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084B1 - 토우캡 - Google Patents

토우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084B1
KR102401084B1 KR1020190094458A KR20190094458A KR102401084B1 KR 102401084 B1 KR102401084 B1 KR 102401084B1 KR 1020190094458 A KR1020190094458 A KR 1020190094458A KR 20190094458 A KR20190094458 A KR 20190094458A KR 102401084 B1 KR102401084 B1 KR 102401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toe cap
side wall
litt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6572A (ko
Inventor
신재웅
Original Assignee
신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6527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10036B1/ko
Application filed by 신재웅 filed Critical 신재웅
Priority to KR1020190094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08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6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7Lin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43B23/082Toe stiffeners made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43B23/086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 A43B23/087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made of pla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가락이나 발등을 보호하기 위해 신발의 앞코 부분에 내장되는 토우캡에 관한 것으로서, 토우캡과 발의 접촉에 따른 압박 및 통증을 최소화하는 것, 보다 구체적으로는, 토우캡의 내측면에 새끼발가락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함으로써, 새끼발가락의 압박 및 통증을 방지하고, 토우캡이 구비된 신발의 착용감을 상승시키는 토우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우캡{TOE CAP}
본 발명은 발가락이나 발등을 보호하기 위해 신발의 앞코 부분에 내장되는 토우캡에 관한 것이다.
토우캡은 신발에 착용되는 발의 발가락이나 발등을 보호하기 위해 신발의 앞코 부분에 내장된다.
특히, 토우캡은 산업현장에 사용되는 작업화 등의 앞코 부분에 내장되며, 산업현장에서 낙하물에 의한 충격이나, 못 등에 의한 찔림으로부터 발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토우캡에 관한 특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29238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와, 유럽공개특허 제1029463호(이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앞심은 앞심 본체를 선단벽, 좌측벽, 우측벽 및 상면벽을 완만한 곡면으로 연속되도록 형성한 그릇모양의 껍데기체로서 형성함과 함께, 새끼발가락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앞심 본체의 새끼발가락측의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상면벽의 중앙 위치에 있어서의 후단부 모서리보다 후방으로 연장시킨 연장 측벽을 구비한 구성을 갖고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앞심은 연장 측벽을 통해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새끼발가락을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토우캡이 구비된 신발을 신고 작업 등을 할 때, 새끼발가락이 지속적으로 연장측벽의 내면에 접촉하게 되면, 새끼발가락에 압박이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새끼발가락에 통증을 느끼거나, 심지어 새끼발가락에 부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의 토우캡의 경우에도, 새끼발가락을 보호하기 위해 새끼발가락측의 외곽 벽 부분을 후방으로 연장시키게 형성함으로써, 특허문헌 1의 토우캡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92383호 유럽공개특허 제102946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토우캡과 발의 접촉에 따른 압박 및 통증을 최소화하는 것, 보다 구체적으로는, 토우캡의 내측면에 새끼발가락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함으로써, 새끼발가락의 압박 및 통증을 방지하고, 토우캡이 구비된 신발의 착용감을 상승시키는 토우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토우캡은, 신발의 앞코 부분 내부에 내장되는 토우캡에 있어서, 전방벽, 상부벽, 엄지발가락측벽, 새끼발가락측벽이 각각 상기 토우캡의 전방면, 상면 및 양측면을 이루고, 상기 전방벽, 상기 엄지발가락측벽 및 상기 새끼발가락측벽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절곡부가 상기 토우캡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에는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에서 상기 토우캡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부는 상기 절곡부와 상부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홈부와 상기 절곡부의 사이에는 이격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격부는 상기 홈부의 하부에서 상기 절곡부와 상기 홈부를 연결하는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부를 덮도록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쿠션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쿠션부재는, 그 외측면이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내측면에 접하는 접합부; 및 상기 홈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접합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재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우캡의 후방에 설치되는 보강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토우캡의 후방과 같은 아치형 곡면 형상을 갖는 몸체; 및 상기 홈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접합날개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몸체의 외측면보다 더 낮은 외측면을 갖도록 상기 몸체의 전방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그 외측면이 상기 상부벽, 상기 엄지발가락측벽 및 상기 새끼발가락측벽 각각의 내측면에 접하는 접합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캡.
또한, 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토우캡은, 신발의 앞코 부분 내부에 내장되는 토우캡에 있어서, 전방벽, 상부벽, 엄지발가락측벽, 새끼발가락측벽이 각각 상기 토우캡의 전방면, 상면 및 양측면을 이루고, 상기 전방벽, 상기 엄지발가락측벽 및 상기 새끼발가락측벽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절곡부가 상기 토우캡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절곡부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는 상기 절곡부의 엄지발가락측 후방단부보다 상기 토우캡의 전방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에는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에서 상기 토우캡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여유공간부가 구비되되, 상기 여유공간부의 하부는 상기 절곡부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토우캡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새끼발가락이 위치하는 새끼발가락측벽의 일부분에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새끼발가락이 접촉되지 않는 공간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종래의 새끼발가락의 압박 으로 인한 통증 및 새끼발가락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홈부 및 이격부가 구비됨에 따라, 낙하물 등에 의해 토우캡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토우캡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외부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발을 전방으로 굽힐 때, 종래의 토우캡보다 발등이 토우캡의 후방에 닿는 것(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발등에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1곡면부 형상을 인체공학적으로 형성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발을 전방으로 더욱 굽힐 수 있도록 하여 발등에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우캡의 전방이 종래의 토우캡보다 전방 방향으로 더욱 이격되게 형성됨에 따라, 토우캡의 양측면이 종래의 토우캡보다 전방으로 더욱 경사진 유선형 형상을 갖게되며, 이를 통해, 발을 전방으로 굽힐 때, 발이 토우캡의 내부 방향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발을 전방으로 굽힐 때, 발등이 토우캡에 닿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곡면부에 의해 줄어든 거리를 전방으로 보상해줌으로써, 낙하물로부터 발가락을 보호하는 안전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제1곡면부 뿐만 아니라 제2곡면부 및 제3곡면부를 통해, 발을 전방으로 굽힐 때, 발등에 토우캡이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곡면부 및 제3곡면부로 인해, 제1곡면부에 쏠리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낙하물이 토우캡의 상면에 떨어질 때, 발가락 등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제1곡면부의 아치형 형상으로 인해, 토우캡의 상부벽은 발이 들어갈 수 있는 상하 방향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토우캡에 홈부가 구비되고, 홈부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갖는 쿠션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새끼발가락 외측면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높은 착용감을 달성할 수 있다.
토우캡에 홈부가 구비되고, 홈부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갖는 보강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발 전체에 압박이 가해지거나 통증을 느끼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새끼발가락 외측면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높은 착용감을 달성할 수 있다.
