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905A -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905A
KR20130034905A KR1020110099059A KR20110099059A KR20130034905A KR 20130034905 A KR20130034905 A KR 20130034905A KR 1020110099059 A KR1020110099059 A KR 1020110099059A KR 20110099059 A KR20110099059 A KR 20110099059A KR 20130034905 A KR20130034905 A KR 20130034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emisa
capillaries
mugwort
hours
inj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5374B1 (ko
Inventor
김선미
Original Assignee
김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미 filed Critical 김선미
Priority to KR1020110099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374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42Preservation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46Preservation of non-alcoholic beverages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은,
강원도의 야산에서 자생하는 인진쑥과, 일반 노지에서 재배한 인진쑥의 잎과 줄기를 채취하여 선별하고, 이를 생채로 절단기에 넣어 1~2㎝ 크기로 절단하여 맑은 날 7~8시간 정도 태양 건조한 후, 바로 열풍건조기에 넣어 습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습기가 제거된 인진쑥을 이중 자켓 통돌이 스테인레스 볶음기에 1회 60㎏을 넣고 약한 가스불로 가열하면서 인진쑥이 타지 않도록 1시간 동안 골고루 볶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골고루 볶은 인진쑥을 용량 3,000㎏의 추출탱크에, 물 1,500㎏과 볶은 인진쑥 115㎏을 넣어 90℃에서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농축기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추출탱크에서 인진쑥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가열로 인해 발생하는 수증기는 배관라인을 통해 냉각장치로 유도하여 액화시켜서 인진쑥 증류수를 채수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인진쑥을 용량 3,000㎏의 농축기에서 55~60℃ 온도하에 6시간 동안 농축하여 65브릭스(Brix)의 인진쑥청을 얻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농축된 인진쑥청을 20℃의 상온에서 7일간 숙성과정을 거친 후, 성질이 변하지 않도록 -5℃의 냉동고에서 36~40시간 보관하는 단계; 및
추출탱크에 물 3,000㎏을 넣고 100℃로 가열한 후, 상기 단계에서 농축된 65브릭스의 인진쑥청 3㎏과 상기 인진쑥 추출과정에서 채수한 인진쑥 증류수 1㎏을 함께 넣고 이를 교반탱크로 이송하여 골고루 희석하여서, 배관라인을 통해 교반탱크에서 충진시설로 이송하면서 온도 95℃ 이상 상태에서 내열용기에 담아 기능성 음료 제품을 제조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인진쑥 성분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는,
인진쑥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강한 향과, 쓰고 떫은맛을 순화시켜 부드럽고 구수한 맛을 내는 기능성 음료를 제공하여 일반소비자가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를 섭취하면 자연스럽게 인진쑥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을 함께 섭취하여서 인체에 유익함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ation of a functional drink having artemisia capillaris}
본 발명은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성 성분이 뛰어난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여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므로서 인진쑥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강한 향과 쓰고 떫은맛을 순화시켜서 부드럽고 구수한 맛을 내는 기능성 음료를 제공하여 일반소비자들에게 인진쑥이 가지고 있는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자연스럽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신규한 형태의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쑥은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는 식용식물로 단백질, 지방질, 섬유질, 당질 칼슘, 인, 비타민 A, B, C가 풍부한 식품자원으로 예로부터 나물, 쑥국, 죽 및 쑥떡 등의 음식으로 널리 섭취되어 왔다.
이 중 인진(茵蔯)은 국화과 쑥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형 낙엽 관목으로, 생당쑥, 애당쑥, 사철쑥, 인진초, 더위지기(Artemisia iwayomogi), 흰산쑥(Artemisa sacrorum subsp. Kitamura), 털산쑥(Artemisa sacrorum subsp. manshuria var. vestita Kitamura) 등으로 불리워지며 특히, 어린잎을 인진 또는 더위지기라 부르는데 그 특유의 향기와 약효로 인하여 전통적으로 민간에서 식용, 약용, 단방약으로 애용하여 왔다.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은 국화과 쑥속에 속하는 초본형 낙엽관목으로 겨울에 죽지않고 이듬해 줄기에서 다시 싹이 나온다고 해서 사철쑥 또는 더위지기라는 이름으로도 불리고,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조금 쓴 편이다.
