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130B1 - 트레이닝에 적합한 신발의 신발바닥 - Google Patents

트레이닝에 적합한 신발의 신발바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130B1
KR101598130B1 KR1020117023812A KR20117023812A KR101598130B1 KR 101598130 B1 KR101598130 B1 KR 101598130B1 KR 1020117023812 A KR1020117023812 A KR 1020117023812A KR 20117023812 A KR20117023812 A KR 20117023812A KR 101598130 B1 KR101598130 B1 KR 101598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hardness
belt
pressing
mid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3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0593A (ko
Inventor
테츠로 쿠라시나
야스히로 모리카와
마코토 가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아식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아식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아식스
Publication of KR20140060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outsole or external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57S-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신발바닥(1)은 내측 밟기부(23, 33)와 외측 밟기부(24, 34) 사이에 있어서 전후로 긴 띠형상의 띠형상부(4)를 구비하고, 띠형상부(4)는 돌출부(40)를 가지고, 돌출부(40)는 전후 방향(X)으로 연속적 내지 단속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돌출부(40)의 접지면은 내측 밟기부(23, 33) 및 외측 밟기부(24, 34)의 접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리고 하기의 (a), (b) 중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의 조건을 만족한다. (a) 띠형상부(4)의 미드솔(2)의 경도가 내측 밟기부(23, 33) 및 외측 밟기부(24, 34)의 미드솔(2)의 경도보다 크다. (b) 띠형상부(4)의 아웃솔(3)의 경도가 내측 밟기부(23, 33) 및 외측 밟기부(24, 34)의 아웃솔(3)의 경도보다 크다.

Description

트레이닝에 적합한 신발의 신발바닥{SHOE SOLE OF SHOE SUITABLE FOR TRAINING}
본 발명은 일상적으로 착용함으로써 자세 교정이나 근력 증강의 트레이닝이 될 수 있는 신발의 신발바닥에 관한 것이다.
발바닥의 하중의 중심이 일정한 압력 중심을 따른 상태에서 보행함으로써, 아름다운 보행 자세가 얻어진다. 그러나, 현대인 특히 여성이나 고령자는 근력이 약하고, 그 때문에 압력 중심이 보행중에 발의 내외로 동요하기 쉽다.
트레이닝용으로 접지면이 돌출된 신발바닥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6-55600A(요약) 일본 특허 공개 2005-169053A(요약) 일본 특허 공표 2003-508098A(요약)
예를 들면, 문헌 1, 2에는 전후 방향으로 긴 돌조를 구비한 신발바닥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신발을 착용함으로써, 몸의 무게중심에 관한 보정이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각 신발바닥은 신발바닥의 내외의 중앙이 하방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어, 그 때문에, 발의 내외의 동요가 커지기 쉽다. 따라서, 일상생활에 있어서 상기 각 신발바닥을 가지는 신발을 착용하기는 어려워, 실용적으로 제공할 수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상생활에 있어서 착용할 수 있고, 보행 자세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트레이닝 슈즈의 신발바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느 태양의 신발바닥은, 착지시에 접지하는 접지면을 가지는 아웃솔과, 상기 아웃솔 위에 배치되고 착지의 충격을 완화하는 미드솔을 구비한 신발바닥에 있어서, 중족 지절간관절을 포함하는 밟기 영역에 있어서 발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측 밟기부와, 상기 밟기 영역에 있어서 발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 밟기부와, 상기 내측 밟기부와 외측 밟기부 사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긴 띠형상의 띠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띠형상부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 내지 단속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접지면은 상기 내측 밟기부 및 외측 밟기부의 접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리고 하기의 (a), (b) 중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의 조건을 만족한다.
(a) 상기 띠형상부의 상기 미드솔의 경도가 상기 내측 밟기부 및 외측 밟기부의 미드솔의 경도보다 크다.
(b) 상기 띠형상부의 상기 아웃솔의 경도가 상기 내측 밟기부 및 외측 밟기부의 아웃솔의 경도보다 크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에 기술하는 (i)~(iii)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효과(i) :
본 발명의 신발바닥을 가지는 신발을 착용자가 착용하여 보행하면, 밟기 영역에 있어서 중앙의 돌출부가 접지하고, 또한 내측 및 외측 밟기부가 접지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착용자가 보행의 밸런스를 유지하고자 하여, 상기 중앙의 띠형상부 위에 하중 중심 즉 압력 중심이 위치하도록 착용자는 걸을 것이다. 그 때문에, 압력 중심의 이동 궤적의 불균일이 작아지는 것이 기대된다. 또, 상기 띠형상부 위에 압력 중심이 위치하도록 걸으려고 함으로써, 안정적인 보행 자세의 유지나, 추가적인 근활동량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돌출부의 돌출량이 지나치게 크면, 일상에 있어서 착용자가 사용할 수 없거나, 안심하고 보행할 수 없을 것이다.