보강부재의 돌출부가 홈부에 끼워짐에 따라 오차 없이 토우캡에 보강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작공정상의 오차로 인해 발에 통증을 느끼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저면도.
도 4(a)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좌측면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우측면 단면도.
도 5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을 구비한 신발을 신은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 단면도.
도 6(a)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을 구비한 신발을 신은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을 전방으로 굽힌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과 발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종래의 토우캡들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을 비교한 평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토우캡의 분해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의 토우캡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저면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 도인 단면도 및/또는 사시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아래의 사항을 전제한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도 1 내지 도 13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내지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 10', 10", 10"')은 오른쪽 발에 사용되는 오른발용 토우캡(10, 10', 10", 10"')을 기준으로 도시한다. 따라서, 왼쪽 발용 토우캡은 후술할 설명에 따른 토우캡(10, 10', 10", 10"')과 좌우로 대칭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내지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 10', 10", 10"')의 전후방향 축선은 X축이고, 좌우방향 축선은 Y축이고, 상하방향 축선은 Z축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저면도이고, 도 4(a)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좌측면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우측면 단면도이고, 도 5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을 구비한 신발을 신은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 단면도이고, 도 6(a)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을 구비한 신발을 신은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을 전방으로 굽힌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과 발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종래의 토우캡들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을 비교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토우캡(10)의 전방면을 이루는 전방벽(100)과, 토우캡(10)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부벽(200)과, 토우캡(10)의 엄지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엄지발가락측벽(300)과, 토우캡(10)의 새끼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새끼발가락측벽(400)과,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며, 토우캡(10)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된 절곡부(500)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홈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토우캡(10)은, 전방벽(100),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새끼발가락측벽(400)이 각각 토우캡(10)의 전방면, 상면 및 양측면을 이루고,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절곡부(500)가 토우캡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홈부(43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통해, 토우캡(10)은, 바닥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전방벽(100),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에 의해 전방면, 상면 및 양측면이 폐쇄된 형상을 갖게 된다. 단, 이 경우, 새끼발가락측벽(400)의 일부는 홈부(430)에 의해 개방되므로, 새끼발가락측벽(400)에 홈부(430)가 형성된 측방으로 영역은 폐쇄되지 않고,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전방벽(100),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은 서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전방벽(100),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이 곡면으로 처리되어, 토우캡(10)의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전체적으로 유선형 형상을 갖는다.
절곡부(500)는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하부에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다.
절곡부(500)는 토우캡(10)의 바닥면의 일부만을 이루게 된다. 절곡부(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U' 자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토우캡(10)의 바닥면은 'U' 자 형상의 내부가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절곡부(500)는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내면과, 절곡부(500)의 상면이 이루는 사잇각이 90°이상이 되도록, 토우캡(10)의 바닥면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 경우, 절곡부(500)의 폭은 수㎜ 내지 수십㎜의 길이를 갖는다.
도 5, 도 6(a) 및 도 6(b)와 같은 신발(1)에 토우캡(10)이 구비될 경우, 절곡부(500)의 상부에는 안창(2)이 위치하게 된다.
전방벽(100)은 토우캡(10)의 전방면을 이루며, 전방으로 갈수록 제2최전방점(A2)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전방벽(100)은 곡률을 갖는 곡선을 갖으며, 이를 통해, 제2최전방점(A2)으로 모아지는 유선형 형상을 갖는다.
상부벽(200)은 전방벽(100)의 중앙 후방단부에서 연장되며, 토우캡(10)의 상면을 이룬다.
상부벽(200)은 신발 착용자의 발가락들의 상부를 덮음으로써, 낙하물로부터 발가락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부벽(200)의 후방단부에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곡면부(210)가 구비된다.
제1곡면부(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최전방점(A1)을 갖으며, 제1최전방점(A1)은 제1곡면부(210)에서 가장 최전방에 위치하는 점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1곡면부(210)는 제1최전방점(A1)에서 엄지발가락측으로 연장되는 곡면을 갖고, 새끼발가락측으로 연장되는 곡면을 갖음으로써 형성된다.
제1곡면부(210)의 제1단부점(B1)은 엄지발가락측벽(300)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제2곡면부(310)의 상부와 연결되고, 제1곡면부(210)의 제2단부점(B2)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제3곡면부(410)의 상부와 연결된다.
제1단부점(B1)은 제1곡면부(210)에서 엄지발가락측 방향으로의 단부점을 의미하고, 제2단부점(B2)은 제1곡면부(210)에서 새끼발가락측 방향으로의 단부점을 의미한다.
토우캡(10)의 평면도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우캡(10)의 상부에서 바라본 제1곡면부(210)의 형상은 제1단부점(B1), 제1최전방점(A1), 제2단부점(B2)이 엄지발가락측에서 새끼발가락측 순서로 순차적으로 연장되게 이어지며, 전방 방향으로 볼록한 아치형 형상을 갖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전방 방향으로 볼록한 아치형 형상의 최전방은 제1최전방점(A1)이다.
또한, 토우캡(10)의 배면도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우캡(10)의 배면에서 바라본 제1곡면부(210)의 형상은 제1단부점(B1), 제1최전방점(A1), 제2단부점(B2)이 엄지발가락측에서 새끼발가락측 순서로 순차적으로 연장되게 이어지며,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아치형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아치형 형상은 제2수직평면(P2)을 기준으로 제1단부점(B1)으로 연장되는 곡면이 제2단부점(B2)으로 연장되는 곡면보다 곡률반경이 작은 경사를 갖는 비대칭 아치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아치형 형상의 최상부점은 제2수직평면(P2) 상에서 제1최전방점(A1)과 만나는 점일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곡면부(210)의 아치형 형상으로 인해, 토우캡(10)의 상부벽(200)은 발(F)이 들어갈 수 있는 상하 방향 길이(높이), 즉, Z축 방향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엄지발가락측벽(300)은 전방벽(100)의 엄지발가락측 후방단부에서 연장되며, 토우캡(10)의 측면을 이룬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우캡(10)이 오른발용 토우캡(10)일 경우, 엄지발가락측벽(300)은 토우캡(10)의 좌측면을 이룬다.
엄지발가락측벽(300)은 후방으로 갈수록 엄지발가락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엄지발가락측벽(300)은 곡률을 갖는 곡선을 갖으며, 이를 통해, 유선형 형상을 갖는다.
엄지발가락측벽(300)의 후방단부에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곡면부(310)가 구비된다.
제2곡면부(310)는 엄지발가락측벽(300)의 상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굴곡진 형상을 갖는다.