동의보감과 본초강목에서는 손상된 간 회복, 지방간, 간암, 간염, 황달 등의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 식욕의 증진, 소화불량, 위장병 등의 위장질환의 치료, 중풍, 혈액순환, 청혈작용 등의 순환기계기능의 개선 및 당뇨병의 치료 등에 그 효능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인진에 함유되어 있는 주성분은 배당체인 스코폴레틴(scopoletin)을 비롯한 정유성분 방향족(oxycarbonic acid), 사포닌(saponin), 탄닌(tannin) 등으로, 해독, 항균, 면역 등의 효과가 예상되며 혈청지질의 감소효과로 고혈압, 당뇨, 비만, 뇌졸중 등의 치료와 예방에 효과가 보고되어 있다.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은 참쑥이나 약쑥에 비해 충치유발균인 스트렙토코쿠스 무탠드(Streptococcus mutand)가 생산하는 글루코실트랜스퍼라제(glucosyltransferase) 저해 효과 및 멜라닌 색소 형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 효과가 다른 종의 쑥들에 비해 높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그 밖의 간기능 개선, 혈관팽창작용 및 항암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인진을 이용한 가공품으로는 쑥 엿, 편, 환 또는 추출차, 과립차 등의 제품이 개발되어 있는 실정이다.
현대인은 각종 환경오염 및 불가피한 위해 요소의 접촉으로 인한 과도한 정신적, 신체적 스트레스가 지속되어 생활에 위협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 지향적인 식문화가 형성되어 가고 있으며 건강을 위한 기능성 식품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현재는 인진쑥에 대한 문헌상의 효과, 효능만을 부각시킬 뿐 인진쑥의 기능식품으로의 상품가치를 나타내는 주요성분에 대한 약리 효과와 기능성을 검증하고, 손쉽게 음용할 수 있으면서 인진쑥 특유의 강한 향과, 쓰고 떫은맛을 순화시켜 부드럽고 구수한 맛을 내는 기능성 음료를 제공하는 기술적인 연구와 검증을 거친 제품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1)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2-56781호 "인진쑥 추출물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2)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108855호 "인진쑥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산 축적 억제용 음료" (3)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1-56901호 "인진쑥, 헛개열매, 오리나무, 감초, 갈근 및 구기자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은,
인진쑥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강한 향과, 쓰고 떫은맛을 순화시켜 부드럽고 구수한 맛을 내는 기능성 음료를 제공하여 일반소비자가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를 섭취하면 자연스럽게 인진쑥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을 함께 섭취하여서 인체에 유익함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기능성 성분이 뛰어난 인진쑥을 이용하여 인진쑥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강한 향과, 쓰고 떫은맛을 순화시켜 부드럽고 구수한 맛을 내는 기능성 음료를 제공하여 인체에 유익함을 줄 수 있는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은,