효과(ii) :
여기서, 본 발명의 신발바닥에 있어서는, 밟기 영역의 띠형상부의 미드솔 및/또는 아웃솔의 경도는 내측이나 외측의 경도보다 크다. 그 때문에, 상기 띠형상부는 압축되기 어려워, 상기 띠형상부가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효과(i)가 얻어지기 위한 띠형상부의 돌출량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 때문에, 보행의 안정성이 저해되지 않아, 일상에 있어서 착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이동 궤적이 안정적이고, 보행 자세의 개선이나 근활동량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효과(iii) :
특히, 띠형상부는 단단하고, 그 때문에 발바닥에 띠형상부의 존재 또는 띠형상부로부터의 반력을 착용자는 느끼기 쉬울 것이다. 그 때문에, 착용자는 띠형상부를 의식하여 보행하고, 그 결과 소기의 아름다운 보행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등, 상기 효과(i)가 얻어지기 쉬울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밟기 영역은 적어도 중족 지절간(MP)관절을 포함하고, 보다 상세하게는 중족골 골체의 일부, 중족골 골두, MP 관절, 기절골 골저 및 기절골 골두의 일부를 포함한다. 이들 부위가 보행시에 노면을 캐치하여 찰 때에, 착용자가 띠형상부를 의식함으로써 보행 자세가 안정되고, 또 근의 활동량이 커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밟기 영역의 띠형상부는 제2 발가락 또는 제3 발가락의 MP 관절 또는 이들의 족지 사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돌출부는 전후 방향으로 분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전후 방향으로 분단되어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전후 방향으로 길다」는 띠형상부가 발의 긴 축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경우 외에, 띠형상부가 밟기부의 외측 가장자리 또는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비스듬히 전방 등으로 연장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띠형상」은 띠형상부의 발 폭 방향의 폭보다 띠형상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큰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경도가 크다」는 미드솔이나 아웃솔이 압축되기 어려운, 즉 영률이 큰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띠형상부 및 돌출부의 발 폭 방향의 크기(폭)는 각각 2mm~50mm정도가 바람직하고, 3mm~40mm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며, 5mm~30mm정도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띠형상부나 돌출부의 폭이 작으면, 착용자가 발바닥에 돌출부를 느끼기 어려울 것이다. 한편, 상기 폭이 크면 상기 이동 궤적이 불안정해지기 쉬울 것이다.
또한, 띠형상부의 폭이 돌출부의 폭보다도 크거나 하여, 양자의 폭은 서로 상이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측 및 외측 밟기부에 대한 돌출부의 돌출량은 0.1~5.0mm정도가 바람직하고, 0.3~4.5mm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며, 0.5~4.0mm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돌출량이 작으면 착용자가 발바닥에 돌출부를 느끼기 어렵다. 한편, 돌출량이 크면 보행이 불안정해지기 쉽다.
미드솔은 주로 수지의 발포체로 형성되지만, 상기 발포체 이외에 고무 탄성을 가지는 연질 수지가 내측 및 외측 밟기부 등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미드솔의 상기 수지의 발포체의 경도는 실용상 JIS K 7312에 규정되는 경도(이하, 「C경도」라고 함)로 30도~90도 정도가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미드솔의 띠형상부와 띠형상부 이외의 발포체의 경도차는 C경도로 5도~40도 정도가 바람직하고, 10도~35도 정도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경도차가 작으면 착용자가 발바닥에 띠형상부를 느끼기 어렵고, 경도차가 크면 상기 실용적인 경도 범위로부터 벗어나기 쉬워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띠형상부의 발포체의 경도는 C경도로 60도~85도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고, 65도~85도 정도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띠형상부 이외의 미드솔의 발포체의 경도는 C경도로 38도~63도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고, 43도~63도 정도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아웃솔은 고무의 발포체 또는 비발포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도는 실용상 C경도로 50도~95도 정도가 바람직할 것이다.
아웃솔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띠형상부와, 그 양 사이드의 부위(내측 및 외측 밟기부나 내측 및 외측 비(非)밟기부)와의 경도차는 C경도로 5도~30도 정도가 바람직하고, 7도~20도 정도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경도차가 작으면 착용자가 발바닥에 띠형상부를 느끼기 어렵다. 한편, 경도차가 크면 상기 실용적인 경도 범위로부터 벗어나기 쉬워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아웃솔의 돌출부 및 띠형상부의 경도는 C경도로 70도~92도 정도가 바람직하고, 75도~90도 정도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아웃솔의 띠형상부의 양 사이드의 부위에 대해서는, C경도로 55도~80도 정도가 바람직하고, 60도~75도 정도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바닥을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신발바닥을 비스듬히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3B의 IIIA-IIIA선으로 단면한 신발바닥의 개략 종단면도, 도 3B는 미드솔의 개략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신발바닥과 발의 골격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저면도이다.
도 5는 신발바닥을 나타내는 개략 저면도이다.
도 6A는 도 5에 있어서의 VIA-VIA선 단면도, 도 6B는 도 5에 있어서의 VIB-VIB선 단면도, 도 6C는 도 5에 있어서의 VIC-VIC선 단면도, 도 6D는 도 5에 있어서의 VID-VID선 단면도, 도 6E는 도 5에 있어서의 VIE-VIE선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각각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횡단면도이다.