제2곡면부(310)는 엄지발가락측벽(300)의 상부로 갈수록 완만하게 전방으로 경사진 제1-1경사면과, 제1-1경사면의 상부에서 연장되며, 상부로 갈수록 제1-1경사면보다 전방으로 더 큰 기울기를 갖으면서 급격하게 경사진 제1-2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곡면부(310)는 제1-1경사면과 제1-2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굴곡진 형상을 갖는다.
제2곡면부(310)의 상부는 제1곡면부(210)의 제1단부점(B1)과 연결된다.
새끼발가락측벽(400)은 전방벽(1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에서 연장되며, 토우캡(10)의 측면을 이룬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우캡(10)이 오른발용 토우캡(10)일 경우, 새끼발가락측벽(400)은 토우캡(10)의 우측면을 이룬다.
새끼발가락측벽(400)은 후방으로 갈수록 새끼발가락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새끼발가락측벽(400)은 곡률을 갖는 곡선을 갖으며, 이를 통해, 유선형 형상을 갖는다.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3곡면부(410)가 구비된다.
제3곡면부(410)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상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굴곡진 형상을 갖는다.
제3곡면부(410)의 상부는 제1곡면부(210)의 제2단부점(B2)과 연결된다.
전술한 제2곡면부(310) 및 제3곡면부(410)의 형상으로 인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F)을 전방으로 굽힐 때, 발등이 토우캡(10)에 닿는 것(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발등을 더욱 굽힐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발등을 90° 이상으로 젖혀도 발등이 토우캡(10)의 제1곡면부(21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2곡면부(310) 및 제3곡면부(410)로 인해, 제1곡면부(210)에 쏠리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낙하물이 토우캡(10)의 상면에 떨어질 때, 발가락 등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제3곡면부(410)의 하부에는 홈부(430)가 구비된다.
홈부(430)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홈부(430)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킨다.
이러한 홈부(4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신발(1)을 신을 때, 새끼발가락이 토우캡(10)의 새끼발가락측벽(40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홈부(430)는 사용자가 토우캡(10)이 구비된 신발(1)을 신을 때, 새끼발가락이 위치하는 곳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새끼발가락이 토우캡(10)의 새끼발가락측벽(40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홈부(430)는 절곡부(500)의 상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홈부(430)는 제3곡면부(410)와 절곡부(500) 사이에 위치한다.
홈부(430)는 절곡부(500)와 상부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이로 인해, 홈부(430)와 절곡부(500)의 사이에는 이격부(431)가 형성된다.
이격부(431)는 홈부(430)의 하부에서 절곡부(500)와 홈부(430)를 연결하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일부분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홈부(430)는 절곡부(500)와 상부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홈부(430)와 절곡부(500)의 사이에는 이격부(431)가 형성되며, 이격부(431)는 홈부(430)의 하부에서 절곡부(500)와 홈부(430)를 연결하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일부분이다.
위와 같이, 홈부(430)와 절곡부(500)의 사이에 이격부(431)가 형성됨에 따라, 홈부(430)의 곡면 형상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격부(431)가 형성됨에 따라, 토우캡(1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홈부(430)의 기능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격부(431)의 후방단부에는 후술할 제2최후방점(C2)이 위치하게 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술한 홈부(430)의 구성으로 인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우캡(10)의 엄지발가락측벽(300)과 새끼발가락측벽(400)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게 된다.
다시 말해, 토우캡(10)의 엄지발가락측벽(300)과 새끼발가락측벽(400)은 상호 비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이하, 도 5, 도 6(a), 도 6(b)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사용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우캡(10)은 신발(1)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어, 발(F)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토우캡(10)의 절곡부(500)의 상부에는 안창(인솔, 2)이 구비되며, 안창(2)은 발바닥이 닿는 부분이다.
안창(2)의 하부에는 미드솔(3)이 구비되며, 미드솔(3)의 하부에는 신발(1)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4)이 구비된다.
또한, 토우캡(10)의 외면에는 외피(5)가 감싸지며, 이러한 외피(5)는 신발(1)의 외면 및 형상을 이룬다.
사용자가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토우캡(10)을 구비한 신발(1)을 신게 되면, 도 6 및 도 6(a)와 같이, 토우캡(10)이 발(F)의 앞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토우캡(10)은 발(F)의 앞부분의 전방, 양측면 및 상부를 감싸게 되며, 이를 통해, 낙하물 등으로부터 발의 앞부분, 즉, 발가락들을 보호하게 된다. 단, 홈부(430)로 인해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사용자가 작업, 도보 등을 할 때, 도 6(b)와 같이 발(F)을 앞으로 굽히게 되면, 사용자의 발(F)은 도 7의 MP라인(MP)을 따라 앞, 즉, 전방으로 굽혀지게 된다.
MP라인(MP)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우캡(10)에 구비된 제1곡면부(210)로 인해, 전방으로 접혀진 발(F)의 발등과, 제1곡면부(210)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발등이 토우캡(10)에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과 발(F)의 관계와, 종래의 토우캡들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과의 차이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신발(1) 전체를 도시하지 않고, 토우캡(10)과 발(F)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7 및 도 8에는 발(F)이 토우캡(10)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이는 도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일 뿐, 실제적으로 토우캡(10)의 내측면에 엄지발가락의 외측면이 접촉하게 된다.
또한, 이하의 수치들은, 엄지발가락이 토우캡(10)의 내측면에 접할 때까지 발(F)을 토우캡(10)의 내부로 위치시켰을 때(다시 말해, 신발(1)을 신었을 때, 발(F)이 정위치할 때)를 기준으로 한다.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구성들에 대해 설명한다.
발(F)의 저면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F)의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발가락부(O), 앞꿈치부(Q), 족궁부(R), 뒤꿈치부(S)의 영역으로 나눠질 수 있다.
발가락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족골(G, Metatarsal)과, 중족골(G) 보다 앞쪽 부분인 지골(J, 발가락뼈, Phalanx)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중족골(G)과 지골(J)을 접속하는 관절을 MP(Metatarsal Phalanx) 관절이라고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MP라인(MP)은 엄지발가락(첫번째 발가락), 두번째 발가락, 세번째 발가락, 네번째 발가락, 새끼발가락(다섯번째 발가락)의 각 MP관절을 완만하게 연결한 가상적인 만곡선이다.
이러한 MP라인(MP)은 발(F)을 전방으로 접을 때, 발(F)이 접히는 기준선이 된다. 다시 말해, MP라인(MP)을 기준으로 발(F)이 전방으로 접히는 것이다.