강원도의 야산에서 자생하는 인진쑥과, 일반 노지에서 재배한 인진쑥의 잎과 줄기를 채취하여 선별하고, 이를 생채로 절단기에 넣어 1~2㎝ 크기로 절단하여 맑은 날 7~8시간 정도 태양 건조한 후, 바로 열풍건조기에 넣어 습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습기가 제거된 인진쑥을 이중 자켓 통돌이 스테인레스 볶음기에 1회 60㎏을 넣고 약한 가스불로 가열하면서 인진쑥이 타지 않도록 1시간 동안 골고루 볶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골고루 볶은 인진쑥을 용량 3,000㎏의 추출탱크에, 물 1,500㎏과 볶은 인진쑥 115㎏을 넣어 90℃에서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농축기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추출탱크에서 인진쑥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가열로 인해 발생하는 수증기는 배관라인을 통해 냉각장치로 유도하여 액화시켜서 인진쑥 증류수를 채수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인진쑥을 용량 3,000㎏의 농축기에서 55~60℃ 온도하에 6시간 동안 농축하여 65브릭스(Brix)의 인진쑥청을 얻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농축된 인진쑥청을 20℃의 상온에서 7일간 숙성과정을 거친 후, 성질이 변하지 않도록 -5℃의 냉동고에서 36~40시간 보관하는 단계; 및
추출탱크에 물 3,000㎏을 넣고 100℃로 가열한 후, 상기 단계에서 농축된 65브릭스의 인진쑥청 3㎏과 상기 인진쑥 추출과정에서 채수한 인진쑥 증류수 1㎏을 함께 넣고 이를 교반탱크로 이송하여 골고루 희석하여서, 배관라인을 통해 교반탱크에서 충진시설로 이송하면서 온도 95℃ 이상 상태에서 내열용기에 담아 기능성 음료 제품을 제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음료에 따르면,
인진쑥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강한 향과, 쓰고 떫은맛을 순화시켜 부드럽고 구수한 맛을 내는 기능성 음료를 제공하여 일반소비자가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를 섭취하면 자연스럽게 인진쑥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을 함께 섭취하여서 인체에 유익함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음료 제조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은,
강원도의 야산에서 자생하는 인진쑥과, 일반 노지에서 재배한 인진쑥의 잎과 줄기를 채취하여 선별하고, 이를 생채로 절단기에 넣어 1~2㎝ 크기로 절단하여 맑은 날 7~8시간 정도 태양 건조한 후, 바로 열풍건조기에 넣어 습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습기가 제거된 인진쑥을 이중 자켓 통돌이 스테인레스 볶음기에 1회 60㎏을 넣고 약한 가스불로 가열하면서 인진쑥이 타지 않도록 1시간 동안 골고루 볶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골고루 볶은 인진쑥을 용량 3,000㎏의 추출탱크에, 물 1,500㎏과 볶은 인진쑥 115㎏을 넣어 90℃에서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농축기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추출탱크에서 인진쑥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가열로 인해 발생하는 수증기는 배관라인을 통해 냉각장치로 유도하여 액화시켜서 인진쑥 증류수를 채수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인진쑥을 용량 3,000㎏의 농축기에서 55~60℃ 온도하에 6시간 동안 농축하여 65브릭스(Brix)의 인진쑥청을 얻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농축된 인진쑥청을 20℃의 상온에서 7일간 숙성과정을 거친 후, 성질이 변하지 않도록 -5℃의 냉동고에서 36~40시간 보관하는 단계; 및
추출탱크에 물 3,000㎏을 넣고 100℃로 가열한 후, 상기 단계에서 농축된 65브릭스의 인진쑥청 3㎏과 상기 인진쑥 추출과정에서 채수한 인진쑥 증류수 1㎏을 함께 넣고 이를 교반탱크로 이송하여 골고루 희석하여서, 배관라인을 통해 교반탱크에서 충진시설로 이송하면서 온도 95℃ 이상 상태에서 내열용기에 담아 기능성 음료 제품을 제조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완성을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인진쑥을 주원료로하는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인진쑥을 주원료로하는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은 아래의 각 단계들을 거쳐서 완성된다.
제 1 단계 : 인진쑥을 채취하여 선별 및 건조하는 단계
강원도의 야산에서 자생하는 인진쑥과, 일반 노지에서 재배한 인진쑥의 잎과 줄기를 채취하여 선별하고, 이를 생채로 절단기에 넣어 1~2㎝ 크기로 절단하여 맑은 날 7~8시간 정도 태양 건조한 후, 바로 열풍건조기에 넣어 습기를 완전히 제거한다.