도 8A는 미드솔의 띠형상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저면도, 도 8B 및 도 8C는 미드솔의 띠상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및 (b)의 쌍방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신발바닥은 미드솔 및 아웃솔의 쌍방에 대해서, 띠형상부의 경도가 내측 밟기부 및 외측 밟기부의 경도보다 크다. 그 때문에, 상기 효과(i)~(iii)가 현저하게 발휘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아웃솔보다 두껍고, 또한 적어도 상기 (a)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미드솔은 아웃솔보다 유연하며, 또한 두께가 크다. 이러한 미드솔에 대해서 띠형상부의 경도가 큰 경우, 상기 효과(i)~(iii)가 발휘되기 쉬울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의 띠형상부와 상기 아웃솔의 상기 내측 및 외측 밟기부 사이가 분리되고, 또한 적어도 상기(b)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드솔을 각 영역마다 분리하는 것은 수고스럽고 비용 증대로 연결된다. 그 때문에 미드솔의 각 영역에 대해서 경도차를 두는 것은 비용 증대를 초래한다. 한편, 아웃솔은 내외와 중앙으로 분리할 수 있고, 따라서 이 태양의 경우 아웃솔의 각 영역에 대해서 경도차를 두어도 그다지 비용이 증대하지 않을 것이다.
단단한 아웃솔은 돌출부의 접지면의 마모를 저하시키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부의 아웃솔이 고무의 비발포체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 및 외측 밟기부의 아웃솔이 고무의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태양에 의하면, 비발포체의 고무는 발포체보다 큰 경도를 얻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밟기부보다 전방의 전단부와, 상기 밟기부보다 후방에 있어서 리스프랑 관절을 포함하는 비밟기 영역을 추가로 구비하고, 여기에 있어서 상기 비밟기 영역은 상기 비밟기 영역에 있어서 발의 내측을 덮는 내측 비밟기부와, 상기 비밟기 영역에 있어서 발의 외측을 덮는 외측 비밟기부와, 상기 내측 비밟기부와 상기 외측 비밟기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밟기부의 띠형상부에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이어지는 전후 방향으로 긴 띠형상의 띠형상 비밟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띠형상 비밟기부의 접지면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접지하고, 상기 띠형상 비밟기부의 상기 접지면은 상기 내측 및 외측 밟기부의 접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띠형상 비밟기부의 아웃솔의 경도가 상기 내측 및 외측 비밟기부의 아웃솔의 경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태양에 의하면, 비밟기 영역에 있어서도 접지하는 단단한 띠형상 비밟기부는 상기 효과(i)~(iii)를 더욱 높일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의 내측 및 외측 비밟기부의 경도가 상기 아웃솔의 내측 및 외측 밟기부의 경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태양에 의하면, 경도가 큰 내측 및 외측 비밟기부는 발의 아치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경도가 큰 띠형상부는 밟기부의 굴곡성을 저하시킨다. 그러나, 경도가 작은 내측 및 외측 밟기부의 아웃솔이 상기 굴곡성을 보충할 것이다.
본 태양에 있어서, 비밟기 영역은 아웃솔이 접지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리스프랑 관절 및 그 근방의 부위이며, 또한 발의 아치가 형성된 영역을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초파트 관절 및 그 근방의 부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밟기부보다 전방의 전단부와, 상기 밟기부보다 후방에 있어서 리스프랑 관절을 포함하는 비밟기 영역을 추가로 구비하고, 여기에 있어서 상기 비밟기 영역은 상기 비밟기 영역에 있어서 발의 내측을 덮는 내측 비밟기부와, 상기 비밟기 영역에 있어서 발의 외측을 덮는 외측 비밟기부와, 상기 내측 비밟기부와 상기 외측 비밟기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밟기부의 띠형상부에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이어지는 전후로 긴 띠형상의 띠형상 비밟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띠형상 비밟기부에 있어서 미드솔의 경도가 상기 내측 및 외측 비밟기부의 미드솔의 경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태양에 의하면, 비밟기 영역에 있어서 접지하는 단단한 띠형상 비밟기부는 상기 효과(i)~(iii)를 더욱 높일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부와 상기 내측 및 외측 밟기부 사이에는 각각 상기 미드솔 및 아웃솔의 쌍방에 상기 띠형상부를 따라 연장되는 세로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 비밟기부는 발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밟기 영역의 상기 띠형상부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비스듬히 내측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태양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보행시의 하중 무게중심은 후족부로부터 비밟기 영역에 있어서 발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밟기 영역에 있어서 약간 내측으로 기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밟기 영역의 띠형상부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비스듬히 내측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따라서 하중 무게중심을 의식한 보행이 용이해질 것이다.