제1수직평면(P1)은 엄지발가락측벽(300)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제1최후방점(C1) 및 새끼발가락측벽(400)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제2최후방점(C2)을 연결하는 수직평면이다. 이러한 제1수직평면(P1)은 토우캡(10)의 좌우 방향 축선인 Y축과, 상하 방향 축선인 Z축을 포함하는 Y-Z 평면이다.
이 경우, 제1최후방점(C1) 및 제2최후방점(C2)은 토우캡(10)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점이다. 따라서, 제1수직평면(P1)은 토우캡(10)의 최후방점을 연결하는 수직평면이라고 할 수 있다. 제2최후방점(C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이격부(431)의 후방단부에 위치하는 점이다.
제2수직평면(P2)은 제1곡면부(210)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제1최전방점(A1) 및 신발(1)에 착용되는 발(F)의 두번째 발가락(SF)의 두번째 MP관절점(E)을 연결하는 수직평면이다. 이러한 제2수직평면(P2)은 토우캡(10)의 전후 방향 축선인 X축과, 상하 방향 축선인 Z축을 포함하는 X-Z 평면이다.
제3수직평면(P3)은 제1곡면부(210)의 제1단부점(B1)과, 제1곡면부(210)의 제2단부점(B2)일 연결하는 수직평면이다. 이러한 제3수직평면(P3)은 토우캡(10)의 좌우 방향 축선인 Y축과, 상하 방향 축선인 Z축을 포함하는 Y-Z 평면이다. 또한, 제3수직평면(P3)은 제1수직평면(P1)과 평행한 수직평면이며, 제1수직평면(P1)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이격된 수직평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과 발(F)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신발(1)을 착용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발가락의 엄지발가락측 외측면이 엄지발가락측벽(30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새끼발가락의 새끼발가락측 외측면이 홈부(4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엄지발가락은 엄지발가락측벽(300)의 내측면에 접하나, 새끼발가락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내측면에 접하지 않는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엄지발가락측벽(300)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제1최후방점(C1) 및 새끼발가락측벽(400)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제2최후방점(C2)을 연결하는 제1수직평면(P1)은, 제1곡면부(210)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제1최전방점(A1) 및 신발에 착용되는 발(F)의 두번째 발가락(SF)의 두번째 MP관절점(E)을 연결하는 제2수직평면(P2)과 서로 수직을 이룬다.
이 경우, 두번째 MP관절점(E)은 두번째 발가락(SF) 내의 범위에서 두번째 발가락(SF)의 중족골(G)과 지골(J)을 연결하는 점일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따라 토우캡(10)의 좌, 우 폭, 즉, 제1최후방점(C1)과, 제2최후방점(C2) 사이의 길이(w1)는 82㎜ 내지 92㎜ 이다. 이 경우, 도 6과 같이, 사용자가 신발(1)을 착용하게 될 때, 두번째 발가락(SF)은 엄지발가락측벽(300)으로부터 새끼발가락측벽(400) 방향으로 25㎜ 내지 30㎜ 이격되게 위치하게 되고, 두번째 발가락(SF)의 두께는 17㎜ 내지 25㎜ 이다.
따라서, 두번째 MP관절점(E)은 엄지발가락측벽(300)으로부터 새끼발가락측벽(400) 방향으로 42㎜ 내지 55㎜ 이격되는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최전방점(A2)은 이러한 두번째 MP관절점(E)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최전방점(A2) 또한, 엄지발가락측벽(300)으로부터 새끼발가락측벽(400) 방향으로 42㎜ 내지 55㎜ 이격되는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2최전방점(A2)이 두번째 MP관절점(E)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함에 따라, 두번째 MP관절점(E), 제1최전방점(A1) 및 제2최전방점(A2)이 동일선상에 놓일 수 있으며, 제2수직평면(P2)은 상기 동일선상에 놓인 두번째 MP관절점(E), 제1최전방점(A1) 및 제2최전방점(A2)을 모두 지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수직평면(P2)은 두번째 MP관절점(E), 제1최전방점(A1) 및 제2최전방점(A2)을 모두 연결한 수직평면이 되며, 이러한 제2수직평면(P2)은 제1수직평면(P1)과 서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두번째 MP관절점(E)과 제1수직평면(P1) 사이의 수평거리(d1)은 4㎜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수직평면(P1)과 제1최전방점(A1) 사이의 수평거리(d2)는 4㎜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두번째 MP관절점(E), 제1수직평면(P1), 제1최전방점(A1) 사이의 수평거리의 관계가 만족함에 따라, 제1곡면부(210)의 최적 곡률이 설정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MP라인(MP)은 발(F)을 전방으로 굽힐 때, 기준선이 된다. 이러한 MP라인(MP) 중 두번째 MP관절점(E)은 MP라인(MP)에서 최전방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토우캡(10)의 경우, 두번째 MP관절점(E)과 제1수직평면(P1) 사이의 수평거리(d1)를 4㎜ 내지 30㎜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F)을 전방으로 굽힐 때, 발등이 토우캡(10)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신발(1) 착용감을 보다 편안하게 하고, 발의 접힘에 따른 발등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수직평면(P1)과 제1최전방점(A1) 사이의 수평거리(d2)는 제1곡면부(210)의 곡률과 관계되는 수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우캡(10)의 좌, 우 폭, 즉, 제1최후방점(C1)과, 제2최후방점(C2) 사이의 길이(w1)가 82㎜ 내지 92㎜ 일 경우, 제1수직평면(P1)과 제1최전방점(A1) 사이의 수평거리(d2)가 4㎜ 내지 20㎜일 때, 제1곡면부(210)는 MP라인(MP)보다 곡률반경이 작은, 보다 완만한 곡률을 갖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수직평면(P1)과 제1최전방점(A1) 사이의 수평거리(d2)와, 제1최후방점(C1)과, 제2최후방점(C2) 사이의 길이(w1)의 비, 즉, 'd2 : w1' 은 '1 : 4.1 내지 23' 관계를 만족할 때, 제1곡면부(210)는 MP라인(MP)보다 완만한 곡률을 갖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F)을 전방으로 굽힐 때, 발(F)이 전방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어 토우캡(10)에 발등이 닿게 되더라도, 발등의 곡률보다 제1곡면부(210)의 곡률이 더욱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어, 발등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제1최전방점(A1)이 두번째 MP관절점(E)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음으로써,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 즉, 제1곡면부(210)의 곡률 형상이 MP라인(MP)보다 완만한 곡률을 가지면서도, 두번째 MP관절점(E)에 대응되는 위치가 최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1곡면부(210)의 형상 자체가 발등의 형상과 유사하고 완만한 곡면을 갖게 되며, 이를 통해, 발등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1곡면부(210)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곡면부(210)의 제1단부점(B1)과, 제1곡면부(210)의 제2단부점(B2)일 연결하는 제3수직평면(P3)과, 제1곡면부(210)의 제1최전방점(A1) 사이의 수평거리(d4)는 2㎜ 내지 8㎜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수직평면(P3)과 제1수직평면(P1)과의 수평거리(d5)는 2㎜ 내지 12㎜ 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평거리(d2) = 수평거리(d4) + 수평거리(d5)' 의 관계를 만족한다. 