야산에서 자생하는 자연산 인진쑥은, 일반 노지에서 재배한 인진쑥과는 약리적 효능이 서로 다르므로 기능성 성분을 좀더 증대시켜 인체에 유익함을 주고자 자연산 인진쑥과 재배한 인진쑥의 잎과 줄기를 각각 절반씩 섞어서 절단기에 넣어 절단하고 태양건조 한 후, 바로 열풍건조기에 넣어 습기를 제거한다.
제 2 단계 : 인진쑥을 볶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습기가 제거된 인진쑥을 이중 자켓 통돌이 스테인레스 볶음기에 1회 60㎏을 넣고 약한 가스불로 가열하면서 인진쑥이 타지 않도록 1시간 동안 골고루 볶는다.
인진쑥은 특유의 강한 향과 쓰고 떫은맛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중 자켓 통돌이 스테인레스 볶음기에서 약한 가스불로 가열하면서 인진쑥이 타지 않도록 1시간 동안 골고루 볶아 주므로서 인진쑥 특유의 향과 쓰고 떫은맛을 줄여서 부드럽고 구수한 맛을 낼 수가 있다.
제 3 단계 : 인진쑥을 추출하여 농축기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골고루 볶은 인진쑥을 용량 3,000㎏의 추출탱크에, 물 1,500㎏과 볶은 인진쑥 115㎏을 넣어 90℃에서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농축기로 이송한다.
제 4 단계 : 인진쑥 증류수를 채수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추출탱크에서 인진쑥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가열로 인해 발생하는 수증기는 배관라인을 통해 냉각장치로 유도하여 액화시켜서 인진쑥 증류수를 채수한다.
상기 채수된 인진쑥 증류수의 액상은 연노랑색으로 인진쑥 추출액의 향 보다 매우 강한 천연향으로서, 채수된 인진쑥 증류수는 볶은 인진쑥 115㎏을 10시간 추출할 경우 6㎏의 인진쑥 증류수를 얻을 수 있었다.
제 5 단계 : 인진쑥청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인진쑥을 용량 3,000㎏의 농축기에서 55~60℃ 온도하에 6시간 동안 농축하여 65브릭스(Brix)의 인진쑥청을 얻는다.
제 6 단계 : 인진쑥청을 숙성 및 냉동 보관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농축된 인진쑥청을 20℃의 상온에서 7일간 숙성과정을 거친 후, 성질이 변하지 않도록 -5℃의 냉동고에서 36~40시간 보관한다.
제 7 단계 :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는 단계
추출탱크에 물 3,000㎏을 넣고 100℃로 가열한 후, 상기 단계에서 농축된 65브릭스의 인진쑥청 3㎏과 상기 인진쑥 추출과정에서 채수한 인진쑥 증류수 1㎏을 함께 넣고 이를 교반탱크로 이송하여 골고루 희석하여서, 배관라인을 통해 교반탱크에서 충진시설로 이송하면서 온도 95℃ 이상 상태에서 내열용기에 담아 기능성 음료 제품을 제조하여서 된 것이다.
[실시예 1]
1. 인진쑥을 채취하여 선별 및 건조하는 단계
강원도의 야산에서 자생하는 인진쑥과, 일반 노지에서 재배한 인진쑥의 잎과 줄기를 채취하여 선별하고, 이를 생채로 절단기에 넣어 1~2㎝ 크기로 절단하여 맑은 날 7~8시간 정도 태양 건조한 후, 바로 열풍건조기에 넣어 습기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2. 인진쑥을 볶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습기가 제거된 인진쑥을 이중 자켓 통돌이 스테인레스 볶음기에 1회 60㎏을 넣고 약한 가스불로 가열하면서 인진쑥이 타지 않도록 1시간 동안 골고루 볶는다.
3. 인진쑥을 추출하여 농축기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골고루 볶은 인진쑥을 용량 3,000㎏의 추출탱크에, 물 1,500㎏과 볶은 인진쑥 115㎏을 넣어 90℃에서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농축기로 이송하였다.
