(700)를 더 구비함에 따라,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이 돌출부(800)가 위치한 접합날개(730)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보강부재(700)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돌출부(800)가 일정한 두께를 갖음으로써. 돌출부(800)가 일종의 쿠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새끼발가락 외측면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착용감 또한 상승하게 된다.
다시 말해, 홈부(430)를 통해 새끼발가락측벽에 공간을 확보하고, 이러한 공간, 즉, 홈부(430)에 보강부재(700)의 돌출부(800)가 끼워져 있으므로, 말랑말랑한 연질의 재질을 갖는 보강부재(700)만의 접합날개(730)만이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새끼발가락의 통증, 압박, 부상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700)를 토우캡(10")의 후방에 설치할 때, 돌출부(800)가 홈부(430)에 끼워져 설치되므로, 보강부재(700)가 틀어지게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오차 없이 토우캡(10")에 보강부재(7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오차 없이 토우캡(10")에 보강부재(700)를 결합시킴에 따라, 토우캡(10")을 신발에 구비할 때, 제작공정상의 오차로 인해, 발에 통증을 느끼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보강부재(700)는 몸체(710)에 접합날개(730)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부재(700)와 토우캡(10")의 결합은 돌출부(8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홈부(43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돌출부(800)의 둘레면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홈부(430)와 돌출부(800)가 접착제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700)의 몸체(710)에 접합날개(730)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로도 구현될 경우, 보강부재(700)와 토우캡(10")의 결합은 몸체(710) 자체와 돌출부(8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몸체(710)의 외측면의 일부가 토우캡(10")의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내측면에 접촉함으로써, 보강부재(700)와 토우캡(1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토우캡(10")의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몸체(710)의 외측면의 일부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토우캡(10")의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과 보강부재(700)의 몸체(710)가 접착제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홈부(43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돌출부(800)의 둘레면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홈부(430)와 돌출부(800)가 접착제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저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토우캡(10"')의 전방면을 이루는 전방벽(100)과, 토우캡(10"')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부벽(200)과, 토우캡(10"')의 엄지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엄지발가락측벽(300)과, 토우캡(10"')의 새끼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새끼발가락측벽(400"')과,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며, 토우캡(10"')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절곡부(500"')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여유공간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절곡부(5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는 절곡부(500"')의 엄지발가락측 후방단부(510"')보다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에 위치하고, 여유공간부(430"')의 하부는 절곡부(5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전방벽(100),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새끼발가락측벽(400"')이 각각 토우캡(10"')의 전방면, 상면 및 양측면을 이루고,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절곡부(500"')가 토우캡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절곡부(5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는 절곡부(500"')의 엄지발가락측 후방단부(510"')보다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에 위치하고,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여유공간부(430"')가 구비되되, 여유공간부(430"')의 하부는 절곡부(5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와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와 비교하여, 여유공간부(430"')와 홈부(430)의 형상(여유공간부(430"')와 홈부(430)는 서로 대응됨) 및 절곡부(500"')의 형상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들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절곡부(500"')는 절곡부(5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는 절곡부(500"')의 엄지발가락측 후방단부(510"')보다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엄지발가락측 후방단부(510"')는 절곡부(5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보다 토우캡(10"')의 후방 방향에 위치한다.
따라서, 절곡부(500"')는 토우캡(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절곡부(5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의 위치와, 절곡부(500"')의 엄지발가락측 후방단부(510"')의 위치가 상호 비대칭을 이루게 된다.
여유공간부(430"')는 그 하부가 위와 같은 형상을 갖는 절곡부(5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새끼발가락측벽(400"')에서 여유공간부(430"')가 위치하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하부 후방단부의 위치는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를 갖을 수 있다.
위와 같은, 여유공간부(430"') 및 절곡부(500"')의 형상으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에 비해 더 넓은 면적의 여유공간부(430"')를 갖게 된다. 다시 말해, 토우캡(10"')의 새끼발가락측벽(400"')에서 새끼발가락이 위치하는 곳, 즉,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하부에 넓은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상관 없이, 새끼발가락측벽(400"')이 새끼발가락에 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여유공간부(430"')가 위치하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하부 후방단부의 위치는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를 갖게 형성함으로써, 절곡부(500"')와 여유공간부(430"')의 형성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0"')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쿠션부재(600)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보강부재(7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토우캡(10"')과 쿠션부재(600) 또는 보강부재(700)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쿠션부재(600)의 돌출부(800) 및 보강부재(700)의 돌출부(800)의 형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0"')의 여유공간부(430"')의 형상 또는 여유공간부(430"')의 형상 및 절곡부(5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의 형상으로 인해 형성된 공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 신발 2: 안창
3: 미드솔 4: 아웃솔
5: 외피
10, 10', 10", 10"': 토우캡 20: 제1종래토우캡
30: 제2종래토우캡 31: 연장측벽
100: 전방벽 200: 상부벽
210: 제1곡면부 300: 엄지발가락측벽
310: 제2곡면부 400, 400"': 새끼발가락측벽
410: 제3곡면부 430: 홈부
430"': 여유공간부
431: 이격부 500, 500"': 절곡부
510"': 엄지발가락측 후방단부
520"':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
600: 쿠션부재 610: 접합부
700: 보강부재 710: 몸체
730: 접합날개 800: 돌출부
A1: 제1최전방점 A2: 제2최전방점
B1: 제1단부점 B2: 제2단부점
C1: 제1최후방점 C2: 제2최후방점
E: 두번째 MP관절점 F: 발
G: 중족골 J: 지골
O: 발가락부 Q: 앞꿈치부
R: 족궁부 S: 뒤꿈치부
P1: 제1수직평면 P2: 제2수직평면
P3: 제3수직평면
MP: MP라인 SF: 두번째 발가락