또한, 수평거리(d4)와 수평거리(d5)의 비 즉, '수평거리(d4) : 수평거리(d5)'는 '1 : 0.25 내지 6'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제1최전방점(A1)과 토우캡(10)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제2최전방점(A2) 사이의 수평거리(d3)는 30㎜ 내지 5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수평거리(d3)가 30㎜ 내지 52㎜ 를 만족함에 따라, 토우캡(10)의 양측면에서 전방 방향으로의 유선형 형상이 더욱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움직일 때, 발(F)이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더욱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F)이 전방으로 접혀질 때, 발(F)이 토우캡(10)의 내부, 즉, 전방 방향으로 밀려서 들어갈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토우캡(10)의 양측면에서 전방 방향으로의 유선형 형상이 더욱 경사지게 형성되면, 엄지발가락의 외측면이 토우캡(10)의 내부 양측면에 걸리게 되어 발(F)이 토우캡(1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수평거리(d2)는 제1곡면부(210) 및 수평거리(d1)의 구성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F)이 전방으로 접혀질 때, 발등이 토우캡(10)에 닿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곡면부(210)로 인해, 토우캡(10)의 상면의 수평거리가 줄어든 것을 수평거리(d2)로서 보상할 수 있으므로, 토우캡(10)을 통해 낙하물에 의한 발(F)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종래의 토우캡들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과의 차이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는 특허문헌 1(한국등록특허 제10-1292383호)의 종래기술에 언급된 종래의 토우캡과 발(F)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이고, 도 8(b)는 특허문헌 1(한국등록특허 제10-1292383호)의 토우캡과 발(F)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이고, 도 8(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과 발(F)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도 8(a)의 토우캡을 제1종래토우캡(20)이라 하고, 도 8(b)의 토우캡을 제2종래토우캡(30)이라 한다.
제2종래토우캡(30)의 최후방부는 제1종래토우캡(20)의 최후방부보다 후방으로 'd6' 거리만큼 연장되어 있다.
제1종래토우캡(20)의 최전방점과, 제2종래토우캡(30)의 최전방점은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제2종래토우캡(30)의 연장측벽(31)은 제2종래토우캡(30)의 최후방부보다 'd7' 거리만큼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토우캡(10)의 최후방부, 즉, 도 6의 제1최후방점(C1)과 제2최후방점(C2)을 연결하는 제1수직평면(P1)은, 제1종래토우캡(20)의 최후방부보다는 후방으로 'd7' 만큼 연장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토우캡(10)의 최전방부, 즉, 도 6의 제2최전방점(A2)은, 제1종래토우캡(20)의 최전방부 및 제2종래토우캡(30)의 최전방부보다 전방으로 'd8'거리만큼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토우캡(10)에는 제1곡면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토우캡(10)의 제1곡면부(210)는 제2종래토우캡(30)의 곡면부보다 전방으로 'd9'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토우캡(10)과 제1, 2종래토우캡(20, 30)의 차이점으로 인해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토우캡(10)의 제1곡면부(210)가 제2종래토우캡(30)보다 전방 방향으로 'd9'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발(F)을 전방으로 접을 때, 발등이 토우캡(10)에 닿는 것을 제2종래토우캡(30)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토우캡(10)의 제1곡면부(210)는 단순히 전방으로 제1곡면부(210)를 추가로 연장하여 형성한 것이 아닌 제1곡면부(210)가 MP라인(MP)보다 완만한 곡률을 갖으면서, 두번째 MP관절점(E)에 대응되게 제1최전방점(A1)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인체공학적으로 발등이 토우캡(10)에 닿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발등이 더욱 접힐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토우캡(10)의 제1최전방점(A1)이 제1, 2종래토우캡(20, 30)보다 전방 방향으로 'd8'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토우캡(10)의 양측면이 제1, 2종래토우캡(20, 30)보다 전방으로 더욱 경사진 유선형 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발(F)을 전방으로 굽힐 때, 발(F)이 전방 방향, 즉, 토우캡(10)의 내부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발(F)을 전방으로 굽힐 때, 발등에 토우캡(10)이 닿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1곡면부(210)에 의해 줄어든 거리를 전방으로 보상해줌으로써, 낙하물로부터 발가락을 보호하는 안전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제2종래토우캡(30)은 새끼발가락의 보호를 위해 제1종래토우캡(20)의 구성에서 새끼발가락측의 측벽의 후단부 모서리를 후방으로 연장한 연장측벽(31)을 구비토록한 구조이다.
이러한 제2종래토우캡(30)은 연장측벽(31)의 구성을 통해 새끼발가락의 보호에는 유용하겠지만, 연장측벽(31)의 후단부에 내측을 향하여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된 만곡 모서리가 추가로 형성됨에 따라 발등을 굽혔을 때, 발등이 제1종래토우캡(20)에 비해 만곡 모서리에 보다 쉽게 접촉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제1종래토우캡(20)을 기준으로 발등을 굽혔을 때, 제1종래토우캡(20)에 비해 발등이 토우캡에 더 안닿게 함으로써, 굽힘에 따른 불편함으로 해소한 것이다.
다시 말해, 제2종래토우캡(30)은 제1종래토우캡(20)을 기준으로 연장측벽(31) 및 만곡 모서리를 추가하여 새끼발가락을 보호하고자 하는 것인 반면에,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제1종래토우캡(20)을 기준으로 제1곡면부를 통해 발등이 맞닿을 수 있는 부분을 제거하여 발등의 굽힘에 따른 불편함이 없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발(F)을 전방으로 굽힐 때, 토우캡(10)의 제1곡면부(210)에 발등이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식 토우캡(10)으로서, 종래의 토우캡들을 사용시, 사용자의 발등이 종래의 토우캡들의 후단에 접촉되어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해소한 것이다.