4. 인진쑥 증류수를 채수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추출탱크에서 인진쑥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가열로 인해 발생하는 수증기는 배관라인을 통해 냉각장치로 유도하여 액화시켜서 인진쑥 증류수를 채수하였다.
5. 인진쑥청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인진쑥을 용량 3,000㎏의 농축기에서 55~60℃ 온도하에 6시간 동안 농축하여 65브릭스(Brix)의 인진쑥청을 얻었다.
6. 인진쑥청을 숙성 및 냉동 보관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농축된 인진쑥청을 20℃의 상온에서 7일간 숙성과정을 거친 후, 성질이 변하지 않도록 -5℃의 냉동고에서 36~40시간 보관하였다.
7.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는 단계
추출탱크에 물 3,000㎏을 넣고 100℃로 가열한 후, 상기 단계에서 농축된 65브릭스의 인진쑥청 3㎏과 상기 인진쑥 추출과정에서 채수한 인진쑥 증류수 1㎏을 함께 넣고 이를 교반탱크로 이송하여 골고루 희석하여서, 배관라인을 통해 교반탱크에서 충진시설로 이송하면서 온도 95℃ 이상 상태에서 내열용기에 담아 기능성 음료 제품인 인진쑥 차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관능검사 결과]
연령대별로 각 5명씩 총 30명의 관능검사 요원을 대상으로 쑥미인 인진쑥차의 윤기, 색깔, 향, 맛, 인진쑥 인지도,구매의사 등을 관능검사로 실시한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 10점법 = 10:아주 좋음, 7.5:좋음, 5:보통, 2.5:나쁨, 0:아주 나쁨
  윤기 색깔 인진쑥 구매
의사
종합적
인지도 기호도
10대 6.2 6 5.5 5.6 2 2.2 4.58
20대 7.2 6.8 6.2 5.8 3.8 3 5.47
30대 7.5 8 7.2 7.8 7.2 5.6 7.22
40대 7.8 7.8 8 8.2 9.2 7.2 8.03
50대 9 8.8 9.2 8.8 9.8 9 9.10
60대 9.2 9.2 9.4 9 10 9.2 9.33
  7.82 7.77 7.58 7.53 7.00 6.03 7.29
상기 표에서와 같이 10~20대는 본 제품에 대해 종합적 기호도가 낮은 반면, 30대 이상에서는 선호도가 다소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

  1. 강원도의 야산에서 자생하는 인진쑥과, 일반 노지에서 재배한 인진쑥의 잎과 줄기를 채취하여 선별하고, 이를 생채로 절단기에 넣어 1~2㎝ 크기로 절단하여 맑은 날 7~8시간 정도 태양 건조한 후, 바로 열풍건조기에 넣어 습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습기가 제거된 인진쑥을 이중 자켓 통돌이 스테인레스 볶음기에 1회 60㎏을 넣고 약한 가스불로 가열하면서 인진쑥이 타지 않도록 1시간 동안 골고루 볶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골고루 볶은 인진쑥을 용량 3,000㎏의 추출탱크에, 물 1,500㎏과 볶은 인진쑥 115㎏을 넣어 90℃에서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농축기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추출탱크에서 인진쑥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가열로 인해 발생하는 수증기는 배관라인을 통해 냉각장치로 유도하여 액화시켜서 인진쑥 증류수를 채수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인진쑥을 용량 3,000㎏의 농축기에서 55~60℃ 온도하에 6시간 동안 농축하여 65브릭스(Brix)의 인진쑥청을 얻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농축된 인진쑥청을 20℃의 상온에서 7일간 숙성과정을 거친 후, 성질이 변하지 않도록 -5℃의 냉동고에서 36~40시간 보관하는 단계; 및
    추출탱크에 물 3,000㎏을 넣고 100℃로 가열한 후, 상기 단계에서 농축된 65브릭스의 인진쑥청 3㎏과 상기 인진쑥 추출과정에서 채수한 인진쑥 증류수 1㎏을 함께 넣고 이를 교반탱크로 이송하여 골고루 희석하여서, 배관라인을 통해 교반탱크에서 충진시설로 이송하면서 온도 95℃ 이상 상태에서 내열용기에 담아 기능성 음료 제품을 제조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