Claims (7)

  1. 신발의 앞코 부분 내부에 내장되는 토우캡에 있어서,
    전방벽, 상부벽, 엄지발가락측벽, 새끼발가락측벽이 각각 상기 토우캡의 전방면, 상면 및 양측면을 이루고, 상기 전방벽, 상기 엄지발가락측벽 및 상기 새끼발가락측벽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절곡부가 상기 토우캡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에는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에서 상기 토우캡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절곡부와 상부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홈부와 상기 절곡부의 사이에는 이격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격부는 상기 홈부의 하부에서 상기 절곡부와 상기 홈부를 연결하는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를 덮도록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쿠션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쿠션부재는, 그 외측면이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내측면에 접하는 접합부; 및 상기 홈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접합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재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우캡의 후방에 설치되는 보강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토우캡의 후방과 같은 아치형 곡면 형상을 갖는 몸체; 및 상기 홈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접합날개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몸체의 외측면보다 더 낮은 외측면을 갖도록 상기 몸체의 전방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그 외측면이 상기 상부벽, 상기 엄지발가락측벽 및 상기 새끼발가락측벽 각각의 내측면에 접하는 접합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캡.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캡.
  7. 신발의 앞코 부분 내부에 내장되는 토우캡에 있어서,
    전방벽, 상부벽, 엄지발가락측벽, 새끼발가락측벽이 각각 상기 토우캡의 전방면, 상면 및 양측면을 이루고, 상기 전방벽, 상기 엄지발가락측벽 및 상기 새끼발가락측벽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절곡부가 상기 토우캡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절곡부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는 상기 절곡부의 엄지발가락측 후방단부보다 상기 토우캡의 전방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에는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에서 상기 토우캡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여유공간부가 구비되되, 상기 여유공간부의 하부는 상기 절곡부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캡.
PCT/KR2019/014452 2018-12-19 2019-10-30 토우캡 WO202013032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272A KR102010036B1 (ko) 2018-12-19 2018-12-19 토우캡
KR10-2018-0165272 2018-1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0323A1 true WO2020130323A1 (ko) 2020-06-25

Family

ID=6762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4452 WO2020130323A1 (ko) 2018-12-19 2019-10-30 토우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0036B1 (ko)
WO (1) WO20201303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2039A1 (ja) * 2014-07-03 2016-01-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ービンケーシング、タービン、タービンケーシングを鋳造するための中子、及びタービンケーシングの製造方法
KR102010036B1 (ko) * 2018-12-19 2019-08-12 신재웅 토우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0202A (ja) * 1994-09-13 1996-03-26 Midori Anzen Co Ltd 安全靴用先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57493A (ko) * 2010-11-05 2013-05-31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앞심 및 앞심 내장 구두
KR101724626B1 (ko) * 2017-01-16 2017-04-07 신재웅 압력 분산 구조의 안전화 토캡용 보강재
KR101879313B1 (ko) * 2017-01-16 2018-07-17 신재웅 안전화 토캡용 유동형 보강재
KR102010036B1 (ko) * 2018-12-19 2019-08-12 신재웅 토우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29463A1 (en) 1999-02-19 2000-08-23 Uk Safety Group Limited Asymmetric cap
JP2005006997A (ja) * 2003-06-20 2005-01-13 Simon Corp 安全靴先芯用トーキャップサポー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0202A (ja) * 1994-09-13 1996-03-26 Midori Anzen Co Ltd 安全靴用先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57493A (ko) * 2010-11-05 2013-05-31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앞심 및 앞심 내장 구두
KR101724626B1 (ko) * 2017-01-16 2017-04-07 신재웅 압력 분산 구조의 안전화 토캡용 보강재
KR101879313B1 (ko) * 2017-01-16 2018-07-17 신재웅 안전화 토캡용 유동형 보강재
KR102010036B1 (ko) * 2018-12-19 2019-08-12 신재웅 토우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036B1 (ko) 201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60064A1 (ko)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
WO2020130323A1 (ko) 토우캡
WO2019164142A1 (ko) 자유로운 발목 움직임을 위한 풋 유닛을 구비하는 근력 보조 장치
WO2018044068A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WO2019088373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WO2014129798A1 (en) Headrest moving device
WO2018044070A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JP5154699B2 (ja) 先芯および先芯内蔵靴
WO2021172767A1 (ko) 접이식 상자
ITMI961835A1 (it) Ghetta di protezione per calzatura
WO2017142108A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WO2009136700A2 (ko) 중공쿠션돌기가 구비되는 신발창과 이를 위한 제조금형 및 제조방법
WO2020105787A1 (ko) 토우캡
WO2019177260A1 (ko) 동작 모드에 따라 자세가 제어되는 근력 보조 장치
WO2017190495A1 (zh) 智能鞋垫气囊的充气方法及智能鞋垫
WO2021010653A1 (ko) 댐퍼 구조물
WO2024005465A1 (ko) 안전화
WO2023238969A1 (ko) 안전화
WO2021182830A1 (ko) 면도기 카트리지
WO2020218878A1 (en) Dishwasher
WO2018128364A1 (ko) 하이힐의 체중부하 구조물
WO2020046071A1 (ko) 신발
WO2023022527A1 (ko) 기타용 받침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기타
WO2009151264A2 (ko)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및 능동 보행용 신발
WO2021029712A1 (en) Cleaner head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999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999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