제2종래토우캡(30)은 연장측벽(31)으로 인해, 새끼발가락이 연장측벽(31)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새끼발가락측벽(400)에 홈부(430)가 구비되어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끼발가락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는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토우캡(10)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내측면에 새끼발가락이 접촉하지 않음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토우캡은 외부 충격, 즉, 낙하물 등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해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제2종래토우캡(30) 또한 금속재질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가 제2종래토우캡(30)이 구비된 신발을 신고 이동을 하거나 작업을 할 때 새끼발가락이 연장측벽(31)의 내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새끼발가락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내측면 또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모서리 부분에 의해 지속적으로 압박된다. 따라서, 장시간동안 신발을 신게되면,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나아가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에 통증 또는 부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토우캡(10)의 경우,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이 홈부(4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으므로, 새끼발가락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게 되며, 위와 같은 제2종래토우캡(30)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금속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토우캡(10)에서 새끼발가락이 위치하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일부분에 홈부(430)를 형성함으로써, 새끼발가락이 접촉되지 않는 공간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새끼발가락의 압박 및 통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홈부(430)로 인해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이 토우캡(10)에 의해 덮혀있지 않더라도, 홈부(430)를 제외한 면이 새끼발가락측벽(400)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외부 충격, 즉, 차량 바퀴 등으로 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이 부상당할 염려가 없다.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홈부(430) 및 이격부(431)의 형상으로 인해, 낙하물 등에 의해 토우캡(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토우캡(1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토우캡(10)에 낙하물이 떨어져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이격부(431) 및 홈부(4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인해, 홈부(430)가 찌그러지져 함몰 된다. 이처럼 홈부(430)가 함몰됨에 따라, 낙하물에 의한 충격량이 흡수되며, 토우캡(10)의 다른 부분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격부(431) 및 홈부(430)의 형상을 달리하여 설계함에 따라 전술한 홈부(430)의 함몰 형상을 인위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홈부(430) 및 이격부(431)를 통한 토우캡(10)의 충격흡수 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제1종래토우캡(20) 및 제2종래토우캡(30)과 구조적인 차이가 있다.
위와 같은 구족적인 차이로 인해, 본 발명의 토우캡(10)은 새끼발가락의 압박으로 인한 불편감 해소 및 새끼발가락에 부상 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발(F)을 전방으로 접을 때, 제1종래토우캡(20) 및 제2종래토우캡(10)과 달리, 발등이 토우캡(10)에 닿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토우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토우캡(10')의 전방면을 이루는 전방벽(100)과, 토우캡(10')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부벽(200)과, 토우캡(10')의 엄지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엄지발가락측벽(300)과, 토우캡(10')의 새끼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새끼발가락측벽(400)과,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며, 토우캡(10')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된 절곡부(500)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홈부(430)와, 홈부(430)를 덮도록 토우캡(1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쿠션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전방벽(100),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새끼발가락측벽(400)이 각각 토우캡(10')의 전방면, 상면 및 양측면을 이루고,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절곡부(500)가 토우캡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홈부(4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홈부(430)를 덮도록 토우캡(1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쿠션부재(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에 쿠션부재(600)를 더 포함하여, 또는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a), 도 9(b)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재(600)는 그 외측면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내측면에 접하는 접합부(610)와, 홈부(430)에 끼워지도록 접합부(6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800)는 홈부(430)의 형상에 치합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돌출부(800)는 홈부(430)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돌출부(800)의 두께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돌출부(800)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바깥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토우캡(10')을 신발에 구비할 때, 토우캡(10')과 신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접합부(610)는 돌출부(800)로부터 연장되어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접합부(610)의 외측면과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내측면의 넓은 접촉 면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610)의 두께는 돌출부(8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토우캡(10')이 구비된 신발을 신을 때, 높은 착용감을 보장할 수 있다.
쿠션부재(600)가 토우캡(10')의 결합은 접착제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접합부(610)의 외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새끼발가락측벽(400)과 쿠션부재(600)의 접합부(610)가 접착제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홈부(43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돌출부(800)의 둘레면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홈부(430)와 돌출부(800)가 접착제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쿠션부재(600)는 토우캡(10') 재질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질의 재질로는 고무, 합성고무, 연질의 플라스틱 등일 수 있다. 예컨데, 토우캡(10')이 금속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쿠션부재(600)는 토우캡(10')의 재질보다 경도가 낮은 고무, 합성고무,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부재(600)를 이루는 연질의 재질의 경도는 쇼어A(Shore-A) 10 이하의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쇼어A(Shore-A) 10 이하의 경도를 갖는 재질은 말랑말랑하고 부드러운 연질의 특성을 갖는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효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토우캡(10')에 홈부(430)가 구비되고, 홈부(430)를 덮는 쿠션부재(600)가 더 구비됨에 따라,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이 쿠션부재(600)의 접합부(610)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쿠션부재(600)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돌출부(800)가 일정한 두께를 갖음으로써. 돌출부(800)가 일종의 쿠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새끼발가락 외측면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착용감 또한 상승하게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홈부(430)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히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토우캡의 새끼발가락측벽에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쿠션부재를 구비할 경우, 새끼발가락측벽의 경도가 높으므로, 결과적으로 새끼발가락 외측면에 압박이 가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홈부(430)를 통해 새끼발가락측벽(400)에 공간을 확보하고, 이러한 공간, 즉, 홈부(430)에 돌출부(800)를 끼운 형태로 쿠션부재(600)를 구비시킴으로써, 말랑말랑한 연질의 재질을 갖는 쿠션부재(600)만이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새끼발가락의 통증, 압박, 부상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토우캡(10')은 홈부(430)가 형성되고, 새끼발가락 외측면에 접촉하는 부분을 토우캡(10')의 재질과 다른 연질의 이종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새끼발가락 외측면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높은 착용감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토우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토우캡(10")의 전방면을 이루는 전방벽(100)과, 토우캡(10")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부벽(200)과, 토우캡(10")의 엄지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엄지발가락측벽(300)과, 토우캡(10")의 새끼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새끼발가락측벽(400)과,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며, 토우캡(10")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된 절곡부(500)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홈부(430)와, 토우캡(10")의 후방에 설치되는 보강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전방벽(100),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새끼발가락측벽(400)이 각각 토우캡(10")의 전방면, 상면 및 양측면을 이루고,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절곡부(500)가 토우캡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홈부(4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토우캡(10")의 후방에 설치되는 보강부재(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에 보강부재(700)를 더 포함 또는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700)는 토우캡(10")의 후방에 설치되며, 토우캡(10)의 후방과 같은 아치형 곡면 형상을 갖는 몸체(710)와, 몸체(710)의 외측면보다 더 낮은 외측면을 갖도록 몸체(710)의 전방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그 외측면이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내측면에 접하는 접합날개(730)와, 홈부(430)에 끼워지도록 접합날개(7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710)는 토우캡(10)의 후방과 같은 아치형 곡면 형상을 갖는다. 다시 말해, 몸체(710)는 토우캡(10)의 상부벽(200)의 후방단부, 엄지발가락측벽(300)의 후방단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가 연결된 아치형 곡면 형상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접합날개(730)는 몸체(710)의 외측면보다 더 낮은 외측면을 갖도록 몸체(710)의 전방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접합날개(730) 또한, 몸체(710)와 같이, 토우캡(10)의 후방과 같은 아치형 곡면 형상을 갖는다.