KR1020110099059A 2011-09-29 2011-09-29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KR101335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059A KR101335374B1 (ko) 2011-09-29 2011-09-29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059A KR101335374B1 (ko) 2011-09-29 2011-09-29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905A true KR20130034905A (ko) 2013-04-08
KR101335374B1 KR101335374B1 (ko) 2013-12-02

Family

ID=4843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059A KR101335374B1 (ko) 2011-09-29 2011-09-29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3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5264A (zh) * 2013-09-18 2013-12-18 韦以宗 茵陈露饮料
KR20220055006A (ko) * 2020-10-26 2022-05-03 황기철 천연원료를 함유한 면역력 증강용 애완용 사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29603B1 (ko) * 2022-10-22 2024-01-29 주식회사 북설악 개똥쑥(靑蒿)액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959A (ko) * 1998-10-07 2000-05-06 김부권 인진쑥을 주원료로 한 증류수 무균음료의 제조방법
KR100675311B1 (ko) 2005-07-12 2007-01-30 강원생물영농조합법인 혈당강하용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101227091B1 (ko) 2006-04-28 2013-01-29 (유)오비티 발효 쑥초액 및 탄화 쑥초액을 이용한 식품첨가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5264A (zh) * 2013-09-18 2013-12-18 韦以宗 茵陈露饮料
KR20220055006A (ko) * 2020-10-26 2022-05-03 황기철 천연원료를 함유한 면역력 증강용 애완용 사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29603B1 (ko) * 2022-10-22 2024-01-29 주식회사 북설악 개똥쑥(靑蒿)액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374B1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05485B (zh) 一种豆粒猪蹄的加工方法及其豆粒猪蹄
KR20110051748A (ko) 우리 농산물을 이용한 과실맥주 그 제조방법.
CN103549470A (zh) 一种泡椒凤爪
CN103027142B (zh) 一种莞香花茶及其制作工艺
KR101107020B1 (ko) 기능성 한약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176732A (zh) 一种果香型荔枝酒
JP4032393B2 (ja) 栄養機能補助食品、モリンガ茶葉及びモリンガ茶飲料
CN103891971A (zh) 一种苦荞茶及其制备方法
KR101335374B1 (ko)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KR100663948B1 (ko) 야채 음료 제조방법 및 야채 음료
KR101190329B1 (ko) 꾸지뽕을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
CN103549057B (zh) 一种大蒜茶的加工方法
CN105285161A (zh) 一种桂花香山茶油的制备方法
CN106993687A (zh) 一种栀子茶的制备方法
CN107418860B (zh) 一种用野生果叶直接萃取植物醋的方法
CN111374192A (zh) 白毛银露梅红茶
CN104543039A (zh) 一种彩色复合调味油及其制备方法
KR101325849B1 (ko) 당조 고춧잎 추출물이 포함된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청국장 및 그 제조 방법
CN102550990A (zh) 五香小蒜辣酱香菜及其加工方法
KR102122283B1 (ko) 양파와 속쓰림 중화 성분 함유의 작물 추출물 포함 음료
CN105851259A (zh) 一种苦荞茶香红油腐乳及其加工方法
KR101311902B1 (ko) 호박과 고구마로 조성된 황금색 된장의 제조방법
CN104223247A (zh) 石膏鸡肉清热铁皮石斛饮料及其制备方法
KR20040060880A (ko) 구이용양념소스 및 삼겹살조리방법
KR102450640B1 (ko) 기능성 원료를 첨가한 비트 주스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