즉, 풋 플랫으로부터 차기 시작할 때에 걸쳐서의 발의 움직임이 통상보다 내측으로 크게 비틀어지는 것 같은 움직임이 된다. 이와 같이 발의 움직임이 커지는 것은 무릎관절이나 고관절의 움직임이 커지는데도 도움이 되고, 통상보다 근활동을 촉진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의 신발바닥은 착지시에 접지하는 접지면을 가지는 아웃솔과, 상기 아웃솔 위에 배치되고 착지의 충격을 완화하는 미드솔을 구비한 신발바닥에 있어서, 중족 지절간관절을 포함하는 밟기 영역에 있어서 발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측 밟기부와, 상기 밟기 영역에 있어서 발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 밟기부와, 상기 내측 밟기부와 외측 밟기부 사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긴 띠형상의 띠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띠형상부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 내지 단속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접지면은 상기 내측 밟기부 및 외측 밟기부의 접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띠형상부와 상기 내측 밟기부 및 외측 밟기부 사이에는 각각 상기 미드솔 및 아웃솔의 쌍방에 상기 띠형상부를 따라 연장되는 세로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도 착용자가 소기의 아름다운 보행 자세를 유지할 수 있거나 하여, 상기 효과(i)~(iii)가 얻어질 것이다.
즉, 띠형상부의 접지면이 접지하면, 띠형상부의 아웃솔 및 미드솔이 압축 변형된다. 이 때, 상기 띠형상부의 압축 변형에 따라 내측 및 외측 밟기부의 미드솔도 동시에 압축 변형을 할 것이다. 상기 세로홈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내측 및 외측 밟기부의 변형에 의해, 즉 변형의 연속성에 의해, 상기 띠형상부의 변형이 작아질 것이다. 한편, 상기 세로홈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변형의 연속성이 저하되고, 그 때문에, 상기 띠형상부에 있어서 큰 압축 변형이 얻어질 것이다.
이 큰 압축 변형은 상기 돌출된 띠형상부의 돌출을 작게 하므로, 보행의 안정성을 높일 것이다.
또, 착용자는 압축된 띠형상부의 미드솔의 반력을 발바닥에 느끼기 쉬울 것이다. 그 때문에 착용자는 띠형상부를 의식하여 보행한다. 그 결과, 착용자가 소기의 아름다운 보행 자세를 유지할 수 있거나 하여, 상기 효과(i)~(iii)가 얻어지기 쉬울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밟기부보다 후방에 있어서 리스프랑 관절을 포함하는 비밟기 영역을 추가로 구비하고, 여기에 있어서 상기 비밟기 영역은 상기 비밟기 영역에 있어서 발의 내측을 덮는 내측 비밟기부와, 상기 비밟기 영역에 있어서 발의 외측을 덮는 외측 비밟기부와, 상기 내측 비밟기부와 상기 외측 비밟기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밟기 영역의 띠형상부에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이어지는 전후로 긴 띠형상의 띠형상 비밟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띠형상 비밟기부와 상기 내측 및 외측 비밟기부 사이에 상기 띠형상 비밟기부를 따라 상기 세로홈이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 비밟기부는 발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밟기 영역의 상기 띠형상부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비스듬히 내측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적합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 및 도면은 단지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서 이용되어야 할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진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도면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품 번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따라서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왼발용의 신발바닥(1)이 예시되어 설명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발바닥(1)은 아웃솔(3) 및 미드솔(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는 아웃솔(3)의 접지면에 형성된 미세한 홈(소위 의장)은 생략되어 있다.
아웃솔(3)은 노면과 접하는 접지면을 가지고 있다.
미드솔(2)은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웃솔(3) 위에 배치되고, 착지의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미드솔(2)은 아웃솔(3)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4에 있어서, 미드솔(2)의 저면에는 망점으로 나타내는 복수개의 파트로 분리된 아웃솔(3)이 설치되어 있다. 아웃솔(3) 및 미드솔(2)에는 도 1의 띠형상부(4) 및 도 3B의 띠형상부(2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전족부(12) ;
도 4에 나타내는 전족부(12)는 제1 중족골(B41)~제5 중족골(B45)의 각 골체보다 발끝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밟기 영역(12a) ;
도 4에 있어서, 전족부(12)는 밟기 영역(12a)을 포함한다. 밟기 영역(12a)은 중족 지절간관절(MP)을 포함하고, 상세하게는 제1 발가락~제4 발가락의 제1 중족골(B41)~제4 중족골(B44)의 골두와, 제1 발가락~제4 발가락의 제1 기절골(B31)~제4 기절골(B34)을 포함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밟기 영역(12a)에는 상기 미드솔(2) 및 아웃솔(3)의 내측 밟기부(23, 33), 외측 밟기부(24, 34) 및 띠형상부(2b, 4)의 일부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내측 밟기부(23, 33)는 밟기 영역(12a)에 있어서 발의 내측(IN)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상기 내측 밟기부(23, 33)는 제1 발가락(f1)의 MP 관절이나 제1 기절골(B31)의 일부를 지지한다.
외측 밟기부(24, 34)는 밟기 영역(12a)에 있어서 발의 외측(OUT)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외측 밟기부(24, 34)는 제4 발가락(f4) 및 제5 발가락(f5)의 제4 기절골(B34, B35)을 지지한다.
후족부(10) ;
도 3B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웃솔(3)의 후단부(30) 및 미드솔(2)의 후족부(10)는 종골(B9)에 대체로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비밟기 영역(11a) ;
도 4에 나타내는 상기 중족부(11)는 비밟기 영역(11a)을 포함한다.
비밟기 영역(11a)은 초파트 관절(JC) 및 리스프랑 관절(JL)을 포함한다.