위와 같이, 접합날개(730)가 몸체(710)의 외측면보다 더 낮은 외측면을 갖도록 몸체(710)의 전방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700)가 토우캡(10)의 후방에 설치될 때, 접합날개(730)의 외측면이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며, 이를 통해, 보강부재(700)가 토우캡(10)의 후방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돌출부(800)는 홈부(430)에 끼워지도록 접합날개(730)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이 경우, 돌출부(800)는 홈부(43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돌출부(800)는 홈부(430)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돌출부(800)의 두께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돌출부(800)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바깥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토우캡(10")을 신발에 구비할 때, 토우캡(10")과 신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보강부재(700)와 토우캡(10")의 결합은 접착제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토우캡(10")의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접합날개(730)의 외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토우캡(10")의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과 보강부재(700)의 접합날개(730)가 접착제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홈부(43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돌출부(800)의 둘레면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홈부(430)와 돌출부(800)가 접착제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강부재(700)는 토우캡(10") 재질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질의 재질로는 고무, 합성고무, 연질의 플라스틱 등일 수 있다. 예컨데, 토우캡(10")이 금속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쿠션부재(600)는 토우캡(10")의 재질보다 경도가 낮은 고무, 합성고무,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부재(700)의 돌출부(800)는 몸체(710) 및 접합날개(730)와 다른 이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돌출부(800)의 경도는 몸체(710) 및 접합날개(730)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돌출부(800)를 통한 쿠션 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돌출부(800)를 이루는 연질의 재질의 경도는 쇼어A(Shore-A) 10 이하의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쇼어A(Shore-A) 10 이하의 경도를 갖는 재질은 말랑말랑하고 부드러운 연질의 특성을 갖는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효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토우캡(10")의 후방에 보강부재(700)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토우캡(10")이 구비된 신발을 신고 활동을 할 때, 발의 상부가 보강부재(700)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경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토우캡(10")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와 달리, 연질의 보강부재(700)가 발에 닿음으로써, 발에 압박이 가해지거나 통증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우캡(10")에 홈부(430)가 구비되고, 홈부(430)에 끼워지는 돌출부(800)를 구비한 보강부재(700)를 더 구비함에 따라,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이 돌출부(800)가 위치한 접합날개(730)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보강부재(700)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돌출부(800)가 일정한 두께를 갖음으로써. 돌출부(800)가 일종의 쿠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새끼발가락 외측면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착용감 또한 상승하게 된다.
다시 말해, 홈부(430)를 통해 새끼발가락측벽에 공간을 확보하고, 이러한 공간, 즉, 홈부(430)에 보강부재(700)의 돌출부(800)가 끼워져 있으므로, 말랑말랑한 연질의 재질을 갖는 보강부재(700)만의 접합날개(730)만이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새끼발가락의 통증, 압박, 부상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700)를 토우캡(10")의 후방에 설치할 때, 돌출부(800)가 홈부(430)에 끼워져 설치되므로, 보강부재(700)가 틀어지게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오차 없이 토우캡(10")에 보강부재(7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오차 없이 토우캡(10")에 보강부재(700)를 결합시킴에 따라, 토우캡(10")을 신발에 구비할 때, 제작공정상의 오차로 인해, 발에 통증을 느끼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보강부재(700)는 몸체(710)에 접합날개(730)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부재(700)와 토우캡(10")의 결합은 돌출부(8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홈부(43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돌출부(800)의 둘레면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홈부(430)와 돌출부(800)가 접착제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700)의 몸체(710)에 접합날개(730)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로도 구현될 경우, 보강부재(700)와 토우캡(10")의 결합은 몸체(710) 자체와 돌출부(8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몸체(710)의 외측면의 일부가 토우캡(10")의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내측면에 접촉함으로써, 보강부재(700)와 토우캡(1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토우캡(10")의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몸체(710)의 외측면의 일부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토우캡(10")의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과 보강부재(700)의 몸체(710)가 접착제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홈부(43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돌출부(800)의 둘레면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홈부(430)와 돌출부(800)가 접착제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의 저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토우캡(10"')의 전방면을 이루는 전방벽(100)과, 토우캡(10"')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부벽(200)과, 토우캡(10"')의 엄지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엄지발가락측벽(300)과, 토우캡(10"')의 새끼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새끼발가락측벽(400"')과,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며, 토우캡(10"')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절곡부(500"')와,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여유공간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절곡부(5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는 절곡부(500"')의 엄지발가락측 후방단부(510"')보다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에 위치하고, 여유공간부(430"')의 하부는 절곡부(5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전방벽(100), 상부벽(200), 엄지발가락측벽(300), 새끼발가락측벽(400"')이 각각 토우캡(10"')의 전방면, 상면 및 양측면을 이루고, 전방벽(100), 엄지발가락측벽(300) 및 새끼발가락측벽(400"')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절곡부(500"')가 토우캡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절곡부(5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는 절곡부(500"')의 엄지발가락측 후방단부(510"')보다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에 위치하고,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에서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여유공간부(430"')가 구비되되, 여유공간부(430"')의 하부는 절곡부(5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와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와 비교하여, 여유공간부(430"')와 홈부(430)의 형상(여유공간부(430"')와 홈부(430)는 서로 대응됨) 및 절곡부(500"')의 형상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들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절곡부(500"')는 절곡부(5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는 절곡부(500"')의 엄지발가락측 후방단부(510"')보다 토우캡(10"')의 전방 방향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엄지발가락측 후방단부(510"')는 절곡부(5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보다 토우캡(10"')의 후방 방향에 위치한다.
따라서, 절곡부(500"')는 토우캡(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절곡부(5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의 위치와, 절곡부(500"')의 엄지발가락측 후방단부(510"')의 위치가 상호 비대칭을 이루게 된다.
여유공간부(430"')는 그 하부가 위와 같은 형상을 갖는 절곡부(5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새끼발가락측벽(400"')에서 여유공간부(430"')가 위치하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하부 후방단부의 위치는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를 갖을 수 있다.