초파트 관절(JC)은 거골(B8)과, 입방골(B7) 및 주상골(B6) 사이의 관절이다. 리스프랑 관절(JL)은 내측 설상골(B51), 중간 설상골(B52), 외측 설상골(B53) 및 입방골(B7)과, 제1 중족골(B41)~제5 중족골(B45) 사이의 관절이다.
도 3B 및 도 5에 나타내는 비밟기 영역(11a)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2) 및 아웃솔(3)에는 내측 비밟기부(21, 31), 외측 비밟기부(22, 32) 및 띠형상 비밟기부(2b1, 41)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비밟기부(21, 31)는 비밟기 영역(11a)에 있어서 발의 내측(IN)을 덮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내측 비밟기부(21, 31)는 제1 발가락(f1) 내지 제2 발가락(f2)의 리스프랑 관절(JL)을 덮는다.
외측 비밟기부(22, 32)는 비밟기 영역(11a)에 있어서 발의 외측(OUT)을 덮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외측 비밟기부(22, 32)는 제4 발가락(f4) 내지 제5 발가락(f5)의 리스프랑 관절(JL)을 덮는다.
띠형상 비밟기부(2b1, 41)는 각각 상기 띠형상부(2b, 4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띠형상 비밟기부(2b1, 41)는 내측 비밟기부(31(21))와 외측 비밟기부(32(22)) 사이에 있어서 전후로 긴 띠형상의 부분이다. 띠형상 비밟기부(41)는 초파트 관절(JC) 근방으로부터 전방(X1)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띠형상부(4)의 일부를 구성하는 띠형상 비밟기부(41, 2b1)의 폭방향(W)의 양 사이드에는 내측 비밟기부(31, 21) 및 외측 비밟기부(32, 22)가 형성되어 있다.
즉, 띠형상부(2b, 4)는 내측 밟기부(23, 33)와 외측 밟기부(24, 34) 사이, 및 내측 비밟기부(21, 31)와 외측 비밟기부(22, 32)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도 3의 미드솔(2)의 띠형상부(2b)는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다.
도 3B 및 도 4에 있어서, 미드솔(2)은 예를 들면 EVA 등의 수지의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다.
미드솔(2)에 있어서의 띠형상부(2b)의 경도는 상기 띠형상부(2b) 이외의 부분(2a)의 경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띠형상부(2b)와 상기 부분(2a)은 해칭의 방향을 서로 바꾸어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드솔(2)의 상기 부분(2a)의 발포체의 경도는 C경도로 53도 정도로 설정되어 있고, 한편, 띠형상부(2b)의 경도는 C경도로 75도로 설정되어 있다. 띠형상부(2b)의 폭, 즉 발 폭 방향의 크기는 예를 들면 10~15mm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아웃솔(3) :
도 5의 망점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웃솔(3)은 서로 분리된 복수개의 파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드솔(2)의 후족부(10), 중족부(11) 및 전족부(12)의 저면에 섬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아웃솔(3)은 고무의 비발포체로 이루어지는 후단부(30) 및 띠형상부(4)와, 고무의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내측 비밟기부(31), 외측 비밟기부(32), 내측 밟기부(33), 외측 밟기부(34) 및 전단부(35)를 구비한다.
상기 띠형상부(4)는 전후 방향(X)에 있어서 후단부(30)와 전단부(35) 사이에, 예를 들면 3개의 띠형상의 파트로 분리되어 단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띠형상부(4)의 양 사이드에는 각각 복수개의 파트로 이루어지는 내측 및 외측 비밟기부(31, 32)와 복수개의 파트로 이루어지는 내측 및 외측 밟기부(33, 34)가 배치되어 있다.
아웃솔(3)의 각 파트의 경도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경도의 차이에 따라 아웃솔(3)의 각 파트에 대해서는, 서로 상이한 망점의 크기나 밀도로 나타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후단부(30)의 경도는, 예를 들면, JIS K 6253에 규정되는 경도(이하, 「A경도」라고 함)로 약70도, 당해 경도값을 C경도로 환산한 값으로 약86도로 설정되어 있다.
내측 비밟기부(31) 및 외측 비밟기부(32)의 경도는 예를 들면 C경도로 70도로 설정되어 있다.
내측 밟기부(33) 및 외측 밟기부(34)의 경도는 예를 들면 C경도로 67도로 설정되어 있다.
전단부(35)의 경도는 예를 들면 C경도로 70도로 설정되어 있다.
띠형상부(4)의 경도는, 예를 들면, A경도로 약63도, 당해 경도값을 C경도로 환산한 값으로 약82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띠형상부(4)의 경도는 그 양 사이드의 내측 비밟기부(31), 외측 비밟기부(32), 내측 밟기부(33) 및 외측 밟기부(34)의 경도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띠형상부(4) ;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웃솔(3)의 띠형상부(4)는 미드솔(2)의 띠형상부(2b)에 대체로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미드솔(2)의 띠형상부(2b)를 덮도록 겹쳐져 설치되어 있다. 아웃솔(3)의 띠형상부(4)는 미드솔(2)의 띠형상부(2b)보다 후방까지 연장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웃솔(3)의 띠형상부(4)는 발의 전후 방향(X)으로 긴 띠형상에 단속적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띠형상부(4)의 폭은 띠형상부(2b)와 대체로 동일한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내측 비밟기부(31)와 외측 비밟기부(32) 사이에는, 아웃솔(3)의 띠형상부(4)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띠형상 비밟기부(41)가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밟기 영역(12a) 및 비밟기 영역(11a)에 있어서 띠형상부(4(2b))는 후방(리스프랑 관절(JL))으로부터 전방으로 감에 따라 비스듬히 내측(IN)의 전방(X1)을 향하여 기울어 있다. 한편, 후족부(10)에 있어서 아웃솔의 띠형상부(4)는 발의 긴 축 방향(전후 방향(X))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부(2b, 4)는 비밟기 영역(11a) 및 밟기 영역(12a)에 있어서, 제3 발가락(f3)의 리스프랑 관절(JL)로부터 제2 발가락(f2)의 중족 지절간관절(MP)에 대응하는 위치를 통과하여 제1 발가락(f1)의 제1 기절골(B31)의 골두를 향하여 비스듬히 기울어 있다.
돌출부(40) ;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웃솔의 띠형상부(4)의 각 파트는 복수의 돌출부(40)를 각각 가지고 있다. 각 돌출부(40)는 전후 방향(X)으로 긴 띠형상이며, 또한 각 돌출부(40)가 띠형상부(4)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6B 내지 도 6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40)의 접지면은 그 양측의 접지면을 구성하는 내측 비밟기부(31), 외측 비밟기부(32), 내측 밟기부(33) 및 외측 밟기부(34)의 접지면보다, 예를 들면 0.5mm~1.5mm 정도 하방(Z1)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돌출부(40)는 띠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따라서 양측의 부분(31~34)보다 돌출부(40)가 접지하기 쉽다. 그 때문에, 착용자는 착지하고 있을 때부터 땅에서 떨어질 때까지의 동안에 띠형상부(4)에 대응하는 부위를 발바닥에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돌출부(40)가 하방(Z1)으로 돌출되어 있다」는 평탄한 노면에 신발바닥의 이면을 대면시킨 경우에, 띠형상부(4)에 있어서 접지하고, 당해 띠형상부(4)의 양측의 부위가 접지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돌출부(40)에는 미세한 홈이 설치되어 있고, 이 홈의 부분은 양측의 부위의 접지면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세로홈(2d, 3d) :
도 1, 도 5 및 도 6B 내지 도 6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부(2b, 4)와, 그 양측의 신발바닥의 부분 사이에는 세로홈(2d, 3d)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미드솔(2)의 세로홈(2d)은 미드솔(2)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함몰된 홈으로 형성되고, 한편, 상기 아웃솔(3)의 세로홈(3d)은 아웃솔(3)의 띠형상부(4)와 그 양측의 부분(31, 32)을 분리하고 있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세로홈(2d, 3d)은 띠형상부(4)와 그 양 사이드의 내측 비밟기부(21, 31), 외측 비밟기부(22, 32), 내측 밟기부(23, 33), 외측 밟기부(24, 34) 및 전단부(35)와의 연속성이 저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미드솔(2) 및 아웃솔(3)에는 다수의 가로홈(2g, 3g)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로홈(2g, 3g)은 신발바닥의 굴곡을 쉽게 한다.
또한, 미드솔(2) 및 아웃솔(3)의 가로홈(2g, 3g)은 상기 띠형상의 돌출부(40)를 전후 방향으로 분리한다.
도 7A 내지 도 7D 및 도 8A 내지 도 8C는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드솔(2)의 띠형상부(2b)가 상방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드솔(2)의 띠형상부(2b)가 아웃솔(3) 내까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웃솔(3)에 있어서, 띠형상부(4)와, 띠형상부(4)의 양측의 내측 비밟기부(31)(내측 밟기부(33)) 및 외측 비밟기부(32)(외측 밟기부(34))가 일체로 이어져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웃솔(3)에 있어서, 띠형상부(4)와, 띠형상부(4)의 양측의 내측 비밟기부(31)(내측 밟기부(33)) 및 외측 비밟기부(32)(외측 밟기부(34)) 사이에 세로홈(3d)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부(4)의 각 돌출부(40)는 전후 방향(X)의 길이(L)보다 발 폭 방향의 폭(W) 쪽이 커도 된다.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웃솔(3)의 띠형상부(4)는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돌출부(40)만이 단속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미드솔(2)의 띠형상부(2b)는 연속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미드솔(2)에 대해서도 띠형상부(2b)는 단속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띠형상부(2b) 및 띠형상부(4)가 밟기 영역(12a)에 있어서 비스듬히 내측의 전방(X1)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띠형상부(2b) 및 띠형상부(4)는 밟기 영역(12a)에 있어서 비스듬히 외측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전후 방향(X)을 따라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적합한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를 보고 자명한 범위내에서 각종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상정할 것이다.
예를 들면, 미드솔은 수지의 발포체에 오목한 부분 등을 마련하여 수지의 발포체 이외의 완충 요소가 충전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완충 요소로서는 고무와 같은 연질 엘라스토머나 칼집모양 부재(pod)가 알려져 있다.