위와 같은, 여유공간부(430"') 및 절곡부(500"')의 형상으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에 비해 더 넓은 면적의 여유공간부(430"')를 갖게 된다. 다시 말해, 토우캡(10"')의 새끼발가락측벽(400"')에서 새끼발가락이 위치하는 곳, 즉,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하부에 넓은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은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상관 없이, 새끼발가락측벽(400"')이 새끼발가락에 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여유공간부(430"')가 위치하는 새끼발가락측벽(400"')의 하부 후방단부의 위치는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를 갖게 형성함으로써, 절곡부(500"')와 여유공간부(430"')의 형성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0"')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쿠션부재(600)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의 보강부재(7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토우캡(10"')과 쿠션부재(600) 또는 보강부재(700)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쿠션부재(600)의 돌출부(800) 및 보강부재(700)의 돌출부(800)의 형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토우캡(100"')의 여유공간부(430"')의 형상 또는 여유공간부(430"')의 형상 및 절곡부(500"')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520")의 형상으로 인해 형성된 공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신발 2: 안창
3: 미드솔 4: 아웃솔
5: 외피
10, 10', 10", 10"': 토우캡 20: 제1종래토우캡
30: 제2종래토우캡 31: 연장측벽
100: 전방벽 200: 상부벽
210: 제1곡면부 300: 엄지발가락측벽
310: 제2곡면부 400, 400"': 새끼발가락측벽
410: 제3곡면부 430: 홈부
430"': 여유공간부
431: 이격부 500, 500"': 절곡부
510"': 엄지발가락측 후방단부
520"':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
600: 쿠션부재 610: 접합부
700: 보강부재 710: 몸체
730: 접합날개 800: 돌출부
A1: 제1최전방점 A2: 제2최전방점
B1: 제1단부점 B2: 제2단부점
C1: 제1최후방점 C2: 제2최후방점
E: 두번째 MP관절점 F: 발
G: 중족골 J: 지골
O: 발가락부 Q: 앞꿈치부
R: 족궁부 S: 뒤꿈치부
P1: 제1수직평면 P2: 제2수직평면
P3: 제3수직평면
MP: MP라인 SF: 두번째 발가락

Claims (7)

  1. 신발의 앞코 부분 내부에 내장되는 토우캡에 있어서,
    상기 토우캡의 전방면을 이루는 전방벽;
    상기 토우캡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부벽;
    상기 토우캡의 엄지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엄지발가락측벽;
    상기 토우캡의 새끼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새끼발가락측벽;
    상기 전방벽, 상기 엄지발가락측벽 및 상기 새끼발가락측벽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토우캡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된 절곡부;
    상기 상부벽의 후방단부에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곡면부; 및
    새끼발가락이 위치하는 곳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절곡부와 상부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홈부와 상기 절곡부의 사이에는 이격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격부는 상기 홈부의 하부에서 상기 절곡부와 상기 홈부를 연결하는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를 덮도록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쿠션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쿠션부재는, 그 외측면이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내측면에 접하는 접합부; 및 상기 홈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접합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재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우캡의 후방에 설치되는 보강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토우캡의 후방과 같은 아치형 곡면 형상을 갖는 몸체; 및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몸체의 외측면보다 더 낮은 외측면을 갖도록 상기 몸체의 전방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그 외측면이 상기 상부벽, 상기 엄지발가락측벽 및 상기 새끼발가락측벽 각각의 내측면에 접하는 접합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캡.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캡.
  7. 신발의 앞코 부분 내부에 내장되는 토우캡에 있어서,
    상기 토우캡의 전방면을 이루는 전방벽;
    상기 토우캡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부벽;
    상기 토우캡의 엄지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엄지발가락측벽;
    상기 토우캡의 새끼발가락측 측면을 이루는 새끼발가락측벽;
    상기 전방벽, 상기 엄지발가락측벽 및 상기 새끼발가락측벽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토우캡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된 절곡부;
    상기 상부벽의 후방단부에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곡면부; 및
    새끼발가락이 위치하는 곳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새끼발가락의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새끼발가락측벽의 후방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개구시키며, 그 하부는 상기 절곡부의 새끼발가락측 후방단부와 연결되는 여유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우캡.
KR1020190094458A 2018-12-19 2019-08-02 토우캡 KR102401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458A KR102401084B1 (ko) 2018-12-19 2019-08-02 토우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272A KR102010036B1 (ko) 2018-12-19 2018-12-19 토우캡
KR1020190094458A KR102401084B1 (ko) 2018-12-19 2019-08-02 토우캡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272A Division KR102010036B1 (ko) 2018-12-19 2018-12-19 토우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572A KR20200076572A (ko) 2020-06-29
KR102401084B1 true KR102401084B1 (ko) 2022-05-20

Family

ID=81798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458A KR102401084B1 (ko) 2018-12-19 2019-08-02 토우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0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663B1 (ko) * 2022-07-01 2023-10-30 신재웅 안전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997A (ja) 2003-06-20 2005-01-13 Simon Corp 安全靴先芯用トーキャップサポータ
KR101724626B1 (ko) * 2017-01-16 2017-04-07 신재웅 압력 분산 구조의 안전화 토캡용 보강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1515B2 (ja) * 1994-09-13 1998-11-05 ミドリ安全株式会社 安全靴用先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29463B1 (ko) 2008-09-09 2011-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긴급문자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03188958B (zh) * 2010-11-05 2016-07-13 绿安全株式会社 包头和包头内置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997A (ja) 2003-06-20 2005-01-13 Simon Corp 安全靴先芯用トーキャップサポータ
KR101724626B1 (ko) * 2017-01-16 2017-04-07 신재웅 압력 분산 구조의 안전화 토캡용 보강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572A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5337B2 (en) Shoe with a composite insole
KR101598130B1 (ko) 트레이닝에 적합한 신발의 신발바닥
US20200093223A1 (en) Sole Structure and Shoe with the Sole Structure
US5365678A (en) Mid-sole or sole of shoes
US20200093219A1 (en) Sole Structure and Shoe with the Sole Structure
JP7425275B2 (ja) カウンタを備えた靴
EP3982781A1 (en) Footwear article with a plate and method for customizing such a footwear article
JP7085649B2 (ja) シューズ
KR102010036B1 (ko) 토우캡
EP2883469B1 (en) Structure of high-heeled shoe
KR102401084B1 (ko) 토우캡
KR101973769B1 (ko) 토우캡
KR101690708B1 (ko)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구두용 중창
JP7261817B2 (ja)
JP2003038207A (ja) 中 敷
KR102175901B1 (ko) 연질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우캡 조립체
WO2020136914A1 (ja)
KR101251586B1 (ko) 충격흡수 및 충격분산기능이 구비된 신발밑창
KR102595663B1 (ko) 안전화
WO2020261562A1 (ja) シューズ
JP2007268087A (ja) シューズ
WO2022224348A1 (ja) 靴底および靴
JP7411179B2 (ja) 靴のヒール
CN217826966U (zh) 一种运动鞋的鞋面及运动鞋
JP6582109B2 (ja) シューズ用アッパ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