또, 아웃솔의 각 파트의 전부는 고무의 비발포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반대로 고무의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비밟기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신발바닥의 저면이 접지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비밟기 영역의 접지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돌출부를 설치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미드솔에 대한 기술 사상을 깔창에 대해서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아웃솔의 띠형상부의 접지면을 돌출시키지 않는 경우에도, 어느 정도의 효과는 얻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보행 자세의 교정이나 근력 증강의 트레이닝용의 신발에 적용할 수 있다.
1 : 신발바닥
2 : 미드솔
2b1 : 띠형상 비밟기부
2d, 3d : 세로홈
3 : 아웃솔
4, 2b : 띠형상부
11a : 비밟기 영역
12a : 밟기 영역
21, 31 : 내측 비밟기부
22, 32 : 외측 비밟기부
23, 33 : 내측 밟기부
24, 34 : 외측 밟기부
40 : 돌출부
IN : 내측
JL : 리스프랑 관절
MP : 중족 지절간관절
X : 전후 방향

Claims (13)

  1. 착지시에 접지하는 접지면을 가지는 아웃솔과, 상기 아웃솔 위에 배치되고 착지의 충격을 완화하는 미드솔을 구비한 신발바닥에 있어서,
    중족 지절간관절을 포함하는 밟기 영역에 있어서 발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측 밟기부와,
    상기 밟기 영역에 있어서 발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 밟기부와,
    상기 내측 밟기부와 외측 밟기부 사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긴 띠형상의 띠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띠형상부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 내지 단속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접지면은 상기 내측 밟기부 및 외측 밟기부의 접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리고, 하기의 (a), (b) 중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a) 상기 띠형상부의 상기 미드솔을 형성하는 수지의 발포체의 경도가 상기 내측 밟기부 및 외측 밟기부의 미드솔을 형성하는 수지의 발포체의 경도보다 크다.
    (b) 상기 띠형상부의 상기 아웃솔을 형성하는 고무의 경도가 상기 내측 밟기부 및 외측 밟기부의 아웃솔을 형성하는 고무의 경도보다 크다.
  2. 제 1 항의 상기 (a) 및 (b)의 쌍방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아웃솔보다 두껍고, 또한 제 1 항의 적어도 상기 (a)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의 띠형상부와 상기 아웃솔의 상기 내측 및 외측 밟기부가 서로 분리되고, 또한 제 1 항의 적어도 상기 (b)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부의 아웃솔이 고무의 비발포체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 및 외측 밟기부의 아웃솔이 고무의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밟기 영역보다 전방의 전단부와,
    상기 밟기 영역보다 후방에 있어서 리스프랑 관절을 포함하는 비밟기 영역을 추가로 구비하고, 여기에 있어서 상기 비밟기 영역은,
    상기 비밟기 영역에 있어서 발의 내측을 덮는 내측 비밟기부와,
    상기 비밟기 영역에 있어서 발의 외측을 덮는 외측 비밟기부와,
    상기 내측 비밟기부와 상기 외측 비밟기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밟기부의 띠형상부에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이어지는 전후 방향으로 긴 띠형상의 띠형상 비밟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띠형상 비밟기부의 접지면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접지하고,
    상기 띠형상 비밟기부의 상기 접지면은 상기 내측 및 외측 밟기부의 접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띠형상 비밟기부의 아웃솔을 형성하는 고무의 경도가 상기 내측 및 외측 비밟기부의 아웃솔을 형성하는 고무의 경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의 내측 및 외측 비밟기부를 형성하는 고무의 경도가 상기 아웃솔의 내측 및 외측 밟기부를 형성하는 고무의 경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밟기 영역보다 전방의 전단부와,
    상기 밟기 영역보다 후방에 있어서 리스프랑 관절을 포함하는 비밟기 영역을 추가로 구비하고, 여기에 있어서 상기 비밟기 영역은,
    상기 비밟기 영역에 있어서 발의 내측을 덮는 내측 비밟기부와,
    상기 비밟기 영역에 있어서 발의 외측을 덮는 외측 비밟기부와,
    상기 내측 비밟기부와 상기 외측 비밟기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밟기부의 띠형상부에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이어지는 전후 방향으로 긴 띠형상의 띠형상 비밟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띠형상 비밟기부에 있어서 미드솔을 형성하는 수지의 발포체의 경도가 상기 내측 및 외측 비밟기부의 미드솔을 형성하는 수지의 발포체의 경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부와 상기 내측 및 외측 밟기부 사이에는, 각각 상기 미드솔 및 아웃솔의 쌍방에 상기 띠형상부를 따라 연장되는 세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 비밟기부는 발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밟기 영역의 상기 띠형상부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비스듬히 내측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17023812A 2009-05-27 2009-05-27 트레이닝에 적합한 신발의 신발바닥 KR101598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02329 WO2010137068A1 (ja) 2009-05-27 2009-05-27 トレーニングに適した靴の靴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593A KR20140060593A (ko) 2014-05-21
KR101598130B1 true KR101598130B1 (ko) 2016-02-26

Family

ID=4322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812A KR101598130B1 (ko) 2009-05-27 2009-05-27 트레이닝에 적합한 신발의 신발바닥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278714B2 (ko)
KR (1) KR101598130B1 (ko)
WO (1) WO2010137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8073A1 (en) * 2011-08-22 2013-02-28 Gaitline As Shoe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thereof
US20130067765A1 (en) * 2011-09-16 2013-03-2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O2013168256A1 (ja) * 2012-05-10 2013-11-14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アウトソールおよびミッドソールを備えた靴底
JP5993016B2 (ja) * 2012-07-04 2016-09-14 トビアス・シューマッハSCHUMACHER, Tobias 歩行修正または歩行保存のための靴底
US9955750B2 (en) * 2012-07-10 2018-05-01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Article of footwear with sole projections
CA2930225C (en) * 2012-11-08 2022-04-26 Gvb Shoetech Ag Sole for pronation control
EP3056103B1 (en) * 2013-10-10 2019-12-25 ASICS Corporation Shoe sole
DE102014213303B4 (de) * 2014-07-09 2019-11-07 Adidas Ag Multifunktionaler Outdoor-Schuh, insbesondere Bergschuh, Berglaufschuh, Trailrunning-Schuh oder Kletterschuh,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FR3030200B1 (fr) * 2014-12-17 2017-05-05 Babolat Vs Chaussure de sport
US10123586B2 (en) 2015-04-17 2018-11-13 Nike, Inc. Independently movable sole structure
US10980313B2 (en) * 2016-03-04 2021-04-2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and sole structure with a central forefoot ridge element
US10058145B2 (en) 2016-03-04 2018-08-2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and sole structure with a central sensory node element
WO2018193489A1 (ja) * 2017-04-17 2018-10-25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シューソール
KR102341641B1 (ko) * 2020-11-09 2021-12-22 삼덕통상 주식회사 미드솔 일체형 아웃솔의 제조방법
KR102355157B1 (ko) * 2020-11-10 2022-02-08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적층 가공을 이용한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2355158B1 (ko) * 2020-11-10 2022-02-08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적층 가공을 이용한 성형품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605A (ja) 2000-07-21 2002-02-05 Asahi Corp 靴 底
US20080127515A1 (en) 2006-10-19 2008-06-05 Orthotech Beratungs- Und Vertreibsges. Mbh Fur Orthopadietechnischen Bedarf Balancing shoes
JP2009297205A (ja) 2008-06-12 2009-12-24 Midori Anzen Co Ltd つまずき防止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4003A (ja) * 1995-12-13 1997-06-24 Morito Kk 野球靴用靴底
CN1236710C (zh) 1999-08-28 2006-01-18 尼格特股份公司 主动式滚动型步行装置
JP2005169053A (ja) 2003-12-13 2005-06-30 Tanigawa Yoshiaki 履物
JP2006055600A (ja) 2004-08-20 2006-03-02 Yoshie Fujikuma 美容・健康スリッパ、サンダル、靴
JP3110935U (ja) * 2005-02-28 2005-07-07 宮田金属工業株式会社 スパイクシューズ
KR20100043001A (ko) * 2008-10-17 2010-04-27 찬 국 권 보행 교정을 위한 신발용 바닥 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605A (ja) 2000-07-21 2002-02-05 Asahi Corp 靴 底
US20080127515A1 (en) 2006-10-19 2008-06-05 Orthotech Beratungs- Und Vertreibsges. Mbh Fur Orthopadietechnischen Bedarf Balancing shoes
JP2009297205A (ja) 2008-06-12 2009-12-24 Midori Anzen Co Ltd つまずき防止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137068A1 (ja) 2012-11-12
KR20140060593A (ko) 2014-05-21
WO2010137068A1 (ja) 2010-12-02
JP5278714B2 (ja)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130B1 (ko) 트레이닝에 적합한 신발의 신발바닥
US10045589B2 (en) Sole construction for energy storage and rebound
US8695236B2 (en) Shoe sole suitable for suppressing pronation
US4785557A (en) Shoe sole construction
JP4153002B2 (ja) シューズのソール組立体の中足部構造
US8671589B2 (en) Shoe sole having forwardly and rearwardly facing protrusions
US4638576A (en) Athletic shoe with external counter and cushion assembly
JP5601593B2 (ja) 衝撃分散機能と転がり歩行機能を有する履物の中敷き
JPH0449401B2 (ko)
JP2018153355A (ja) シューズ用ソ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US11666119B2 (en) Sole structure with midsole protrusions and arced profile for forward momentum
US20230140074A1 (en) Sole for a running shoe
KR20140104210A (ko) 충격 흡수용 신발 밑창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079740A1 (en) Basketball Shoe Sole
AU2020376694B2 (en) Shoe insole
JP5324629B2 (ja) トレーニングに適した靴の靴底
JP2022156974A (ja) ソ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KR101075787B1 (ko)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WO2020136914A1 (ja)
KR101116323B1 (ko) 보행 추진력 강화를 위한 바닥부 및 그 바닥부를 가지는 기능성 신발
JP7246426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シューズ
JP7479653B1 (ja) 月型芯及びそれを備える履物
KR100763138B1 (ko) 미끄럼에 대응하는 호형신발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